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4804B1 -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4804B1
KR101124804B1 KR1020100041476A KR20100041476A KR101124804B1 KR 101124804 B1 KR101124804 B1 KR 101124804B1 KR 1020100041476 A KR1020100041476 A KR 1020100041476A KR 20100041476 A KR20100041476 A KR 20100041476A KR 101124804 B1 KR101124804 B1 KR 1011248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t cable
shaft
insulator housing
housing
actu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14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1948A (ko
Inventor
박현주
송인덕
박건철
이익균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414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4804B1/ko
Publication of KR201101219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19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4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48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8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manually by rotating or pivoting connector housing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1Details
    • H01R12/774Retain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7Coupling parts 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랫 케이블의 접속을 위한 케이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는 플랫 케이블을 수용하기 위한 내부공간과 상기 내부공간에 수용되는 플랫 케이블의 폭방향 양편에 위치하는 샤프트 수용홈이 형성된 몸체를 갖는 절연체 하우징; 상기 절연체 하우징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고, 플랫 케이블의 일면과 대향하는 복수개의 컨택트; 양단이 상기 절연체 하우징의 샤프트 수용홈에 끼워지는 샤프트를 구비하고, 상기 샤프트를 중심으로 상기 절연체 하우징에 회전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오픈 상태에서 클로즈 상태로 전환시 상기 절연체 하우징에 삽입된 플랫 케이블의 타면을 가압하여 상기 컨택트 상에 플랫 케이블을 고정하는 액츄에이터; 상기 절연체 하우징에 체결되고, 상기 샤프트를 지지하는 후크 구조가 형성된 지지부를 구비한 하우징 쉘; 및 상기 샤프트의 양단을 지지하는 홀드다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Connector for connecting flat cable}
본 발명은 플랫(Flat) 타입의 케이블을 접속하기 위한 케이블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플랫 케이블을 가압 및 고정하는 액츄에이터에 대한 지지구조가 개선된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FPC(Flexible Printed Cable)나 FFC(Flexible Flat Cable)와 같은 플랫 타입의 케이블(이하, '플랫 케이블'이라 함)을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는 예컨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0-11259호, 일본 공개특허 제2006-310194호, 일본 공개특허 제2008-186600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0879176호 등에 개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제공된다.
즉,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는 플랫 케이블(1)을 수용하는 절연체 하우징(10)과, 절연체 하우징(10)에 일정 간격으로 삽입 고정된 다수의 도전성 컨택트(Contact)(11)와, 수용된 플랫 케이블(1)을 컨택트(11)에 대하여 가압 및 고정하도록 절연체 하우징(10)에 결합된 액츄에이터(Actuator)(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에 있어서 액츄에이터(12)는 컨택트(11)의 일부에 형성된 피벗부(Pivot portion)(11b)에 구속된 채로 회전 개폐 가능하게 절연체 하우징(10)에 힌지결합된다.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에 있어서 컨택트(11)는 실질적으로 두 가닥으로 분기된 도체핀 형태로 구성된다. 컨택트(11)를 이루는 두 가닥의 핀 중 한쪽은 플랫 케이블(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분인 접촉부(11a)를 제공하고, 다른쪽은 액츄에이터(12)를 지지하는 피벗부(11b)를 제공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종래의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는 접촉부(11a)와 피벗부(11b)가 컨택트(11)에 일체로 형성됨으로 인해 커패시턴스(Capacitance) 값이 너무 크고, 이로 인해 임피던스(Impedance)가 저하되어 고속전송능력이 떨어지는 취약점이 있다.
비록, 일본 공개특허 제2008-186600호에서는 임피던스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컨택트의 판두께 방향으로 관통구멍을 형성한 구조를 개시한 바 있으나, 이 경우에도 커패시턴스값의 저하 정도가 미미하여 임피던스 특성의 향상을 위한 새로운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임피던스 특성의 향상을 위하여 액츄에이터를 지지하는 부분이 컨택트와 분리된 구조를 가진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플랫 케이블을 수용하기 위한 내부공간과 상기 내부공간에 수용되는 플랫 케이블의 폭방향 양편에 위치하는 샤프트 수용홈이 형성된 몸체를 갖는 절연체 하우징; 상기 절연체 하우징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고, 플랫 케이블의 일면과 대향하는 복수개의 컨택트; 양단이 상기 절연체 하우징의 샤프트 수용홈에 끼워지는 샤프트를 구비하고, 상기 샤프트를 중심으로 상기 절연체 하우징에 회전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오픈 상태에서 클로즈 상태로 전환시 상기 절연체 하우징에 삽입된 플랫 케이블의 타면을 가압하여 상기 컨택트 상에 플랫 케이블을 고정하는 액츄에이터; 상기 절연체 하우징에 체결되고, 상기 샤프트를 지지하는 후크 구조가 형성된 지지부를 구비한 하우징 쉘; 및 상기 샤프트의 양단을 지지하는 홀드다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샤프트 수용홈은 상기 절연체 하우징의 표면으로부터 두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샤프트의 양단은 상기 샤프트 수용홈에 슬립 가능하게 끼워질 수 있다.
상기 컨택트는 단일 가닥의 도체핀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부는 플랫 케이블을 기준으로 상기 컨택트의 반대편에 위치하고, 상기 하우징 쉘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일정간격으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액츄에이터의 샤프트(Shaft)를 지지하는 부분이 컨택트와 기구적, 전기적으로 분리됨으로써 종래의 일체형 컨택트에 비해 커넥터의 임피던스 특성이 향상되므로 고속전송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 쉘을 활용하여 액츄에이터를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부품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액츄에이터를 오픈한 상태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결합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도 5에서 액츄에이터가 오픈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절연체 하우징의 샤프트 수용홈에 액츄에이터의 샤프트가 체결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결합도, 도 5는 결합상태에서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는 플랫 케이블(1)을 수용하기 위한 내부공간을 구비한 절연체 하우징(100)과, 플랫 케이블(1)의 일면과 대향하도록 절연체 하우징(100)에 일정 간격으로 체결된 복수개의 컨택트(101)와, 절연체 하우징(100)의 외부에 체결되는 하우징 쉘(Housing shell)(102)과, 하우징 쉘(102)에 의해 지지되는 샤프트(103a)를 중심으로 회전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플랫 케이블(1)의 타면을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액츄에이터(103)를 포함한다.
절연체 하우징(100)은 커넥터의 전방으로부터 삽입되는 FPC나 FFC와 같은 플랫 케이블(1)을 수용하기 위한 내부공간이 마련된 하우징으로서, 그 형상은 도면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플랫 케이블(1)을 수용하는 내부공간은 실질적으로 플랫 케이블(1)의 폭에 대응되도록 절연체 하우징(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고, 액츄에이터(103)의 체결이 가능하도록 그 상면이 개방된 형상을 갖는다.
컨택트(101)는 플랫 케이블(1)의 일면에 형성된 시그널(Signal) 전달용 배선층과 접촉되는 부분으로서, 절연체 하우징(100)의 일면으로부터 내부공간으로 연장된 소정의 슬롯(Slot)에 끼워져서 고정된다. 이에 따라, 컨택트(101)는 절연체 하우징(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가 배열된다.
컨택트(101)는 절연체 하우징(100)에 삽입되는 플랫 케이블(1)의 시그널 전달용 배선층과 대향하는 단일 가닥의 도체핀 형태로 구성된다.
하우징 쉘(102)은 절연체 하우징(100)에 체결되어 하우징의 외부를 마감하는 부재이다. 하우징 쉘(102)은 액츄에이터(103)의 회전 개폐 동작시 절연체 하우징(100)의 변형을 방지하는 기능도 제공한다.
소정의 메인 인쇄회로기판(PCB)에 대한 커넥터의 실장시 하우징 쉘(102)의 일부는 PCB에 접지될 수 있다.
하우징 쉘(102)에는 절연체 하우징(100) 내부로 연장되는 플레이트(Plate)편 형태의 지지부(102a)가 형성된다. 지지부(102a)는 플랫 케이블(1)을 기준으로 컨택트(101)의 반대편, 즉 윗편에 위치하여 액츄에이터(103)의 샤프트(103a)를 지지한다. 지지부(102a)의 끝부분에는 샤프트(103a)의 외주 일부를 감싸서 지지할 수 있도록 구부러진 후크(Hook) 구조(H)가 마련된다. 지지부(102a)는 하우징 쉘(102)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일정간격으로 배열된다.
액츄에이터(103)는 하우징 쉘(102)의 지지부(102a)에 의해 지지되는 샤프트(103a)를 중심으로 회전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다. 액츄에이터(103)의 클로즈(Close)시 액츄에이터(103)의 샤프트(103a) 부근에 위치한 소정의 접촉부가 플랫 케이블(1)을 가압함으로써 플랫 케이블(1)을 컨택트(100) 상에 고정시킨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츄에이터(103)는 그 핸들 부분이 절연체 하우징(100)의 바깥으로 젖혀짐으로써 오픈(Open) 된다. 액츄에이터(103)의 오픈시 액츄에이터(103)와 컨택트(101) 사이에는 플랫 케이블(1)을 삽입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액츄에이터(103)에 있어서 샤프트(103a)는 액츄에이터(103)의 폭방향 한쪽 가장자리단에 마련된다. 샤프트(103a)는 하우징 쉘(102)에 구비된 복수개의 지지부(102a)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개의 체결 구간을 포함한다. 샤프트(103a)의 각 체결 구간은 지지부(100a)에 의해 구속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게 하우징 쉘(102)에체결된다.
액츄에이터(103)에 있어서 샤프트(103a)의 양단은 액츄에이터(103)의 길이방향 양단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도 7의 (a) 내지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103a)의 양단은 절연체 하우징(100)에 대한 액츄에이터(103)의 체결시 샤프트 수용홈(100a)의 상부로부터 하부로 끼워져서 안착되고, 그 하부는 홀드다운(104)에 의해 지지된다.
여기서 샤프트 수용홈(100a)은 절연체 하우징(100)의 내부공간에 수용되는 플랫 케이블의 폭방향 양편에 위치하며, 절연체 하우징(100)의 표면으로부터 두께방향으로 연장되어 그 상면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된다. 액츄에이터(103)의 개폐 동작시 샤프트(103a)가 샤프트 수용홈(100a) 내부에서 슬립(Slip) 되면서 회전할 수 있도록 샤프트(103a)와 샤프트 수용홈(100a) 사이에는 간극이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샤프트 수용홈(100a) 내부에 안착된 샤프트(103a)의 양단 부분 또한 하우징 쉘(102)에 의해 지지된다. 여기서 하우징 쉘(102)은 절연체 하우징(100)에 대한 체결시 샤프트 수용홈(100a)의 개방면을 덮음으로써 샤프트 수용홈(100a)으로부터 샤프트(103a)의 양단이 상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액츄에이터(103)의 동작시 샤프트(103a)를 가이드하는 작용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는 액츄에이터(103)를 오픈한 상태에서 플랫 케이블(1)을 절연체 하우징(100)에 삽입하고, 액츄에이터(103)를 플랫 케이블(1)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클로즈하여 플랫 케이블(1)을 컨택트(101) 상에 가압 및 고정하여 접속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액츄에이터(103)의 오픈 상태 및 클로즈 상태에서 액츄에이터(103)의 샤프트(103a)는 하우징 쉘(102)의 지지부(102a)에 마련된 후크 구조(H)에 의해 구속됨으로써 지지된다. 아울러, 샤프트(103a)의 양단은 절연체 하우징(100)의 샤프트 수용홈(100a) 내부에 끼워져서 안착되고 그 하부에 위치하는 홀드다운(104)에 의해 지지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액츄에이터(103)의 샤프트(103a)를 지지하는 부분과 컨택트(101)가 기구적, 전기적으로 상호 분리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종래기술에 비해 향상된 임피던스 특성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면의 주요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
1: 플랫 케이블 100: 절연체 하우징
100a: 샤프트 수용홈 101: 컨택트
102: 하우징 쉘 102a: 지지부
103: 액츄에이터 103a: 샤프트
H: 후크 구조

Claims (4)

  1. 플랫 케이블의 접속을 위한 케이블 커넥터에 있어서,
    플랫 케이블을 수용하기 위한 내부공간과 상기 내부공간에 수용되는 플랫 케이블의 폭방향 양편에 위치하는 샤프트 수용홈이 형성된 몸체를 갖는 절연체 하우징;
    상기 절연체 하우징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고, 플랫 케이블의 일면과 대향하는 복수개의 컨택트;
    양단이 상기 절연체 하우징의 샤프트 수용홈에 끼워지는 샤프트를 구비하고, 상기 샤프트를 중심으로 상기 절연체 하우징에 회전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오픈 상태에서 클로즈 상태로 전환시 상기 절연체 하우징에 삽입된 플랫 케이블의 타면을 가압하여 상기 컨택트 상에 플랫 케이블을 고정하는 액츄에이터;
    상기 절연체 하우징에 체결되고, 상기 샤프트의 외주 일부를 감싸서 상기 샤프트를 지지하는 후크 구조가 형성된 지지부를 구비한 하우징 쉘; 및
    상기 샤프트의 양단을 지지하는 홀드다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수용홈은 상기 절연체 하우징의 표면으로부터 두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샤프트의 양단은 상기 샤프트 수용홈에 슬립 가능하게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택트가 단일 가닥의 도체핀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플랫 케이블을 기준으로 상기 컨택트의 반대편에 위치하고, 상기 하우징 쉘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일정간격으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KR1020100041476A 2010-05-03 2010-05-03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KR1011248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1476A KR101124804B1 (ko) 2010-05-03 2010-05-03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1476A KR101124804B1 (ko) 2010-05-03 2010-05-03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1948A KR20110121948A (ko) 2011-11-09
KR101124804B1 true KR101124804B1 (ko) 2012-03-23

Family

ID=45392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1476A KR101124804B1 (ko) 2010-05-03 2010-05-03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480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2009B1 (ko) * 2016-08-30 2018-05-29 몰렉스 엘엘씨 고속 신호 전송용 플렉시블 케이블 커넥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8566A (ko) * 2003-06-06 2004-12-24 다이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8566A (ko) * 2003-06-06 2004-12-24 다이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1948A (ko) 2011-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267110A1 (en) High Speed Flexible Printed Circuit Connector
US20050282420A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for mobile terminal
JP4334574B2 (ja) コネクタ
KR101216025B1 (ko)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KR101124804B1 (ko)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US8758036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having cable connector rotatably assembled thereon
JP4446278B2 (ja) 両面プリント配線板用コネクタ
KR101170428B1 (ko)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JP5671680B2 (ja) フレキシブル回路ケーブル用コネクタ
KR101216024B1 (ko) 록킹 부재를 구비한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KR101124847B1 (ko)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KR101113439B1 (ko)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KR101058699B1 (ko)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KR101150399B1 (ko)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KR101455335B1 (ko)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KR101455336B1 (ko)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KR101101673B1 (ko)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어셈블리
KR101133628B1 (ko)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KR101412924B1 (ko) 케이블 커넥터
KR101151846B1 (ko)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KR101124861B1 (ko)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장치
KR101311482B1 (ko) 컨택트의 구조가 개선된 플랫 케이블 커넥터
KR101142084B1 (ko) 록킹 구조를 갖는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KR101525169B1 (ko) Pcb 실장구조가 개선된 커넥터 어셈블리 및 이를 위한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KR101113353B1 (ko)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