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9502B1 - 다회로전선 커넥터유닛 - Google Patents

다회로전선 커넥터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9502B1
KR100939502B1 KR1020090046863A KR20090046863A KR100939502B1 KR 100939502 B1 KR100939502 B1 KR 100939502B1 KR 1020090046863 A KR1020090046863 A KR 1020090046863A KR 20090046863 A KR20090046863 A KR 20090046863A KR 100939502 B1 KR100939502 B1 KR 1009395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over
terminal
wall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68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두진
변명우
Original Assignee
(주)정조이엔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정조이엔티 filed Critical (주)정조이엔티
Priority to KR10200900468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95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95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95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475Means facilitating correct wiring, e.g. marking plates, identification ta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 H01R4/4809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using a leaf spring to bias the conductor toward the busbar
    • H01R4/48455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using a leaf spring to bias the conductor toward the busbar insertion of a wire only possible by pressing on the spring

Landscapes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회로전선 커넥터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복수개의 수용공간이 서로 격리되게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수용공간에 삽입되고 하우징 내부로 삽입된 전선의 일측에 접촉되는 판형스프링과, 상기 하우징의 수용공간에 삽입되고 상기 전선의 타측에 접촉되는 통전부와,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하측을 밀폐하는 덮개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일방향회전과 타방향 회전시 상기 판형스프링으로 하여금 전선의 압박과 압박해제를 하도록 하는 회전버튼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다회로 전선을 하나의 커넥터유닛으로 결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잘못 결선되었을 경우 하우징으로부터 전선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여 작업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플러그, 리셉터클, 전선, 검전홀, 단자

Description

다회로전선 커넥터유닛{Multi Circuit Electric Wire Connecter Unit}
본 발명은 다회로전선 커넥터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선간의 결선과정을 용이하게 하여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각의 회로별 전선을 하나의 커넥터유닛으로 연결할 수 있는 다회로전선 커넥터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건축물의 실내외에는 전선이 배선된다. 통상 이러한 전선은 건축물의 시공시 벽체에 매설되어 각종 전기기구 및 전자 제품 등에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건축물의 천장에 설치되는 조명기구나 화재감지기 또는 스피커와 같은 전기기구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물의 천장(C)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는 슬라브(S)에 다수의 전선(W)을 결선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매입박스(B)를 설치하고, 전선을 커넥터(10)로 연결하여 결선하며, 가요전선관(20)을 사용하여 상기 커넥터(10)로 연결된 전선과 천장에 설치된 조명기구와 같은 전기기구를 전기적으로 연결함으로써 전기기구에 전력을 공급한 다.
그러나, 종래의 커넥터를 이용한 결선방식은 결선이 잘못 되었을 경우에 결선된 전선을 모두 해체한 후 전선의 피복을 벗겨 결선을 다시 하여야 하므로 작업과정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커넥터로부터 전선을 분리하기가 어려워 경우에 따라서는 전선을 잘라버리고 새로운 커넥터를 사용하여 결선을 하여야 하므로 작업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각각의 회로별 전선은 각각 별개의 커넥터를 사용하여 결선하여야 하므로 작업현장마다 여러 종류의 커넥터를 지참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각각의 회로별 전선을 하나의 커넥터유닛으로 연결함으로써 작업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회로전선 커넥터유닛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커넥터유닛으로부터 전선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회전버튼을 구비함으로써 결선이 잘못 되어 있다 하더라도 재결선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다회로전선 커넥터유닛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다회로전선 커넥터유닛은 복수개의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격벽에 의하여 내부공간이 구획되고, 각각의 수용공간 상면 양측에 전선이 삽입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전선삽입홀이 소정간격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각각의 수용공간 하측이 개방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수용공간에 각각 설치되어 양단이 상기 전선의 일측에 밀착됨과 아울러 전선을 가압하는 판형스프링과; 중앙의 연결단자와, 상기 연결단자의 양단에서 각각 수직하게 상향 절곡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과 상기 격벽에 각각 밀착되고 상기 판형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하여 밀려난 각각의 전선 타측에 밀착되는 상부단자와, 상기 상부단자의 일측에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된 하부단자로 이루어진 통전부와;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하단에 체결되고 상기 통전부의 하부단자가 관통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하 부단자 삽입홀이 중앙측에 형성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저면에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하부단자 삽입홀에 연통되어 상기 통전부의 하부단자가 끼움되는 리셉터클과, 상기 리셉터클의 외측면을 둘러싸고 상기 본체부의 저면에서 돌출 형성된 테두리벽으로 이루어진 덮개;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다회로전선 커넥터유닛은 건물의 슬라브에 설치된 매입박스에 체결되는 박스커버와, 건물의 천장에 설치되는 전기기구와 상기 덮개의 리셉터클을 연결하여 전기기구에 전력을 전송하는 전력연결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에는 버튼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버튼삽입홀을 통하여 하우징에 끼움됨과 아울러 버튼삽입홀에 삽입된 채 일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시키면 판형스프링이 전선에 가하고 있던 압박을 해제시키는 회전버튼이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다회로전선 커넥터유닛은 하우징에 복수개의 격리된 수용공간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그 수용공간에 각각의 회로별 전선을 삽입하면 되므로 하나의 커넥터유닛으로 다회로 전선을 결선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일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시 판형스프링으로 하여금 전선의 압박을 해제하도록 하는 회전버튼이 마련되어, 결선을 잘못하였을 경우 하우징으로부터 전선의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결선이 잘못 되었다 하더라도 전선피복을 새로 벗기거나 전선을 잘라낼 필요 없이 다른 전선삽입홀에 전선을 삽입하면 되므로 자재비가 절감되고 작업 편의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건축물의 슬라브의 매입박스에 설치되는 박스커버와 건물의 천장에 설치되는 전기기구와 연결하기 위한 전력연결수단을 더 추가하여 하나의 유닛으로 제조하면 현장에서 바로 시공할 수 있으므로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다회로전선 커넥터유닛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다회로전선 커넥터유닛을 일방향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전력연결수단을 덮개의 리셉터클에 연결하는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하우징과 덮개가 박스커버에 설치되는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다회로전선 커넥터유닛을 타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다회로전선 커넥터유닛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하우징의 내부설치모습을 보인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회전버튼을 일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시켰을 때의 하우징 내부모습을 보인 단면도이다.
또한,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전력연결수단의 모습을 보인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덮개의 리셉터클과 전력연결수단이 결합된 모습을 보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다회로전선 커넥터유닛은 건축물의 슬라브(S)에 구비된 매입박스(B)에 수납되고 하측이 개방된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 수납되는 복수개의 판형스프링(200)과, 상기 판형스프링(200)의 하측부와 양측부를 감싸는 형태로 하우징(100) 내부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통전부(300)와, 상기 하우징(100)의 개방된 하단에 체결되는 덮개(400)와, 상기 덮개(400)가 안착되고 상기 매입박스(B)에 체결되는 박스커버(500)와, 건물의 천장(C)에 설치되는 전기기구와 상기 덮개(400)를 연결하는 전력연결수단(6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00)은 종횡방향으로 교차되는 '+'자 형태의 격벽(110)에 의하여 그 내부공간이 구획됨으로써 복수개의 수용공간(120)이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되는 수용공간(120)에는 전선(W)이 각각 삽입될 수 있도록 상면 양측에 복수개의 전선삽입홀(130)이 소정간격으로 형성된다.
상기 격벽(110)은 그 하단에 끼움홈(111)이 형성된다. 이 끼움홈(111)은 후술할 덮개(400)의 방수돌기(413)와 맞물리면서 각각의 수용공간(120)을 서로 독립적으로 밀폐시킴으로써 방수성능을 극대화시키고자 마련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0)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수용공간(120) 내부 중앙에는 중앙벽(140)이 형성된다.
상기 중앙벽(140)은 일단이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면에 접하고 타단이 상기 격벽(110)에 접촉되는 수평부(141)와, 상기 수평부(141)의 양단과 중앙에서 상 측방향을 향하여 일체로 연장 형성된 직립부(142)로 구성된다.
상기 중앙벽(140)의 직립부(142) 중에서 수평부(141)의 양단에 형성된 직립부는 그 상단이 상기 하우징(100)의 상면에 접한다. 그리고, 상기 중앙벽(140)의 직립부(142) 중에서 수평부(141)의 중앙에 형성된 직립부는 수평부(141)의 양단에 형성된 직립부보다 그 길이가 짧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100)의 수용공간(120) 상면 중앙에는 타원형의 버튼삽입홀(150)이 형성된다. 이 버튼삽입홀(150)은 후술할 회전버튼(700)이 삽입되는 곳이다.
한편, 상기 하우징(100)의 외측면에는 복수개의 걸림턱(160)이 형성된다. 이 걸림턱(160)은 상기 덮개(400)와의 체결력을 강화시켜 외력에 의하여 하우징(100)과 덮개(40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형성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전선삽입홀(130)에 특정색상을 채색하고 그 색상과 동일한 피복색상을 갖는 전선(W)을 삽입하면 결선과정이 수월하게 되므로, 숙련자가 아니라 하더라도 많은 회로의 전선(W) 결선을 착오없이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판형스프링(200)은 상기 하우징(100)의 수용공간(120)에 각각 설치되어 양단이 상기 하우징(100)의 전선삽입홀(130)을 통하여 삽입된 전선(W)의 일측에 일착됨과 아울러 전선(W)을 가압한다. 즉, 상기 판형스프링(200)은 그 자체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판형스프링(200)을 중심으로 양측에 배치된 전선이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면과 상기 격벽(110)을 향하여 각각 밀려나도록 가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판형스프링(200)은 그 재질이 스테인레스로 이루어지는 탄성판을 복수회 절곡시킴으로써 중앙의 골부를 기준으로 양쪽으로 산부(210)와 골부(220)가 연속적으로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시켜 그 전체적인 형태가'M'자와 유사한 형태를 갖는다. 여기서, 상기 판형스프링(200)의 중앙에 형성된 골부는 그 내측면이 상기 중앙벽(140)의 수평부(141)에 안착되어 외력이 작용하여도 판형스프링(200)이 수평방향으로 요동되는 것을 최소화시킨다. 한편, 상기 판형스프링(200)은 그 양단을 일정폭으로 수직 절개하여 상기 전선삽입홀(130)에 복수개의 전선(W)이 삽입되었을 때 그 각각의 전선(W)에 일정한 압력을 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통전부(300)는 그 재질이 구리로 이루어진 패널을 복수회 절곡하여 형성한 것으로, 상기 하우징(100)에 형성된 복수개의 수용공간(120)에 각각 하나씩 삽입된다.
이러한 통전부(300)는 중앙에 위치하는 연결단자(310)와, 상기 연결단자(310)의 양단에 형성된 상부단자(320)와, 상기 상부단자(320)의 일측에 형성된 하부단자(330)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단자(320)는 상기 연결단자(310)의 양단에서 각각 수직하게 상향 절곡됨으로써, 연결단자(310)의 일단에서 수직 연장된 상부단자는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면에 밀착되고, 연결단자(310)의 타단에서 수직 연장된 상부단자는 상기 격벽(110)에 밀착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단자(320)는 상기 전선삽입홀(130)을 통하여 하우징(100)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판형스프링(200)의 탄성력에 의하여 밀려난 전선(W)의 타측에 밀착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단자(320)도 상기 판형스프링(200)과 마찬가지로 일정폭으로 수직 절개되어, 상기 전선삽입홀(130)에 복수개의 전선(W)이 삽입되었을 때 상기 판형스프링(200)의 탄성력에 의하여 밀려난 각각의 전선(W)에 상부단자(320)의 절개된 부분 각각이 밀착된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100)의 전선삽입홀(130)을 통하여 삽입된 전선(W)은 판형스프링(200)에 의해 작용되는 압력에 의하여 상기 판형스프링(200)과 통전부(300)의 상부단자(320) 사이에서 이탈되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된다.
상기 하부단자(330)는 상기 상부단자(320)의 일측에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하부단자(330)는 일정폭으로 수직 절개된 상부단자(320) 중에서 '+' 형태로 교차되는 격벽(110)의 교차지점에 가장 인접한 상부단자의 하단에서 하측으로 수직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하부단자(330)는 후술할 덮개(400)의 하부단자 삽입홀(412)에 끼움된다.
상기 덮개(400)는 사각형 형태의 본체부(410)와, 상기 본체부(410)의 저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리셉터클(420)과, 상기 본체부(410)의 저면에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리셉터클(420)을 둘러싸는 테두리벽(430)으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부(410)는 상기 하우징(100)의 개방된 하단과 동일한 면적으로 이루어져 하우징(100)의 개방된 하단에 체결됨으로써 하우징(100)을 밀폐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본체부(410)는 상기 하우징(100)의 걸림턱(160)에 대응되는 위치에 걸림돌기(411)가 형성되어, 억지끼움방식으로 걸림돌기(411)를 걸림턱(160) 에 끼움으로써 하우징(100)과 덮개(400)가 견고하게 체결된다.
이러한 덮개(400)의 본체부(410)는 상기 통전부(300)의 하부단자(330)가 관통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하부단자 삽입홀(412)이 중앙측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410)의 상면에는 상기 하우징(100) 격벽(110)의 하단에 형성된 끼움홈(111)에 맞물려 끼워지는 방수돌기(413)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덮개(400)의 본체부(410)에는 상기 하우징(100)에 형성된 수용공간(120)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의 검전홀(414)이 형성된다. 이 검전홀(414)은 본 발명에 의한 다회로전선 커넥터유닛을 모두 설치한 이후에 정상적으로 전류가 흐르는지를 판별하기 위한 회로시험을 하기 위하여 형성한 것이고, 이와 더불어 하우징(100) 내부에 다량의 물이 침투하였을 때 침투한 물을 배출하기 위한 용도로 형성한 것이기도 하다.
상기 리셉터클(420)은 상기 본체부(410)의 하부단자 삽입홀(412)에 연통되어 상기 통전부(300)의 하부단자(330)가 끼움된다. 이 리셉터클(420)은 상기 통전부(300)의 하부단자(330) 하나하나가 각각 다른 공간에 격리되어 끼움될 수 있도록 그 내부공간이 구획된다.
상기 테두리벽(430)은 상기 리셉터클(420)을 보호할 수 있도록 리셉터클(420)의 외측면을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에서 둘러싸는 원기둥 형태의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테두리벽(430)에는 서로 대향되는 위치의 원주면에 걸림홀(431)을 형성시켜 후술할 플러그(620)와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박스커버(500)는 건물의 슬라브(S)에 설치된 매입박스(B)에 볼트 등을 이용하여 체결되는 플레이트(510)와, 상기 플레이트(510)의 중앙에서 하향 돌출되어 형성된 안착부(520)로 구성된다.
상기 플레이트(510)는 상기 덮개(400)의 본체부(410)와 동일한 형태와 면적으로 중앙이 관통된다.
상기 안착부(520)는 그 내부에 상기 덮개(400)의 본체부(410)가 안착되고, 중앙에 일정면적의 관통홀(521)이 형성되어, 그 관통홀(521)을 통하여 상기 덮개(400)의 리셉터클(420)과 테두리벽(430)이 하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전력연결수단(600)은 건물의 천장(C)에 설치되는 전기기구(예:조명기구, 스피커, 화재감지기 등)와 상기 덮개(400)의 리셉터클(420)을 연결하여 전기기구에 전력을 전송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이러한 전력연결수단(600)은 다수의 전선이 내장된 가요전선관(610)과, 상기 가요전선관(610)의 양단에 각각 연결된 플러그(620)로 구성된다.
상기 가요전선관(610)은 플렉시블(Flexible)하게 관을 구성하여 관의 방향을 자유자재로 변경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상기 플러그(620)는 상기 덮개(400)의 리셉터클(420)과 연결되어 하우징(100)의 전선삽입홀(130)에 삽입된 전선으로부터 전송된 전원을 건물 천장의 각종 전기기구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플러그(620)는 접속몸체(621)와, 상기 접속몸체(621)의 일측에 형성 된 삽입몸체(622)와, 상기 접속몸체(621)의 타측에 형성된 분리벽(623)으로 구성된다.
상기 접속몸체(621)는 압착단자(621a-1)가 끝단에 부착된 전기기구 연결용전선(621a)이 내부에 설치되고, 단자진입홀(621b)이 끝단에 형성된다.
상기 단자진입홀(621b)은 상기 접속몸체(621)가 상기 덮개(400)의 리셉터클(420)에 삽입되었을 때 통전부(300)의 하부단자(330)가 진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만든 것으로서, 단자진입홀(621b)을 통하여 접속몸체(621)의 내부로 진입한 통전부(300)의 하부단자(330)는 상기 압착단자(621a-1)와 접속된다.
상기 삽입몸체(622)는 상기 접속몸체(621)의 외측면을 둘러싸고, 상기 덮개(400)의 테두리벽(430)과 리셉터클(420) 사이의 공간에 삽입된다.
이러한 삽입몸체(622)는 지지벽(622a)과, 상기 지지벽(622a)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게 형성된 실린더(622b)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벽(622a)은 상기 접속몸체(621)의 외측면을 소정거리 이격되게 둘러싼다.
상기 실린더(622b)는 외측면이 상기 덮개(400)의 테두리벽(430) 내측면에 접촉되고, 그 외주면에 고정돌기(622b-1)가 대향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고정돌기(622b-1)는 상기 실린더(622b)가 덮개(400)의 테두리벽(430)에 삽입되었을 때 테두리벽(430)의 걸림홀(431)에 끼움되어 플러그(620)와 덮개(400)가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분리벽(623)은 상기 삽입몸체(622)의 내측으로 소정거리 이격되게 형성 되어 상기 삽입몸체(622)와의 사이에 가요전선관(610)의 끝단을 삽입시킨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분리벽(623)은 상기 접속몸체(621)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삽입몸체(622)의 실린더(622b)의 내측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게 형성되어, 상기 실린더(622b)와의 사이에 일정한 공간을 형성시키고, 그 공간에 상기 가요전선관(610)의 끝단이 삽입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하우징(100)의 버튼삽입홀(150)에는 회전버튼(700)이 설치되는데, 상기 회전버튼(700)은 전선간의 결합이 잘못 되었거나 전선간의 결합을 변경하고자 할 때 하우징(100)의 전선삽입홀(130)을 통하여 삽입된 전선(W)을 쉽게 분리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회전버튼(700)은 헤드부(710)와, 상기 헤드부(710)의 끝단에서 하측을 향하여 수직하게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된 수직부(720)와, 상기 수직부(720)의 끝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100)의 버튼삽입홀(150)을 통하여 수용공간(120) 내부에 수납되는 압박부(730)로 구성된다.
상기 헤드부(710)는 얇은 원기둥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면 중앙에 드라이버 등을 끼울 수 있는 요홈(711)이 형성된다.
상기 수직부(720)는 상기 하우징(100)의 버튼삽입홀(150)을 관통하는데, 그 길이는 상기 하우징(100) 상면의 두께와 동일하게 형성시킨다.
상기 압박부(730)는 그 단면이 타원형을 갖도록 형성되는데,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하우징(100)의 버튼삽입홀(150)과 동일한 형태와 면적을 갖는다. 이 로써, 상기 회전버튼(700)을 하우징(100)의 버튼삽입홀(150)로 삽입시켜 일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시키면 상기 버튼삽입홀(150)에 압박부(730)가 걸림되어 외력이 작용하여도 회전버튼(700)이 하우징(100)의 버튼삽입홀(150)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하우징(100)의 버튼삽입홀(150)을 통하여 회전버튼(700)을 수용공간(120)에 삽입시켰을 때 상기 압박부(730)는 상기 판형스프링(200)의 골부(220) 중에서 중앙에 형성된 골부에 끼움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압박부(730)는 타원형으로 그 형태가 이루어지므로 당연히 장축(長軸, 또는 장지름)과 단축(短軸, 또는 단지름)을 갖게 되는데, 상기 하우징(100)의 버튼삽입홀(150)을 통하여 회전버튼(700)을 수용공간(120)에 삽입시키면 상기 압박부(730)의 단축(短軸) 양단이 상기 판형스프링(200)의 골부(220) 중에서 중앙에 형성된 골부에 접촉된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100)에 설치된 회전버튼(700)을 일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시키면 압박부(730)가 회전하면서 압박부(730)의 장축(長軸) 부분이 판형스프링(200)의 중앙에 형성된 골부에 접촉되고, 연이어 판형스프링(200)의 중앙에 형성된 골부를 넓히게 된다. 이렇게 판형스프링(200)의 중앙에 형성된 골부가 넓어지면 전선(W)을 밀착/가압하고 있던 판형스프링(200)의 양단이 판형스프링(200)의 중앙에 형성된 골부쪽으로 당겨지게 됨으로써 판형스프링(200)이 전선(W)에 가하고 있던 압력이 약화된다. 따라서, 전선(W)의 결선을 잘못하였을 경우에 상기 회전버튼(700)을 일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시키면 전선(W)을 하우징(100)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압박부(730)는 그 끝단에 거치홈(731)이 형성되는데, 이 거치홈(731)은 상기 회전버튼(700)이 하우징(100)의 수용공간(120)에 설치되었을 때 하우징(100)의 중앙벽(140) 직립부(142) 중에서 가운데에 형성된 직립부의 끝단이 끼움되는 부분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전선커넥터의 설치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다회로전선 커넥터유닛을 일방향에서 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전력연결수단을 덮개의 리셉터클에 연결하는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하우징과 덮개가 박스커버에 설치되는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다회로전선 커넥터유닛을 타방향에서 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다회로전선 커넥터유닛의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하우징의 내부설치모습을 보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회전버튼을 일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시켰을 때의 하우징 내부모습을 보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전력연결수단의 모습을 보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덮개의 리셉터클과 전력연결수단이 결합된 모습을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0: 하우징 110: 격벽
111: 끼움홈 120: 수용공간
130: 전선삽입홀 140: 중앙벽
141: 수평부 142: 직립부
150: 버튼삽입홀 160: 걸림턱
200: 판형스프링 210: 산부
220: 골부 300: 통전부
310: 연결단자 320: 상부단자
330: 하부단자 400: 덮개
410: 본체부 411: 걸림돌기
412: 하부단자 삽입홀 413: 방수돌기
414: 검전홀 420: 리셉터클
430: 테두리벽 431: 걸림홀
500: 박스커버 510: 플레이트
520: 안착부 521: 관통홀
600: 전력연결수단 610: 가요전선관
620: 플러그 621: 접속몸체
621a: 전기기구 연결용전선 621a-1: 압착단자
621b: 단자진입홀 622: 삽입몸체
622a: 지지벽 622b: 실린더
622b-1: 고정돌기 623: 분리벽
B: 매입박스 C: 천장
S: 슬라브 W: 전선

Claims (10)

  1. 복수개의 수용공간(120)이 형성될 수 있도록 격벽(110)에 의하여 내부공간이 구획되고, 각각의 수용공간(120) 상면 양측에 전선(W)이 삽입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전선삽입홀(130)이 소정간격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각각의 수용공간(120) 하측이 개방된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의 수용공간(120)에 각각 설치되어 양단이 상기 전선(W)의 일측에 밀착됨과 아울러 전선(W)을 가압하는 판형스프링(200)과;
    중앙의 연결단자(310)와, 상기 연결단자(310)의 양단에서 각각 수직하게 상향 절곡되어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면과 상기 격벽(110)에 각각 밀착되고 상기 판형스프링(200)의 탄성력에 의하여 밀려난 각각의 전선(W) 타측에 밀착되는 상부단자(320)와, 상기 상부단자(320)의 일측에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된 하부단자(330)로 이루어진 통전부(300)와;
    상기 하우징(100)의 개방된 하단에 체결되고 상기 통전부(300)의 하부단자(330)가 관통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하부단자 삽입홀(412)이 중앙측에 형성된 본체부(410)와, 상기 본체부(410)의 저면에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하부단자 삽입홀(412)에 연통되어 상기 통전부(300)의 하부단자(330)가 끼움되는 리셉터클(420)과, 상기 리셉터클(420)의 외측면을 둘러싸고 상기 본체부(410)의 저면에서 돌출 형성된 테두리벽(430)으로 이루어진 덮개(400);로 구성되되,
    상기 하우징(100)의 격벽(110) 하단에는 끼움홈(111)이 형성되고, 상기 덮개(400)의 본체부(410) 상면에는 상기 끼움홈(111)에 끼워지는 방수돌기(413)가 형성되어, 상기 복수개의 수용공간(120)이 각각 밀폐/방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회로전선 커넥터유닛.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회로전선 커넥터유닛은 박스커버(5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박스커버(500)는 건물의 슬라브에 설치된 매입박스에 체결되는 플레이트(510)와;
    상기 플레이트(510)의 중앙에서 하향 돌출되어 그 내부에 상기 덮개(400)의 본체부(410)가 안착되고, 상기 덮개(400)의 테두리벽(430)이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그 중앙에 관통홀(521)이 형성된 안착부(52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다회로전선 커넥터유닛.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다회로전선 커넥터유닛은 건물의 천장에 설치되는 전기기구와 상기 덮개(400)의 리셉터클(420)을 연결하여 전기기구에 전력을 전송하는 전력연결수단(6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전력연결수단(600)은 전선이 다수 내장된 가요전선관(610)과;
    상기 가요전선관(610)의 양단에 각각 연결된 플러그(62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회로전선 커넥터유닛.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620)는 압착단자(621a-1)가 끝단에 부착된 전기기구 연결용전선(621a)이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덮개(400)의 리셉터클(420)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통전부(300)의 하부단자(330)가 내부로 진입하여 상기 압착단자(621a-1)와 접속될 수 있도록 단자진입홀(621b)이 형성된 접속몸체(621)와;
    상기 접속몸체(621)의 일측에 형성되어 접속몸체(621)의 외측면을 둘러싸고, 상기 덮개(400)의 테두리벽(430)과 리셉터클(420)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는 삽입몸체(622)와;
    상기 삽입몸체(622)의 내측으로 소정거리 이격되게 상기 접속몸체(621)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삽입몸체(622)와의 사이에 가요전선관(610)의 끝단을 삽입시키는 분리벽(623);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회로전선 커넥터유닛.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삽입몸체(622)는 상기 접속몸체(621)의 외측면을 소정거리 이격되게 둘러싸는 지지벽(622a)과, 상기 지지벽(622a)의 외측면을 소정거리 이격되게 둘러싸고 외주면에 걸림돌기(411)가 대향되도록 형성된 실린더(622b)로 구성되고,
    상기 덮개(400)의 테두리벽(430)에는 상기 삽입몸체(622) 실린더(622b)의 고정돌기(622b-1)가 걸림되어 고정되는 걸림홀(43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 회로전선 커넥터유닛.
  6. 삭제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덮개(400)의 본체부(410)에는 복수개의 검전홀(41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회로전선 커넥터유닛.
  8.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판형스프링(200)은 복수회 절곡되어 중앙의 골부를 기준으로 양쪽으로 산부(210)와 골부(220)가 대칭으로 연속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100)의 수용공간(120) 내부에는 중앙벽(140)이 형성되어, 상기 판형스프링(200)의 중앙에 위치한 골부가 중앙벽(140)에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회로전선 커넥터유닛.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0)의 수용공간(120) 상면 중앙에는 타원형의 버튼삽입홀(150)이 형성되고, 상기 버튼삽입홀(150)에는 회전버튼(700)이 설치되되,
    상기 회전버튼(700)은 헤드부(710)와;
    상기 헤드부(710)의 끝단에서 하측을 향하여 수직하게 일체로 연장되어 상기 버튼삽입홀(150)을 관통하는 원기둥 형상의 수직부(720)와;
    상기 수직부(720)의 끝단에 타원형의 단면을 갖도록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버튼삽입홀(150)을 통하여 수용공간(120) 내부에 수납됨과 아울러 상기 판형스프링(200)의 중앙에 형성된 골부(220)에 끼움되어, 일방향 회전시 상기 판형스프링(200)의 중앙에 형성된 골부를 넓힘과 동시에 상기 버튼삽입홀(150)에 걸림되는 압박부(7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회로전선 커넥터유닛.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0)의 외측면에는 복수개의 걸림턱(160)이 형성되고, 상기 덮개(400)의 본체부(410)에는 상기 걸림턱(160)에 체결되는 걸림돌기(411)가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100)과 덮개(400)가 서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회로전선 커넥터유닛.
KR1020090046863A 2009-05-28 2009-05-28 다회로전선 커넥터유닛 KR1009395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6863A KR100939502B1 (ko) 2009-05-28 2009-05-28 다회로전선 커넥터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6863A KR100939502B1 (ko) 2009-05-28 2009-05-28 다회로전선 커넥터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9502B1 true KR100939502B1 (ko) 2010-01-29

Family

ID=41810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6863A KR100939502B1 (ko) 2009-05-28 2009-05-28 다회로전선 커넥터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950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4874B1 (ko) 2013-03-13 2013-10-04 명성효다계기 주식회사 쇼트방지용 막대식 온도센서
KR102156415B1 (ko) 2019-07-01 2020-09-15 유선아 다채널 전선 연결용 커넥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4874B1 (ko) 2013-03-13 2013-10-04 명성효다계기 주식회사 쇼트방지용 막대식 온도센서
KR102156415B1 (ko) 2019-07-01 2020-09-15 유선아 다채널 전선 연결용 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86766B1 (en) Electrical outlet box with secure quick connect and release features
CN101218400B (zh) 吊顶系统
EP2652839B1 (en) Plug outlet
US7537496B2 (en) Electrical terminal block
US7654841B2 (en) Pre-terminated outlet assembly for raceway systems
US20060240701A1 (en) Plug connector device for multicore flat cables
FI120925B (fi) Pistorasia
WO2008147876A2 (en) Raceway idc connector
CN105811124A (zh) 用于形成导线组件的系统和方法
US7804026B2 (en) Enclosure for wiring devices
US20090017660A1 (en) Water Resistant Push-In Connector
JPH0324032B2 (ko)
KR100939502B1 (ko) 다회로전선 커넥터유닛
US7888597B2 (en) Fixture box enclosure
GB2394603A (en) Electrical connector fitting for a socket box
CN210006648U (zh) 电开关底座及具有其的按动开关
US5595491A (en) 240 volt receptacle module for modular electrical system
FI115933B (fi) Rakennusten sähköasennuksissa käytettävä sähköasennuskaluste
JP3924187B2 (ja) コネクタ
KR200259338Y1 (ko) 단자대 지지홀더
KR200387831Y1 (ko) 콘센트
KR200404097Y1 (ko) 전구소켓용 절연패드
US20060054339A1 (en) Image processing device and image processing method
CA2532289C (en) Insulated water-tight connector assembly including a set screw driver and plug
JP4663671B2 (ja) 分電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