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5207B1 - 전선 대 기판 커넥터 - Google Patents

전선 대 기판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5207B1
KR101655207B1 KR1020147025787A KR20147025787A KR101655207B1 KR 101655207 B1 KR101655207 B1 KR 101655207B1 KR 1020147025787 A KR1020147025787 A KR 1020147025787A KR 20147025787 A KR20147025787 A KR 20147025787A KR 101655207 B1 KR101655207 B1 KR 1016552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plug
receptacle
lock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5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38729A (ko
Inventor
테츠 우라노
타카아키 구도
Original Assignee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387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87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52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52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5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cables except for flat or ribbon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3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nected with pivoting of printed circuits or like after inser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01R13/6273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comprising two latching ar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81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another cable except for flat or ribbon cable

Abstract

플러그 하우징(5)의 플러그측면(50a)에는, 클로우부(53)가 형성되어 있다. 클로우부(53)는, 회로 기판(10)의 커넥터 탑재면(10a)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플러그 로크면(60)을 갖는다. 리셉터클 커넥터(3)의 보조 금구(金具; 9)는, 회로 기판(10)의 커넥터 탑재면(10a)에 가까워지는 방향을 향함과 동시에, 끼워맞춤 상태에서 플러그 로크면(60)과 대향하는 리셉터클 로크면(38)을 갖는다. 플러그 로크면(60)은, 로크 유지면(65)과 로크 해제면(66)을 갖는다. 전선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기준면(Q)과 로크 유지면(65)과의 사이의 각도를 로크 유지 각도(θ1)로 하고, 기준면(Q)과 로크 해제면(66)과의 사이의 각도를 로크 해제 각도(θ2)로 하면, 로크 유지 각도(θ1)는 로크 해제 각도(θ2)보다도 작다.

Description

전선 대 기판 커넥터 {ELECTRIC WIRE-TO-SUBSTRATE CONNECTOR}
본 발명은, 전선 대(對) 기판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기술로서, 특허문헌 1은, 본원의 도 29에 나타내는 소켓 커넥터(100)와, 본원의 도 30에 나타내는 베이스 커넥터(101)를 구비한 커넥터를 개시하고 있다.
소켓 커넥터(100)는, 하우징(102)과, 하우징(102)에 걸림되는 복수의 소켓 콘택트(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각 소켓 콘택트에는, 대체로 전방으로 연장되는 리드 선이 부착된다.
베이스 커넥터(101)는, 프린트 기판에 대하여 땜납 접합에 의해 고정된다. 베이스 커넥터(101)는, 하우징(103)과, 하우징(103)에 보유지지(holding)되는 복수의 콘택트(104)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하우징(103)에는, 프린트 기판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개구하는 오목부(105)가 형성되어 있다. 소켓 커넥터(100)는, 베이스 커넥터(101)의 오목부(105)에 대하여, 프린트 기판과 직교하는 삽발(inserting/removing) 방향을 따라 삽발된다.
소켓 커넥터(100)의 하우징(102)의 단면(end face)에는, 한 쌍의 걸림편(106)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 커넥터(101)의 하우징(103)에는, 한 쌍의 끼워맞춤홈(mating groove)(107)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소켓 커넥터(100)와 베이스 커넥터(101)의 연결 상태에 있어서, 소켓 커넥터(100)의 하우징(102)의 한 쌍의 걸림편(106)이, 베이스 커넥터(101)의 하우징(103)의 한 쌍의 끼워맞춤홈(107)과 끼워맞춤한다. 한 쌍의 걸림편(106)과 한 쌍의 끼워맞춤홈(107)은, 소켓 커넥터(100)가 베이스 커넥터(101)에 걸림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로크(lock) 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일본특허공보 제4020907호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의 구성에서는, 리드 선이 프린트 기판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들어올려지면, 소켓 커넥터(100)가 베이스 커넥터(101)로부터 빠져버릴 우려가 있었다. 또한 그 한편으로는, 상황에 따라서 소켓 커넥터(100)를 베이스 커넥터(101)로부터 떼어내고 싶다는 요망도 잠재하고 있다.
본원 발명의 목적은, 전선이 기판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들어올려져도 끼워맞춤(mating)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끼워맞춤 상태를 의도적으로 해제 가능한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원 발명의 제1 관점에 의하면, 전선이 부착되는 플러그(plug) 콘택트와, 상기 플러그 콘택트를 보유지지하는 플러그 하우징을 갖는 플러그 커넥터와, 상기 플러그 콘택트와 대응하는 리셉터클(receptacle) 콘택트와, 상기 리셉터클 콘택트를 보유지지하는 리셉터클 하우징을 갖고, 기판의 커넥터 탑재면에 탑재되는 리셉터클 커넥터를 구비하고,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로 끼워맞춤시킴으로써, 상기 플러그 콘택트가 상기 리셉터클 콘택트에 접촉하는 전선 대 기판 커넥터로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에 끼워맞춤된 상태로서의 끼워맞춤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전선의 상기 플러그 커넥터 근방의 부분인 근방부는,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탑재면을 따라 연장되어 있고,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로 끼워맞춤시키는 방향으로서의 끼워맞춤 방향은,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탑재면에 가까워지는 방향이며, 상기 플러그 하우징은,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측면으로서의 플러그측면을 갖고,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는, 상기 끼워맞춤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측면에 대향하는 측면 대향부를 갖고, 상기 플러그측면에는, 상기 측면 대향부측으로 돌출되는 클로우(claw)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클로우부는,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탑재면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을 향함과 동시에, 상기 끼워맞춤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근방부의 길이 방향으로서 특정되는 전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러그 로크면을 갖고,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상기 측면 대향부는,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탑재면에 가까워지는 방향을 향함과 동시에, 상기 끼워맞춤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 로크면과 대향하는 리셉터클 로크면을 갖고, 상기 플러그 로크면은, 상기 전선 방향 중 상기 플러그 커넥터로부터 상기 전선을 보는 방향으로서의 커넥터 전선 방향측에 배치되는 로크 유지면과, 상기 커넥터 전선 방향과 반대의 방향인 전선 커넥터 방향측에 배치되는 로크 해제면을 갖고, 상기 전선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단면(end face)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측면 중 상기 클로우부보다도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탑재면으로부터 먼 측의 부분인 기준면과 상기 로크 유지면과의 사이의 각도를 로크 유지 각도(θ1)로 하고, 상기 기준면과 상기 로크 해제면과의 사이의 각도를 로크 해제 각도(θ2)로 하면, 로크 유지 각도(θ1)는 로크 해제 각도(θ2)보다도 작은 전선 대 기판 커넥터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로크 해제 각도(θ2)는, 90도보다도 크다.
바람직하게는, 로크 유지 각도(θ1)는, 90도 이하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로크 해제면은, 상기 전선 커넥터 방향을 향함에 따라 상기 플러그측면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져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로크 해제면은, 상기 로크 유지면의, 상기 플러그측면으로부터 먼 측의 모서리(edge)에 접속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클로우부의 상기 전선 커넥터 방향측의 단부(end)에는, 상기 전선 커넥터 방향을 향함에 따라 상기 플러그측면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지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경사면은, 상기 로크 해제면과 접속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측면 대향부는, 로크편 지지부와, 상기 로크편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로크편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기 로크편은, 상기 로크편 지지부에 의해 보유지지되는 로크편 피(被)보유지지부와, 상기 플러그측면에 대향하는 로크편 대향부를 갖는 외팔보(cantilerver)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로크편 대향부는, 상기 플러그측면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변위 가능하고, 상기 리셉터클 로크면은, 상기 로크편 대향부에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측면 대향부는, 상기 로크편 대향부를 사이에 끼우고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탑재면과 반대측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로크편 대향부가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탑재면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변위하는 것을 규제하는 변위 규제부를 갖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로크편 피보유지지부와 상기 로크편 대향부는, 상기 전선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로크편 피보유지지부의 상기 전선 커넥터 방향측의 단부와, 상기 로크편 대향부의 상기 전선 커넥터 방향측의 단부가 연결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플러그 하우징에는, 상기 전선이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탑재면에 가까워지도록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기울이기 위한 해제용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해제용 돌기는,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상기 전선 커넥터 방향측의 단부로부터, 상기 전선 커넥터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본원 발명의 제2 관점에 의하면, 전선이 부착되는 플러그 콘택트와, 상기 플러그 콘택트를 보유지지하는 플러그 하우징을 갖는 플러그 커넥터와, 상기 플러그 콘택트와 대응하는 리셉터클 콘택트와, 상기 리셉터클 콘택트를 보유지지하는 리셉터클 하우징을 갖고, 기판의 커넥터 탑재면에 탑재되는 리셉터클 커넥터를 구비하고,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로 끼워맞춤시킴으로써, 상기 플러그 콘택트가 상기 리셉터클 콘택트에 접촉하는 전선 대 기판 커넥터로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에 끼워맞춤된 상태로서의 끼워맞춤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전선의 상기 플러그 커넥터 근방의 부분인 근방부는,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탑재면을 따라 연장되어 있고,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로 끼워맞춤시키는 방향으로서의 끼워맞춤 방향은,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탑재면에 가까워지는 방향이며, 상기 플러그 하우징은,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측면으로서의 플러그측면을 갖고,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는, 상기 끼워맞춤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측면에 대향하는 측면 대향부를 갖고, 상기 플러그측면에는, 상기 측면 대향부측으로 돌출되는 클로우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클로우부는,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탑재면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을 향함과 동시에, 상기 끼워맞춤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근방부의 길이 방향으로서 특정되는 전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러그 로크면을 갖고,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상기 측면 대향부는,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탑재면에 가까워지는 방향을 향함과 동시에, 상기 끼워맞춤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 로크면과 대향하는 리셉터클 로크면을 갖고, 상기 플러그 로크면은, 상기 전선 방향 중 상기 플러그 커넥터로부터 상기 전선을 보는 방향으로서의 커넥터 전선 방향측에 배치되는 로크 유지면과, 상기 커넥터 전선 방향과 반대의 방향인 전선 커넥터 방향측에 배치되는 로크 해제면을 갖고, 상기 로크 해제면은, 상기 플러그측면으로부터 떨어짐에 따라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탑재면에 가까워지도록 만곡하여 형성되어 있는 전선 대 기판 커넥터가 제공된다.
본원 발명의 제2 관점에 의하면, 전선이 부착되는 플러그 콘택트와, 상기 플러그 콘택트를 보유지지하는 플러그 하우징을 갖는 플러그 커넥터와, 상기 플러그 콘택트와 대응하는 리셉터클 콘택트와, 상기 리셉터클 콘택트를 보유지지하는 리셉터클 하우징을 갖고, 기판의 커넥터 탑재면에 탑재되는 리셉터클 커넥터를 구비하고,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로 끼워맞춤시킴으로써, 상기 플러그 콘택트가 상기 리셉터클 콘택트에 접촉하는 전선 대 기판 커넥터로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에 끼워맞춤된 상태로서의 끼워맞춤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전선의 상기 플러그 커넥터 근방의 부분인 근방부는,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탑재면을 따라 연장되어 있고,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로 끼워맞춤시키는 방향으로서의 끼워맞춤 방향은,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탑재면에 가까워지는 방향이며, 상기 플러그 하우징은,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측면으로서의 플러그측면을 갖고,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는, 상기 끼워맞춤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측면에 대향하는 측면 대향부를 갖고, 상기 플러그측면에는, 상기 측면 대향부측으로 돌출되는 클로우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클로우부는,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탑재면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을 향함과 동시에, 상기 끼워맞춤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근방부의 길이 방향으로서 특정되는 전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러그 로크면을 갖고,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상기 측면 대향부는,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탑재면에 가까워지는 방향을 향함과 동시에, 상기 끼워맞춤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 로크면과 대향하는 리셉터클 로크면을 갖고, 상기 플러그 로크면은, 상기 전선 방향 중 상기 플러그 커넥터로부터 상기 전선을 보는 방향으로서의 커넥터 전선 방향측에 배치되는 로크 유지면과, 상기 커넥터 전선 방향과 반대의 방향인 전선 커넥터 방향측에 배치되는 로크 해제면을 갖고, 상기 전선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측면 중 상기 클로우부보다도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탑재면으로부터 먼 측의 부분인 기준면과 상기 로크 유지면과의 사이의 각도를 로크 유지 각도(θ1)로 하고, 상기 기준면과 상기 로크 해제면과의 사이의 각도를 로크 해제 각도(θ2)로 하면, 로크 유지 각도(θ1)는 로크 해제 각도(θ2)보다도 작고, 상기 측면 대향부는, 로크편 지지부와, 상기 로크편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로크편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기 로크편은, 상기 로크편 지지부에 의해 보유지지되는 로크편 피보유지지부와, 상기 플러그측면에 대향하는 로크편 대향부를 갖는 외팔보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로크편 대향부는, 상기 플러그측면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변위 가능하고,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상기 플러그측면에는, 상기 측면 대향부의 상기 로크편측으로 장출된 장출부(overhanging portion)를 형성하고 있고, 상기 끼워맞춤 상태에서는 상기 장출부와 상기 로크편 대향부의 탄성 변위 가능한 부분이 접촉하고 있는 전선 대 기판 커넥터가 제공된다.
상기 전선이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탑재면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들어올려져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기울면, 상기 로크 유지면이 상기 로크 해제면보다도 우선적으로 상기 리셉터클 로크면에 접촉한다. 한편으로, 상기 전선이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탑재면에 가까워지도록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의도적으로 기울어지면, 상기 로크 해제면이 상기 로크 유지면보다도 우선적으로 상기 리셉터클 로크면에 접촉한다. 따라서,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전선이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탑재면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들어올려지면 상기 플러그 로크면과 상기 리셉터클 로크면과의 대향 관계가 해소되지 않아 상기 끼워맞춤 상태가 유지되기 쉽고, 상기 전선이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탑재면에 가까워지도록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의도적으로 기울어지면 상기 플러그 로크면과 상기 리셉터클 로크면과의 대향 관계가 해소되어 상기 끼워맞춤 상태가 해제되기 쉬워진다. 이에 따라, 상기 전선이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탑재면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들어올려져도 끼워맞춤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끼워맞춤 상태를 의도적으로 해제 가능한 전선 대 기판 커넥터가 실현된다.
도 1은 전선 대 기판 커넥터의 끼워맞춤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제1 실시 형태).
도 2는 전선 대 기판 커넥터의 비(非)끼워맞춤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제1 실시 형태).
도 3은 리셉터클 커넥터의 사시도이다(제1 실시 형태).
도 4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다른 각도로부터 본 사시도이다(제1 실시 형태).
도 5는 리셉터클 하우징의 사시도이다(제1 실시 형태).
도 6은 리셉터클 하우징의 다른 각도로부터 본 사시도이다(제1 실시 형태).
도 7은 리셉터클 하우징의 또 다른 각도로부터 본 사시도이다(제1 실시 형태).
도 8은 도 5의 B부 확대도이다(제1 실시 형태).
도 9는 도 6의 C부 확대도이다(제1 실시 형태).
도 10은 도 7의 D부 확대도이다(제1 실시 형태).
도 11은 보조 금구(assistant fitting)의 사시도이다(제1 실시 형태).
도 12는 보조 금구의 다른 각도로부터 본 사시도이다(제1 실시 형태).
도 13은 리셉터클 커넥터의 조립 설명도이다(제1 실시 형태).
도 14는 도 13의 E부 확대도이다(제1 실시 형태).
도 15는 도 3의 A부 확대도이다(제1 실시 형태).
도 16은 리셉터클 커넥터의 평면도이다(제1 실시 형태).
도 17은 복수의 전선이 부착된 상태의 플러그 커넥터의 사시도이다(제1 실시 형태).
도 18은 복수의 전선이 부착된 상태의 플러그 커넥터의 다른 각도로부터 본 사시도이다(제1 실시 형태).
도 19는 전선이 부착된 상태의 플러그 콘택트의 사시도이다(제1 실시 형태).
도 20은 도 17의 F부 확대도이다(제1 실시 형태).
도 21은 클로우부의 단면을 이미지한 도면이다(제1 실시 형태).
도 22는 도 21에서 특정되는 클로우부의 단면 X이다(제1 실시 형태).
도 23은 도 21에서 특정되는 클로우부의 단면 Y이다(제1 실시 형태).
도 24는 도 21에서 특정되는 클로우부의 단면 Z이다(제1 실시 형태).
도 25는 도 16의 XXV-XXV선 단면도에 상당하고, 플러그 커넥터가 리셉터클 커넥터로 끼워맞춤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제1 실시 형태).
도 26은 도 16의 XXV-XXV선 단면도에 상당하고, 플러그 커넥터가 의도적으로 기울어진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제1 실시 형태).
도 27은 리셉터클 커넥터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8은 로크 해제면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9는 특허문헌 1의 도 5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 30은 특허문헌 1의 도 6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 31은 제1 실시 형태의 전선 대 기판 커넥터의 끼워맞춤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2는 도 31의 G부 확대도이다.
도 33은 복수의 전선이 부착된 상태의 플러그 커넥터의 부분 사시도이다(제2 실시 형태).
도 34는 도 32에 상당하는 도면이다(제2 실시 형태).
도 35는 복수의 전선이 부착된 상태의 플러그 커넥터의 부분 사시도이다(제3 실시 형태).
도 36은 도 34에 상당하는 도면이다(제3 실시 형태).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제1 실시 형태>
(전선 대 기판 커넥터(1))
이하, 도 1∼도 26을 참조하면서, 본원 발명의 제1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선 대 기판 커넥터(1)는, 플러그 커넥터(2)와 리셉터클 커넥터(3)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2)는, 복수의 플러그 콘택트(4)와, 복수의 플러그 콘택트(4)를 보유지지하는 플러그 하우징(5)을 갖고 구성되어 있다. 각 플러그 콘택트(4)에는, 전선(6)이 부착되어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3)는, 복수의 리셉터클 콘택트(7)와, 복수의 리셉터클 콘택트(7)를 보유지지하는 리셉터클 하우징(8)과, 한 쌍의 보조 금구(9)(로크편)를 갖고 구성되어 있다. 각 리셉터클 콘택트(7)는, 각 플러그 콘택트(4)와 대응하고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3)는, 회로 기판(10)(기판)의 커넥터 탑재면(10a)에 탑재되어 이용된다.
그리고,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2)를 리셉터클 커넥터(3)로 끼워맞춤시킴으로써, 각 플러그 콘택트(4)가 각 리셉터클 콘택트(7)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에서, 「전선 방향」 및 「커넥터 높이 방향」, 「커넥터 폭방향」을 정의한다. 「전선 방향」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2)가 리셉터클 커넥터(3)에 끼워맞춤된 상태로서의 끼워맞춤 상태에 있어서, 전선(6)의 플러그 커넥터(2) 근방의 부분인 근방부(6a)의 길이 방향으로서 특정되는 방향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선 대 기판 커넥터(1)가 끼워맞춤 상태에 있을 때, 전선(6)의 근방부(6a)는, 회로 기판(10)의 커넥터 탑재면(10a)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전선 방향은, 회로 기판(10)의 커넥터 탑재면(10a)에 대하여 평행하다고 언급할 수 있다. 「전선 방향」 중, 플러그 커넥터(2)로부터 복수의 전선(6)을 보는 방향을 커넥터 전선 방향으로 하고, 복수의 전선(6)으로부터 플러그 커넥터(2)를 보는 방향을 전선 커넥터 방향으로 한다. 「커넥터 높이 방향」은, 회로 기판(10)의 커넥터 탑재면(10a)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이다. 커넥터 높이 방향은, 전선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고 있다. 「커넥터 높이 방향」 중, 회로 기판(10)의 커넥터 탑재면(10a)에 가까워지는 방향을 「기판 근접 방향」으로 하고, 회로 기판(10)의 커넥터 탑재면(10a)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을 「기판 이간 방향」으로 한다. 「커넥터 폭방향」은, 전선 방향 및 커넥터 높이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이다. 커넥터 폭방향은, 회로 기판(10)의 커넥터 탑재면(10a)에 대하여 평행하다. 「커넥터 폭방향」 중, 전선 대 기판 커넥터(1)의 중앙을 향하는 방향을 「커넥터 폭 중앙 방향」으로 하고, 전선 대 기판 커넥터(1)의 중앙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을 「커넥터 폭 반(反)중앙 방향」으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전선 대 기판 커넥터(1)의 각 구성 요소를 설명할 때에 있어서는, 플러그 커넥터(2)가 리셉터클 커넥터(3)에 끼워맞춤된 상태로서의 끼워맞춤 상태에서 정의한 전선 방향 및 커넥터 높이 방향, 커넥터 폭방향을 그대로 이용하는 것으로 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플러그 커넥터(2)를 리셉터클 커넥터(3)로 끼워맞춤시키는 방향으로서의 끼워맞춤 방향(P)은, 회로 기판(10)의 커넥터 탑재면(10a)에 가까워지는 방향이다. 상세하게 말하면, 끼워맞춤 방향(P)은, 회로 기판(10)의 커넥터 탑재면(10a)에 대하여 직교하고 있다. 따라서, 끼워맞춤 방향(P)은, 기판 근접 방향에 일치하고 있다.
복수의 전선(6)은, 커넥터 폭방향으로 나열되어 배치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복수의 리셉터클 콘택트(7)는, 커넥터 폭방향으로 나열되어 배치되어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3))
다음으로, 도 3∼도 16을 참조하여, 리셉터클 커넥터(3)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3)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리셉터클 콘택트(7)와, 복수의 리셉터클 콘택트(7)를 보유지지하는 리셉터클 하우징(8)과, 한 쌍의 보조 금구(9)를 갖고 구성되어 있다.
도 5∼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하우징(8)은, 기판 대향부(15), 리셉터클 콘택트 보유지지부(16), 한 쌍의 측부(17)(로크편 지지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리셉터클 하우징(8)을 구성하는 기판 대향부(15) 및 리셉터클 콘택트 보유지지부(16), 한 쌍의 측부(17)는, 절연성을 갖는 예를 들면 수지 등의 소재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기판 대향부(15)는, 회로 기판(10)의 커넥터 탑재면(10a)에 대하여 평행이 되는 평판으로서, 커넥터 폭방향으로 가늘고 긴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리셉터클 콘택트 보유지지부(16)는, 기판 대향부(15)의 전선 커넥터 방향측의 단부에 접속하고, 기판 이간 방향으로 돌출되면서, 커넥터 폭방향으로 가늘고 길게 연장되는 부분이다. 리셉터클 콘택트 보유지지부(16)에는, 복수의 리셉터클 콘택트 부착공(18)이 형성되어 있다. 각 리셉터클 콘택트 부착공(18)은, 각 리셉터클 콘택트(7)를 리셉터클 하우징(8)에 부착하기 위한 구멍이다. 복수의 리셉터클 콘택트 부착공(18)은, 커넥터 폭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리셉터클 콘택트 부착공(18)은, 리셉터클 콘택트 보유지지부(16)의 커넥터 폭방향에 있어서의 양 단부(19)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각 리셉터클 콘택트 부착공(18)은, 리셉터클 콘택트 보유지지부(16)를 전선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각 리셉터클 콘택트 부착공(18)은, 전선 커넥터 방향 및 커넥터 전선 방향으로 개구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양 단부(19)는, 전선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벽체이다.
한 쌍의 측부(17)는, 기판 대향부(15) 및 리셉터클 콘택트 보유지지부(16)의 커넥터 폭방향의 양 단부에 접속하고, 커넥터 전선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측부(17)는, 전선 방향을 따라 가늘고 길게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측부(17)는, 전선 대 기판 커넥터(1)의 커넥터 폭방향의 중앙을 사이에 끼우고 대칭의 형상이기 때문에, 한쪽에 대해서만 설명하며, 다른 한쪽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8∼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부(17)는, 위치결정홈 측방 구획벽부(20), 위치결정홈 전방 구획벽부(21), 압입홈 측방 구획벽부(22), 압입홈 전방 구획벽부(23), 압입홈 내방(內方) 구획벽부(24), 변위 규제부(25)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위치결정홈 측방 구획벽부(20)는, 리셉터클 콘택트 보유지지부(16)의 단부(19)의 커넥터 폭 반중앙 방향측의 단부에 접속하고, 커넥터 전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벽체이다. 위치결정홈 측방 구획벽부(20)는, 커넥터 폭방향에 대하여 직교하고 있다.
위치결정홈 전방 구획벽부(21)는, 위치결정홈 측방 구획벽부(20)의 커넥터 전선 방향측의 단부에 접속하고, 커넥터 폭 중앙 방향으로 연장되는 벽체이다. 위치결정홈 전방 구획벽부(21)는, 전선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고 있다.
리셉터클 콘택트 보유지지부(16)의 단부(19)와, 측부(17)의 위치결정홈 측방 구획벽부(20) 및 위치결정홈 전방 구획벽부(21)에 의해 위치결정홈(41)이 형성되어 있다. 리셉터클 콘택트 보유지지부(16)의 단부(19)는, 위치결정홈(41)의 전선 커넥터 방향측을 구획하고 있다. 위치결정홈 측방 구획벽부(20)는, 위치결정홈(41)의 커넥터 폭 반중앙 방향측을 구획하고 있다. 위치결정홈 전방 구획벽부(21)는, 위치결정홈(41)의 커넥터 전선 방향측을 구획하고 있다.
압입홈 측방 구획벽부(22)는, 위치결정홈 전방 구획벽부(21)의 커넥터 폭 반중앙 방향측의 단부에 접속하고, 커넥터 전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벽체이다. 압입홈 측방 구획벽부(22)는, 커넥터 폭방향에 대하여 직교하고 있다.
압입홈 전방 구획벽부(23)는, 압입홈 측방 구획벽부(22)의 커넥터 전선 방향측의 단부에 접속하고, 커넥터 폭 중앙 방향으로 연장되는 벽체이다. 압입홈 전방 구획벽부(23)는, 전선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고 있다.
압입홈 내방 구획벽부(24)는, 압입홈 전방 구획벽부(23)의 커넥터 폭 중앙 방향의 단부에 접속하고, 전선 커넥터 방향으로 연장되는 벽체이다. 압입홈 내방 구획벽부(24)는, 커넥터 폭방향에 대하여 직교하고 있다.
압입홈 측방 구획벽부(22)와 압입홈 내방 구획벽부(24)에 의해 압입홈(26)이 형성되어 있다. 압입홈 측방 구획벽부(22)는, 압입홈(26)의 커넥터 폭 반중앙 방향측을 구획하고 있다. 압입홈 내방 구획벽부(24)는, 압입홈(26)의 커넥터 폭 중앙 방향측을 구획하고 있다. 압입홈(26)의 커넥터 전선 방향측은, 압입홈 전방 구획벽부(23)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압입홈(26)은, 기판 이간 방향으로 개구하고 있다. 압입홈(26)은, 전선 방향을 따라 가늘고 길게 형성되어 있다.
압입홈 내방 구획벽부(24)의 전선 커넥터 방향측의 단부(24a)는, 위치결정홈 전방 구획벽부(21)에 대하여 전선 방향에서 대향하고 있다. 압입홈 내방 구획벽부(24)의 단부(24a)와 위치결정홈 전방 구획벽부(21)와의 사이에는, 극간(g)이 형성되어 있다.
변위 규제부(25)는, 압입홈 내방 구획벽부(24)의 커넥터 전선 방향측의 단부에 접속하고, 커넥터 폭 중앙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도 8∼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위 규제부(25)는, 압입홈 내방 구획벽부(24)의 커넥터 전선 방향측의 단부의 기판 이간 방향 가까이에 접속하고 있다. 변위 규제부(25)는, 경사 가이드면(27)과 직립 가이드면(28), 규제면(29)을 갖고 있다. 경사 가이드면(27)은, 변위 규제부(25)의 커넥터 폭 중앙 방향측의 단부의 기판 이간 방향 가까이에 있어서, 커넥터 폭 중앙 방향을 향함에 따라 기판 근접 방향을 향하도록 경사진 평면이다. 직립 가이드면(28)은, 경사 가이드면(27)의 기판 근접 방향측의 모서리에 접속하고, 커넥터 폭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면이다. 규제면(29)은, 직립 가이드면(28)의 기판 근접 방향측의 모서리에 접속하고, 커넥터 높이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면이다.
한 쌍의 보조 금구(9)는, 전선 대 기판 커넥터(1)의 커넥터 폭방향의 중앙을 사이에 끼우고 대칭의 형상이기 때문에, 한쪽에 대해서만 설명하며, 다른 한쪽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조 금구(9)는, 로크편 피보유지지부(30), 로크편 대향부(31), 로크편 연결부(3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보조 금구(9)는, 판금 절곡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로크편 피보유지지부(30)는, 리셉터클 하우징(8)에 의해 보유지지되는 부분이다. 로크편 피보유지지부(30)는, 전선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로크편 피보유지지부(30)는, 커넥터 폭방향에 대하여 직교하고 있다. 로크편 피보유지지부(30)는, 피압입부(30a)와 땜납용 다리부(33)를 갖고 있다. 피압입부(30a)는, 기판 근접 방향을 향하여 막대 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땜납용 다리부(33)는, 회로 기판(10)의 커넥터 탑재면(10a)에 납땜되는 부분이다.
로크편 대향부(31)는, 전선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로크편 대향부(31)는, 커넥터 폭방향에 대하여 직교하고 있다. 로크편 대향부(31)는, 대향부 본체(34)와 피규제 돌기(35)를 갖고 구성되어 있다.
대향부 본체(34)는, 전선 방향으로 가늘고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대향부 본체(34)는, 커넥터 폭방향에 대하여 직교하고 있다. 대향부 본체(34)에는, 커넥터 폭 반중앙 방향에서 보아 대략 직사각형 형상이 되는 로크공(lock hole)(36)이 형성되어 있다. 로크공(36)은, 전선 방향으로 가늘고 길게 형성되어 있다. 로크공(36)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로크공(36)의 기판 이간 방향측에는, 로크공(36)의 기판 이간 방향측을 구획하는 로크 빔(37)이 형성되어 있다. 로크 빔(37)은, 리셉터클 로크면(38), 플러그 대향면(39), 조립 가이드면(40)을 갖고 있다. 리셉터클 로크면(38)은, 회로 기판(10)의 커넥터 탑재면(10a)에 가까워지는 방향을 향하는 면이다. 리셉터클 로크면(38)은, 기판 근접 방향을 향하는 평면이다. 리셉터클 로크면(38)은, 커넥터 높이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고 있다. 리셉터클 로크면(38)은, 전선 방향으로 가늘고 길게 형성되어 있다. 플러그 대향면(39)은, 리셉터클 로크면(38)의 커넥터 폭 중앙 방향측의 모서리에 접속하고, 커넥터 폭 중앙 방향을 향하는 평면이다. 플러그 대향면(39)은, 커넥터 폭방향에 대하여 직교하고 있다. 조립 가이드면(40)은, 플러그 대향면(39)의 기판 이간 방향측의 모서리에 접속하고, 기판 근접 방향을 향함에 따라 커넥터 폭 중앙 방향을 향하도록 경사지는 평면이다.
피규제 돌기(35)는, 대향부 본체(34)의 커넥터 전선 방향측의 단부의 기판 근접 방향 가까이에 접속하고, 커넥터 전선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부분이다. 피규제 돌기(35)는, 기판 이간 방향을 향하는 피규제면(35a)을 갖고 있다. 피규제면(35a)은, 커넥터 높이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고 있다.
로크편 연결부(32)는, 로크편 피보유지지부(30)의 전선 커넥터 방향측의 단부와, 로크편 대향부(31)의 전선 커넥터 방향측의 단부를 연결하는 부분이다. 로크편 연결부(32)는, 로크편 피보유지지부(30)의 전선 커넥터 방향측의 단부에 접속하고, 커넥터 폭 중앙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로크편 연결부(32)는, 전선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고 있다. 로크편 연결부(32)의 커넥터 폭 중앙 방향측의 단부는, 로크편 대향부(31)의 전선 커넥터 방향측의 단부에 접속하고 있다.
보조 금구(9)는, 로크편 피보유지지부(30), 로크편 대향부(31), 로크편 연결부(32)를 가짐으로써, 기판 근접 방향에서 보면 U자를 구성하고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3)의 조립)
다음으로, 리셉터클 커넥터(3)의 조립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 3∼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리셉터클 콘택트(7)를 리셉터클 하우징(8)의 리셉터클 콘택트 보유지지부(16)의 복수의 리셉터클 콘택트 부착공(18)에 각각 압입한다. 각 리셉터클 콘택트 부착공(18)으로의 각 리셉터클 콘택트(7)의 압입 방향은, 커넥터 전선 방향이다. 각 리셉터클 콘택트(7)는, 리셉터클 하우징(8)에 부착된 상태에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 전선 방향측에 부분적으로 노출됨과 동시에,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판 근접 방향측에 부분적으로 노출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보조 금구(9)를 리셉터클 하우징(8)의 한 쌍의 측부(17)에 각각 부착한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도 14에 나타내는 각 보조 금구(9)의 로크편 피보유지지부(30)가 리셉터클 하우징(8)의 각 측부(17)의 압입홈(26)에 삽입되도록, 또한, 각 보조 금구(9)의 로크편 연결부(32)가 리셉터클 하우징(8)의 각 측부(17)의 극간(g)에 삽입되도록, 각 보조 금구(9)를 각 측부(17)에 대하여 위치결정한다. 이와 같이 각 보조 금구(9)를 각 측부(17)에 대하여 위치결정한 후에, 각 보조 금구(9)를 기판 근접 방향으로 밀어넣는다.
그러면, 각 보조 금구(9)의 로크편 피보유지지부(30)는, 리셉터클 하우징(8)의 각 측부(17)의 압입홈(26)에 삽입된다. 이때, 각 보조 금구(9)의 로크편 피보유지지부(30)의 피압입부(30a)(도 11 및 도 12를 아울러 참조)가 리셉터클 하우징(8)의 각 측부(17)의 압입홈(26) 내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는 압입공에 압입된다. 각 보조 금구(9)의 로크편 연결부(32)는, 리셉터클 하우징(8)의 각 측부(17)의 극간(g)에 삽입된다.
또한, 각 보조 금구(9)의 로크편 대향부(31)의 피규제 돌기(35)는, 로크편 대향부(31)의 대향부 본체(34)의 커넥터 폭 중앙 방향으로의 탄성 변위를 수반하면서, 리셉터클 하우징(8)의 각 측부(17)의 변위 규제부(25)의 경사 가이드면(27)에 커넥터 폭 중앙 방향으로 넘어가고, 그리고, 변위 규제부(25)의 직립 가이드면(28) 상을 기판 근접 방향으로 미끄러진다.
각 보조 금구(9)를 기판 근접 방향으로 더욱 밀어넣으면, 피규제 돌기(35)는, 이윽고 변위 규제부(25)를 기판 근접 방향측으로 넘어가, 보조 금구(9)의 스프링 복원력에 의해,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 폭 반중앙 방향으로 변위한다. 도 15에는, 각 보조 금구(9)가 리셉터클 하우징(8)의 각 측부(17)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보조 금구(9)는, 리셉터클 하우징(8)의 각 측부(17)에 의해 외팔보 형상으로 지지된다.
도 15의 상태에서, 변위 규제부(25)와 피규제 돌기(35)는, 커넥터 높이 방향에 있어서 대향하고 있다. 상세하게는, 도 10에 나타내는 변위 규제부(25)의 규제면(29)과, 도 11에 나타내는 피규제 돌기(35)의 피규제면(35a)이 커넥터 높이 방향에 있어서 대향하고 있다. 이 변위 규제부(25)와 피규제 돌기(35)의 대향 관계에 의해, 도 15에 나타내는 보조 금구(9)의 로크편 대향부(31)가 기판 이간 방향으로 탄성 변위하는 것이 규제된다.
또한,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보조 금구(9)를 리셉터클 하우징(8)의 각 측부(17)에 부착한 상태에서, 각 측부(17)의 압입홈 내방 구획벽부(24)와, 각 보조 금구(9)의 로크편 대향부(31)와의 사이에는 극간(h)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각 보조 금구(9)의 로크편 대향부(31)의 로크 빔(37)은, 커넥터 폭 반중앙 방향으로 탄성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측면 대향부(R)」는,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하우징(8)의 측부(17) 및 보조 금구(9)에 상당하고 있다.
(플러그 커넥터(2))
다음으로, 도 17∼도 24를 참조하여, 플러그 커넥터(2)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7 및 도 18에 나타내는 플러그 커넥터(2)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플러그 콘택트(4)와, 복수의 플러그 콘택트(4)를 보유지지하는 플러그 하우징(5)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플러그 하우징(5)은, 플러그 하우징 본체(50)와, 해제용 돌기(51), 한 쌍의 위치결정 돌기(52), 한 쌍의 클로우부(53)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플러그 하우징 본체(50)는, 커넥터 높이 방향에 있어서 박육(薄肉)의 편평체이다. 플러그 하우징 본체(50)는, 기판 근접 방향에서 보아 직사각형 형상으로서, 커넥터 폭방향으로 가늘고 길게 형성되어 있다. 플러그 하우징 본체(50)에는, 복수의 플러그 콘택트 부착공(54)이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플러그 콘택트 부착공(54)은, 커넥터 폭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플러그 콘택트 부착공(54)은, 플러그 하우징 본체(50)를 전선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각 플러그 콘택트 부착공(54)은, 전선 커넥터 방향 및 커넥터 전선 방향으로 개구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플러그 하우징 본체(50)는, 플러그 하우징 본체(50)의 한 쌍의 측면으로서의 한 쌍의 플러그측면(50a)을 갖고 있다. 한 쌍의 플러그측면(50a)은, 전선 방향과 커넥터 높이 방향 중 어느 방향에 대해서도 대략 평행한 평면이다. 즉, 각 플러그측면(50a)은, 커넥터 폭방향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한 쌍의 플러그측면(50a)은, 전선 방향과 커넥터 높이 방향 중 어느 방향에 대해서도 평행하다. 한 쌍의 플러그측면(50a)은, 커넥터 폭방향에 대하여 직교하고 있다.
도 19에는, 전선(6)의 단부에 부착된 플러그 콘택트(4)를 나타내고 있다. 플러그 콘택트(4)는, 리셉터클 콘택트(7)를 사이에 끼우도록 리셉터클 콘택트(7)에 대하여 접촉하는 한 쌍의 접촉편(4a)을 갖고 있다. 도 17 및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플러그 콘택트(4)는, 커넥터 폭방향으로 나열되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복수의 플러그 콘택트(4)는, 커넥터 폭방향에 있어서, 한 쌍의 플러그측면(50a) 사이에 끼워져 있다. 환언하면, 한 쌍의 플러그측면(50a)은, 복수의 플러그 콘택트(4)를 커넥터 폭방향에 있어서 사이에 끼우고 있다.
도 17 및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해제용 돌기(51)는, 플러그 하우징 본체(50)의 전선 커넥터 방향측의 단부의 기판 이간 방향 가까이에 접속하고, 전선 커넥터 방향을 향하여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해제용 돌기(51)는, 커넥터 폭방향으로 가늘고 길게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위치결정 돌기(52)는, 전선 대 기판 커넥터(1)의 커넥터 폭방향의 중앙을 사이에 끼우고 대칭의 형상이기 때문에, 한쪽에 대해서만 설명하며, 다른 한쪽의 설명은 생략한다. 위치결정 돌기(52)는, 플러그 하우징 본체(50)의 전선 커넥터 방향측의 단부의, 커넥터 폭방향에 있어서의 단부에 접속하고, 커넥터 폭 반중앙 방향을 향하여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클로우부(53)는, 전선 대 기판 커넥터(1)의 커넥터 폭방향의 중앙을 사이에 끼우고 대칭의 형상이기 때문에, 한쪽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다른 한쪽의 설명은 생략한다. 클로우부(53)는, 플러그측면(50a)의 커넥터 전선 방향 가까이에 접속하고, 플러그측면(50a)으로부터 커넥터 폭 반중앙 방향에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클로우부(53)는, 전선 방향으로 가늘고 길게 형성되어 있다.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클로우부(53)는, 종단면 형상이 사다리꼴인 각기둥 형상이며, 전선 커넥터 방향측이 부분적으로 잘라내어져 있다. 클로우부(53)는, 플러그 로크면(60), 끼워맞춤 가이드면(61), 측방 기립면(62), 단부 기립면(63), 단부 경사면(64)(경사면)을 갖고 있다.
플러그 로크면(60)은, 회로 기판(10)의 커넥터 탑재면(10a)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을 향함과 동시에, 전선 방향으로 가늘고 길게 연장되는 면이다. 플러그 로크면(60)은, 커넥터 전선 방향측에 배치되는 로크 유지면(65)과, 전선 커넥터 방향측에 배치되는 로크 해제면(66)을 갖는다. 로크 유지면(65)은, 플러그측면(50a)에 접속하고, 커넥터 높이 방향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는 평면이다. 로크 해제면(66)은, 플러그측면(50a)에 접속하고, 기판 이간 방향을 향함에 따라 커넥터 폭 중앙 방향을 향하도록 경사지고, 또한, 전선 커넥터 방향을 향함에 따라 커넥터 폭 중앙 방향을 향하도록 경사지는 평면이다. 로크 유지면(65)과 로크 해제면(66)은, 서로 접속하고 있다. 로크 유지면(65)과 로크 해제면(66)은, 전선 방향에서 서로 이웃하고 있다. 로크 유지면(65)은, 로크 해제면(66)으로부터 보아, 커넥터 전선 방향측에 배치되어 있다. 즉, 로크 해제면(66)은, 로크 유지면(65)으로부터 보아, 전선 커넥터 방향측에 배치되어 있다. 로크 해제면(66)은, 로크 유지면(65)의 플러그측면(50a)으로부터 먼 측의 모서리(65a)에 접속하고 있다. 환언하면, 로크 해제면(66)은, 로크 유지면(65)의 커넥터 폭 반중앙 방향측의 모서리(65a)에 접속하고 있다.
끼워맞춤 가이드면(61)은, 회로 기판(10)의 커넥터 탑재면(10a)에 가까워지는 방향을 향함과 동시에, 전선 방향으로 가늘고 길게 연장되는 평면이다. 끼워맞춤 가이드면(61)은, 기판 근접 방향을 향함에 따라 커넥터 폭 중앙 방향을 향하도록 경사져 있다.
측방 기립면(62)은, 커넥터 폭 반중앙 방향을 향함과 동시에, 전선 방향으로 가늘고 길게 연장되는 평면이다. 측방 기립면(62)은, 커넥터 폭방향에 대하여 직교하고 있다. 측방 기립면(62)은, 플러그 로크면(60) 및 끼워맞춤 가이드면(61)에 접속하고 있다. 측방 기립면(62)은, 플러그 로크면(60)과 끼워맞춤 가이드면(61)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단부 기립면(63)은, 플러그측면(50a)에 접속하고, 커넥터 전선 방향을 향하는 평면이다. 단부 기립면(63)은, 전선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고 있다. 단부 기립면(63)은, 플러그 로크면(60)과 끼워맞춤 가이드면(61), 측방 기립면(62)에 접속하고 있다.
단부 경사면(64)은, 플러그측면(50a)에 접속하고, 전선 커넥터 방향 및 커넥터 폭 반중앙 방향을 향하는 평면이다. 단부 경사면(64)은, 전선 커넥터 방향을 향함에 따라 커넥터 폭 중앙 방향을 향하도록 경사져 있다. 단부 경사면(64)은, 플러그 로크면(60)의 로크 해제면(66)과 끼워맞춤 가이드면(61), 측방 기립면(62)에 접속하고 있다.
플러그측면(50a)은, 도 20에 있어서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기준면(Q)을 갖고 있다. 기준면(Q)은, 플러그측면(50a)의 일부이다. 기준면(Q)은, 플러그측면(50a) 중 클로우부(53)보다도 회로 기판(10)의 커넥터 탑재면(10a)으로부터 먼 측의 부분이다. 기준면(Q)은, 플러그측면(50a) 중 클로우부(53)보다도 기판 이간 방향측의 부분이다.
도 21에는, 클로우부(53)의 3개의 단면 X, 단면 Y, 단면 Z를 나타내고 있다. 단면 X는, 단면 Y보다도 커넥터 전선 방향측에 위치하고 있다. 단면 Y는, 단면 Z보다도 커넥터 전선 방향측에 위치하고 있다. 단면 X, 단면 Y, 단면 Z는, 모두 전선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단면이다. 이하, 이 단면 X, 단면 Y, 단면 Z를 이용하여, 클로우부(53)의 형상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2에 나타내는 단면 X에서는, 플러그 로크면(60) 중 로크 유지면(65)만이 나타나 있다. 도 23에 나타내는 단면 Y에서는, 플러그 로크면(60) 중 로크 유지면(65) 및 로크 해제면(66)의 양쪽이 나타나 있다. 환언하면, 단면 Y에 있어서, 로크 유지면(65)과 로크 해제면(66)은 커넥터 폭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고 있다. 도 24에 나타내는 단면 Z에서는, 플러그 로크면(60) 중 로크 해제면(66)만이 나타나 있다. 도 22에 나타내는 단면 X 및 도 23에 나타내는 단면 Y에서는, 측방 기립면(62)이 나타나 있다. 한편, 도 24에 나타내는 단면 Z에서는, 측방 기립면(62)을 대신하여 단부 경사면(64)이 나타나 있다.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준면(Q)과 로크 유지면(65)의 사이의 각도를 로크 유지 각도(θ1)로 한다. 도 23 및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준면(Q)과 로크 해제면(66)의 사이의 각도를 로크 해제 각도(θ2)로 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로크 유지 각도(θ1)는, 로크 해제 각도(θ2)보다도 작다. 구체적으로는, 로크 유지 각도(θ1)는, 90도 이하이다. 바람직하게는, 로크 유지 각도(θ1)는, 70∼90도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로크 유지 각도(θ1)는, 80∼85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로크 유지 각도(θ1)는, 85도이다. 또한, 로크 해제 각도(θ2)는, 90도보다도 크다. 바람직하게는, 로크 해제 각도(θ2)는, 95∼165도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로크 해제 각도(θ2)는, 120∼150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로크 해제 각도(θ2)는, 135도이다.
(플러그 커넥터(2)의 조립)
다음으로, 플러그 커넥터(2)의 조립 방법을 설명한다. 플러그 커넥터(2)를 조립하려면,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전선(6)의 단부에 각 플러그 콘택트(4)를 부착한 후에, 각 플러그 콘택트(4)를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 하우징(5)의 플러그 하우징 본체(50)의 각 플러그 콘택트 부착공(54)으로 전선 커넥터 방향으로 삽입한다. 그러면, 도시하지 않는 랜스(lance)의 작용에 의해, 각 플러그 콘택트(4)의 각 플러그 콘택트 부착공(54)으로부터의 발거(拔去)가 금지된다.
(전선 대 기판 커넥터(1)의 끼워맞춤 방법)
다음으로, 전선 대 기판 커넥터(1)의 끼워맞춤 방법을 설명한다. 플러그 커넥터(2)를 리셉터클 커넥터(3)로 끼워맞춤하려면, 미리,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3)를 회로 기판(10)의 커넥터 탑재면(10a)에 탑재해 둔다. 구체적으로는, 도 11에 나타내는 보조 금구(9)의 로크편 피보유지지부(30)의 땜납용 다리부(33)(도 4도 아울러 참조)를 회로 기판(10)의 커넥터 탑재면(10a)(도 2를 아울러 참조)에 납땜한다. 또한, 도 4의 각 리셉터클 콘택트(7)의 땜납용 다리부(7a)를 회로 기판(10)의 커넥터 탑재면(10a)(도 2를 아울러 참조)에 납땜한다.
다음으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2)를 리셉터클 커넥터(3)를 향하여 끼워맞춤 방향(P)에서 강하시킨다. 그러면, 이하와 같은 거동이 된다.
(1) 도 17 및 도 18에 나타내는 플러그 하우징(5)의 한 쌍의 위치결정 돌기(52)가, 도 3 및 도 8에 나타내는 한 쌍의 위치결정홈(41)에 각각 삽입된다. 이에 따라, 플러그 커넥터(2)의 리셉터클 커넥터(3)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가 조정된다. 환언하면, 한 쌍의 위치결정 돌기(52)와 한 쌍의 위치결정홈(41)은, 플러그 커넥터(2)의 리셉터클 커넥터(3)에 대한 위치결정 효과를 발휘한다. 플러그 커넥터(2)의 리셉터클 커넥터(3)에 대한 위치결정 효과는, 상세하게는, 회로 기판(10)의 커넥터 탑재면(10a)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에 있어서의, 플러그 커넥터(2)의 리셉터클 커넥터(3)에 대한 위치결정 효과를 의미한다. 또한, 전선 대 기판 커넥터(1)의 끼워맞춤 후에는, 한 쌍의 위치결정 돌기(52)와 한 쌍의 위치결정홈(41)은, 전선(6)을 커넥터 전선 방향으로 인장했을 때의, 플러그 커넥터(2)의 리셉터클 커넥터(3)로부터의 빠짐을 금지하는 빠짐 방지 효과를 발휘한다.
(2)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2)의 플러그 하우징(5)에 보유지지되어 있는 각 플러그 콘택트(4)의 한 쌍의 접촉편(4a)(도 19를 아울러 참조) 간에, 도 3에 나타내는 각 리셉터클 콘택트(7)가 삽입된다. 이에 따라, 각 플러그 콘택트(4)의 한 쌍의 접촉편(4a)은, 리셉터클 콘택트(7)를 사이에 끼우도록 리셉터클 콘택트(7)에 대하여 확실하게 접촉한다.
(3)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2)를 리셉터클 커넥터(3)를 향하여 강하시켜 가면, 도 17에 나타내는 한 쌍의 위치결정 돌기(52)와 도 3에 나타내는 한 쌍의 위치결정홈(41)에 의해 발휘되는 플러그 커넥터(2)의 리셉터클 커넥터(3)에 대한 위치결정 효과에 의해, 도 17에 나타내는 플러그 하우징(5)의 한 쌍의 클로우부(53)가, 도 15에 나타내는 각 보조 금구(9)의 로크편 대향부(31)의 로크 빔(37)에 대하여 커넥터 높이 방향에 있어서 각각 대향한다. 그리고, 도 20에 나타내는 클로우부(53)의 끼워맞춤 가이드면(61)이 도 15에 나타내는 로크 빔(37)의 조립 가이드면(40)에 접촉한다. 이 상태에서, 플러그 커넥터(2)를 리셉터클 커넥터(3)로 향하여 밀어넣으면, 도 20에 나타내는 클로우부(53)의 끼워맞춤 가이드면(61)과 도 15에 나타내는 로크 빔(37)의 조립 가이드면(40)의 존재에 의해, 클로우부(53)는, 로크 빔(37)을 커넥터 폭 반중앙 방향으로 밀어내고, 로크 빔(37)의 플러그 대향면(39) 상을 미끄러지면서 강하한다. 이윽고, 클로우부(53)가 로크 빔(37)을 넘어가면, 보조 금구(9)의 스프링 복원력에 의해 로크편 대향부(31)가 커넥터 폭 중앙 방향으로 복귀하고, 클로우부(53)는 로크공(36) 내에 수용된다. 이 결과,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2)의 플러그 하우징(5)의 클로우부(53)의 플러그 로크면(60)이, 리셉터클 커넥터(3)의 보조 금구(9)의 로크편 대향부(31)의 로크 빔(37)의 리셉터클 로크면(38)에 대하여, 커넥터 높이 방향에서 대향한다. 이 플러그 로크면(60)과 리셉터클 로크면(38)과의 커넥터 높이 방향에 있어서의 대향에 의해, 플러그 커넥터(2)의 리셉터클 커넥터(3)로부터의 이탈이 금지된다.
상세하게는, 도 25에 나타내는 끼워맞춤 상태에서는, 어떠한 작업에 의해 복수의 전선(6)이 회로 기판(10)의 커넥터 탑재면(10a)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들어올려지는 경우가 있다. 전선(6)이 회로 기판(10)의 커넥터 탑재면(10a)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들어올려지면, 플러그 하우징(5)이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을 수반하여 기운다. 플러그 하우징(5)이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을 수반하여 기울면, 로크 유지면(65)이 로크 해제면(66)보다도 우선적으로 리셉터클 로크면(38)에 접촉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로크 유지면(65)의 로크 유지 각도(θ1)는, 90도 이하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전선(6)이 회로 기판(10)의 커넥터 탑재면(10a)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들어올려지면 플러그 로크면(60)과 리셉터클 로크면(38)과의 대향 관계가 해소되지 않아 끼워맞춤 상태가 유지된다.
(전선 대 기판 커넥터(1)의 이탈 방법)
한편으로,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2)의 플러그 하우징(5)의 해제용 돌기(51)에 클로우나 공구, 지그 등을 걸고, 전선(6)이 회로 기판(10)의 커넥터 탑재면(10a)에 가까워지도록 플러그 커넥터(2)가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을 수반하여 의도적으로 기울어지면, 로크 해제면(66)이 로크 유지면(65)보다도 우선적으로 리셉터클 로크면(38)에 접촉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로크 해제면(66)의 로크 해제 각도(θ2)는, 90도보다 커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전선(6)이 회로 기판(10)의 커넥터 탑재면(10a)에 가까워지도록 플러그 커넥터(2)가 의도적으로 기울어지면, 클로우부(53)가 보조 금구(9)의 로크편 대향부(31)를 밀어내려고 한다. 이때,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크편 대향부(31)의 피규제 돌기(35)를 사이에 끼우고 회로 기판(10)의 커넥터 탑재면(10a)과 반대측에 변위 규제부(25)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로크편 대향부(31)가 회로 기판(10)의 커넥터 탑재면(10a)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변위하는 것은 규제된다. 한편으로,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크편 대향부(31)와 압입홈 내방 구획벽부(24)의 사이에는 극간(h)이 확보되어 있다. 따라서, 클로우부(53)가 보조 금구(9)의 로크편 대향부(31)를 밀어낼 때, 로크편 대향부(31)는, 기판 이간 방향으로는 탄성 변위하지 않고, 커넥터 폭 반중앙 방향으로만 탄성 변위하게 된다. 그리고, 로크편 대향부(31)의 커넥터 폭 반중앙 방향으로의 탄성 변위에 의해, 플러그 로크면(60)과 리셉터클 로크면(38)과의 대향 관계가 해소되어, 전선 대 기판 커넥터(1)의 끼워맞춤 상태가 해제되게 된다.
이상으로, 본원 발명의 적합한 실시 형태를 설명했지만, 상기 실시 형태는, 요컨데, 이하의 특징을 갖고 있다.
(1) 전선 대 기판 커넥터(1)는, 플러그 커넥터(2)와 리셉터클 커넥터(3)를 구비한다. 플러그 커넥터(2)는, 전선(6)이 부착되는 플러그 콘택트(4)와, 플러그 콘택트(4)를 보유지지하는 플러그 하우징(5)을 갖는다. 리셉터클 커넥터(3)는, 플러그 콘택트(4)와 대응하는 리셉터클 콘택트(7)와, 리셉터클 콘택트(7)를 보유지지하는 리셉터클 하우징(8)을 갖는다. 리셉터클 커넥터(3)는, 회로 기판(10)(기판)의 커넥터 탑재면(10a)에 탑재된다. 플러그 커넥터(2)를 리셉터클 커넥터(3)로 끼워맞춤시킴으로써, 플러그 콘택트(4)가 리셉터클 콘택트(7)에 접촉한다. 플러그 커넥터(2)가 리셉터클 커넥터(3)에 끼워맞춤된 상태로서의 끼워맞춤 상태에 있어서, 전선(6)의 플러그 커넥터(2) 근방의 부분인 근방부(6a)는, 회로 기판(10)의 커넥터 탑재면(10a)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플러그 커넥터(2)를 리셉터클 커넥터(3)로 끼워맞춤시키는 방향으로서의 끼워맞춤 방향(P)은, 회로 기판(10)의 커넥터 탑재면(10a)에 가까워지는 방향이다. 플러그 하우징(5)은, 플러그 하우징(5)의 측면으로서의 플러그측면(50a)을 갖는다. 리셉터클 커넥터(3)는, 끼워맞춤 상태에서, 플러그측면(50a)에 대향하는 측면 대향부(R)를 갖는다. 플러그측면(50a)에는, 측면 대향부(R)측으로 돌출되는 클로우부(53)가 형성되어 있다. 클로우부(53)는, 회로 기판(10)의 커넥터 탑재면(10a)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을 향함과 동시에, 끼워맞춤 상태에 있어서의 근방부(6a)의 길이 방향으로서 특정되는 전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러그 로크면(60)을 갖는다. 리셉터클 커넥터(3)의 측면 대향부(R) 중 보조 금구(9)는, 회로 기판(10)의 커넥터 탑재면(10a)에 가까워지는 방향을 향함과 동시에, 끼워맞춤 상태에서 플러그 로크면(60)과 대향하는 리셉터클 로크면(38)을 갖는다. 플러그 로크면(60)은, 전선 방향 중 플러그 커넥터(2)로부터 전선(6)을 보는 방향으로서의 커넥터 전선 방향측에 배치되는 로크 유지면(65)과, 커넥터 전선 방향과 반대의 방향인 전선 커넥터 방향측에 배치되는 로크 해제면(66)을 갖는다. 전선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플러그측면(50a) 중 클로우부(53)보다도 회로 기판(10)의 커넥터 탑재면(10a)으로부터 먼 측의 부분인 기준면(Q)과 로크 유지면(65)과의 사이의 각도를 로크 유지 각도(θ1)로 하고, 기준면(Q)과 로크 해제면(66)과의 사이의 각도를 로크 해제 각도(θ2)로 하면, 로크 유지 각도(θ1)는 로크 해제 각도(θ2)보다도 작다.
즉, 전선(6)이 회로 기판(10)의 커넥터 탑재면(10a)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들어올려져 플러그 커넥터(2)가 기울면, 로크 유지면(65)이 로크 해제면(66)보다도 우선적으로 리셉터클 로크면(38)에 접촉한다. 한편으로, 전선(6)이 회로 기판(10)의 커넥터 탑재면(10a)에 가까워지도록 플러그 커넥터(2)가 의도적으로 기울어지면, 로크 해제면(66)이 로크 유지면(65)보다도 우선적으로 리셉터클 로크면(38)에 접촉한다. 따라서,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전선(6)이 회로 기판(10)의 커넥터 탑재면(10a)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들어올려지면 플러그 로크면(60)과 리셉터클 로크면(38)과의 대향 관계가 해소되지 않아 끼워맞춤 상태가 유지되기 쉽고, 전선(6)이 회로 기판(10)의 커넥터 탑재면(10a)에 가까워지도록 플러그 커넥터(2)가 의도적으로 기울어지면 플러그 로크면(60)과 리셉터클 로크면(38)과의 대향 관계가 해소되어 상기 끼워맞춤 상태가 해제되기 쉬워진다. 이에 따라, 전선(6)이 회로 기판(10)의 커넥터 탑재면(10a)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들어올려져도 끼워맞춤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끼워맞춤 상태를 의도적으로 해제 가능한 전선 대 기판 커넥터(1)가 실현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리셉터클 로크면(38)은, 측면 대향부(R) 중 보조 금구(9)에 형성하는 것으로 했지만, 이를 대신하여, 측면 대향부(R) 중 측부(17)에 형성해도 좋다. 도 27에 나타내는 변형예에서는, 측면 대향부(R)는 보조 금구(9)를 갖고 있지 않다. 측면 대향부(R)는 측부(17)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리셉터클 로크면(38)은 측부(17)에 형성되어 있다.
(2) 또한, 로크 해제 각도(θ2)는, 90도보다도 크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전선(6)이 회로 기판(10)의 커넥터 탑재면(10a)에 가까워지도록 플러그 커넥터(2)가 의도적으로 기울어졌을 때에, 플러그 로크면(60)과 리셉터클 로크면(38)과의 대향 관계가 한층 해소되기 쉬워진다.
(3) 또한, 로크 유지 각도(θ1)는, 90도 이하이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전선(6)이 회로 기판(10)의 커넥터 탑재면(10a)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들어올려졌을 때에, 플러그 로크면(60)과 리셉터클 로크면(38)과의 대향 관계가 한층 해제되기 어려워진다.
(4) 또한, 로크 해제면(66)은, 전선 커넥터 방향을 향함에 따라 플러그측면(50a)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져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전선이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탑재면에 가까워지도록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의도적으로 기울어졌을 때에, 상기 플러그 로크면과 상기 리셉터클 로크면과의 대향 관계가 한층 원활하게 해소되기 쉬워진다.
(5) 또한, 로크 해제면(66)은, 로크 유지면(65)의, 플러그측면(50a)으로부터 먼 측의 모서리(65a)에 접속하고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전선(6)이 회로 기판(10)의 커넥터 탑재면(10a)에 가까워지도록 플러그 커넥터(2)가 의도적으로 기울어져, 플러그 로크면(60)과 리셉터클 로크면(38)과의 대향 관계가 해소될 때에 있어서, 리셉터클 로크면(38)이 로크 해제면(66)과 로크 유지면(65)과의 경계에서 걸려 버리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6) 또한, 클로우부(53)의 전선 커넥터 방향측의 단부에는, 전선 커넥터 방향을 향함에 따라 플러그측면(50a)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지는 단부 경사면(64)(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다. 단부 경사면(64)은, 로크 해제면(66)과 접속하고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전선(6)이 회로 기판(10)의 커넥터 탑재면(10a)에 가까워지도록 플러그 커넥터(2)가 의도적으로 기울어졌을 때에, 플러그 로크면(60)과 리셉터클 로크면(38)과의 대향 관계가 한층 원활하게 해소되기 쉬워진다.
(7) 또한, 측면 대향부(R)는, 측부(17)(로크편 지지부)와, 측부(17)에 의해 지지되는 보조 금구(9)(로크편)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보조 금구(9)는, 측부(17)에 의해 보유지지되는 로크편 피보유지지부(30)와, 플러그측면(50a)에 대향하는 로크편 대향부(31)를 갖는 외팔보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로크편 대향부(31)는, 플러그측면(50a)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변위 가능하다. 리셉터클 로크면(38)은, 로크편 대향부(31)에 형성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전선(6)이 회로 기판(10)의 커넥터 탑재면(10a)에 가까워지도록 플러그 커넥터(2)가 의도적으로 기울어졌을 때에, 리셉터클 로크면(38)이 로크 해제면(66)에 의해 플러그측면(50a)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밀어내게 되기 때문에, 플러그 로크면(60)과 리셉터클 로크면(38)과의 대향 관계가 더욱 원활하게 해소되기 쉬워진다.
(8) 또한, 측면 대향부(R) 중 측부(17)는, 로크편 대향부(31)의 피규제 돌기(35)를 사이에 끼우고 회로 기판(10)의 커넥터 탑재면(10a)과 반대측에 배치됨으로써, 로크편 대향부(31)가 회로 기판(10)의 커넥터 탑재면(10a)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변위하는 것을 규제하는 변위 규제부(25)를 갖고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전선(6)이 회로 기판(10)의 커넥터 탑재면(10a)에 가까워지도록 플러그 커넥터(2)가 의도적으로 기울어졌을 때에, 리셉터클 로크면(38)이 로크 해제면(66)에 의해 플러그측면(50a)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신속하게 밀어내게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변위 규제부(25)는 측면 대향부(R) 중 측부(17)에 형성하는 것으로 했지만, 이를 대신하여, 측면 대향부(R) 중 보조 금구(9)의 예를 들면 로크편 피보유지지부(30)에 형성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9) 또한, 로크편 피보유지지부(30)와 로크편 대향부(31)는, 전선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은, 전선 대 기판 커넥터(1)의 저배화에 기여한다.
(10) 또한, 로크편 피보유지지부(30)의 전선 커넥터 방향측의 단부와, 로크편 대향부(31)의 전선 커넥터 방향측의 단부가 연결되어 있다.
(11) 또한, 플러그 하우징(5)에는, 전선(6)이 회로 기판(10)의 커넥터 탑재면(10a)에 가까워지도록 플러그 커넥터(2)를 기울이기 위한 해제용 돌기(51)가 형성되어 있다.
(12) 그리고, 그 해제용 돌기(51)는, 플러그 하우징(5)의 전선 커넥터 방향측의 단부로부터, 전선 커넥터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상으로 본원 발명의 적합한 실시 형태를 설명했지만, 상기 실시 형태는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이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플러그 로크면(60)의 로크 해제면(66)은 평면에 의해 구성했지만, 이를 대신하여, 도 2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크 해제면(66)을, 플러그측면(50a)으로부터 떨어짐에 따라 회로 기판(10)의 커넥터 탑재면(10a)에 가까워지도록 만곡하는 만곡면으로서 형성해도 좋다. 도 28에서는, 만곡한 로크 해제면(66)의 단면 형상을 빗금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에서도, 전선(6)이 회로 기판(10)의 커넥터 탑재면(10a)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들어올려져도 끼워맞춤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끼워맞춤 상태를 의도적으로 해제 가능한 전선 대 기판 커넥터(1)가 실현된다.
또한, 리셉터클 커넥터(3)를 조립할 때에 있어서, 각 보조 금구(9)를 각 측부(17)에 대하여 위치결정한 후에, 각 보조 금구(9)를 기판 근접 방향으로 밀어넣는 것으로 했다. 그러나, 이를 대신하여, 각 보조 금구(9)를 기판 이간 방향으로 밀어넣도록 해도 좋다. 즉, 각 보조 금구(9)를 각 측부(17)에 부착할 때에 있어서, 그 부착 방향은, 기판 근접 방향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제2 실시 형태>
이하, 도 31∼도 34를 참조하면서, 본원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본 실시 형태가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적절히 생략한다. 또한, 상기 제1 실시 형태의 각 구성 요소에 대응하는 구성 요소에는 원칙적으로 동일한 부호를 붙이는 것으로 한다.
도 31에는, 전선 대 기판 커넥터(1)의 끼워맞춤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32는, 도 31의 G부 확대도이다.
도 3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3)의 보조 금구(9)의 로크편 대향부(31)는, 외팔보 형상으로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로크편 대향부(31)의 근본에 상당하는, 로크편 대향부(31)의 로크편 연결부(32)측의 단부(31a)는, 커넥터 폭 반중앙 방향으로 거의 탄성 변위할 수 없다. 가령, 플러그 커넥터(2)를 리셉터클 커넥터(3)에 끼워맞춤시킬 때, 플러그 커넥터(2)의 플러그 하우징(5)의 플러그 하우징 본체(50)가 리셉터클 커넥터(3)의 보조 금구(9)의 로크편 대향부(31)의 로크편 연결부(32)측의 단부(31a)에 접촉해 버렸다고 한다면, 상기와 같이 단부(31a)는 커넥터 폭 반중앙 방향으로 거의 탄성 변위할 수 없기 때문에, 플러그 커넥터(2)가 리셉터클 커넥터(3)로 끼워맞춤하는 것을 현저하게 저해하게 된다.
그래서, 상기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플러그 커넥터(2)의 플러그 하우징(5)의 플러그 하우징 본체(50)의 플러그측면(50a)과, 리셉터클 커넥터(3)의 보조 금구(9)의 로크편 대향부(31)와의 사이에는, 전선 대 기판 커넥터(1)의 끼워맞춤 상태에 있어서 극간(i)이 남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 극간(i)의 존재에 의해, 도 32에 나타내는 전선 대 기판 커넥터(1)의 끼워맞춤 상태에 있어서, 리셉터클 커넥터(3) 내에 있어서의 플러그 커넥터(2)의 플러그 하우징(5)의 커넥터 폭방향에서의 이동은 허용되게 된다. 그리고, 리셉터클 커넥터(3) 내에서, 플러그 커넥터(2)의 플러그 하우징(5)이 커넥터 폭방향으로 이동해 버리면, 도 15에 나타내는 보조 금구(9)의 로크편 대향부(31)의 리셉터클 로크면(38)과, 도 20에 나타내는 클로우부(53)의 플러그 로크면(60)의 로크 유지면(65)과의 커넥터 높이 방향에 있어서의 대향 관계가 약해지고, 이 결과, 플러그 커넥터(2)가 리셉터클 커넥터(3)로부터 빠지기 쉬워져 버린다는 문제가 남아 있었다.
그래서, 도 3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플러그 커넥터(2)의 플러그 하우징(5)의 플러그 하우징 본체(50)의 플러그측면(50a)에는, 측면 대향부(R)의 보조 금구(9)(로크편)측으로 장출된 장출부(80)를 형성하고 있다. 즉, 장출부(80)는, 플러그 하우징 본체(50)의 플러그측면(50a)으로부터 커넥터 폭 반중앙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34에 나타내는 전선 대 기판 커넥터(1)의 끼워맞춤 상태에서는, 장출부(80)와 로크편 대향부(31)의 탄성 변위 가능한 부분이 접촉하고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전선 대 기판 커넥터(1)의 끼워맞춤 상태에 있어서, 리셉터클 커넥터(3) 내에 있어서의 플러그 커넥터(2)의 플러그 하우징(5)의 커넥터 폭방향에서의 이동은, 리셉터클 커넥터(3)의 보조 금구(9)의 로크편 대향부(31)의 커넥터 폭 중앙 방향으로의 탄성력(N)에 의해 억제되게 된다. 이 결과, 도 15에 나타내는 보조 금구(9)의 로크편 대향부(31)의 리셉터클 로크면(38)과, 도 20에 나타내는 클로우부(53)의 플러그 로크면(60)의 로크 유지면(65)과의 커넥터 높이 방향에 있어서의 대향 관계가 유지되어, 플러그 커넥터(2)가 리셉터클 커넥터(3)로부터 빠지기 어려워진다.
구체적으로는, 도 3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2)의 플러그 하우징(5)은, 플러그 하우징 본체(50)와 해제용 돌기(51), 한 쌍의 위치결정 돌기(52), 한 쌍의 클로우부(53)에 더하여, 한 쌍의 장출부(80)를 갖고 있다. 장출부(80)는, 플러그측면(50a)으로부터 커넥터 폭 반중앙 방향을 향하여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장출부(80)는, 위치결정 돌기(52)로부터 최대한 떨어진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장출부(80)는, 커넥터 폭 반중앙 방향을 향하는 장출면(80a)을 갖고 있다. 장출면(80a)은, 커넥터 폭방향에 대하여 직교하고 있다. 플러그 하우징 본체(50)의 플러그측면(50a)에 장출부(80)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장출부(80)의 장출면(80a)은, 플러그 하우징 본체(50)의 플러그측면(50a)의 일부로 간주할 수 있다. 클로우부(53)는, 장출부(80)에 형성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클로우부(53)는, 장출부(80)의 장출면(80a)에 형성되어 있다. 클로우부(53)는, 장출부(80)의 장출면(80a)으로부터 커넥터 폭 반중앙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3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출부(80)가 위치결정 돌기(52)로부터 최대한 떨어진 위치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 3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선 대 기판 커넥터(1)의 끼워맞춤 상태에 있어서, 장출부(80)는, 로크편 대향부(31)의 단부(31a)에 대하여 커넥터 전선 방향으로 떨어져 있다. 이 결과, 전선 대 기판 커넥터(1)의 끼워맞춤 상태에서는, 장출부(80)와 로크편 대향부(31)의 탄성 변위 가능한 부분이 항상 접촉하고 있다. 한편으로, 플러그측면(50a)과, 로크편 대향부(31)의 단부(31a) 근방과의 사이에는, 전술한 극간(i)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따라서, 장출부(80)를 형성한 본 실시 형태에서도,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게, 플러그 커넥터(2)를 리셉터클 커넥터(3)에 끼워맞춤시킬 때, 플러그 커넥터(2)의 플러그 하우징(5)의 플러그 하우징 본체(50)가 리셉터클 커넥터(3)의 보조 금구(9)의 로크편 대향부(31)의 로크편 연결부(32)측의 단부(31a)에 접촉해 버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 있고, 그 때문에, 플러그 커넥터(2)의 리셉터클 커넥터(3)로의 끼워맞춤은 방해되지 않는다.
<제3 실시 형태>
다음으로, 도 35 및 도 36을 참조하면서, 본원 발명의 제3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본 실시 형태가 상기 제2 실시 형태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적절히 생략한다. 또한, 상기 제2 실시 형태의 각 구성 요소에 대응하는 구성 요소에는 원칙적으로 동일한 부호를 붙이는 것으로 한다.
도 3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장출부(80)의 장출면(80a)은, 제1 장출면(80b)과 제2 장출면(80c)을 갖고 있다. 제1 장출면(80b)은, 제2 장출면(80c)의 커넥터 전선 방향측의 단부에 접속하고 있다. 즉, 제2 장출면(80c)은, 제1 장출면(80b)의 전선 커넥터 방향측의 단부에 접속하고 있다. 제1 장출면(80b)은, 커넥터 폭 반중앙 방향을 향하고 있다. 제1 장출면(80b)은, 커넥터 폭방향에 대하여 직교하고 있다. 제1 장출면(80b)은, 클로우부(53)의 플러그 로크면(60)의 로크 유지면(65)의 커넥터 전선 방향측의 단부에 접속하고 있다. 제2 장출면(80c)은, 전선 커넥터 방향을 향함에 따라 커넥터 폭 중앙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이 구성에서, 도 3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2)를 리셉터클 커넥터(3)에 끼워맞춤시키면, 장출부(80)의 제1 장출면(80b)만이 로크편 대향부(31)에 대하여 항상 접촉하고, 장출부(80)의 제2 장출면(80c)은 로크편 대향부(31)에 대하여 접촉하지 않는다. 또한, 제1 장출면(80b)은, 클로우부(53)의 로크 유지면(65)의 커넥터 전선 방향측의 단부에 접속하고 있다. 따라서, 장출부(80)와 로크편 대향부(31)와의 접촉에 의해 로크편 대향부(31)가 커넥터 폭 반중앙 방향으로 어느 정도 탄성 변위해도, 도 15에 나타내는 보조 금구(9)의 로크편 대향부(31)의 리셉터클 로크면(38)과, 도 20에 나타내는 클로우부(53)의 플러그 로크면(60)의 로크 유지면(65)과의 커넥터 높이 방향에 있어서의 대향 관계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1 : 전선 대 기판 커넥터
2 : 플러그 커넥터
3 : 리셉터클 커넥터
4 : 플러그 콘택트
4a : 접촉편
5 : 플러그 하우징
6 : 전선
6a : 근방부
7 : 리셉터클 콘택트
7a : 땜납용 다리부
8 : 리셉터클 하우징
9 : 보조 금구(로크편)
10 : 회로 기판(기판)
10a : 커넥터 탑재면
15 : 기판 대향부
16 : 리셉터클 콘택트 보유지지부
17 : 측부(로크편 지지부)
18 : 리셉터클 콘택트 부착공
19 : 단부
20 : 위치결정홈 측방 구획벽부
21 : 위치결정홈 전방 구획벽부
22 : 압입홈 측방 구획벽부
23 : 압입홈 전방 구획벽부
24 : 압입홈 내방 구획벽부
24a : 단부
25 : 변위 규제부
26 : 압입홈
27 : 경사 가이드면
28 : 직립 가이드면
29 : 규제면
30 : 로크편 피보유지지부
30a : 피압입부
31 : 로크편 대향부
31a : 단부
32 : 로크편 연결부
33 : 땜납용 다리부
34 : 대향부 본체
35 : 피규제 돌기
35a : 피규제면
36 : 로크공
37 : 로크 빔
38 : 리셉터클 로크면
39 : 플러그 대향면
40 : 조립 가이드면
41 : 위치결정홈
50 : 플러그 하우징 본체
50a : 플러그측면
51 : 해제용 돌기
52 : 위치결정 돌기
53 : 클로우부
54 : 플러그 콘택트 부착공
60 : 플러그 로크면
61 : 끼워맞춤 가이드면
62 : 측방 기립면
63 : 단부 기립면
64 : 단부 경사면(경사면)
65 : 로크 유지면
65a : 모서리
66 : 로크 해제면
80 : 장출부
80a : 장출면
80b : 제1 장출면
80c : 제2 장출면
h : 극간
i : 극간
g : 극간
N : 탄성력
P : 끼워맞춤 방향
Q : 기준면
R : 측면 대향부
X : 단면
Y : 단면
Z : 단면
θ1: 로크 유지 각도
θ2 : 로크 해제 각도

Claims (14)

  1. 전선이 부착되는 플러그 콘택트와, 상기 플러그 콘택트를 보유지지(holding)하는 플러그 하우징을 갖는 플러그 커넥터와,
    상기 플러그 콘택트와 대응하는 리셉터클 콘택트와, 상기 리셉터클 콘택트를 보유지지하는 리셉터클 하우징을 갖고, 기판의 커넥터 탑재면에 탑재되는 리셉터클 커넥터를 구비하고,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로 끼워맞춤시킴으로써, 상기 플러그 콘택트가 상기 리셉터클 콘택트에 접촉하는 전선 대 기판 커넥터로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에 끼워맞춤된 상태로서의 끼워맞춤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전선 중 상기 플러그 커넥터에 접속되는 측의 부분인 근방부는,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탑재면을 따라 연장되어 있고,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로 끼워맞춤시키는 방향으로서의 끼워맞춤 방향은,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탑재면에 가까워지는 방향이며,
    상기 플러그 하우징은,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측면으로서의 플러그측면을 갖고,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는, 상기 끼워맞춤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측면에 대향하는 측면 대향부를 갖고,
    상기 플러그측면에는, 상기 측면 대향부측으로 돌출되는 클로우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클로우부는,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탑재면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을 향함과 동시에, 상기 끼워맞춤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근방부의 길이 방향으로서 특정되는 전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러그 로크면을 갖고,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상기 측면 대향부는,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탑재면에 가까워지는 방향을 향함과 동시에, 상기 끼워맞춤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 로크면과 대향하는 리셉터클 로크면을 갖고,
    상기 플러그 로크면은, 상기 전선 방향 중 상기 플러그 커넥터로부터 상기 전선을 보는 방향으로서의 커넥터 전선 방향측에 배치되는 로크 유지면과, 상기 커넥터 전선 방향과 반대의 방향인 전선 커넥터 방향측에 배치되는 로크 해제면을 갖고,
    상기 전선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단면(end face)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측면 중 상기 클로우부보다도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탑재면으로부터 먼 측의 부분인 기준면과 상기 로크 유지면과의 사이의 각도를 로크 유지 각도(θ1)로 하고, 상기 기준면과 상기 로크 해제면과의 사이의 각도를 로크 해제 각도(θ2)로 하면, 로크 유지 각도(θ1)는 로크 해제 각도(θ2)보다도 작은, 전선 대 기판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로크 해제 각도(θ2)는 90도 초과, 180도 미만인, 전선 대 기판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로크 유지 각도(θ1)는 0도 초과, 90도 이하인, 전선 대 기판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 해제면은, 상기 전선 커넥터 방향을 향함에 따라 상기 플러그측면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져 있는, 전선 대 기판 커넥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 해제면은, 상기 로크 유지면의, 상기 플러그측면으로부터 먼 측의 모서리에 접속하고 있는, 전선 대 기판 커넥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로우부의 상기 전선 커넥터 방향측의 단부(end)에는, 상기 전선 커넥터 방향을 향함에 따라 상기 플러그측면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지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경사면은, 상기 로크 해제면과 접속하고 있는, 전선 대 기판 커넥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대향부는, 로크편 지지부와, 상기 로크편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로크편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기 로크편은, 상기 로크편 지지부에 의해 보유지지되는 로크편 피보유지지부와, 상기 플러그측면에 대향하는 로크편 대향부를 갖는 외팔보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로크편 대향부는, 상기 플러그측면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변위 가능하고,
    상기 리셉터클 로크면은, 상기 로크편 대향부에 형성되어 있는, 전선 대 기판 커넥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대향부는, 상기 로크편 대향부를 사이에 끼우고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탑재면과 반대측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로크편 대향부가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탑재면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변위하는 것을 규제하는 변위 규제부를 갖고 있는, 전선 대 기판 커넥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편 피보유지지부와 상기 로크편 대향부는, 상기 전선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는, 전선 대 기판 커넥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편 피보유지지부의 상기 전선 커넥터 방향측의 단부와, 상기 로크편 대향부의 상기 전선 커넥터 방향측의 단부가 연결되어 있는, 전선 대 기판 커넥터.
  11.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하우징에는, 상기 전선이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탑재면에 가까워지도록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기울이기 위한 해제용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전선 대 기판 커넥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용 돌기는,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상기 전선 커넥터 방향측의 단부로부터, 상기 전선 커넥터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는, 전선 대 기판 커넥터.
  13. 전선이 부착되는 플러그 콘택트와, 상기 플러그 콘택트를 보유지지하는 플러그 하우징을 갖는 플러그 커넥터와,
    상기 플러그 콘택트와 대응하는 리셉터클 콘택트와, 상기 리셉터클 콘택트를 보유지지하는 리셉터클 하우징을 갖고, 기판의 커넥터 탑재면에 탑재되는 리셉터클 커넥터를 구비하고,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로 끼워맞춤시킴으로써, 상기 플러그 콘택트가 상기 리셉터클 콘택트에 접촉하는 전선 대 기판 커넥터로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에 끼워맞춤된 상태로서의 끼워맞춤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전선 중 상기 플러그 커넥터에 접속되는 측의 부분인 근방부는,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탑재면을 따라 연장되어 있고,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로 끼워맞춤시키는 방향으로서의 끼워맞춤 방향은,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탑재면에 가까워지는 방향이며,
    상기 플러그 하우징은,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측면으로서의 플러그측면을 갖고,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는, 상기 끼워맞춤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측면에 대향하는 측면 대향부를 갖고,
    상기 플러그측면에는, 상기 측면 대향부측으로 돌출되는 클로우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클로우부는,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탑재면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을 향함과 동시에, 상기 끼워맞춤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근방부의 길이 방향으로서 특정되는 전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러그 로크면을 갖고,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상기 측면 대향부는,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탑재면에 가까워지는 방향을 향함과 동시에, 상기 끼워맞춤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 로크면과 대향하는 리셉터클 로크면을 갖고,
    상기 플러그 로크면은, 상기 전선 방향 중 상기 플러그 커넥터로부터 상기 전선을 보는 방향으로서의 커넥터 전선 방향측에 배치되는 로크 유지면과, 상기 커넥터 전선 방향과 반대의 방향인 전선 커넥터 방향측에 배치되는 로크 해제면을 갖고,
    상기 로크 해제면은, 상기 플러그측면으로부터 떨어짐에 따라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탑재면에 가까워지도록 만곡하여 형성되어 있는, 전선 대 기판 커넥터.
  14. 전선이 부착되는 플러그 콘택트와, 상기 플러그 콘택트를 보유지지하는 플러그 하우징을 갖는 플러그 커넥터와,
    상기 플러그 콘택트와 대응하는 리셉터클 콘택트와, 상기 리셉터클 콘택트를 보유지지하는 리셉터클 하우징을 갖고, 기판의 커넥터 탑재면에 탑재되는 리셉터클 커넥터를 구비하고,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로 끼워맞춤시킴으로써, 상기 플러그 콘택트가 상기 리셉터클 콘택트에 접촉하는 전선 대 기판 커넥터로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에 끼워맞춤된 상태로서의 끼워맞춤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전선 중 상기 플러그 커넥터에 접속되는 측의 부분인 근방부는,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탑재면을 따라 연장되어 있고,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로 끼워맞춤시키는 방향으로서의 끼워맞춤 방향은,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탑재면에 가까워지는 방향이며,
    상기 플러그 하우징은,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측면으로서의 플러그측면을 갖고,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는, 상기 끼워맞춤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측면에 대향하는 측면 대향부를 갖고,
    상기 플러그측면에는, 상기 측면 대향부측으로 돌출되는 클로우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클로우부는,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탑재면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을 향함과 동시에, 상기 끼워맞춤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근방부의 길이 방향으로서 특정되는 전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러그 로크면을 갖고,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상기 측면 대향부는,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탑재면에 가까워지는 방향을 향함과 동시에, 상기 끼워맞춤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 로크면과 대향하는 리셉터클 로크면을 갖고,
    상기 플러그 로크면은, 상기 전선 방향 중 상기 플러그 커넥터로부터 상기 전선을 보는 방향으로서의 커넥터 전선 방향측에 배치되는 로크 유지면과, 상기 커넥터 전선 방향과 반대의 방향인 전선 커넥터 방향측에 배치되는 로크 해제면을 갖고,
    상기 전선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측면 중 상기 클로우부보다도 상기 기판의 상기 커넥터 탑재면으로부터 먼 측의 부분인 기준면과 상기 로크 유지면과의 사이의 각도를 로크 유지 각도(θ1)로 하고, 상기 기준면과 상기 로크 해제면과의 사이의 각도를 로크 해제 각도(θ2)로 하면, 로크 유지 각도(θ1)는 로크 해제 각도(θ2)보다도 작고, 상기 측면 대향부는, 로크편 지지부와, 상기 로크편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로크편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기 로크편은, 상기 로크편 지지부에 의해 보유지지되는 로크편 피보유지지부와, 상기 플러그측면에 대향하는 로크편 대향부를 갖는 외팔보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로크편 대향부는, 상기 플러그측면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변위 가능하고,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상기 플러그측면에는, 상기 측면 대향부의 상기 로크편측에 장출된 장출부를 형성하고 있고, 상기 끼워맞춤 상태에서는 상기 장출부와 상기 로크편 대향부의 탄성 변위 가능한 부분이 접촉하고 있는, 전선 대 기판 커넥터.
KR1020147025787A 2012-03-27 2013-02-08 전선 대 기판 커넥터 KR1016552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072085 2012-03-27
JPJP-P-2012-072085 2012-03-27
JP2012247408 2012-11-09
JPJP-P-2012-247408 2012-11-09
PCT/JP2013/000707 WO2013145527A1 (ja) 2012-03-27 2013-02-08 電線対基板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8729A KR20140138729A (ko) 2014-12-04
KR101655207B1 true KR101655207B1 (ko) 2016-09-07

Family

ID=49258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5787A KR101655207B1 (ko) 2012-03-27 2013-02-08 전선 대 기판 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240653B2 (ko)
EP (1) EP2833484B1 (ko)
JP (1) JP5801473B2 (ko)
KR (1) KR101655207B1 (ko)
CN (1) CN104221227B (ko)
WO (1) WO20131455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58355B2 (ja) * 2012-07-19 2017-01-11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CN103811910B (zh) * 2014-02-07 2018-03-09 连展科技电子(昆山)有限公司 电连接器
CN206004039U (zh) 2016-08-04 2017-03-08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及其组合
TWD192835S (zh) * 2018-01-22 2018-09-11 唐虞企業股份有限公司 Board end connector
TWD192834S (zh) * 2018-01-22 2018-09-11 唐虞企業股份有限公司 Board end connector housing
TWD192841S (zh) * 2018-01-29 2018-09-11 唐虞企業股份有限公司 Part of the line end connector
TWD192840S (zh) * 2018-01-29 2018-09-11 唐虞企業股份有限公司 Part of the wire end connector housing
JP6658798B2 (ja) * 2018-06-05 2020-03-04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装置
TWM601912U (zh) * 2019-03-26 2020-09-21 英屬開曼群島商鴻騰精密科技股份有限公司 插座連接器
CN210326329U (zh) 2019-06-21 2020-04-14 重庆市鸿腾科技有限公司 插座连接器及与之相对接的插头连接器
US11374358B2 (en) 2019-07-01 2022-06-28 Amphenol Fci Asia Pte. Ltd. Wire to board connector with low height
TWM594289U (zh) * 2019-09-10 2020-04-21 禾昌興業股份有限公司 連接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17352A (ja) 1995-06-28 2001-10-02 ザ ウィタカー コーポレーション 基板対基板の嵌合可能な組立体
JP2003142208A (ja) 2001-11-07 2003-05-16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JP2006128034A (ja) 2004-11-01 2006-05-18 Jst Mfg Co Ltd ブレードコンタクト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82512B2 (ja) * 2004-03-31 2008-04-30 エフシーアイ アジア テクノロジー ピーティーイー リミテッド 垂直嵌合コネクタ
JP4020907B2 (ja) 2004-11-01 2007-12-12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ソケットコンタクト
JP4579021B2 (ja) * 2005-03-23 2010-11-10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4605785B2 (ja) * 2005-11-30 2011-01-05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US7261580B1 (en) * 2006-04-27 2007-08-28 General Electric Company Cable connector
US7329158B1 (en) * 2006-06-30 2008-02-12 Yazaki North America, Inc. Push-lock terminal connection assembly
US7641500B2 (en) * 2007-04-04 2010-01-05 Fci Americas Technology, Inc. Power cable connector system
US7497715B2 (en) * 2007-06-11 2009-03-03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Cable connector assembly for solar device
JP5134415B2 (ja) * 2008-03-31 2013-01-30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ソケットコネクタ
JP4678887B2 (ja) * 2009-01-22 2011-04-27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組立体
JP4972174B2 (ja) * 2009-04-16 2012-07-11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2012003874A (ja) * 2010-06-15 2012-01-05 Fujitsu Ltd コネクタ、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およびプラグコネクタ
JP2012072085A (ja) 2010-09-29 2012-04-12 Shiseido Co Ltd 水中油型乳化化粧料
JP4885320B1 (ja) * 2011-03-23 2012-02-29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電線対基板コネクタ
TWM410379U (en) * 2011-04-01 2011-08-21 Cheng Uei Prec Ind Co Ltd Wire to board connector assembly
KR101064655B1 (ko) 2011-05-25 2011-09-15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하향식 탄성파 시험을 위한 가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향식 탄성파 시험 방법
CN104092051A (zh) * 2011-11-23 2014-10-08 3M创新有限公司 电缆连接器和闩锁电缆连接器组件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17352A (ja) 1995-06-28 2001-10-02 ザ ウィタカー コーポレーション 基板対基板の嵌合可能な組立体
JP2003142208A (ja) 2001-11-07 2003-05-16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JP2006128034A (ja) 2004-11-01 2006-05-18 Jst Mfg Co Ltd ブレードコンタク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33484A1 (en) 2015-02-04
JPWO2013145527A1 (ja) 2015-12-10
JP5801473B2 (ja) 2015-10-28
WO2013145527A1 (ja) 2013-10-03
US9240653B2 (en) 2016-01-19
KR20140138729A (ko) 2014-12-04
EP2833484B1 (en) 2016-07-27
CN104221227B (zh) 2016-08-24
US20150155658A1 (en) 2015-06-04
CN104221227A (zh) 2014-12-17
EP2833484A4 (en) 2015-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5207B1 (ko) 전선 대 기판 커넥터
KR101701180B1 (ko) 전선 대 기판 커넥터
KR101973894B1 (ko) 단자 위치 확인 장치를 가진 전기 커넥터
JP4574692B2 (ja) 電気コネクタ
US11289838B2 (en) Connector assembly
US7396246B2 (en) Electrical connector
JP5809203B2 (ja)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EP3151345B1 (en) Electric connector
CN112652902B (zh) 扁平型导体用电连接器
KR100740849B1 (ko) 커넥터
CN110739573B (zh) 电连接器
KR100933260B1 (ko) 잠금 구조, 이 잠금 구조가 마련된 커넥터 및 잠금 해제방법
JP4034801B2 (ja) 電気コネクタ
JP4274570B2 (ja) コネクタ
JP2005251624A (ja) コネクタ
JP2017220427A (ja) コネクタ用端子保持部材、コネクタ、及び電気的接続装置
CN110364893B (zh) 具有端子按压构造的连接器装置
JP4612478B2 (ja) コネクタ
KR20090014099A (ko)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
JP2020167035A (ja) コネクタ
JP2005183340A (ja) ジョイントコネクタ
KR101175571B1 (ko) 전기 커넥터
CN117242648A (zh) 用于在电路板与边缘接插器之间建立卡锁连接的卡锁系统、电路板、边缘接插器和安装件
TWI519008B (zh) 電線對基板用連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