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1614B1 - 난방제품의 모듈형 전기 접속장치 - Google Patents

난방제품의 모듈형 전기 접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1614B1
KR101251614B1 KR1020090015375A KR20090015375A KR101251614B1 KR 101251614 B1 KR101251614 B1 KR 101251614B1 KR 1020090015375 A KR1020090015375 A KR 1020090015375A KR 20090015375 A KR20090015375 A KR 20090015375A KR 101251614 B1 KR101251614 B1 KR 1012516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et
connector
charging unit
charging
socke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5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6478A (ko
Inventor
신봉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뉴지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뉴지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뉴지로
Priority to KR10200900153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1614B1/ko
Publication of KR201000964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64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16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16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4Bases; Cases composed as a modular blocks or assembly, i.e. composed of co-operating parts provided with contact members or holding contact members between th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넥터용 소켓부 제작시에 각각의 내장용 소켓을 2개 내지 4개 단위로 그룹단위로 블록화한 충전부를 구비하여 조립하거나 교체할 수 있도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제품의 모듈형 전기 접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단자핀을 갖는 커넥터용 플러그와 상기 단자핀에 결합되는 커넥터용 소켓부로 이루어지며, 상호 결합에 의해서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기를 중계하여 발열체에 전달하는 난방제품의 전기 접속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용 소켓부는 2개 이상의 내장용 소켓을 갖는 충전부를 1개 이상 내부에 조립하여 구성하고; 상기 충전부는 직육면체의 형태로서 2개 이상의 홀을 형성하고, 상기 홀 내부에 각각 내장용 소켓을 설치하며, 상기 내장용 소켓이 충전부 케이스에 연장 출력되어 전열선과 용접 결합되도록 구성한 것이 특징이며;
본 발명은 커넥터용 소켓부의 충전부를 그룹화하여 다수개의 내장용 소켓을 충전부에 배치하고, 상기 충전부를 조립하거나 교체할 수 있도록 제작하기 때문에 전기 접속 커넥터의 상호 호환성이 뛰어나고 조립성이 증가하며, 특히 A/S시에 통일된 규격의 충전부를 이용하여 쉽게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난방제품, 모듈형, 전기 접속장치

Description

난방제품의 모듈형 전기 접속장치{A Connecting Terminal Unit of a Heating Products}
본 발명은 난방제품의 모듈형 전기 접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커넥터용 소켓부 제작시에 각각의 내장용 소켓을 2개 내지 4개 단위로 그룹단위로 블록화한 충전부를 구비하여 조립하거나 교체할 수 있도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제품의 모듈형 전기 접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장판, 전기매트 등의 난방제품에 전원을 공급하여 열을 발생하기 위해 전원접속 커넥터가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전원접속 커넥터는 커넥터용 소켓과 커넥터용 플러그로 이루어진다.
또한, 도 1a 내지 도 1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넥터용 소켓(7)은 전원 플러그(8) 및 전원조절장치(6)가 연결되고, 상기 커넥터용 플러그(1-1)는 발열체 본체(9)에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용 소켓(7)에 커넥터용 플러그(1-1)를 삽입시켜 전원 플러그(8)를 통해 전달되는 전원이 커넥터용 소켓(7)과 커넥터용 플러그(1-1)를 경유하여 발열체 본체에 인가되도록 하며, 이때 발열체 본체에 설치된 열선에 전원이 공급되어 발열체 본체로부터 열이 발생되도록 한다.
상기 커넥터용 플러그(1-1)는 다수의 단자핀(1)이 결합된 단자몸체와, 단자몸체의 단자핀(1)에 고정된 전열선을 보호하고 이물질이 침투되지 않도록 체결구멍(5)에 나사와 같은 체결수단으로 결합되는 커버를 포함한다.
상기 커넥터용 플러그(1-1)는 또한 다수의 단자핀(1)에 전열선이 결합되도록 전열선의 통과를 안내하는 안내구멍(2)이 형성된다.
그리고, 커넥터용 소켓(7)은 커넥터 접속용 플러그(1-1)와 결합되어 메인 전원 플러그(8)에서 제공되는 전기를 커넥터용 소켓(7) 및 커넥터 접속용 플러그(1-1)를 이용하여 본체(9)에 전달하여 난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전원접속 커넥터의 커넥터용 소켓은 다수개의 소켓이 4핀 내지는 10핀으로 배열되는바, 종래에는 일체형으로 커넥터용 소켓을 제작하기 때문에 소켓 제작에 있어서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고, 또한 업체별로 소켓 및 단자핀의 배치간격이 상이하기 때문에 A/S 발생시에 다른 제품으로 교체하기가 곤란한 문제가 있었다.
즉, 전기장판이나 매트, 요 등 전기관련 제품에 전원접속 커넥터가 사용되는바, 커넥터용 소켓과 커넥터용 플러그를 업체별로 각자의 기준에 의해서 제작하게 되고, 이때 소켓들과 단자핀들의 배치간격을 임의로 결정하여 제작하기 때문에 소켓들의 간격과 단자핀의 간격이 모두 달라서 A/S 발생시에 타사 제품과 호환성이 떨어져서 수리하기가 곤란한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결국, 전원접속 커넥터를 제작하는데 통일된 규격이 없기 때문에 업체들간의 호환성이 떨어지고 또한 조립성이 떨어져서 제품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코자 하는 것으로,
커넥터용 소켓부 제작시에 각각의 내장용 소켓을 2개 내지 4개 단위로 그룹단위로 블록화한 충전부를 구비하여 조립하거나 교체할 수 있도록하고 이에 상응하여 단자핀의 배열도 내장용 소켓들의 간격과 동일하게 통일함으로서 전기 접속용 커넥터의 상호 호환성을 높이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커넥터용 소켓부와 충전부가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하여 외부 충격에 의해 쉽게 빠지는 것을 방지토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은 단자 핀(210)을 갖는 커넥터용 플러그(200)와, 상기 단자 핀(210)에 결합하는 커넥터용 소켓부(100)로 이루어지며, 상호 결합에 의해서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기를 중계하여 발열체에 전달하는 난방제품의 전기 접속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용 소켓부(100)는 2개 이상의 내장용 소켓(120)을 갖는 충전부(110)를 2개 이상 내부에 조립하여 구성하고,
상기 충전부(110)는, 직육면체의 형태로서 2개 이상의 홀(111)을 형성하고, 상기 홀(111) 내부에 각각 내장용 소켓(120)을 설치하며, 상기 내장용 소켓(120)이 충전부 케이스에 연장 출력되어 전열선과 용접 결합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충전부(110)의 측면에는 걸림 홈(112)을 더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여 걸림 홈에 삽입되도록 커넥터용 소켓(100)에는 걸림턱(101)을 더 형성하며;
상기 충전부(110)의 하부면 중앙에는 하부 고정 홈(113)을 더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여 하부 고정 홈(113)에 삽입되도록 커넥터 소켓(100)의 하부 케이스(100a)에는 하부 고정턱(102)을 더 형성하고;
상기 충전부(110)의 상부 면에는 상부 고정 홈(114)을 더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여 상부 고정 홈(114)에 삽입되도록 커넥터 소켓(100)의 상부 케이스(100b)에는 상부 고정턱(103)을 더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삭제
삭제
삭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커넥터용 소켓부의 충전부를 그룹화하여 다수개의 내장용 소켓을 충전부에 배치하고, 상기 충전부를 조립하거나 교체할 수 있도록 제작하기 때문에 전기 접속 커넥터의 상호 호환성이 뛰어나고 조립성이 증가하며, 특히 A/S시에 통일된 규격의 충전부를 이용하여 쉽게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커넥터용 소켓부와 충전부가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하여 외부 충격에 의해 쉽게 빠지는 것을 방지토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커넥터용 소켓의 충전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커넥터용 소켓의 충전부 수평 절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충전부에 소켓을 결합하는 동작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커넥터용 소켓과 커넥터용 플러그의 예시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기 접속 커넥터의 전체 구성은 통상적인 전기 접속 커넥터와 마찬가지로 커넥터용 소켓부(100)와, 커넥터용 플러그(200)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커넥터용 소켓부(100)에는 내장용 소켓을 2개 이상 장착한 충전부(110)를 내장하여 이루어지는바, 상기 충전부(110)에는 홀(111)이 형성되고, 상기 홀(111)에 내장용 소켓(120)이 삽입되어 외부 플러그 결합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성이다.
상기 충전부(110)는 직육면체의 케이스 형태로서 2개 내지 4개의 홀을 형성토록 하며, 아울러 상기 충전부(110)의 홀(111)에는 각각 소켓(120)이 내장되어 있으며, 내장용 소켓(120)의 출력단(122)이 연장설치되어 상기 출력단(122)에 전열선을 용접 결합시킨다.
상기 충전부(110)와 내장용 소켓(120)은 별도로 제작한 다음에 내장용 소켓(120)을 충전부(110)에 삽입 결합시키며 플러그(210)가 결합되는 입력단(121)이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충전부(110)의 홀(111)에 강제 밀착 결합되어 손쉽게 조립이 이루어진다.
즉, 직육면체의 충전부(110)에 홀(111)을 형성하여 별도로 제작하고, 상기 홀(111)에 삽입되는 내장용 소켓(120)을 별도로 제작한 후에 상기 소켓(120)을 충전부(110)의 홀(111)에 결합시킴으로써 조립성을 극대화시키도록 한다.
도 4a는 내장용 소켓을 충전부에 결합하기 전 상태이고, 도 4b는 내장용 소켓을 충전부에 결합중인 상태이며, 도 4c는 내장용 소켓을 충전부에 결합 완료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용 소켓부(100)는 충전부(110)를 삽입 결합토록 구성되는바, 충전부(110)에는 걸림 홈(112)을 형성하고 커넥터용 소켓부(100)의 케이스 상부면에 걸림턱(101)을 형성하여 상기 걸림턱(101)을 중심으로 충전부의 걸림 홈(112)이 삽입 고정토록 한다.
이에 따라 내장용 소켓(120) 2개를 필요로하는 커넥터용 소켓부(100)에는 내장용 소켓(120) 2개를 내장한 충전부(110)를 설치하고, 또한 내장용 소켓(120) 3개를 필요로하는 커넥터용 소켓부(100)에는 내장용 소켓(120) 3개를 내장한 충전부(110)를 설치한다.
또한, 내장용 소켓(120) 4개 이상을 필요로 하는 커넥터용 소켓부(100)에는 충전부(110)를 2개 이상 설치토록 하는바, 내장용 소켓(120) 4개를 필요로 하는 커넥터용 소켓부(100)에는 내장용 소켓(120)을 각각 2개 내장한 충전부(110) 2개를 일개의 커넥터용 소켓부(100)에 내장하여 구성한다.
또한, 내장용 소켓(120)을 5개 필요로 하는 커넥터용 소켓부(100)에는 내장용 소켓(120)을 2개 및 3개 내장한 충전부(110) 2개를 구비하고, 상기 충전부(110)를 각각 커넥터용 소켓부(100)에 결합시켜 충전부(110) 2개를 갖는 커넥터용 소켓부(100)를 제작한다.
또한, 내장용 소켓 10개를 필요로 하는 커넥터용 소켓부(100)에는 내장용 소켓(120) 2개를 갖는 충전부(110) 1개와 내장용 소켓(120) 4개를 갖는 충전부(110) 2개를 구비한 다음, 상기 충전부(110)를 각각 커넥터용 소켓부(100)에 결합시켜 충전부(110) 3개를 갖는 커넥터용 소켓부(100)를 제작할 수 있다.
상기 내장용 소켓(120)의 갯수 및 이를 조합하여 커넥터용 소켓부(100)에 결합되는 충전부(110)는 보다 더 다양화 할 수 있으며, 상기에서는 언급하지 않았지만 소켓 3개를 한개의 충전부(110)에 내장시킨 것도 당연히 제작가능하다.
도 5a는 4개의 내장용 소켓을 갖는 충전부가 커넥팅용 소켓부에 장착된 것을 예시하고, 도 5b는 2개의 내장용 소켓을 각각 갖는 2개의 충전부가 커넥팅용 소켓부에 장착된 것을 예시하며, 도 5c는 2개의 내장용 소켓과 3개의 내장용 소켓을 각각 각는 2개의 충전부가 커넥팅용 소켓부에 장착된 것을 예시하고, 도 5d는 3개의 내장용 소켓을 각각 갖는 2개의 충전부가 커넥팅용 소켓부에 장착된 것을 예시하며, 도 5e는 4개의 내장용 소켓을 각각 갖는 2개의 충전부가 커넥팅용 소켓부에 장착된 것을 예시하고, 도 5f는 5개의 내장용 소켓을 각각 갖는 2개의 충전부와 2개의 내장용 소켓을 갖는 충전부가 일개의 커넥팅용 소켓부에 장착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커넥터용 플러그(200)는 상기 커넥터용 소켓부(100)의 충전부 배치에 상응하게 단자핀(210)을 배치하여 상호 결합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도록 하는바, 더 상세하게는 충전부(110)에 위치한 내장용 소켓(120)의 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결합되도록 제작하면 된다.
따라서, 만약에 커넥터용 소켓부(100)를 구성하는 충전부(110)의 내장용 소켓(120)이 고장나면 충전부(110) 자체를 교환하는바, 고장난 충전부(110)가 2 소켓(120) 형태이면 2 소켓(120) 형태의 새로운 충전부(110)로서 교환하면 되고, 또한 고장난 충전부(110)가 3 소켓(120) 형태이면 3 소켓(120) 형태의 새로운 충전부로서 교환하면 되며, 또한 고장난 충전부(110)가 4 소켓(120) 형태이면 4소켓(120) 형태의 새로운 충전부로 교환하면 된다.
아울러, 다수개의 충전부(110)가 고장나면 그에 맞는 갯수의 내장용 소켓(120)을 구비한 각각의 충전부(110)를 구비하여 이들을 모두 교체함으로서 커넥터용 소켓부(100)를 수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커넥터용 소켓부(100)의 충전부(110)에 삽입된 소켓부(120)의 간격에 따라 동일한 간격을 갖는 단자 핀(210)을 구비한 커넥터용 플러그(200)를 제작하여 구비하는바, 예컨대 상기 커넥터용 소켓부(100)의 모델이 10개 정도이면 이에 합당하게 커넥터용 플러그(200)를 10개 구비토록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커넥터용 플러그(200)가 고장나면 여기에 합당한 모델의 커넥터용 플러그(200)로 교체하면 되므로 전기접속 커넥터의 고장에 손쉽게 대응할 수 있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커넥터용 소켓의 하부 케이스 구성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커넥터용 소켓의 상부 케이스 구성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커넥터용 소켓 하부 케이스에 충전부를 장착한 상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충전부 저면 사시도로서, 본 발명은 상기 충전부(110)의 하부면 중앙에는 하부 고정 홈(113)을 더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여 하부 고정 홈(113)에 삽입되도록 커넥터 소켓(100)의 하부 케이스(100a)에는 하부 고정턱(102)을 더 형성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보다 견고하게 충전부가 지지되어 외부 충격에 의해 충전부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전부(110)의 상부면에는 상부 고정 홈(114)을 더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여 상부 고정 홈(114)에 삽입되도록 커넥터 소켓(100)의 상부 케이스(100b)에는 상부 고정턱(103)을 더 형성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보다 견고하게 충전부의 상부를 지지하여 충전부가 유동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아울러, 비록 본 발명이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지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 내에 속하는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할 것이라고 여겨진다.
도 1a는 접속단자커버를 제외한 종래의 접속단자의 사시도.
도 1b는 접속단자커버를 매트에 이용한 것을 보여주는 사용상태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커넥터용 소켓의 충전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커넥터용 소켓의 충전부 수평 절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충전부에 소켓을 결합하는 동작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커넥터용 소켓과 커넥터용 플러그의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커넥터용 소켓의 하부 케이스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커넥터용 소켓의 상부 케이스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커넥터용 소켓 하부 케이스에 충전부를 장착한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충전부 저면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커넥터용 소켓
101: 커넥터용 소켓의 걸림턱
110: 충전부
111: 충전부 홀
112: 충전부 걸림홈
120: 소켓
121: 소켓 입력단
122: 소켓 출력단
200: 커넥터용 플러그
210: 커넥터용 플러그의 단자핀

Claims (4)

  1. 단자핀(210)을 갖는 커넥터용 플러그(200)와, 상기 단자핀(210)에 결합되는 커넥터용 소켓부(100)로 이루어지며, 2개 이상의 홀(111)을 형성하고, 상기 홀(111) 내부에 각각 내장용 소켓(120)을 설치하며 상기 내장용 소켓(120)은 충전부 케이스에 연장 출력되어 전열선과 용접 결합되도록 하고, 내장용 소켓과 단자핀이 상호 결합에 의해서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기를 중계하여 발열체에 전달하는 난방제품의 전기 접속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용 소켓부(100)에는 내부에 2개 이상의 직육면체 충전부(110)를 구비하되, 상기 충전부(110)의 측면에는 걸림홈(112)을 더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여 걸림 홈에 삽입되도록 커넥터용 소켓(100)에 걸림턱(101)을 더 형성하며;
    상기 충전부(110)의 하부면 중앙에는 하부 고정 홈(113)을 더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여 하부 고정 홈(113)에 삽입되도록 커넥터 소켓(100)의 하부 케이스(100a)에는 하부 고정턱(102)을 더 형성하고;
    상기 충전부(110)의 상부면에는 상부 고정 홈(114)을 더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여 상부 고정 홈(114)에 삽입되도록 커넥터 소켓(100)의 상부 케이스(100b)에는 상부 고정턱(103)을 더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제품의 모듈형 전기 접속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090015375A 2009-02-24 2009-02-24 난방제품의 모듈형 전기 접속장치 KR1012516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5375A KR101251614B1 (ko) 2009-02-24 2009-02-24 난방제품의 모듈형 전기 접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5375A KR101251614B1 (ko) 2009-02-24 2009-02-24 난방제품의 모듈형 전기 접속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6478A KR20100096478A (ko) 2010-09-02
KR101251614B1 true KR101251614B1 (ko) 2013-04-08

Family

ID=43003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5375A KR101251614B1 (ko) 2009-02-24 2009-02-24 난방제품의 모듈형 전기 접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161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0456B1 (ko) 2006-05-02 2007-11-28 가온전선 주식회사 전기 배선용 커넥터
KR20070117256A (ko) * 2006-06-08 2007-12-12 조성완 전기매트용 접속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0456B1 (ko) 2006-05-02 2007-11-28 가온전선 주식회사 전기 배선용 커넥터
KR20070117256A (ko) * 2006-06-08 2007-12-12 조성완 전기매트용 접속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6478A (ko) 2010-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746006B (zh) 部件装配系统
CN104981922B (zh) 保护电路模块、和包括保护电路模块的蓄电池模块
CN102509982A (zh) 具有连接器扩展模块的连接器组件
CN105684220A (zh) 用于连接装置的连接栏
CN103855477A (zh) 联接装置的装配
CN109643872A (zh) 连接器构造及蓄电装置
CN103928785A (zh) 显式模块化插座
KR101251614B1 (ko) 난방제품의 모듈형 전기 접속장치
KR102280995B1 (ko) 커넥터가 설치된 하우징을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US7479047B2 (en) Assembly for connecting the stator windings of an electric motor to the respective power supply
CN110525356B (zh) 电池模块
JP2013157275A (ja) 配線盤、及び配線盤の配線方法
CN208508093U (zh) 插座模块组
CN202178451U (zh) 分隔组装式插座
KR200491844Y1 (ko) 배터리모듈용 직렬연결장치
CN109713534B (zh) 一种插座
CN206134997U (zh) 一种免螺式插接套件
KR20080022423A (ko) 정션박스의 터미널 조립구조 및 그 방법
ITMI20000530A1 (it) Presa mobile e sistema di prese mobili componibili modularmente
JP2017073957A (ja) ジャンクションボックス組立体を備える太陽電池モジュール
KR200460887Y1 (ko) 난방제품의 전기접속 커넥터
KR100982547B1 (ko) 천장 배선용 분배기의 소켓
CN106410469A (zh) 连接器插座、连接器组件、电池汇流排组件及电池装置
KR20090011216U (ko) 전선 길이 연장이 용이한 플러그 분리형 멀티 콘센트
CN219660101U (zh) 一种可分离堵头式长条电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