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5426U - 블록형 부스바 배선 장치 - Google Patents

블록형 부스바 배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5426U
KR20130005426U KR2020120001781U KR20120001781U KR20130005426U KR 20130005426 U KR20130005426 U KR 20130005426U KR 2020120001781 U KR2020120001781 U KR 2020120001781U KR 20120001781 U KR20120001781 U KR 20120001781U KR 20130005426 U KR20130005426 U KR 2013000542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bar
block
lower case
main
s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17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권
Original Assignee
에이치제이산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제이산전(주) filed Critical 에이치제이산전(주)
Priority to KR20201200017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5426U/ko
Publication of KR2013000542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542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 H02B1/207Cross-bar layou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5Boards, panels, desk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06Boards, panels, desk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having associated enclosures, e.g.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par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14Shutters or guards for preventing access to contac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 H02G5/007Butt joining of bus-bars by means of a common bolt, e.g. splice joi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 H02G5/06Totally-enclosed installations, e.g. in metal casings
    • H02G5/061Tubular ca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istribution Board (AREA)

Abstract

분전반용 블록형 부스바 배선 장치가 개시된다.
블록형 부스바 배선 장치는 절연 재료로 이루어지며 메인 부스바 및 서브 부스바의 결합을 지지하는 하부 케이스; 및 상기 하부 케이스를 덮는 상부 덮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블록형 부스바 배선 장치{Block-type bus bar connecting device}
본 고안은 분전반용 배선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간편하고 용이하게 분전반을 시공할 수 있는 블록 형태의 부스바 배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있어서, 분전반 시공을 위하여 메인 부스바와 서브 부스바를 설치하여야 하였다.
도 1은 종래의 동 부스바 배선 상태를 도시한다. 도 1은 3상 4선식 배선의 예를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메인 차단기(102)와 분기 차단기(104)를 연결하기 위하여 메인 부스바(202, 204, 206, 208)와 서브 부스바(302, 304, 306, 308)를 서로 연결하여야 하였다.
즉, 메인 차단기(102)로부터 인출되는 R상 메인 부스바(202), S상 메인 부스바(204), T상 메인 부스바(206) 그리고 N상 메인 부스바(중성선, 208)를 각각 분기차단기(104, 106)의 R상 서브 부스바(302), S상 서브 부스바(304), T상 서브 부스바(306) 그리고 N상 서브 부스바(308)에 접속시켜야 하였다.
이를 위하여, 부스바 절단, 가공, 체결 등의 일련의 공정이 필요하였으며, 이로 인하여 분전반 시공에 많은 노력과 시간이 소요되고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고, 이에 따라 부하 변경 또는 부하 분배 등을 신속하게 해소하기 어렵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다른 한편으로, 종래의 분전반은 메인 부스바(202, 204, 206, 208)와 서브 부스바(302, 304, 306, 308)와의 연결 구조가 복잡하여 외관상 잘 정돈된 상태로 보이지 않는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종래의 분전반은 외부 이물질, 벌레 등의 유입으로 전기절연 확보에서의 문제점과 사람이 접촉할 수 있는 안전상의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또한, 종래의 분전반은 개개의 사양별로 가공, 절단 등의 수고가 따르고 이에 따라 비용, 시간 등에 있어서의 손실이 발생하여, 재료비 등의 비용 상승 문제를 가지고 있다.
한편, 일부의 분전반에서 블록형의 유사한 고안이 있었으나 비용의 상승, 작업성의 난이함, 수요자의 실제 운용상의 불편한 점, 시공사양 대응의 한계 등의 문제점들이 개선되는 데 한계를 가짐으로써 이에 따라 비용, 시간 등에 있어서의 손실과 효율성 저하로 인해 실제 채용상의 한계를 극복하지 못하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분전반 시공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배선 장치의 개발이 매우 크게 요청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들 중의 적어도 일부를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내구성이 뛰어나고 분전반 시공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안전한 구조를 갖춘 개선된 블록형 부스바 배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블록형 부스바 배선 장치는
블록형 부스바 배선 장치에 있어서
절연 재료로 이루어지며 메인 부스바 및 서브 부스바의 결합을 지지하는 하부 케이스; 및
절연재료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 케이스를 덮는 상부 덮개;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하부 케이스는 상부가 개방된 박스형으로 구성되며, 내면 바닥에 상기 메인 부스바 및 서브 부스바의 결합을 위해 제공되는 너트를 지지하는 복수의 너트 홀더가 격자형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격자형으로 배열된 너트 홀더의 각 열 사이에 메인 부스바들을 공간적으로 격리하기 위한 지지격벽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부 케이스의 각 측벽에는 상기 메인 부스바 및 서브 부스바를 지지하는 요홈부들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블록형 부스바 배선 장치는 메인 부스바와 서브 부스바를 일체화 및 모듈화함으로써 분전반 시공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블록형 부스바 배선 장치는 각 상간의 열 사이를 격리시킴으로써 전기절연기능을 갖추고, 외부와 밀폐시켜 전기안전을 도모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의 동 부스바 배선 상태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블록형 부스바 배선 장치의 외관을 도시하는 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하부케이스의 상세한 구성을 보이는 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하부 케이스 상에 메인 부스바 및 서브 부스바를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다.
도 5는 메인 부스바, 서브 부스바를 결선하는 방법을 도식적으로 도시한다.
도 6은 하부케이스에 메인 부스바 및 서브 부스바를 결선하고 그 위에 상부 덮개(400)를 씌운 상태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고안의 블록형 부스바 배선 장치에 있어서 상부 뚜껑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다.
도 8은 본 고안의 블록형 부스바 배선 장치를 이용한 시공 방법을 도식적으로 도시한다.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블록형 부스바 배선 장치를 이용하여 분전반 배선을 수행한 것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블록형 부스바 배선 장치의 외관을 도시하는 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블록형 부스바 배선 장치(200)는 하부 케이스(300) 및 상부 덮개(400)를 포함한다. 하부 케이스(300) 및 상부 덮개(400)는 절연 및 난연성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하부케이스의 상세한 구성을 보이는 것으로서, 3상 4선식 배선을 위한 예를 도시한다.
도 3을 참조하면, 하부케이스(300)는 상부가 개방된 정방형 박스로 구성되며, 내면 바닥에 복수의 너트 홀더(302)가 설치된다. 너트 홀더(302)는 메인 부스바 및 서브 부스바의 결합을 위해 제공되는 너트를 지지한다.
하부케이스(300)는 좌우방향으로 제1지지격벽(310)에 의해 구분되는 4개의 격실로 구성되어 지는 데, 이는 3상 4선식 배선을 구성하기 위한 4열의 메인 부스바들을 공간적으로 구분시켜 맞추기 위한 것이다. 각 열마다 4개의 너트 홀더(302)를 구비함으로써 메인 부스바와 서브 부스바를 연결함에 있어서 설계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최좌측의 열을 R상의 메인 부스바에 할당하였을 경우 이 열에 배치된 4개의 너트 홀더(302)들 중의 어느 하나에 R상의 서브 부스바를 연결할 수 있고, 이와 병행하여 다른 열들에도 4개의 너트 홀더(302)들이 배치되어 있으므로, S/T/N상의 서브 부스바들을 R상의 서브 부스바에 맞추어 적절한 위치에서 연결할 수 있다.
너트 홀더(302)는 하부케이스(300)의 내면 바닥에 격자형으로 배치되며, 하부케이스(300)의 내면 바닥으로부터 돌출된 원통형 기둥 내부에 육각 너트를 삽입할 수 있는 홈이 형성된 것이다.
각 열마다 4개의 너트 홀더들이 설치되며, 이 역시 3상 4선식 배선을 구성하기 위한 4행의 서브 부스바들에 맞추기 위한 것이다.
너트 홀더(302)들 중의 일부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에서 첫 번째 열과 네 번째 열의 최상측에 있는 너트 홀더들이 다른 너트 홀더들에 비해 길이가 긴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중성선의 인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3상 4선식 배선에 있어서 R/S/T상의 서브 부스바를 인출하는 개수에 비해 중성선(N상)을 인출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이에 대비하여 중성선이 위치되는 열의 너트홀더들 중의 하나를 길게 형성하여 두 개 이상의 서브 부스바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중성선이 첫 번째 열에 위치하는 경우와 네 번째 열에 존재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이에 맞추도록 첫 번째 열과 네 번째 열의 너트 홀더들 중에서 최상위의 너트 홀더의 길이를 길게 형성한 것이다.
하부케이스(300)의 상측 벽면 및 하측 벽면에는 메인 부스바를 재치시키기 위한 복수의 제1요홈부(304)가 설치되고, 좌측 벽면 및 우측 벽면에는 서브 부스바를 재치시키기 위한 복수의 제2요홈부(306)가 설치된다.
메인 부스바를 위한 제1요홈부(304)와 서브 부스바를 재치시키기 위한 제2요홈부(306)에 의해 메인 부스바와 서브 부스바가 종횡으로 안정되게 배치되게 된다.
한편, 제1요홈부(304)의 높이와 너트홀더(302)의 높이에 차이를 둠으로써 메인 부스바가 평탄하게 재치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요홈부(306)의 높이와 너트 홀더(302)의 높이에 차이를 둠으로써 서브 부스바가 평탄하게 재치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케이스(300)의 네 귀퉁이에는 하부케이스(300)를 고정시키는 볼트가 관통되는 관통구(308)가 설치된다.
한편, 하부케이스(300)는 각 상의 메인 부스바를 공간적으로 격리시킴과 더불어 서브 부스바를 지지하기 위한 제1지지격벽(310)이 설치된다.
다른 한편으로 하부케이스(300)의 상측 벽면에는 메인 차단기와의 결합을 위한 제1돌출부(314)가 설치되고, 하측 벽면에는 다른 배선 장치의 하부 케이스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홈부(312)가 설치되며, 그리고 좌측 및 우측 벽면에는 다른 분기 차단기와의 결합을 위한 제2돌출부(318)가 설치된다. 이러한 결합홈부(312) 및 돌출부(314, 318)에 의해 메인 차단기와 본 고안의 블록형 부스바 배선 장치, 두 개 이상의 블록형 부스바 배선 장치, 분기 차단기와 본 고안의 블록형 부스바 배선 장치를 결합함으로써, 본 고안의 블록형 부스바 배선 장치는 하부 케이스 배치만으로도 자동적으로 메인 차단기, 다른 블록형 부스바 배선 장치 그리고 분기 차단기와 중심을 맞추어 정렬되게 할 수 있다.
하부케이스(300)의 좌측 및 우측 벽면에는 상부 덮개(400)과의 결합을 위한 관통구(316)가 설치된다.
하부 케이스(300)의 각 측면의 상단은 상부 뚜껑(400)과의 치합을 위한 계단형의 단차부가 형성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하부 케이스 상에 메인 부스바 및 서브 부스바를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메인 부스바(402)가 상하 방향으로 설치되고, 서브 부스바(404)가 좌우방향으로 설치된 것이 도시된다. 메인 부스바(402)는 요홈부(304) 및 너트 홀더(302)에 의해 지지되며, 서브 부스바(404)는 요홈부(306) 및 지지격벽(310)에 의해 지지된다.
도 5는 메인 부스바, 서브 부스바를 결선하는 방법을 도식적으로 도시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너트홀더(302)에 너트(406)가 끼워지고, 메인 부스바(402) 및 서브 부스바(404)를 볼트(408)에 의해 조여서 결합시키게 된다.
도 6은 하부케이스에 메인 부스바 및 서브 부스바를 결선하고 그 위에 상부 덮개(400)를 씌운 상태를 도시한다.
도 3의 하부 케이스 저면도를 참조하면, 하부케이스(300)의 상측 벽면에는 메인 차단기와의 결합을 위한 제1돌출부(314)가 설치되고, 하측 벽면에는 다른 블록형 배선 장치의 하부 케이스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홈부(312)이 설치되고, 그리고 좌측 및 우측 벽면에는 분기 차단기와의 결합을 위한 제2돌출부(318)가 설치된다. 이러한, 결합홈부(312) 및 돌출부(314. 318)에 의해, 메인 차단기, 다른 블록형 배선 장치 그리고 분기 차단기와의 결합시 케이스 결합만으로도 자동적으로 중심을 맞출 수 있어 차단기 설치시 휘거나 뒤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블록형 부스바 배선 장치에 있어서 상부 뚜껑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부 뚜껑(400)의 내면에는 하부 케이스(300)의 제1지지격벽(310)과 수직이 되는 방향으로 제2지지격벽(410)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제2지지격벽(410)은 하부 케이스(300)의 격자형 너트 홀더(302)의 행들 사이에 형성되며, 서브 부스바들을 공간적으로 격리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부 뚜껑(400)에는 하부 케이스(300)의 관통홀(316)과 맞추어지는 관통홀(416)가 형성된다. 상부 뚜껑(400)을 하부 케이스(300)과 맞춘 상태에서 관통홀(316, 416)을 나사조임함에 의해 상부 뚜껑(400)을 하부 케이스(300)에 고정시킨다. 상부 뚜껑(400)의 각 측면들의 하단은 하부 케이스(300)과의 치합을 위하여 계단형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부 뚜껑(400)에는 메인 부스바와 서브 부스바의 배선 상태를 나타내는 표시판을 부착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각각의 상(R/S/T/N) 표시 및 분기용 차단기 명판을 표시하기 위한 홀더를 취부하기 위한 홀더 취부용 홀(418)을 구성할 수도 있다.
상부 뚜껑(400)의 하부로는 서브 부스바를 눌러주기 위한 돌출부(414)가 형성된다.
도 8은 본 고안의 블록형 부스바 배선 장치를 이용한 시공 방법을 도식적으로 도시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먼저, 본 고안에 따른 블록형 부스바 배선 장치의 제1하부케이스(300-1)를 메인 차단기(102)에 결합시킨다.(도 8의 ① 참조) 메인 차단기(102)는 상측 하부케이스(300-1)의 제1돌출부(314)를 이용하여 결합된다.
하부 케이스 두 개를 연결할 경우, 상측 하부케이스(300-1)의 결합홈부(312)에 하측 하부케이스(300-2)의 제1돌출부(314)를 끼워서 결합시키게 된다.
제1하부케이스(300-1)에 제1 및 제2 분기차단기(104-1, 104-2)를 결합시킨다. (도 8의 ②③참조) 제1 및 제2 분기차단기(104-1, 104-2)는 상측 하부케이스(300-1)의 제2돌출부(318)를 이용하여 결합된다.
제1하부케이스(300-1)의 하부에 제2하부케이스(300-2)를 결합시킨다. (도 8의 ④ 참조)
제2하부케이스(300-2)에 제3 및 제4 분기차단기(104-3, 104-4)를 결합시킨다. (도 8의 ⑥⑥ 참조) 제3 및 제4 분기차단기(104-3, 104-4)는 하측 하부케이스(300-1)의 제2돌출부(318)를 이용하여 결합된다.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블록형 부스바 배선 장치를 이용하여 분전반 배선을 수행한 것을 도시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상부에 메인 차단기(102)가 위치하고 좌우로 분기 차단기(104)들이 위치한다. 메인 차단기(102)와 분기 차단기(104) 사이의 배선을 위하여 메인 부스바 및 서브 부스바가 연결된다.
한편, 메인 부스바와 서브 부스바의 연결 및 지지를 위해 본 고안에 따른 블록형 부스바 배선 장치(200)가 사용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블록형 부스바 배선 장치를 이용할 경우, 다양한 분기 스위치를 간편하고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블록형 부스바 배선 장치는 메인 부스바, 서브 부스바의 교체 및 추가 설치가 간편하고, 난연/절연 케이스로 구성되어 내구성이 뛰어나고 기계적 강도가 강하며, 전기로 인한 사고 위험이 방지되는 효과를 갖는다.
다른 한편으로, 본 고안에 따른 블록형 부스바 배선 장치는 분전반 도어를 개방하더라도 메인 부스바와 서브 부스바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어서 충분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본 고안에 따른 블록형 부스바 배선 장치는 블록형으로 규격화함으로써 분전반 설계시 표준화를 유도할 수 있고, 모든 동 부스바를 절연 케이브 내부에 삽입함으로써 안전성을 강화하며, 하부 케이스의 너트홀더에 끼워지는 너트를 이용함으로써 메인 부스바와 서브 부스바의 체결을 간단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너트 체결 방식으로 조임 강도를 높일 수 있고, 볼트가 쉽게 풀림 현상이 없으므로 견고하게 조립이 일어지며, 전기적 접촉 저항을 줄임으로 도전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종래의 분전반 시공에 있어서, 분기 스위치를 사전에 배치하고 배치 위치에 맞추어 취부 위치를 마킹하고, 홀(Hole) 및 탭(Tap) 기계 가공을 필요로 하였으나 본 고안에 따른 블록형 부스바 배선 장치를 이용할 경우 이러한 일련의 공정을 생략하고 메인 차단기와 분기 차단기를 바로 배치할 수 있어서 분전반 시공을 간단하게 할 수 있으며, 차단기 고장시 보수 점검 및 교체가 용이한 효과를 갖는다.
102...메인 차단기 104...분기 차단기
200...블록형 부스바 배선 장치.
300...하부 케이스 400...상부 덮개
302...너트 홀더 304, 306...요홈부
310...제1지지격벽 312...결합홈부
314, 318...돌출부 418...홀더 취부용 홀

Claims (9)

  1. 블록형 부스바 배선 장치에 있어서
    절연 재료로 이루어지며 메인 부스바 및 서브 부스바의 결합을 지지하는 하부 케이스; 및
    상기 하부 케이스를 덮는 상부 덮개; 를 포함하는 블록형 부스바 배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케이스는 상부가 개방된 박스형으로 구성되며, 내면 바닥에 상기 메인 부스바 및 서브 부스바의 결합을 위해 제공되는 너트를 지지하는 복수의 너트 홀더가 격자형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형 부스바 배선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격자형으로 배열된 너트 홀더의 각 열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메인 부스바들을 공간적으로 격리하기 위한 제1지지격벽을 더 구비함으로써 절연 성능의 향상 및 안전성을 확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형 부스바 배선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덮개에는 상기 하부 케이스에 격자형으로 배열된 너트홀더의 각 행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서브 부스바들을 공간적으로 격리하기 위한 제2지지격벽이 상기 제1지지격벽과 직각 방향으로 설치함으로써 절연 성능의 향상 및 안전성을 확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형 부스바 배선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케이스의 각 측벽에는 상기 메인 부스바 및 서브 부스바를 지지하는 요홈부들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형 부스바 배선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덮개에는 상기 메인 부스바와 서브 부스바의 배선 상태를 나타내는 명판이 취부되는 홀더를 지지하기 위한 홀더 취부용 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형 부스바 배선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측 벽면에는 상기 메인 차단기와의 결합을 위한 제1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형 부스바 배선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케이스의 좌측 또는 우측 벽면에는 분기 차단기와의 결합을 위한 제2돌출부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형 부스바 배선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케이스의 하측 벽면에는 다른 하부 케이스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홈부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형 부스바 배선 장치.
KR2020120001781U 2012-03-07 2012-03-07 블록형 부스바 배선 장치 KR2013000542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1781U KR20130005426U (ko) 2012-03-07 2012-03-07 블록형 부스바 배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1781U KR20130005426U (ko) 2012-03-07 2012-03-07 블록형 부스바 배선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426U true KR20130005426U (ko) 2013-09-17

Family

ID=52440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1781U KR20130005426U (ko) 2012-03-07 2012-03-07 블록형 부스바 배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5426U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7339A (ko) * 2014-05-29 2015-12-09 김상진 배전반
KR20160084916A (ko) * 2015-01-06 2016-07-15 (주) 솔루윈스 분배전반에 적용하는 디지털 전력계측모듈을 포함한 노이즈 저감 전력분배장치
KR102094749B1 (ko) * 2019-03-19 2020-03-30 주식회사 에이치케이금속 전원분배장치
KR20200099407A (ko) * 2019-02-14 2020-08-24 서연희 콘센트형 분전반 유니트, 이를 포함하는 콘센트형 분전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콘센트형 분전반
EP3896807A1 (en) * 2020-04-15 2021-10-20 Eaton Intelligent Power Limited Switchgear with an improved arc barrier
KR102577302B1 (ko) * 2023-02-03 2023-09-08 홍연서 분전반용 단락 방지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분전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7339A (ko) * 2014-05-29 2015-12-09 김상진 배전반
KR20160084916A (ko) * 2015-01-06 2016-07-15 (주) 솔루윈스 분배전반에 적용하는 디지털 전력계측모듈을 포함한 노이즈 저감 전력분배장치
KR20200099407A (ko) * 2019-02-14 2020-08-24 서연희 콘센트형 분전반 유니트, 이를 포함하는 콘센트형 분전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콘센트형 분전반
KR102094749B1 (ko) * 2019-03-19 2020-03-30 주식회사 에이치케이금속 전원분배장치
EP3896807A1 (en) * 2020-04-15 2021-10-20 Eaton Intelligent Power Limited Switchgear with an improved arc barrier
CN113540993A (zh) * 2020-04-15 2021-10-22 伊顿智能动力有限公司 带有改进的电弧屏障的开关设备
KR102577302B1 (ko) * 2023-02-03 2023-09-08 홍연서 분전반용 단락 방지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분전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05739B2 (en) High density power/lighting panelboard
KR20130005426U (ko) 블록형 부스바 배선 장치
KR100566662B1 (ko) 조립식 분배전반
KR101297487B1 (ko) 멀티 모듈러를 구비하는 분전반
CN102844947A (zh) 具有并联馈电线分布的配电板
KR100984143B1 (ko) 다중도체 접속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분전반
KR100805392B1 (ko) 분전반용 부스바 고정홀더
US9780538B2 (en) Voltage power circuit breaker dual compartment module
EP3163695B1 (en) Fixed vertical distribution bus bar
KR100712245B1 (ko) 분전반
KR101406934B1 (ko) 적층 구조식 모듈형 전원 연결을 위한 배전반용 모선부스바와 자선부스바의 연결장치
US9166383B2 (en) Load center and switchgear mounting assembly therefor
KR200395579Y1 (ko) 저압 배전반용 조립식 부스바커넥터
JP4544586B2 (ja) 分電盤の幹線バー接続構造
JP4958282B2 (ja) ブレーカユニット
CN214100160U (zh) 三相铜排结构、控制柜及水冷螺杆冷水机
KR101448160B1 (ko) 적층 구조식 모듈형 전원 연결장치
KR100709981B1 (ko) 수배전반 배선용 차단기
KR101120596B1 (ko) 조립식 표준 분전반
KR101302576B1 (ko) 스마트 분전반
KR101885709B1 (ko) 전원 분배장치
KR101806242B1 (ko) 배전반
JP2007288869A (ja) 金属閉鎖形スイッチギヤ
EP1640731A2 (en) Support housing for meters in a meter cabinet
JP5204694B2 (ja) スイッチギ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