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7203Y1 - 배터리분배유니트의 터미널 오조립방지장치 - Google Patents

배터리분배유니트의 터미널 오조립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7203Y1
KR200477203Y1 KR2020100013392U KR20100013392U KR200477203Y1 KR 200477203 Y1 KR200477203 Y1 KR 200477203Y1 KR 2020100013392 U KR2020100013392 U KR 2020100013392U KR 20100013392 U KR20100013392 U KR 20100013392U KR 200477203 Y1 KR200477203 Y1 KR 2004772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late body
bus bar
side wall
insulat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33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4839U (ko
Inventor
정승현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000133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7203Y1/ko
Publication of KR2012000483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483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72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720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8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f two or more battery modules
    • B60L58/2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f two or more battery modules having different nominal voltag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14Rails or bus-bars constructed so that the counterparts can be connected thereto at any point along their length
    • H01R25/142Their counterpar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6Assembled 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40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 B60L2240/54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related to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Abstract

본 고안은 배터리분배유니트의 터미널 오조립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터리분배유니트는 제1판체(10), 제2판체(20), 절연판(30), 제1버스바(40) 및 제2버스바(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2판체(20)에는 상기 제2버스바(50)의 결합부(54)가 안착되는 내측격벽(26)이 상기 제1판체(10)를 향해 상기 절연판(30)을 관통하여 연장되게 형성된다. 상기 내측격벽(26)의 일측면은 개방부(26')로서 내부의 공간이 외부와 연통되게 하여 상기 제2버스바(50)가 내측격벽(26)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으로 들어가도록 한다. 상기 절연판(30)에는 상기 내측격벽(26)을 둘러싸도록 외측격벽(32)이 형성된다. 상기 외측격벽(32)중 상기 내측격벽(26)의 개방부(26') 양측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연장폴(32')이 높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연장폴(32')의 상단에는 걸이편(32")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편(32")은 상기 내측격벽(26)의 상면 및 내부공간의 일부를 차폐하여 암터미널(60)의 오삽입방지편(64)이 통과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배터리분배유니트의 조립시 불량발생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배터리분배유니트의 터미널 오조립방지장치{Terminal mis-assembling preventing apparatus for battery distribution unit}
본 고안은 배터리분배유니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터리분배유니트에 설치되는 터미널이 잘못조립되는 것을 방지하는 배터리분배유니트의 오조립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엔진을 사용한 차량에서는 주로 사용되는 전원의 전압이 12볼트 정도의 저전압이었다. 하지만, 최근에 전기모터를 사용하는 하이브리드나 전기자동차의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고전압도 필요하게 되었다.
따라서, 차량에서 사용되는 부품이 그 동안에 저전압용만 있었는데, 고전압용도 필요하게 되었다. 하지만, 예를 들어 박스를 고전압부품과 저전압부품용으로 별도로 만들게 되면 전체적으로 차량의 부품수가 많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예를 들어 하나의 박스에 고전압용과 저전압용 부품을 같이 두어 유니트를 구성하는 것이 제시되었다. 이와 같은 유니트에서는 유니트에 장착되는 부품과 유니트 내부에 설치되는 버스바 사이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해 양단 암터미널이 사용된다.
하지만, 상기 양단 암터미널은 유니트의 버스바에 정확한 방향으로 조립되어야 유니트에 장착되는 부품이 또한 상기 암터미널에 결합될 수 있다. 만약, 양단 암터미널이 제대로 조립되지 않으면 상기 부품이 유니트에 장착될 수 없는 것이다. 만약, 상기 양단 암터미널이 유니트에 제대로 조립되지 않으면 유니트 전체를 분해하여 양단 암터미널을 새로 결합시켜야 하므로 시간상으로 많은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필요성을 만족시키기 위한 것으로, 배터리분배유니트에서 양단 암터미널의 오조립을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제1판체와 제2판체사이의 공간을 구획하게 절연판이 설치되고 상기 제1판체와 절연판, 상기 절연판과 제2판체 사이에 각각 제1 및 제2 버스바가 위치되어 설치되는 배터리분배유니트의 터미널 오조립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판체에서 상기 제1판체를 향해 상기 절연판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일면이 개방된 개방부를 구비하는 내측격벽과, 상기 내측격벽의 하부 외면 전체를 둘러싸도록 상기 절연판에 형성된 외측격벽과, 상기 외측격벽중 상기 개방부와 대응되는 양측 모서리중 적어도 일측에서 높이방향으로 연장된 연장폴의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내측격벽에 의해 형성된 공간으로 연장형성되어 터미널이 오조립되는 것을 차단하는 걸이편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판체에는 상기 내측격벽의 상부 외면을 둘러싸는 입구격벽이 구비되는데, 상기 입구격벽에는 상기 연장폴과 걸이편과의 간섭회피를 위한 간섭회피부가 구비된다.
삭제
상기 걸이편은 상기 외측격벽중 상기 개방부와 대응되는 양측 모서리 모두에 형성된다.
본 고안에 의한 배터리분배유니트의 터미널 오조립방지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배터리분배유니트에서 양단 암터미널이 설치되는 부분의 입구를 구성하는 절연판의 외측격벽에 걸이편을 두어 양단 암터미널이 정해진 방향으로만 삽입되도록 하였으므로 양단 암터미널의 조립이 보다 정확하게 되어 배터리분배유니트의 조작작업에서 불량발생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버스바고정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배터리분배유니트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절연판과 제2판체가 서로 결합된 상태를 절연판의 상부에서 보인 요부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보인 절연판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 실시예에서 양단 암터미널의 삽입이 안내되는 것을 보인 작업상태도.
이하 본 고안에 의한 배터리분배유니트의 터미널 오조립방지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제1판체(10)가 배터리분배유니트의 상부외관을 형성한다. 상기 제1판체(10)는 절연성 합성수지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 대략 직사각형 판형상이다. 상기 제1판체(10)의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걸이편(12)이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걸이편(12)에는 각각 걸이통공(12')이 형성되어 아래에서 설명될 제2판체(20)의 걸이턱(22)이 삽입되어 걸어진다.
상기 제1판체(10)의 표면에는 다수개의 부품장착부(14)가 형성된다. 상기 부품장착부(14)는 릴레이와 같은 부품이 안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부품장착부(14)는 그 장착되는 부품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부품장착부(14)의 내면에는 상기 제1판체(10)를 관통하여 단자통공(16)이 형성된다.상기 단자통공(16)을 통해서는 상기 부품장착부(14)에 장착된 부분의 단자가 관통한다. 상기 제1판체(10)에서 아래에서 설명될 절연판(30)과 마주보는 면에는 상기 단자통공(16)을 둘러 입구격벽(18)이 형성된다.
상기 입구격벽(18)의 횡단면은 사각형 형상으로 된다. 즉 상기 단자통공(16)이 형성된 영역을 둘러 사면을 차폐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입구격벽(18)에서 아래에서 설명될 제2판체(20)의 내측격벽(26)에 형성된 개구부(26')에 대응되는 부분은 후벽부(18')로서 입구격벽(18)의 다른 부분보다 상대적으로 두껍게 되어 개구부(26')부분까지 채워준다. 상기 후벽부(18')를 포함하는 상기 입구격벽(18)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연장폴(32')과 걸이편(32")과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간섭회피부(도시되지 않음)가 더 구비된다.
상기 입구격벽(18)에서 개구부(26')에 대응되는 부분의 반대쪽에는 스컷트부(19)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스컷트부(19)는 상기 입구격벽(18)보다 더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스컷트부(19)는 아래에서 설명될 외측격벽(32)과 인접격벽(34)사이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제2판체(20)는 배터리유니트의 하부외관을 형성하는데, 상기 제1판체(10)와 결합되어 배터리분배유니트의 외관을 형성한다. 상기 제2판체(20)는 절연성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상기 제1판체(10)와 대략 유사한 직사각형의 판상이다.
상기 제2판체(20)의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상기 걸이편(12)의 걸이통공(12')에 안착되어 걸이편(12)과 걸어지는 걸이턱(22)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참고로 상기 걸이턱(22)와 걸이편(12)은 서로 반대 위치, 즉 상기 걸이턱(22)이 제1판체(10)에 상기 걸이편(12)이 상기 제2판체(20)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2판체(20)의 가장자리에는 또한 장착부(24)가 형성된다. 상기 장착부(24)는 전체 유니트를 차량의 패널이나 샤시등에 장착되게 하는 부분이다.
상기 제2판체(20)의 표면에서 상기 제1판체(10)를 향해 돌출되어서는 다수개의 내측격벽(26)이 형성된다. 상기 내측격벽(26)은 상기 제1판체(10)의 단자통공(16)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내측격벽(26)은 일측면이 개방된 내부가 빈 사각기둥형상이다. 즉 상기 내측격벽(26)의 횡단면은 'ㄷ'자 형상이다. 상기 내측격벽(26)은 그 외면이 상기 제1판체(10)의 입구격벽(18)의 내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치수가 설계되는 것이 좋다. 물론, 상기 내측격벽(26)의 외면과 입구격벽(18)의 내면 사이에 틈새가 있을 수도 있다.
상기 내측격벽(26)의 일면은 개방되어 개구부(26')가 되는데, 이는 상기 내측격벽(26)의 내부로 아래에서 설명될 제2버스바(50)의 결합부(54)가 안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제2버스바(50)의 몸체부(52)에서 연장된 결합부(54)가 상기 내측격벽(26)의 내부에 설치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내측격벽(26)과 몸체부(52)가 간섭되지 않아야 하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제2판체(20)의 표면에는 상기 제1판체(10)를 향해 돌출되게 구획리브(27)가 형성된다. 상기 구획리브(27)는 상기 제2판체(20)의 표면을 구획하여 아래에서 설명될 제2버스바(50)가 안착되는 영역을 형성한다. 상기 구획리브(27)의 높이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2버스바(50)의 두께 정도나 그 보다 높게 형성되면 된다.
상기 내측격벽(26)의 내부에 해당되는 제2판체(20)의 표면에는 지지리브(28)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지지리브(28)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2버스바(50)의 결합부(54) 하부를 지지하는 역할과 아래에서 설명될 암터미널(6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절연판(30)은 상기 제1판체(10)와 제2판체(20)의 사이에 위치되는 것이다. 상기 절연판(30)도 대략 직사각형의 판상으로 절연성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절연판(30)에는 다수개의 관통공(30')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30')은 상기 내측격벽(26)과 단자통공(16)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절연판(30)의 표면에는 상기 관통공(30')을 둘러 상기 제1판체(10)를 향해 외측격벽(32)이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외측격벽(32)은 상기 제2판체(20)의 내측격벽(26)을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외측격벽(32)의 횡단면은 사각형상으로, 상기 외측격벽(32)은 내부가 빈 사각기둥형상이다. 상기 외측격벽(32)의 내면에는 상기 내측격벽(26)의 외면이 밀착된다. 상기 외측격벽(32)에 의해 상기 내측격벽(26)의 개구부(26')의 하부가 차폐된다.
상기 외측격벽(32)중 상기 내측격벽(26)의 개구부(26') 양단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각각 연장폴(32')이 높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연장폴(32')은 두 개가 나란히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내측격벽(26)의 상단까지 연장된다. 상기 연장폴(32')의 상단에는 각각 걸이편(32")이 구비된다. 상기 걸이편(32")은 상기 내측격벽(26)의 내부공간으로 아래에서 설명될 암터미널(60)이 오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걸이편(32")은 암터미널(60)의 일측에 형성되는 오삽입방지편(64)이 걸어져 암터미널(60)이 더 이상 삽입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걸이편(32")은 암터미널(60)과 결합되는 부품의 레그가 암터미널(60)의 내부로 삽입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되도록 크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걸이편(32")은 상기 내측격벽(26)을 평면도로 볼 때, 내측격벽(26)의 상면을 덮고 내측격벽(26)에 의해 형성되는 내측 공간까지도 일부 덮도록 된다.
상기 외측격벽(32)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인접하여 인접격벽(33)이 형성된다. 상기 인접격벽(33)은 상기 외측격벽(32)의 일측면과 상기 제1판체(10)의 스컷트부(19)의 두께와 대응되는 간격을 가진다.
상기 외측격벽(32)의 내부에는 외측격벽(32)의 내면에 대해 수직으로 돌출되게 지지돌기(34)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돌기(34)는 상기 지지리브(28)를 향해 연장되는 것이다. 상기 지지돌기(34)의 선단과 지지리브(28)의 표면 사이의 거리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2버스바(50)의 결합부(54)의 두께보다 약간 크게 형성된다. 상기 지지돌기(34)는 그 선단이 상기 지지리브(28)의 높이방향 중간부분에 대응되는 위치에 있게 된다.
상기 지지돌기(34)의 선단 하면에는 삽입안내경사면(34')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안내경사면(34')은 제2버스바(50)의 결합부(54)와의 간섭을 최소화하여 조립이 원활하게 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삽입안내경사면(34')은 상기 제2버스바(50)의 결합부(54)와 비스듬히 마주보게 형성된다.
상기 절연판(30)의 외측격벽(32)의 하단부에 해당하는 절연판(30)의 하면에는 누름리브(36)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누름리브(36)는 상기 절연판(30)이 제2판체(20)에 결합되었을 때, 제2버스바(50)의 몸체부(52)를 제2판체(20) 표면에 밀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돌기(34)는 상기 제2버스바(50)의 결합부(54)를 상기 지지리브(28)에 눌러주는데, 상기 지지돌기(34)가 결합부(54)를 누르는 부분은 제2버스바(50)의 몸체부(52)와 인접한 부분이고, 상기 누름리브(36)가 상기 제2버스바(50)의 몸체부(52)를 누르는 부분은 상기 결합부(54)에 인접한 부분이다.
상기 절연판(30)의 표면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1버스바(40)가 안착되는 부분을 구획하기 위한 구조와 또 다른 구조들이 형성되어 있으나, 본 고안의 요지가 아니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제1버스바(40)는 금속재질로 만들어진 것이다. 상기 제1버스바(40)는 금속판을 프레스 가공하여 형성한 것으로, 몸체부(42)가 상기 절연판(30)에 평행하게 형성된다. 상기 몸체부(42)는 소정의 두께와 폭을 가지는 것이다. 상기 몸체부(42)에서 직각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1판체(10)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결합부(44)가 구비된다. 상기 결합부(44)는 상기 제1판체(10)의 부품장착부(14)중 하나에 해당되는 위치에 있게 된다.
제2버스바(50)도 금속재질로 만들어진 것이다. 상기 제2버스바(50)도 금속판을 프레스 가공하여 형성한 것으로, 몸체부(52)와 결합부(44)로 구성된다. 상기 제2버스바(50)의 몸체부(52)는 상기 제2판체(20)의 표면에 구획리브(27)에 의해 구획된 영역에 놓여진다.
상기 제2버스바(50)는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버스바(40)에 비해 상대적으로 폭이 좁게 형성되어 있다. 이는 상기 제1버스바(40)가 고전압용이라면, 상기 제2버스바(50)는 저전압용이기 때문이다. 물론, 상기 제1버스바(40)와 제2버스바(50)가 다른 위치, 즉 제1버스바(40)가 제2판체(20)상에, 제2버스바(50)가 절연판(30) 상에 안착되게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내측격벽(26)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는 상기 버스바(50)의 결합부(54)와 결합되어 암터미널(60)이 설치된다. 상기 암터미널(60)은 양쪽 방향에서 버스바(50)의 결합부(54)와 부품의 레그가 삽입되어 각각 결합되는 것으로, 내부에는 스프링편(62)이 구비되어 상기 결합부(54)와 레그에 밀착되어 전기적 접점을 형성하게 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배터리배분유니트가 조립되고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에서 상기 제2판체(20) 상에는 구획리브(27)에 의해 구획된 영역에 상기 제2버스바(50)의 몸체부(52)가 안착된다. 상기 제2버스바(50)의 결합부(54)는 각각 상기 내측격벽(26)의 내부에 위치된다. 이때, 상기 제2버스바(50)의 몸체부(52)가 상기 내측격벽(26)의 개구부(26')를 통과하게 된다.
상기 제2버스바(50)가 상기 제2판체(20) 상에 모두 배치되면, 상기 절연판(30)를 상기 제2판체(20)의 표면에 안착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제2버스바(50)의 결합부(54)가 상기 절연판(30)의 외측격벽(32)의 내부공간으로 삽입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외측격벽(32)의 내면에 돌출된 상기 지지돌기(34)는 그 선단의 삽입안내경사면(34')이 상기 제2버스바(50)의 결합부(54)의 선단을 안내하여 서로의 간섭이 최소화되도록 한다.
상기 절연판(30)이 상기 제2판체(20) 상에 안착되면 상기 절연판(30)의 외측격벽(32)이 상기 제2판체(20)의 내측격벽(26)의 하부를 둘러싸게 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내측격벽(26)에 형성된 개구부(26') 하부가 상기 외측격벽(32)에 의해 차폐된다.
그리고, 상기 외측격벽(32)의 내면에 상기 내측격벽(26)의 외면이 밀착되게 위치되는데, 상기 내측격벽(26)의 개구부(26') 양단에 해당되는 모서리부분에는 상기 연장폴(32')이 위치되고, 상기 연장폴(32') 상단의 걸이편(32")은 상기 내측격벽(26)의 상면 및 그 내측공간 일부를 가리도록 위치된다.
또한, 도 2에서 잘 볼 수 있듯이, 상기 절연판(30)에 형성된 누름리브(36)는 상기 제2버스바(50)의 몸체부(52)를 제2판체(20)의 표면에 눌러 지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절연판(30)의 지지돌기(34)는 상기 제2판체(20)의 구획리브(27)의 중간높이와 대응되는 위치에 선단이 설치되어 상기 구획리브(27)와 협력하여 상기 제2버스바(50)의 결합부(54)를 지지하게 된다. 상기 제2버스바(50)의 결합부(54)는 상기 구획리브(27)와 지지돌기(34)에 의해 그 설치 위치가 정확하게 됨과 동시에 유동이 최소화된다. 이와 같이 절연판(30)이 제2판체(20)와 결합된 상태가 도 3에 잘 도시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절연판(30)상에 제1버스바(40)를 배치하고, 상기 제2버스바(50)의 결합부(54)에 암터미널(60)를 결합시킨다. 상기 제1버스바(40)의 몸체부(42)는 상기 절연판(30)의 표면에 배치되고, 상기 결합부(44)는 상기 제1판체(10)를 향해 연장되어 있다. 상기 암터미널(60)은 상기 지지리브(28)의 상단에 지지되어 그 유동과 하강이 방지된다. 특히, 상기 후벽부(18')가 상기 암터미널(60)을 지지하여 상기 내측격벽(26) 내에서 유동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암터미널(60)이 유동되지 않으면 상기 제2버스바(50)의 결합부(54)도 유동하지 않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1판체(10)를 제2판체(20)와 결합한다. 상기 제1판체(10)와 제2판체(20) 사이의 결합은 상기 걸이편(12)의 걸이통공(12')에 걸이턱(22)이 결합됨에 의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1판체(10)의 입구격벽(18)은 상기 제2판체(20)의 내측격벽(26)의 상부를 둘러싸게 된다. 즉, 도 2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격벽(26)의 외부를 둘러 상기 입구격벽(18)이 설치되고, 상기 입구격벽(18)에서 상대적으로 두꺼운 부분이 상기 내측격벽(26)의 개구부(26')에 위치되어 상기 암터미널(60)을 지지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입구격벽(18)은 상기 연장폴(32')이나 걸이편(32")과 간섭되지 않도록 치수가 설계된다.
그리고, 상기 입구격벽(18)의 스컷트부(19)는 상기 절연판(30)의 외측격벽(32)과 인접격벽(33)의 사이에 끼워져, 절연판(30)과 제1판체(10) 사이의 결합이 보다 견고하게 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조립이 완성된 유니트에는 상기 부품장착부(14)에 부품을 장착하는데, 상기 부품의 단자는 상기 단자통공(16)을 통해 상기 내측격벽(26)의 내부공간으로 삽입되어 암터미널(60)에 결합된다.
본 고안에서 상기 유니트는 상기 장착부(24)를 사용하여 차량의 패널이나 샤시에 장착되어 사용되는데, 상기 유니트에는 배터리측에서 나온 전선을 연결하고 외부의 커넥터를 결합하여 사용한다.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면,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장폴(32')과 걸이편(32")이 상기 외측격벽(32)의 양측 모서리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연장폴(32')과 걸이편(32")은 일측 모서리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물론, 오삽입시에 상기 암터미널(60)의 오삽입방지편(64)이 통과할 수 있는 위치이다.
10: 제1판체 12: 걸이편
12': 걸이통공 14: 부품장착부
16: 단자통공 18: 입구격벽
19: 스컷트부 20: 제2판체
22: 걸이턱 24: 장착부
26: 내측격벽 26': 개구부
27: 구획리브 28: 지지리브
30: 절연판 30': 관통공
32: 외측격벽 32': 연장폴
32": 걸이편 33: 인접격벽
34: 지지돌기 34': 삽입안내경사면
36: 누름리브 40: 제1버스바
42: 몸체부 44: 결합부
50: 제2버스바 52: 몸체부
54: 결합부 60: 암터미널

Claims (3)

  1. 제1판체와 제2판체사이의 공간을 구획하게 절연판이 설치되고 상기 제1판체와 절연판, 상기 절연판과 제2판체 사이에 각각 제1 및 제2 버스바가 위치되어 설치되는 배터리분배유니트의 터미널 오조립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판체에서 상기 제1판체를 향해 상기 절연판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일면이 개방된 개방부를 구비하는 내측격벽과,
    상기 내측격벽의 하부 외면 전체를 둘러싸도록 상기 절연판에 형성된 외측격벽과,
    상기 외측격벽중 상기 개방부와 대응되는 양측 모서리중 적어도 일측에서 높이방향으로 연장된 연장폴의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내측격벽에 의해 형성된 공간으로 연장형성되어 터미널이 오조립되는 것을 차단하는 걸이편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판체에는 상기 내측격벽의 상부 외면을 둘러싸는 입구격벽이 구비되는데, 상기 입구격벽에는 상기 연장폴과 걸이편과의 간섭회피를 위한 간섭회피부가 구비되는 배터리분배유니트의 터미널 오조립방지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편은 상기 외측격벽중 상기 개방부와 대응되는 양측 모서리 모두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분배유니트의 터미널 오조립방지장치.
KR2020100013392U 2010-12-24 2010-12-24 배터리분배유니트의 터미널 오조립방지장치 KR2004772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3392U KR200477203Y1 (ko) 2010-12-24 2010-12-24 배터리분배유니트의 터미널 오조립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3392U KR200477203Y1 (ko) 2010-12-24 2010-12-24 배터리분배유니트의 터미널 오조립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4839U KR20120004839U (ko) 2012-07-04
KR200477203Y1 true KR200477203Y1 (ko) 2015-05-15

Family

ID=46852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3392U KR200477203Y1 (ko) 2010-12-24 2010-12-24 배터리분배유니트의 터미널 오조립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720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2116B1 (ko) 2013-11-12 2017-08-2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조립이 용이한 전지 팩
KR102017226B1 (ko) * 2015-10-02 2019-09-02 주식회사 엘지화학 나사 체결 부위의 비틀림 응력을 완화할 수 있는 커버 조립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3159U (ja) * 1991-12-19 1993-07-13 矢崎総業株式会社 中継端子の誤挿入防止構造
KR20090063724A (ko) * 2007-12-14 2009-06-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전원분배박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3159U (ja) * 1991-12-19 1993-07-13 矢崎総業株式会社 中継端子の誤挿入防止構造
KR20090063724A (ko) * 2007-12-14 2009-06-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전원분배박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4839U (ko) 2012-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80351B2 (en) Wiring module
US20060036362A1 (en) High-tension connector box
CA2761025C (en) Bracket structure in electrical junction box
US7286338B2 (en) Electrical connection box
JP6211483B2 (ja) リーク遮断構造、電子部品、及び、電子部品ユニット
KR102046904B1 (ko) 용이한 설치가 가능한 조립식 분전반
US20120267162A1 (en) Waterproof structure of electrical junction box
CN103259106B (zh) 螺丝紧固块
KR20220097309A (ko) 고전압 연결용 단자 본체, 케이블 조립체 및 커넥터
JP2016111835A (ja) 鉄道車両の電気接続箱用パッキン及び鉄道車両の電気接続箱
KR200477203Y1 (ko) 배터리분배유니트의 터미널 오조립방지장치
KR20140136152A (ko) 정션박스
US8021199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large locking force
KR101671866B1 (ko) 컨벤셔널 타입 박스의 프런트 티피에이 조립구조
KR101758672B1 (ko) 배터리분배유니트
KR101748850B1 (ko) 전원분배장치
KR101687231B1 (ko) 자동차용 블럭
CA2916224C (en) Block for vehicle
KR100734053B1 (ko) 정션박스의 터미널 조립구조 및 그 방법
KR101512615B1 (ko) 자동차용 박스
JP3482927B2 (ja) 電気接続箱
KR101146498B1 (ko) 배터리분배유니트
JP5633197B2 (ja) 電気接続箱
KR200459824Y1 (ko) 배터리분배유니트의 버스바고정장치
KR101001887B1 (ko) 차량용 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