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1196B1 - 배전반용 부스바 접속장치 - Google Patents
배전반용 부스바 접속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41196B1 KR101541196B1 KR1020090104086A KR20090104086A KR101541196B1 KR 101541196 B1 KR101541196 B1 KR 101541196B1 KR 1020090104086 A KR1020090104086 A KR 1020090104086A KR 20090104086 A KR20090104086 A KR 20090104086A KR 101541196 B1 KR101541196 B1 KR 10154119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lip
- connection
- hook
- connection clip
- coupl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별도의 공구 및 고정용 부품을 사용하지 않고도 이웃하는 부스바간에 통전 연결이 신속 간편하게 이루어짐으로써, 통전 연결에 따른 작업성 향상과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클립단자와 부스바의 결합시에 텐션을 이용하여 접속력 강화와 접촉불량이 방지되도록 함으로써, 원활한 전류 흐름과 안정적인 통전 품질을 얻을 수 있도록 한 배전반용 부스바 접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전반, 접속, 부스바, 클립, 텐션, 커버
Description
본 발명은 배전반용 부스바 접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별도의 공구 및 고정용 부품을 사용하지 않고도 이웃하는 부스바간에 통전 연결이 신속 간편하게 이루어짐으로써, 통전 연결에 따른 작업성 향상과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클립단자와 부스바의 결합시에 텐션을 이용하여 접속력 강화와 접촉불량이 방지되도록 함으로써, 원활한 전류 흐름과 안정적인 통전 품질을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 1에서 보듯이 산업 현장이나 발전소, 변전소 또는 전기 시설이 되어 있는 건물 같은 곳에 안전장치, 계기, 표시등, 계전기, 전력 공급 개폐기 따위를 배치하여 전력 공급에 대한 개폐와 감시를 목적으로 배전반함체(A)내에 배전반(10)이 갖추어져 있다. 이때,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복수의 배전반(10)이 이웃하는 상태로 배치될 경우, 이웃하는 배전반(10) 간에는 통상 배전반(10)으로부터 인출되어진 부스바(12)를 서로 연결하여 전력을 공유하도록 하고 있다.
위와 같이 배전반(10)의 부스바(12)간에 통전 연결을 위해서는 막대 형태의 연결단자대(14)가 사용되며, 연결단자대(14)가 부스바(12)에 고정될 수 있도록 볼트와 너트로 이루어진 체결부재(16)를 체결하고 있다.
그런데, 부스바(12)와 연결단자대(14)간에 체결부재(16)로 볼팅할 경우, 볼트와 너트의 체결에 따른 번거로움이 있고, 그와 함께 배전반함체(A)의 협소한 공간 안에서 볼팅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공구의 자유로운 사용에 제약이 있어 작업성이 좋지 못하고, 그로 인해 작업 시간도 많이 소요되고 있다.
또한, 위와 같이 연결단자대(14)를 부스바(12)에 고정하게 될 때, 체결부재(16)의 조임 체결력이 부족하게 되면 부스바(12)와 연결단자대(14)간에 들뜸이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들뜸으로 인해 접촉 불량이 발생하여 전류의 흐름이 불안정하게 된다.
이에 따라 들뜸으로 인해 발생하는 접촉 불량을 방지하기 위하여 체결부재(16)의 체결 조임력을 강하게 하면 부스바(12)와 연결단자대(14)간에 들뜸 없이 확실하게 접촉될 수 있으나, 부스바(12)와 연결단자대(14)의 접촉 부위가 조임 체결력에 의해 찌그러지는 상태로 변형되면서 접촉 불량이 발생함으로써, 전류의 흐름이 불안정하게 된다.
위의 원인으로 인해 배전반(10)으로 공급되는 전류의 흐름이 불안정하게 될 경우, 배전반(10)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 장비가 손상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별도의 공구 및 고정용 부품을 사용하지 않고도 이웃하는 부스바간에 통전 연결이 신속 간편하게 이루어짐으로써, 통전 연결에 따른 작업성 향상과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아울러 클립단자와 부스바의 결합시에 텐션을 이용하여 접속력 강화와 접촉불량이 방지되도록 함으로써, 원활한 전류 흐름과 안정적인 통전 품질을 얻을 수 있도록 한 배전반용 부스바 접속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양단 접점부간 간극이 형성되도록 한 쌍의 클립단자를 양편에 배치하여 한조가 되는 접속클립과; 상기 접속클립의 클립단자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접속클립의 중앙부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결합되는 고정틀과; 상기 접속클립의 길이방향으로 배치 연결되어 접속클립이 삽입되는 상태로 수용 결합될 때 접속클립의 일단 접점부와 접속클립의 측면 둘레를 보호할 수 있는 제1 및 제2 보호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보호커버의 외관을 형성하는 제1 몸체에는 일측의 부스바와 접속클립의 삽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양편에 개구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몸체의 외면에는 테두리부와 결합돌기가 간격을 가지고 각각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보호커버의 외관을 형성하는 제2 몸체는 중공형으로 이루어지며 제1 몸체의 결합돌기가 결합될 수 있는 결합공이 제2 몸체에 형성되어 있는 배전반용 부스바 접속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클립단자의 사이에는 고정틀을 관통하는 상태로 결합되어 접속클립의 중앙에 배치되는 고정리벳과; 상기 고정리벳을 일부 감싸도록 클립단자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요홈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배전반용 부스바 접속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접점부와 대응하는 클립단자의 양단 외측 면에 형성되는 지지돌기와; 상기 지지돌기에 양단의 텐션날개가 각각 지지 고정되는 상태로 상기 고정틀의 내측에 클립단자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텐션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배전반용 부스바 접속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제1 몸체에는 단부에 걸림후크를 형성한 걸림날개가 양측 대응면에 연결되어 제1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있고; 상기 걸림날개와 대응하게 되는 상기 제2 보호커버의 제2 몸체의 외면에는 걸림후크가 결합될 수 있도록 걸림공이 구비된 걸림턱부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후크가 걸림턱부에 결합될 때 벽부의 결합구멍 내측단이 걸림후크와 걸림턱부 사이에 끼워질 수 있도록 걸림후크와 걸림턱부간 유격이 형성되는 배전반용 부스바 접속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제2 몸체의 내면에는 고정틀의 외곽 선단이 걸림되도록 하여 접속클립이 수용 결합되는 반대 방향으로 빠져나오지 않도록 걸림편이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배전반용 부스바 접속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일단 접점부과 대응하는 접속클립의 타단 접점부를 보호할 수 있도록 제2 보호커버의 제2 몸체로부터 연장 상태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 보호커버의 외관을 형성하는 제3 몸체와; 상기 제3 몸체의 양편에 각각 형성되어 타측의 부스바와 접속클립의 삽입될 수 있는 개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배전반용 부스바 접속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제2 몸체와 제3 몸체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제3 몸체에는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결합돌기가 결합될 수 있도록 대응하는 제2 몸체에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는 배전반용 부스바 접속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클립단자의 사이에는 고정틀을 관통하는 상태로 결합되어 접속클립의 중앙에 배치되는 고정리벳과; 상기 고정리벳을 일부 감싸도록 클립단자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요홈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배전반용 부스바 접속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접점부와 대응하는 클립단자의 양단 외측 면에 형성되는 지지돌기와; 상기 지지돌기에 양단의 텐션날개가 각각 지지 고정되는 상태로 상기 고정틀의 내측에 클립단자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텐션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배전반용 부스바 접속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제1 몸체에는 단부에 걸림후크를 형성한 걸림날개가 양측 대응면에 연결되어 제1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있고; 상기 걸림날개와 대응하게 되는 상기 제2 보호커버의 제2 몸체의 외면에는 걸림후크가 결합될 수 있도록 걸림공이 구비된 걸림턱부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후크가 걸림턱부에 결합될 때 벽부의 결합구멍 내측단이 걸림후크와 걸림턱부 사이에 끼워질 수 있도록 걸림후크와 걸림턱부간 유격이 형성되는 배전반용 부스바 접속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제2 몸체의 내면에는 고정틀의 외곽 선단이 걸림되도록 하여 접속클립이 수용 결합되는 반대 방향으로 빠져나오지 않도록 걸림편이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배전반용 부스바 접속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일단 접점부과 대응하는 접속클립의 타단 접점부를 보호할 수 있도록 제2 보호커버의 제2 몸체로부터 연장 상태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 보호커버의 외관을 형성하는 제3 몸체와; 상기 제3 몸체의 양편에 각각 형성되어 타측의 부스바와 접속클립의 삽입될 수 있는 개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배전반용 부스바 접속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제2 몸체와 제3 몸체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제3 몸체에는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결합돌기가 결합될 수 있도록 대응하는 제2 몸체에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는 배전반용 부스바 접속장치가 제공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위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용 부스바 접속장치에 의하여 협소한 배전반함체 내에서 별도의 공구 또는 고정용 부품의 사용 없이도 이웃하는 부스바 간에 통전 연결이 신속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와, 그에 따른 작업성의 향상과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를 모두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용 부스바 접속장치를 사용하게 되면, 클립단자와 부스바의 결합시 텐션부재에 의해 접속력 보강과 클립단자의 위치 변화가 억제됨으로써, 부스바와 접속클립 간에 접속 및 접촉 불량이 방지되고, 그에 따라 원활한 전류 흐름과 안정적인 통전 품질을 얻을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배전반용 부스바 접속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1]
도 2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배전반용 부스바 접속장치를 나타낸 분리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서는 도 2를 나타낸 부분 결합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서 보듯이 실시예 1에 따른 배전반용 부스바 접속장치(2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부스바 접속장치(20)는 한 쌍의 클립단자(22a, 22b)가 한조를 이루게 되는 접속클립(24)과, 상기 접속클립(24)에 결합되어 클립단자(22a, 22b)의 이탈됨을 방지하는 고정틀(26)과, 상기 클립단자(22a, 22b)의 양단을 지지하는 상태로 고정틀(26)의 내측에 배치되며 텐션을 제공하는 텐션부재(28)와, 상기 접속클립(24)이 수용되는 상태로 결합하여 접속클립(24)을 보호하고 그와 더불어 배전반함체(A)의 벽부(B)에 걸림 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제1 및 제2 보호커버(30, 32)로 구성된다. (도 4참조)
구체적으로, 상기 접속클립(24)은 한조를 이루는 한 쌍의 클립단자(22a, 22b)가 좌우측에 대칭되는 상태로 각각 배치되며, 이러한 클립단자(22a, 22b)가 좌우측에 배치될 때 한조를 이룬 클립단자(22a, 22b)의 양단 접점부(34)간에는 간극(L)이 각각 형성되도록 배치된다. 아울러 상기 접점부(34)와 대응하는 클립단자(22a, 22b)의 외측 면에는 지지돌기(36)가 개별적으로 돌출 되어 있다.
참고로 도면에 도시된 접속클립(22a, 22b)의 배열 개수는 일예에 불과할 뿐이며, 부스바(12)의 전력 공급 암페어에 맞추어 적절히 증감될 수 있음은 자명한 사항이다.
또한, 상기 클립단자(22a)와 클립단자(22b) 사이 즉, 접속클립(24)의 중앙에는 고정리벳(38)이 배치된다. 이때 고정리벳(38)의 외주면이 일부 수용되는 상태 로 결합될 수 있도록 클립단자(22a, 22b)의 내측 면에는 요홈부(40)가 각각 파져 있다. 이러한 고정리벳(38)을 중심으로 하여 접속클립(24)의 양단 간극이 벌어지거나 오므려는 방향으로 미세한 회동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고정틀(26)은, 복수로 배열된 접속클립(24)의 중앙 둘레를 따라 감싸는 형태로 결합되며, 중앙에 고정리벳(38)이 관통 결합될 수 있는 리벳공(4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텐션부재(28)는, 접속클립(24)을 감싸는 고정틀(26)의 양측 내면 즉, 클립단자(22a, 22b)의 양 측면에 각각 위치하여 클립단자(22a, 22b)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며, 각 단부에 낱개로 절개된 텐션날개(44)가 해당하는 클립단자(22a, 22b)의 지지돌기(36)에 각각 지지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텐션부재(28)는 클립단자(22a, 22b)에 대해 확실하고도 견고한 접속력을 제공하기 위한 텐션 기능을 발휘하며, 이와 같이 제공되는 텐션 기능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1 보호커버(30)의 외관을 형성하는 제1 몸체(46)에는 일측의 부스바(12) 삽입과 접속클립(24)의 수용을 위한 삽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양편에 개구(48, 50)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특히 상기 개구(48)는 접속클립(24)이 배치되는 결합 상태를 기준으로 할 때 직교하는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 몸체(46)의 내부에는 수용되는 접속클립의 결합 위치를 잡아 주기 위하여 한쌍이 한조를 이루게 되는 고정가이드부(도시되지 않았음)가 양측 대응 내면에 접속클립의 두께만큼 이격 배치되는 상태로 구비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접속클립(24)이 제1 보호커버(30)의 제1 몸체(46)의 내부로 수용 결합될 때 한조를 이룬 한쌍의 고정가이드부는 최외곽에 배치되는 클립단자(22a, 22b)의 해당 표면에 각각 대응 접촉하게 되는 상태가 됨으로써 접속클립(20)을 잡아주게 된다.
또한, 상기 부스바(12)가 삽입되는 개구(48)와 대응하는 제1 몸체(46)의 단부에는 테두리부(54)와 결합돌기(56)가 간격을 가지고 대응하는 양측 외면에 각각 돌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테두리부(54)와 결합돌기(56)가 구비되는 양측 외면을 제외한 다른 양측 대응면에는 일단에 걸림후크(58)를 형성한 걸림날개(60)가 제1 몸체(46)와 일체를 이루며 길이방향으로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결합돌기(56)와 걸림날개(60)는 후술하는 제2 보호커버(32)와 분리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는 기능을 발휘한다.
상기 제2 보호커버(32)의 외관을 형성하는 제2 몸체(62)는, 중공구조로 이루어지며 앞서 언급된 결합돌기(56)와 걸림날개(60)가 각각 대응 결합될 수 있도록 대응하는 해당 면에 결합돌기(56)가 결합되는 결합공(64)과, 걸림날개(60)의 걸림후크(58)가 결합될 수 있도록 걸림공(66)이 형성된 걸림턱부(68)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걸림후크(58)와 걸림턱부(68) 간에는 걸림후크(58)가 걸림 결합된 상태에서 걸림턱부(68)와 유격이 형성되는 상태로 걸림 결합된다. 이러한 유격은 후술하는 벽부(b)의 결합구멍 내측단(C)이 끼워질 수 있도록 내측단(C)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된다. (도 4참조)
그와 함께 상기 제2 몸체(62)의 내측면에는 고정틀(26)의 외곽 선단이 걸리 도록 하여 접속클립(24)이 쉽게 빠져나오지 않도록 하기 위한 걸림편(70)이 형성되어 있다.
참고로, 상기 접속클립(24)의 수용 결합을 위하여 고정틀(26)이 제2 몸체(62)의 내부로 삽입될 때, 고정틀(26)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걸림편(70)을 미는 압력이 가해지게 된다. 그에 따라 미세하지만 걸림편(70)이 안쪽으로 휘어지는 탄성변형을 일으면서 고정틀(26)의 완전한 삽입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고정틀(26)의 완전한 삽입이 완료되면, 휘어져 있던 걸림편(70)이 탄성 복귀하게 되고, 그로 인해 고정틀(26)이 삽입된 반대 방향으로는 미세하지만 걸림이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접속클립(24)을 잡아 빼려고 하는 힘이 걸림편(70)에 가해지지 않는 이상 반대 그 자체로는 쉽게 빠져나오지 못하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 보호커버(30, 32)는 상기 접속클립(24)의 길이방향으로 연결되며, 제1 및 제2 보호커버(30, 32)의 내부에 접속클립(24)이 수용되는 상태로 결합됨으로써, 접속클립(24)의 일단 접점부(34)와 접속클립(24)의 측면 둘레를 보호할 수 있는 기능을 발휘하게 된다.
나아가 위에서는 제1 및 제2 보호커버(30, 32)가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설명되어 있으나, 이는 일예일 뿐 이로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제1 보호커버(30)의 제1 몸체(46)와 제2 보호커버(32)의 제2 몸체(62)가 하나로 연결되어도 무방하며, 이러한 구조도 본 발명에 포함될 것이다.
도 4에서는 실시예1에 따른 배전반용 부스바 접속장치를 이용하여 이웃하는 배전반의 부스바 간에 전기적 통전 연결 모습을 나타낸 전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웃하는 배전반(10)의 부스바(12)간에 연결 작업을 수행하게 될 때, 종래와 같이 연결단자대(14)와 체결부재(16)가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이웃하는 배전반(10) 간에 구획을 위한 배전반함체(A)의 벽부(B)에 본 발명에 따른 접속장치(20)가 결합된다.
위와 같이 접속장치(20)가 벽부(A)에 결합되기 위해서는 결합구멍을 벽부(A)에 사전 형성하고, 그 결합구멍 내로 밀어 넣게 된다.
이와 같이 접속장치(20)를 밀어 넣게 되면, 결합구멍 내측단(C)이 접속장치(20)의 외면을 타고 지나가다가 테두리부(54)와 결합돌기(56) 사이에 위치하는 상태로 결합되며 (도 3참조), 이와 동시에 걸림후크(58)와 걸림턱부(68)의 사이에도 결합구멍 내측단(C)이 위치하는 상태로 결합된다. 결과적으로, 사각모양을 하는 결합구멍 내측단(C)은 각각 접속장치(20)의 둘레에 결합되는 상태가 되어 견고함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접속장치(20)를 이루는 제1 및 제2 보호거버(30, 32)는 탄성변형이 가능한 합성수지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미세하지만 탄성변형을 일으키게 되므로 어려움이 없이 접속장치(20)를 벽부(B)의 결합구멍으로 신속 간편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아울러 해당하는 결합구멍 내측단(C)이 테두리부(54)와 결합돌기(56) 사이 및 걸림후크(58)와 걸림턱부(68) 사이에 위치하게 되면, 테두리부(54), 결합돌기(56), 걸림턱부(68)의 탄성 복원으로 인해 압력을 가하지 않는 이상 그자체로는 쉽게 빠져나오지 못하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용 부스바 접속장치(20)는 별도의 공구사용이나 고정용 부속부품의 사용없이 벽부(B)에 쉽게 결합 고정시킬 수 있는 편의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위와 같이 배전반(10)의 벽부(B)에 접속장치(20)가 결합되면, 이웃하는 배전반(10)의 부스바(12)를 각각 대응하는 개구(48, 50)방향으로 대응 삽입시켜 해당 접속클립(24)의 접점부(34)와 각각 접속시키고, 이로써 이웃하는 배전반(10)간 통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부스바(12)가 접속클립(24)에 접속시, 접점부(34)의 간극(L)은 상기 부스바(12)의 두께보다 미세하지만 좁게 형성되어 견고한 결합과 접속력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그로 인해 양단 접점부(34)의 압력은 간극(L)이 오므려지는 방향으로 클립단자(22a, 22b)에 가해지게 된다.
그리고, 위와 같이 클립단자(22a, 22b)에 압력이 가해지게 되면, 클립단자(22a, 22b)가 위치 이동하려는 이탈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고정틀(26)과 특히 텐션부재(28)의 텐션날개(44)가 클립단자(22a, 22b)를 견고히 잡아 주게 됨으로써 위치 이동이 최소화된다. (도 3참조)
특히, 각 클립단자(22a, 22b)의 위치 이동량에 따라 지지하고 있는 해당 테션날개(44)가 독립적으로 휘어지면서 해당 클립단자(22a, 22b)에 텐션이 적절히 가해짐으로써, 위치 이동을 효율적으로 억제할 수 있게 되고, 이로써 부스부(12)와 접점부(34)간에 접속 및 접촉 불량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위와 같이 클립단자(22a, 22b))의 위치 이동 및 위치 틀어짐이 허용치 이하가 되면, 전류가 안정적으로 흐르게 되고, 아울러 요구하는 통전 품질을 얻게 됨으로써, 배전반(10)으로부터 전원 공급을 제공받는 장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 2]
앞서 설명한 실시예 1은 제1 및 제2 보호커버를 이용하여 벽부와의 결합은 물론, 접속클립의 일단 접점부와 접속클립의 측면 둘레를 보호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며, 실시예 2는 실시예 1에서 보호가 취약한 접속클립의 타단 접점부를 더 보호할 수 있는 구성을 더 가진다.
도 5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배전반용 부스바 접속장치를 나타낸 분리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서는 도 5를 나타낸 결합시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7에서 실시예2에 따른 배전반용 부스바 접속장치를 이용하여 이웃하는 배전반의 부스바 간에 전기적 통전 연결 모습을 나타낸 전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장치(30)에서는 제2 보호커버(32)에 제3 보호커버(71)가 접속클립(24)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상태로 더 결합되며, 이러한 제3 보호커버(71)는 제1 보호커버(30)와 비슷한 형상 구조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2 보호커버(32)의 제2 몸체(62)와 제3 보호커버(71)의 외관을 형성하는 제3몸체(72)가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제2 몸체(62)와 제3 몸체(72)의 대응하는 외면에 결합공(76)과 결합돌기(74)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시된 도면에서는 제3 몸체(72)의 일부가 제2 몸체(62)의 내부로 삽입되면서 결합돌기(74)와 결합공(76) 간의 결합을 통해 연장 상태로 연결된다.
나아가, 결합공(76)은 제1 보호커버(30)의 결합돌기(56)가 결합될 수 있도록 제2 몸체(62)에 형성되는 결합공(64)과 동일한 면상에 배치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제3 보호커버(71))의 제3 몸체(72)는 타측의 부스바(12)와, 접속클립(24)의 수용 결합을 위한 삽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양편에 개구(78, 80)가 각각 형성되며, 특히 부스바(12)가 삽입되는 개구(78)는 접속클립(24)이 결합된 상태에서 직교하도록 형성된다.
실시예의 2의 기타 구성과 상기 접속장치(30)의 벽부(B) 고정 및 부스바(12)의 접속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 1의 접속장치(20)과 동일하므로, 도면에 동일한 부재번호를 사용하고 기타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으로 이웃하는 배전반의 부스바간 전기적 통전 연결 모습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배전반용 부스바 접속장치룰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를 나타낸 부분 결합사시도이다.
도 4는 실시예1에 따른 배전반용 부스바 접속장치를 이용하여 이웃하는 배전반의 부스바 간에 전기적 통전 연결 모습을 나타낸 전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배전반용 부스바 접속장치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를 나타낸 결합시시도이다.
도 7은 실시예2에 따른 배전반용 부스바 접속장치를 이용하여 이웃하는 배전반의 부스바 간에 전기적 통전 연결 모습을 나타낸 전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배전반 12 : 부스바
14 : 연결단자대 16 : 체결부재
20, 30 : 접속장치 22a, 22b : 클립단자
26 : 고정틀 28 : 텐션부재
30 : 제1 보호커버 32 : 제2 보호커버
34 : 접점부 36 : 지지돌기
38 : 고정리벳 40 : 요홈부
42 : 리벳공 44 : 텐션날개
46 : 제1 몸체 48, 50, 78, 80 : 개구
54 : 테두리부 56, 74 : 결합돌기
58 : 걸림후크 60 : 걸림날개
62 : 제2 몸체 64, 76 : 결합공
66 : 걸림공 68 : 걸림턱부
70 : 걸림편 71 : 제3보호커버
72 : 제3 몸체
Claims (8)
- 양단 접점부간 간극이 형성되도록 한 쌍의 클립단자를 양편에 배치하여 한조가 되는 접속클립과;상기 접속클립의 클립단자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접속클립의 중앙부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결합되는 고정틀과;상기 접속클립의 길이방향으로 배치 연결되어 접속클립이 삽입되는 상태로 수용 결합될 때 접속클립의 일단 접점부와 접속클립의 측면 둘레를 보호할 수 있는 제1 및 제2 보호커버를 포함하며,상기 제1 보호커버의 외관을 형성하는 제1 몸체에는 일측의 부스바와 접속클립의 삽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양편에 개구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상기 제1 몸체의 외면에는 테두리부와 결합돌기가 간격을 가지고 각각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상기 제2 보호커버의 외관을 형성하는 제2 몸체는 중공형으로 이루어지며 제1 몸체의 결합돌기가 결합될 수 있는 결합공이 제2 몸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용 부스바 접속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클립단자의 사이에는 고정틀을 관통하는 상태로 결합되어 접속클립의 중앙에 배치되는 고정리벳과;상기 고정리벳을 일부 감싸도록 클립단자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요홈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용 부스바 접속장치.
- 제 2항에 있어서,상기 접점부와 대응하는 클립단자의 양단 외측 면에 형성되는 지지돌기와;상기 지지돌기에 양단의 텐션날개가 각각 지지 고정되는 상태로 상기 고정틀의 내측에 클립단자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텐션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용 부스바 접속장치.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제1 몸체에는 단부에 걸림후크를 형성한 걸림날개가 양측 대응면에 연결되어 제1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있고;상기 걸림날개와 대응하게 되는 상기 제2 보호커버의 제2 몸체의 외면에는 걸림후크가 결합될 수 있도록 걸림공이 구비된 걸림턱부가 형성되며;상기 걸림후크가 걸림턱부에 결합될 때 벽부의 결합구멍 내측단이 걸림후크와 걸림턱부 사이에 끼워질 수 있도록 걸림후크와 걸림턱부간 유격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용 부스바 접속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제2 몸체의 내면에는 고정틀의 외곽 선단이 걸림되도록 하여 접속클립이 수용 결합되는 반대 방향으로 빠져나오지 않도록 걸림편이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용 부스바 접속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일단 접점부과 대응하는 접속클립의 타단 접점부를 보호할 수 있도록 제2 보호커버의 제2 몸체로부터 연장 상태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 보호커버의 외관을 형성하는 제3 몸체와;상기 제3 몸체의 양편에 각각 형성되어 타측의 부스바와 접속클립의 삽입될 수 있는 개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용 부스바 접속장치.
- 제 7항에 있어서,상기 제2 몸체와 제3 몸체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제3 몸체에는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결합돌기가 결합될 수 있도록 대응하는 제2 몸체에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용 부스바 접속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04086A KR101541196B1 (ko) | 2009-10-30 | 2009-10-30 | 배전반용 부스바 접속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04086A KR101541196B1 (ko) | 2009-10-30 | 2009-10-30 | 배전반용 부스바 접속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47455A KR20110047455A (ko) | 2011-05-09 |
KR101541196B1 true KR101541196B1 (ko) | 2015-08-03 |
Family
ID=44238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104086A KR101541196B1 (ko) | 2009-10-30 | 2009-10-30 | 배전반용 부스바 접속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41196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00057B1 (ko) * | 2018-10-18 | 2020-04-20 |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 착탈형 컨택터 |
KR102085676B1 (ko) * | 2018-11-21 | 2020-04-20 | 엘에스일렉트릭(주) | 분전반의 접촉자어셈블리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02720B1 (ko) * | 2014-08-07 | 2016-03-11 | 주식회사 아이일렉 | 부스바 결합용 구조체 |
KR102135898B1 (ko) * | 2018-08-10 | 2020-07-21 | 주식회사유한훌로텍 | 합성수지관 이음부의 너트 풀림 방지구조 |
KR102246825B1 (ko) * | 2019-04-12 | 2021-04-30 | 이덕환 | 접속클립 및 이를 구비하는 mcc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4739Y1 (ko) | 2003-01-18 | 2003-02-17 | 조형순 | 전력분배용 단자판 접속장치 |
JP2010003420A (ja) | 2008-06-18 | 2010-01-07 | Hitachi Electric Systems Ltd | 回路遮断器の導電端子装置 |
KR101242337B1 (ko) | 2011-12-07 | 2013-03-11 | 윤여관 | 전력분배용 단자판 접속장치 |
-
2009
- 2009-10-30 KR KR1020090104086A patent/KR10154119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4739Y1 (ko) | 2003-01-18 | 2003-02-17 | 조형순 | 전력분배용 단자판 접속장치 |
JP2010003420A (ja) | 2008-06-18 | 2010-01-07 | Hitachi Electric Systems Ltd | 回路遮断器の導電端子装置 |
KR101242337B1 (ko) | 2011-12-07 | 2013-03-11 | 윤여관 | 전력분배용 단자판 접속장치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00057B1 (ko) * | 2018-10-18 | 2020-04-20 |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 착탈형 컨택터 |
KR102085676B1 (ko) * | 2018-11-21 | 2020-04-20 | 엘에스일렉트릭(주) | 분전반의 접촉자어셈블리 |
US10892127B2 (en) | 2018-11-21 | 2021-01-12 | Lsis Co., Ltd. | Contactor assembly for distribution board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47455A (ko) | 2011-05-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41196B1 (ko) | 배전반용 부스바 접속장치 | |
EP2819254B1 (en) | Frame assembly for a switchboard and related frame and switchboard | |
US8618897B2 (en) | Switching device and terminal-side accessories | |
KR101003962B1 (ko) | 배선용 차단기 | |
US9928974B1 (en) | Terminal barrier assemblies for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and methods of assembly thereof | |
KR100805392B1 (ko) | 분전반용 부스바 고정홀더 | |
KR102246825B1 (ko) | 접속클립 및 이를 구비하는 mcc | |
KR20200108440A (ko) | 모듈형 단일 볼트 퓨즈 홀더 | |
JP2011015467A (ja) | 電気接続箱 | |
JP2012094397A (ja) | ヒューズ装置 | |
JP2013059138A (ja) | ロック機構を備えた組立部品 | |
KR100869222B1 (ko) | 배전반용 절연 부스바 다용도 단자 | |
KR20120082204A (ko) | 조립식 분전반 | |
JP2013187947A (ja) | プラグイン分電盤 | |
KR20160116425A (ko) | 퓨즈를 구비한 단자 | |
KR102629846B1 (ko) | 복수의 공간적 방향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플러그 커넥터 부품 | |
EP0593399B1 (en) | An adapter with a safety grip device for connecting rail mounted electric apparatus on electric power supply busbars | |
FI60327B (fi) | Med laosning foersedd faestanordning foer en pao en baerskena anordnad elektrisk konstruktionsgrupp | |
JPH11341646A (ja) | 電気接続箱 | |
KR101624419B1 (ko) | 저압 배전반용 확장형 부스바 커넥터 | |
KR100814935B1 (ko) | 부품박스의 부품장착장치 및 방법 | |
KR101057991B1 (ko) | 조립식 분전반 | |
KR100974483B1 (ko) | 클립 부재, 배선용 차단기 유닛 및 배전반 | |
KR100671536B1 (ko) | 전기배전방법 및 이를 이용한 버스웨이 | |
KR200214270Y1 (ko) | 배전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703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723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