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8231U - 슬리브 단자대 - Google Patents

슬리브 단자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8231U
KR20090008231U KR2020080001864U KR20080001864U KR20090008231U KR 20090008231 U KR20090008231 U KR 20090008231U KR 2020080001864 U KR2020080001864 U KR 2020080001864U KR 20080001864 U KR20080001864 U KR 20080001864U KR 20090008231 U KR20090008231 U KR 2009000823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lower case
terminal block
upper case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18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철규
Original Assignee
(주)세진상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진상아 filed Critical (주)세진상아
Priority to KR20200800018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8231U/ko
Publication of KR2009000823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823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Landscapes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슬리브 단자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슬리브 단자대(1)는 하부케이스(3)와 상기 하부케이스(3)에 결합되는 상부케이스(20)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케이스(3) 및 상부케이스(20)에는 각각 제 1 및 제 2 요입부(5,21)가 요입되게 형성되어 내부에 슬리브가 위치하는 안착공간(21')이 형성된다. 상기 하부케이스(3) 및 상부케이스(20)에는 걸이후크(30) 및 걸이홈(15)이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걸이후크(30)에는 상기 걸이홈(15)에 걸어지는 걸이돌기(30')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걸이돌기(30')에는 소정의 곡률을 갖는 곡면부(30")가 형성된다. 상기 하부케이스(3) 및 상부케이스(20)에는 체결구가 결합되는 나사공(13) 및 관통공(27)이 각각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고안에 의하면, 상기 걸이후크(30)가 상기 걸이홈(15)에 걸어져 상기 하부케이스(3) 및 상부케이스(20)가 가고정되고, 가고정되었을때, 상기 나사공(13) 및 관통공(27)이 정확하게 연통되므로, 작업자가 용이하게 체결구를 나사체결하여 하부케이스(3) 및 상부케이스(20)를 고정시킬 수 있어, 슬리브 단자대(1)의 조립작업이 보다 용이해지는 이점이 있다.
슬리브, 단자대, 걸이후크, 걸이홈, 곡면부

Description

슬리브 단자대{Sleeve terminal block}
본 고안은 단자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계량기 함 내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선들을 압착하여 고정시키는 슬리브를 차폐하여 보호하는 슬리브 단자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계량기 함의 내부에는 계량기, 단자대 및 차단기 등이 설치된다. 계량기 함으로는 전원과 연결된 인입선과 가정에서 인출된 배전선이 각각 위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인입선과 배전선은 별도의 단자대에 설치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고, 슬리브(Sleeve)를 이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슬리브는 도전성이 좋은 금속재질로 형성되어 인입선 및 배전선의 심선을 감싸 압착하여 인입선 및 배전선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슬리브를 통해 외부로 전류가 누전될 수 있기 때문에 계량기에는 슬리브 단자대가 별도로 구비된다.
슬리브 단자대는 내부에 슬리브가 위치하여 슬리브를 감싸 보호한다. 이러한 슬리브 단자대는 등록실용신안 제 0341318 호(명칭 : 터미널블록, 이하 터미널블록이라 함)에 개시되어 있다. 터미널블록은 내부에 상부케이스 및 하부케이스로 구성되고, 그 내부에 슬리브가 위치된다. 상기 상부케이스 및 하부케이스는 일측에 슬 라이딩돌기가 형성된 하부결합구와 안내홈이 형성된 상부결합구가 구비되어 상기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가 상기 상부결합부 및 하부결합구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상부케이스 및 하부케이스는 볼트와 같은 체결구에 의해 함께 고정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슬리브 단자대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를 조립하기 위해서는 먼저 작업자는 상기 상부케이스 및 하부케이스의 상부결합부 및 하부결합구를 먼저 조립한 다음 작업을 해야 한다. 더 상세하게는 상부결합구의 안내홈에 하부결합구의 슬라이딩돌기가 삽입되도록 결합시킨 후에 작업을 해야 한다. 이때, 상기 슬라이딩돌기가 안내홈에 삽입되기 위해서는 상부결합구 또는 하부결합구가 소정량 탄성변형되어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상부결합구 또는 하부결합구가 파손될 우려가 있고, 그 작업이 용이하지 않아 조립작업이 번거로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부케이스 및 하부케이스는 체결구에 의해 고정되는데. 상부케이스가 하부케이스의 상면을 덮도록 결합되었을 때, 상기 상부케이스 및 하부케이스에서 체결구가 나사체결되는 구멍이 정확히 연통되지 않아, 상부케이스 및 하부케이스를 정확히 결합시킨 후에 상부케이스를 잡고 나사를 결합시켜야 하기 때문에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부케이스가 체결구에 의해 하부케이스에 고정되기 전에 가고정되는 슬리브 단자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상부케이스가 가고정되면 하부케이스의 나사공과 상부케이스의 관통공이 정확히 연통되는 슬리브 단자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내부에 양측이 개구된 제 1 요입부가 요입되게 형성되고 양단에 체결구가 체결되는 나사공이 형성되며 일측에 걸이홈이 요입되게 형성되는 하부케이스와; 상기 하부케이스에 결합되고, 내부에 상기 제 1 요입부와 함께 슬리브가 안착되는 안착공간을 형성하는 제 2 요입부가 요입되게 형성되며, 상기 나사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체결구가 통과하는 관통공이 관통되게 형성되는 상부케이스와; 상기 상부케이스에 구비되어 상기 걸이홈에 걸어지는 걸이후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내부에 양측이 개구된 제 1 요입부가 요입되게 형성되고 양단에 체결구가 체결되는 나사공이 형성되는 하부케이스와; 상기 하부케이스에 결합되고, 내부에 상기 제 1 요입부와 함께 슬리브가 안착되는 안착공간을 형성하는 제 2 요입부가 요입되게 형성되며, 상기 나사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체결구가 통과하는 관통공이 관통되게 형성되며 일측에 걸이홈이 요입되게 형성되는 상부케이스와; 상기 하 부케이스에 구비되어 상기 걸이홈에 걸어지는 걸이후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걸이후크가 상기 걸이홈에 걸어졌을 때, 상기 상부케이스의 관통공과 상기 하부케이스의 나사공이 정확하게 연통된다.
상기 걸이후크에는 상기 걸이홈에 걸어지는 걸이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걸이돌기에는 곡면부가 형성된다.
상기 상부케이스 및 하부케이스의 가장자리에는 재료의 양을 줄이기 위한 감량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감량공간에 상기 걸이후크 및 걸이홈이 각각 구비된다.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요입부에는 제 1 및 제 2 전선홈이 개구되게 형성되어 상기 슬리브에 연결된 배전선 및 인입선이 유동되지 않도록 설치되고, 접지선이 설치되는 제 1 및 제 2 요입부의 제 1 및 제 2 전선홈의 크기는 상기 접지선 및 접지선과 연결된 배전선의 규격에 각각 알맞도록 형성된다.
상기 상부케이스에는 발열공이 관통되게 형성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상부케이스가 하부케이스가 걸이후크 및 걸이홈에 의해 가고정되므로, 작업이 진행되기 전에 상부케이스 및 하부케이스에 별도의 조립작업이 필요없게 되고, 상부케이스 및 하부케이스가 분실의 우려가 있는 경우 가고정을 통해 함께 보관 및 이동을 할 수 있어 제품의 작업 및 보관이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고정 상태에서 상부케이스의 관통공과 하부케이스의 나사공이 서로 정확히 연통되도록 설치되므로, 작업자가 상기 상부케이스 및 하부케이스를 결합하 는 과정이 용이하게 되어 작업성이 좋아지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슬리브 단자대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고안에 의한 슬리브 단자대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한 슬리브 단자대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의하면, 슬리브 단자대(1)는 크게 하부케이스(3)와 상기 하부케이스(3)의 일면에 결합되는 상부케이스(20)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케이스(3)는 그 일면이 개구된 박스형상으로 합성수지와 같은 절연성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하부케이스(3)의 내부에는 전선을 고정시킨 슬리브(도시되지 않음)가 위치하는 제 1 요입부(5)가 요입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 1 요입부(5)는 후술할 상부케이스(20)의 제 2 요입부(21)와 함께 후술할 안착공간(21')을 형성한다. 상기 제 1 요입부(5)는 구획벽(5')에 의해 다수개의 공간으로 구획된다.
참고로 상기 슬리브는 인입선(도시되지 않음)과 배전선(도시되지 않음)을 압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 도전성이 좋은 금속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하부케이스(3)의 제 1 요입부(5)에는 서로 마주보는 면에 제 1 전선홈(7,7')이 각각 개구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 1 전선홈(7,7')은 슬리브(도시되지 않음)와 연결된 전선이 지지되는 부분이다. 상기 제 1 전선홈(7,7') 중 전원과 연 결된 인입선이 지지되는 제 1 전선홈(7)은 인입선의 크기에 알맞도록 형성된다. 상기 인입선은 그 크기가 규격화되어 있기 때문에 어떠한 인입선을 설치하더라도 그 크기에 알맞게 된다.
하지만 배전반에서 인출된 배전선이 지지되는 제 1 전선홈(7')의 경우 상기 배전선의 크기가 규격화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상기 제 1 전선홈(7')을 배전선의 크기에 알맞게 가공을 해서 상기 배전선을 설치해야 한다.
또한, 상기 제 1 요입부(5) 중 어느 하나에는 접지선이 설치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가운데에 형성된 제 1 요입부(5)를 접지선이 설치되는 것이라 가정하겠다. 상기 접지선의 경우 배전반에서 나오는 배전선의 크기 역시 규격화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 1 전선홈(7')을 배전선의 크기에 알맞도록 형성하면 별도의 가공이 필요없이 배전선을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제 1 요입부(5)에는 체결공(9)이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체결공(9)은 상기 하부케이스(3)를 상기 슬리브 단자대(1)가 설치되는 계량기 함(도시되지 않음)에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볼트(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되는 부분이다. 상기 체결공(9)은 각각의 상기 제 1 요입부(5)에 형성될 필요는 없고 필요에 따라 알맞은 위치에 다수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하부케이스(3)의 양측에는 감량공간(11)이 형성된다. 상기 감량공간(11)은 상기 하부케이스(3)에 사용되는 재료의 양을 줄여 무게를 줄이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감량공간(11)에는 나사공(13)이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나사공(13)은 상기 하부케이스(3)와 상부케이스(20)를 고정시키는 체결구(도시되지 않음)가 나사체결되는 부분이다.
상기 감량공간(11)의 내면 중 상기 나사공(13)의 사이에는 걸이홈(15)이 요입되게 형성된다. 상기 걸이홈(15)은 후술할 상부케이스(20)의 걸이후크(30)가 걸어지는 부분으로, 상기 걸이홈(15)에 걸이후크(30)가 걸어져 상기 하부케이스(3)와 상부케이스(20)가 가고정된다. 여기서 가고정이란, 상기 하부케이스(3) 및 상부케이스(20)가 걸이후크(30) 및 걸이홈(15)에 의해서만 고정되고, 상기 체결구에 의해 고정되기 전의 상태를 말한다. 상기 슬리브 단자대(1)가 가고정상태에 있을 때에는 유동에 의해 쉽게 분리되지는 않지만, 작업자가 상기 하부케이스(3) 및 상부케이스(20)가 분리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쉽게 분리된다.
상기 하부케이스(3)의 개구된 면에는 상부케이스(20)가 결합된다. 상기 상부케이스(20)는 상기 하부케이스(3)와 마주보는 면이 개구된 박스형상으로 합성수지와 같은 절연성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상부케이스(20)에서 상기 하부케이스(3)를 향하는 면에는 제 2 요입부(21)가 요입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 2 요입부(21)는 상기 하부케이스(3)의 제 1 요입부(5)와 함께 안착공간(21')을 형성한다. 상기 안착공간(21')은 상기 하부케이스(3) 및 상부케이스(20)가 결합되면 상기 제 1 요입부(5) 및 상기 제 2 요입부(21)에 의해 형성되는 소정의 공간으로 상기 안착공간(21')에는 전선들을 압착시킨 슬리브가 위치하여 차폐된다. 상기 제 2 요입부(21)에는 상기 제 1 요입부(5)의 구획벽(5')과 대응되는 위치에 마찬가지로 구획벽(21")이 구비된다.
상기 제 2 요입부(21)에는 상기 제 1 요입부(5)의 제 1 전선홈(7,7')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 2 전선홈(23,23')이 개구되게 형성된다.
상기 상부케이스(20)에는 상기 하부케이스(3)와 마찬가지로 감량공간(25)이 형성되고, 상기 감량공간(25)에는 상기 하부케이스(3)의 나사공(13)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체결구가 통과하는 관통공(27)이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27)을 통과하여 상기 체결구가 상기 하부케이스(3)의 나사공(13)에 나사체결되어 상기 하부케이스(3)와 상부케이스(20)가 고정된다.
상기 상부케이스(20)의 감량공간(25)에는 상기 하부케이스(3)의 걸이홈(15)과 대응되는 위치에 걸이후크(30)가 구비된다. 상기 걸이후크(30)는 그 일단이 상기 상부케이스(20)에 고정된 탄성변형이 가능한 외팔보형상이다. 상기 걸이후크(30)가 상기 걸이홈(15)에 걸어져 상기 하부케이스(3) 및 상부케이스(20)가 가고정된다.
상기 걸이후크(30)에서 상기 걸이홈(15)을 향하는 면에는 상기 걸이홈(15)에 걸어지는 걸이돌기(30')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도 1에서 보듯이, 상기 걸이돌기(30')에는 곡면부(30")가 형성된다. 상기 곡면부(30")는 상기 걸이돌기(30')가 상기 걸이홈(15)에 걸어질 때, 상기 걸이후크(30)가 용이하게 탄성변형되도록 안내하는 역할도 하고, 상기 걸이돌기(30')가 상기 걸이홈(15)에서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도 한다. 상기 걸이돌기(30')가 상기 걸이홈(15)에 완전히 삽입되는 경우 상기 하부케이스(3)와 상부케이스(20)를 분리시키는 작업이 용이하지 않기 때문이다.
상기 걸이후크(30) 및 걸이홈(15)의 위치는 상기 하부케이스(3) 및 상부케이스(20)가 가고정되었을 때, 상기 나사공(13) 및 관통공(27)이 정확히 연통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된다. 이는 상기 하부케이스(3) 및 상부이케스(20)가 가고정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상기 체결구를 상기 나사공(13) 및 관통공(27)에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2에서 보듯이, 상기 각각의 제 2 요입부(21)에는 발열공(32)이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발열공(32)은 상기 안착공간(21')에 위치된 슬리브에서 발생되는 열기가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한 슬리브 단자대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작업자는 상기 하부케이스(3)를 계량기함(도시되지 않음)에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하부케이스(3)의 체결공(9)에 체결볼트(도시되지 않음)를 나사체결하여 고정시킨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는 상기 하부케이스(3)의 제 1 요입부(5)에 전선이 연결된 슬리브가 위치하도록 설치한다. 이때, 상기 슬리브에 의해 연결된 인입선 및 배전선이 상기 제 1 요입부(5)의 제 1 전선홈(7,7')에 각각 설치되도록 잘 맞추어 설치한다. 만일 배전선의 크기가 상기 제 1 전선홈(7')에 알맞지 않을 경우 상기 제 1 전선홈(7')을 상기 배전선에 알맞도록 가공한 후 배전선을 설치한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는 상기 상부케이스(20)를 상기 하부케이스(3)에 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상부케이스(20)의 걸이후크(30)가 상기 하부케이스(3)의 걸이 홈(15)에 잘 맞도록 결합시킨다. 상기 걸이후크(30) 및 걸이홈(15)의 위치는 상기 상부케이스(20)의 관통공(27)과 상기 하부케이스(3)의 나사공(13)이 정확히 결합되도록 설계되므로, 상기 관통공(27)과 상기 나사공(13)이 정확히 맞도록 결합시키면 상기 걸이후크(30)의 걸이돌기(30')가 상기 걸이홈(15)에 결합되게 된다.
상기 걸이돌기(30')에는 곡면부(30")가 형성되므로, 상기 걸이돌기(30')가 상기 감량공간(11)에서 상기 걸이홈(15)이 형성된 일면에 접하게 되면 상기 곡면부(30")를 따라 상기 걸이후크(30)가 탄성변형되고, 상기 상부케이스(20)를 더 결합시키면 상기 걸이후크(30)의 걸이돌기(30'), 좀 더 정확하게는 상기 걸이돌기(30')의 곡면부(30")의 일부가 상기 걸이홈(15)에 걸어져 상기 상부케이스(20) 및 하부케이스(3)가 가고정된다.
상기 상부케이스(20) 및 하부케이스(3)가 가고정되면 상기 관통공(27) 및 나사공(13)이 정확하게 연통되므로, 작업자는 체결구를 상기 관통공(27) 및 나사공(13)에 나사체결하여 상기 상부케이스(20) 및 하부케이스(3)를 완전히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상부케이스(20)를 하부케이스(3)에 가고정시켰을 때, 상기 상부케이스(20) 및 하부케이스(3)의 관통공(27) 및 나사공(13)이 정확히 연통되므로, 작업자가 용이하게 체결구를 상기 관통공(27)을 통해 나사공(13)에 나사체결시킬 수 있어 슬리브 단자대(1)의 조립작업이 용이해진다.
작업자가 작업을 위해 상기 상부케이스(20) 및 하부케이스(3)를 이동시킬 때, 상기 상부케이스(20) 및 하부케이스(3)의 분실을 막기 위해 상기 상부케이 스(20)와 하부케이스(3)를 가고정시킨 상태에서 이동할 수 있고, 작업시 상기 상부케이스(20) 및 하부케이스(3)를 분리시켜 작업하는 것이 가능하다.
분리작업시 상기 상부케이스(20) 및 하부케이스(3)는 상기 걸이돌기(30')의 곡면부(30")가 상기 걸이홈(15)에 걸어져 가고정되므로, 상기 상부케이스(20) 및 하부케이스(3)는 쉽게 분리될 수 있다.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걸이후크(30)가 상기 상부케이스(20)에 구비되고 상기 걸이홈(15)이 상기 하부케이스(3)에 형성되었지만, 상기 걸이후크(30)가 상기 하부케이스(3)에 구비되고 상기 걸이홈(15)이 상기 상부케이스(20)에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슬리브 단자대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한 슬리브 단자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슬리브 단자대 3 : 하부케이스
5 : 제 1 요입부 5': 구획벽
7,7': 제 1 전선홈 9 : 체결공
11 : 감량공간 13 : 나사공
15 : 걸이홈 20 : 상부케이스
21 : 제 2 요입부 21': 안착공간
21": 구획벽 23,23': 제 2 전선홈
25 : 감량공간 27 : 관통공
30 : 걸이후크 30': 걸이돌기
30": 곡면부

Claims (7)

  1. 내부에 양측이 개구된 제 1 요입부가 요입되게 형성되고 양단에 체결구가 체결되는 나사공이 형성되며 일측에 걸이홈이 요입되게 형성되는 하부케이스와;
    상기 하부케이스에 결합되고, 내부에 상기 제 1 요입부와 함께 슬리브가 안착되는 안착공간을 형성하는 제 2 요입부가 요입되게 형성되며, 상기 나사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체결구가 통과하는 관통공이 관통되게 형성되는 상부케이스와;
    상기 상부케이스에 구비되어 상기 걸이홈에 걸어지는 걸이후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슬리브 단자대.
  2. 내부에 양측이 개구된 제 1 요입부가 요입되게 형성되고 양단에 체결구가 체결되는 나사공이 형성되는 하부케이스와;
    상기 하부케이스에 결합되고, 내부에 상기 제 1 요입부와 함께 슬리브가 안착되는 안착공간을 형성하는 제 2 요입부가 요입되게 형성되며, 상기 나사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체결구가 통과하는 관통공이 관통되게 형성되며 일측에 걸이홈이 요입되게 형성되는 상부케이스와;
    상기 하부케이스에 구비되어 상기 걸이홈에 걸어지는 걸이후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슬리브 단자대.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후크가 상기 걸이홈에 걸어졌을 때, 상기 상부케이스의 관통공과 상기 하부케이스의 나사공이 정확하게 연통됨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브 단자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후크에는 상기 걸이홈에 걸어지는 걸이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걸이돌기에는 곡면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브 단자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케이스 및 하부케이스의 가장자리에는 재료의 양을 줄이기 위한 감량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감량공간에 상기 걸이후크 및 걸이홈이 각각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브 단자대.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요입부에는 제 1 및 제 2 전선홈이 개구되게 형성되어 상기 슬리브에 연결된 배전선 및 인입선이 유동되지 않도록 설치되고, 접지선이 설치되는 제 1 및 제 2 요입부의 제 1 및 제 2 전선홈의 크기는 상기 접지선 및 접지선과 연결된 배전선의 규격에 각각 알맞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브 단자대.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케이스에는 발열공이 관통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브 단자대.
KR2020080001864U 2008-02-12 2008-02-12 슬리브 단자대 KR2009000823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1864U KR20090008231U (ko) 2008-02-12 2008-02-12 슬리브 단자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1864U KR20090008231U (ko) 2008-02-12 2008-02-12 슬리브 단자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8231U true KR20090008231U (ko) 2009-08-17

Family

ID=41300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1864U KR20090008231U (ko) 2008-02-12 2008-02-12 슬리브 단자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8231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81146A1 (en) * 2012-05-31 2013-12-05 Emerson Network Power Connectivity Solutions, Inc. Modular rf connector system
KR102130958B1 (ko) 2019-06-04 2020-07-20 김희자 눌러조임 단자대
KR102561373B1 (ko) * 2022-12-14 2023-08-01 유큐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급전선 커넥터와 공용화 대역 결합기간 시건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81146A1 (en) * 2012-05-31 2013-12-05 Emerson Network Power Connectivity Solutions, Inc. Modular rf connector system
US8888519B2 (en) 2012-05-31 2014-11-18 Cinch Connectivity Solutions, Inc. Modular RF connector system
US9190786B1 (en) 2012-05-31 2015-11-17 Cinch Connectivity Solutions Inc. Modular RF connector system
KR102130958B1 (ko) 2019-06-04 2020-07-20 김희자 눌러조임 단자대
KR102561373B1 (ko) * 2022-12-14 2023-08-01 유큐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급전선 커넥터와 공용화 대역 결합기간 시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97985C (en) Electric box extender
KR100910100B1 (ko) 전기기기의 단자 장치
US8002569B2 (en) Electric connection box
US8251756B2 (en) Nut holding means within a busbar housing
FI120925B (fi) Pistorasia
CN104064411B (zh) 一种断路器的接线装置、断路器以及断路器组件
US9928974B1 (en) Terminal barrier assemblies for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and methods of assembly thereof
KR101209892B1 (ko) 분기 부스바, 부스바 결합용 구조체, 및 분기 부스바 키트
JP2015509651A (ja) 保護導体ブリッジを備えるプラグコネクタ
KR101678731B1 (ko) 차량용 전기 센터
KR20090008231U (ko) 슬리브 단자대
CN105098394A (zh) 整体式接地毂
JPH1132415A (ja) 電気接続箱における端子の取付構造
KR200444213Y1 (ko) 배터리용 퓨즈박스의 결합구조
KR101744660B1 (ko) 컷아우트스위치의 상하 접속부 배전선로 연결체
CN106058510B (zh) 验电接地接口通用装置
KR200411267Y1 (ko) 고전압 케이블용 접지브라켓의 고정구조
JP2002359913A (ja) 電気接続箱
US10320170B2 (en) Electrical connection structure
KR200198502Y1 (ko) 전기접속구의 전선연결구조
KR20190126006A (ko) Pe-접점을 갖는 장착 프레임
KR102681830B1 (ko) 고전압 정션블록의 인버터 분리장치
KR100691432B1 (ko) 터미널 블록 조립체
KR100748614B1 (ko) 퓨즈박스의 퓨즈장착구조
KR20030025781A (ko) 전선케이블 접속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