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8409B1 - 자체 로킹 결합 단자 구조 - Google Patents

자체 로킹 결합 단자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8409B1
KR100198409B1 KR1019950041621A KR19950041621A KR100198409B1 KR 100198409 B1 KR100198409 B1 KR 100198409B1 KR 1019950041621 A KR1019950041621 A KR 1019950041621A KR 19950041621 A KR19950041621 A KR 19950041621A KR 100198409 B1 KR100198409 B1 KR 1001984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terminal
insertion direction
cam
ma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416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9858A (ko
Inventor
바비에리 실비오
마르투찌 로베르토
Original Assignee
루이스 에이. 헥트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루이스 에이. 헥트,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루이스 에이. 헥트
Publication of KR9600198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98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84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84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0Pins, blades, or sockets shaped, or provided with separate member, to retain co-operating parts togeth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3Resilient sockets co-operating with pins or blades having a rectangular transverse section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결합 단자 구조는 하부벽으로부터 형성된 가요성 캔틸레버형 접촉 비임을 구비한 리셉터클을 한정한 박스형 암형 단자를 포함한다. 이 비임은 둥근 접촉부를 포함한다. 수형 단자는 소정 삽입 방향(A)으로 리셉터클 내부로 삽입 가능하고 캔틸레버형 접촉 비임을 편향시키고 캔틸레버형 접촉 비임의 접촉부에 결합하는 접촉캠을 포함한다. 접촉캠은 접촉부를 결합시키고 캔틸레버형 접촉 비임을 점차 편향시키도록 삽입 방향에 대해 비교적 작은 예각으로 연장한 선행 경사면을 갖는다.
접촉캠은 캔틸레버형 비임의 접촉부와 수형 단자의 접촉캠 사이에 로킹 간섭을 제공함으로써 수형 단자를 암형 단자에 제거 가능하게 로킹 시키도록 삽입 방향에 대해 비교적 큰 예각으로 연장되는 후속 로킹 표면도 갖는다.

Description

자체 로킹 결합 단자 구조
제1도는 암형 및 수형 단자를 분리시킨 본 발명의 결합 단자 구조의 사시도.
제2도는 수형 단자가 결합된 암형 단자의 부분 수직 단면도.
제3도는 수형 단자가 삽입된 암형 단자의 결합 단부의 부분 단면도.
제4도는 제3도와 유사하지만 수형 단자가 암형 단자 내부로 부분적으로 삽입되어 가요성 캔틸레버형 접촉 비임을 편향시킨 것을 도시한 단면도.
제5도는 제4도와 유사하지만 수형 단자가 암형 단자 내부로 완전히 삽입된 것을 도시한 단면도.
제6도는 커넥터 하우징들 사이의 래칭 구조를 포함한 종래 기술의 커넥터 조립체의 수직 단면도.
제7도는 본 발명의 결합 단자 구조를 채택한 커넥터 조립체의 수직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결합 단자 구조 12,74 : 수형 블레이드 단자
14,86 : 박스형 암형 단자 18 : 크림프 아암
22,90 : 전기 케이블 24 : 평면부
28 : 측면 탱부 32 : 접촉캠
34 : 상부벽 36 : 하부벽
38 : 측벽 40 : 멈춤부
42 : 가요성 캔틸레버형 접촉 비임 48 : 하부 레그
50 : 자유 단부 54 : 상부 레그
54a : 접촉 표면 56 : 접촉부
56a : 로킹 표면 60 : 선행 경사면
62 : 후속 로킹 표면 70 : 전기 커넥터
72 : 제1커넥터 76 : 수평 단자핀
78 : 꼬리부 82 : 인쇄 회로 기판
84 : 결합 단부 92,98 : 래치 아암
94 : 후크부 96 : 로킹 보스
100 : 커넥터 조립체 102 : 리셉터클 커넥터
103,105 : 유전체 하우징 104 : 플러그 커넥터
106 : 공동
본 발명은 전기 커넥터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커넥터의 결합 단자를 상호 결합시킴으로써 한 쌍의 커넥터를 로킹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대체로, 전기 커넥터 조립체는 보통, 특정 형상으로 서로 결합하는 플러그 및 리셉터클 또는 다른 암수 커넥터 등의 한쌍의 전기 커넥터를 포함하고 있다. 각각의 커넥터는 보통,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전기 단자가 내부에 장착된 절연체 또는 유전체 하우징을 포함하고 있다. 단자는 전기 와이어 또는 케이블에 경선될 수 있으며, 이들 커넥터 중 하나 또는 양방은 단자가 기판상의 회로 배선에 결합된 상태로 인쇄 회로 기판에 장착될 수 있다. 아무튼, 두개의 결합 커넥터의 단자는 특정 형상으로 결합 또는 상호 접속한다. 예를 들어, 암형 또는 리셉터클 단자는 수형 또는 핀 단자를 수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술한 특성의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 결합 커넥터들 간의 정확한 접속은 통상 다음 시스템들 즉, (a) 커넥터 하우징들간의 정확한 로킹, (b) 단자를 간의 정확한 로킹, 또는 (c) 하우징 및/또는 단자들 간의 마찰 유지력들 중의 하나 또는 그 이상에 의해 고정된다. 종래에는 이들 각각의 시스템들에서 다양한 문제점이 발생되어왔다.
특히, 일체 성형된 또는 별도로 분리된 금속 래치들처럼, 커넥터 하우징들간의 정확한 로킹에 의해 로킹 기능이 수행될 때, 하우징은 주로 복잡한 주형 또는 고가의 제2부품 및 조립체를 포함하고, 결국 이들 로킹 기구들을 수용하도록 전체 커넥터 조립체에 대해 더 큰 외형 치수를 요구한다. 이는, 특히 전기 커넥터 조립체를 보다 소형화하는데는 아주 바람직하지 못한 방법이다. 제2금속 래치의 경우에는, 별도의 다이 및 제2조립 공정의 비용은 커넥터와 연관된 비용을 상당히 증가시킨다. 게다가 래치는 부주의로 인해 하우징으로부터 로킹 해제, 파손 및 탈락되고 커넥터가 부주의하게 해체될 수도 있다.
단자들 자체간에 정확한 로킹이 일어날 때, 과잉 결합력을 가하면 커넥터의 분리가 불가능은 아니더라고 상당한 어려움을 일으키는 일이 있다. 특히, 상호 로킹된 단자들 중의 하나 또는 양방이 로킹 기구를 해제하도록 작동되야 만할 때는 더욱 그렇다. 다시 말하면, 단자를 분리시키기 위해서는 가압 가능한 캠 또는 웨지와 같은 로킹 기구를 수동으로 해제해야 한다. 게다가, 커넥터가 결합 횟수를 거듭할수록 단자들 간의 래칭은 종종 단자들 중의 하나 또는 양방에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해제 가능한 래치들의 로킹 능력은 격감된다.
단자 및/또는 커넥터 하우징의 마찰 유지력은 커넥터가 진동 또는 열팽창을 받아서 제어되지 않은 바람직하지 못한 해체를 유발할 수 있는 환경에서는 역영향을 입게 된다. 게다가, 심한 마찰 접속은 커넥터의 완전한 결합에 관한 감각적 반응을 사용자에 제공하지 못하게 되어 이러한 용도에서는 회로의 개방과 불완전한 또는 부분적인 결합 등의 위험을 증가시킨다.
본 발명은 많은 횟수 결합 주기에 걸쳐 구조물의 로킹 능력을 보장하지는 못하지만 암수 단자 부품의 완전 결합시에 감각적 또는 촉각적 반응은 제공할 수 있는 제거 가능하게 래치 가능한 결합 단자 구조를 채택하여 결합 커넥터들 사이에 정확한 연결을 제공함으로써 상술한 많은 문제점들을 해결하려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한 쌍의 전기 접속 장치 또는 커넥터들을 서로 제거 가능하게 래칭하기 위한 신규하고 개선된 결합 단자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단자 구조는 보통 평면 수형 블레이드 단자를 포함한다. 박스형 암형 단자는 수형 블레이드 단자를 수납한다. 암형 단자는 블레이드 단자를 소정 삽입 방향으로 암형 단자에 삽입할 때 수형 블레이드 단자에 의해 결합되어 편향되도록 구성된 둥근 접촉부를 구비한 가요성 캔틸레버형 접촉 비임을 갖는다.
본 발명은 블레이드 단자를 암형 단자에 완전히 삽입할 때 수형 단자의 둥근 접촉부에 결합되기 위한 일체식 접촉캠을 포함하는 수형 단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접촉캠은 캔틸레버형 접촉 비임을 점차 편향시키고 그 접촉부에 결합되기 위해 삽입 방향에 대해 비교적 작은 예각으로 연장한 선행 경사면을 갖는다. 접촉캠은 또 캔틸레버형 비임의 접촉부와 수형 단자의 접촉캠 사이에 로킹 간섭을 제공함으로써 수형 단자가 암형 단자에 제거 가능하게 로킹되도록 삽입 방향에 대해 비교적 큰 예각으로 연장한 후속 로킹면도 갖는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수형 블레이드 단자는 단자의 평면부로부터 일체로 형성된 접촉캠을 구비한 압인 및 성형된 금속 판재를 포함한다.
암형 단자의 캔틸레버형 접촉 비임은 수형 단자를 수납 및 대면하도록 상보적인 형태로 이루어진다. 특히, 캔틸레버형 접촉 비임은 접촉캠의 선행 경사면에 의해 점차로 결합되도록 수형 단자의 삽입 방향에 대해 비교적 작은 예각으로 암형 단자의 하부벽으로부터 암형 단자의 접촉부를 향해 상방 및 후방으로 연장한다.
접촉부의 다른 측면 상에서는, 비임이 접촉캠의 후속 로킹면과 로킹 결합되도록 삽입 방향에 대해 비교적 큰 예각으로 연장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제1 및 제2유전체 커넥터 하우징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상술한 암수 로킹 단자 구조를 각각 장착하는 커넥터 조립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해서 취해진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신규 하다고 믿어지는 본 발명의 특징들은 특히 첨부된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 및 이점과 함께, 본 발명은 동일 요소에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인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취한 다음의 설명을 참조로 가장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우선 제1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평면 수형 블레이드 단자(12) 및 박스형 암형 단자(14)를 포함한 결합 단자 구조(10)를 채택하고 있다. 이하에서 명확히 설명하겠지만, 수형 단자(12)는 인쇄 회로 기판상의 회로 배선에 결합되기 위한 꼬리부(16)를 포함한다. 암형 단자(14)는 전기 케이블(22)의 도체(20)에서 크림핑 또는 접속되기 위한 한 쌍의 크림프 아암(18)을 포함한다.
특히, 수형 블레이드 단자(12)는 도전성 금속 판재로 압인 및 성형되고, 단자의 종단부를 이루는 꼬리부(16)와 단자의 결합 또는 블레이드 단부를 이루는 평면부(24)를 구비한다. 수형 블레이드 단자(12)의 평면부는 내부에 단자가 고정되도록 커넥터 하우징의 플라스틱 재료에 스키빙된 종방향 연장 보강 리브(26) 및 측면 탱부(28)를 포함한다. 블레이드부(24)의 말단부는 수형 단자가 암형 단자(14)에 화살표 A로 표시된 삽입 방향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도면 부호 30부분에서 모떼기 또는 테이퍼진다. 따라서, 수형 블레이드 단자는 이후에 상세하게 설명된 단자의 결합 단부에서 평면부(24)로부터 성형된 접촉캠(32)을 포함한다. 암형 단자(14)의 크림프 아암(18) 및 수형 단자의 접속 단부는 단지 예시적일 뿐이며, 그 단자들은 본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모든 접속 단부도 포함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암형 단자(14)는 도전성 금속 판재로 형성되고 상부벽(34), 하부벽(36) 및 한쌍의 측벽(38)에 의해 한정된 박스형 결합 단부를 포함하고 암형 단자 내부로의 삽입시에 수형 블레이드 단자(12)를 중심 맞추고 안내하는 기능을 한다. 가요성 캔틸레버형 접촉 비임(42)은 이후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단자의 박스형 결합 단부 내의 하부벽(36)의 전방 웨지로부터 상방 및 후향으로 크림프 아암(18)을 향해 수형단자(12)의 접촉캠(32)에 결합하도록 형성된다. 제2쌍의 크림프 아암(44)은 전기 케이블(22)의 외부 절연부 또는 피복부(46)상에 크림프 되어 변형 경감 수단을 제공하도록 도체 크림프 아암(18) 후방으로 암형 단자(14)의 접속 단부에 위치된다.
제1도와 관련하여 제2도를 참조하면, 암형 단자의 가요성 캔틸레버형 접촉 비임(42)은 대체로 U자형으로 이루어지고 하부벽(36)의 내측에 결합되기 위한 자유단부(50)를 도면 부호 52 부분에 갖는 하부 레그(48)를 포함한다. 상부 레그(54)는 하부벽(36)의 전방 에지로부터 박스형 암형 단자 내부로 상방 및 후향 캔틸레버된다. 접촉 비임의 하부 및 상부 레그(48 및 54)는 만곡형 또는 둥근 접촉부(56)에 의해 연결된다. 접촉 비임(42)의 이러한 특정 형상은 접촉부(56)의 한쪽 측면으로 부터 화살표 A의 삽입 방향에 대해 비교적 적은 예각으로 연장한 상부 레그(54)상에 경사면(54a)을 포함하는 것을 제2도에서 명확하게 알 수 있다. 접촉부(56)의 대향 측면상에는, 비임의 형상이 삽입 방향 A에 대해 비교적 큰 예각으로 연장한 로킹 표면(56a)을 포함한다.
제2도를 참조하면, 상술된 것처럼, 수형 블레이드 단자(12)는 평면부(24)로부터 돌출한 일체식 둥근 접촉캠(32)을 갖는다. 이러한 접촉캠은 가요성 캔틸레버형 접촉 비임(42)과 작동 연결된다. 특히, 수형 블레이드 단자가 암형 단자로 삽입될 때 접촉캠(32)이 접촉 비임(42)을 점차 편향시키면서 경사면(54a) 및 접촉부(56)를 타고 넘도록 삽입 방향 A에 대해 비교적 작은 예각으로 연장한 선행 경사면(60)을 갖는다. 선행 경사면(60)의 비교적 작은 예각 및 접촉 비임의 대응한 작은 예각으로 인해서, 수형 단자를 암형 단자 내부로 삽입하는데는 비교적 낮은 삽입력만이 필요하다. 접촉 비임의 접촉부(56)는 도면 부호 61부분에, 결합 상태에서 단자들 간의 접촉을 개선하기 위해 높은 수직력이 가해지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접촉캠(32)은 삽입 방향 A에 대해 비교적 큰 예각으로 연장되는 후속 로킹 표면(62)도 포함한다. 경사진 로킹 표면(54a)은 캔틸레버형 접촉 비임(42)의 접촉부(56)와 접촉캠(32) 사이에 로킹 간섭을 제공하도록 구성되어 수형 단자(12)를 압형 단자(14)에 제거 가능하게 로킹하게 되어 있다.
접촉캠(32)의 기능 작동 및 캔틸레버형 접촉 비임(42)의 형상은 제2도에 도시하였는데, 이 도면에서 가상선(66)은 접촉캠의 로킹 표면(62)과 캔틸레버형 접촉 비임의 접촉부(56)의 로킹 표면(56a) 사이의 결합 경계면에 대한 접선 평면을 나타낸다. 화살표 68은 대체로 접선 평면(66)에 수직인 축, 즉, 삽입 방향 A에 대향한 수형 단자 (12)상의 견인력에 응답하는 결합 단자들 사이의 수직력의 성분을 나타낸다. 화살표 70은 단자들 사이의 로킹력을 나타낸 삽입 방향 A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수직력(68)의 성분을 나타낸다. 이러한 형상은 고 접촉력 연결을 제공하는 비교적 높은 임계치의 힘에 의한 단자 구조의 분해를 허용하지만 단자가 두 개의 둥근 부분상에(즉, 축(66)에 대해 0도가 아닌 각도로) 상호 연결되기 때문에 단자에는 손상의 위험이 없다. 이러한 둥근 형상은 실제로 커넥터의 결합을 용이하게 한다. 다시 말해서, 둥근 형상은 캔틸레버형 접촉 비임(42)의 탄성 반력으로 인해 견인 삽입 표과(pull-in effect)를 일으킨다. 그러므로, 접촉캠(32)의 후속 표면(62) 및 접촉 비임(42)의 로킹 표면(56a)의 급경사(abrupt angles)로 인하여, 수형 단자의 삽입중에 삽입력의 급격한 감소가 일어나고, 또한 접촉 비임의 탄성 복원으로, 사용자에게 단자가 전체적으로 결합되는 감각적 응답을 제공하게 된다.
상술로부터, 단자 구조(10)의 결합의 신뢰성은 상술된 결합 프로필에 의해 보장되고, 접속은 진동 또는 다른 우연한 분리와 같은 조건에 대해 확실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단자 구조의 낮은 결합력과 큰 분리력이 결합하여 사용중에 우연한 분리를 피할 수는 있지만 압축식 캠, 웨지 또는 기타 해제 기구와 같은 작동 수단을 사용하기 않고 단자의 분리를 허용한다.
제3도 내지 제5도는 단자 구조(10) 수형 단자(12)를 암형 단자(14)에 삽입하는 순서를 도시한다. 특히, 제3도는 암형 단자(14)의 박스형 결합 단부에 삽입하기 전의 수형 단자를 도시한다. 암형 단자의 가요성 캔틸레버형 접촉 비임(42)은 무응력 비편향 상태에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제4도는 수형 단자(12)가 암형 단자(14)에 부분적으로 삽입되고 수형 단자의 접촉캠(32)이 캔틸레버형 접촉 비임(42)을 편향시킨 상태를 도시한다. 이러한 동작중에, 접촉캠은 접촉 비임 위에 걸쳐진다. 즉, 접촉 비임의 접촉 표면(54a)상에 올라타서 접촉캠의 선형 경사면(60)은 최소 삽입력으로 점차적으로 편향되면서 접촉면상에 걸쳐진다. 블레이드 단자는 암형 단자의 상부벽(34)내의 멈춤부(40)에 의해 암형 단자로 중심 맞춤 및 안내된다.
제5도는 수형 단자(12)가 암형 단자(14)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다.
이러한 완전 삽입 위치는 제2도에서 도시되고 상술된 단자의 관련 위치에 대응한다. 그러나, 각각의 수형 및 암형 단자의 선행 경사면(60) 및 접촉 표면(54a)의 작은 각도로 인하여, 수형 단자는 화살표 A의 방향으로 암형 단자에 삽입할 때는, 최소량만을 요하지만, 화살표 B(제5도)의 방향으로 단자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제2도와 관련하여 상술된 것처럼 수형 단자상의 표면(62) 및 암형 단자상의 로킹 표면(56a)의 각도가 크기 때문에 발생되는 아주 큰 힘이 제공되어야 한다.
제6도는 종래 기술로 알려진 통상의 커넥터인 전기 커넥터(70)를 도시한다.
아주 일반적으로, 커넥터 조립체는 단자의 결합 단부에는 수형 단자핀 또는 블레이드(76)를, 접속 단부에는 꼬리부(78)를 갖고 있는 복수의 수형 단자를 장착하는 제1커텍터(72)를 포함한다. 꼬리부는 기판상 및/또는 구멍 내부의 회로 배선에 결합되기 위해 인쇄 회로 기판(82)의 구멍(80)으로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단자핀(76)은 상보적 결합 제2커넥터(88)의 암형 단자(86)의 결합 단부(84)로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암형 단자는 상술된 암형 단자(14)와 마찬가지로 별도의 전기 케이블(90)에 접속된다. 커넥터 조립체(70)의 제1 및 제2커넥터(72,88)들은 각각 커넥터 하우징을 통해 그리고 커넥터(88)의 래치 아암(98)상에 로킹 보스(96)에 스냅 로킹 연결하는 후크부(94)를 갖는 커넥터(72)상의 래치 아암(92)에 의해 함께 정확하게 로킹된다.
제7도는 커넥터 조립체(100)를 도시하며, 리셉터클 커넥터(102)는 제1도 내지 제4도와 관련하여 상술된 복수의 수형 단자(12)를 장착하는 유전체 하우징(103)을 포함한다. 플러그 커넥터(104)는 리셉터클 커넥터(102)의 공동(106)에 삽입되도록 구성된 유전체 하우징(105)을 포함한다. 플러그 커넥터는 제1도 내지 제4도와 관련하여 상술된 복수의 암형 단자(14)를 장착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도 내지 제5도에 도시되고 상술된 것처럼, 커넥터 조립체(100)의 커넥터(102,104)들은 수형 단자(12)와 암형 단자(14) 사이를 상호 결합함으로써 정확하게 로킹된다.
이제, 제7도의 커넥터 조립체와 제6도의 종래 기술의 커넥터 조립체(70)를 비교하면, 본 발명에 의해 구체화된 것처럼 단자 사이에 직접이 아니라 커넥터 하우징 사이에 로킹 시스템을 이용하는 커넥터 조립체(70)에 비해 커넥터 조립체(100)의 전체 외형 치수나 형상이 감소되는 것을 알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적 또는 중심적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고 다른 특정 형태로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예들 및 실시예들은 설명적이고 비 제한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야 하며, 본 발명은 그 세부 사향에 제한되어서는 안된다.

Claims (9)

  1. 평면 수형 블레이드 단자와, 수형 블레이드 단자를 수납하고 소정 삽입 방향 A로 암형 단자 내부에 블레이드 단자를 삽입할 때 수형 블레이드 단자에 의해 결합되어 편향되도록 구성된 둥근 접촉부를 구비한 가요성 캔틸레버형 접촉 비임을 갖는 박스형 암형 단자를 포함하는 결합 단자 구조에 있어서, 상기 수형 블레이드 단자는 암형 단자에 삽입할 때 암형 단자의 둥근 접촉부에 결합하기 위한 일체의 접촉캠을 갖고 있고, 상기 접촉캠은, 암형 단자로 블레이드 단자를 삽입하는 도중에 최소 삽입력으로 캔틸레버형 접촉 비임을 점차로 편향시키고 캔틸레버형 접촉 비임의 접촉부에 결합하며 상기 삽입 방향에 대해 비교적 작은 예각으로 연장되는 선행 경사면과, 접촉부와 접촉캠 사이에 확실한 간섭을 제공함으로써 수형 단자를 암형 단자에 제거 가능하게 로킹하며 상기 삽입 방향에 대해 비교적 큰 예각으로 연장되는 후속 로킹 표면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 단자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형 블레이드 단자는 단자의 평면부에서 일체로 형성된 둥근 돌출부에 의해 한정된 접촉캠을 구비한 압인 및 성형된 금속 판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 단자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캔틸레버형 접촉 비임은, 접촉캠의 선행 경사면에 의해 결합되도록 상기 삽입 방향 A에 대해 비교적 적은 예각으로 상기 접촉부의 한쪽 측면으로부터 후향 연장되는 경사 접촉 표면을 갖는 레그와, 접촉캠의 후속 로킹 표면과 로킹 연결되도록 삽입 방향 A에 대해 비교적 큰 예각으로 상기 접촉부의 다른쪽 측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로킹 표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 단자 구조.
  4. 둥근 접촉부를 포함한 가요성 캔틸레버형 접촉 비임을 수납하는 리셉터클을 한정하는 암형 단자와, 소정 삽입 방향 A로 암형 단자의 리셉터클 내에 삽입 가능하고 캔틸레버형 접촉 비임을 점차로 편향시키고 그 캔틸레버형 접촉 비임의 접촉부에 결합되도록 구성된 둥근 접촉캠을 포함한 수형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접촉캠은, 최소 삽입력으로 캔틸레버형 접촉 비임을 점차로 편향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삽입 방향 A에 대해 비교적 작은 예각으로 연장되는 선행 경사면과, 접촉부와 접촉캠 사이에 확실한 간섭을 제공함으로써 수형 단자를 암형 단자에 제거 가능하게 로킹하며 상기 삽입 방향 A에 대해 비교적 큰 예각으로 연장되는 후속 로킹 표면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 단자 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형 단자는 단자의 평면부에서 일체로 형성된 둥근 돌출부에 의해 한정되는 접촉캠을 구비한 압인 및 성형된 금속 판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 단자 구조.
  6. 제4항에 있어서, 단자의 리셉터클은 박스형이며 상부벽, 하부벽 및 한 쌍의 측벽을 포함하고, 캔틸레버형 접촉 비임은 상기 하부벽으로부터 상방 및 후향 돌출하며 접촉캠의 선행 경사면에 의해 결합되도록 상기 삽입 방향 A에 대해 비교적 적은 예각으로 상기 접촉부의 한쪽 측면으로부터 후향 연장되는 경사 접촉 표면을 갖는 레그와, 접촉캠의 후속 로킹 표면과 로킹 연결하도록 삽입 방향 A에 대해 비교적 큰 예각으로 상기 접촉부의 다른쪽 측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로킹 표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 단자 구조.
  7. 하부벽으로부터 형성되고 둥근 접촉부를 포함하는 가요성 캔틸레버형 접촉 비임을 구비한 리셉터클을 한정한 복수의 암형 단자를 장착하는 유전체 하우징을 포함하는 제1전기 커넥터와, 제1전기 커넥터에 결합되며 소정 삽입 방향으로 암형 단자의 리셉터클 내부로 삽입 가능한 복수의 수형 단자가 장착되는 유전체 하우징을 포함하고 암형 단자의 캔틸레버형 접촉 비임을 편향시키면, 캔틸레버형 접촉 비임의 접촉부에 결합되는 둥근 접촉캠을 구비한 제2전기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접촉캠은, 리셉터클에 수형 단자를 삽입하는 도중에 최소 삽입력으로 캔틸레버형 접촉 비임을 편향시키기 위해 상기 삽입 방향 A에 대해 비교적 작은 예각으로 연장되는 선행 경사면과, 접촉부와 접촉캠 사이에 확실한 간섭을 제공하도록 상기 삽입 방향 A에 대해 비교적 큰 예각으로 연장되는 후속 로킹 표면을 갖고 있어서, 제1커넥터를 제2커넥터에 완전히 삽입하면, 수형 단자가 암형 단자에 제거가능하게 로킹 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8. 제7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수형 단자는 단자의 평면부에 일체로 형성된 둥근 돌출부에 의해 한정되는 접촉캠을 구비한 압인 및 성형된 금속 판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 단자 구조.
  9. 제7항에 있어서, 암형 단자의 리셉터클은 박스형이며, 상부벽, 하부벽 및 한쌍의 측벽을 포함하고, 캔틸레버형 접촉 비임은, 접촉캠의 선행 경사면에 의해 결합되도록 상기 삽입 방향에 대해 비교적 적은 예각으로 상기 하부벽으로부터 상방 및 후향 연장한 경사 접촉 표면을 갖는 레그와, 접촉캠의 후속 로킹 표면과 로킹 연결하도록 삽입 방향 A에 대해 비교적 큰 예각으로 상기 접촉부의 다른쪽 측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로킹 표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 단자 구조.
KR1019950041621A 1994-11-17 1995-11-16 자체 로킹 결합 단자 구조 KR1001984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94118081.2 1994-11-17
EP94118081A EP0713263B1 (en) 1994-11-17 1994-11-17 Self-locking mating terminal struc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9858A KR960019858A (ko) 1996-06-17
KR100198409B1 true KR100198409B1 (ko) 1999-06-15

Family

ID=8216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41621A KR100198409B1 (ko) 1994-11-17 1995-11-16 자체 로킹 결합 단자 구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639270A (ko)
EP (1) EP0713263B1 (ko)
JP (1) JP2932164B2 (ko)
KR (1) KR100198409B1 (ko)
CN (1) CN1134050A (ko)
DE (1) DE69425829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03077B1 (en) 1997-10-03 2001-03-20 Southco, Inc. Over-center toggle latch with integral safety switch
JP3686551B2 (ja) * 1999-06-17 2005-08-24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金具
DE10012931A1 (de) * 2000-03-16 2001-09-20 Grote & Hartmann Elektrisches Kontaktelement
US7101231B2 (en) * 2003-10-09 2006-09-05 Cooper Technologies Company Locking spring-clamp terminal block and method for connecting the same
US6932659B1 (en) * 2004-01-14 2005-08-23 Yazaki North America, Inc. Terminal with card edge locking provisions
EP2211425A1 (en) 2009-01-23 2010-07-28 MTA S.p.A. Female electrical terminal
CN202772303U (zh) 2012-09-04 2013-03-06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电连接器和电连接器组件
JP5822145B2 (ja) * 2012-10-09 2015-11-24 住友電装株式会社 端子金具の接続構造
US9331413B2 (en) * 2014-07-02 2016-05-03 Delphi Technologies, Inc. Dual thickness double-ended male blade terminal
JP5831611B1 (ja) * 2014-09-19 2015-12-09 第一精工株式会社 コネクタ端子の接続構造
JP6278024B2 (ja) * 2014-12-17 2018-02-1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コネクタ
US10193274B2 (en) * 2015-04-09 2019-01-29 Phoenix Contact Development and Manufacturing, Inc. Electronics module extraction feedback system
DE102016123162B4 (de) * 2016-11-30 2022-05-19 Lear Corporation Zweistückiger elektrischer anschlussstecker und verfahren zum zusammenfügen desselben
EP3766140A4 (en) * 2018-03-16 2021-12-08 Fci Usa Llc HIGH DENSITY ELECTRICAL CONNECTORS
EP3800746A1 (en) * 2019-10-04 2021-04-07 Aptiv Technologies Limited Right angle and straight-line connector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48082A (en) * 1938-02-02 1941-07-08 William P Herman Contact plug assembly
DE1130879B (de) * 1960-03-28 1962-06-07 Busch Jaeger Duerener Metall Steckerzunge fuer einpolige loesbare elektrische Flachsteckverbindung
US3065451A (en) * 1960-07-26 1962-11-20 Patton Macguyer Co Male-female connector
US3373398A (en) * 1965-09-23 1968-03-12 Amp Inc Terminal block
FR1540606A (fr) * 1966-10-03 1968-09-27 Winemar Ab Curt Fiche de prise de courant
NL7606255A (nl) * 1975-06-26 1976-12-28 Marquardt J & J Schroefloze klemverbinding.
DE3242635C2 (de) * 1982-03-12 1994-02-17 Elisabeth Ramel Elektrischer Steckverbinder
NL8202668A (nl) * 1982-07-02 1984-02-01 Philips Nv Elektrisch kontaktorgaan.
DE3244939C1 (de) * 1982-12-04 1984-03-29 Kabelwerke Reinshagen Gmbh, 5600 Wuppertal Verriegelbare elektrische Flachsteckbuchse und damit versehener elektrischer Verbinder
US4632483A (en) * 1983-02-07 1986-12-30 Microdot Inc. Electrical terminal
JPS61237375A (ja) * 1985-04-11 1986-10-22 アンプ インコ−ポレ−テツド レセプタクル端子
FR2589637B1 (fr) * 1985-11-05 1987-12-11 Labinal Element femelle de contacts electriques
JPS62135374U (ko) * 1986-02-19 1987-08-26
JPH0259578U (ko) * 1988-10-26 1990-05-01
JPH0727782B2 (ja) * 1990-05-02 1995-03-29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GB9027858D0 (en) * 1990-12-21 1991-02-13 Amp Holland Stamped and formed electrical tab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8287984A (ja) 1996-11-01
JP2932164B2 (ja) 1999-08-09
EP0713263B1 (en) 2000-09-06
CN1134050A (zh) 1996-10-23
DE69425829D1 (de) 2000-10-12
KR960019858A (ko) 1996-06-17
US5639270A (en) 1997-06-17
DE69425829T2 (de) 2001-04-26
EP0713263A1 (en) 1996-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95174B2 (ja) 電気コネクタ
US6585536B1 (en) Cable end connector with locking member
JP2887579B2 (ja) ロック式電気コネクタとその製造方法
US6210240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terminal
US5417590A (en) Plug and socket electrical connector system
US6655979B1 (en) Cable end connector with locking member
KR100231122B1 (ko) 개선된 배치 수단을 갖는 전기 커넥터
KR100198409B1 (ko) 자체 로킹 결합 단자 구조
US5486118A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terminal position assurance device and guide means for a mating connector
EP0805523A2 (en) Electrical connector latching system
US5470258A (en) Electrical connector
EP0760542A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latching system
US5928027A (en) Electrical connector system for a flat flexible circuit
US4900263A (en) Positive connector latch
US6773293B1 (en) Cable end connector with locking member
US5160279A (en) Double lock connector
US4441776A (en) Quick detachable coupling
JPH05275135A (ja) 雌型電気端子
EP0001885B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including latching means
US9960533B2 (en) Connector with locking mechanism
JP2006510169A (ja) 端子位置維持(assurance)システムを有する電気コネクタ
CN114927899A (zh) 具有配合辅助组件的连接器
US6830485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a terminal pin stabilizing plate
US4192568A (en) Connector assembly and improved connector plug
US20060110969A1 (en) Cable assembly having improved lat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11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