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9276B1 - 다 채널 분기 장치 - Google Patents

다 채널 분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9276B1
KR101529276B1 KR1020140055325A KR20140055325A KR101529276B1 KR 101529276 B1 KR101529276 B1 KR 101529276B1 KR 1020140055325 A KR1020140055325 A KR 1020140055325A KR 20140055325 A KR20140055325 A KR 20140055325A KR 101529276 B1 KR101529276 B1 KR 1015292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connecting member
lower case
control module
connection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53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산홍
국대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비아이시스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비아이시스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비아이시스템스
Priority to KR10201400553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92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92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92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6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support for line-connecting terminals within the bo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2Intermediate parts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in parallel, e.g. split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491Terminal block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lugs or sock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0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6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8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the cables or lines being installed in preestablished conduits or ducts
    • H02G3/381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the cables or lines being installed in preestablished conduits or ducts in cei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다 채널 분기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분기 장치는 복수의 입출력 접속부가 형성된 하부케이스와, 입력 접속부의 신호를 기구적으로 접속하여 하나 이상의 출력 접속부로 분배하는 복수의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의 상측에 위치하는 평면내에서 상기 연결부재와 일부 또는 전부와 접촉되어 회로적으로 처리한 신호를 상기 연결부재로 출력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제어모듈을 공간적으로 이격되게 상기 하부 케이스내에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구성함으로써, 간단한 구조로 입력되는 신호를 분기할 수 있기 때문에 시공이 간편하여, 전등, 전열, 소방 분기회로로 사용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시공비가 적게 든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다 채널 분기 장치{MUITIPLEXER}
본 발명은 배선 분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천장이나 바닥 하부 등에서 각종 전열기구나 조명등으로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라인을 통합하여 배선하고 이를 사용단에서 분기하여 사용할 수 있는 다 채널 분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삶의 질의 향상과 더불어 조명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도 점점 증가하고 있다. 현대의 조명 장치는 단지 스위치로 등을 켜는 것 이상이 요구된다. 즉, 현대의 조명 장치는 실내의 용도에 따라 다양한 분위기를 연출하거나, 주변의 조도에 따라 자동으로 조도를 적절하게 조절하는 등 보다 진화된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특히, 주상변압기 등으로부터 건축물로 인입된 전선은 전력량계를 거쳐 분전반에서 분기되어 조명등을 점등시키기 위하여 천정내로 배선되거나, 벽체 내부를 통해 각종 스위치 및 아울렛(콘센트 또는 리셉터클) 등으로 배선된다. 또한 사무실 등과 같이 바닥이나 벽체로부터 전기 공급이 원활하지 않은 경우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 별도의 바닥재 내에 배선이 시공되게 된다.
이와 같이 외부로부터 인입되어 배선된 전선을 분기시켜 복수의 조명등이나 스위치 및 아울렛 등으로 배선하기 위하여 분기하는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80456호로 천정배선 분기장치가 공개되어 있다. 이 종래기술은 천정배선 등에 유리하도록 플러그가 동시에 5축 방향으로 접속 가능한 리셉터클로 이루어진 것으로, 상부케이스 및 하부케이스로 분리 구성되되, 5방면으로 접속 개구부가 형성된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안착되되, 상기 케이스의 각 접속 개구부에 형상적으로 대응되는 5개의 암합부재가 결합되어 구성되는 리셉터클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천정배선 분기장치는 분기를 위한 도체로서 구리선을 사용하고, 각 도체간의 결합을 압착이나 납땜 등에 의한 접합으로 결합하는 구조로서, 결합 부위의 접속 상태에 따라 불균일한 단면적이 형성되어 전기저항의 증가로 발열에 따른 화재의 위험이 있었다.
그리고 도체가 분기되는 리셉터클의 몸체는 사방 및 하부로 도체가 분기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도체의 배치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도체가 3개로 구성되어 설치 위치에 따라 길이 및 형상이 상이하며, 누전방지를 위하여 몸체 내부에 절연물을 충진해야 하는 구조이다. 따라서 몸체 내부에 절연물을 충진하는 경우에는 도체에서 발생되는 열의 전도나 확산이 용이하지 않아 요구되는 전기적 특성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리셉터클로 전기 배선이 인입되는 인입구와 전기 배선이 인출되는 인출구가 구별되어 있지 않아 접속방향이 불분명하여 접속에 따른 오류가 발생할 소지가 있었다. 더욱이 리셉터클의 외주에 합성수지 재질의 상부케이스 및 하부케이스가 결합되는 구조로서, 외부의 충격이나 화재발생에 따른 취약성이 노출되어 있고, 리셉터클의 외주에 결합되는 상부케이스 및 하부케이스와는 별도로 접속을 위한 연결부분에 접속개구부와 암합부재 등을 취부하고 있다.
또한, 많은 주택, 사무실 및 산업 영역의 조명 기반 시설들은 전원의 제어를 원활히 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DALI(Digital Addressable Lighting Interface) 통신을 사용하고, 조명과 관련된 디밍 회로(dimming circuit)들을 갖추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조명시스템은 전력과 통신케이블이 별개로 구성되어 있어, 기존 DALI시스템의 전원과 통신을 분리 시공시 불편하고, 인건비와 시공기간 증가에 따른 고비용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에는 스위치제어단에서 각각의 등기구를 온오프 제어하기 위한 별개의 스위치 라인이 전원과 함께 케이블이나 파이프 라인에 포함되어 배관배선하기 때문에 스위치의 수 만큼에 해당하는 케이블들이 천정에 배선되어야 하기 때문에 배관배선의 수가 많아지므로 이에 따른 공기가 늘어나고, 시공비가 많이 든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각 채널에 해당하는 스위치 라인을 분기구까지 배관배선하여야 한다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각 분기구에서는 해당 스위치라인과 해당 채널을 접속하는 접속점의 수가 늘어나게 되므로, 배관배선이 복잡해지고, 공기가 늘어나며 비용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인입된 배선을 복수 방향으로 인출하기 위하여 교차하는 연결부재를 구성하고, 연결부재와 접속된 접속부재를 통하여 제어모듈에서 신호를 처리하고, 처리된 신호를 다시 접속부재로 출력할 수 있는 다 체널 분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교차하는 제1 및 제2연결부재의 접촉, 연결부재와 접속부재의 접촉, 접속부재와 제어모듈의 접촉을 단순 결합에 의하여 전기적인 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는 다 체널 분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분리벽과 격벽, 그리고 안착홈을 통하여 이중으로 연결부재 사이의 절열을 도모할 수 있는 다 체널 분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인입구와 인출구를 구분하여 접속에 따른 오류를 방지하고 신속한 시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다 채널 분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 채널 분기 장치는, 복수 방향으로 접속부가 형성되고 상기 접속부의 인접한 내측에 하나 이상의 분리벽과 그 내측으로 분리벽 사이의 위치에 안착홈과 지지바를 순차적으로 형성한 하부 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의 안착홈에 안착되고 지지바에 의해 지지되며, 분리벽 사이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제1 연결부재와, 상기 하부 케이스의 분리벽 사이에 상기 제1 연결부재와 소정 높이 단차를 갖도록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고, 일측에 상기 제1 연결부재와 전기적인 접촉이 이루어지는 절곡부를 형성한 제2 연결부재, 및 상기 하부 케이스와 대향하여 결합되되, 내측에 상기 제1 연결부재와 제2 연결부재의 일단부를 압박하는 누름바가 형성된 상부 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 채널 분기 장치는, 복수의 입출력 접속부가 형성된 하부케이스와, 입력 접속부의 신호를 기구적으로 접속하여 하나 이상의 출력 접속부로 분배하는 복수의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의 상측에 위치하는 평면내에서 상기 연결부재와 일부 또는 전부와 접촉되어 회로적으로 처리한 신호를 상기 연결부재로 출력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제어모듈을 공간적으로 이격되게 상기 하부 케이스내에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달성될 수 있다.
접속부재는 상기 제어모듈과 제1 연결부재 또는 제2 연결부재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바와 전기적으로 접촉되게 양단부에 절곡편을 구성하고, 일단부의 절곡편은 제1 연결부재 또는 제2 연결부재에 접속되고 타단의 절곡편은 제어모듈에 접속되게 구성한다.
결합부재는 제1 연결부재 또는 제2 연결부재와 접속되는 절곡편에는 상기 체결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부재가 관통되는 제1 관통홀을 형성하고 상기 제1 관통홀의 인접된 위치에 상기 하부케이스의 고정돌기가 관통하는 위치 고정홀을 상기 결합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하고, 타단의 절곡편에는 다른 체결부재가 관통되는 제2 관통홀을 형성한다.
상기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가 결합된 상태에서 어느 한 접속부는 인입단으로 인입용 커넥터가 연결되고, 다른 접속부는 인출단으로 인출용 커넥터가 연결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외주연 내부에 하나 이상의 누름바가 형성된 상부케이스로 구성함으로써, 하부케이스와 결합시 보다 견고하게 연결부재를 구속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 채널 분기장치에 의하면 전선과 배관이 일체로 시공되기 때문에 시공이 간편하고, 전등, 전열, 소방 분기회로로 사용이 용이하기 때문에 공기가 짧고, 시공비가 적게 든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다체널 분기장치에 의하면 간단한 구조로 전원라인과 신호라인을 분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다체널 분기장치에 의하면, 제1연결부재와 제2연결부재의 전기적인 접촉을 단순 결합에 의한 물리적인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이들로부터 필요한 신호를 접속부재를 통하여 처리하여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간단한 구조로 신호라인을 분배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 채널 분기장치에 의하면 하부케이스내에 분리벽과 격벽, 안착홈을 형성하여 효과적으로 연결부재를 절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접속부에 오삽입방지편을 구성함으로써, 접속의 오류를 방지하고 시공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다채널 분기장치의 결합 사시도,
도 2는 다채널 분기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하부케이스와 연결부재의 상세 분리 사시도,
도 4는 연결부재의 상세 분리 사시도,
도 5는 연결부재의 확대 사시도,
도 6은 연결부재의 결합 사시도,
도 7은 접속부재의 사시도,
도 8은 하부케이스에 결합된 연결부재와 접속부재를 도시한 평면도,
그리고,
도 9는 연결부재와 상부케이스와의 접속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장치"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먼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제어모듈"은 기구적으로 분배되어 입력된 신호를 회로부품들을 이용하여 이를 처리하여 출력하도록 동작되는 회로부품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한 장치들을 통칭한다. 본 발명에서는 접속부재를 통하여 업로드받은 신호를 처리하여 다시 접속부재로 다운로드하도록 동작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다채널 분기장치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2는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하부케이스와 연결부재의 상세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연결부재의 상세 분리 사시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다 채널 분기장치(100)는 외부로부터 인입되어 분전반 등으로부터 부하측으로 전력라인과 통신라인을 배전함에 있어서, 신호라인을 하나의 케이블 또는 파이프를 통하여 공통으로 전송하고, 등기구의 인근에 설치하여 해당 등기구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하기 위하여, 복수의 연결부재(120,130)와 제어모듈(150)을 탑재하고 다수 개의 접속부를 구비한 하부케이스(110)와, 하부케이스(110)와 대향되게 결합되는 상부케이스(160)를 포함하고, 복수의 연결부재(120,130)를 통하여 케이스 내로 인입된 신호를 분기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먼저, 하부 케이스(110)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복수 방향으로 각각 접속부(210)가 돌출된 형태이고, 상부케이스(160)와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접속부(210) 중에서 어느 한 접속부로 신호가 인입되고, 다른 모든 접속부는 신호가 인출된다. 즉 4개의 접속부 중에서 하나의 접속부로는 전기를 비롯한 신호가 인입되고, 다른 3개의 접속부는 신호가 인출된다. 따라서 전기가 인입되는 접속부의 단부 구조와 전기가 인출되는 접속부의 단부의 구조는 상이할 것이다.
또한, 접속부(210)와 접속되는 커넥터(300)의 접속 오류를 방지할 수 있도록 접속부의 일측에 오삽입방지편(111a)을 하부케이스(110)의 저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하여 이와 결합되는 커넥터에 형성된 삽입홈(미도시)에 정확하게 결합되게 할 수 있다.
커넥터(300)의 단부에는 전선이 결합되어 있고, 전선은 복수의 전선이 다발로 내장된 가요성 알루미늄 피(皮; 껍질) 케이블이 배선될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140)는 다채널 분기장치(100)의 어느 한 접속부(210)를 통하여 연결부재의 접속단자에 접속되어 신호를 인출하거나 인입할 수 있다.
각 접속부(210)의 인접한 내측에 하나 이상의 분리벽(111)과 그 내측으로 분리벽과 분리벽 사이의 위치에 내측으로 복수의 안착홈(116,117)을 형성하고, 복수의 안착홈(116,117)의 인근 내측에 서로 다른 높이의 제1지지바(113)와 제2지지바(114)를 형성된다.
도 1을 참고하면, 사방으로 접속부가 구성되고 하나의 접속부에는 커넥터(300)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부 케이스(160)와의 결합을 위하여 모서리 부분에 하부케이스의 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게 구성한 제4 지지바(119)에 상부케이스(160)의 결합홀(161)을 일치시키고 볼트나 너트 등의 고정수단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하부 케이스(110)에는 인접하는 연결부재를 분리하기 위하여 분리벽(111)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분리벽은 절연체로서 하부케이스와 동시 또는 분리하여 합성수지등으로 사출될 수 있으며, 하부케이스(110)내에 배치되는 연결부재(120,130)의 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분리벽(111)은 하부케이스(110)의 외주연을 따라 그 인근에 일정간격으로 격벽을 형성하도록 하부케이스(110)의 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형태이며 분리벽 사이에 후술하는 연결부재의 접속단자가 안착되어 각각 분리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다.
또한, 분리벽(111)의 일측에서 접속부로 연장되는 위치에 오삽입방지편(111a)을 하부케이스(110)의 저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하여 이와 결합되는 커넥터에 형성된 삽입홈(미도시)에 정확하게 결합되게 하여 접속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하부케이스(110)의 내측에 하나 이상의 분리벽(111)이 형성되어 있고, 본 발명에서는 각 6개 씩의 제1 연결부재(130)와 제2연결부재(120)가 공간적으로 교차되게 배치된 형태를 예시한다.
또한, 분리벽(111) 사이의 위치로부터 그 내측으로는 각각의 연결부재를 안착시키기 위한 복수의 안착홈(116,117)과 하부케이스(110)의 저면으로부터 서로 다른 높이의 단차를 각는 복수의 지지바(113,114)가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복수의 안착홈(116,117)은 하부케이스(110)의 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형태로 요철 형상을 구성할 수 있도록 격벽(115)으로 기둥을 형성하고 격벽 사이가 안착홈이 되도록 하여 각 연결부재가 분리되도록 한다.
복수의 지지바(113,114)는 서로 다른 높이로 구성하고, 체결부재가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도록 그 상부 중앙에 홀을 형성된다.
제1지지바(113)에는 어느 하나의 연결부재 예를 들면 제1 연결부재의 배면을 지지하고, 이와 단차지게 형성된 제2지지바(114)에는 제2 연결부재의 배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제1, 2 연결부재가 단차를 갖도록 구성하기 위함이다.
이와 더불어, 제1 지지바(113)와 연관되는 제1 안착홈(117)과 제2 지지바(114)와 연관된 제2 안착홈(116)도 서로 다른 높이로 구성한다.
따라서, 분리벽 사이의 밑면의 높이와, 지지바의 높이, 안착홈의 높이를 동일하게 구성하여야 연결부재가 안정되게 탑재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복수의 안착홈(116,117)의 폭과, 분리벽사이의 간격은 탑재되는 연결부재의 너비에 따라 그 형성 간격도 달라질 것이다.
한편, 제1,2 연결부재를 나사와 같은 고정수단으로 결합할 때 이를 지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제3 지지바(118)를 제1,2 연결부재의 결합부를 따라 하부케이스(110)의 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하고, 하부케이스(110)의 대각선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을 참고하면, 제1, 2 연결부재의 결합 부분에 나사와 같은 체결부재(120b)가 체결되는 제3 지지바(118)가 사각형의 하부케이스에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부케이스(110)는 가로 및 세로로 연결부재가 배치될 수 있는 격자 구조를 갖는다.
연결부재는 하부케이스(110)내에 탑재되어 인입 접속구로 입력되는 신호를 각각의 출력 접속구로 출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1연결부재와 제2연결부재로 서로 교차되게 탑재한 다음, 이들을 전기적으로 접촉되게 구성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연결부재는 금속재질의 막대바 형상으로 일단 또는 양단에 커넥터 접속단자를 구성한다.
도 3과 도 4를 참고하면, 제1 연결부재(130)는 하부 케이스(110)의 제1 안착홈(117)에 안착되고 제1지지바(113)에 의해 지지되며, 분리벽(111) 사이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횡방향, 즉 가로방향으로 안착된다.
이때, 분리벽(111)의 외부로는 제1 연결부재(130)의 접속단자(131)가 돌출되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연결부재(130)는 양단이 인입 접속부와 인출 접속부로 사용되는 것이나, 인입접속부와 인출접속부가 막대바 형상으로 연결되는 형태와 분리되는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제2 연결부재(120)는 하부 케이스(110)의 분리벽(111) 사이에 제1 연결부재(130)와 소정 높이 단차를 갖도록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고, 일측에 제1 연결부재(130)와 전기적인 접촉이 이루어지는 절곡부(123)를 형성하여, 종방향 즉 세로방향으로 안착된다.
도 5의 연결부재의 확대 사시도를 참고하면, 제1연결부재(130)와 제2 연결부재(120)는 일단 또는 양단에 커넥터 접속단자(124)가 소정 길이 형성된 금속의 막대바 형상이며, 단부 양측에 하부케이스의 고정돌기(112)가 관통하는 제1결합공(122c)과 제2결합공(122d), 상기 어느 하나의 결합공과 인접된 위치에 관통 형성되어 나사 등과 같은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체결공(122b)을 형성한다.
더불어, 제2 연결부재(120)는 소정 위치에 하방으로 구부러진 절곡부(122a)가 형성되어 제1 연결부재(130)와 물리적으로 접촉될 수 있는 정도로 절곡되어 있다.
이러한 절곡부(122a)의 높이는 제1지지바(113)와 제2지지바(114)의 단차 만큼 굴곡시켜 제1 지지바(113) 및 제2 지지바(114)에 각각의 제1 연결부재(130)와 제2 연결부재(120) 탑재시 절곡부(122a)의 밑면이 제1 지지바(113)의 상면에 물리적으로 접촉될 정도의 높이를 구성한다.
도 6의 연결부재의 결합 사시도를 참고하면, 제1 연결부재(130), 그리고 제2 연결부재(120)의 절곡부를 순차적으로 적층하고 체결부재(120b)에 의하여 하부케이스(110)의 제3지지바(118)와 체결고정되도록 형성된다.
상술한 제1 연결부재(130)와 물리적으로 접촉된 제2 연결부재(120)는 각각 접속부재(140)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접촉되어 탑재된 제어모듈(150)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접속부재(140)는 제어모듈(150)과 제1 연결부재(130) 또는 제2 연결부재(12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바와 전기적으로 접촉되게 막대바 형상의 양단부에 절곡편(141,142)을 구성하고, 일단부의 제1 절곡편(142)은 제2 연결부재 또는 제1 연결부재에 접속되고 타단의 제2 절곡편(141)은 제어모듈(15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금속재질의 지지브라켓 형상으로 구성한다.
본 발명에서는 접속부재가 제1,2 연결부재와 제어모듈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기능과 지지기능을 갖도록 하기 위하여 제어모듈과 접속되는 제2 절곡편(141)의 크기보다 제1,2 연결부재와 접속되는 제1 절곡편(142)을 보다 크게 형성하여 제어모듈(15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7의 접속부재의 사시도를 참고하면, 제1 연결부재 또는 제2 연결부재와 접속되는 제1 절곡편(142)에는 체결공(122b)과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부재(120a)가 관통되는 제1 관통홀(142a)을 형성하고 제1 관통홀(142a)의 인접된 위치에 하부케이스의 고정돌기(112)가 관통하는 위치 고정홀(142b)을 연결부재의 제1결합공(122c)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하고, 타단의 제2 절곡편(141)에는 또 다른 체결부재(150a)가 관통되어 결합하는 제2 관통홀(141a)을 형성한다.
따라서, 각 연결 부재의 체결공(122b)과, 접속부재의 제1관통홀(142a), 그리고 이와 대응되는 하부케이스의 제1지지바(113) 또는 제2지지바(114)는 정확히 배치되어 지지바와 체결공 그리고 제1 관통홀이 하나의 체결부재에 의하여 체결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접속부재의 위치고정홀(142b)과 연결부재의 제1결합공 또는 제2 결합공, 접속부재의 위치고정홀(142b)도 정확히 배치되어 하부케이스의 고정돌기(112)가 각각의 홀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도 8의 하부케이스에 결합된 연결부재와 접속부재를 도시한 평면도를 참고하면, 하부케이스(110)에 제1 연결부재(130), 그리고 제2 연결부재(120)의 절곡부를 순차적으로 적층하고 체결부재(120b)에 의하여 하부케이스(110)의 제3지지바(118)와 체결고정되어 있고, 하부케이스의 고정돌기(112)가 연결부재의 결합공을 관통하고, 접속부재(140)의 위치고정홀(142b)을 관통하도록 위치한 다음, 체결부재(120a)가 순차적으로, 접속부재(140)의 제1관통홀(142a)과, 연결부재의 체결공(122b), 제1,2 지지바(113,114)에 지지되도록 체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연결부재와 접속된 접속부재(140)는 제어모듈(150)로 인입된 신호를 전달하거나 제어모듈(15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연결부재로 전달하도록 동작된다.
제어모듈(150)은 연결부재의 상측에 위치하는 평면내에서 접속부재를 통하여 연결부재의 신호 중 일부 또는 전부의 신호를 입력받고 이를 회로적으로 처리한 신호를 다시 접속부재를 통하여 연결부재로 출력하도록 구성한다.
이를 위하여 제어모듈(150)은 접속부재(140)의 제2 절곡편(141)에 적층되어 각 연결부재에 접속된 접속부재(140)와의 전기적 접촉을 통하여 신호를 입력받거나, 처리한 신호를 출력하도록 하기 위하여 그 배면에 전기적 신호를 입출력하기 위한 접속단자가 구비되어야 한다.
또한, 각 제2 절곡편(141)의 제2관통홀(141a)과 대응되는 위치에 나사 등과 같은 체결부재(150a)로 체결하기 위한 체결홀(152)을 구비하여 안정되게 접속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접속부재(140)와 접속된 제어모듈(150)의 면_배면_에는 신호처리부품들을 실장할 수 있도록 하고, 그 이면_상면_에는 제어모듈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나 제어단자, 선택단자, 설정 단자 등을 구비할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제어모듈의 신호 처리나 동작 중임을 나타낼 수 있는 LED(151)를 구비하여 이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상부케이스(160)의 작동 표시부(163)를 통하여 LED의 동작 표시를 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모듈(150)에는 신호처리부품들이 연결부재와의 전자기적 영향을 배제하고, 유동시 연결부재와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하여 실드 케이스(153)를 구비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실드케이스(153)가 제어모듈(150)의 하방, 즉, 연결부재를 바라보는 면에 신호처리부품들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케이스화되어 탑재된다.
이러한 실드케이스를 제어모듈에 탑재하는 구성은 일반적인 것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에서는 실드케이스(153)가 제어모듈(150)에 탑재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전기가 흐르는 연결부재와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므로, 실드케이스가 탑재되는 위치를 제어모듈에 국한하는 것이 아니라,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므로, 그 탑재위치를 제한하지 않고 하부케이스 또는 연결부재의 상부나 접속부재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부에 탑재할 수 있다.
상부케이스(160)는 하부케이스와 결합되어 하부케이스(110) 내부에 배치된 연결부재(120,130)의 유동을 방지하고 고정시키며, 덮개 기능을 도모하도록 직육면체 형상으로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하부 케이스(110)와의 견고한 결합을 위하여 모서리 부분에 구비된 결합홀(161)을 통하여 하부케이스의 제4 지지바(119)에 일치시키고 볼트나 너트 등의 고정수단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와의 결합을 통하여 각 연결부재의 일단부를 압박하여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외주연을 따라 누름바(162)를 형성할 수 있다.
누름바(162)는 상부 케이스의 내부에 하향 돌출되게 구성하여 누름바(162)가 하부케이스(110)의 분리벽(111)사이로 돌출되는 연결부재의 일단을 누를 수 있도록 구성하여, 외부 커넥터의 착탈시 연결부재의 접속부(131)가 유동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9의 연결부재와 상부케이스와의 접속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참고하면, 상부케이스(160)의 누름바(162)가 각 연결부재에서 양 단을 압박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러한 누름바(162)의 길이는 각 연결부재가 하부케이스와의 결합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상부케이스(160)에는 착탈되는 캡(미도시)을 형성하여 필요시 캡을 열고 소정의 작업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10 : 하부케이스 111 : 분리벽
113,114, 118,119 : 지지바 116,117 : 안착홈
120 : 제2 연결부재 122a : 절곡부
124 : 접속단자 130 : 제1 연결부재
140 : 접속부재 150 : 제어모듈
160 : 상부케이스 162 : 누름바
210 : 접속부 300 : 커넥터

Claims (22)

  1. 복수 방향으로 접속부가 형성되고 상기 접속부의 인접한 내측에 하나 이상의 분리벽과 그 내측으로 분리벽 사이의 위치에 제1,2 안착홈과 제1,2 지지바를 순차적으로 형성한 하부 케이스;
    상기 분리벽의 일측에서 상기 접속부로 연장되는 위치에 상기 하부 케이스의 저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한 오삽입방지편;
    상기 하부 케이스의 제1 안착홈에 안착되고 제1 지지바에 의해 지지되며, 분리벽 사이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제1 연결부재;
    상기 하부 케이스의 분리벽 사이에 상기 제1 안착홈 및 상기 제1 지지바의 높이보다 하부케이스의 저면을 기준으로 높은 제2 안착홈에 안착되고, 상기 제2 지지바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제1 연결부재와 소정 높이 단차를 갖도록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고, 일측에 상기 제1 연결부재와 전기적인 접촉이 이루어지는 절곡부를 형성한 제2 연결부재;및
    상기 하부 케이스와 대향하여 결합되되, 내측에 상기 제1 연결부재와 제2 연결부재의 일단부를 압박하는 누름바가 형성된 상부 케이스;
    를 포함하는 다 채널 분기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 연결부재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접속부재;및
    상기 접속부재에 적층되는 제어모듈;
    을 더 포함하며, 상기 상부 케이스에는 착탈되는 캡을 형성한 다 채널 분기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재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부에 실드케이스가 결합되는 다 채널 분기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재는
    상기 제어모듈과 가로바 또는 세로바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바와 전기적으로 접촉되게 양단부에 절곡편을 구성하고, 일단부의 절곡편은 세로바 또는 가로바에 접속되고 타단의 절곡편은 제어모듈에 접속되는 다 채널 분기 장치.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재는
    서로 다른 길이로 형성하여 상기 제2 연결부재와 전기적으로 접촉되거나 또는 접촉되지 않게 하는 다 채널 분기 장치.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재와 제2 연결부재는
    일단 또는 양단에 커넥터접속부가 소정 길이 형성된 막대바 형상으로,
    단부 일측에 하부케이스의 고정돌기가 관통하는 결합공; 및
    상기 결합공과 인접된 위치에 관통 형성되어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체결공;
    을 포함하는 다 채널 분기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재는
    제1 연결부재 또는 제2 연결부재와 접속되는 절곡편에는 상기 체결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부재가 관통되는 제1 관통홀을 형성하고 상기 제1 관통홀의 인접된 위치에 상기 하부케이스의 고정돌기가 관통하는 위치 고정홀을 상기 결합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하고, 타단의 절곡편에는 다른 체결부재가 관통되는 제2 관통홀을 형성한 다 채널 분기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하부케이스는 내부에 체결홀과 고정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하부케이스의 고정돌기가 상기 제1 연결부재 또는 제2 연결부재의 결합공과 상기 접속부재의 위치고정홀을 관통되게 삽입하고, 상기 하부케이스의 체결홀과 상기 제1 연결부재 또는 제2 연결부재의 체결공 그리고 상기 접속부재의 제1 관통홀이 체결부재에 의하여 체결되는 다 채널 분기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가 결합된 상태에서 어느 한 접속부는 인입단으로 인입용 커넥터가 연결되고, 다른 접속부는 인출단으로 인출용 커넥터가 연결되는 다 채널 분기 장치.
  11. 복수의 입출력 접속부가 형성된 하부케이스;
    입력 접속부의 신호를 기구적으로 접속하여 하나 이상의 출력 접속부로 분배하는 복수의 연결부재;및
    상기 연결부재의 상측에 위치하는 평면내에서 상기 연결부재와 일부 또는 전부와 접촉되어 회로적으로 처리한 신호를 상기 연결부재로 출력하는 제어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제어모듈을 공간적으로 이격되게 상기 하부 케이스내에 순차적으로 적층한 다 채널 분기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입력 접속부의 신호를 바이패스시키도록 접속되는 제1 연결부재;및
    상기 제1 연결부재 중 일부 또는 전부와 전기적으로 접촉하여 상기 제어모듈로 입력하고, 상기 제어모듈의 출력신호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하나 이상의 제2 연결부재;
    를 포함하는 다 채널 분기 장치.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입력 접속부;
    상기 입력접속부에 일단이 접속되어 상기 입력접속부를 통하여 입력되는 각각의 신호를 전기적으로 도통되게 접속되는 하나 이상의 제1 연결부재;
    상기 제1 연결부재의 타단에 접속되는 제1 출력접속부;
    상기 제1 연결부재와 공간적으로 이격되나, 상기 제1 연결부재의 전부 또는 일부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도전 물질로 구성된 하나 이상의 제2 연결부재;및
    상기 제2 연결부재의 일단 또는 양단에 접속되는 제2 출력접속부;
    를 포함하는 다 채널 분기 장치.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연결부재의 신호 중 전부 또는 일부를 입력받는 하나 이상의 인입부;및
    상기 인입부의 신호를 각각 입력받아 이를 회로적으로 처리한 제어신호를 상기 각각의 연결부재로 출력하는 출력부;
    를 포함하는 다 채널 분기 장치.
  15. 제 11항에 있어서,
    공간적으로 이격된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제어모듈사이에는
    실드부재가 구성되어 있는 다 채널 분기 장치.
  16.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양면으로 구성하고, 그 일면에는 상기 연결부재의 입력접속부 및 출력접속부와 접속되는 접속단자를 형성하고, 타면에는 제어단자, 선택단자, 설정단자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단자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단자와 대응되는 면에 착탈되는 캡을 형성한 다 채널 분기 장치.
  17.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제어모듈은
    별도의 접속부재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결합되는 다 채널 분기 장치.
  18.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재는
    상기 제2 연결부재의 상부에 공간적으로 이격되어 설치되고, 제2 연결부재와 접속되는 부위는 절곡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2 연결부재, 그리고 상기 제1 연결부재의 절곡부를 순차적으로 적층하고 체결부재에 의하여 상기 하부케이스의 일측에 고정되는 다 채널 분기 장치.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KR1020140055325A 2014-05-09 2014-05-09 다 채널 분기 장치 KR1015292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5325A KR101529276B1 (ko) 2014-05-09 2014-05-09 다 채널 분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5325A KR101529276B1 (ko) 2014-05-09 2014-05-09 다 채널 분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9276B1 true KR101529276B1 (ko) 2015-06-29

Family

ID=53519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5325A KR101529276B1 (ko) 2014-05-09 2014-05-09 다 채널 분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927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25137A (ja) * 1999-07-01 2001-01-26 Yazaki Corp 電気接続箱
JP2001186634A (ja) * 1999-12-27 2001-07-06 Yazaki Corp 層間接続構造
KR20070012078A (ko) * 2005-07-22 2007-01-25 김종수 천정배선 분기구
KR20070058152A (ko) * 2005-12-01 2007-06-07 가온전선 주식회사 전기 배선 분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25137A (ja) * 1999-07-01 2001-01-26 Yazaki Corp 電気接続箱
JP2001186634A (ja) * 1999-12-27 2001-07-06 Yazaki Corp 層間接続構造
KR20070012078A (ko) * 2005-07-22 2007-01-25 김종수 천정배선 분기구
KR20070058152A (ko) * 2005-12-01 2007-06-07 가온전선 주식회사 전기 배선 분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46287A (en) Lighting and power system and connectors therefor
US7851704B2 (en) Modular wiring system
CN105684220B (zh) 用于连接装置的连接栏
US2023007219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led connectors
US10274144B2 (en) Lamp, lamp system and method for assembling lamp system
JP2005522849A (ja) 照明装置の機械的および電気的接続のための連結器
US20100018739A1 (en) Enclosure for wiring devices
US7201593B2 (en) Jumper assembly for an electrical distribution system
US5326933A (en) Electrical installation system
US6948972B2 (en) Overhead lighting splitter
KR101710281B1 (ko) 유선 통신이 가능한 라인 타입 조명장치
EP3089293B1 (en) A universal electrical installation system
US3377488A (en) Power supply circuitry for lighting fixtures or the like
KR101529276B1 (ko) 다 채널 분기 장치
CN101545792A (zh) 用于多位置计量的引线分配第五卡爪系统
US9197039B2 (en) Panelboard and electrical power distribution system
US10424850B2 (en) Self-locking wire devic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CN108604745B (zh) 用于使多个电信号循环通过的环路电桥
US8882309B2 (en) Device for fastening and contacting a lighting means, a lighting module, or lamp
KR100734026B1 (ko) 전기 배선 분기장치
KR20150140441A (ko) 조명 제어 시스템
GB2481007A (en) Pre-wired junction box
KR100758922B1 (ko) 개량형 전기 배선함
US11575221B2 (en) Junction box
KR101625759B1 (ko) 배선 분배 장치용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