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3943B1 - 와이어 연결타입의 수직형 멀티 전원 분배 장치 - Google Patents

와이어 연결타입의 수직형 멀티 전원 분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3943B1
KR101163943B1 KR1020110071231A KR20110071231A KR101163943B1 KR 101163943 B1 KR101163943 B1 KR 101163943B1 KR 1020110071231 A KR1020110071231 A KR 1020110071231A KR 20110071231 A KR20110071231 A KR 20110071231A KR 101163943 B1 KR101163943 B1 KR 1011639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ribution
input terminal
terminal
wire
distribu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1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상근
안혜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광전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광전장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광전장
Priority to KR10201100712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39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39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39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2Intermediate parts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in parallel, e.g. split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6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support for line-connecting terminals within the box

Landscapes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 전원 분배 장치에 관한 것으로, 4개의 분배단 장착홈(12)과 입력단자(20)가 삽입, 장착되는 입력단 장착홈(11)이 형성된 베이스판(10)과; 상기 베이스판(10)의 중간에 형성된 상기 입력단 장착홈(11)에 세로로 입설되는 하나의 입력단자(20)와; 상기 입력단자(20) 사방에 형성된 상기 분배단 장착홈(12)에 한개씩 세로로 입설되는 제1, 제2, 제3, 제4 분배단자(31, 32, 33, 34)와; 상기 베이스판(10)의 후면부에 위치되어 상기 입력단자(20)와 제1, 제2, 제3, 제4 분배단자(31, 32, 33, 34)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와이어(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연결타입의 수직형 멀티 전원 분배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와이어 연결타입의 수직형 멀티 전원 분배 장치 { wire type multi power supply distribution device }
본 발명은 와이어 연결타입의 수직형 멀티 전원 분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주(電柱)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다수개의 부하에 공급하기 위해서는 상기 공급되는 전원을 각 부하별로 분배하여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전원의 분배를 위해 종래에는 모선에 직접 전선을 부착하여 전원을 끌어오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예를들어 전원은 3상4선 즉 3개의 상(像)과 4개의 선(線)으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다. 종래에는 모선(M)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4개의 선(M1,M2,M3,M4)을 노출시킨 후 4개의 선에 결속되는 분배선을 이용하여 부하 즉, 예를 들어 전기 기기 또는 상기 전기 기기로 향하는 중간에 설치되는 차단기(C1, C2, C3)를 경유하여 전원을 분배하게 된다. 다시 말해, 상기 부하가 3상의 전원을 필요로 하는 모터인 경우 4개의 분배선을 각각 상기 모선에서 인출되는 4개의 선에 각각 결속하게 된다. 또한, 다른 부하 또는 상기 부하측으로 연결되기 위한 차단기(C2)가 다른 선 예를 들어 M1과 M2선만을 결속해서 사용하는 경우 등 여러 전원 소요 방식에 따라 결속해서 사용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분배방식에 의한 경우 상기 인출선(M1,M2,M3,M4)에서 각 부하 즉, 전기기기 또는 차단기에 분배되게 되어 상기 인출선에 결속되는 분배선의 양이 많게 되어 접촉 불량이 발생할 우려가 높게 되고 이에 의해 화재의 위험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인출선에 여러 분배선이 결속되어 있어서 만일 어떤 전기기기의 사용 전원이 바뀌는 경우 그 전기기기에 결속되는 분배선을 찾아서 다시 변경해야 해서 작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원이 인가되는 입력단자와 입력단자로부터 전원이 분배되는 분배단자를 효과적으로 배열하여 분배장치의 생산성, 작업성, 보수성이 우수한 멀티 전원분배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와이어 연결타입의 수직형 멀티 전원 분배 장치는,
4개의 분배단 장착홈(12)과 입력단자(20)가 삽입, 장착되는 입력단 장착홈(11)이 형성된 베이스판(10)과;
상기 베이스판(10)의 중간에 형성된 상기 입력단 장착홈(11)에 세로로 입설되는 하나의 입력단자(20)와;
상기 입력단자(20) 사방에 형성된 상기 분배단 장착홈(12)에 한개씩 세로로 입설되는 제1, 제2, 제3, 제4 분배단자(31, 32, 33, 34)와;
상기 베이스판(10)의 후면부에 위치되어 상기 입력단자(20)와 제1, 제2, 제3, 제4 분배단자(31, 32, 33, 34)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와이어(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경우 른 전원이 인가되는 입력단자와 입력단자로부터 전원이 분배되는 분배단자를 효과적으로 배열하여 분배장치의 생산성, 작업성, 보수성이 우수한 멀티 와이어 연결타입의 수직형 멀티 전원 분배 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연결타입의 수직형 멀티 전원 분배 장치 정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연결타입의 수직형 멀티 전원 분배 장치 배면 사시도.
도 3,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연결타입의 수직형 멀티 전원 분배 장치 연결도.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연결타입의 수직형 멀티 전원 분배 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연결타입의 수직형 멀티 전원 분배 장치 정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연결타입의 수직형 멀티 전원 분배 장치 배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연결타입의 수직형 멀티 전원 분배 장치 연결도이다.
도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연결타입의 수직형 멀티 전원 분배 장치는 베이스판(10)과 입력단자(20)와 제1, 제2, 제3, 제4 분배단자(31, 32, 33, 34)와 와이어(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연결타입의 수직형 멀티 전원 분배 장치는, 멀티 전원 분배 장치에 있어서, 베이스판(10)은 4개의 분배단 장착홈(12)과 입력단자(20)가 삽입, 장착되는 입력단 장착홈(11)이 형성된다.
도 1,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단자(20)는 베이스판(10)의 중간에 형성된 상기 입력단 장착홈(11)에 세로로 입설되며 하나로 구성된다. 제1, 제2, 제3, 제4 분배단자(31, 32, 33, 34)는 입력단자(20) 사방에 형성된 상기 분배단 장착홈(12)에 한개씩 세로로 입설된다. 와이어(40)는 베이스판(10)의 후면부에 위치되어 상기 입력단자(20)와 제1, 제2, 제3, 제4 분배단자(31, 32, 33, 34)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도 1, 도 2,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연결타입의 수직형 멀티 전원 분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입력단자(20)와 상기 분배단자(31, 32, 33, 34)는 각각 8개의 동대(C)로 구성되고, 상기 입력단자(20)의 동대는 상기 와이어(40)를 통해 상기 제1 분배단자(31)의 동대와 한개씩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분배단자(31)의 8개의 동대는 상기 제2 분배단자(32)의 8개의 동대와 각각 한개씩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분배단자(32)의 8개의 동대는 상기 제3 분배단자(33)의 8개의 동대와 각각 한개씩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3 분배단자(33)의 8개의 동대는 상기 제4 분배단자(34)의 8개의 동대와 각각 한개씩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도 3,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연결타입의 수직형 멀티 전원 분배 장치에 있어서, 베이스판(10)의 후방으로 4개의 지지다리(50)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지지다리(50)는 케이스(미도시)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배장치를 이렇게 구성하는 작업성 보수성이 우수하고 생산성이 우수한 전원 분배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됐지만,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것으로 본 발명과 균등 범위에 속하는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도면부호는 단순히 발명의 이해를 보조하기 위한 것으로 권리범위의 해석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함을 밝히며 기재된 도면부호에 의해 권리범위가 좁게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 : 베이스판
11 : 입력단 장착홈
12 : 분배단 장착홈
20 : 입력단자
31, 32, 33, 34 : 제1, 제2, 제3, 제4 분배단자
40 : 와이어
50 : 지지다리
100 : 케이스
C : 동대

Claims (3)

  1. 멀티 전원 분배 장치에 있어서,
    4개의 분배단 장착홈(12)과 입력단자(20)가 삽입, 장착되는 입력단 장착홈(11)이 형성된 베이스판(10)과;
    상기 베이스판(10)의 중간에 형성된 상기 입력단 장착홈(11)에 세로로 입설되는 하나의 입력단자(20)와;
    상기 입력단자(20) 사방에 형성된 상기 분배단 장착홈(12)에 한개씩 세로로 입설되는 제1, 제2, 제3, 제4 분배단자(31, 32, 33, 34)와;
    상기 베이스판(10)의 후면부에 위치되어 상기 입력단자(20)와 제1, 제2, 제3, 제4 분배단자(31, 32, 33, 34)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와이어(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연결타입의 수직형 멀티 전원 분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단자(20)와 상기 분배단자(31, 32, 33, 34)는 각각 8개의 동대(C)로 구성되고,
    상기 입력단자(20)의 동대는 상기 와이어(40)를 통해 상기 제1 분배단자(31)의 동대와 한개씩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분배단자(31)의 8개의 동대는 상기 제2 분배단자(32)의 8개의 동대와 각각 한개씩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분배단자(32)의 8개의 동대는 상기 제3 분배단자(33)의 8개의 동대와 각각 한개씩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3 분배단자(33)의 8개의 동대는 상기 제4 분배단자(34)의 8개의 동대와 각각 한개씩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연결타입의 수직형 멀티 전원 분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10)의 후방으로 4개의 지지다리(50)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지지다리(50)는 케이스(미도시)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연결타입의 수직형 멀티 전원 분배 장치.












KR1020110071231A 2011-07-19 2011-07-19 와이어 연결타입의 수직형 멀티 전원 분배 장치 KR1011639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1231A KR101163943B1 (ko) 2011-07-19 2011-07-19 와이어 연결타입의 수직형 멀티 전원 분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1231A KR101163943B1 (ko) 2011-07-19 2011-07-19 와이어 연결타입의 수직형 멀티 전원 분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3943B1 true KR101163943B1 (ko) 2012-07-06

Family

ID=46716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1231A KR101163943B1 (ko) 2011-07-19 2011-07-19 와이어 연결타입의 수직형 멀티 전원 분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394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25417A (ja) 1998-02-06 1999-08-17 Sumitomo Wiring Syst Ltd 分岐接続箱及びその分別回収方法
JP2000040565A (ja) 1998-07-23 2000-02-08 Yazaki Corp 電気接続箱
JP2009290976A (ja) 2008-05-28 2009-12-10 Autonetworks Technologies Ltd 電源分配ボックス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25417A (ja) 1998-02-06 1999-08-17 Sumitomo Wiring Syst Ltd 分岐接続箱及びその分別回収方法
JP2000040565A (ja) 1998-07-23 2000-02-08 Yazaki Corp 電気接続箱
JP2009290976A (ja) 2008-05-28 2009-12-10 Autonetworks Technologies Ltd 電源分配ボックス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6670B1 (ko) 레일식 전원 분배장치
US9615470B2 (en) Wiring combiner box
JP2012182963A (ja) 配電盤のバーホルダ
JP6173579B2 (ja) 母線構造およびこれを用いた配電盤
JP2009219292A (ja) 一次送り端子台
KR101163943B1 (ko) 와이어 연결타입의 수직형 멀티 전원 분배 장치
JP2015076944A (ja) 盤用機器の配線構造
KR101201054B1 (ko) 피씨비 타입의 수직형 멀티 전원 분배 장치
JP6433336B2 (ja) 分電盤
JP2007318875A (ja) 住宅用分電盤
KR101201094B1 (ko) 구조 개선된 멀티 전원 분배 장치용 케이스
CN201927895U (zh) 配电开关直插型母线结构
JP6704648B2 (ja) 分電盤
JP6178996B2 (ja) プラグイン式分電盤に用いられるプラグインユニット
KR200302957Y1 (ko) 분전반
JP6409181B2 (ja) 分電盤
CN109950795A (zh) 尤其是电气面板或电气开关柜中的电流分配装置
JP2019103317A (ja) アース端子ユニット
KR101256159B1 (ko) 배전반
CN211556199U (zh) 一种插框pcb背板及多方式连接电源结构
JP2012221868A (ja) 回路遮断器及び回路遮断器用アダプタ
JP2018018685A (ja) プラグイン端子台及びプラグイン端子台を備えた分電盤
JPH0720816Y2 (ja) 母線直交形差込式しゃ断器
CN204905666U (zh) 条形可延伸机柜级配电单元
JP2007295667A (ja) 分電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1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