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2423A - 정션박스의 터미널 조립구조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정션박스의 터미널 조립구조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2423A
KR20080022423A KR1020060085836A KR20060085836A KR20080022423A KR 20080022423 A KR20080022423 A KR 20080022423A KR 1020060085836 A KR1020060085836 A KR 1020060085836A KR 20060085836 A KR20060085836 A KR 20060085836A KR 20080022423 A KR20080022423 A KR 200800224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guide block
bus bar
main cover
bar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58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14929B1 (ko
Inventor
이재철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858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4929B1/ko
Publication of KR200800224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24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49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49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0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Abstract

본 발명은 정션박스의 터미널 조립구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터미널 조립구조는 안착통공(26)이 커넥터결합부(25)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메인커버(20)와, 절연판(32)과 버스바(34)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각각의 숫터미널이 구비되는 삽입통공(37)이 형성된 가이드블럭(36)이 상기 메인커버(20)와 마주보는 절연판(32)의 표면에 상기 커넥터결합부(25)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안착통공(26)에 삽입되도록 돌출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버스바조립체(30)와, 상기 가이드블럭(36)의 안착통공(37)에 삽입되어 일단이 상기 버스바조립체(30)의 숫터미널과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커넥터결합부(25)에 안착되는 커넥터의 숫터미널과 결합되는 암터미널(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좁은 피치간격으로 배치된 암터미널을 구비하는 버스바조립체를 메인커버에 보다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어 정션박스의 조립작업이 보다 신속하게 되고, 정션박스의 조립 생산성을 높일 수 있으며, 가이드블럭이 절연판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메인커버의 안착통공을 통해 가이드블럭에 설치된 암터미널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어 가이드블럭이나 암터미널의 누락을 방지할 수 있어 정션박스의 조립시 불량율이 낮아지는 이점이 있다.
정션박스, 터미널, 조립, 안착통공, 스페이서, 절연판, 일체

Description

정션박스의 터미널 조립구조 및 그 방법{Terminal assembling structure for junction box and method thereof}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터미널 조립구조가 채용된 정션박스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터미널 조립구조가 채용된 정션박스를 구성하는 메인커버의 저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터미널 조립구조가 채용된 정션박스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메인커버의 저면 구성을 보인 저면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메인커버 22: 부품결합부
24: 커넥터결합부 26: 안착통공
30: 버스바조립체 32: 절연판
34: 버스바 36: 가이드블럭
37; 삽입통공 40: 암터미널
50: 하부커버
본 발명은 정션박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숫터미널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암터미널을 정션박스에 조립하는 구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터미널 조립구조가 채용된 정션박스의 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정션박스를 구성하는 메인커버의 저면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정션박스의 골격을 형성하는 메인커버(1)에는 부품결합부(3)와 커넥터결합부(5)가 형성된다. 상기 부품결합부(3)는 아래에서 설명될 버스바(14)와 결합될 부품(도시되지 않음, 예를 들면 릴레이나 퓨즈)이 안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커넥터결합부(5)는 커넥터하우징의 내부에 숫터미널이 설치되어 구성된 커넥터(도시되지 않음)가 결합되는 부분이다.
상기 커넥터결합부(5)는 상기 메인커버(1)의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된 가이드펜스(6)에 의해 구획된다. 상기 가이드펜스(6)의 내부에는 커넥터가 안착되는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펜스(6)의 내부에 해당되는 커넥터결합부(5)의 바닥에는 다수개의 관통부(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된다. 상기 커넥터결합부(5)의 하부 구성은 도 2에 잘 도시되어 있는데, 구획리브(7)가 격자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구획리브(7)에 의해 다수개의 터미널통공(9)이 형성된다. 상기 터미널통공(9)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암터미널(16)의 일부가 안착되어 상기 커넥터의 숫터미널과 결합된다.
상기 메인커버(1)의 하부에 안착되게 버스바조립체(10)가 구비된다. 상기 버스바조립체(10)는 다수개의 절연판(12)에 다수개의 버스바(14)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버스바(14)는 상기 절연판(12)의 사이 사이에 설치될 뿐만 아니라, 최상단의 절연판(12)의 상부로 직립되게 일부가 돌출되어 상기 부품결합부(3)에 안착되는 부품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버스바조립체(10)중 상기 커넥터결합부(5)와 대응되는 부분에는 다수개의 숫터미널(도시되지 않음)이 배치되고, 상기 숫터미널에는 암터미널(16)이 결합된다. 상기 암터미널(16)은 그 양단에 각각 숫터미널이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일단부에는 상기 버스바조립체(10)의 숫터미널이 삽입되고 타단부에는 상기 메인커버(1)에 장착되는 커넥터의 숫터미널이 삽입되어 상기 숫터미널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도면부호 18은 하부커버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암터미널(16)은 상기 버스바조립체(10)의 조립이 완성된 후에 숫터미널에 각각 일단부가 삽입되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되고, 이 상태에서 상기 메인커버(1)의 하부에 상기 버스바조립체(10)를 조립한다.
하지만, 상기 암터미널(16)은 매우 좁은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어 상기 버스바조립체(10)를 상기 메인커버(1)와 결합합에 있어서, 상기 암터미널(16)의 타단부를 상기 터미널통공(9)에 정확하게 삽입하는 것은 매우 어렵고 번거로운 작업이다. 이는 작업자가 이들 터미널통공(9)과 암터미널(16)을 동시 볼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버스바조립체(10)와 메인커버(1)를 결합하는 작업의 시간이 많 이 걸리고, 상기 메인커버(1)의 터미널통공(9)에 상기 암터미널(16)이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암터미널의 손상이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으로, 좁은 피치간격으로 배치되는 암터미널이 구비된 버스바조립체를 메인커버에 보다 용이하게 조립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정션박스의 조립시 부품의 누락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안착통공이 커넥터결합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메인커버와, 절연판과 버스바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각각의 숫터미널이 구비되는 삽입통공이 형성된 가이드블럭이 상기 메인커버와 마주보는 절연판의 표면에 상기 커넥터결합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안착통공에 삽입되도록 돌출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버스바조립체와, 상기 가이드블럭의 안착통공에 삽입되어 일단이 상기 버스바조립체의 숫터미널과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커넥터결합부에 안착되는 커넥터의 숫터미널과 결합되는 암터미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안착통공은 상기 메인커버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가이드블럭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도록 가이드블럭의 외면과 대응되는 내면 형상을 가진다.
상기 가이드블럭의 삽입통공 입구는 상기 암터미널이 입출될 수 있도록 암터미널의 크기와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메인커버의 커넥터결합부를 관통하여 형성된 안착통공에 버스바조립체에 가이드블럭에 의해 구획되어 설치된 암터미널이 위치되도록 하는 터미널 조립방법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조립체의 절연판에 일체로 형성된 가이드블럭의 삽입통공에 암터미널을 가조립하는 단계와, 상기 삽입통공에 가조립된 암터미널 전체에 동시에 힘을 가해 버스바조립체의 숫터미널과 결합하는 단계와, 상기 버스바조립체를 메인커버와 결합하여 상기 암터미널이 구비된 가이드블럭을 메인커버의 커넥터결합부에 형성된 안착통공에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블럭은 상기 안착통공에 압입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좁은 피치간격으로 배치된 암터미널을 구비하는 버스바조립체를 메인커버에 보다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어 정션박스의 조립작업이 보다 신속하게 되고, 정션박스의 조립 생산성을 높일 수 있으며, 가이드블럭이 절연판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메인커버의 안착통공을 통해 가이드블럭에 설치된 암터미널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어 가이드블럭이나 암터미널의 누락을 방지할 수 있어 정션박스의 조립시 불량율이 낮아지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정션박스의 터미널 결합구조 및 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터미널 조립구조가 채용된 정션박스의 구성이 분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메인커버의 저면 구성을 보인 저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따르면, 정션박스의 골격을 형성하는 메인커버(20)에는 부품결합부(22)와 커넥터결합부(24)가 형성된다. 상기 부품결합부(22)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버스바(34)와 결합될 릴레이나 퓨즈와 같은 부품(도시되지 않음)이 안착된다. 상기 커넥터결합부(24)는 커넥터하우징의 내부에 숫터미널이 설치되어 구성된 커넥터(도시되지 않음)가 결합되는 부분이다.
상기 커넥터결합부(24)는 상기 메인커버(20)의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된 가이드펜스(25)에 의해 구획된다. 상기 가이드펜스(25)의 내부에는 커넥터가 안착되는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펜스(25)의 내부에 해당되는 커넥터결합부(24)의 내부에는 메인커버(20)를 상하로 관통하여 안착통공(26)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통공(26)은 도 4에서 잘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메인커버(20)의 하면으로도 개구된다. 상기 안착통공(26)은 본 실시예에서 다수개가 형성되어 있는데, 반드시 그러할 필요는 없고, 설계조건에 따라 하나 이상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통공(26)은 상기 메인커버(20)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아래에서 설명될 가이드블럭(36)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도록 가이드블럭(36)의 외면과 대응되는 내면 형상을 가진다.
상기 메인커버(20)의 하부에 안착되게 버스바조립체(30)가 구비된다. 상기 버스바조립체(30)는 다수개의 절연판(32)에 다수개의 버스바(34)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버스바(34)는 상기 절연판(32)의 사이 사이에 설치될 뿐만 아니라, 최상단의 절연판(32)의 상부로 직립되게 일부가 돌출되어 상기 부품결합부(22)에 안 착되는 부품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버스바조립체(30)에서 상기 커넥터결합부(24)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가이드블럭(36)이 최상단 절연판(32), 즉 메인커버(20)와 마주보는 절연판(32)의 표면에 직립되게 일체로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블럭(36)은 상기 안착통공(26)에 압입되도록 치수가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블럭(36)의 상하로 관통하여서는 다수개의 삽입통공(37)이 형성된다. 상기 각각의 삽입통공(37)에는 각각 숫터미널(도시되지 않음)이 위치된다. 상기 숫터미널은 상기 버스바조립체(30)를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가이드블럭(36)은 상기 숫터미널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보호함과 동시에 아래에서 설명될 암터미널(40)이 상기 삽입통공(37) 내에 삽입되어 설치되도록 한다.
상기 가이드블럭(36)은 전체가 일체로 형성되거나, 본 실시예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몇개로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각각의 정션박스의 설계조건에 따라 달리된다. 참고로, 상기 가이드블럭(36)의 갯수와 상기 메인커버(20)의 안착요홈(26)의 갯수는 동일하게 형성되어야 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블럭(36)에 형성되는 삽입통공(37)은 아래에서 설명될 암터미널(40)의 갯수와 같은 갯수만큼 형성된다. 상기 삽입통공(37)의 입구는 암터미널(40)이 입출될 수 있도록 암터미널(40)의 크기와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된다.
암터미널(40)은 그 양단에 각각 숫터미널이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일단부에는 상기 버스바조립체(30)의 숫터미널이 삽입되고 타단부에는 상기 메인커버(20)에 장착되는 커넥터의 숫터미널이 삽입되어 상기 숫터미널 사이를 전기 적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각각의 암터미널(40) 사이의 간격을 상기 가이드블럭(36)이 수행한다. 즉, 상기 가이드블럭(36)의 삽입통공(37)에 상기 암터미널(40)이 각각 삽입됨에 의해 인접하는 암터미널(40) 사이가 절연된다.
미설명 도면부호 50은 하부커버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정션박스의 터미널 조립구조의 작용과 터미널 조립방법을 자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정션박스를 조립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버스바조립체(30)를 조립한다. 상기 버스바조립체(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절연판(32)과 버스바(34)가 조립된 상태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블럭(36)의 각각의 삽입통공(37) 내에는 숫터미널이 위치된다.
이와 같은 버스바조립체(30)의 가이드블럭(36)의 삽입통공(37)에 각각 암터미널(40)을 가조립한다. 즉, 각각의 삽입통공(37)에 각각의 암터미널(40)을 삽입하여 버스바조립체(30)의 숫터미널과 가조립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암터미널(40)을 상기 가이드블럭(36)의 삽입통공(37)에 가조립한 상태에서 별도의 지그 등의 장치를 사용하여 전체 암터미널(40)을 동시에 눌러 상기 가이드블럭(36)의 삽입통공(37) 내에 암터미널(40)이 완전히 삽입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버스바조립체(30)와 메인커버(20)를 결합한다. 이때, 상기 버스바조립체(30)를 메인커버(20)의 하부에 위치시킨다. 즉, 상기 각각의 버스바(34)는 각각 대응되는 부품결합부(22)의 내부에 삽입되게 하고, 상기 암터미 널(40)이 삽입되어 있는 가이드블럭(36)은 상기 안착통공(26)에 안착되게 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안착통공(26)을 통해 상기 암터미널(40)을 메인커버(20)의 상부에서 볼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작업자는 상기 안착통공(26)을 통해 상기 버스바조립체(30)의 가이드블럭(36)과 이에 설치된 암터미널(40)들을 눈으로 확인하면서 상기 가이드블럭(36)을 안착통공(26)에 삽입할 수 있어 상기 안착통공(26)에 가이드블럭(36)이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커넥터결합부(24)의 안착통공(26) 내에 암터미널(40)들을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
참고로, 상기 가이드블럭(36)의 내부에 암터미널(40)이 삽입될 때, 가이드블럭(36) 내부에 암터미널(40)이 삽입되어 걸어질 수 있는 구성을 둘 수 있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암터미널(40)이 가이드블럭(36)에서 임의로 빠지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이 버스바조립체(30)를 상기 메인커버(20)와 결합하고, 안착통공(26)에 가이드블럭(36)을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하부커버(50)를 상기 메인커버(20)에 조립하면 상기 메인커버(20)와 하부커버(50)의 내부에 버스바조립체(30)가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부품결합부(22)와 커넥터결합부(24)에 각각 부품과 커넥터를 장착한다. 이때, 상기 커넥터결합부(24)에 장착되는 커넥터는 그 터미널이 상기기 가이드블럭(36)의 삽입통공(37)에 삽입되어 상기 암터미널(40)의 일측 단부에 삽입되어 서로 결합된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정션박스의 터미널 조립구조 및 그 방법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좁은 피치로 설치되는 암터미널을 터미널조립체의 절연판에 일체로 형성된 가이드블럭의 삽입통공에 미리 삽입한 후에, 상기 가이드블럭이 메인커버의 안착통공에 안착되도록 하였다. 따라서, 메인커버와 버스바조립체의 조립시 암터미널이 손상되거나 그들 사이의 간격이 틀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다시 말해, 버스바조립체를 메인커버에 보다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어 정션박스의 조립작업이 보다 신속하게 되어 정션박스의 조립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암터미널이 버스바조립체의 절연판에 형성된 가이드블럭에 미리 삽입된 상태에서 메인커버의 안착통공에 삽입하므로, 절연판에 일체로 형성된 가이드블럭이 누락될 염려가 없고, 각각의 암터미널이 가이드블럭이 설치되었는지를 안착통공을 통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정션박스의 조립시 가이드블럭이나 암터미널을 누락시킬 염려가 없어 제품의 불량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있다.

Claims (5)

  1. 안착통공이 커넥터결합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메인커버와,
    절연판과 버스바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각각의 숫터미널이 구비되는 삽입통공이 형성된 가이드블럭이 상기 메인커버와 마주보는 절연판의 표면에 상기 커넥터결합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안착통공에 삽입되도록 돌출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버스바조립체와,
    상기 가이드블럭의 안착통공에 삽입되어 일단이 상기 버스바조립체의 숫터미널과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커넥터결합부에 안착되는 커넥터의 숫터미널과 결합되는 암터미널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션박스의 터미널 조립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통공은 상기 메인커버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가이드블럭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도록 가이드블럭의 외면과 대응되는 내면 형상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정션박스의 터미널 조립구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블럭의 삽입통공 입구는 상기 암터미널이 입출될 수 있도록 암터미널의 크기와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션박스의 터미널 조립구조.
  4. 메인커버의 커넥터결합부를 관통하여 형성된 안착통공에 버스바조립체에 가 이드블럭에 의해 구획되어 설치된 암터미널이 위치되도록 하는 터미널 조립방법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조립체의 절연판에 일체로 형성된 가이드블럭의 삽입통공에 암터미널을 가조립하는 단계와,
    상기 삽입통공에 가조립된 암터미널 전체에 동시에 힘을 가해 버스바조립체의 숫터미널과 결합하는 단계와,
    상기 버스바조립체를 메인커버와 결합하여 상기 암터미널이 구비된 가이드블럭을 메인커버의 커넥터결합부에 형성된 안착통공에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션박스의 터미널 조립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블럭은 상기 안착통공에 압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션박스의 터미널 조립방법.
KR1020060085836A 2006-09-06 2006-09-06 정션박스의 터미널 조립구조 및 그 방법 KR1008149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5836A KR100814929B1 (ko) 2006-09-06 2006-09-06 정션박스의 터미널 조립구조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5836A KR100814929B1 (ko) 2006-09-06 2006-09-06 정션박스의 터미널 조립구조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2423A true KR20080022423A (ko) 2008-03-11
KR100814929B1 KR100814929B1 (ko) 2008-03-19

Family

ID=39396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5836A KR100814929B1 (ko) 2006-09-06 2006-09-06 정션박스의 터미널 조립구조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492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503Y1 (ko) * 2008-06-30 2010-07-14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정션박스
US8748021B2 (en) 2010-10-19 2014-06-10 Samsung Sdi Co., Ltd. Battery module
US9614208B2 (en) 2011-10-10 2017-04-04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with degassing cover and plate there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3702B1 (ko) 2014-12-24 2015-09-30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차량용 블럭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74930B2 (ja) 1999-12-24 2011-04-20 矢崎総業株式会社 電気接続箱
JP4219638B2 (ja) * 2002-08-14 2009-02-04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電気接続箱および電気接続箱のタブアライメント保持具
KR100516513B1 (ko) * 2004-02-19 2005-09-26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차량용 정션박스 및 그 조립방법
KR200419493Y1 (ko) 2006-04-07 2006-06-2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정션박스용 파워커넥터
KR100734053B1 (ko) 2006-08-14 2007-07-02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정션박스의 터미널 조립구조 및 그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503Y1 (ko) * 2008-06-30 2010-07-14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정션박스
US8748021B2 (en) 2010-10-19 2014-06-10 Samsung Sdi Co., Ltd. Battery module
US9614208B2 (en) 2011-10-10 2017-04-04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with degassing cover and plate there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4929B1 (ko) 2008-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37116B2 (en) Ground joint connector and wire harness including the same
JP4229120B2 (ja) 電気接続箱
JP4597659B2 (ja) ジャンクションブロック
US8035040B2 (en) Electrical junction box provided with electric current sensor
JP2005322554A (ja) 電気機器の端子装置
JP5664929B2 (ja) 電気接続箱
JP2006286598A (ja) 電子部品内蔵コネクタ及び電子部品内蔵コネクタ付き配線体
KR100814929B1 (ko) 정션박스의 터미널 조립구조 및 그 방법
JP2016096021A (ja) 基板端子付プリント基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気接続箱
WO2016208448A1 (ja) 電気接続箱
CN103683147A (zh) 电气接线盒
KR100734053B1 (ko) 정션박스의 터미널 조립구조 및 그 방법
JP5495132B2 (ja) 電気接続箱
KR20100121950A (ko) 조인트터미널이 구비된 커넥터
KR100744808B1 (ko) 정션박스의 터미널 조립구조 및 그 방법
KR200445633Y1 (ko) 커넥터용 스페이서
JP5495133B2 (ja) 電気接続箱
JP5737153B2 (ja) アース接続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ワイヤハーネス
JP5443080B2 (ja) 電気接続箱の電線保持構造
KR20140006390A (ko) 차량용 컨벤셔널 박스
EP1577982A1 (en) Electrical junction box and continuity inspection jig assembly fitted in the electrical junction box
KR200432452Y1 (ko) 버스바조립체
JP3861752B2 (ja) 電気接続箱及びその製造方法
JPH09154219A (ja) 電気接続箱への端子接続構造
JP3293476B2 (ja) 電気接続箱の二重ロック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