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2056U - 철재 분전반의 절연장치 - Google Patents

철재 분전반의 절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2056U
KR19980012056U KR2019960025596U KR19960025596U KR19980012056U KR 19980012056 U KR19980012056 U KR 19980012056U KR 2019960025596 U KR2019960025596 U KR 2019960025596U KR 19960025596 U KR19960025596 U KR 19960025596U KR 19980012056 U KR19980012056 U KR 1998001205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nch
main
busbars
insulating
guide groo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55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범
Original Assignee
이종수
엘지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수, 엘지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종수
Priority to KR20199600255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12056U/ko
Publication of KR1998001205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2056U/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46Boxe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48Mounting of devices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istribution Board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분전반 내의 개폐기 보수시, 통전 부위의 노출로 인한 감전사고의 우려를 해소함과 동시에 분전반 외함의 크기를 소형화하여 안전성 및 작업성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은 분전함(1) 내의 주 개폐기(2)에 각각 연결되며 일정 간격으로 체결공(3)이 형성된 주 부스바(4)가 지나는 복수개의 안내홈(5) 및 상기 안내홈(5)을 지나는 주 부스바(4) 간의 상간 절연을 위해 안내홈(5)과 안내홈(5) 사이를 구분하는 절연막(6)이 형성되고 양측에 분기 개폐기(7)를 장착할 수 있는 레일 안착면(8)이 형성되어 상기 분전함(1)의 베이스면(10)에 고정되는 절연단자대(9)와, 상기 절연단자대(9)에 체결됨에 따라 레일(11)에 장착된 각 분기 개폐기(7)와 주 부스바(4)의 각 상을 연결하는 분기 부스바(12a),(12b) 사이에 절연격막(13)이 삽입되어 분기 부스바(12a),(12b) 상호 간의 상간 절연을 수행하는 절연격막 블록(14)으로 구성되는 철재 분전반의 절연장치이다.

Description

철재 분전반의 절연장치
본 고안은 철재 분전반의 절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분전반 내의 개폐기 보수시, 통전 부위의 노출로 인한 감전사고의 우려를 해소함과 동시에 분전반 외함의 크기를 소형화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전반은 분전함 내에 배선용 차단기 및 개폐기 등을 모아 장착한 것으로 전로의 인입구 역할을 함과 동시에 및 차단기 및 개폐기에 연결되는 선로의 노출을 방지하여 전기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역할을 하는 기구이다.
종래의 분전반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분전함(1)의 베이스면(10)에 장착되는 주 개폐기(2)에 주 부스바(4)가 연결되고, 주 부스바(4) 양측으로는 상기 주 부스바(4)에 각각 연결되는 분기 부스바(12)가 연결되는 분기 개폐기(7)가 장착된다.
이 때, 상기 주 부스바(4)와 분기 부스바(12) 및, 임의의 분기 개폐기(7)와 반대편의 분기 개폐기(7)는 상간 절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충분한 이격 거리를 가지도록 설치하게 된다.
한편, 상기 주 부스바(4)에는 단상의 분기 개폐기가 연결되는 경우에도 충분한 절연거리가 유지되도록 분기 개폐기(7)와 분기 개폐기(7) 사이의 간격 및 각 분기 부스바(12) 사이의 간격이 충분히 이격되어야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분전반에서의 개폐기 장착 구조는 분기 개폐기(7)를 주 개폐기(2)의 폭 이상으로 이격시킨 상태에서 상간 절연거리를 유지하기 위하여 일정거리를 두고 주 부스바(4) 및 분기 부스바(12)를 설치하므로 통전 부분이 과다하게 노출되어 기기 보수 및 교체 작업시 감전사고의 우려가 높았다.
이에 따라, 보수 작업시 주 개폐기(2)를 오프시킨 상태에서 작업을 해야 하므로 보수를 하지 않아도 되는 다른 선로의 이용자 또한 보수 작업이 완료될 때까지 전력을 사용하지 못하는 불편함이 따르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차단기 또는 개폐기의 이격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외함의 크기가 커지게 되며, 주 개폐기(2)의 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분전반의 외형이 커지게 되어 제조원가가 상승할 뿐만 아니라, 분전반이 철재이므로 매우 무거워져 분전반의 설치 작업시 작업자가 어려움을 겪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특히, 차단기 또는 개폐기의 설치 작업시 분전반 내에 배치되는 차단기 및 개폐기에 대한 표준적인 배치 구조가 없으므로 인해 배전 선로의 구성에 따라 주 부스바(4)및 분기 부스바(12)의 배열 구성을 임기 응변적으로 그 때마다 다르게 할 수 밖에 없으므로 인해 분전반의 제작시에도 많은 불편함을 겪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분전반에 설치되는 차단기 및 개폐기를 고정시키기 위한 위치 선정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개폐기를 고정시키기 위한 나사체결공의 위치가 정확하지 않을 경우에는 나사체결공의 위치를 다시 선정하여 베이스면(10)에 형성하여야 하는등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분전반 내의 개폐기 보수시, 통전 부위의 노출로 인한 감전사고의 우려를 해소함과 동시에 분전반 외함의 크기를 소형화하여 안전성 및 작업성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철재 분전반의 절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분전함 내의 주 개폐기에 각각 연결되며 일정 간격으로 체결공이 형성된 주 부스바가 지나는 복수개의 안내홈 및, 상기 안내홈을 지나는 주 부스바 간의 상간 절연을 위해 안내홈과 안내홈 사이를 구분하는 절연막이 형성되고 양측에 분기 개폐기를 장착할 수 있는 레일 안착면이 형성되어 상기 분전함의 베이스면에 고정되는 절연단자대와, 상기 절연단자대에 체결됨에 따라 레일에 장착된 각 분기 개폐기와 주 부스바의 각 상을 연결하는 분기 부스바 사이에 절연격막이 삽입되어 분기 부스바 간의 상간 절연을 수행하는 절연격막 블록으로 구성된 철재 분전반의 절연장치이다.
도 1은 종래의 분전반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절연장치가 분전함에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이 적용된 분전반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절연격막 블록을 나타낸 저면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분전함2 : 주 개폐기
3 : 부스바의 체결공4 : 주 부스바
5 : 안내홈6 : 절연막
7 : 분기 개폐기8 : 레일 안착면
9 : 절연단자대10 : 베이스면
11 : 레일12a,12b : 분기 부스바
13 : 절연격막14 : 절연격막 블록
15 : 절연격막 블록의 체결공16 : 보스
17 : 보스의 체결공
이하,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의 절연장치가 분전함에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는 본 고안의 적용된 분전반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절연격막 블록을 나타낸 저면 사시도로서, 본 고안은 분전함(1) 내의 주 개폐기(2)에 각각 연결되며 일정 간격을 체결공(3)이 형성된 주 부스바(4)가 지나는 복수개의 안내홈(5) 및, 상기 안내홈(5)을 지나는 주 부스바(4) 간의 상간 절연작용을 하도록 안내홈(5)과 안내홈(5) 사이를 구분하는 절연막(6)이 형성되고 양측에 분기 개폐기(7)를 장착할 수 있는 레일 안착면(8)형성된 절연단자대(9)가 분전함(1)의 베이스면(10)에 체결되어 고정되고, 상기 절연단자대(9)에는 레일(11)에 장착된 각 분기 개폐기(7)와 주 부스바(4)의 각 상을 연결하는 분기 부스바(12a),(12b) 사이에 절연격막(13)이 삽입되어 분기 부스바(12a),(12b) 상호간의 상간 절연을 수행하는 절연격막 블록(14)이 체결되어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설치 과정 및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분전반 제작시에는, 먼저 주 개폐기(2)를 분전함(1)의 베이스면(10) 일측에 설치한 후, 상기 주 개폐기(2) 전방에 절연단자대(9)를 장착한다.
그 후, 상기 절연단자대(9)의 안내홈(5) 내에 주 개폐기(2)의 각 상에 연결되는 주 부스바(4)를 안착시키고 주 부스바(4)의 선단을 주 개폐기(2)의 각 단자에 나사로 체결하여 고정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절연단자대(9)의 안내홈(5)과 안내홈(5) 사이에 형성된 절연막(6)은 주 부스바(4) 상호간의 상간 절연을 수행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주 부스바(4)를 주 개폐기(2)의 각 단자에 나사로 체결하여 접속시킨 후에는 절연단자대(9)의 양측 안착면(8)에 분기 개폐기(7)가 장착된 레일(11)을 나사로 체결하여 고정시킨다.
또한, 분기 개폐기(7)가 장착된 레일(11)을 절연단자대(9)에 고정시킨 다음에는 서로 마주보는 분기 개폐기(7) 사이에 절연격막 블록(14)을 소정의 위치에 위치시켜 체결하게 된다.
즉, 상기 절연격막 블록(14)의 체결공(15)과 절연단자대(9)의 안내홈(5)과 안내홈(5) 사이의 영역에 형성된 보스(16)의 체결공을 일치시켜 나사로 체결하여 절연격막 블록(14)을 절연단자대(9)에 고정시키게 되는데, 이는 분기 개폐기(7)와 주 부스바(4)를 연결하는 분기 부스바(12a),(12b) 사이의 상간 절연을 위해 설치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절연격막 블록(14)을 절연단자대(9)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각 분기 개폐기(7)와 주 부스바(4)의 각 상이 서로 연결되도록 절곡부를 가지는 분기 부스바(12a),(12b)의 양단을 분기 개폐기(7)의 단자와 주 부스바(4)의 체결공(3)에 각각 나사로 체결하여 고정시킨다.
이 때, 상기 분기 부스바(12a),(12b)는 각 상과 단상인 분기 개폐기(7)의 단자 간 연결할 수 있도록 걸 윙형(Gull Wing Shape)과 브리지형(Bridge Shape)을 이루도록 각각 제작된다.
특히, 절연단자대(9)의 안내홈(5)중 양측 가장자리의 안내홈(5)을 지나는 각 주 부스바(4)와 절연 단자대 양측의 레일(11)에 장착된 분기 개폐기(7)를 연결하는 분기 부스바(12a) 및 절연단자대(9)의 안내홈(5)중 중앙부의 안내홈(5)을 지나는 각 주 부스바(4)와 절연 단자대 양측의 레일(11)에 장착된 분기 개폐기(7)를 연결하는 분기 부스바(12b)는 각각 동일한 형상으로 제작되며, 분기 개폐기(7)와의 거리에 따라 서로 반대로만 배치하여 체결하면 되므로 분기 부스바(12a),(12b)의 길이 및 형상을 단 2 가지만으로 표준화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절연장치는 상기 절연단자대(9) 및 주 부스바(4)의 폭을 표준화 할수 있으므로 절연단자대(9) 및 주 부스바(4)의 제조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분전반의 선로 구성시 분기 개폐기(7)의 수를 고려하여 그 길이만을 적절히 선정하여 사용하면 되므로 분전반의 설계 및 제작이 용이해지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분전반의 제작시 절연단자대(9) 및 절연격막 블록(14)의 규격을 개폐기의 상에 따라 표준화하여 제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절연효과를 높이면서도 절연을 위한 기기 상호간 및 부스바 상호간의 이격 거리를 단축시켜 분전반의 콤팩트화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절연단자대(9) 및 절연격막 블록(14)의 규격이 표준화되므로써 레일(11)에 장착되는 분기 개폐기(7)의 수와 관계없이 분전반의 선로 구성이 동일하게 되므로 인해 분전반의 설계 작업이 매우 용이해져 설계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감을 수 있으므로 인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절연단자대(9) 및 절연격막 블록(14)의 설치로 인해 상간 절연을 확실히 하여 보수 작업시 감전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작업자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분전반 내의 개폐기 보수시, 통전 부위의 노출로 인한 감전사고의 우려를 해소함과 동시에 분전반의 선로 구성을 표준화하고 분전반 외함의 크기를 소형화하여 안전성 및 작업성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분전함에 내의 주 개폐기에 각각 연결되며 일정 간격으로 체결공이 형성된 주 부스바가 지나는 복수개의 안내홈 및, 상기 안내홈을 지나는 주 부스바 간의 상간 절연을 위해 안내홈과 안내홈 사이를 구분하는 절연막이 형성되고 양측에 분기 개폐기를 장착할 수 있는 레일 안착면이 형성되어 상기 분전함의 베이스면에 고정되는 절연단자대와,
    상기 절연단자대에 체결됨에 따라 레일에 장착된 각 분기 개폐기와 주 부스바의 각상을 연결하는 분기 부스바 사이에 절연격막이 삽입되어 분기 부스바 상호간의 상간 절연을 수행하는 절연격막 블록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재 분전반의 절연장치.
KR2019960025596U 1996-08-24 1996-08-24 철재 분전반의 절연장치 KR1998001205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5596U KR19980012056U (ko) 1996-08-24 1996-08-24 철재 분전반의 절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5596U KR19980012056U (ko) 1996-08-24 1996-08-24 철재 분전반의 절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2056U true KR19980012056U (ko) 1998-05-25

Family

ID=53973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5596U KR19980012056U (ko) 1996-08-24 1996-08-24 철재 분전반의 절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12056U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9226B1 (ko) * 2002-07-02 2004-12-03 엘지산전 주식회사 주택용 분전반의 절연장치
KR100825379B1 (ko) * 2006-09-19 2008-04-29 (주)제일피앤피 배전반용 접속장치
KR100843457B1 (ko) * 2006-08-28 2008-07-03 동일산전(주) 철재 분전반의 부스바 절연장치 및 구조
KR100863510B1 (ko) * 2008-07-28 2008-10-15 박관우 분전반
KR102343845B1 (ko) * 2021-01-13 2021-12-27 김진복 It 융합 블록 조립식 키트형 분전반 및 이를 이용하여 분전반 이상 징후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9226B1 (ko) * 2002-07-02 2004-12-03 엘지산전 주식회사 주택용 분전반의 절연장치
KR100843457B1 (ko) * 2006-08-28 2008-07-03 동일산전(주) 철재 분전반의 부스바 절연장치 및 구조
KR100825379B1 (ko) * 2006-09-19 2008-04-29 (주)제일피앤피 배전반용 접속장치
KR100863510B1 (ko) * 2008-07-28 2008-10-15 박관우 분전반
KR102343845B1 (ko) * 2021-01-13 2021-12-27 김진복 It 융합 블록 조립식 키트형 분전반 및 이를 이용하여 분전반 이상 징후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72761A (en) Segmented electrical panelboard for industrial frame and residential frame circuit breakers which accepts residential frame circuit breakers at any segment
US6870103B1 (en) Bus joint cover assembly
US6229692B1 (en) Modular circuit breaker and modular lighting panelboard for field assembly
EP1133820B1 (en) Device for supporting and fixing bus-bars
US4785378A (en) Loop-feed wiring arrangement for electric circuit breakers and switches
KR100805392B1 (ko) 분전반용 부스바 고정홀더
US2986676A (en) Panel board arrangement for embedded load terminals
US3801875A (en) Non-metallic load center with improved bus bar construction
KR100226066B1 (ko) 분전반 주개폐기 및 분기개폐기의 부스바 절연장치
US2942157A (en) Mounting arrangement for plug-in type panelboard
KR100309322B1 (ko) 배전반
US4093970A (en) Main lug assembly for circuit breaker load centers
KR20050080448A (ko) 모듈 조립형 저압 동력반(엠씨씨반)
KR100712245B1 (ko) 분전반
KR100672960B1 (ko) 부스바 지지대
US3211960A (en) Insulating mounting block and circuit interrupting device
KR19980012056U (ko) 철재 분전반의 절연장치
KR200331163Y1 (ko) 배전반
KR102030652B1 (ko) 전원 분배장치
KR100820911B1 (ko) 부스바 체결장치
JPH06507781A (ja) 後面より電気的アクセス可能な配電盤
KR100843457B1 (ko) 철재 분전반의 부스바 절연장치 및 구조
US4868981A (en) Method of making loop-feed wiring arrangement for electric circuit breakers and switches
US2717339A (en) Panelboard construction
KR100689925B1 (ko) 분전반용 부스바 연결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