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4270Y1 - 배전반 - Google Patents

배전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4270Y1
KR200214270Y1 KR2020000017616U KR20000017616U KR200214270Y1 KR 200214270 Y1 KR200214270 Y1 KR 200214270Y1 KR 2020000017616 U KR2020000017616 U KR 2020000017616U KR 20000017616 U KR20000017616 U KR 20000017616U KR 200214270 Y1 KR200214270 Y1 KR 2002142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side cover
fastening
switchboard
fasten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76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두영
Original Assignee
엘지산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산전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산전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176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427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42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4270Y1/ko

Links

Landscapes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전반의 측면 커버에 대한 것으로서, 상기 측면 커버가 체결 장치에 의하여 배전반에 취부되도록 함으로써, 취부 작업이 단순하고 안전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배전반의 골격을 형성하는 프레임의 양 측면에 취부될 수 있도록 하부에는 다수개의 절곡형성된 걸림편(11)을 구비하고, 본체 프레임의 하부에 체결 장치가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체결 장치가 삽입되는 다수개의 삽입공(12)을 상면에 구비하며, 본체 프레임에 대응하여 각 측면이 내향되게 벤딩된 측면 커버(1)와; 링크(44)의 상하이동이 가능하도록 소정 높이까지 절개된 가이드홈(431a)이 형성된 격벽(433)이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격벽과 대향되는 일측 내벽에 상기 링크(44)의 끝단이 안착되어 상하이동가능하도록 하는 홈(431b)이 형성되며, 상하부면에 체결핀(41)이 돌출되는 통과공(434a,434b)이 구비되고, 설치자가 링크(44)의 누름판(441)을 조작할 수 있도록 일측이 외부로 개방된 하우징(43)과, T-자형으로 형성되어 머리부인 누름판(441)이 상기 측면커버의 정면으로 노출되고 상면의 일정 위치에 체결핀(41)이 관통하는 통공이 형성된 링크(44)와, 상기 링크(44)를 수직방향으로 관통하여 하우징(43)내에 설치되고 하부단의 직경이 상부단의 즉경보다 크게 형성된 체결핀(41)과, 상기 체결핀(41)이 관통하도록 상기 링크(44)의 하부면에 위치되는 스프링(42)으로 구성된 체결 장치(4)로 이루어진 배전반이 제공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배전반 {Switch board}
본 고안은 배전반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기기들이 장착된 패널의 양측면을 보호하도록 취부되는 측면 커버를 고정시키는 방법에 관한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전반은 전기 기기의 전력을 감시, 제어 및 보호를 위하여 사용되는 장치로서, 구조적으로는 단위 장치와, 이를 부착 지지하기 위한 지지 구조물 및 상기 단위 기기 사이로 접속 연결시는 전선의 집합체로 나뉘어진다.
특히, 상기 배전반은 구조 기술, 배전반에 수납되는 기기, 장치기술, 시퀀스 기술로 대별된다.
그리고, 상기 배전반의 형태를 이루는 프레임내에는 각종 취부재들이 부착된 후 수납 기기들이 장착되고, 전기 기기를 단속하기 위한 기기들이 장착된 후 패널의 구조에 따라 단독반 또는 열반 구조로 설치된다.
이 때, 상기 단독반 또는 열반 구조로 설치된 패널의 최외부 양 측면을 폐쇄하여 상기 패널에 내장된 각종 기기들을 보호한다.
이러한 측면 커버는 도 1과 같고, 패널의 프레임 위치에 따라 제작된 원래의 형태에 스크류 삽입공을 정렬되게 형성한다.
상기 측면 커버(1)를 상기 패널의 측면에 맞대어 프레임(2)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통과공과 상기 측면 커버(1)의 스크류 삽입공에 스크류(3)를 관통시켜 측면 커버(1)를 상기 패널에 고정시킨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배전반에 있어서, 상기 측면 커버(1)는 플레이트를 사각으로 절단하여 그 상면에 스크류 삽입공을 형성하였기 때문에 중량이 무겁고 끝부분이 날카로워 가공되지 않은 측면으로 인하여 안전사고의 위험이 내포된다.
그리고, 다수 개의 스크류 삽입공에 스크류를 체결해야 하기 때문에 체결 시간이 많이 소요되므로 생산성과 작업 공정성이 낮다.
또한, 스크류 삽입공의 위치와 프레임에 형성된 통공의 위치가 조금이라도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스크류를 고정시키는 것이 어렵고, 이로 인하여 상기 측면 커버에 비틀림이 발생된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배전반에 취부되는 측면 커버의 구조를 변경하고, 상기 측면 커버를 배전반에 고정시키는 체결 장치를 개선함으로써, 취부 작업이 용이하고 안전하게 이루어지며 작업시간도 단축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측면 커버가 취부된 배전반의 종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측면 커버의 정면도 및 측면도
도 3a 는 본 고안에 따른 체결 장치의 사시도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체결 장치의 I-I단면도도 3c는 본 고안에 따른 체결 장치를 이루는 부품을 나타내는 분해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측면 커버가 체결장치에 의하여 일측에 취부된 배전반의 종단면도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상세한 설명>
1 : 측면 커버 2 : 프레임
3 : 스크류 4 : 체결 장치
22 : W-프레임 11 : 걸림편41 : 체결핀 42 : 스프링43 : 하우징 12 : 삽입공44 : 링크 441 : 누름판
본 고안은 이를 위하여, 배전반의 골격을 형성하는 프레임의 양 측면에 취부될 수 있도록 하부에는 다수개의 절곡형성된 걸림편을 구비하고, 본체 프레임의 하부에 체결 장치가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체결 장치가 삽입되는 다수개의 삽입공을 상면에 구비하며, 본체 프레임에 대응하여 각 측면이 내향되게 벤딩된 측면 커버와; 링크의 상하이동이 가능하도록 소정 높이까지 절개된 가이드홈이 형성된 격벽이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격벽과 대향되는 일측 내벽에 상기 링크의 끝단이 안착되어 상하이동가능하도록 하는 홈이 형성되며, 상하부면에 체결핀이 돌출되는 통과공이 구비되고, 설치자가 링크의 누름판을 조작할 수 있도록 일측이 외부로 개방된 하우징과, T-자형으로 형성되어 머리부인 누름판이 상기 측면커버의 정면으로 노출되고 상면의 일정 위치에 체결핀이 관통하는 통공이 형성된 링크와, 상기 링크를 수직방향으로 관통하여 하우징내에 설치되고 하부단의 직경이 상부단의 즉경보다 크게 형성된 체결핀과, 상기 체결핀이 관통하도록 상기 링크의 하부면에 위치되는 스프링으로 구성된 체결 장치로 이루어진 배전반이 제공되도록 한 것이다.상기한 구성과 목적을 가진 본 고안에 따른 배전반을 첨부 도면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측면 커버의 정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3a 는 본 고안에 따른 체결 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체결 장치의 I-I단면도이고, 도 3c는 본 고안에 따른 체결 장치를 이루는 부품을 나타내는 분해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측면 커버가 체결장치에 의하여 일측에 취부된 배전반의 종단면도이다.배전반은 모터등을 제어하는 차단기들이 단독 또는 열반된 형태의 수납된 장치로써, 수납 유니트를 이루도록 본체의 내부에 각종 프레임을 이용하여 수직 또는 수평으로 패널 구조가 형성된다.
상기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방법은 일반적으로 H(height)-프레임을 사용하여 수직방향의 기둥을 형성하고, 상기 H- 프레임에 직교되게 수평방향 면적을 형성하도록 W(width)-프레임과, D(dimension)-프레임을 서로 체결한다.
기본적인 프레임의 설치로 골격이 형성된 수납 공간에 각종 체결부를 설치하여, 차단기 콘센트등의 각종 기기들을 내장한 후, 기기들 사이의 배선을 완료한다.
배선이 완료된 수납 공간의 양측면이 폐쇄되도록 단독반일 경우에는 양 측면 을, 열반일 경우에는 최외각 양 측면에 각 측면 커버를 취부한다.
좀 더 상세히 본 고안의 일실시예인 측면 커버(1)와 체결 장치(4)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도 2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측면 커버(1)는 기기들을 내장하여 외부로부터 보호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써, 높이, 폭, 길이를 구성하는 각 프레임의 형상에 따라 각 측면이 내향되게 벤딩된다.상기 측면 커버(1)는 하부에 다수 개의 절곡형성된 걸림편(11)을 구비하고, 취부되는 프레임의 하부에 상기 체결 장치(4)가 밀착될 수 있도록 상부에 체결 장치가 삽입되는 복수개의 삽입공(12)이 형성된다.이러한 체결 장치 삽입공은 프레임의 저면에 상기 체결 장치(4)의 상면이 위치될 수 있도록 측면 커버(1)의 상부로부터 결정된 위치에 형성된다.그리고, 상기 측면 커버(1)의 하부에는 내향되게 절곡되어 그 단면이 ㄷ자형으로 형성된 걸림편(11)의 폭은 취부되는 프레임의 두께와 동일하게 형성된다.이 때, 상기 걸림편(11)은 상기 측면 커버(1)의 하부에 정렬되게 용접시킬 수 도 있다.한편, 본 고안에 따른 체결 장치(4)는 첨부도면 도 3a 내지 도 3c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상기 측면 커버(1)를 관통하여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체결 장치(4)는 육면체로 형성되며, 일측이 상기 측면 커버(1)상으로 노출되도록 하여 외부로 노출된 누름판(441)을 설치자가 누름에 따라 이와 연결된 체결핀(41)이 상기 프레임과 결합되도록 하는 장치이다.즉, 상기 체결 장치(4)는 외곽을 이루는 하우징(43)과, 상기 하우징(43)을 수평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설치되어 일끝이 외부로 노출된 링크(44)와, 상기 링크(44)를 수직으로 관통하며 상기 링크와 함께 이동하도록 결합된 체결핀(41)과, 상기 링크(44) 및 체결핀(41)의 하부에 위치되어 탄성적으로 링크(44)및 체결핀(41)을 이동시키는 스프링(42)으로 구성된다.이 때, 상기 하우징(43)은 측면 커버(1)에 형성된 삽입공(도 2참조,12)과 맞물림될 수 있는 일정 높이와 폭으로 형성되며, 수평방향 길이는 상기 측면 커버(1)의 두께보다 길게 형성되어 프레임의 하부에 상기 하우징(43)의 일부가 위치될 수 있도록 한다.그리고, 상기 측면 커버(1)와 맞물리는 상기 하우징(43)의 일측에는 길이방향으로 돌출부가 형성되어 그 상면에 스터드 볼트등이 체결될 수 있는 체결공(432)이 구비된다.또한, 상기 하우징(43)은 내부 일측에 격벽(433)이 구비되고, 상기 격벽의 하부에서 길이방향 소정 높이까지 상기 링크(44)의 수평부폭만큼 절개된 가이드홈(431a)이 형성되며, 상기 격벽(433)과 대향되는 일측 내벽에도 상기 가이드홈(431a)과 동일한 높이와 폭으로 형성된 또 다른 가이드홈(431b)이 구비된다.그리고, 상기 하우징(43)의 상부면과 하부면상에는 각각 상기 체결핀(41)의 상하부직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된 통과공(434a,434b)이 각각 구비된다.한편, 상기 링크(44)는 도 3b 및 도 3c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머리부인 누름판(441)과, 그와 일체형으로 형성된 수평부로 이루어진 T-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수평부의 양측은 상기 하우징(43)의 양 가이드홈(431a, 431b)을 따라 상하운동하며, 누름판(441)은 상기 하우징(43)의 격벽(433)에 의하여 내부와 분리된다.그리고, 상기 링크(44)는 상기 수평부 상면에 체결핀(41)이 수직방향으로 관통하는 통공을 구비한다.이와 같은 구성을 가진 상기 체결장치(4)를 조립하면, 일측이 개방된 하우징(43)의 일측으로 상기 링크(44)의 누름판(441)이 노출되도록 상기 하우징(43)을 수평방향으로 가로지르며 링크(44)가 위치되고, 상기 링크(44)의 하부에 스프링(42)이 설치된다.그리고, 상기 링크(44)의 통공과 상기 스프링(42)을 관통하도록 설치된 체결핀(41)은 상기 링크(44)와 함께 상하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링크(44)와 결합된다.이에 따라, 도 3a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하우징(43)의 일측에는 링크(44)의 누름판(441)이 노출되고, 누름판(441)의 하부에는 가이드홈(431a)이 위치되며, 상기 체결핀(41)의 일부가 하우징(43)의 상부통과공(434a)으로 돌출된다.이 때, 상기 하우징(43)은 일정 강도를 견딜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은 이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누름판(441)은 작업자가 가하는 힘에 변형되지 않을 수 있는 두께와 강도를 가진 금속판으로 형성되며, 상기 스프링(42)의 탄성력은 취부되어야 하는 측면 커버(1)의 하중을 견딜수 있어야 한다.
또, 상기 체결핀(41)의 돌출부의 직경은 각종 프레임에 일정하게 형성된 통과공의 직경보다 약간 작게 형성된다.
한편, 도 4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한 구성을 가진 본 고안의 측면 커버(1)와 체결 장치(4)를 배전반을 구성하는 프레임(2)에 취부하면, 상기 측면 커버(1)의 하부 걸림편(11)을 하부폭을 형성하는 W(width)-프레임(22)과 맞물린 후, 상기 측면 커버(1)의 체결장치 삽입공(12)에 누름판(441)이 측면 커버(1)의 전방을 향하도록 상기 체결 장치(4)를 상기 측면 커버(1)에 삽입한다.
이 때, 상기 체결 장치의 누름판(441)을 설치자가 누르고 있으므로 상기 누름판(441)에 가해지는 힘에 의하여 상기 누름판(441)과 체결핀(41)은 하우징(43)의 내부에 형성된 가이드홈(431a,432b)을 따라 하향이동되고, 상기 체결핀(41)은 하우징(43)의 하부통과공(434b)을 통하여 일부 돌출된다.이와 같이, 상부폭을 형성하는 W-프레임(22)의 하측면에 체결 장치(4)가 위치되고, 설치자가 상기 체결 장치(4)의 누름판(441)에 가하는 힘을 제거하면 체결핀(41)의 하부에 놓여진 스프링(42)의 탄성에 의하여 누름판(441)이 상향이동되면서 이와 결합된 체결핀(41)도 상향이동된다.이에 따라, 상기 체결핀(41)이 상기 W-프레임(22)의 하측면상에 형성된 통과공(도시 안됨)으로 삽입되어 상기 프레임(2)에 상기 측면 커버(1)가 고정되고, 상기 체결 장치(4)는 상기 측면 커버(1)와 전면에서 스터드 볼트등으로 연결하여 고정시킨다.한편, 배전반의 패널 구조에서 측면 커버(1)를 제거할 경우, 상기 누름판(441)의 하방으로 힘을 가하게 되면 상기 프레임에 삽입되어 있던 체결핀(41)이 하부방향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상기 체결핀(41)은 상부 W-프레임(22)의 통과공으로부터 이탈되므로 상기 프레임과 체결 장치(4)를 연결하던 체결핀(41)이 제거되고, 하부 W-프레임으로부터 걸림편(11)을 분리하면, 상기 측면 커버(1)가 손쉽게 상기 패널로부터 탈거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측면 커버는 탄성을 가진 체결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측면 커버를 손쉽게 배전반 내부에 장·탈착하기 때문에 패널의 설치작업이 용이하고 생산성과 작업성이 향상된다.
그리고, 상기 측면 커버는 프레임의 형상에 따라 각 측면을 내향되게 벤딩하기 때문에 작업자가 안전하게 탈착할 수 있어 안전사고가 방지된다.

Claims (1)

  1. 배전반의 골격을 형성하는 프레임의 양 측면에 취부될 수 있도록 하부에는 다수개의 절곡형성된 걸림편을 구비하고, 본체 프레임의 하부에 체결 장치가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체결 장치가 삽입되는 다수개의 삽입공을 상면에 구비하며, 본체 프레임에 대응하여 각 측면이 내향되게 벤딩된 측면 커버와;
    링크의 상하이동이 가능하도록 소정 높이까지 절개된 가이드홈이 형성된 격벽이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격벽과 대향되는 일측 내벽에 상기 링크의 끝단이 안착되어 상하이동가능하도록 하는 홈이 형성되며, 상하부면에 체결핀이 돌출되는 통과공이 구비되고, 설치자가 링크의 누름판을 조작할 수 있도록 일측이 외부로 개방된 하우징과,
    T-자형으로 형성되어 머리부인 누름판이 상기 측면커버의 정면으로 노출되고 상면의 일정 위치에 체결핀이 관통하는 통공이 형성된 링크와,
    상기 링크를 수직방향으로 관통하여 하우징내에 설치되고 하부단의 직경이 상부단의 즉경보다 크게 형성된 체결핀과,
    상기 체결핀이 관통하도록 상기 링크의 하부면에 위치되는 스프링으로 구성된 체결 장치로 이루어진 배전반.
KR2020000017616U 2000-06-21 2000-06-21 배전반 KR2002142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7616U KR200214270Y1 (ko) 2000-06-21 2000-06-21 배전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7616U KR200214270Y1 (ko) 2000-06-21 2000-06-21 배전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4270Y1 true KR200214270Y1 (ko) 2001-02-15

Family

ID=73079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7616U KR200214270Y1 (ko) 2000-06-21 2000-06-21 배전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427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26826B2 (en) 2015-07-14 2020-01-07 Lsis Co., Ltd. Interlock device of ring main unit
KR20200001927U (ko) 2019-02-25 2020-09-02 엘에스일렉트릭(주) 배전반 커버 장착용 리프팅 지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26826B2 (en) 2015-07-14 2020-01-07 Lsis Co., Ltd. Interlock device of ring main unit
KR20200001927U (ko) 2019-02-25 2020-09-02 엘에스일렉트릭(주) 배전반 커버 장착용 리프팅 지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81901B2 (en) Terminal device of electrical apparatus
US4082393A (en) Bus duct assembly
KR100805392B1 (ko) 분전반용 부스바 고정홀더
US20050164564A1 (en) Terminal device of switching device
KR200214270Y1 (ko) 배전반
US4717987A (en) Compact non-metallic load center enclosure
KR101541196B1 (ko) 배전반용 부스바 접속장치
KR102246825B1 (ko) 접속클립 및 이를 구비하는 mcc
JP3048770B2 (ja) 回路遮断器の電線接続装置
US6308477B1 (en) Telecommunications cabinet isolation, allocation and mounting system
JPS639344B2 (ko)
KR100843457B1 (ko) 철재 분전반의 부스바 절연장치 및 구조
KR200395590Y1 (ko) 저압 배전반용 부스바접속부재
KR101371679B1 (ko) 투명 배전함
US5767761A (en) Fusible link connection box
US7245480B2 (en) Electrical component side action fasteners for a load center basepan
EP2462609B1 (en) A switching device
KR100550180B1 (ko) 분전반
JP4371362B2 (ja) 端子カバーの取付構造
KR101931786B1 (ko) 배전반 및 그 조립 방법
JP4578462B2 (ja) 回路遮断器の端子装置
KR200241182Y1 (ko) 옥내외 겸용 통신장비의 함체 구조
KR19980012056U (ko) 철재 분전반의 절연장치
KR102253222B1 (ko) 분전반의 차단기 쇼트방지기구
JPH0452924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