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7637B1 - 노출 버스배선식 전기기기 제어시스템 - Google Patents

노출 버스배선식 전기기기 제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7637B1
KR100547637B1 KR1020030035408A KR20030035408A KR100547637B1 KR 100547637 B1 KR100547637 B1 KR 100547637B1 KR 1020030035408 A KR1020030035408 A KR 1020030035408A KR 20030035408 A KR20030035408 A KR 20030035408A KR 100547637 B1 KR100547637 B1 KR 1005476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wiring
flat cable
screw
control system
constr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5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103719A (ko
Inventor
신동준
양영한
주재훈
Original Assignee
삼성물산 주식회사
주식회사 다솜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물산 주식회사, 주식회사 다솜라인 filed Critical 삼성물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354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7637B1/ko
Publication of KR200401037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37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76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76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using mounting cla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출 버스배선 공법에 의한 간편한 시공 및 접속으로 전기기기 제어 시공의 품질 향상을 도모하고, 배선을 위한 전선관의 포설이 불필요하여 공사기간을 절감할 수 있고, 자재 사용의 최소화 및 최단거리 시공에 따라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는 노출 버스배선식 전기기기 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노출 버스배선식 전기기기 제어시스템은 접지선, 전력선, 통신선을 실장한 플랫케이블을 배선하고 있되, 건축물의 천장에 고정된 장착 구조물(500)과, 이런 장착 구조물(500)에 의해 지지되고, 플랫케이블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도록 절연덮개(151), 금속성 연결나사(152), 연결판(153, 153'), 금속연결부(156, 156')로 이루어진 제1, 제2버스배선용 연결부재(129, 129')를 일체형으로 구비한 전기기기 접속 조립체(120, 130, 140, 120', 130', 140')와, 플랫케이블을 벽체(590)에 고정시키기 위한 케이블 행거 클램프(300)를 제공한다.
노출, 케이블, 조명, 제어, 연결부재, 홈, 커버, 콘크리트

Description

노출 버스배선식 전기기기 제어시스템{CONTROL SYSTEM FOR ELECTRIC DEVICE WITH OPEN BUS-WIRING CONSTRUCTION}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노출 버스배선식 전기기기 제어시스템의 기본형 조명 버스 회로도,
도 2는 본 발명의 노출 버스배선식 전기기기 제어시스템의 전력 버스 회로도,
도 3은 본 발명의 노출 버스배선식 전기기기 제어시스템의 전기기기 제어 버스 회로도,
도 4는 본 발명에 사용된 제1플랫케이블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사용된 제2플랫케이블의 사시도,
도 6a는 도 4에 도시된 제1플랫케이블을 접속 및 분기시키기 위한 전력버스배선용 연결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6b는 도 5에 도시된 제2플랫케이블을 접속 및 분기시키기 위한 제2버스배선용 연결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사용된 케이블 행거 클램프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사용된 알루미늄 채널 커버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노출 버스배선식 전기기기 제어시스템의 시공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에 사용된 전기기기 접속 조립체의 시공구조를 보인 단면도 및 부품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노출 버스배선 공법에 의한 벽체 시공을 보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170, 180, 110', 170', 180' : 플랫케이블
120, 130, 140, 120', 130', 140' : 전기기기 접속 조립체
129, 129' : 제1, 제2버스배선용 연결부재
150, : 전력버스배선용 연결부재
150' : 제3버스배선용 연결부재
151 : 절연덮개,
152 : 금속성 연결나사
153, 153' : 연결판
156, 156' : 금속연결부
300 : 케이블 행거 클램프
400 : 채널 커버
500 : 장착 구조물
본 발명은 노출 버스배선식 전기기기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택, 아파트의 전력, 통신선로를 콘크리트 타설시에 만든 개방형 콘크리트 홈에 노출 버스배선 공법으로 시공한 후 조명기구에 접속시켜서, 홈네트워크 버스 제어 방식으로 제어하는 노출 버스배선식 전기기기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내 설치된 조명 시스템은 천장에 고정된 조명기구와, 이런 조명기구에 전력을 전송하도록 전기적으로 배선된 전력선과, 조명기구의 온/오프를 위해 측벽에 고정된 스위치와 조명기구를 연결한 스위치 제어선으로 이루어져 있다.
사용자는 스위치의 온/오프 버튼을 조작하여 조명기구에 전달되는 전력 공급을 제어함으로 불을 키고 끌 수 있다.
한편, 댁내 홈네트워크가 활성화되면서, 조명기구를 홈네트워크의 각종 통신장비 및 제어/감시장비에 접속시켜서 네트웍으로 제어하려는 시도가 수행되고 있다.
예컨대, 홈네트워크에서 조명기구와 각종 통신장비 및 제어/감시장비를 상호 연결하는 다양한 통신방법에는 무선 통신인 경우 RF 통신, 블루투스 통신, 무선 LAN 등이 있으며, 유선 통신인 경우 전력선 통신(PLC), 홈 PNA, 이더넷, RS232, RS485 등이 있다.
이들 유/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네트웍을 구성하기 위해서, 댁내에 어떠한 이유에서든지 유선 배선(전원선, 통신선, 제어선 등)이 반드시 필요하지만, 장소의 제약을 받는 것이 사실이다.
또한, 다양한 종류와 복잡한 유선 배선을 갖는 각종 조명기구를 홈네트워크에 연결하기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복잡한 전선 시공이 요구되고 있으나, 종래 에서는 기존 유선통신선과 전력선 공사를 수행할 때, 유선통신선과 전력선 등과 같은 전선이 포설될 곳에, 관부재를 묻고, 콘크리트 타설을 한 후 벽체를 형성하기 때문에, 주택의 시공 후 배선망을 조명기구에 따라 변경하거나 시공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 일이다.
또한, 가정내 배선 시공 구조에서 별도의 조명 제어용 홈네트워크 망을 설치하려 할 때 별도의 유선통신선을 관부재를 통해 관통시키는 것이 매우 어렵고 시간과 인력이 많이 들어가는 단점이 있다.
또한, 가정내 배선 시공 구조에서 전선들 간의 전기적 접속을 위해 피복을 벗겨낸 후 전선을 연결하고, 다시 기밀하게 절연 처리를 하는 등 매우 복잡한 전기적 공사가 요구되고 있으므로, 공사비용이 많이 들어가며 공사 기간이 상대적으로 장기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서는 노출 버스배선 공법에 의한 간편한 시공 및 접속으로 전기기기 제어 시공의 품질 향상을 도모하고, 배선을 위한 전선관의 포설이 불필요하여 공사기간을 절감할 수 있고, 자재 사용의 최소화 및 최단거리 시공에 따라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는 노출 버스배선식 전기기기 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접지선, 전력선, 통신선을 실장한 플랫케이블을 배선하고 있는 노출 버스배선식 전기기기 제어시스템에 있어서, 건축물의 천장에 고정된 장착 구조물과, 이런 장착 구조물에 의해 지지되고, 플랫케이블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도록 절연덮개, 금속성 연결나사, 연결판, 금속연결부로 이루어진 제1, 제2버스배선용 연결부재를 일체형으로 구비한 전기기기 접속 조립체와, 플랫케이블을 벽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케이블 행거 클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출 버스배선식 전기기기 제어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노출 버스배선식 전기기기 제어시스템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 플랫케이블 노출 버스배선 방식.
- 전용 전력버스배선용 연결부재와 제1, 제2버스배선용 연결부재를 이용한 조명기구 및 스위치 회로 분기 접속.
- 버스 제어라인에 의한 전기기기 제어 기능.
- 간편하고 신속한 분기 접속 기능.
- TV, 통신 배선을 위한 전용 케이블 제공.
- 버스 제어라인에 접속 가능한 제1, 제2버스배선용 연결부재와 전기기기 제어부를 일체로 갖는 전기기기 접속 조립체를 제공.
본 발명에서 전기기기란 조명기구를 비롯한 전기를 사용하는 제반적인 기기, 기구, 모듈, 장치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배선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 및 적용 가능한 전기장치를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조명기구에 한정되지 않고, 전력과 제어 데이터를 필요로 하는 전기기기 전반에 걸쳐 적용 및 변형되어 사용될 수 있다.
다만, 아래의 양호한 실시예에서는 이해를 돕기 위해서, 조명기구와 그와 관련된 첨부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에서,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노출 버스배선식 전기기기 제어시스템의 기본형 조명 버스 회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노출 버스배선식 전기기기 제어시스템의 전력 버스 회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노출 버스배선식 전기기기 제어시스템의 전기기기 제어 버스 회로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에 사용된 제1플랫케이블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사용된 제2플랫케이블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6a는 도 4에 도시된 제1플랫케이블을 접속 및 분기시키기 위한 전력버스배선용 연결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6b는 도 5에 도시된 제2플랫케이블을 접속 및 분기시키기 위한 제2버스배선용 연결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에 사용된 케이블 행거 클램프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사용된 알루미늄 채널 커버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9는 본 발명의 노출 버스배선식 전기기기 제어시스템의 시공 상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사용된 전기기기 접속 조립체의 시공구조를 보인 단면도 및 부품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노출 버스배선 공법에 의한 벽체 시공을 보인 사시도이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기본형 조명 버스 회로도(100)를 도시한 것으로서, 기본적으로 모든 배선은 하기에 설명할 형상과 구성을 갖는 제1플랫케이블(110, 170, 180)을 사용한다.
예컨대, 전력 공급용 3선식 제1플랫케이블(110, 170, 180)의 경우에는 전력이 실제로 입력될 두 개의 전력선(111, 121 : P, 112, 122 : N)과 접지선(113, 123 : E)으로 이루어져 있다. 외부의 전원에 접속된 전력선(111, 112)과 접지선(113)은 댁내 조명용 배선(121, 122, 123)과 1:1로 접속되며, 구비된 배선용차단기(114)(MCCB : Molded Case Circuit Breaker)에 의해서 전체 전력을 일시에 통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배선용차단기(114)의 전력선(121, 122)과 접지선(123)은 하기에 상세히 설명할 형상과 구성을 갖는 모든 전기기기 접속 조립체(120, 130, 140)와 전력버스배선용 연결부재(15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각각의 전기기기인 조명기구(125, 135, 145) 및 스위치(124, 134, 144)와 연결되어 있다.
전기기기 접속 조립체(120, 130, 140)는 스위치(124, 134, 144) 쪽으로 연장되는 곳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위치 제어선을 병렬로 연결 및 접속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제1소켓(126 : P, S1, S2, S3)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명기구(125, 135, 145)를 각각 접속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제2소켓(127 : L1, L2, L3, N, E)과, 상기 조명기구(125, 135, 145)를 접지 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제3소켓(128 : E, L2, L3)을 각각 구비하고 있다.
각각의 전기기기 접속 조립체(120, 130, 140)는 3선식 제1버스배선용 연결부재(129)를 일체형으로 구비하고 있다.
제1버스배선용 연결부재(129)는 하기의 전력버스배선용 연결부재(150)와 동일방식으로 연결판, 금속성 연결나사, 절연덮개, 금속연결부를 갖고, 이를 통해, 제1플랫케이블(170)을 각각의 전기기기 접속 조립체(120, 130, 140)의 입력 라인과 나사 조임 방식으로 각각 상호 접속시키는 접속모듈이다.
또한, 각각의 전기기기 접속 조립체(120, 130, 140)의 소켓(126, 127, 128)들은 전력선용, 스위치 제어선용, 조명기구 연결용으로 2선, 3선 5선을 갖는 플랫케이블의 플러그(도시 안됨)를 통해 소켓 방식으로 상보적으로 접속된다.
배선용차단기(114)로부터 연장된 제1플랫케이블(170)의 종단은 플랫케이블용 종단커버(160)로 절연된다.
전력버스배선용 연결부재(150)는 수직하게 배열한 두 개의 제1플랫케이블(170, 180)을 상호 전기적으로 전선들끼리 1:1로 연결시키는 것으로서, 나사 조임 방식으로 분기 및 접속시킬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력 버스 회로도에서도 알 수 있듯이, 전력이 각각의 콘센트(190, 191, 192, 193)까지 공급되기 위해서, 제1플랫케이블(110, 170, 171, 172, 173, 174)과 전력버스배선용 연결부재(150, 151, 152, 153)를 사용한다.
콘센트(190, 191, 192, 193)는 콘센트용 제1플랫케이블(171, 172, 173, 174)에 연결되고, 콘센트용 제1플랫케이블(171, 172, 173, 174)은 전력버스배선용 연결부재(150, 151, 152, 153)를 통해서 배선용차단기(114)에 접속된 전력 공급용 제1플랫케이블(170)에 접속된다.
각각의 제1플랫케이블(110, 170, 171, 172, 173, 174, 175)은 나사 조임 방식으로 전선을 연결시키는 전력버스배선용 연결부재(150, 151, 152, 153, 154)에 의해 분기 및 접속됨으로써, 배선 시공 작업이 간편하고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기기기 제어 버스 회로도에서는 전력 공급 및 데이터 전송을 위한 5선식 제2플랫케이블(110')을 사용하고 있는 배선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5선식 제2플랫케이블(110')은 전력을 공급하는 두 개의 전력선(111, 112)과, 단 일의 접지선(113)과, 버스 제어라인인 두 개의 통신선(115, 116)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에 대응하게 각각의 전기기기 제어용 전기기기 접속 조립체(120', 130', 140')도, 5선식 제2버스배선용 연결부재(129')를 일체형으로 구비한다.
제2버스배선용 연결부재(129')도 역시,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게, 제2플랫케이블을 나사 조임 방식으로 상호 접속시키는 접속모듈로서, 연결판, 금속성 연결나사, 절연덮개, 금속연결부를 갖는다.
이때, 두 개의 통신선(115, 116)은 인터페이스(200)를 통해서 댁내 홈네트워크의 각종 통신장비 및 제어/감시장비에 접속되고, 전기기기 제어용 전기기기 접속 조립체(120', 130', 140')의 전기기기 제어부(220, 230, 240)에 각각 접속된다.
따라서, 각종 통신장비 및 제어/감시장비의 전기기기 제어 신호는 통신선(115, 116)을 통해서 전기기기 제어부(220, 230, 240)에 전달되고, 이후, 전기기기 제어부(220, 230, 240)의 온/오프 명령 또는 전력 공급 명령(온/오프식, 저항식에 따른 밝기 조절 방식 등)에 따라 각각의 조명기구(125, 135, 145)를 켜고 끄거나 밝기를 조절할 수 있게 한다. 전기기기 제어부(220, 230, 240)는 통상의 전기 제어 콘트롤러로서 그의 상세한 회로적 구성은 널리 알려진 방식을 사용한다.
이하, 전기기기 접속 조립체(120', 130', 140')에서 각각의 조명기구(125, 135, 145) 및 스위치(124, 134, 144)는 앞서 설명한 소켓 방식으로 접속되고, 또한, 전력과 데이터 전송용 제2플랫케이블(110', 170', 180')도 앞서 설명한 방식과 동일하지만 통신선을 더 연결시킬 수 있는 5선식 제3버스배선용 연결부재(150')에 의해 상호 접속 및 분기된다.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플랫케이블(110)과 제2플랫케이블(110')은 그의 내부에 다수의 전력선(111, 112), 접지선(113), 통신선(115, 116)을 실장하고 있다.
이를 위해서, 각각의 플랫케이블(110, 110')은 전력선(111, 112), 접지선(113), 통신선(115, 116)의 구리 코어를 감싸는 절연재질의 내부 피복(118)과, 절연재질로서 직사각형 단면형상의 외부 피복(117)을 갖는다.
특히, 제2플랫케이블(110')은 통신선(115, 116)을 가시적으로 구분하기 위해서 외부 절연 재질(117)의 외표면에 전선 구분용 홈(119)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본 발명에서는 1선식 내지 10선식으로 1개 내지 10개의 내부 전선을 사각형 외부 피복으로 감싸는 다양한 형태의 플랫케이블이 사용되고 있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버스배선용 연결부재(150)는 'T'자로 배열된 제1플랫케이블(170, 180)들을 접속 및 분기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절연덮개(151), 금속성 연결나사(152), 연결판(153)으로 이루어져 있다.
장착 및 탈착하는 디테쳐블(detachable) 구조를 갖기 위해서, 절연덮개(151)는 하부 표면의 좌, 우측에서 턱을 갖는 한 쌍의 걸림 돌출턱(154)을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게 연결판(153)은 상부 표면의 좌, 우측에 한 쌍의 결착구멍(155)을 형성하고 있다.
연결판(153)은 그의 내부에서 상호 수평을 유지하면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속연결부(156)를 구비한다.
이런 절연덮개(151)와 연결판(153)은 각각의 제1플랫케이블(170, 180)의 넓이에 대응한 폭과, 제1플랫케이블(170, 180) 넓이의 두 배에 해당하는 길이를 갖고 있고, 플랫케이블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사이즈를 갖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연결판(153)은 각각의 금속연결부(156)의 양 끝단이 위치한 곳에 쌍을 이루는 접시형 나사구멍(157, 158)을 갖고 있다.
접시형 나사구멍(157, 158)은 금속연결부(156)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금속성 내표면을 형성하고 있다.
예컨대, 접시형 나사구멍(157, 158)들은 제1플랫케이블(170, 180)이 3개의 전선을 갖고 있는 것을 고려하여 3쌍으로 형성된다.
3쌍의 접시형 나사구멍(157, 158)들은 제1플랫케이블(170, 180)의 전선이 교축으로 서로 간섭되지 않게 1:1로 연결되도록,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아래쪽 부위에서 수평 배열되고,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위쪽 부위에서 제1플랫케이블(170, 180)의 전선의 간격에 대응하도록 경사 배열되어 있다. 즉, 3쌍의 접시형 나사구멍(157, 158)의 통공 위치는 제1플랫케이블(170, 180)의 전선의 축심에 각각 일치되어 있다.
연결나사(152)는 각각의 접시형 나사구멍(157, 158)에 삽입된 후, 금속성 내표면을 통해서 금속연결부(156)의 양 끝단에 접촉한다.
계속되는 나사의 조임에 따라 연결나사(152)의 끝단이 제1플랫케이블(170, 180)의 각각의 전선의 구리 코어에 접촉하거나 또는 전선의 구리 코어의 축심을 약간 통과할 경우, 제1플랫케이블(170, 180)의 각각의 전선은 연결나사(152)와 금속연결부(156)를 통해서 1:1로 상호 통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버스배선용 연결부재(150')는 5선식(전력선 3선, 통신선 2선) 제2플랫케이블(170', 180')을 접속 및 분기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 제3버스배선용 연결부재(150')는 통신선용 접시형 나사구멍(157a, 157b, 158a, 158b)을 수평 배열과 경사 배열로 연결판(153')에 더 형성하고 있고, 그에 대응하게 금속연결부(156')를 더 구비하고 있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설명한 도 6a의 전력버스배선용 연결부재(150)와 동일한 구성을 갖기 때문에 그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행거 클램프(300)는 앞서 설명한 5선식 제2플랫케이블을 천장의 벽체에 설치 및 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힌지 작동 방식으로 개방 및 밀폐시킬 수 있도록, 고정부(310)와 커버부(320)를 일체형으로 형성하고 있다. 케이블 행거 클램프(300)는 절연 재질과 가요성 재질로 몰딩 제작방식에 의해 제작된다.
고정부(310)는 판상의 기저부에 나사 구멍(311)을 형성하고, 고정 나사, 스터드 볼트 등의 고정수단에 의해서 천장의 벽체에 설치된다. 이런 고정부(310)의 판상의 기저부에는 제2플랫케이블을 감쌀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제2플랫케이블의 전선 구분용 홈에 일치하는 곳에 돌출턱(3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2플랫케이블의 두께에 대응한 높이의 지지턱(313)을 더 형성하고 있다. 또한, 고정부(310)는 양 끝단부에 끝단이 안쪽으로 꺾인 'ㄷ'자 단면의 제1, 제2안착단부(314, 315)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고정부(310)는 힌지단(316)에는 커버부(320)의 후크(321)가 결착될 수 있는 걸림턱(317)이 형성되어 있다.
커버부(320)는 'ㄱ'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며, 힌지식으로 이동하여 고정부(310)를 덮을 때, 'ㄱ'자 부위(322)가 지지턱(313)과 제1안착단부(314)의 끝단 사이에 형성된 안쪽 홈에 삽착된다.
케이블 행거 클램프(300)는 안쪽으로 꺾인 'ㄷ'자 단면의 제1, 제2안착단부(314, 315)를 이용하여, 결착홈이 바깥쪽 양 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상기 제1, 제2안착단부(314, 315)의 끝단에 대응하는 별도의 'ㄷ'자 단면의 보호 커버(도시 안됨)를 장착시키는 역할도 담당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알루미늄 채널 커버(400)는 상기 'ㄷ'자 단면의 보호 커버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서, 바깥쪽 양 측면(410, 411)에 길이방향으로 결착홈(401, 411)이 형성되어 있다.
알루미늄 채널 커버(400)는 케이블 행거 클램프(300)의 사이즈에 대응하게 제작될 경우, 'ㄷ'자 단면의 보호 커버가 될 수 있으며, 또한 콘크리트 타설시에 형성되는 개방형 콘크리트 홈에 결착될 수 있는 크기로 제작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노출 버스배선식 전기기기 제어시스템은 주택, 사무실, 아파트 등의 댁내 전기기기 제어와 함께 전력선 공급에 병용으로 사용된다.
예컨대, 건물 내부의 실내 공간에서 천장과 측벽에는 조명기구(125), 스위치(124), 전원 콘센트(190, 191, 192), 케이블 TV와 음성 및 데이터를 고속으로 동시에 전송할 수 있는 다중 복합 연결구(194) 등의 위치에 각각 대응하게 콘크리트 타설시 격자 형상으로 콘크리트 홈이 형성된다.
각각의 콘크리트 홈에는 조명기구(125)용 스위치 제어선(2선식 플랫케이블)과, 전력 공급용 제1플랫케이블(170, 180)과, 전력 공급 및 데이터 전송을 위한 5선식 제2플랫케이블(110') 등이 배선된다.
이후, 콘크리트 홈에는 알루미늄 채널 커버(400)가 삽착되어서 안쪽에 배선된 플랫케이블(110', 170, 180) 및 기타 콘크리트 홈에 설치된 통신용 배선(250)을 보호한다.
특히, 제2플랫케이블(110')은 천장의 벽체에 부착되는 케이블 행거 클램프(300)에 의해서 고정된다. 그리고, 전기기기 제어용 전기기기 접속 조립체(120')는 조명기구(125)의 안쪽으로 천장의 벽체에 설치된다.
도 10을 통해서 전기기기 제어용 전기기기 접속 조립체(120')의 형상과 장착 구조물(5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일반적으로 천장은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벽체(590)와, 실내에서 상부를 쳐다보았을 때 보이는 천장 내장 판재(591)로 이루어져 있으며, 조명기구(125)는 천장 내장 판재(591)에 장착된다.
조명기구(125)와 전기기기 접속 조립체(120')의 하중은 벽체(590)에 설치된 장착 구조물(500)이 담당하고 있다.
여기에서, 장착 구조물(500)은 콘크리트 타설시 벽체(590) 내부의 철근(592 : rebar)에 연결된 고정판(510)과, 이런 고정판(510)의 축심에서 제1너트(502)로 연결된 나사 지지대(501)와, 이런 나사 지지대(501)에 제2너트(503)로 결합된 가이드 박스(511)와, 이런 가이드 박스(511)의 하부에 위치하여 전기기기 접속 조립체(120')를 벽체(590)에서 약간 떨어지게 유지시키는 나무판(512)과, 나사 지지대(501)가 전기기기 접속 조립체(120')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 구멍을 관통하여 나올 때, 전기기기 접속 조립체(120')를 나사 지지대(501)에 결착시키는 또 제3너트(504)와, 천장 내장 판재(591)의 내표면에 부착되어서, 조명 기구 접속 조립체(120')의 연직 하부에 배치된 가이드 판(513)과, 나사 지지대(501)가 가이드 판(513)과 천장 내장 판재(591)를 관통하여 나올 때, 그의 끝단에 나사결합되어서 조명기구(125)를 천장 내장 판재(591)의 외표면에 밀착시키는 제4너트(505)를 포함한다.
전기기기 접속 조립체(120')는 직사각 상자 형상으로서, 일측 폭 방향으로 3선식 제1플랫케이블 또는 5선식 제2플랫케이블(110')이 관통하게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다. 이곳에서, 전기기기 접속 조립체(120')는 금속성 연결나사를 조일 때 제2플랫케이블(110')으로부터 전력과 제어 데이터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는 제2버스배선용 연결부재(129')를 일체형으로 구비하고 있다.
한편, 전기기기 접속 조립체(120')는 그의 측면에 다수의 소켓(262)을 구비하고, 플러그(260)를 각각 갖는 다수의 플랫케이블(261)을 소켓 방식으로 접속시키고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주택, 건물의 내부 및 외부에서 전력선이나 통신선을 요구하는 어떠한 벽체(593)에 콘크리트 타설시에 형성한 콘크리트 홈(580, 581)이 형성된 곳이라면 적용 가능하다.
각각의 콘크리트 홈(580, 581)에는 플랫케이블(110, 110')을 보호하기 위한 알루미늄 채널 커버(400)가 체결되기 때문에, 작업자가 손쉽게 배선을 시공할 수 있고, 시공 후 유지 보수 시에도 매우 용이하게 관리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외부에서 들어오는 전력선 내지 통신선의 플랫케이블(110')도 벽체의 상부를 관통하여 들어오기 때문에, 전력선을 격자 형상으로 배열하기 쉽다.
물론,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 홈(580, 581)은 격자 형상뿐만 아니라 다양한 선로 형상(타원, 원형, 직선, 그물망, 곡선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 전반에 걸친 설명에서, 제1, 제2버스배선용 연결부재(129, 129')와 전력버스배선용 연결부재(150)와 제3버스배선용 연결부재(150')은 다양한 형식의 플랫케이블(1선식 내지 10선식)의 내부 전선을 상호 1:1로 접속 및 분기시키기 위해서, 플랫케이블의 형식에 대응하는 나사구멍과 금속연결부(156, 156')을 갖는 연결판(153, 153')과, 절연덮개(151), 및 금속성 연결나사(152)를 기본적으로 구비하는 것은 당연하다.
본 발명의 노출 버스배선식 전기기기 제어시스템은 노출 버스배선 공법에 의해 간편한 시공 및 전선과 전기 기구간 접속이 가능하면서도 시공 품질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노출 버스배선식 전기기기 제어시스템은 전선관의 매입 배관이 불필요하여 공사기간을 절감할 수 있고, 배선 물량 감소 및 최단거리 시공에 따라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노출 버스배선식 전기기기 제어시스템은 플랫케이블과 케이블 행거 클램프를 사용하는 가요성 공법을 사용하므로 써, 내진에 강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노출 버스배선식 전기기기 제어시스템은 소켓방식으로 플랫케이블을 간편하면서 신속하게 접속시킬 수 있는 제1, 제2, 제3버스배선용 연결부재와, 나사 조임 방식으로 플랫케이블을 분기 및 접속시킬 수 있는 전력버스배선용 연결부재를 사용하므로 써, 배선 시공 작업이 간편하고, 다양한 형태의 배선기구와 접속 가능한 전기기기 제어 백본망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노출 버스배선식 전기기기 제어시스템은 홈네트워크용 버스 제어라인과 조명기구 연결장치에 의한 버스 제어방식으로 조명기구를 네트워크상에서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노출 버스배선식 전기기기 제어시스템은 미리 전선을 연결 후 소켓 방식으로 접속시키는 선접속 방식을 사용하므로 써, 오결선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노출 버스배선식 전기기기 제어시스템은 콘크리트 타설시에 벽체의 외표면으로 노출된 콘크리트 홈에 플랫케이블을 안착 후, 알루미늄 채널 커버로 덮는 노출 버스배선 방식이므로 전선관 매입 시간 산정이 불필요하고, 배설 설치와 유지 보수가 간편하며, 돌관작업의 최소화에 의해 비용 절감의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노출 버스배선식 전기기기 제어시스템 및 그의 시공방법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Claims (7)

  1. 접지선, 전력선, 통신선을 실장한 플랫케이블을 배선하고 있는 노출 버스배선식 전기기기 제어시스템에 있어서,
    건축물의 천장에 고정된 장착 구조물(500)과,
    상기 장착 구조물(500)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플랫케이블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도록 절연덮개(151), 금속성 연결나사(152), 연결판(153, 153'), 금속연결부(156, 156')로 이루어진 제1, 제2버스배선용 연결부재(129, 129')를 일체형으로 구비한 전기기기 접속 조립체(120, 130, 140, 120', 130', 140')와,
    상기 플랫케이블을 벽체(590)에 고정시키기 위한 케이블 행거 클램프(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출 버스배선식 전기기기 제어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판(153, 153')에는 수평 배열된 접시형 나사구멍(157, 157a, 157b)들과 경사 배열된 접시형 나사구멍(158, 158a, 158b)들이 상기 플랫케이블의 전선의 축심에 각각 일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출 버스배선식 전기기기 제어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기기 접속 조립체(120, 130, 140, 120', 130', 140')는 배선용차단기(114)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것으로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위치(124, 134, 144)용 스위치 제어선을 접속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제1소켓(126 : P, S1, S2, S3)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명기구(125, 135, 145)를 각각 접속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제2소켓(127 : L1, L2, L3, N, E)과, 조명기구(125, 135, 145)를 접지 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제3소켓(128 : E, L2, L3)을 각각 구비하고 있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기기 접속 조립체(120', 130', 140')는 각종 통신장비 및 제어/감시장비의 전기기기 제어 신호를 상기 통신선(115, 116)을 통해서 전달받은 후, 상기 전기기기 제어 신호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명기구(125, 135, 145)에 전력을 제공하는 전기기기 제어부(220, 230, 2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출 버스배선식 전기기기 제어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선을 포함하는 플랫케이블을 나사 조임 방식으로 상호 접속 및 분기시키기 위해서, 수평 배열과 경사 배열된 통신선용 접시형 나사구멍(157a, 157b, 158a, 158b)을 상기 연결판(153')에 더 형성하고 있고, 상기 나사구멍(157a, 157b, 158a, 158b)에 대응하게 상기 금속연결부(156')를 더 구비하고 있는 제3버스배선용 연결부재(1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출 버스배선식 전기기기 제어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행거 클램프(300)는 판상의 기저부에 나사 구멍(311)이 형성되고, 상기 플랫케이블을 감쌀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플랫케이블의 전선 구분용 홈에 일치하는 곳에 돌출턱(31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플랫케이블의 두께에 대응한 높이의 지지턱(313)이 형성되어 있고, 끝단이 안쪽으로 꺾인 'ㄷ'자 단면의 제1, 제2안착단부(314, 315)가 양 끝단부에 형성되고, 힌지단(316)에 걸림턱(317)이 형성된 고정부(310)와,
    상기 고정부(310)를 기준으로 힌지 작동 방식으로 개방 및 밀폐되도록 일체형으로 형성되되, 'ㄱ'자 단면 형상을 갖고, 힌지식으로 이동하여 상기 고정부(310)를 덮을 때, 'ㄱ'자 부위(322)가 상기 지지턱(313)과 상기 제1안착단부(314)의 끝단 사이에 형성된 안쪽 홈에 삽착되는 커버부(320)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출 버스배선식 전기기기 제어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구조물(500)은 콘크리트 타설시 상기 벽체(590)의 철근(592)에 연결된 고정판(510)과, 상기 고정판(510)의 축심에서 제1너트(502)로 연결된 나사 지지대(501)와, 상기 나사 지지대(501)에 제2너트(503)로 결합된 가이드 박스(511)와, 상기 가이드 박스(511)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전기기기 접속 조립체(120')를 상기 벽체(590)에서 약간 떨어지게 유지시키는 나무판(512)과, 상기 나사 지지대(501)가 상기 전기기기 접속 조립체(120')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 구멍을 관통하여 나올 때, 상기 전기기기 접속 조립체(120')를 상기 나사 지지대(501)에 결착시키는 제3너트(504)와, 천장 내장 판재(591)의 내표면에 부착되어서, 상기 조명 기구 접속 조립체(120')의 연직 하부에 배치된 가이드 판(513)과, 상기 가이드 판(513)과 상기 천장 내장 판재(591)를 관통하여 나온 상기 나사 지지대(501)의 끝단에 나사결합되어서 조명기구(125, 135, 145)를 상기 천장 내장 판재(591)의 외표면에 밀착시키는 제4너트(50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출 버스배선식 전기기기 제어시스템.
KR1020030035408A 2003-06-02 2003-06-02 노출 버스배선식 전기기기 제어시스템 KR1005476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5408A KR100547637B1 (ko) 2003-06-02 2003-06-02 노출 버스배선식 전기기기 제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5408A KR100547637B1 (ko) 2003-06-02 2003-06-02 노출 버스배선식 전기기기 제어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3719A KR20040103719A (ko) 2004-12-09
KR100547637B1 true KR100547637B1 (ko) 2006-01-31

Family

ID=37379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5408A KR100547637B1 (ko) 2003-06-02 2003-06-02 노출 버스배선식 전기기기 제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76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102812A (ja) * 2018-12-25 2020-07-0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ストラップ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477016B (zh) * 2006-07-24 2015-03-11 Newire Inc 與導電扁線一起使用的電源裝置、導電扁線系統、監控導電扁線的方法及與導電扁線一起使用之主動安全裝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102812A (ja) * 2018-12-25 2020-07-0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ストラッ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3719A (ko) 2004-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5252666B2 (en) The electric power connecting kit
JP2005522849A (ja) 照明装置の機械的および電気的接続のための連結器
KR100547637B1 (ko) 노출 버스배선식 전기기기 제어시스템
US6227903B1 (en) Circuit connector block
JPH0287920A (ja) カーペット下の電力用配線システムおよびアダプタ
GB2341733A (en) Plug-in elecrical accessory assemblies
CN109494659B (zh) 一种用于供配电母线槽的连接装夹机构及安装方法
KR100873877B1 (ko) 배전선 케이블용 경완금 연결장치
KR20070120338A (ko) 콘센트 구조
KR101090558B1 (ko) 분전반
NO762487L (ko)
KR100379752B1 (ko) 건물의 천정내부 배선구조
JPH0613124A (ja) 引掛シーリング
CN206422488U (zh) 一种具有防水功能的母线槽
KR100675521B1 (ko) 건축물 바닥 매설용 전선보호 분기체
KR100547631B1 (ko) 노출 버스배선 시공용 자재 및 그의 시공방법
RU203364U1 (ru) Монтажная накладка
CA2397948A1 (en) Plug-in electrical accessories
KR101053685B1 (ko) 공동주택용 천장 전기단자함
KR200359567Y1 (ko) 전기회로기판을 이용한 배선 분기장치
WO2017045048A1 (pt) Adaptador para conexão de condutores em caixa de luz de teto
KR20030025781A (ko) 전선케이블 접속장치
WO1990007207A1 (en) A multiple purpose electrical extension cable
JP3141338U (ja) 照明器具用配電具
JP3629037B2 (ja) コンセン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