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4599B1 - 견고한 체결이 가능한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견고한 체결이 가능한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4599B1
KR101444599B1 KR1020130053683A KR20130053683A KR101444599B1 KR 101444599 B1 KR101444599 B1 KR 101444599B1 KR 1020130053683 A KR1020130053683 A KR 1020130053683A KR 20130053683 A KR20130053683 A KR 20130053683A KR 101444599 B1 KR101444599 B1 KR 1014445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ing connector
insulator
connector
groove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3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수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후성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후성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후성테크
Priority to KR10201300536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45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45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45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1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correct or full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견고한 체결을 가능하게 하는 전기 커넥터가 제공된다. 이러한 전기 커넥터는 체결을 위한 체결홈이 형성되어 있는 상대 커넥터와 접속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대 커넥터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는 인슐레이터; 상대 커넥터의 터미널과 접속하는 접촉부를 포함하며 접촉부가 수용홈 내에 노출되도록 인슐레이터에 결합되는 터미널부재; 및 인슐레이터에 결합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데, 체결부재는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탄성부 및 탄성부로부터 연장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대 커넥터가 수용홈에 삽입되면 돌출부는 체결홈에 삽입되며, 인슐레이터에는 돌출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1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커넥터와 상대 커넥터가 올바로 체결되었는지 여부에 대한확인을 가능하게 하여 불량률을 감소시킬 수 있고, 상대 커넥터가 수축 또는 팽창하는 경우에도 견고한 체결을 유지할 수 있으며, 상대 커넥터가 정렬되도록 하고 또한 올바른 체결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체결을 해제할 수 있는 전기 커넥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견고한 체결이 가능한 전기 커넥터 {ELECTRICAL CONNECTOR FOR RELIABLE FASTENING}
본 발명은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다 견고한 체결을 가능하게 하는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는 회로기판과 회로기판, 또는 회로기판과 전자부품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것을 말한다.
전기 커넥터에는 상시로 연결과 분리를 반복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도 있고, 한 번만 연결한 후 수리 또는 교체가 필요한 경우에만 분리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LED 기판과 같은 경우, 커넥터에 한 번만 연결하여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커넥터에는 터미널부재들이 형성되어 있고, 각 터미널부재는 연결 대상의 터미널과 접촉하는 접촉부가 형성되어 있다. 연결 대상의 접촉부와 해당 전기 커넥터의 접촉부 사이에 전기적 접촉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전기 커넥터에는 일반적으로 연결 대상을 어느 정도 고정하는 수단이 포함된다.
한편, 전기 커넥터에 LED 기판 등의 연결 대상이 결합될 때, 연결 대상이 올바로 체결되었는지 확인하지 못할 수 있는데, 이는 추후 예상하지 못한 때에 연결 대상이 이탈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커넥터의 체결 불량으로 인해 기기 내부에서 커넥터의 연결이 해제되면 기기 전체의 오작동을 유발할 것이며, 오작동의 원인을 찾기 위한 시간과 비용이 소모될 것이다. 따라서 커넥터와 연결 대상이 올바로 체결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전기 커넥터에 대한 요구가 있다.
커넥터 상호 간의 체결을 견고히 하기 위해 대응하는 커넥터와 그 연결 대상을 간격 없이 정확히 치합하는 형상으로 형성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LED 기판 등의 재료는 온도에 따라 수축 또는 팽창할 수 있으므로, 이는 오히려 커넥터와 연결 대상 사이의 올바른 접속을 저해할 수 있다. 따라서 연결 대상이 수축 또는 팽창하는 경우에도 견고한 체결을 가능하게 하는 전기 커넥터에 대한 요구가 있다.
또한, 커넥터에 연결 대상을 체결할 때, 커넥터가 올바로 정렬되지 않은 상태로 체결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올바른 접속이 이루어지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연결 대상이 커넥터로부터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연결 대상이 정렬되도록 하고 또한 올바른 체결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체결을 해제할 수 있는 전기 커넥터에 대한 요구가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커넥터와 상대 커넥터가 올바로 체결되었는지 여부에 대한확인을 가능하게 하여 불량률을 감소시킬 수 있는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은 상대 커넥터가 수축 또는 팽창하는 경우에도 견고한 체결을 유지할 수 있는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측면은 상대 커넥터가 정렬되도록 하고 또한 올바른 체결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체결을 해제할 수 있는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체결을 위한 체결홈이 형성되어 있는 상대 커넥터와 접속하기 위한 전기 커넥터가 제공된다. 이러한 전기 커넥터는 상대 커넥터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는 인슐레이터; 상대 커넥터의 터미널과 접속하는 접촉부를 포함하며 접촉부가 수용홈 내에 노출되도록 인슐레이터에 결합되는 터미널부재; 및 인슐레이터에 결합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데, 체결부재는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탄성부 및 탄성부로부터 연장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대 커넥터가 수용홈에 삽입되면 돌출부는 체결홈에 삽입되며, 인슐레이터에는 돌출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1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다.
인슐레이터에는 탄성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2 개구부가 형성되어 탄성부의 일부가 노출될 수 있으며, 제2 개구부에 노출되는 탄성부의 일부를 가압하면 돌출부가 체결홈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탄성부는 상대 커넥터의 선단에 비해 후방의 위치로부터 체결홈에 대응하는 위치까지 연장될 수 있고, 제2 개구부는 상대 커넥터의 선단에 비해 후방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는 제2 개구부에 노출되는 부분에서 소정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레버를 포함할 수 있으며, 레버를 가압하면 돌출부가 체결홈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이 경우, 레버는 돌출부가 연장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도 있고, 제2 개구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제2 개구부는 적어도 일방향에 대하여 비대칭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돌출부는 상대 커넥터가 삽입되는 방향을 따라 돌출 길이가 증가하다가 걸림턱이 형성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대 커넥터가 삽입되는 중에는 돌출부가 상대 커넥터에 의해 가압되어 탄성적으로 후퇴하고, 상대 커넥터가 온전히 삽입되면 돌출부가 체결홈에 삽입되어 걸림턱이 상대 커넥터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터미널부재는 수용홈에 형성되어 상대 커넥터가 접촉부에 접속하도록 상대 커넥터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접촉부는 수용홈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고, 지지부는 수용홈의 상기 일측에 대향하는 타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접촉부와 지지부 중 적어도 하나는 탄성적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인슐레이터는 수용홈 내에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고, 터미널부재는 고정부에 지지되는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걸림부는 상대 커넥터의 삽입시 터미널부재가 상대 커넥터의 삽입 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저항력을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에 따르면, 체결을 위한 체결홈이 형성되어 있는 상대 커넥터와 접속하기 위한 전기 커넥터가 제공된다. 이러한 전기 커넥터는 상대 커넥터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는 인슐레이터; 상대 커넥터의 터미널과 접속하는 접촉부를 포함하며 접촉부가 수용홈 내에 노출되도록 인슐레이터에 결합되는 터미널부재; 및 인슐레이터에 결합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데, 체결부재는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탄성부 및 탄성부로부터 연장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대 커넥터가 수용홈에 삽입되면 돌출부는 체결홈에 삽입되고, 인슐레이터에는 탄성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2 개구부가 형성되어 탄성부의 일부가 노출되며, 제2 개구부에 노출되는 탄성부의 일부를 가압하면 돌출부가 체결홈으로부터 인출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커넥터와 연결 대상이 올바로 체결되었는지 여부에 대한확인을 가능하게 하여 불량률을 감소시킬 수 있는 전기 커넥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에 따르면, 연결 대상이 수축 또는 팽창하는 경우에도 견고한 체결을 유지할 수 있는 전기 커넥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측면에 따르면, 연결 대상이 정렬되도록 하고 또한 올바른 체결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체결을 해제할 수 있는 전기 커넥터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와 이에 삽입되는 상대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를 전방에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를 후방에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전기 커넥터에 상대 커넥터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에서 체결을 해제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지그를 하방에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4의 A-A'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4의 B-B'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와 이에 삽입되는 상대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를 전방에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를 후방에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전기 커넥터에 상대 커넥터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는 크게 인슐레이터(200), 터미널부재(300) 및 체결 부재(400)를 포함하며, 체결홈(110)이 형성된 상대 커넥터(100)와 체결 및 접속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편의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에 연결되는 대상을 “상대 커넥터”로도 지칭하기로 한다. 물론, “상대 커넥터”가 반드시 커넥터의 형태를 가질 필요는 없으며, 전기적 연결이 가능한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상대 커넥터(100)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LED 기판의 형태인 경우를 예로 사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인슐레이터(200)에는 상대 커넥터(100)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수용홈(205)이 형성되어 있으며, 터미널부재(300)와 체결부재(400)는 각각 그 일부가 수용홈(205) 내에 노출되도록 인슐레이터(200)에 결합된다. 인슐레이터(200)는 해당 전기 커넥터와 상대 커넥터(100) 사이의 연결을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인슐레이터(200)는 각 커넥터의 터미널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고, 또한 절연체 재료로 형성되어 전자기 간섭으로부터도 보호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상대 커넥터(100)에 복수의 접촉부(160)가 형성되는 경우, 상대 커넥터(100)의 접촉부(160) 사이에 정렬슬롯(109)을 형성하고 인슐레이터(200)의 수용홈(205)의 중간에는 리브(209)를 형성하여 상대 커넥터(100)를 정렬시키고 각 접촉부를 보호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터미널부재(300)는 접촉부(360), 지지부(370) 및 리드부(380)를 포함할 수 있다. 접촉부(360)는 상대 커넥터(100)의 접촉부(160)와 접촉하여 두 커넥터 간에 전기적 연결을 이룬다. 접촉부(360)는 리드부(38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리드부(380)는 PCB 기판(500)의 회로선 또는 그 외의 와이어, 전선, 리드 등과 연결된다.
터미널부재(300)의 접촉부(360)는 수용홈(205)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고, 터미널부재(300)의 지지부(370)는 수용홈(205)의 타측에 형성되어 터미널부재(300)의 접촉부(360)를 향한 방향으로 상대 커넥터(10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접촉부(360)는 탄성을 가지는 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며, 수용홈(205)의 일측에 형성되어 타측을 향해 기울어질 수 있다. 이로써 상대 커넥터(100)가 수용홈(205)에 삽입되면 터미널부재(300)의 접촉부(360)는 상대 커넥터(100)의 접촉부(160)에 보다 효과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접촉부(360)의 단부는 다시 수용홈(205)의 일측을 향해 절곡되어 상대 커넥터(100)의 진입을 방해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상대 커넥터(100)가 수용홈(205)에 삽입되면, 접촉부(360)는 상대 커넥터(100)에 의해 밀려 상대 커넥터(100)의 진입을 방해하지 않게 되고, 재료의 탄성적 복원력은 접촉부(360)가 상대 커넥터(100)의 접촉부(160)에 밀착하게 한다.
도 9를 참조하면, 터미널부재(300)의 지지부(370)는 탄성을 가지는 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며, 수용홈(205)의 타측에 형성되어 접촉부(360)가 형성된 일측을 향해 기울어질 수 있다. 이로써 상대 커넥터(100)가 수용홈(205)에 삽입되면 지지부(370)의 탄성력은 상대 커넥터(100)를 접촉부(360)의 방향으로 지지한다. 지지부(370)의 단부 역시 수용홈(205)의 타측을 향해 절곡되어 상대 커넥터(100)의 진입을 방해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대 커넥터(100)가 수용홈(205)에 삽입되면, 지지부(370)는 상대 커넥터(100)에 의해 밀려 상대 커넥터(100)의 진입을 방해하지 않게 되고, 지지부(370) 재료의 탄성적 복원력은 상대 커넥터(100)를 접촉부(360)에 밀착하게 한다.
다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터미널부재(300)는 접촉부(360), 지지부(370) 및 리드부(380)가 일체의 형태로 제작될 수 있고, 인슐레이터(200)에 삽입되어 조립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인슐레이터(200)에는 터미널부재(300)를 삽입하기 위한 홀(203)이 형성될 수 있고, 접촉부(360)를 정렬하기 위한 홈(206) 및 지지부(370)를 정렬하기 위한 홈(207)이 적절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물론, 터미널부재(300)가 인슐레이터(200)에 결합된다 함은 다른 구성요소가 그 사이에 개재되어 결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터미널부재(300)가 인슐레이터(200)에 직접적으로 고정되지 않고, 기재를 이루는 PCB 기판(500)에 고정될 수도 있다.
체결부재(400)는 인슐레이터(200)에 결합된다. 체결부재(400)는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탄성부(420) 및 탄성부(420)로부터 연장되는 돌출부(410)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410)는 또한 상대 커넥터(100)가 수용홈(205)에 온전히 삽입되었을 때 상대 커넥터(100)의 체결홈(110)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돌출부(410)는 상대 커넥터(100)가 삽입되는 방향을 따라 돌출 길이가 증가하다가 걸림턱이 형성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는 돌출부(410)가 실질적으로 삼각형의 형상을 가지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물론, 돌출부(410)의 형상이 삼각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체결홈(110)에 삽입시 상대 커넥터(10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걸림턱을 가지는 다양한 형상을 적용할 수 있다.
상대 커넥터(100)가 삽입되는 중에는 돌출부(410)가 상대 커넥터(100)에 의해 가압되어 탄성적으로 후퇴하고, 그 후 상대 커넥터(100)가 온전히 삽입되면 돌출부(410)는 체결홈(110)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으므로 더 이상 가압되지 않아 탄성적 복원력으로 인해 원위치로 복구한다. 돌출부(410)가 탄성력에 의해 복구되는 위치는 체결홈(110) 내에 위치하게 되며, 전술한 바와 같이 걸림턱이 상대 커넥터(100)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특히, 돌출부(410)가 탄성력에 의해 체결홈(110) 내로 삽입될 때, 상대 커넥터(100)에 의한 가압이 순간적으로 제거되므로 탄성력에 의해 탄성부(420)가 상대 커넥터(100)에 부딪히는 소리 및 충격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클릭 소리 및 클릭 촉감으로 인해 작업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에 상대 커넥터(100)가 올바로 삽입되어 체결되었음을 인지할 수 있다.
인슐레이터(200)에는 체결부재(400)의 돌출부(410)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1 개구부(210)가 형성되어 있다. 즉, 돌출부(410)가 체결홈(110)에 올바로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제1 개구부(210)를 통해 인지할 수 있다. 이는 전술한 클릭 소리에 더해 올바른 체결 여부를 보다 확실히 파악할 수 있게 하는 특징이며, 특히 소음이 심한 작업 환경에서 클릭 소리가 명확히 들리지 않을 때 특히 유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개구부(210)는 돌출부(410)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410)의 일부와 체결홈(110)을 이루는 상대 커넥터(100)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제1 개구부(210)를 형성하면 돌출부(410)가 체결홈(110)에 올바로 삽입되어 해당 전기 커넥터와 상대 커넥터(100)가 올바로 체결되었음을 보다 확실히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일례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상대 커넥터(100)가 온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제1 개구부(210)를 통해 돌출부(410)가 체결홈(110)이 노출되며, 돌출부(410)가 체결홈(110)에 올바로 삽입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체결부재(400)는 PCB 기판(500) 등의 구성요소에 고정하기 위한 연결부(4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인슐레이터(200)에는 체결부재(400)를 삽입하기 위한 홀(208)이 형성될 수 있고, 체결부재(400)를 정렬 및 고정하기 위한 홈(204)이 적절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인슐레이터(200)에는 또한 체결부재(400)의 탄성부(420)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2 개구부(220)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개구부(220)에 탄성부(420)가 노출되므로, 돌출부(410)가 체결홈(110)에 삽입되어 상대 커넥터(100)가 견고히 체결된 후에도 개방된 제2 개구부(220)를 통해 탄성부(420)를 가압하여 돌출부(410)를 다시 체결홈(110)으로부터 인출하고 상대 커넥터(100)의 체결을 해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체결부재(400)의 탄성부(420)는 상대 커넥터(100)의 선단보다 후방의 위치로부터, 즉 상대 커넥터(100)의 삽입 방향으로 더 원거리에 있는 위치로부터 체결홈(110)에 대응하는 위치까지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제2 개구부(220)는 상대 커넥터(100)의 선단보다 더 후방의 위치, 즉 상대 커넥터(100)의 선단에 비해 더 원거리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체결을 해제하기 위해 제2 개구부(220)를 통해 탄성부(420)를 가압할 때, 상기 가압하는 수단이 상대 커넥터(100)의 이탈을 방해하지 않게 된다. 또한, 탄성부(420)가 고정된 부분이 상대적으로 후방에 위치하고 돌출부(410)는 상대적으로 전방에 위치하므로, 제2 개구부(220)를 통해 탄성부(420)를 가압하면 지렛대 원리에 의해 돌출부(410)는 상대적으로 더 많은 거리를 이동하게 되어 돌출부(410)의 인출이 보다 용이해진다.
탄성부(420)는 제2 개구부(220)에 노출되는 부분에서 소정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레버(425)를 포함할 수 있다. 상대 커넥터(100)의 체결을 해제할 때, 제2 개구부(220)를 통해 레버(425)를 가압함으로써 보다 용이하게 체결을 해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425)가 제2 개구부(220)의 방향으로 연장되면, 레버(425)를 더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개구부(210)를 통해 돌출부(410)가 체결홈(110)에 삽입되어 있어 상대 커넥터(100)가 온전히 삽입된 상태임을 확인할 수 있다. 제2 개구부(220)를 통해서도 상대 커넥터(100)의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제2 개구부(220)에는 레버(425)가 노출되어 있고, 레버(425)는 제2 개구부(220)의 방향으로 연장되어 보다 편리하게 가압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에서 체결을 해제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지그(600)를 하방에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지그(600)는 도 5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에서 상대 커넥터(100)의 체결을 해제하는 용도로 구상된 것이다. 지그(600)는 그 하면에 분리 돌기(620)들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와 같은 분리 돌기(620)들은 인슐레이터(200)의 제2 개구부(22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지그(600)에는 그 외에도 인슐레이터(200)의 일부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정렬돌기(640)들을 형성하여 커넥터의 체결 해제 동작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특히,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개구부(220)는 비대칭적인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는 도 6에서와 같이 특수 용도로 제조한 지그(600) 외의 다른 도구로는 제2 개구부(220)를 용이하게 통과하지 못하게 하여 의도하지 않은 체결 해제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제2 개구부(220) 및 분리 돌기(620)의 비대칭적인 형상으로 인해 지그(600)가 특정한 방향으로 적용되어 분리 돌기(620)가 제2 개구부(220)에 대응하여 삽입될 때에만 상대 커넥터(100)의 체결이 해제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돌기(620)가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하고 레버(425)는 굴곡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대응하는 위치에서 지그(600)로 인슐레이터(200)를 가압하면, 분리돌기(620)가 레버(425)를 가압하게 할 수 있고, 분리돌기(620)의 경사로 인해 분리돌기(620)가 하강함에 따라 레버(425)를 측면으로 가압하게 할 수 있다.
레버(425)가 측면으로 가압됨에 따라 탄성부(420)도 측면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탄성부(420)가 후방의 위치에서 고정되어 전방에 있는 돌출부(410)까지 연장되므로 상대적으로 전방에 위치하는 돌출부(410)는 레버(425)의 이동량에 비해 더 많이 이동하게 된다. 돌출부(410)가 측면으로 이동하여 체결홈(110)에서 인출되면 상대 커넥터(110)를 수용홈(205)에서 이탈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8은 도 4의 A-A' 선을 따른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4의 B-B'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인슐레이터(200)의 수용홈(205) 내에는 터미널부재(300)의 접촉부(360) 및 지지부(370)가 노출될 수 있다. 수용홈(205)에는 리브(209)가 형성될 수 있고, 접촉부(360) 및 지지부(370)를 정렬하기 위한 각각의 홈(206, 207)이 형성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부(360)는 수용홈(205)의 일측에서 타측을 향해 기울어지며 그 단부는 다시 일측을 향해 절곡되고, 지지부(370)도 마찬가지로 수용홈(205)의 타측에서 일측을 향해 기울어지며 그 단부는 다시 타측을 향해 절곡될 수 있다.
상대 커넥터(100)가 수용홈(205)에 삽입될 때, 상대 커넥터(100)에 의해 터미널부재(300)의 접촉부(360)와 지지부(370) 및 체결부재(400)의 탄성부(420)가 가압되며 탄성에 의해 밀착된다. 상대 커넥터(100)가 완전히 삽입되면 돌출부(410)가 체결홈(110)에 삽입되어 상대 커넥터(100)를 견고히 체결시키며, 이는 인슐레이터(200)의 제1 개구부(210)를 통해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대 커넥터(100)가 수용홈(205)에 삽입되어 터미널부재(300)의 접촉부(360)와 지지부(370)를 가압할 때 터미널부재(300)가 후방으로 밀리지 않도록 터미널부재(300)를 인슐레이터(2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는 인슐레이터(200)에 결합되어 있는 PCB 기판(500)에 터미널부재(300)의 리드부(380)를 결합시킴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더 나아가, 터미널부재(300)에 하나 이상의 걸림부(365, 375)를 형성하고 인슐레이터(200)의 수용홈(205)에 하나 이상의 고정부(265, 275)를 형성하여 터미널부재(300)의 이동을 방지할 수도 있다.
도 9에 도시된 예에서는, 수용홈(205)의 상면에 홈의 형태로 고정부(265)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수용홈(205)의 하면에 돌출된 형태로 고정부(275)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터미널부재(300)의 상면에는 고정부(265)에 지지되는 걸림부(365)가 형성되어 있고, 지지부(370)의 하면에는 고정부(275)에 지지되는 걸림부(375)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의 조립시, 터미널부재(300)를 인슐레이터(200)의 후방에서 홀(203)을 통해 삽입할 수 있고, 탄성적 재료로 형성된 터미널부재(300)가 정위치에 삽입되면 각 걸림부(365, 375)가 대응하는 고정부(265, 275)에 걸리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를 이용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개구부(210)를 통해 상대 커넥터(100)와의 체결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체결이 올바로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제2 개구부(220)에 노출된 레버(425)를 가압함으로써 용이하게 체결을 해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불량률을 감소시키고 수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상대 커넥터(100)와 접속이 이루어지는 수용홈(205)은 상대 커넥터(100)와 소정의 간격을 유지한 채, 인슐레이터(200)의 리브(209), 터미널부재(300)의 지지부(370) 및 체결부재(400)의 탄성부(420)에 의해 상대 커넥터(100)를 정위치에 고정하므로, 온도변화 등에 의해 상대 커넥터(100)가 수축 또는 팽창하더라도 올바른 접속 및 견고한 체결을 유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200: 인슐레이터 205: 수용홈
300: 터미널부재 360: 접촉부
370: 지지부 380: 리드부
400: 체결부재 410: 돌출부
420: 탄성부 425: 레버

Claims (13)

  1. 체결을 위한 체결홈이 형성되어 있는 상대 커넥터와 접속하기 위한 전기 커넥터로서,
    상기 상대 커넥터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는 인슐레이터;
    상기 상대 커넥터의 터미널과 접속하는 접촉부를 포함하며 상기 접촉부가 상기 수용홈 내에 노출되도록 상기 인슐레이터에 결합되는 터미널부재; 및
    상기 인슐레이터에 결합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체결부재는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탄성부 및 상기 탄성부로부터 연장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대 커넥터가 상기 수용홈에 삽입되면 상기 돌출부는 상기 체결홈에 삽입되며,
    상기 인슐레이터에는 상기 돌출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1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터미널부재는 상기 수용홈에 형성되어 상기 상대 커넥터가 상기 접촉부에 접속하도록 상기 상대 커넥터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슐레이터에는 상기 탄성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2 개구부가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의 일부가 노출되며,
    상기 제2 개구부에 노출되는 상기 탄성부의 일부를 가압하면 상기 돌출부가 상기 체결홈으로부터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상대 커넥터의 선단에 비해 후방의 위치로부터 상기 체결홈에 대응하는 위치까지 연장되고, 상기 제2 개구부는 상기 상대 커넥터의 선단에 비해 후방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제2 개구부에 노출되는 부분에서 소정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레버를 포함하며, 상기 레버를 가압하면 상기 돌출부가 상기 체결홈으로부터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상기 제2 개구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개구부는 적어도 일방향에 대하여 비대칭적인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상대 커넥터가 삽입되는 방향을 따라 돌출 길이가 증가하다가 걸림턱이 형성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대 커넥터가 삽입되는 중에 상기 돌출부는 상기 상대 커넥터에 의해 가압되어 탄성적으로 후퇴하고, 상기 상대 커넥터가 온전히 삽입되면 상기 돌출부는 상기 체결홈에 삽입되어 상기 걸림턱이 상기 상대 커넥터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수용홈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수용홈의 상기 일측에 대향하는 타측에 형성되며, 상기 접촉부와 상기 지지부 중 적어도 하나는 탄성적 재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슐레이터는 상기 수용홈 내에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터미널부재는 상기 고정부에 지지되는 걸림부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부는 상기 상대 커넥터의 삽입시 상기 터미널부재가 상기 상대 커넥터의 삽입 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저항력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11. 체결을 위한 체결홈이 형성되어 있는 상대 커넥터와 접속하기 위한 전기 커넥터로서,
    상기 상대 커넥터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는 인슐레이터;
    상기 상대 커넥터의 터미널과 접속하는 접촉부를 포함하며 상기 접촉부가 상기 수용홈 내에 노출되도록 상기 인슐레이터에 결합되는 터미널부재; 및
    상기 인슐레이터에 결합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체결부재는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탄성부 및 상기 탄성부로부터 연장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대 커넥터가 상기 수용홈에 삽입되면 상기 돌출부는 상기 체결홈에 삽입되며,
    상기 인슐레이터에는 상기 탄성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2 개구부가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의 일부가 노출되며,
    상기 제2 개구부에 노출되는 상기 탄성부의 일부를 가압하면 상기 돌출부가 상기 체결홈으로부터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상대 커넥터의 선단에 비해 후방의 위치로부터 상기 체결홈에 대응하는 위치까지 연장되고, 상기 제2 개구부는 상기 상대 커넥터의 선단에 비해 후방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제2 개구부에 노출되는 부분에서 소정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레버를 포함하며, 상기 레버를 가압하면 상기 돌출부가 상기 체결홈으로부터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KR1020130053683A 2013-05-13 2013-05-13 견고한 체결이 가능한 전기 커넥터 KR1014445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3683A KR101444599B1 (ko) 2013-05-13 2013-05-13 견고한 체결이 가능한 전기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3683A KR101444599B1 (ko) 2013-05-13 2013-05-13 견고한 체결이 가능한 전기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4599B1 true KR101444599B1 (ko) 2014-09-26

Family

ID=51761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3683A KR101444599B1 (ko) 2013-05-13 2013-05-13 견고한 체결이 가능한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459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6424B1 (ko) * 2014-05-27 2015-05-04 주식회사 켐트로닉스 전기접속용 커넥터
KR20160069898A (ko) * 2014-12-09 2016-06-17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기판 접속용 커넥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23790A1 (en) * 2010-03-12 2011-09-15 Omron Corporation Connector
KR20110132254A (ko) * 2010-05-31 2011-12-07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JP2012004072A (ja) * 2010-06-21 2012-01-05 Omron Corp コネクタ
KR20120100534A (ko) * 2011-03-04 2012-09-12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23790A1 (en) * 2010-03-12 2011-09-15 Omron Corporation Connector
KR20110132254A (ko) * 2010-05-31 2011-12-07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JP2012004072A (ja) * 2010-06-21 2012-01-05 Omron Corp コネクタ
KR20120100534A (ko) * 2011-03-04 2012-09-12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6424B1 (ko) * 2014-05-27 2015-05-04 주식회사 켐트로닉스 전기접속용 커넥터
KR20160069898A (ko) * 2014-12-09 2016-06-17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기판 접속용 커넥터
KR102028638B1 (ko) * 2014-12-09 2019-10-04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기판 접속용 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27971B2 (ja) フレキシブル配線基板の固定構造
US7108542B2 (en) Connector apparatus with a mating detecting member called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KR101562398B1 (ko) 블레이드 및 리셉터클 전원 커넥터
JP4082571B2 (ja) コネクタの嵌脱構造
NL2015465B1 (en) Plug connector.
JP6441777B2 (ja) コネクタ
KR101625293B1 (ko) 전기 커넥터
JP5885594B2 (ja) 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2002530822A (ja) ガイド部材および取外しリセスを有する噛み合い電気コネクタアセンブリ
US20180342817A1 (en) Metal leaf spring structure of electrical connection terminal
US7351086B2 (en) Connector
KR102031835B1 (ko) 기판 접속용 커넥터
KR101444599B1 (ko) 견고한 체결이 가능한 전기 커넥터
US9972947B2 (en) Connector
WO2015093125A1 (ja) 圧着端子用コンタクトとケーブル用電気コネクタ
US7239529B1 (en) Fixing member for auxiliary circuit board
KR101383491B1 (ko) 조립이 용이한 전기 커넥터 및 그 제조 방법
WO2015072153A1 (ja) コネクタ及びこれを備えるコネクタ装置
JP2019024023A (ja) コネクタ
KR20100022841A (ko) 커넥터
JP2019129137A (ja) コネクタ、相手方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組立体
CN110021833B (zh) 连接器组件及其制造方法
JP5842677B2 (ja) コネクタ装置
JP2016085812A (ja) 電気コネクタ
JP7294871B2 (ja) 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