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7900B1 -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7900B1
KR100897900B1 KR1020077003710A KR20077003710A KR100897900B1 KR 100897900 B1 KR100897900 B1 KR 100897900B1 KR 1020077003710 A KR1020077003710 A KR 1020077003710A KR 20077003710 A KR20077003710 A KR 20077003710A KR 100897900 B1 KR100897900 B1 KR 1008979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device adapter
receptacle
contact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37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65305A (ko
Inventor
한스 바게너
디르크 헤커
울리히 하우바흐
Original Assignee
리탈 게엠베하 운트 코.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탈 게엠베하 운트 코.카게 filed Critical 리탈 게엠베하 운트 코.카게
Publication of KR200700653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53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79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79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 H02B1/21Bus-bar arrangements for rack-mounted devices with withdrawable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스 바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각으로 장착 유닛 상에 배치되어 기계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에 관한 것이고,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의 접촉 요소가 그에 대응하는 버스 바에 전기 접속되고,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의 좁은 측부의 영역의 연결 리셉터클로 인도되어 있다. 본 발명이 관련 연결 리셉터클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접속 유닛을 형성하는 접촉 바 형태의 접촉 요소를 제공하고, 또한, 좁은 측부의 영역에 접속 유닛을 위한 리셉터클을 가지며 버스 바와 관련하여 위치하는 접점을 가진 접촉 요소를 수용하는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를 제공하는 경우, 특히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의 부품 및 조립의 복잡함이 크게 감소되고 단순화된다.

Description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CONNECTION OR DEVICE ADAPTER}
본 발명은, 버스 바(bus bar)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방향에서 장착 유닛 상에 배치될 수 있고 그 장착 유닛에 기계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로서,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에 버스 바 당 하나씩 제공된 접촉 요소가 그에 대면하는 버스 바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접촉 요소는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의 좁은 측부의 영역의 연결 리셉터클로 인도되어 있는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에 관한 것이다.
버스 바 시스템과 관련된 장치 또는 커넥터 어댑터가 DE 103 00 723 A1호에 알려져 있다. 이 경우, 버스 바 시스템은 장착 유닛 및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와 함께, 3상(相) 시스템으로서 설계되어 있다.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에서의 접촉 요소의 설치 및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의 좁은 측부의 영역의 연결 리셉터클과 접촉 요소의 연결은 상당한 조립 및 부품 비용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의 조립 및 부품 비용이 크게 감소되고 배치(layout)에 대한 새로운 변경 가능성이 제공되는, 서두에 언급된 타입의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목적은, 접촉 레일로서 구현되는 접촉 요소가 관련 연결 리셉터클과 전기 전도 방식으로 연결되고, 커넥터 유닛을 구성하며,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는 그의 좁은 측부의 영역에 커넥터 유닛을 위한 리셉터클을 가지고, 접점이 버스 바에 대하여 위치결정되는 상태로 접촉 요소를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에 의해 달성된다.
접촉 레일과 연결 리셉터클로 구성되는 커넥터 유닛은 부품 및 조립에 대한 많은 지출 없이 미리 제조될 수 있고,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와 간단히 연결될 수 있다. 연결 리셉터클은 접촉 레일과의 연결을 제공하는 모든 전기 부품을 수용하고, 도선, 플러그 등을 위한 접속 가능성을 제공한다.
여기서, 제조 및 장착에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연결 리셉터클과 관련되는 접촉 레일이 절연 연결 블록 내에 고정되고, 커넥터 유닛이 커넥터 리셉터클로서 설계된 리셉터클 내에 고정되어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는 버스 바들과 짝을 이루고, 상이한 길이의 접촉 요소를 가진 3개의 커넥터 유닛이 3상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에 사용되는 경우, 3개의 커넥터 유닛의 접촉 요소들의 길이만이 변경되고, 나머지 구조, 및 커넥터 유닛과 부품들의 연결은 동일하다. 이 경우, 전기적 구성요소들이 제자리에 고정될 수 있고, 소성 사출 성형 과정에 의해 연결 블록을 제조하는 동안에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는 점에서, 조립이 용이하게 달성될 수 있다.
커넥터 리셉터클은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의 좁은 측부에 배치되고, 개개의 연결 블록을 위한 개별 리셉터클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와 커넥터 유닛의 연결은, 개별 리셉터클이 연결 블록을 위한 스냅 결합 리셉터클로서 구현되는 점에서 간략화될 수 있다.
유리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스냅 결합 리셉터클이 상이한 폭의 접촉 요소를 가진 상이한 폭의 연결 블록을 수용하고, 여기서, 상기 폭은 버스 바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으로의 폭이다. 이렇게 하여, 상이한 접촉 요소들을 가진 커넥터 유닛이 사용되는 경우, 상이한 전류 강도를 위한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의 절연 하우징을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는 장착 유닛으로 향하는 하측이 분리 벽에 의해 다수의 버스 바 리셉터클로 분할되어 있고, 접촉 요소는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의 상부 또는 중간 벽의 길이방향 홈 내에 수용되고, 접촉 요소의 단부에 형성된 활 모양의 접점이 개구부를 통하여 버스 바 리셉터클 내로 돌출하고, 접촉 요소는 커버 플레이트에 의해 상부에서 덮여 있는 점에서,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에서의 접촉 요소들의 수용 및 버스 바와의 전기적 접촉이 해결된다. 이 경우,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의 상부 전체가 장치 등의 추가 설치를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의 하측에서의 버스 바 리시버와의 접속은 장착 유닛의 버스 바에 대한 접촉 요소의 접점의 접촉으로만 이루어진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접촉 요소를 덮는 구성은,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가, 그의 상면을 넘어 돌출하고 접촉 요소를 위한 수용 홈통을 형성하는 길이방향 엣지(edge) 요소를 가지며, 커버 플레이트가 상기 수용 홈통에 스냅 결합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러한 길이방향 엣지 요소는,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에 요구되는 안정성을 가지므로, 장치의 설치를 위한 체결 리시버를 구비할 수 있다.
접촉 요소의 접점이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에서 한정된 위치를 차지하도록, 추가 실시형태에서는, 접촉 요소는 접점에 이어지는 그의 단부 부분에 의하여 개구부를 교락(橋絡)하고,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의 상부 또는 중간 벽 상에 놓여진다.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가 연결 블록과 접촉 요소를 가진 커넥터 유닛을 위한 하나의 커넥터 리셉터클만을 좁은 측부에 가지도록 하는 실시형태의 경우, 버스 바 시스템은 단상(單相)에만 이용될 수 있고,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는 이것에 요구되는 수단으로 한정된다.
그러나,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가, 예를 들어, 2개 또는 3개의 접촉 요소를 가진 연결 블록을 위한 커넥터 리셉터클을 좁은 측부에 가지는 실시형태도 가능하다. 이렇게 형성된 다중 커넥터 유닛은 3개의 커넥터 유닛을 위한 장소를 차지하고, 여기서, 3개의 접촉 요소 모두가 제자리에 고정되고, 관련 커넥터 리셉터클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커넥터 유닛의 연결 리셉터클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장착에 유리한 실시형태는, 커넥터 유닛의 연결 리셉터클이 개별 커넥터를 위한 나사 없는(screwless) 클램핑 커넥터로서 구현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연결 리셉터클이 전기 플러그를 위한 전기 플러그 리셉터클로서 설계되고, 플러그는 연결될 도선을 위한 도선 연결부를 구비하는 실시형태에서는, 커넥터의 추가 장착이 필요 없게 될 수 있다.
연결 블록이 요구되지 않는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는, 연결 리셉터클이 연결 요소의 한쪽 단부에 형성되어 있고, 그 연결 요소의 다른 쪽 단부가 접촉 요소와 전기적으로 접촉하여 있다.
도 1은 고강도 전류용 3상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를 위한 3개의 커넥터 유닛의 사시도.
도 2는 저강도 전류용의 접촉 요소를 가진 3개의 커넥터 유닛의 사시도.
도 3A는 플러그를 구비하고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의 단상(單相) 접속을 위한 변형된 커넥터 유닛의 사시도.
도 3B는 플러그가 제거된, 도 3A에 따른 커넥터 유닛을 가지고 장착 유닛에 부착된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를 나타내는 도면.
도 3C는 접촉 레일이 고정된 연결 블록의 단면도.
도 4는 3상 시스템용의 3개의 커넥터 유닛이 삽입된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의 상면도.
도 5는 커넥터 유닛을 구비한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를 덮이지 않은 상태에서 위에서 본 사시도.
도 6은 접촉 요소들의 접점이 버스 바 리셉터클 내로 돌출하여 있는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를 하측에서 본 사시도.
도 7은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 유닛을 가진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도 7에 따른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의 분해도.
3개의 커넥터 유닛(10.1, 10.2, 10.3)이 도 1에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이들 커넥터 유닛은, 3상(相) 버스 바(bus bar) 시스템이,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는 3개의 버스 바를 위한 장착 유닛과 연결될 때, 도 4 내지 도 6에 따른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30)에 사용된다.
이들 커넥터 유닛(10.1, 10.2, 10.3)은 미리 제조될 수 있고, 연결 리셉터클(22, 23)을 가진 연결 블록(20)을 각각 포함하며, 연결 블록(20)은 소성 사출 성형에 의해 제조된다. 스프링 탄성 접촉 레일로서 구현되는 접촉 요소(11, 13, 14)들과 피접촉 요소들이 사출 성형 시에 연결 리셉터클(22, 23) 내에 도입되어 제자리에 고정되고,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도 3C는, 접촉 요소(11)가 U자형 부분(11.1)에 의해 관련 연결 블록(20)내의 제자리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각각의 연결 블록(20)에 접촉 요소(11, 13, 14)를 할당하는 대신에, 접촉 요소들과 연관된 연결 리셉터클(22, 23)을 가진 공통의 조합된 연결 블록에서 접촉 요소(11, 13, 14)들이 함께 결합되도록 하는 실시형태도 가능하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 재료로 형성된 하우징의 한쪽의 좁은 측부에서,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30)는 목(neck) 부분(33)을 가지고 있고, 이 목 부분 내에, 여기서는 단일의 리셉터클로 설계된 커넥터 리셉터클(34)이 배치되어 있다. 커넥터 유닛(10.1, 10.2, 10.3 또는 10.1', 10.2', 10.3')은,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30)의 상부로부터, 예를 들어, 샤프트와 같은 안내 장치를 가진 커넥터 리셉터클(34) 내에 스냅 결합될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해, 연결 블록(20 또는 20')의 정면에는, 도 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목 부분(33)의 스냅 결합 리셉터클 내에 스냅 결합되는 스냅 결합 요소(21)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커넥터 리셉터클(34)은 소정의 폭을 가질 수 있고, 도 1에 따른 가장 넓은 연결 블록(20)이 수용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중간 벽에 의하여 분할될 수 있다. 그러나, 접촉 레일로서 구현되는 보다 좁은 접촉 요소(11', 13', 14')를 지지하는, 도 2에 따른 보다 좁은 연결 블록(20')도 커넥터 리셉터클(34) 내에 스냅 결합될 수 있다. 도 2에 따른 커넥터 유닛(10.1', 10.2', 10,3')의 접촉 요소(11', 13', 14')의 길이는 도 1에 따른 커넥터 유닛(10.1, 10.2, 10.3)의 접촉 요소(11, 13, 14)의 길이와 같다.
도 4에서,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는 3개의 길이방향 홈(31)이, 보다 좁은 접촉 요소(11', 13', 14')도 수용할 수 있도록 접촉 요소(11, 13, 14)의 가장 큰 폭에 조화되는 폭을 가지고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30)의 상부에 절삭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30)의 상부는, 수용 홈통(trough)(40)의 한계를 정하는 높은 길이방향 엣지(edge) 요소(39)에 의해 측면이 막혀 있다. 커넥터 유닛(10.1, 10.2, 10.3 또는 10.1' 10.2', 10.3')이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30) 내에 스냅 결합되면, 접촉 요소(11, 13, 14 또는 11', 13', 14')는 커버 플레이트(38)(도 5)에 의해 상부에서 덮일 수 있다. 이 경우, 커버 플레이트(38)는 수용 홈통(40) 내에 스냅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체결 리테이너(retainer), 장치 등이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30)의 상부에 체결될 수 있도록,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30)의 길이방향 엣지 요소(39)에는 체결 리셉터클이 제공될 수도 있다.
커넥터 유닛(10.1, 10.2, 10.3 또는 10.1', 10.2', 10.3')의 접촉 요소(11, 13, 14 또는 11', 13', 14')들은 상이한 길이를 가지고, 자유 단부에 접점(12 또는 12')을 가지고 있다. 접점(12 또는 12')은 활 모양으로 구현되어 있고,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30)의 개구부(32)를 통하여,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30)의 하측(버스 바를 가진 장착 유닛으로 향하는 쪽)에 분리 벽(36, 37)에 의해 분할되어 제공된 버스 바 리셉터클(35.1, 35.2, 35.3)내로 돌출한다. 접촉 요소(11, 13, 14 또는 11', 13', 14')의 길이 및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30)의 개구부(32)들의 간격은 장착 유닛의 버스 바들 사이의 간격과 조화되어 있다. 접점(12 또는 12')은 버스 바 리셉터클(35.1, 35.2, 35.3) 내로 약간 돌출하여,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30)가 장착 유닛과 기계적으로 연결되자 마자 버스 바와 탄성적으로 전기 접촉을 할 수 있다. 이러한 기계적 연결은,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30)의 요소(42, 43)(도 6)로 나타내어진 것과 같은 스냅 결합 요소 및/또는 다른 연결 요소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장착 유닛은 대응하는 연결 및/또는 스냅 결합 요소를 가진다.
접촉 레일로서 구현되는 접촉 요소(11, 13, 14 또는 11', 13', 14')는 접점(12 또는 12')에 이어지는 자유 단부 쪽 부분이,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개구부(32) 뒤에서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30)의 수용 홈통(40)의 상부에 지지된다.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30)는 단상(單相) 시스템에도 사용될 수 있음을 언급하여 둔다. 이 경우, 하나의 커넥터 리셉터클(34)만이, 커넥터 유닛(10.1, 10.2, 10.3, 또는 10.1', 10.2', 10.3')이 삽입되거나 스냅 결합될 수 있는 목 부분(33)에 제공된다. 커넥터 유닛의 선택에 의해, 단상 시스템에서 장착 유닛의 어느 버스 바와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가 연결되고 접촉하게 되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상 커넥터 유닛 형태의 커넥터 유닛(10.1")은 하나의 접촉 요소(11")만을 가질 수 있고, 다상 커넥터 유닛 형태에서는 커넥터 유닛이 상이한 길이의 3개의 접촉 요소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연결 리셉터클(22", 23")이 제공되고, 한번 또는 3번 분포된다.
도 3A는 또한, 플러그(25)를 나타내고, 이 플러그(25)는 프롱(prong)(26)에서 연결 리셉터클(23 또는 23') 내에 끼워져 접촉하고, 그 자체가 연결 리셉터클(22", 23")을 가지고, 접속 도선들이 그 연결 리셉터클(22", 23")과 처음부터 연결되거나 또는 연결 리셉터클(22, 23 또는 22', 23')에 유사한 방식으로 접촉할 수 있다. 접속 도선들이 함께 플러그(25)에 의해 연결 블록(20, 20')으로부터, 그리고, 커넥터 유닛으로부터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다. 미리 응력이 가해진 스프링에 의해 어댑터 하우징의 앞면의 오목부, 예를 들어, 스냅 결합 요소(21)에 스냅 결합되는 스냅 결합 돌출부를 가진 스냅 결합 레버(24)가 플러그(25)를 제자리에 고정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 유리하다. 도 3B는, 버스 바 시스템의 장착 유닛에 부착되고, 커넥터 유닛이 삽입되고, 플러그가 제거된 상태의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30)를 사시도로 나타낸다. 플러그는 연결 블록(20)의 각 연결 리셉터클(23) 내에 삽입될 수 있고, 그 자체에 연결 케이블을 구비하고 있다.
도 7은 다른 실시형태의 커넥터 유닛을 가진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30)를 나타내고, 연결 요소(28)에 구현되는 연결 리셉터클을 볼 수 있다. 연결 요소(28)는, 도 8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반대쪽에 위치하는 단부 부분이 접촉 요소(접촉 레일)(13, 14)의 각진 면 부위와 전기적으로 접촉하고, 연결 리셉터클(34)의 영역에서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의 좁은 측부에 삽입되는 삽입 요소(29)의 통로(29.1)를 통하여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30)의 상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외측으로 인도된다. 연결 요소(28)와 접촉 레일의 연결은 용접, 특히 초음파 용접 또는 납땜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유리하다. 접속 도선이, 예를 들어, 고정 지주(binding post)에 의해 연결 요소(28)의 연결 리셉터클에 부착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 요소(29)는 하측에서 개방되어 있고, 클램프들을 가지며, 이들 클램프 내에 연결 요소(28)와 접촉 요소(접촉 레일)(11, 13, 14) 사이의 접촉 영역이 수용된다. 삽입 요소(29)는, 예를 들어, 스냅 결합에 의해 어댑터 하우징 상의 제자리에 고정되거나, 또는 단순히 삽입되고 커버 플레이트(38')에 의해 제자리에 유지될 수 있으며, 커버 플레이트(38')는 어댑터 하우징의 상부 엣지에 스냅 결합되고, 삽입 요소(29)의 돌출부 위로 연장한다. 도 8은 또한, 관련 버스 바에 대한 신뢰성 있는 접촉 압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접촉 레일이 접점(12, 12')에서 나선 스프링(50)에 의해 커버 플레이트(38')의 하면에 대하여 지지되는 것을 나타낸다.

Claims (15)

  1. 버스 바(bus bar)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방향에서 장착 유닛 상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장착 유닛에 기계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로서,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에 버스 바 당 하나씩 제공된 접촉 요소가 그에 대면하는 버스 바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접촉 요소는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의 좁은 측부의 영역의 연결 리셉터클(22, 23, 22', 23', 22", 23")로 인도되어 있는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에 있어서,
    접촉 레일로서 구현되는 상기 접촉 요소(11, 13, 14, 11', 13', 14')는 관련 연결 리셉터클(22, 23, 22', 23', 22", 23", 28.1)과 전기 전도 방식으로 연결되고, 커넥터 유닛(10.1, 10.2, 10.3, 10.1', 10.2', 10.3', 10.1")을 구성하며, 상기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30)는 그의 좁은 측부의 영역에 상기 커넥터 유닛(10.1, 10.2, 10.3, 10.1', 10.2', 10.3', 10.1")을 위한 커넥터 리셉터클(34)을 가지고, 접점(12, 12")이 상기 버스 바에 대하여 위치결정되는 상태로 상기 접촉 요소(11, 13, 14, 11', 13', 14')를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리셉터클(22, 23, 22', 23', 22", 23")과 관련되는 상기 접촉 요소(11, 13, 14, 11', 13', 14')은 절연 연결 블록(20, 20', 20")내에 고정되고, 상기 커넥터 유닛(10.1, 10.2, 10.3, 10.1', 10.2', 10.3', 10.1")은 상기 커넥터 리셉터클(34)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는 버스 바들과 짝을 이루고, 상이한 길이의 접촉 요소를 가지는 3개의 커넥터 유닛(10.1, 10.2, 10.3, 10.1', 10.2', 10.3', 10.1")이 3상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30)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리셉터클(34)은 상기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30)의 좁은 측부에 배치되고, 개개의 연결 블록(20, 20')을 위한 개별 리셉터클로서 구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리셉터클은 상기 연결 블록(20, 20')을 위한 스냅 결합 리셉터클로서 구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스냅 결합 리셉터클은 상이한 폭의 접촉 요소(11, 13, 14, 11', 13', 14')를 가진 상이한 폭의 연결 블록(20, 20')을 수용하고, 상기 폭은 상기 버스 바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으로의 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30)는 상기 장착 유닛으로 향하는 하측이 분리 벽(36, 37)에 의해 다수의 버스 바 리셉터클(35.1, 35.2, 35.3)로 분할되어 있고, 상기 접촉 요소(11, 13, 14, 11', 13', 14')는 상기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30)의 상부 또는 중간 벽의 길이방향 홈(31) 내에 수용되고, 상기 접촉 요소의 단부에 형성된 활 모양의 접점(12, 12')이 개구부(32)를 통하여 상기 버스 바 리셉터클(35.1, 35.2, 35.3) 내로 돌출하고, 상기 접촉 요소(11, 13, 14, 11', 13', 14')는 커버 플레이트(38, 38')에 의해 상부에서 덮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요소(11, 13, 14, 11', 13', 14')는 그의 상부에서 나선 스프링(50)에 의해 상기 커버 플레이트(38)의 하측에 대하여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30)는, 그의 상면을 넘어 돌출하고 상기 접촉 요소(11, 13, 14, 11', 13', 14')를 위한 수용 홈통(40)을 형성하는 길이방향 엣지(edge) 요소(39)를 가지며, 상기 커버 플레이트(38)는 상기 수용 홈통(40)에 스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요소(11, 13, 14, 11', 13', 14')는 접점(12, 12')에 이어지는 그의 단부 부분에 의하여 상기 개구부(32)를 교락(橋絡)하고, 상기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30)의 상부 또는 중간 벽 상에 놓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30)는 그의 좁은 측부에, 하나의 연결 블록(20, 20')과 하나의 접촉 요소(11')를 가진 하나의 커넥터 유닛(10.1, 10.1')을 위한 하나의 커넥터 리셉터클(34)만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30)는 그의 좁은 측부에, 3개의 접촉 요소(11, 13, 14, 11', 13', 14')를 가진 하나의 연결 블록을 위한 하나의 커넥터 리셉터클(34)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유닛(10.1, 10.2, 10.3, 10.1', 10.2', 10.3', 10.1")의 연결 리셉터클(22, 23, 22', 23', 22", 23")은 개별 커넥터를 위한 나사 없는(screwless) 클램핑 커넥터로서 구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리셉터클(22, 23, 22', 23', 22", 23")은 전기 플러그(25)를 위한 전기 플러그 리셉터클로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전기 플러그(25)는 연결될 도선을 위한 도선 연결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
  15. 제 1 항에 있어서, 연결 리셉터클(28.1)이 연결 요소(28)의 한쪽 단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 요소(28)의 다른 쪽 단부가 상기 접촉 요소(11, 13, 14, 11', 13', 14')와 전기적으로 접촉하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
KR1020077003710A 2005-03-04 2006-02-10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 KR1008979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5009856.8 2005-03-04
DE102005009856A DE102005009856B4 (de) 2005-03-04 2005-03-04 Anschluss- oder Geräteadap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5305A KR20070065305A (ko) 2007-06-22
KR100897900B1 true KR100897900B1 (ko) 2009-05-18

Family

ID=36203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3710A KR100897900B1 (ko) 2005-03-04 2006-02-10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601013B2 (ko)
EP (1) EP1859517B1 (ko)
KR (1) KR100897900B1 (ko)
CN (1) CN101133532B (ko)
DE (1) DE102005009856B4 (ko)
WO (1) WO20060945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53740B2 (en) * 2007-07-20 2010-07-13 Numatics, Incorporated Modular electrical bus system
FR2962861B1 (fr) * 2010-07-16 2013-09-27 Hager Electro Sas Dispositif de pontage configurable.
DE102011052381B4 (de) * 2011-08-03 2013-04-18 Rittal Gmbh & Co. Kg Sammelschienenadapter mit einer Tragschiene für die Befestigung eines Schaltgeräts
DE102012206597B4 (de) * 2012-04-20 2015-02-26 Wöhner GmbH & Co. KG Elektrotechnische Systeme Sammelschienenadapter
DE102013110789B3 (de) * 2013-09-30 2014-12-04 Klaus Bruchmann Gmbh Adapter zum Kontaktieren von Sammelschienen
DE102013111857B4 (de) * 2013-10-28 2015-05-13 Klaus Bruchmann Gmbh Gesicherter Sammelschienenadapter
ES2589561T3 (es) 2014-02-21 2016-11-15 Wöhner GmbH & Co. KG Elektrotechnische Systeme Adaptador de embarrados y sistema consistente en embarrados y un adaptador de embarrados
DE102014108090B3 (de) * 2014-06-10 2015-08-20 Klaus Bruchmann Gmbh Adaptersystem mit einem Adapter für Sammelschienen und einem Adapteranschlussmodul
EP3833824A4 (en) * 2018-08-08 2022-04-20 Hyperframe Inc. FRAME ARRANGEMENT WITH MODULAR CONNECTORS
CA3097175A1 (en) * 2019-10-28 2021-04-28 Eaton Intelligent Power Limited Conductor assembly for a power distribution system
EP3817025B1 (en) 2019-10-28 2024-05-01 Eaton Intelligent Power Limited Conductor assembly for a power distribution system
EP3829010A1 (de) * 2019-11-26 2021-06-02 Wöhner GmbH & Co. KG Elektrotechnische Systeme Adaptervorrichtung für stromsammelschienensystem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021418U1 (de) 2000-03-23 2001-05-03 Hager Electro Gmbh Zwischenteil zum Anordnen eines Leitungsschutzschalters auf Sammelschienen eines elektrischen Verteilers
DE10061940A1 (de) 2000-12-13 2002-07-25 Woehner Gmbh & Co Kg Kupplungsplatte für Stromschienenadapter
DE10215500A1 (de) 2002-04-09 2003-10-23 Efen Gmbh Adapter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124487C2 (de) * 1990-12-22 1994-05-11 Geyer Gmbh & Co Christian Adapter
US5779504A (en) * 1995-09-29 1998-07-14 Reltec Corporation Modular terminal block assembly
DE19755841C1 (de) * 1997-12-15 1998-12-10 Loh Kg Rittal Werk Adaptergehäuse für elektrische Installationsgeräte
DE19755848C2 (de) * 1997-12-15 2002-07-18 Rittal Gmbh & Co Kg Multifunktionsadapter für eine Anzahl von Stromsammelschienen eines Sammelschienensystems
US6425770B1 (en) * 2000-04-14 2002-07-30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Input/output device having removable module
DE10152347C1 (de) * 2001-10-24 2003-06-12 Siemens Ag Schaltgerät mit adaptiertem mehrphasigem Sammelschienensystem
DE10300723B4 (de) * 2003-01-11 2005-05-04 Rittal Gmbh & Co. Kg Sammelschienensystem und Anschluss- oder Geräte-Adapter
DE102005009992B3 (de) * 2005-03-04 2006-06-01 Rittal Gmbh & Co. Kg Geräte- oder Anschlussadapt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021418U1 (de) 2000-03-23 2001-05-03 Hager Electro Gmbh Zwischenteil zum Anordnen eines Leitungsschutzschalters auf Sammelschienen eines elektrischen Verteilers
DE10061940A1 (de) 2000-12-13 2002-07-25 Woehner Gmbh & Co Kg Kupplungsplatte für Stromschienenadapter
DE10215500A1 (de) 2002-04-09 2003-10-23 Efen Gmbh Adap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59517A1 (de) 2007-11-28
CN101133532B (zh) 2012-07-04
CN101133532A (zh) 2008-02-27
EP1859517B1 (de) 2019-04-10
KR20070065305A (ko) 2007-06-22
DE102005009856B4 (de) 2008-10-09
DE102005009856A1 (de) 2006-09-14
US20080220635A1 (en) 2008-09-11
US7601013B2 (en) 2009-10-13
WO2006094598A1 (de) 2006-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7900B1 (ko)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
JP5224179B2 (ja) ばね力接続装置
US6746286B2 (en) Push-in wire connector
US6893286B2 (en) Connector apparatus adapted for the direct plug-in connection of conductors
EP2511993B1 (en) System for connecting motor drives
US7874849B2 (en) Plug for shielded data cables
US5094626A (en) Set of assembly elements intended to facilitate concurrent electrical connection of a plurality of modular automatic circuit breakers
KR900003571B1 (ko) 케이블 결속단자대
CN111033909B (zh) 用于电路板的模块化插接连接器
US7561018B2 (en) Fuse strip with lateral outgoing contacts and a lateral adapter module
KR101389625B1 (ko) 전자 부품의 접속 구조
JP3117965B2 (ja) 電気的な差込み結合部材
KR950034903A (ko) 전기 터미널 및 커플링 커넥터
JP6374505B2 (ja) プラグコネクタ接点キャリア
US20130252469A1 (en) Connection structure and connection unit of eletronic component
CN109728460B (zh) 分接式插接连接器和用于其的保护接地接触件
EP3149809A1 (en) Electrical connector for use with printed circuit boards
KR20170129934A (ko) 모듈형 플러그 커넥터
EP0123910A2 (en) Wire connection terminal stage for electric apparatus
JP4605986B2 (ja) 遠距離通信及びデータ技術における接続又は分離ブロック用の接地バス及び保護プラグ
CN106716725B (zh) 排针
US7086900B2 (en) Field-attachable connector with sliding contacts
US4735586A (en) Conductor connector
JPH0831343B2 (ja) 多極のケーブル差込み接続器
KR100952434B1 (ko) 다방향 조인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