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7718B1 - 콘택 캐리어, 전기 콘택 유닛 및 기성품 케이블을 생성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콘택 캐리어, 전기 콘택 유닛 및 기성품 케이블을 생성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7718B1
KR102647718B1 KR1020180030400A KR20180030400A KR102647718B1 KR 102647718 B1 KR102647718 B1 KR 102647718B1 KR 1020180030400 A KR1020180030400 A KR 1020180030400A KR 20180030400 A KR20180030400 A KR 20180030400A KR 102647718 B1 KR102647718 B1 KR 1026477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section
conductor
cable
electr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04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6946A (ko
Inventor
루디 블루맨샤인
마틴 후버
Original Assignee
티이 커넥티버티 저머니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이 커넥티버티 저머니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티이 커넥티버티 저머니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801069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69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77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77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01R4/183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 H01R4/186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using a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cable-accommodating recesses or bo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01R4/183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5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1Bolt, set screw or screw clam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91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 H01R13/65912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for shielded multiconductor cable
    • H01R13/65914Connection of shield to additional grounding condu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70Insulation of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forming connections by deformation, e.g. crimping tool
    • H01R43/048Crimping apparatus or proces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01R13/6582Shield structure with resilient means for engaging mating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91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 H01R13/6592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the conductive member being a shielded cable
    • H01R13/6593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the conductive member being a shielded cable the shield being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01R4/2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using a crimping sleev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 H01R9/0518Connection to outer conductor by crimping or by crimping ferru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히, 자동차 산업에서 사용하기 위한 전기 케이블 및/또는 전기 커넥터에 대한 전기 콘택 유닛(10)을 위한 콘택 캐리어(11)에 관한 것이며, 콘택 캐리어(11)에는 콘택 캐리어 바디(100) 및 적어도 하나의 전기 콘택 엘리먼트(190)가 제공되어 있고, 콘택 캐리어 바디(100)는 메이팅 콘택 엘리먼트에 의해 콘택 엘리먼트(190)의 콘택 섹션을 전기적으로 접촉하기 위한 연결 섹션 및 도체 클램핑 섹션(130)을 갖고, 도체 클램핑 섹션(130)은 콘택 캐리어 바디(100)의 원주 방향에서, 콘택 캐리어 바디 (100)의 길이 방향 (L)의 적어도 부분적 연장부에 걸쳐 실질적으로 폐쇄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은 추가로, 콘택 캐리어(11) 및 콘택 디바이스(12)를 갖는, 특히, 자동차 산업에서 사용하기 위한 전기 케이블 및/또는 전기 커넥터에 대한 전기 콘택 유닛(10)에 관한 것이며, 콘택 캐리어(11)는 콘택 디바이스(12)의 콘택 캐리어 리셉터클(200)에 설정되거나 이에 설정될 수 있고, 콘택 캐리어(11)의 도체 클램핑 섹션(130)은 콘택 디바이스(12)의 크핌퍼블 도체 크림핑 섹션 (230)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Description

콘택 캐리어, 전기 콘택 유닛 및 기성품 케이블을 생성하는 방법{A CONTACT CARRIER, ELECTRICAL CONTACT UNIT AND A METHOD OF PRODUCING A READY-MADE CABLE}
본 발명은 특히, 각각의 경우 자동차 산업에서 사용하기 위한 전기 케이블 및/또는 전기 커넥터에 대한 전기 콘택 유닛을 위한 콘택 캐리어, 전기 케이블 및/또는 전기 커넥터에 대한 콘택 유닛, 및 기성품 케이블을 생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특히 각각의 경우 자동차 산업에서 사용하기 위한 기성품 전기 케이블, 바람직하게는 기성품 구리 케이블 및/또는 알루미늄 케이블; 기성품 전기 케이블, 바람직하게는 기성품 구리 케이블 및/또는 알루미늄 케이블을 위한 전기 커넥터; 및 유닛, 모듈, 기기, 장치, 설비 또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기 산업(전자, 전기 공학, 전기 장비, 전력 공학 등)에서, 넓은 범위의 전류, 전압, 주파수 및/또는 데이터 속도들을 갖는 전류, 전압, 신호 및/또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역할을 하는 많은 전기 커넥터 디바이스들 및/또는 커넥터 유닛들, 소켓 및/또는 핀 커넥터들 등 ― 아래에서 (전기) (메이팅-) 커넥터들로 표시됨 ― 이 알려져 있다. 낮은, 중간의 또는 높은 전압 및/또는 전류 범위들에서, 특히, 자동차 산업에서 그러한 커넥터들은 따뜻한, 가능하게는 더운, 오염된, 습한 그리고/또는 화학적으로 공격적인 환경에서 영구적으로, 반복적으로 그리고/또는 비교적 긴 서비스 수명 이후에 지체 없이, 전력, 신호 및/또는 데이터의 전송을 보장해야 한다. 광범위한 적용으로 인해, 많은 특수하게 구성된 커넥터들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커넥터들 또는 오히려 그들의 하우징들은 전기 케이블, 도체, 케이블 하니스(기성품 전기 케이블) 등, 및/또는 예를 들어 (전력-) 전기, 전자 광학 또는 전자 부품 또는 이와 같은 장비 등의 하우징의/내의, 리드 프레임의/상의, 인쇄 회로 기판 등의/상의 전기 유닛 또는 디바이스 상에 설치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이는 종종 (메이팅) 커넥터 유닛으로 알려져 있다. 커넥터가 케이블, 도체 및/또는 케이블 하니스 상에만 위치되는 경우, 이는 통상적으로 (플라잉) (플러그-인) 커넥터 또는 플러그 또는 커플링으로 알려져 있고, 전기, 전자 및/또는 전자 광학 부품 상에/내에 위치되는 경우, 이는 통상적으로 (내장형) 플러그 또는 (내장형) 소켓과 같은 (내장형) 커넥터로 알려져 있다. 또한, 그러한 유닛에 대한 커넥터는 종종 플러그 리셉터클 또는 헤더로 불리기도 한다.
전기 커넥터들은 전기 신호(전압) 및/또는 전력의 완벽한 전송을 보장해야 하며, 서로 대응하는 커넥터들(커넥터들 및 메이팅 커넥터들)은 통상적으로 메이팅 커넥터에/내에 커넥터의 장기간의, 그러나 통상적으로 해제 가능한 체결 또는 로킹을 위한 체결 또는 로킹 장치들을 갖는다. 또한, 예를 들어 실제 전기 콘택 디바이스(통상적으로 일체로 형성됨) 및/또는 실제 전기 콘택 유닛(통상적으로 복수의 부분들로, 일 부분으로 또는 실질적으로 하나의 피스로 형성됨)과 같은 대응하는 전기 콘택 엘리먼트들(터미널들)은 그 안에 안전하게 수용되어야 한다. 커넥터들의 하우징들은 통상적으로 예를 들어 FAKRA 표준 또는 다른 표준과 같은 특정 표준화의 대상이 되므로, 하우징들의 가장 중요한 치수들은 상이한 제조사들에 걸쳐 동일한 치수들을 갖는다.
전기 콘택 디바이스들, 전기 콘택 유닛들, 전기 커넥터들 및/또는 기성품 전기 케이블들을 개선하고, 이들을 보다 비용 효율적이도록 형성하고 그리고/또는 이들을 보다 비용 효율적으로 생성하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들이 진행되고 있다. 기성품 전기 케이블을 생성하기 위해 접착 방법, 납땜 방법 또는 용접 방법과 같은 2개의 상이한 유형의 접합 방법들 및 크림핑 방법이 연속적으로 적용되어야 하는 경우 특히 불리하다. 특히, 자동차 산업에서, 콘택 디바이스들 및/또는 콘택 유닛들에 케이블들을 간단하고 신속하게 대량 생성될 수 있는 접합은 온보드 전기 시스템에 바람직하다((자동차, 오토바이, 건설 차량, 특수 차량, 철도 차량, 항공기, 선박 등) 차량들의 모든 전기 및 전자 부품들의 전체).
본 발명의 문제점은 특히, 자동차 산업에서 사용하기 위한 케이블에 대해, 전기 커넥터에 대한 개선된 전기 콘택 유닛 및 개선된 기성품 전기 케이블을 특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 콘택 유닛은 기성품 케이블의 생성 중에 하나의 유형의 접합 방법만이 적용되어야 하도록 구성되어야 하지만, 종래 기술에서는 2개의 다른 접합 방법들이 적용되어야 한다. 또한, 특히, 자동차 산업에서 사용하기 위한 대응하는 기성품 전기 케이블, 바람직하게는 기성품 구리 케이블 및/또는 알루미늄 케이블, 및 대응하는 전기 커넥터를 특정하고자 의도된다.
본 발명의 문제점은 독립 청구항들에 따르면 특히, 각각의 경우 자동차 산업에서 사용하기 위한 전기 케이블 및/또는 전기 커넥터에 대한 전기 콘택 유닛을 위한 콘택 캐리어에 의해; 케이블 및/또는 커넥터에 대한 전기 콘택 유닛에 의해; 기성품 케이블을 생성하는 방법에 의해; 기성품 케이블, 바람직하게는 기성품 구리 케이블 및/또는 알루미늄 케이블에 의해; 기성품 케이블, 바람직하게는 기성품 구리 케이블 및/또는 알루미늄 케이블에 대한 커넥터에 의해; 그리고 유닛, 모듈, 기기, 장치, 설비 또는 시스템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의 유리한 추가의 개선예들, 추가의 특징들 및/또는 장점들은 종속 청구항들 및 하기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콘택 캐리어는 그 위에/그 안에 제공되어 있는 콘택 캐리어 바디 및 적어도 하나의 전기 콘택 엘리먼트를 포함하고, 콘택 캐리어 바디는 메이팅 콘택 엘리먼트에 의해 콘택 엘리먼트의 콘택 섹션을 전기적으로 접촉하기 위한 연결 섹션 및 도체 클램핑 섹션을 갖고, 도체 클램핑 섹션은 콘택 캐리어 바디의 원주 방향에서, 콘택 캐리어 바디의 길이 방향의 적어도 부분적 연장부에 걸쳐 실질적으로 폐쇄되도록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도체 클램핑 섹션은 길이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전체 연장부에 걸쳐 원주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폐쇄되도록 형성된다. 이는 실질적으로 도체 클램핑 섹션이 콘택 엘리먼트마다 또는 콘택 챔버마다 하나의 위치에서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해야 한다(아래 참조)(그리고 콘택 엘리먼트마다 하나의 관통 슬롯 참조).
일 실시예에서, 도체 클램핑 섹션은 기계적으로 목표된 방식으로 변형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콘택 챔버를 갖고, 케이블의 도체의 길이 방향 단부 섹션은 콘택 챔버의 변형 동안 콘택 엘리먼트의 케이블 콘택 섹션에/상으로 클램핑(크림퍼블, 프레스, 인장, 스퀴징 등)될 수 있는데, 즉, 크림프 연결이 설정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콘택 챔버의 내부 단면은 도체의 길이 방향 단부 섹션이 플러그 연결될 수 있는 "O"(원, 타원, 계란형),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으로 모델링된다.
이러한 경우, 각각의 길이 방향 단부 섹션은 콘택 챔버에 의해 실질적으로 완전히 수용될 수 있다. 도체 클램핑 섹션의 외부 형상은 바람직하게는 (둥근) 직육면체의 외형에 실질적으로 대응한다. 이러한 경우, 콘택 챔버는 길이 방향 및 원주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폐쇄되는 "튜브"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도록 의도된다. 튜브의 섹션, 즉 상단 벽(아래 참조)의 이동성을 위해, 이는 미리 결정된 브레이킹 포인트(브리치드 윙들 또는 이중 브리치드 윙들로서 상단 벽 참조) 또는 관통 슬롯(챔버 윙들 또는 이중 챔버 윙들로서 상단 벽 참조)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체 클램핑 섹션 또는 콘택 챔버는 도체 클램핑 섹션 또는 콘택 챔버의 상단 벽에 의해: 도체의 길이 방향 단부 섹션은 케이블 콘택 섹션에/상으로 클램핑될 수 있고, 도체의 길이 방향 단부 섹션은 케이블 콘택 섹션 상으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클램핑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전기 콘택 디바이스에 대한 도체 및/또는 케이블 콘택 섹션의 길이 방향 단부 섹션의 전기 절연이 설정될 수 있고, 여기에 콘택 캐리어가 제공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케이블 콘택 섹션의 단면은 실질적으로 I자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도체의 길이 방향 단부 섹션은 케이블 콘택 섹션의 비교적 큰 측면 상으로 실질적으로 중앙에 또는 측 방향으로 클램핑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케이블 콘택 섹션의 단면은 실질적으로 L자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도체의 길이 방향 단부 섹션은 실질적으로 케이블 콘택 섹션의 바람직하게는 둥근 내부 코너 영역에 클램핑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케이블 콘택 섹션의 단면은 실질적으로 V자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도체의 길이 방향 단부 섹션은 실질적으로 케이블 콘택 섹션의 바람직하게는 둥근 내부 코너 영역에 클램핑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케이블 콘택 섹션의 단면은 실질적으로 U자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도체의 길이 방향 단부 섹션은 실질적으로 베이스 영역 상으로 그리고/또는 바람직하게는 케이블 콘택 섹션의 둥근 내부 코너 영역 내로 클램핑될 수 있다. 콘택 섹션의 길이 방향 섹션은 바람직하게는 콘택 섹션의 I자형, L자형, V자형 또는 U자형 단면의 경우에 I자형으로 형성된다. ― 콘택 섹션의 I자형, L자형, V자형 또는 U자형 단면에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케이블 콘택 섹션의 길이 방향 섹션은 V자형, U자형 또는 S자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도체의 길이 방향 단부 섹션은 케이블 콘택 섹션의 2개의 길이 방향 섹션들 사이에서 클램핑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단 벽은 상단 벽의 변위를 위한 미리 결정된 브레이킹 포인트 또는 관통 슬롯을 가질 수 있다. 상단 벽은 챔버 윙, 이중 챔버 윙들, 브리치드 윙 또는 이중 브리치드 윙들로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단 벽은 미리 결정된 브레이킹 포인트 또는 관통 슬롯으로부터 멀어지는 콘택 캐리어 바디의 횡 방향으로 일체형 힌지로서 형성될 수 있다. 환언하면, 상단 벽은 일체형 힌지로서 측벽 또는 중간 측벽에 대한 전이 영역에 형성되고, 상단 벽은 일체형 힌지에 의해 측벽 또는 중간 측벽에 피봇 가능하게 제공된다.
예를 들어, 필름 힌지(바람직하게는 두께 편차가 없거나 일방적임), 필름 조인트 또는 스트랩 힌지가 일체형 힌지로 간주된다. 이것들은 2개의 기계 부품들을 갖지 않는다. 이러한 경우, 도체 클램핑 섹션은 일체형 힌지가 도체의 길이 방향 단부 섹션이 콘택 섹션 상으로 클램핑될 수 있도록 상단 벽의 탄성 기동성(maneuverability)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일체형 힌지는 일체형 힌지 또는 상단 벽이 소성 변형되기 시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구성에서, 일체형 힌지 자체는 미리 결정된 브레이킹 포인트로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미리 결정된 브레이킹 포인트 또는 관통 슬롯은 상단 벽의 중심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미리 결정된 브레이킹 포인트 또는 관통 슬롯은 상단 벽에서 상단 벽에 인접하는 벽에 측 방향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체 클램핑 섹션의 베이스, 측면, 중간 측면 및/또는 상단은 실질적으로 폐쇄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단 벽은 2개의 부분들로, 하나의 피스로, 실질적으로 하나의 피스로 또는 콘택 캐리어 바디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2-부분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단 벽은 도체 클램핑 섹션에/내에 별도의 부품으로서 제공되는데, 예를 들어 이와 로킹, 클립핑, 클램핑 등으로 이루어진다. 하나의 피스로 된 콘택 캐리어 바디는 예를 들어, 하나의 피스로 함께 유지되거나, 연결되거나 또는 형성되고, 2-부분 형성의 경우와 같이 손에 의해서는 분리되거나 탈착될 수 없고 공구에 의해서만 분리되거나 탈착될 수 있는 콘택 캐리어 바디로서 이해되도록 의도된다. 이러한 경우, 콘택 캐리어 바디(실제 콘택 캐리어 바디 및 상단 벽)는 복수의 부분들로 제작될 수 있다.
실질적으로 하나의 피스로 된 콘택 캐리어 바디는, 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하나의 피스로 함께 유지되거나 형성되고 콘택 캐리어 바디를 손상시키지 않고는 분리될 수 없는 콘택 캐리어 바디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도록 의도된다. 상단 벽을 포함하는 전체 콘택 캐리어 바디는 강한 재료 연결에 의해, 예를 들어 콘택 캐리어 바디와 상단 벽 사이의 접착 연결에 의해 함께 유지된다. 예를 들어, 일체형 콘택 캐리어 바디는 예를 들어 사출 성형 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는, 그 자체가 일체형으로 또는 유체형으로 형성된 재료 근원을 갖는 콘택 캐리어 바디로서 이해되도록 의도된다. 일 실시예에서, 콘택 캐리어 바디는 플라스틱으로부터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콘택 캐리어 바디는 사출 성형 부분으로서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콘택 엘리먼트는 차례로 콘택 캐리어 바디 상에/내에 사출 성형되거나 성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콘택 유닛은 콘택 캐리어 및 콘택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콘택 캐리어는 콘택 디바이스의 콘택 캐리어 리셉터클에 설정될 수 있거나 설정되고, 상기 콘택 캐리어의 도체 클램핑 섹션은 콘택 디바이스의 크림퍼블 도체 크림핑 섹션에 의해 작동된다. 도체 크림핑 섹션 또는 도체 클램핑 섹션은 각각의 경우 탄성 또는 소성 변형 가능한 또는 변형된 클램핑 연결, 프레스 연결, 텐션 연결, 스퀴즈 연결 등, 즉, 크림프 연결이 설정될 수 있게 하는 콘택 디바이스 또는 콘택 캐리어의 섹션으로 이해되도록 의도된다. 이러한 경우, 콘택 디바이스의 도체 크림핑 섹션은 소성 변형 가능하고, 콘택 캐리어의 도체 클램핑 섹션은 적어도 탄성 변형 가능하다.
콘택 유닛은 케이블의 도체의 길이 방향 단부 섹션이 도체 클램핑 섹션에 의해 콘택 캐리어의 전기 콘택 엘리먼트의 케이블 콘택 섹션에/상으로 클램핑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콘택 유닛은 도체 클램핑 섹션 또는 그 적어도 하나의 콘택 챔버가 도체 크림핑 섹션에 의해 기계적으로 목표된 방식으로 변형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체 크림핑 섹션은 적어도 하나의 크림프 터미널을 갖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크림프 터미널에 의해 도체 클램핑 섹션의 상단 벽이 작동될 수 있다. 상단 벽에 의해, 도체의 길이 방향 단부 섹션은 상단 벽을 작동할 때 케이블 콘택 섹션 상으로 클램핑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크림프 터미널은 상단 벽을 작동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내부로 향하는 돌출부를 갖는다. 상기 내부로 향하는 돌출부는 바람직하게는 크림프 터미널의 실질적인 길이 방향 연장부에 걸쳐 연장되는 코러게이션(corrugation)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로 향하는 돌출부는 딤플로서 형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딤플들은 크림프 터미널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다. 또한, 크림프 터미널은 도체 크림핑 섹션을 크림핑할 때 돌출부가 크림프 터미널에 의해 형성될 수 있도록 치수가 정해질 수 있다. 크림핑 스탬프가 이러한 목적을 위해 그에 상응하게 성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체 크림핑 섹션은 콘택 유닛의 횡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2개의 크림프 터미널들을 갖는다. 2개의 크림프 터미널들은 도브테일 조인트 또는 웨지에 의해 크림핑되는 동안 일시적으로 서로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2개의 크림프 터미널들은 레이저 용접에 의해 크림핑된 후에 일시적으로 서로 고정될 수 있도록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2개의 크림프 터미널들을 서로 고정하거나 또는 개별 크림프 터미널을 제 위치에 설정하기 위한 다른 방법들이 물론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케이블 콘택 섹션과 도체의 길이 방향 단부 섹션 사이의 기계적으로 고정된 연결이 재료 결합 없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기계적으로 고정된 연결이 추가적으로 접착 연결, 납땜 연결 및/또는 용접 연결을 갖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체는 케이블의 내부 도체로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콘택 디바이스는 제2 도체 크림핑 섹션, 특히, 외부 도체 크림핑 섹션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콘택 디바이스는 제2 또는 제3 도체 크림핑 섹션, 특히, 절연 크림핑 섹션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콘택 캐리어는 바람직하게는 위에서 설명된 콘택 캐리어로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적어도 하나의 전기 콘택 엘리먼트를 갖는 콘택 캐리어가 전기 콘택 디바이스의 콘택 캐리어 리셉터클에 초기에 설정된다. 대안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전기 콘택 엘리먼트를 갖는 콘택 캐리어가 전기 콘택 디바이스의 콘택 캐리어 리셉터클에 이미 설정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기적으로 전도성이고 기계적으로 고정된 연결이 콘택 엘리먼트의 케이블 콘택 섹션과 케이블의 전기 도체의 길이 방향 단부 섹션 사이에 콘택 디바이스 자체를 통해 크림프 방법으로 설정된다. 이러한 경우, 케이블의 도체는 케이블의 내부 도체로서 형성될 수 있다.
케이블 콘택 섹션과 도체의 길이 방향 단부 섹션 사이에 전기적으로 전도성이고 기계적으로 고정된 연결을 설정할 때, 콘택 디바이스의 도체 크림핑 섹션, 특히, 내부 도체 크림핑 섹션이 콘택 캐리어의 도체 클램핑 섹션 상으로 크림핑될 수 있다. 또한, 도체 클램핑 섹션을 통해 연결을 설정할 때, 도체의 길이 방향 단부 섹션은 케이블 콘택 섹션에/상으로 클램핑(크림핑, 프레스, 인장, 스퀴징 등)될 수 있는데, 즉 크림프 연결이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도체 클램핑 섹션의 상단 벽을 통해 연결을 설정할 때, 도체의 길이 방향 단부 섹션은 케이블 콘택 섹션에/상으로 클램핑될 수 있다.
전기적으로 전도성이고 기계적으로 고정된 연결을 설정할 때, 도체의 길이 방향 단부 섹션은 케이블 콘택 섹션 상으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클램핑될 수 있다. 또한, 연결을 설정할 때, 콘택 디바이스에 대한 도체 및/또는 케이블 콘택 섹션의 길이 방향 단부 섹션의 전기 절연이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연결을 설정할 때, 도체 크림핑 섹션의 2개의 크림프 터미널들은 콘택 디바이스의 원주 방향으로 서로 고정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원주 방향으로 대향하는 2개의 크림프 터미널들의 도브테일 조인트 또는 웨지에 의해 이루어진다.
일 실시예에서, 생성 방법 중에 또는 케이블 콘택 섹션과 도체의 길이 방향 단부 섹션 사이에 전기적으로 전도성이고 기계적으로 고정된 연결을 설정할 때, 콘택 디바이스의 제2 도체 크림핑 섹션, 특히, 외부 도체 크림핑 섹션이 크림핑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2 도체 크림핑 섹션은 케이블의 전기 도체, 특히 외부 도체의 페룰 및/또는 길이 방향 단부 섹션 상으로 크림핑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콘택 디바이스의 제2 또는 제3 크림핑 섹션, 특히 절연 크림핑 섹션이 크림핑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2 또는 제3 크림핑 섹션은 케이블의 전기 절연체 상으로 크림핑될 수 있다.
케이블 콘택 섹션과 도체의 길이 방향 단부 섹션 사이의 전기적으로 전도성이고 기계적으로 고정된 연결을 설정하기 전에 일시적으로: 케이블의 길이 방향 단부 섹션이 생성 방법을 위해 준비될 수 있다; 케이블의 전기 외부 절연체가 케이블의 길이 방향 단부 섹션에서 제거될 수 있다; 케이블의 외부 도체 상으로 페룰이 크림핑될 수 있다. 페룰로부터 떨어져 있는 외부 도체의 길이 방향 단부 섹션은 페룰 주위에 배치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케이블의 전기 내부 절연체가 케이블의 길이 방향 단부 섹션에서 제거될 수 있다. ― 케이블 콘택 섹션과 도체의 길이 방향 단부 섹션 사이의 연결을 설정한 후에 일시적으로, 2개의 크림프 터미널들이 도체 클램핑 섹션 위에 레이저 용접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성품 전기 케이블은 전기 케이블을 갖고, 기성품 케이블은 본 발명에 따른 콘택 캐리어를 포함하고, 기성품 케이블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콘택 유닛을 포함하고 그리고/또는 기성품 케이블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생성된다. ―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커넥터는 하우징을 갖고, 커넥터는 본 발명에 따른 기성품 케이블을 포함한다. ― 본 발명에 따른 유닛, 본 발명에 따른 모듈, 본 발명에 따른 기기, 본 발명에 따른 장치, 본 발명에 따른 설비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본 발명에 따른 기성품 케이블 및/또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부분적으로 상세하고 부분적으로 개략적인 실제 크기가 사실이 아닌 도면들을 참조하여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사용하여 이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된다. 동일한, 단일의 또는 유사한 설계 및/또는 기능을 갖는 섹션들, 엘리먼트들, 구조적 부분들, 유닛들, 다이어그램들 및/또는 부품들은 도면들의 설명(아래 참조), 참조 번호들의 목록, 청구범위 및 도면의 도면들(도면들)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로 식별된다. 상세한 설명(발명의 설명(상기 참조), 도면들의 설명)에서 설명되지 않고 그리고 도면들에 도시되지 않고 그리고/또는 배타적이지 않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 또는 부품, 다이어그램, 유닛, 구조적 부분, 엘리먼트 또는 이의 섹션에 대한 하나의 가능한 대안, 정상 상태 및/또는 운동학적 역전, 조합 등은 추가적으로 참조 번호들의 목록으로부터 추론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특징(섹션, 엘리먼트, 구조적 부분, 유닛, 부품, 기능, 변수 등)은 포지티브, 즉 존재하거나, 네거티브, 즉 부존재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네거티브 특징은 그것이 부존재한다는 사실이 본 발명에 따라 중요한 것으로 간주되지 않는다면 특징으로서 명시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이 명세서(설명, 참조 번호들의 목록, 청구범위, 도면들)의 특징은 특정된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또한 다른 방식으로(분리, 요약, 대체, 추가, 고유, 생략 등) 적용될 수 있다. 특히, 상세한 설명, 참조 번호들의 목록, 청구범위 및/또는 도면들에서 참조 번호 및 이것에 할당되는 특징 또는 그 반대를 사용하여, 청구범위 및/또는 상세한 설명에서 특징을 대체, 추가 또는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청구항의 특징은 그 결과로서 보다 상세하게 해석 및/또는 특정될 수 있다.
이 명세서의 특징들은 ((대체로 알려지지 않은) 종래 기술을 고려하여) 선택적인 특징들로 또한 해석될 수 있다; 즉 각각의 특징은 선택적인, 임의적인 또는 바람직한 특징, 즉 비-구속적인 특징으로 이해될 수 있다. 따라서, 선택적으로 그 주변을 포함하는 특징을 예시적인 실시예로부터 분리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이 특징은 이 때 일반화된 발명 개념으로 전환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특징이 없다는 것(네거티브 특징)은 그 특징이 본 발명에 대해 선택적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특징에 대한 타입 용어의 경우, 특징에 대한 일반적인 용어가 또한 이것과 나란히 이해될 수 있고(선택적으로 또한 아속, 섹션 등으로 계층적으로 분류할 수 있음), 그 결과 예를 들어 동일한 효과 및/또는 동등성을 고려하여 특징 또는 이 특징을 일반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면들은 단지 예시적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콘택 캐리어를 갖는 차폐된 전기 크림프 콘택 유닛의 분해도를 도시하며, 전기 내부 도체들은 2개의 콘택 엘리먼트들에 접착, 납땜 또는 용접될 수 있다.
도 2는 그 위에 장착된 도 1의 크림프 콘택 유닛을 갖는 기성품 전기 케이블의 사시도를 도시하며, 콘택 디바이스는 케이블 상으로 크림핑되어 따라서 콘택 캐리어가 콘택 디바이스에 장착된다.
도 3은 메이팅 콘택 유닛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촉될 수 있는 2개의 콘택 디바이스들을 갖는 차폐된 전기 크림프 콘택 유닛에 대한 본 발명에 따른 크림퍼블 콘택 캐리어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단극 콘택 캐리어의 후방 전방 측면의 개략도를 도시하며, 내부 도체는 콘택 디바이스의 도체 크림핑 섹션 및 콘택 캐리어의 챔버 윙에 의해 콘택 캐리어에서 측 방향으로 클램핑될 수 있다.
도 5는 단극 콘택 캐리어의 후방 전방 측면의 개략도를 도시하고, 내부 도체는 콘택 디바이스의 도체 크림핑 섹션 및 콘택 캐리어의 이중 윙들에 의해 콘택 캐리어에서 중심에서 클램핑될 수 있다.
도 6은 차폐된 2-극 크림프 콘택 유닛에 대한 챔버 윙들을 갖는 콘택 캐리어를 갖는 콘택 디바이스의 내부 도체 크림핑 섹션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부분 단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7은 차폐된 2-극 크림프 콘택 유닛에 대한 이중 윙들을 갖는 콘택 캐리어를 갖는 콘택 디바이스의 내부 도체 크림핑 섹션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부분 단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8은 크림프 콘택 유닛을 갖는 기성품 2-극 케이블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전방 섹션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하고, 콘택 디바이스의 내부 도체 크림핑 섹션은 웨지형이다.
도 9는 내부 도체 크림핑 섹션의 영역에서의 도 8의 기성품 케이블의 전방 분해 단면 사시도를 도시하고, 콘택 캐리어는 단면이 L자형인 케이블 콘택 섹션들 및 챔버 윙들을 포함한다.
도 10은 크림프 콘택 유닛을 갖는 기성품 2-극 케이블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전방 섹션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하고, 콘택 디바이스의 내부 도체 크림핑 섹션은 레이저 용접될 수 있다.
도 11은 내부 도체 크림핑 섹션의 영역에서 절단된 도 10의 기성품 케이블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콘택 캐리어는 단면이 L자형인 케이블 콘택 섹션들 및 이중 윙들을 포함한다.
도 12는 케이블 콘택 섹션이 길이 방향 섹션에서 실질적으로 S자형으로 형성된 콘택 캐리어와, 케이블 콘택 섹션에 제공되는 케이블의, 콘택 엘리먼트의 영역에서 길이 방향으로 절단된 2차원 도면을 도시한다.
도 13은 차폐된 2-극 크림프 콘택 유닛에 대한 도 12에 따른 콘택 캐리어를 갖는 콘택 디바이스의 용이하게 폐쇄된 내부 도체 크림핑 섹션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부분 단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4는 차폐된 2-극 크림프 콘택 유닛에 대한 도 12에 따른 콘택 캐리어를 갖는 콘택 디바이스의 레이저 용접된 내부 도체 크림핑 섹션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부분 단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5는 이중 윙들, 콘택 엘리먼트들의 대안적인 케이블 콘택 섹션들 및 레이저 용접된 크림프 터미널들을 갖는 콘택 캐리어를 갖는 내부 도체 크림핑 섹션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부분 단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6은 이중 윙들, 콘택 엘리먼트들의 대안적인 케이블 콘택 섹션들, 및 웨지형 크림프 터미널들을 갖는 콘택 캐리어를 갖는 내부 도체 크림핑 섹션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부분 단면 사시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은 각각의 경우 특히, 자동차 산업에서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크림퍼블 콘택 캐리어(11)의 변형예의 실시예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사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기 크림프 콘택 유닛(10)의 변형예의 실시예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사용하여, 그리고 기성품 전기 케이블(1), 바람직하게는 기성품 동축 케이블(1)을 생성하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변형예의 실시예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사용하여 아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된다. 이러한 경우, 기성품 동축 케이블(1)의 동축 케이블(40)은 단극 또는 다극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종류의 변형예, 이하에 설명되는 이러한 종류의 실시예 및/또는 예시적인 실시예들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범위 내의 모든 콘택 캐리어들, 크림프 콘택 유닛들 및 기성품 케이블들의 생성 방법들에 적용될 수 있도록 보다 근본적인 특성을 갖는다. 이러한 경우, 본 발명은 크림프 연결들이 생성되거나 설정되는 곳이면 어디에서나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물론 또한 자동차 산업 및 동축 케이블들(전기 케이블들, 도체들, 케이블 하니스들 등) 이외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본 발명의 주제의 섹션들만이 도면에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되고 보다 상세히 예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른 변형예들이 본 명세서 및/또는 상기(본 발명의 설명)로부터 도출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콘택 캐리어(81) 및 전기 차폐 콘택 디바이스(82)를 갖는 종래 기술에 따른 2-극 전기 콘택 유닛(80)을 도시한다. 콘택 캐리어(81)는 콘택 캐리어 바디(100)를 구비하고, 상기 콘택 캐리어 바디에는/내에는 2개의 전기 콘택 엘리먼트들(190) 또는 터미널들(190)이 매립된다.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부분(도면에 나타내지 않음), 실질적으로 하나의 피스로(도시되지 않음) 또는 일체로 형성된 직선, 각진(도시되지 않음) 또는 만곡된(도시되지 않음) 콘택 캐리어 바디(100)는 연결 섹션(110), 위치 설정 섹션(120) 또는 전이 섹션(120) 및 도체 장착 섹션(180)을 포함한다.
콘택 엘리먼트들(190)은 콘택 섹션들(191)을 포함하는 연결 섹션(110)으로부터, 위치 설정 섹션(120)을 통해, 케이블 콘택 섹션들을 포함하는 도체 장착 섹션(180)으로 연장된다. 여기서, 콘택 섹션들(191)은 스프링 콘택들 또는 텅 콘택들로서 형성된다. 물론, 여기서 예를 들어 핀 콘택, 페그 콘택, 탭 콘택, 소켓 콘택 또는 하이브리드 콘택과 같은 다른 콘택 섹션들(191)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케이블 콘택 섹션들은 접착성 있는, 납땜 가능한 또는 용접 가능한 케이블 콘택 섹션들로서 형성된다.
전기적으로 전도성이고 기계적으로 고정된 방식으로 동축 케이블(40)의 2개의 내부 도체들(430)의 스트리핑된 길이 방향 단부 섹션들(433)에 콘택 캐리어 바디(100)에 매립된 케이블 콘택 섹션들을 연결할 수 있기 위해, 동축 케이블(40)의 길이 방향 단부 섹션들(433)은 기계적 케이블 콘택 섹션들에 접착, 납땜 또는 용접된다. 이를 위해, 도체 장착 섹션(180)은 외부로부터 접근 가능하게 형성되는데, 즉, 위쪽으로 개방되고, 동축 케이블(40)의 길이 방향 단부 섹션들(433)은 상방(콘택 캐리어(81)의 수직 방향(H))으로부터 도체 장착 섹션(180) 내로 진행할 수 있다. 계속해서 연대순으로, 동축 케이블(40)의 길이 방향 단부 섹션들(433)은 케이블 콘택 섹션들에 접착, 납땜 또는 용접된다.
계속해서 연대순으로, 그 위에 체결된 동축 케이블(40)을 갖는 콘택 캐리어(81)는 차폐 콘택 디바이스(82)의 콘택 캐리어 리셉터클(200)에 제공될 수 있다. 콘택 캐리어 리셉터클(200)은 적어도 하나의 전기 콘택 디바이스(202), 예를 들어 코딩 디바이스(204)와 같은 메이팅 콘택 유닛(도시되지 않음)에 대한 콘택 스프링(202) 또는 콘택 세그먼트(202)를 가질 수 있다. 계속해서 연대순으로, 크림프 방법이 수행될 수 있고, 차폐 콘택 디바이스(82)는 동축 케이블(40) 상에 크림핑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차폐 콘택 디바이스(82)는 2개의 커버 윙들(282)을 갖는 커버 섹션(280), 2개의 크림프 터미널들(242)(크림핑 윙들(242), 크림핑 플랭크들(242) 등)을 갖는 차폐 크림핑 섹션(240)(외부 크림핑 섹션(240), 페룰 크림핑 섹션(240)) 및 2개의 크림프 터미널들(252)(크림핑 윙들(252), 크림핑 플랭크들(252) 등)을 갖는 절연 크림핑 섹션(250)을 갖는다. 크림프 방법에서, 커버 윙들(282)은 커버 섹션 상에서 벤딩되어 위로 개방된 도체 장착 섹션(180)을 폐쇄한다; 외부 도체 크림프 및 절연 크림프가 추가로 설정된다(도 2).
다음의 설명은 본 발명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크림프 콘택 유닛(10)은 전술한 종래 기술에 대한 상이한 특징들을 사용하여 도시된다. 더 이상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로부터 하나의 특징 또는 복수의 특징들을 더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각각의 특징은 본 발명에 따른 크림프 콘택 유닛(10)의 하나, 2개 또는 그 이상의 극 및 그것 또는 그것들의 주변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콘택 캐리어(11)는 초기에 크림퍼블 콘택 캐리어(11)로서 형성되고, 도체 장착 섹션(180) 대신에, 적어도 하나의 콘택 챔버(139) 또는 콘택 박스(139)를 갖는 도체 클램핑 섹션(130) 또는 내부 도체 클램핑 섹션(130)이 적용된다. 여기서, 2개의 나란한 콘택 챔버들(139)은 내부 도체 클램핑 섹션(130)을 형성한다. 내부 도체 클램핑 섹션(130) 또는 콘택 챔버들(139)은, 본 발명에 따르면, 콘택 캐리어(11)의 길이 방향(L) 및 콘택 캐리어(11)의 원주 방향(U)으로 실질적으로 폐쇄되도록 형성된다.
하나의 개별적인 콘택 챔버(139)는, 특히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베이스(131) 상에 바람직하게는 완전히 폐쇄된 베이스 벽(131), 측면(132) 또는 중간 측면(133) 상에 바람직하게는 완전히 폐쇄된 측벽(132) 또는 중간 측벽(133), 및 천장(134)에 상단 벽(134)을 갖는다. 상단 벽(134)은 적어도 하나의 일체형 힌지(136)를 가로질러 적어도 하나의 측벽(132)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측벽(133)을 구비하여 형성된다. 상단 벽(134)은 완전히(도 3 및 도 5 참조) 또는 부분적으로만(도 4 참조) 폐쇄될 수 있다.
상단 벽(134)이 완전히 폐쇄되면, 상단 벽(134)은 미리 결정된 브레이킹 포인트(135)를 가질 수 있고, 상기 브레이킹 포인트는 바람직하게는 콘택 챔버(139)의 길이 방향(L)으로, 측벽(132) 또는 중간 측벽(133)(도시되지 않음)에서 측 방향으로, 또는 중심에서(도 5 좌측 참조) 실질적으로 완전히 연장된다. 상단 벽(134)이 부분적으로 폐쇄되면, 상단 벽(134)은 관통 슬롯(135)을 가질 수 있고, 상기 관통 슬롯은 바람직하게는 콘택 챔버(139)의 길이 방향(L)으로, 측벽(132) 또는 중간 측벽(133)(도 4 좌측 참조)에서 측 방향으로, 또는 중심에서(도시되지 않음) 실질적으로 완전히 연장된다.
상단 벽(134)의 구성에 따라, 이는 개별 챔버 윙(134)(측 방향 관통 슬롯(135), 도 4 참조)으로서, 개별 브리치드 윙(134)(측 방향 미리 결정된 브레이킹 포인트(135), 도시되지 않음)으로서, 이중 브리치드 윙들(134)(중간 미리 결정된 브레이킹 포인트(135), 도 5 참조)로서 또는 이중 챔버 윙들(134)(중간 관통 슬롯(135), 도시되지 않음)로서 형성될 수 있다. 상단 벽(134)의 구성에 따라, 윙이 선택적으로 자유롭게 해체되는(미리 결정된 브레이킹 포인트(135)) 측 방향 또는 중간 자유 에지를 갖는 윙이 각각의 일체형 힌지(136)에 대해 콘택 챔버(139) 내에 이동 가능하게 설정된다.
이는 상단 벽(134)이 선택적으로 각각의 일체형 힌지(136, 136)와 함께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콘택 챔버(139)가 변형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경우, 내부 도체(430)의 길이 방향 단부 섹션(433)은 상단 벽(134)에 의해 각각의 콘택 엘리먼트(190)의 각각의 케이블 콘택 섹션(193) 상으로 기계적으로 클램핑될 수 있다(도 4 및 도 5 각각의 경우 우측 참조). 콘택 챔버(139) 또는 상단 벽(134)은, 본 발명에 따라, 콘택 디바이스(12) 또는 차폐 콘택 디바이스(12)의 내부 도체 크림핑 섹션(230)에 의해 변형 가능하거나 이동 가능하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콘택 캐리어(11)는 차폐 콘택 디바이스(12)에 제공되고, 내부 도체(430)의 길이 방향 단부 섹션(433)은 콘택 캐리어(11)의 내부 도체 클램핑 섹션(130)에 제공될 수 있다.
차폐 콘택 디바이스(12)에 콘택 캐리어(11)를 제공하기 위해, 연결 섹션(110) 및 위치 설정 섹션(120)은 차폐 콘택 디바이스(12)의 콘택 캐리어 리셉터클(200)에 설정되고, 도체 클램핑 섹션(130)은 차폐 콘택 디바이스(12)의 내부 도체 크림핑 섹션(230)에 그 자체로 설정된다(또한, 도 8 및 도 10 참조). 바람직하게는, 내부 도체 크림핑 섹션(230)은 2개의 크림프 터미널들(232)(크림핑 윙들(232), 크림핑 플랭크들(232) 등)을 갖는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차폐 콘택 디바이스(12)는 바람직하게는 2개의 크림프 터미널들(242)을 갖는 차폐 크림핑 섹션(240) 및 바람직하게는 2개의 크림프 터미널들(252)을 갖는 절연 크림핑 섹션(250)을 갖는다.
내부 도체 클램핑 섹션(130)에 내부 도체들(430)의 길이 방향 단부 섹션들(433)을 제공하기 위해, 내부 도체들(430)의 길이 방향 단부 섹션들(433)은 후방으로부터 콘택 챔버들(139)로 콘택 캐리어(11) 및 차폐 콘택 디바이스(12)의 길이 방향(L)으로 실질적으로 선형으로 진행해야 한다. 계속해서 연대순으로, 내부 도체들(430)의 길이 방향 단부 섹션들(433)은 콘택 엘리먼트(190)의 케이블 콘택 섹션들 상으로 기계적으로 클램핑될 수 있고, 이는 적어도 하나의 크림프 방법의 범위 내에서 발생할 수 있다.
크림프 방법 또는 방법들에서, 차폐 콘택 디바이스(12)의 크림핑 섹션들(230, 240, 250)은 실질적으로 동시에 또는 선택적으로 부분적으로 연속적으로 크림핑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콘택 디바이스(12)의 내부 도체 크림핑 섹션(230)은 콘택 캐리어(11)의 도체 클램핑 섹션(130) 상으로 크림핑되고, 콘택 디바이스(12)의 차폐 크림핑 섹션(240)은 전기 외부 도체(440) 및/또는 동축 케이블(40)의 외부 도체(440)의 페룰(400) 상으로 크림핑되고, 콘택 디바이스(12)의 절연 크림핑 섹션(250)은 동축 케이블(40)의 전기 외부 절연체 상으로 크림핑된다.
이러한 경우, 2-극 동축 케이블(40)이 그 위에 크림핑되어 있는 2-극 크림프 콘택 유닛(10)이 얻어진다(기성품 전기 케이블(1)). 크림프 콘택 유닛(10)은 직선 플러그-인 슬리브로서 형성된다. 또한, 크림프 콘택 유닛(10)을 각진 또는 만곡된 방식으로 형성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또한, 크림프 콘택 유닛(10)은 예를 들면 하나의 극 또는 복수의 극들을 갖는, 편평한 플러그-인 슬리브, 편평한 플러그, 암수동체 콘택 유닛, 소켓 콘택 유닛, (체결 콘택 유닛) 탭 콘택 유닛, 페그 콘택 유닛, 핀 콘택 유닛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콘택 디바이스(12)의 내부 도체 크림프 섹션(230)을 콘택 캐리어(11)의 도체 클램핑 섹션(130) 상으로 크림핑할 때, 다음이 또한 발생한다. 적어도 하나의 크림프 터미널(232)은 상단 벽(134)이 이동하기 시작하면서 선택적으로 제공된 미리 결정된 브레이킹 포인트(135)가 파손되어 개방되도록 각각의 상단 벽(134) 상으로 이동된다. 각각의 상단 벽(134)의 윙(도 4, 도 6 및 도 9 참조) 또는 2개의 윙들(이중 윙)(도 5, 도 7, 도 11 및 도 13 내지 도 16 참조)은 각각의 콘택 챔버(139) 내로 내측으로 벤딩되고, 여기서 그 자유 에지 또는 그 자유 에지들은 거기에 위치되는 각각의 내부 도체(430)의 길이 방향 단부 섹션(433)에서 만나게 된다.
그 결과, 크림핑 연결, 클램핑 연결, 프레스 연결, 텐션 연결 또는 스퀴즈 연결 등이 상단 벽(134), 각각의 내부 도체(430)의 길이 방향 단부 섹션(433) 및 콘택 엘리먼트(190)의 각각의 케이블 콘택 섹션(193) 사이에 콘택 디바이스(12)의 도체 크림핑 섹션(230) 또는 그 적어도 하나의 크림프 터미널(232)에 의해 설정된다. ― 각각의 크림프 터미널(232)이 상단 벽(134) 또는 윙 또는 윙들을 작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크림프 터미널(232)은 적어도 하나의 내부로 향하는 돌출부(233, 234)를 가질 수 있다.
크림프 터미널(232)의 적어도 하나의 내부로 향하는 돌출부(233, 234)는 크림프 터미널(232) 자체의 벽(예를 들어, 코러게이션(233)에 의해, 아래 참조), 크림프 터미널(232)의 벽의 두꺼워짐(도시되지 않음), 크림프 터미널(232)의 벽의 적어도 하나의 임프레션(예를 들어, 딤플(234)에 의해, 아래 참조) 등으로부터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코러게이션(233)(도 6, 도 8, 도 9 및 도 16 참조) 또는 적어도 하나의 딤플(234)(도 7, 도 10, 도 11 및 도 13 내지 도 15 참조)은 크림프 터미널(232)마다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각의 콘택 엘리먼트(190)의 케이블 콘택 섹션(193)은 상기 케이블 콘택 섹션에 의해 각각의 내부 도체(430)의 길이 방향 단부 섹션(433)이 잘 클램핑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 목적을 위해, 각각의 케이블 콘택 섹션(193)은 바람직하게는 둥근 코너 영역을 가질 수 있으며, 이는 후속적으로 도 6 내지 도 16의 대략적인 설명에서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크림프 방법에서, 웨지 또는 도브테일 조인트에 의해 도체 크림핑 섹션(230)에서 서로 대향하는 2개의 크림프 터미널들(232, 232)을 서로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기계적 연결은 또한 레이저 용접(235)을 사용하여 제 위치에서 설정될 수도 있다. 또한, 웨지형 또는 도브테일 조인트 대신에, 2개의 크림프 터미널들(232, 232)의 레이저 용접(235)이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도 6 내지 도 16의 특징들은 대략적인 방식으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고, 각각의 경우에 단지 하나의 개별적인 콘택 챔버(139)에 대해 참조가 이루어진다. ― 도 6은 콘택 챔버(139)마다, 챔버 윙(134), 단면이 I자형인 케이블 콘택 섹션(193)을 도시하고, 각각의 내부 도체(430)의 길이 방향 단부 섹션(433)은 챔버 윙(134)에 의해 크림프 터미널(232)을 통해 케이블 콘택 섹션(193) 상으로 측 방향으로 크림퍼블된다; 코러게이션(233)을 각각 갖는 2개의 크림프 터미널들(232, 232)의 기계적인 연결은 웨지에 의해 이루어진다.
도 7은 콘택 챔버(139)마다 이중 챔버 윙(134), 단면이 I자형인 케이블 콘택 섹션(193)을 도시하고, 각각의 내부 도체(430)의 길이 방향 단부 섹션(433)은 이중 챔버 윙(134)의 챔버 윙에 의해 크림프 터미널(232)을 통해 케이블 콘택 섹션(193) 상으로 측 방향으로 크림퍼블된다; 딤플(234)을 각각 갖는 2개의 크림프 터미널들(232, 232)의 기계적인 연결은 레이저 용접(235)에 의해 이루어진다.
도 8 및 도 9는 콘택 챔버(139)마다 챔버 윙(134), 단면이 L자형인 케이블 콘택 섹션(193)을 도시하고, 각각의 내부 도체(430)의 길이 방향 단부 섹션(433)은 챔버 윙(134)에 의해 크림프 터미널(232)을 통해 케이블 콘택 섹션(193)의 내부 둥근 코너 영역 상으로 크림퍼블된다; 코러게이션(233)을 각각 갖는 2개의 크림프 터미널들(232, 232)의 기계적인 연결은 웨지에 의해 이루어진다.
도 10 및 도 11은 콘택 챔버(139)마다 이중 챔버 윙(134), 단면이 L자형인 케이블 콘택 섹션(193)을 도시하고, 각각의 내부 도체(430)의 길이 방향 단부 섹션(433)은 이중 챔버 윙(134)의 챔버 윙에 의해 크림프 터미널(232)을 통해 케이블 콘택 섹션(193)의 내측 둥근 코너 영역 내로 크림퍼블된다; 딤플들(234)을 각각 갖는 2개의 크림프 터미널들(232, 232)의 기계적인 연결은 레이저 용접(235)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4는 콘택 챔버(139)마다 이중 챔버 윙(134), 단면이 I자형인 케이블 콘택 섹션(193) 및 길이 방향으로 대체로 S자형인 케이블 콘택 섹션(193)(도 12)을 도시하고, 각각의 내부 도체(430)의 길이 방향 단부 섹션(433)은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식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된 케이블 콘택 섹션(193)의 2개의 길이 방향 섹션들 사이에 제공된다. 각각의 내부 도체(430)의 길이 방향 단부 섹션(433)은 이중 챔버 윙(134)의 2개의 챔버 윙들에 의해 크림프 터미널(232)을 통해,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케이블 콘택 섹션(193)의 2개의 길이 방향 섹션들 사이에서 클램핑될 수 있다. 딤플들(234)을 각각 갖는 2개의 크림프 터미널들(232, 232)의 기계적인 연결은 레이저 용접(235)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도 13, 도 14); 추가적으로, 도 14는 크림프 터미널들(232, 232)의 2개의 원주 방향 에지 섹션들의 상보적인 래칭을 도시한다. 도 13에서, 레이저 용접(235)을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5 및 도 16은 콘택 챔버(139)마다 이중 챔버 윙(134) 및 단면이 U자형인 케이블 콘택 섹션(193)을 도시하고, U자형의 케이블 콘택 섹션(193)의 제1 림(limb)의 길이 방향 단부 섹션은 이중 챔버 윙(134)의 챔버 윙에 의해 각각의 내부 도체(430)의 길이 방향 단부 섹션(433) 상으로 크림퍼블되고, 따라서 길이 방향 단부 섹션(433)은 수직 방향(H)으로 제1 림의 길이 방향 단부 섹션에 대향하는 길이 방향 단부 섹션 및 U자형의 케이블 콘택 섹션(193)의 제2 림의 코너 영역 상으로 크림퍼블된다.
이하에서(특히 도 1, 도 4, 도 5 및 도 2 참조), 본 발명에 따른 연결 유닛(10)을 갖는 2-극 동축 케이블(40)을 생성 또는 제조하는 실질적으로 3-스테이지(단계 I(도 1), 단계 II 및 단계 III(도 4, 도 5 및 도 2)) 방법이 보다 상세히 설명된다. 단계 I에서, 동축 케이블(40)을 준비하는 단계가 수행되고, 단계 II에서, 크림핑되도록 콘택 유닛(10)에/내에 동축 케이블(40)을 제공하는 단계가 수행되고, 단계 III에서, 동축 케이블(40)을 전기적으로 전도성이고 기계적으로 고정된(클램핑된) 방식으로 콘택 캐리어(11)에 그리고 또한 전기적으로 전도성이고 기계적으로 고정된 방식으로 차폐 콘택 디바이스(12)에 연결하는 바람직하게는 단일의 크림프 방법이 수행된다.
생성 방법의 단계 I은 동축 케이블(40) 및 페룰(400)의 장착에만 관련되며, 최대 4개 또는 그 이상의 하위 단계들(I.1 내지 I.4)을 갖고, 단계 I의 말미에서 미리 결정된 동축 케이블(40)이 얻어진다. 하위 단계 I.1에서, 동축 케이블(40)은 그 자유 길이 방향 단부 섹션에서 외부 절연체(450)로부터 해방되고(스트리핑되고)이에 따라 동축 케이블(40)의 외부 도체(440)(차폐 도체(440), 브레이디드(braided) 도체(440) 등)의 길이 방향 단부 섹션(443)은 노출된다.
계속해서 연대순으로, 하위 단계 I.2에서, 페룰(400)은 노출된 외부 도체(440)의 길이 방향 단부 섹션(443)의 후방 섹션에 체결되고, 특히 크림핑된다. 이러한 경우, 노출된 외부 도체(440)의 길이 방향 단부(443)의 후방 섹션이 캐리어 스트립(도시되지 않음) 상에 위치되는 각각의 페룰(400) 내로 삽입되고, 계속해서 연대순으로, 그 위에 크림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하위 단계 I.2). 후속적으로, 페룰(400)은 캐리어 스트립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또한 페룰(400)을 캐리어 스트립으로부터 우선 분리하고, 그 후에 페룰(200)을 노출된 외부 도체(440)의 길이 방향 단부 섹션(443)의 후방 섹션 상으로 이동시키고 그 후에 그 위에 이를 체결하거나 크림핑하는 것도 가능하다. 하이브리드 형태는 또한 동축 케이블(40)과 페룰(400)을 결합하여, 노출된 외부 도체(440)의 길이 방향 단부 섹션(443)의 후방 섹션과 페룰(400)이 서로를 향해 이동할 때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바람직하게 소성 변형 가능하고 특히 일체형인 페룰(400)은, 원주 방향(U)으로 장착되기 전에, 개방되거나 갭이 생기도록 형성되고, 장착 플랭크들, 특히 크림핑 플랭크들로서 형성되는 2개의 장착 유닛들을 포함한다. 각각의 장착 플랭크는 원주 방향 에지 섹션을 갖는다. 이러한 경우, 서로 관련되는 2개의 원주 방향 에지 섹션들은 바람직하게는 길이 방향(L)으로 장착된 페룰(400)의 장착 플랭크들 사이에서 실질적으로 빛이 통하지 않는 방식으로 랙이 형성되도록 서로 실질적으로 상보적으로 또는 실질적으로 형태 맞춤 방식으로 형성된다.
하위 단계 I.3에서, 페룰(400) 아래에서 더욱 두드러지는 외부 도체(440)의 자유 섹션이 페룰(400) 주위에 외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가능하다면, 하위 단계 I.3이 생략되면, 따라서 페룰(400)을 전기 전도성 재료로 제작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또한, 외부 도체(440)의 자유 단부가 페룰(400)의 자유 단부와 길이 방향(L)으로 실질적으로 일치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위 단계 I.4에서, 선택적으로 주위에 배치된 외부 도체(440)의 자유 단부에서 돌출하는 동축 케이블(40)의 전기 내부 절연체(410)의 자유 길이 방향 단부 섹션이 스트리핑된다. 후속적으로, 2개의 내부 도체들(430), 예를 들어, 2개의 스트랜드들(430)의 2개의 자유 길이 방향 단부 섹션들(433)은 동축 케이블(40)로부터 돌출한다. 이 하위 단계 I.4에서, 내부 도체들(430)은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비교적 짧은 후방 섹션을 제외하고는 내부 절연체(410)로부터 해방된다.
생성 방법의 단계 Ⅱ(상기 참조)에서, 2개의 내부 도체들(430)의 자유 길이 방향 단부 섹션들(433)은 콘택 캐리어(11)의 도체 클램핑 섹션(130)의 2개의 콘택 챔버들(139)에 설정되고, 특히 실질적으로 선형으로 그 안에서 진행한다. 이러한 경우, 아직 크림핑되지 않은 차폐 콘택 디바이스(12)에 콘택 캐리어(11)가 이미 제공될 수 있다. 또한 2개의 콘택 챔버들(139) 내에 내부 도체들(430)을 초기에 제공하고 후속적으로 아직 크림핑되지 않은 차폐 콘택 디바이스(12) 내에 동축 케이블(40)과 함께 콘택 캐리어(11)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크림프 콘택 유닛은 이 때 크림핑될 준비가 된다.
생성 방법의 단계 Ⅲ(상기 참조)에서,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단일의 크림프 방법이 수행되고, 3개의 크림프들, 내부 도체 크림프, 외부 도체 크림프 및 절연 크림프가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동시에 설정된다. 크림프 방법을 수행할 때, 콘택 디바이스(12)는 여전히 캐리어 스트립(290) 상에 위치되거나 또는 캐리어 스트립(290)으로부터 이미 분리되어 있을 수 있다.

Claims (14)

  1. 전기 케이블(40) 및/또는 전기 커넥터에 대한 전기 콘택 디바이스(10)를 위한 콘택 캐리어(11)로서, 콘택 캐리어 바디(100) 및 적어도 하나의 전기 콘택 엘리먼트(190)를 갖고, 상기 콘택 캐리어 바디(100)는 메이팅 콘택 엘리먼트에 의해 상기 콘택 엘리먼트(190)의 콘택 섹션(191)을 전기적으로 접촉하기 위한 연결 섹션(110) 및 도체 클램핑 섹션(130)을 갖는, 상기 콘택 캐리어(11)에 있어서,
    상기 도체 클램핑 섹션(130)은 상기 콘택 캐리어 바디(100)의 원주 방향(U)에서, 상기 콘택 캐리어 바디(100)의 길이 방향(L)의 적어도 부분적 연장부에 걸쳐 실질적으로 폐쇄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도체 클램핑 섹션(130)은 기계적으로 목표된 방식으로 변형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콘택 챔버(139)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 케이블(40)의 도체(430)의 길이 방향 단부 섹션(433)은 상기 콘택 챔버(139)의 변형 동안 상기 콘택 엘리먼트(190)의 케이블 콘택 섹션(193)상으로 클램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 캐리어(11).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 클램핑 섹션(130)은 상기 도체 클램핑 섹션(130)의 상단 벽(134)에 의해:
    · 상기 도체(430)의 상기 길이 방향 단부 섹션(433)이 상기 케이블 콘택 섹션(193)상으로 클램핑될 수 있도록,
    · 상기 도체(430)의 상기 길이 방향 단부 섹션(433)이 상기 케이블 콘택 섹션(193) 상으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클램핑될 수 있도록, 그리고/또는
    · 전기 콘택 디바이스(12)에 대한 상기 도체(430)의 상기 길이 방향 단부 섹션(433) 및/또는 상기 케이블 콘택 섹션(193)의 전기 절연이 설정될 수 있고, 여기에 상기 콘택 캐리어(11)가 제공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 캐리어(11).
  4. 제3항에 있어서,
    · 상기 상단 벽(134)은 상기 상단 벽(134)의 변위를 위한 미리 결정된 브레이킹 포인트(135) 또는 관통 슬롯(135)을 갖고,
    · 상기 상단 벽(134)은 챔버 윙(134), 이중 챔버 윙들(134), 브리치드 윙(134) 또는 이중 브리치드 윙들(134)로서 형성되고,
    · 상기 상단 벽(134)은 상기 미리 결정된 브레이킹 포인트(135) 또는 상기 관통 슬롯(135)으로부터 멀어지는 상기 콘택 캐리어 바디(100)의 횡 방향(Q)으로 일체형 힌지로서 형성되고,
    · 상기 미리 결정된 브레이킹 포인트(135) 또는 상기 관통 슬롯(135)은 상기 상단 벽(134)의 중심에 제공되고, 그리고/또는
    · 상기 미리 결정된 브레이킹 포인트(135) 또는 상기 관통 슬롯(135)은 상기 상단 벽(134)에서 상기 상단 벽(134)에 인접하는 벽(132, 133, 134)에 측 방향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 캐리어(11).
  5. 콘택 캐리어(11) 및 콘택 디바이스(12)를 갖는 전기 케이블(40) 및/또는 전기 커넥터에 대한 전기 콘택 유닛(10)으로서, 상기 콘택 캐리어(11)는 상기 콘택 디바이스(12)의 콘택 캐리어 리셉터클(200)에 설정되거나 이에 설정될 수 있는, 상기 전기 콘택 유닛(10)에 있어서,
    상기 콘택 캐리어(11)의 도체 클램핑 섹션(130)은 상기 콘택 디바이스(12)의 크림퍼블 도체 크림핑 섹션(230)에 의해 작동될 수 있고,
    상기 도체 클램핑 섹션(130) 또는 이의 적어도 하나의 콘택 챔버(139)는 상기 도체 크림핑 섹션(230)에 의해 기계적으로 목표된 방식으로 변형 가능하고, 그리고,
    상기 전기 케이블(40)의 도체(430)의 길이 방향 단부 섹션(433)이 상기 도체 클램핑 섹션(130)에 의해 상기 콘택 캐리어(11)의 전기 콘택 엘리먼트(190)의 케이블 콘택 센셕(193)상으로 클램핑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 유닛(10).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 유닛(10)은,
    · 상기 도체 크림핑 섹션(230)이 적어도 하나의 크림프 터미널(232)을 갖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크림프 터미널에 의해 상단 벽(134)이 상기 도체 클램핑 섹션(130)에서 작동될 수 있도록, 그리고/또는
    · 상기 상단 벽(134)을 작동할 때 상기 도체(430)의 상기 길이 방향 단부 섹션(433)이 상기 상단 벽(134)에 의해 상기 케이블 콘택 섹션(193) 상으로 클램핑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 유닛(10).
  7. 제6항에 있어서,
    · 상기 크림프 터미널(232)은 상기 상단 벽(134)을 작동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내부로 향하는 돌출부(233, 234)를 갖고,
    · 상기 내부로 향하는 돌출부(233)는 상기 크림프 터미널(232)의 실질적인 길이 방향 연장부에 걸쳐 연장되는 코러게이션(corrugation)(233)으로서 형성되고,
    · 상기 내부로 향하는 돌출부(234)는 딤플(234)로서 형성되고, 복수의 딤플들(234, 234, ...)은 상기 크림프 터미널(232)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그리고/또는
    · 상기 크림프 터미널(232)은 상기 도체 크림핑 섹션(230)을 크림핑할 때 상기 돌출부(233, 234)가 상기 크림프 터미널(232)에 의해 형성될 수 있도록 치수가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 유닛(10).
  8. 제5항에 있어서,
    · 상기 도체 크림핑 섹션(230)은 상기 콘택 유닛(10)의 횡 방향(Q)으로 서로 대향하는 2개의 크림프 터미널들(232)을 갖고,
    · 상기 2개의 크림프 터미널들(232)은 도브테일 조인트 또는 웨지에 의해 크림핑되는 동안 일시적으로 서로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 상기 2개의 크림프 터미널들(232)은 레이저 용접(235)에 의해 크림핑된 후에 일시적으로 서로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 상기 케이블 콘택 섹션(193)과 상기 도체(430)의 상기 길이 방향 단부 섹션(433) 사이의 기계적으로 고정된 연결이 재료 결합 없이 형성될 수 있고,
    · 상기 도체(430)는 상기 전기 케이블(40)의 내부 도체(430)로서 형성되고,
    · 상기 콘택 디바이스(12)는 제2 도체 크림핑 섹션(240)을 갖고,
    · 상기 콘택 디바이스(12)는 제2 또는 제3 도체 크림핑 섹션(250)을 갖는, 콘택 유닛(10).
  9. 전기 케이블(1)을 생성하는 방법으로서, 우선 적어도 하나의 전기 콘택 엘리먼트(190)를 갖는 콘택 캐리어(11)가 전기 콘택 디바이스(12)의 콘택 캐리어 리셉터클(200)에 설정되거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 콘택 엘리먼트(190)를 갖는 콘택 캐리어(11)가 전기 콘택 디바이스(12)의 콘택 캐리어 리셉터클(200)에 이미 설정되어 있는, 상기 생성 방법에 있어서,
    전기적으로 전도성이고 기계적으로 고정된 연결이 상기 콘택 엘리먼트(190)의 케이블 콘택 섹션(193)과 케이블(40)의 전기 도체(430)의 길이 방향 단부 섹션(433) 사이에 상기 콘택 디바이스(12) 자체를 통해 크림프 방법으로 설정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크림프 방법은,
    상기 전기 콘택 디바이스(12)의 도체 크림핑 섹션(230)을 상기 콘택 캐리어(11)의 도체 클램핑 섹션(130) 상으로 크림핑 하는 단계 ― 상기 도체 클램핑 섹션(130)은 기계적으로 목표된 방식으로 변형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콘택 챔버(139)를 포함함 ―; 및
    상기 전기 도체(430)의 상기 길이 방향 단부 섹션(433)을 상기 도체 클램핑 섹션(130)에 의해 상기 케이블 콘택 섹션(193) 상으로 클램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성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콘택 섹션(193)과 상기 도체(430)의 상기 길이 방향 단부 섹션(433) 사이에 전기적으로 전도성이고 기계적으로 고정된 연결을 설정할 때,
    · 상기 도체(430)의 상기 길이 방향 단부 섹션(433)이 상기 도체 클램핑 섹션(130)의 상단 벽(134)에 의해 상기 케이블 콘택 섹션(193) 상으로 클램핑되고,
    · 상기 도체(430)의 상기 길이 방향 단부 섹션(433)이 상기 케이블 콘택 섹션(193) 상으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클램핑되고,
    · 상기 콘택 디바이스(12)에 대한 상기 도체(430)의 상기 길이 방향 단부 섹션(433) 및/또는 상기 케이블 콘택 섹션(193)의 전기 절연이 설정되고, 그리고/또는
    · 상기 도체 크림핑 섹션(230)의 2개의 크림프 터미널들(232)이 상기 콘택 디바이스(12)의 원주 방향(U)으로 서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성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 방법 중에 또는 상기 케이블 콘택 섹션(193)과 상기 도체(430)의 상기 길이 방향 단부 섹션(433) 사이에 전기적으로 전도성이고 기계적으로 고정된 연결을 설정할 때,
    상기 콘택 디바이스(12)의 제2 도체 크림핑 섹션(240)이 크림핑되고, 그리고/또는 상기 콘택 디바이스(12)의 제2 또는 제3 크림핑 섹션(250)이 크림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성 방법.
  12. 자동차 산업에서 사용하기 위한 전기 케이블(1)에 있어서, 상기 전기 케이블(1)은 제1항, 제3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콘택 캐리어(11)를 포함하거나, 상기 전기 케이블(1)은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전기 콘택 유닛(10)을 포함하거나, 그리고/또는 상기 전기 케이블(1)은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에 의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케이블.
  13. 자동차 산업에서 사용하기 위한 전기 케이블(1)에 대한 전기 커넥터로서, 상기 전기 커넥터는 하우징을 갖고,
    상기 전기 커넥터는 제12항에 따른 전기 케이블(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14. 삭제
KR1020180030400A 2017-03-16 2018-03-15 콘택 캐리어, 전기 콘택 유닛 및 기성품 케이블을 생성하는 방법 KR1026477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7105682.3A DE102017105682A1 (de) 2017-03-16 2017-03-16 Kontaktträger, elektrische Kontakteinrichtung sowie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konfektionierten Kabels
DE102017105682.3 2017-03-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6946A KR20180106946A (ko) 2018-10-01
KR102647718B1 true KR102647718B1 (ko) 2024-03-13

Family

ID=61691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0400A KR102647718B1 (ko) 2017-03-16 2018-03-15 콘택 캐리어, 전기 콘택 유닛 및 기성품 케이블을 생성하는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024984B2 (ko)
EP (1) EP3376598A1 (ko)
JP (1) JP7118675B2 (ko)
KR (1) KR102647718B1 (ko)
CN (1) CN108631095B (ko)
DE (1) DE10201710568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8121239A1 (de) * 2018-08-30 2020-03-05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 Kg Mehradriges kabel
JP7089674B2 (ja) * 2018-12-28 2022-06-23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端子付き電線およびコネクタ
JP7099394B2 (ja) * 2019-04-10 2022-07-12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端子、および端子付き電線
DE102019118816B4 (de) * 2019-07-11 2021-01-21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Kontaktträger zum Bereitstellen einer Kontaktierung für eine Verkabelung in einem Fahrzeug
EP3783756A1 (en) * 2019-08-20 2021-02-24 Aptiv Technologies Limited Connector for automotive applications and method of assembling thereof
US11911051B2 (en) * 2019-10-31 2024-02-27 Abbott Cardiovascular Systems Inc. Dimpled joint for guidewire
JP7120275B2 (ja) * 2020-07-07 2022-08-17 株式会社デンソーエレクトロニクス 電磁継電器
US11637388B2 (en) 2021-09-17 2023-04-25 Aptiv Technologies Limited Ferrule for a coaxial cable terminal having overlapping crimp wings
CN115101986B (zh) * 2022-07-22 2022-11-25 深圳市众智动力科技有限公司 一种新能源汽车用以太网连接器外导体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23889A (ja) * 1998-10-13 2000-04-28 Furukawa Electric Co Ltd:The 電気接続端子及び電気コネクタ
JP2003173828A (ja) 2001-12-05 2003-06-20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シールドコネクタ接続構造
US20040038591A1 (en) 2002-08-22 2004-02-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with geometrical continuity for transmitting very high frequency data signals
JP2010118238A (ja) 2008-11-12 2010-05-27 Sumitomo Wiring Syst Ltd 端子金具と電線の接続構造
US20140134873A1 (en) 2011-06-21 2014-05-15 Lisa Draexlmaier Gmbh Line and method for assembling such a line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57448A (en) * 1962-05-28 1964-11-17 Kent Mfg Co Terminal connector
GB1287865A (ko) * 1970-06-30 1972-09-06
CA1072649A (en) * 1976-01-07 1980-02-26 Robert H. Frantz Insulated electrical connector housing
US4621887A (en) * 1981-03-09 1986-11-11 Allied Corporation Electrical contact
US4537456A (en) * 1982-06-07 1985-08-27 Methode Electronics Inc. Electrical connector
NL8402949A (nl) * 1984-09-27 1986-04-16 Du Pont Berg Electronics Div Connector.
US5153988A (en) * 1990-03-26 1992-10-13 Raychem Corporation Method of making modular telecommunications terminal block
US5273459A (en) * 1992-10-01 1993-12-28 The Whitaker Corporation Connector feature for improved contact wiping
US5308258A (en) * 1993-01-29 1994-05-0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lanar modular interconnect system
US5593311A (en) * 1993-07-14 1997-01-14 Thomas & Betts Corporation Shielded compact data connector
FR2708150B1 (fr) * 1993-07-19 1995-10-13 Aerospatiale Procédé de raccordement d'un câble électrique sur un élément d'extrémité et élément d'extrémité correspondant.
US5462451A (en) * 1994-06-13 1995-10-31 Yeh; Te-Hsin Electrical connector
TW313343U (en) * 1997-01-17 1997-08-11 Su-Lan Yanglee Electrical connector device
US6077122A (en) * 1997-10-30 2000-06-20 Thomas & Bett International, Inc.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n improved connector shield and a multi-purpose strain relief
US6780054B2 (en) * 1998-01-15 2004-08-24 The Siemon Company Shielded outlet having contact tails shield
JP2002319455A (ja) * 2001-04-23 2002-10-31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シールドコネクタ
CA2428893C (en) * 2002-05-31 2007-12-18 Thomas & Betts International, Inc. Connector for hard-line coaxial cable
JP4376682B2 (ja) * 2004-04-09 2009-12-02 矢崎総業株式会社 電線端部の加締構造
DE102004046471B3 (de) * 2004-09-23 2006-02-09 Phoenix Contact Gmbh & Co. Kg Elektrische Anschluß- oder Verbindungsklemme
DE102006014646B4 (de) * 2006-03-28 2008-06-26 Phoenix Contact Gmbh & Co. Kg Anschlussklemme für Leiterplatten
US7611392B2 (en) * 2007-09-17 2009-11-03 Thomas & Betts International, Inc. Terminal with integral strain relief
US7572148B1 (en) * 2008-02-07 2009-08-11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oupler for interconnecting electrical connectors
DE102008030274A1 (de) * 2008-06-19 2010-03-25 Afl Europe Gmbh Leitungseinheit
US8052492B2 (en) 2008-11-13 2011-11-08 Delphi Technologies, Inc. Multi-level electrical terminal crimp
FR2946187B1 (fr) * 2009-05-26 2011-06-03 Finsecur Connecteur a lamelle,outil pour actionner ce connecteur,kit et detecteur d'incendie le comportant
JP5539009B2 (ja) * 2010-05-14 2014-07-02 矢崎総業株式会社 圧着端子の電線に対する接続構造
JP5771094B2 (ja) * 2011-08-25 2015-08-26 矢崎総業株式会社 シールドコネクタ
JP5823787B2 (ja) 2011-09-12 2015-11-25 矢崎総業株式会社 同軸ケーブルとシールド端子との接続構造およびその接続方法
JP2013149564A (ja) 2012-01-23 2013-08-01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端子金具
JP5864351B2 (ja) * 2012-04-26 2016-02-17 矢崎総業株式会社 シールドコネクタ
US8888533B2 (en) 2012-08-15 2014-11-18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able header connector
US20140060882A1 (en) 2012-08-31 2014-03-06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ommunication cable having at least one insulated conductor
JP6063788B2 (ja) * 2013-03-19 2017-01-18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金具及び端子付き電線の製造方法
DE102013206849A1 (de) 2013-04-16 2014-10-16 Robert Bosch Gmbh Verbinder für ein isoliertes Kabel
CN203721935U (zh) * 2014-03-06 2014-07-16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用于连接导线的连接端子
JP6426907B2 (ja) * 2014-04-04 2018-11-21 矢崎総業株式会社 圧着端子と電線の接続構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23889A (ja) * 1998-10-13 2000-04-28 Furukawa Electric Co Ltd:The 電気接続端子及び電気コネクタ
JP2003173828A (ja) 2001-12-05 2003-06-20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シールドコネクタ接続構造
US20040038591A1 (en) 2002-08-22 2004-02-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with geometrical continuity for transmitting very high frequency data signals
JP2010118238A (ja) 2008-11-12 2010-05-27 Sumitomo Wiring Syst Ltd 端子金具と電線の接続構造
US20140134873A1 (en) 2011-06-21 2014-05-15 Lisa Draexlmaier Gmbh Line and method for assembling such a l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631095B (zh) 2021-10-29
US11024984B2 (en) 2021-06-01
EP3376598A1 (en) 2018-09-19
KR20180106946A (ko) 2018-10-01
US20180269598A1 (en) 2018-09-20
DE102017105682A1 (de) 2018-09-20
CN108631095A (zh) 2018-10-09
JP2018156937A (ja) 2018-10-04
JP7118675B2 (ja) 2022-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47718B1 (ko) 콘택 캐리어, 전기 콘택 유닛 및 기성품 케이블을 생성하는 방법
KR101660093B1 (ko) 전기 커넥터
EP2916394B1 (en) Connector
US7101196B1 (en) Seale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EP2889889B1 (en) Electronic component, connection structure of electronic component and terminal fitting, and electrical connection box having electronic component
US9270049B2 (en) Waterproof connector
US7001213B2 (en)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US10403995B2 (en) Electrical connector, electronic component, and assembly method
KR101550994B1 (ko)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US20140053402A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and method of assembly
US20220224025A1 (en) Connection device and connector
US9401553B2 (en) Connector device
CN110391532B (zh) 连接器
CN111641069B (zh) 线缆连接器组件
JP2016152214A (ja) 基板直差し電線およびそれを用いた基板直差しコネクタ
KR20160038425A (ko) 카메라용 케이블 조립체 및 카메라용 케이블 조립체의 제작방법
WO2008012608A1 (en) Connecting system and method for establishing a ground connection
JP2007157486A (ja) ジョイントコネクタ
CN220963836U (zh) 连接器和连接器组件
CN110867693B (zh) 跨接器与电源分配装置
JP2009021118A (ja) 屋内配線用ユニットケーブル
CN107732481B (zh) 线缆连接器
CN107768900B (zh) 电连接器
EP1003244B1 (en) A shielded connector and a method for connecting a shielded connector with a shielded cable
CN117693871A (zh) 连接器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