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6081B1 - 이중 잠금 리셉터클 단자 커넥터 - Google Patents

이중 잠금 리셉터클 단자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6081B1
KR100866081B1 KR1020070020256A KR20070020256A KR100866081B1 KR 100866081 B1 KR100866081 B1 KR 100866081B1 KR 1020070020256 A KR1020070020256 A KR 1020070020256A KR 20070020256 A KR20070020256 A KR 20070020256A KR 100866081 B1 KR100866081 B1 KR 1008660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ptacle terminal
upper portion
locking
electrical receptacl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0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79800A (ko
Inventor
배해성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202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6081B1/ko
Publication of KR200800798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98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60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60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2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3Coupling part wherein contact is comprised of a wire or brush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셉터클 단자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탭 단자(200)를 수용하기 위한 전기 리셉터클 단자 커넥터(10)에 있어서, 상기 전기 리셉터클 단자(100)가 수용되는 공간을 가진 하우징(20)과, 상기 전기 리셉터클 단자(100)와 하우징(20)간의 결합을 체결하는 잠금 슬라이더부(40)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20)은 기저부(22)와, 제1 상측부(24)와, 제2 상측부(26)와, 제3 상측부(28)를 포함하고, 상기 기저부(22)는 상기 전기 리셉터클 단자(100)가 하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면에는 상기 전기 리셉터클 단자(100)의 하측에 압입되어 후측으로의 이동을 고정시키는 걸림턱(30)을 가지고, 상기 제1 상측부(24)는 상기 전기 리셉터클 단자(100)의 상측으로의 이동을 고정시키고, 상기 제2 상측부(26)는 상기 제1 상측부(24)의 후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상기 전기 리셉터클 단자(100)의 상측으로의 이동을 고정시키고, 상기 제3 상측부(28)는 상기 제1 상측부(26)로부터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2 상측부(26)에 대하여 상측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잠금 슬라이더부(40)는 상기 제2 상측부(26)와 상기 제3 상측부(28)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서 슬라이딩 운동을 하고, 결합시 상기 전기 리셉터클 단자(100)가 후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고정시키는, 이중 잠금 전기 리셉터클 단자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리셉터클 단자, 이중 잠금, 잠금 슬라이더부

Description

이중 잠금 리셉터클 단자 커넥터 {Receptacle Terminal Connector for Double Locking}
도 1은 본 발명의 이중 잠금 리셉터클 단자 커넥터의 내부를 보여주는 절개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리셉터클 단자가 결합되었을 때의 단면도.
도 3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리셉터클 단자를 분리할 때의 단면도.
본 발명은 리셉터클 단자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우징에 잠금 슬라이더부를 더욱 포함하여 리셉터클 단자를 이중으로 체결하여 체결력을 높이는 구조에 관한 이중 잠금 리셉터클 단자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전기, 전자부품들은 전원부와 와이어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부품들과 와이어들은 연결시 배선작업의 편리성 등을 기하기 위하여 커넥터를 사용하는데, 이러한 커넥터는 부품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와이어와 접속되는 제1 커넥터와 상기 제1 커넥터에 결합되며 전원부 의 전원에 연결되어 있는 와이어와 접속되는 제2 커넥터로 나뉘어진다.
일반적으로 상기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에는 각기 다른 종류의 단자들을 사용하고 있는데, 상기 제1 커넥터에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탭단자와, 상기 제2 커넥터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리셉터클 단자로 나뉘어진다. 즉,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의 결합시에 상기 제1 커넥터에 내장된 탭단자가 상기 제2 커넥터에 내장된 리셉터클단자에 삽입됨으로써 전기적으로 결합된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종래부터 사용되어지는 리셉터클 단자는 전방에는 탭단자를 수용할 수 있도록 탭단자 수용부를, 후방에는 와이어 등과 전기적 접속을 유지시키는 접속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탭단자 수용부는 일반적으로는 일체로된 평판을 말거나 접는 가공을 하여 탭단자 수용구멍을 형성시킨다. 이러한 리셉터클 단자의 형상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도 그대로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형상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다.
종래에는 이러한 리셉터클 단자의 탭단자 수용부의 아래부분에 홈을 만들고 이를 래치에 걸어 고정시키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래치와 홈을 가지고는 탭단자 삽입시 고삽입력을 요하는 경우에는 파손되거나 리셉터클 단자가 밀려나가면서 해제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결합력을 더욱 크게 증대하기 위해서는 체결부를 더욱 형성시키는 것이 해결책이나 리셉터클 단자의 결합 및 해 지의 편의성을 고려한 설계가 요구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종래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리셉터클 단자 커넥터(10)에 잠금 슬라이딩부(40)를 추가로 구성하여 이중 잠금을 통해 리셉터클 단자(100)의 고정력을 향상시켰으며, 슬라이딩 운동을 통해 이중 잠금을 해제하므로 그 조작이 매우 간편하다는 편리성이 증진되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이중 잠금 리셉터클 단자 커넥터는, 상기 전기 리셉터클 단자(100)가 수용되는 공간을 가진 하우징(20)과, 상기 전기 리셉터클 단자(100)와 하우징(20)간의 결합을 체결하는 잠금 슬라이더부(40)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20)은 기저부(22)와, 제1 상측부(24)와, 제2 상측부(26)와, 제3 상측부(28)를 포함하고, 상기 기저부(22)는 상기 전기 리셉터클 단자(100)가 하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면에는 상기 전기 리셉터클 단자(100)의 하측에 압입되어 후측으로의 이동을 고정시키는 걸림턱(30)을 가지고, 상기 제1 상측부(24)는 상기 전기 리셉터클 단자(100)의 상측으로의 이동을 고정시키고, 상기 제2 상측부(26)는 상기 제1 상측부(24)의 후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상기 전기 리셉터클 단자(100)의 상측으로의 이동을 고정시키고, 상기 제3 상측부(28)는 상기 제1 상측부(26)로부터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2 상측부(26)에 대하여 상측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잠금 슬라이더부(40)는 상기 제2 상측부(26)와 상기 제3 상측부(28)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서 슬라이딩 운동을 하고, 결합시 상기 전기 리셉터클 단자(100)가 후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중 잠금 리셉터클 단자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내부를 보여주는 절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리셉터클 단자(100)는 전방에는 탭단자를 수용할 수 있도록 탭단자 수용부를, 후방에는 와이어 등과 전기적 접속을 유지시키는 접속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탭단자 수용부는 일반적으로는 일체로된 평판을 말거나 접는 가공을 하여 탭단자 수용구멍을 형성시킨다. 따라서, 탭단자 수용부의 끝단이 걸림부(110)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커넥터 하우징(20)과 1차 체결을 위해서 상기 걸림턱(30)이 압입될 수 있도록 저면에 홈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20)은 기저부(22)와, 제1 상측부(24)와, 제2 상측부(26)와, 제3 상측부(28)로 구성된다. 전면부는 탭단자(200)의 삽입을 위해 개구로 형성되어 있 으며, 후면부는 전선 등의 결합을 위해 개구로 형성되어 있다. 기저부(22)와, 제1 상측부(24)와, 제2 상측부(26)와, 제3 상측부(28)는 단면은 이격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나, 하우징 전체적으로 볼 때에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저부(22)는 상기 전기 리셉터클 단자(100)가 하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면에는 상기 전기 리셉터클 단자(100)의 하측에 압입되어 후측으로의 이동을 고정시키는 걸림턱(30)을 가지고 있다. 상기 기저부(22)는 걸림턱(30)이 있는 전(前)방향으로 갈수록 그 단면적이 줄어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리셉터클 단자(100)를 커넥터 하우징(20) 내로 삽입시, 상기 기저부(22)는 소정의 탄성변형을 통해 아래로 이동한 후, 상기 걸림턱(30)이 리셉터클 단자(100)의 홈과 만나는 순간 압입되면서 리셉터클 단자(100)를 고정시킨다.
상기 제1 상측부(24)는 상기 전기 리셉터클 단자의 탭단자 수용부와 접촉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전기 리셉터클 단자(100)의 상측으로의 이동을 고정시킨다.
상기 제2 상측부(26)는 상기 전기 리셉터클 단자의 접속부와 접촉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제1 상측부(24)의 후방으로 상기 제1 상측부(24)와 이격되어 형성되어, 상기 전기 리셉터클 단자(100)의 상측으로의 이동을 고정시킨다.
상기 제3 상측부(28)는 상기 제1 상측부(26)로부터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2 상측부(26)에 대하여 상측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격된 공간에 상기 잠금 슬라이더부(40)가 수용된다.
상기 잠금 슬라이더부(40)는 상기 제1 상측부(24) 방향으로 하향 절곡 형성되는 탄성부(42)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상측부(26)는 상기 제1 상측부(24) 방향의 단부의 상면(27)이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부(42)는 상기 하우징(20)의 제2 상측부(26)와 제3 상측부(28) 사이에 상기 잠금 슬라이더부(40)가 삽입된 경우, 하향 절곡 형성된 형상적 특징에 의해 후방향으로 밀리지 않고 전방향으로 탄성 복원력을 받게 된다. 다만, 작업자는 상기 잠금 슬라이더부(40)를 탄성력을 초과하는 힘을 후방향으로 가함으로써 슬라이딩 운동을 통해 단자의 체결 및 분리 작업을 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42)의 하향 절곡된 각도를 조절하면 탄성 복원력을 변화시킬 수 있어 요구되는 커넥터의 결합 강도를 맞출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상측부(24)는 상기 잠금 슬라이더부(40) 방향의 단부에 수직의 걸림부(25)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 슬라이더부(40)의 전(前)단부면(44)이 상기 걸림부(25)에 걸리는 형상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상측부(24)의 걸림부(25)는 상기 잠금 슬라이더부(40)가 전방향으로 계속 진행하는 것을 방지하며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잠금 슬라이더부(40)의 전(前)단부면(44)의 면적의 절반정도가 상기 걸림부(25)에 걸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머지의 면적은 상기 리셉터클 단자의 탭단자 수용부 끝단에 위치한 걸림부(110)에 걸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잠금 슬라이더부(40)는 조작부(46)가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형상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작부(46)가 없는 형상의 경우에는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잠금 슬라이더부(40)를 후방향으로 운동시키기가 곤란하다. 조작부(46)는 커넥터 하우징의 전체적인 크기에 따라 높이가 달라질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일반적으로 탭 단자를 수용하는 커넥터 하우징이 상기 리셉터클 단자 커넥터 하우징(20)에 결합하게 된다. 하우징 간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리셉터클 단자 커넥터 하우징(20)의 상기 기저부(22)는 하측에 상기 탭 단자(200)가 수용되는 하우징의 단부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50)을 더욱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탭 단자 하우징의 단부는 상기 수용공간(50)의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탭 단자 하우징 체결시 상기 탭단자 하우징의 단부가 수용공간에 채워지게 되므로, 상기 걸림턱(30)은 하향으로 운동하지 못하게 되어 리셉터클 단자(100)가 더욱 견고하게 고정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통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작동 원리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리셉터클 단자(100)가 결합되었을 때의 단면도이고, 도 3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리셉터클 단자(100)를 분리할 때의 단면도이다.
리셉터클 단자(100)가 커넥터 하우징(20)에 완전히 결합되었을 때에는, 상기 잠금 슬라이더부(40)가 완전히 전방향쪽으로 위치한다. 또한, 상기 잠금 슬라이더부(40)의 전(前)단부면(44)은 상기 제1 상측부(24)의 걸림부(25)에 일정 면적이 걸리게 되고, 나머지 면적은 리셉터클 단자(100)의 걸림부(110)에 걸리게 된다. 이때 상기 탄성부(42)에서 발생하는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잠금 슬라이더부(40)는 전(前)방향으로 계속 힘을 받게 되므로, 리셉터클 단자(100)는 더욱 견고히 고정된다.
상기 리셉터클 단자(100)의 걸림부(110)가 상기 잠금 슬라이더부(40)의 전(前)단부면(44)에 완전히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접촉하지 않고 일정 공간을 갖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에는 기저부(22) 상면의 걸림턱(30)의 파손 등에 의해 리셉터클 단자의 결합이 문제가 되는 경우에 보충적인 결합력을 유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리셉터클 단자(100)를 상기 커넥터 하우징(20)으로부터 분리하는 경우에는, 상기 잠금 슬라이더부(40)를 탄성복원력보다 큰 힘을 작용시켜 후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잠금 슬라이더부(40)의 탄성부(42)가 탄성변형을 일으키면서 그 전(前)단부면(44)이 상(上)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리셉터클 단자(100)의 걸림부(110)가 자유롭게 되어 하우징으로부터의 이탈이 가능하다. 물론, 리셉터클 단자(100)의 홈에 체결되어 있는 걸림턱(30)을 아래방향으로 이동시켜야 하는 것은 당연하며, 이는 보통 길고 가느다란 막대형상의 도구를 사용하고 있는 것은 자명하다.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그러한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 결정된다. 그리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되어 있는 발명의 당업자에게 자명한 개량, 변경, 수정 등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는 점이 명백하게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리셉터클 단자 커넥터(10)에 잠금 슬라이딩부(40)를 추가로 구성하여 이중 잠금을 통해 리셉터클 단자(100)의 고정력을 향상시켰으며, 슬라이딩 운동을 통해 이중 잠금을 해제하므로 그 조작이 매우 간편하다는 편리성을 증진하였다.

Claims (5)

  1. 전기 리셉터클 단자가 장착되어 있으며, 탭 단자가 삽입되어 상기 전기 리셉터클 단자와 접속되도록 되어 있는 이중 잠금 리셉터클 단자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전기 리셉터클 단자가 수용되는 공간이 제공되는 하우징과,
    상기 전기 리셉터클 단자와 하우징간의 결합을 유지시키는 잠금 슬라이더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기저부와, 제1 상측부와, 제2 상측부와, 제3 상측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저부는 상기 전기 리셉터클 단자가 하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면에는 상기 전기 리셉터클 단자의 하측에 압입되어 후측으로의 이동을 금지시키는 걸림턱을 가지고,
    상기 제1 상측부는 상기 전기 리셉터클 단자가 상기 하우징의 상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금지시키며,
    상기 제2 상측부는 상기 제1 상측부의 후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상기 전기 리셉터클 단자가 상기 하우징의 상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금지시키고,
    상기 제3 상측부는 상기 제1 상측부로부터 후방 연장하여, 상기 제2 상측부에 대하여 상측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잠금 슬라이더부는, 상기 제2 상측부와 상기 제3 상측부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서 슬라이딩 운동을 하고, 상기 전기 리셉터클 단자와 상기 탭 단자가 접속할 때에 상기 전기 리셉터클 단자가 후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금지시키는,
    이중 잠금 리셉터클 단자 커넥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잠금 슬라이더부는 상기 제1 상측부 방향으로 하향 절곡 형성되는 탄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상측부는 상기 제1 상측부 방향의 단부의 상면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이중 잠금 리셉터클 단자 커넥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상측부는 상기 잠금 슬라이더부 방향의 단부에 수직의 걸림부(25)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 슬라이더부의 전(前)단부면이 상기 걸림부에 걸리는,
    이중 잠금 리셉터클 단자 커넥터.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기저부는 하측에 상기 탭 단자가 수용되는 하우징의 단부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을 더 포함하는,
    이중 잠금 리셉터클 단자 커넥터.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잠금 슬라이더부는 조작부가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이중 잠금 리셉터클 단자 커넥터.
KR1020070020256A 2007-02-28 2007-02-28 이중 잠금 리셉터클 단자 커넥터 KR1008660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0256A KR100866081B1 (ko) 2007-02-28 2007-02-28 이중 잠금 리셉터클 단자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0256A KR100866081B1 (ko) 2007-02-28 2007-02-28 이중 잠금 리셉터클 단자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9800A KR20080079800A (ko) 2008-09-02
KR100866081B1 true KR100866081B1 (ko) 2008-10-30

Family

ID=40020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0256A KR100866081B1 (ko) 2007-02-28 2007-02-28 이중 잠금 리셉터클 단자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608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4957A (ko) * 1998-09-30 2000-06-26 나가토시 다쯔미 박판형상의 접속부재를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장치
KR20050072075A (ko) * 2004-01-05 2005-07-08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4957A (ko) * 1998-09-30 2000-06-26 나가토시 다쯔미 박판형상의 접속부재를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장치
KR20050072075A (ko) * 2004-01-05 2005-07-08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9800A (ko) 2008-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346934B (zh) 连接器
JP4427564B2 (ja) コネクタプラグ
JP5282540B2 (ja) 雄雌接続構造
EP2677606B1 (en) Latching structure for shielded connector
US7963777B2 (en) First connector, second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ing device
KR20140147039A (ko) 전기 커넥터
KR20140136392A (ko) 전기 커넥터
WO2010019941A1 (en) Transition connector
KR200442350Y1 (ko) 일체형 이중 결합 커넥터
CN104241960B (zh) 卡缘连接器及其组合
KR100933260B1 (ko) 잠금 구조, 이 잠금 구조가 마련된 커넥터 및 잠금 해제방법
KR101063396B1 (ko) 차량용 콘덴서 커넥터
JP2011134580A (ja) コネクタ
KR100866081B1 (ko) 이중 잠금 리셉터클 단자 커넥터
US6428346B1 (en) Half fit preventive connector
KR101044038B1 (ko) 자동차용 커넥터의 록크 체결구조
KR200466410Y1 (ko) 커넥터
KR100842725B1 (ko) 내진동 커넥터
KR20090048947A (ko) 케이블 커넥터, 이에 이용되는 판형단자 및 하우징
KR101076153B1 (ko) 로크 기구가 달린 커넥터
KR20100070892A (ko)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한 커넥터 어셈블리
KR100955646B1 (ko) 리어 홀더 일체형 터미널 커넥터
KR200476338Y1 (ko) 커넥터
JP2005317357A (ja) 基板用コネクタ、及びケース付き基板用コネクタ
KR200410014Y1 (ko)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