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8042A - 리어홀더 및 커넥터 - Google Patents

리어홀더 및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8042A
KR20220088042A KR1020200178676A KR20200178676A KR20220088042A KR 20220088042 A KR20220088042 A KR 20220088042A KR 1020200178676 A KR1020200178676 A KR 1020200178676A KR 20200178676 A KR20200178676 A KR 20200178676A KR 20220088042 A KR20220088042 A KR 202200880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housing
fastening piece
connector
j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86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남두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786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88042A/ko
Publication of KR202200880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80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어홀더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이다. 리어홀더(20)는 커넥터의 하우징(10) 후단에 형성된 체결턱(18)에 체결편(30)이 체결되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리어홀더(20)는 커넥터의 하우징(10)의 터미널설치공간(16)에 설치된 터미널이 후방으로 밀리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체결턱(18)에는 제1걸이돌기(18')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체결편(30)의 상기 제1걸이돌기(18')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제2걸이돌기(33)가 돌출형성되어 상기 제1걸이돌기(18')에 상기 제2걸이돌기(33)가 걸어질 수 있다. 상기 체결편(30)에는 홈(36)이 형성되어 연결목(37)이 만들어지고, 상기 연결목(37)을 중심으로 상기 체결편(30)은 탄성변형이 발생하면서 체결편(30)이 상기 하우징(10)의 체결턱(18)에 안착된 상태가 잘 유지될 수 있다.

Description

리어홀더 및 커넥터{Rearholder and connecto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리어홀더 및 이 리어홀더를 가진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는 외관과 골격을 하우징이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은 절연재질로 만들어지고, 그 내부에 터미널이 설치된다. 상기 터미널은 도전성 재질로 만들어 진다. 상기 터미널의 후단에는 하우징의 외부로 연장된 와이어가 연결된다. 이와 같은 커넥터는 상대 커넥터와 결합됨에 의해 와이어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상기 터미널이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터미널은 커넥터들이 서로 결합될 때, 결합되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한다. 이들 터미널이 결합되는 과정에서 상기 터미널이 하우징에 고정되어 있지 않으면, 터미널이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터미널이나 하우징에 랜스를 두어서 터미널이 하우징 내에 지지되어 있도록 한다.
하지만, 상기 랜스를 둘 수 없거나, 랜스를 두더라도 터미널을 보다 확실하게 지지하기 위해서는 리어홀더를 하우징의 후단에 설치한다. 리어홀더는 커넥터의 하우징 후단에 탄성변형가능한 체결편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에 체결턱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턱에 상기 체결편이 걸어져서 체결상태를 유지된다. 하지만, 상기 체결편과 체결턱이 걸어지는 부분은 모두 평면으로 되어 있어 서로 평면이 마주보는 상태이다. 따라서 외력이 체결편에 작용하는 경우에 체결편이 체결턱에서 빠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편은 전체가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외팔보 형상이고, 다수개가 리어홀더 둘레에 형성되어 하우징에 각각 체결된다. 따라서, 리어홀더를 하우징에서 분리하기 위해서는 다수개의 체결편의 체결상태를 순차적으로 분리해야 한다. 하지만, 체결편의 체결상태를 해제하다보면 앞서 체결상태가 해제된 체결편이 다시 하우징의 체결턱에 걸어져 버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 10-1448785 호 한국 공개특허 제 10-2008-0114337 호
본 발명의 목적은 커넥터의 하우징에 견고하게 체결되는 리어홀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하우징에서 리어홀더의 체결편이 체결해제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는 리어홀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서는 리어홀더의 체결편에 홈을 형성함에 의해 연결목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연결목의 부분은 체결편이 연결목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 회전된 상태에서 탄성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체결편을 체결턱에서 분리하는 작업이 상대적으로 용이하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일측이 터미널의 후단을 지지하는 홀더몸체와, 상기 홀더몸체의 일측에서 돌출되고 내부를 와이어가 관통하는 와이어안내부와, 상기 홀더몸체의 타측에서 연장되고 커넥터 하우징의 외면에 있는 체결턱이 위치되는 체결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턱에 걸어지는 체결편과, 상기 체결공간의 양측에 해당되는 상기 체결편에 홈이 형성되어 만들어지는 연결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편과 교대로 상기 홀더몸체의 타측에서 연장되어 커넥터 하우징의 외면에 안착되는 장착가이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체결편과 장착가이드의 사이에는 리브슬롯이 형성되어 커넥터 하우징의 표면에 형성된 보호리브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체결편의 선단에 해당되는 체결바아에는 상기 체결공간의 내면에 해당되는 위치에 제2걸이돌기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걸이돌기는 상기 체결공간의 내부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커넥터의 하우징에 형성된 제1걸이돌기의 경사면과 대응될 수 있다.
상기 체결바아의 외측에는 체결편이 커넥터 하우징에 장착되었을 때 하우징의 표면과의 사이에 틈새를 형성하는 공구경사면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내부를 관통하여 터미널이 설치되는 터미널안착공간이 형성되고 외면 일측에 체결턱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터미널이 터미널안착공간에서 후방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는 홀더몸체와 상기 홀더몸체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상기 체결턱에 걸어지는 체결편을 구비하는 리어홀더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체결편에는 상기 체결턱이 위치되는 체결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간의 양단에 해당되는 상기 체결편에 홈이 형성되어 만들어지는 연결목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리어홀더에는 상기 홀더몸체의 타측에서 돌출되고 내부를 와이어가 관통하는 와이어안내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체결편과 교대로 상기 홀더몸체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커넥터 하우징의 외면에 안착되는 장착가이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체결편과 장착가이드의 사이에는 리브슬롯이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표면에 형성된 보호리브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체결턱에는 제1걸이돌기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체결편의 선단에 해당되는 체결바아에는 상기 체결공간의 내면에 해당되는 위치에 상기 제1걸이돌기에 걸어지는 제2걸이돌기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걸이돌기에는 상기 체결공간의 내부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1걸이돌기에는 상기 제2걸이돌기의 경사면과 대응되게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바아의 외측에는 체결편이 커넥터 하우징에 장착되었을 때 하우징의 표면과의 사이에 틈새를 형성하는 공구경사면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리어홀더 및 커넥터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리어홀더는 체결편의 체결공간 내에 체결바아에서 돌출된 제2걸이돌기를 가지고 있다. 상기 제2걸이돌기는 하우징의 체결턱에 형성된 제1걸이돌기에 걸어지는데, 상기 체결편이 하우징의 체결턱에서 분리되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상기 제1걸이돌기와 제2걸이돌기가 협력하여 규제하므로, 상기 체결편이 탄성변형되도록 불의의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체결편이 하우징의 체결턱에서 빠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리어홀더가 하우징에 체결되어 설치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어홀더의 체결편에는 체결편의 다른 부분보다 두께가 얇은 연결목을 두었다. 상기 연결목은 상기 체결편의 자유단부가 상기 하우징의 체결턱에서 분리된 위치에 있을 정도까지 탄성변형이 거의 없이도 연결목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 회전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체결편이 하우징의 체결턱에 있는 제1걸이돌기에서 분리되어 상기 체결턱 상면에 안착된 상태가 되더라도 상기 체결편은 다시 복원되려는 복원력을 거의 발생시키지 않게 되어, 다수개의 체결편을 순차적으로 체결턱에서 분리하여 리어홀더를 하우징에서 쉽게 분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리어홀더의 바람직한 실시례가 적용된 커넥터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커넥터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례의 중요부 구성을 보인 단며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례의 리어홀더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례에서 리어홀더의 체결편이 하우징의 체결턱 상면에 안착된 상태를 보인 동작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 실시례의 리어홀더와 커넥터의 구성을 설명한다.
커넥터의 외관과 골격을 하우징(10)이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은 절연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은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는 내부공간(1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부공간(12)은 상기 하우징(10)의 선단으로 개방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의 형상은 도면에 도시된 것 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될 수 있다. 사용되는 터미널(도시되지 않음)의 개수에 따라서 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2개의 터미널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내부공간(12)에는 터미널설치부(14)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터미널설치부(14)의 내부와 하우징(10)을 관통하여서는 터미널설치공간(16)이 형성될수 있다. 상기 터미널설치공간(16)에는 터미널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터미널은 도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터미널은 일반적으로 금속재질로 만들어 질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의 후측 외면을 둘러서는 아래에서 설명될 리어홀더(20)의 체결을 위한 체결턱(18)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턱(18)은 상기 하우징(10)의 외면을 둘러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턱(18)의 상면은 소정 면적을 가지는 평면으로 될 수 있고, 상기 체결턱(18)에서 하우징(10)의 후단을 향해서 하향 경사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체결턱(18)의 하향 경사는 하우징(10)의 후방에서 아래에서 설명될 리어홀더(20)를 장착하는 것이 원활하게 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체결턱(18)의 일단에는 제1걸이돌기(18')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걸이돌기(18')는 상기 체결턱(18)의 일면에서 하우징의 선단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걸이돌기(18')는 선단으로 갈수록 횡단면적이 좁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걸이돌기(18')에는 상기 하우징(10)의 표면과 마주보는 부분이 경사지게 형성되고 반대쪽은 상기 체결턱(18)의 상면과 같은 평면으로 될 수 있다. 상기 제1걸이돌기(18')의 선단은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걸이돌기(18')는 아래에서 설명될 리어홀더(20)의 체결바아(32)를 걸어서 불의의 외력이나 충격력에 의해 빠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제1걸이돌기(18')는 상기 체결턱(18) 일단의 절반 정도의 면적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작업자가 일정 이상의 힘을 가하면 리어홀더(20)를 분리하기에 어렵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체결턱(18)의 폭방향 양측에는 상기 체결턱(1 8)과 소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 보호리브(19)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호리브(19)는 상기 체결턱(18)에 걸어진 아래에서 설명될 체결편(30)에 불의의 외력이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하우징(10)의 후단에 장착되어 터미널이 하우징(10)의 후방으로 빠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리어홀더(20)의 구성을 설명한다. 상기 리어홀더(20)는 본 실시례에서는 2개로 분리되어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리어홀더(20)는 전체가 일체로 될 수도 있다. 상기 리어홀더(20)는 일반적으로 터미널의 갯수에 맞춰서 나눠질 수 있다.
상기 리어홀더(20)는 합성수지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리어홀더(20)의 골격을 홀더몸체(22)가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홀더몸체(22)는 아래에서 설명될 와이어안내부(24)와 장착가이드(28)까지 포함해서 리어홀더(20) 전체를 형성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상기 홀더몸체(22)의 일측이 상기 터미널의 후단을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아래에서 설명될 와이어안내부(24)의 와이어통공(26)의 입구 가장자리에 해당되는 홀더몸체(22) 부분이 터미널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홀더몸체(22)의 후방으로 연장되게 와이어안내부(24)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와이어안내부(24)는 통형상으로 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안내부(24)를 관통하여 와이어통공(2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통공(26)에는 상기 터미널의 후단에 결합된 와이어가 하우징(10)의 후방으로 연장되도록 관통할 수 있다.
상기 홀더몸체(22)의 선단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장착가이드(28)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장착가이드(28)는 리어홀더(20)가 하우징(10)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하우징(10)의 외면을 감싸는 부분이다. 상기 장착가이드(28)는 다수개로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장착가이드(28)는 판형상으로 만들어져 있는데, 일부는 곡면 판으로 될 수 있다. 이는 하우징(10)의 외관형상과 상기 장착가이드(28)의 형상이 대응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장착가이드(28) 사이 사이에는 상기 하우징(10)의 체결턱(18)과 체결되는 체결편(30)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체결편(30)은 상기 하우징(10)의 체결턱(28)과 대응되는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상기 체결편(30)은 외팔보형상으로 중앙을 관통하여 체결공간(3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공간(31)에는 상기 하우징(10)의 체결턱(18)이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체결공간(31)은 본 실시례에서는 체결편(30)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체결공간(31)은 상기 체결편(30)에 홈형상으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상기 체결편(30)의 선단에는 체결바아(32)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체결바아(32)는 상기 체결편(30)의 선단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체결바아(32)의 일측면은 상기 체결공간(31)의 내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체결바아(32)에는 제2걸이돌기(3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걸이돌기(33)는 상기 제1걸이돌기(18')에 걸어지는 부분이다. 상기 제2걸이돌기(33)는 상기 체결바아(32)의 내면에 체결바아(32)의 두께의 절반 이하의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걸이돌기(33)에는 상기 제1걸이돌기(18')를 향해 경사면이 있는데, 이 경사면은 하향 경사를 가져서 상기 제1걸이돌기(18')의 경사면과 마주보게 될 수 있다.
상기 제2걸이돌기(33)가 상기 제1걸이돌기(18')에 걸어짐에 의해 불의의 외력이나 충격력에 의해 상기 체결턱(18)에서 상기 체결바아(32)가 임의로 분리되지 않는다. 하지만 작업자는 상기 제2걸이돌기(33)가 상기 제1걸이돌기(18')에서 빠져나오도록 하기 위해 일정 이상의 힘을 가하면 된다. 이는 상기 제1걸이돌기(18')의 경사면과 상기 제2걸이돌기(33)의 경사면이 서로 마주보고 있기 때문이다.
상기 체결편(30)의 선단 일측에는 공구경사면(35)이 있을 수 있다. 상기 공구경사면(35)은 일종의 쳄퍼와 같은 형태이다. 상기 공구경사면(35)은 상기 체결편(30)과 상기 하우징(10)의 표면 사이에 틈새를 형성하여 공구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체결편(30)과 상기 홀더몸체(22)의 사이에는 홈(3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홈(36)은 상기 체결편(30)에서 상기 체결공간(31)의 양측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홈(36)이 형성됨에 의해 상기 체결편(30)에는 연결목(37)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목(37)의 부분은 상기 체결편(30)의 다른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게 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연결목(37)이 상기 홈(36)이 형성됨에 의해 만들어지기 때문이다.
상기 홈(36)이 있음으로 해서 상기 체결편(30)은 어느 정도까지는 상기 연결목(37)을 기준으로 휘어질 수 있다. 상기 연결목(37)의 탄성변형이 최소화된 상태로 상기 체결편(30)이 상기 연결목(37)을 기준으로 들어올려질 수 있다.
상기 체결편(30)과 상기 장착가이드(28)는 교대로 형성되는데, 상기 체결편(30)과 장착가이드(28)의 사이에는 리브슬롯(39)이 있어서 상기 체결편(30)이 장착가이드(28)와 분리되어 탄성변형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리브슬롯(39)에는 상기 하우징(10)의 보호리브(19)가 위치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리어홀더와 이를 구비한 커넥터가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리어홀더(20)는 상기 하우징(10)에 있는 체결턱(18)에 걸어져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리어홀더(20)는 상기 터미널안착공간(16)에 안착되는 터미널에 연결된 와이어에 미리 끼워져 있다. 상기 터미널은 상기 리어홀더(20)가 상기 와이어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터미널안착공간(16)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터미널이 상기 터미널안착공간(16)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리어홀더(20)는 상기 와이어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하우징(10)의 후단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리어홀더(20)의 체결편(30)은 상기 하우징(10)의 외면을 따라 이동하다가 상기 체결편(30) 선단의 체결바아(32)가 상기 체결턱(18)을 만나면 상기 체결턱(18)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체결바아(32)가 상기 체결턱(18)에 안내되어 상기 제1걸이돌기(18')를 상기 제2걸이돌기(33)가 타고 넘게 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걸이돌기(18')에 상기 제2걸이돌기(33)가 걸어지고 상기 리어홀더(20)의 체결편(30)은 탄성변형된 상태에서 복원되어 상기 하우징(10)의 외면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체결편(30)의 제2걸이돌기(33)가 상기 하우징(10)의 체결턱(18)에 형성된 제1걸이돌기(18')에 걸어진 상태는 상기 체결편(30)이 상기 체결턱(18)에서 외력(불의의 외력 또는 충격력)에 의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1걸이돌기(18')와 제2걸이돌기(33)가 일정 길이만큼 겹치도록 걸어지기 때문이다.
한편, 작업자가 상기 리어홀더(20)를 상기 하우징(10)에서 분리하기 위해서는 상기 체결편(30)들이 모두 상기 체결턱(18)에서 분리되도록 하여야 한다. 상기 체결편(30)을 상기 체결턱(18)에서 분리하기 위해서는 공구를 상기 공구경사면(35)과 하우징(10)의 표면 사이로 넣어서 상기 체결편(30)의 체결바아(32)를 들어 올린다.
상기 체결바아(32)에 공구로 힘을 가하면 상기 체결편(30)이 상기 체결턱(18)에서 분리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걸이돌기(18')에 걸어진 상기 제2걸이돌기(33)를 이동시켜 상기 제1걸이돌기(18')를 넘어서 상기 체결턱(18)의 상면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한다. 이 상태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이때, 상기 체결편(30)은 상기 연결목(37)을 중심으로 들어올려져 상기 체결턱(18)의 상면에 상기 제2걸이돌기(33)가 얹어진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체결편(30)은 상기 홈(36)의 존재에 의해 상기 연결목(37)의 부분이 약간의 탄성변형만 된 상태로 된다. 따라서, 상기 체결편(30)이 복원되려는 복원력은 그리 크지 않은 상태여서 상기 체결편(30)이 다시 상기 체결턱(18)에 걸어지려는 경향은 크지 않다. 특히 상기 제1걸이돌기(18')와 제2걸이돌기(33)가 존재하므로 상기 체결바아(32)가 상기 체결턱(18)을 타고 넘어 다시 체결턱(18)에 걸어질 수는 없다.
따라서, 작업자는 상기 체결편(30)을 하나 씩 상기 체결턱(18)에서 분리하여 도 5에 도시된 상태로 만들 수 있다. 전체 체결편(30)들이 각각 도 5에 도시된 상태로 되면 상기 리어홀더(20)를 상기 하우징(10)에서 쉽게 분리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리어홀더(20)에 제2걸이돌기(33)와 연결목(37)이 모두 있는 것으로 되어 있으나, 예를 들면 상기 연결목(37)만 있을 수도 있다. 물론 이 경우에는 불의의 외력에 의한 체결편(30)과 체결턱(18) 사이의 분리는 있을 수 있지만, 각각의 체결편(30)을 체결턱(18)에서 분리된 상태가 그대로 유지되는 것은 가능할 수 있다. 역으로, 상기 연결목(37)이 없이 제2걸이돌기(33)가 있고 하우징(10)의 체결턱(18)에 제1걸이돌기(18')가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0: 하우징 12: 내부공간
14: 터미널설치부 16: 터미널설치공간
18: 체결턱 18': 제1걸이돌기
19: 보호리브 20: 리어홀더
22: 홀더몸체 24: 와이어안내부
26: 와이어통공 28: 장착가이드
30: 체결편 31: 체결공간
32: 체결바아 33: 제2걸이돌기
35: 공구경사면 36: 홈
37: 연결목 39: 리브슬롯

Claims (13)

  1. 일측이 터미널의 후단을 지지하는 홀더몸체와,
    상기 홀더몸체의 일측에서 돌출되고 내부를 와이어가 관통하는 와이어안내부와,
    상기 홀더몸체의 타측에서 연장되고 커넥터 하우징의 외면에 있는 체결턱이 위치되는 체결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턱에 걸어지는 체결편과,
    상기 체결공간의 양측에 해당되는 상기 체결편에 홈이 형성되어 만들어지는 연결목을 포함하는 리어홀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편과 교대로 상기 홀더몸체의 타측에서 연장되어 커넥터 하우징의 외면에 안착되는 장착가이드가 더 구비되는 리어홀더.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편과 장착가이드의 사이에는 리브슬롯이 형성되어 커넥터 하우징의 표면에 형성된 보호리브가 위치되는 리어홀더.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편의 선단에 해당되는 체결바아에는 상기 체결공간의 내면에 해당되는 위치에 제2걸이돌기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리어홀더.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걸이돌기는 상기 체결공간의 내부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커넥터의 하우징에 형성된 제1걸이돌기의 경사면과 대응되는 리어홀더.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바아의 외측에는 체결편이 커넥터 하우징에 장착되었을 때 하우징의 표면과의 사이에 틈새를 형성하는 공구경사면이 더 형성되는 리어홀더.
  7. 내부를 관통하여 터미널이 설치되는 터미널안착공간이 형성되고 외면 일측에 체결턱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터미널이 터미널안착공간에서 후방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는 홀더몸체와 상기 홀더몸체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상기 체결턱에 걸어지는 체결편을 구비하는 리어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편에는 상기 체결턱이 위치되는 체결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간의 양단에 해당되는 상기 체결편에 홈이 형성되어 만들어지는 연결목이 구비되는 커넥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홀더에는 상기 홀더몸체의 타측에서 돌출되고 내부를 와이어가 관통하는 와이어안내부가 더 구비되는 커넥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편과 교대로 상기 홀더몸체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커넥터 하우징의 외면에 안착되는 장착가이드가 더 구비되는 커넥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편과 장착가이드의 사이에는 리브슬롯이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표면에 형성된 보호리브가 위치되는 커넥터.
  11. 제 7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체결턱에는 제1걸이돌기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체결편의 선단에 해당되는 체결바아에는 상기 체결공간의 내면에 해당되는 위치에 상기 제1걸이돌기에 걸어지는 제2걸이돌기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커넥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걸이돌기에는 상기 체결공간의 내부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1걸이돌기에는 상기 제2걸이돌기의 경사면과 대응되게 경사면이 형성되는 커넥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바아의 외측에는 체결편이 커넥터 하우징에 장착되었을 때 하우징의 표면과의 사이에 틈새를 형성하는 공구경사면이 더 형성되는 커넥터.
KR1020200178676A 2020-12-18 2020-12-18 리어홀더 및 커넥터 KR202200880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8676A KR20220088042A (ko) 2020-12-18 2020-12-18 리어홀더 및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8676A KR20220088042A (ko) 2020-12-18 2020-12-18 리어홀더 및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8042A true KR20220088042A (ko) 2022-06-27

Family

ID=82246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8676A KR20220088042A (ko) 2020-12-18 2020-12-18 리어홀더 및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8804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810949A (zh) * 2022-11-11 2023-03-17 东莞市思索技术股份有限公司 电连接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14337A (ko) 2007-06-27 2008-12-3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레버변형방지용 리어홀더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
KR101448785B1 (ko) 2013-06-03 2014-10-08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리어 홀더를 갖는 커넥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14337A (ko) 2007-06-27 2008-12-3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레버변형방지용 리어홀더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
KR101448785B1 (ko) 2013-06-03 2014-10-08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리어 홀더를 갖는 커넥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810949A (zh) * 2022-11-11 2023-03-17 东莞市思索技术股份有限公司 电连接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340730B (zh) 推入夹式保持器、推入夹组件和电连接器元件
KR101655207B1 (ko) 전선 대 기판 커넥터
CN110537298B (zh) 用于插接式连接器的保持框架及其装配方法
US20060166549A1 (en) Wire cover for connectors
US7192318B2 (en) Contact element with spring tongue
US11038289B2 (en) Electrical connector
US10424862B2 (en) Locking structure for terminals and connector
CN107425377B (zh) 连接器
KR20220088042A (ko) 리어홀더 및 커넥터
KR100933260B1 (ko) 잠금 구조, 이 잠금 구조가 마련된 커넥터 및 잠금 해제방법
CN111987521B (zh) 用于插头的包括显示单元的壳体
KR102591645B1 (ko) 커넥터 어셈블리
US6435896B1 (en) Connector with locking piece and ribs configured to prevent penetration of wire below locking piece
KR200437689Y1 (ko) 커넥터
US7959465B2 (en) Contact housing and electrical contact device
KR200449223Y1 (ko) 벌브홀더
KR20130022229A (ko) 커넥터조립체
JP3861088B2 (ja) 雌コネクタへ接続するための雄コネクタ
WO2017154531A1 (ja) コネクタ
EP1420482B1 (en) Contact element with spring tongue
JP2020102333A (ja) 分割コネクタ
KR102499821B1 (ko) 터미널용 리어홀더
KR20220019482A (ko) 커넥터 및 커넥터조립체
KR102567021B1 (ko) 커넥터
KR102520911B1 (ko) 커넥터조립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