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0849B1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0849B1
KR100740849B1 KR1020050000928A KR20050000928A KR100740849B1 KR 100740849 B1 KR100740849 B1 KR 100740849B1 KR 1020050000928 A KR1020050000928 A KR 1020050000928A KR 20050000928 A KR20050000928 A KR 20050000928A KR 100740849 B1 KR100740849 B1 KR 1007408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locking
connector
arm
locking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09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72075A (ko
Inventor
마츠나가히데키
오카무라겐지
나카노히로시
고지마에이지
다바타마사아키
아이하라데츠야
마에소바히로요시
이치오도시후미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4000624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5197035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004667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5197184A/ja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720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20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08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08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2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 H01R13/4223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comprising integral flexible contact retaining fing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5Latching arms not integral with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01R13/6582Shield structure with resilient means for engaging mating connector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소형화에 적합한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합성 수지로 제조된 암형 하우징(20)에는 암형 터미널 체결구(21)를 수납하기 위한 캐비티(22)가 형성된다. 암형 터미널 체결구(21)와 결합하여 그것을 보유하기 위한 잠금부(24)가 캐비티(22) 내부에 마련된다. 각각의 잠금부(24)는 탄성 변형 동안 암형 하우징(20)의 상면(20a) 또는 저면(20b)으로부터 돌출한다. 짝을 이루는 수형 커넥터(M)를 결합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잠금 아암(40)이 암형 하우징(20) 상에 장착된다. 잠금 아암(40)은 금속 부재로 제조되며, 암형 하우징(20)의 압인홈(30) 내부에 가압되는 압인부(42)를 구비한다. 잠금 아암(40)은 잠금부(24O)를 대향하도록 배열되며, 탄성 변형 동안 잠금부(24O)에 대한 변형 공간(33O)으로 후퇴할 수 있다.

Description

커넥터{A CONNECTOR}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형 커넥터의 정면도.
도 2는 암형 커넥터의 정면도.
도 3은 암형 커넥터의 배면도.
도 4는 암형 커넥터의 평면도.
도 5는 암형 터미널 체결구를 암형 하우징에 삽입하기 전 상태를 도시하는 측단면도.
도 6은 암형 터미널 체결구를 암형 하우징에 삽입하는 도중의 중간 상태를 도시하는 측단면도.
도 7은 잠금 아암이 장착되기 전에, 암형 터미널 체결구를 적정 깊이에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측단면도.
도 8은 두 개의 커넥터가 결합되기 전에, 잠금 아암이 장착된 상태를 도시하는 측단면도.
도 9는 두 개의 커넥터의 결합의 중간 단계를 도시하는 측단면도.
도 10은 두 개의 커넥터가 상호 적절히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측단면도.
도 11은 두 개의 커넥터를 분리시킬 때 가동부를 가압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부분 측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암형 커넥터의 정면도.
도 13은 암형 커넥터의 평면도.
도 14는 잠금 아암이 장착되기 전 상태를 도시하는 측단면도.
도 15는 잠금 아암이 장착된 상태를 도시하는 측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암형 커넥터의 정면도.
도 17은 암형 커넥터의 평면도.
도 18은 수형 커넥터의 정면도.
도 19는 수형 커넥터의 평면도.
도 20은 수형 커넥터의 측면도.
도 21은 두 개의 커넥터가 결합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단면도.
도 22는 두 개의 커넥터의 결합 도중의 중간 상태를 도시하는 측단면도.
도 23은 두 개의 커넥터가 적절하게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측단면도.
도 24는 두 개의 커넥터를 분리시킬 때 가동부를 가압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부분 측단면도.
도 25는 종래 커넥의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암형 하우징
20a: 상부면(외부면)
20b; 저면(외부면)
21: 암형 터미널 체결구
22: 캐비티
24, 24O: 잠금부
30, 30A: 압입홈
33, 33O: 변형 공간
40: 잠금 아암
42: 압입부
F: 암형 커넥터
K: 회로판
M: 수형 커넥터
116: 결합부
120: 수형 하우징
123: 리셉터클
123a: 상부
129: 잠금 아암 배열 공간
141: 본체부(보강부)
143: 잠금 아암
145: 보드 고정부
148: 잠금부
149: 작동부
본 발명은 잠금 아암을 구비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결합 커넥터를 연결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잠금 아암이 마련된 커넥터의 일예가 일본 공개 공보 제평07-282884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커넥터는 캔틸레버형 잠금 아암이 하우징 상부면의 전단부로부터 돌출하여 하우징과 연결되는 결합 커넥터의 결합부와 결합하여 결합 커넥터를 연결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합성 수지로 제조된 하우징은 커넥터 내부에서 성형에 의하여 잠금 아암과 일체로 성형되기 때문에, 하우징으로부터 직립하는 잠금 아암 부분은 높은 경향이 있으며, 그 결과 커넥터가 높이 방향으로 대형화되는 문제를 발생시킨다.
결합 커넥터를 연결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잠금 아암이 마련된 커넥터의 또 다른 예가 일본 공개 공보 제평5-182712호에 개시되어 있다.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넥터는 암형 하우징(3)이 수형 하우징(1)의 리셉터클(2) 내부에 끼워지고, 캔틸레버형 잠금 아암(4)이 암형 하우징(3)의 상부면 상에 일체로 성형되고, 리셉터클(2)의 상부(2a)에 마련된 결합부(5)와 결합하여, 두개의 하우징(1, 3)을 결합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커넥터는 잠금 아암(4)과 리셉터클(2)의 상부(2a)가 결합된 상태에서 서로에 대하여 상하 관계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높이 방향을 따라 대형화 되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고려하여 개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소형화에 적합한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독립 청구항의 특징부에 의하여 해결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는 종속 청구항의 주제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합성 수지로 제조된 하우징과; 짝을 이루는 커넥터를 결합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잠금 아암을 포함하며, 상기 잠금 아암은 금속 부재로 제조되며, 하우징 상에 또는 하우징에 가압 상태로 유지되거나 상기 하우징을 절삭 또는 오목하게 하여 형성된 잠금 아암 배열 공간 내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열되는 것인 커넥터가 제공된다.
금속 부재로 제조된 잠금 아암은 하우징 상에 가압식으로 유지되기 때문에, 하우징은 성형에 의하여 잠금 아암과 일체로 형성된 종래 커넥터와 비교할 때, 하우징으로부터 잠금 아암의 돌출 높이는 감소할 수 있다. 그 결과, 커넥터는 높이 방향을 따라 소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에는 하나 이상의 터미널 체결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납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캐비티가 형성된다.
터미널 체결구 각각과 결합하여 그 체결구를 보유하는 하나 이상의 잠금부가 캐비티 각각에 마련되며, 탄성 변형 동안 하우징의 외부면으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돌출한다.
상기 잠금 아암은 하우징의 외부면 상에 장착되며, 잠금부가 상기 외부면으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출한다.
터미널 체결구가 캐비티 내부에 불충분하게 삽입된 상태로 존재하면, 잠금부는 하우징의 외부면으로부터 돌출한다. 따라서, 이러한 터미널 체결구의 불충분한 삽입은 외부에서 잠금부를 시각적으로 확인함으로써 검출될 수 있다. 터미널이 하우징에 삽입된 이후에 잠금 아암이 하우징에 장착되면, 잠금 아암은 잠금부의 시각적 확인에 대한 장애물로서 직립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잠금 아암은 잠금부에 실질적으로 대향하도록 배열되며, 탄성 변형 동안 잠금부에 대한 변형 공간으로 후퇴한다.
잠금부에 대한 변형 공간은 잠금 아암에 대한 변형 공간으로 공유되기 때문에, 커넥터는 잠금부에 대한 변형 공간과 잠금 아암에 대한 변형 공간이 개별적으로 한정되는 커넥터와 비교할 때 더욱 소형화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잠금 아암은 하우징을 향하여 또는 하방으로 돌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압입부를 구비하며, 상기 압입부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압되는 적어도 하나의 압입홈이 개방 외단부를 갖도록 하우징 내부에 형성된다.
잠금 아암이 압입부를 상방에서 압입홈에 가압하는 것에 의하여 하우징 상에 유지될 수 있기 때문에,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은 커넥터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끼워지는 리셉터클을 구비하며, 상기 잠금 아암은 짝을 이루는 커넥터를 결합 상태로 보유하기 위하여 짝을 이루는 커넥터의 결합부와 결합 가능하다.
잠금 아암은 리셉터클을 절삭 또는 오목하게 하여 형성된 잠금 아암 배열 공간 내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바람직하게는 완전히 배열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짝을 이루는 커넥터가 끼워지는 리셉터클을 갖는 하우징과; 짝을 이루는 커넥터를 결합 상태로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짝을 이루는 커넥터의 결합부와 결합 가능한 잠금 아암을 포함하며, 상기 잠금 아암은 금속 부재로 제조되며, 리셉터클을 절삭 또는 오목하게 하여 형성된 잠금 아암 배열 공간 내부에 배열되는 것인 커넥터가 제공된다.
하우징의 리셉터클은 잠금 아암 배열 공간을 형성하도록 절결되고, 금속 부재로 형성된 잠금 아암은 내부에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커넥터는 리셉터클과 잠금 아암이 종래에서와 같이 높이 방향을 따라 상호 상하로 배치된 커넥터와 비교할 때 소형화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잠금 아암은 시소형 변위 또는 요동 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잠금 아암은 짝을 이루는 커넥터의 결합부와 결합 가능한 잠금부를 구비하며, 상기 잠금부는 일단부에 마련되며, 다른 단부에 마련된 잠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작동부를 구비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잠금 아암은 시소형 변위, 요동 운동 또는 변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잠금 아암은 짝을 이루는 커넥터의 결합부와 결합 가능한 잠금부를 구비하며, 상기 잠금부는 일단부에 마련되며, 다른 단부에 마련된 잠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작동부를 구비한다.
상기 잠금 아암은 작동부를 조작하여 기울어지거나, 이동하거나 또는 변위하여, 잠금부를 결합부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의 일부의 외부면, 바람직하게는 리셉터클의 외부면을 적어도 일부, 바람직하게는 완전히 덮도록 금속판으로 제조된 보강부가 제공되며, 상기 리셉터클 내부에는 상기 잠금 아암 배열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잠금 아암은 보강부와 일체로 형성된다.
특히, 금속판으로 제조된 보강부는 절삭에 의하여 잠금 아암 배열 공간이 형성되는 리셉터클의 일부의 외부면을 덮도록 제공되며, 상기 잠금 아암은 보강부와 일체로 형성된다.
절삭에 의하여 리셉터클 내부에 잠금 아암 배열 공간이 형성되는 것으로 인한 하우징의 강도 감소는 금속판으로 제조된 보강부에 의하여 보상될 수 있다. 게다가, 보강부는 잠금 아암과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그 구조는 간략화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하우징은 회로판과 같은 전기 또는 전자 소자에 고정되며, 상기 보강부는 전기 또는 전자 소자에 고정되는 보드 고정부와 일체로 형성된다.
보강부가 보드 고정부와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그 구조는 더욱 간략화될 수 있다.
<제1 실시예>
본 발명의 제1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예에서, 결합 방향(CD)을 따라 결합 수형 커넥터(M)와 결합 가능하며, 잠금 아암(40)(바람직한 가동 부재로서)이 마련되어 있는 암형 커넥터(F)가 도시되어 있다. 하기의 설명에서, 상호 결합되는 두개의 커넥터(F 및 M)의 측면은 전방측으로 언급되고, 수직 방향과 관련된 도 4를 제외하고 모든 도면에서 언급된다.
우선, 짝을 이루는 수형 커넥터(M)를 설명한다. 도 1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형 커넥터(M)는 회로판(K)(바람직한 전기 또는 전자 소자로서) 상에 장착되는 회로판 커넥터인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면 합성 수지로 제조된 수형 하우징(10)과, 하나 이상의 스테이지에서 수형 하우징(10) 내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장착 또는 장착 가능한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다수의 (40개) 수형 터미널 체결구(11)를 구비한다. 특히, 수형 하우징(10)은 대체적으로 폭방향(WD)을 따라 세장형을 이루며, 하나 이상의 터미널 삽입구(12a)[이것을 통해 수형 터미널 체결구(11)가 후방으로부터 삽입된다]가 형성된 터미널 유지부(12)와, 바람직하게는 터미널 유지부(12)의 주변 가장자리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는 직사각형 튜브 형태인 리셉터클(13)을 구비한다. 20개의 터미널 삽입구(12a)는 바람직하게는 상부 및 하부 스테이지의 각각에서 폭방향(WD)을 따라 균일한 간격으로 실질적으로 나란하게 배열되며, 여기에서 상부 스테이지에 있는 터미널 삽입구(12a)는 폭방향(WD)을 따라 하부 스테이지에 있는 삽입구와 변위(오프셋)된 위치에 배열되어 있다. 수형 터미널 체결구(11) 각각은 일부가 예를 들면 0도 또는 180도 상이한 각도로,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하방 굴곡된 터미널 유지부(12)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하며, 그 후단부는 0도 또는 180도 상이한 각도로,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직각으 로 굴곡되어 실질적으로 후방으로 연장한다. 적어도 부분적으로 리셉터클(13) 내부로 돌출하는 수형 터미널 체결구(11)의 전방부는 암형 커넥터(F)의 암형 터미널 체결구(21)와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한 커넥터측 결합부(11a)로서 작용하지만, 그 후단부는 땜납, 용접, 프레스, 체결 등에 의하여 전기/전자 소자, 예를 들면 회로판(K) 상에 인쇄된 도체 경로(도시 생략)와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한 판측 접속부(11b)로서 작용한다.
암형 커넥터(F)의 암형 하우징(20)은 전방으로부터 실질적으로 결합 방향(CD)을 따라 리셉터클(13) 내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체결된다. 폭방향(WD)으로 연장하는 리셉터클(13)의 측(상부)벽의 중간부(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폭방향 중간부)는 대향하는 측부보다 얇게 형성되어, 잠금 아암(40) 등을 탈출시키기 위한 탈출홈(14)이 개방 전단부를 갖도록 형성된다. 잠금 아암(40)의 잠금부(43)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체결되는 체결 리세스(15)가 탈출홈(14)을 향하는 리셉터클(13)의 측(상부)벽의 일부에 형성되며, 잠금부(43)와 결합 가능한 결합부(16)가 체결홈(15) 전방에 또는 후방에 형성된다. 체결 리세스(15)는 바람직하게는 측(상부)벽의 중간부에 형성된 구멍 형태이며, 상기 구멍은 외부와 연통하도록 측(상부)벽을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관통한다. 결합부(16)는 상부벽의 전단부에 마련되며, 잠금부(43)와 결합 가능한 잠금 표면이 실질적으로 폭방향(WD)으로 연장하는 거의 직선 표면으로 형성됨에 따라, 결합부의 내부면은 그 전면 및 배면을 향하여 상방으로 또는 외측으로 경사진 경사면 또는 굴곡면으로 형성된다. 또한, 암형 커넥터(F)의 대응하는 연장 돌출부(26)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납하기 위한 하나 이상, 바람직 하게는 4개의 수납 리세스(17)가 리셉터클(13)의 내주면의 측방향(상부 및 하부) 표면 각각에 형성된다. 수형 하우징(10)을 도시되지 않은 장착 부재를 사용하여 회로판(K)에 고정시킬 수 있음에 주목하여야 한다.
다음, 암형 커넥터(F)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형 커넥터(F)는 예를 들면 합성 수지로 제조된 암형 하우징(20)과, 암형 하우징(20) 내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납된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다수의 (40개) 암형 터미널 체결구(21)를 구비한다. 암형 하우징(20)은 대체적으로 폭방향(WD)을 따라 세장형인 측방향으로 긴 블록 형태가 바람직하다. 암형 하우징(20)에는 하나 이상의 캐비티(2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캐비티에는 암형 터미널 체결구(21)가 실질적으로 수형 커넥터(M)의 각 터미널 삽입구(12a)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바람직하게는 후방으로부터 삽입 방향(ID)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된다. 특히, 20개의 캐비티(22)가 바람직하게는 암형 하우징(20) 내부에서 각 상부 및 하부 스테이지에서 폭방향(WD)을 따라 균일한 간격으로 (간격은 불변) 실질적으로 나란하게 배열되며, 여기에서 상부 스테이지에 있는 캐비티(22) 각각은 폭방향(WD)을 따라 하부 스테이지에 있는 캐비티와 변위된 위치에 배열되어 있다. 암형 터미널 체결구(21) 각각은, 전방 및 후방을 따라 실질적으로 중공인 (바람직하게는 거의 박스형인) 본체부(21a)와 와이어(W)의 단부에 의하여 결합, 바람직하게는 권축, 절곡 또는 결합부로 접혀진 배럴부(21b)를 갖는 와이어 결합부가 앞뒤로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수형 터미널 체결구(11)의 커넥터측 결합부(11a)와 접촉할 수 있는 탄성 접촉 부재(21c)가 상기 본체부(21a)에 설치된다.
인접한 (상부 및 하부) 캐비티(22)를 구획하는 벽으로부터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대향하는 상기 캐비티(22) 각각의 벽에는, 특히 도 4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거의 U자형 평면을 갖는 하나 이상의 슬릿(23)을 형성함으로써, 상부 스테이지에 있는 캐비티(22)의 상부벽 내부에 그리고 하부 스테이지에 있는 캐비티(22)의 저벽에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캔틸레버형) 잠금부(24)를 형성한다. 각각의 슬릿(23)이 외부와 실질적으로 연통하기 위하여 암형 하우징(20)의 상부면 및 저면(20a, 20b)에 형성되기 때문에, 캐비티(22)의 내측은 외부로부터 슬릿(23)을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보여질 수 있으며, 잠금부(24) 각각은 외부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노출된다. 잠금부(24) 각각은 삽입 방향(ID)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또는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을 따라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하며, 암형 터미널 체결구(21)를 캐비티(22) 내부에 보유하기 위하여 암형 터미널 체결구(21)의 본체부(21a)의 조우(jaw) 부분(21d)과 결합할 수 있다. 잠금부(24)는 캐비티(22) 내부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돌출하는 방식으로 후단부(베이스 단부)로부터 전단부(자유 단부)를 향하여 실질적으로 비스듬히 연장하며, 그 외부면은 바람직하게는 암형 하우징(20)의 측방향(상부) 표면(20a) 또는 측방향(저부) 표면(20b)[캐비티(22)의 나란한 배열 방향을 따라 실질적으로 연장하는 외부면)과 거의 연속한다.
잠금부(24) 각각의 전단부의 외부면으로부터 검출부(25)가 외측으로 돌출한다. 검출부(25)의 외부면은, 잠금부(24)가 힘이 작용하지 않는 중립 상태에 있을 때 암형 하우징(20)의 저면(20b) 또는 외부면(20a)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을 이 룬다. 잠금부(24)가 탄성적으로 변형되는 경우, 검출부(25)는 암형 하우징(20)(도 6 참조)의 상부면(20a) 또는 저면(20b)으로부터 돌출한다. 따라서, 두개의 하우징(10, 20)을 탄성적으로 변형되는 잠금부(24)로 결합하고자 하는 경우, 검출부(25)의 전단부 표면은 리셉터클(13)의 전단부 표면과 접촉하여, 결합 작업을 방해한다. 환언하면, 잠금부(24) 각각에 대한 변형 공간(33)이 암형 하우징(20)의 상부면(20a) 및 저면(20b) 외측에 한정되며, 결합 수형 커넥터(M)와 결합 공간으로서 공유된다.
도 2, 도 4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개의 하우징(10, 20)의 결합 작업을 안내하는 작용을 하는 신장된 돌출부(26)는 암형 하우징(20)의 측방향(상부) 표면(20a) 및/또는 측방향(저부) 표면(20b) 상에 마련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실질적으로 대향하는 폭방향 단부 위치에 두개의 신장된 돌출부(26)가 마련되며, 암형 하우징(20)의 측방향 (상부 및 저부) 표면(20a, 20b) 각각의 폭방향 중심을 향하여 중간 위치에 두개의 신장된 돌출부(26)가 마련된다. 전체 8개의 신장된 돌출부(26)가 마련된다. 신장된 돌출부(26) 각각이 암형 하우징(20)의 후단부 위치로부터 전방으로 연장하지만, 잠금부(24)가 암형 하우징(20)의 상부면(20a) 및 저면(20b)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노출되기 때문에, 폭방향 중심을 향하여 중간 위치에 마련된 돌출부(26)는 전방 부분 및 후방 부분(도 4 참조)으로 분할 제거되는 중간부를 갖는다. 중심부를 향하여 중간 위치에 배열된 상부 및 하부 신장된 돌출부(26)는 폭방향(WD)을 따라 서로에 대하여 또는 서로로부터 변위된다. 하부 신장된 돌출부(26)의 전단부 위치는 암형 하우징(20)의 전단부 위치와 실질적으로 정렬 되지만, 상부 신장된 돌출부(26)의 전단부는 암형 하우징(20)의 전단부 위치로부터 후퇴하며, 그 전단부 표면은 돌출하거나 언더컷 표면이 상방으로 또는 전방을 향하여 외측으로 경사진다.
도 2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형 하우징(20)의 측방향 (상부 및 저부) 표면(20a, 20b)의 후단부에는, 실질적으로 폭방향(WD)[캐비티(22)의 나란한 배열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리브(27)가 마련된다. 리브(27)가 암형 하우징(20)의 전체 폭방향 영역 상방에 실질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대향 단부에서 신장된 돌출부(26)와 결합하기 때문에, 그것은 암형 하우징(20)의 강도를 증가시킨다. 상부 리브(27)는 잠금 아암(40)을 탈출시키기 위하여 규정된 (예정된 또는 예정 가능한) 범위에 걸쳐 절단 또는 오목하게 형성된 중간부(바람직하게는 거의 폭방향 중간부)를 구비함으로써, 도 2에 도시된 측방향 (좌측 및 우측) 섹션으로 양분된다. 리브(27)는 신장된 돌출부(26)와 거의 동일한 높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조작자가 암형 하우징(20)을 결합 및 해제시킬 때 조작자의 손가락을 배치시킬 수 있게 한다(도 13 참조). 게다가, 각각의 신장된 돌출부(26) 및 리브(27)의 후단부 표면에 리세스를 형성하여, 조작자가 캐비티(22) 각각의 위치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하는 하나 이상의 표식(28)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 참조). 표식(28)의 간격 및 형상은 도시된 것으로부터 임의적으로 변경될 수 있는 것에 주목하여야 한다.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아암(40)은 바람직하게는 암형 하우징(20)으로부터 분리된 금속판(예를 들면, 스테인레스 스틸로 제조)을 압연 가공하여 얻은 금속성 부재로 제조되며, 암형 하우징(20)의 측방향 (상부) 표면(20a) 상에 가압 또는 장착되어 그곳에 유지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잠금 아암(40)은 전방 및 후방(FBD)을 따라 실질적으로 연장하는 아암부(41)와, 상기 아암부(41)의 전단부 또는 단부로부터 암형 하우징(20)을 향하여 또는 하방으로 돌출하며 상기 암형 하우징(20)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압입되거나 결합 가능한 압입부 또는 결합부(42)를 구비한다. 아암부(41)의 전단부는 거의 평행[또는 실질적으로 전방 및 후방(FBD)을 따라 연장하는)하며, 그 후방부는 배면을 향하여 외측으로[또는 암형 하우징(20)으로부터 멀리] 또는 상방으로 경사진다. 아암부(41)의 경사부의 중간부(바람직하게는 거의 종방향 중간부)는 양각 가공되어 상방 또는 외측[또는 암형 하우징(20)으로부터 멀리]으로 돌출하여, 잠금부(43)를 형성한다. 잠금부(43)의 전면은 배면[바람직하게는 아암부(41)의 경사부보다 약간 더 가파르게] 외측으로 [또는 암형 하우징(20)으로부터 멀리] 또는 상방으로 경사진 경사면이지만, 결합부(42)와 결합 가능한 잠금 표면으로서의 배면은 0도 또는 180도의 상이한 각도, 바람직하게는 결합 방향(CD)에 대하여 약 75도 내지 약 105도의 범위로 배열된다. 압입부(42)는 바람직하게는 아암부(41)보다 넓게 형성된다.
반면, 암형 하우징(20)의 측방향 (상부) 표면(20a)의 중간부 (바람직하게는 폭방향 중간부)의 전단부에는, 잠금 아암(40)을 보유하기 위한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잠금 아암 유지부(29)가 마련된다. 잠금 아암 보유부(29)는 바람직하게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암부(41)의 폭과 유사한 거리만큼 횡방향으로 이격되어 있으며, 암형 하우징(20)의 측방향 (상부) 표면(20a)으로부터 외측으로 또는 상방으로 돌출하며, 여기서 그 돌출 높이는 신장된 돌출부(26)와 리브(27)의 높이와 거의 동일하다. 잠금 아암 보유부(29)는 압입홈이나 리세스 또는 구멍(30)이 형성되며, 상기 압입부(42)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그 구멍에 억지 끼워질 수 있으며 상기 구멍은 개방 단부를 갖는다. 압입 홈(30)은 규정된 (예정된 또는 예정 가능한) 깊이만큼 암형 하우징(20)의 상부면(20a)을 오목하게 하는 것에 의하여 형성된다. 잠금 아암 보유부(29) 바로 후방에는, 잠금 아암(40)을 보유하기 위하여 아암부(41)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과 결합 가능한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리테이닝부(31)가 마련된다. 잠금 아암 보유부(29) 및 리테이닝부(31)는 잠금 아암(40)의 아암부(41)와 함께 리셉터클(13)의 탈출홈(14)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진입하여, 암형 하우징(20)을 수형 하우징(10)과 결합시킬 때 탈출한다.
압입부(42)가 입입홈(30)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압입될 때, 잠금 아암(40)은 결합 방향(CD)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점으로서 레테이닝부(31)를 갖는 아암부(41)의 결합부의 후단부 위치[아암부(41)의 경사부의 전단부 위치]를 갖는 수직 방향을 따라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하며, 아암부(41)는 잠금 아암(40)의 탄성 변형 동안 암형 하우징(20)의 측방향 (상부) 표면(20a)과 아암부(41) 사이에 형성된 변형 공간(45)으로 후퇴된다(도 9 참조). 이러한 장착된 상태에서, 잠금 아암(40)의 아암부(41)는 바람직하게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캐비티(22) 외측의 폭방향 중간 위치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예를 들면 3개의 캐비티(22)와 실질적으로 중첩하는 위치에 배치되며, 이러한 캐비티(22) 내부에 마련된 잠금부(24O) 각각에 실질적으로 대면한다[이하, 잠금 아암(40)을 향하는 잠금부, 검출부 및 변형 공간의 참조부호에 'O'가 접미사로서 부기된다]. 잠금 아암(40)은 잠금 아암(40)의 탄성 변형 동안 이러한 3개의 잠금부(24O)를 위한 변형 공간(33O)으로 후퇴할 수 있다. 즉, 잠금부(24O)를 위한 변형 공간(33O)은 잠금 아암(40)을 위한 변형 공간(45)으로 공유된다. 반면, 실질적으로 잠금 아암(40)을 향하는 잠금부(24O)의 탄성 변형 동안, 검출부(25O)는 잠금 아암(40)을 위한 변형 공간(45)을 넘어 아암부(41)의 배열 공간에 도달한다(도 6 참조). 즉, 잠금 부(24O)용 변형 공간(33O)은 잠금 아암(40)에 대한 배열 공간의 일부와 잠금 아암(40)에 대한 변형 공간(45)의 일부의 합계에 대응한다.
장착 상태에서, 잠금 아암(40)은 바람직하게는 암형 하우징(20)에 고정된 전단부에서 압입부(42)에 의하여 전단부에서 고정되며, 자유 단부 또는 후단 부분으로서 그 후단부는 작동부(44)로서 작용한다. 상기 작동부(44)를 누르면, 아암부(41)는 암형 하우징(20)을 향하여 또는 하방으로, 즉 잠금 해제 방향으로 강제적으로 탄성적을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형 하우징(20)의 상부 리브(27)의 내단부 위치에는, 바람직하게는 작동부(44)의 상단 위치와 거의 동일한 높이가 외측으로 또는 상방으로 돌출하는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돌출부(32)가 마련된다. 작동부(44)의 실질적으로 대향하는 측면에 바람직하게는 두개의 보호부(32)를 배열함으로써, 비도시된 외측 와이어 등이 후방으로부터 작동부(44) 아래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진입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잠금 아암(40)은 전방으로 회전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돌출부(32)는 작동부(44)보다 높을 수도 있는 것에 주목하여야 한다.
다음, 이렇게 구성된 본 실시예의 기능을 설명한다. 수형 커넥터(M)를 조립하고 바람직한 전기/전자 소자로서 회로판(K) 상에 또는 그것에 장착하는 동안, 암형 커넥터(F)를 조립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W)의 단부에 의하여 결합된, 바람직하게는 결합부에 권축된 하나 이상의 암형 터미널 체결구(21)는 캐비티(22) 각각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된다. 암형 터미널 체결구(21)를 삽입 방향(ID)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할 때, 잠금부(24)는 본체부(21a)로 가압하는 것에 의하여 삽입 방향(ID)을 교차하는 방향으로 일시적으로 탄성 변형되며, 검출부(25)는 암형 하우징(20)의 측방향 (상부 및/또는 하부) 표면(20a, 20b)으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외측으로 돌출한다. 암형 터미널 체결구(21)가 실질적으로 적정 깊이에 도달하면, 잠금부(24)는 탄성적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복원되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21a)의 조우 부분(21d)에 결합하여, 암형 터미널 체결구(21)가 보유된다. 암형 터미널 체결구(21)가 삽입 동안 중간 위치에 남아 있는 경우, 암형 터미널 체결구(21)의 불충분한 삽입은 캐비티(22) 내부의 암형 터미널 체결구(21) 또는 돌출된 검출부(25)를 슬릿(23)을 통해 시각적으로 확인하는 것에 의하여 검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후, 잠금 아암(40)은 암형 하우징(20) 상에 장착된다. 잠금 아암(40)의 전단부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로부터 가압되어, 압입부(42)를 압입홈(30) 내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압한다. 아암부(41)가 리테이닝부(31)를 넘어 이동하여 그 하방에서 활주하거나 그것과 결합하는 경우에, 압입부(42)는 압입홈(30) 내부의 적정 깊이까지 가압되며, 리테이닝부(31)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암부(41)의 외부(상부) 표면과 결합하여, 잠금 아암(40)은 압입 상태로 유지된다. 암형 터미널 체결구(21)가 부분적으로 삽입된 상태로 잠금 아암(40)을 장착하고자 하는 경우에, 실질적으로 잠금 아암(40)을 향하는 잠금부(24O)가 잠금 아암(40)에 대한 배열 공간으로 돌출하기 때문에, 잠금 아암(40)은 자금부(24O)의 검출부(25O)와 간섭하여, 장착 작업을 방해한다(도 6참조). 상기 방식에서, 암형 터미널 체결구(21)의 불충분한 삽입 역시 검출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암형 터미널 체결구(21)는 잠금 아암(40)이 장착된 이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잠금 아암(40)이 장착된 이후에, 아암부(41)는 전방으로 일시적으로 회전되고, 암형 터미널 체결구(21)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잠금부(24O) 등은 잠금 아암(40)과 중첩하는 3개의 중간 캐비티(22)에 대하여 외측으로부터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확인될 수 있다. 암형 터미널 체결구(21)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된 이후에, 잠금 아암(40)이 전방으로 또는 실질적으로 초기 자세로 복귀할 수도 있다.
다음, 암형 커넥터(F)는 결합 방향(CD)을 따라 수형 커넥터(M)와 결합한다. 이 때, 암형 하우징(20)을 실질적으로 적정 자세에 대하여 잘못된 방향으로, 예를 들면 역전된 상태로 수형 하우징(10)과 결합하고자 하는 경우에, 신장된 돌출부(26)의 전단부 표면은 리셉터클(13)의 전단부 표면과 실질적으로 접촉하며, 그 결과, 결합 작업을 방해하여 오결합을 예방한다. 게다가, 불충분하게 삽입된 암형 터미널 체결구(21)의 검출을 간과한 상태로 두개의 하우징(10, 20)을 결합하고자 하는 경우, 암형 하우징(20)의 상부면 및 저면(20a, 20b)으로부터 돌출하는 잠금부 (24)의 검출부(25)의 전단부 표면은 결합 작업을 방해하는 리셉터클의 전단부 표면과 실질적으로 접촉한다. 그 결과, 암형 하우징 체결구(21)의 불충분한 삽입은 확실하게 검출될 수 있다(도 6 참조).
실질적으로 적정 자세로 있는 암형 하우징(20)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형 하우징(10)의 리셉터클(13)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경우에, 신장된 돌출부(26)는 대응하는 수납 리세스(17)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진입하여 결합 작업을 원활하게 안내한다. 또한, 잠금 아암(40)의 아암부(41), 하나 이상의 잠금 아암 유지부(29) 및 하나 이상의 리테이닝부(31)는 리셉터클(13)의 탈출 홈(14)으로 탈출시킨다. 암형 하우징(20)이 규정된(예정된 또는 예정 가능한) 깊이로 결합되면, 잠금부(43)의 경사진 전면과 결합부(16)의 경사진 전면은 상호 활주식으로 접촉되며, 그 결과 잠금 아암(4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적으로 변형된다. 이 때, 잠금 아암(40)은 지지점으로서 리테이닝부와 아암부(41)의 결합부의 후단부 위치에 의하여 탄성적으로 변형되며, 암형 하우징(20) 하방 또는 그것에서 변형 공간(45)[변형 공간(33O)]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후퇴한다. 잠금 아암(40)이 가장 큰 탄성 변형에 이르면, 아암부(41)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전체 길이에 걸쳐 전방 및 후방(FBD)[결합 방향(CD)과 거의 평행한]과 거의 수평하거나 거의 평행하며, 그 하부면 또는 내부면은 암형 하우징(20)의 측방향 (상부) 표면(20a)과 거의 동일한 위치에 도달한다. 암형 하우징(20)이 실질적으로 적정 깊이에 결합하면, 잠금부(43)는 체결 리세스(15)에 도달하며, 잠금 아암(40)은 탄성적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복권되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부(43)의 배면은 결합부(16)의 배면 과 결합한다. 상기 방식에서, 두개의 커넥터(F, M)는 서로 분리되지 않는 방식으로 결합된다. 이 때, 암형 터미널 체결구(21)의 탄성 접촉 부재(21c)는 수형 터미널 체결구(11)의 커넥터측 결합부(11a)와 탄성적으로 접촉 유지된다.
한편, 암형 커넥터(F) 유지 또는 기타 이유로 수형 커넥터(M)로부터 분리 또는 결합 해제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작동부(44)는 예를 들면 손가락으로 상부에서 눌러 작동시켜, 잠금 아암(40)이 암형 하우징(20)을 향하여 강제로 탄성 변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아암(40)은 탄성적으로 변형되며, 아암부(41)와 잠금부(43)는 결합부(16)와 체결 리세스(15)로부터 변위된다. 따라서, 잠금부(43)와 결합부(16)의 결합 영역은 점진적으로 감소한다. 잠금부(43)가 결합부(16)로부터 완전히 분리되는 정도로 가압 상태로 유지되는 작동부로 암형 하우징(20)을 후방으로 당기면, 암형 커넥터(F)는 수형 커넥터(M)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분리 작업 동안, 암형 커넥터(F)는 예를 들면 암형 하우징(20)의 측방향 (상부 및/또는 저부) 표면(20a, 20b) 상에 마련된 두개의 리브(27) 상에 손가락을 올려 놓고 그 리브(27)를 파지함으로써 용이하게 당겨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금속제 부재로 제조된 잠금 아암(40)은 암형 하우징(20) 상에 가압식으로 유지된다. 따라서, 하우징이 성형에 의하여 잠금 아암과 일체로 형성된 종래 커넥터와 비교할 때, 암형 하우징(20)으로부터 잠금 아암(40)의 돌출 높이는 감소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암형 커넥터(F)는 높이 방향을 따라 소형화될 수 있다. 게다가, 잠금 아암(40)이 암형 하우징(20)으 로부터 분리되기 때문에, 파손된 경우에는 교체될 수 있다.
또한, 암형 터미널 체결구(21)가 암형 하우징(20)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된 이후에, 잠금 아암(40)이 암형 하우징(20) 상에 또는 그것에 장착 또는 장착 가능하기 때문에, 잠금 아암(40)은 잠금 아암(40)을 대면하는 잠금부(24O)[검출부(25O)]의 시각적 확인에 대하여 방해물로서 위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잠금 아암(40)은 잠금부(24O)에 실질적으로 대면하도록 배열되며, 잠금부(24O)에 대한 변형 공간(33O)으로 후퇴할 수 있다. 즉, 잠금부(24O)에 대한 변형 공간(33O)은 잠금 아암(40)의 탄성 변형 동안 잠금 아암(40)에 대한 변형 공간(45)으로 공유된다. 따라서, 암형 커넥터(F)는 잠금부에 대한 변형 공간과 잠금 아암에 대한 변형 공간이 개별적으로 한정되는 커넥터와 비교할 때 더욱 소형화될 수 있다.
게다가, 잠금 아암(40)에는 하방으로 돌출하는 압입부(42)가 마련되기 때문에, 암형 하우징(20)에는 개방 상부 단부를 갖는 압입홈(30)이 마련되고, 압입부(42)는 상방에서 압입홈(30)으로 압입될 수 있으며, 잠금 아암(40)은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소형화에 적절한 커넥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합성 수지로 제조된 암형 하우징(20)에는 하나 이상의 암형 터미널 체결구(21)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납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캐비티(22)가 형성되며, 그것을 유지하기 위하여 암형 터미널 체결구(21)와 결합 가능한 하나 이상의 잠금부(24)가 캐비티(22) 내부에 제공된다. 잠금부(24) 각각은 탄성 변형 동안 암형 하우징(20)의 측방향 (상부) 표 면(20a) 또는 측방향 (저부) 표면(20b)으로부터 돌출한다. 결합 수형 커넥터(M)를 결합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잠금 아암(40)이 수형 하우징(20) 상이나 그것에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그 내부에 장착된다. 잠금 아암(40)은 금속 부재로 제조되며, 암형 하우징(20)의 압입 홈(30)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압입되거나 삽입 또는 결합될 수 있는 압입부(42)를 구비한다. 잠금 아암(40)은 잠금부(24O)를 실질적으로 대면하도록 배열되며, 탄성 변형 동안 잠금부(24O)에 대한 변형 공간(33O)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후퇴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본 발명의 제2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 12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2 실시예는 잠금 아암(40)에 대한 개량된 장착 구조를 나타낸다. 제2 실시예에서, 전술한 제1 실시예와 유사하거나 동일한 구조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병기하며 반복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잠금 아암 유지부(29A)가 규정된 (예정된 또는 예정 가능한)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으면서 암형 하우징(20)의 측방향 (상부) 표면(20a)으로부터 돌출하며, 개방 후단부를 갖는 압입홈(30A)이 잠금 아암 유지부(29A)의 배면에 형성된다. 반면, 잠금 아암(40)에는, 아암부(41A)의 전단부 또는 단부 부분에서 거의 평행한 부분[결합 방향(CD) 및/또는 전방 및 후방(FBD)과 거의 평행하게 연장하는 부분]은 압입부(42A)로 작용한다. 잠금 아암(40)을 장착하기 위하여, 잠금 아암(40)은 도 14에 도시된 상태에서 전방으로 밀리고, 압입부(42A)를 암형 하우징(20)의 측방향 (상부) 표면(20a)과 활주 접촉하는 상태로 유지되는 동안 후방으로부터 압입홈(30A)으로 가압된다. 이 때, 하나 이상의 암형 터미널 체결구(21)가 불충분하게 삽입되는 경우, 잠금부(24o)의 검출부(25O)가 잠금 아암(40)에 대한 장착 경로에서 돌출한다. 따라서, 압입부(42A)는 검출부(25o)와 간섭을 일으켜, 장착 작업을 방해한다. 그 결과, 암형 터미널 체결구(21)의 불충분한 삽입을 검출할 수 있다. 압입부(42A)를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입홈(30A)에 적정 깊이로 가압하는 경우, 잠금 아암(40)은 암형 하우징(20) 상에 가압 상태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잠금 아암(40)은 지지점으로서 잠금 아암 유지부(29A)의 후단부에서 지지되는 아암부(41A)의 위치에 의하여 암형 하우징(20)을 향하여 그리고 그로부터 상방 및 하방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다. 제1 실시예에 도시된 리테이닝부(31)는 제2 실시예에 제공되지 않았지만, 부가적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기타 실시예>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제한받지 않는다. 예를 들면, 하기의 실시예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한정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하기의 실시예 이외에, 청구범위에 의하여 한정된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여러 가지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1) 잠금 아암에 대한 장착 표면은 암형 하우징의 상부면에 제한받지 않으며, 잠금부가 돌출하지 않는 활주면 또는 전면과 같은 다른 외부면 또는 암형 하우징의 저면일 수도 있다.
(2) 상기 잠금부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탄성 변형 동안 잠금 아암에 대한 배 열 공간까지 변위되지만, 잠금부가 잠금 아암에 대한 배열 공간까지 변위되지 않는 커넥터, 즉 잠금부에 대한 변형 공간이 잠금 아암에 대한 변형 공간으로서만 공유될 수 있는 커넥터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3) 잠금부가 전술한 실시예에서 탄성 변형 동안 적어도 부분적으로 돌출하지만, 본 발명은 또한 잠금부가 탄성 변형 동안 돌출하지 않는 커넥터에도 적용될 수 있다.
(4) 잠금 아암의 형상은 임의적으로 변형 가능하다. 예를 들면, 아암부의 중간 위치에 압입부를 마련하여 잠금 아암을 형성하며, 전단부 및 후단부에 치형 또는 시소형 부분 또는 압입부를 마련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라 양 단부에서 잠금 아암을 지지한다. 게다가, 잠금 아암의 재료는 제공된 스테인레스 스틸 이외의 금속이 사용될 수도 있다.
(5) 전술한 실시예에서 수형 커넥터를 회로판에 고정하지만, 와이어의 단부에 마련되거나 접속 박스 컴퓨터 등과 같은 다른 장치에 고정될 수도 있다.
(6) 상기 실시예에서 암형 커넥터 상에 잠금 아암을 장착하였지만, 본 발명에 따른 수형 커넥터 상에 장착될 수도 있다. 터미널 체결구 각각의 개수 및 배열은 임의적으로 변경될 수도 있다.
<제3 실시예>
본 발명의 제3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 16 내지 도 2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잠금 아암(143)이 일체로 형성된 금속 부재(140)가 결합 방향(CD)을 따라 짝을 이루는 암형 커넥터(F)와 결합 가능한 수형 커넥터(M)에 장착된다. 하기의 설명에서, 상호 결합되는 두개의 커넥터(F 및 M)의 측면은 전방측으로 언급되고, 수직 방향과 관련된 도 17 및 도 19를 제외하고 도 16 내지 도 24 모두에서 언급된다.
우선, 암형 커넥터(F)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6 및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형 커넥터(F)는 예를 들면 합성 수지로 제조된 암형 하우징(110)과, 암형 하우징(110) 내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납된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다수의 (40개) 암형 터미널 체결구(111)를 구비한다. 암형 하우징(110)은 대체적으로 폭방향(WD)을 따라 세장형인 측방향으로 긴 블록 형태가 바람직하다. 암형 하우징(110)에는 20개의 캐비티(112)[암형 터미널 체결구(111)가 캐비티에 삽입 방향, 바람직하게는 후방으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 가능하다]가 하나 이상의 스테이지, 바람직하게는 각 상부 및 하부 스테이지에서 폭방향(WD)을 따라 균일한 간격으로 실질적으로 나란하게 배열되며, 여기에서 상부 스테이지에 있는 캐비티(112) 각각은 폭방향(WD)을 따라 하부 스테이지에 있는 캐비티와 변위(오프셋)된 위치에 배열되어 있다. 암형 터미널 체결구(111) 각각은, 전방 및 후방(FBD)을 따라 중공인 (바람직하게는 거의 박스형인) 본체부(111a)와 와이어(W)의 단부에 의하여 결합, 바람직하게는 권축, 절곡 또는 결합부로 접혀진 배럴부(111b)를 갖는 와이어 결합부가 앞뒤로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수형 터미널 체결구(121)의 커넥터측 결합부(121a)와 접촉할 수 있는 탄성 접촉 부재(111c)가 상기 본체부(111a)에 설치된다.
인접한 (상부 및 하부) 캐비티(22)를 구획하는 벽으로부터 바람직하게는 실 질적으로 대향하는 상기 캐비티(112) 각각의 벽에는, 특히 규정된 (예정된 또는 예정 가능한) 형상의 슬릿을 형성함으로써, 상부 스테이지에 있는 캐비티(112)의 상부벽 내부에 그리고 하부 스테이지에 있는 캐비티(112)의 저벽에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캔틸레버형) 잠금부(24)를 형성한다. 잠금부(113) 각각은 수직 방향을 따라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하며, 암형 터미널 체결구(111)를 캐비티(112) 내부에 보유하기 위하여 암형 터미널 체결구(111)의 본체부(111a)의 조우(jaw) 부분(111d)과 결합할 수 있다. 잠금부(113)는 캐비티(112) 내부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돌출하는 방식으로 후단부 또는 단부 부분(베이스 단부)으로부터 전단부(자유 단부)를 향하여 실질적으로 비스듬히 연장하며, 그 외부면은 바람직하게는 암형 하우징(110)의 측방향 (상부 또는 저부) 표면, 즉 암형 하우징(110)의 외부면과 거의 연속한다. 잠금부(113)가 탄성 변형 동안 암형 하우징(110)의 상부면 및 저면으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돌출하기 때문에, 두 개의 하우징(110, 112)을 그 상태에서 결합하고자 하는 경우에, 돌출 잠금부(113)는 리셉터클(123)의 전단부 표면과 간섭하여 결합 작업을 방해한다.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방향(CD)을 따른 두개의 하우징(110, 120)의 결합 작업을 안내하는 작용을 하는 하나 이상의 신장된 돌출부(114)는 암형 하우징(110)의 측방향 (상부 및/또는 저부) 표면(20a, 20b) 상에 마련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실질적으로 대향하는 폭방향 단부 위치에 두개의 신장된 돌출부(1146)가 마련되며, 암형 하우징(110)의 측방향 (상부 및 저부) 표면(20a, 20b) 각각의 폭방향 중심을 향하여 중간 위치에 두개의 신장된 돌출부(114) 가 마련된다. 전체 8개의 신장된 돌출부(114)가 마련된다. 신장된 돌출부(114) 각각이 암형 하우징(110)의 후단부 위치로부터 전방으로 연장하지만, 잠금부(113)가 암형 하우징(110)의 측방향 (상부 및 저부) 표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노출되기 때문에, 폭방향 중심을 향하여 중간 위치에 마련된 돌출부(114)는 전방 부분 및 후방 부분(도 17 참조)으로 분할 제거되는 중간부를 갖는다. 중심부를 향하여 중간 위치에 배열된 상부 및 하부 신장된 돌출부(114)는 폭방향(WD)을 따라 서로로부터 변위된다. 하부 신장된 돌출부(114)의 전단부 위치는 암형 하우징(110)의 전단부 위치와 실질적으로 정렬되지만, 상부 신장된 돌출부(114)의 전단부는 암형 하우징(110)의 전단부 위치로부터 후퇴하며, 그 전단부 표면은 돌출하거나 언더컷 표면이 상방으로 또는 전방을 향하여 외측으로 경사진다. 암형 하우징(110)의 측방향 (상부 및 저부) 표면의 후단부에는, 실질적으로 폭방향(WD)[캐비티(112)의 나란한 배열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리브(115)가 마련된다. 리브(115)가 암형 하우징(110)의 전체 폭방향 영역 상방에 실질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대향 단부에서 신장된 돌출부(114)와 결합하기 때문에, 그것은 암형 하우징(110)의 강도를 증가시킨다. 상부 리브(115)는 신장된 돌출부(114)와 거의 동일한 높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조작자가 암형 하우징(110)을 결합 및 해제시킬 때 조작자의 손가락을 배치시킬 수 있게 한다(도 24 참조).
암형 하우징(110)의 상부면의 폭방향 중간부에는 실질적으로 수형 커넥터(M)의 잠금 아암(143)과 결합 가능한 결합부(116)가 마련된다. 결합부(116)는 암형 하우징(110)의 측방향 (상부) 표면으로부터 상방 또는 외측으로 돌출하며, 암형 하 우징(110)의 전단부 위치[잠금부(113) 직전의 위치]로부터 약간 후퇴한 위치에 배치된다. 결합부의 폭은 잠금 아암(143)의 잠금부(148)의 그것과 거의 동일하게 설정된다. 결합부(116)의 전면은 결합 작업 동안 결합부(16) 상에서 잠금 아암(143)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하여 후방을 향하여 상방으로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반면, 잠금 아암(143)과 결합 가능한 잠금면으로서 결합부(116)의 배면은 결합 방향(CD)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또는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을 따라 거의 직선인 표면이다.
다음, 짝을 이루는 수형 커넥터(M)를 설명한다. 도 18 및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형 커넥터(M)는 회로판(K)(바람직한 전기 또는 전자 소자로서) 상에 장착되는 회로판 커넥터인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면 합성 수지로 제조된 수형 하우징(120), 수형 하우징(120) 내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다수의 (40개) 수형 터미널 체결구(121) 및 수형 하우징(120)에 장착되거나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금속 부재(140)를 구비한다. 특히, 수형 하우징(120)은 대체적으로 폭방향(WD)을 따라 세장형을 이루며, 터미널 삽입구(122a)[이것을 통해 수형 터미널 체결구(121)가 후방으로부터 삽입 방향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된다]가 형성된 터미널 유지부(122)와, 바람직하게는 터미널 유지부(122)의 주변 가장자리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는 직사각형 튜브 형태인 리셉터클(123)을 구비한다. 20개의 터미털 삽입구(122a)는 바람직하게는 상부 및 하부 스테이지의 각각에서 폭방향(WD)을 따라 균일한 간격으로 실질적으로 나란하게 배열되며, 여기에서 상부 스테이지에 있는 터미널 삽입구(122a)는 폭방향(WD)을 따라 하부 스테이지에 있는 삽입구와 변위된 위치에 배열되어 있다. 수형 터미널 체결구(121) 각각은 일부가 예를 들면 0도 또는 180도 상이한 각도로,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하방 굴곡된 터미널 유지부(122)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하며, 그 후단부는 0도 또는 180도 상이한 각도로,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굴곡되어 실질적으로 후방으로 연장한다. 리셉터클(123) 내부로 돌출하는 수형 터미널 체결구(11)의 전방부는 암형 커넥터(F)의 암형 터미널 체결구(111)와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한 커넥터측 결합부(121a)로서 작용하지만, 그 후단부는 땜납, (초음파) 용접, 프레스 체결 등에 의하여 전기/전자 소자, 예를 들면 회로판(K) 상에 인쇄된 도체 경로(도시 생략)와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한 판측 접속부(121b)로서 작용한다.
암형 커넥터(F)의 암형 하우징(120)은 전방으로부터 또는 실질적으로 결합 방향(CD)을 따라 리셉터클(13) 내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체결된다. 리셉터클(123)의 상부면의 중간부, 실질적으로 폭방향 중간부에는 결합부(116)의 진입을 허용하기 위한 수납홈(124)이 형성되어 있다. 게다가, 리셉터클(123)의 측방향 (저부 및 상부) 표면 각각에는 대응하는 신장된 돌출부(114)를 수납하기 위한 하나 이상, 예를 들면 4개의 수납 리세스(125)가 형성되어 있다. 리셉터클(123)의 외주 원주면에는 금속 부재 장착부(126)가 형성되어 있다. 금속 부재(140) 및 금속 부재 장착부(126)의 구조는 아래에 기술되어 있다.
금속 부재(140)는 금속 또는 금속형 재료로부터 규정된 (예정된 또는 예정 가능한) 형상으로 스탬프 또는 절결한 금속판을 절곡, 절첩 및/또는 양각 가공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금속 부재는 도 18 내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 셉터클(123)의 측방향 (상부) 표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는 본체부(141)와, 0도 또는 180도 다른 각도,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부(141)의 대향하는 측방향 가장자리 또는 가장자리부로부터 거의 법선 또는 하방으로 돌출하며, 리셉터클(123)의 측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는 한 쌍의 고정부(142)와, 본체부(141)에 형성된 잠금 아암(143)으로 구성된다. 반면, 금속 부재 장착부(126)는 리셉터클(123)의 측방향 (상부) 표면에 형성된 본체부 장착 리세스(127)와, 리셉터클(123)의 실질적으로 대향하는 측면에 형성된 한 쌍의 고정부 장착 홈(128)과, 리셉터클(123)의 상부(123a)에 형성된 잠금 아암 배열 공간(129)을 구비한다.
본체부(141)는 거의 평판 형상이며, 바람직하게는 리셉터클(123)의 측방향 (상부) 표면의 전체 폭 영역에 걸쳐 폭방향(WD)을 따라 측방향으로 연장한다. 본체 장착 리세스(127)는 리셉터클(123)의 측방향 (상부) 부분의 대응하는 폭 영역에서, 바람직하게는 전체 폭 영역에 걸쳐 형성되어, 본체부(141)의 두께에 실질적으로 대응하거나 동일한 깊이를 갖는다. 따라서, 장착된 본체부(141)의 상부면 및 리셉터클(123)의 상부면은 실질적으로 서로 동일한 높이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18 참조).
고정부(142) 각각은 [리셉터클(123)의 측면의 전체 높이 영역에 걸쳐] 실질적으로 수직방향으로 긴 하우징 고정부(144)와, 하우징 고정부(144)의 측방향 (저부) 단부로부터 측방향으로 돌출하는 보드 고정부(145)를 구비하며, 그 결과 전체적으로 L자형상을 갖는다(도 18 참조).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 장착홈(128) 각각은 리셉터클(123)의 측부의 전체 높이 영역에 걸쳐 형성되는 것이 바람 직하며, 리셉터클(123)의 측부를 수직으로 또는 측방향으로 관통하며, 하우징 고정부(144)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납하도록 구성된 하우징 고정부 수납부(130)와, 보드 고정부(145)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납하기 위하여 리셉터클(123)의 측부에 형성된 개구인 보드 고정부 수납부(131)를 구비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하우징 고정부(144)는 3개의 상이한 폭을 갖는 상부 또는 제1 부분(144a)(폭이 큰 부분), 중간 또는 제2 부분(144b)(폭이 중간인 부분) 및 저부 또는 제3 부분(144c)(폭이 작은 부분)을 구비하도록 계단형 또는 수렴하는 구성을 구비하지만, 보드 고정부(145)는 결합되는 저부(144c)와 거의 동일한 폭을 갖도록 형성된다. 반면, 하우징 고정부 수납부(130)는 하우징 고정부(144)의 상부 또는 제1 부분(144a)의 폭과 거의 같거나 큰 폭을 갖는 넓은 부분(130a)과 중간 또는 제2 부분(144b)의 폭과 거의 같거나 큰 폭을 갖는 좁은 부분(130b)이 상호 상하로 또는 인접하여 결합도록 형성되지만, 보드 고정부 수납부(131)는 본체부(141)의 저부 또는 제3 부분(144c) 및 보드 고정부(145)의 폭과 거의 동일하거나 큰 폭을 갖도록 형성된다.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리테이닝부(146)가 하우징 고정부(144)의 중간 또는 제2 부분(144b)의 실질적으로 대향하는 측방향 가장자리 또는 가장자리 부분으로부터 측방향으로 돌출한다. 이러한 리테이닝부(146)는 금속 부재(140)가 장착할 때 좁은 부분(130b)의 가장자리와 맞물리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금속 부재(140)는 수형 하우징(120) 상에 보유 또는 고정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보드 고정부(145)는 납땜, (초음파) 용접, 압입 체결 등에 의하여 회로판(K)에 고정된다. 보드 고정부(145)의 돌출 단부(외단부)는 리셉터클(123)의 측면과 동일한 높이를 이루도록 설 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9 및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아암(143)은 금속 부재(140)의 본체부(141)에 특정 슬릿을 형성하여 만들어진 금속 부재로 이루어진다. 잠금 아암(143)은 본체부(141)의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대향하는) 내부 가장자리에 결합된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지지부(147)와, 상기 지지부(147)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하는 잠금부(148)와, 지지부(147)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하는 작동부(149)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잠금부(148)는 후방을 향하여 구형 하우징(120) 쪽으로 내측으로 또는 하방으로 경사진 경사부와 그 후단부에 실질적으로 평행[또는 전방 및 후방(FBD)과 평행]한 평행부가 상호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결합부(116)의 배면은 수평부의 후방 가장자리와 결합 가능하다. 잠금부(148)의 경사부 전면은 결합부(116)의 전면을 따른 경사면이다. 작동부(149)는 거의 전체 길이에 걸쳐 실질적으로 수평하며, 잠금부(148)보다 넓다(예를 들면, 약 2배). 잠금 아암(143)은 지지점으로서 지지부(147)에 의하여 시소형, 변위 또는 요동 운동을 탄성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므로, 작동부(149) 및 잠금부(148)는 대향 방향으로변위하는 바, 즉 잠금부(148)는 수형 하우징(120) 외측으로 또는 그로부터 멀어지는 변위 방향(DD1)으로 변위하며, 작동부(149)는 수형 하우징(120) 내측으로 또는 그것을 향하는 변위 방향(DD2)으로 변위되고, 상기 변위 방향(DD1, DD2)은 서로 에대하여 실질적으로 대향한다(도 22 참조). 따라서, 작동부(149)가 수형 하우징(120) 하방으로 또는 그것을 향하여 가압되면(방향 DD2), 잠금부(148)는 수형 하우징(120) 상방 또는 그로부터 멀리, 즉 잠금 해제 방향으로 변위된다.
리셉터클(123)의 상부(123a)는 잠금 아암(143)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납하기 위하여 잠금 아암 배열 공간(129)을 형성하도록 절결된다. 잠금 아암 배열 공간(129)은 리셉터클(123)의 상부(123a)의 중간 위치(바람직하게는 폭방향 중간 위치)에서 상부(123a)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실질적인 직사각형 구멍 형태의 잠금부 수납부(132)와, 리셉터클(123)의 상부(123a)의 전단부를 얇게하거나 오목하게 하여 형성된 작동부 수납부(133)로 구성된다. 잠금부 수납부(132)는 작동부 수납부(133)와 상기 수납부(124)와 실질적으로 연통한다.
잠금 아암(143)이 잠금 아암 배열 공간(129) 내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납된 상태에서, 잠금부(148)는 잠금부 수납부(132) 내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작동부(149)는 작동부 수납부(133) 내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지지부(147)는 작동부 수납부(133)의 저면 또는 내부면(133a)에 인접하여 접촉하는 상태로 유지된다. 작동부 수납부(133)의 저면(133a)은 전방을 향하여 내측으로 또는 하방으로 경사지며[지지부(147)와 접촉하는 위치로부터 먼 방향으로 작동부(147)로부터 더욱 이격되어], 변위 방향(DD2)으로 작동부(149)의 기울어짐을 허용하는 규정된 (예정된 또는 예정 가능한) 공차가 저면 또는 내부면(133a)과 작동부(149) 사이에 한정된다. 잠금 아암(143)이 가압 시점에 탄성 한계를 넘어 변형되기 전에, 작동부(149)가 저면(133a)과 접촉할 수 있기 때문에, 작동부(149)는 과도하게 가압되는 것이 방지된다.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납된 상태에서, 작동부(149)의 상부면 또는 외부면과 리셉터클(123)의 그것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를 이루며, 잠금부(148)의 후단부의 저단부 표면은 실질적으로 리셉터클(123)의 상부 면과 같은 높이를 이룬다. 환언하면, 잠금 아암(143)은 높이 방향에 대하여 리셉터클(123)의 상부(123a)와 동일한 위치에 배치된다. 금속 부재(140)가 상기 방식으로 금속 부재 장착부(126) 내부에 완전히 수납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그것은 수형 하우징(120)의 외주면으로 부터 돌출하지 않는다. 본체부(141)의 일부[지지부(147)와 작동부(149)에 인접한 부분]가 작동부 수납부(133) 내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납되는 것에 주목하여야 한다.
게다가, 금속 부재(140)의 본체부(141)가 잠금 아암 배열 공간(129)을 규정하는 리셉터클(123)의 상부(123a)의 상부면(외부면)을 적어도 부분, 바람직하게는 완전히 덮을 수 있기 때문에, 절삭에 의하여 잠금 아암 배열 공간(129)의 형성으로 인하여 상부(123a)의 강도 감소를 보강을 위해 보상될 수 있다. 환언하면, 본체부(141)는 보강부로서 작용할 수도 있다.
다음, 이렇게 구성된 실시예의 작동을 설명하기로 한다. 수형 커넥터(M)를 조립할 때, 수형 터미널 체결구(121) 각각은 삽입 방향, 바람직하게는 후방으로부터 대응하는 터미널 삽입구(122a)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며, 금속 부재(140)는 상부로부터 또는 측방향으로 금속 부재 장착부(126)에 또는 그 상부에 장착된다. 금속 부재(140)가 실질적으로 적정 깊이 또는 위치로 밀리면, 하우징 고정부(144)의 상부(144a)의 저단부에 있는 하나 이상의 스텝부(144d)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 고정부 수납부(130)의 넓은 부분(130b)의 저단부에 있는 스텝부 또는 돌출부(130c)와 접촉하며, 따라서 금속 부재(40)의 부가적인 삽입은 방지되며, 보드 고정부(145)의 하부면은 수형 하우징(120)의 저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이러한 위치[본체부(141)의 상부면이 리셉터클(123)의 그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가 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이 상태에서, 리테이닝부(146)는 좁은 부분(130b)의 가장자리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맞물리거나, 결합하거나 또는 트러스트하여 금속 부재(140)의 상향 분리 이동(분리 방향으로 이동)을 방지한다. 수형 터미널 체결구(121)의 삽입 작동 및 금속 부재(140)의 장착 작동 중 어느 것을 먼저 수행할 것인가는 문제가 되지 않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조립된 수형 커넥터(M)는 회로판(K)에 고정된다. 수형 하우징(120)을 회로판(K)에 배치하고, 보드 고정부(145) 양자를 회로판(K)에 고정시킬 위치에 배치한 이후에, 예를 들면 보드 고정부(145)의 주변 가장자리에 융액 땜납을 부착 및 응고시켜, 수형 커넥터(M)를 회로판(K)에 고정시킨다. 그 이후, 수형 터미널 체결구(121)의 보드측 결합부(121b)는 회로판(K) 상의 대응하는 도체 경로에 연속적으로 납땜된다.
그 이후, 개별적으로 조립된 암형 커넥터(F)는 회로판(K)에 고정된 수형 커넥터(M)와 결합된다. 암형 하우징(120)이 도 21에 도시된 상태에서 결합 방향(CD)을 따라 암형 하우징(120)의 리셉터클(123)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끼워진 이후에, 신장된 돌출부(114) 각각은 결합 작업을 원할하게 안내하기 위하여 수납 리세스(125)에 진입한다. 암형 하우징(110)이 규정된 (예정된 또는 예정 가능한) 깊이로 결합되면, 잠금부(148)의 경사진 전면과 결합부(116)의 경사진 전면은 상호 미끄럼 접촉함으로써, 탄성 아암(143)은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적으로 변형 및/또는 변위된다. 이 때, 잠금 아암(143)은 지지부(147)를 중심으로 시소형 변위 또는 요동 운동을 수행하며, 그 결과, 잠금부(148)는 결합부(116) 위에서 이동하여변위 방향(DD1)으로 또는 상방으로 변위되며, 작동부(149)는 변위 방향(DD2)으로 또는 하방으로 변위된다(도 22의 확대로 참조). 암형 하우징(110)이 실질적으로 적정 깊이까지 결합되면, 결합부(116)는 잠금부(148) 후방의 지점에 도달하며, 잠금 아암(143)은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부(148)의 후방 가장자리를 결합부(116)의 배면과 결합시키도록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 복원된다. 상기 방식에서, 두 개의 커넥터(F, M)는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 때, 암형 터미널 체결구(111)의 탄성 접촉 부재(111c)는 수형 터미널 체결구(121)의 커넥터측 결합부(121a)와 탄성 접촉 관계로 적절히 유지된다.
반면, 암형 커넥터(F)가 유지 또는 기타 이유로 수형 커넥터(M)로부터 분리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작동부(149)는 잠금 아암(143)을 가압 탄성적으로 변형시키거나 변위시키도록 작동된다(예를 들면, 손가락으로 위에서 누른다).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부(149)가 수형 하우징(120)을 향하여 또는 하방으로 가압되는 경우, 잠금 아암(143)은 지지부(147)를 중심으로 시소형 변위 또는 요동 이동을 수행하여 잠금부(148)를 상방으로 또는 변위 방향(DD1)[결합부(116)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변위하고 결합부(116)와의 결합 영역을 점진적으로 감소시킨다. 이 때, 지지부(147)는 작동부 수납부(133)의 저면(133a)과 접촉 상태로 유지되어 하방으로부터 지지될 수 있다. 잠금부(143)가 결합부(116)로부터 완전히 분리되는 정도까지 작동 또는 가압 유지되는 작동부(149)로 암형 하우징(110)을 후방으로 당기면, 암형 커넥터(F)는 수형 커넥터(M)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러한 분리 작동 동안, 암형 하우징(110)의 하나 이상의 리브(115) 위에 손가락을 올려 두고 리브(115)를 파지함으로써 암형 커넥터(F)를 용이하게 끄집어 낼 수 있다. 작동부(149)를 과도하게 누르는 경우에, 작동부(149)는 작동부 수납부(133)의 저면(133a)과 실질적으로 접촉하여, 더 이상의 변위를 방지한다. 그러므로, 잠금 아암(143)이 실질적으로 소성 변형되는 이러한 상황이 방지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수형 하우징(120)의 리셉터클(123)은 잠금 아암 배열 공간(129)을 형성하도록 절결되고, 금속 부재로 형성된 잠금 아암(143)은 내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바람직하게는 완전히 배열되어 있다. 따라서, 수형 커넥터(M)는 리셉터클과 잠금 아암이 종래에서와 같이 높이 방향을 따라 상호 상하로 배치된 커넥터와 비교할 때 소형화될 수 있다.
게다가, 잠금 아암(143)이 시소형 변위 또는 요동 운동을 수행할 수 있고 또한 그 후단부에 마련된 결합부(116) 및 그 전단부에 마련된 작동부(149)와 결합 가능한 잠금부(148)를 구비하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잠금 아암(143)은 작동부(149)의 작동에 의하여 기울어져서 잠금부(149)가 결합부(116)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또한, 금속판으로 제조된 본체부(141)는 잠금 아암 배열 공간(129)이 절삭 또는 오목하게 하여 형성되는 리셉터클(123)의 상부(123A)의 외측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바람직하게는 완전히 덮도록 배치되기 때문에, 잠금 아암 배열 공간(129)의 형성으로 인한 수형 하우징(120)의 강도 감소가 보상될 수 있다. 게다가, 본체부(141)가 잠금 아암(143)과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그 구조는 간략화될 수 있다. 또한, 보드 고정부(145)가 하우징 고정부(144)를 통해 본체부(141)와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그 구조는 더욱 간략화될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를 소형화하기 위하여, 수형 하우징(120)에는 암형 커넥터(f)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끼워지는 리셉터클(123)이 마련된다. 수형 하우징(120)에는 금속 부재(140)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장착 또는 수납하는데 사용되는 금속 부재 장착부(126)가 마련된다. 금속 부재(140)에는 암형 커넥터(f)의 결합부(116)와 결합 가능한 잠금 아암(143)이 마련된다. 금속 부재 장착부(126)는 잠금 아암(143)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납될 수 있는 잠금 아암 배열 공간(129)을 구비하며, 잠금 아암 배열 공간(129)은 리셉터클(123)의 상부(23A)를 절삭 또는 오목하게 하는 것에 의하여 형성된다.
<기타 실시예>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제한받지 않는다. 예를 들면, 하기의 실시예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한정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하기의 실시예 이외에, 청구범위에 의하여 한정된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여러 가지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1) 잠금 아암의 형상은 임의적으로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면, 잠금 아암은 본 발명에 따르면 양 단부에서 지지되거나 일단부에서 지지될 수 있다. 잠금 아암 배열 공간의 형상 역시 임의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잠금부 수납부는 리셉터클의 상부를 수직으로 관통하지 않을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르면 개방 전단부 또는 후단부를 구비할 수 있다. 게다가, 잠금 아암 배열 공간은 상부 이외의 리셉터클의 일부(예를 들면, 하부 또는 측부)에 마련될 수 있다.
(2) 잠금 아암이 전술한 실시예에서 수형 하우징의 외부면을 덮는 본체부에 일체로 형성되지만, 본체부와 별도로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금속 부재의 고정부 및 본체부는 생략될 수 있으며, 수형 하우징에는 잠금 아암만이 마련될 수도 있다.
(3) 수형 커넥터를 회로판에 고정할 때, 납땜 이외의 방법 (예를 들면, 나사 수단)을 채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금속 부재의 보드 고정부를 생략할 수도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은 회로판에 고정되는 커넥터에 대한 용례에 제한받지 않으며, 와이어의 단부에 마련된 커넥터에도 적용될 수 있다.
(4) 수형 커넥터에 전술한 실시예에서 잠금 아암이 마련되어 있지만, 이와 반대로 암형 커넥터에도 본 발명에 따른 잠금 아암이 마련될 수도 있다. 게다가, 터미널 체결구 각각의 개수 및 배열은 임의적으로 변경 가능하며, 수형 커넥터의 형상도 임의적으로 변경 가능하다.
전술한 바에 따르면, 금속 부재로 제조된 잠금 아암은 암형 하우징 상에 가압식으로 유지되기 때문에, 하우징은 성형에 의하여 잠금 아암과 일체로 형성된 종래 커넥터와 비교할 때, 하우징으로부터 잠금 아암의 돌출 높이는 감소할 수 있다. 그 결과, 커넥터는 높이 방향을 따라 소형화될 수 있다.
터미널 체결구가 캐비티 내부에 불충분하게 삽입된 상태로 존재하면, 잠금부는 하우징의 외부면으로 부터 돌출한다. 따라서, 이러한 터미널 체결구의 불충분한 삽입은 외부에서 잠금부를 시각적으로 확인하는 것에 의하여 검출될 수 있다. 터미널이 하우징에 삽입된 이후에 잠금 아암이 하우징에 장착되면, 잠금 아암은 잠금부의 시각적 확인에 대한 장애물로서 직립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잠금부에 대한 변형 공간은 잠금 아암에 대한 변형 공간으로 공유되기 때문에, 커넥터는 잠금부에 대한 변형 공간과 잠금 아암에 대한 변형 공간이 개별적으로 한정되는 커넥터와 비교할 때 더욱 소형화될 수 있다.
잠금 아암이 압입부를 상방에서 압입홈에 가압하는 것에 의하여 하우징 상에 유지될 수 있기 때문에,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다.
하우징의 리셉터클은 잠금 아암 배열 공간을 형성하도록 절결되고, 금속 부재로 형성된 잠금 아암은 내부에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커넥터는 리셉터클과 잠금 아암이 종래에서와 같이 높이 방향을 따라 상호 상하로 배치된 커넥터와 비교할 때 소형화될 수 있다.
절삭에 의하여 리셉터클 내부에 잠금 아암 배열 공간이 형성되는 것으로 인한 하우징의 강도 감소는 금속판으로 제조된 보강부에 의하여 보상될 수 있다. 게다가, 보강부는 잠금 아암과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그 구조는 간략화될 수 있다.

Claims (10)

  1. 삭제
  2. 합성 수지로 제조된 하우징(20; 120)과;
    짝을 이루는 커넥터(M; F)를 결합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잠금 아암(40; 143)
    을 포함하며, 상기 잠금 아암(40; 143)은 금속 부재로 제조되며, 이 잠금 아암은,
    상기 하우징(20; 120) 중 어느 하나의 내부나 표면에 가압 상태로 유지되거나,
    상기 하우징(120) 중 어느 하나를 절삭 또는 오목하게 하여 형성된 잠금 아암 배열 공간(129) 내부에 상기 잠금 아암(143)의 일부 또는 전부가 배열되거나,
    상기 하우징(120) 중 어느 하나의 내부나 표면에 가압 상태로 유지되고, 이 하우징(120)을 절삭 또는 오목하게 하여 형성된 잠금 아암 배열 공간(129) 내부에 일부 또는 전부가 배열되며,
    상기 하우징(20)에는 하나 이상의 터미널 체결구(21)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납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캐비티(22)가 형성되며,
    터미널 체결구(21) 각각과 결합하여 그 체결구를 보유하는 하나 이상의 잠금부(24)가 캐비티(22) 각각에 마련되며, 그 잠금부(24)의 일부 또는 전부가 탄성 변형 동안 하우징(20)의 외부면(20a; 20b)으로부터 돌출하고,
    상기 잠금 아암(40)은 하우징(20)의 외부면(20a; 20b) 상에 장착되며, 잠금부(24)가 상기 외부면으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돌출하는 것인 커넥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잠금 아암(40)은 잠금부(24)에 실질적으로 대향하도록 배열되며, 탄성 변형 동안 잠금부(24)에 대한 변형 공간(33O)으로 후퇴하는 것인 커넥터.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잠금 아암(40)은 하우징(20)을 향하여 또는 하방으로 돌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압입부(42; 42A)를 구비하며, 상기 압입부(42; 42A)의 일부 또는 전부가 가압되는 적어도 하나의 압입홈(32; 32A)이 개방 외단부를 갖도록 하우징(20) 내부에 형성되는 것인 커넥터.
  5.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0)은 짝을 이루는 커넥터(F)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끼워지는 리셉터클(123)을 구비하며, 상기 잠금 아암(143)은 짝을 이루는 커넥터(F)를 결합 상태로 보유하기 위하여 짝을 이루는 커넥터(F)의 결합부(116)와 결합 가능한 것인 커넥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잠금 아암(143)의 일부 또는 전부가, 리셉터클(123)을 절삭 또는 오목하게 하여 형성된 잠금 아암 배열 공간(129) 내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열되는 것인 커넥터.
  7.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잠금 아암(143)은 시소형 변위, 시소형 변위 및 변형, 시소형 변형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수행하도록 형성된 것인 커넥터.
  8.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잠금 아암(40; 143)은 짝을 이루는 커넥터(M; F)의 결합부(16; 116)와 결합 가능한 잠금부(43; 148)를 구비하며, 상기 잠금부(43; 148)는 일단부에 마련되며, 다른 단부에 마련된 잠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작동부(44; 149)를 구비하는 것인 커넥터.
  9.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20)의 일부(123a)의 외부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도록 금속판으로 제조된 보강부(141)가 제공되며, 상기 리셉터클 내부에는 상기 잠금 아암 배열 공간(112)이 형성되고, 상기 잠금 아암(143)은 보강부(141)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인 커넥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20)은 회로판(K)과 같은 전기 또는 전자 소자에 고정되며, 상기 보강부(141)는 전기 또는 전자 소자(K)에 고정되는 보드 고정부(145)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인 커넥터.
KR1020050000928A 2004-01-05 2005-01-05 커넥터 KR1007408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000624A JP2005197035A (ja) 2004-01-05 2004-01-05 コネクタ
JPJP-P-2004-00000624 2004-01-05
JP2004004667A JP2005197184A (ja) 2004-01-09 2004-01-09 コネクタ
JPJP-P-2004-00004667 2004-01-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2075A KR20050072075A (ko) 2005-07-08
KR100740849B1 true KR100740849B1 (ko) 2007-07-20

Family

ID=34635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0928A KR100740849B1 (ko) 2004-01-05 2005-01-05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008254B2 (ko)
EP (1) EP1557908B1 (ko)
KR (1) KR100740849B1 (ko)
CN (1) CN100377444C (ko)
DE (1) DE602004008208T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5647B1 (ko) 2008-03-27 2010-05-0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수형 하우징과 암형 하우징을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67641B2 (ja) * 2006-06-02 2009-05-27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アンプ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組立体
US7448896B2 (en) * 2006-06-22 2008-11-11 John Mezzalingua Associates, Inc. Connector release tab
DE102006054647B4 (de) * 2006-11-17 2011-04-07 Phoenix Contact Gmbh & Co. Kg Elektrische Steckverbinderkupplung
JP5012072B2 (ja) * 2007-02-14 2012-08-29 住友電装株式会社 基板用コネクタ
KR100866081B1 (ko) * 2007-02-28 2008-10-30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이중 잠금 리셉터클 단자 커넥터
DE102009058616B4 (de) * 2009-12-17 2011-11-10 Harting Electronics Gmbh & Co. Kg Leiterplattensteckverbinder mit Verriegelungsvorrichtung
US8764211B2 (en) * 2010-05-26 2014-07-01 Doug Fredrickson Non-opaque junction box cover with troubleshooting electronic circuit board
US20140057501A1 (en) * 2012-08-27 2014-02-2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Electrical-mechanical fastening device for motor vehicles
JP6196961B2 (ja) * 2014-12-11 2017-09-13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CN106953190B (zh) * 2017-03-03 2019-07-26 中航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连接器、连接器接触件、连接器壳体组件及连接器壳体
JP6885245B2 (ja) * 2017-07-18 2021-06-09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6575586B2 (ja) * 2017-12-21 2019-09-18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シールド端子
JP6889842B2 (ja) * 2018-02-26 2021-06-18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6605660B1 (ja) * 2018-06-19 2019-11-13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コネクタ及び相手側コネクタ
JP7281089B2 (ja) * 2019-11-29 2023-05-25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8085U (ja) * 1992-02-19 1993-09-10 菱星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のロック機構
JPH1032043A (ja) 1996-07-15 1998-02-03 Hosiden Corp コネクタ構造及びそのプラグとソケット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463751A (en) * 1974-05-03 1977-02-09 Amp Inc Electrical tab receptacle
DE3209076A1 (de) * 1982-03-12 1983-09-22 FCT Electronic GmbH, 8000 München Abdeckhaube fuer steckverbinder
US4898549A (en) * 1986-01-28 1990-02-06 Omron Tateisi Electronics Co. Connector built from one or more single rowed housings, with long lasting locking mechanism
US4735583A (en) * 1987-04-24 1988-04-05 Amp Incorporated Spring latch for latching together electrical connectors and improved latching system
JPH0313682U (ko) * 1989-06-26 1991-02-12
JPH03120742A (ja) 1989-10-04 1991-05-22 Hitachi Ltd 半導体装置のエージング方法、及び、同装置
JPH0754724B2 (ja) * 1989-11-17 1995-06-07 菱星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のロック機構
US5171161A (en) * 1991-05-09 1992-12-15 Molex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ies
JPH0568085A (ja) 1991-09-10 1993-03-19 Nec Corp 自動交換機の局データ設定方式
JP2634528B2 (ja) * 1991-12-27 1997-07-30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3314100B2 (ja) 1993-03-12 2002-08-12 菱星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のロック機構
US5637014A (en) * 1994-01-31 1997-06-10 Mitsumi Electric Co., Ltd. Electrical connector
JP3053522B2 (ja) * 1994-04-12 2000-06-19 株式会社フジクラ コネクタ
US5685739A (en) * 1996-02-14 1997-11-11 The Whitaker Corporation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JP2708040B2 (ja) 1996-07-01 1998-02-04 株式会社エンプラス Tcp用icキャリア
JPH10321292A (ja) 1997-05-16 1998-12-04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US6045404A (en) * 1997-06-30 2000-04-04 The Whitaker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terminal position assurance device
JPH11185878A (ja) * 1997-12-25 1999-07-0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コネクタプラグのロック構造
JP3365612B2 (ja) 1998-01-30 2003-01-14 富士通株式会社 電子装置用試験装置
EP0933835B1 (en) * 1998-02-03 2003-09-10 The Whitaker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JPH11326379A (ja) 1998-03-12 1999-11-26 Fujitsu Ltd 電子部品用コンタ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及びコンタクタ製造装置
JP2000214216A (ja) 1999-01-26 2000-08-04 Hitachi Ltd 半導体検査装置
JP3559725B2 (ja) 1999-06-28 2004-09-02 株式会社ルネサステクノロジ 半導体素子検査用ソケット、半導体装置の検査方法及び製造方法
US6123575A (en) * 1999-07-30 2000-09-26 Huang; Wayne Electrical card connector with mixed latching means
US6146182A (en) * 1999-08-13 2000-11-14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with latching means
NL1015918C2 (nl) * 2000-08-11 2002-02-12 Fci Mechelen N V Kabelconnector en kit voor het maken van een kabelconnector.
JP2002141151A (ja) 2000-11-06 2002-05-17 Texas Instr Japan Ltd ソケット
JP3546384B2 (ja) 2001-06-04 2004-07-28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のロック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8085U (ja) * 1992-02-19 1993-09-10 菱星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のロック機構
JPH1032043A (ja) 1996-07-15 1998-02-03 Hosiden Corp コネクタ構造及びそのプラグとソケッ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5647B1 (ko) 2008-03-27 2010-05-0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수형 하우징과 암형 하우징을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50148229A1 (en) 2005-07-07
EP1557908A3 (en) 2005-08-31
EP1557908B1 (en) 2007-08-15
CN1645683A (zh) 2005-07-27
US7008254B2 (en) 2006-03-07
DE602004008208T2 (de) 2008-05-15
KR20050072075A (ko) 2005-07-08
CN100377444C (zh) 2008-03-26
EP1557908A2 (en) 2005-07-27
DE602004008208D1 (de) 2007-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01417B1 (en) A joint connector and method of assembling it
KR100740849B1 (ko) 커넥터
EP1923962B1 (en) A connector and method of preassembling it
KR101025638B1 (ko) 커넥터
KR101006944B1 (ko) 커넥터 및 커넥터 시스템
US6659797B2 (en) Connector with resiliently deflectable lock arm
US7114997B2 (en) Electrical connector
EP1635425B1 (en) Connection terminal
US7462070B2 (en) Connector having lock mechanism
EP1986288B1 (en) A shorting terminal, a connector and an assembling method therefor
US6533615B2 (en) Shielding terminal and a connector provided therewith
EP1271704A1 (en) A connector and an unlocking jig therefor
EP1548894B1 (en) A connector
US20040097113A1 (en) Connector
EP1134848B1 (en) A connector and a set of terminal fittings
CN110581370B (zh) 端子和连接器
EP1619760B1 (en) A jig and a method for withdrawing a terminal in a connector
US7001224B2 (en) Connector with retainer for locking terminal fitings
US20230198191A1 (en) Connector
JP7389407B2 (ja) カードエッジコネクタ
US11626683B2 (en) Connector with retainer
CN116848733A (zh) 连接器
JP2002033165A (ja) コネクタ
JP2005149826A (ja) ジョイント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1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