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25781A - 전선케이블 접속장치 - Google Patents

전선케이블 접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5781A
KR20030025781A KR1020020019930A KR20020019930A KR20030025781A KR 20030025781 A KR20030025781 A KR 20030025781A KR 1020020019930 A KR1020020019930 A KR 1020020019930A KR 20020019930 A KR20020019930 A KR 20020019930A KR 20030025781 A KR20030025781 A KR 200300257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ptacle
plug
connection
case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9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충수
Original Assignee
(주)신일전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일전기 filed Critical (주)신일전기
Priority to KR10200200199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25781A/ko
Publication of KR200300257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5781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1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assembled by screw or screw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05Two-part coupling devices held in engagement by a magn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01R24/62Sliding engagements with one side only, e.g. modular jack coupling devic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선케이블 접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케이블의 양단에 플러그와 리셉터클을 구비하여 인접된 케이블의 리셉터클 및 플러그에 접속하도록 한 전선케이블 접속장치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는 케이블과 연결된 접속단자를 구비한 다수개의 접속부재와, 이 접속부재의 외곽을 감싸는 플러그케이스와, 이 플러그케이스의 상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로 구성되고; 상기 리셉터클은 플러그의 접속부재들이 삽입 접속될 수 있도록 하는 접속구와, 이 접속구의 외곽에 결합되어 접속구를 수납 보호하는 리셉터클케이스와, 이 리셉터클케이스의 상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와, 전선이 하방으로 출수되도록 상기 리셉터클케이스의 저면에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전선배출구로 구성되며; 상기 리셉터클의 접속홈 내측에 배열된 각각의 접속단자들이 접속부재 내측에 삽입 유도되도록 그 내면에는 접속단자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선케이블 접속장치{Connection tool of cable}
본 발명은 전선케이블 접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각종 케이블의 양단에 플러그와 리셉터클을 선택적으로 부착하여 모듈화시킴으로써 현장에서 신속하고 용이하게 케이블의 배선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모든 전원공급은 각층의 콘크리트 천정에 매입된 전선관과 출구박스 사이에 연결되고, 콘크리트 천정 내에 매설된 금속파이프 또는 PVC파이프(이하, 케이블로 통칭함)를 통하여 시작된다. 즉, 각층의 분전반으로부터 케이블을 시공한 후 콘크리트 내에 매설하여 해당 기기들의 위치에 출구박스를 설치한 후, 플렉시블관을 등기구나 콘센트에 연장하여 접속함으로써 건물 내부의 전등 및전열기기를 위한 배선작업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배선작업은 시공시 각 등기구와 콘센트로 연결되는 전선관이 시멘트층에 매설되거나, 노출된 상태로 고정되므로 건물의 용도변경 및 구조변경에 따라 배선작업을 다시 할 필요가 있을 경우 기존의 배선을 재배설 또는 추가 배설해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롭고 어려울 뿐더러, 작업시간이 오래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각종 케이블에 플러그와 리셉터클을 선택적으로 부착하여 모듈화시킴으로써 건물 배선작업 등을 다시 할 필요없이 리셉터클로부터 인출된 전선을 전기공급대상 등과 서로 접속하여 신속하고 용이하게 배선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전선케이블 접속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케이블의 양단에 플러그와 리셉터클을 구비하여 인접된 케이블의 리셉터클 및 플러그에 접속하도록 한 전선케이블 접속장치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는 케이블과 연결된 접속단자를 구비한 다수개의 접속부재와, 이 접속부재의 외곽을 감싸는 플러그케이스와, 이 플러그케이스의 상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로 구성되고; 상기 리셉터클은 플러그의 접속부재들이 삽입 접속될 수 있도록 접속구와, 이 접속구의 외곽에 결합되어 접속구를 수납 보호하는 리셉터클케이스와, 이 리셉터클케이스의 상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와, 전선이 하방으로 출수되도록 상기 리셉터클케이스의 저면에 형성되며외주면에는 등기구와 결합 가능하도록 나사산이 형성된 전선배출구로 구성되며; 상기 리셉터클의 삽입홈 내측에 배열된 각각의 접속단자들이 접속부재 내측에 삽입 유도되도록 그 내면에는 접속단자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접속부재 및 접속구의 일측에는 접속단자에 연결되는 전선의 외경에 대응되도록 반원홈이 형성된 안착부재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플러그와 리셉터클의 상호 결합시 플러그와 리셉터클의 연결선이 접지될 수 있도록 플러그케이스의 장착턱 둘레면 및 리셉터클케이스의 전방 둘레면에 접지선을 배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리셉터클 저면부에는 나사산으로 형성된 전선배출구와 등기구간의 결합시 결합강도를 증대시키도록 등기구 상면에 접착되는 자석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전선케이블 접속장치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A"부를 상세히 보인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전선케이블 접속장치의 리셉터클의 저면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플러그의 접속부재와 리셉터클의 접속구의 결합관계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전선케이블 접속장치의 결합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전선케이블 접속장치가 등기구에 적용되는 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플러그11 ; 플러그케이스
12 ; 덮개13 ; 접속부재
13a ; 가이드부13b ; 안내돌조
13c ; 접속단자13d ; 걸림턱
14 ; 장착턱15 ; 고정후크
16 ; 접지선20 ; 리셉터클
21 ; 리셉터클케이스22 ; 덮개
23 ; 접속구23a ; 접속홈
23b ; 안내홈23d ; 걸림턱
24 ; 장착홈25 ; 고정부
26 ; 접지선27 ; 해제버튼
28 ; 전선배출구28a ; 나사산
29 ; 자석30 ; 안착부재
31 ; 걸고리32 ; 반원홈
40 ; 등기구41 ; 결속부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전선케이블 접속장치를 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전선케이블 접속장치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블(C)의 일단에 고정되는 플러그(10)와, 케이블(C)의 타단에 고정되며 인접케이블의 플러그(10)와 삽입 결합되는 리셉터클(20)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상기 케이블과 인접케이블을 그 양단에 고정된 플러그(10)와 리셉터클(20)로 상호 접속함에 따라 케이블(C)을 연장 배선할 수 있으며, 반면에 플러그(10)와 리셉터클(20)을 탈거하여 케이블(C)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도 있다.
상기 플러그(10)는 접속부위를 보호하는 플러그케이스(11) 내에 입구측이 플러그케이스(11)의 개구부 외측으로 소정량 돌출된 다수개의 접속부재(13)가 수납되고, 상기 각 접속부재(13)의 내부에는 접속단자(13c)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접속단자(13c)들은 플러그케이스(11)의 후방으로 진입된 케이블(C)과 연결된다.
상기 리셉터클(20)은 리셉터클케이스(21) 내부에 플러그(10)의 접속부재(13)들이 삽입 접속될 수 있도록 접속구(23)가 구비되며, 상기 접속구(23)에는 접속부재(13)가 내삽될 수 있도록 접속홈(23a)이 형성된다. 즉, 상기 리셉터클케이스(21)는 케이블(C)의 전선들과 연결된 접속단자(도시 생략)들이 내부에 위치한 접속구(23)를 수납 보호하여 사용상 안전성을 배가하게 된다.
이때, 상기 플러그케이스(21)의 전방에는 접속부재(13)를 에워싸도록 대략 사각형을 이루는 장착턱(14)이 돌출되며, 상기 장착턱(14)의 상단 내측과 접속부재(13) 사이에는 상하방향으로 탄성을 갖는 고정후크(15)가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리셉터클케이스(21)의 전방에는 상기 장착턱(14)이 삽입 고정되도록 그 대응되는 위치에 장착홈(24)이 형성되고, 상기 접속구(23)의 상면에는 플러그(10)의 고정후크(15)가 삽입 결합되는 고정부(25)가 형성된다. 따라서, 리셉터클(20)에 플러그(10)를 삽입시 고정후크(15)가 고정부(25)에 안정적으로 고정됨으로써 플러그(10)와 리셉터클(20)의 결합은 견고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리셉터클(20)의 상면에는 고정된 플러그(10)와 리셉터클(20)을 분리하기 위하여 해제버튼(27)이 전후방향으로 소정량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해제버튼(27)은 리셉터클케이스(21)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탄성을 가진 상태로 장착홈(24) 내로 운동하여 고정후크(15)를 하방으로 가압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해제버튼(27)으로 고정후크(15)를 밀면 고정부(25)에서 고정후크(15)가 해제되고, 그 상태에서 플러그(10)의 장착턱(14)을 리셉터클(20)의 장착홈(24)에서 이탈시키면 플러그(10)와 리셉터클(20)은 분리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플러그(10)와 리셉터클(20)의 상면에는 그 내부에 배열된 구성부품들에 대한 유지 보수가 용이하도록 각각 덮개(12)(22)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플러그케이스(11) 및 리셉터클케이스(21)의 양단부 상면에 소정 깊이의 슬라이드홈(21a)을 형성하고, 각 케이스의 상면에 복개되는 덮개(22)의 양단부 저면에는 상기 슬라이드홈(21a)에 삽입 안내되도록 슬라이딩돌조(22a)가 일체로 돌출 형성된다(도 1의 리셉터클케이스에만 도시). 그리고, 덮개가 각 케이스에 복개 완료되었을 때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덮개(또는 케이스)의 일측에 도시하지 않은 고정편을 형성하고 그에 대응되는 각 케이스(또는 덮개)에는 고정편이 삽입 결합될 수 있도록 고정홈을 형성한다. 또는, 각 케이스(11)(21) 및 덮개(12)(22)에 상호 대응되도록 나사공을 형성하고, 그 나사공에 나사를 결합시켜 각 케이스와 덮개를 착탈 가능하게 하는 것도 무방하다.
그리고, 플러그(10)와 리셉터클(20)의 접촉시 접속부재(13)와 접속구(23)에 위치한 접속단자들은 상호 접속되어 전기가 공급되는데, 이때 접속단자들의 정확한 접속을 위하여 접속부재(13)와 접속구(23)의 상단에는 각각 안내돌조(13b)와 안내홈(23b)을 형성하여 플러그(10)와 리셉터클(20)의 오접속을 방지해준다. 또한,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접속부재(13)와 리셉터클(20)의 접속홈(23a)의 결합시 리셉터클(20)의 접속홈(23a) 내측에 배열되어 있는 각각의 접속단자들이 접속부재(13)의 각 내측에 안정적으로 삽입 유도될 수 있도록 각 접속부재(13) 내면에는 접속단자(13c)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가이드부(13a)가 일체로 형성된다. 이 가이드부(13a)는 별도로 제작하여 접속부재(13) 내면에 결합하여도 무방하다.
한편, 도 3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리셉터클(20)의 저면에는 플러그(10)와 리셉터클(20)을 접속하여 전선케이블을 연결하는 동시에, 등기구 등 전기공급대상에 전선을 연결하기 위해서 하방으로 전선이 출수되도록 전선배출구(28)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리셉터클(20)의 전선배출구(28) 외주에는 숫나사산(28a)을 형성하고, 이에 대응되는 전원공급대상, 예컨대 등기구(40) 상면의 전선배출구(28)에 결합되도록 형성된 결속부(41) 내주면에는 암나사산(41a)을 형성하여 전선배출구(28)와 결속부가 안정적으로 나착되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플러그(10) 및 리셉터클(20) 각각에 연결된 케이블로부터 인출된 접지선(16)(26)을 플러그케이스(11)의 장착턱(14)의 둘레면 및 리셉터클케이스(21)의 전방 둘레면에 배열하여 상기 플러그(10)와 리셉터클(20)의 결합시 그 연결선간의 상호 접지를 보다 확실히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리셉터클(20)의 저면에는 배선작업 후 리셉터클(20)과 배선대상물에 대한 상호 고정성을 증가시킴과 아울러 케이블(C)이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등기구 등 배선대상물에 부착할 수 있는 자석(29)이 구비된다. 즉, 상기 자석(29)은 리셉터클케이스(21) 저면에 형성된전선배출구(28)의 양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소정 깊이 함몰된 안착홈에 삽입 고정된다. 이때, 자석(29)은 리셉터클(20) 뿐만 아니라 플러그(10)에 장착 고정하여도 무방하다.
한편, 현재 케이블(C)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플러그(10) 및 리셉터클(20)의 후방으로 유입되어 각각의 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선(W)들은 단면이 원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플러그(10)에 설치된 접속부재(13) 및 리셉터클(20)에 설치된 접속구(23)의 접속홈(23a)은 그 단면이 대략 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각 전선(W)들이 상기 접속부재(13) 및 접속구(23)의 후방에 삽입될 경우, 접속부재(13) 및 접속구(23)와 그 내부에 배열되는 전선(W) 사이에는 소정의 간극이 발생하게 되며, 이에 따라 전선(W)들이 소정의 유동성을 가지게 될 우려가 있는 바, 본 발명에서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속부재(13) 및 접속구(23)의 후방에 별도로 구비된 안착부재(30)를 결합한다. 상기 안착부재(30)의 외측면에는 접속부재(13) 및 접속구(23)의 상하면에 형성되는 걸림턱(13d)(23d)에 고정되도록 걸고리(31)가 일체로 구비되고, 그 내측면에는 접속부재(13) 및 접속구(23)의 후방으로 유입되는 전선(W)들의 외경에 대응되도록 반원홈(32)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안착부재(30)는 접속부재(13) 및 접속구(23)의 후방에 결합된 상태로 유입되는 전선(W)들로 하여금 반원홈(32)에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그 유동을 방지함으로써 전선들의 배열에 안정성을 배가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안착부재(30)는 접속부재(13) 및 접속구(23)와 일체로 사출 성형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전선케이블 접속장치의 배설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분전반으로부터 배선용 배관을 통해 건물에 출구박스를 설치하고, 상기 출구박스로부터 케이블(C)을 접속시켜 등기구(40)까지 연결하며, 등기구로부터 이웃한 다른 등기구까지 연결케이블 등을 접속시켜 각각의 등기구에 차례로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한편, 상기 케이블(C)의 일단에 구비되는 리셉터클(20)의 저면으로 출수된 전선들에 등기구(4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이때 리셉터클(20)의 전선배출구(28) 및 등기구(40)의 결속부(41)가 상호 나착되어 더욱 견고하게 고정된다.
또한, 각 케이블들의 플러그(10)와 리셉터클(20)의 저면에 설치된 자석(29)이 등기구(40)에 부착됨으로써 케이블(C)의 양단을 고정시켜 케이블(C)이 유동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배선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으며, 손쉽게 배선정렬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가장 마지막으로 배선되는 연결케이블의 리셉터클은 개방된 채로 방치하면 먼지나 각종 이물질이 유입되어 누전이나 합선의 원인이 될 수 있으며 단자를 부식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도 있으므로 마감편을 삽착시켜 그 개구부를 폐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이 마감편은 리셉터클에 접속되는 플러그와 동일한 돌출부들이 판상부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각종 케이블의 양단에 플러그와 리셉터클을 결합시킴으로써 배선작업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리셉터클과 플러그 그 자체가 레일식 혹은 나사결합식 체결구조에 의해 상하부가 분리 가능하므로 리셉터클 및 플러그 내부에 이상이 있을 경우 신속하게 분리하여 수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리셉터클과 플러그에 연결된 라인을 통해 전기가 누전되는 것을 접지선에 의해 방지해 줌으로써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리셉터클의 저면에 나사산 및 자석을 형성하여 등기구에 형성된 나사산에 결합시 이들 나사산에 의해서는 물론, 자석이 등기구 상면에 양호하게 접착되므로 안정적인 결합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3)

  1. 케이블(C)의 양단에 플러그(10)와 리셉터클(20)을 구비하여 인접된 케이블의 리셉터클 및 플러그에 접속하도록 한 전선케이블 접속장치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10)는 케이블(C)과 연결된 접속단자(13c)를 구비한 다수개의 접속부재(13)와, 이 접속부재(13)의 외곽을 감싸는 플러그케이스(11)와, 이 플러그케이스(11)의 상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12)로 구성되고,
    상기 리셉터클(20)은 플러그(10)의 접속부재(13)들이 삽입 접속될 수 있도록 하는 접속구(23)와, 이 접속구(23)의 외곽에 결합되어 접속구(23)를 수납 보호하는 리셉터클케이스(21)와, 이 리셉터클케이스(21)의 상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22)와, 전선이 하방으로 출수되도록 상기 리셉터클케이스(21)의 저면에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나사산(28a)이 형성된 전선배출구(28)로 구성되며,
    상기 리셉터클(20)의 접속구(23) 내측에 배열된 각각의 접속단자들이 각 접속부재(13)의 내측에 삽입 유도되도록 각 접속부재(13)의 내면에는 접속단자(13c)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가이드부(13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케이블 접속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재(13) 및 접속구(23)의 일측에는 접속단자에 연결되는 전선(W)의 외경에 대응되도록 반원홈(32)이 형성된 안착부재(30)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케이블 접속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10)와 리셉터클(20)의 상호 결합시 접지될 수 있도록 플러그케이스(11)의 장착턱(14) 둘레면 및 리셉터클케이스(21)의 전방 둘레면에 접지선(16)(26)을 인출 배열하고, 리셉터클(20)의 저면에는 자석(29)을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케이블 접속장치.
KR1020020019930A 2002-04-12 2002-04-12 전선케이블 접속장치 KR200300257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9930A KR20030025781A (ko) 2002-04-12 2002-04-12 전선케이블 접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9930A KR20030025781A (ko) 2002-04-12 2002-04-12 전선케이블 접속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9297U Division KR200257079Y1 (ko) 2001-09-22 2001-09-22 전선케이블 접속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5781A true KR20030025781A (ko) 2003-03-29

Family

ID=27725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9930A KR20030025781A (ko) 2002-04-12 2002-04-12 전선케이블 접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2578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0456B1 (ko) * 2006-05-02 2007-11-28 가온전선 주식회사 전기 배선용 커넥터
CN102163863A (zh) * 2010-02-23 2011-08-24 松下电工株式会社 供电控制装置
KR101129458B1 (ko) * 2011-10-14 2012-03-23 주식회사 서광정밀 터미널 하우징 익스텐더의 멀티 플로어용 박스
KR20190000808A (ko) * 2017-06-23 2019-01-03 몰렉스 엘엘씨 전력 커넥터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0456B1 (ko) * 2006-05-02 2007-11-28 가온전선 주식회사 전기 배선용 커넥터
CN102163863A (zh) * 2010-02-23 2011-08-24 松下电工株式会社 供电控制装置
JP2011176920A (ja) * 2010-02-23 2011-09-08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給電制御装置
KR101281903B1 (ko) * 2010-02-23 2013-07-03 파나소닉 주식회사 급전 제어 장치
KR101129458B1 (ko) * 2011-10-14 2012-03-23 주식회사 서광정밀 터미널 하우징 익스텐더의 멀티 플로어용 박스
KR20190000808A (ko) * 2017-06-23 2019-01-03 몰렉스 엘엘씨 전력 커넥터
KR20190045138A (ko) * 2017-06-23 2019-05-02 몰렉스 엘엘씨 전력 커넥터
KR20190122185A (ko) * 2017-06-23 2019-10-29 몰렉스 엘엘씨 전력 커넥터
US10644443B2 (en) 2017-06-23 2020-05-05 Molex, Llc Power connector
US10965058B2 (en) 2017-06-23 2021-03-30 Molex, Llc Power connect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51704B2 (en) Modular wiring system
US6747864B2 (en) Distribution board with uninterruptible socket terminal block
CA2786166A1 (en) Electrical connector
CN106229748A (zh) 用于接头的接线座
GB2404097A (en) Wall Mounted Electrical Connector Module
KR20030025781A (ko) 전선케이블 접속장치
KR200257079Y1 (ko) 전선케이블 접속장치
US20160258605A1 (en) Device for the connection of electrical luminaires with fault current diversion
WO2018083435A1 (en) Quicwire wiring system
GB2490146A (en) Wiring of electrical fittings
KR20070120338A (ko) 콘센트 구조
US7709753B1 (en) Electrical wiring block system
CN113612172A (zh) 一种预制装配式电气快装管线、连接装置和系统
KR101261531B1 (ko) 멀티 플로어 박스
KR20090008231U (ko) 슬리브 단자대
JP2010073351A (ja) 配線装置
KR101110232B1 (ko) 전원 전등선
KR101380772B1 (ko) 노출형 전기계량기 함
US20240128732A1 (en) Improved Electrical Box and Device and Method of Using Same
KR20120081312A (ko) 지중 저압케이블용 접속 멀티탭
KR200494575Y1 (ko) 배선 분기 겸용 텀블러 스위치 장치
CN220107009U (zh) 一种开关插座
US20070249236A1 (en) System for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connection between pre-wired electrical harnesses and conduits
KR20240009235A (ko) 전기차 충전기
KR20180002889U (ko) 콘센트 일체형 전선용 배관 커버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