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5305A -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5305A
KR20070065305A KR1020077003710A KR20077003710A KR20070065305A KR 20070065305 A KR20070065305 A KR 20070065305A KR 1020077003710 A KR1020077003710 A KR 1020077003710A KR 20077003710 A KR20077003710 A KR 20077003710A KR 20070065305 A KR20070065305 A KR 200700653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connection
device adapter
receptacle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37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97900B1 (ko
Inventor
한스 바게너
디르크 헤커
울리히 하우바흐
Original Assignee
리탈 게엠베하 운트 코.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탈 게엠베하 운트 코.카게 filed Critical 리탈 게엠베하 운트 코.카게
Publication of KR200700653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53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79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79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 H02B1/21Bus-bar arrangements for rack-mounted devices with withdrawable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스 바의 종방향에 대하여 직각으로 장착 유닛 상에 위치되며 기계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연결 또는 장치 어댑터에 관한 것이며, 하나의 접촉 요소가 버스 바당 상기 연결 또는 장치 어댑터의 마주하는 버스 바에 전기적으로 전도성 있게 연결되며 상기 연결 또는 장치 어댑터의 상기 접촉 요소는 상기 연결 또는 장치 어댑터의 좁은 측의 영역에서 연결 리셉터클로 유도된다. 본 발명이 접촉 바의 형태의 접촉 요소가 연관된 연결 리셉터클에 의하여 서로 전기적으로 전도성 있게 연결되게 하고 연결 유닛을 형성하게 하며, 상기 연결 또는 장치 어댑터가 좁은 측의 영역에서 연결 유닛을 위한 리셉터클을 가지며 상기 버스 바와 관련하여 위치하는 접점을 갖는 상기 접촉 요소를 수용하게 하면, 특히 상기 연결 또는 장치 어댑터용의 부품 및 조립체 견지의 복잡함이 실질적으로 감소되고 단순화된다.

Description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CONNECTION OR DEVICE ADAPTER}
본 발명은, 버스 바당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의 하나의 접촉 요소가 마주하는 버스 바에 전기적으로 전도성 있게 연결되며 상기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에서 상기 접촉 요소는 상기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의 좁은 측의 영역에서 연결 리셉터클로 유도되며, 버스 바의 종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장착 유닛 상에 위치되며 그와 기계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에 관한 것이다.
버스 바 시스템과 관련된 장치 또는 커넥터 어댑터가 DE 103 00 723 A1으로부터 알려져 있다. 이 경우에, 상기 버스 바 시스템은, 장착 유닛 및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와 함께, 삼상 시스템으로서 설계되어 있다. 상기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의 접촉 요소의 설치 및 상기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의 좁은 측 영역에서의 연결 리셉터클과의 연결은 상당한 조립체 및 부품의 지출을 요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의 조립체 및 부품 지출이 실질적으로 감소되고 설계에 있어 새로운 변화의 가능성을 제공하는, 시작부에서 언급된 형태의 장치 또는 커넥터 어댑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목적은 접촉 레일로서 구형되는 접촉 요소가 연관된 연결 리셉터클과 전기적으로 전도되는 방식으로 연결되는 점에서 또한 상기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가 좁은 측의 영역에서 연결 유닛을 위한 리셉터클을 가지며 상기 버스 바에 대하여 위치되는 접점을 갖는 접촉 요소를 수용한다는 점에서 달성된다.
접촉 레일과 연결 리셉터클로 구성된 연결 유닛은 부품과 조립체에 큰 지출 없이 선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와 단순히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 리셉터클은 상기 접촉 레일과의 연결을 제공하는 모든 전기 부품을 포함하며 라인, 플러그 또는 그 밖의 연결 가능성을 제공한다.
여기서, 제조 및 장착을 위하여 선호되는 실시예는 연관된 연결 리셉터클을 갖는 접촉 레일이 절연 연결 블록에 고정되어 상기 연결 유닛은 연결 리셉터클로서 설계된 리셉터클에 고정된다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이격된 버스 바에 적합한, 다른 길이의 접촉 요소를 갖는 세 개의 연결 유닛이 삼상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에 사용되면, 상기 세 개의 요구되는 연결 유닛에서의 상기 연결 접촉의 길이는 단지 변화한다. 나머지 구조와 연결 유닛을 갖는 부품의 연결은 하지만 동일한 상태를 유지한다. 이 경우, 상기 전기 요소가 적절한 위치에 고정되며 소성 사출 성형 과정에 의하여 연결 블록을 제조하는 중에 서로 전기적 연결을 하게 된다는 점에서 상기 조립체는 용이하게 달성된다.
상기 연결 리셉터클은 상기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의 좁은 측에 배열되며 상기 연결 블록용의 개별 리셉터클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와의 상기 연결 유닛의 연결은 개별 리셉터클이 연결 블록용의 스냅 인 리셉터클로서 구현된다는 점에서 단순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잇점에 따르면, 상기 스냅 인 리셉터클이 다른 폭의 접촉 요소를 갖는 다른 폭의 연결 블록을 수용하며, 상기 폭은 상기 버스 바의 종방향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을 갖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다른 접촉 요소를 갖는 연결 유닛이 사용되는 경우에, 다른 전류 세기용의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의 절연 하우징을 설계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장착 유닛과 대면하는 하측에서, 상기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가 분리 벽에 의하여 버스 바 리셉터클로 분할되고, 상기 접촉 요소가 상기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의 상부 또는 중간 벽 상의 종방향 그루브에 수용되고 개구부를 통하여 그 단부에 형성되는 활 모양의 접점을 가지고 상기 버스 바 리셉터클 내로 돌출하며, 상기 접촉 요소는 커버 플레이트에 의하여 상부에서 덮혀 있는 점에서, 상기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의 접촉 요소의 수용 및 상기 버스 바의 전기적 접촉이 해결된다. 이 경우, 상기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의 상부는 장치 기타의 설치를 위하여 완전히 이용될 수 있다. 더우기, 상기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의 하측에서의 버스 바 리시버와의 연결은 단지 상기 접촉 요소의 접점을 위하여 따라서 상기 장착 유닛의 버스 바와 함께 존재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접촉 요소를 덮는 것은, 상기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가, 상기 접촉 요소용의 수용 홈통을 형성하는, 그 상부를 지나 돌출하는 종방향 엣지 요소를 가지며, 상기 커버 플레이트가 이 수용 홈통 내로 스냅되어지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러한 종방향 엣지 요소는, 상기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에 요구되는 안정성을 가지므로, 장치의 설치를 위한 결합 리시버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접촉 요소의 접점이 상기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에서 한정된 위치를 차지하도록, 다른 개선된 사항은 상기 접점을 따르면서, 상기 접촉 요소는 단부에 의하여 개구부의 가교 역할을 하며 상기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의 상부 또는 중간 벽 상에 위치함을 제공한다.
만약 실시예에서, 상기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가 연결 블록과 접촉 요소를 갖는 연결 유닛용의 좁은 측에 하나의 연결 리셉터클을 가지면, 상기 버스 바 시스템은 단지 단상으로 이용될 수 있고 상기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는 이에 필요한 수단으로 한정된다.
하지만, 상기 실시예는, 상기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가, 예를 들어 두 개 또는 세 개의 접촉 요소를 갖는 연결 블록용의 좁은 측에 연결 리셉터클을 가지도록 되어질 수 있다. 이런 방식으로 형성되는 다중 연결 유닛은 세 개의 연결 유닛을 대신하며, 모든 세 개의 접촉 요소는 적절한 위치에 고정되고 연관된 커넥터 리셉터클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연결 유닛의 연결 리셉터클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장착을 선호하는 실시예는, 상기 연결 유닛의 상기 연결 리셉터클이 개별 커넥터용의 스크류리스 클램핑 커넥터로서 구현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 리셉터클이 전기적 플러그용의 전기적 플러그 인 리셉터클로서 설계되고 상기 플러그에는 연결될 라인용의 라인 연결이 제공된다는 점에서 추가적인 장착 없이 가능하다.
연결 블록이 요구되지 않는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커넥터 리셉터클은 그 다른 측이 상기 접촉 레일과 확실히 전기적 접촉을 하는 커넥터 요소 상에 형성된다.
도 1은 고세기 전류용 삼상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용의 커넥터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저세기 전류용의 접촉 요소를 갖는 삼상 커넥터 유닛의 도면이다.
도 3A는 플러그를 갖는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의 단상 연결용의 변형된 연결 유닛의 도면이다.
도 3B는 플러그가 제거된, 도 3A에 따른 연결 유닛을 갖는 장착 유닛에 부착된 장치 어댑터의 도면이다.
도 3C는 그 내에 접촉 레일이 형성된 연결 블록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삼상 시스템용의 세 개의 삽입된 연결 장치를 갖는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의 상부에서의 도면이다.
도 5는 연결 유닛을 구비하는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의 덮개 없는 상부에서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버스 바 리셉터클과 그 내로 돌출하는 접촉 요소의 접점을 갖는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의 하측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 유닛을 갖는 장치 어댑터이다.
도 8은 도 1에 따른 장치 어댑터의 분해도이다.
세 개의 커넥터 유닛(10.1,10.2,10.3)이 도 1에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이는 버스 바 시스템의 모든 삼상(three phases)에 대하여 후자가 이격되어 있는 버스 바용의 장착 유닛과 접촉할 때의, 도 4 내지 도 6에 따른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30)용으로 사용된다.
상기 연결 유닛(10.1,10.2,10.3)은 선제조될 수 있으며, 소성 사출 성형에 의하여 생성되는, 연결 리셉터클(22,23)을 갖는 연결 블록(20)을 각각 포함하며, 접촉하는 요소로서 뿐 아니라 스프링 턴성 접촉 레일로서 구현되는 접촉 요소(11,13,14)가 사출 성형에 의하여 상기 연결 리셉터클(22,23) 내로 유입되며 동시에 적절한 위치에 고정되고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3C는 U자 형상 단면(11.1)에 의하여 연관된 연결 블록(20)에서 접촉 레일(11)을 대신하는 고정부를 보여 준다. 각 연결 블록(20)에 접촉 레일(11,13,14)을 할당하는 대신에, 다른 실시예는 상기 접촉 레일과 연관된 연결 리셉터클(22,23)을 갖는 공통의 결합된 연결 블록에 상기 접촉 레일(11,13,14)이 함께 결합되도록 되어질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이 도시하듯이, 절연 재료로 형성된 하우징의 하나의 좁은 측에서, 상기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30)는, 커넥터 리셉터클(34)이 그 내로 위치되는 넥(33)을 가지며, 본원에서는 단일 리셉터클로 설계되어 있다. 상기 연결 유닛(10.1,10.2,10.3 또는 10.1',10.2',10.3)은, 상기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30)의 상부로부터 예를 들어 샤프트와 같은 안내 장치를 갖는 커넥터 리셉터클(34) 내로 스냅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상기 연결 블록(20 또는 20')은, 도 5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넥(33)의 스냅 인 리셉터클 내로 스냅되는, 전방면에 형성된 스냅 인 요소(21)를 갖는다. 이 경우에, 상기 커넥터 리셉터클(34)은 폭을 가질 수 있으며, 도 1에 따른 가장 광폭의 연결 블록(20)이 수용될 수 있는 방식으로 중간 벽에 의하여 분할될 수 있다. 그러나, 접촉 레일로서 구현되는 더 좁은 접촉 요소(11',13',14')를 지지하는 도 2에 따른 더 좁은 연결 블록(20')은 상기 커넥터 리셉터믈(34) 내로 또한 스냅될 수 있다. 도 2에 따른 연결 유닛(10.1',10.2',10,3')의 접촉 요소(11',13',14')의 길이는 도 1에 따른 연결 유닛(10.1,10.2,10.3)의 접촉 요소(11,13,14)의 길이에 해당한다.
도 4에서, 세 개의 종방향 그루브(31)가, 상기 더 좁은 접촉 요소(11',13',14')를 수용할 수 있도록, 서로 이격되게, 접촉 요소(11,13,14)의 가장 긴 폭에 짝을 이루는 상기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30)의 상부로 절단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의 상부는 수용 홈통(reception trough)(40)의 경계를 정하는 더 긴 종방향 엣지 요소(39)(도 5)에 의하여 닫힐 수 있다. 상기 연결 유닛(10.1 내지 10.3 또는 10.1' 내지 10.3')이 상기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30) 내로 스냅되어지면, 상기 접촉 요소(11,13,14 또는 11',13',14')는 커버 플레이트(38)에 의하여 상부에서 덮여질 수 있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 상기 커버 플레이트(38)는 상기 수용 홈통(40) 내로 스냅되어질 수 있다. 결합 리테이너(fastening retainer), 장치들 등이 상기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30)의 상부에서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30)의 종방향 엣지 요소(39)에는 결합 리셉터클(fastening receptable)이 제공된다.
상기 연결 유닛(10.1,10.2,10.3 또는 10.1',10.2',10.3')의 접촉 요소(11,13,14 또는 11',13',14')는 다른 길이를 가지며 자유 단부에서 접점(12,12') 내로 종단한다. 상기 접점(12,12')은 활 모양으로 구현되며, 상기 버스 바를 갖는 상기 장착 유닛과 대면하는 상기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30)의 하측에서 버스 바 리셉터클(35.1,35.2,35.3)에서 상기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30)의 개구부(32)를 통하여 돌출한다. 상기 접촉 요소(11,13,14 또는 11',13',14')의 길이 및 상기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30)의 개구부(35.1,35.2,35.3) 사이의 간격은 상기 장착 유닛의 상기 버스 바 사이의 간격과 대응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접점(35.1,35.2,35.3)은, 상기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30)가 상기 장착 유닛과 기계적으로 연결되자 마자 상기 버스 바와 탄성적으로 전기적 접촉을 할 수 있도록, 상기 버스 바 리셉터클(35.1,35.2,35.3) 내로 약간 돌출한다. 이러한 기계적 연결은, 상기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30) 상의 상기 요소(42,43)(도 6)에 표시된 바와 같이, 스냅 인 요소 및/또는 다른 연결 요소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장착 유닛은 해당 역연결(counter-connecting) 및/또는 스냅 인 요소를 가진다.
접촉 레일로서 구현되는 상기 접촉 요소(11,13,14 또는 11',13',14')는,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개구부(32) 후에 상기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30)의 상기 수용 홈통(40)의 상부에서 지지되는 상기 접점(12,12')과의 연결 관계에서 상기 자유 단부에서 단부 단면 상으로 종단한다.
상기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40)가 단상 시스템(single phase system)용으로 사용될 수 있음이 언급될 수 있다. 이 경우, 단지 하나의 커넥터 리셉터클(34) 이, 그 내로 연결 유닛(10.1,10.2,10.3,10.1',10.2', 또는 10.3')이 삽입되거나 스냅될 수 있는 넥(33) 상에 제공된다. 상기 연결 유닛의 선택에 의하여, 상기 장착 유닛의 어느 버스 바로써 상기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가 연결되고 상기 단상 시스템에서 접촉하게 되는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3A가 표시하는 바와 같이, 단상 연결 유닛 형태의 연결 유닛이 단지 하나의 접촉 요소(11")를 가질 수 있으며, 다상 연결 유닛 형태의 연결 유닛이 다른 길이를 갖는 세 개의 접촉 요소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연결 리셉터클(22",23")은 대응되게 제공되며 한번 또는 세번 분포된다.
도 3A는 프롱(26)으로써 상기 연결 리셉터클(23,23') 내로 플러그되며, 그 자체가 그로써 연결 라인이 아웃셋으로부터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연결 리셉터클(22,23 또는 22',23') 내의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접촉될 수 있는 연결 리셉터클(22",23")을 갖는 플러그(25)를 보여 준다. 상기 연결 라인은 상기 연결 블록(20,20')으로부터, 따라서, 플러그(25)에 의하여, 상기 연결 유닛으로부터 함께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미리 응력이 가해진 스프링에 의하여 상기 어댑터 하우징, 예를 들면 스냅 인 리시버(21)의 전방면 상의 움푹한 부분(depression) 내로 스냅되는, 스냅 인 돌출부를 갖는 스냅 인 레버(24)가 상기 플러그(25)를 적절한 위치에 고정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사시도로서, 도 3B는 상기 연결 블록(20)의 각 연결 리셉터클(23) 내로 삽입될 수 있으며 그 자체에 연결 케이블이 제공되는 분리된 플러그 뿐 아니라 버스 바 시스템의 장착 유닛에 부착되는 삽입된 연결 유닛을 갖는 장치 어댑터(30)를 보여 준다.
도 7은 상기 연결 요소(28) 상에 구현되는 그 연결 리셉터클을 볼 수 있는 다른 실시예의 연결 유닛을 갖는 장치 어댑터(30)를 보여 준다. 도 8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그 반대로 위치하는 단부 단면이 상기 접촉 레일(13,14)의 베벨 형상의 표면과 전기적으로 접촉되어 있는 연결 요소(28)가, 상기 연결 리셉터클(34)의 영역의 상기 어댑터의 좁은 측에서 삽입되는 삽입 요소(29)의 통로(29.1)를 통하여 상기 장치 어댑터(30)의 상부와 관련하여 수직으로 외향 안내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연결 요소(28)와 상기 접촉 레일의 연결은 용접, 특히 초음파 용접 또는 납땜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바인딩 포스트에 의하여 연결 라인이 상기 연결 요소(28)의 상기 연결 리셉터클에 부착될 수 있다.
도 8이 더 보여 주듯이, 상기 삽입 요소(29)는 하측에서 중공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 요소(28)와 상기 접촉 레일(11,13,14) 사이의 접촉 영역이 수용되는 클램프를 갖는다. 상기 삽입 요소(29)는 스냅 인되어 상기 어댑터 하우징 상에서 적절한 위치에 고정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단순히 삽입되어 있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38')에 의하여 적절한 위치에서 유지될 수 있으며, 상기 커버 플레이트(38')는 상기 어댑터 하우징의 상부 엣지와 함께 스냅되며 상기 삽입 요소(29)의 돌출부 위로 연장한다. 도 8은 상기 연관된 버스 바 상에 신뢰할 만한 접촉 압력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상기 커버 플레이트(38')의 하측에 대항하여 헬리컬 스프링(50)에 의하여 그 접점(12,12') 상에서 상기 접촉 레일이 지지됨을 보여 준다.

Claims (15)

  1. 버스 바의 종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장착 유닛 상에 위치될 수 있으며 그에 기계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에서 버스 바당 하나의 접촉 요소가 대면하는 버스 바와 전기적으로 전도되게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접촉 요소는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의 좁은 측 영역에서 연결 리셉터클(22,23,22',23',22",23")로 안내되는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에 있어서,
    접촉 레일(11,13,14,11',13',14')로서 구현되는 상기 접촉 요소는 연관된 연결 리셉터클(22,23,22',23',22",23",28.1)과 전기적으로 전도되는 방식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연결 유닛(10.1,10.2,10.3,10.1',10.2',10.3',10.1")을 구성하며, 상기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30)는 좁은 측의 영역에서 상기 연결 유닛(10.1,10.2,10.3,10.1',10.2',10.3',10.1")을 위한 리셉터클(34)을 가지며 상기 버스 바에 대하여 위치되는 접점(12,12")을 갖는 상기 접촉 요소(11,13,14,11',13',14',10.1")를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관된 연결 리셉터클(22,23,22',23',22",23")을 갖는 상기 접촉 레일(11,13,14,11',13',14')은 절연 연결 블록(20,20',20")의 적절한 위치에 고정되며 상기 연결 유닛(10.1,10.2,10.3,10.1',10.2',10.3',10.1")은 연결 리셉터클로서 설계된 상기 리셉터클(34)의 적절한 위치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이격된 버스 바와 짝을 이루는, 다른 길이의 접촉 요소를 갖는 세 개의 연결 유닛(10.1,10.2,10.3,10.1',10.2',10.3',10")이 삼상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30)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리셉터클(34)은 상기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30)의 좁은 측에 배열되며 각 연결 블록(20,20')용의 개별 리셉터클로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리셉터클은 상기 연결 블록(20,20')용의 스냅 인 리셉터클로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스냅 인 리셉터클은 다른 폭의 접촉 요소(11,13,14,11',13',14')를 갖는 다른 폭의 연결 블록(20,20')을 수용하며 상기 폭은 상기 버스 바의 종방향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유닛과 마주할 하 측에서, 상기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3)는 분리 벽(36,237)에 의하여 버스 바 리셉터클(35.1,35.2,35.3)로 분할되며, 상기 접촉 요소(11,13,14,11',13',14')는 상기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30)의 상부 상의 또는 중간 벽 상의 종방향 그루브에 수용되며 개구부(32)를 통하여 그 단부 상에 형성되는 활 모양의 접점(12,12')으로써 상기 버스 바 리셉터클(35.1,35.2,35.3) 내로 돌출하며, 상기 접촉 요소(11,13,14,11',13',14')는 커버 플레이트(38,38')에 의하여 상부에서 덮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요소(11,13,14,11',13',14')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38)의 하측에 대항하여 헬리컬 스프링(50)에 의하여 그 상부에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30)는 그 상부를 지나 돌출하여 상기 접촉 요소(11,13,14,11',13',14')용의 수용 홈통(40)을 형성하는 종방향 엣지 요소(39)를 가지며, 상기 커버 플레이트(38)는 상기 수용 홈통(40) 내로 스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
  10. 제 7 항 및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요소(11,13,14,11',13',14')는 단부에 의하여 상기 개구부(32)의 가교 역할을 하며 상기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30)의 상부 또는 중간 벽 상에 놓여 있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30)는 하나의 연결 블록(20,20')과 하나의 접촉 요소(11')를 갖는 하나의 연결 유닛(10.1,10.1')용의 좁은 측에 단지 하나의 연결 리셉터클(34)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30)는 세 개의 접촉 요소(11,13,14,11',13',14')를 갖는 하나의 연결 블록용의 좁은 측에 하나의 연결 리셉터클(34)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장치(10.1,10.2,10.3,10.1',10.2',10.3',10.1")의 상기 연결 리셉터클(22,23,22',23',22",23")은 개별 커넥터용의 스크류리스 클램핑 커넥터로서 구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리셉터클(22,23,22',23',22",23")은 전기적 플러그(25)용의 전기적 플러그 인 리셉터클로서 설계되며, 이에는 연결될 라인용의 라인 연결부(22",23")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리셉터클(28.1)은 그 외측이 상기 접촉 레일(11,13,14,11',13',14')과 확실한 전기적 접촉을 하는 커넥터 요소(28)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
KR1020077003710A 2005-03-04 2006-02-10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 KR1008979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5009856A DE102005009856B4 (de) 2005-03-04 2005-03-04 Anschluss- oder Geräteadapter
DE102005009856.8 2005-03-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5305A true KR20070065305A (ko) 2007-06-22
KR100897900B1 KR100897900B1 (ko) 2009-05-18

Family

ID=36203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3710A KR100897900B1 (ko) 2005-03-04 2006-02-10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601013B2 (ko)
EP (1) EP1859517B1 (ko)
KR (1) KR100897900B1 (ko)
CN (1) CN101133532B (ko)
DE (1) DE102005009856B4 (ko)
WO (1) WO20060945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53740B2 (en) * 2007-07-20 2010-07-13 Numatics, Incorporated Modular electrical bus system
FR2962861B1 (fr) * 2010-07-16 2013-09-27 Hager Electro Sas Dispositif de pontage configurable.
DE102011052381B4 (de) * 2011-08-03 2013-04-18 Rittal Gmbh & Co. Kg Sammelschienenadapter mit einer Tragschiene für die Befestigung eines Schaltgeräts
DE102012206597B4 (de) * 2012-04-20 2015-02-26 Wöhner GmbH & Co. KG Elektrotechnische Systeme Sammelschienenadapter
DE102013110789B3 (de) * 2013-09-30 2014-12-04 Klaus Bruchmann Gmbh Adapter zum Kontaktieren von Sammelschienen
DE102013111857B4 (de) * 2013-10-28 2015-05-13 Klaus Bruchmann Gmbh Gesicherter Sammelschienenadapter
PT2911253T (pt) * 2014-02-21 2016-09-28 Woehner Gmbh & Co Kg Elektrotechnische Systeme Resumo
DE102014108090B3 (de) * 2014-06-10 2015-08-20 Klaus Bruchmann Gmbh Adaptersystem mit einem Adapter für Sammelschienen und einem Adapteranschlussmodul
US10665988B2 (en) * 2018-08-08 2020-05-26 Hyperframe Inc. Framing assembly with modular connectors
EP3817025B1 (en) 2019-10-28 2024-05-01 Eaton Intelligent Power Limited Conductor assembly for a power distribution system
CA3097175A1 (en) * 2019-10-28 2021-04-28 Eaton Intelligent Power Limited Conductor assembly for a power distribution system
EP3829010A1 (de) 2019-11-26 2021-06-02 Wöhner GmbH & Co. KG Elektrotechnische Systeme Adaptervorrichtung für stromsammelschienensystem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124487C2 (de) * 1990-12-22 1994-05-11 Geyer Gmbh & Co Christian Adapter
US5779504A (en) * 1995-09-29 1998-07-14 Reltec Corporation Modular terminal block assembly
DE19755841C1 (de) * 1997-12-15 1998-12-10 Loh Kg Rittal Werk Adaptergehäuse für elektrische Installationsgeräte
DE19755848C2 (de) * 1997-12-15 2002-07-18 Rittal Gmbh & Co Kg Multifunktionsadapter für eine Anzahl von Stromsammelschienen eines Sammelschienensystems
DE20021418U1 (de) 2000-03-23 2001-05-03 Hager Electro Gmbh Zwischenteil zum Anordnen eines Leitungsschutzschalters auf Sammelschienen eines elektrischen Verteilers
US6425770B1 (en) * 2000-04-14 2002-07-30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Input/output device having removable module
DE10061940C2 (de) * 2000-12-13 2002-11-21 Woehner Gmbh & Co Kg Kupplungsplatte für Stromschienenadapter
DE10152347C1 (de) * 2001-10-24 2003-06-12 Siemens Ag Schaltgerät mit adaptiertem mehrphasigem Sammelschienensystem
DE10215500B4 (de) 2002-04-09 2011-03-31 Efen Gmbh Adapter
DE10300723B4 (de) * 2003-01-11 2005-05-04 Rittal Gmbh & Co. Kg Sammelschienensystem und Anschluss- oder Geräte-Adapter
DE102005009992B3 (de) * 2005-03-04 2006-06-01 Rittal Gmbh & Co. Kg Geräte- oder Anschlussadap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59517B1 (de) 2019-04-10
WO2006094598A1 (de) 2006-09-14
DE102005009856B4 (de) 2008-10-09
EP1859517A1 (de) 2007-11-28
DE102005009856A1 (de) 2006-09-14
KR100897900B1 (ko) 2009-05-18
CN101133532A (zh) 2008-02-27
US7601013B2 (en) 2009-10-13
CN101133532B (zh) 2012-07-04
US20080220635A1 (en) 2008-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65305A (ko)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
JP5224179B2 (ja) ばね力接続装置
US6893286B2 (en) Connector apparatus adapted for the direct plug-in connection of conductors
US6746286B2 (en) Push-in wire connector
US5626488A (en) Electrical terminal and coupling connector
US7753739B2 (en) Electrical terminal block
US5641312A (en) Terminal block and function plugs
US7566234B2 (en) Connector apparatus with code means
KR101389625B1 (ko) 전자 부품의 접속 구조
KR102257639B1 (ko) 플러그 커넥터 접촉 캐리어
KR870010650A (ko) 케이블 결속단자대
KR101994573B1 (ko) 모듈형 플러그 커넥터
JP2000012173A (ja) 電気的な差込み結合部材
KR20080000640A (ko) 접속 터미널용 클램핑 장치
CH711635A2 (en) Energy meter connection block with lock-up device.
KR19980032404A (ko) 스위치 접속 구조
US4542953A (en) Wire connection terminal stage for electric apparatus
JPS5919627B2 (ja) スイッチ接点を遮蔽または分離するプラグ
US4269470A (en) Modular electrical terminal board
IL153126A (en) Earthing bus and protection plug for a switch strip or separating strip in telecommunications and data technology
US4735586A (en) Conductor connector
CN111162391B (zh) 导电轨系统
US20240097355A1 (en) Plug connector and insulating housing for a plug connector
CN112563775B (zh) 带有分接接线端子的接线盒装置
GB2198597A (en) A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and a housing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