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1903B1 - 급전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급전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1903B1
KR101281903B1 KR20110016176A KR20110016176A KR101281903B1 KR 101281903 B1 KR101281903 B1 KR 101281903B1 KR 20110016176 A KR20110016176 A KR 20110016176A KR 20110016176 A KR20110016176 A KR 20110016176A KR 101281903 B1 KR101281903 B1 KR 1012819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housing
holder
control circuit
side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10016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7699A (ko
Inventor
신이치 나카무라
고우지 가키우치
다츠야 무카이
시로 모리
나오키 후쿠오
노보루 이나가키
하루히코 미하라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100976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76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1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19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1Bolt, set screw or screw clamp
    • H01R13/6215Bolt, set screw or screw clamp using one or more bo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6Connectors, e.g. plugs or socket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8Cable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비성이 개선된 급전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급전 제어 장치의 본체 블럭(1)의 하우징(2)에는 각 케이블(PC, CC)에 각각 마련된 홀더(3)에 착탈 자유롭게 결합하는 결합부(21)가 마련되어 있다. 홀더(3)가 대응하는 결합부(21)에 결합함으로써, 본체 블럭(1)에 대해, 해당 홀더(3)가 마련된 케이블(PC, CC)이 갖는 각 전선이 일괄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기의 각 전선의 접속이 나사 단자 등에 있어서 개별적으로 실행되는 경우에 비해, 각 케이블(PC, CC)의 교환이 용이하게 되기 때문에, 정비성이 개선된다.

Description

급전 제어 장치{POWER SUPPLY CONTROL DEVICE}
본 발명은 급전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전원으로부터 자동차에의 급전을 제어하는 급전 제어 장치가 제공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상기의 전원은 예를 들면 상용 100V 교류 전원이다. 또한, 상기의 자동차는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차나 전기 자동차 등, 배터리와 해당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 회로를 갖고 해당 배터리의 전력으로 구동되는 모터에 의한 주행이 가능한 것이며, 급전 제어 장치는 상기의 충전 회로에의 전력의 공급에 이용된다.
이러한 종류의 급전 제어 장치로서,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동차의 충전 회로(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되는 자동차측 플러그(CP)가 일단에 마련된 자동차측 케이블(CC)과, 전원(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되는 전원측 플러그(PP)가 일단에 마련된 전원측 케이블(PC)과, 충전 회로와 전원에 각각 케이블(CC, PC)을 거쳐서 접속되어 전원으로부터 충전 회로에의 급전을 온 오프하는 본체 블럭(1)을 구비하는 것이 있다.
상기의 급전 제어 장치는 전원과 자동차 사이에서, 전압측 극의 도전로(이하,「전압측 라인」이라 함) L1과, 접지측 극의 도전로(이하,「접지측 라인」이라 함) L2와, 접지극의 도전로(이하,「그라운드 라인」이라 함) L3을 구성한다.
또한, 본체 블럭(1)은 전압측 라인 L1과 접지측 라인 L2에 각각 삽입되어 전원으로부터 충전 회로에의 급전을 온 오프하는 릴레이(10)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의 자동차는 릴레이(10)를 온 오프 제어하는 제어 회로(도시하지 않음)를 갖고 있으며, 자동차측 케이블(CC)이 갖는 전선(CC1∼CC4)에는 상기의 제어 회로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전선인 신호선 CC4 가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 블럭(1)은 상기의 각 도전로 L1∼L3과는 별도의 도전로로서 신호선 CC4에 접속되는 도전로(이하,「신호 라인」이라 함) L4를 거쳐서 상기의 제어 회로로부터 전송된 전기 신호에 따라 릴레이(10)를 온 오프 구동하는 구동 회로(12)와, 릴레이(10)보다도 전원측에 있어서 전압측 라인 L1과 접지측 라인 L2와 그라운드 라인 L3에 각각 접속되어 구동 회로(12)의 전원을 생성하는 전원 회로(11)를 구비한다.
또한, 릴레이(10)보다도 전원측에 있어서 전압측 라인 L1과 접지측 라인 L2가 관통된 영상변류기 ZCT를 구비한다. 구동 회로(12)는 영상변류기 ZCT에 유도되는 유도 전류에 의거하여 누전을 검출하는 동시에, 누전이 검출되었을 때에 릴레이(10)를 오프 제어한다. 즉, 상기의 영상변류기 ZCT와 릴레이(10)와 전원 회로(11)와 구동 회로(12)가 급전 제어 회로를 구성한다. 또한, 전원측 케이블(PC)의 전압측 극의 전선 PC1이 접속되는 단자(13)와 자동차측 케이블(CC)의 전압측 극의 전선 CC1이 접속되는 단자(13)의 전기적 접속과, 전원측 케이블(PC)의 접지측 극의 전선 PC2가 접속되는 단자(13)와 자동차측 케이블(CC)의 접지측 극의 전선 CC2가 접속되는 단자(13)의 전기적 접속이, 각각 릴레이(10)에 의해서 온 오프된다. 상기와 같은 릴레이(10)나 전원 회로(11)나 구동 회로(12)는 주지기술에서 실현 가능하므로, 상세한 도시와 설명은 생략한다.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2009-240053호
여기서, 어느 하나의 전선(PC1∼PC3, CC1∼CC4)에서 단선이 발생한 경우나, 플러그(PP, CP)에 파손이 발생한 경우에는 단선이나 파손이 발생한 케이블(PC, CC)은 교환할 필요가 있다. 또한, 예를 들면, 형태가 다른 전원 콘센트에 전원측 플러그(PP)를 접속하고자 하는 경우나, 자동차측 플러그(CP)가 접속되는 리셉터클 등의 형태가 다른 자동차에 자동차측 플러그(CP)를 접속하고자 하는 경우와 같이, 전원측 플러그(PP)나 자동차측 플러그(CP)를 변경할 필요가 생긴 경우에도, 역시 케이블(PC, CC) 전체를 교환할 필요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종래의 급전 제어 장치에서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원측 케이블 PC와 자동차측 케이블(CC)의 각 전선(PC1∼PC3, CC1∼CC4) 중의 1개씩이 접속되는 합계 7개의 단자(13)는 각각 본체 블럭(1)의 하우징(2)내에 마련된 나사 단자로 구성되어 있었다. 도 9에서는, 전원측 케이블 PC의 전선(PC1~PC3) 및 그것에 대응하는 단자(13)는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따라서, 케이블(PC, CC)의 교환시에는 하우징(2)을 일단 열 필요가 있고, 또한 교환될 케이블(PC, CC)의 각 전선(PC1∼PC3, CC1∼CC4)에 대해 각각 분리 및 접속의 작업을 실행할 필요가 있어서, 정비성이 낮았다.
또한, 상기와 같은 급전 제어 장치는 옥외에서 사용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일반적으로는 상기의 하우징(2)은 방수성을 확보하는 구조로 된다. 그러나, 예를 들면 방수성을 확보하기 위해 하우징(2)을 구성하는 부품끼리의 결합에 태핑 나사를 이용하고 있는 경우, 하우징(2)을 열기 위해 한번 상기의 부품끼리를 분해하면, 하우징(2)을 재차 조립해도 방수성이 복귀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하우징(2)을 한번 열면 방수성이 손상되는 바와 같은 방수 수단이 이용되고 있는 경우나, 하우징(2)을 재차 닫을 때에 작업이 적절하게 실행되지 않았던 경우에는 하우징(2)을 열기 전에 비해 방수성이 손상되어 버린다.
본 발명은 상기 사유를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정비성이 개선된 급전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배터리 및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 회로를 구비한 자동차의 상기 충전 회로와 전원 사이에 개재해서 상기 전원으로부터 상기 충전 회로에의 급전을 온 오프하는 급전 제어 회로 및, 상기 급전 제어 회로를 수납한 하우징을 갖는 본체 블럭과, 상기 전원과 상기 급전 제어 회로를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복수개의 전선을 갖는 전원측 케이블과, 상기 충전 회로와 상기 급전 제어 회로를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복수개의 전선을 갖는 자동차측 케이블을 구비하고, 상기 전원측 케이블과 상기 자동차측 케이블의 적어도 한쪽은 해당 한쪽이 갖는 상기 전선의 1개씩에 대응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된 도전 재료로 이루어지는 복수개의 콘택트와, 상기 각 콘택트를 각각 유지한 홀더를 갖고, 상기 본체 블럭은 각각 도전 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급전 제어 회로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동시에 일부가 상기 하우징 외부에 노출된 형태로 상기 하우징에 유지된 복수개의 단자를 갖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홀더가 착탈 자유롭게 결합하는 적어도 1개의 결합부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전원측 케이블과 상기 자동차측 케이블 중 상기 홀더를 갖는 것에 있어서는 각각, 상기 홀더가 상기 결합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각 콘택트가 각각 상기 단자에 접촉 도통함으로써, 각 전선이 각각 상기 급전 제어 회로에 대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급전 제어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에 대해 결합하는 동시에 상기 하우징에 결합된 상태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홀더와 상기 결합부의 결합 부분을 덮음으로써 상기 하우징으로부터의 상기 홀더의 분리를 금지하는 덮개체를, 각 결합부에 대해 각각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대안적으로, 상기 하우징을 덮는 형태로 상기 하우징에 대해 결합하는 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하우징에 결합된 상태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홀더와 상기 결합부의 결합 부분을 덮음으로써 상기 하우징으로부터의 상기 홀더의 분리를 금지하는 덮개부를, 각 결합부에 대해 각각 갖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자동차측 케이블은 상기 자동차가 구비하고 상기 급전 제어 회로를 제어하는 제어 회로에 대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선인 신호선을 갖고, 상기 급전 제어 회로는 상기 신호선을 거쳐서 입력된 전기 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홀더를 갖는 케이블에 대해서는 결합부에 대한 홀더의 착탈과 함께 급전 제어 회로에 대한 접속 및 접속 해제가 복수개의 전선에 대해 일괄해서 실행되고, 케이블의 교환시에 하우징을 열 필요도 없기 때문에, 하우징내에 수납된 나사 단자 등을 이용하여 각 전선의 접속 및 접속 해제를 개별적으로 실행하는 경우에 비해, 케이블의 교환이 용이하며 정비성이 개선된다.
도 1은 실시형태 1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실시형태 1의 본체 블럭에 있어서 커버를 떼어낸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실시형태 1의 본체 블럭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실시형태 1의 홀더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실시형태 1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의 (a) 및 (b)는 각각 실시형태 2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a)는 분해된 상태를 나타내고, (b)는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의 (a) 및 (b)는 각각 실시형태 2의 변경예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a)는 분해된 상태를 나타내고, (b)는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급전 제어 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9는 종래의 급전 제어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평면도.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실시형태 1)
본 실시형태의 기본 구성은 도 8에 나타낸 종래 예와 공통이므로, 공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는 본체 블럭(1)과 각 케이블(PC, CC)의 접속의 구조에 특징을 갖는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 블럭(1)은 급전 제어 회로를 구성하는 릴레이(10)와 구동 회로(11)와 전원 회로(12)가 각각 수납된 하우징(2)을 구비한다. 하우징(2)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체로서 일 방향(도 1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으로 긴 직방체형상의 상자형상으로서 길이 방향을 따른 일면(예컨대, 상면)이 개방되어, 수납공간(20)이 노출된 바디(2a)를 갖는다. 릴레이(10)와 구동 회로(11)와 전원 회로(12)는 각각 상기의 수납공간(20)에 수납된다.
이하, 상하 좌우는 도 2를 기준으로 하고, 바디(2a)의 길이 방향(도 1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으로서 도 2에 있어서의 좌측하부-우측상부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한다. 또, 상기의 방향은 설명의 편의상 정의하는 것으로서, 실제의 사용 상태에서의 방향과는 반드시 일치하지 않는다.
하우징(2)은 바디(2a)의 상측에 결합해서 수납공간(20)을 밀폐하는 커버(2b)(도 5 참조)를 갖는다. 바디(2a)와 커버(2b)는 각각 합성수지 성형품으로 이루어진다. 커버(2b)를 바디(2a)에 대해 결합시키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나사 고정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바디(2a)와 커버(2b)의 사이에서의 간극의 발생을 방지하여 하우징(2)의 방수성을 확보하기 위해, 예를 들면 합성 고무와 같은 유연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환상의 패킹(도시하지 않음)이 바디(2a)와 커버(2b)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또한, 릴레이(10)와 구동 회로(11)와 전원 회로(12)는 각각 프린트 배선판(P)의 한쪽의 면(실장면)에 실장되어 있고, 프린트 배선판(P)은 다른 쪽의 면(비실장면)을 수납공간(20)의 저면(즉, 하측)을 향해 수납공간(20)에 수납되어 있다.
또한, 각 케이블(PC, CC)이 갖는 각 전선(PC1∼PC3, CC1∼CC4)에 대해 1대1로 접속되어야 할 각 단자(13)는 각각, 금속판에 펀칭 가공과 구부림 가공이 실시되어 이루어지고, 바디(2a)에 있어서 인서트 성형에 의해서 유지되어 있다. 릴레이(10)나 구동 회로(11)나 전원 회로(12)에 대한 각 단자(13)의 전기적인 접속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단자(13)에 있어서 각각 수납공간(20)의 저면으로부터 돌출해서 프린트 배선판 P에 핀 삽입 실장되는 실장부(13a)를 마련함으로써 달성된다.
또, 각 케이블(PC, CC)에 있어서, 플러그(PP, CP)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측의 일단에는 각각 절연재료로 이루어지고 도 1에 화살표 A1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2)에 대해 결합하는 홀더(3)가 마련되어 있다. 각 홀더(3)는 각각,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전 재료로 이루어지는 복수개의 콘택트(4)로서 전선(PC1∼PC3, CC1∼CC4)에 1대1로 대응하는 콘택트(4)를 유지하고 있다. 즉, 전원측 케이블 PC에 마련된 홀더(이하,「전원측 홀더」라 함)(3)는 3개의 콘택트(4)를 유지하고, 자동차측 케이블 CC에 마련된 홀더(이하,「자동차측 홀더」라 함)(3)는 4개의 콘택트(4)를 유지하고 있다. 각 홀더(3)는 예를 들면 합성수지로 이루어진다. 각 콘택트(4)는 각각 예를 들면 금속판에 펀칭 가공과 구부림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자동차측 홀더(3)는 각 전선이 도입되는 전선 도입구(도시하지 않음)를 갖고, 전선 도입구의 반대측에는 원주형상으로 도려내어진 접속 오목부(31)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접속 오목부(31)의 저면에는 각각 각통형상으로서 축 방향을 접속 오목부(31)의 깊이 방향을 향한 4개의 콘택트 유지부(32)가 장방형의 정점의 배치로 돌출설치되어 있고, 각 콘택트 유지부(32)내에는 각각 1개씩의 콘택트(4)가 예를 들면 끼워넣음에 의해 유지되어 있다. 즉, 콘택트(4)간의 절연이 콘택트 유지부(32)에 의해서 확보되어 있다. 또한, 각 콘택트 유지부(32)는 각각 인접하는 각 콘택트 유지부(32)에 대해 대향하는 측면끼리를 평행으로 하고 있고, 이것에 의해 콘택트 유지부(32) 사이에는 단면 십자형상의 십자 오목부(32a)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각 콘택트(4)는 각각 전체로서 각통형상으로 되도록 구부려져 소위 탭 단자의 리셉터클과 마찬가지의 형상으로 되어 있고, 한쪽의 개구를 콘택트 유지부(32)의 개구로부터 노출시키고 있다.
전원측 홀더(3)에 대해서는 자동차측 홀더(3)와의 차이는 전선 PC1∼PC3이 1개 적은 것에 대응해서, 유지되는 콘택트(4)가 1개 적은 것에 의해, 콘택트 유지부(32) 중 1개에 콘택트(4)가 유지되지 않는다고 하는 점뿐이므로, 상세한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하우징(2)에 있어서는 바디(2a)의 길이 방향의 일단면에는 자동차측 홀더(3)가 착탈 자유롭게 결합하는 결합부(21)가 마련되고, 바디(2a)의 길이 방향의 타단면에는 전원측 홀더(3)가 착탈 자유롭게 결합하는 결합부(21)가 마련되어 있다.
각 결합부(21)는, 축 방향을 바디(2a)의 길이 방향을 향해 바디(2a)의 길이 방향의 일단면으로부터 돌출설치된 원통형상의 끼워맞춤통(21a)을 갖는다. 각 끼워맞춤통(21a)은 외경이 홀더(3)의 접속 오목부(31)의 내경보다도 약간 작은 정도로서 접속 오목부(31)에 끼워 넣어진다. 즉, 각 결합부(21)에 있어서, 끼워맞춤통(21a)에 둘러싸인 범위에는 홀더(3)의 콘택트 유지부(32)가 삽입되는 삽입 오목부(21b)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각 단자(13)는 대응하는 결합부(21)의 삽입 오목부(21b)의 저면으로부터 돌출되어 끼워맞춤통(21a)에 둘러싸이는 접촉부(13b)를 갖는다. 또한, 삽입 오목부(21b)의 저면에는 서로 인접하는 접촉부(13b)간을 간막이하는 십자형상으로서 홀더(3)의 십자 통로(32a)에 삽입되는 십자 볼록부(21c)가 돌출설치되어 있다. 이 십자 볼록부(21c)에 의해, 접촉부(13b)간의 절연이 확보되어 있다.
홀더(3)를 결합부(21)에 결합시킬 때에는 각 접촉부(13b)가 대응하는 콘택트(4)에 삽입되도록 위치 맞춤을 한 후에, 끼워맞춤통(21a)을 접속 오목부(31)에 삽입한다. 그러면, 십자 볼록부(21c)도 십자 통로(32a)에 삽입됨으로써, 바디(2a)에 대한 홀더(3)의 회전이 방지된다. 또한, 각 콘택트(4)는 각각 접촉부(13b)와 함께 주지의 소위 탭 단자를 구성하고 있다. 즉, 각 콘택트(4)는 접촉부(13b)가 삽입되면 탄성 변형되고, 이 탄성력에 의해서 콘택트(4)와 접촉부(13b) 사이의 접촉압이 확보된다.
또한, 각 홀더(3)는, 접속 오목부(31)를 사이에 두고 서로 직경방향으로 대향하는 2개소로부터 각각 직경 방향의 바깥방향으로 돌출설치된 피나사 고정부(33)를 갖는다. 각 피나사 고정부(33)에는 각각 나사 고정용의 나사(SC1)가 삽입 통과되는 관통 구멍(33a)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각 결합부(21)에 있어서 끼워맞춤통(21a)의 좌우 양측에는 각각 나사 고정부(21d)가 돌출설치되어 있고, 각 나사 고정부(21d)에는 각각 상기의 나사(SC1)가 넣어지는 나사 구멍(21f)이 마련되어 있다. 즉, 상기와 같이 끼워맞춤통(21a)이 접속 오목부(32)에 삽입된 상태에서, 각 피나사 고정부(33)의 관통 구멍(33a)에 삽입 통과된 나사(SC1)가 각각 나사 고정부(21d)의 나사 구멍(21f)에 대해 넣어짐으로써, 각 홀더(3)는 각각 결합부(21)에 대해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해서 홀더(3)가 결합부(21)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홀더(3)에 의해서 끼워맞춤통(21a)이 폐색됨으로써, 홀더(3)와 하우징(2) 사이에는 밀폐 공간이 형성되고, 이 밀폐 공간에 각 콘택트(4)와 각 접촉부(13b)가 각각 수납된다. 또한, 홀더(3)가 결합부(21)에 결합된 케이블 PC, CC에 있어서는 각 콘택트(4)가 각각 단자(13)의 접촉부(13b)에 1대1로 접촉 도통하는 것에 의해, 각 전선(PC1∼PC3, CC1∼CC4)이 각각 콘택트(4)와 단자(13)를 거쳐서 릴레이(10)나 구동 회로(11)나 전원 회로(12)의 적절한 개소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홀더(3)와 결합부(21)의 접촉면과의 사이에는, 예를 들면 합성 고무와 같은 유연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환상의 패킹(도시하지 않음)이 개재되어, 방수성을 일층 확실하게 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결합부(21)에 대한 홀더(3)의 착탈과 함께, 각 전선(PC1∼PC3, CC1∼CC4)의 접속 및 접속 해제가 케이블(PC, CC)마다 일괄해서 달성된다. 따라서, 종래 예와 같이 하우징(2)내의 나사 단자 등을 이용해서 각 전선(PC1∼PC3, CC1∼CC4)의 접속 및 접속 해제를 개별적으로 실행하는 경우에 비해, 케이블(PC, CC)의 교환이 용이하며 정비성이 개선된다. 또한, 하우징(2)을 열지 않고 케이블(PC, CC)을 교환할 수 있기 때문에, 케이블(PC, CC)의 교환시에 방수성이 손상되는 일도 없다.
또, 전원측 케이블(PC)과 자동차측 케이블(CC)의 한쪽에 대해서만 상기 구성을 채용하고, 다른 쪽은 예를 들면 종래 예와 마찬가지의 나사 단자에 의한 접속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에도, 상기 한쪽의 케이블(PC, CC)(즉, 홀더(3)가 마련된 것)의 교환에 관해서는 상기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형태 2)
본 실시형태의 기본 구성은 실시형태 1과 공통이므로, 공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시 및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홀더(3)와 결합부(21)의 결합 방법이 실시형태 1과는 다르고, 나사 고정이 아닌 도 6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결합편(35)과 결합 볼록부(21e)의 요철 결합을 이용하고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홀더(3)에서는 접속 오목부(31)를 둘러싸는 부위의 상단부가 2개의 슬릿(34)에 의해 둘레 방향의 양측의 부위로부터 분리됨으로써 결합편(35)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결합편(35)은 하우징(2)에 향해지는 측의 일단부를 타단부에 대해 상 방향(즉, 접속 오목부(31)의 내경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변위시키도록 탄성 변형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결합편(35)에는 직경 방향으로 관통하는 결합 구멍(35a)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2)의 결합부(21)에 있어서는 끼워맞춤통(21a)의 상측의 외주면에 결합 볼록부(21e)가 돌출설치되어 있고, 이 결합 볼록부(21e)는 홀더(3)가 접속되는 방향의 안쪽측일수록 끼워맞춤통(21a)으로부터의 돌출치수가 커지도록 경사져 있다.
홀더(3)가 결합부(21)에 부착될 때에는 홀더(3)의 접속 오목부(31)에 끼워맞춤통(21a)이 밀려 들어감에 따라, 결합편(35)이 결합 볼록부(21e)를 따라 서서히 탄성 변형된다. 이윽고, 결합 볼록부(21e)가 결합 구멍(35a)에 도달하면, 결합편(35)이 탄성복귀해서 결합 볼록부(21e)가 결합 구멍(35a)에 대해 걸어 넣어지므로, 홀더(3)가 결합부(21)에 결합해서 유지된다.
상기와 같이 해서 홀더(3)가 결합부(21)에 결합된 케이블(PC, CC)에 있어서는 각 콘택트(4)가 각각 단자(13)의 접촉부(13b)에 1대1로 접촉 도통 하는 것에 의해, 각 전선(PC1∼PC3, CC1∼CC4)이 각각 콘택트(4)와 단자(13)를 거쳐서 릴레이(10)나 구동 회로(11)나 전원 회로(12)의 적절한 개소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결합부(21)로부터 홀더(3)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결합 볼록부(21e)가 결합 구멍(35a)으로부터 벗어나도록 결합편(35)을 탄성 변형시키면서, 홀더(3)를 하우징(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변위시키면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원측과 자동차측의 각각에 있어서, 전체적으로 원환형상의 덮개체(5)가 홀더(3)와 결합부(21)를 각각 둘러싸는 형태로 하우징(2)에 대해 부착된다. 각 덮개체(5)는 각각 2개의 반할체(half body)(5a, 5b)로 구성되어 있다. 각 반할체(5a, 5b)는 각각, 반원환형상의 반원환부(51a, 51b)를 갖는다.
또한, 각 반할체(5a, 5b)는 각각, 반원환부(51a, 51b)의 둘레 방향의 양단부로부터 직경 방향의 바깥방향으로 돌출설치된 2개의 결합부(52a, 52b)를 갖는다. 한쪽의 결합부(52a)에는 관통 구멍(52c)이 마련되고, 다른 쪽의 결합부(52b)에는 해당 관통 구멍(52c)에 삽입 통과된 나사(SC2)가 넣어지는 나사 구멍(52d)이 마련되어 있다. 즉, 반할체(5a, 5b)끼리는 결합부(52a, 52b)끼리가 1대1로 나사 고정됨으로써, 도 6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로 결합해서 덮개체(5)를 구성한다. 이 상태에서는 2개의 반할체(5a, 5b)의 반원환부(51a, 51b)는 전체적으로 원환형상의 원환부(51)를 구성하고 있고, 이 원환부(51)의 내경은 홀더(3)의 외경과 동일 정도로 되어 있다. 따라서, 결합부(21)에 부착된 홀더(3)를 반원환부(51a, 51b)의 사이에 두는 형태로 반할체(5a, 5b)끼리를 서로 결합시키는 동시에, 상기의 나사 고정에 이용된 각 나사(SC2)를 각각 체결함으로써, 덮개체(5)를 하우징(2)에 대해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덮개체(5)가 하우징(2)에 고정된 상태에서는 결합 부분인 결합 볼록부(21e)와 결합편(35)의 결합 구멍(35a)의 내면 부분이 각각 덮개체(5)의 원환부(51)에 의해서 덮이고, 결합 볼록부(21e)가 결합 구멍(35a)으로부터 벗어나도록 결합편(35)을 탄성변형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하우징(2)으로부터의 홀더(3)의 분리가 금지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본체 블럭(1)으로부터 케이블(PC, CC)을 분리할 때에는 우선 덮개체(5)를 분리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전문지식이 없는 일반의 사용자가 부적절한 케이블(PC, CC)로 교환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와 같이 전원측과 자동차측의 각 결합부(21)에 대해 개별적으로 덮개체(5)를 마련하는 대신, 도 7의 (a) 및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2)을 덮는 케이스(6)가 2개의 덮개부(61)에 의해 각 결합부(21)를 각각 둘러싸는 구성으로 해도 좋고, 이 구성을 채용하면 부품점수의 삭감이 가능하게 된다. 도 7의 (a) 및 (b)의 예에 있어서, 케이스(6)는 각 홀더(3)와 함께 하우징(2)의 전체를 덮는 형상으로 되어 있고, 전체적으로 직방체형상의 본체부(63)와, 각각 본체부(63)로부터 돌출설치되어 적어도 홀더(3)와 결합부(21)(끼워맞춤통(21a))의 결합 부분을 둘러싸는 덮개부(61)를 갖는다. 또한, 케이스(6)는 하우징(2)을 사이에 두고 상하에 결합하는 2개의 반할체(6a, 6b)로 구성되어 있다. 각 반할체(6a, 6b)는 각각, 반할체(6a, 6b)끼리가 서로 결합했을 때에 케이스(6)의 본체부(63)를 구성하는 본체부(63a, 63b)와, 각각 반할체(6a, 6b)끼리가 서로 결합했을 때에 케이스(6)의 덮개부(61)를 구성하는 2개의 반원환부(61a, 61b)(1개씩만 도시)를 갖는다. 상기와 같은 반할체(6a, 6b)끼리를 서로 결합시키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나사 고정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케이스(6)가 하우징(2)에 고정된 상태에서는 결합 부분인 결합 볼록부(21e)와 결합편(35)의 결합 구멍(35a)의 내면 부분이 각각 케이스(6)의 덮개부(61)에 의해 덮이고, 결합 볼록부(21e)가 결합 구멍(35a)으로부터 벗어나도록 결합편(35)을 탄성 변형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하우징(2)으로부터의 홀더(3)의 분리가 금지된다. 따라서, 덮개체(5)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본체 블럭(1)으로부터 케이블(PC, CC)을 분리할 때에는 우선, 케이스(6)를 분리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전문지식이 없는 일반 사용자가 부적절한 케이블(PC, CC)로 교환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6)를 구성하는 각 반할체(6a, 6b)는 각각 2개씩의 반원환부(61a, 61b)가 본체부(63a, 63b)를 거쳐서 서로 연결된 형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도 6의 (a) 및 (b)의 예와 같이 합계 4개의 반원환부(51a, 51b)가 4개의 부품으로 나누어 마련되는 경우에 비해 부품점수가 삭감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2)을 덮는 케이스(6)에 의해, 방수성의 향상이나 외관의 개선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전문지식이 없는 일반의 사용자가 부적절한 케이블(PC, CC)로 교환해 버리는 일이 없도록,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홀더(3)를 하우징(2)에 나사 고정시키는 나사(SC1)나,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덮개체(5)나 케이스(6)의 조립에 이용되는 나사(SC2)로서는 각각, 일반적인 공구에서는 분리할 수 없는 특수한 나사(소위, 장난 방지 나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장난 방지 나사로서는 예를 들면 트라이윙 둥근접시머리나사가 있다.
또한, 덮개체(5)나 케이스(6)는 상기와 같이 하우징(2)에 대해 착탈 자유롭게 하는 대신에, 예를 들면 반할체(5a, 5b, 6a, 6b)끼리를 서로 결합시키는 수단으로서 초음파 접합이나 접착제 등을 이용하고, 파괴에 의하지 않으면 하우징(2)으로부터 분리할 수 없는 것으로 해도 좋다. 단, 정비성의 관점에서는 덮개체(5)나 케이스(6)는 하우징(2)에 대해 착탈 자유롭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개체 블럭 2 하우징
3 홀더 4 콘택트
5 덮개체 6 케이스
13 단자 21 결합부
61 덮개부 CC 자동차측 케이블
CC1∼CC4 전선 CC4 신호선
PC 전원측 케이블 PC1∼PC3 전선

Claims (4)

  1. 삭제
  2. 배터리 및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 회로를 구비한 자동차의 상기 충전 회로와 전원 사이에 개재해서 상기 전원으로부터 상기 충전 회로에의 급전을 온 오프하는 급전 제어 회로 및, 상기 급전 제어 회로를 수납한 하우징을 갖는 본체 블럭과,
    상기 전원과 상기 급전 제어 회로를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복수개의 전선을 갖는 전원측 케이블과,
    상기 충전 회로와 상기 급전 제어 회로를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복수개의 전선을 갖는 자동차측 케이블을 구비하고,
    상기 전원측 케이블과 상기 자동차측 케이블의 적어도 한쪽은 해당 한쪽이 갖는 상기 전선의 1개씩에 대응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된 도전 재료로 이루어지는 복수개의 콘택트와, 상기 각 콘택트를 각각 유지한 홀더를 갖고,
    상기 본체 블럭은 각각 도전 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급전 제어 회로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동시에 일부가 상기 하우징 외부에 노출된 형태로 상기 하우징에 유지된 복수개의 단자를 갖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홀더가 착탈 자유롭게 결합하는 적어도 1개의 결합부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전원측 케이블과 상기 자동차측 케이블 중 상기 홀더를 갖는 것에 있어서는 각각, 상기 홀더가 상기 결합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각 콘택트가 대응하는 상기 단자에 접촉 도통함으로써, 각 전선이 각각 상기 급전 제어 회로에 대해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하우징에 대해 결합하는 동시에 상기 하우징에 결합된 상태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홀더와 상기 결합부의 결합 부분을 덮음으로써 상기 하우징으로부터의 상기 홀더의 분리를 금지하는 덮개체를, 각 결합부에 대해 각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전 제어 장치.
  3. 배터리 및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 회로를 구비한 자동차의 상기 충전 회로와 전원 사이에 개재해서 상기 전원으로부터 상기 충전 회로에의 급전을 온 오프하는 급전 제어 회로 및, 상기 급전 제어 회로를 수납한 하우징을 갖는 본체 블럭과,
    상기 전원과 상기 급전 제어 회로를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복수개의 전선을 갖는 전원측 케이블과,
    상기 충전 회로와 상기 급전 제어 회로를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복수개의 전선을 갖는 자동차측 케이블을 구비하고,
    상기 전원측 케이블과 상기 자동차측 케이블의 적어도 한쪽은 해당 한쪽이 갖는 상기 전선의 1개씩에 대응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된 도전 재료로 이루어지는 복수개의 콘택트와, 상기 각 콘택트를 각각 유지한 홀더를 갖고,
    상기 본체 블럭은 각각 도전 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급전 제어 회로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동시에 일부가 상기 하우징 외부에 노출된 형태로 상기 하우징에 유지된 복수개의 단자를 갖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홀더가 착탈 자유롭게 결합하는 적어도 1개의 결합부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전원측 케이블과 상기 자동차측 케이블 중 상기 홀더를 갖는 것에 있어서는 각각, 상기 홀더가 상기 결합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각 콘택트가 대응하는 상기 단자에 접촉 도통함으로써, 각 전선이 각각 상기 급전 제어 회로에 대해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하우징을 덮는 형태로 상기 하우징에 대해 결합하는 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하우징에 결합된 상태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홀더와 상기 결합부의 결합 부분을 덮음으로써 상기 하우징으로부터의 상기 홀더의 분리를 금지하는 덮개부를, 각 결합부에 대해 각각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전 제어 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측 케이블은 상기 자동차가 구비하고 상기 급전 제어 회로를 제어하는 제어 회로에 대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선인 신호선을 갖고,
    상기 급전 제어 회로는 상기 신호선을 거쳐서 입력된 전기 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전 제어 장치.
KR20110016176A 2010-02-23 2011-02-23 급전 제어 장치 KR1012819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037913A JP5576675B2 (ja) 2010-02-23 2010-02-23 給電制御装置
JPJP-P-2010-037913 2010-02-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7699A KR20110097699A (ko) 2011-08-31
KR101281903B1 true KR101281903B1 (ko) 2013-07-03

Family

ID=44063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10016176A KR101281903B1 (ko) 2010-02-23 2011-02-23 급전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10204715A1 (ko)
EP (1) EP2360050B1 (ko)
JP (1) JP5576675B2 (ko)
KR (1) KR101281903B1 (ko)
CN (1) CN102163863B (ko)
TW (1) TWI53113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67826B2 (ja) * 2009-11-20 2014-08-0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給電制御装置
US8964401B2 (en) * 2011-10-14 2015-02-24 Sunpower Corporation Electrical insulator casing
JP2013109981A (ja) * 2011-11-22 2013-06-06 Panasonic Corp 給電制御装置
JP5879561B2 (ja) * 2011-11-22 2016-03-0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給電制御装置
JP6044881B2 (ja) * 2011-11-22 2016-12-1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給電制御装置
JP5692021B2 (ja) * 2011-11-25 2015-04-01 日立金属株式会社 車両用充電装置
CN103070219A (zh) * 2011-12-21 2013-05-01 上海承秉机械有限公司 一种肠衣拔须机
EP3293850B1 (en) * 2012-06-20 2020-11-04 Makita Corporation Charger
US9187290B2 (en) * 2012-09-14 2015-11-17 Lear Corporation Cordset assembly
JP6168447B2 (ja) * 2013-03-28 2017-07-2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給電制御装置
USD737203S1 (en) * 2013-06-04 2015-08-25 Lsis Co., Ltd. Communication terminal for electric automobile chargers
KR101820994B1 (ko) 2013-07-10 2018-01-22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에 부착되는 애드-온 통신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DE102014215169B4 (de) 2013-08-01 2024-01-11 Lear Corporation Elektrische Kabelbaugruppe für Elektrofahrzeuge
US10046658B2 (en) 2013-08-01 2018-08-14 Lear Corporation Electrical cable assembly for electric vehicle
DE102014201764A1 (de) * 2014-01-31 2015-08-06 Siemens Aktiengesellschaft Elektrische Verbindungsvorrichtung und Ladekabel für ein Elektrofahrzeug
DE202014100919U1 (de) * 2014-02-28 2015-06-01 Preci-Dip Sa Adapter für Steckverbinder
CN104124583A (zh) * 2014-06-25 2014-10-29 深圳市泰比特科技有限公司 一种穿戴式产品充电数据传输线连接装置
KR101587357B1 (ko) * 2014-09-01 2016-01-20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차량 충전 장치 및 충전 방법
KR101587356B1 (ko) * 2014-09-01 2016-01-20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차량 충전 장치 및 충전 방법
FR3039015B1 (fr) * 2015-07-17 2019-06-21 Psa Automobiles Sa. Dispositif de recharge de mode 2 connectable a un cordon de recharge de mode 3b, et systeme de recharge associe, pour un vehicule
JP6203788B2 (ja) * 2015-07-23 2017-09-27 ファナック株式会社 回転テーブル装置、および該回転テーブル装置を備えた放電加工機
JP1553317S (ko) * 2015-11-30 2016-07-04
CN106274523B (zh) * 2016-08-10 2018-04-24 潘世澄 电动汽车软接触式自动充电装置
USD804291S1 (en) * 2016-09-26 2017-12-05 Fuse Chicken, Llc Loop holder for a data synchronization cable
JP6793337B2 (ja) * 2017-01-31 2020-12-0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給電制御装置
CN108988613B (zh) * 2017-06-02 2020-07-31 台达电子工业股份有限公司 电源转换器及其电连接器模块
JP6984318B2 (ja) * 2017-10-30 2021-12-17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充電ケーブル用固定具および充電ケーブル用固定具を備えたスイッチ装置
USD835589S1 (en) * 2017-11-15 2018-12-11 Jiangyin Sinbon Electronics Co., Ltd. Controller for controlling charging current
CN109301642B (zh) * 2018-09-29 2019-09-10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集成式电动汽车模式二充电枪
CN109017626B (zh) * 2018-09-30 2024-01-30 合肥一通电子技术有限公司 一种车载局部网络系统
CN111002850A (zh) * 2018-10-04 2020-04-14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电力供应装置和插头保持器
JP7249592B2 (ja) * 2019-03-29 2023-03-3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力供給装置
JP7236693B2 (ja) * 2019-03-29 2023-03-1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力供給装置
IT201900017225A1 (it) * 2019-09-25 2021-03-25 Pizzato Elettrica Srl Dispositivo di protezione per connettori unipolari o multipolari ed assieme connettore comprendente il dispositivo
US12062869B2 (en) 2020-12-18 2024-08-13 Webasto Charging Systems, Inc.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CN115249934A (zh) * 2021-04-26 2022-10-28 台达电子工业股份有限公司 转接组件
DE102021112424A1 (de) 2021-05-12 2022-11-17 Juice Technology AG Mobile Ladevorrichtung und Verfahren zu deren Montage
EP4385806A1 (en) * 2021-08-13 2024-06-19 Changchun Jetty Automotive Technology Co., Ltd. Integrated charging device for electric vehicle
JP7410093B2 (ja) 2021-08-30 2024-01-09 矢崎総業株式会社 電気接続箱
CN113895256A (zh) * 2021-10-09 2022-01-07 深圳市中蓝绿源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充电枪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1098A (ko) * 2000-06-26 2002-01-09 이형도 노트북용 어댑터
KR20030025781A (ko) * 2002-04-12 2003-03-29 (주)신일전기 전선케이블 접속장치
KR20040069319A (ko) * 2001-12-04 2004-08-05 가부시키 가이샤 도쿄 알 앤드 디 급전장치
JP2009240053A (ja) * 2008-03-26 2009-10-15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給電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44625B1 (en) * 1993-04-22 1999-10-06 Sumitomo Wiring Systems, Ltd. Electric vehicle charging connector assembly
JP2916348B2 (ja) * 1993-07-22 1999-07-05 住友電装株式会社 電気自動車充電用コネクタ
JPH0719962U (ja) * 1993-09-20 1995-04-07 日平機器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H07220806A (ja) * 1994-01-31 1995-08-18 Fujitsu Ten Ltd コネクタの抜脱防止構造
JP3135040B2 (ja) * 1995-11-30 2001-02-13 矢崎総業株式会社 電気自動車の充電用コネクタ
JP3174276B2 (ja) * 1996-08-30 2001-06-11 矢崎総業株式会社 圧接コネクタ用ハウジング及びその組付方法
US6371768B1 (en) * 1998-03-31 2002-04-16 Daimlerchrysler Corporation Universal charge port connector for electric vehicles
JP2000217245A (ja) * 1999-01-22 2000-08-0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漏電遮断器
JP3440087B2 (ja) * 2001-06-22 2003-08-25 光利 渡邊 電源ケーブル接続器
JP3614837B2 (ja) * 2002-08-30 2005-01-26 Smk株式会社 電線接続用プラグ
JP3960430B2 (ja) * 2003-10-16 2007-08-15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アンプ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2006120453A (ja) * 2004-10-21 2006-05-11 Maspro Denkoh Corp 配線システム
JP2006120452A (ja) * 2004-10-21 2006-05-11 Maspro Denkoh Corp 配線システム
US7575462B2 (en) * 2005-10-21 2009-08-18 New Macey Pty Limited Electrical rail coupler assembly
KR101199826B1 (ko) * 2006-12-14 2012-11-09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효율적인 압출에 따른 폴리올레핀 미세다공막 제조방법
BRPI0814639A2 (pt) * 2007-07-24 2015-07-14 Panasonic Elec Works Co Ltd Monitor de carregamento
JP2009093958A (ja) * 2007-10-10 2009-04-30 Victor Co Of Japan Ltd コネクタ抜け防止装置
US20090197478A1 (en) * 2008-02-06 2009-08-06 Mandel Larry M Interlocking overmold for electronic assembly
JP5339983B2 (ja) * 2008-05-19 2013-11-13 富士重工業株式会社 電気自動車の制御装置
JP4561878B2 (ja) * 2008-06-05 2010-10-1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蓄電装置を搭載する車両および充電ケーブル
CN102196942B (zh) * 2008-10-28 2014-11-12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用于电动车的充电电缆、充电电缆单元以及充电系统
JP5420883B2 (ja) * 2008-11-17 2014-02-1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充電コネクタおよび充電ケーブルユニット
JP5387024B2 (ja) * 2009-02-12 2014-01-1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充電ケーブル
US8212533B2 (en) * 2009-12-23 2012-07-03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Robot battery charging apparatuses and method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1098A (ko) * 2000-06-26 2002-01-09 이형도 노트북용 어댑터
KR20040069319A (ko) * 2001-12-04 2004-08-05 가부시키 가이샤 도쿄 알 앤드 디 급전장치
KR20030025781A (ko) * 2002-04-12 2003-03-29 (주)신일전기 전선케이블 접속장치
JP2009240053A (ja) * 2008-03-26 2009-10-15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給電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206017A (en) 2012-02-01
EP2360050A3 (en) 2015-06-03
JP2011176920A (ja) 2011-09-08
EP2360050B1 (en) 2016-12-07
KR20110097699A (ko) 2011-08-31
CN102163863B (zh) 2015-07-22
EP2360050A2 (en) 2011-08-24
US20110204715A1 (en) 2011-08-25
TWI531136B (zh) 2016-04-21
JP5576675B2 (ja) 2014-08-20
CN102163863A (zh) 2011-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1903B1 (ko) 급전 제어 장치
KR101229665B1 (ko) 폭발 방지 커넥터
EP2423028B1 (en) Power supply control device
KR101590329B1 (ko) 모듈기기와 외부의 전기접속구조
JP4389984B2 (ja) 防水コネクタ構造、ジャック部品、電子機器及びプラグ部品
US20140273645A1 (en) Replaceable Adapter For Use With Vehicular Battery Charging System
CN104205516A (zh) 用于大电流应用的安全系统
JP2017208303A (ja) プラグコネクタ及び電源回路遮断装置
JP5522342B2 (ja) モータの電力受給のためのモータ電源端子接続部品、ブラシホルダ、およびそれらを利用したモータ
CN110832710A (zh) 充电用插座
JP6293820B2 (ja) 充電コネクタ
JP2016171028A (ja) 電池モジュール
US9692172B2 (en) Connector
US7871288B1 (en) Power connector structure
JP2014195339A (ja) 給電制御装置
EP1206009B1 (en) Wire connecting connector
JP2018092742A (ja) コネクタ保護ケース、防水中継コネクタ装置及びそれを備える電動工具
JP2001076807A (ja) 防水型電気コネクタ
CN115117668A (zh) 连接器和连接器组件
JP2023061414A (ja) 雌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装置
WO2023157685A1 (ja) コネクタ
CN113809582B (zh) 用于电连接器的连接器壳体和连接器组件
CN217522275U (zh) 一种电连接头
KR200368550Y1 (ko) 배터리 취부 구조
JP2013069715A (ja) 有線電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