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0726B1 - 차량용 전기 분배박스 - Google Patents

차량용 전기 분배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0726B1
KR102270726B1 KR1020190103788A KR20190103788A KR102270726B1 KR 102270726 B1 KR102270726 B1 KR 102270726B1 KR 1020190103788 A KR1020190103788 A KR 1020190103788A KR 20190103788 A KR20190103788 A KR 20190103788A KR 102270726 B1 KR102270726 B1 KR 1022707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ribution box
vehicle
side plate
electric distribution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37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3512A (ko
Inventor
이천효
여성윤
사광욱
정길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1901037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0726B1/ko
Publication of KR202100235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35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07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07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9Electronic box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26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 H05K5/004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having a two-part housing enclosing a PCB
    • H05K5/0052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having a two-part housing enclosing a PCB characterized by joining features of the housing par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26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 H05K5/0069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having connector relating features for connecting the connector pins with the PCB or for mounting the connector body with the hou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전기 부품이 체결되는 상판과, 상기 상판의 테두리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측판을 포함하는 분배박스 본체; 및 상기 측판에 별도 모듈과 착탈을 위해 형성된 착탈부; 를 포함하는 차량용 전기 분배박스가 제공된다. 상기 착탈부는, 상기 측판의 높이 방향으로 형성된 착탈용 레일홈; 상기 착탈용 레일홈에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측판에 높이 방향으로 형성된 착탈용 리브; 상기 측판에 일단이 고정된 고정부와, 타단이 상기 고정부에서 상기 측판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캔틸레버 형태로 형성된 자유단과, 상기 자유단에 돌출되어 형성된 걸림턱을 포함하는 래치; 상기 래치와 인접한 상기 측판에 상기 별도 모듈에 형성된 상기 래치의 상기 걸림턱에 맞물리도록 형성된 고정턱;을 포함한다. 상기 걸림턱의 상기 고정부를 향하는 경사면은 상기 자유단을 향하는 고정면에 비해 더 완만하게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용 전기 분배박스는, 필요에 따라서, 복수가 착탈되도로 하거나, 별도의 모듈이 착탈됨으로써, 다양한 차종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 결과, 부품을 공용화할 수 있어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전기 분배박스{Power distribution box used in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전기 분배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에 사용되는 다양한 전기기기에 전력을 분배해주는 차량용 전기 분배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내부에는 전기로 구동되는 각종 부품 및 구동장치 등(이하 '전장품'이라 함)이 장착되어 있으며,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기를 분배하여 상기 전장품으로 공급하기 위해 차량용 전기 분배박스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차량용 전기 분배박스는 퓨즈, 릴레이 등의 다양한 전기 부품들을 회로 사이에 조합하여 박스에 내장시킨 와이어 하네스의 배전 기능을 가진 일종의 배전 박스로서, 커버 내에 회로 패턴이 형성된 인쇄 회로 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이 설치되어 있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와이어 하네스와 전기적 연결을 위해서 다수의 커넥터가 장착된다.
전기 분배박스는 각각의 차량모델마다 설치되는 위치 및 장착되는 전기부품의 종류, 형태들이 상이하다. 따라서, 종래에는 차량 모델마다, 전기 분배박스를 별도의 형태로 설계 및 개발하여 사용하였으며, 심지어는, 동일한 차량 모델의 경우에도 설계변경등의 사정이 있는 경우, 별도로 개발해야 하므로, 원가 증대의 원인이 되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모듈화가 가능하도록 하여, 다양한 차종에 적용가능한 차량용 전기 분배박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고자, 전기 부품이 체결되는 상판과, 상기 상판의 테두리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측판을 포함하는 분배박스 본체; 및 상기 측판에 별도 모듈과 착탈을 위해 형성된 착탈부;를 포함하고, 상기 착탈부는, 상기 측판의 높이 방향으로 형성된 착탈용 레일홈; 상기 착탈용 레일홈에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측판에 높이 방향으로 형성된 착탈용 리브; 상기 측판에 일단이 고정된 고정부와, 타단이 상기 고정부에서 상기 측판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캔틸레버 형태로 형성된 자유단과, 상기 자유단에 돌출되어 형성된 걸림턱을 포함하는 래치; 상기 래치와 인접한 상기 측판에 상기 별도 모듈에 형성된 상기 래치의 상기 걸림턱에 맞물리도록 형성된 고정턱;을 포함하며, 상기 걸림턱의 상기 고정부를 향하는 경사면은 상기 자유단을 향하는 고정면에 비해 더 완만하게 경사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기 분배 박스를 제공한다.
상기 고정턱의 위치는 상기 측판의 높이 방향으로, 상기 고정면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래치는, 상기 걸림턱에서 상기 자유단을 향하는 방향으로 더 연장된 연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장부는, 상기 자유단을 향할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경사져 형성된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자유단을 향하는 방향을 바라보는 상기 고정턱의 상면 모서리의 일부가 모따기 되어 형성된 상면 챔퍼;를 더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를 향하는 방향을 바라보는 상기 고정턱의 하면 모서리의 일부가 모따기 되어 형성된 하면 챔퍼;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면 챔퍼의 모따기 양이 상기 상면 챔퍼의 모따기 양보다 더 큰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걸림턱은 상기 래치의 폭방향 전체에 걸쳐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 개의 상기 래치가 동일한 크기로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며, 복수 개의 상기 고정턱이 상기 측판의 높이방향으로 동일한 위치에 형성된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분배박스 본체는, 상기 분배박스 본체의 상기 상판과, 상기 측판으로 감싸지는 공간에 기판이 안착되도록 형성된 기판안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측판에 배수홀이 관통되어 형성되며, 상기 배수홀은 상기 기판 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기판보다 상기 상판에서 떨어진 위치에 위치한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분배박스 본체는, 상기 상판에서 상기 기판 안착부를 향해서 돌출되어, 상기 기판을 지지하는 상판 지지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배박스 본체는, 상기 기판안착부를 형성하는 상기 측판의 내측면에 돌출되어 형성된 기판 안착리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판 안착리브는 상기 측판의 내측면에 간격을 두고 복수개 형성된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기판 안착리브는 상기 기판의 장착시, 상기 기판을 정위치로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경사면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배박스 본체의 하측의 상기 측판 내부로 끼워져 결합되는 하부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 커버는, 하판 및 상기 하판의 테두리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커버측판을 포함하며, 상기 커버측판의 외측면에는 상기 배수홀에 끼워지도록 커버 걸림돌기가 돌출되어 형성된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커버 걸림돌기의 폭은 상기 배수홀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커버 걸림돌기를 제외한 상기 배수홀의 공극으로 배수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커버는, 상기 하판에서 상기 기판 안착부를 향해 돌출되어, 상기 기판을 지지하는 하판 지지보스;를 더 포함한다.
상기 하부 커버 및 상기 분배박스 본체는 오조립을 방지하기 위해, 서로 맞물리도록 형성된 오조립 방지 구조;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전기 부품은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상판에는 커넥터가 결합되는 커넥터 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커넥터 결합부에 상기 커넥터의 오조립을 방지하기 위한 오조립 방지 돌부가 형성된다.
상기 착탈부에 착탈되는 상기 별도 모듈은, 퓨즈를 고정하기 위한 퓨즈 홀더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착탈부에 착탈되는 상기 별도 모듈은, 차량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복수의 상기 별도 모듈의 상기 고정부는 상기 차량에 고정되는 위치에 따라 상이하게 형성된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전기 부품은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상판에는 커넥터가 결합되는 커넥터 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커넥터 안착홈의 외주부에서 상기 상판의 상측으로 연장형성된 연장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넥터 결합부는 장방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연장지지부는, 상기 커넥터 결합부의 긴 모서리의 외주부에만 형성된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커넥터 결합부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커넥터에 형성된 지지홈에 끼워지도록 형성된 복수의 지지리브;를 더 포함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하기와 같은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용 전기 분배박스는, 필요에 따라서, 복수가 착탈되도록 하거나, 별도의 모듈이 착탈됨으로써, 다양한 차종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 결과, 부품을 공용화할 수 있어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복잡한 구조를 사용하지 않고도 착탈이 신뢰성 있도록 착탈부의 형상이 형성된다.
그리고, 간소한 수분배출구조를 이용하여 전기 분배 박스의 내부로 침투한 수분을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차량용 전기분배박스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배박스 본체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커넥터 결합부의 확대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절단선 IV-IV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도 3의 절단선 V-V에 따른 단면도
도 6은 도 3의 평면도
도 7은 도 2의 절단선 VII-VII에 따른 단면도
도 8은 절단선 VIII-VIII에 따른 단면도
도 9은 도 1의 복수개의 차량용 전기분배박스가 서로 결합되기전 사시도
도 10는 도 9의 체결 초기 상태의 제 1 고정턱과 제 2 래치의 관계를 도시한 단면도
도 11은 도 10의 체결직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2는 도 10의 체결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3은 도 9의 체결후 제 1 래치와 제 2 고정턱의 관계를 도시한 단면도
도 14는 별도 모듈로서 퓨즈 홀더가 체결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
도 15는 차량에 고정되는 다양한 종류의 고정부가 별도 모듈로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6은 고정부의 다양한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7은 도 2의 분배박스 본체의 저면 사시도
도 18은 도 1의 차량용 전기 분배박스의 절단선 XVIII-XVIII에 따라 절단된 단면 사시도
도 19는 도 17의 기판 안착리브가 형성된 부위의 확대 사시도
도 20은 도 19에 기판이 안착된 상태의 사시도
도 21은 도 1의 하부 커버의 사시도
도 22는 상판 지지보스와 하판 지지보스가 기판을 지지하고 있는 형상을 도시한 단면도
도 23은 배수홀에 커버 걸림돌기가 끼워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4는 하부 커버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5 및 도 26은 도 24의 오조립 방지구조가 구현된 하부커버와 분배박스 본체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일부 사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차량용 전기분배박스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차량용 전기분배박스는, 전기 부품이 체결되는 상판(1100)과, 상기 상판의 테두리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측판(1200)을 포함하는 분배박스 본체(1000)와, 분배박스 본체(1000)의 기판안착부(1010)에 안착되는 기판(3100)과, 상기 분배박스 본체(1000)의 하측의 상기 측판 내부로 끼워져 결합되는 하부 커버(2000)를 포함한다.
전기 부품은 차량의 와이어링 하네스와 연결되기 위한 다양한 커넥터(3200)와 , 다양한 퓨즈(3400) 등 차량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부품이 장착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분배박스 본체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커넥터 결합부의 확대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절단선 IV-IV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도 3의 절단선 V-V에 따른 단면도, 도 6은 도 3의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배박스 본체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전기부품이 체결되는 상판(1100)과, 측판(1200)으로 구성되며,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판(1100)과, 상기 측판(1200)으로 감싸지는 공간에 기판(3100)이 안착되도록 기판안착부(1010)가 형성된다.
상기 상판(1100)에는 상기 커넥터(3200)가 결합되는 커넥터 결합부(1120)가 형성된다. 커넥터(3200) 이외에도 퓨즈(3400) 등 다양한 전기부품이 장착되는 결합부도 형성된다.
상기 커넥터 결합부(1120)에 상기 커넥터의 오조립을 방지하기 위한 오조립 방지 돌부(1121, 1122)가 형성된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기나 형태가 상이한 오조립 방지 돌부(1121, 1122)가 커넥터 결합부(1120)의 모서리에 비대칭되도록 형성되며, 삽입되는 커넥터(3200)에도 이에 매칭되는 형상이 형성됨으로써, 커넥터(3200)가 커넥터 결합부(1120)에 정확한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커넥터 결합부(1120)의 외주부에서 상기 상판의 상측으로 연장형성된 연장 지지부(1123)를 더 포함한다. 연장지지부(1123)는 커넥터 결합부(1120)에 결합된 커넥터(3200)의 측면을 지지하여, 커넥터(3200)가 양측으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커넥터 결합부(1120)가 장방형으로 형성되면, 상기 연장지지부(1123)는, 상기 커넥터 결합부의 긴 모서리의 외주부에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서 커넥터 결합부(1120)가 장방형으로 형성되면, 화살표(I) 방향의 유동이 화살표(II) 방향의 유동보다 지지하는 면이 작아서 더 취약하다. 이러한 취약한 결합력을 연장지지부(1123)가 지지하여 줌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커넥터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짧은 쪽 모서리의 외주부에는 연장지지부가 형성되지 않음으로써, 커넥터의 결합을 보다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커넥터 결합부(1120)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커넥터(3200)에 형성된 지지홈(3210)에 끼워지도록 형성된 복수의 지지리브(1124)를 더 포함한다. 지지리브(1124)는 필요에 따라서, 복수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상응하여 커넥터(3200)에 지지홈(3210)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지지리브(1124)가 지지홈(3210)이 결합됨으로써, 커넥터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어, 커넥터의 이탈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유격, 유동을 최소화시켜 진동을 견디는 내진성이 매우 높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판(1200)에 별도 모듈과 착탈을 위해 형성된 착탈부(130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착탈부(1300)는, 상기 측판(1200)의 높이 방향으로 형성된 착탈용 레일홈(1310)과, 상기 착탈용 레일홈(1310)에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측판(1200)에 높이 방향으로 형성된 착탈용 리브(1320)와, 상기 측판(1200)에 일단이 고정된 고정부(1331)와, 타단이 상기 고정부에서 상기 측판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캔틸레버 형태로 형성된 자유단(1332)과 상기 자유단(1332)에 돌출되어 형성된 걸림턱(1336)을 포함하는 래치(1330)와, 상기 래치(1330)와 인접한 상기 측판(1200)에 상기 별도 모듈에 형성된 상기 래치의 상기 걸림턱에 맞물리도록 형성된 고정턱(1340)을 포함한다.
즉, 착탈용 레일홈(1310), 고정턱(1340) 및 착탈용 리브(1320)가 일정한 간격으로 측판(1200)에 반복하여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분배박스 본체(100)의 측판(1200)의 어느 한 모서리면에서, 착탈용 레일홈(1310) 부터 시작하였으면, 착탈용 리브(1320)로 끝나도록 형성되며, 다른 모서리면에서도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결과, 반대쪽 모서리면과 서로 대칭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동일한 분배박스 본체(1000) 끼리 결합이 가능하다.
도 7은 도 2의 절단선 VII-VII에 따른 단면도, 도 8은 절단선 VIII-VIII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턱(1336)의 상기 고정부(1331)를 향하는 경사면(1334)은 상기 자유단(1332)을 향하는 고정면(1335)에 비해 더 완만하게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고정턱(1340)의 위치는 상기 측판(1200)의 높이 방향으로, 상기 고정면(1335)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로 형성된다. 즉, 고정면(1335)이 고정턱(1340)의 하면을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래치(1330)는, 상기 걸림턱(1336)에서 상기 자유단(1332)을 향하는 방향으로 더 연장된 연장부(1337)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장부(1337)는, 상기 자유단을 향할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경사져 형성된다. 즉, 연장부(1337)는 걸림턱(1336)이 끝나는 지점부터 자유단(1332)을 향해 지속적으로 얇아지도록 형성된다.
고정턱(1340)은 상기 자유단(1332)을 향하는 방향을 바라보는 상기 고정턱(1340)의 상면 모서리의 일부가 모따기 되어 형성된 상면 챔퍼(1342)와, 상기 고정부(1331)를 향하는 방향을 바라보는 상기 고정턱(1340)의 하면 모서리의 일부가 모따기 되어 형성된 하면 챔퍼(1343)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하면 챔퍼(1343)의 모따기 양이 상기 상면 챔퍼의 모따기 양보다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즉, 하면 챔퍼(1343)와 상면 챔퍼(1342)가 만나는 경계 모서리(1344)가 고정턱(1340)의 두께 방향으로 상측으로 치우쳐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1336)은 상기 래치(1330)의 폭방향 전체에 걸쳐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폭방향이라 함은 래치(1330)의 고정부에서 자유단으로 향하는 길이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을 말한다. 이와 같이, 걸림턱(1336)이 폭 방향 전체에 걸쳐서 형성됨으로써, 래치(1330)와 고정턱(1340)의 걸림양이 증대된다.
또한, 복수 개의 상기 래치(1330)가 동일한 크기로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며, 복수 개의 상기 고정턱(1340)이 상기 측판의 높이방향으로 동일한 위치에 형성된다.
착탈부(1300)의 동작을 설명하면서 각각의 구성의 효과 및 의미에 대해서 기술한다.
도 9는 도 1의 복수개의 차량용 전기분배박스가 서로 결합되기전 사시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도 8에서 좌하측에 위치한 분배박스 본체를 제 1 분배박스 본체(1000a)라 칭하고, 세부 구성에 대해서도 '제 1'이라는 표현을 추가하며, 도면부호에도 'a'를 첨부하여 기재한다. 또한, 우상측에 위치한 분배박스 본체를 제 2 분배박스 본체(1000b)라 칭하고, 세부 구성에 대해서도 '제 2'라는 표현을 추가하며, 도면부호에도 'b'를 첨부하여 기재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분배박스 본체(1000a)의 제 1 착탈용 레일홈(1310a)의 상단에 제 2 분배박스 본체(1000b)의 제 2 착탈용 리브(1320b)의 하단을 맞추고, 제 1 착탈용 리브(1320a)의 상단에 제 2 착탈용 레일홈(1310b)의 하단을 맞춘후, 제 2 분배박스 본체(1000b)를 화살표(VIII)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제 1 분배박스 본체(1000a)와 제 2 분배박스 본체(1000b)가 서로 결합하여 체결이 된다.
도 10은 도 9의 체결 초기 상태의 제 1 고정턱(1340a)과 제 2 래치(1330b)의 관계를 도시한 단면도, 도 11은 도 10의 체결직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2는 도 10의 체결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3은 도 9의 체결후 제 1 래치(1330a)와 제 2 고정턱(1340b)의 관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체결초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래치(1330b)의 제 2 경사면(1334b)는 제 1 고정턱(1340a)의 제 1 상면 챔퍼(1342a) 면에 접하게 된다. 이 때, 제 2 경사면(1334b)과 제 1 상면챔퍼(1342a)로 인해서, 걸림없이, 제 2 래치(1330b)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그 다음, 제 2 걸림턱(1336b)이 제 1 경계모서리(1344a)를 지나면, 제 2 걸림턱(1336b)를 제 1 고정턱(1340a)이 더 이상 지지하지 않게 되어, 도 12와 같이, 제 2 래치(1330b)가 반시계 방향으로 복원되어, 체결이 완료된다. 이때, 제 1 하면 챔퍼(1343a)로 인해서, 제 2 래치(1330b)가 도 11의 상태에서 머무르지 않고, 보다 쉽게 도 12와 같은 상태로 회동가능하게 된다. 견고한 고정력을 위해서는, 도 12에서 제 1 고정턱(1340)과 제 2 고정면(1335b) 사이에 간극이 거의 없는 상태로 제조하게 된다. 이 경우, 만약에 제 1 하면 챔퍼(1343a)가 없다면, 제 2 걸림턱(1336b)이 제 1 고정턱(1340a)의 모서리 걸려서, 도 11의 상태로 머물게 되어, 신뢰성 있는 체결을 기대할 수 없다.
한편, 도 13은 도 10 내지 도 11과 인접한 위치에 있는 제 1 래치(1330a)와 제 2 고정턱(1340b) 사이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에 도시된 화살표와 방향으로 제 1 분배박스 본체(1000a)와 제 2 분배박스 본체(1000b)가 이동하게 되면, 제 2 고정턱(1340b)이 제 1 연장부재(1337a)을 따라서 이동한 후, 도 13과 같이 체결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제 1 연장부재(1337a)와 제 2 하면 챔퍼(1343)으로 인해서, 제 1 자유단(1332a)이 제 2 고정턱(1340b)의 하면에 걸리지 않고 신뢰성 있게 도 13과 같이 체결이 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이 완료된 후에, 제 1 분배박스 본체(1000a)가 상측으로 이탈하고자 하는 경우, 제 1 래치(1330a)의 제 1 고정면(1335a)이 제 2 고정턱(1340b)의 하측면에 의해 걸려서 이탈이 방지된다. 또한, 제 1 분배박스 본체(1000a)가 하측으로 이탈하고자 하는 경우, 제 2 래치(1330b)의 제 2 고정면(1335b)이 제 2 고정턱(1340b)의 하측면을 지지하여,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래치가 동일한 크기로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됨에도 불구하고, 조립된 제 1 분배박스 본체와 제 2 분배박스 본체를 양방향으로 견고하게 고정이 가능하다. 더구나, 걸림턱(1336)이 래치(1330)의 폭방향 전체에 걸쳐서 형성됨으로써, 결합된 상태의 고정력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래치의 경사면(1334)과 상면 챔퍼(1342)로 인해서 체결시, 원활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하면 챔퍼(1343)로 인해서, 고정턱(1340)과 고정면(1335) 사이의 간극을 매우 적게 함에도 불구하고, 체결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그 결과, 체결 후, 고정력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도 9 내지 도 13에서는 2개의 동일한 분배박스 본체를 결합한 것을 예시로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도 9 내지 도 12에서는 별도 모듈로서 동일한 분배박스 본체를 결합한 것을 예시로 든 것이나, 이외에도 필요에 따라서 다양한 유닛이 별도 모듈로 결합이 가능하다.
도 14는 별도 모듈로서 퓨즈 홀더가 체결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 도 15는 차량에 고정되는 다양한 종류의 고정부가 별도 모듈로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6은 고정부의 다양한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착탈부에 착탈되는 상기 별도 모듈은, 퓨즈(3311)를 고정하기 위한 퓨즈 홀더(3310)로 형성될 수 있다. 퓨즈 홀더(3310)에 전술한 착탈부(1300)가 형성됨으로써, 분배박스 본체에 원하는 위치의 측면에 자유롭게 체결이 가능하다.
퓨즈 홀더(3310)는 차량에 사용되는 퓨즈를 보관하는 홀더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분배박스 본체에 자유롭게 착탈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는 경우, 차량 패키지에 맞게 위치 선정이 가능하여, 설계 자유도가 증가하며, 부품 공용화로 중량 및 원가 절감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착탈부에 착탈되는 상기 별도 모듈(3300)은, 차량에 고정되는 고정부(3320)로 구현되며, 복수의 상기 별도 모듈의 상기 고정부는 상기 차량에 고정되는 위치에 따라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16(a)와 같이 고정부(3320a)가 평면상에 볼트 체결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도 16(b)와 같이 고정부(3320b)가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끼워지는 구조로 구현되거나, 도 16(c)와 같이 고정부(3320c)가 경사면에 볼트 체결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도 있다.
이와 같이, 차량에 고정되는 다양한 고정부(3320)가 차량에 맞게 착탈가능하므로, 분배박스 본체는 다양한 차량에 공통 모듈로 생산되고, 고정부만 별도 생산함으로써, 부품의 공용화를 통한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7은 도 2의 분배박스 본체의 저면 사시도, 도 18은 도 1의 차량용 전기 분배박스의 절단선 XVIII-XVIII에 따라 절단된 단면 사시도, 도 19는 도 17의 기판 안착리브가 형성된 부위의 확대 사시도, 도 20은 도 19에 기판이 안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상기 분배박스 본체(1000)는, 상기 분배박스 본체의 상기 상판(1100)과, 상기 측판(1200)으로 감싸지는 공간에 기판(3100)이 안착되도록 형성된 기판안착부(101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측판(1200)에 배수홀(1210)이 관통되어 형성되며, 상기 배수홀(1210)은 상기 기판 안착부(1010)에 안착된 상기 기판(3100)보다 상기 상판에서 떨어진 위치에 위치한다. 즉, 도 18 기준으로 기판(3100)의 하측 위치에 배수홀(1210)이 관통되어 형성된다. 그 결과, 유입된 수분이 기판(3100) 등의 전기부품에 머무르지 않고, 하측으로 잘 배수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분배박스 본체(1000)는, 상기 상판(1100)에서 상기 기판 안착부(1010)를 향해서 돌출되어, 상기 기판을 지지하는 상판 지지보스(1110)와, 상기 기판안착부(1010)를 형성하는 상기 측판의 내측면에 돌출되어 형성된 기판 안착리브(1220)를 더 포함한다.
상판 지지보스(1110)는 상판(1100)에서 복수개 돌출되어 형성되어, 기판(3100)의 상면을 동시에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기판 안착리브(1220)는 상기 측판(1200)의 내측면에 간격을 두고 복수 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기판 안착리브(1220)는 상기 기판(3100)의 장착시, 상기 기판을 정위치로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경사면(1221)이 형성된다. 가이드 경사면(1221)은 도 19 및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판(1200)에서 내측으로 하향 경사져 형성된다. 복수의 기판 안착리브(1220)가 기판(3100)의 모서리를 동시에 지지하여, 기판이 정위치에 안착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안착 후에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경사면(1221)으로 인해서, 기판을 보다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도 21은 도 1의 하부 커버의 사시도, 도 22는 상판 지지보스와 하판 지지보스가 기판을 지지하고 있는 형상을 도시한 단면도, 도 23은 배수홀에 커버 걸림돌기가 끼워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 하부 커버(2000)는, 하판(2100) 및 상기 하판(2100)의 테두리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커버측판(2200)과, 상기 하판(2100)에서 상기 기판 안착부(1010)를 향해 돌출되어, 상기 기판(3100)을 지지하는 하판 지지보스(2110)를 포함한다.
상기 커버측판(2200)의 외측면에는 상기 배수홀(1210)에 끼워지도록 커버 걸림돌기(2210)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커버 걸림돌기(2210)의 폭은 상기 배수홀(1210)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커버 걸림돌기(2210)를 제외한 상기 배수홀(1210)의 공극으로 배수가 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배수홀(1210)을 배수 용도에만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커버측판(220)을 분배박스 본체(1000)에 결합하는 용도에 사용함으로써, 구조를 보다 간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24는 하부 커버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5 및 도 26은 도 24의 오조립 방지구조가 구현된 하부커버와 분배박스 본체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일부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커버(2000) 및 상기 분배박스 본체(1000)는 오조립을 방지하기 위해, 서로 맞물리도록 형성된 오조립 방지 구조(1520)가 구현된다. 오조립 방지구조(1520)는 하부커버의 하판(2100)의 외주면에서 돌출된 오조립 방지 보스(2220)과, 오조립 방지 보스(2220)가 끼워질 수 있도록, 분배박스 본체(1000)의 측판(1200) 하단 내주면에 요입되어 형성된 오조립 방지홈(1220)으로 형성된다. 상기 오조립 방지 보스(2220)와 오조립 방지홈(1220)은 각각 복수개 형성되며, 비대칭적으로 형성됨으로써, 하부커버가 분배박스 본체에 일정한 방향으로 조립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조립 방지구조(1520)는 하부 커버(2000)의 모서리에 형성된 챔퍼(2230)과, 챔퍼(2230)에 맞물리도록 측판(1200)에 형성된 모서리 채움부(1240)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하부커버(2000)가 정확한 방향으로 조립이 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용 전기 분배박스는, 필요에 따라서, 복수가 착탈되도록 하거나, 별도의 모듈이 착탈됨으로써, 다양한 차종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 결과, 부품을 공용화할 수 있어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000: 분배박스 본체 1010: 기판안착부
1100: 상판 1110: 상판 지지보스
1120: 커넥터 결합부 1121, 1122: 오조립 방지 돌부
1123: 연장 지지부 1124: 지지리브
1200: 측판 1210: 배수홀
1220: 기판 안착리브 1221: 가이드 경사면
1300: 착탈부 1310: 착탈용 레일홈
1320: 착탈용 리브 1330: 래치
1331: 고정부 1332: 자유단
1334: 경사면 1335: 고정면
1336: 걸림턱 1337: 연장부
1340: 고정턱 1342: 상면 챔퍼
1343: 하면 챔퍼 1344: 경계 모서리
1520: 오조립 방지 구조 2000: 하부 커버
2100: 하판 2110: 하판 지지보스
2200: 커버측판 2210: 커버 걸림돌기
3100: 기판 3200: 커넥터
3210: 지지홈 3300: 별도 모듈
3310: 퓨즈 홀더 3320: 고정부
3400: 퓨즈

Claims (22)

  1. 전기 부품이 체결되는 상판(1100)과, 상기 상판의 테두리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측판(1200)을 포함하는 분배박스 본체(1000); 및
    상기 측판(1200)에 별도 모듈(3300)과 착탈을 위해 형성된 착탈부(1300);
    를 포함하고,
    상기 착탈부(1300)는,
    상기 측판(1200)의 높이 방향으로 형성된 착탈용 레일홈(1310);
    상기 착탈용 레일홈(1310)에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측판(1200)에 높이 방향으로 형성된 착탈용 리브(1320);
    상기 측판(1200)에 일단이 고정된 고정부(1331)와, 타단이 상기 고정부에서 상기 측판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캔틸레버 형태로 형성된 자유단(1332)과, 상기 자유단(1332)에 돌출되어 형성된 걸림턱(1336)을 포함하는 래치(1330);
    상기 래치(1330)와 인접한 상기 측판(1200)에 상기 별도 모듈에 형성된 상기 래치의 상기 걸림턱에 맞물리도록 형성된 고정턱(1340);
    을 포함하며,
    상기 걸림턱(1336)의 상기 고정부(1331)를 향하는 경사면(1334)은 상기 자유단(1332)을 향하는 고정면(1335)에 비해 더 완만하게 경사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기 분배 박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턱(1340)의 위치는 상기 측판(1200)의 높이 방향으로, 상기 고정면(1335)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기 분배 박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1330)는,
    상기 걸림턱(1336)에서 상기 자유단(1332)을 향하는 방향으로 더 연장된 연장부(1337);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장부(1337)는, 상기 자유단을 향할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경사져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기 분배 박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유단(1332)을 향하는 방향을 바라보는 상기 고정턱(1340)의 상면 모서리의 일부가 모따기 되어 형성된 상면 챔퍼(1342);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기 분배 박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1331)를 향하는 방향을 바라보는 상기 고정턱(1340)의 하면 모서리의 일부가 모따기 되어 형성된 하면 챔퍼(1343);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기 분배 박스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1331)를 향하는 방향을 바라보는 상기 고정턱(1340)의 하면 모서리의 일부가 모따기 되어 형성된 하면 챔퍼(1343);
    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하면 챔퍼(1343)의 모따기 양이 상기 상면 챔퍼의 모따기 양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기 분배 박스.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1336)은 상기 래치(1330)의 폭방향 전체에 걸쳐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기 분배 박스.
  8.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래치(1330)가 동일한 크기로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며,
    복수 개의 상기 고정턱(1340)이 상기 측판의 높이방향으로 동일한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기 분배 박스.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박스 본체(1000)는,
    상기 분배박스 본체의 상기 상판(1100)과, 상기 측판(1200)으로 감싸지는 공간에 기판(3100)이 안착되도록 형성된 기판안착부(1010);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측판(1200)에 배수홀(1210)이 관통되어 형성되며,
    상기 배수홀(1210)은 상기 기판 안착부(1010)에 안착된 상기 기판(3100) 보다 상기 상판에서 떨어진 위치에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기 분배 박스.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박스 본체(1000)는,
    상기 상판(1100)에서 상기 기판 안착부(1010)를 향해서 돌출되어, 상기 기판을 지지하는 상판 지지보스(111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기 분배박스.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박스 본체(1000)는,
    상기 기판안착부(1010)를 형성하는 상기 측판의 내측면에 돌출되어 형성된 기판 안착리브(1220);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판 안착리브(1220)는 상기 측판의 내측면에 간격을 두고 복수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기 분배박스.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안착리브(1220)는 상기 기판의 장착시, 상기 기판을 정위치로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경사면(122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기 분배박스.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박스 본체(1000)의 하측의 상기 측판 내부로 끼워져 결합되는 하부 커버(2000);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 커버(2000)는,
    하판(2100) 및 상기 하판(2100)의 테두리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커버측판(2200)을 포함하며,
    상기 커버측판(2200)의 외측면에는 상기 배수홀에 끼워지도록 커버 걸림돌기(2210)가 돌출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기 분배박스.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걸림돌기(2210)의 폭은 상기 배수홀(1210)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커버 걸림돌기(2210)를 제외한 상기 배수홀(1210)의 공극으로 배수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기 분배박스.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커버(2000)는,
    상기 하판(2100)에서 상기 기판 안착부(1010)를 향해 돌출되어, 상기 기판(3100)을 지지하는 하판 지지보스(211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기 분배박스.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커버(2000) 및 상기 분배박스 본체(1000)는 오조립을 방지하기 위해, 서로 맞물리도록 형성된 오조립 방지 구조(152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기 분배박스.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부품은 커넥터(3200)를 포함하며,
    상기 상판(1100)에는 상기 커넥터(3200)가 결합되는 커넥터 결합부(1120)가 형성되며,
    상기 커넥터 결합부(1120)에 상기 커넥터의 오조립을 방지하기 위한 오조립 방지 돌부(1121, 112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기 분배박스.
  18.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부에 착탈되는 상기 별도 모듈(3300)은,
    퓨즈를 고정하기 위한 퓨즈 홀더(3310)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기 분배 박스.
  1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부에 착탈되는 상기 별도 모듈(3300)은,
    차량에 고정되는 고정부(3320)를 포함하며,
    복수의 상기 별도 모듈의 상기 고정부는 상기 차량에 고정되는 위치에 따라 상이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기 분배 박스.
  20. 제 1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부품은 커넥터(3200)를 포함하며,
    상기 상판(1100)에는 상기 커넥터(3200)가 결합되는 커넥터 결합부(1120)가 형성되며,
    상기 커넥터 결합부(1120)의 외주부에서 상기 상판의 상측으로 연장형성된 연장 지지부(1123);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기 분배 박스.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결합부는 장방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연장지지부(1123)는, 상기 커넥터 결합부의 긴 모서리의 외주부에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기 분배 박스.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결합부(1120)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커넥터에 형성된 지지홈에 끼워지도록 형성된 복수의 지지리브(1124);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기 분배박스.
KR1020190103788A 2019-08-23 2019-08-23 차량용 전기 분배박스 KR1022707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3788A KR102270726B1 (ko) 2019-08-23 2019-08-23 차량용 전기 분배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3788A KR102270726B1 (ko) 2019-08-23 2019-08-23 차량용 전기 분배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3512A KR20210023512A (ko) 2021-03-04
KR102270726B1 true KR102270726B1 (ko) 2021-06-29

Family

ID=75175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3788A KR102270726B1 (ko) 2019-08-23 2019-08-23 차량용 전기 분배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072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2786Y1 (ko) 2007-10-01 2008-12-11 경신공업 주식회사 차량용 정션박스의 배수구조
KR101478214B1 (ko) 2013-08-27 2014-12-31 (주)신창코넥타 전원분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0698B1 (ko) * 2006-10-31 2008-05-20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멀티퓨즈를 구비한 퓨즈박스
KR101561045B1 (ko) * 2009-06-29 2015-10-1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전원 연결 박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2786Y1 (ko) 2007-10-01 2008-12-11 경신공업 주식회사 차량용 정션박스의 배수구조
KR101478214B1 (ko) 2013-08-27 2014-12-31 (주)신창코넥타 전원분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3512A (ko) 2021-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311855B (zh) 电连接箱
US9742080B2 (en) Electric junction box
US8435049B2 (en) Electrical connection box
US4963099A (en) Electrical junction box
US9456510B2 (en) Electrical junction box
JP2006244902A (ja) 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組立体
USRE45621E1 (en) Electrical junction box
US20140198470A1 (en) Printed circuit board stack
CN103311854B (zh) 电连接箱
WO2013054727A1 (ja) 電源制御装置
JP2019050200A (ja) バッテリ接続モジュール
JP2017204330A (ja) 接続モジュール
US6835073B2 (en) Junction box
KR100925951B1 (ko) 차량의 전원분배박스
KR102270726B1 (ko) 차량용 전기 분배박스
KR102270727B1 (ko) 차량용 전기 분배박스
US8529292B2 (en) Board connector having a housing with a mounting groove with upwardly facing surfaces for receiving projecting locks of a mounting fixture
JP5946023B2 (ja) 電気回路装置
KR100759123B1 (ko) 정션박스의 커넥터어셈블리
JP6575930B2 (ja) 基板ユニット
JP5156499B2 (ja) 電気接続箱
US9509128B2 (en) Electrical junction box
JP2014087221A (ja) バスバーおよび該バスバーを備えた電気接続箱
JP2011166874A (ja) 回路構成体および電気接続箱
KR200426001Y1 (ko) 부품박스의 부품장착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