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7685A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7685A
KR20070057685A KR1020060120628A KR20060120628A KR20070057685A KR 20070057685 A KR20070057685 A KR 20070057685A KR 1020060120628 A KR1020060120628 A KR 1020060120628A KR 20060120628 A KR20060120628 A KR 20060120628A KR 20070057685 A KR20070057685 A KR 200700576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wire
connector
contact pi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06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켄지 사카모토
키아트 킨 치
치 호웨 웡
Original Assignee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미아 테크놀로지 피티이.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미아 테크놀로지 피티이. 엘티디. filed Critical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576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76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contact members with insulating base, case or sleev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 H01R4/2416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 H01R4/242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the contact members being plates having a single slot
    • H01R4/2425Flat plates, e.g. multi-layered flat plates
    • H01R4/2429Flat plates, e.g. multi-layered flat plates mounted in an insulating ba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Connections By Means Of Piercing Elements, Nuts, Or Screws (AREA)

Abstract

각종 사이즈의 전선과 여러 가지 타입의 컨택트 핀을 특수한 공구를 사용하는 일 없이 간단하게 접속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커넥터는 선(先)단에 접촉부 및 후단에 전선 접속부를 가지는 컨택트 핀(3, 3A)와, 상기 컨택트 핀(3, 3A) 및 전선 W가 수용되는 수용 구멍(5)을 가지는 커넥터 하우징(4)을 구비한 커넥터(1)에 있어서, 상기 수용 구멍(5)에 상기 컨택트 핀(3, 3A) 및 전선 W를 수용하고, 제 1, 제 2 접촉부(23a, 23b)가 연결 조각(piece)(23c)으로 결합된 접속 블레이드(blade)(23)를 구비하는 브릿지(bridge)형 접속 부재(22)를 상기 수용 구멍(5)에 밀어 넣는 것으로, 상기 제 1, 제 2 접촉부(23a, 23b)에서 상기 컨택트 핀(3, 3A)의 접속부와 전선의 심선(芯線)을 접속한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관한 암(female)틀 커넥터 및 수(male)틀 커넥터를 각각 분 푼 만큼 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암틀 커넥터 및 수틀 커넥터를 조립하여 긴 쪽 방향의 중심선상에서 절단하여 일부를 단면으로 한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암틀 커넥터 하우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암틀 커넥터에 장착되는 암틀 컨택트 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전선 고정 부재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6은 홀딩 부재를 나타내고, 도 6A는 홀딩 블록(holding block)을 연결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B는 홀딩 블록을 분해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나타내는 홀딩 부재를 구성하는 홀딩 블록의 조성을 변경한 변경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씰 패킹(seal packing)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암틀 커넥터 l에 장착되는 브릿지형 접속 부재를 나타내고, 도 9a는 방지형 접속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b는 도 9a의 브릿지형 접속 부재의 저면도, 도 9c는 접속 블레이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O는 브릿지국 접속 부재의 접속 블레이드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은 브릿지맹접속 부재의 접속 블레이드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2는 종래 기술 의 커넥터를 나타내고, 도 12a는 커넥터의 평면도, 도 12b는 도 12a의 XIIB-XIIB 선으로 절단한 단면도.
도 13은 종래 기술의 커넥터를 나타내고, 도 13a는 도 12a의 XIIIA-XIIIA 선으로 절단한 단면도, 도 13b는 커넥터에 장착되는 컨택트 핀의 사시도.
<부호의 설명>
1 커넥터
2 암틀 커넥터
2A 수틀 커넥터
3, 3A 컨택트 핀
4 커넥터 하우징
1O 전선 고정부
11 전선 고정 부재
12 고정 하우징
16 홀딩 부재
18 방수 부재
20 씰 커버
22 브릿지형 접속 부재
23 접속 블레이드
24 지지 플레이트
W 전선
본 발명은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커넥터 하우징내에 장착되는 컨택트 핀과 절연 피복 전선과의 접속을, 특수한 압접 공구를 사용하는 일 없이, 컨택트 핀을 피복 전선에 꽉 누르는 것으로 절연 피복 전선의 피복이 찢어져서(break) 심선과 접촉 접속되는, 이른바 피아싱(piercing) 타입의 컨택트 핀이 장착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 하우징내에 장착되는 컨택트 핀과 절연 피복 전선과의 접속을 특수한 압접 공구를 사용하는 일 없이, 피복 전선을 컨택트 핀에 꽉 누르는 것으로 절연 피복 전선의 피복이 찢어져서 심선과 접촉 접속되는, 이른바 피아싱 타입의 컨택트 핀이 장착된 커넥터는 이미 개발ㆍ제품화되고, 또 특허 문헌 등에서도 소개되어 있다(예를 들면, 하기와 같이 특허 문헌 1 참조).
도 12 및 도 13은 하기와 같이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커넥터를 나타내고, 도 12a는 커넥터의 평면도, 도 12b는 도 12a의 XIIB-XIIB 선으로 절단한 단면도, 도 13a는 도 12a 의 XIIIA-XIIIA 선으로 절단한 단면도 9도 13b는 커넥터에 장착되는 컨택트 핀의 사시도이다.
하기와 같이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커넥터(30)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 라인의 컨택트 핀(34)과, 이러한 컨택트 핀(34)이 수용되어서 상벽에 직 사각형의 요(凹)부(32)가 형성된 커넥터 하우징(31)과, 복수 라인의 절연 피복 전선을 홀딩하여 하우징의 요(凹)부(32)에 감입(嵌入)되는 커버 하우징(33)을 가지고 있다. 컨택트 핀(34)은 도 1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초부(35)와, 상기 기초부(35)로부터 위쪽으로 돌설(突設)된 돌출혀 조각(36)과, 기초부(35)의 전방으로 설치된 접촉부(37)와, 후방에 수직으로 입설하여 설치된 전선 계지부(38)를 가지고 있다. 이 돌출혀 조각(36)에는 선단부가 2 개로 분리한 날카로운 돌기(36a)가 형성되고, 이러한 돌기(36a)는 절연 피복 전선(이하, 전선이라고 한다)의 외피(外皮)를 찢어서 심선과 접촉되게 되어 있다. 또, 전선 계지(係止)부(38)에는 2 개의 계지 조각(38a)이 형성되어 있고, 도 1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계지 조각(38a)에 의해 전선 W가 협지되고, 이동이 저지되게 되어 있다.
컨택트 핀(34)과 전선 W와의 접속은 커버 하우징(33)의 후방의 환공으로부터 복수 라인의 전선을 삽통하고 전선의 선단부를 클립(39)로 홀딩하고, 이 커버 하우징(33)을 요(凹)부(32)내에 밀어 넣는 것으로 행해진다. 즉, 이 밀어 넣어에 의해, 컨택트 핀(34)의 돌출혀 조각(36)의 각 돌기(36a)가 절연 피복 전선 W의 외피를 찢어서 심선에 들어가고, 컨택트 핀(34)과 전선의 심선과의 사이에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진다. 또, 이와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는 커넥터는 하기와 같이 특허 문헌 2에도 기재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개 20O2-175845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개소 61-133584호 공보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로서 개시된 커넥터는 복수 라인의 전선을 홀딩한 커 버 하우징을 커넥터 하우징의 요(凹)부에 밀어 넣는 것으로, 커넥터 하우징의 요(凹)부에 배열한 컨택트 핀의 돌기혀 조각에 절연 피복 전선을 찔러 넣어서 돌기혀 조각을 전선의 심선에 접촉시키므로, 특수한 압접 공구를 사용하는 일 없이 컨택트 핀을 전선에 접속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커넥터에서는 전선이 컨택트 핀과 직접적으로 접속ㆍ고정되므로, 전선과 컨택트 핀이 특정의 것으로 한정되어 버려서, 그러한 선택ㆍ변경, 예를 들면 각종 사이즈의 전선과 여러 가지 타입의 커넥터를 조합한 접속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커넥터의 설계가 제한되어 버린다고 하는 과제가 있다. 즉, 종래의 커넥터는 컨택트 핀으로서 일정한 전선 사이즈에 적합한 것밖에 사용하지 못하고, 예를 들면 작은 사이즈의 전선에는 이 작은 사이즈의 전선에 적합한 전선 접속부를 가지는 컨택트 핀, 또 큰 사이즈의 전선에는 이 큰 사이즈의 전선에 적합한 전선 접속부를 가지는 컨택트 핀밖에 사용할 수 없게 되고, 전선 사이즈 및 컨택트 핀의 편성 타입이 한정되어 버려서 커넥터 설계의 범위를 넓일 수 없다.
또, 이 커넥터에서는 전선과 컨택트 핀과는 1 대 1의 접속이 되므로, 전선과 컨택트 핀의 수를 바꾼 접속, 예를 들면 전선과 컨택트 핀과의 수를 바꾸어서 1 개의 전선에 흐르는 신호 또는 전력 등을 복수의 컨택트 핀에 분류시키고, 또는 반대로 복수 라인의 전선으로부터의 신호 등을 컨택트 핀측에서 합류시킬 수 없다.
또한, 이 종래의 커넥터는 방수 구조로 하는 것이 곤란한 구조가 되어 있다. 즉, 이 커넥터는 전선을 장착한 커버 하우징을 커넥터 하우징의 요(凹)부에 밀어 넣는 것으로 절연 피복 전선을 컨택트 핀의 돌기혀 조각에 찌르는 구조가 되어 있 고, 또 전선이 커버 하우징과 함께 이동되어 버려서, 이 커버 하우징 및 전선, 특히 이 이동하는 전선의 외주위를 방수 씰 하는 것이 곤란하고, 커넥터 하우징의 요(凹)부와 커버-하우징과의 틈새로부터 물이 새어 들어가 컨택트 핀과 전선과의 접속부에 침입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본 발명의 목적은 각종 사이즈의 전선과 여러 가지 타입의 컨택트 핀을 조합하여 특수한 공구를 사용하는 일 없이 접속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고, 또 다른 목적은 각종 사이즈의 전선과 여러 가지 타입의 컨택트 핀과 조합하여 특수한 공구를 사용하는 일 없이 접속할 수 있는 방수형의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 1의 양상에 관한 커넥터는 선단에 접촉부 및 후단에 전선 접속부를 가지는 컨택트 핀과, 이 컨택트 핀 및 전선이 수용되는 수용 구멍을 가지는 커넥터 하우징을 구비한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수용 구멍에 상기 컨택트 핀 및 전선을 수용하고, 제 1, 제 2 접촉부가 연결 조각으로 결합된 브릿지형 접속 부재를 상기 수용 구멍에 밀어 넣는 것으로, 상기 제 1, 제 2 접촉부에서 상기 컨택트 핀의 접속부와 전선의 심선을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 1의 양상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형 접속 부재의 제 1 접촉부는 절연 피복 전선의 피복을 찢어서 심선과 접촉되는 예각에 날카로운 송곳니 형상 또 는 U자 형상 그루브를 가지는 접촉자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접촉부는 상기 컨택트 핀의 접속부에 접촉되는 소정 폭의 접촉자로 형성되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제 1의 양상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형 접속 부재의 제 1, 제 2 접촉부는 동일한 수 또는 다른 수 형성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제 1의 양상에 있어서, 상기 컨택트 핀은 암틀 컨택트 핀 또는 수틀 컨택트 핀에 있어서, 이러한 컨택트 핀이 암틀 커넥터 하우징 또는 수틀 커넥터 하우징에 수용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제 2의 양상에 관한 커넥터는 선단에 접촉부 및 후단에 전선 접속부를 유하는 컨택트 핀과, 상기 컨택트 핀 및 전선을 수용하여 후방에 전선 고정 부재가 장착되는 수용 구멍을 가지는 커넥터 하우징을 구비한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벽면에 상기 수용 구멍에 연통하는 제 1 연통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수용 구멍에 상기 컨택트 핀 및 전선을 수용하고, 제 1, 제 2 접촉부를 갖고, 이들이 연결 조각으로 결합된 브릿지형 접속 부재의 제 1, 제 2 접촉부를 상기 제 1 연통 구멍에 밀어 넣는 것으로, 상기 제 1, 제 2 접촉부에서 상기 컨택트 핀의 접속부와 전선의 심선을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 2의 양상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형 접속 부재의 제 1 접촉부는 절연 피복 전선의 피복을 찢어서 심선과 접촉되는 예각에 날카로운 송곳니 형상 또는 U자 형상 그루브를 가지는 접촉자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접촉부는 상기 컨택트 핀의 접속부에 접촉되는 소정 폭의 접촉자로 형성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제 2의 양상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형 접속 부재의 제 1, 제 2 접 촉부는 동일한 수 또는 다른 수 형성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제 2의 양상에 있어서, 상기 전선 고정 부재는 상기 전선을 홀딩하여 상기 제 1 연통 구멍에 연통하는 제 2 연통 구멍이 형성된 전선 홀딩 그루브를 가지는 홀딩 부재와, 상기 홀딩 부재를 수용하는 픽싱(fixing) 구멍 및 상기 컨택트 핀의 접속부를 수용하여 상기 제 1 연통 구멍에 연통하는 제 3 연통 구멍이 형성된 고정 구멍을 가지는 고정 하우징을 갖고, 상기 홀딩 부재를 상기 고정 하우징의 픽싱 구멍에 수용한 상태로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수용 구멍에 삽입하고, 상기 브릿지형 접속 부재의 제 1 접촉부가 상기 제 1, 제 2 연통 구멍을 통과하고, 또 상기 제 2 접촉부가 상기 제 1, 제 3 연통 구멍을 통과하여 밀어 넣도록 하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제 2의 양상에 있어서, 상기 홀딩 부재는 절연성의 두꺼운 판의 일면에 적어도 1 개의 전선을 수용할 수 있는 전선 홀딩 그루브(groove)가 설치되고, 이러한 전선 홀딩 그루브는 각각의 전선 사이즈에 적합한 그루브 폭으로 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제 2의 양상에 있어서, 상기 홀딩 부재는 적어도 1 개의 절연성의 홀딩 블록(block)으로 형성되고, 이러한 홀딩 블록에는 각각 전선 사이즈에 적합한 전선 홀딩 그루브 및 개개의 홀딩 블록을 연결하는 연결 수단이 형성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제 2의 양상에 있어서, 기컨택트 핀은 암틀 컨택트 핀 또는 수틀 컨택트 핀에 있어서 이러한 컨택트 핀이 암틀 커넥터 또는 수틀 커넥터 하우징에 수용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제 3의 양상에 따른 커넥터는 선단에 접촉부 및 후단에 전선 접속부를 가지는 컨택트 핀과 이 컨택트 핀 및 전선을 수용하여 후방에 전선 고정 부재 및 방수 부재가 장착되는 수용 구멍을 가지는 커넥터 하우징을 구비한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 벽면에 제 1, 제 2 접촉부가 연결 조각으로 결합된 브릿지형 접속 부재가 삽입되어서 저(底)부에 상기 수용 구멍에 연통하는 제 1 연통 구멍을 가지는 픽싱 구멍을 형성하고, 이 픽싱 구멍에 씰 부재를 장착하는 동시에,상기 수용 구멍에 상기 컨택트 핀, 전선, 상기 전선 고정 부재 및 상기 방수 부재를 장착하고, 상기 브릿지형 접속 부재의 상기 제 1, 제 2 접촉부를 상기 제 1 연통 구멍에 밀어 넣는 것으로, 상기 제 1, 제 2 접촉부에서 상기 컨택트 핀의 접속부와 전선의 심선을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 3의 양상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형 접속 부재의 제 1 접촉부는 절연 피복 전선의 피복을 찢어서 심선과 접촉되는 예각에 날카로운 송곳니 형상 또는 U 우장구를 가지는 접촉자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접촉부는 상기 컨택트 핀의 접속부에 접촉되는 소정 폭의 접촉자로 형성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제 3의 양상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형 접속 부재의 제 1, 제 2 접촉부는 동일 수 또는 다른 수 형성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제 3의 양상에 있어서, 상기 전선 고정 부재는 상기 전선을 홀딩하여 상기 제 1 연통 구멍에 연통하는 제 2 연통 구멍이 형성된 전선 홀딩 그루브를 가지는 홀딩 부재와, 상기 컨택트 핀의 접속부를 수용하여 상기 제 1 연통 구멍에 연통하는 제 3 연통 구멍이 형성된 고정 구멍 및 상기 홀딩 부재를 수용하는 픽싱 구멍을 가지는 고정 하우징을 갖고, 상기 홀딩 부재를 상기 고정 하우징의 픽싱 구멍에 수용한 상태로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수용 구멍에 삽입하고, 상기 브릿지형 접속 부재의 제 1 접촉부가 상기 제 1, 제 2 연통 구멍을 통과하고, 또 상기 제 2 접촉부가 상기 제 1, 제 3 연통 구멍을 통과하여 각각 밀어 넣어지도록 하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제 3의 양상에 있어서, 상기 홀딩 부재는 절연성의 두꺼운 판의 일면에 적어도 1 개의 전선을 수용할 수 있는 전선 홀딩 그루브가 설치되고, 이러한 전선 홀딩 그루브는 각각의 전선 사이즈에 적합한 그루브 폭으로 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제 3의 양상에 있어서, 상기 홀딩 부재는 적어도 1 개의 절연성의 홀딩 블록으로 형성되고, 이러한 홀딩 블록에는 각각 전선 사이즈에 적합한 전선 홀딩 그루브 및 개개의 홀딩 블록을 연결하는 연결 수단이 형성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제 3의 양상에 있어서, 상기 방수 부재는 전선 사이즈에 적합한 삽통 구멍을 갖는 두께의 탄성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용 구멍에 밀어 넣어지는 씰 패킹(seal packing)이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제 3의 양상에 있어서, 상기 씰 패킹이 장착된 후에, 전선 사이즈에 적합한 삽통 구멍을 가지는 상기 수용 구멍을 차지하는 씰 커버가 장착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제 3의 양상에 있어서, 상기 컨택트 핀은 암틀 컨택트 핀 또는 수틀 컨택트 핀에 있어서, 이러한 컨택트 핀이 암틀 커넥터 또는 수틀 커넥터 하우징에 수용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제 3의 양상에 있어서, 상기 암틀 커넥터와 수틀 커넥터는 어느 한 쪽의 커넥터에 커넥터 씰 부재를 장착하여 결합되게 하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제 3의 양상에 있어서, 커넥터 씰 부재는 상기 암틀 커넥터의 차입구의 오(奧)부에서 전방으로 돌출하여 암틀 컨택트 핀이 수납된 돌출부의 외주위에 근입 되는 탄성을 가지는 통 형상 씰 부재이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제 3의 양상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씰 부재는 탄성을 가지는 한 쪽의 통 형상 씰 몸체와 강(剛)체로 이루어지는 다른 쪽의 통 형상 씰 몸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한 쪽의 통 형상 씰 몸체는 통 형상 개구와 직교하는 방향의 외주위에 볼록(凸)한 형상 융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에 직렬로 장착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최선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단,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구체화하기 위한 커넥터를 예시하는 것이며, 본 발명을 이 커넥터에 특정하는 것을 의도하는 것이 아니고, 특허 청구의 범위에 포함되는 그 외의 실시 형태의 것도 동일하게 적응할 수 있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관한 암틀 커넥터 및 수틀 커넥터를 각각 분해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암틀 커넥터 및 수틀 커넥터를 조립하여 긴 쪽 방향의 중심선상에서 절단하여 일부를 단면으로 한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암틀 커넥터 하우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암틀 커넥터에 장착하는 암틀 컨택트 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전선 고정 부재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6은 홀딩 부재를 나타내고, 도 6a는 홀딩 블록을 연결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b는 홀딩 블록을 분해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나타내는 홀딩 부재를 구성하는 홀딩 블록의 편성을 변경한 변경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씰 패킹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암틀 커넥터에 장착되는 브릿지형 접속 부재를 나타내고, 도 9a는 브릿지형 접속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b는 도 9a의 브릿지형 접속 부재의 저면도, 도 9c는 접속 블레이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O는 브릿지형 접속 부재의 접속 블레이드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은 브릿지형 접속 부재의 접속 블레이드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커넥터(1)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암틀 커넥터(2)와 수틀 커넥터(2A)로 이루어지고, 양 커넥터를 결합함으로써, 각각의 커넥터에 접속된 전선 W가 커넥터내의 컨택트 핀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으로, 이러한 커넥터는 방수 구조를 구비하고 있다. 이하에는 이러한 암틀 커넥터 및 수틀 커넥터를 각각 순서대로 설명한다.
암틀 커넥터(2)는 선단에 수틀 커넥터(2A)의 컨택트 핀(3A)과 접촉되는 접촉부 및 후단에 전선과 접속되는 접속부를 가지는 복수 라인의 암틀 컨택트 핀(이하, 단지 컨택트 핀이라고 한다)(3)과, 이것들 복수 라인의 컨택트 핀(3)이 수용되어서 상벽면에 픽싱 구멍(8)이 설치된 커넥터 하우징(4)과, 복수 라인의 전선 W를 위치 결정 고정하는 전선 고정 부재(11)와, 커넥터 하우징(4)의 수용 구멍(5)을 막아서 물의 침입을 저지하는 방수 부재(18)와, 복수 라인의 컨택트 핀(3)과 전선 w를 접속하는 한 쌍의 제 1, 제 2 접촉부를 가지는 브릿지형 접속 부재(22)를 갖고, 이의 브릿지형 접속 부재(22)를 커넥터 하우징(4)의 픽싱 구멍(8)에 밀어 넣는 것으로, 브릿지형 접속 부재(22)의 제 1 접촉부를 전선 W의 심선과 접촉시키는 동시에, 제 2 접촉부를 컨택트 핀(3)에 접촉시켜서 컨택트 핀(3)으과 전선 W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커넥터 하우징(4)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정의 높이, 가로 폭 및 길이를 가지는 선평직방체, 즉 상하, 좌우 및 전후의 벽면(4a ~ 4f)으로 이루어지는 직방체 블록으로 구성되어 있고, 절연성의 합성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이 커넥터 하우징(4)은 그 후벽면(4f)에 전선 고정 부재(11) 및 방수 부재(18)가 수용되는 크기의 공동(空洞)으로 되는 수용 구멍(5)이 형성되고, 이 수용 구멍(5)은 그 개구(5a)가 전선 고정 부재(11) 등의 형상에 맞추어서 직사각 형상을 이루고, 이 수용 구멍(5)의 오부(5o)는 하우징(4)의 전방의 도중까지 이르고 있다(도 2 참조). 또, 이 수용 구멍(5)은 개구부와 오부와는 그 형상이 차이가 난다. 즉, 개구부 5a는 방수 부재(18)의 일부인 씰 커버(20)가 삽입되도록 상측 내벽면에 2 개의 그루브(5₁)가 형성되고, 또 오부(5o)의 벽면(5₂)은 방수 부재(18)의 씰 패킹(19)의 형상에 맞추어서 요철(凹凸)형 상태가 되어 있다(도 2 참조).
또, 커넥터 하우징(4)의 전벽면(4e)에는 수틀 커넥터(2A)의 돌출부가 넣어지는 크기의 차입구(6)이 형성되어 있다. 이 차입구(6)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 이, 소정 깊이의 공동으로 되고, 그 오부의 중앙부에는 차입구(6)의 개구부에 향하여 돌출하는 비교적 긴 돌출부(7)이 형성되고, 이 돌출부(7)의 내부에는 컨택트 핀(3)이 수용되는 복수 라인, 예를 들면 3 개의 핀 장착 구멍(7o)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핀 장착 구멍(7o)은 수용 구멍(5)에 연통하고, 또 돌출부(7)의 선단은 수틀 컨택트 핀(3A)이 삽입되는 크기의 작은 구멍(7₁)이 되어 있다. 돌출부(7)에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주위에 한 쌍의 통 형상 씰 부재(21₁, 21₂)가 직렬로 장착된다. 각 통 형상 씰 부재(21₁, 21₂)는 모두 돌출부(7)의 외주위에 밀어 넣어지는 개구와, 소정의 폭 길이를 가지는 탄성체, 예를 들면 고무재로 형성되고, 한 쪽의 통 형상 씰 부재(21₂)의 외주위에는 요철(凹凸)부가 형성되어 있다. 커넥터 하와징(4)는 양 측벽면(4c, 4d)의 전방으로 수틀 커넥터(2A)의 계지 돌기와 맞물림 되는 계합(係合) 구멍(4c', 4d')이 형성되어 있다.
또, 커넥터 하우징(4) 상벽면(4a)은 그 전방(4₁)이 얇은 두꺼로, 즉 뒤가 낮게, 그 전방(4₁)으로부터 단부(4o)를 거쳐서 후방부가 두껍게 형성되고, 이 두께운 후방부의 평탄면에 브릿지형 접속 부재(22)가 감입되는 픽싱 구멍(8)이 형성되어 있다. 이 픽싱 구멍(8)은 브릿지형 접속 부재(22)의 외형에 맞추어서 직사각 형상의 개구(8a)를 갖고, 소정의 깊이를 가지는 요(凹) 형상의 픽싱 구멍으로 되어 있다. 이 요(凹) 형상의 픽싱 구멍(8)은 후술하는 전선 W 및 컨택트 핀(3)의 접속부가 배설되는 부분의 위쪽에 형성되고, 또 이 픽싱 구멍(8)의 저벽(8b)의 내주위에 0 링(9)이 삽입되는 오목 형상 그루브(80)가 형성되어 있다. 또, 저벽(8b)에는 긴 쪽 방향으로 복수 라인의 가늘고 긴 그루브(8₁~ 8₃)이 소정 간격으로 배설되 고, 이러한 가늘고 긴 그루브(8₁~ 8₃)은 수용 구멍(5)에 연통하고 있다. 또한, 도 3에서는 가늘고 긴 그루브(8₂)만이 도시되어 있고, 이 가늘고 긴 그루브(8₂)에 인접하는 다른 가늘고 긴 그루브(8₁, 8₃)는 숨어 있다. 각 가늘고 긴 그루브(8₁~ 8₃)은 후술하는 브릿지형 접속 부재(22)의 제 1, 제 2 접촉부가 차입되는 크기이며, 또 각 가늘고 긴 그루브(8₁~ 8₃)의 간격은 커넥터 하우징(4)내에 병렬로 배설되는 전선 W 또는 컨택트 핀(4)의 간격과 동일 길이로 되어 있다. 또, 오목 형상 그루브(8o)와 0 링(9)을 장착하여, 픽싱 구멍(8)에 브릿지형 접속 부재(22)를 밀어 넣으면, 브릿지형 접속 부재(22)는 O 링(9)에 의해 씰 되어서 물의 침수가 저지된다. 또한, 부호 4f'는 플라스틱 성형시의 일그러짐을 없애기 위한 성형 구멍이다.
컨택트 핀(3)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방에 위치하는 일단에 수틀 커넥터(2A)의 컨택트 핀(3A)이 삽입되는 한 쌍의 협지 조각(3a, 3b)으로 이루어지는 접촉부(3c)를 구비하고, 그 폭 길이가 긴 쪽 방향 중앙부 부근으로부터 부근으로부터 확대되고, 후방에 위치하는 타단에는 이 확대부(3d)에 있어서 브릿지형 접속 부재(22)의 제 2 접촉부를 협지하는 한 쌍의 대향하는 협지 조각(3e, 3f)으로 이루어지는 협지 컨택트(3g)를 구비하고, 접촉부(3c)와 협지 컨택트(3g)와는 양 도전성 금속판의 절곡 가공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협지 컨택트(3g)의 한 쌍의 대향하는 협지 조각(3e, 3f)은 확대부(3d)의 도중부터 수직으로 입설되어 있는 것과 동시에, 그 선단부의 서로 인접하는 측벽면이 브릿지형 접속 부재(22)의 제 2 접촉부를 협지 가능하게,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팽출(膨出)하고 있다.
전선 고정부(1O)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 라인의 전선 W를 고정하는 것과 동시에, 컨택트 핀(3) 외단도 지지하는 전선 고정 부재(11)와, 커넥터 하우징(4)의 수용 구멍(5)에 밀어 넣어서 물의 침입을 저지하는 방수 부재(18)로 구성되어 있다.
전선 고정 부재(11)는 도 5,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하, 좌우 및 전후벽면(12a ~ 12f)를 가지는 직방체 블록으로 이루어지는 고정 하우징(12)과, 복수 라인의 전선 W를 위치 결정회정 하는 홀딩 부재(16)를 갖고, 이것들은 절연성의 합성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이 고정 하우징(12)는 상륙면(12a)에 홀딩 부재(16)가 감입되는 소정 깊이의 오목 형상 픽싱 구멍(13)이 형성되어 있다. 또, 후벽면(12f)에는 복수 라인의 전선 W, 예를 들면 3 개의 전선 W가 삽입되는 삽통 구멍(12₁~ 12₃)이 형성되고, 이러한 삽통 구멍(12₁~ 12₃)은 오목 형상 픽싱 구멍(13)에 연통하고 있다. 또한, 전벽면(12e)에는 예를 들면 3 개의 컨택트 핀(3)의 한 쌍의 협지 조각(3e, 3f)이 수용되는 크기를 구비하는 3 개의 방화벽으로 나누어진 역오목 형상 그루브(14₁~ 14₃)로 이루어지는 수용 구멍 하지만 형성되어 있다(도 1 참조). 이러한 역오목 형상 그루브(14₁~ 14₃)는 그 상부에 고정 하우징(12) 상벽면(12a)에 연통하는 3 개의 슬릿(15₁~ 15₃)이 긴 쪽 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슬릿(15₁~ 15₃)은 각각의 오목 형상 그루브(14₁~ 14₃)에 암틀 컨택트 핀(3₁~ 3₃)이 수납되었을 때, 이 암틀 컨택트 핀(3₁~ 3₃)의 각 협지 조각(3a, 3b)의 틈새의 연장선상에 위치하게 되어 있다. 또, 고정 하우징(12)의 오목 형상 픽싱 구 멍(13)은 그 내주 벽면에 홀딩 부재(16)를 계지(係止)하는 계지부(13a)가 형성되어 있다.
홀딩 부재(16)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 개, 예를 들면 3 개의 홀딩 블록(16A ~ 16C)으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홀딩 블록(16A ~ 16C)을 조합하여 서로 연결하여 고정 하우징(12)의 오목 형상 픽싱 구멍(13)에 감입할 수 있게 되어 있고, 개개의 홀딩 블록은 각각 절연성의 합성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3 개의 홀딩 블록(16A ~ 16C)는 고정 하우징(12)의 오목 형상 픽싱 구멍(13)의 계합부(13a)에 맞물림 되는 제 1, 제 2 홀딩 블록(16A, 16B)과, 이것들 제 1, 제 2 홀딩 블록(16A, 16B)의 사이에 위치하여 이것들과 연결되는 제 3 홀딩 블록(16C)의 3 종류로 구성되어 있다.
이 제 1 ~ 제 3 홀딩 블록(16A ~ 16C)은 거의 동일한 형상을 가지고 있으나 서로 연결하기 위한 결합 수단이 각각 차이가 난다. 즉, 제 1 ~ 제 3 홀딩 블록(16A ~ 16C)은 그 저벽면에는 전선 W의 사이즈에 적합하는 역 U자 형상 그루브(17a ~ 17c)가 형성되고, 상벽면에는 가늘고 긴 그루브(16₁~ 16₃)를 가지고 있다. 각 역 U자 형상 그루브(17a ~ 17c)는 각 홀딩 블록의 긴 쪽 방향으로 연재하고 있고, 내부에 전선 W를 홀딩할 수 있는 동시에, 저부 개구 부근의 측벽면에는 전선 빠짐 멈춤용 계지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또, 각 가늘고 긴 그루브(16₁~ 16₃)는 각 역 U자 형상 그루브(17a ~ 17c)에 연통하고, 고정 하우징(12)의 슬릿(15₁~ 15₃)에 인접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제 1 ~ 제 3 홀딩 블록(16A ~ 16C)의 결합 수단은 제 1 홀딩 블록(16A)에서 는 긴 쪽 방향으로 평행한 일측벽면에 맞물림부(13a)에 맞물림 하는 계지 돌기(17₁)가 설치되고, 상기 일측벽면에 대향하는 타측벽면에 제 3 홀딩 블록(16C)의 선상 돌기(17₃)에 맞물림 되는 직선 형상의 계합 그루브(17₂)가 후단으로부터 전단에 가까운 곳까지 형성되어 있다. 제 2 홀딩 블록(16B)에서는 일측벽면에 제 3 홀딩 블록(16C)의 계합 그루브(17₄)에 맞물림 하는 선상 돌기(175)가 후단으로부터 전단에 가까운 곳까지 형성되고, 타측벽문에는 맞물림 부(13a)에 맞물림 하는 계지 돌기(176)가 형성되어 있다. 제 3 홀딩 블록(16C)에서는 긴 쪽 방향의 일측벽면에 제 1 홀딩 블록(16A)의 계합 그루브(17₂)에 삽입하는 계지 돌기(17₃)가 설치되고, 타측벽면에 제 2 홀딩 블록(16B)의 선상 돌기(175)에 맞물림 되는 계합 그루브(17₄)가 형성되어 있다. 또, 도 6에서는 전선 W의 갯수를 3 개로 했기 때문에 제 1 ~ 제 3 홀딩 블록(16A ~ 16C)는 각각 하나씩 설치되어 있으나, 4 개 이상의 전선 W를 접속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이 제 3 홀딩 블록(16C)를 복수 개 서로 연결하여, 그 양 측부에 위치하는 제 3 홀딩 블록(16C)을 제 1, 제 2 홀딩 블록과 결합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이루면, 전선 W의 갯수에 맞추어서 홀딩 블록을 간단하게 추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3 종류의 홀딩 블록(16A ~ 16C)은 각각의 역 U자 형상 그루브(17a ~ 17c)가 전선 W의 사이즈에 적합하도록 형성되어서 조합할 수 있고, 서로 연결하는 것으로 홀딩 부재(17)가 구성된다. 도 7은 복수 개의 홀딩 블록을 조합한 예를 나타내고, 도 7A에 나타내는 홀딩 부재(16')는 역 U자 형상 그루브(17a' ~ 17c')가 도 6의 것 보다 좁게 형성되어 있고, 작은 사이즈의 전선에 이용되는 것이고, 도 7b의 홀딩 부재(16")는 역 U자 형상 그루브(17a" ~ 17c")가 도 6의 것보다 넓게 형성되어 있고, 큰 사이즈의 전선에 이용되는 것이다. 또, 도 7a에 나터낸 작은 사이즈의 동선 W에 이용되는 홀딩 블록의 역 U자 형상 그루브(17a' ~ 17c')는 전선 W가 작은 사이즈세 있기 위해서 전선 W의 누락이 발생하기 쉽기 때문에, 측벽에 설치된 전선 빠짐 멈춤용의 계지 돌기를 2 단계로 설치하고 있다.
또한, 접속되는 전선 W의 사이즈가 각각 다른 경우 등에는 여기에 아울러 역 U자 형상 그루브의 크기를 선정한 후, 홀딩 블록을 적절히 조합하도록 하면 된다. 또,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홀딩 부재(16, 16B, 16C)를 제 1 ~ 제 3 홀딩 블록(16A ~ 16C) 이라고 한 각각 개별의 홀딩 블록으로 형성한 것을 설명하였으나, 이것들을 1 개의 블록, 즉 1 매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 홀딩 부재로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예를 들면 도 5 참조).
방수 부재(18)는 커넥터 하우징(4)의 수용 구멍(5)에 밀어 넣어서 전선 W의 외주위로부터의 물의 침수를 저지하는 씰 패킹(19)과, 상기 수용 구멍(5)의 개구(5a)를 막는 씰 커버(20)로 구성되어 있다.
씰 패킹(19)은 도 1, 도 2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외형이 커넥터 하우징(4)의 수용 구멍(5)에 밀어 넣어지는 크기 및 소정 두께를 갖고, 후벽면(19b)으로부터 전벽면(19a)을 향하여 3 개의 전선 W가 각각 삽입되는 삽통 구멍(19₁~ 19₃)이 형성되어 탄성을 가지는 부재, 예를 들면 고무재로 형성되어 있다. 이 씰 패킹(19)의 외주위에는 전선 W가 삽통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복 수 라인의 요철(凹凸)부(190)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요철(凹凸)부(190)를 설치하는 것으로, 수용 구멍(5)에 밀어 넣었을 때 수용 구멍(5)의 내주 벽면에 강하게 맞닿음되어서 양호한 씰 효과가 발휘된다.
또, 씰 커버(20)는 도 1,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 하우징(4)의 수용 구멍(5)의 개구(5a)보다 크고, 이 개구(5a)를 폐쇄하는 판 형상 몸체로 이루어지고, 후벽면(20a)로부터 전벽면(20b)을 향하여 3 개의 전선이 각각 삽입되는 삽통 구멍이 형성되고, 예를 들면 수지재로 형성되어 있다. 또, 전벽면(20b)에는 그 외형이 커넥터 하우징(4)의 수용 구멍(5)에 밀어 넣어지는 크기로, 수용 구멍(5)에 밀어 넣기가 가능한 길이만큼 돌출한 돌출부(20c)가 형성하고, 이 돌출부(20c)의 위쪽면에는 2 개의 돌기조(條)(20₁)가 설치되어 있다. 이 돌기조(20₁)는 수용 구멍(5)의 그루브(5₁)에 감입된다. 또한, 여기서는 씰 커버(20)를 방수 부재(18)의 일부로서 설명하였으나, 씰 커버(20)는 수용 구멍(5)을 씰 하는 씰 패킹(19)의 누락 및 씰 패킹(19)에 전선 W의 텐션이 전해지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며, 씰 커버(20) 자체는 반드시 방수 효과를 갖출 필요는 없다. 즉, 이 씰 커버(20)가 장착되지 않은 경우에 예를 들면 전선 W가 암틀 커넥터(2)에 대해서 과도하게 만곡하면, 이 만곡한 동선의 텐션이 직접적으로 씰 패킹(19)의 삽통 구멍(19₁~ 19₃)에 전해지고, 이것에 삽통 구멍(19₁~ 19₃)이 변형하여 방수 효과의 저하로 연결되지만, 씰 커버(20)를 설치하는 것에 따라, 전선 W의 텐션은 씰 패킹(19)에 전해지기 전에 씰 커버(20)의 삽통 구멍에서 완화시킬 수 있으므로, 씰 패킹(19)의 삽통 구 멍(19₁~ 19₃)에 삽입되어 있는 전선 W는 크게 만곡하는 일이 없고, 따라 삽통 구멍(19₁~ 19₃)이 변형하기 어려워져서, 장기간 높은 방수 효과를 유지할 수 있다. 또, 씰 커버(20)가 씰 패킹(19)을 누르도록 설치되어 있으므로, 씰 패킹(19)의 누락도 방지할 수 있다.
브릿지형 접속 부재(22)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 단에 제 1, 제 2 접촉부(23a, 23b)를 갖고 양 접촉부가 연결 조각(23c)으로 결합된 양 도전성의 접속 블레이드(23)와, 이러한 접속 블레이드(23)의 연결 조각(23c)부분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평행하게 입설한 상태로 고정하는 절연성의 지지 플레이트(24)를 가지고 있다. 이 브릿지형 접속 부재(22)에는 복수 매, 예를 들면 3 매의 접속 블레이드(23₁~ 23₃)가 장착되어 있고, 이것들은 같은 형상이 되어 있다. 그 중의 1 개를 도 9c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접속 블레이드(23)의 제 1 접촉부(23a)는 선단이 예각에 날카로운 송곳니 형상 방접촉자로 형성되고, 절연체로 피복된 절연 피복 전선 W의 외피에 찔러졌을 때에 내부의 심선에 용이하게 도달하여 접촉하게 되어 있다. 또, 제 2 접촉부(23b)는 컨택트 핀(3)의 협지 조각(3e, 3f)의 사이에 삽입되도록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판 형상의 접촉자로 형성되고, 각 협지 조각(3e, 3f)의 사이에 삽입하여 협지 접촉된다. 이러한 제 1, 제 2 접촉부(23a, 23b)는 비교적 폭이 넓은 연결 조각(23c)으로 결합되어 있고, 이것들은 양 도전성을 가지는 금속판의 펀칭 가공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지지 플레이트(24)는 커넥터 하우징(4)의 픽싱 구멍(8)의 형상에 맞추어서 직사각 형상으로 소정 두께를 구비하는 절연성 판 몸체로 형성되어 있다. 직사각 형상의 지지 플레이트(24)는 표리, 장변 및 단변 측벽(24a ~ 24f)을 갖고, 한 쌍의 단변 측벽(24c, 24d)에 픽싱 구멍(8)의 내주 벽면의 계지 구멍(8a)에 맞물림 되는 복수 개의 계지 돌기(24o)가 형성되어 있다. 또, 뒤 벽면(24b)의 중앙부에 뒤가 낮은 직사각 형상 기대(25)가 형성되고, 이 기대(25)에는 단수 방향으로 늘어나는 복수 라인, 예를 들면 3 개의 오목 형상 그루브(25₁~ 25₃)가 형성되어 있다. 단 이러한 오목 형상 그루브(25₁~ 25₃)는 한 쪽의 측면에서 다른 쪽의 측면 근처까지 뻗고 있고, 다른 쪽의 측면 부근에서 행해짐이 멈추는 빠짐 멈춤으로 되어 있다. 또 각 오목 형상 그루브(25₁~ 25₃)의 그루브 폭은 접속 블레이드(23)가 밀어 넣어지는 폭 길이를 가지고 있고, 각각 접속 블레이드(23₁~ 23₃)가 밀어 넣어져서 고정된다
이 접속 블레이드(23)은 제 1 접촉부(23a)를 선단이 예각에 날카로운 송곳니 형상의 접촉자로 형성하였으나, 이 선단부를 송곳니 형상에 대신하여 역 U자 형상으로 해도 된다. 도 1Oa는 제 1 접촉부를 역 U자 형상으로 한 접속 블레이드의 사시도이며, 도 1OB는 이 접속 블레이드와 암틀 컨택트 핀 및 수틀 컨택트 핀의 접속 상태를 나터낸 사시도이다.
이 접속 블레이드(23A)는 소정의 폭 길이 및 길이의 띠 형상 조각(23c')과, 이 띠 형상 조각(23c')의 긴 쪽 방향의 양 단부 부근에 있어 이 띠 형상 조각(23c')으로부터 하부에 소정 간격 두어서 수하(垂下)된 역 U자 형상 그루브를 가지는 한 쌍의 접촉자(23d, 23e)로 이루어지는 제 1 접촉부(23a')와 띠 형상 조각(23c')의 전방의 일단을 절곡한 제 2 접촉부(23b')를 갖고, 이것들은 양 도전성 금속판의 절곡 가공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각 접촉자(23d, 23e)의 역 U자 형상의 그루브는 전선 W의 심선의 직경보다 약간 좁은 폭으로 형성되고, 전선 W에 밀어 넣어졌을 때에, 심선의 외주위에 압접 되게 되어 있다. 또 이 접촉자(23d, 23e)의 역 U자 형상 그루브의 대향하는 가장자리를 인형(刃型)으로 하면, 전선 W에 밀어 넣어졌을 때에 전선 W의 외피를 파단(破斷)할 수 있게 된다. 또, 제 2 접촉부(23b')는 선단이 U자 형상에 절곡되어서 탄성이 부여되어 있고, 컨택트 핀(3')과 탄성 접촉되게 되어 있다. 이 접속 블레이드(23A)는 하나 내지 복수 개가 지지 플레이트(24)에 장착되어서 브릿지형 접속 부재(22)가 형성된다. 이 접속 블레이드(23A)는 역 U자 형상 그루브가 절연 피복 전선의 외피를 파기 심선과 접촉 접속되고, 또 도 1O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암틀 컨택트 핀(3') 및 수틀 컨택트 핀(3A')와 접속된다.
상술한 브릿지형 접속 부재(22)는 개개에 독립한 복수 매의 접속 블레이드(23, 23A)를 지지 플레이트(22)에 장착하여 구성하고 있으나, 복수 매의 접속 블레이드를 연결할 수도 있다. 도 11a는 복수 매의 접속 블레이드를 연결한 연결 접속 블레이드를 예시한 사시도이며, 도 11b는 연결 접속 블레이드와 암틀 컨택트 핀과의 접속 상태를 나터낸 사시도이다.
연결 접속 블레이드(23B)는 도 1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단부가 예각에 날카로운 제 1 접속부(23a")와 홀쪽한 판 형상 몸체로 이루어는 제 2 접속부(23b")와, 양 접속부를 연결하는 연결부(23c")로 되는 복수 개, 예를 들면 3 개의 접속 블레이드(23₁~ 23₃)를 소정의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병설하고, 각 접속 블레이드(23₁~ 23₃)의 각 연결 조각(23c", 23c", 23c")이 단락 조각(23o, 23o)으로 결 합되고, 절연성의 지지 플레이트(도시 생략)에 장착되어서 브릿지형 접속 부재가 형성된다. 이 연결 접속 블레이드(23B)는 3 개의 암틀 컨택트 핀(3₁~ 3₃)에 접속된다(도 11b 참조). 또한, 여기서는 알기 쉽게 연결 조각(23c")과 단락 조각(23o)을 별도 부재로 나타내었으나, 단락 조각(23o)은 연결 조각(23c")의 일부이며, 1 개의 금속 도전체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 상술한 연결 접속 블레이드(23B)는 제 1, 제 2 접촉부(23a", 23b")의 수가 동일한 수가 되어 있으나, 다르게 해도 된다. 예를 들면, 제 1 접촉부(23a")를 1 개, 제 2 접촉부(23b")를 2 개 구비하고, 이것들이 분기한 연결 조각에 의해 연결된 연결 접속 블레이드를 사용하면, 제 1 접촉부(23a")에 접속된 전선으로부터의 신호, 전력 등이 분기한 연결 조각을 통하여 제 2 접촉부(23b")로 2 개로 분류된다. 또, 반대의 경우, 즉 제 1 접촉부(23a")를 2 개, 제 2 접촉부(23b")를 1 개로 하고, 이것들을 분기한 연결 조각으로 연결한 연결 접속 블레이드를 사용하면, 제 1 접촉부(23a")에 접속된 전선 W로부터의 신호, 전력 등이 연결 조각을 통하여 제 2 접촉부(23b")로 합류되게 된다.
암틀 커넥터(2)는 이하의 순서로 조립된다. 커넥터 하우징(4)의 수용 구멍(5)으로부터 돌출부(7)의 핀 장착 구멍(7o)에 3 개의 컨택트 핀(3₁~ 3₃)을 수납한다. 그리고, 먼저, 이미 커넥터 하우징(4)에 수납된 3 개의 컨택트 핀(3₁~ 3₃) 및 장착되는 3 개의 절연 피복 전선 W의 각 사이즈에 적합한 3 개의 홀딩 블록(16A ~ 16C) 및 고정 하우징(12)를 선정하고, 홀딩 블록(16A ~ 16C)을 서로 연결하여 홀딩 부재(16)를 작성한다. 그리고, 씰 패킹(19) 및 씰 커버(20)의 각 삽통 구멍에 각각 전선 W를 삽통하고, 이것들 3 개의 전선 W를 고정 하우징(12)의 3 개의 삽통 구멍(12₁~ 12₃)으로부터 삽통하고, 전선을 삽통한 상태에서 홀딩 부재(16)를 고정 하우징(12)의 오목 형상 픽싱 구멍(13)에 감입함으로써, 각각의 홀딩 블록(16A ~ 16C)내에 전선을 홀딩 고정하여 전선 고정 부재(11)를 조립한다.
그 다음에, 전선 고정 부재(11)와 방수 부재(18)로 이루어지는 전선 고정부(1O) 가운데, 먼저 커넥터 하우징(4)의 후방의 수용 구멍(15)으로부터 전선 고정 부재(11)를 삽입하고, 그 다음에 씰 패킹(19)을 밀어 넣는다. 이 밀어 넣기에 의해, 씰 패킹(19)은 그 패킹의 탄성에 의해 수용 구멍(5)의 내주 벽면에 밀착하는 동시에 각 전선 W의 주위를 꽉 눌러 물의 침수를 저지하는 씰이 된다. 그리고, 씰 패킹(19)를 수용 구멍(5)에 고정한 후에, 씰 커버(20)를 수용 구멍의 개구(5a)에 밀어 넣고, 개구(5a)를 막는다. 이 씰 패킹(19) 및 씰 커버(20)를 수용 구멍(5)에 접착함으로써, 전선 고정부(1O)로부터의 물의 침수를 저지할 수 있다.
그 후, 커넥터 하우징(4)의 픽싱 구멍(8)과 O 링(9)을 장착하고, 이 픽싱 구멍(8)으로부터 브릿지형 접속 부재(22)를 밀어 넣고, 컨택트 핀(3)과 절연 피복 전선 W를 접속한다. 브릿지형 접속 부재(22)의 각 접속 블레이드(23₁~ 23₃)의 각 제 1 접촉부(23a)를, 각 가늘고 긴 그루브(제 1 연통 구멍)(8₁~ 8₃) 및 홀딩 부재(16)의 각 가늘고 긴 그루브(제 2 연통 구멍)(16₁~ 16₃)을 통과하여 밀어 넣고, 제 1 접촉부(23a)의 송곳니 형상의 접촉자로 절연 피복 전선 W의 피복을 찢어서 심선에 접촉시키고, 또 브릿지형 접속 부재(22)의 각 접속 블레이드(23₁~ 23₃)의 제 2 접촉부(23b)를, 각 가늘고 긴 그루브(제 1 연통 구멍)(8₁~ 8₃) 및 고 정 하우징(12)의 각 슬릿(제 3 연통 구멍)(15₁~ 15₃)을 통과하여 밀어 넣고, 컨택트 핀(3)의 한 쌍의 협지 조각(3e, 3f) 사이에 삽입시켜서 파지 접촉시킨다. 또, 픽싱 구멍(8)에 브릿지형 접속 부재(22)를 밀어 넣는 것으로, 이 부재의 지지 플레이트(24)가 O 링(9)을 누르는 것으로 씰이 된다. 또, 차입구(6)내의 돌출부(7)의 외주위에는 통 형상 씰 부재(21₂), 통 형상 씰 부재(21₁)의 순서로 장착한다. 이것에 의해, 암틀 커넥터(2)의 조립이 완료된다.
다음에, 수틀 커넥터(2A)에 대해 주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수틀 커넥터(2A)는 전선 홀딩부(16) 및 브릿지형 접속 부재(22)에 대해서는 암틀 커넥터(2)로 그 구성이 동일하고, 컨택트 핀 및 이것이 장착되는 커넥터 하우징(4A)의 구성만이 차이가 난다. 여기서, 아 커넥터의 공통 부분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구성에 대하여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수틀 컨택트 핀(3A)는 이의 전방에 위치하는 접촉부(3Ao)가 1 개의 핀으로 이루어지고, 암틀 컨택트 핀(3)의 협지 조각(3a, 3b)에 차입되도록 그 선단이 날카로워지고 있다. 후단부 등의 구성은 암틀 컨택트 핀(3)과 동일한 구성이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 수틀 커넥터 하우징(4A)은 전방이 암틀 커넥터(2)의 차입구(6)에 차입되도록 돌출한 돌출부(4A')로 되어 있고, 이 수틀 커넥터 하우징(4A)의 수용 구멍의 오부에는 수틀 컨택트 핀(3A)의 선단부가 삽통되는 가는 그루브(5o')가 형성되어 있다. 이 수틀 커넥터(2A)의 조립은 암틀 커넥터(2)의 조립과 거의 동일한 순서로 조립할 수 있다.
암틀 커넥터(2)와 수틀 커넥터(2A)와의 결합은 암틀 커넥터(2)의 차입구(6)내에 수틀 커넥터의 돌출부(4A')를 차입하는 것에 의해 행해진다. 이 컨센트에 의해, 통 형상 씰 부재(21₂)의 볼록한 형상 융기부가 돌출부(4A') 전방의 내주 벽면에 강하고 압접 된다. 또, 이 차이 포함에 수반하여, 수틀 커넥터 하우징(4A)의 돌출부(4A') 양 측벽에 설치된 계지 돌기(4c", 4d")가 암틀 커넥터 하우징(4)의 계합 구멍(4c', 4d')과 맞물림하여 빠짐 멈춤이 된다(또한, 도 1에서는 계지 돌기(4c")는 숨어 있음).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 관한 커넥터(1)는 각종의 방수 구조를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서 설명하였으나, 씰 부재를 장착하지 않는 커넥터로 해도 된다. 또, 암틀 커넥터(2)와 수틀 커넥터(2A)와의 결합시의 씰 부재를 암틀 커넥터에 장착하였으나, 씰 부재의 형상을 변경하여 수틀 커넥터 측에 장착해도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구성을 구비하는 것으로, 이하에 나타내는 뛰어난 효과를 상주한다. 즉, 본 발명의 제 1의 양상에 관한 커넥터에 의하면, 컨택트 핀의 접속부와 전선의 심선은 제 1, 제 2 접촉부를 갖고 양 접촉부가 연결 조각으로 결합된 브릿지형 접속 부재로 접속되므로, 각종 사이즈의 전선과 여러 가지 타입의 컨택트 핀을 조합한 커넥터를 간단하게 제작할 수 있다. 즉, 컨택트 핀의 전선 접속부와 전선을 브릿지형 접속 부재를 이용하여 접속하면, 종래 기술과 같이 전선이 컨택트 핀의 전선 접속부에 직접 접속 고정되지 않기 때문에, 각종 사이즈의 전선 및 여러 가지 타입의 컨택트 핀을 각종 선택하고, 이것들을 조합한 접속이 가능하게 되어서 사용 범위가 넓은 커넥터를 간단하게 제작할 수 있다.
또, 상기 제 1의 양상에 있어서, 브릿지형 접속 부재의 제 1 접촉부는 절연 피복 전선의 피복을 찢어서 심선과 접촉되는 예각에 날카로운 송곳니 형상, 또는 U자 형상 그루브를 가지는 접촉자로 형성되고, 또 제 2 접촉부는 컨택트 핀의 접속부에 접촉되는 소정 폭의 접촉자로 형성되게 이루면, 절연 피복 전선과 컨택트 핀과의 접속이 특수한 공구를 사용하는 일 없이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또, 브릿지형 접속 부재는 제 1, 제 2 접촉부의 수가 동일한 수 또는 다른 수로 형성되게 이루면, 제 1 접촉부에 접속되는 전선으로부터의 신호, 전력 등을 분류 또는 합류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면, 제 1 접촉부를 1 개, 제 2 접촉부를 2 개로 하면, 제 1 접촉부에 접속된 1 개의 전선으로부터의 신호, 전력 등이 연결 조각을 통하여 제 2 접촉부에서 2 개에 분류된다. 또, 반대의 경우, 즉 제 1 접촉부를 2 개, 제 2 접촉부를 1 개로 하면, 제 1 접촉부에 접속된 각 전선으로부터의 신호, 전력 등이 연결 조각을 통하여 제 2 접촉부에서 합류되는 것으로 된다.
또, 상기 제 1의 양상에 따른 커넥터는 암틀 커넥터 및 수틀 커넥터의 모든 쪽에서 제조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제 2의 양상에 관한 커넥터에 의하면, 컨택트 핀의 접속부와 전선의 심선은 제 1, 제 2 접촉부를 가지고 양 접촉부가 연결 조각으로 결합된 브릿지형 접속 부재로 접속되므로, 각종 사이즈의 전선과 여러 가지 타입의 컨택트 핀을 조합한 커넥터를 간단하게 제작할 수 있다. 또, 브릿지형 접속 부재의 제 1, 제 2 접촉부는 제 1 연통 구멍으로부터 밀어 넣으므로, 각 접촉부가 제 1 연통 구멍에 가이드되어서 전선과 컨택트 핀과의 접속이 정확하게 된다.
또, 제 2의 양상에 있어서는 브릿지형 접속 부재의 제 1 접촉부는 절연 피복 전선의 피복을 찢어서 심선과 접촉되는 예각에 날카로운 송곳니 형상, 또는 U자 형상 그루브를 가지는 접촉자로 형성되고, 또 제 2 접촉부는 컨택트 핀의 접속부에 접촉되는 소정 폭의 접촉자로 형성되게 이루면, 절연 피복 전선과 컨택트 핀과의 접속이 특수한 공구를 사용하는 일 없이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또, 제 2의 양상에 있어서는 브릿지형 접속 부재는 제 1, 제 2 접촉부의 수가 동일한 수 또는 다른 수로 형성되도록 하면, 제 1 접촉부에 접속되는 전선으로부터의 신호, 전력 등을 분류 또는 합류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제 2의 양상에 있어서는 전선 고정 부재는 전선 홀딩 그루브 및 제 2 연통 구멍을 가지는 홀딩 부재와, 상기 홀딩 부재를 수용하여 제 3 연통 구멍을 가지는 고정 하우징으로 구성하고, 고정 하우징에 홀딩 부재를 수용한 상태로 커넥터 하우징의 수용 구멍에 삽입하도록 하는 것으로, 전선과 컨택트 핀과의 위치 결정 고정이 정확하게 되고, 또, 제 1, 제 2 접촉부는 각각 제 1, 제 2 연통 구멍 및 제 1, 제 3 연통 구멍에 가이드 되므로, 전선과 컨택트 핀의 전속이 정확하게 된다.
또, 제 2의 양상에 있어서는 홀딩 부재는 절연성의 두꺼운 판의 일면에 하나 내지 복수 라인의 전선을 수용할 수 있는 전선 홀딩 그루브를 설치하고, 이러한 전선 홀딩 그루브 폭을 각각의 전선 사이즈에 적합한 폭 길이로 하면, 1 매의 두꺼운 판 플레이트에 사이즈가 동일한 또는 다른 복수 라인의 전선을 장착할 수 있게 되 므로, 전선의 장착이 용이하게 된다.
또, 제 2의 양상에 있어서는 홀딩 부재는 하나 내지 복수 개의 절연성의 홀딩 블록으로 형성하게 이루면, 이러한 홀딩 블록에는 각각 전선 사이즈에 적합한 전선 홀딩 그루브 및 개개의 홀딩 블록을 연결하는 연결 수단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홀딩 블록의 선택ㆍ연결이 용이하게 되고, 각종 사이즈의 전선에 적응할 수 있는 홀딩 부재를 형성할 수 있다.
또, 상기 제 2의 양상에 따른 커넥터는 암틀 커넥터 및 수틀 커넥터의 모든 쪽에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의 양상에 따른 커넥터는 컨택트 핀의 접속부와 전선의 심선은 제 1, 제 2 접촉부가 연결 조각으로 결합된 브릿지형 접속 부재로 접속되므로, 각종 사이즈의 전선과 여러 가지 타입의 커넥터 조합한 커넥터를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커넥터 하우징의 벽면에 브릿지형 접속 부재가 감입되는 픽싱 구멍이 형성되고, 이 픽싱 구멍에 씰 부재를 장착하여 브릿지형 접속 부재를 감입하므로, 이 접속 부재의 장착 위치를 방수 구조로 할 수 있다. 또, 수용 구멍의 후방에는 씰 부재가 장착되어 있으므 전선 고정 부재의 장착 위치로부터 물의 침입을 저지할 수 있다.
또, 제 3의 양상에 있어서는 브릿지형 접속 부재의 제 1 접촉부는 절연 피복 전선의 피복을 찢어서 심선과 접촉되는 예각에 날카로운 송곳니 형상, 또는 U자 형상 그루브를 가지는 접촉자로 형성되고, 또 제 2 접촉부는 컨택트 핀의 접속부에 접촉되는 소정 폭의 접촉자로 형성되게 이루면, 절연 피복 전선과 컨택트 핀과의 접속이 특수한 공구를 사용하는 일 없이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또, 제 3의 양상에 있어서는 브릿지형 접속 부재는 제 1, 제 2 접촉부의 수가 동일한 수 또는 다른 수로 형성되고, 이것들이 연결 조각 및 단락 조각으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제 1 접촉부에 접속되는 전선으로부터의 신호, 전력 등을 분류 또는 합류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제 3의 양상에 있어서는 전선 고정 부재는 전선 홀딩 그루브 및 제 2 연통 구멍을 가지는 홀딩 부재와, 상기 홀딩 부재를 수용하여 걸 3 연통 구멍을 가지는 고정 하우징으로 구성하고, 고정 하우징에 홀딩 부재를 수용한 상태로 커넥터 하우징의 수용 구멍에 삽입하게 이루면, 전선과 컨택트 핀과의 위치 결정 고정이 정확하게 되고, 또, 제 1, 제 2 접촉부는 각각 제 1, 제 2 연통 구멍 및 제 1, 제 3 연통 구멍에 가이드 되므로, 전선과 컨택트 핀의 접속이 정확하게 된다.
또, 제 3의 양상에 있어서는 홀딩 부재로서 절연성의 두꺼운 판의 일면에 하나 내지 복수 라인의 전선을 수용할 수 있는 전선 홀딩 그루브를 설치하고, 이러한 전선 홀딩 그루브 폭을 각각의 전선 사이즈에 적합한 폭 길이로 하는 1 매의 두꺼운 판 플레이트에 사이즈가 동일한 또는 다른 복수 라인의 전선을 장착할 수 있게 되므로, 전선의 장착이 용이하게 된다.
또, 제 3의 양상에 있어서는 홀딩 부재로서 하나 내지 복수 개의 절연성의 홀딩 블록으로 형성되고, 이러한 홀딩 블록에는 각각 전선 사이즈에 적합한 전선 홀딩 그루브 및 개개의 홀딩 블록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이용하면, 홀딩 블록의 선택ㆍ연결이 용이하게 되고, 각종 사이즈의 전선에 적응할 수 있는 홀딩 부재를 형성할 수 있다.
또, 제 3의 양상에 있어서는 방수 부재를 씰 패킹으로 하고, 씰 패킹의 후부에 이 씰 패킹을 보호하기 위한 씰 커버를 장착하게 이루면, 씰 패킹에 의해 양호한 방수 효과를 실현할 수 있다. 또 씰 커버를 장착함으로써, 씰 패킹의 누락을 방지할 수 있는 것과 동시에, 이 씰 커버에 의해 전선이 만곡(灣曲)되었을 경우여도 그 전선의 텐션이 씰 커버로 완화시킬 수 있고, 씰 패킹에 전해진 전선의 텐션을 작게 할 수 있으므로, 전선의 만곡에 의해 씰 패킹의 삽통 구멍이 변형할 우려가 없어져서, 씰 패킹에 틈새가 생기기 어려워진다.
또, 상기 제 3의 양상에 따른 커넥터는 암틀 커넥터 및 수틀 커넥터의 모든 쪽에서 제조할 수 있다.
또, 제 3의 양상에 있어서는 암틀 커넥터와 수틀 커넥터를, 어느 한 쪽의 커넥터에 커넥터 씰 부재를 장착하여 결합되게 이루면, 양 커넥터의 결합 위치로부터의 물의 침입을 저지할 수 있다.
또, 제 3의 양상에 있어서는 커넥터 씰 부재를 통 형상 씰 몸체로 구성하게 이루면, 암틀 커넥터에의 장착을 간단하게 할 수 있는 동시에,양 커넥터의 결합 위치로부터의 물의 침입을 저지할 수 있다.
또, 제 3의 양상에 있어서는 커넥터 씰 부재는 탄성을 가지는 통 형상 씰 몸체와 강체로 이루어지는 통 형상 씰 몸체로 구성하고, 이것들을 돌출부에 직렬로 장착함으로써 방수 구조를 형성한다. 또, 볼록한 형상 융기부를 가지는 통 형상 씰 몸체를 돌출부의 오부에 다른 통 형상 씰 몸체를 전방에 배치하면 이 통 형상 씰 몸체의 누락을 막을 수 있다.

Claims (23)

  1. 선단에 접촉부 및 후단에 전선 접속부를 가지는 컨택트 핀과, 상기 컨택트 핀 및 전선이 수용되는 수용 구멍을 가지는 커넥터 하우징을 구비한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수용 구멍에 상기 컨택트 핀 및 전선을 수용하고, 제 1, 제 2 접촉부가 연결 조각(piece)으로 결합된 브릿지(bridge)형 접속 부재를 상기 수용 구멍에 밀어 넣는 것으로, 상기 제 1, 제 2 접촉부에서 상기 컨택트 핀의 접속부와 전선의 심선(芯線)을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형 접속 부재의 제 1 접촉부는 절연 피복 전선의 피복을 찢어서 심선과 접촉하는 예각에 날카로운 송곳니 형상 또는 U자 형상 그루브(groove)를 가지는 접촉자(子)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접촉부는 상기 컨택트 핀의 접속부에 접촉되는 소정 폭의 접촉자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형 접속 부재의 제 1, 제 2 접촉부는 각각 동일한 수 또는 다른 수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제1항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택트 핀은 암틀 컨택트 핀 또는 수틀 컨택트 핀이며, 이러한 컨택트 핀이 암틀 커넥터 하우징 또는 수틀 커넥터 하우징에 수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5. 선단에 접촉부 및 후단에 전선속부를 가지는 컨택트 핀과, 상기 컨택트 핀 및 전선을 수용하여 후방에 전선 고정 부재가 장착되는 수용 구멍을 가지는 커넥터 하우징을 구비한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벽면에 상기 수용 구멍으로 연통하는 제 1 연통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수용 구멍에 상기 컨택트 핀 및 전선을 수용하고, 제 1, 제 2 접촉부를 갖고 이것들이 연결 조각으로 결합된 브릿지형 접속 부재의 제 1, 제 2 접촉부를 상기 제 1 연통 구멍에 밀어 넣는 것으로, 상기 제 1, 제 2 접촉부에서 상기 컨택트 핀의 접속부와 전선의 심선을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형 접속 부재의 제 1 접촉부는 절연 피복 전선의 피복을 찢어서 심선과 접촉되는 예각에 날카로운 송곳니 형상 또는 U자 그루브를 가지는 접촉자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접촉부는 상기 컨택트 핀의 접속부에 접촉되는 소정 폭의 접촉자 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형 접속 부재의 제 1, 제 2 접촉부는 각각 동일한 수 또는 다른 수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 고정 부재는 상기 전선을 홀딩하여 상기 제 1 연통 구멍에 연통하는 제 2 연통 구멍이 형성된 전선 홀딩 그루브를 가지는 홀딩 부재와, 상기 홀딩 부재를 수용하는 픽싱(fixing) 구멍 및 상기 컨택트 핀의 접속부를 수용하여 상기 제 1 연통 구멍에 연통하는 제 3 연통 구멍이 형성된 고정 구멍을 가지는 고정 하우징을 갖고,
    상기 홀딩 부재를 상기 고정 하우징의 픽싱 구멍에 수용한 상태로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수용 구멍에 삽입하고, 상기 브릿지형 접속 부재의 제 1 접촉부가 상기 제 1, 제 2 연통 구멍을 통과하고, 또 상기 제 2 접촉부가 상기 제 1, 제 3 연통 구멍을 통과하여 밀어 넣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 부재는 절연성의 두꺼운 판의 일면에 적어도 1 개의 전선을 수용할 수 있는 전선 홀딩 그루브가 설치되고,
    상기 전선 홀딩 그루브는 각각의 전선 사이즈에 적합한 그루브 폭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 부재는 적어도 1 개의 절연성의 홀딩 블록(block)으로 형성되고,
    상기 홀딩 블록에는 각각 전선 사이즈에 적합한 전선 홀딩 그루브 및 개개의 홀딩 블록을 연결하는 연결 수단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1. 제5항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택트 핀은 암틀 컨택트 핀 또는 수틀 컨택트 핀에 있어서, 상기 컨택트 핀이 암틀 커넥터 또는 수틀 커넥터 하우징에 수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2. 선단에 접촉부 및 후단에 전선 접속부를 가지는 컨택트 핀과, 상기 컨택트 핀 및 전선을 수용하여 후방에 전선 고정 부재 및 방수 부재가 장착되는 수용 구멍을 가지는 커넥터 하우징을 구비한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 벽면에 제 1, 제 2 접촉부가 연결 조각으로 결합된 브릿지형 접속 부재가 삽입되어서 저(底)부에 상기 수용 구멍에 연통하는 제 1 연통 구멍을 가지는 픽싱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픽싱 구멍에 씰 부재를 장착하는 동시에, 상기 수용 구멍에 상기 컨택트 핀, 전선, 상기 전선 고정 부재 및 상기 방수 부재 를 장착하고, 상기 브릿지형 접속 부재의 상기 제 1, 제 2 접촉부를 상기 제 1 연통 구멍에 밀어 넣는 것으로, 상기 제 1, 제 2 접촉부에서 상기 컨택트 핀의 접속부와 전선의 심선을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형 접속 부재의 제 1 접촉부는 절연 피복 전선의 피복을 찢어서 심선과 접촉되는 예각에 날카로운 송곳니 형상 또는 U자 형상 그루브를 가지는 접촉자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접촉부는 상기 컨택트 핀의 접속부에 접촉되는 소정 폭의 접촉자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형 접속 부재의 제 1, 제 2 접촉부는 각각 동일한 수 또는 다른 수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 고정 부재는 상기 전선을 홀딩하여 상기 제 1 연통 구멍에 연통하는 제 2 연통 구멍이 형성된 전선 홀딩 그루브를 가지는 홀딩 부재와, 상기 컨택트 핀의 접속부를 수용하여 상기 제 1 연통 구멍에 연통하는 제 3 연통 구멍이 형성된 고정 구멍 및 상기 홀딩 부재를 수용하는 픽싱 구멍을 가지는 고정 하우징을 갖고,
    상기 홀딩 부재를 상기 고정 하우징의 픽싱 구멍에 수용한 상태로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수용 구멍에 삽입하고, 상기 브릿지형 접속 부재의 제 1 접촉부가 상기 제 1, 제 2 연통 구멍을 통과하고, 또 상기 제 2 접촉부가 상기 제 1, 제 3 연통 구멍을 통과하여 각각 밀어 넣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6.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 부재는 절연성의 두꺼운 판의 일면에 적어도 1 개의 전선을 수용할 수 있는 전선 홀딩 그루브가 설치되고,
    상기 전선 홀딩 그루브는 각각의 전선 사이즈에 적합한 그루브 폭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 부재는 적어도 1 개의 절연성의 홀딩 블록으로 형성되고,
    상기 홀딩 블록에는 각각 전선 사이즈에 적합한 전선 홀딩 그루브 및 개개의 홀딩 블록을 연결하는 연결 수단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 부재는 전선 사이즈에 적합한 삽통(揷通) 구멍을 가지는 두께의 탄성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용 구멍에 밀어 넣어지는 씰 패킹(seal packin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씰 패킹이 장착된 후에, 전선 사이즈에 적합한 삽통 구멍을 가지는 상기 수용 구멍을 차지하는 씰 커버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0. 제12항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택트 핀은 암틀 컨택트 핀 또는 수틀 컨택트 핀에 있어서, 상기 컨택트 핀이 암틀 커넥터 또는 수틀 커넥터 하우징에 수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암틀 커넥터와 수틀 커넥터는 어느 한 쪽의 커넥터에 커넥터 씰 부재를 장착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씰 부재는 상기 암틀 커넥터의 차입구의 오(奧)부에서 전방으로 돌출하여 수틀 컨택트 핀이 수납된 돌출부의 외주위에 감입(嵌入)되는 탄성을 가지는 통 형상 씰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씰 부재는 탄성을 가지는 한 쪽의 통 형상 씰 몸체와 강(剛)체로 이루어지는 다른 쪽의 통 형상 씰 몸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한 쪽의 통 형상 씰 몸체는 통 형상 개구와 직교하는 방향의 외주위에 볼록(凸)한 형상 융기부가 형성되어서 상기 돌출부에 직렬로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20060120628A 2005-12-01 2006-12-01 커넥터 KR2007005768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G200507670-8 2005-12-01
SG200507670-8A SG132544A1 (en) 2005-12-01 2005-12-01 Connec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7685A true KR20070057685A (ko) 2007-06-07

Family

ID=37797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0628A KR20070057685A (ko) 2005-12-01 2006-12-01 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494364B2 (ko)
EP (1) EP1793452A2 (ko)
JP (1) JP2007157697A (ko)
KR (1) KR20070057685A (ko)
CN (1) CN1976125B (ko)
SG (1) SG13254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7791B1 (ko) * 2007-06-25 2008-03-31 정훈택 조립식 빔 및 그 빔을 이용한 갠트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60641B (en) * 2008-06-02 2013-03-13 Joy Mm Delaware Inc A clip for pin retention
CN102362411B (zh) * 2009-11-06 2014-06-25 矢崎总业株式会社 安装在电机壳中的逆变器端子板以及衬垫
US9231314B2 (en) * 2013-03-15 2016-01-05 R.A. Philips Industries, Inc. Connector assembly and method for using
WO2015039190A1 (en) * 2013-09-19 2015-03-26 Custom Investments Limited Improvements to electrical connectors and their manufacture
CN104795657B (zh) * 2014-01-16 2017-07-11 凡甲电子(苏州)有限公司 充电电池插座
US9300069B2 (en) * 2014-02-13 2016-03-29 Delphi Technologies, Inc. Electrical terminal with enhanced clamping force
TWM496259U (zh) * 2014-09-26 2015-02-21 Jess Link Products Co Ltd 防水電連接器模組及其防水外殼
JP6931975B2 (ja) * 2016-03-31 2021-09-08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コネクタ
JP6920902B2 (ja) * 2017-06-30 2021-08-18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コネクタ、コネクタアセンブリ及び接触子
CN111430985A (zh) * 2020-04-29 2020-07-17 杭州依玲凌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宽带接入技术可直接压合的网络水晶头
EP3993167A1 (en) * 2020-10-28 2022-05-04 TE Connectivity Nederland B.V. Insulation displacement contact for contacting an insulated ribbon cable
CN115706338A (zh) * 2021-08-05 2023-02-17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连接器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30164A (en) * 1979-06-18 1982-05-18 Industrial Electronic Hardware Corp. Hermaphrodite electrical connector
US4435034A (en) * 1981-10-08 1984-03-06 Northern Telecom Limited Connectors with insulation-displacing terminals
JPS61133584A (ja) 1985-10-31 1986-06-20 アンプ インコ−ポレ−テツド 電気コネクタ用プラグ
JPH0451426Y2 (ko) * 1988-10-12 1992-12-03
JPH0631652Y2 (ja) * 1990-04-06 1994-08-22 矢崎総業株式会社 圧接端子
JP3636393B2 (ja) * 1995-10-31 2005-04-06 ミネソタ マイニング アンド マニュファクチャリング カンパニー 分岐コネクタ装置
JP2000133369A (ja) * 1998-10-27 2000-05-12 Yazaki Corp 防水コネクタ及び該防水コネクタの組付方法
CN2360947Y (zh) * 1998-12-11 2000-01-26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线缆连接器
CN2377692Y (zh) * 1999-05-28 2000-05-10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线缆连接器
JP3520986B2 (ja) * 2000-12-08 2004-04-19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アンプ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7791B1 (ko) * 2007-06-25 2008-03-31 정훈택 조립식 빔 및 그 빔을 이용한 갠트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G132544A1 (en) 2007-06-28
US20070128907A1 (en) 2007-06-07
EP1793452A2 (en) 2007-06-06
CN1976125A (zh) 2007-06-06
JP2007157697A (ja) 2007-06-21
CN1976125B (zh) 2010-12-08
US7494364B2 (en) 2009-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57685A (ko) 커넥터
US7377803B2 (en) Connector and connector system
KR102647718B1 (ko) 콘택 캐리어, 전기 콘택 유닛 및 기성품 케이블을 생성하는 방법
US20120135621A1 (en) Floating connector
KR20060135054A (ko) 커넥터 및 그 결선 방법
EP0631344B1 (en) Sealed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KR20020046189A (ko) 전기 커넥터
JPH1116612A (ja) 電線の接続構造
JP2005149935A (ja) 圧接ジョイントコネクタ
JP4153373B2 (ja) 圧接コネクタ
JP3340325B2 (ja) 複数段にケーブル列を配する電気コネクタ
EP3644444A1 (en) Connector
JP5216441B2 (ja) 電気コネクタ
JP5289154B2 (ja) コネクタ
JP2008077952A (ja) コネクタ
JPH11121108A (ja)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H1154217A (ja)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2005149936A (ja) 圧接ジョイントコネクタ
JP2006172738A (ja) プラグコネクタ、プラグコンタクト、及びプラグコネクタの組立方法
CN111769391B (zh) 连接器
JP7451046B2 (ja) 電線圧接構造
JP2001357912A (ja) コネクタ
JP2005004990A (ja) 圧接端子及び圧接コネクタ
EP1439611B1 (en) Connector for a ribbon cable
JP2007157486A (ja) ジョイント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