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2488A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2488A
KR20080052488A KR1020070126486A KR20070126486A KR20080052488A KR 20080052488 A KR20080052488 A KR 20080052488A KR 1020070126486 A KR1020070126486 A KR 1020070126486A KR 20070126486 A KR20070126486 A KR 20070126486A KR 20080052488 A KR20080052488 A KR 200800524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connector body
connection object
terminal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64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10819B1 (ko
Inventor
마사토 다카키
Original Assignee
이리소 일렉트로닉스 컴패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리소 일렉트로닉스 컴패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이리소 일렉트로닉스 컴패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800524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24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08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08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1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correct or full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8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manually by rotating or pivoting connector housing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속대상물이 완전히 삽입된 것을 삽입 조작시의 감촉에 의해 확인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접속대상물을 확실하게 걸림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커넥터는 커넥터 본체(10)에 삽입된 회로(1)의 하면에 접촉하면서 탄성변형하고 플렉서블회로(1)가 소정 위치까지 삽입되면 회로(1)의 절결부(1c)에 복원하면서 감합함과 동시에 회로(1)를 앞쪽으로 걸림하는 걸림부(52a)와 걸림부(52a)가 회로(1)에 감합한 상태에서 가압커버(40)를 폐쇄하면, 가압커버(40)에 당접해서 걸림부(52a)의 아래쪽에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부(52b)가 설치된 록크 단자(50) 을 구비하고 있다.
커넥터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프린트 기판 등에 설치되고 복수의 기판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해 사용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러한 종류의 커넥터로서 접속 대상물의 일단을 소정 위치에 삽입할 수 있는 커넥터 본체와 커넥터 본체 내에 서로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단자와 커넥터 본체에 대해서 회동이 자유자재로 가능하도록 설치된 회동 부재를 구비하고, 접속 대상물을 커넥터 본체에 삽입해서 회동 부재를 폐쇄하면 접속 대상물과 각 단자가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한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2006―147271호 참조.).
이 커넥터에는 커넥터 본체에 삽입된 접속 대상물을 반대 삽입방향으로 계지 하는 록크 부재가 설치되어 있어 이 록크 부재는 회동 부재의 폐쇄시에 회동 부재로부터 압압됨으로서 탄성변형하고 접속 대상물에 설치된 절결부에 감합하는 것으로 접속 대상물을 반 삽입방향으로 계지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이 커넥터에서는 회동 부재를 폐쇄했을 때 록크 부재가 접속 대상물의 절결부에 감합해 접속 대상물을 반 삽입방향으로 계지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접 속 대상물의 삽입시에는 접속 대상물을 어느 위치까지 삽입하면 좋을 것인지 확인하지 못하고 접속 대상물이 커넥터 본체에 완전히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 각 단자와 접속 대상물이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경우가 있다. 이때 회동 부재를 폐쇄하기 전에 접속 대상물이 커넥터 본체로부터 빠져나가거나 접속 대상물과 각 단자와의 사이에 위치가 어긋나는 일이 생겨 접촉 불량이 될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 접속 대상물이 완전히 삽입된 것을 삽입 조작시의 감촉에 의해 확인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접속 대상물을 확실하게 걸림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접속 대상물의 일단을 소정 위치에 삽입 가능한 커넥터 본체와 커넥터 본체 내에 서로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단자와 커넥터 본체에 대해서 회동이 자유자재로 가능하도록 설치된 회동 부재와, 커넥터 본체의 단자 배열 방향 양단 측에 설치된 록크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록크 부재에는 커넥터 본체에 삽입된 접속 대상물의 한쪽 면에 접촉하면서 탄성변형하고 접속 대상물이 소정 위치까지 삽입되면 접속 대상물의 양단부에 설치된 절결부에 복원하면서 감합해서 접속 대상물을 반대삽입 방향으로 걸림하는 걸림부와 걸림부가 접속 대상물에 감합한 상태에서 회동 부재를 폐쇄하면 회동 부재에 당접하고 걸림부의 반대감합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부를 설치하고, 접속 대상물을 커넥터 본체에 삽입해서 회동 부재를 폐쇄하면 접속 대상물과 각 단자가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접속 대상물이 소정 위치까지 완전히 삽입되었을 때는 회동 부재에 의해 부세된 록크 부재의 걸림부가 복원하면서 접속 대상물의 절결부에 감합하는 감촉이 접속 대상물을 통하여 얻을 수 있다.
또한, 회동 부재를 폐쇄하면 규제부가 회동 부재에 당접해서 걸림부의 반대감합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는 것으로 록크 부재의 걸림부를 접속 대상물의 걸림부에 항상 감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접속 대상물이 커넥터 본체에 완전히 삽입된 것을 삽입 조작시의 감촉에 의해 확인할 수 있으므로, 접속 대상물이 미완전삽입 상태로 접속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회동 부재를 폐쇄했을 때에는 록크 부재의 걸림부를 접속 대상물의 절결부에 항상 감합시킬 수 있으므로, 접속 대상물을 반대삽입 방향으로 걸림할 수 있어서 접속 대상물이 커넥터 본체로부터 빠져 나가거나 위치가 어긋나는 일이 생겨 접촉 불량이 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1은 커넥터의 경사도, 도 2는 커넥터의 정면도, 도 3은 커넥터의 평면도, 도 4는 플렉서블 케이블의 평면도, 도 5는 제1 및 제2의 단자의 측면도, 도 6은 록크 단자의 측면도, 도 7은 가압커버 개방시에 있어서의 A-A선, B-B선 및 C-C선 화살표방향 단면도, 도 8은 플렉서블 케이블 삽입시에 있어서의 C-C선 화살표방향 단면도, 도 9는 가압커버 폐쇄시에 있어서의 A-A선, B-B선 및 C-C선 화살표방향 단면도이다.
이 커넥터는 접속대상물로서의 플렉서블 회로(1)의 일단을 삽입 가능한 커넥터 본체(10)와 커넥터 본체(10) 내에 서로 폭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제1의 단자(20) 및 복수의 제2의 단자(30)와 커넥터 본체(10)에 대해서 회동이 자유자재로 가능하도록 설치된 회동 부재로서의 가압커버(40)와 커넥터 본체(10)의 단자 배열 방향 양단측에 각각 설치된 록크부재로서의 한 쌍의 록크 단자(50)로 구성되어 있다.
플렉서블 회로(1)는 이른바 플렉서블 프린트 회로(FPC)로 이루어지고, 그 선단측의 위쪽 면에는 복수의 제1의 전기 접점(1a)이 서로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각 제1의 전기 접점(1a) 간의 후단 측에는 복수의 제2의 전기 접점(1b)이 서로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플렉서블 회로(1)의 양측 단부에는 좌우 한 쌍의 절결부(1c)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접속대상물로서는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FFC)이어도 좋다.
커넥터 본체(10)는 합성수지의 성형품으로 이루어지고, 앞면 및 상면 후단측을 개구하고 있다. 즉, 커넥터 본체(10)는 상면부(11), 저면부(12) 및 좌우 측면부(13)로 이루어지고, 앞면 개구부로부터 플렉서블 회로(1)가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커넥터 본체(10)의 앞면 측에는 복수의 제1의 단자홀(10a)이 서로 폭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설치되고 각 제1의 단자홀(10a)에는 각 제1의 단자(20)가 각각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커넥터 본체(10)의 배면 측에는 복수의 제2의 단자홀(10b)이 각각 각 제1의 단자홀(10a) 간에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각 제2의 단자홀(10b)에는 각 제2의 단자(30)가 각각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각 측면부(13)의 앞단 측에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홀(13a)이 설치되고, 각 홀(13a)에는 각각 록크단자(50)가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각 제1의 단자(20)는 도전성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커넥터 본체(10)의 각 제1의 단자홀(10a)에 각각 앞면 측으로부터 압입함으로써 유지되어 있다.
각 제1의 단자(20)는 도 5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략 エ자 형상을 이루고, 서로 상하방으로 간격을 두고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탄성편부(21) 및 고정편부(22)를 가지고 있다.
또한, 고정편부(22)의 앞단에는 기판(A)에 접속되는 접속부(23)가 설치되어 있다.
탄성편부(21)의 선단 측에는 플렉서블 회로(1)의 제1의 전기 접점(1a)에 접촉하는 제1의 접촉부(21a)가 설치되어 있고, 제1의 접촉부(21a)는 아래쪽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탄성편부(21)의 후단 측 상부에는 오목형으로 형성된 걸어맞춤부(21b)가 설치되어 있으며, 걸어맞춤부(21b)는 가압커버(40)의 소정의 개방 위치에서 가압커버(40)에 걸어맞춤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걸어맞춤부(21b)가 가압커버(40)에 걸어맞춤했을 때에는 탄성편부(21)의 후단 측이 가압커버(40)에 의해 아래쪽으로 가압됨으로써 탄성편부(21)가 탄성변형한다.
이 경우 제1의 접촉부(21a)를 포함하는 탄성편부(21)의 앞단측은 위쪽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편부(22)의 선단 측에는 플렉서블 회로(1)가 그 상하면을 반대로 한 상태에서 커넥터 본체(10)에 삽입되었을 때에 제2의 전기 접점(1b)에 접촉하는 제2의 접촉부(22a)가 설치되어 있고, 제2의 접촉부(22a)는 위쪽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의 접촉부(21a) 및 제2의 접촉부(22a)의 상하방향의 간극(D1)은 그 치수가 플렉서블 회로(1)의 두께 치수보다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각 제2의 단자(30)는 도전성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커넥터 본체(10)의 각 제2의 단자홀(10b)에 각각 배면측으로부터 압입함으로써 유지되어 있다.
각 제2의 단자(30)는 도 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략 ‘エ’자 형상을 이루고, 서로 상하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탄성편부(31) 및 고정편부(32)를 갖추고 있다.
또한, 고정편부(32)의 후단에는 기판(A)에 접속되는 접속부(33)가 설치되어 있다. 탄성편부(31)의 선단 측에는 플렉서블 회로(1)의 제2의 전기 접점(1b)에 접촉하는 제1의 접촉부(31a)가 설치되어 있고 제1의 접촉부(31a)는 아래쪽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탄성편부(31)의 후단측 상부에는 오목형으로 형성된 걸어맞춤부(31b)가 설치되어 있고 걸어맞춤부(31b)는 가압커버(40)의 상기 개방위치에서 가압커버(40)에 걸어맞춤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걸어맞춤부(31b)가 가압커버(40)에 걸어맞춤했을때는 탄성편부(31)의 후단측이 가압커버(40)에 의해 아래쪽으로 가압됨으로써 탄성편부(31)가 탄성변형한다.
이 경우 제1의 접촉부(31a)를 포함하는 탄성편부(31)의 앞단측은 위쪽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편부(32)의 선단 측에는 플렉서블 회로(1)가 그 상하면을 반대로 한 상태에서 커넥터 본체(10)에 삽입되었을 때에 제1의 전기접점(1a)에 접촉하는 제2의 접촉부(32a)가 설치되어 있고 제2의 접촉부(32a)는 위쪽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고정편부(32)의 후단 측에는 가압커버(40)를 회동이 자유자재로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베어링부(32b)가 설치되고, 베어링부(32b)는 아래쪽으로 개방된 대략 반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의 접촉부(31a) 및 제2의 접촉부(32a)의 상하방향의 간극(D1)은 제1의 단자(20)와 같이 형성되어 있다.
가압커버(40)는 합성수지의 성형품으로 이루어지고 커넥터 본체(10)의 상면 후단측을 위쪽에서 덮도록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가압커버(40)의 앞단 측에는 각 제1의 단자(20)의 탄성편부(21)를 삽통(揷通:삽입되어 통과함) 가능한 복수의 제1의 삽통공(41)과 각 제2의 단자(30)의 탄성편부(31)를 삽통 가능한 복수의 제2의 삽통공(42)이 설치되어 있고, 각 제2의 삽통공(42)에는 각 제2의 단자(30)의 베어링부(32b)에 지지되는 회동축(42a)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각 제1의 삽통공(41)에는 가압커버(40)가 폐쇄되었을 때에 각 제1의 단자(20)의 탄성편부(21)의 하면 후단측에 당접하는 제1의 당접부(41a)가 설치굄과 동시에 각 제2의 삽통공(42)에는 가압커버(40)가 폐쇄되었을 때에 각 제2의 단자(30)의 탄성편부(31)의 하면 후단측에 당접(當接:접촉하여 맞닿음)하는 제2의 당접부(42b)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가압커버(40)의 폭 방향 양단측은 가압커버(40)가 폐쇄되었을 때에 록크단자(50)의 하면에 당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각 록크단자(50)는 탄성을 가지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넥터 본체(10)의 측면부(13)의 홀(13a)에 삽입되는 고정편(51)과 고정 편(51)의 앞단측 상부에서 뒤쪽을 향해서 연장됨과 동시에 상하방향으로 탄성변형 가능하게 형성된 탄성편(52)을 갖추고 있다.
탄성편(52)의 상면 중앙부에는 위쪽으로 돌출하는 걸림부(52a)가 설치되어 있고 걸림부(52a)의 앞단부는 뒤쪽을 향해서 오름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탄성편(52)의 후단측에는 가압커버(40)를 폐쇄했을 때에 가압커버(40)에 위쪽으로부터 당접하는 규제부(52b)가 설치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커넥터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판(A)에 설치되고 가압커버(40)를 개방하면 플렉서블 회로(1)를 커넥터 본체(10)에 빼고 꽂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커넥터에 있어서는 도 7(a) 및 도 7(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압커버(40)를 개방방향, 즉 앞쪽으로 회동하면 전개 위치(전폐위치로부터 약 90°회동 시킨 위치)에서 가압커버(40)의 후단측이 각 단자(20,30)의 걸어맞춤부(21b, 31b)에 걸어맞춤한다.
그 때, 각 단자(20,30)의 탄성편부(21,31)의 후단측이 가압커버(40)에 의해 아래쪽으로 가압되고 각 단자(20,30)의 탄성편부(21,31)의 앞단측이 상승한다.
이때 각 제1의 단자(20){각 제2의 단자(30)에 대해서도 같다}의 제1의 접촉부(21a) 및 제2의 접촉부(22a)간의 상하방향의 치수(D2)가 플렉서블 회로(1)의 두께 치수보다 커지고 플렉서블 회로(1)를 커넥터 본체(10)에 삽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으로 도 8(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렉서블 회로(1)를 커넥터 본체(10)에 삽입하면 플렉서블 회로(1)의 선단의 폭방향 양단측이 각 록크단자(50)의 걸림부(52a)에 당접한다.
그리고 도 8(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렉서블 회로(1)를 더욱 커넥터 본체(10)의 뒤쪽을 향해 삽입하면 각 록크 단자(50)의 탄성편(52)이 아래쪽으로 탄성변형한다.
이 경우 걸림부(52a)는 그 앞단부가 플렉서블 회로(1)의 하면에 당접하면서 플렉서블 회로(1)를 커넥터 본체(10)의 뒤쪽으로 안내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도 8(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렉서블 회로(1)를 커넥터 본체(10)의 뒤쪽을 향해 삽입하면, 각 록크 단자(50)의 걸림부(52a)는 위쪽으로 복원하면서 플렉서블 회로(1)의 각 절결부(1c)에 감합한다.
이때 걸림부(52a)가 플렉서블 회로(1)의 각 절결부(1c) 에 감합하는 감촉이 플렉서블 회로(1)를 통해서 외부에 전달된다.
또, 각 록크 단자(50)의 걸림부(52a)는 플렉서블 회로(1)의 각 절결부(1c)에 감합하면 플렉서블 회로(1)의 반대삽입방향, 즉 앞쪽으로의 이동을 규제한다.
그리고, 걸림부(52a)가 플렉서블 회로(1)의 각 절결부(1c)에 감합한 후 가압커버(40)를 폐쇄 방향으로 회동하면 각 제1의 단자(20)는 도 9(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압커버(40)에 의한 가압이 해제됨으로써 복원한다.
이 경우 탄성편부(21)의 제1 접촉부(21a)가 아래쪽으로 이동해서, 플렉서블 회로(1)의 제1의 전기 접점(1a)에 접촉한다.
또한, 도 9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제2의 단자(30)의 제1의 접촉부(31a)는 아래쪽으로 이동해서 플렉서블 회로(1)의 제2의 전기 접점(1b)에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플렉서블 회로(1)와 기판(A)이 각 단자(20,30)를 통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가압커버(40)를 폐쇄했을 때에는 가압커버(40)의 각 제1의 당접부(41a)가 각 제1의 단자(20)의 탄성편부(21)의 하면 후단측에 당접함과 동시에 각 제2의 당접부(42b)가 각 제2의 단자(30)의 탄성편부(31)의 하면 후단측에 당접한다.
이에 따라, 탄성편부(21,31)의 탄성변형이 규제되는 것으로부터 각 단자(20,30) 제 1의 접촉부(21a,31a)가 플렉서블 회로(1)로부터 이간하고, 접촉 불량이 되는 일이 없다.
그리고, 도 9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록크 단자(50) 의 규제부(52b)의 하면에는 가압 커버(50)의 기단측이 당접하고 있는 것으로부터 규제부(52b)의 아래쪽 에의 이동이 규제된다.
이 경우, 걸림부(52a)의 아래쪽에의 이동도 규제되는 것으로부터 가압커버(40)의 폐쇄시에는 단자(50)의 걸림부(52a)를 플렉서블 회로(1)의 절결부(1c)에 항상 감합시킬 수 있어 플렉서블 회로(1)를 확실하게 걸림할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커넥터에 의하면 록크 단자(50)를 커넥터 본체(10)의 단자 배열 방향 양단 측에 구비하고 록크 단자(50)에는 커넥터 본체(10)에 삽입된 플렉서블 회로(1)의 하면에 접촉하면서 탄성변형하고, 플렉서블 회로(1)가 소정 위치까지 삽입되면 플렉서블 회로(1)의 양단부에 설치된 절결부(1c)에 복원하면서 감합해 플렉서블 회로(1)를 앞쪽으로 걸림하는 걸림부(52a)와, 걸림부(52a)가 플렉서블 회로(1)에 감합한 상태에서 가압커버(40)를 폐쇄하면, 가압커버(40)에 당접해서 걸림부(52a)의 아래쪽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부(52b)를 설치하였기 때문에 플렉서블 회로(1)가 커넥터 본체(10)에 완전히 삽입된 것을 삽입 조작시의 감촉에 의해 확인할 수 있어 커넥터 본체(10)가 미완전삽입 상태로 접속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가압커버(40)를 폐쇄했을 때는 록크 단자(50) 의 걸림부(52a)를 플렉서블 회로(1)의 절결부(1c)에 항상 감합시킬 수 있으므로, 플렉서블 회로(1)를 앞쪽으로 걸림할 수 있어 플렉서블 회로(1)가 커넥터 본체(10)로부터 빠져 나가거나 위치가 어긋나서 접촉 불량이 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걸림부(52a)의 앞단부를 커넥터 본체(10)의 뒤쪽을 향해 오름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했으므로, 플렉서블 회로(1)를 커넥터 본체(10)의 뒤쪽으로 안내할 수 있다. 따라서, 플렉서블 회로(1)를 커넥터 본체(10)에 삽입할 때, 플렉서블 회로(1)의 선단이 걸림부(52a)의 앞단부에 당접함으로써 삽입을 방해받는 일이 없으므로, 플렉서블 회로(1)를 커넥터 본체(10)의 뒤쪽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가 있다.
그리고 각 단자(20,30)를 가압커버(40)가 소정의 개방 위치까지 회동하면 각 단자(20,30)의 후단측이 가압커버(40)에 가압됨으로써 각 단자(20,30)의 앞단측이 위쪽으로 탄성변형함과 동시에 가압커버(40)를 폐쇄하면 각 단자(20,30)의 앞단측이 아래쪽에 복원해서 플렉서블 회로(1)에 접촉하도록 형성했으므로, 가압커버(40) 개방시에 있어서의 각 단자(20,30)의 앞단측의 간극(D2)을 가압커버(40)폐쇄시의 간극(D1)보다 크게 형성할 수 있고 플렉서블 회로(1)를 용이하게 삽입할 수가 있다.
그리고 또한, 각 단자(20,30)를 가압커버(40)를 폐쇄하면 탄성편부(21,31)의 하면 후단측이 가압커버(40)에 당접함으로써 탄성편부(21,31)의 앞단측의 위쪽으로의 탄성변형을 규제하도록 형성했으므로, 가압커버(40)를 폐쇄했을 때에 각 단자(20,30)의 제1의 접촉부(21a,31a)가 각 단자(20,30)의 탄성변형에 의해 플렉서블 회로(1)로부터 이간하고 접촉 불량이 되는 일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한 구체적인 예에 지나지 않고 본 발명이 상기 실시 형태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각 전기 접점(1a,1b)이 설치된 면을 상면으로 해서 플렉서블 회로(1)를 커넥터본체(10)에 삽입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했는데, 각 전기 접점(1a,1b)이 설치된 면을 하면으로 해서 플렉서블 회로(1)를 커넥터 본체(10)에 삽입해도 좋다.
이 경우, 각 전기 접점(1a,1b)은 각각 제2의 단자(30)의 제2의 접촉부(32a)와 제1의 단자(20)의 제2의 접촉부(22a)에 접촉함으로써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가압커버가압커버가압커버가압커버(20,30)의 제1의 접촉부 (21a,31a)는 플렉서블 회로(1)의 상면{각 전기 접점(1a,1b)이 설치되지 않은 면}에 당접함과 동시에 플렉서블 회플렉서블 회 제2의 접촉부(22a,32a)측에 가압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커넥터의 경사도,
도 2는 커넥터의 정면도,
도 3은 커넥터의 평면도,
도 4는 플렉서블 케이블의 평면도,
도 5는 제1 및 제2의 단자의 측면도,
도 6은 록크단자의 측면도,
도 7은 가압커버 개방시에 있어서의 A-A선, B-B선 및 C-C선 화살표방향 단면도,
도 8은 플렉서블 케이블 삽입시에 있어서의 C-C선 화살표방향 단면도,
도 9는 가압커버 폐쇄시에 있어서의 A-A선, B-B선 및 C-C선 화살표방향 단면도이다.

Claims (4)

  1. 접속 대상물의 일단을 소정 위치에 삽입 가능한 커넥터 본체와
    커넥터 본체내에 서로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단자와
    커넥터 본체에 대해서 회동이 자유자재로 가능하도록 설치된 회동 부재와
    커넥터 본체의 단자 배열 방향 양단 측에 설치된 록크 부재를 갖추고,
    상기 록크 부재에는 커넥터 본체에 삽입된 접속 대상물의 한쪽의 면에 접속하면서 탄성 변형하고, 접속 대상물이 소정 위치까지 삽입되면 접속 대상물의 양단부에 설치된 절결부에 복원하면서 감합해서 접속 대상물을 반대삽입 방향으로 걸림하는 걸림부와
    걸림부가 접속 대상물에 감합한 상태에서 회동 부재를 폐쇄하면 회동 부재에 당접해서 걸림부의 반대감합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부를 설치하고
    접속 대상물을 커넥터 본체에 삽입해서 회동 부재를 폐쇄하면 접속 대상물과 각 단자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의 앞단부를 커넥터 본체의 뒤쪽을 향해서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한 커넥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 단자를 회동 부재가 소정의 개방 위치까지 회동하면 회동 부재에 가압되면서 접속 대상물과의 반대접속 방향으로 탄성변형함과 동시에 회동 부재를 폐쇄하면 접속 대상물과의 접촉 방향으로 복원해서 접속 대상물에 접촉하도록 형성한 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각 단자를 회동 부재를 폐쇄했을 때 회동 부재에 당접해서 접속 대상물과의 반대접촉 방향으로의 탄성변형을 규제하도록 형성한 커넥터.
KR1020070126486A 2006-12-07 2007-12-07 커넥터 KR1013108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330925A JP4951321B2 (ja) 2006-12-07 2006-12-07 コネクタ
JPJP-P-2006-00330925 2006-12-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2488A true KR20080052488A (ko) 2008-06-11
KR101310819B1 KR101310819B1 (ko) 2013-09-25

Family

ID=39606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6486A KR101310819B1 (ko) 2006-12-07 2007-12-07 커넥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951321B2 (ko)
KR (1) KR101310819B1 (ko)
CN (1) CN101222093B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9482A (ko) * 2009-03-31 2010-10-08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KR20170000961U (ko) * 2015-09-04 2017-03-14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단자체결 식별부를 구비한 정션블록
EP3525290A1 (en) * 2013-04-18 2019-08-14 Amphenol FCI Asia Pte. Ltd. Low profile circuit board connector
CN111541071A (zh) * 2019-02-07 2020-08-14 泰科电子日本合同会社 连接器组件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30478B2 (ja) * 2009-02-20 2013-07-10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5327461B2 (ja) * 2009-05-13 2013-10-30 第一精工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JP4945006B1 (ja) * 2011-09-26 2012-06-06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5526115B2 (ja) * 2011-12-16 2014-06-18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5054845B1 (ja) * 2012-01-19 2012-10-24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5790681B2 (ja) 2013-03-13 2015-10-07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6887666B2 (ja) * 2017-03-24 2021-06-16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6976230B2 (ja) * 2018-07-27 2021-12-08 京セラ株式会社 ケーブル用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94555U (ko) * 1990-01-17 1991-09-26
JPH08180940A (ja) * 1994-12-22 1996-07-12 Amp Japan Ltd 電気コネクタ
JPH10154556A (ja) * 1996-11-25 1998-06-09 Omron Corp コネクタ
JP2000030784A (ja) * 1998-05-08 2000-01-28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 Ltd 電気コネクタ
JP3484659B2 (ja) * 2001-03-09 2004-01-0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4479989B2 (ja) * 2003-08-29 2010-06-09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4054741B2 (ja) * 2003-09-26 2008-03-05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低背型fpc用zifコネクタ
CN2749111Y (zh) * 2004-09-09 2005-12-28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JP4708001B2 (ja) * 2004-11-18 2011-06-22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06202606A (ja) * 2005-01-20 2006-08-03 Avenir Electronics International Co Ltd コネクタ
JP4595559B2 (ja) * 2005-01-26 2010-12-08 オムロン株式会社 コネクタ
JP4044939B2 (ja) * 2005-03-24 2008-02-06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7621768B2 (en) * 2005-05-24 2009-11-24 Ddk Ltd. Space saving miniature connector for electric devices
JP4429246B2 (ja) * 2005-09-30 2010-03-10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平型ケーブル用電気コネクタ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9482A (ko) * 2009-03-31 2010-10-08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EP3525290A1 (en) * 2013-04-18 2019-08-14 Amphenol FCI Asia Pte. Ltd. Low profile circuit board connector
KR20170000961U (ko) * 2015-09-04 2017-03-14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단자체결 식별부를 구비한 정션블록
CN111541071A (zh) * 2019-02-07 2020-08-14 泰科电子日本合同会社 连接器组件
CN111541071B (zh) * 2019-02-07 2024-03-15 泰科电子日本合同会社 连接器组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951321B2 (ja) 2012-06-13
JP2008146935A (ja) 2008-06-26
KR101310819B1 (ko) 2013-09-25
CN101222093B (zh) 2012-05-23
CN101222093A (zh) 2008-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0819B1 (ko) 커넥터
JP5084244B2 (ja) コネクタ
JP4755539B2 (ja) コネクタ
US7530831B2 (en) Electrical connector
KR101161852B1 (ko) 커넥터
KR20180066822A (ko) 커넥터 장치
US8651885B2 (en) Board connector
KR20120027007A (ko) 커넥터
TWI595707B (zh) 連接器
WO2007094149A1 (ja) コネクタ
US20070207643A1 (en) Connector
US8936487B2 (en) Connector with pressing plate
TWI515976B (zh) 連接器
JP2013175395A (ja) コネクタ
US11322874B2 (en) Connector
JP2002042939A (ja) フレキシブル基板用コネクタ
JP4800404B2 (ja) 電気コネクタ
JP4748674B2 (ja) コネクタ
US7311547B2 (en) Connector for cable
US11677179B2 (en) Sealed FFC electrical connectors
US20240088602A1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JP2009021173A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