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5759B1 - 배선 분배 장치용 케이스 - Google Patents
배선 분배 장치용 케이스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25759B1 KR101625759B1 KR1020140174901A KR20140174901A KR101625759B1 KR 101625759 B1 KR101625759 B1 KR 101625759B1 KR 1020140174901 A KR1020140174901 A KR 1020140174901A KR 20140174901 A KR20140174901 A KR 20140174901A KR 101625759 B1 KR101625759 B1 KR 10162575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ring
- case
- distribution device
- output connector
- coupl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2—Intermediate parts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in parallel, e.g. splitter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선 분배 장치의 출력용 커넥터에 연결되는 케이블 조립체가 결합되는 케이스 커버와 결합되는 상측면과, 상기 배선 분배 장치를 고정 및 결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용 홀을 구비하는 저면과, 상기 저면과 연결되는 복수의 측벽과, 상기 복수의 측벽 일부를 오픈시켜 형성되며, 상기 배선 분배 장치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입력용 커넥터에 연결되는 케이블 조립체가 결합되는 배선 홈 커버가 결합되는 접속단자용 배선 홈과, 상기 측벽의 상측부 소정 부분과 연결되어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 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 분배 장치용 케이스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작업성이 개선된 배선 분배 장치용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주(電柱)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다수개의 부하에 공급하기 위해서는 상기 공급되는 전원을 각 부하별로 분배하여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전원의 분배를 위해 종래에는 모선에 직접 전선을 부착하여 전원을 끌어오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예를들어 전원은 3상4선 즉 3개의 상(像)과 4개의 선(線)으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다. 종래에는 모선(M)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4개의 선(M1,M2,M3,M4)을 노출시킨 후 4개의 선에 결속되는 분배선을 이용하여 부하 즉, 예를 들어 전기 기기 또는 상기 전기 기기로 향하는 중간에 설치되는 차단기(C1, C2, C3)를 경유하여 전원을 분배하게 된다. 다시 말해, 상기 부하가 3상의 전원을 필요로 하는 모터인 경우 4개의 분배선을 각각 상기 모선에서 인출되는 4개의 선에 각각 결속하게 된다. 또한, 다른 부하 또는 상기 부하측으로 연결되기 위한 차단기(C2)가 다른 선 예를 들어 M1과 M2선만을 결속해서 사용하는 경우 등 여러 전원 소요 방식에 따라 결속해서 사용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분배방식에 의한 경우 상기 인출선(M1,M2,M3,M4)에서 각 부하 즉, 전기기기 또는 차단기에 분배되게 되어 상기 인출선에 결속되는 분배선의 양이 많게 되어 접촉 불량이 발생할 우려가 높게 되고 이에 의해 화재의 위험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인출선에 여러 분배선이 결속되어 있어서 만일 어떤 전기기기의 사용 전원이 바뀌는 경우 그 전기기기에 결속되는 분배선을 찾아서 다시 변경해야 해서 작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배선 분배 장치에 전원이 인가되는 복수의 입력용 커넥터와 외부로 분배하는 출력용 커넥터에 연결되는 케이블 조립체간의 탈부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배선 분배 장치용 케이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배선 분배 장치의 출력용 커넥터에 연결되는 케이블 조립체가 결합되는 케이스 커버와 결합되는 상측면과, 상기 배선 분배 장치를 고정 및 결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용 홀을 구비하는 저면과, 상기 저면과 연결되는 복수의 측벽과, 상기 복수의 측벽 일부를 오픈시켜 형성되며, 상기 배선 분배 장치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입력용 커넥터에 연결되는 케이블 조립체가 결합되는 배선 홈 커버가 결합되는 접속단자용 배선 홈과, 상기 측벽의 상측부 소정 부분과 연결되어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 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 분배 장치용 케이스가 제공된다.
상기 배선 분배 장치용 케이스는 상기 배선 분배 장치와 상기 저면에 이격되도록 하기 위한 스페이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선 분배 장치용 케이스에서 상기 연결 홀은 상기 측벽의 상측부의 각 모서리 부분과 인접한 곳에 연결되어 내측 또는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선 분배 장치용 케이스에 따르면, 배선 분배 장치에 전원이 인가되는 복수의 입력용 커넥터와 외부로 분배하는 출력용 커넥터에 연결되는 케이블 조립체간의 탈부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건축물에 매립 후 변경 시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배선 분배 장치가 장착되는 케이스, 케이스 커버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배선 분배 장치가 삽입된 상태와 케이블 조립체가 출력용 커넥터에 결합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선 홈에 결합되는 배선 홈 커버와 케이블 조립체간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 내지 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멀티 배선 분배 장치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배선 분배 장치가 삽입된 상태와 케이블 조립체가 출력용 커넥터에 결합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선 홈에 결합되는 배선 홈 커버와 케이블 조립체간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 내지 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멀티 배선 분배 장치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배선 분배 장치가 장착되는 케이스, 케이스 커버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배선 분배 장치가 삽입된 상태와 케이블 조립체가 출력용 커넥터에 결합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선 홈에 결합되는 배선 홈 커버와 케이블 조립체간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멀티 배선 분배 장치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 앞서, 멀티 배선 분배 장치(300)는 복수의 입력용 커넥터를 통해 배선이 연결되어 출력용 커넥터를 통해 배선을 통해 입력되는 전원, 신호 등을 분배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복수용 입력용 커넥터에 입력되는 배선은 소방 회로, 방송 회로, 통신 회로, 전열기, 전등 등에 연결되는 것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이러한 멀티 배선 분배 장치가 삽입되는 멀티 배선 분배 장치용 케이스(100)의 구조에 대해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 배선 분배 장치용 케이스(100)에는 상측면(112)이 개방되고 저면(114) 및 사방의 네 개의 측벽(116)의 일부가 폐쇄되고, 네 개의 측벽(116)의 일부를 오픈시켜 접속단자용 배선 홈(120)이 형성되며, 저면(114) 내부에 멀티 배선 분배 장치(300)와 결합되기 위한 복수의 결합용 홀(12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멀티 배선 분배 장치용 케이스(100)에는 측벽(116) 상측부 소정의 부분과 연결되고 건물의 측벽 또는 천정 또는 바닥면과의 연결을 위한 복수의 연결 홀(130)이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연결 홀(130)은 측벽(116)의 상측부의 각 모서리 부분과 인접한 곳에 연결되어 측벽(116)에서 내측 또는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서는 복수의 연결 홀(130)이 상측면(112)의 각 모서리 부분과 인접한 위치에서 외측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 되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시말해서, 복수의 연결 홀(130)은 상측면(112)의 가로 및 세로 측상의 임의의 위치에 연결되어 내측 방향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멀티 배선 분배 장치용 케이스(100)의 접속단자용 배선 홈(120) 각각에는 배선 홈 커버(200)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배선 홈 커버(200)가 결합된 멀티 배선 분배 장치용 케이스(100)에는 케이스 커버(400)가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배선 홈 커버(200), 멀티 배선 분배 장치(300) 및 케이스 커버(400)가 결합된 멀티 배선 분배 장치용 케이스(100)는 콘크리트 몰탈 속에 묻히게 되고 상측면(112)에 결합된 케이스 커버(400)만이 건물의 측벽 또는 천정 또는 바닥면으로부터 노출되게 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멀티 배선 분배 장치용 케이스(100)는 플라스틱이나 금속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플라스틱 또는 금속을 이용하여 성형을 통해 멀티 배선 분배 장치용 케이스(100)는 제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멀티 배선 분배 장치용 케이스(100)의 각 구성요소와 멀티 배선 분배 장치용 케이스(100)에 결합되는 배선 홈 커버(200), 멀티 배선 분배 장치(300), 케이스 커버(400) 및 멀티 배선 분배 장치용 케이스(100)에 결합되는 케이블 조립체(510)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멀티 배선 분배 장치용 케이스(100)의 접속단자용 배선 홈(120)은 개방된 상측면(112)의 중심을 가로지르는 센터 라인으로부터 벗어나서 일측으로 치우쳐서 위치하고, 상측면쪽이 개방되고 저면쪽이 부드러운 곡선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멀티 배선 분배 장치용 케이스(100)의 내부에는 멀티 배선 분배 장치(300)가 삽입되어 저면(114)과 스페이서(310)를 통해 소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멀티 배선 분배 장치용 케이스(100)의 내부에는 멀티 배선 분배 장치(300)의 기판 고정용 홀(60) 각각과 결합용 홀(122)을 결합시킨 후 기판 고정용 부재(330)를 이용하여 기판 고정용 홀(60)과 결합용 홀(122)을 결합시킴으로써, 멀티 배선 분배 장치용 케이스(100)의 저면(114)에 멀티 배선 분배 장치(300)를 결합 및 고정시킬 수 있다.
결합용 홀(122)은 저면(114)의 가장자리 부분에 위치할 수 있으며, 기판 고정용 홀(60)은 결합용 홀(122)과 1:1로 결합될 수 있도록 멀티 배선 분배 장치(300)의 소정 영역, 예컨대 모서리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결합용 홀(122)과 기판 고정용 홀(60)은 기판 고정용 부재(330)에 해당하는 볼트와 결합될 수 있는 나사형 홀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멀티 배선 분배 장치용 케이스(100)의 내부에 스페이서(310)를 놓은 후 멀티 배선 분배 장치(300)의 각 기판 고정용 부재(330)를 결합용 홀(122)에 조임으로써, 멀티 배선 분배 장치(300)와 멀티 배선 분배 장치용 케이스(100)의 저면(114)을 소정 간격만큼 이격된 상태로 결합 및 고정될 수 있다.
상기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스페이서(310)가 멀티 배선 분배 장치용 케이스(100)와 별도의 구성으로 설명하였지만, 스페이서(310)가 멀티 배선 분배 장치용 케이스(100)의 저면(112)에 장착된 상태일 수도 있다.
한편, 멀티 배선 분배 장치용 케이스(100)의 접속단자용 배선 홈(120)에 결합되는 배선 홈 커버(200)에 대해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배선 홈 커버(200)는 저면부(230)를 제외한 외주면에 테두리 홈(210)을 구비하며, 테두리 홈(210)과 접속단자용 배선 홈(120)간의 결합을 통해 멀티 배선 분배 장치용 케이스(100)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배선 홈 커버(200)의 내부에는 원형 형상을 가지며, 케이블 조립체(510)의 일부, 예컨대 나사부(516)가 삽입될 수 있는 배선 인입용 삽입 홀(220)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배선 인입용 삽입 홀(220)은 그 형상에 대응하는 임시 부재(222)에 의해 막힌 상태일 수 있다.
임시 부재(222)는 멀티 배선 분배 장치(300)의 입력용 커넥터에 배선 연결 작업 시 탈착되어 배선 인입용 삽입 홀(220)을 오픈 상태로 만들 수 있다.
한편, 배선 홈 커버(200)의 저면부(230)는 직선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저면부(230)에는 케이스 커버용 고정 부재(332)가 삽입될 수 있는 체결 홀(232)을 구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배선 홈 커버(200)와 멀티 배선 분배 장치용 케이스(100)에 결합되는 케이스 커버(400)에 대해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케이스 커버(400)는 멀티 배선 분배 장치(300)의 출력용 커넥터(도 4의 20)가 오픈되도록 하는 배선 출력용 홀(410)과, 배선 홈 커버(200)의 각 체결 홀(232)이 드러나도록 하기 위한 홈(412)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배선 출력용 홀(410)을 통해 멀티 배선 분배 장치(300)의 출력용 커넥터(20)에 연결되는 배선이 외부의 기기와 연결될 수 있다.
케이스 커버용 고정 부재(332)는 케이스 커버(400)에 형성된 홈(412)을 통해 배선 홈 커버(200)의 체결 홀(232)에 삽입될 수 있다.
케이블 조립체(510)는 내부에 배선이 있는 케이블 호스(512), 케이블 글랜드(514), 나사부(516) 및 글랜드 로크너트(518)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케이블 조립체(510)의 나사부(516)를 배선 인입용 삽입 홀(220)에 삽입한 후 글랜드 로크너트(518)와 나사부(516)를 조립함으로써, 배선 홈 커버(200)에 케이블 조립체(510)가 각각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배선 분배 장치용 케이스(100)에 삽입 및 장착되는 멀티 배선 분배 장치(300)에 대해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 배선 분배 장치(300)는 기판(10), 출력용 커넥터(20), 제1, 제2 제3 및 제4 입력용 커넥터(31, 32, 33, 34), 복수의 어스용 수단(40), 제1, 제2, 제3, 제4, 제5, 제6 및 제7 전류 보상용 수단(51, 52, 53, 54, 55, 56, 57) 및 기판(10)의 고정을 위한 기판 고정용 홀(6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기판(10)의 하면(14)과 상면(12) 상에 형성된 회로선(70)은 제1 내지 제7 전류 보상용 수단(51, 52, 53, 54, 55, 56, 57)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다시말해서, 기판(10)의 하면(14)과 상면(12)에 형성된 회로선(70) 상에는 제1 내지 제7 전류 보상용 수단(51, 52, 53, 54, 55, 56, 57)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하면(14)과 상면(12) 상에 형성된 회로선(70)들은 복수의 어스용 수단(40)에 의해 접지될 수 있다.
하면(14)과 상면(12) 상의 회로선(70)은 복수의 홀, 예컨대 쓰루홀에 동박의 배치를 통해 형성할 수 있다.
동박의 배치를 통해 형성된 회로선(70)에 도전성 물질, 예컨대 납을 도금하여 회로선(70)의 단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회로선(70)의 단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발열로 인해 회로선(70)에 해당하는 동박이 끊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출력용 커넥터(20)는 기판(10)의 중앙에 상향(기판(10)과 수직 방향)으로 돌출되게 입설되어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출력용 커넥터(20)에 연결된 배선은 케이스 커버(400)의 배선 출력용 홀(410)을 통해 외부의 기기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제2, 제3 및 제4 입력용 커넥터(31, 32, 33, 34)는 출력용 커넥터(20)를 기준으로 상하좌우에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배열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제2, 제3 및 제4 입력용 커넥터(31, 32, 33, 34)는 상향으로 돌출되게 입설되어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출력용 커넥터(20), 제1, 제2, 제3 및 제4 입력용 커넥터(31, 32, 33, 34)의 각 동대(C)가 상향 방향으로 돌출되게 입설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수평 방향 또는 기판(10)과 기 설정된 각도를 이루도록 기울려진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제1, 제2, 제3 및 제4 입력용 커넥터(31, 32, 33, 34)는 측벽(120)의 접속단자용 배선 홈(120)에 결합된 배선 홈 커버(200) 각각에 결합된 케이블 조립체(510)와 연결될 수 있다.
출력용 커넥터(20), 제1, 제2, 제3 및 제4 입력용 커넥터(31, 32, 33, 34) 각각은 6개의 융착볼(P)과 동대(C)가 각각 전기적으로 결합된 후 하우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출력용 커넥터(20), 제1, 제2, 제3 및 제4 입력용 커넥터(31, 32, 33, 34)는 6개의 동대(C)와 6개의 융착볼(P)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6pin 형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출력용 커넥터(20), 제1, 제2, 제3 및 제4 입력용 커넥터(31, 32, 33, 34)의 각 융착볼(P)은 하면(14) 및 상면(12)의 회로선(70)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출력용 커넥터(20)의 1번 융착볼(P)은 제1, 제2, 제3 및 제4 입력용 커넥터(31, 32, 33, 34)의 1번 융착볼(P)과 하면(14)의 회로선(70)을 통해 연결되며, 출력용 커넥터(20)의 2번 융착볼(P)은 제1, 제2, 제3 및 제4 입력용 커넥터(31, 32, 33, 34)의 2번 융착볼(P)과 상면(12)의 회로선(70)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출력용 커넥터(20)의 3번 융착볼(P)은 제1, 제2, 제3 및 제4 입력용 커넥터(31, 32, 33, 34)의 3번 융착볼(P)과 하면(14) 및 상면(12)의 회로선(70)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다시말해서, 제2 입력용 커넥터(32)의 3번 융착볼(P)은 상면(12)의 회로선(70)을 통해 연결되고, 출력용 커넥터(20)의 3번 융착볼(P)과 제1, 3 및 제4 입력용 커넥터(31, 33, 34)의 3번 융착볼(P)은 하면(14)의 회로선(70)을 통해 연결된다.
한편, 출력용 커넥터(20)의 4번 융착볼(P)은 제1, 제2, 제3 및 제4 입력용 커넥터(31, 32, 33, 34)의 4번 융착볼(P)과 하면(14)의 회로선(70)을 통해 연결되고, 출력용 커넥터(20)의 5번 융착볼(P)은 제1, 제2, 제3 및 제4 입력용 커넥터(31, 32, 33, 34)의 5번 융착볼(P)과 상면(12)의 회로선(70)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출력용 커넥터(20), 제1, 제2, 제3 및 제4 입력용 커넥터(31, 32, 33, 34)의 6번 융착볼(P)은 어스 단자에 해당하는 복수의 어스용 수단(40)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7 전류 보상용 수단(51, 52, 53, 54, 55, 56, 57)은 하면(14)과 상면(12)에 형성된 회로선(70)을 서로 연결시킬 수 있다.
먼저, 제1 전류 보상용 수단(51)은 출력용 커넥터(20)와 제1, 제2, 제3 및 제4 입력용 커넥터(31, 32, 33, 34)의 2번째 융착볼(P)에 연결된 상면(12) 및 하면(14)에 형성된 회로선(70)을 서로 연결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전류 보상용 수단(51)은 출력용 커넥터(20)의 2번째 융착볼(P)에 연결되는 하면(14)의 회로선(70)과 제1, 제2, 제3 및 제4 입력용 커넥터(31, 32, 33, 34)의 2번째 융착볼(P)을 연결시키는 상면(12)의 회로선(70)을 연결시킬 수 있다.
제2 전류 보상용 수단(52)은 출력용 커넥터(20)의 5번째 융착볼(P)에 연결된 하면(14)의 회로선(70)과 제3 입력용 커넥터(33)의 5번째 융착볼(P)에 연결된 상면(12)의 회로선(70)을 연결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전류 보상용 수단(52)에는 제1 입력용 커넥터(31)의 5번째 융착볼(P)에 연결되는 하면(14)의 회로선(70)과 제2 입력용 커넥터(32)의 5번째 융착볼(P)에 연결되는 상면(12)의 회로선(70)에 연결되는 제3 전류 보상용 수단(53)과 제7 전류 보상용 수단(52)이 하면(14)에 형성된 회로선(70)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제3 전류 보상용 수단(53)은 제1 입력용 커넥터(31)의 5번째 융착볼(P)과 연결되는 하면(14)의 회로선(70)과 제2 입력용 커넥터(32)의 5번째 융착볼(P)과 연결되는 상면(12)의 회로선(70)을 서로 연결시킬 수 있다. 또한, 제3 전류 보상용 수단(52)은 제2 전류 보상용 수단(52)에 하면(14)에 형성된 회로선(70)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제4 전류 보상용 수단(54)은 제2 입력용 커넥터(32)의 3번째 융착볼(P)과 연결되는 상면(12)의 회로선(70)을 하면(14)의 회로선(70)에 연결되는 제5 전류 보상용 수단(55)에 연결시킬 수 있다. 다시말해서, 제4 전류 보상용 수단(54)은 출력용 커넥터(20), 제1, 제3 및 제4 입력용 커넥터(31, 33, 34)의 3번째 융착볼(P)에 연결된 상면(12)의 회로선(70)에 연결되는 제5 전류 보상용 수단(55)과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 입력용 커넥터(32)의 3번째 융착볼(P)은 출력용 커넥터(20), 제1, 제3 및 제4 입력용 커넥터(31, 33, 34)의 3번째 융착볼(P)에 연결될 수 있다.
제5 전류 보상용 수단(55)은 하면(14)의 회로선(70)에 연결된 제4 전류 보상용 수단(54)과 연결되며, 출력용 커넥터(20), 제1, 제3 및 제4 입력용 커넥터(31, 33, 34)의 3번째 융착볼(P)에 연결된 상면(12)의 회로선(70)과 연결될 수 있다.
제6 전류 보상용 수단(56)은 제1, 제2, 제3 및 제4 입력용 커넥터(31, 32, 33, 34)의 4번째 융착볼(P)에 연결된 하면(14)의 회로선(70)과 출력용 커넥터(20)의 4번째 융착볼(P)에 연결된 상면(12)의 회로선(70)을 서로 연결시킬 수 있다.
제7 전류 보상용 수단(57)은 제2 전류 보상용 수단(52)과 하면(14)에 형성된 회로선(70)을 통해 연결되며, 제4 입력용 커넥터(34)의 5번째 융착볼(P)에 연결된 상면(12)의 회로선(70)을 제2 전류 보상용 수단(52)에 연결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출력용 커넥터(20), 제1, 제2, 제3 및 제4 입력용 커넥터(31, 32, 33, 34)의 5번째 융착볼(P)을 서로 연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내지 제7 전류 보상용 수단(51, 52, 53, 54, 55, 56, 57)은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비아홀의 형태로 회로선(7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판(10)의 하면(14)과 상면(12)을 관통하는 홀을 형성한 후 홀에 도전 물질의 매립을 통해 비아홀을 형성함으로써, 하면(14)과 상면(12)의 회로선(70)을 연결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복수용 어스용 수단(40)은 하나의 비아홀의 형태로 기판(1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다시말해서, 기판(10) 상에는 출력용 커넥터(20)와 제1 내지 제4 입력용 커넥터(31, 32, 33, 34)의 융착볼 중 접지용 용착볼(P)과 결합되는 복수의 어스용 수단(40)이 형성되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 기판 12 : 상면
14 : 하면 100 : 멀티 배선 분배 장치용 케이스
200 : 배선 홈 커버 300 : 멀티 배선 분배 장치
400 : 케이스 커버 510 : 케이블 조립체
14 : 하면 100 : 멀티 배선 분배 장치용 케이스
200 : 배선 홈 커버 300 : 멀티 배선 분배 장치
400 : 케이스 커버 510 : 케이블 조립체
Claims (3)
- 배선 분배 장치의 출력용 커넥터에 연결되는 케이블 조립체가 결합되는 케이스 커버와 결합되는 상측면과,
상기 배선 분배 장치를 고정 및 결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용 홀을 구비하는 저면과,
상기 저면과 연결되는 복수의 측벽과,
상기 복수의 측벽 일부를 오픈시켜 형성되며, 상기 배선 분배 장치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입력용 커넥터에 연결되는 케이블 조립체가 결합되는 배선 홈 커버가 결합되는 접속단자용 배선 홈과,
상기 측벽의 상측부 소정 부분과 연결되어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 홀과,
상기 배선 분배 장치와 상기 저면에 이격되도록 하기 위한 스페이서를 포함하며,
상기 배선 분배 장치는,
출력용 커넥터와 적어도 둘 이상의 입력용 커넥터를 구비하는 기판과,
상기 기판의 하면 및 상면에 형성된 홀에 동박을 형성한 후 상기 동박에 소정의 물질을 도금하여 형성되며, 상기 출력용 커넥터와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입력용 커넥터를 서로 연결시키는 복수의 회로선과,
상기 복수의 회로선 상에 형성되고 상기 기판의 하면과 상면에 형성된 회로선을 서로 연결시키고 상기 회로선 상에 흐르는 전류를 보상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류 보상용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 분배 장치용 케이스.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홀은,
상기 측벽의 상측부의 각 모서리 부분과 인접한 곳에 연결되어 내측 또는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 분배 장치용 케이스.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74901A KR101625759B1 (ko) | 2014-12-08 | 2014-12-08 | 배선 분배 장치용 케이스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74901A KR101625759B1 (ko) | 2014-12-08 | 2014-12-08 | 배선 분배 장치용 케이스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25759B1 true KR101625759B1 (ko) | 2016-05-30 |
Family
ID=57124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74901A KR101625759B1 (ko) | 2014-12-08 | 2014-12-08 | 배선 분배 장치용 케이스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25759B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01094B1 (ko) * | 2011-08-08 | 2012-11-13 | 안혜숙 | 구조 개선된 멀티 전원 분배 장치용 케이스 |
-
2014
- 2014-12-08 KR KR1020140174901A patent/KR10162575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01094B1 (ko) * | 2011-08-08 | 2012-11-13 | 안혜숙 | 구조 개선된 멀티 전원 분배 장치용 케이스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916880B2 (en) | Multiplex receptacle adapter | |
US7255596B2 (en) | Modular electrical receptacle | |
CN102844947B (zh) | 具有并联馈电线分布的配电板 | |
CN105684563B (zh) | 部件构建系统的功能部件上部 | |
US6955559B2 (en) | Multiplex electrical receptacle | |
KR101297487B1 (ko) | 멀티 모듈러를 구비하는 분전반 | |
JP6270618B2 (ja) | 接続導体ユニット | |
EP3104470B1 (en) | Socket assembly with multiple flush-mounting boxes | |
JP3113266U (ja) | ユニット式分電盤 | |
KR100699920B1 (ko) | 전기회로기판을 이용한 배선 분기장치 | |
KR101625759B1 (ko) | 배선 분배 장치용 케이스 | |
KR200331163Y1 (ko) | 배전반 | |
KR20190047177A (ko) | 일체형 고정식 단자대 모듈 | |
EP3089293B1 (en) | A universal electrical installation system | |
KR100594909B1 (ko) | 분,배전반용 주차단기와 모선부스바의 접속장치 | |
JP2009011047A (ja) | 分電盤用バーホルダ | |
KR100734026B1 (ko) | 전기 배선 분기장치 | |
JP2009201313A (ja) | 分電盤用端子台および分電盤 | |
KR101120596B1 (ko) | 조립식 표준 분전반 | |
KR200410804Y1 (ko) | 계량기함의 전원선 연결기구 | |
KR20070012078A (ko) | 천정배선 분기구 | |
KR200302957Y1 (ko) | 분전반 | |
KR101201094B1 (ko) | 구조 개선된 멀티 전원 분배 장치용 케이스 | |
KR102357979B1 (ko) | 분전반 | |
JP7282592B2 (ja) | 電気接続箱、及び、ワイヤハーネス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26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