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1094B1 - 구조 개선된 멀티 전원 분배 장치용 케이스 - Google Patents

구조 개선된 멀티 전원 분배 장치용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1094B1
KR101201094B1 KR1020110078429A KR20110078429A KR101201094B1 KR 101201094 B1 KR101201094 B1 KR 101201094B1 KR 1020110078429 A KR1020110078429 A KR 1020110078429A KR 20110078429 A KR20110078429 A KR 20110078429A KR 101201094 B1 KR101201094 B1 KR 1012010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ribution device
power distribution
input terminal
case
termin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84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상근
안혜숙
Original Assignee
안혜숙
유상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혜숙, 유상근 filed Critical 안혜숙
Priority to KR10201100784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10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10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10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 H02G3/0616Joints for connecting tubing to cas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6Assembled box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providing line outl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면(110)이 개방되고 후벽(120) 및 사방의 제1, 제2, 제3, 제4 측벽(131, 132, 133, 134)이 폐쇄되고, 상기 제1, 제2, 제3, 제4 측벽(131, 132, 133, 134)에 각각 제1, 제2, 제3, 제4 접속단자용 배선홈(141, 142, 143, 144)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 개선된 멀티 전원 분배 장치용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구조 개선된 멀티 전원 분배 장치용 케이스 { wire type multi power supply distribution device }
본 발명은 작업성이 개선된 구조 개선된 멀티 전원 분배 장치용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주(電柱)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다수개의 부하에 공급하기 위해서는 상기 공급되는 전원을 각 부하별로 분배하여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전원의 분배를 위해 종래에는 모선에 직접 전선을 부착하여 전원을 끌어오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예를들어 전원은 3상4선 즉 3개의 상(像)과 4개의 선(線)으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다. 종래에는 모선(M)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4개의 선(M1,M2,M3,M4)을 노출시킨 후 4개의 선에 결속되는 분배선을 이용하여 부하 즉, 예를 들어 전기 기기 또는 상기 전기 기기로 향하는 중간에 설치되는 차단기(C1, C2, C3)를 경유하여 전원을 분배하게 된다. 다시 말해, 상기 부하가 3상의 전원을 필요로 하는 모터인 경우 4개의 분배선을 각각 상기 모선에서 인출되는 4개의 선에 각각 결속하게 된다. 또한, 다른 부하 또는 상기 부하측으로 연결되기 위한 차단기(C2)가 다른 선 예를 들어 M1과 M2선만을 결속해서 사용하는 경우 등 여러 전원 소요 방식에 따라 결속해서 사용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분배방식에 의한 경우 상기 인출선(M1,M2,M3,M4)에서 각 부하 즉, 전기기기 또는 차단기에 분배되게 되어 상기 인출선에 결속되는 분배선의 양이 많게 되어 접촉 불량이 발생할 우려가 높게 되고 이에 의해 화재의 위험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인출선에 여러 분배선이 결속되어 있어서 만일 어떤 전기기기의 사용 전원이 바뀌는 경우 그 전기기기에 결속되는 분배선을 찾아서 다시 변경해야 해서 작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의 전원 분배장치용 케이스는 케이블의 작업 및 보수에 어려움이 있었다. 관련 종래기술로서 특허 제 10-0885985호, 특허 제10-0720980 등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원이 인가되는 입력단자와 전원이 분배되는 분배단자의 용이하고 작업할 수 있어 접속단자의 장착 탈착이 용이하여 분배장치의 접근성, 생산성, 작업성이 우수한 멀티 전원분배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구조 개선된 멀티 전원 분배 장치용 케이스는 전면(110)이 개방되고 후벽(120) 및 사방의 제1, 제2, 제3, 제4 측벽(131, 132, 133, 134)이 폐쇄되고, 상기 제1, 제2, 제3, 제4 측벽(131, 132, 133, 134)에 각각 제1, 제2, 제3, 제4 접속단자용 배선홈(141, 142, 143, 144)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경우 른 본 발명의 목적은 전원이 인가되는 입력단자와 전원이 분배되는 분배단자의 용이하고 작업할 수 있어 접속단자의 장착 탈착이 용이하여 분배장치의 접근성, 생산성, 작업성이 우수한 구조 개선된 멀티 전원 분배 장치용 케이스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조 개선된 멀티 전원 분배 장치용 케이스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조 개선된 멀티 전원 분배 장치용 케이스 평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조 개선된 멀티 전원 분배 장치용 케이스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조 개선된 멀티 전원 분배 장치용 케이스에 장착되는 접속단자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연결타입의 수직형 멀티 전원 분배 장치 정면 사시도.
도 7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연결타입의 수직형 멀티 전원 분배 장치 배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연결타입의 수직형 멀티 전원 분배 장치 연결도.
도 9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씨비 타입의 수직형 멀티 전원 분배 장치 정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씨비 타입의 수직형 멀티 전원 분배 장치 배면 사시도.
도 11은 도 5의 접속단자에 커버 부착용 브라켓이 추가로 구비된 상태의 도면.
도 12는 도 11의 접속단자가 장착된 상태 평면도.
도 13은 분배단자 배선 연결 상태를 보이는 평면도.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조 개선된 멀티 전원 분배 장치용 케이스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조 개선된 멀티 전원 분배 장치용 케이스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조 개선된 멀티 전원 분배 장치용 케이스 평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조 개선된 멀티 전원 분배 장치용 케이스 사용상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조 개선된 멀티 전원 분배 장치용 케이스에 장착되는 접속단자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조 개선된 멀티 전원 분배 장치용 케이스는 전면(110)이 개방되고 후벽(120) 및 사방의 제1, 제2, 제3, 제4 측벽(131, 132, 133, 134)이 폐쇄되고, 상기 제1, 제2, 제3, 제4 측벽(131, 132, 133, 134)에 각각 제1, 제2, 제3, 제4 접속단자용 배선홈(141, 142, 143, 144)이 형성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조 개선된 멀티 전원 분배 장치용 케이스에 있어서, 제1, 제2, 제3, 제4 접속단자용 배선홈(141, 142, 143, 144)은 개방된 전면(110)의 중심을 가로지르는 센터라인(C1)으로부터 벗어나서 일측으로 치우쳐서 위치하고, 전면쪽(140a)이 개방되고 후벽쪽(140b)이 부드러운 곡선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접속단자(300)가 케이스(100) 내부 공간에 위치되어 고정된 멀티 전원 분배 분배장치(1)의 분배단자(31, 32, 33, 34)에 한개씩 접속된다. 이때 접속단자(300)가 연결된 안착대(200)는 접속단자용 배선홈(141, 142, 143, 144)의 형상에 상응하는 외주형상을 갖으며 장착골(210)이 형성되어 수작업에 의한 강제끼임 형식으로 접속단자용 배선홈(141, 142, 143, 144)에 별도의 고정수단 없이 고정된다.
실사용에 있어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 개선된 멀티 전원 분배 장치용 케이스는 콘크리트 몰탈 속에 묻히게 되고 전면(110) 만이 건물의 측벽 또는 천정, 또는 바닥면으로부터 노출되게 된다. 이때 이미 접속단자 및 배선은 건물 속에 묻혀 있다.
본 발명과 같이 제1, 제2, 제3, 제4 측벽(131, 132, 133, 134)에 각각 제1, 제2, 제3, 제4 접속단자용 배선홈(141, 142, 143, 144)을 형성하고 제1, 제2, 제3, 제4 접속단자용 배선홈(141, 142, 143, 144)을 개방된 전면(110)의 중심을 가로지르는 센터라인(C1)으로부터 벗어나서 일측으로 치우쳐서 위치시키는 경우 작업자가 접속단자 배선을 콘크리트로부터 파내지 않고도 접속단자의 탈착 및 장착이 가능하다. 왜냐하면 접속단자를 연결하는 선(250)이 제4 접속단자용 배선홈(141, 142, 143, 144) 또는 케이스 내부에서 유동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기 때문이다.
본 케이스는 본 케이스에 적합한 고유의 단자 배열을 갖는 분배장치와 함께 사용되었을때 그 효과를 발휘한다.
도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연결타입의 수직형 멀티 전원 분배 장치는 베이스판(10)과 입력단자(20)와 제1, 제2, 제3, 제4 분배단자(31, 32, 33, 34)와 와이어(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6,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연결타입의 수직형 멀티 전원 분배 장치는, 멀티 전원 분배 장치에 있어서, 베이스판(10)은 4개의 분배단 장착홈(12)과 입력단자(20)가 삽입, 장착되는 입력단 장착홈(11)이 형성된다. 도 6,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단자(20)는 베이스판(10)의 중간에 형성된 상기 입력단 장착홈(11)에 세로로 입설되며 하나로 구성된다. 제1, 제2, 제3, 제4 분배단자(31, 32, 33, 34)는 입력단자(20) 사방에 형성된 상기 분배단 장착홈(12)에 한개씩 세로로 입설된다. 와이어(40)는 베이스판(10)의 후면부에 위치되어 상기 입력단자(20)와 제1, 제2, 제3, 제4 분배단자(31, 32, 33, 34)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도 6, 도 7,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연결타입의 수직형 멀티 전원 분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입력단자(20)와 상기 분배단자(31, 32, 33, 34)는 각각 8개의 동대(C)로 구성되고, 상기 입력단자(20)의 동대는 상기 와이어(40)를 통해 상기 제1 분배단자(31)의 동대와 한개씩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분배단자(31)의 8개의 동대는 상기 제2 분배단자(32)의 8개의 동대와 각각 한개씩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분배단자(32)의 8개의 동대는 상기 제3 분배단자(33)의 8개의 동대와 각각 한개씩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3 분배단자(33)의 8개의 동대는 상기 제4 분배단자(34)의 8개의 동대와 각각 한개씩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연결타입의 수직형 멀티 전원 분배 장치에 있어서, 베이스판(10)의 후방으로 4개의 지지다리(50)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지지다리(50)는 케이스(미도시)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씨비 타입의 수직형 멀티 전원 분배 장치는, 기판(10')과 입력단자(20)와 제1, 제2, 제3, 제4 분배단자(31, 32, 33, 34)와 융착볼(P)들과 회로선(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9,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씨비 타입의 수직형 멀티 전원 분배 장치에 있어서, 기판(10)은 입력단자(20)와 제1, 제2, 제3, 제4 분배단자(31, 32, 33, 34)가 장착된다. 입력단자(20)는 기판(10)의 중앙에 상향으로 돌출되게 입설되는 하나로 형성된다. 제1, 제2, 제3, 제4 분배단자(31, 32, 33, 34)는 입력단자(20) 사방에 한개씩 세로로 입설된다.
도 9,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씨비 타입의 수직형 멀티 전원 분배 장치에 있어서, 융착볼(P)들은 입력단자(20) 및 분배단자(31, 32, 33, 34)의 동대(C)와 각각 전기적으로 결합되어 기판(10)의 후면에 용착되어 돌출되는 복수개로 형성된다. 회로선(40)은 융착볼(P)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기판(10')에 내장된다.
도 9,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씨비 타입의 수직형 멀티 전원 분배 장치에 있어서, 입력단자(20)와 상기 분배단자(31, 32, 33, 34)는 각각 8개의 동대(C)로 구성되고, 각각의 동대(C) 하단에 각각의 융착볼(P)이 1:1로 존재하고, 입력단자(20)의 동대(C)와 결합된 융착볼(P20)은 상기 회로선(40')을 통하여 상기 제1, 제2, 제3, 제4 분배단자(31, 32, 33, 34)에 속한 융착볼(P31, P32, P33, P34)과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과 같이 제1, 제2, 제3, 제4 측벽(131, 132, 133, 134)에 각각 제1, 제2, 제3, 제4 접속단자용 배선홈(141, 142, 143, 144)을 형성하고 제1, 제2, 제3, 제4 접속단자용 배선홈(141, 142, 143, 144)을 개방된 전면(110)의 중심을 가로지르는 센터라인(C1)으로부터 벗어나서 일측으로 치우쳐서 위치시키는 경우 작업자가 접속단자 배선을 콘크리트로부터 파내지 않고도 접속단자의 탈착 및 장착이 가능하다. 왜냐하면 접속단자를 연결하는 선(250)이 제4 접속단자용 배선홈(141, 142, 143, 144) 또는 케이스 내부에서 유동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기 때문이다.
도 11은 도 5의 접속단자에 커버 부착용 브라켓이 추가로 구비된 상태의 도면이고, 도 12는 도 11의 접속단자가 장착된 상태 평면도이다.
도 11,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단자에 커버 부착용 브라켓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는 멀티 전원 분배 장치용 케이스의 개방된 전면(110)을 덮는다. 커버 부착용 브라켓을 케이스에 일체로 구현하는 경우 케이스 제작비용이 증가하고 멀티 전원 분배 장치와 접속단자의 결합시 작업성이 떨어진다.
도 11,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접속단자(300)와 일체로된 안착대(200)가 상기 접속단자용 배선홈(141, 142, 143, 144)에 끼워지고, 상기 안착대(200)는 접속단자용 배선홈(141, 142, 143, 144)의 형상에 상응하는 외주형상을 갖으며 장착골(210)이 형성되어 수작업에 의한 강제끼임 형식으로 접속단자용 배선홈(141, 142, 143, 144)에 별도의 고정수단 없이 고정되고, 안착대(200)에 커버 부착용 브라켓(260)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부호 160은 지지용 브라켓이다. 지지용 브라켓은 귀퉁이에 형성될 수도 있지만, 도 12과 같이 귀퉁이가 아닌 다른 영역에 형성될 수도 있다. 지지용 브라켓은 시공시 다른 구조물에 결합되어 고정된다.
실사용에 있어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 개선된 멀티 전원 분배 장치용 케이스는 콘크리트 몰탈 속에 묻히게 되고 전면(110) 만이 건물의 측벽 또는 천정, 또는 바닥면으로부터 노출되게 된다. 이때 이미 접속단자 및 배선은 건물 속에 묻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됐지만,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것으로 본 발명과 균등 범위에 속하는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도면부호는 단순히 발명의 이해를 보조하기 위한 것으로 권리범위의 해석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함을 밝히며 기재된 도면부호에 의해 권리범위가 좁게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10 : 전면
120 :
131, 132, 133, 134 : 제1, 제2, 제3, 제4 측벽
141, 142, 143, 144 : 제4 접속단자용 배선홈
11 : 입력단 장착홈
12 : 분배단 장착홈
20 : 입력단자
31, 32, 33, 34 : 제1, 제2, 제3, 제4 분배단자
40 : 와이어
50 : 지지다리

Claims (4)

  1. 전면(110)이 개방되고 후벽(120) 및 사방의 제1, 제2, 제3, 제4 측벽(131, 132, 133, 134)이 폐쇄되고,
    상기 제1, 제2, 제3, 제4 측벽(131, 132, 133, 134)에 각각 제1, 제2, 제3, 제4 접속단자용 배선홈(141, 142, 143, 144)이 형성되는 멀티 전원 분배 장치용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멀티 전원 분배 장치용 케이스에 와이어 연결타입의 수직형 멀티 전원 분배 장치가 장착되되;

    상기 와이어 연결타입의 수직형 멀티 전원 분배 장치는, 4개의 분배단 장착홈(12)과 입력단자(20)가 삽입, 장착되는 입력단 장착홈(11)이 형성된 베이스판(10)과,
    상기 베이스판(10)의 중간에 형성된 상기 입력단 장착홈(11)에 세로로 입설되는 하나의 입력단자(20)와,
    상기 입력단자(20) 사방에 형성된 상기 분배단 장착홈(12)에 한개씩 세로로 입설되는 제1, 제2, 제3, 제4 분배단자(31, 32, 33, 34)와,
    상기 베이스판(10)의 후면부에 위치되어 상기 입력단자(20)와 제1, 제2, 제3, 제4 분배단자(31, 32, 33, 34)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와이어(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 개선된 멀티 전원 분배 장치용 케이스.
  2. 전면(110)이 개방되고 후벽(120) 및 사방의 제1, 제2, 제3, 제4 측벽(131, 132, 133, 134)이 폐쇄되고,
    상기 제1, 제2, 제3, 제4 측벽(131, 132, 133, 134)에 각각 제1, 제2, 제3, 제4 접속단자용 배선홈(141, 142, 143, 144)이 형성되는 멀티 전원 분배 장치용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멀티 전원 분배 장치용 케이스에 피씨비 타입의 수직형 멀티 전원 분배 장치가 장착되되;

    상기 피씨비 타입의 수직형 멀티 전원 분배 장치는, 입력단자(20)와 제1, 제2, 제3, 제4 분배단자(31, 32, 33, 34)가 장착되는 기판(10')과,
    상기 기판(10')의 중앙에 상향으로 돌출되게 입설되는 하나의 입력단자(20)와,
    상기 입력단자(20) 사방에 한개씩 세로로 입설되는 제1, 제2, 제3, 제4 분배단자(31, 32, 33, 34)와,
    상기 입력단자(20) 및 분배단자(31, 32, 33, 34)의 동대(C)와 각각 전기적으로 결합되어 기판(10')의 후면에 용착되어 돌출되는 복수개의 융착볼(P)들과,
    상기 융착볼(P)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기판(10')에 내장되는 회로선(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 개선된 멀티 전원 분배 장치용 케이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제3, 제4 접속단자용 배선홈(141, 142, 143, 144)은 개방된 전면(110)의 중심을 가로지르는 센터라인(C1)으로부터 벗어나서 일측으로 치우쳐서 위치하고, 전면쪽(140a)이 개방되고 후벽쪽(140b)이 부드러운 곡선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 개선된 멀티 전원 분배 장치용 케이스.
  4. 삭제
KR1020110078429A 2011-08-08 2011-08-08 구조 개선된 멀티 전원 분배 장치용 케이스 KR1012010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8429A KR101201094B1 (ko) 2011-08-08 2011-08-08 구조 개선된 멀티 전원 분배 장치용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8429A KR101201094B1 (ko) 2011-08-08 2011-08-08 구조 개선된 멀티 전원 분배 장치용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1094B1 true KR101201094B1 (ko) 2012-11-13

Family

ID=47564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8429A KR101201094B1 (ko) 2011-08-08 2011-08-08 구조 개선된 멀티 전원 분배 장치용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10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5759B1 (ko) * 2014-12-08 2016-05-30 유상근 배선 분배 장치용 케이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2071B1 (ko) 2008-07-04 2010-04-13 (주)원영이엔지 천장 배선용 분배기의 분기장치
JP2011101511A (ja) * 2009-11-06 2011-05-19 Furukawa Electric Co Ltd:The ジャンクションブロック構造体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2071B1 (ko) 2008-07-04 2010-04-13 (주)원영이엔지 천장 배선용 분배기의 분기장치
JP2011101511A (ja) * 2009-11-06 2011-05-19 Furukawa Electric Co Ltd:The ジャンクションブロック構造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5759B1 (ko) * 2014-12-08 2016-05-30 유상근 배선 분배 장치용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7487B1 (ko) 멀티 모듈러를 구비하는 분전반
KR101209892B1 (ko) 분기 부스바, 부스바 결합용 구조체, 및 분기 부스바 키트
JP2016208601A (ja) 電気機器の接続装置
JP2012182963A (ja) 配電盤のバーホルダ
KR20130005426U (ko) 블록형 부스바 배선 장치
KR101201094B1 (ko) 구조 개선된 멀티 전원 분배 장치용 케이스
JP3113266U (ja) ユニット式分電盤
JP5289169B2 (ja) 単相3線式分電盤
JP2014150606A (ja) スイッチギヤ
JP6173579B2 (ja) 母線構造およびこれを用いた配電盤
CN203522051U (zh) 一种多功能线槽
JP2007209066A (ja) 分電盤
JP2009011047A (ja) 分電盤用バーホルダ
JP4958282B2 (ja) ブレーカユニット
KR100518790B1 (ko) 조립식 배전반
KR101302576B1 (ko) 스마트 분전반
JP2004312865A (ja) プラグイン式分電盤
KR101120596B1 (ko) 조립식 표준 분전반
KR200311920Y1 (ko) 조립식 배전반
KR101163943B1 (ko) 와이어 연결타입의 수직형 멀티 전원 분배 장치
KR101201054B1 (ko) 피씨비 타입의 수직형 멀티 전원 분배 장치
JP2009177969A (ja) 分電盤
JP5971924B2 (ja) スイッチギヤ
KR101625759B1 (ko) 배선 분배 장치용 케이스
CN220475118U (zh) 逆变器和光伏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