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1846B1 -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1846B1
KR101151846B1 KR1020100041472A KR20100041472A KR101151846B1 KR 101151846 B1 KR101151846 B1 KR 101151846B1 KR 1020100041472 A KR1020100041472 A KR 1020100041472A KR 20100041472 A KR20100041472 A KR 20100041472A KR 101151846 B1 KR101151846 B1 KR 1011518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t cable
actuator
housing
insulator housing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14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1944A (ko
Inventor
이익균
송인덕
박건철
박현주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414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1846B1/ko
Publication of KR201101219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19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18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18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8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manually by rotating or pivoting connector housing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랫 케이블의 접속을 위한 케이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는 플랫 케이블을 수용하기 위한 내부공간이 마련된 절연체 하우징; 상기 절연체 하우징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고, 플랫 케이블의 일면과 대향하는 복수개의 컨택트; 상기 절연체 하우징에 회전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오픈 상태에서 클로즈 상태로 전환시 상기 절연체 하우징에 삽입된 플랫 케이블의 타면을 가압하여 상기 컨택트 상에 플랫 케이블을 고정하고, 한쪽 가장자리단이 후크 형태로 구부러져서 피벗부를 이루는 액츄에이터; 및 상기 절연체 하우징에 체결되고, 상기 액츄에이터의 피벗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구비한 하우징 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Connector for connecting flat cable}
본 발명은 플랫(Flat) 타입의 케이블을 접속하기 위한 케이블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플랫 케이블을 가압 및 고정하는 액츄에이터와 그 지지구조가 개선된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FPC(Flexible Printed Cable)나 FFC(Flexible Flat Cable)와 같은 플랫 타입의 케이블(이하, '플랫 케이블'이라 함)을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는 예컨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0-11259호, 일본 공개특허 제2006-310194호, 일본 공개특허 제2008-186600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0879176호 등에 개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제공된다.
즉,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는 플랫 케이블(1)을 수용하는 절연체 하우징(10)과, 절연체 하우징(10)에 일정 간격으로 삽입 고정된 다수의 도전성 컨택트(Contact)(11)와, 수용된 플랫 케이블(1)을 컨택트(11)에 대하여 가압 및 고정하도록 절연체 하우징(10)에 결합된 액츄에이터(Actuator)(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에 있어서 액츄에이터(12)는 컨택트(11)의 일부에 형성된 피벗부(Pivot portion)(11b)에 구속된 채로 회전 개폐 가능하게 절연체 하우징(10)에 힌지결합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종래의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는 플랫 케이블(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분인 접촉부(11a)와 액츄에이터(12)를 지지하는 피벗부(11b)가 컨택트(11)에 일체로 형성됨으로 인해 커패시턴스(Capacitance) 값이 너무 크고, 이로 인해 임피던스(Impedance)가 저하되어 고속전송능력이 떨어지는 취약점이 있다.
비록, 일본 공개특허 제2008-186600호에서는 임피던스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컨택트의 판두께 방향으로 관통구멍을 형성한 구조를 개시한 바 있으나, 이 경우에도 커패시턴스값의 저하 정도가 미미하여 임피던스 특성의 향상을 위한 새로운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임피던스 특성의 향상을 위하여 액츄에이터의 회전 개폐를 위한 피벗부가 컨택트와 분리된 구조를 가진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플랫 케이블을 수용하기 위한 내부공간이 마련된 절연체 하우징; 상기 절연체 하우징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고, 플랫 케이블의 일면과 대향하는 복수개의 컨택트; 상기 절연체 하우징에 회전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오픈 상태에서 클로즈 상태로 전환시 상기 절연체 하우징에 삽입된 플랫 케이블의 타면을 가압하여 상기 컨택트 상에 플랫 케이블을 고정하고, 한쪽 가장자리단이 후크 형태로 구부러져서 피벗부를 이루는 액츄에이터; 및 상기 절연체 하우징에 체결되고, 상기 액츄에이터의 피벗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구비한 하우징 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피벗부는, 상기 오픈 상태에서 클로즈 상태로의 전환시 상기 후크 형태의 라운드 부분이 상기 플랫 케이블의 타면과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하우징 쉘의 길이방향을 따라 반복적으로 형성된 돌부 및 요부를 포함하고, 상기 피벗부는, 상기 후크 형태의 끝부분이 상기 지지부의 돌부 및 요부에 치합될 수 있다.
상기 액츄에이터의 양단에 있어서 상기 후크 형태의 라운드 부분 또는 그 인접부에는 플랫 케이블의 폭방향 양단 가장자리에 형성된 이탈방지홈에 체결 가능한 이탈방지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상기 액츄에이터는 금속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액츄에이터의 피벗부가 컨택트와 기구적, 전기적으로 분리됨으로써 종래의 일체형 컨택트에 비해 커넥터의 임피던스 특성이 향상되므로 고속전송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액츄에이터가 금속소재로 구성되어 플랫 케이블의 그라운드(Ground)층에 접촉됨으로써 전자파 차폐효과와 EMC(Electromagnetic compatibility)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 쉘을 활용하여 액츄에이터를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부품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액츄에이터를 오픈한 상태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결합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결합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에 구비된 액츄에이터와 그 지지부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플랫 케이블 이탈방지용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의 작동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결합도, 도 5는 결합상태에서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는 플랫 케이블(1)을 수용하기 위한 내부공간을 구비한 절연체 하우징(100)과, 플랫 케이블(1)의 일면과 대향하도록 절연체 하우징(100)에 일정 간격으로 체결된 복수개의 컨택트(101)와, 절연체 하우징(100)의 외부에 체결되는 하우징 쉘(Housing shell)(102)과, 하우징 쉘(102)에 의해 지지되는 후크(Hook) 형태의 피벗부(103a)를 중심으로 회전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플랫 케이블(1)의 타면을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액츄에이터(103)를 포함한다.
절연체 하우징(100)은 커넥터의 전방으로부터 삽입되는 FPC나 FFC와 같은 플랫 케이블(1)을 수용하기 위한 내부공간이 마련된 하우징으로서, 그 형상은 도면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플랫 케이블(1)을 수용하는 내부공간은 실질적으로 플랫 케이블(1)의 폭에 대응되도록 절연체 하우징(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게 형성되고, 액츄에이터(103)의 체결이 가능하도록 그 상면이 개방된 형상을 갖는다.
컨택트(101)는 플랫 케이블(1)의 일면에 형성된 시그널(Signal) 전달용 배선층과 접촉되는 부분으로서, 절연체 하우징(100)의 후면으로부터 내부공간으로 연장된 슬롯(100a)에 끼워져서 고정된다. 이에 따라, 컨택트(101)는 절연체 하우징(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가 배열된다.
컨택트(101)는 절연체 하우징(100)에 삽입되는 플랫 케이블(1)의 시그널 전달용 배선층과 대향하는 단일 가닥의 도체핀 형태로 구성된다. 컨택트(101)에 있어서 선단 부분은 플랫 케이블(1)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 쉘(102)은 절연체 하우징(100)에 체결되어 하우징의 외부를 마감하는 부재이다. 하우징 쉘(102)은 액츄에이터(103)의 동작시 절연체 하우징(100)의 변형을 방지하는 기능도 제공한다.
소정의 메인 인쇄회로기판(PCB)에 대한 커넥터의 실장시 하우징 쉘(102)의 일부는 PCB에 접지된다.
하우징 쉘(102)의 일측에는 몸체 길이 방향을 따라 돌부(104a)와 요부(104b)가 반복되어 전체적으로 요철 패턴을 이루는 지지부(104)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지지부(104)의 돌부(104a)는 하우징 쉘(102)의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된 플레이트편에 의해 제공되며, 지지부(104)의 요부(104b)는 돌부(104a)들 사이의 빈 공간에 의해 제공된다. 지지부(104)는 플랫 케이블(1)을 기준으로 컨택트(101)의 반대편에 위치한 액츄에이터(103)의 회동영역에 마련된다.
액츄에이터(103)는 하우징 쉘(102)의 지지부(104)에 의해 지지되는 피벗부(103a)를 중심으로 회전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다. 액츄에이터(103)는 그 핸들 부분이 절연체 하우징(100)의 바깥으로 젖혀짐으로써 오픈(Open) 된다. 액츄에이터(103)의 오픈시 액츄에이터(103)와 컨택트(101) 사이에는 플랫 케이블(1)을 삽입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반대로 액츄에이터(103)의 클로즈(Close)시에는 액츄에이터(103)의 피벗부(103a)가 플랫 케이블(1)을 가압함으로써 플랫 케이블(1)을 컨택트(100) 상에 고정시킨다.
액츄에이터(103)에 있어서 피벗부(103a)는 액츄에이터(103)의 폭 방향 한 쪽 가장자리단이 후크 형태로 구부러짐으로써 형성된다.
피벗부(103a)는 플랫 케이블(1)의 타면에 형성된 그라운드층과 대향하도록 위치하고, 액츄에이터(103)가 오픈 상태로부터 클로즈 상태로 전환시 그 후크 형태의 라운드(Round) 부분이 플랫 케이블(1)의 그라운드층에 접촉된다.
피벗부(103a)는 그 후크 형태의 끝부분이 하우징 쉘(102)의 지지부(104)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하우징 쉘(102)에 체결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벗부(103a)에 있어서 후크 형태의 끝부분에는 지지부(104)의 요부(104b)에 대응되는 돌출편(103b)이 형성된다. 돌출편(103b)은 액츄에이터(103)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일정 간격으로 배열됨으로써 하우징 쉘(102)의 지지부(104)에 치합 가능한 요철 패턴을 제공한다. 여기서, 지지부(104)에 포함된 돌부(104a)의 개수나 피벗부(103a)에 포함된 돌출편(103b)의 개수는 도면에 도시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액츄에이터(103)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액츄에이터(103)의 회전 개폐시 피벗부(103a)는 지지부(104)와의 치합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면서 슬립(Slip) 됨으로써 지지부(104)에 의해 가이드된다.
액츄에이터(103)와 하우징 쉘(102)은 전도성을 갖도록 금속 재질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피벗부(103a)와 지지부(104)는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액츄에이터(103)가 클로즈 상태로 전환되어 피벗부(103a)가 플랫 케이블(1)의 그라운드층에 접촉되었을 때 그라운드층, 액츄에이터(103), 하우징 쉘(102)의 경로를 따라 도통이 진행되어 플랫 케이블(1)과 하우징 쉘(102) 간에 접지가 이루어지므로 차폐 성능 및 EMC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츄에이터(103)의 양단에 있어서 후크 형태의 라운드 부분 또는 그 인접 부분에는 플랫 케이블(1)의 폭방향 양단 가장자리에 형성된 이탈방지홈(2)에 체결 가능한 이탈방지 돌기(105)가 형성된다. 이탈방지 돌기(105)는, 액츄에이터(103)의 클로즈시 플랫 케이블(1)의 이탈방지홈(2)에 끼워져서 플랫 케이블(1)이 커넥터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도 8의 (a) 내지 (d)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의 작동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는 액츄에이터(103)를 오픈한 상태에서 플랫 케이블(1)을 절연체 하우징(100)에 삽입하고, 액츄에이터(103)를 플랫 케이블(1)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클로즈하여 플랫 케이블(1)을 컨택트(101) 상에 가압 및 고정하여 접속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액츄에이터(103)는 그 피벗부(103a)가 하우징 쉘(102)의 지지부(104)에 의해 지지된 상태를 항시 유지한다. 또한, 클로즈 동작시 액츄에이터(103)의 피벗부(103a)는 플랫 케이블(1)의 그라운드층에 밀착됨으써 플랫 케이블(1)의 그라운드층을 하우징 쉘(102)에 전기적으로 연결함으로써 접지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액츄에이터(103)의 피벗부(103a)와 컨택트(101)가 기구적, 전기적으로 상호 분리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종래기술에 비해 향상된 임피던스 특성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면의 주요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
1: 플랫 케이블 100: 절연체 하우징
101: 컨택트 102: 하우징 쉘
103: 액츄에이터 103a: 피벗부
104: 지지부 105: 이탈방지 돌기

Claims (5)

  1. 플랫 케이블의 접속을 위한 커넥터에 있어서,
    플랫 케이블을 수용하기 위한 내부공간이 마련된 절연체 하우징;
    상기 절연체 하우징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고, 플랫 케이블의 일면과 대향하는 복수개의 컨택트;
    상기 절연체 하우징에 회전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오픈 상태에서 클로즈 상태로 전환시 상기 절연체 하우징에 삽입된 플랫 케이블의 타면을 가압하여 상기 컨택트 상에 플랫 케이블을 고정하고, 한쪽 가장자리단이 후크 형태로 구부러져서 피벗부를 이루는 액츄에이터;
    상기 절연체 하우징에 체결되는 하우징 쉘; 및
    상기 하우징 쉘에 구비되어 상기 액츄에이터의 피벗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벗부는, 상기 오픈 상태에서 클로즈 상태로의 전환시 상기 후크 형태의 라운드 부분이 상기 플랫 케이블의 타면과 접촉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하우징 쉘의 길이방향을 따라 반복적으로 형성된 돌부 및 요부를 포함하고,
    상기 피벗부는, 상기 후크 형태의 끝부분이 상기 지지부의 돌부 및 요부에 치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의 양단에 있어서 상기 후크 형태의 라운드 부분 또는 그 인접부에는 플랫 케이블의 폭방향 양단 가장자리에 형성된 이탈방지홈에 체결 가능한 이탈방지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KR1020100041472A 2010-05-03 2010-05-03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KR1011518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1472A KR101151846B1 (ko) 2010-05-03 2010-05-03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1472A KR101151846B1 (ko) 2010-05-03 2010-05-03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1944A KR20110121944A (ko) 2011-11-09
KR101151846B1 true KR101151846B1 (ko) 2012-06-01

Family

ID=45392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1472A KR101151846B1 (ko) 2010-05-03 2010-05-03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184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1944A (ko) 2011-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38545A (en) Connection device which is electromagnetically shielded with simple structure
JP3196018B2 (ja) シールド機構付き中継コネクタ
US7261595B2 (en) Electrical connector for flat cables and shield member used therefor
KR101344933B1 (ko) 커넥터 조립체
JP4334574B2 (ja) コネクタ
WO2018044536A1 (en) Ffc/fpc connector for high speed signal transmission
KR100951073B1 (ko) 플렉시블 케이블 커넥터
KR101216025B1 (ko)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JP3089464B2 (ja) シールド機構付きコネクタ
JP5606157B2 (ja) 高周波対応の配線材
KR101151846B1 (ko)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KR101170428B1 (ko)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KR101124847B1 (ko)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KR101455335B1 (ko)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KR101216024B1 (ko) 록킹 부재를 구비한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KR101150399B1 (ko)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KR101133628B1 (ko)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KR101058699B1 (ko)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KR101124804B1 (ko)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KR101455336B1 (ko)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KR101412924B1 (ko) 케이블 커넥터
KR101525169B1 (ko) Pcb 실장구조가 개선된 커넥터 어셈블리 및 이를 위한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KR101505027B1 (ko) 전자파 차단 기능 커넥터
KR101113439B1 (ko)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KR101101673B1 (ko)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