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3797B1 - 플랫 전류 전송선 소자들 사이에 전기적 접촉을 제공하는접촉 기기 - Google Patents

플랫 전류 전송선 소자들 사이에 전기적 접촉을 제공하는접촉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3797B1
KR101433797B1 KR1020080038669A KR20080038669A KR101433797B1 KR 101433797 B1 KR101433797 B1 KR 101433797B1 KR 1020080038669 A KR1020080038669 A KR 1020080038669A KR 20080038669 A KR20080038669 A KR 20080038669A KR 101433797 B1 KR101433797 B1 KR 1014337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bar
contact
contact element
side walls
sl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86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96450A (ko
Inventor
크리스티앙 헹겔
야닉 누르딘
프레데릭 쉴
Original Assignee
멀티-홀딩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멀티-홀딩 아게 filed Critical 멀티-홀딩 아게
Publication of KR200800964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64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37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37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 H01R4/4881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using a louver type sp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14Rails or bus-bars constructed so that the counterparts can be connected thereto at any point along their length

Landscapes

  • Installation Of Bus-Bars (AREA)
  • Connecting Device With Hold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Abstract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제1 버스바(3)와 제2 버스바(4) 사이에 전기적 접촉을 제공하는 접촉 기기는,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2개의 측벽(21, 22)을 갖는 홀더(2)를 포함한다. 측벽(21, 22)은 제2 버스바(4)를 수용하기 위한 슬롯(23)을 에워싼다. 측벽(21, 22)은 슬롯(23)을 향하는 내부 표면(211, 221) 및 외부 표면(212, 222)을 포함한다. 하나의 측벽(21, 22)은, 제1 버스바(3)가 외부 표면(212, 222)에 대향하고 제2 버스바(4)가 내부 표면(211, 222)에 대향하도록 구성된다. 측벽(21)은, 내부 표면(211)으로부터 측벽(21)을 통해 외부 표면(212)으로 전기적 접촉을 제공하기 위한 접촉 소자(1)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플랫 전류 전송선 소자들 사이에 전기적 접촉을 제공하는 접촉 기기{CONTACT DEVICE FOR PROVIDING AN ELECTRICAL CONTACT BETWEEN FLAT CURRENT CARRYING LINE ELEMENTS}
본 발명은 플랫 전류 전송선 소자들 사이에, 특히 버스바들 사이에 전기적 접촉을 제공하는 접촉 기기에 관한 것이다.
플랫 전류 전송선 소자들 사이에 전기적 접촉을 제공하는 몇몇 기기가 종래 기술에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EP 0 568 755에는 오버래핑 버스바(overlapping busbar)들 또는 플랫 플레이트(flat plate)들 사이에 전기적 접촉을 제공하는 접촉 기기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접촉 기기는 제1 버스바와 제2 버스바 사이에 배치되며 이러한 버스바들 사이에 배치된 수 개의 저촉 모듈을 포함한다. 제1 버스바는 나사와 너트를 이용해서 제2 버스바에 접속된다.
버스바들 사이에 전기적 접촉을 제공하는 또 다른 기기가 US 4 174 143에 개시되어 있다. 복수의 버스바를 수용하도록 수 개의 U자형 부재가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 U자형 부재는 동일 선상의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제1 버스바와 제2 버스바를 수용하기 위한 2개의 개구(opening)를 포함한다.
버스바들에서의 전류 흐름은 버스바들에 다소 평행하며 전체 폭에 걸쳐 동등하게 분포된다. 그렇지만, 나사와 너트 부분에서는, 단면적이 감소하고 나사가 존재하기 때문에 전류 흐름이 집중된다. 이러한 전류의 집중 및 유도 효과(inductive effect)는 자기 손실로 이어진다. 특히 고주파의 전류에서 있어서는 이러한 손실로 인해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버스바와 같은 플랫 전류 전송선 소자들 사이에 전기적 접촉을 제공하는 접촉 기기를 제공하여,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다. 특히, 이러한 접촉 기기는 접촉 지역에서의 자기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부를 가지는 접촉 기기에 의해 달성된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제1 버스바와 제2 버스바 사이에 전기적 접촉을 제공하는 접촉 기기는,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2개의 측벽을 갖는 홀더를 포함한다. 측벽은 제2 버스바를 수용하기 위한 슬롯을 에워싼다. 측벽은 슬롯을 향하는 내부 표면 및 외부 표면을 포함한다. 하나의 측벽은, 제1 버스가 외부 표면에 대향하고 제2 버스바가 내부 표면에 대향하도록 구성된다. 측벽은, 내부 표면으로부터 측벽을 통해 외부 표면으로 전기적 접촉을 제공하는, 이에 따라 제1 버스바와 제2 버스바 사이에 전기적 접촉을 제공하기 위한 접촉 소자를 포함한다.
나사를 사용하지 않고 전류가 전달되는 일정한 단면적을 사용하므로, 자기 손실이 현저하게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접촉 기기는 추가의 도구나 설비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매우 쉽게 버스바에 부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접촉 기기는 버스바에 매우 쉽게 고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접촉 기기는 적어도 하나의 측벽의 내부 표면 위에 그리고 내부 표면에 걸쳐 및/또는 외부 표면 위에 그리고 외부 표면 위로 돌출되는 데, 즉 이 접촉 소자는 슬롯으로 연장되고 외부 표면 걸쳐 연장된다.
이 접촉 소자의 돌출에 의해, 접촉 기기는 버스바들 사이에 안전하고 신뢰성 있는 접속을 이룰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접촉 소자는 내부 표면 위에 그리고 내부 표면에 걸쳐 및/또는 외부 표면위로 돌출되는 가동식 탄성 접촉 부재들을 포함한다. 상기 부재들이 실제로 버스바에 접촉하는 경우, 버스바의 표면은 통상적으로 내부 표면 또는 내부 측벽과 접촉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접촉 부재들은, 버스바가 접촉하고 있으면, 내부 표면 및/또는 외부 표면에 걸쳐 반드시 연장되지 않는다. 그렇지만, 접속이 끊긴 상태, 즉 버스바와 접촉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상기 접촉 부재는 정상적으로 내부 표면 및/또는 외부 표면에 걸쳐 연장되지 않는다.
상기 탄성 부재는 버스바에 대한 힘을 제공하므로 전기 접속의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바람직하게, 홀더는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고 상기 접속 소자를 수용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홀더는 플라스틱 또는 섬유-강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는 데, 폴리에틸렌, 폴리아미드, 폴리에테르테에르케톤(PEEK) 또는 폴리옥시메틸렌(POM)이 적절한 플라스틱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접속 소자를 수용하기 위한 상기 수단은 접촉부 내에서 직사각형 개구이며, 이 직사각형 개구는 접촉 소자를 수용하기 위해 그루브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접촉 소자는, 본질적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복수의 독립적 인, 동일한 스프링이 장착된 개별 소자를 포함한다. 상기 스프링이 장착된 개별 소자는 캐리어 밴드(carrier band)에 부착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스프링이 장착된 개별 소자는 교착된 접촉 브리지(interlaced contact bridge)이다. 캐리어 밴드는 캐리어 밴드로부터 측면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브래킷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직사각형 개구의 그루브는, 가이드 브래킷의 적어도 일부 또는 접촉 소자의 다른 부분을 수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예에 대해서는 종속항들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버스바와 같은 플랫 전류 전송선 소자들 사이에 전기적 접촉을 제공하는 접촉 기기를 제공하여, 접촉 지역에서의 자기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여 가능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면 및 상세한 설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파악되어서는 안 되며, 본 발명은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의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버스바와 제2 버스바(도면에 도시되지 않음) 사이의 전기적 접촉을 제공하기 위한 접촉 기기의 사시도이다. 통상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 버스바는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하다. 그렇지만, 용어 "버스바"는 플랫 전류 전송선 소자를 포함하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버스바들은 1mm 내지 10mm 사이의 두께 및 25mm 내지 200mm 사이의 폭을 가진다. 단면은 바람직하게는 직사각형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접촉 기기는 상기 버스바들 사이에 전기적 접촉을 제공하는 접촉 소자(1) 및 이 전기적 접촉 소자(1)를 수용하기 위한 홀더(2)를 포함한다.
접촉 소자(1)는 도 1 뿐만 아니라 도 4 또는 도 5에도 도시되어 있다. 접촉 소자(1)는 복수의 독립적인, 동일한 스프링이 장착된 개별 소자(10)를 포함하며, 교착된 접촉 브리지(interlaced contact bridge)로서 설계될 수도 있다. 접촉 브리지(10)는 본질적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캐리어 밴드(11)는 길이 방향의 축을 따라 연장되고 접촉 브리지(10)는 캐리어 밴드(11)에 부착된다. 캐리어 밴드(11)로부터 측면으로 가이드 브래킷(guide bracket)(12)이 연장된다.
제1 실시예에서, 접촉 브리지(10)는 캐리어 밴드(11)에 직접적으로 장착될 수 있으며, 이 접촉 브리지(10)의 부분들이 캐리어 밴드(11)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거나 에워싼다. 그러므로 접촉 브리지(10)는 캐리어 밴드(11)의 상하로 연장된다.
대안적으로 제2 실시예에서 접촉 브리지(10)는 그 양단부에 형성 구역(forming zone)(13)을 포함하여 가이드 브래킷(12)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에워싼다. 바람직하게는, 가이드 브래킷이 안내(guidance)를 제공하기 위해 자유 단부(14)를 포함하도록 캐리어 밴드(11)와 가까운 영역에서 에워쌈(encompassment)이 제공된다. 가이드 브래킷(12)의 이 에워쌈으로 인해, 접촉 브리지(10)의 일부는 캐리어 밴드(11)로부터 상하로 연장된다.
캐리어 밴드(11)의 양쪽으로, 즉 위아래로 접촉 브리지(10)를 연장시키면, 접촉 브리지(10)의 부분들이 캐리어 밴드(11) 위로 돌출되고 있기 때문에, 접촉 브리지(10) 자체에 의해 전기적 접촉이 제공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그러므로 캐리어 밴드(11)는 접촉 브리지(10)를 위한 캐리어를 제공하도록 되어 있다. 게다가, 상기 캐리어 밴드(11) 및 그 가이드 브래킷(12)은 또한, 접촉 브리지(10)를 위한 스프링 또는 비틀림 소자(torsional element)로서 기능한다. 이에 따라 접촉 브리지(10)는 탄성력을 받으므로 버스바와 접촉한 후에 그 원래의 위치에 놓일 수 있다.
이러한 접촉 소자(1)는 EP 1 119 077에 공지되어 있다. 여기서 EP 1 119 077에 개시된 기술 내용을 원용한다. 유사한 특징이나 유사한 기능을 가지는 다른 공지의 접촉 소자도 사용될 수 있다.
그렇지만, 다른 실시예에서 접촉 소자(1)의 캐리어 밴드(11)도 또한 전기 전송 소자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소자는 예를 들어 US 3,895,853에 개시되어 있다.
홀더(2)는 2개의 측벽(21, 22)을 포함한다. 이 측벽 모두는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브리지 소자(24)로부터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측벽(21, 22)은 슬롯(23)을 에워싼다. 환언하면, 측벽(21, 22)에 의해 슬롯(23)이 제공된다. 슬롯(23)은 버스바, 바람직하게는 제2 버스바를 수용하도록 배치된다. 바람직하게 홀더(2)는 플라스틱이나 강화-섬유 플라스틱과 같은 전기 절연재로 만들어지는 데, 폴리에틸렌, 폴리아미드,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또는 폴리옥시메틸렌(POM)이 적절한 플라스틱이다.
측벽(21, 22)은 슬롯(23)을 향하는 내부 표면(211, 221)을 포함한다. 그러므로 내부 표면은 슬롯(23) 내에 배치된 제2 버스바와 대향하면서 제2 버스바의 표면과 접촉한다. 슬롯(23) 내에 버스바가 제공되지 않은 경우에는 내부 표면(211, 221)이 서로 직접적으로 대향하게 된다.
또한, 측벽(21, 22)은 외부 표면(212, 222)을 포함한다. 상기 외부 표면(212, 222)은 내부 표면(211, 221)의 반대편에 있는 측벽(21, 22)의 측면 상에 배치된다. 이 외부 표면(212)은 제1 버스바에 의해 접촉될 수 있다. 이것은 본 발명에 따른 접촉 기기가 버스바 조립(busbar assembly) 내에 배치되는 경우, 외부 표면(212)은 슬롯(23) 내에 위치하고 있지 않은 상기 제1 버스바와 대향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외부 표면(212, 221)은 절연 캐리어(2)를 버스바 조립 내에 유지시키기 위해 제공된다.
도 1에 따른 실시예에서, 접촉 소자(1)는 측벽(21) 내에 배치된다. 상기 측벽도 또한 접촉 측벽으로서 설계될 수 있다. 전기적 접촉 소자를 갖지 않는 다른 측벽(22)은 클립 측벽 또는 클립 소자로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접촉 소자(1)를 가지는 측벽(21)은 접촉 소자(1)를 갖지 않는 측벽(22)보다 길다. 접촉 소자를 가지는 측벽(21)은, 가요성의 접촉 소자를 수용하고 접촉 소자의 가요성이나 탄성이 없어지게 되는 최소의 수단(minimal measure) 또는 갭(gap) 하에서 유연성 있는 접촉의 압축을 회피하도록 설계된다.
홀더(2)는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단편(one single piece)으로 또는 수 개의 단편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홀더(2)는 플라스 틱으로 만들어지므로, 인젝션 다이 몰딩법(injection die molding method)을 사용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기계가공법(machining method)도 사용될 수 있다. 완전한 홀더(2)가 단편으로서 제공되는 경우, 인젝션 다이 몰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플라스틱이 인젝션되기 전에 접촉 소자(1)를 다이 내에 위치시킬 수 있다.
접촉 소자(1)는 홀더(2)에 의해 에워싸여 있기 때문에 홀더(2)에 의해 기계적 영향으로부터 보호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접촉 기기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접촉 소자(1)의 접촉 브리지(10)는 접촉 측벽(21)의 외부 표면 위로 돌출된다. 접촉 브리지(10)가 버스바와 접촉하는 경우 상기 접촉 브리지(10)는 접촉 측벽(21)의 외부 표면(212)의 방향으로 그리고 외부 표면(212) 쪽으로 편향된다. 그렇지만, 접촉 소자(1)를 상기 측벽(211) 내에 반대 방향으로 배치하는 것도 가능한데, 즉 접촉 브리지(10)는 내부 표면(211) 위로 돌출된다. 바람직하게, 접촉 소자(1)의 접촉 브리지(10)의 선단부(tip)와 같은 몇몇 부분만이 상기 외부 표면(212) 또는 상기 내부 표면(211) 위에 걸쳐 각각 연장되거나 돌출된다.
클립 소자(22)는 그 내부 표면(221) 상에 캠(cam) 또는 돌출부(bulge)를 포함한다. 돌출부(223)는 원통형 형상으로 되어 있고 내부 표면(221)으로부터 슬롯(23)으로 연장된다. 그러므로 슬롯(23)의 폭을 감소시킨다. 슬롯(23)의 폭 X는, 슬롯(23)의 방향에서 볼 때, 슬롯(23)의 최소 허용 공차(clearance)로서 정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폭 X는 슬롯(23)에 의해 수용될 버스바의 폭보다 작다. 이것은, 장착된 상태에서, 클립부(clip portion)로부터의 힘이 버스에 생기므로 상기 구조는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인해 자체가 느슨해지지 않기 때문에 특히 유리하다. 돌출부(223)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접촉 기기는 버스바 상에서 미끄러지지 않는다. 슬롯(23)의 폭 X는 버스바의 폭에 용이하게 조정될 수 있다.
클립 소자(22) 또는 측벽(22)은 브리지 소자(24)를 통해 접촉 소자(1)를 가진 측벽(21)에 접속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브리지 소자(24)는 탄성적이거나 신축적으로 구부려질 수 있다. 탄성 특성으로 인해 클립 소자(22) 및 측벽(21)은 그 내부 표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힘을 제공한다. 버스바가 일단 슬롯(23) 내에 배치되면, 상기 힘은 보존력(retention force)을 제공한다. 그렇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클립 소자(22) 자체에 탄성 특성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바람직하게, 클립 소자(22)는, 브리지 소자(24)로부터 볼 때, 접촉 소자(1)를 가지는 측벽(21)보다 짧다. 그렇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클립 소자(22)가 측벽 보다(21)보다 길거나 같다.
본 발명에서는, 2개의 클립 소자(22)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클립 소자들은 접촉 소자(1)를 갖는 측벽(21)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를 갖는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클립 소자는 접촉 소자(1)를 가지는 측벽(21)의 전체 길이를 넘어 연장된다. 그렇지만, 또한 접촉 소자(1)를 가지는 측벽(21)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는 하나의 클립 소자(21) 또는 2개 이상의 클립 소자(22)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접촉 기기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접촉 소자(1)는 홀더(2)의 직사각형 개구(25) 내에 배치되기 때문에, 접촉 소자(1)는 홀더(2)에 의해 완전하게 에워싸여진다.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2)는 길이 L 및 폭 W를 가진다. 바람직하게, 길이 L은 20 mm 내지 500 mm 사이이다. 바람직하게, 폭 W는 20 mm 내지 150 mm 사이이다. 직사각형 개구(25)는 길이 L1 및 폭 W1을 가진다. 바람직하게, 길이 L1은 15 mm 내지 480 mm 사이이다. 바람직하게, 폭 W는 10 mm 내지 130 mm 사이이다. 바람직하게, 홀더(2) 내에 배치되어 있는 접촉 소자(1)는 직사각형 개구(25)의 전체 표면을 넘어 연장된다. 이것은, (직사각형 개구를 통해) 외부에서 볼 수 있는 접촉 소자의 일부분이 직사각형 개구(25)의 전체 표면을 넘어 연장되므로, 접촉 소자(1)는 전체 길이 L1 및 전체 폭 W1에 걸쳐 연장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 길이는 가변적이기 때문에, 접촉 소자의 길이를 그 사용에 따라, 예를 들어 전송되는 전류에 따라 조정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접촉 기기의 A-A 라인에 따른 단면도를 도시한다. 이 도면에서, 이 경우 측벽들 중 하나의 측벽, 측벽(21)은, 내부 표면(211)으로부터 외부 표면(212)으로 접촉 소자(1)에 의해 전기적 접촉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을 분명하게 볼 수 있다.
A-A의 단면도에서 홀더(2) 내에 접촉 소자(1)가 수용된다는 것을 볼 수 있다. 직사각형 개구(25)는 긴 에지를 따라 연장되는 그루브(26)를 포함한다. 상기 그루브(26)는 캐리어 밴드(11)의 부분들을 수용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그루브(26)는 접촉 소자(1)의 가이드 브래킷(12) 또는 이 가이드 브래킷(12)의 자유 단부를 수용한다. 바람직하게, 가이드 브래킷(12)의 최외각부만이 그루브(26)로 연장된 다. 그렇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직사각형 개구(25)의 짧은 에지에 그루브(26)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단면도에서는, 접촉 소자(1)의 부분들이 측벽(21)의 내부 표면(211) 및/또는 외부 표면(212) 위로 돌출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접촉 브리지(10), 즉, 접촉 브리지(10)의 선단부는 외부 표면(212) 위로 돌출되고 형성 구역(13)은 내부 표면(211) 위로 돌출된다. 접촉 소자(1)가 역으로 배치되는 경우에는, 접촉 브리지(10)는 내부 표면(211) 위로 돌출되고 형성 구역(13)은 외부 표면(212) 위로 돌출된다.
도 5는 도 3의 B-B의 단면 라인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서, 클립 소자(22) 및 브리지 소자(24)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것은 클립 소자(22) 및 브리지 소자(24)가 클립 피스(clip piece)(7)로서 표시될 수 있는 단편이다는 것을 의미한다. 결과적으로, 접촉 소자(1)를 포함하는 측벽(21)도 단편이다. 클립 피스(7)는 래치 접속(latch connection)(27)에 의해 접촉 소자(1)를 가지는 측벽(21)에 접속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접촉 소자(1)를 가지는 측벽(21)의 양측에 2개의 클립 피스(7)가 배치된다. 이것은 클립 피스(7)들이 클립 소자(22) 및 브리지 소자(24)뿐만 아니라 그루브(26) 내에 배치되는 접촉 소자(1)를 위한 기계적 정지부 또는 받침대(abutment)를 제공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4 및 도 5에 따른 단면도에서, 또한, 접촉 소자(1)를 가지는 측벽(21)을 통해 전기적 접촉이 제공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측벽의 외부 표면(212)과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버스바와 접촉 브리지(10)가 접촉하는 경우에는, 접촉 브리지(10)는 외부 표면(212)의 방향으로 그리고 외부 표면(212) 쪽으로 이동될 것이다. 이것이 화살표 100으로 표시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접촉 브리지(10)는 외부 표면(212)과 대향하는 버스바의 표면과 접촉한다.
캐리어 밴드(11)의 아래로, 즉 내부 표면(211)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접촉 브리지(10)의 부분들은 내부 표면(211) 위로 돌출된다. 버스바가 슬롯(23) 내에 배치되는 경우에는, 접촉 브리지(10)의 상기 부분들과 버스바 사이의 전기적 접촉이 이루어진다.
이것은 접촉 소자(1), 특히 접촉 브리지(10)가, 접촉 소자(1)를 포함하는 측벽(21)의 외부 측면(212)에 배치된 제1 버스바와, 슬롯(23)에 배치된 제2 버스바 사이에 전기적 접촉을 제공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환언하면, 측벽(21)을 통해 외부 표면(212)으로부터 내부 표면(211)으로, 또는 그 반대로 전기적 접촉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러한 접촉 기기에 의하면, 2개의 버스바 사이의 접속의 자기적 손실이, 종래 기술에 공지되어 있는 접촉 기기, 즉 전기적 접촉을 제공하기 위해 나사를 사용하는 접촉 기기에 대해, 25%까지 감소할 수 있다.
도 6은 바이폴라 버스바 장치가 접속된 상태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7은 이러한 바이폴라 버스바 장치가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상기 버스바들은 본 발명에 따른 접촉 기기에 의해 접속된다. 그렇지만, 접촉 기기도 또한 유니폴라 버스바 장치로 사용될 있다.
바이폴라 버스바 장치는 서로 다른 전위를 갖는 전류를 전송하기 위해 4개 의 버스바를 포함한다. 제1 버스바(3) 및 제2 버스바(4)는 접촉 기기 C1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제3 버스바(5) 및 제4 버스바(6)는 접촉 기기 C2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버스바(3, 4, 5, 6) 모두는 서로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접촉 영역 내에서 연장된다. 특히, 제1 접촉 기기 C1 또는 제2 접촉 기기 C2에 의해 접속되는 이러한 버스바들은 서로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이것은 본 발명에 있어서 제1 버스바(3)가 제2 버스바(4)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제3 버스바(5)가 제4 버스바(6)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1 버스바(3) 및 제2 버스바(4) 뿐만 아니라 제3 버스바(5) 및 제4 버스바(6)는, 제1 버스바(3) 및 제2 버스바(4) 또는 제3 버스바(5) 및 제4 버스바(6) 사이에 갭이 존재하도록, 각각 서로에 대해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상기 갭은, 접촉 기기 C1 또는 C2의 접촉 소자(1)가 상기 갭 내에 위치할 수 있는 폭을 갖는다.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2 버스바(4)는 제1 접촉 기기 C1의 슬롯(23)에 연장된다. 이에 의해 버스바는 내부 표면(211, 221) 및 접촉 소자(1)의 접촉 부분들과 대향한다. 그러므로 접촉 소자(1)와 제1 버스바(4) 사이에 전기적 접촉이 확립된다. 제1 접촉 기기 C1은, 접촉 소자(1)를 가지는 측벽(21)이 제1 버스바(3)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것은 외부 표면(212)이 제1 버스바(3)와 대향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버스바(3)는 제2 버스바(4)에 대해 이동 가능하다. 이것이 화살표 101로 표시되어 있다. 제1 버스바(3)가 제2 버스 바(4)에 대해 이동함에 따라, 제1 버스바(3)는 접촉 소자(1)의 접촉 브리지(10)에 부딪힌다. 상기 접촉 브리지(10)는 상기 이동의 방향으로 각이 지거나 기울어지도록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접촉 브리지(10)는 접촉 소자(1)를 가지는 측벽(21)의 외부 측벽(212) 쪽으로 변위 될 것이다. 접촉 브리지(10)가 제1 버스바(3)의 표면과 접촉하자마자, 접촉 소자(1)와 제1 버스바(3) 사이에 전기적 접촉이 이루어진다. 제2 버스바(4)와 접촉 소자(1) 사이에는 이미 전기적 접촉이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제1 버스바는 접촉 소자(1)를 통해 제2 버스바(4)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환언하면, 접촉 소자(1)가 상기 측벽 내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제1 버스바(3)와 제2 버스바(4)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측벽을 통해 전기적 접촉이 제공된다.
제3 버스바(5)를 제4 버스바(6)에 접속시키는 데 있어서도,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버스바(3)와 제3 버스바(5)는 제2 버스바(4)와 제4 버스바(6)에 대해 이동 가능하다. 이것은 접촉 기기 C1, C2가 제2 버스바(4)와 제4 버스바(6) 위에 배치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대안적으로, 정적 버스바(static busbar)를 가지는 것도 가능하며 접촉 기기들이 상기 버스바들 사이에 전기적 접촉을 제공하도록 삽입될 수도 있다.
도 6 및 도 7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버스바(3) 및 제3 버스바(5)는 서로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된다. 제1 버스바(3)와 제2 버스바(4) 사이에는 절연층(8)이 배치된다. 제2 버스바(4)와 제4 버스바(6) 사이에는 추가의 절연층(9)이 배치된다.
유니폴라 버스바 장치가 제공되는 경우에는, 한 쌍의 버스바를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은 추가의 실시예에서는, 홀더 내에 하나 이상의 접촉 소자를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접촉 기기에 있어서 제1 버스바(3)와 제2 버스바(4) 사이에 전기적 접촉을 제공하는 방법은,
- 제1 버스바(3)와 제2 버스바(4) 사이에 접촉 소자(1)가 위치하도록 접촉 기기를 버스바들에 대해 배향시키는 단계;
- 접촉 기기의 슬롯(23)이 상기 제2 버스바(4)를 수용하도록, 즉 접촉 기기가 제2 버스바(4)로 이동하도록 본 발명에 따른 접촉 기기를 제2 버스바(4) 상에 배치하는 단계; 및
- 접촉 기기(1)가 제1 버스바(3)의 표면에 접촉하도록 본 발명에 따른 접촉 기기 쪽으로 제1 버스바(3)를 이동시키는 단계
를 포함한다.
제1 버스바(3)가 제2 버스바(4)에 대해 이동되지 않는 경우, 전술한 방법의 마지막 단계는 필요하지 않다.
제1 버스바와 제2 버스바 사이의 전기적 접촉을 차단시키는 경우에는, 전술한 방법을 역순으로 적용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 의해 도면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촉 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접촉 기기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따른 접촉 기기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 라인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B-B 라인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버스바와 접속된 바이폴라 버스바 장치에 대한 도면이다.
도 7은 분리된 상태의 도 6의 버스바 장치에 대한 도면이다.
* 도면 부호에 대한 설명
1 접촉 소자
2 홀더
3 제1 버스바
4 제2 버스바
5 제3 버스바
6 제4 버스바
7 클립 소자
8 절연층
9 절연층
10 접촉 브리지 소자
11 캐리어 밴드
12 가이드 브래킷
13 형성 구역
14 자유 단부
21 측벽/접촉 측벽
22 측벽/클립 소자
23 슬롯
24 브리지 소자
25 직사각형 개구
26 그루브
27 래치 접속
211 내부 표면
212 외부 표면
213 직사각형 개구
221 내부 표면
222 외부 표면

Claims (16)

  1.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제1 버스바(3)와 제2 버스바(4) 사이에 전기적 접촉을 제공하는 접촉 기기에 있어서,
    평행하게 연장되는 2개의 측벽(21, 22)을 갖는 홀더(2)를 포함하고,
    상기 측벽(21, 22)은 상기 제2 버스바(4)를 수용하기 위한 슬롯(23)을 에워싸고,
    상기 측벽(21, 22)은 상기 슬롯(23)을 향하는 내부 표면(211, 221) 및 외부 표면(212, 222)을 포함하고,
    하나의 상기 측벽(21, 22)은, 상기 제1 버스바(3)가 상기 외부 표면(212, 222)에 대향하고 상기 제2 버스바(4)가 상기 내부 표면(211, 222)에 대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측벽(21)은, 상기 내부 표면(211)으로부터 상기 측벽(21)을 통해 상기 외부 표면(212)으로 전기적 접촉을 제공하기 위한 접촉 소자(1)를 포함하는, 접촉 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소자(1)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측벽(21)의 상기 내부 표면(211) 및/또는 상기 외부 표면(212) 위로 돌출되어 있는, 접촉 기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소자(1)는 상기 내부 표면(211) 및/또는 상기 외부 표면(212) 위로 돌출되는 가동식 탄성 접촉 부재를 포함하는, 접촉 기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2)는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으며, 상기 접촉 소자(1)를 수용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접촉 기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소자(1)를 수용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측벽 내의 직사각형 개구(25)인, 접촉 기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직사각형 개구(25)는 상기 접촉 소자(1)를 수용하기 위해 그루브(26)를 포함하는, 접촉 기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소자(1)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캐리어 밴드(carrier band)(11)에 부착되어 있는, 복수의 독립적인, 동일한 스프링이 장착된 개별의 접촉 부재(10)를 포함하며,
    상기 개별의 접촉 부재(10)는 교착된 접촉 브리지(interlaced contact bridge)이며,
    상기 캐리어 밴드(11)는 캐리어 밴드(11)로부터 측면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브래킷(12)을 포함하며,
    상기 직사각형 개구(25)의 상기 그루브(26)는, 상기 가이드 브래킷(12)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접촉 소자(1)의 다른 부분을 수용할 수 있는, 접촉 기기.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측벽(21, 22)은 브리지 소자(24)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브리지 소자(24)는 탄성을 가진, 접촉 기기.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23)의 폭(X)은 상기 슬롯(23) 내에 위치하는 상기 버스바의 폭 이하인, 접촉 기기.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 접촉 소자를 갖지 않는 상기 측벽(22)은 클립 소자(22)로서 형성되는, 접촉 기기.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2)는 상기 접촉 소자(1)를 가지는 상기 측벽(21)의 전체 길이를 넘어 상기 슬롯(23)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나의 클립 소자(22)를 포함하는, 접촉 기기.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2)는 상기 접촉 소자(1)를 가지는 상기 측벽(21)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는 적어도 2개의 클립 소자(22)를 포함하는, 접촉 기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 소자(22)는 상기 측벽의 상기 내부 표면(221) 상에 배치된 돌출부(bulge) 또는 캠(cam)을 포함하는, 접촉 기기.
  14.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접촉 기기를 포함하는 유니폴라 버스바 장치에 있어서,
    제1 버스바(3)와 제2 버스바(4) 사이에 갭(gap)이 존재하도록 상기 제1 버스바(3)와 상기 제2 버스바(4)가 배치되며, 상기 접촉 기기의 접촉 소자를 가지는 상기 측벽(21, 22)은 상기 갭에 삽입될 수 있는, 유니폴라 버스바 장치.
  15.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접촉 기기를 포함하는 바이폴라 버스바 장치에 있어서,
    제1 버스바(3), 제2 버스바(4), 상기 제1 버스바(3)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3 버스바(5) 및 상기 제2 버스바(4)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4 버스바(6)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버스바(3), 상기 제2 버스바(4), 상기 제3 버스바(5) 및 상기 제4 버스바(6)는, 상기 제1 버스바(3)와 상기 제2 버스바(4) 사이에 제1 갭이 존재하고, 상기 제3 버스바(5)와 상기 제4 버스바(6) 사이에 제2 갭이 존재하도록 배치되며,
    제1 접촉 기기의 접촉 소자를 가지는 측벽(21, 22) 및 제2 접촉 기기의 접촉 소자를 가지는 측벽(21, 22)이 상기 제1 갭 및 상기 제2 갭에 삽입될 수 있는, 바이폴라 버스바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버스바(3)와 상기 제3 버스바(5) 사이에 절연층(8)이 배치되고,
    상기 제2 버스바(4)와 상기 제4 버스바(6) 사이에 절연층(9)이 배치되는, 바이폴라 버스바 장치.
KR1020080038669A 2007-04-26 2008-04-25 플랫 전류 전송선 소자들 사이에 전기적 접촉을 제공하는접촉 기기 KR1014337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7405128.5 2007-04-26
EP07405128A EP1986272B1 (en) 2007-04-26 2007-04-26 Contact device for providing an electrical contact between flat current carrying line elemen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6450A KR20080096450A (ko) 2008-10-30
KR101433797B1 true KR101433797B1 (ko) 2014-08-25

Family

ID=38162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8669A KR101433797B1 (ko) 2007-04-26 2008-04-25 플랫 전류 전송선 소자들 사이에 전기적 접촉을 제공하는접촉 기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678995B2 (ko)
EP (1) EP1986272B1 (ko)
JP (1) JP5016547B2 (ko)
KR (1) KR101433797B1 (ko)
CN (1) CN101295821B (ko)
AT (1) ATE520172T1 (ko)
CA (1) CA2629994C (ko)
ES (1) ES2370849T3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4007A (ko) * 2017-10-19 2019-04-29 피닉스 컨택트 게엠베하 & 컴퍼니 카게 버스 바를 포함하는 터미널 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10008933U1 (de) * 2010-11-02 2010-12-23 Sma Solar Technology Ag Elektrische Verbindung zwischen zwei Busbars aus ebenen Leitern und einer zwischen den Leitern angeordneten Isolationsschicht
JP2016512918A (ja) * 2013-03-18 2016-05-09 マルチ−ホールディング アーゲー 接触要素
CN103208692A (zh) * 2013-03-25 2013-07-17 上海电巴新能源科技有限公司 导电极柱
DE102014100421B3 (de) * 2014-01-15 2015-01-15 Maschinenfabrik Reinhausen Gmbh Schalter für eine Schaltvorrichtung mit Schaltwelle, dessen Verwendung in einem Lastumschalter, Schaltvorrichtung mit Schaltwelle und Schalter, deren Verwendung in einem Laststufenschalter, Lastumschalter für Laststufenschalter sowie Regeltransformator
US9190791B1 (en) * 2014-07-31 2015-11-17 Power Distribution, Inc. Electrical busway splice connector
US9520703B2 (en) 2014-07-31 2016-12-13 Power Distribution, Inc. Electrical busway splice connector
DE102015216632A1 (de) * 2015-08-31 2017-03-02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Anordnung zum Herstellen einer elektrischen Verbindung zwischen einem Flachkontakt und einem Hochstromleiter
CN109478737B (zh) * 2016-07-18 2020-11-03 史陶比尔电子连接器股份公司 连接元件
WO2022236450A1 (zh) * 2021-05-08 2022-11-17 舍弗勒技术股份两合公司 电流母线组件及其组装方法、电流传输装置
WO2023051763A1 (zh) * 2021-10-01 2023-04-06 长春捷翼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扁带式连接机构、电能传输装置及机动车辆
EP4195419A1 (en) * 2021-12-09 2023-06-14 ABB E-mobility B.V. Electric connector for high power charging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0961A (ja) * 1994-03-17 1996-02-20 Chrysler Corp コネクタ部材間の電気接続を確保するためのケーシング及びコネクタ結合体
JP2002190335A (ja) 2000-12-22 2002-07-05 Tyco Electronics Amp Kk 電気コネクタ
JP2005302730A (ja) 2004-04-14 2005-10-27 Yazaki Europe Ltd 端子ピン、特に扁平ピン端子、と電気的に導通接続するための雌端子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730135Y1 (ko) * 1969-07-15 1972-09-08
DE2243034C2 (de) * 1972-09-01 1974-09-19 Multi-Contact Ag, Basel (Schweiz) Elektrische Kontaktanordnung
US4013329A (en) * 1976-02-23 1977-03-22 Multilam Corporation Multiple plate assembly for forming electrical connector or switch
US4174143A (en) * 1976-03-29 1979-11-13 Cutler-Hammer, Inc. Bus duct joint employing lightly-loaded multiple-point electrical connector
JPS53133785A (en) * 1977-04-26 1978-11-21 Hitachi Cable Ltd Bus bar conductor connection adapter
US5029254A (en) * 1990-03-23 1991-07-02 Instrument Specialties Company, Inc. Clip mounted electromagnetic shielding device
DE59206955D1 (de) * 1992-05-08 1996-09-26 Multi Contact Ag Kontaktvorrichtung
JPH0817528A (ja) * 1994-06-27 1996-01-19 Oki Densen Kk フレキシブル基板及びリジッド基板用中継コネクタ
US5588884A (en) * 1995-09-08 1996-12-31 Packard Hughes Interconnect Company Stamped and formed contacts for a power connector
US6365297B1 (en) * 1999-12-15 2002-04-02 Delphi Technologies, Inc. High-power bussing connection system for a battery pack
CH694478A5 (de) 2000-01-20 2005-01-31 Multi Holding Ag Kontaktelement.
US6485337B2 (en) * 2000-08-30 2002-11-26 Delphi Technologies, Inc. Electrical connector
EP1523069A1 (de) * 2003-10-10 2005-04-13 Hirschmann Electronics GmbH & Co. KG Kontaktfeder für einen Antennenverstärk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0961A (ja) * 1994-03-17 1996-02-20 Chrysler Corp コネクタ部材間の電気接続を確保するためのケーシング及びコネクタ結合体
JP2002190335A (ja) 2000-12-22 2002-07-05 Tyco Electronics Amp Kk 電気コネクタ
JP2005302730A (ja) 2004-04-14 2005-10-27 Yazaki Europe Ltd 端子ピン、特に扁平ピン端子、と電気的に導通接続するための雌端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4007A (ko) * 2017-10-19 2019-04-29 피닉스 컨택트 게엠베하 & 컴퍼니 카게 버스 바를 포함하는 터미널 조립체
KR102530744B1 (ko) 2017-10-19 2023-05-09 피닉스 컨택트 게엠베하 & 컴퍼니 카게 버스 바를 포함하는 터미널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520172T1 (de) 2011-08-15
US20080271921A1 (en) 2008-11-06
CN101295821A (zh) 2008-10-29
CN101295821B (zh) 2012-12-05
EP1986272A1 (en) 2008-10-29
CA2629994A1 (en) 2008-10-26
JP5016547B2 (ja) 2012-09-05
JP2008277299A (ja) 2008-11-13
US7678995B2 (en) 2010-03-16
CA2629994C (en) 2015-06-30
KR20080096450A (ko) 2008-10-30
EP1986272B1 (en) 2011-08-10
ES2370849T3 (es) 2011-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3797B1 (ko) 플랫 전류 전송선 소자들 사이에 전기적 접촉을 제공하는접촉 기기
US5893761A (en) Printed circuit board connector
CN107437680B (zh) 用于连接两个电气平面触头的连接笼
CN107925174B (zh) 电接线端子
KR870000778A (ko) 모듈형 분배 프레임
KR890702420A (ko) 개량된 콘택트 단자를 구비한 칩 캐리어 소켓(chip carrier socket)
KR100360185B1 (ko) 전기 커넥터용 패널 장착 시스템
EP3407428B1 (en) Metal leaf spring structure of electrical connection terminal
US9806440B2 (en) Terminal block
KR20170127996A (ko) 기판 커넥터
KR20070065305A (ko)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
KR20070057685A (ko) 커넥터
DE60219817D1 (de) Elektrischer steckverbinder
US20210013636A1 (en) Connection device for connecting a shield conductor of an electric line to a grounding section
US9343834B2 (en) Header, receptacle, connec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header
CN111800020A (zh) 开关模块组件及其制造方法
KR20080034396A (ko) 와이어 정렬 기능을 가지며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는 전기커넥터
US7121842B2 (en) Electrical connector
KR20230171972A (ko) 과팽창 방지 메커니즘을 갖는 클램핑 스프링형 접촉 장치 및 그러한 클램핑 스프링형 접촉 장치를 하나 이상 갖는 플러그 커넥터 인서트
US2997688A (en) Connector
US7253358B2 (en) Earth device, plug-in breaker and distribution board
CN113334288B (zh) 固定夹具
CN110350373B (zh) 用于将屏蔽端子与滑轨元件相连的连接装置
US11417971B2 (en) Assembly element for an actuator
US20230086440A1 (en) Connecting apparatus and also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