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4007A - 버스 바를 포함하는 터미널 조립체 - Google Patents

버스 바를 포함하는 터미널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4007A
KR20190044007A KR1020180123766A KR20180123766A KR20190044007A KR 20190044007 A KR20190044007 A KR 20190044007A KR 1020180123766 A KR1020180123766 A KR 1020180123766A KR 20180123766 A KR20180123766 A KR 20180123766A KR 20190044007 A KR20190044007 A KR 201900440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bar
housing
latching
detent spring
spring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3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0744B1 (ko
Inventor
안드레아 괴체
하르트무트 폴만
루돌프 메르츠
Original Assignee
피닉스 컨택트 게엠베하 & 컴퍼니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닉스 컨택트 게엠베하 & 컴퍼니 카게 filed Critical 피닉스 컨택트 게엠베하 & 컴퍼니 카게
Publication of KR201900440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40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07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07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2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6Clip-on terminal blocks for side-by-side rail- or strip-moun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30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crew or nut clamping member
    • H01R4/302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crew or nut clamping member having means for preventing loosening of screw or nut, e.g. vibration-proof conn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01R11/12End pieces terminating in an eye, hook, or for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3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clamping member acted on by screw or nut

Abstract

적어도 하나의 전기 전도체(2)를 연결하기 위한 터미널 조립체(1)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에 연결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전기 전도체(2)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버스 바(11)를 포함한다. 또한 버스 바(11)를 하우징(10)에 래칭 방식으로 연결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변형 가능한 디텐트 스프링 요소(120)를 포함하는 래칭 장치(12)가 제공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용이한 조립 가능성으로 버스 바를 하우징에 신뢰성 있게 유지할 수 있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 전도체를 연결하기 위한 터미널 조립체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버스 바를 포함하는 터미널 조립체{TERMINAL ASSEMBLY WITH A BUS BAR}
본 발명은 본원의 청구범위 제1항의 전제부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전기 전도체를 연결하기 위한 터미널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터미널 조립체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연결 가능한 버스 바를 포함하며, 상기 버스 바에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 전도체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터미널 조립체는 예를 들어 터미널 블록으로서, 특히 쓰루 터미널(through terminal)로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터미널 블록은 다른 터미널 블록들과 함께 서로 접속된 방식으로 예를 들어 지지 레일 상으로 부착될 수 있어, 이러한 방식으로 예를 들어 스위치 캐비닛에서 또는 전기 시스템에서 제어, 연결 또는 안전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조립될 수 있는 터미널들의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다.
쓰루 터미널은 일반적으로 2개의 연결 지점을 포함하며, 이 2개의 연결 지점에는 전도체들 사이에 전기 연결을 제공하기 위한 2개의 전기 전도체가 연결될 수 있다. 전기 전도체 사이의 연결은 버스 바를 통해 이루어지고, 이 버스 바는 전기 전도체 사이에 (큰) 전류를 전달하기 위한 필요에 따라 큰 전류 운반 용량을 가지며, 이를 위해 예를 들어 고체의 금속 피스로 형성된다.
버스 바에 전기 전도체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는 예를 들어 나사 연결부로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나사 연결부 상에는 예를 들어 연결 슈의 형태인 적절한 연결 요소를 갖는 전기 전도체가 부착될 수 있어, 이 경우 버스 바에 나사 연결부의 나사 요소를 조임으로써 전기 전도체를 고정할 수 있다.
이러한 터미널 조립체가 예컨대 DE 10 2009 057 854 A1호에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터미널 조립체에서는, 조립된 상태에서 견고하게 유지되는 것 이외에, 하우징에 간단한 방식으로 버스 바를 고정할 필요성이 존재한다. 특히, 버스 바는, 하우징 상에 버스 바를 유지하는 것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나사 연결부의 나사 요소를 조일 때 작용하는 토크가 흡수되어 방출될 수 있도록, 하우징에 대해 고정 회전 방식으로 고정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용이한 조립 가능성으로 하우징 상에서의 버스 바의 신뢰 가능한 유지를 가능하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 전도체를 연결하기 위한 터미널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본원의 청구범위 제1항의 특징을 포함하는 대상에 의해 달성된다.
이에 따르면, 터미널 조립체는 버스 바를 하우징에 래칭 방식으로 연결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변형 가능한 디텐트 스프링 요소를 포함하는 래칭 장치를 포함한다.
따라서, 하우징과 버스 바의 연결은 하나 이상의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디텐트 스프링 요소를 갖는 래칭 장치를 통해 이루어진다. 따라서, 버스 바는 하우징에 래칭 방식으로 연결되어 래칭되며, 이는 래칭 장치를 통한 형상 맞춤 로킹 방식의 연결 하에 조립된 상태에서 하우징 상에 버스 바를 확실하게 유지하는 것 외에, 부착에 의해 하우징 상에 버스 바를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게 한다.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디텐트 스프링 요소는 하우징 상에 배치되고, 터미널 조립체가 조립될 때, 버스 바 상의 해당 래칭 리세스 내로 결합한다. 이 경우에, 하나 이상의 디텐트 스프링 요소는 하우징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하우징 상에 일 부품형으로 일체식으로 형성되어, 조립된 터미널 조립체에서 버스 바 상의 하나 이상의 래칭 리세스 내로 결합할 수 있다. 복수의 디텐트 스프링 요소가 하우징 상에 제공되면, 래칭 장치에 의해, 하우징으로의 버스 바의 신뢰성 있는 고정 회전 방식의 고정을 위해 복수의 위치에서 버스 바와 하우징 사이의 형상 맞춤 로킹 방식의 연결이 생성될 수 있다.
반대로, 또한 하나 이상의 디텐트 스프링 요소를 버스 바 상에 배치하는 것도 고려될 수 있고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버스 바가 조립될 때 버스 바와 하우징 사이에 형상 맞춤 로킹 방식의 연결을 생성하기 위해 하우징 상에 래칭 리세스가 형성된다.
래칭 장치는 예를 들어 버스 바의 측면 에지에서 버스 바와 하우징 사이의 형상 맞춤 로킹 방식의 연결을 생성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디텐트 스프링 요소가 하우징 상에 배치되면, 디텐트 스프링 요소는 버스 바가 조립될 때 버스 바의 측면 에지 상의 해당 래칭 리세스 내로 결합하고, 이를 통해 하우징과 버스 바 사이의 형상 맞춤 로킹 방식의 연결을 생성한다.
버스 바는 일 실시예에서, 횡단 방향 및 깊이 방향을 통해 걸쳐 있는 평면을 따라 판 형상으로 연장되는 본체를 포함한다. 본체는 예를 들어 직사각형 기본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본체의 양 측면 상에서 깊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측 방향의 측면 에지에 의해 한정될 수 있다. 래칭 장치를 통해, 본체는 예를 들어 일 측면 에지 상에서 또는 양쪽 (대향하는) 측면 에지 상에서 하우징과 형상 맞춤 로킹 방식으로 연결되어, 버스 바는 조립된 상태에서 래칭 장치를 통해 하우징에 고정될 수 있다.
래칭 장치의 디텐트 스프링 요소를 통해, 특히 하우징에 대한 버스 바의 고정 회전 방식의 연결이 생성되어, 버스 바는 깊이 방향 및 횡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향하는 높이 방향을 중심으로 하우징에 대해 고정 회전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버스 바는 그 평면에서 하우징에 대해 회전될 수 없으며, 이를 통해 하우징에 대해 고정되어, 예를 들어 나사 연결부의 나사 요소가 하우징에 나사 고정될 때 특히 토크가 수용되어 하우징 내로 유도될 수 있다.
래칭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디텐트 스프링 요소는, 일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는 높이 방향을 따라, 즉 버스 바의 본체의 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탄성적으로 탄력이 있다. 래칭 장치는 이 경우 버스 바를 하우징에 연결하기 위해, 예를 들어 깊이 방향을 따라 지향되는 삽입 방향으로 버스 바를 하우징 상에 부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이 경우 바스 바를 하우징에 부착할 때, 래칭 장치의 하나 이상의 디텐트 스프링 요소는 탄성 변형되는데, 즉 버스 바의 본체의 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편향될 수 있다. 조립된 버스 바의 경우, 디텐트 스프링 요소는 이 경우 예를 들어 버스 바의 해당 래칭 리세스에 결합하여, 이를 통해 하우징에 대해 버스 바를 고정시킨다.
버스 바를 하우징에 부착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래칭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디텐트 스프링 요소는 예를 들어 버스 바를 하우징에 부착할 때 적어도 하나의 디텐트 스프링 요소를 편향시키는 것을 지원하는, 깊이 방향에 대해 경사져 틸팅된 경사 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디텐트 스프링 요소가 예를 들어 하우징 상에 배치되면, 버스 바는 부착 시에 적어도 하나의 디텐트 스프링 요소의 경사 램프 상에 작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디텐트 스프링 요소가 특히 버스 바의 본체의 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편향되도록 경사 램프 상에 축적된다.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디텐트 스프링 요소의 탄성 변형 하에서, 버스 바는 하우징 상으로 부착될 수 있으며,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디텐트 스프링 요소는, 버스 바가 제공된 플러그 위치에 도달할 때, 이완된 시작 위치로 다시 스냅되고 이에 따라 버스 바의 해당 래칭 리세스와 스냅 결합된다.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디텐트 스프링 요소는 래칭 헤드 및 연결 레그를 포함한다. 이 경우 래칭 헤드는 연결 레그를 통해 하우징의 하우징 섹션에 연결된다. 래칭 헤드 상에는 예컨대 경사 램프가 배치된다. 래칭 헤드는 버스 바를 하우징에 플러그 연결할 때 버스 바의 측면 상에서의 래칭 리세스와 결합되어, 이에 따라 버스 바와 하우징 사이의 형상 맞춤 로킹 방식의 연결을 생성한다.
적어도 하나의 디텐트 스프링 요소는 하우징의 하우징 섹션과 일체식으로 그리고 일 부품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연결 레그는 일 단부에서 하우징 섹션에 연결되고, 이 경우 그러나 버스 바를 하우징에 플러그 연결할 때 버스 바의 측면 상의 래칭 리세스와 결합하게 되도록 래칭 헤드는 연결 레그 상에서 탄성적으로 편향될 수 있는 방식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연결 레그는 예를 들어 슬롯 형상의 프리 펀칭(free punch)의 유형에 따른 클리어런스를 통해, 높이 방향을 따라 볼 때, 하우징 섹션으로부터 분리되어, 연결 레그는 그 위에 배치되어 있는 래칭 헤드와 함께 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하우징 섹션에 대해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지향되는 높이 방향을 따라 볼 때, 클리어런스는 이 경우 연결 레그에 있어서 버스 바의 반대쪽의 측면 상에서 연결 레그의 아래에 형성되어, 버스 바가 하우징에 플러그 방식으로 연결되면, 적어도 하나의 디텐트 스프링 요소는 높이 방향을 따라 탄성적으로 편향될 수 있다.
래칭 헤드는 일 실시예에서 삽입 방향으로 볼 때 연결 레그 후방에 배치된다. 따라서, 버스 바와 하우징으로 플러그 방식으로 연결하면, 버스 바는 먼저 연결 레그 상에 지지하게 되고, 연결 레그를 따라 적어도 하나의 디텐트 스프링 요소 상으로 삽입 방향으로 슬라이딩된다. 그 다음, 버스 바는 연결 레그 상에서 래칭 헤드 상으로 축적되고, 이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디텐트 스프링 요소를 변형시켜, 버스 바가 하우징에 연결된 위치에서 래칭 헤드가 버스 바 상의 래칭 리세스과 스냅 결합되어 이러한 방식으로 하우징과 버스 바 사이에 형상 맞춤 로킹 방식의 연결을 생성할 때까지, 버스 바는 래칭 헤드를 통해 이동될 수 있다.
하우징에 연결된 위치에서, 버스 바는 이 경우, 버스 바의 본체의 평면에 수직인 높이 방향을 따라 볼 때, 예를 들어 연결 레그 상에 위치되고, 이 연결 레그는 이에 따라 하우징 상에서 버스 바에 대한 지지부를 형성한다. 래칭 헤드는 이 경우에 버스 바 상의 래칭 리세스와 결합되므로, 적어도 하나의 디텐트 스프링 요소를 통해 버스 바에 대한 한정된 시트(seat)가 하우징 상에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서, 삽입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부하가 가해질 때 래칭 헤드와 해당 래칭 리세스의 결합은 자동 잠금식으로 이루어진다. 버스 바가 하우징에 연결된 위치에서 하우징에 대한 삽입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부하가 가해지면, 래칭 헤드는 이에 따라 해당 래칭 리세스와 결합되어 유지되고, 특히 래칭 리세스의 외부로 자동으로 이동될 수 없다. 따라서, 버스 바에 대한 부하 힘은 하우징으로부터 버스 바의 (의도하지 않은) 분리를 발생시킬 수는 없고, 부하가 가해지는 경우에도 하우징 상에의 버스 바의 유지는 보장된다.
적어도 하나의 디텐트 스프링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탄성적으로 탄력이 있고, 따라서 버스 바가 하우징과 플러그 방식으로 연결될 때 높이 방향을 따라 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편향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 삽입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그리고 높이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지향되는 횡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디텐트 스프링 요소는 본질적으로 강성이고 변형될 수 없으므로, 적어도 하나의 디텐트 스프링 요소를 통해 하우징 상에서의 버스 바의 위치는 횡방향을 따라 고정된다.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디텐트 스프링 요소가 버스 바와 래칭 방식으로 결합함으로써, 버스 바는 삽입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그리고 높이 방향을 따라 로킹될 뿐만 아니라, 또한 하우징에 대한 횡방향을 따라서도 로킹된다.
일 실시예에서, 래칭 장치는 하우징 상에 배치된 2개의 디텐트 스프링 요소를 가지며, 이 디텐트 스프링 요소는 버스 바의 본체의 대향 측면 에지 상에서 버스 바와 하우징 사이의 형상 맞춤 로킹 방식의 연결을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래칭 장치 및 횡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있는 디텐트 스프링 요소에 의해, 버스 바의 양 측면 에지 상에서 하우징에 대한 버스 바의 지지가 제공되어, 이를 통해 버스 바는 하우징에 대해 신뢰성 있고 부하가 가능하게 고정된다.
버스 바는, 일 실시예에서, 전기 전도체를 연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연결 장치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쓰루 터미널을 구현하기 위해, 나사 연결부 형태의 정확하게 2개의 연결 장치가 버스 바에 제공되어, 2개의 연결 장치를 통해 2개의 전기 전도체가 버스 바에 연결될 수 있고, 이러한 방식으로 버스 바를 통한 쓰루 컨택팅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나사 연결부의 형태의 연결 장치는 특히 버스 바의 나사 개구 내로 나사 고정될 수 있는 나사 요소를 포함하며, 여기서 전도체를 버스 바에 고정하기 위해 전도체는 특히 연결 슈의 형태의 적합한 연결 요소에 의해 버스 바에 부착될 수 있고, 나사 요소를 통해 버스 바에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래칭 장치는 예를 들어 하우징 상의 디텐트 스프링 요소와 예를 들어 버스 바 상의 해당 래칭 리세스 사이의 형상 맞춤 로킹 방식의 결합이 나사 요소를 (나사 고정 방향으로) 해당 나사 개구 내로 나사 고정할 때 자기 보강 방식으로 이루어지도록 제공된다. 해당 나사 개구 내로 나사 요소를 나사 고정할 때, 이에 따라 해당 래칭 리세스 내로의 디텐트 스프링 요소의 결합은 부하가 가해져서, 디텐트 스프링 요소는 래칭 리세스와 결합 상태로 유지되고 따라서 형상 맞춤 로킹 방식의 연결은 토크 부하가 있더라도 쉽게 분리될 수 없다.
터미널 조립체는,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정확히 하나의 위치 및 배향으로만 하우징 상에 버스 바를 부착할 수 있게 허용하는 코딩 장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코딩 장치는 예를 들면 코딩 요소를 포함하고, 이 코딩 요소는 예를 들어 하우징 또는 버스 바 상에서 돌출하는 웨브 형태로 배치되고, 조립된 위치에서 버스 바는 각각의 다른 구성 요소 상의, 즉 버스 바 또는 하우징 상의 해당 코딩 리세스 내로 결합한다.
이러한 코딩 요소는 예를 들어 하우징의 후방 벽으로부터 삽입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할 수 있고, 삽입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버스 바의 본체의 횡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횡방향 에지 상의 해당 코딩 리세스 내로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코딩 요소와 코딩 리세스 사이의 결합부는 (횡방향을 따라 볼 때) 편심으로 위치되어 있으므로, 하우징에 대한 버스 바의 부착은 일 위치 및 배향에서만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유형의 터미널 조립체는 예를 들어 쓰루 터미널과 같은 예를 들어 터미널 블록으로서 구성되며, 예를 들어 지지 레일 상에 터미널 조립체의 조합을 결합하기 위해 다른 터미널 조립체와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터미널 조립체의 하우징 상에는 고정 장치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고정 장치를 이용하여, 부착된 위치에서 지지 레일과 형상 맞춤 로킹 방식으로 로킹하기 위해 하우징은 지지 레일 상에 부착될 수 있다.
쓰루 터미널로서 설계된 터미널 조립체에서, 특히 2개의 전도체를 쓰루 컨택팅을 위해 버스 바에 연결할 수 있는 나사 연결부의 형태로 특히 2개의 연결 장치가 버스 바 상에 제공된다.
본 발명의 기초가 되는 사상은 이하에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전도체가 연결되어 있는 터미널 조립체의 일 실시예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조립체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터미널 조립체의 다른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따른 라인(A-A)를 따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5는 하우징에 부착된 버스 바는 없지만, 도 3에 따른 라인(A-A)을 따른 터미널 조립체의 하우징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버스 바의 분리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버스 바를 하우징에 설정하기 전의 하우징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버스 바가 부착되어 있는 하우징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9는 부분(B)에서 도 8에 따른 조립체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나사 연결부의 형태의 조여진 연결 장치를 갖는 터미널 조립체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1은 전도체가 연결되어 있는 터미널 조립체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2는 래칭 장치의 디텐트 스프링 요소와 버스 바 상의 래칭 리세스의 결합 영역에 있는 버스 바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13은 버스 바의 연결된 위치에서의 버스 바 및 해당 디텐트 스프링 요소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도 14는 삽입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버스 바에 부하가 가해질 때 모멘트 작용을 나타내는 도 9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1은 하우징(10)을 포함하고 하우징(10)의 하부측에 형성된 고정 장치(100)를 통해 지지 레일(3)과 래칭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는, 쓰루 터미널로서 설계된 터미널 블록 형태의 터미널 조립체(1)를 도시한다.
터미널 조립체(1)는 예컨대 스위치 캐비닛에서 전기 시스템에 예를 들어 제어, 연결 또는 안전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이러한 방식으로 전기 어셈블리를 제공하기 위해, 다른 유사하게 또는 상이하게 설계된 터미널 조립체와 결합될 수 있다.
터미널 조립체(1)는 조립된 위치에서 하우징(10)의 플러그인 위치(102)에 삽입되어 하우징(10)에 고정 연결되는 버스 바(11)를 포함한다. 버스 바(11)는 전기 전도성의 고체 재료로부터 그 자체로 공지된 방식으로 형성되며, 깊이 방향(T) 및 횡방향(Q)을 통해 걸쳐 있는 평면(E)을 따라 연장되는 본체(110)를 포함한다.
버스 바(11)는 2개의 전도체(2)를 버스 바(11)에 연결시킬 수 있는 나사 요소(130) 및 클램핑 요소(131)를 갖는 나사 연결부 형태의 2개의 연결 장치(13)를 포함한다. 전도체(2)는 또한 측 방향으로 하우징(10) 내로 삽입될 수 있어, 라인 재킷(20)에 의해 둘러싸인 전도체(2)의 라인 코어(21) 상의 연결 요소(210)를 연결 장치(13)의 관련된 나사 요소(130) 각각에 결합시키고 클램핑 요소(131)를 통해 버스 바(11) 상에 고정시킬 수 있으며, 이는 도 1에서 (2 개의 라인 코어(21)를 포함하는) 전도체(2)에 대해 도시된 바와 같다.
연결 장치(13)의 클램핑 요소(131)는 핀(132)을 통해 버스 바(11)의 개구(113)로 안내되고, 스프링 요소(133)에 의해 버스 바(11)로 탄성 바이어싱되어, 각각의 나사 요소(130)를 분리한 후에 클램핑 요소(131)는 나사 요소(130)와 함께 이동되고 버스 바(11)로부터 제거되며, 이는 도 1에서 우측 연결 장치(13)에 대해 도시된 바와 같다.
버스 바(11)에 전도체(2)를 고정하기 위해, 각 연결 장치(13)의 나사 요소(130)는 버스 바(11)의 본체(110) 상의 해당 나사 개구(111) 내로 나사 고정되고, 이를 통해 클램핑 요소(131)는 버스 바(11)쪽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연결 슈 형태의 연결 요소(210)가 버스 바(11)에 고정된다.
도 2 내지 도 12는 터미널 조립체(1)의 다른 도면들을 도시하는 것으로서, 전도체가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2), 연결된 전도체(2)가 없고 연결 장치(13)가 분리된 경우(도 3), 연결된 전도체(2)가 없고 연결 장치(13)가 조여져 있는 경우(도 10)를 도시한다. 전도체(2)가 각각 하우징(10)의 일 측면에 부착되고, 버스 바(11) 상의 해당 연결 장치(13)에 연결될 수 있어, 이러한 방식으로 터미널 조립체(1)의 양측에 연결된 전도체(2) 사이의 관통 연결을 달성할 수 있다.
연결 장치(13)의 나사 요소(130)에 접근하기 위해, 고정 장치(100)로부터 먼 측면 상의 하우징(10)의 상부 측에 개구(101)가 형성되어 있고, 이 개구를 통해 예를 들어 스크루 드라이버에 의해 연결 장치(13)의 나사 요소(130) 상으로 접근할 수 있다.
버스 바(11)는, 특히 도 7 및 도 8의 개요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연결 장치(13)가 그 위에 배치되어 있는 미리 조립된 어셈블리로서 하우징(10) 상의 해당 플러그인 위치(102) 내로 삽입 방향(A)으로 삽입될 수 있고, 삽입된 위치(도 8)에서 래칭 장치(12)를 통해 하우징(10)에 래칭된 방식으로 이에 따라 형상 맞춤 로킹 방식으로 연결되어 있다. 래칭 장치(12)는 하우징(10) 상에 일체로 형성된 2 개의 디텐트 스프링 요소(120)를 포함하고, 이 디텐트 스프링 요소는 버스 바(11)의 본체(110) 양측에서 깊이 방향(T)을 따라 연장되는 측면 에지(112) 상의 해당 래칭 리세스(121)에 결합하도록 형성되어, 이러한 방식으로 버스 바(11)를 하우징(10) 상의 플러그인 위치(102)에 고정시킨다.
디텐트 스프링 요소(120)는 특히 본체(110)의 평면(E)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는 높이 방향(H)을 따라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하다. 디텐트 스프링 요소(120)는 각각 도 9에 따른 확대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깊이 방향(T) 및 높이 방향(H)에 대하여 경사져 틸팅된 경사 램프(124)를 포함하고, 버스 바(11)는 해당 측면 에지(112)의 전방 에지 섹션(114)이 삽입 방향(A)으로 플러그인 위치(102) 내로 삽입될 때 상기 경사 램프 상으로 축적되어, 이에 따라 예를 들어 도 4와 관련하여 도 9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에지 섹션(114)이 디텐트 스프링 요소(120)를 따라 이동되고 이에 따라 디텐트 스프링 요소(120)가 측면 에지(112) 상의 래칭 리세스(121)와 스냅 결합될 수 있을 때까지, 각각의 디텐트 스프링 요소(120)를 탄성적으로 하부쪽으로 가압한다.
조립된 위치에서 버스 바(11)는 삽입 방향(A)의 반대 방향으로 하우징(10) 상에 형상 맞춤 로킹 방식으로 유지되고, 이에 따라 (하우징(10)의 대응하는 벽 섹션에 의해 높이 방향(H)을 따라 상부쪽으로 그리고 하부쪽으로 한정되는) 플러그인 위치(102)에 고정된다.
한편, 도 5는 하우징(10)의 분리된 도면을 도시하며, 도 6은 버스 바(11)의 분리된 도면을 도시한다. 래칭 리세스(121)는 버스 바(11)의 본체(110)의 양측에서 본체(110)를 한정하는 측면 에지(112) 상에 형성되어, 오목부로서 각각의 측면 에지(112)로부터 본체(110) 내로 연장된다. 조립된 위치에서(예를 들어, 도 4 참조), 하우징(10)의 디텐트 스프링 요소(120)는 래칭 리세스(121) 내로 결합되고, 따라서 버스 바(11)를 하우징(10) 상에 형상 맞춤 로킹 방식으로 고정시킨다.
버스 바(11)는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장치(13)의 나사 요소(130)를 위한 나사 개구(111)와, 연결 장치(13)의 클램핑 요소(131)의 핀(132)을 위한 안내 개구로서의 개구(113)를 포함한다.
해당 래칭 리세스(121) 내로의 디텐트 스프링 요소(120)의 결합은 자기 보강 방식으로 이루어져, 삽입 방향(A)의 반대 방향으로 플러그인 위치(102)로부터의 버스 바(11)의 분리는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어떠한 경우에도 예를 들어 도구를 사용하여 래칭을 (의도적으로) 분리하지 않고는 가능하지 않다. 따라서, 예를 들어, 도 11 및 도 1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연결 장치(13)의 나사 요소(130)가 나사 고정 방향(D)으로 조여질 때 토크는 나사 고정 방향(D)으로 버스 바(11) 상으로 작용하여, 도 11 및 도 12의 우측에 도시된 측면 에지(112) 상의 에지 섹션(114)은 나사 고정 방향(D)으로 정지면(123)을 통해 해당 디텐트 스프링 요소(120) 상의 해당 정지면(122)과 접촉하게 된다. 이를 통해 디텐트 스프링 요소(120)는 (특히 높이 방향(H)으로) 래칭 리세스(121) 내로 가압되어, 부하가 가해질 때 디텐트 스프링 요소(120)와 해당 래칭 리세스(121) 사이의 래칭의 자동 분리가 방지된다. 따라서 특히 연결 장치(13)의 나사 요소(130)의 나사 고정 시 토크 부하는 하우징(10)으로부터 버스 바(11)의 의도하지 않은 분리를 발생시킬 수 없다.
도 13은 버스 바(11)의 본체(110)에 형성된 해당 래칭 리세스(121)와 결합되는 디텐트 스프링 요소(120) 중 하나를 확대하여 도시한다. 디텐트 스프링 요소(120)는 래칭 헤드(125)를 포함하고, 이 래칭 헤드 상에 경사 램프(124)는 깊이 방향(T)에 대해 경사지게 그리고 높이 방향(H)에 대해 경사지게 모따기함으로써 형성되고, 이 래칭 헤드는 버스 바(11)의 연결된 위치에서 버스 바(11)의 측면 상에서 해당 래칭 리세스(121)와 결합되어 있고, 이에 따라 하우징(10)과 버스 바(11) 사이의 형상 맞춤 로킹 방식의 연결이 형성된다.
래칭 헤드(125)는 래칭 헤드(125)를 하우징(10)의 하우징 섹션(103)과 연결시키는 연결 레그(126)의 일 단부에 형성된다. 연결 레그(126)는 이 경우에 하우징 섹션(103)과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래칭 헤드(125)로부터 떨어져 있는 단부(127)에서 하우징 섹션(103)에 연결된다.
디텐트 스프링 요소(120)는 실질적으로 단부(127) 주위로 높이 방향(H)을 따라 하우징 섹션(103)에 대해 탄성적으로 편향될 수 있다. 이 경우, 연결 레그(126)는 깊이 방향(T)을 따라 형성된 슬롯 형상의 클리어런스(128)를 통해 (높이 방향(H)을 따라 볼 때) 하우징 섹션(103)으로부터 분리되어, 디텐트 스프링 요소(120)는 그 연결 레그(126) 및 그 위에 형성된 래칭 헤드(125)가 높이 방향(H)을 따라 하우징 섹션(103)에 대해 탄성적으로 편향될 수 있다.
버스 바(11)를 하우징(10)에 연결할 때, 즉 버스 바(11)가 하우징(10) 상으로 삽입 방향(E)으로 부착될 때, 버스 바(11)는 삽입 방향(E)을 따라 전방에 존재하는 섹션(114)이 래칭 헤드(125)와 접촉하게 되고, 각 디텐트 스프링 요소(120)의 래칭 헤드(125) 상의 경사 램프(124) 상으로 축적되어, 이를 통해 디텐트 스프링 요소(120)는 높이 방향(H)을 따라 아래쪽으로 편향되고, 따라서 섹션(114)은 래칭 헤드(125)를 따라 이동하고, 마지막으로 래칭 헤드(125)는 버스 바(11)의 해당 래칭 리세스(121)와 스냅 결합된다. 따라서 연결된 위치에서 디텐트 스프링 요소(120)를 통해 버스 바(11)의 양측에서 버스 바(11)와 하우징(10) 사이의 형상 맞춤 로킹 방식의 연결이 형성된다. 디텐트 스프링 요소(120)가 횡방향(Q)을 따라 실질적으로 강성이고 탄성적으로 형성되지 않음으로써, 버스 바(12)는 이 경우 또한 통해 횡방향(Q)을 따라 디텐트 스프링 요소(120)를 통해 하우징(10)에 대해 제 위치에 유지된다.
각각의 디텐트 스프링 요소(120)의 래칭 헤드(125)는, 삽입 방향(E)을 따라 볼 때, 해당 연결 레그(126)의 후방에 배치되어, 버스 바(11)는 먼저 연결 레그(126)에 지지되고 그 후 래칭 헤드(125) 상으로 축적된다. 연결된 위치에서 연결 레그(26)는 버스 바(11)에 대한 지지부를 형성하여, 디텐트 스프링 요소(120)를 통해 버스 바(11)의 양 측에서 또한 버스 바(11)의 시트가 높이 방향(H)을 따라 하우징(10) 상에 한정되는데, 이는 도 13으로부터 명백하다.
연결된 위치에서, 래칭 헤드(125)와 버스 바(11) 사이, 특히 래칭 헤드(125) 상에 형성되어 버스 바(11)의 섹션(114)에 대면하는 정지면(122) 사이에 자동 잠금 장치가 결합되어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스 바(11)가 삽입 방향(E)의 반대 방향으로 하우징(10)에 대한 부하 힘(F)으로 부하가 가해지면, 섹션(114)은 정지면(122)에 맞닿고, 래칭 헤드(125)와 해당 래칭 리세스(121) 사이의 결합을 보강시키는 방향으로 모멘트 방향(M)으로 디텐트 스프링 요소(120) 상에 부하가 발생한다. 따라서, 삽입 방향(E)의 반대 방향으로 버스 바(11)에 부하가 가해지면 디텐트 스프링 요소(120)와 버스 바(11) 사이의 결합의 분리를 용이하게 발생시킬 수는 없고, 부하가 가해질 때 래칭 헤드(125)는 보강된 방식으로 해당 래칭 리세스(121)와 결합되어 가압된다.
이러한 부하 힘(F)은 예를 들어 연결 장치(13)의 나사 요소(130)를 나사 고정할 때뿐만 아니라 버스 바(11)에 다른 힘 작용 시에도 발생할 수 있다.
터미널 조립체(1)의 경우에, 코딩 장치(14)를 통해 하우징(10)에 대한 버스 바(11)의 위치적으로 올바른 부착이 보장된다. 코딩 장치(14)는 하우징(10)의 후방 벽 상에 웨브 형상의 돌출 요소의 형태의 코딩 요소(140)에 의해 형성되고, 이 코딩 요소는 버스 바(11)가 조립된 경우 횡방향(Q)을 따라 연장되는 버스 바(11)의 본체(110)의 횡방향 에지(115) 상에서 해당 코딩 리세스(141) 내로 결합되며, 이는 예를 들어 도 4 및 도 1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다. 하우징(10) 상의 코딩 요소(140) 및 버스 바(11) 상의 코딩 리세스(141)는 플러그인 위치(112)에서 (횡방향(Q)을 따라 볼 때) 편심되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버스 바(11)는 정확하게 하나의 위치 및 배향에서만 플러그인 위치(102) 내로 삽입될 수 있으므로, 위치 및 배향이 정확한 하우징(10)에 대한 버스 바(11)의 부착이 지원된다.
본 발명의 기초가 되는 사상은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기본적으로 또한 완전히 다른 방식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터미널 조립체는 오직 예시적인 설명 목적으로만 사용된 특히 여기에 도시된 쓰루 터미널과 다른 터미널에 의해서도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버스 바 상에는, 원칙적으로 또한 나사 연결부와 다르게 형성될 수도 있는 특히 2개보다 많거나 또는 2개보다 적은 연결 장치가 존재할 수도 있다.
1 : 터미널 조립체(쓰루 터미널) 10 : 하우징
100 : 연결 지점 101 : 개구
102 : 플러그인 위치 103 : 하우징 섹션
11 : 버스 바 110 : 본체
111 : 나사 개구 112 : 측면 에지
113 : 개구 114 : 섹션
115 : 횡방향 에지 12 : 래칭 장치
120 : 디텐트 스프링 요소 121 : 래칭 리세스
122, 123 : 정지면 124 : 경사 램프
125 : 래칭 헤드 126 : 연결 레그
127 : 단부 128 : 클리어런스
13 : 연결 장치 130 : 나사 요소
131 : 클램핑 요소 132 : 핀
133 : 스프링 요소 14 : 코딩 장치
140 : 코딩 요소 141 : 코딩 리세스
2 : 전기 전도체 20 : 라인 재킷
21 : 라인 코어 210 : 연결 요소
3 : 지지 레일 A : 삽입 방향
D : 나사 고정 방향 E : 평면
F : 부하 힘 H : 높이 방향
M : 모멘트 방향 Q : 횡방향
T : 깊이 방향

Claims (20)

  1. 적어도 하나의 전기 전도체(2)를 연결하기 위한 터미널 조립체(1)로서,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 전도체(2)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버스 바(11)를 포함하는, 상기 터미널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버스 바(11)를 상기 하우징(10)에 래칭 방식으로 연결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변형 가능한 디텐트 스프링 요소(120)를 포함하는 래칭 장치(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텐트 스프링 요소(120)는 상기 버스 바(11) 상의 해당 래칭 리세스(121) 내로 결합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10)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조립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래칭 장치(12)는 상기 버스 바(11)의 측면 에지(112) 상에서 상기 하우징(10)과 형상 맞춤 로킹 방식의 연결을 생성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조립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 바(11)는 평면(E)을 따라 연장되는 본체(110)를 포함하며, 상기 평면(E)은 횡방향(Q) 및 깊이 방향(T)을 통해 걸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텐트 스프링 요소(120)는 상기 버스 바(10)를 상기 깊이 방향(T) 및 상기 횡방향(Q)에 대해 수직인 높이 방향(H)을 중심으로 고정 회전 방식으로 상기 하우징(10)에 대해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조립체.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텐트 스프링 요소(120)는 상기 버스 바(11)의 상기 평면(E)에 대해 수직으로 탄성적으로 탄력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조립체.
  7.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 바(11)는 상기 하우징(10)에 연결되기 위해 상기 깊이 방향(T)을 따라 지향되는 삽입 방향(A)으로 부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조립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텐트 스프링 요소(120)는 상기 버스 바(11)를 상기 하우징(10)에 부착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텐트 스프링 요소(120)를 힘 전환 방식으로 편향시키기 위해 상기 깊이 방향(T)에 대해 경사져 틸팅된 경사 램프(1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조립체.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텐트 스프링 요소(120)는 래칭 헤드(125) 및 연결 레그(126)를 포함하며, 상기 래칭 헤드(125)는 상기 연결 레그(126)를 통해 상기 하우징(10)의 하우징 섹션(103)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조립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레그(126)는 클리어런스(128)를 통해 상기 하우징 섹션(103)으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연결 레그(126)는 상기 래칭 헤드(125)와 함께 상기 평면(E)에 대해 수직으로 상기 하우징 섹션(103)에 대해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조립체.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래칭 헤드(125)는, 상기 삽입 방향(E)으로 볼 때, 상기 연결 레그(126) 후방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조립체.
  12.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 바(12)는 상기 하우징(10)과 연결된 위치에서 상기 연결 레그(126) 상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조립체.
  13. 제9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칭 헤드(125)와 해당 래칭 리세스(121)의 결합은 상기 삽입 방향(E)의 반대 방향으로 부하가 가해질 때 자동 잠금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조립체.
  14. 제4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텐트 스프링 요소(120)는 상기 평면(E)에 대해 수직으로 탄성적으로 탄력이 있지만, 상기 횡방향(Q)을 따라서는 강성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조립체.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칭 장치(12)는 대향하는 측면 에지(112) 상의 상기 버스 바(11)를 상기 하우징(10)과 형상 맞춤 로킹 방식으로 연결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10) 상에 배치된 2개의 디텐트 스프링 요소(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조립체.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기 전도체(2)를 상기 버스 바(11)에 연결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연결 장치(13)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조립체.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 장치(13)는 상기 버스 바(11)의 나사 개구(111) 내로 나사 고정될 수 있는 나사 요소(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조립체.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칭 장치(12)는 상기 버스 바(11)를 상기 하우징(10)과 연결하기 위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텐트 스프링 요소(120)의 형상 맞춤 로킹 방식의 결합이 상기 나사 요소(130)를 나사 고정 방향(D)으로 상기 해당 나사 개구(111) 내로 나사 고정할 때 자기 보강 방식으로 이루어지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조립체.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우징(10) 및 버스 바(11) 중 다른 하나 상의 코딩 리세스(141) 내로 결합하기 위해 하우징(10) 및 버스 바(11) 중 하나 상에 배치된 코딩 요소(140)를 포함하는 코딩 장치(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조립체.
  20.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은 지지 레일(3) 상에 상기 하우징(10)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 장치(1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조립체.
KR1020180123766A 2017-10-19 2018-10-17 버스 바를 포함하는 터미널 조립체 KR1025307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7124444.1 2017-10-19
DE102017124444 2017-10-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4007A true KR20190044007A (ko) 2019-04-29
KR102530744B1 KR102530744B1 (ko) 2023-05-09

Family

ID=65996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3766A KR102530744B1 (ko) 2017-10-19 2018-10-17 버스 바를 포함하는 터미널 조립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19079797A (ko)
KR (1) KR102530744B1 (ko)
CN (1) CN209516034U (ko)
DE (1) DE10201812458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23945A (zh) * 2020-06-19 2021-12-21 东电化电子(珠海)有限公司 电子装置
US11469528B1 (en) 2021-04-28 2022-10-11 Dinkle Enterprise Co., Ltd. Terminal block with elastic retracting fixation member
DE102021113847A1 (de) 2021-05-28 2022-12-01 Dinkle Electric Machinery (China) Co., Ltd. Anschlussblock mit elastischem, sich zurückziehendem Arretierungsbauteil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76762U (ko) * 1986-04-30 1987-11-10
JPH033982Y2 (ko) * 1985-05-13 1991-01-31
JP2013513907A (ja) * 2009-12-11 2013-04-22 フエニックス・コンタクト・ゲーエムベーハー・ウント・コンパニー・カーゲー ハウジング及び該ハウジングに保持されている接続レールを備える接続端子、特に端子台
KR101433797B1 (ko) * 2007-04-26 2014-08-25 멀티-홀딩 아게 플랫 전류 전송선 소자들 사이에 전기적 접촉을 제공하는접촉 기기
JP2014157732A (ja) * 2013-02-15 2014-08-28 Yazaki Corp コネクタ
KR20150116847A (ko) * 2013-02-13 2015-10-16 바고 페어발퉁스게젤샤프트 엠베하 전도체 단자
KR20150116846A (ko) * 2013-02-13 2015-10-16 바고 페어발퉁스게젤샤프트 엠베하 스프링-부하형 클램핑 연결부 및 전도체 단자
KR101998077B1 (ko) * 2019-01-23 2019-07-09 (주)우주일렉트로닉스 커넥터위치보증부재를 갖는 커넥터 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3982Y2 (ko) * 1985-05-13 1991-01-31
JPS62176762U (ko) * 1986-04-30 1987-11-10
KR101433797B1 (ko) * 2007-04-26 2014-08-25 멀티-홀딩 아게 플랫 전류 전송선 소자들 사이에 전기적 접촉을 제공하는접촉 기기
JP2013513907A (ja) * 2009-12-11 2013-04-22 フエニックス・コンタクト・ゲーエムベーハー・ウント・コンパニー・カーゲー ハウジング及び該ハウジングに保持されている接続レールを備える接続端子、特に端子台
KR20150116847A (ko) * 2013-02-13 2015-10-16 바고 페어발퉁스게젤샤프트 엠베하 전도체 단자
KR20150116846A (ko) * 2013-02-13 2015-10-16 바고 페어발퉁스게젤샤프트 엠베하 스프링-부하형 클램핑 연결부 및 전도체 단자
JP2014157732A (ja) * 2013-02-15 2014-08-28 Yazaki Corp コネクタ
KR101998077B1 (ko) * 2019-01-23 2019-07-09 (주)우주일렉트로닉스 커넥터위치보증부재를 갖는 커넥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0744B1 (ko) 2023-05-09
CN209516034U (zh) 2019-10-18
JP2019079797A (ja) 2019-05-23
DE102018124583A1 (de) 2019-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4203998U (zh) 用于连接电导线的连接装置
US3474381A (en) Lamp connection and mounting devices
US6178106B1 (en) Power distribution center with improved power supply connection
KR20190044007A (ko) 버스 바를 포함하는 터미널 조립체
CN111033909B (zh) 用于电路板的模块化插接连接器
US6146181A (en) Interlocking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having a guiding member and removal recess
US4728295A (en) Connector block for electrical devices
CN102640363B (zh) 具有第一和第二插头和配合插头的插头插座连接器装置
EP3149809B1 (en) Electrical connector for use with printed circuit boards
US6478602B1 (en) Retainer clip for an electrical distribution assembly
KR100759524B1 (ko)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하는 분전반
US4113337A (en) Connector constructions and mounting means and hoods therefor
US6773288B2 (en) Connection system for flexible flat strip cables
US20060194473A1 (en) Clamping screw or plug through-wall connection, a wedge-shaped fixation
KR20080088710A (ko) 커넥터 어셈블리
US6767246B2 (en) Snap-in relay socket system
EP0123910B1 (en) Wire connection terminal stage for electric apparatus
JPH04504926A (ja) プラグ片
CN108475857B (zh) 具有夹紧弹簧技术的母线分接夹
US6472621B2 (en) Start-motor assembly
US20220360021A1 (en) Protective-earthing contact and conductor-connection terminal
US6688922B2 (en) Plug connector
CN111525340B (zh) 电连接器及具有该电连接器的连接器组合
CN110622359B (zh) 用于将至少一个电导体连接螺栓端子的连接装置
CN113964579A (zh) 用于连接保护线的插接连接器模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