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9445B1 - 대기전력 제어시스템 - Google Patents

대기전력 제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9445B1
KR101479445B1 KR20140046839A KR20140046839A KR101479445B1 KR 101479445 B1 KR101479445 B1 KR 101479445B1 KR 20140046839 A KR20140046839 A KR 20140046839A KR 20140046839 A KR20140046839 A KR 20140046839A KR 101479445 B1 KR101479445 B1 KR 1014794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line
signal
central serv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46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승수
Original Assignee
가온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온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가온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400468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94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94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94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05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using a power saving mod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98Shield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01R13/6691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with built-in signall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기전력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력의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전력제어신호를 인가하는 중앙서버; 상기 중앙서버의 상기 전력제어신호가 인가되는 신호제어선 및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선이 유입되어 분기되는 적어도 하나의 터미널박스; 및 상기 터미널박스에서 분기되는 상기 전력선 및 상기 신호제어선이 접속되는 접속부가 일측에 구비되어 전력 및 전력제어신호가 입력되고, 상기 접속부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전력선 및 상기 신호제어선의 전력 및 전력제어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출력부가 타측에 구비되며, 복수로 구성되어 상기 접속부 및 상기 출력부를 통해 상기 전력선 및 상기 신호제어선이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시스템박스;를 포함하며, 시스템박스는 내부에 릴레이스위치가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시스템박스가 다수로 구성되어도 릴레이스위치를 통해 각각의 시스템박스에서 대기전력을 제각기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대기전력 제어시스템 {STANDBY POWER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대기전력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전력을 공급하는 콘센트의 미사용시 자동으로 대기전력을 차단하고, 콘센트의 사용시 전력을 공급하는 대기전력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공건물, 빌딩, 빌딩형 공장 등의 집합형 건물은 각 층에 누전차단기가 설치된 분전함이 설치되어 메인스위치, 과부하 또는 누전으로 인한 화재를 예방하면서 각 사무실 배선 또는 바닥에 매립된 다수의 콘센트로 외부의 전력을 공급한다.
이때 각 사무실 배선 또는 바닥에 매립된 다수의 콘센트로 공급되는 전원은 각각의 전력선을 이용하여 시공하게 되므로, 전력선의 수가 많아 배선작업 및 시공이 번거롭고 복잡해지는 문제점을 가지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이렇게 전력선이 시공되어 있는 각 사무실 내에서 사용하게 되는 전력은 대부분이 빌딩 내에 시설된 중앙 관리 시스템에서 관리하게 되는데, 이때 관리를 위해서 상기 중앙 관리 시스템과 각 사무실 간에 별도의 케이블을 시공하여 관리하게 되므로, 빌딩 내의 배선들은 더욱더 복잡해지는 문제점을 가지게 되었다.
이때 상기 각 사무실의 전력을 관리하는 중앙 관리 시스템에서는 각 사무실의 사용 전력을 관리하게 되지만, 각 사무실 내에서 콘센트에 꽂아 놓은 채 사용하지 않는 각종 부하 기기에 의해 발생하는 대기전력에 대하여는 전혀 관리를 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즉, 상기 콘센트에 접속하여 사용하고 있던 각종 부하 기기를 콘센트에 꽂아 놓은 채 사용하지 않게 되면, 각종 부하 기기에는 콘센트로부터 전원이 충전되어 항상 대기전력이 발생하게 되어 불필요한 전력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그래서 각 사무실에서는 각종 부하 기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 콘센트로부터 부하 기기의 전원코드를 일일이 뽑도록 하고 있으나, 실질적으로 사용하지 않는 혹은 외출 또는 출,퇴근시 콘센트로부터 일일이 전원코드를 모두 뽑는다는 것은 세심한 주의를 갖지 않으면 어려운 실정이기 때문에 불필요한 전력을 낭비하게 되는 문제점을 여전히 가지게 되었다. 하지만, 최근 대기전력은 전력 총량이 11%로 법제화되고, 전체 콘센트의 30%를 원격제어가 가능한 콘센트로 구비해야하는 법적 규정으로 인하여 반드시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해야 하는 실정이다.
한편, 대한민국 특허청에 특허등록된 등록 제10-1108098호(전력선통신 제어시스템의 대기전력 개별 제어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층에 설치되어 분전함 기능을 하고, 미도시된 중앙서버(중앙관리시스템)와 연결되며, 외부로부터 미도시된 전력선을 통해 전력을 공급받아서 분기하여 공급하는 터미널박스(20); 상기 터미널박스(20)에서 인가되는 전력을 출력하는 콘센트(미도시)가 내장된 시스템박스(40); 및 상기 터미널박스(20)로 외부의 전력을 공급하는 바닥배선(30);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기술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박스(40)에 대응하는 수량 또는 시스템박스(40)에 내장된 콘센트의 수량에 대응하는 수량으로 구비되고, 콘센트의 미사용시 콘센트에 공급되는 전원을 단속하는 릴레이 스위치(22); 외부의 전력선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구동전원으로 변환하여 공급하는 구동전원부(21); 전술한 릴레이스위치(22)와 접속되어 부하 기기의 사용전력 및 대기전력을 감지하는 전력감지기(23); 전력감지기(23)에서 감지된 사용전력을 적산함과 아울러 대기전력 상태를 판단하여 릴레이스위치(22)를 온/오프 제어하는 마이콤(24); 및 마이콤(24)에서 제어된 제어신호를 전원선을 통해 송수신하는 전력선통신모듈(25);이 터미널박스(20)에 구비된다.
그리고, 종래기술은 바닥배선(30)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랙시블관(32) 및 플러그(33)로 구성된다. 이러한 바닥배선(30)은 플랙시블관(32)에 다수의 전력선(31)이 삽입되고, 플러그(33)를 통해 시스템박스(20)와 연결된다. 그리고, 바닥배선(30)은 플러그(33)를 통해 다수의 시스템박스(20)를 통전가능하게 연결한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은 바닥배선(30)의 전력선(31)을 통해 전력 및 제어신호를 전송하므로 전력선통신이 가능하다.
한편, 종래기술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미널박스(20)가 복수로 구성되어 각각의 터미널박스(20)에 복수의 시스템박스(40)가 연결된다. 그리고, 종래기술은 사무실의 근무자 책상 등에 설치된 버튼(미도시)을 추가로 구비할 경우, 버튼의 조작에 의해 터미널박스(20)의 마이콤(24)이 릴레이스위치(22)를 작동시켜서 대기전력을 차단하거나 복귀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미널박스(20)에 다수의 릴레이 스위치(22)가 구비되므로 터미널박스(20)에 내장된 마이콤(24)이나 전력감지기(23) 또는 구동전원부(21) 중 어느 하나라도 고장이 나거나 오작동할 경우 릴레이 스위치(22)가 모두 작동되지 않으므로 다수의 시스템박스(40)가 동시에 대기전력을 제어할 수 없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박스(40)가 다수로 구성될 경우 각 시스템박스(40)의 제조시 각 시스템박스(40)에 설치된 제어모듈(미도시)에 각 시스템박스(40) 별로 관리번호가 미리 설정되고, 이러한 관리번호가 사전에 터미널박스(20)의 마이콤(24)에 제각기 저장됨에 따라 각각의 시스템박스(40)들을 마이콤(24)에 저장된 순서에 따라 설치해야 하며, 어느 하나의 시스템박스(40)를 교체할 경우 동일한 관리번호가 설정된 시스템박스(40)로 교체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를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종래기술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박스(40)가 제1 내지 제6 시스템박스(40a~40f)으로 구성될 경우, 각 시스템박스(40a~40f)들의 제조시 1번부터 6번까지의 설정번호가 전술한 제어모듈에 순서대로 입력되며, 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시스템박스(40)등의 표면에 번호표가 부착된다. 이에 따라, 시공자는 번호표를 확인한 후 시스템박스(40)들을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설치한다. 따라서, 종래기술은 제1 내지 제6 시스템박스(40a~40f)가 순차적으로 설치된 상태에서 제1 시스템박스(40a)를 교체해야 할 경우, 교체될 제1 시스템박스(40a)와 동일하게 관리번호가 설정된 제1 시스템박스(40a)를 창고에서 찾아 오던가, 동일한 관리번호가 설정되도록 제1 시스템박스(40a)를 새로 제조하여야 한다.
또, 종래기술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박스(40)들의 순서에 따라 플랙시블관(32)의 내부에 배선된 전력선(31)들의 수량이 상이하므로 시공시 각 시스템박스(40)별로 전력선(31)을 배선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를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종래기술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박스(40)가 제1 내지 제3 시스템박스(40a~40c)로 구성될 경우, 터미널박스(20)에서부터 제1 내지 제3 시스템박스(40a)까지 하나의 플랙시블관(32)이 배선된다. 하지만, 플랙시블관(32)은 내부의 전력선(31)이 도시된 바와 같이 터미널박스(20)에서 제1 시스템박스(40a)까지는 3상으로 각각 구성된 3개의 전력선(31)이 배선되고, 제1 시스템박스(40a)에서부터 제2 시스템박스(40b)까지는 2개의 전력선(31)이 배선되며, 제2 시스템박스(40b)에서부터 제3 시스템박스(40c)까지는 1개의 전력선(31)이 배선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각 구간별로 전력선(31)을 배선하여야 하거나, 미리 이와 같이 전력선(31)을 배선작업하여 각 구간별에 해당하는 플랙시블관(32)을 준비해야 하며, 시공시 각 구간별에 해당하는 플랙시블관(32)을 일일이 확인해서 연결해야 한다.
또한, 종래기술은 전력감지기(23)에서 감지된 사용전력 및 대기전력을 마이콤(24)이 적산하므로 전력감지기(23)나 마이콤(24)의 고장시 그동안의 적산데이터를 확인할 수 없으며, 시스템박스(40)들의 개별적인 적산이 불가능하다.
아울러, 종래기술은 사무실 근무자의 책상에 전술한 버튼을 설치하여야 하므로 버튼을 설치하기 위한 배선작업을 별도로 실시하여야 하고, 배선에 의해 버튼의 설치위치가 제한적이므로 실질적으로 원하는 위치에 버튼을 설치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버튼이 작은 크기로 구성되어 눈에 잘 띄지 않으므로 근무자가 버튼을 잘 조작하지 못하고 퇴근하는 단점도 있다.
게다가,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선(31)을 통해 통신신호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이점은 있으나, 시스템박스(40)의 미도시된 콘센트에 멀티콘센트(미도시) 등이 연결될 경우, 다수의 부하 기기가 멀티콘센트에 연결됨에 따라 부하가 일정하지 않게 되어 노이즈가 증가하므로 사실상 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없다. 따라서, 전력제어가 필요한 전자기기(예: 전등)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없다.
KR 10-1108098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종래의 터미널박스에서 수행하던 대기전력의 차단 및 복구를 시스템박스에서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스템박스의 구동을 중앙서버에서 직접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므로 터미널박스의 부품구성을 단순화할 수 있는 대기전력 제어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그리고, 전력선 및 신호제어선을 함께 배선하여 전력 사용량에 따라 부하가 일정하지 않아도 제어신호를 원활하게 전송할 수 있고, 신호제어선과 전력선을 함께 배선하여도 노이즈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신호제어선의 접지가 가능한 대기전력 제어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함이 다른 목적이다.
또, 전력선이나 신호제어선을 시스템박스에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고, 이에 더하여 전력선의 접지가 가능한 대기전력 제어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함이 또 다른 목적이다.
또한, 시스템박스의 관리번호를 중앙서버에서 설정할 수 있으며, 이에 더하여 외부의 요청신호에 의해 대기전력을 차단 및 복구할 수 있는 대기전력 제어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함이 또 다른 목적이다.
게다가, 전력의 사용량에 따라 자동으로 대기전력을 차단하거나 복구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각 시스템박스별로 전력량을 적산할 수 있는 대기전력 제어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함이 다른 목적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전력 제어시스템은, 전력의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전력제어신호를 인가하는 중앙서버; 상기 중앙서버의 상기 전력제어신호가 인가되는 신호제어선 및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선이 유입되어 분기되는 적어도 하나의 터미널박스; 및 상기 터미널박스에서 분기되는 상기 전력선 및 상기 신호제어선이 접속되는 접속부가 일측에 구비되어 전력 및 전력제어신호가 입력되고, 상기 접속부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전력선 및 상기 신호제어선의 전력 및 전력제어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출력부가 타측에 구비되며, 복수로 구성되어 상기 접속부 및 상기 출력부를 통해 상기 전력선 및 상기 신호제어선이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시스템박스;를 포함하고, 상기 시스템박스는, 상기 접속부에 접속되는 상기 전력선으로부터 전력을 인가받아서 출력하는 전원콘센트; 상기 전원콘센트로 인가되는 상기 전력선의 전력을 제어하여 대기전력을 차단하거나 복구하는 릴레이 스위치; 및 상기 중앙서버의 상기 전력제어신호를 상기 신호제어선을 통해 수신하여 상기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릴레이 제어모듈;이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시스템박스에 접속되는 상기 전력선 및 상기 신호제어선을 통합하여 배선하는 배선관;을 더 포함한다.
상기 배선관은 예컨대, 상기 신호제어선이 내장되고, 노이즈를 차폐하는 재질로 이루어진 내관; 및 상기 내관이 내장되고, 상기 내관의 외측으로 상기 전력선이 내장되는 외관;을 포함한다.
상기 내관은 예컨대, 상기 전력선의 노이즈 차단기능을 갖는 금속재가 함유된 플랙시블 재질의 금속성 관체로 구성된다.
상기 외관은 예컨대, 상기 전력선 및 상기 내관이 내장되는 금속재 주름관으로 구성된다.
상기 내관은, 상기 금속성 관체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신호제어선을 구성하는 신호전송을 위한 신호선 및 접지를 위한 신호라인 접지선 중 상기 신호선이 배선되고, 플랙시블한 절연재로 이루어진 절연관;을 더 포함한다.
상기 신호라인 접지선은, 상기 절연관 및 상기 금속성 관체 사이에 배선된다.
상기 신호라인 접지선은, 상기 금속성 관체에서 인출되어 상기 금속재 주름관으로 구성된 상기 외관에 접지된다.
상기 외관은, 상기 시스템박스에 접속되는 상기 전력선이나 상기 신호제어선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통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커넥터;를 더 포함한다.
상기 커넥터는 예컨대, 상기 전력선을 구성하는 전력 공급을 위한 전력공급선 및 접지를 위한 전력라인 접지선을 접속가능하게 제각기 인출하는 인출부; 상기 인출부가 내장되는 금속재 케이스; 및 상기 인출부나 상기 케이스에 일단부가 접촉되고, 상기 외관에 타단부가 연결됨에 따라 금속재의 상기 케이스를 상기 외관에 통전가능하게 연결하여 접지시키는 케이스 접지선;을 포함한다.
상기 시스템박스는, 상기 인출부로 인출되어 접속되는 상기 전력라인 접지선과 일단부가 통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가 내부의 일측에 접지되는 박스 접지선;을 더 포함한다.
상기 릴레이 제어모듈은 예컨대, 상기 중앙서버 및 상기 릴레이 스위치와 통신하여 상기 중앙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전력제어신호를 상기 릴레이 스위치에 인가하는 인터페이스부; 및 주변의 또 다른 시스템박스와 구별되는 식별어드레스를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중앙서버에 인가하거나 상기 중앙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하는 어드레스 저장부;를 포함한다.
상기 중앙서버는 예컨대, 상기 릴레이 제어모듈과 통신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인가되는 상기 전력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신호생성부; 상기 릴레이 제어모듈의 상기 어드레스 저장부와 연동되어 상기 식별어드레스가 저장되는 서버 어드레스 저장부; 및 상기 서버 어드레스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식별어드레스 중에서 상기 전력제어신호가 인가될 해당 식별어드레스를 검색하여 상기 통신부에 제공하는 어드레스 검색부;를 포함한다.
상기 신호생성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인가되는 외부의 전력제어 요청신호에 의해 상기 전력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릴레이 제어모듈은 예컨대, 상기 전원콘센트로 인가되는 상기 전력선의 전력량을 측정하는 메터링부; 상기 중앙서버와 통신하여 상기 메터링부에서 측정된 전력량을 상기 중앙서버에 전송하거나, 상기 중앙서버에서 인가되는 상기 전력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릴레이 스위치에 인가하는 인터페이스부; 및 주변의 또 다른 시스템박스와 구별되는 식별어드레스를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중앙서버에 인가하거나 상기 중앙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하는 어드레스 저장부;를 포함한다.
상기 중앙서버는 예컨대, 상기 릴레이 제어모듈과 통신하는 통신부; 상기 릴레이 제어모듈에서 측정된 전력량을 기반으로 상기 전력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릴레이 제어모듈에 인가하는 신호생성부; 상기 릴레이 제어모듈의 상기 어드레스 저장부와 연동되어 상기 식별어드레스가 저장되는 서버 어드레스 저장부; 및 상기 서버 어드레스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식별어드레스 중에서 상기 전력제어신호가 인가될 해당 식별어드레스를 검색하여 상기 통신부에 제공하는 어드레스 검색부;를 포함한다.
상기 중앙서버는, 상기 릴레이 제어모듈의 상기 메터링부를 통해 수신되는 전력량이나 지속적으로 수신된 전력량을 적산하여 출력가능하게 제공하는 전력량 제공부;를 더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시스템박스에 내장된 릴레이스위치를 중앙서버의 전력제어신호에 따라 릴레이 제어모듈이 제어하여 시스템박스에서 대기전력을 차단하거나 복구할 수 있으므로 대기전력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으며, 릴레이스위치 및 릴레이 제어모듈이 종래와 달리 터미널박스가 아닌 시스템박스에 설치되므로 터미널박스의 부품구성을 단순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터미널박스가 사실상 단순히 전력선 및 신호제어선만을 분기시키도록 구성되므로 터미널박스의 시공이 간편하여 시공시간을 대폭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고, 터미널박스의 내부에 오작동이나 고장날 부품이 없으므로 종래와 같이 터미널박스에 내장된 부품의 오작동 또는 고장으로 다수의 시스템박스가 동시에 다운되어 미작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더하여 시스템박스가 다수로 구성되어도 전력선 및 신호제어선이 시스템박스의 접속부 및 출력부를 통해 연속적으로 연결되므로 전력선 및 신호제어선의 수량을 시스템박스의 수량에 비례하여 준비하지 않아도 된다.
그리고, 신호제어선이 내장된 내관을 전력선이 내장된 외관에 인입하여 배선관을 구성하므로 신호제어선을 시스템박스에 직접 연결하여 제어신호를 인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어신호의 안정적인 전송이 가능하여 전력의 사용량과 상관없이 릴레이스위치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고, 전술한 바와 같이 전력선 및 신호제어선을 함께 배선하므로 배선이 매우 용이하여 시공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관이 노이즈 차단기능을 갖는 금속재가 함유된 금속성 관체로 구성되므로 제어신호가 노이즈에 의해 약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외관이 주름관으로 구성되어 배선관을 설치위치에 적합하도록 용이하게 절곡시킬 수 있으므로 시공이 간편하다.
또, 내관이 금속성 관체 및 절연관으로 구성되어 신호제어선의 신호선이 절연관의 내부에 배선되고, 신호제어선의 신호라인 접지선이 절연관 및 금속성 관체 사이에 배선되어 신호선과 분리될 뿐만 아니라 신호라인 접지선의 접지를 통해 신호선에 노이즈가 발생하는 것을 더욱더 억제할 수 있으며, 이에 더하여 신호라인 접지선이 시스템박스가 아닌 금속재 주름관으로 구성된 외관에 접지될 경우 신호라인 접지선을 용이하게 접지할 수 있다.
또한, 외관에 커넥터가 구비될 경우 전력선 및 신호제어선을 시스템박스에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으므로 시공성을 개선할 수 있고, 이에 더하여 전력 공급선 및 전력라인 접지선으로 구성된 전력선의 전력라인 접지선이 시스템박스에 접지된 박스 접지선과 통전되므로 감전에 의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커넥터의 금속재 케이스를 케이스 접지선이 금속재 주름관으로 구성된 외관에 접지시키므로 감전에 의한 안전사고를 더욱더 확실하게 예방할 수 있다.
게다가, 릴레이 제어모듈에 어드레스 저장부가 구비되고, 중앙서버에 서버 어드레스 저장부 및 어드레스 검색부가 구비됨에 따라 시스템박스가 다수로 구성되어도 각 시스템박스별로 식별어드레스를 부여하여 관리할 수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다수의 시스템박스에 관리번호를 사전에 설정하지 않아도 용이하게 관리 및 교체 또는 추가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릴레이 제어모듈에 메터링부가 구비될 경우 시스템박스 별 사용 전력량을 측정할 수 있으므로 릴레이스위치를 통해 대기전력을 원활하게 관리할 수 있다.
아울러, 전화와 같은 외부의 기기를 통해 전력차단 또는 복구를 요청하는 요청신호가 중앙서버로 수신될 경우, 중앙서버의 신호생성부가 전력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시스템박스의 릴레이스위치를 제어하므로 전력 사용자가 용이하게 대기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덧붙여, 중앙서버에 전력량 제공부가 구비될 경우 전술한 메터링부를 통해 수신되는 전력량이나 메터링부를 통해 지속적으로 수신된 전력량을 전산하여 출력할 수 있으므로 전력의 사용량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확인된 사용량을 통해 전기의 사용량을 절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와 같이 터미널박스에 내장된 마이콤이 전력량을 적산하지 않고 시스템박스의 메터링부가 적산량을 측정하므로 종래와 같이 마이콤의 고장이나 오작동을 우려하지 않아도 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대기전력 제어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터미널박스가 복수로 구성된 것을 도시한 블럭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터미널박스에 시스템박스가 복수로 연결된 것을 도시한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대기전력 제어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시스템박스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시스템박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중앙서버 및 릴레이 제어모듈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및
도 8은 도 4에 도시된 커넥터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대기전력 차단시스템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대기전력 차단시스템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서버(70), 터미널박스(50) 및 시스템박스(60)를 포함한다.
중앙서버(70)는 터미널박스(50)를 통해 모든 시스템박스(60)를 관리하여 건물 전체의 전력을 통합적으로 통제한다. 중앙서버(70)는 키보드와 같은 입력부 또는 화면과 같은 출력부가 구비된 통상의 PC와 같은 단말기로 구성할 수 있다. 중앙서버(70)는 시스템박스(60)에 내장된 후술되는 릴레이 제어모듈(61)에 전력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시스템박스(60)에 내장된 후술되는 릴레이스위치(64)의 작동을 제어한다. 이러한 중앙서버(70)는 전력제어신호를 시스템박스(60)에 곧바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미도시된 게이트웨이와 같은 중계기를 통해 시스템박스(60)에 전송할 수도 있다.
터미널박스(5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선(P) 및 전력제어신호가 인가되는 신호제어선(C)이 분기되며, 단수 또는 복수로 구성된다. 즉, 터미널박스(50)는 단순히 전력선(P) 및 신호제어선(C)만을 내부에서 분기한다.
시스템박스(6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미널박스(50)에서 분기되는 전력선(P) 및 신호제어선(C)이 연결되어 전력 및 전력제어신호가 입력된다. 시스템박스(6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선(P) 및 신호제어선(C)이 내장된 배선관(90)이 접속되는 접속부가 일측에 구비되고, 접속부에 접속된 전력선(P) 및 신호제어선(C)의 전력 및 전력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가 타측에 구비된다. 이러한 접속부 및 출력부는 도시된 바와 같이 독커넥터(60a)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며, 미도시된 전선에 의해 서로 통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여기서, 전술한 배선관(90)은 독커넥터(60a)에 용이하게 연결되도록,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에 독커넥터(60a)와 결합되는 커넥터(90a)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시스템박스(60)는 이러한 독커넥터(60a)로 구성된 접속부 및 출력부에 의해 복수로 구성되어도 용이하게 연속적으로 연결되며, 이에 따라 어느 하나의 시스템박스(60)에 인가되는 전력 및 전력제어신호를 커넥터(90a) 및 독커넥터(60a)로 연결된 다른 시스템박스(60)로 용이하게 전송한다. 즉, 시스템박스(60)들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선(P) 및 신호제어선(C)에 의해 병렬을 이루면서 연속적으로 연결된다.
시스템박스(60)는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전원콘센트(65), 릴레이스위치(64) 및 릴레이 제어모듈(61)이 내장된다. 전원콘센트(65)는 전술한 접속부로 인가되는 전력을 출력한다. 릴레이스위치(64)는 전원콘센트(65)로 인가되는 전력을 제어하여 대기전력을 차단하거나 복구한다. 이러한 릴레이 스위치(64)는 전자기력을 제공하는 솔레노이드에 의해 ON/OFF되며, ON될 경우 대기전력을 차단하여 전원콘센트(65)의 전력공급을 중단시키고, OFF될 경우 전력을 복귀하여 전원콘센트(65)에 전력을 통전시킨다. 릴레이 제어모듈(61)은 전술한 접속부에 접속된 신호제어선(C)을 통해 중앙서버(70)의 전력제어신호를 수신하여 릴레이스위치(64)의 작동을 제어한다. 따라서, 릴레이스위치(64)는 중앙서버(70)에 의해 대기전력을 차단하거나 복구한다.
시스템박스(60)는 릴레이스위치(64)가 내장되므로 종래와 같이 터미널박스(50)와 작동이 연동되지 않으므로 복수로 구성될 경우 어느 하나가 고장나도 다른 것들은 정상적으로 작동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고장나지 않은 것들을 통해 지속적으로 대기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그리고, 시스템박스(60)는 건물의 바닥이나 벽에 내장된 상태로 설치되지만, 전원콘센트(65)가 벽체에 별도로 설치될 경우 내장되지 않을 수도 있다.
한편, 전술한 배선관(90)은 도 6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선(P) 및 신호제어선(C)이 통합적으로 배선된다. 배선관(90)은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내관(92) 및 외관(91)으로 구성된다. 내관(92)은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제어선(C)이 내장된다. 그리고, 외관(91)은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3상의 전력선(P)이 내장된다.
내관(92)은 노이즈를 차폐하는 재질로 제조되어 전력선(P)에 의한 노이즈의 발생을 차단한다. 이러한 내관(92)은 도 6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재가 함유된 플랙시블 재질의 금속성 관체(92a)로 구성된다. 금속성 관체(92a)는 예컨대, 알루미늄재가 함유된 통상의 금속성 필름이나 테이프로 구성되어 신호제어선(C)의 외부를 피복형태로 감싼다. 이와 달리, 금속성 관체(92a)는 예컨대, 금속망형태의 파이프로 구성되어 주로 동축케이블에 적용되는 통상의 쉴드튜브로 구성되어 신호제어선(C)의 외부를 피복형태로 감쌀 수도 있다.
외관(91)은 예컨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관(92)이 인입되어 내장되는 금속재 주름관으로 구성할 수 있다. 외관(91)은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3상의 전력선(P)이 내부에 내관(92)과 함께 내부에 배선된다. 이러한 외관(91)은 노이즈 차단을 위해 알루미늄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전술한 내관(92)은 도 6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성 관체(92a)의 내부에 삽입되고, 플랙시블한 절연재로 이루어진 절연관(92b)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내관(92)은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제어선(C)을 구성하는 신호전송을 위한 신호선(Ca) 및 접지를 위한 신호라인 접지선(Cb) 중 신호선(Ca)이 절연관(92b)의 내부에 배선된다. 내관(92)은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신호라인 접지선(Cb)이 절연관(92b)의 외부에 배선된다. 따라서, 신호라인 접지선(Cb)은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관(92b) 및 금속성 관체(92a) 사이에 배선된다.
신호라인 접지선(Cb)은 도 8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성 관체(92a)에서 인출되어 금속재 주름관으로 구성된 전술한 외관(91)에 접지된다. 이때, 신호라인 접지선(Cb)은 웰딩이나 솔더링으로 외관(91)에 접지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외관(91)에 접지된 후술되는 케이스 접지선(90d)에 접지될 수도 있다. 따라서, 신호제어선(C)의 신호선(Ca)은 신호라인 접지선(Cb)의 접지에 의해 노이즈의 발생이 감소되며, 이에 따라 전력제어신호를 안정적으로 전송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배선관(9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로 구성되어 다수의 시스템박스(60)에 연속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배선관(90)은 시스템박스(60)가 증가하여도 내부의 전력선(P) 또는 신호제어선(C)의 수량이 종래와 같이 증가되지 않는다.
한편, 외관(91)은 도 8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전력선(P)이나 신호제어선(C)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커넥터(90a)에 통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외관(91)은 도시된 바오 같이 커넥터(90a)가 시스템박스(60)의 독커넥터(60a)로 구성된 접속부나 출력부에 결합됨에 따라 전력선(P)이나 신호제어선(C)의 전력이나 전력제어신호를 시스템박스(60)에 인가한다.
커넥터(90a)는 도 8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를 구성하는 금속재 케이스(CA), 케이스(CA)에 내장된 인출부(90c) 및 외관(91)에 연결되는 케이스 접지선(90d)을 포함한다. 케이스(CA)는 마그네슘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라인 접지선(Pb)이 노출되는 접지홀(90b)가 형성되고, 인출부(90c)가 내장된다.
인출부(90c)는 도 8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3상으로 구성된 전력선(P)의 전력 공급을 위한 전력공급선(Pa) 및 접지를 위한 전력라인 접지선(Pb)을 접속가능하게 제각기 인출한다. 인출부(90c)는 예컨대,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선(P) 및 신호제어선(C)이 끼워져서 고정되는 끼움공(H)이 형성된 판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출부(90c)는 케이스(CA)와 통전가능하게 접촉될 수 있다.
케이스 접지선(90d)은 도 8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인출부(90c)에 일단부에 끼워져서 전력라인 접지선(Pb)의 단부에 금속클램프나 솔더링 등으로 통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케이스(CA)의 조립시 케이스(CA)에 가압되면서 케이스(CA)에 일단부가 접촉될 수 있다. 케이스 접지선(90d)은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재 주름관으로 구성된 외관(91)에 타단부가 웰딩 또는 솔더링으로 연결되어 금속재의 케이스(CA)를 외관(91)에 통전가능하게 연결하여 접지시킨다. 따라서, 케이스(CA)는 외관(91)에 접지되므로 전력선(P)의 전력에 의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한편, 커넥터(90a)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독커넥터(60a)로 구성된 시스템박스(60)의 접속부에 접속될 경우, 인출부(90c)를 통하여 전술한 전력라인 접지선(Pb) 및 전력공급선(Pa)이 독커넥터(60a)에 접속된다. 따라서, 전력공급선(Pa)은 전력을 시스템박스(60)에 공급한다.
시스템박스(6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독커넥터(60a)에 접속된 접지선(Pb)이 본체에 접지되도록 박스 접지선(67)이 구비된다. 이러한 박스 접지선(67)은 도시된 바와 같이 독커넥터(60a)로 접속되는 전력라인 접지선(Pb)과 일단부가 통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가 시스템박스(60)의 본체 내부 일측에 접지된다. 따라서, 전력라인 접지선(Pb)은 시스템박스(60)에 접지되므로 전력에 의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다른 한편, 시스템박스(60)의 릴레이 제어모듈(61)은, 예컨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부(61a) 및 어드레스 저장부(61b)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61a)는 전술한 중앙서버(70) 및 릴레이스위치(64)와 통신하여 중앙서버(70)로부터 수신되는 전력제어신호를 릴레이스위치(64)에 인가한다. 어드레스 저장부(61b)는 주변의 또 다른 시스템박스와 구별되는 식별어드레스를 인터페이스부(61a)를 통해 중앙서버(70)에 인가하거나, 중앙서버(70)로부터 식별어드레스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따라서, 릴레이 제어모듈(61)은 저장된 식별어드레스를 통해 주변의 또 다른 시스템박스(60)에 설치된 릴레이 제어모듈(61)과 구별이 가능하므로 중앙서버(70)로부터 인가되는 전력제어신호가 자신의 것인지를 확인할 수 있으며, 교체 및 추가되어도 식별어드레스를 통해 다른 것들과 구별이 가능하다. 이때, 전술한 식별어드레스는 릴레이 제어모듈(61)의 고유식별번호로 구성할 수 있다.
중앙서버(70)는 예컨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부(71), 신호생성부(72), 서버 어드레스 저장부(73) 및 어드레스 검색부(74)로 구성할 수 있다. 통신부(71)는 릴레이 제어모듈(61)과 통신하여 릴레이 제어모듈(61)과 신호를 주고 받는다. 신호생성부(72)는 전력제어신호가 릴레이 제어모듈(61)에 인가되도록 전력제어신호를 생성하여 통신부(71)에 전송한다. 서버 어드레스 저장부(73)는 릴레이 제어모듈(61)의 어드레스 저장부(61b)와 연동되어 식별어드레스가 저장된다. 이때, 중앙서버(70)는 미도시된 전술한 입력부를 통해 식별어드레스가 입력된다.
어드레스 검색부(74)는 서버 어드레스 저장부(73)에 저장된 식별어드레스 중에서 전력제어신호가 인가될 해당 식별어드레스를 검색하여 통신부(71)에 제공한다. 따라서, 중앙서버(70)는 어드레스 검색부(74)에 의해 다수의 시스템박스(60)들 중에서 전력제어신호가 인가될 해당 시스템박스(60)의 릴레이 제어모듈(61)에 정확하게 전력제어신호를 전송한다. 물론, 릴레이 제어모듈(61)은 신호제어선(C)을 통해 전력제어신호가 인가될 경우 전술한 어드레스 저장부(61b)에 자신의 식별어드레스가 저장되므로 자신에게 해당하는 전력제어신호를 수신한다.
여기서, 전술한 중앙서버(70)의 신호생성부(72)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에 설치되어 다수의 전화기(81)가 연결된 전화기 컨트롤러(8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신호생성부(72)는 전화기 컨트롤러(80)를 통해 인가되는 전화기(81)의 대기전력 차단 또는 복구신호 요청신호에 의해 전력제어신호를 생성한다.물론, 중앙서버(70)는 전화기(81)가 다수로 구성될 경우 각 전화기(81)를 식별할 수 있는 코드(예: 전화기의 고유 내선번호)가 기 저장됨에 따라 요청신호가 인가된 전화기(81)를 구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함은 자명하다. 이러한 내용은 당업자가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내용이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전술한 릴레이 제어모듈(61)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터링부(61c)가 구비될 수 있다. 메터링부(61c)는 전술한 전원콘센트(65)로 인가되는 전력선(P)의 전력량을 측정하여 전술한 인터페이스부(61a)를 통해 중앙서버(70)로 전송한다.
중앙서버(70)는 통신부(71)를 통해 메터링부(61c)의 전력량을 수신하여 신호생성부(72)에 인가한다. 따라서, 중앙서버(70)는 인가받은 전력량을 기반으로 설정된 시간 동안 전력이 소비되지 않을 경우 신호생성부(72)를 통해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전력제어신호를 릴레이 제어모듈(61)에 인가한다. 그리고, 신호생성부(72)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전화기(81)를 통해 대기전력을 복구하는 요청신호가 수신될 경우 대기전력을 복구하는 전력제어신호를 릴레이 제어모듈(61)에 인가한다. 물론, 중앙서버(70)는 설정된 시간 동안 전력이 소비되지 않는 것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시간을 카운트하는 미도시된 타이머 및 타이머의 시간과 전력량을 비교하여 신호생성부(72)에 전송하는 미도시된 비교부가 구비되어야 함은 자명하다. 이러한 내용은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내용이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전술한 전화기(81)는 대기전력을 차단하거나 복구하는 요청신호를 중앙서버(70)에 전송하는 미도시된 스위치로 대신할 수 있을 경우 대신할 수 있다. 즉, 전화기(81)는 종래기술에서 설명된 스위치로 대신할 수 있다. 이러한 기술은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내용이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중앙서버(7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량 제공부(7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전력량 제공부(75)는 전술한 릴레이 제어모듈(61)의 메터링부(61c)를 통해 수신되는 전력량이나, 지속적으로 수신된 전력량을 적산하여 출력가능하게 제공한다. 그리고, 중앙서버(70)는 전력량 제공부(75)를 통해 다수의 시스템박스(60)로부터 입력되는 전력량의 총합을 출력가능하게 제공할 수도 있다. 따라서, 관리자는 모니터나 프린터 등의 출력기를 통해 실시간 전력량이나 전삭된 전력량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중앙서버(70)는 미도시된 사용자의 전자기기가 전술한 전원콘센트(65)에 접속되어 부하가 발생하는 것을 감지할 경우 전술한 신호생성부(72)를 통해 대기전력을 복구시키는 전력제어신호를 인가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중앙서버(70)는 전원콘센트(65)의 부하를 감지하여 신호생성부(72)에 인가하는 미도시된 부하감지부가 구비되어야 한다. 이러한 내용은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내용이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대기전력 차단시스템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화기(81)를 통해 대기전력을 차단 또는 복구하는 요청신호가 중앙서버(70)에 인가될 경우 중앙서버(70)의 신호생성부(72)가 전력제어신호를 생성하여 통신부를 통해 해당하는 시스템박스(60)의 릴레이 제어모듈(61)에 전송한다. 이때, 중앙서버(70)는 어드레스 검색부(74)를 통해 서버 어드레스 저장부(73)에 저장된 식별어드레스들을 검색하여 해당하는 릴레이 제어모듈(61)로 생성된 전력제어신호를 전송한다. 그리고, 시스템박스(60)의 릴레이 제어모듈(61)은 어드레스 저장부(61b)에 자신의 식별어드레스가 저장됨에 따라 중앙서버(70)에서 전송되는 전력제어신호를 수신한다.
이와 달리, 중앙서버(70)는 릴레이 제어모듈(61)에 메터링부(61c)가 구비될 경우 메터링부(61c)에서 전송되는 전력량을 감지하여 전력제어신호를 전술한 방법으로 해당하는 릴레이 제어모듈(61)에 인가한다. 따라서, 해당 시스템박스(60)는 릴레이 제어모듈(61)을 통해 인가되는 전력제어신호를 통해 전술한 릴레이스위치(64)의 작동을 제어하여 대기전력을 차단하거나 복구시킨다.
중앙서버(70)는 릴레이 제어모듈(61)의 메터링부(61c)로부터 전송되는 전력량을 전력량 제공부(75)를 통해 실시간 또는 적산하여 출력한다. 따라서, 관리자는 전력사용현황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시스템박스(60)는 어드레스 저장부(61b)에 자신의 식별어드레스가 저장됨에 따라 주변의 또 다른 시스템박스(60)와 위치가 변경되거나, 다른 시스템박스(60)로 교체 또는 추가되어도 원활하게 중앙서버(70)의 전력제어신호를 수신한다. 그리고, 중앙서버(70)는 시스템박스(60)가 교체되거나 추가될 경우 해당 시스템박스(60)의 식별어드레스를 서버 어드레스 저장부(73)에 재설정하거나 신규로 설정하여 저장한다. 이때, 중앙서버(70)는 설정된 식별어드레스를 해당 시스템박스(60)의 릴레이 제어모듈(61)로 전송하여 릴레이 제어모듈(61)의 어드레스 저장부(61b)에 저장한다. 따라서, 중앙서버(70)는 시스템박스(60)의 식별어드레스가 변경되어도 시스템박스(60)에 전력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시스템박스(60)는 다수로 구성되어도 전술한 바와 같은 식별어드레스에 의해 식별이 가능하므로 교체되거나 추가되어도 종래기술과 달리 전력제어신호를 원활하게 송수신할 수 있다. 특히, 시스템박스(60)는 교체 또는 추가될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식별어드레스만 재설정하면 되므로 종래기술과 같이 사전에 고유번호가 부착된 상태로 준비될 필요가 없다.
한편, 중앙서버(70)는 릴레이 제어모듈(61)로 인가되는 전력제어신호를 통해 시스템박스(60)의 릴레이스위치(64)를 작동시켜서 원격으로 대기전력을 차단하거나 복구시킨다, 따라서, 중앙서버(70)는 대기전력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터미널박스(50)는 릴레이스위치(64) 및 릴레이 제어모듈(61)이 종래와 달리 시스템박스(60)에 설치되므로 내부의 부품구성이 단순화된다. 따라서, 터미널박스(50)는 사실상 단순히 전력선 및 신호제어선만을 분기시키도록 구성됨에 따라 설치시의 시공성이 향성되며, 시공시간도 대폭적으로 단축된다.
시스템박스(60)는 터미널박스(50)의 내부에 오작동이나 고장이 발생될 부품이 없으므로 종래기술과 달리 터미널박스(50)에 내장된 부품의 오작동 또는 고장으로 인한 미작동이 방지된다.
전력선(P) 및 신호제어선(C)은 시스템박스(60)가 다수로 구성될 경우 시스템박스(60)의 접속부 및 출력부를 통해 다수의 시스템박스(60)들과 연속적으로 병렬연결되므로 종래기술과 달리 시스템박스(60)의 수량에 비례되는 수량으로 구비되지 않아도 된다.
배선관(90)은 신호제어선(C)이 내장된 내관(92) 및 전력선(P)이 내장된 외관(91)으로 구성됨에 따라 신호제어선(C)을 시스템박스(60)에 직접 연결할 수 있으므로 종래와 달리 제어신호를 시스템박스(60)에 직접적으로 인가할 수 있다. 따라서, 중앙서버(70)는 배선관(90)의 신호제어선(C)을 통해 제어신호를 시스템박스(60)에 안정적으로 전송할 수 있으므로 전력의 사용량과 상관없이 릴레이스위치(64)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배선관(90)은 전술한 바와 같이 내부에 전력선(P) 및 신호제어선(C)이 함께 배선되므로 배선이 매우 용이하여 시공성 향상되고, 내관(92)이 노이즈 차단기능을 갖는 금속재가 함유된 금속성 관체로 구성되므로 전력선(P)에 의한 노이즈로 인하여 제어신호가 약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외관(91)이 절곡이 가능한 주름관으로 구성되므로 간편하게 시공될 수 있다.
배선관(90)은 내관(92)이 신호제어선(C)의 신호선(Ca)이 내부에 배선된 절연관(92b) 및 절연관(92b)이 삽입되는 금속성 관체(92a)로 구성될 경우, 신호제어선(C)의 신호라인 접지선(Cb)이 절연관(92b) 및 금속성 관체(92a) 사이에 배선되어 신호선(Ca)과 분리된 상태로 외관(91)에 접지되므로 신호선(Ca)에 노이즈가 발생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다. 특히, 배선관(90)은 시스템박스(60)가 아닌 금속재 주름관으로 구성된 외관(91)에 신호라인 접지선(Cb)이 접지됨에 따라 신호라인 접지선(Cb)의 접지안정성에 의하여 노이즈의 발생이 더욱더 억제된다.
전력선(P) 및 신호제어선(C)은 외관(91)에 커넥터(90a)가 구비될 경우 시스템박스(60)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배선관(90)은 시스템박스(60)에 용이하게 연결되므로 시공상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시스템박스(60)는 내부에 접지된 박스 접지선(67)과 전력선(P)의 전력라인 접지선(Pb)이 통전되므로 감전에 의한 안전사고가 예방된다.
커넥터(90a)는 금속재 케이스(CA)가 케이스 접지선(90d)을 통해 금속재 주름관으로 구성된 외관(91)에 접지되므로 감전에 의한 안전사고가 예방된다.
전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적용 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질적 특징이 충족될 수 있을 경우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한 변형(구조나 구성의 변경이나 부분적 생략 또는 보완)이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들은 특징의 일부 또는 다수가 상호 간에 조합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구조 및 구성은 변형이나 조합에 의해 실시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구조 및 구성의 변형이나 조합이 첨부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50 : 터미널박스 60: 시스템박스
60a : 독커넥터 61 : 릴레이 제어모듈
61a : 인터페이스부 61b : 어드레스 저장부
61c : 메터링부 64 : 릴레이스위치
70 : 중앙서버 71 : 통신부
72 : 신호생성부 73 : 서버 어드레스 저장부
74 : 어드레스 검색부 75 : 전력량 제공부
80 : 전화기 컨트롤러 81 : 전화기
90 : 배선관 90a : 커넥터
90b : 접지홀 90c : 인출부
90d : 케이스 접지선 91 : 외관
92 : 내관 92a : 금속성 관체
92b : 절연관 C : 신호제어선
CA : 케이스 Ca : 신호선
Cb : 신호라인 접지선 H : 끼움공
P : 전력선 Pa : 전력공급선
Pb : 전력라인 접지선

Claims (10)

  1. 전력의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전력제어신호를 인가하는 중앙서버;
    상기 중앙서버의 상기 전력제어신호가 인가되는 신호제어선 및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선이 유입되어 분기되는 적어도 하나의 터미널박스; 및
    상기 터미널박스에서 분기되는 상기 전력선 및 상기 신호제어선이 접속되는 접속부가 일측에 구비되어 전력 및 전력제어신호가 입력되고, 상기 접속부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전력선 및 상기 신호제어선의 전력 및 전력제어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출력부가 타측에 구비되며, 복수로 구성되어 상기 접속부 및 상기 출력부를 통해 상기 전력선 및 상기 신호제어선이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시스템박스;를 포함하고,
    상기 시스템박스는,
    상기 접속부에 접속되는 상기 전력선으로부터 전력을 인가받아서 출력하는 전원콘센트;
    상기 전원콘센트로 인가되는 상기 전력선의 전력을 제어하여 대기전력을 차단하거나 복구하는 릴레이 스위치; 및
    상기 중앙서버의 상기 전력제어신호를 상기 신호제어선을 통해 수신하여 상기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릴레이 제어모듈;이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시스템박스에 접속되는 상기 전력선 및 상기 신호제어선을 통합하여 배선하는 배선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배선관은,
    상기 신호제어선이 내장되고, 노이즈를 차폐하는 재질로 이루어진 내관; 및
    상기 내관이 내장되고, 상기 내관의 외측으로 상기 전력선이 내장되는 외관;을 포함하며,
    상기 내관은,
    상기 전력선의 노이즈 차단기능을 갖는 금속재가 함유된 플랙시블 재질의 금속성 관체로 구성되고,
    상기 외관은,
    상기 전력선 및 상기 내관이 내장되는 금속재 주름관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내관은,
    상기 금속성 관체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신호제어선을 구성하는 신호전송을 위한 신호선 및 접지를 위한 신호라인 접지선 중 신호선이 배선되고, 플랙시블한 절연재로 이루어진 절연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신호라인 접지선은,
    상기 절연관 및 상기 금속성 관체 사이에 배선되고, 상기 금속성 관체에서 인출되어 상기 금속재 주름관으로 구성된 상기 외관에 접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외관은,
    상기 시스템박스에 접속되는 상기 전력선이나 상기 신호제어선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통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커넥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는,
    상기 전력선을 구성하는 전력 공급을 위한 전력공급선 및 접지를 위한 전력라인 접지선을 접속가능하게 제각기 인출하는 인출부;
    상기 인출부가 내장되는 금속재 케이스; 및
    상기 인출부나 상기 케이스에 일단부가 접촉되고, 상기 외관에 타단부가 연결됨에 따라 금속재의 상기 케이스를 상기 외관에 통전가능하게 연결하여 접지시키는 케이스 접지선;을 포함하고,
    상기 시스템박스는,
    상기 인출부로 인출되어 접속되는 상기 전력라인 접지선과 일단부가 통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가 내부의 일측에 접지되는 박스 접지선;을 더 포함하는 대기전력 제어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제어모듈은,
    상기 중앙서버 및 상기 릴레이 스위치와 통신하여 상기 중앙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전력제어신호를 상기 릴레이 스위치에 인가하는 인터페이스부; 및
    주변의 또 다른 시스템박스와 구별되는 식별어드레스를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중앙서버에 인가하거나 상기 중앙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하는 어드레스 저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중앙서버는,
    상기 릴레이 제어모듈과 통신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인가되는 상기 전력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신호생성부;
    상기 릴레이 제어모듈의 상기 어드레스 저장부와 연동되어 상기 식별어드레스가 저장되는 서버 어드레스 저장부; 및
    상기 서버 어드레스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식별어드레스 중에서 상기 전력제어신호가 인가될 해당 식별어드레스를 검색하여 상기 통신부에 제공하는 어드레스 검색부;를 포함하는 대기전력 제어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생성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인가되는 외부의 전력제어 요청신호에 의해 상기 전력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 제어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제어모듈은,
    상기 전원콘센트로 인가되는 상기 전력선의 전력량을 측정하는 메터링부;
    상기 중앙서버와 통신하여 상기 메터링부에서 측정된 전력량을 상기 중앙서버에 전송하거나, 상기 중앙서버에서 인가되는 상기 전력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릴레이 스위치에 인가하는 인터페이스부; 및
    주변의 또 다른 시스템박스와 구별되는 식별어드레스를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중앙서버에 인가하거나 상기 중앙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하는 어드레스 저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중앙서버는,
    상기 릴레이 제어모듈과 통신하는 통신부;
    상기 릴레이 제어모듈에서 측정된 전력량을 기반으로 상기 전력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릴레이 제어모듈에 인가하는 신호생성부;
    상기 릴레이 제어모듈의 상기 어드레스 저장부와 연동되어 상기 식별어드레스가 저장되는 서버 어드레스 저장부; 및
    상기 서버 어드레스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식별어드레스 중에서 상기 전력제어신호가 인가될 해당 식별어드레스를 검색하여 상기 통신부에 제공하는 어드레스 검색부;를 포함하는 대기전력 제어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서버는,
    상기 릴레이 제어모듈의 상기 메터링부를 통해 수신되는 전력량이나 지속적으로 수신된 전력량을 적산하여 출력가능하게 제공하는 전력량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대기전력 제어시스템.
KR20140046839A 2014-04-18 2014-04-18 대기전력 제어시스템 KR1014794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46839A KR101479445B1 (ko) 2014-04-18 2014-04-18 대기전력 제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46839A KR101479445B1 (ko) 2014-04-18 2014-04-18 대기전력 제어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9445B1 true KR101479445B1 (ko) 2015-01-05

Family

ID=52587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46839A KR101479445B1 (ko) 2014-04-18 2014-04-18 대기전력 제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94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3523B1 (ko) * 2021-12-30 2022-11-09 주식회사 삼화기술단 정보통신 케이블의 벽체 매립형 배선 시스템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2459Y1 (ko) * 2000-01-18 2000-08-16 송길봉 정전유도 차폐케이블
JP2007174408A (ja) * 2005-12-22 2007-07-05 Sharp Corp 情報記録システム
KR20070107312A (ko) * 2006-05-02 2007-11-07 가온전선 주식회사 전기 배선용 커넥터
KR20080019938A (ko) * 2006-08-29 2008-03-05 여운남 네트워크형 전원 관리 시스템
KR100939234B1 (ko) * 2009-01-23 2010-01-29 주식회사 대륙 콘센트별로 전원관리가 가능한 홈네트워크 기반의 멀티콘센트
KR20110124405A (ko) * 2010-05-11 2011-11-17 세홍산업 주식회사 바닥 배선을 통한 전력선 제어시스템
KR101145277B1 (ko) * 2010-07-08 2012-05-24 세홍산업 주식회사 바닥 배선을 통한 전력선통신 제어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2459Y1 (ko) * 2000-01-18 2000-08-16 송길봉 정전유도 차폐케이블
JP2007174408A (ja) * 2005-12-22 2007-07-05 Sharp Corp 情報記録システム
KR20070107312A (ko) * 2006-05-02 2007-11-07 가온전선 주식회사 전기 배선용 커넥터
KR20080019938A (ko) * 2006-08-29 2008-03-05 여운남 네트워크형 전원 관리 시스템
KR100939234B1 (ko) * 2009-01-23 2010-01-29 주식회사 대륙 콘센트별로 전원관리가 가능한 홈네트워크 기반의 멀티콘센트
KR20110124405A (ko) * 2010-05-11 2011-11-17 세홍산업 주식회사 바닥 배선을 통한 전력선 제어시스템
KR101145277B1 (ko) * 2010-07-08 2012-05-24 세홍산업 주식회사 바닥 배선을 통한 전력선통신 제어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3523B1 (ko) * 2021-12-30 2022-11-09 주식회사 삼화기술단 정보통신 케이블의 벽체 매립형 배선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99446B2 (en) Circuit interrupting system with remote test and reset activation
EP2342666B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mapping a wired network
KR101626141B1 (ko) 가공배전선로의 고장 감시 장치
KR101774562B1 (ko) 가공배전선로의 고장 감시 장치
US9157941B2 (en) Electric power information display receptacle module
WO2009081912A1 (ja) Dc配電システム
CN107534248B (zh) 电气连接电缆套管的适配器
CN104160282B (zh) 电力测量器
US10348046B2 (en) Insulated high-voltage adapter
KR101479445B1 (ko) 대기전력 제어시스템
CN204214929U (zh) 用于电流测量的测量装置和具有该测量装置的pv系统
CN108981851A (zh) 现场设备
US8434115B1 (en) Multi-component ONT power supply
KR101907853B1 (ko) 전기 배선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CN214045152U (zh) 自动传送开关
WO2001037535A1 (en) Home network using power line carrier communications
CN210626729U (zh) 一种野战光缆及野战光缆故障快速定位系统
KR101926754B1 (ko) 특고압 배전함의 지중전선 커넥터
US6619981B2 (en) Cord-reel assembly partially mounted within a wall
US10965149B2 (en) Electrical power restoration system for a circuit assembly and method
CN104810784A (zh) 用于电气安装的电保护装置以及相关的方法
JP5204689B2 (ja) 遠隔検針システム
US20170207049A1 (en) System for actively detecting alternating current load
KR101134582B1 (ko) 바닥 배선을 통한 전력선 제어시스템
KR101026552B1 (ko) 단자대를 갖는 터미널 블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