KR200255375Y1 - 멀티 콘센트 - Google Patents

멀티 콘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5375Y1
KR200255375Y1 KR2020010024066U KR20010024066U KR200255375Y1 KR 200255375 Y1 KR200255375 Y1 KR 200255375Y1 KR 2020010024066 U KR2020010024066 U KR 2020010024066U KR 20010024066 U KR20010024066 U KR 20010024066U KR 200255375 Y1 KR200255375 Y1 KR 2002553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let
terminal
plug
auxiliary
termin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40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상희
Original Assignee
신상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상희 filed Critical 신상희
Priority to KR20200100240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537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53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5375Y1/ko

Link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메인콘센트에 보조콘센트를 장착하여 정격전압의 범위 내에서 각각의 콘센트에 다수 개의 전기전자제품을 플러그를 꽂아 사용하도록 하는 멀티콘센트에 관한 것으로 메인콘센트의 일측에 플러그단자를 장착할 수 있도록 측면플러그삽입단자 및 삽입공을 형성하고, 보조콘센트의 일측에는 플러그단자를 돌출형성하며 다른 일측에는 플러그삽입단자 및 삽입공을 형성하여 상기 메인콘센트에 보조콘센트를 장착하도록 하고, 보조콘센트의 일측에 다른 보조콘센트를 연속적으로 장착할 수 있도록 하며, 각각의 메인콘센트 및 보조콘센트의 내측에 퓨즈를 내장하여 정격전압의 이상의 과 전류가 흐를 경우 퓨즈에 의해 자동 차단시킬 수 있도록 하는 멀티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멀티 콘센트 {multi outlet}
본 고안은 메인콘센트에 보조콘센트를 장착하여 정격전압의 범위 내에서 각각의 콘센트에 다수 개의 전기전자제품을 플러그를 꽂아 사용하도록 하는 멀티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메인콘센트의 일측에 플러그단자를 장착할 수 있도록 측면플러그삽입단자 및 삽입공을 형성하고, 보조콘센트의 일측에는 플러그단자를 돌출형성하며 다른 일측에는 플러그삽입단자 및 삽입공을 형성하여 상기 메인콘센트에 보조콘센트를 장착하도록 하고, 보조콘센트의 일측에 다른 보조콘센트를 연속적으로 장착할 수 있도록 하며, 각각의 메인콘센트 및 보조콘센트의 내측에 퓨즈를 내장하여 정격전압의 이상의 과 전류가 흐를 경우 퓨즈에 의해 자동 차단시킬 수 있도록 하는 멀티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멀티콘센트로는 단순히 콘센트의 몸체를 크게 형성하여 다수개의 플러그를 장착하도록 플러그장착구를 다수 개 형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멀티콘센트는 개인컴퓨터(PC)등에 주로 사용되는 것으로 많은 개수의 전원플러그를 꽂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나 필요이상으로 많은 플러그장착구가 형성되어 있을 경우에는 불필요한 공간은 차지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으며, 더 많은 전원을 필요로 할 경우 다른 멀티콘센트의 전원 플러그를 상기 멀티콘센트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국내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20-1998-52843호 분리 가능한 멀티콘센트가 있다.
상기 멀티콘센트(1)는 첨부도면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원선(5)이 연결된 메인콘센트(2)의 일측에 다수개의 보조콘센트(3a)(3b)(3c)를 연결장착하고, 최 후단의 보조콘센트(3c)에는 플러그커버(4)를 장착한 것이다.
즉, 상기 메인콘센트(2)는 플러그단자(9)와 일체로 형성한 금속단자(6)를 한 쌍으로 대칭되게 배열하여 장착하되 플러그단자(9)는 일측으로 돌출 되도록 하였고, 금속단자(6)의 일측에는 플러그삽입단자(7)를 형성한 것이다.
상기 보조콘센트(3a)(3b)(3c)는 플러그단자(9)와 일체로 형성한 금속단자(6a)를 한 쌍으로 대칭되게 배열하여 장착하되 플러그단자(9)는 일측으로 돌출 되도록 하였고, 금속단자(6a)의 일측에는 플러그삽입단자(7)를 형성하였고 플러그삽입단자(7)의 일측으로 측면플러그삽입단자(8)를 연설한 것이다.
상기 커버(4)는 상기 메인콘센트(2) 및 보조콘센트(3a)(3b)(3c)의 측면크기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하되 일측에는 플러그단자(9)를 수납할 수 있도록 삽입공(10)을 형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멀티콘센트(1)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메인콘센트(2)에 보조콘센트(3a)(3b)(3c)를 장착하되 최 후단에 장착되는 보조콘센트에는 돌출되는 플러그단자(9)에 커버(4)를 씌워 누전 또는 감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메인콘센트(2)에 인가되는 전원을 다른 보조콘센트(3a)(3b)(3c)에도 통전하여 각각의 콘센트에 전원을 필요로 하는 전기전자제품의 플러그를 꽂아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멀티콘센트(1)는 콘센트의 정격 안전 전압보다 높은 과 전류가 흐를 경우 과 전류를 제어할 수 있는 수단이 없어 화재의 위험성이 있고, 최 후단에 장착하는 커버(4)는 항상 주의 깊게 살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으며, 커버(4)를 분실하였거나 파손되었을 때에는 노출된 플러그단자(9)의 누전/감전의 사고의 위험 때문에 더 이상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더욱 개선된 멀티콘센트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은 전원선이 연결된 메인콘센트의 일측에 다수개의 보조콘센트를 장착하여 사용하되 메인콘센트 및 보조콘센트에 전원차단수단을 구비하여 과전류에 따른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멀티콘센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종래의 예에서 설명되어지는 커버(4)등을 구비하지 않고서도 누전/감전의 위험이 없도록 플러그단자를 보조콘센트에 형성하여 보조콘센트를 메인콘센트에 장착하도록 하는 멀티콘센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멀티콘센트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멀티콘센트에서 커버를 제거한 상태의 평면도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멀티콘센트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멀티콘센트에서 커버를 제거한 상태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멀티콘센트 2: 메인콘센트 3a, 3b, 3c: 보조콘센트
4,: 커버 5: 전원선 6: 금속단자
7: 플러그삽입단자 8: 측면플러그삽입단자 9:플러그
10: 삽입공
20: 멀티콘센트 21: 메인콘센트 22, 41: 콘센트몸체
23a, 23b, 42a, 42b: 금속단자 24, 43: 커버
25: 분리대 26: 체결공 27: 장착홈
28a, 28b: 단자안착홈 29a, 29b: 퓨즈홀더 30, 45: 삽입공
31: 장착편 32a, 32b: 플러그삽입단자
33: 측면플러그삽입단자 34, 35, 46: 볼트 36, 47: 플러그장착공
40: 보조콘센트 44a, 44b: 플러그단자 50: 전원선
본 고안의 상기목적들과 특징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의하여 더욱 명확하게 이해 할 수 있을 것이다.
첨부도면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멀티콘센트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멀티콘센트에서 커버를 제거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멀티콘센트(20)는 전원선을 연결한 메인콘센트(21)에 보조콘센트(40)를 장착하도록 하고, 메인콘센트(21) 및 보조콘센트(40)의 내부에 전원차단수단을 구비하여 구성한 것이다.
상기 메인콘센트(21)는 콘센트몸체(22)의 상측에 한 쌍의 금속단자(23a)(23b)를 대칭되는 형상으로 장착하고, 상기 한 쌍의 금속단자(23a)(23b)의 일측에 전원선(50)을 연결하며, 상측으로는 커버(24)를 씌워 고정시킨 것이다.
상기 콘센트몸체(22)는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분리대(25)를 돌출형성하고, 분리대(25)의 좌우 양측에 체결공(26)을 형성하며, 분리대(25)와 콘센트몸체(22)의 모서리의 사이 중앙에 장착봉(27)을 형성하고 장착봉(27)의 양측으로 단자안착홈(22a)(28b)을 형성하며, 콘센트몸체(22)의 내부 일측에 퓨즈홀더(29a)(29b)를 구비하고, 콘센트몸체(22)의 일측면에는 차후에 설명되는 플러그단자(44a)(44b)를 삽입할 수 있도록 삽입공(30)을 형성하며, 상기 단자안착홈(28b)은 상방향 및 측 방향으로 개방된 형태로 형성하였다.
상기 한 쌍의 금속단자(23a)(23b)는 중앙의 일측에 장착편(31)을 형성하였고, 좌우단부에는 플러그삽입단자(32a)(32b)를 형성하되 일측의 플러그삽입단자(32b)에는 측면플러그삽입단자(33)를 연설하여 상기 콘센트몸체(22)의 장착봉(27)에 볼트(34)와 같은 체결수단으로 체결고정하며,플러그삽입단자(32a)(32b)는 상기 콘센트몸체(22)의 단자안착홈(28a)(28b)에 각각 삽입시켰다
상기 커버(24)는 통상의 콘센트 커버와 동일한 구성으로 2구이상의 플러그장착공(36)을 형성하여 상기 콘센트몸체(22)에 씌워져 볼트(35)와 같은 체결수단으로 체결 장착하였다.
상기 전원선(50)의 일측 리드선은 퓨즈홀더(29a)에 연결하고, 퓨즈홀더(29b)와 일측 금속단자(23a)에 연결하며, 전원선(50)의 다른 쪽 리드선은 다른 금속단자(23b)에 연결하였다.
상기 보조콘센트(40)는 콘센트몸체(41)의 내부에 한 쌍의 금속단자(42a)(42b)를 대칭되는 형상으로 배열하여 장착하고, 콘센트몸체(41)의 상측에 커버(43)를 볼트(35)와 같은 체결수단으로 체결 장착하였다.
상기 콘센트몸체(41)는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분리대를 돌출형성하고, 분리대의 좌우 양측에 체결공(26)을 형성하며, 분리대와 콘센트몸체(41)의 모서리의 사이 중앙에 장착봉을 형성하고 장착봉의 양측으로 단자안착홈(22a)(28b)을 형성하며, 콘센트몸체(42)의 내부 일측에 퓨즈홀더(29a)(29b)를 구비하고, 콘센트몸체(41)의 일측면에는 삽입공(45)을 형성하며, 다른 일측면에는 한 쌍의 플러그단자(44a)(44b)를 돌출 장착하였다.
상기 금속단자(42a)(42b)는 상기 금속단자(23a)(23b)와 동일한 구성으로 금속단자(42a)(42b)의 플러그삽입단자(32a)(32b) 및 측면플러그삽입단자(33)는 상기 콘센트몸체(41)의 단자안착홈(28a)(28b)에 안착시키고, 볼트(34)와 같은 체결수단으로 장착봉에 장착하였다.
상기 커버(43)는 상기 커버(24)와 동일한 구성으로 볼트(46)와 같은 체결수단으로 콘센트몸체(41)의 체결공(26)에 체결 고정하였다.
상기 퓨즈홀더(29a)(29b)에는 퓨즈(F: Glass Tube type)를 장착하여 과 전류가 흐를 경우 자동으로 전원을 차단하도록 하였다.
상기 한 쌍의 플러그단자(44a)(44b)중 일측의 플러그단자(44a)는 퓨즈홀더(29a)에 연결하고, 퓨즈홀더(29b)와 일측의 금속단자(42a)에 연결하며, 다른 쪽 플러그단자(44b)는 다른 쪽 금속단자(42b)에 연결하였다.
이하 첨부도면 도 4를 참조하여 사용상태를 설명한다.
메인콘센트(21)의 상측에 형성된 플러그장착공(36)에 전기전자제품의 플러그를 꽂아 전원을 공급하게 되며 또 다른 전기전자 제품을 동시에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보조콘센트(40)를 메인콘센트(21)에 연결 장착하여 사용하게 된다.
즉, 메인콘센트(21)의 일측에 형성한 삽입공(26)을 통해 보조콘센트(40)의 플러그(44a)(44b)가 삽입되고, 삽입된 플러그(44a)(44b)는 금속단자(23a)(23b)의 측면플러그삽입단자(33)에 접속되어 메인콘센트(21)에 인가되는 전류를 보조콘센트(40)에 인가된다.
보조콘센트(40)의 후방에 다른 보조콘센트(40)를 계속해서 장착할 수 있으며 장착되는 보조콘센트(40)의 플러그단자(44a)(44b)는 삽입공(45)을 통해 금속단자(42a)(42b)의 측면플러그삽입단자(33)에 접속되어 전류가 인가된다.
과다한 전류를 사용함으로 인해 과 전류가 통전되면 퓨즈(F)가 끊겨져 전원은 자동으로 차단되며 손상된 퓨즈(F)를 교환하고자할 때에는 커버(24)(43)를 콘센트몸체(22)(41)에서 분리시켜 퓨즈홀더(29a)(29b)에서 퓨즈(F)를 분리/교환 장착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멀티콘센트(20)는 전원을 필요로 하는 개수만큼 보조콘센트(40)를 연결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고, 과 전류가 흐를 경우 퓨즈(F)에 의해 전원이 자동으로 차단되므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종래의 예에서와 같은 별도의 커버(4)는 구비하지 않아도 되므로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메인콘센트에 보조콘센트를 연결 장착하여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는 멀티콘센트에 있어서,
    내부에 단자안착홈(28a)을 수직방향으로 개방되도록 형성하고, 단자안착홈(28b)을 수직 및 일측방향으로 개방되도록 형성하며, 일측에는 퓨즈홀더(29a)(29b)를 형성하고 일측면에 삽입공(30)(45)을 형성한 콘센트몸체(22)(41)와,
    상기 단자안착홈(28a)(28b)에 플러그삽입단자(32a)(32b)를 안착하고, 플러그삽입단자(32b)의 일측에 측면플러그삽입단자(33)를 연설한 한 쌍의 금속단자(23a)(23b)와,
    상기 콘센트몸체(22)에 장착한 금속단자(23b)와 퓨즈홀더(29a)에 연결된 전원선(50)과
    상기 콘센트몸체(41)에 장착한 금속단자(42b)와 퓨즈홀더(29a)에 연결되어 외부로 돌출 장착한 한 쌍의 플러그단자(44a)(44b)와
    상기 콘센트몸체(22)(41)에 씌워져 볼트(35)(46)와 같은 체결수단으로 체결 고정하는 커버(24)(43)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콘센트.
KR2020010024066U 2001-08-08 2001-08-08 멀티 콘센트 KR2002553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4066U KR200255375Y1 (ko) 2001-08-08 2001-08-08 멀티 콘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4066U KR200255375Y1 (ko) 2001-08-08 2001-08-08 멀티 콘센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5375Y1 true KR200255375Y1 (ko) 2001-12-13

Family

ID=73106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4066U KR200255375Y1 (ko) 2001-08-08 2001-08-08 멀티 콘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537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9320B1 (ko) 2007-10-05 2008-11-18 장세일 조립식 멀티콘센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9320B1 (ko) 2007-10-05 2008-11-18 장세일 조립식 멀티콘센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199041A1 (en) Fuse assembly
US6753754B1 (en) Variably fusable power distribution block kit
JP3065299U (ja) 過熱・過電流の保護機能を具えた安全ソケット
EP1130616B1 (en) Fuse and fuse support
US6190207B1 (en) Waterproof socket adapter design
US5109316A (en) Multiple outlet receptacle with circuit breaker and continuity switch mechanisms
US20030003808A1 (en) Adapter with fuse and indicator and capable of being used as plug
US4420214A (en) Electrical plug and socket having replaceable overcurrent-protection device provided with safety latch means
US6468111B1 (en) Electrical plug
KR200255375Y1 (ko) 멀티 콘센트
US4060303A (en) Fused in-line power connector arrangement
WO2019179302A1 (zh) 模块盒、插座模块及模块插座
US5419719A (en) Integrally fused electrical plug
US20050088846A1 (en) Suspension lamp having quick connection function
US5176539A (en) Safety plug
GB2266810A (en) Multi socket outlet assembly
JP2002101526A (ja) 電気接続箱の電源接続構造
KR20160081061A (ko) 멀티 퓨즈
US4880398A (en) Fuse holder for holding a flat-type fuse block
KR900006134Y1 (ko) 개방형 안전 콘센트
US6929387B2 (en) Suspension lamp having quick connection function
KR200169769Y1 (ko) 엘이드를 부착한 퓨즈 내장 플러그
CN211700731U (zh) 智能排插
CN218569335U (zh) 防水插座
KR940004435Y1 (ko) 전압전환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2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