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4575Y1 - 배선 분기 겸용 텀블러 스위치 장치 - Google Patents

배선 분기 겸용 텀블러 스위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4575Y1
KR200494575Y1 KR2020200001002U KR20200001002U KR200494575Y1 KR 200494575 Y1 KR200494575 Y1 KR 200494575Y1 KR 2020200001002 U KR2020200001002 U KR 2020200001002U KR 20200001002 U KR20200001002 U KR 20200001002U KR 200494575 Y1 KR200494575 Y1 KR 2004945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wiring
switching
housing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10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2182U (ko
Inventor
서상진
Original Assignee
(주)상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상건 filed Critical (주)상건
Priority to KR20202000010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4575Y1/ko
Publication of KR2021000218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218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45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457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02Details
    • H01H23/10Adaptation for built-in fu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02Details
    • H01H2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3/14Tumblers

Landscapes

  • Distribution Board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물의 수직벽의 일정 높이에 설치되는 텀블러 스위치 장치 측에서 배선을 분기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용이한 전기 입선 및 분기 접속 작업을 가능하게 하여 작업 효율성을 향상시키며, 건물 천장부에서의 전기 배선 작업을 위한 사다리 등의 장비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천장부에서의 전기 배선 작업으로 인한 작업자의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배선 분기 겸용 텀블러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건물 벽면에 설치된 스위치 하우징 브라켓에 고정되는 브라켓 어셈블리; 전기 기구의 전선이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전원을 온/오프(on/off) 단속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브라켓 어셈블리에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스위칭 어셈블리; 상기 스위칭 어셈블리에 대하여 교차하여 구비되며, 배전반의 전선을 분기시키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배선분기 어셈블리; 상기 스위칭 어셈블리를 상기 브라켓 어셈블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도록 구성되는 제1 착탈 결합 수단; 및 상기 배선분기 어셈블리를 상기 브라켓 어셈블리 또는 상기 스위칭 어셈블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도록 구성되는 제2 착탈 결합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 분기 겸용 텀블러 스위치 장치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배선 분기 겸용 텀블러 스위치 장치 {TUMBLER SWITCH COMPRISING ELECTIRCAL WIRING BRANCH FUNCTION}
본 고안은 배선 분기 겸용 텀블러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의 수직벽의 일정 높이에 설치되는 텀블러 스위치 장치 측에서 배선을 분기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용이한 전기 입선 및 분기 접속 작업을 가능하게 하여 작업 효율성을 향상시키며, 건물 천장부에서의 전기 배선 작업을 위한 사다리 등의 장비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천장부에서의 전기 배선 작업으로 인한 작업자의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배선 분기 겸용 텀블러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의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 전원을 연결할 수 있도록 벽면 등에 설치하여 사용되는 스위치는 내부의 접속 부분과 전선을 보호하면서, 실내의 미감을 주기 위하여 스위치 커버를 체결한 형태가 대부분이다.
보통 실내에 설치되어 있는 조명기기의 점등 및 소등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는 벽에 설치되어 수동으로 조작되는 텀블러 스위치(Tumbler Switch)가 많이 이용된다.
텀블러 스위치는 스위치의 일종으로, 가정 또는 사무실 등의 실내외 조명 스위치로 많이 사용되는 형태의 스위치로서,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조명기기에 공급되는 전원을 개폐시킴으로써 조명기기의 점등과 소등을 제어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텀블러 스위치는, 벽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하우징, 이 하우징의 전면에 설치되는 브라켓, 이 브라켓의 전면을 마감하는 스위치 커버, 상기 브라켓을 이용하여 조립되는 스위치 어셈블리, 이 스위치 어셈블리와 조립되는 노브 어셈블리 등을 포함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노브 어셈블리는 스위치 어셈블리 측에 피봇 구조로 조립되어 전원 온/오프(ON/OFF) 단속기능을 수행하는 노브 몸체와, 이 노브 몸체의 전면에 결합되어 온/오프(ON/OFF) 식별 기능을 수행하는 노브 커버 등을 포함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종래의 텀블러 스위치는 단순히 노브의 조작에 따른 스위치 어셈블리의 온/오프 기능만을 실행할 뿐 기타 다른 기능은 전혀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건물 내부의 전등 및 전열 배선은 각층의 분전반으로부터 스틸 파이프 또는 PVC파이프를 시멘트에 매설하고 각각의 전등 위치에 아웃렛 박스(outlet box)를 설치한 후, 플렉서블관을 등기구나 콘센트에 연장하여 접속하는 방법으로 배선작업을 하였다.
도 1은 종래의 배선 작업에 의한 배선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건물의 천장 시멘트층(10) 내부에 배선용 배관(20)을 내설하고, 상기 배선용 배관(20)에 배선을 입선하여 등기구 위치에 설치된 아웃렛 박스(16)에서 등기구(32)까지 일단에 커넥터(34)가 연결된 플렉서블관(36)을 등기구(32)까지 연장하여 상기 등기구(32)에 커넥터(34)를 연결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배선방법은 각 등기구(32)와 전열 콘센트로 연결되는 베선용 배관이 시멘트층(10)에 매설되므로 건물의 용도와 구조 변경에 따라 배선 작업을 다시 할 경우에 건물의 개/보수비가 증가하고 배선의 입선 작업과 분기 접속 작업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천장에서 배선의 입선 작업과 분기 접속 작업을 행할 경우, 사다리 등을 이용해야 하기 때문에, 사다리 등의 작업 장비를 필요로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하며, 낙상 등의 작업자 안전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다시 말해서, 종래 전기 배선 시공 방법에 따르면, 천장의 조인트박스에 접속점이 형성되므로, 전기 배선 시공 기술자는 A자형 사다리를 타고 올라가 조인트박스 내 전원선과 전등선을 접속시켜야 하므로 2인 1조로 작업해야 하는 불편함이 따른다.
그리고 접속불량이나 누전으로 인한 유지 보수의 경우에도 콘크리트 아래에 설치된 실내 천장 중앙부 주위의 석고 보드를 제거해야 하는 불편함이 따른다.
또한, 종래에는 분전함으로부터 인출되는 전원선이 구획별 실내 천장 중앙부를 따라 배열되어야 하므로 전원선 자재가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67183(2013.06.10. 공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65620(2013.02.28. 공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364974(2004.10.15. 공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52444(2011.02.28.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379752(2003.04.10. 공고)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3-0070433(2003.08.30. 공개)
따라서,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건물의 수직벽의 일정 높이에 설치되는 텀블러 스위치 장치 측에서 배선을 분기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용이한 전기 입선 및 분기 접속 작업을 가능하게 하여 작업 효율성을 향상시키며, 필요 장비를 간소화하여 작업자의 이동성과 작업 환경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배선 분기 겸용 텀블러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건물 천장부에서의 전기 배선 작업을 위한 사다리 등의 장비를 필요로 하지 않아 천장부에서의 전기 배선 작업으로 인한 작업자의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분전함으로부터 인출되는 전원선이 구획별 실내 바닥부를 따라 배열시킬 수 있는 배선 분기 겸용 텀블러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관점에 따르면, 건물 벽면에 설치된 스위치 하우징 브라켓에 고정되는 브라켓 어셈블리; 전기 기구의 전선이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전원을 온/오프(on/off) 단속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브라켓 어셈블리에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스위칭 어셈블리; 상기 스위칭 어셈블리에 대하여 교차하여 구비되며, 배전반의 전선을 분기시키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배선분기 어셈블리; 상기 스위칭 어셈블리를 상기 브라켓 어셈블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도록 구성되는 제1 착탈 결합 수단; 및 상기 배선분기 어셈블리를 상기 브라켓 어셈블리 또는 상기 스위칭 어셈블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도록 구성되는 제2 착탈 결합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 분기 겸용 텀블러 스위치 장치이 제공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어셈블리는, 하기 스위칭 노브가 노출되는 개방부가 형성되는 결합 브라켓, 및 상기 결합 브라켓의 전면에 결합되고, 하기 스위칭 노브가 노출되는 개방부가 형성되는 마감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칭 어셈블리는, 한 쌍의 전선 접속구멍이 복수 형성되는 함체형의 스위치 하우징과, 상기 스위치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전선 접속구멍을 통해 삽입되는 전선이 연결되는 고정 접점과, 상기 고정 접점의 상부에 구비되어 시이소 운동에 따라 상기 고정 접점을 통전 및 단락시키는 가동 접점, 및 상기 가동 접점의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회동에 따라 상기 가동 접점을 시이소 운동시키는 스위칭 노브를 포함하고, 상기 배선분기 어셈블리는, 하나 이상의 구획 격벽에 의해 복수의 구획 공간을 형성하는 함체 형태의 모듈 하우징과, 상기 모듈 하우징의 상면에 복수 형성되는 한 쌍의 전선 인입구멍과, 상기 전선 입입구멍으로 인입되는 전선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기접속 플레이트, 및 상기 모듈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전선 인입구멍으로 인입된 전선을 상기 전기접속 플레이트 측으로 탄성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탄성 지지구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칭 어셈블리와 상기 배선분기 어셈블리는 서로 직교하게 구비될 수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전기접속 플레이트는, 상기 한 쌍의 전선 인입구멍 각각의 하방 연장 선상으로 형성되는 접속 플레이트부, 및 상기 접속 플레이트부 각각의 하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공통 플레이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지지구는 역 "S"자 형태로 형성되되 하단부는 상기 공통 플레이트부에 고정되며, 상단부는 경사지게 연장되며 연장단부가 상기 전기접속 플레이트의 접속 플레이트부에 탄성적으로 접촉되게 구비되어 인입되는 전선을 상기 전기접속 플레이트 측으로 탄성 접촉시키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배선분기 어셈블리는, 상단 일부가 상기 모듈 하우징의 상면 측으로 노출되되 그 모듈 하우징의 상면 측으로 탈락 방지되게 구비되고, 하부는 상기 탄성 지지구의 상단부를 누름 가능하게 접촉하는 누름 조작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제1 착탈 결합 수단은, 상기 결합 브라켓의 후면에서 상기 개방부의 좌우 양측에 대향하여 형성되는 제1 한 쌍의 돌출 플랜지와, 상기 제1 한 쌍의 돌출 플랜지의 대향하는 면에 돌출 형성되는 제1 걸림 후크, 및 상기 스위칭 하우징의 양 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걸림 후크에 걸림 고정되는 제1 걸림턱;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착탈 결합 수단은, 상기 결합 브라켓의 후면에서 상기 개방부의 상하 양측에 대향하여 형성되는 제2 한 쌍의 돌출 플랜지와, 상기 제2 한 쌍의 돌출 플랜지의 대향하는 면에 돌출 형성되는 제2 걸림 후크, 및 상기 모듈 하우징의 양 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걸림 후크에 걸림 고정되는 제2 걸림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제1 착탈 결합 수단 및 제2 착탈 결합 수단 각각은 상기 제1 걸림 후크와 제2 걸림 후크 각각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가이드 홈, 및 상기 제1 걸림턱과 제2 걸림턱 각각의 중앙부에서 그 제1 걸림턱과 제2 걸림턱 각각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며, 장착 시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가이드되는 가이드 돌기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이드 돌기의 길이는 상기 제1 걸림턱과 제2 걸림턱 각각이 상기 걸림 후크에 걸림 고정될 때 상기 가이드 홈에 상기 가이드 돌기가 삽입된 상태가 되는 길이를 갖고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제1 착탈 결합 수단은, 상기 결합 브라켓의 후면에서 상기 개방부의 좌우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제1 가이드 레일과, 상기 제1 가이드 레일의 바닥면에 일정 간격을 갖고 형성되는 복수의 제1 장착홈, 상기 제1 가이드 레일의 측벽에 일정 간격을 갖고 형성되는 제1 안착홈, 상기 스위칭 하우징의 양측 하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 장착홈에 삽입 고정되는 제1 장착 돌기, 및 상기 스위칭 하우징의 양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 안착홈에 안착 결합되는 제1 안착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착탈 결합 수단은, 상기 결합 브라켓의 후면에서 상기 개방부의 상하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제2 가이드 레일과, 상기 제2 가이드 레일의 바닥면에 일정 간격을 갖고 형성되는 복수의 제2 장착홈, 상기 제2 가이드 레일의 측벽에 일정 간격을 갖고 형성되는 제2 안착홈, 상기 스위칭 하우징의 양측 하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2 장착홈에 삽입 고정되는 제2 장착 돌기, 및 상기 스위칭 하우징의 양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2 안착홈에 안착 결합되는 제2 안착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제1 착탈 결합 수단은, 상기 결합 브라켓의 후면에서 상기 개방부의 좌우 양측에 대향하여 형성되는 한 쌍의 돌출 플랜지와, 상기 한 쌍의 돌출 플랜지의 대향하는 면에 돌출 형성되는 걸림 후크, 및 상기 스위칭 하우징의 양 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걸림 후크에 걸림 고정되는 걸림턱;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착탈 결합 수단은, 상기 모듈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의 양측벽 하단에 돌출 형성되는 탄성 돌기 결합편, 상기 탄성 돌기 결합편과 상기 스위치 하우징의 양 벽면 중 하나에 형성되는 안착홈, 및 상기 탄성 돌기 결합편과 상기 스위치 하우징의 양 벽면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안착홈에 안착 결합되는 안착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배선 분기 겸용 텀블러 스위치 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본 고안은 건물의 수직벽의 일정 높이에서 전기 입선 및 분기 접속 작업을 가능하게 하여 작업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고안은 전기 배선 작업에 이용되는 필요 장비를 간소화하여 작업자의 이동성과 작업 환경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고안은 건물 천장부에서의 전기 배선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아 낙상 등의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본 고안은 분전함으로부터 인출되는 전원선이 구획별 실내 바닥부를 따라 배열시키고, 전기 배선 시공의 편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전원선을 실내 측벽을 따라 배치함으로써 전기 배선 자재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배선 작업에 의한 배선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배선 분기 겸용 텀블러 스위치 장치를 정방 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배선 분기 겸용 텀블러 스위치 장치를 후방 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배선 분기 겸용 텀블러 스위치 장치를 후방 측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배선 분기 겸용 텀블러 스위치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배선 분기 겸용 텀블러 스위치 장치를 구성하는 장착 브라켓 부재의 후방 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배선 분기 겸용 텀블러 스위치 장치를 구성하는 장착 브라켓 부재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배선 분기 겸용 텀블러 스위치 장치를 구성하는 스위칭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배선 분기 겸용 텀블러 스위치 장치를 구성하는 배선분기 어셈블리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배선 분기 겸용 텀블러 스위치 장치를 구성하는 배선분기 어셈블리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배선 분기 겸용 텀블러 스위치 장치를 구성하는 배선분기 어셈블리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배선 분기 겸용 텀블러 스위치 장치를 이용하여 배선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고안에 따른 배선 분기 겸용 텀블러 스위치 장치가 2구 텀블러 스위치 장치로 구성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고안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단계가 다른 단계와 "상에" 또는 "전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단계가 다른 단계와 직접적 시계열적인 관계에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각 단계 후의 혼합하는 단계와 같이 두 단계의 순서에 시계열적 순서가 바뀔 수 있는 간접적 시계열적 관계에 있는 경우와 동일한 권리를 포함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배선 분기 겸용 텀블러 스위치 장치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배선 분기 겸용 텀블러 스위치 장치를 정방 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배선 분기 겸용 텀블러 스위치 장치를 후방 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배선 분기 겸용 텀블러 스위치 장치를 후방 측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배선 분기 겸용 텀블러 스위치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배선 분기 겸용 텀블러 스위치 장치를 구성하는 장착 브라켓 부재의 후방 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배선 분기 겸용 텀블러 스위치 장치를 구성하는 장착 브라켓 부재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배선 분기 겸용 텀블러 스위치 장치를 구성하는 스위칭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배선 분기 겸용 텀블러 스위치 장치를 구성하는 배선분기 어셈블리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배선 분기 겸용 텀블러 스위치 장치를 구성하는 배선분기 어셈블리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배선 분기 겸용 텀블러 스위치 장치를 구성하는 배선분기 어셈블리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배선 분기 겸용 텀블러 스위치 장치를 이용하여 배선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고안에 따른 배선 분기 겸용 텀블러 스위치 장치는, 도 2 내지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게 브라켓 어셈블리(100); 스위칭 어셈블리(200); 배선분기 어셈블리(300); 제1 착탈 결합 수단(400); 및 제2 착탈 결합 수단(500)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에 따른 배선 분기 겸용 텀블러 스위치 장치는, 도 2 내지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건물의 벽면에 설치된 스위치 하우징 브라켓에 고정되는 브라켓 어셈블리(100); 상기 브라켓 어셈블리(100)에 결합되고, 배전반의 전선과 전등 기구 등의 전기 기구의 전선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며, 전원을 온/오프 단속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스위칭 어셈블리(200); 상기 스위칭 어셈블리(200)의 상면에서 그 스위칭 어셈블리(200)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결합되며, 배전반의 전선을 분기시켜 다른 전기 기구에 연결되게 전선이 접속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배선분기 어셈블리(300); 상기 스위칭 어셈블리(200)를 상기 브라켓 어셈블리(10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도록 구성되는 제1 착탈 결합 수단(400); 및 상기 배선분기 어셈블리(300)를 상기 브라켓 어셈블리(100) 또는 상기 스위칭 어셈블리(20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도록 구성되는 제2 착탈 결합 수단(5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브라켓 어셈블리(100)는, 벽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하우징의 전면에 결합 설치되며, 중앙부에 아래 설명될 스위칭 어셈블리(200)의 조작 노브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개방부(111)를 갖고 형성되는 결합 브라켓(110), 및 상기 결합 브라켓(110)의 전면에 결합되고, 아래 설명될 스위칭 어셈블리(200)의 스위칭 노브(220)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중앙부에 개방부(121)를 갖고 형성되는 마감 커버(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결합 브라켓(110)의 개방부(111)의 사이즈는 스위칭 어셈블리(200)의 스위칭 노브(220)의 사이즈를 고려한 개구 사이즈를 갖고 형성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결합 브라켓(110)의 개방부(111)는 단일의 전등 기구를 온/오프 조작하기 위위하여 하나의 스위칭 어셈블리(200)가 구비되는 경우 그 스위칭 어셈블리(200)의 단일 스위칭 노브(220)를 노출시키면서 커버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결합 브라켓(110)의 후면부에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될 착탈 결합 수단(400)의 일 구성부가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스위칭 어셈블리(200)는 상기 브라켓 어셈블리(100)의 결합 브라켓(110)에 결합되고, 배전반으로부터의 전원선과 전등 기구 등의 전선이 전기적으로 온/오프 단속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위칭 어셈블리(200)는, 한 쌍의 전선 접속구멍(211)이 복수 형성되는 함체형의 스위치 하우징(210)과, 상기 스위치 하우징(210) 내에 구비되어 전선이 연결되는 고정 접점(미도시)과, 상기 고정 접점의 상부에 구비되어 시이소 운동에 따라 상기 고정 접점을 통전 및 단락시키는 가동 접점(미도시), 및 상기 가동 접점(미도시)의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회동에 따라 상기 가동 접점을 시이소 운동시키는 스위칭 노브(2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치 하우징(210)의 상면 중앙부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배선분기 어셈블리(300)의 하면이 안착되는 안착홈(212)이 형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치 하우징(210)에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될 착탈 결합 수단(400)의 일 구성부가 형성된다.
이러한 스위칭 어셈블리(200)는 스위칭할 전기 기구의 개수에 상응하여 둘 이상의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설명한다.
다음으로, 상기 배선분기 어셈블리(300)는, 상기 브라켓 어셈블리(100) 또는 상기 스위칭 어셈블리(200)에 결합되며 배전반의 전선을 분기시켜 하나 이상의 다른 전기 기구에 연결되게 전선이 접속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에서, 다른 전기 기구는 상기 스위칭 어셈블리에 의해 온/오프 전환되는 전기 기구 이외의 전기 기구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배선분기 어셈블리(300)는, 도 10 및 도 11에 잘 나타낸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구획 격벽(311)에 의해 구획되어 내부에 복수의 구획 공간을 형성하는 함체 형태의 모듈 하우징(310)과, 상기 모듈 하우징(310)의 상면에 복수 형성되는 한 쌍의 전선 인입구멍(320)과, 상기 전선 입입구멍(320)으로 인입되는 전선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기접속 플레이트(330), 및 상기 모듈 하우징(310) 내에 구비되어 상기 전선 인입구멍(320)으로 인입된 전선을 탄성 지지하면서 상기 전기접속 플레이트(330)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탄성 지지구(3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모듈 하우징(310)은 일면(하면) 개방된 함체형의 하우징 바디(312), 및 상기 하우징 바디(312)의 개방부를 커버하는 커버 플레이트(31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모듈 하우징(310)의 하부는 상기 스위치 하우징(210)의 안착홈(212)에 안착 결합되거나 요철 결합되는 요부 또는 돌출부를 갖고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 나타낸 예시에서는 상기 모듈 하우징(310)의 하부가 요부를 갖고 형성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상기 모듈 하우징(310)에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될 착탈 결합 수단(400)의 일 구성부가 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전선 인입구멍(320)은, 모듈 하우징(310)의 상면에 길이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갖고 복수 형성되며, 이는 복수의 다른 전기 기구에 대한 배선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계속해서, 상기 전기접속 플레이트(330)는, 상기 한 쌍의 전선 인입구멍(320) 각각에 대하여 그 전선 인입구멍(320)의 연장 선상으로 형성되는 접속 플레이트부(331), 및 상기 접속 플레이트부(331) 각각의 하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모듈 하우징(310)의 바닥에 구비되는 공통 플레이트부(33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 지지구(340)는 전체적으로 역 "S"자 형태로 형성되되 하단부는 상기 공통 플레이트부(332)에 고정되며, 상단부는 경사지게 연장되며 상기 전기접속 플레이트(330)의 접속 플레이트부(331)에 탄성적으로 접촉되게 구비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전선 인입구멍(320)을 통해 삽입되는 전선은 전기접속 플레이트(330)의 접속 플레이트부(331)와 탄성 지지구(340) 사이에 위치되되, 상기 탄성 지지구(340)의 상단부에 의해 접속 플레이트부(331) 측으로 탄성적으로 지지되면서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된다.
또한, 상기 배선분기 어셈블리(300)는, 상단 일부가 상기 모듈 하우징(300)의 상면 측으로 노출되되 그 모듈 하우징(300)의 상면 측으로 탈락 방지되게 구비되고, 하부는 상기 탄성 지지구(340)의 상단부를 누름 가능하게 구비되는 누름 조작구(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누름 조작구(350)가 더 구성되는 경우, 이 누름 조작구(350)의 상단을 누르게 되면, 상기 탄성지지구(340)의 상단부가 눌려져 전기접속 플레이트(330)의 접속 플레이트부(331)로부터 간극을 형성하게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전선 인입구멍(320)으로 전선을 삽입한 후 누름 조작을 해제하게 된다. 반대의 동작은 역 순서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누름 조작구(350)가 구성됨으로써 전선의 접속 및 접속해제를 보다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배선분기 어셈블리(300)는 상기 브라켓 어셈블리(100)의 결합 브라켓(110)에 결합됨에 있어 상기 스위칭 어셈블리(200)와 평행하게 장착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1 착탈 결합 수단(400)은, 상기 스위칭 어셈블리(200)를 상기 브라켓 어셈블리(100)의 결합 브라켓(1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착탈 결합 수단(400)은 일 실시 예로 상기 결합 브라켓(110)의 후면 양측에 형성되는 한 쌍의 돌출 플랜지(제1 돌출 플랜지)(410)와, 상기 돌출 플랜지(410)의 내면 측에 돌출 형성되는 걸림 후크(제1 걸림 후크)(420), 및 상기 스위칭 어셈블리(200)의 스위칭 하우징(210)의 양 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돌출 플랜지(410) 사이에 장착될 때 상기 걸림 후크(420)에 걸림 고정되는 걸림턱(제1 걸림턱)(43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돌출 플랜지부(410)는 상기 결합 브라켓(410)의 후면에서 상기 개방부(111)의 양측에 대향하여 형성된다.
상기 걸림 후크(420)는 하면이 밑면이 되는 삼각형의 단면 형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1 착탈 결합 수단(400)은 상기 스위칭 어셈블리(200)의 스위칭 하우징(210)의 장착을 가이드하고, 장착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고정하기 위한 가이드 고정 수단(제1 가이드 고정 수단)(4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고정 수단(450)은 상기 걸림 후크(420)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가이드 홈(451)과, 상기 걸림턱(430)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며, 장착 시 상기 가이드 홈(451)을 따라 가이드되는 가이드 돌기(452)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가이드 돌기(452)의 길이는 상기 걸림 후크(420)의 하면에 상기 걸림턱(430)의 상면에 걸림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홈(451)에 상기 가이드 돌기(452)가 삽입된 상태가 되는 길이를 갖고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 고정 수단(450)은 상기 돌출 플랜지(410)의 내면에 그 돌출 플랜지(410)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그 사이에 상기 스위칭 어셈블리(200)의 스위칭 하우징(210)의 양 가장자리를 접촉 지지하기 위한 지지 돌기(453)가 일정 간격을 갖고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1 착탈 결합 수단(400)은 다른 실시 예로 상기 결합 브라켓(110)의 후면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가이드 레일의 바닥면에 일정 간격을 갖고 형성되는 복수의 장착홈과, 상기 가이드 레일의 측벽에 일정 간격을 갖고 형성되는 안착홈과, 상기 스위칭 어셈블리(200)의 스위칭 하우징(210)의 양측 하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장착홈에 삽입 고정되는 장착 돌기, 및 상기 스위칭 어셈블리(200)의 스위칭 하우징(210)의 양측면의 모듈 하우징(310)의 양측면 각각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안착홈에 안착 결합되는 안착 돌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안착홈과 안착 돌기는 라운드지게 형성되며, 각각 그 형성면에서 하부 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다른 실시 예의 제1 착탈 결합 수단(400)은 상기 안착홈의 상부 측에 장착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속하는 제1 요철부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 돌기의 상부 측에 장착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속하는 제2 요철부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안착홈의 상기 제1 요철부의 요부의 연장선상에 형성되며, 상기 안착돌기는 상기 제2 요철부의 요부에 형성되게 된다.
이와 같이 다른 실시 예의 제1 착탈 결합 수단(400)은, 상기 제1 요철부와 제2 요철부가 형성됨으로써 장착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빠짐없이 견고하게 위치 고정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2 착탈 결합 수단(500)은, 상기 배선분기 어셈블리(300)를 상기 브라켓 어셈블리(100)의 결합 브라켓(110) 또는 상기 스위칭 어셈블리(20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착탈 결합 수단(500)은 일 실시 예로 상기 결합 브라켓(110)의 후면 상하 양측에 대향하여 형성되는 한 쌍의 돌출 플랜지(제2 돌출 플랜지)510)와, 상기 돌출 플랜지(510)의 내면 측에 돌출 형성되는 걸림 후크(제2 걸림 후크)와, 상기 배선분기 어셈블리(300)의 모듈 하우징(310)의 양 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돌출 플랜지(510) 사이에 장착될 때 상기 걸림 후크(520)에 걸림 고정되는 걸림턱(제2 걸림턱)(53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돌출 플랜지부(510)는 상기 결합 브라켓(410)의 후면에서 상기 개방부(111)의 상하 양측에 대향하여 형성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제1 착탈 결합 수단(400)의 한 쌍의 돌출 플랜지부(410)가 대향하여 형성되는 양측에 직교하는 상하 방향의 양측에 형성되게 된다.
상기 걸림 후크(520)는 하면이 밑면이 되는 삼각형의 단면 형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2 착탈 결합 수단(500)은 상기 배선분기 어셈블리(300)의 모듈 하우징(310)의 장착을 가이드하고, 장착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고정하기 위한 가이드 고정 수단(제2 가이드 고정 수단)(5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고정 수단(550)은 상기 걸림 후크(520)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가이드 홈(551)과, 상기 걸림턱(530)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며, 장착 시 상기 가이드 홈(551)을 따라 가이드되는 가이드 돌기(552)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가이드 돌기(552)의 길이는 상기 걸림 후크(520)의 하면에 상기 걸림턱(530)의 상면에 걸림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홈(551)에 상기 가이드 돌기(552)가 삽입된 상태가 되는 길이를 갖고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 고정 수단(550)은 상기 돌출 플랜지(410)의 내면에 그 돌출 플랜지(510)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그 사이에 상기 배선분기 어셈블리(300)의 모듈 하우징(310)의 양 가장자리를 접촉 지지하기 위한 지지 돌기(553)가 일정 간격을 갖고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2 착탈 결합 수단(500)은 다른 실시 예로 상기 결합 브라켓(110)의 후면 상하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가이드 레일의 바닥면에 일정 간격을 갖고 형성되는 복수의 장착홈과, 상기 가이드 레일의 측벽에 일정 간격을 갖고 형성되는 안착홈과, 상기 배선분기 어셈블리(300)의 모듈 하우징(310)의 양측 하면 각각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장착홈에 삽입 고정되는 장착 돌기, 및 상기 배선분기 어셈블리(300)의 모듈 하우징(310)의 양측면 각각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안착홈에 안착 결합되는 안착 돌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안착홈과 안착 돌기는 라운드지게 형성되며, 각각 그 형성면에서 하부 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다른 실시 예의 제2 착탈 결합 수단(500)은 상기 안착홈의 상부 측에 장착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속하는 제1 요철부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 돌기의 상부 측에 장착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속하는 제2 요철부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안착홈의 상기 제1 요철부의 요부의 연장선상에 형성되며, 상기 안착돌기는 상기 제2 요철부의 요부에 형성되게 된다.
이와 같이 다른 실시 예의 제2 착탈 결합 수단(500)은, 상기 제1 요철부와 제2 요철부가 형성됨으로써 장착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빠짐없이 견고하게 위치 고정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 착탈 결합 수단(500)은 또 다른 실시 예로 상기 배선분기 어셈블리(300)의 모듈 하우징(310)의 길이방향으로의 양측벽 하단에서 돌출 형성되는 탄성 돌기 결합편, 상기 탄성 돌기 결합편과 상기 스위칭 어셈블리(200)의 스위치 하우징(210)의 폭방향 양 벽면 중 하나에 형성되는 안착홈, 및 상기 탄성 돌기 결합편과 상기 스위칭 어셈블리(200)의 스위치 하우징(210)의 폭방향 양 벽면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안착홈에 안착 결합되는 안착 돌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또 다른 실시 예의 제2 착탈 결합 수단(500)은 상기 배선분기 어셈블리(300)의 길이가 상기 브라켓 어셈블리(200)에 장착되는 스위칭 어셈블리(200)의 폭에 상응하게 형성되며, 이러한 또 다른 실시 예의 제2 착탈 결합 수단(500)은 스위칭 어셈블리(200)의 스위치 하우징(210)에 결합되게 된다.
또한, 상기 스위칭 어셈블리(200)가 복수 구비되는 경우, 이들 스위칭 어셈블리(200)의 전체 폭 사이즈를 고려하여 상기 배선분기 어셈블리(300)의 모듈 하우징(310)의 길이를 갖도록 설계하여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설명에서 제1 착탈 결합 수단(400)과 제2 착탈 결합 수단(500)의 각 실시 예들은 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배선 분기 겸용 텀블러 스위치 장치에서 배선 분기 예를 설명하면,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건축물 내 분전함으로부터의 전원선(P1, P2)은 스위칭 어셈블리(200)의 하나의 전선 연결구멍(211)과 배선분기 어셈블리(300)의 하나의 전선 인입구멍(320)을 통해 접속시키고, 온/오프 제어할 전등 기구의 전등 부하선(L1, L2)은 스위칭 어셈블리(200)의 다른 전선 연결구멍(211)과 배선분기 어셈블리(300)의 다른 전선 인입구멍(320)을 통해 접속시킨다. 또한, 다른 전기 기구에 연결되는 배선 분기선(B1, B2) 또한 스위칭 어셈블리(200)의 또 다른 전선 연결구멍(211)과 배선분기 어셈블리(300)의 또 다른 전선 인입구멍(320)을 통해 접속시킴으로써 텀블러 스위치 장치를 통해 배선 분기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3은 본 고안에 따른 배선 분기 겸용 텀블러 스위치 장치가 2구 텀블러 스위치 장치로 구성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스위칭 어셈블리(200)가 두 개로 장착되고, 그 일측에 배선분기 어셈블리(300)가 직교하게 장착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배선 분기 겸용 텀블러 스위치 장치는, 도 13에 나타낸 예시의 2구 텀블러 스위치 장치뿐만 아니라, 그 이상의 온/오프 조작이 가능한 텀블러 스위치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배선 분기 겸용 텀블러 스위치 장치에 의하면, 건물의 수직벽의 일정 높이에서 전기 입선 및 분기 접속 작업을 가능하게 하여 작업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전기 배선 작업에 이용되는 필요 장비를 간소화하여 작업자의 이동성과 작업 환경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건물 천장부에서의 전기 배선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아 낙상 등의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본 고안은 분전함으로부터 인출되는 전원선이 구획별 실내 바닥부를 따라 배열시키고, 전기 배선 시공의 편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전원선을 실내 측벽을 따라 배치함으로써 전기 배선 자재를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실시 예들은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고안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고안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브라켓 어셈블리
110: 결합 브라켓
111, 121: 개방부
120: 마감 커버
200: 스위칭 어셈블리
210: 스위치 하우징
211: 전선 접속구멍
212: 안착홈
220: 스위칭 노브
300: 배선분기 어셈블리
310: 모듈 하우징
311: 구획 격벽
312: 하우징 바디
313: 커버 플레이트
320: 전선 인입구멍
330: 전기접속 플레이트
331: 접속 플레이트부
332: 공통 플레이트부
340: 탄성 지지구
350: 누름 조작구
400: 제1 착탈 결합 수단
500: 제2 착탈 결합 수단
410, 510: 돌출 플랜지
420, 520: 걸림 후크
430, 530: 걸림턱
450, 550: 가이드 고정 수단
451, 551: 가이드 홈
452, 552: 가이드 돌기
453, 553: 지지 돌기
P1, P2: 전원선
L1, L2: 전등 부하선
B1, B2: 배선 분기선

Claims (7)

  1. 건물 벽면에 설치된 스위치 하우징 브라켓에 고정되는 브라켓 어셈블리;
    전기 기구의 전선이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전원을 온/오프(on/off) 단속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브라켓 어셈블리에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스위칭 어셈블리;
    상기 스위칭 어셈블리에 대하여 교차하여 구비되며, 배전반의 전선을 분기시키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배선분기 어셈블리;
    상기 스위칭 어셈블리를 상기 브라켓 어셈블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도록 구성되는 제1 착탈 결합 수단; 및
    상기 배선분기 어셈블리를 상기 브라켓 어셈블리 또는 상기 스위칭 어셈블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도록 구성되는 제2 착탈 결합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 어셈블리는, 하기 스위칭 노브가 노출되는 개방부가 형성되는 결합 브라켓, 및 상기 결합 브라켓의 전면에 결합되고, 하기 스위칭 노브가 노출되는 개방부가 형성되는 마감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칭 어셈블리는, 한 쌍의 전선 접속구멍이 복수 형성되는 함체형의 스위치 하우징과, 상기 스위치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전선 접속구멍을 통해 삽입되는 전선이 연결되는 고정 접점과, 상기 고정 접점의 상부에 구비되어 시이소 운동에 따라 상기 고정 접점을 통전 및 단락시키는 가동 접점, 및 상기 가동 접점의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회동에 따라 상기 가동 접점을 시이소 운동시키는 스위칭 노브를 포함하고,
    상기 배선분기 어셈블리는, 하나 이상의 구획 격벽에 의해 복수의 구획 공간을 형성하는 함체 형태의 모듈 하우징과, 상기 모듈 하우징의 상면에 복수 형성되는 한 쌍의 전선 인입구멍과, 상기 전선 입입구멍으로 인입되는 전선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기접속 플레이트, 및 상기 모듈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전선 인입구멍으로 인입된 전선을 상기 전기접속 플레이트 측으로 탄성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탄성 지지구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칭 어셈블리와 상기 배선분기 어셈블리는 서로 직교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 분기 겸용 텀블러 스위치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접속 플레이트는, 상기 한 쌍의 전선 인입구멍 각각의 하방 연장 선상으로 형성되는 접속 플레이트부, 및 상기 접속 플레이트부 각각의 하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공통 플레이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지지구는 역 "S"자 형태로 형성되되 하단부는 상기 공통 플레이트부에 고정되며, 상단부는 경사지게 연장되며 연장단부가 상기 전기접속 플레이트의 접속 플레이트부에 탄성적으로 접촉되게 구비되어 인입되는 전선을 상기 전기접속 플레이트 측으로 탄성 접촉시키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배선분기 어셈블리는, 상단 일부가 상기 모듈 하우징의 상면 측으로 노출되되 그 모듈 하우징의 상면 측으로 탈락 방지되게 구비되고, 하부는 상기 탄성 지지구의 상단부를 누름 가능하게 접촉하는 누름 조작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 분기 겸용 텀블러 스위치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착탈 결합 수단은, 상기 결합 브라켓의 후면에서 상기 개방부의 좌우 양측에 대향하여 형성되는 제1 한 쌍의 돌출 플랜지와, 상기 제1 한 쌍의 돌출 플랜지의 대향하는 면에 돌출 형성되는 제1 걸림 후크, 및 상기 스위칭 하우징의 양 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걸림 후크에 걸림 고정되는 제1 걸림턱;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착탈 결합 수단은, 상기 결합 브라켓의 후면에서 상기 개방부의 상하 양측에 대향하여 형성되는 제2 한 쌍의 돌출 플랜지와, 상기 제2 한 쌍의 돌출 플랜지의 대향하는 면에 돌출 형성되는 제2 걸림 후크, 및 상기 모듈 하우징의 양 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걸림 후크에 걸림 고정되는 제2 걸림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 분기 겸용 텀블러 스위치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착탈 결합 수단 및 제2 착탈 결합 수단 각각은 상기 제1 걸림 후크와 제2 걸림 후크 각각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가이드 홈, 및 상기 제1 걸림턱과 제2 걸림턱 각각의 중앙부에서 그 제1 걸림턱과 제2 걸림턱 각각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며, 장착 시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가이드되는 가이드 돌기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이드 돌기의 길이는 상기 제1 걸림턱과 제2 걸림턱 각각이 상기 걸림 후크에 걸림 고정될 때 상기 가이드 홈에 상기 가이드 돌기가 삽입된 상태가 되는 길이를 갖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 분기 겸용 텀블러 스위치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착탈 결합 수단은, 상기 결합 브라켓의 후면에서 상기 개방부의 좌우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제1 가이드 레일과, 상기 제1 가이드 레일의 바닥면에 일정 간격을 갖고 형성되는 복수의 제1 장착홈, 상기 제1 가이드 레일의 측벽에 일정 간격을 갖고 형성되는 제1 안착홈, 상기 스위칭 하우징의 양측 하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 장착홈에 삽입 고정되는 제1 장착 돌기, 및 상기 스위칭 하우징의 양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 안착홈에 안착 결합되는 제1 안착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착탈 결합 수단은, 상기 결합 브라켓의 후면에서 상기 개방부의 상하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제2 가이드 레일과, 상기 제2 가이드 레일의 바닥면에 일정 간격을 갖고 형성되는 복수의 제2 장착홈, 상기 제2 가이드 레일의 측벽에 일정 간격을 갖고 형성되는 제2 안착홈, 상기 스위칭 하우징의 양측 하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2 장착홈에 삽입 고정되는 제2 장착 돌기, 및 상기 스위칭 하우징의 양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2 안착홈에 안착 결합되는 제2 안착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 분기 겸용 텀블러 스위치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착탈 결합 수단은, 상기 결합 브라켓의 후면에서 상기 개방부의 좌우 양측에 대향하여 형성되는 한 쌍의 돌출 플랜지와, 상기 한 쌍의 돌출 플랜지의 대향하는 면에 돌출 형성되는 걸림 후크, 및 상기 스위칭 하우징의 양 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걸림 후크에 걸림 고정되는 걸림턱;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착탈 결합 수단은, 상기 모듈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의 양측벽 하단에 돌출 형성되는 탄성 돌기 결합편, 상기 탄성 돌기 결합편과 상기 스위치 하우징의 양 벽면 중 하나에 형성되는 안착홈, 및 상기 탄성 돌기 결합편과 상기 스위치 하우징의 양 벽면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안착홈에 안착 결합되는 안착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 분기 겸용 텀블러 스위치 장치.
KR2020200001002U 2020-03-24 2020-03-24 배선 분기 겸용 텀블러 스위치 장치 KR2004945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1002U KR200494575Y1 (ko) 2020-03-24 2020-03-24 배선 분기 겸용 텀블러 스위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1002U KR200494575Y1 (ko) 2020-03-24 2020-03-24 배선 분기 겸용 텀블러 스위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2182U KR20210002182U (ko) 2021-10-05
KR200494575Y1 true KR200494575Y1 (ko) 2021-11-15

Family

ID=78076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1002U KR200494575Y1 (ko) 2020-03-24 2020-03-24 배선 분기 겸용 텀블러 스위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4575Y1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1717A (ja) * 1993-10-12 1995-04-25 Sekisui Chem Co Ltd 屋内配線器具
KR100379752B1 (ko) 1999-10-07 2003-04-10 세홍산업 주식회사 건물의 천정내부 배선구조
KR100433842B1 (ko) 2002-02-25 2004-06-04 (주) 종합건축사사무소 동일건축 건물용 전기배선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0364974Y1 (ko) 2004-08-03 2004-10-15 김형기 램프 기능의 매입및 노출형 텀블러스위치
KR200452444Y1 (ko) 2008-02-12 2011-02-28 상도전기통신 주식회사 텀블러스위치
KR200467183Y1 (ko) 2009-12-31 2013-06-10 주식회사 위너스 벽 스위치의 브라켓
KR200465620Y1 (ko) 2009-12-31 2013-02-28 주식회사 위너스 벽 스위치의 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2182U (ko) 2021-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1359B1 (ko) 천장 매립형 라인 타입 조명장치
GB2059183A (en) Room divider panel assemblies
KR101182565B1 (ko) 어셈블리 키트
KR200492584Y1 (ko) 배선 분기 겸용 텀블러 스위치 장치
US20030157819A1 (en) Fabricated baseplate for electrical installations
KR200494575Y1 (ko) 배선 분기 겸용 텀블러 스위치 장치
US20120250311A1 (en) Mounting Bracket for Linear Fluorescent Wet Location Fixture
US20070029451A1 (en) A separator element for a mesh cable duct and a mesh cable duct comprising such element
CA1199379A (en) Skirting board structure for the distribution of electric energy and other similar services in civil use premises
US6875937B1 (en) Recessed electrical outlet assembly
KR102465739B1 (ko) 배선분기 일체형 텀블러 스위치 장치
KR101874435B1 (ko) 접속점을 측벽에 배치시킨 전기 배선 구조 및 건축물 시공 방법
US20230097409A1 (en) Wire distributor-combined tumbler switch device
JP3299307B2 (ja) 引掛シーリング
KR100745194B1 (ko) 덕트 연결장치
US20210381682A1 (en) Luminaire connection and luminaire strip
US4745717A (en) Adaptor for poke-thrus
JP3027408U (ja) 壁埋込み型電気機器
KR20030025781A (ko) 전선케이블 접속장치
US3361904A (en) Light fixture
CN216488694U (zh) 一种多卡位暗装底盒
KR200446823Y1 (ko) 문틀이 구비된 전기배선 패널
JPH04222414A (ja) 床配線oaパネル及びその結合装置
KR100547637B1 (ko) 노출 버스배선식 전기기기 제어시스템
US20210125743A1 (en) Electrical systems for structur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