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0534A -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0534A
KR20120100534A KR1020110019508A KR20110019508A KR20120100534A KR 20120100534 A KR20120100534 A KR 20120100534A KR 1020110019508 A KR1020110019508 A KR 1020110019508A KR 20110019508 A KR20110019508 A KR 20110019508A KR 20120100534 A KR20120100534 A KR 201201005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t cable
insulator
contact
actuator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9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95129B1 (ko
Inventor
최원종
송인덕
김덕현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195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5129B1/ko
Publication of KR201201005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05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51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51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1Details
    • H01R12/774Retain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 접속단의 폭방향 양단 가장자리에 이탈방지홈이 형성된 플랫 케이블의 접속을 위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는 플랫 케이블 삽입 공간이 형성된 인슐레이터; 상기 인슐레이터에 체결되고, 플랫 케이블의 삽입을 위한 오픈 위치와 플랫 케이블의 고정을 위한 클로즈 위치 사이에서 회전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액츄에이터; 및 상기 인슐레이터에 정해진 피치로 배열된 도전성 컨택트;를 포함하고, 상기 인슐레이터에는, 상기 인슐레이터의 양단으로부터 안쪽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인슐레이터에 삽입되는 플랫 케이블의 이탈방지홈에 체결 가능한 록킹부와, 상기 플랫 케이블의 케이블 접속단의 양쪽 귀퉁이 부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Connector for connecting flat cable}
본 발명은 플랫(Flat) 타입의 케이블을 접속하기 위한 케이블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인슐레이터의 구조가 개선된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FPC(Flexible Printed Cable)나 FFC(Flexible Flat Cable)와 같은 플랫 타입의 케이블(이하, '플랫 케이블'이라 함)을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는 예컨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0-11259호, 일본 공개특허 제2006-310194호, 일본 공개특허 제2008-186600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0879176호 등에 개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제공된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는 인슐레이터(Insulator)(10)와, 인슐레이터(10)에 일정 피치(Pitch)로 배열된 다수의 도전성 컨택트(Contact)(30)와, 인슐레이터(10)에 체결되어 상기 인슐레이터(10)에 삽입된 플랫 케이블(1)을 도전성 컨택트(30)에 접촉 및 고정시키는 액츄에이터(Actuator)(20)를 포함한다. 도 1에는 플랫 케이블(1)이 균형있게 정상적으로 커넥터 내에 삽입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인슐레이터(10)는 플랫 케이블(1)이 삽입될 수 있는 수용공간을 구비한다. 통상적으로, 플랫 케이블(1)로는 케이블 접속단의 폭방향 양단 가장자리에 이탈방지홈이 형성된 케이블이 사용된다. 이에 대응하여 인슐레이터(10)의 양단부에는 상기 이탈방지홈에 끼워지는 동시에 플랫 케이블(1)의 양단에 대하여 텐션(Tension)을 가하는 가이드부(11)가 구비된다.
액츄에이터(20)는 플랫 케이블(1)의 삽입을 위한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오픈(Open) 위치와 플랫 케이블(1)의 고정을 위한 클로즈(Close) 위치 사이에서 회전 개폐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러한 동작을 위해 액츄에이터(20)의 회전축 부근에는 액츄에이터(20)의 회전에 연동하여 선택적으로 도전성 컨택트(30) 상에 플랫 케이블(1)을 밀착시키는 캠(Cam) 기능을 제공하는 소정의 캠 부재(미도시)가 구비된다.
상기 캠 부재는 액츄에이터(20)가 오픈 위치로부터 클로즈 위치로 전환되는 동작에 연동하여 도전성 컨택트(30)의 뒷부분에 위치한 한 쌍의 도체핀을 벌리는 캠 기능을 제공한다. 이러한 캠 작용에 의해, 도전성 컨택트(30)의 앞부분에 위치한 한 쌍의 도체핀들이 오므라지면서 플랫 케이블(1)에 접촉된다.
그런데, 종래의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는 작업자의 감각에 의해 플랫 케이블(1)의 삽입이 이루어지는 관계로 플랫 케이블(1)의 삽입 오류에 따른 커넥터의 작동 불량이나 케이블 변형 문제가 발생하는 취약점이 있다. 즉, 플랫 케이블(1)이 도전성 컨택트(30)의 한 쌍의 도체핀 사이에 미삽입된 경우에는 액츄에이터(20)가 클로즈 위치에 있더라도 사실상 오픈 상태가 되는 불량이 발생하게 되고, 플랫 케이블(1)이 과다 삽입된 경우에는 플랫 케이블(1)이 변형되거나 인슐레이터(10) 또는 도전성 컨택트(30)가 변형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랫 케이블(1)이 비스듬히 삽입된 경우에는 도전성 컨택트(30) 내에 플랫 케이블(1)이 미삽입되는 오픈 불량이 발생하거나 플랫 케이블(1)의 배선 패턴간 쇼트(Short)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비록, 전술한 바와 같이 인슐레이터(10)의 양단부에는 플랫 케이블(1)의 양단에 대하여 텐션을 가하는 가이드부(11)가 구비되긴 하나, 그 역할이 미흡하여 이를 보강할 수 있는 대안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플랫 케이블의 삽입 오류를 방지하기 위한 록킹 및 가이드 구조가 인슐레이터에 구비된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케이블 접속단의 폭방향 양단 가장자리에 이탈방지홈이 형성된 플랫 케이블의 접속을 위한 커넥터로서, 플랫 케이블 삽입 공간이 형성된 인슐레이터; 상기 인슐레이터에 체결되고, 플랫 케이블의 삽입을 위한 오픈 위치와 플랫 케이블의 고정을 위한 클로즈 위치 사이에서 회전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액츄에이터; 및 상기 인슐레이터에 정해진 피치로 배열된 도전성 컨택트;를 포함하고, 상기 인슐레이터에는, 상기 인슐레이터의 양단으로부터 안쪽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인슐레이터에 삽입되는 플랫 케이블의 이탈방지홈에 체결 가능한 록킹부와, 상기 플랫 케이블의 케이블 접속단의 양쪽 귀퉁이 부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를 개시한다.
상기 록킹부는 상기 인슐레이터의 양단면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록킹부와 가이드부는 상호 수직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록킹부와 가이드부는 상기 인슐레이터에 일체화될 수 있다.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는 상기 액츄에이터의 회전 개폐 동작에 연동하는 캠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전성 컨택트는, 상기 캠 부재에 접촉 가능한 제1 접촉부와, 상기 제1 접촉부에 대한 상기 캠 부재의 캠 작용에 의해 선택적으로 플랫 케이블에 접촉되는 제2 접촉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도전성 컨택트는, 상호 나란하게 배열된 한 쌍의 도체핀과, 상기 한 쌍의 도체핀을 서로 연결하는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부를 기준으로 한쪽 편에 상기 제1 접촉부가 구비되고, 다른쪽 편에 상기 제2 접촉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캠 부재는, 상기 한 쌍의 도체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액츄에이터가 오픈 위치로부터 클로즈 위치로 전환되는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제1 접촉부를 벌리는 동시에 상기 제2 접촉부를 오므리도록 상기 캠 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는 상기 제2 접촉부에 플랫 케이블이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록킹부가 상기 이탈방지홈에 체결 가능한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인슐레이터에 형성된 록킹부와 가이드부에 의해 플랫 케이블의 삽입 상태를 정확히 확인하면서 커넥터에 케이블을 체결할 수 있으므로 접속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랫 케이블의 미삽입 상태에 의한 커넥터 오픈 불량이나, 플랫 케이블의 과다 삽입에 의한 변형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플랫 케이블의 삽입시 록킹부의 좌우 변위에 의해 클릭(Click)감이 개선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에 플랫 케이블이 정상 삽입된 경우를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도 1에서 플랫 케이블이 경사지게 삽입된 경우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 도전성 컨택트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도 3에서 플랫 케이블이 정상 삽입된 경우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도 3에서 플랫 케이블이 경사지게 삽입된 경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는 플랫 케이블 삽입 공간이 형성된 인슐레이터(100)와, 인슐레이터(100)에 회전 개폐 가능하게 체결된 액츄에이터(110)와, 액츄에이터(110)와 일체로 회전하는 캠 부재(111)와, 인슐레이터(100)에 정해진 피치로 배열된 도전성 컨택트(120)와, 인슐레이터(100)의 양단 부근에 마련된 록킹부(101) 및 가이드부(102)를 포함한다.
인슐레이터(100)는 커넥터의 전방으로부터 삽입되는 FPC나 FFC와 같은 플랫 케이블(1)을 수용하기 위한 내부공간이 마련된 하우징으로서, 그 형상은 도면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플랫 케이블(1)을 수용하는 내부공간은 실질적으로 플랫 케이블(1)의 폭에 대응되도록 인슐레이터(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게 형성된다.
인슐레이터(100)는 플랫 케이블(1)의 케이블 접속단의 양단 가장자리에 형성된 이탈방지홈(1a)에 체결 가능한 록킹부(101)와, 상기 플랫 케이블(1)의 케이블 접속단의 양쪽 귀퉁이 부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102)를 구비한다.
록킹 기능과 가이드 기능을 가장 효율적으로 제공하기 위하여, 록킹부(101)는 인슐레이터(100)의 길이방향 양단면에 대하여 수직하게 안쪽으로 연장되고, 가이드부(102)는 록킹부(101)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상기 록킹부(101)와 가이드부(102)는 인슐레이터(100)의 몸체에 일체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인슐레이터(100)는 록킹부(101)와 가이드부(102) 주변 영역들이 장공 형태의 빈 공간으로 남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록킹부(101)와 가이드부(102)에 탄성이 부여될 수 있으므로 플랫 케이블(1)에 대하여 텐션을 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록킹부(101)는 후술하는 도전성 컨택트(120)의 제2 접촉부(122)에 플랫 케이블(1)이 완전히 삽입됨과 동시에 이탈방지홈(1a)에 끼워지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액츄에이터(110)는 플랫 케이블(1)의 삽입을 위한 오픈 위치와 플랫 케이블(1)의 고정을 위한 클로즈 위치 사이에서 회전 개폐 가능하게 인슐레이터(100)에 설치된다. 액츄에이터(110)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인슐레이터(100)의 바깥으로 젖혀짐으로써 오픈 상태가 되고, 반대로 회전하여 인슐레이터(100) 내부로 수용됨으로써 클로즈 상태가 된다.
액츄에이터(110)의 회전축 부분에는 액츄에이터(110)의 회전 개폐 동작에 연동하는 합성수지제의 캠 부재(111)가 마련된다. 캠 부재(111)는 액츄에이터(110)의 회전에 따라 선택적으로 도전성 컨택트(120)를 플랫 케이블(1)에 접촉시키는 캠 작용을 수행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전성 컨택트(120)는 캠 부재(111)에 접촉 가능한 제1 접촉부(121)와, 플랫 케이블(1)에 접촉 가능한 제2 접촉부(122)를 포함한다. 도전성 컨택트(120)는 플랫 케이블(1)의 일면에 형성된 시그널(Signal) 전달용 배선층과 접촉되는 부분으로서, 인슐레이터(100) 내에 일정 피치로 형성된 소정의 슬롯에 끼워져서 고정된다. 이에 따라, 도전성 컨택트(120)는 인슐레이터(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가 배열된다.
도전성 컨택트(120)는 상호 나란하게 배열된 한 쌍의 도체핀(120a,120b)과, 한 쌍의 도체핀(120a,120b)을 서로 연결하는 지지부(120c)를 구비한다. 한 쌍의 도체핀(120a,120b)과 지지부(120c)는 탄성을 갖는 도전성 금속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다.
도전성 컨택트(120)의 제1 접촉부(121)는 지지부(120c)를 기준으로 한쪽 편에 구비되고, 도전성 컨택트(120)의 제2 접촉부(122)는 다른쪽 편에 구비된다. 여기서, 캠 부재(111)는 제1 접촉부(121) 쪽에 위치한 한 쌍의 도체핀(120a,120b) 사이에 개재되고, 액츄에이터(110)가 오픈 위치로부터 클로즈 위치로 전환되는 동작에 연동하여 회전함으로써 그 종방향 양단이 제1 접촉부(121)를 벌리는 캠 작용을 수행한다. 이에 연동하여 제2 접촉부(122)는 오므라지는 방향으로 변형되어 플랫 케이블(1)과 접촉을 이룬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에 플랫 케이블(1)이 정상 삽입된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는 액츄에이터(110)를 오픈한 상태에서 플랫 케이블(1)을 인슐레이터(100) 내에 삽입하고, 액츄에이터(110)를 클로즈 상태로 전환하여 플랫 케이블(1)을 도전성 컨택트(120)에 접속 및 체결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랫 케이블(1)의 삽입이 완료된 상태에서, 플랫 케이블(1)의 케이블 접속단에 형성된 이탈방지홈(1a)에는 록킹부(101)가 끼워져서 플랫 케이블(1)의 폭방향으로 텐션을 가함으로써 플랫 케이블(1)의 록킹이 이루어지고, 이탈방지홈(1a)에 인접한 케이블 접속단의 양쪽 귀퉁이 부분(1b)은 가이드부에 의해 안정적으로 가이드된다.
도 6에는 플랫 케이블이 경사지게 삽입된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플랫 케이블(1)이 비정상적으로 경사지게 삽입되더라도, 록킹부(101)에 약간의 좌우 변위가 발생하면서 이탈방지홈(1a)에 록킹부(101)가 끼워진 상태가 유지되면서 플랫 케이블(1)이 록킹되고, 케이블 접속단의 양쪽 귀퉁이 부분(1b)은 가이드부에 의해 가이드된다.
따라서, 플랫 케이블(1)이 도전성 컨택트(120)에 미삽입됨에 따른 오픈 불량이나, 과다 삽입에 따른 플랫 케이블(1) 또는 도전성 컨택트(120)의 변형, 플랫 케이블(1)의 배선 패턴간 쇼트 등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 플랫 케이블 1a: 이탈방지홈
100: 인슐레이터 101: 록킹부
102: 가이드부 110: 액츄에이터
111: 캠 부재 120: 도전성 컨택트
121: 제1 접촉부 122: 제2 접촉부

Claims (7)

  1. 케이블 접속단의 폭방향 양단 가장자리에 이탈방지홈이 형성된 플랫 케이블의 접속을 위한 커넥터에 있어서,
    플랫 케이블 삽입 공간이 형성된 인슐레이터;
    상기 인슐레이터에 체결되고, 플랫 케이블의 삽입을 위한 오픈 위치와 플랫 케이블의 고정을 위한 클로즈 위치 사이에서 회전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액츄에이터; 및
    상기 인슐레이터에 정해진 피치로 배열된 도전성 컨택트;를 포함하고,
    상기 인슐레이터에는, 상기 인슐레이터의 양단으로부터 안쪽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인슐레이터에 삽입되는 플랫 케이블의 이탈방지홈에 체결 가능한 록킹부와, 상기 플랫 케이블의 케이블 접속단의 양쪽 귀퉁이 부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는 상기 인슐레이터의 양단면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록킹부와 가이드부가 상호 수직을 이루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와 가이드부가 상기 인슐레이터에 일체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의 회전 개폐 동작에 연동하는 캠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전성 컨택트는, 상기 캠 부재에 접촉 가능한 제1 접촉부와, 상기 제1 접촉부에 대한 상기 캠 부재의 캠 작용에 의해 선택적으로 플랫 케이블에 접촉되는 제2 접촉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컨택트는,
    상호 나란하게 배열된 한 쌍의 도체핀과, 상기 한 쌍의 도체핀을 서로 연결하는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부를 기준으로 한쪽 편에 상기 제1 접촉부가 구비되고, 다른쪽 편에 상기 제2 접촉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캠 부재는,
    상기 한 쌍의 도체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액츄에이터가 오픈 위치로부터 클로즈 위치로 전환되는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제1 접촉부를 벌리는 동시에 상기 제2 접촉부를 오므리도록 상기 캠 작용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촉부에 플랫 케이블이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록킹부가 상기 이탈방지홈에 체결 가능한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KR1020110019508A 2011-03-04 2011-03-04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KR1011951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9508A KR101195129B1 (ko) 2011-03-04 2011-03-04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9508A KR101195129B1 (ko) 2011-03-04 2011-03-04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0534A true KR20120100534A (ko) 2012-09-12
KR101195129B1 KR101195129B1 (ko) 2012-10-29

Family

ID=47110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9508A KR101195129B1 (ko) 2011-03-04 2011-03-04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512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1612B1 (ko) * 2012-12-12 2014-07-22 주식회사 씨엔플러스 컨넥터
KR101444599B1 (ko) * 2013-05-13 2014-09-26 주식회사 후성테크 견고한 체결이 가능한 전기 커넥터
KR20220002276U (ko) * 2021-03-16 2022-09-23 피-투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초박형 간편 잠금 및 잠금 해제 커넥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1612B1 (ko) * 2012-12-12 2014-07-22 주식회사 씨엔플러스 컨넥터
KR101444599B1 (ko) * 2013-05-13 2014-09-26 주식회사 후성테크 견고한 체결이 가능한 전기 커넥터
KR20220002276U (ko) * 2021-03-16 2022-09-23 피-투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초박형 간편 잠금 및 잠금 해제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5129B1 (ko) 2012-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70567B2 (en) Connector having an actuator which is stably operable
KR101360505B1 (ko) 전기 커넥터
JP4279823B2 (ja) コネクタ
JP2001057260A (ja) Fpc用コネクタ
US20100130044A1 (en) Cable Connector
US20090011626A1 (en) Rotary connector device
KR101195129B1 (ko)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JP4256661B2 (ja) シャッタ付き電気コネクタ
KR20080052488A (ko) 커넥터
JP5010043B1 (ja) コネクタ
KR200467962Y1 (ko) 레버타입 커넥터 어셈블리
US7118408B2 (en) Flat cable couple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4964039B2 (ja) レバー嵌合式コネクタ
KR101216025B1 (ko)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KR20110110616A (ko) 가요성 회로케이블용 커넥터
KR101170428B1 (ko)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KR101455335B1 (ko)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KR101124804B1 (ko)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KR101113353B1 (ko)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KR20070055205A (ko)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JP2007280785A (ja) コネクタ
JP2008077916A (ja) コネクタ
KR101133627B1 (ko) 컨택트의 구조가 개선된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KR101317823B1 (ko)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KR101113435B1 (ko)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