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7039A -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7039A
KR20140147039A KR1020140073460A KR20140073460A KR20140147039A KR 20140147039 A KR20140147039 A KR 20140147039A KR 1020140073460 A KR1020140073460 A KR 1020140073460A KR 20140073460 A KR20140073460 A KR 20140073460A KR 20140147039 A KR20140147039 A KR 201401470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terminal
lancet
jig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3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88439B1 (ko
Inventor
타카요시 엔도
사카이 야기
마사루 센묘
Original Assignee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470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70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84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84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6Means for holding or embracing insulating body, e.g. casing, hoo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2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2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 H01R13/4223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comprising integral flexible contact retaining fing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contact members with insulating base, case or sleev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contact members with insulating base, case or sleeve
    • H01R43/22Hand too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36Securing a plurality of contact members by one locking piece or operation
    • H01R13/4361Insertion of locking piece perpendicular to direction of contact inser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13Means to assemble electrical device

Abstract

전기 커넥터는 전기 절연 하우징과, 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의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한 방향으로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는 단자 공간에 삽입되는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단자 공간의 축을 향해 상기 하우징에서 돌출하고 상기 단자의 상기 결합부와 결합되고 상기 단자의 상기 결합부로부터 결합해제가능한 피침, 상기 피침이 상기 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피침을 탄성지지하는 탄성 지지체, 상기 결합부터부터 상기 피침을 결합해제하기 위한 지그가 상기 하우징의 전방을 통해 상기 결합부를 따라 상기 피침을 향해 통과하여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는 경로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지지체는 상기 경로와 통해있는 슬릿을 가지고 형성되고 상기 경로의 입구로부터 상기 피침을 향해 뻗어있다.

Description

전기 커넥터{ELECTRIC CONNECTOR}
본 발명은 회로 보드와 와이어 하니스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와이어 하니스에 장착된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기 커넥터에 사용되는 하우징, 및 피침을 단자로부터 결합해제시키기 위해 전기 커넥터와 하우징에 사용되는 지그에 더 관련된다.
도 14는 종래의 전기 커넥터(500)를 도시하고,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화살표 D의 방향으로 본 전기 커넥터(500)의 단면도이고, 도 16은 도 14에 도시된 화살표 D의 방향으로 본 전기 커넥터(500)의 또다른 단면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전기 커넥터(500)는 전기 절연 재료로 구성된 하우징(50), 및 하우징(50)의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한 방향으로 하우징(50)에 형성된 단자 공간(51)으로 삽입되는 복수의 단자(60)를 포함한다.
단자(60)의 각각은 단자(60)가 하우징(50) 내로 삽입되는 방향의 전면에 형성되고, 정방형 원통형 단면을 가지는 덮개부(sheath section)(61), 및 상술한 방향의 후방에 형성된 와이어 압축부(62)를 포함한다. 케이블(63)의 커버 밖으로 노출된 코어 와이어(도시 생략)는 압축된 상태에서 와이어 압축부(62)에 고정되어, 케이블(63) 및 단자(60)를 서로에 대해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한다. 단자(60)의 각각은 덮개부(61)의 축(61c)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한 결합부(engagement section)(64)를 가지고 덮개부(61)의 전면 단부에 형성된다.
하우징(50)에 형성된 단자 공간(51)의 각각은 단자 공간(51)의 축(51c)을 향해 돌출되는 피침(lance)(53) 및 피침(53)을 지지하는 탄성 지지체(54)를 가지고 내부에 형성되어, 피침(53)이 단자 공간(51)의 축(51c)을 향해, 그리고 축(51c)으로부터 이격하여 변형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4 및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60)는 하우징(50)의 후방에 형성된 단자 공간(51)의 후방 개구(51b)를 통해 하우징(50)에 삽입되고, 그런 다음 하우징(50)으로 푸쉬된다. 결합부(64)가 피침(53)을 따라 미끄러져 피침(53)을 지나친 후에, 결합부(64)는 피침(53)과 맞물린다. 따라서, 단자(60)는 단자 공간(51)에 고정된다.
전기 커넥터(500)의 전기 접속에 결함이 발생하는 경우, 예를 들면, 단자(60)는 하우징(50)으로부터 꺼내질(puul out) 필요가 있고, 이 경우, 결합부(64) 및 피침(53)을 서로로부터 결합해제할 필요가 있다. 박판 형태의 지그(70)가 그렇게 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그(70)가 하우징(50)의 전방에 형성된 단자 공간(51)의 전방 개구부(51a)에 인접하게 형성된 개구부(55)를 통해 하우징(50)의 후방을 향해 하우징(50)으로 삽입된다. 그런다음,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그(70)는 자신의 인접 단부(70b)에서 하방을 향해 푸쉬된다. 지그(70)는 레버와 지렛대의 원리에 따라 대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자신의 원단부(삽입부)(70a)를 통해 탄성 지지체(54)의 일부를 들어올려(lift up) 탄성 지지체(54)가 상방으로 변형되게하고, 피침(53)이 결합부(64)로부터 해제되도록 한다. 그런다음 단자(60)는 단자 공간(51)의 후방 개구부(51b)를 통해 하우징(50)으로부터 당겨질 수 있다.
일본특허공개공보 제2004-39498은 자신의 전면 단부 및 후방 단부에서 지지되는 피침을 포함하는 커넥터를 제안했다. 결합면을 전방으로 돌출시킨 피침의 일부는 두 개의 섹션으로 분기될 수 있도록 설계된다.
일본특허출원공개 제2004-247227은 자신의 전면 단부 및 후방 단부에서 지지되는 피침을 포함하고 전면 단부와 후방 단부 주변에서 변형될 수 있도록 설계되는 커넥터를 제안했다. 단자 및 피침의 전면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있다. 지그의 결합해제부가 공간 내로 삽입될 수 있다.
근래, 전기 커넥터는 작은 크기와 낮은 높이를 가질 필요가 있다. 따라서, 하우징(50) 내에서 단자 공간을 형성하는 격벽(56) 및 피침(53)을 지지하는 탄성 지지체(54)는 얇게 되도록 설계되고, 지그(70)가 통과하여 하우징(50) 내로 삽입되는 개구(55)는 작게 되도록 설계된다.
그러나, 크기 및 높이 모두 작게되도록 전기 커넥터를 설계하도록 하는 요구에 응답하여 개구(55)가 작게 설계된 경우에는, 하우징(50)을 성형하기 위해 사용되는 사출 금형(injection mold)에서의 개구(55)를 형성하기 위한 부분은 얇게 되어야 하고, 결과적으로 사출 금형이 변형 및/또는 손상될 수 있다. 추가로, 개구(55)가 작게 설계되는 경우, 개구(55)를 통해 하우징(50)으로 삽입될 지그(70)의 원단부(70a)는 얇게 설계되어야 하고, 결과적으로 지그(70)의 강도가 감소된다.
상기 과제는 상술한 공보에 또한 발견되지만 여전히 미해결되어있다.
종래의 전기 커넥터에서의 상기 문제점에 관해, 커넥터 하우징을 만들기 위해 사용되는 사출 금형이 변형 및/또는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피침과 단자를 서로로부터 결합해제하는 데에 사용되는 지그의 강도 감소를 더 방지할 수 있는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제1 목적이다.
상술한 전기 커넥터에 적합한 하우징을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제2 목적이다.
상술한 전기 커넥터에 사용되고, 피침과 단자를 서로로부터 결합해제시키고, 개선된 강도를 구비하고 개선된 작업성을 제공하기 위한 지그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제3 목적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에서, 전기 절연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한 방향으로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는 단자 공간에 삽입되고 결합부를 구비하는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단자 공간의 축을 향해 상기 하우징에서 돌출하고 상기 단자의 결합부와 결합되고 상기 단자의 결합부로부터 결합해제가능한 피침, 상기 피침이 상기 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피침을 탄성지지하는 탄성 지지체, 상기 결합부로부터 상기 피침을 결합해제하기 위한 지그가 상기 하우징의 전방을 통해 상기 결합부를 따라 상기 피침을 향해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는 경로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지지체는 상기 경로와 통해있는 슬릿을 가지고 형성되고 상기 경로의 입구로부터 피침을 향해 뻗어있는 전기 커넥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커넥터는 지그가 삽입되는 공간으로서 상기 경로 뿐만 아니라 상기 슬릿을 이용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경로로부터 상기 슬릿으로 뻗어있는 공간으로 삽입가능한 형상을 가지는 지그를 이용하여, 상기 지그의 강도 감소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추가로, 상기 경로를 형성하는 부분과 상기 슬릿을 형성하는 부분은 상기 하우징을 성형(molding)하고, 상기 부분들이 얇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따라서 상기 부분들이 변형 및/또는 손상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보장하기 위해 사용되는 다이 어셈블리에서 서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추가로, 지그는 피침의 근방의 포인트로 삽입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피침이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결합해제되는 효율을 개선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슬릿은 상기 단자 공간으로 삽입되는 단자의 결합부 또는 상기 단자 공간에 삽입된 단자의 결합부 근방의 위치로 뻗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상기 슬릿을 설계함으로써, 단자의 결합부의 근방의 위치로 상기 지그를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피침이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결합해제되는 효율을 개선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경로와 상기 슬롯은 T자 형상 또는 역 T자 형상이 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상기 경로 및 상기 슬릿을 T자 형상 또는 역 T자 형상이 되도록 설계함으로써, 상기 지그는 장방형 단면을 갖고 상기 경로를 통해 하우징으로 삽입되는 플레이트를 구비한 종래 지그 보다 더 큰 강도를 가질 수 있다.
피침은 상기 하우징의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한 방향으로 더 높게 경사진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경로를 통해 상기 하우징으로 삽입되는 상기 지그는 상기 피침의 경사진 표면과 자신의 전면 단부에서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 지지체는 상기 단자 공간의 축에 면하는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표면은 상기 하우징의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한 방향으로 더 높게 경사진 표면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다른 양태에서, 결합부를 포함하는 단자가 삽입되는 전기 커넥터에 사용되는 하우징으로서, 상기 하우징은 전기 절연이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한 방향으로 단자가 삽입되는 단자 공간을 내부에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단자 공간의 축을 향해 상기 하우징에서 돌출하고 상기 단자의 결합부와 결합되고 상기 단자의 결합부로부터 결합해제가능한 피침, 상기 피침이 상기 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피침을 탄성지지하는 탄성 지지체, 상기 결합부로부터 상기 피침을 결합해제하기 위한 지그가 상기 하우징의 전방을 통해 상기 결합부를 따라 상기 피침을 향해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는 경로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지지체는 상기 경로와 통해있는 슬릿을 가지고 형성되고 상기 경로의 입구로부터 피침을 향해 뻗어있는 상기 하우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양태에서, 상술한 전기 커넥터 또는 상술한 하우징에서 단자의 결합부로부터 피침을 결합해제하는 데에 사용되는 지그로서, 상기 경로를 통해 상기 하우징으로 삽입되는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경로 및 상기 슬릿 모두로 삽입가능한 T자 형상 단면을 가지는 지그가 제공된다.
상기 삽입부를 T자 형상이 되도록 설계함으로써, 상기 지그는 장방형 단면을 갖고 상기 경로를 통해 하우징으로 삽입되는 플레이트를 구비한 종래 지그 보다 더 큰 강도를 가질 수 있다.
삽입부는 상기 단자 공간의 입구 개구의 높이 보다 더 큰 높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그가 단자 공간의 입구 개구를 통해 하우징으로 삽입되도록 시도될지라도, 삽입부는 단자 공간의 입구 개구로 삽입될 수 없기 때문에, 삽입시 실수가 방지될 수 있다. 추가로, 이러한 삽입시 실수에 기인하여 단자가 손상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는 수평으로 같은 넓이를 가지고(coextensive) 플레이트 형태로 되어있는 제1 부분과,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수직으로 뻗어있는 제2 부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부분은 자신의 전면 단부에서 하방을 향해 경사진 표면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해 얻어지는 효익은 하기에 기술될 것이다.
본 발명은 커넥터 하우징을 만드는 데에 사용되는 사출 금형(다이 어셈블리)이 변형 및/또는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추가로 피침과 단자가 서로 결합해제하는 데에 사용되는 지그의 강도 감소를 방지할 수 있고, 피침이 단자로부터 결합해제되는 효율이 개선될 수 있게 보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 및 효익이 있는 특징이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루어진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하게 될 것이고, 여기서 유사한 참조 기호는 전체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을 가리킨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에서 채용된 지그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지그가 도 1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에서 삽입되는 것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지그가 도 1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에서 삽입되는 것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의 선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에서의 선 B-B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에서의 선 C-C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3에 도시된 지그가 도 1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에서 잘못 삽입되려고 하는 것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에서의 피침 및 지그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에서의 피침 및 지그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에서의 사용되는 지그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에서의 피침 및 지그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4는 종래 전기 커넥터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화살표 D로 표시된 방향으로 본 도 14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4에 도시된 화살표 D로 표시된 방향으로 본 도 14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100)가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하기에 설명된다.
도 1, 2 및 4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커넥터(100)는 전기 절연 재료로 이루어지고 하우징(10) 내에서 서로 평행하게 뻗어있는 복수의 단자 공간(11)을 형성하는 하우징(10), 및 X 방향으로 상기 하우징(10)의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상기 단자 공간(11)의 각각으로 각각 삽입되는 복수의 단자(20)를 포함한다.
도 6 및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20) 각각은 정방형 원통형 단면을 갖고 단자(20)가 하우징(10)으로 삽입되는 X 방향으로 전방에 형성되는 덮개부(21), 및 상기 X 방향으로 후방에서 형성된 와이어 압축부(22)를 포함한다. 케이블의 커버로부터 노출된 코어 와이어(도시되지 않음)는 압축 상태로 와이어 압축부(22)에 고정되어, 케이블(23)과 단자(20)를 서로에 대해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단자(20) 각각은 덮개부(21)의 축(21c)을 향해 돌출한 결합부(24)를 가지고 덮개부(21)의 전면 단부에 형성된다.
하우징(10)은 단자 공간(11)의 축(11c)을 향해 돌출하고 상기 단자(20)의 결합부(24)로 결합되고 상기 단자의 결합부(24)로부터 결합해제될 수 있는 피침(lance)(12), 피침(12)이 단자 공간(11)의 축(11c)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도록 피침(12)을 지지하는 탄성 지지체(13), 및 결합부(24)를 따라서 피침(12)을 향해 하우징(10)의 전방을 통과하여 단자 공간(11)으로 지그(200)가 통과하여 삽입될 수 있는 경로(14)를 포함한다. 지그(200)는 피침(12)과 단자(20)를 서로로부터 결합해제하는 데에 사용된다. 탄성 지지체(13)는 하우징(10)을 복수의 단자 공간(11)으로 분할하는 격벽(partition wall)(16) 상에 형성되거나 또는 격벽과 일체로 된다.
도 6 및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20)는 단자 공간(11)의 후방 개구(11b)를 통해 하우징(10)에 삽입되고, 그런 다음, X 방향으로 하우징(10) 내로 더 푸쉬된다. 따라서, 단자(20)의 결합부(24)와 단자 공간(11)으로 돌출하는 피침(12)은 서로를 푸쉬하여, 피침(12)을 지지하는 탄성 지지체(13)가 변형되도록 한다. 결합부(24)는 축(11c)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피침(12)이 변형되면서 피침(12)을 가로질러 미끄러지고, 결합부(24)가 피침(12) 위로 지나갈 때, 피침(12)은 탄성 지지체(13)에 의해 가해지는 탄성 복원력(resilient reaction force)에 의해 자신의 원래 위치로 복귀한다. 따라서, 피침(12)과 결합부(24)는 축(11c)의 방향으로 서로 면하고, 따라서, 단자(20)는, 단자(20)가 방향 X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당겨질지라도 단자 공간(11)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한다.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지지체(13)는 경로(14)를 가지고 연속하여 있고 경로(14)의 입구(14a)로부터 피침(12)으로 뻗어있는 슬릿(15)을 가지고 형성된다.
도 3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그(200)는 단자(20)로부터 피침(12)을 결합해제 하기 위해 사용된다. 지그(200)는 경로(14)와 슬릿(15)으로 삽입가능한 형상을 가지는 삽입부(200a) 및 피침(12)이 지그(200)의 사용에 의해 단자(20)로부터 결합해제될 때 사용자에 의해 유지되는 핸들부(200b)를 포함한다. 삽입부(200a)는 삽입부(200a)가 경로(14) 및 슬릿(15) 양측에 삽입될 수 있도록 T자 형상의 단면을 가진다. 핸들부(200b)는 정방형 단면을 가지지만, 다각형, 원형 또는 타원형 단면을 가지도록 설계될 수 있다.
지그(200)의 삽입부(200a)는 T자 형상을 가지기 때문에, 지그(200)는 장방형 단면을 가지는, 즉, 플레이트 형태인 삽입부(70a)를 포함하는 종래 지그(70)(도 14 참조) 보다 더 큰 강도를 가질 수 있다. 추가로, 지그(200)는 단자(20)로부터 피침(12)을 결합해제 하는 단계에서 더 양질의 작업성을 제공한다.
도 1 및 2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100)에서, 지그(200)가 삽입되는 공간으로서 경로(14) 뿐 만이 아니라 슬릿(15)을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T자 형상 단면을 가지는 삽입부(200a)을 포함하는 지그를 사용하고, 지그(200)가 강도 감소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추가로, 경로(14)를 형성하는 부분과 슬릿(15)을 형성하는 부분은 하우징(10)을 성형하는 데에 사용되는 다이 어셈블리에서 서로 일체화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부분들이 얇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상기 부분들이 변형 및/또는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보장한다. 추가로, 지그(200)가 피침(12)의 근방의 포인트로 삽입될 수 있기 때문에, 피침(12)이 단자(20)로부터 결합해제되는 효율을 개선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전기 커넥터(100)에서 피침(12)을 단자(20)로부터 결합해제시키는 단계들이 설명된다.
전기 커넥터(100)에서의 전기 연결에 결함이 있는 경우, 예를 들면, 단자(20)를 복구하거나 또는 단자(20)를 새로운 것으로 교체하기 위해 단자(20)를 하우징(10)으로부터 꺼내는 것이 필요하고, 이 경우, 단자 공간(11)으로 삽입된 단자(20)의 결합부(24)를 피침으로부터 결합해제하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에, 도 3에 도시된 지그(200)가 그를 위해 사용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그(200)는 자신의 삽입부(200a)에서 단자 공간(11)의 전면 개구(11a)에 인접하여 배치된 경로(14)의 입구 개구(14a)를 통과하여 하우징(10)의 후방을 향해 단자 공간(11)으로 삽입된다. 그런다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그(200)의 삽입부(200a)는 자신의 전면 단부에서 피침(12)의 전면과 접촉하도록 한다(도 6 및 7 참조).
그런다음, 지그(200)는 핸들부(200b)가 단자 공간(11)의 축(11c)을 향하도록 경사지어, 결과적으로 삽입부(200a)가 레버와 지렛대의 원리하에서 지렛대로서 기능하는 단자(20)의 전면 상방 에지(21a)의 주변에서 핸들부(200b)의 대향하는 방향으로, 즉, 비스듬히 상방으로 이동한다. 삽입부(200a)를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것은 탄성 지지체(13)의 일부를 들어올려, 탄성 지지체(13)가 상방으로 변형되도록 하여, 피침(12)이 단자(20)의 결합부(24)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또는 결합해제되도록 한다. 그런다음, 단자(20)가 단자 공간(11)으로 삽입되는 X 방향에 대향하는 Y 방향으로 단자(20)를 당김으로써 단자(20)는 단자 공간(11)의 후방 개구(11b)를 통과하여 단자 공간(11)으로부터 꺼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기 커넥터(100)의 하우징(10)에서, 지그(200)가 삽입되는 공간으로서 경로(14) 및 슬릿(15) 모두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경로(14)로부터 슬릿(15)으로 뻗어있는 공간으로 삽입가능한 형상을 가진 삽입부(200a)를 포함하는 지그(200)를 이용하여, 지그(200)의 강도 감소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추가로, 경로(14)를 형성하는 부분과 슬릿(15)을 형성하는 부분은 하우징(10)을 성형하는데에 사용되는 다이 어셈블리에서 서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부분들이 얇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상기 부분들이 변형 및/또는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보장한다. 추가로, 지그(200)가 피침(12)의 근방의 포인트로 삽입될 수 있기 때문에, 피침(12)이 단자(20)로부터 결합해제되는 효율을 개선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그(200)의 삽입부(200a)는 단자 공간(11)의 입구 개구(11f)의 높이 보다 더 큰 높이(200h)를 가지도록 설계된다.
결과적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그(200)가 경로(14)로 삽입될 때 지그(200)가 단자 공간(11)의 입구 개구(11f)를 통해 하우징(10)으로 삽입되도록 시도될지라도, 삽입부(200a)는 단자 공간(11)의 입구 개구(11f)로 삽입될 수 없기 때문에 지그(200)는 하우징(10)으로 삽입될 수 없다. 따라서, 삽입시 실수가 방지될 수 있다. 추가로, 단자 공간(11)내에 하우징된 단자(도 8 참조)가 이러한 삽입시 실수에 기인하여 손상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에서의 피침(12)과 지그(200)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서의 피침(12)은 하우징(10)의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한 방향(Y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더 높게 경사진 표면(12A)으로 설계된다. 즉, 경사 표면은 수평 방향에 대해 비스듬히 경사진다.
경로(14)와 슬릿(15)을 통해 단자 공간(11)으로 삽입된 지그(200)는 피침(12)의 경사진 표면(12A)을 가지고 삽입부(200a)의 전면 단부에서 접촉한다. 지그(200)가 Y방향으로 푸쉬될 때, 피침(12)은 Z 방향으로 들어올려져, 피침(12)이 단자(20)와 결합해제된다.
제1 실시예에서의 전기 커넥터(100)의 지렛대로 기능하는 단자(20)의 전면 상부 에지(21a) 주위에서 지그(200)를 흔들어 회전시키는 것(swing)이 필요하다. 반대로, 제1 실시예와는 달리 제2 실시예에서 단자(20)의 전면 상부 에지(21a) 주위에서 지그(200)를 흔들어 회전시키는 것은 더 이상 불필요하다.
(제3 실시예)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에서의 피침(12) 및 지그(200)의 부분 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지그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그(200)의 삽입부(200a)는 수평으로 같은 넓이를 가지고(coextensive) 플레이트 형태로 되어있는 제1 부분(200A)과, 상기 제1 부분(200A)으로부터 수직으로 뻗어있는 제2 부분(200B)을 포함한다. 제1 부분(200A) 및 제2 부분(200B)은 수평방향에서 보았을 때 T자 형상이다. 제1 부분(200A)은 하방으로 경사진 표면을 갖는 전면 단부(200C)를 포함하도록 설계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그(200)의 삽입부(200a)는 피침(12)의 경사진 표면(12A)과 전면 단부(200C)에서 접촉한다. 삽입부(200a)의 전면 단부(200c)와 피침(12)의 경사진 표면(12A) 모두는 경사졌기 때문에, 이들 모두는 서로 충분한 접촉을 할 수 있다.
전면 단부(200C)의 경사각과 경사진 표면(12A)의 경사각은 서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제4 실시예)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100)의 피침(12) 및 지그(200)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실시예의 탄성 지지체(13)는 하우징의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한 방향(즉, Y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더 높게 경사진 표면을 형성하는 더 낮은 표면(13A)을 포함하도록 설계된다.
경로(14) 및 슬릿(15)을 통해 단자 공간(11)으로 삽입된 지그(200)는 탄성 지지체(13)의 경사진 표면(13A)과 삽입부(200a)의 전면 단부에서 접촉한다. 지그(200)가 Y 방향으로 푸쉬될 때, 탄성 지지체(13)와 그에 따른 피침(12)이 Z 방향으로 들어올려져, 피침(12)이 단자(20)로부터 결합해제된다.
제2 실시예와 유사하게, 그리고 제1 실시예와는 달리, 지그(200)를 단자(20)의 전면 상부 에지(21a) 주위로 회전시켜 흔들 필요가 없다.
도 12에 도시된 지그(200)는 제4 실시예에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커넥터 및 하우징은 회로 보드와 와이어 하니스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커넥터로서, 전기 및 전자 장치 산업과 자동차 산업 등과 같은 다양한 분야에 폭넓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피침을 단자로부터 결합해제하는 지그가 전기 커넥터 제조 단계에서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커넥터(100), 하우징(10), 및 지그(200)가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예들과 연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에 의해 포함되는 주제는 이들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되어야한다. 반대로, 본 발명의 주제가 하기의 청구범위의 취지 및 범위 내에 포함될 수 있는 모든 대안, 변형 및 등가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명세서, 청구 범위, 도면 및 요약서를 포함한 2013년 6월 18일에 출원된 일본특허출원 제2013-127822호의 전체 개시 내용은 그 전체가 본원에 참조에 의해 통합된다.

Claims (14)

  1. 전기 절연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한 방향으로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는 단자 공간에 삽입되고 결합부를 구비하는 단자;
    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단자 공간의 축을 향해 상기 하우징에서 돌출하고, 상기 단자의 상기 결합부와 결합되고 상기 단자의 상기 결합부로부터 결합해제가능한 피침(lance);
    상기 피침이 상기 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피침을 탄성지지하는 탄성 지지체; 및
    상기 결합부로부터 상기 피침을 결합해제하기 위한 지그가 상기 하우징의 전방을 통해 상기 결합부를 따라 상기 피침을 향해 통과하여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는 경로;
    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지지체는 상기 경로와 통해있는 슬릿을 가지고 형성되고 상기 경로의 입구로부터 상기 피침을 향해 뻗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은 상기 단자 공간으로 삽입되는 상기 단자의 상기 결합부로 또는 상기 단자 공간으로 삽입된 상기 단자의 상기 결합부 근방의 위치로 뻗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와 상기 슬롯은 T자 형상 또는 역 T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피침은 상기 하우징의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한 방향으로 더 높게 경사진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경로를 통해 상기 하우징으로 삽입되는 상기 지그는 상기 피침의 상기 경사진 표면과 자신의 전면 단부에서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지지체는 상기 단자 공간의 축에 면하는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표면은 상기 하우징의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한 방향으로 더 높게 경사진 표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6. 결합부를 포함하는 단자가 삽입되는 전기 커넥터에 사용되는 하우징으로서,
    상기 하우징은 전기 절연이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한 방향으로 상기 단자가 삽입되는 단자 공간을 내부에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단자 공간의 축을 향해 상기 하우징에서 돌출하고, 상기 단자의 상기 결합부와 결합되고 상기 단자의 상기 결합부로부터 결합해제가능한 피침;
    상기 피침이 상기 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피침을 탄성지지하는 탄성 지지체;
    상기 결합부로부터 상기 피침을 결합해제하기 위한 지그가 상기 하우징의 전방을 통해 상기 결합부를 따라 상기 피침을 향해 통과하여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는 경로;
    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지지체는 상기 경로와 통해있는 슬릿을 가지고 형성되고 상기 경로의 입구로부터 상기 피침을 향해 뻗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에 사용되는 하우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은 상기 단자 공간으로 삽입되는 상기 단자의 상기 결합부로 또는 상기 단자 공간으로 삽입된 상기 단자의 상기 결합부 근방의 위치로 뻗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에 사용되는 하우징.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와 상기 슬롯은 T자 형상 또는 역 T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에 사용되는 하우징.
  9.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피침은 상기 하우징의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한 방향으로 더 높게 경사진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경로를 통해 상기 하우징으로 삽입되는 상기 지그는 상기 피침의 상기 경사진 표면과 자신의 전면 단부에서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에 사용되는 하우징.
  10.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지지체는 상기 단자 공간의 축에 면하는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표면은 상기 하우징의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한 방향으로 더 높게 경사진 표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에 사용되는 하우징.
  11. 제1 항에서 정의된 전기 커넥터 또는 제6 항에서 정의된 하우징에서의 단자의 결합부로부터 피침을 결합해제하기 위해 사용되는 지그로서,
    상기 지그는 상기 경로를 통해 상기 하우징으로 삽입되는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경로 및 상기 슬릿 모두에 삽입가능한 T자 형상 단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그.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단자 공간의 진입 개구의 높이 보다 더 큰 높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그.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수평으로 같은 넓이를 가지고(coextensive) 플레이트 형태로 되어있는 제1 부분과,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수직으로 뻗어있는 제2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그.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은 자신의 전면 단부에서 하방으로 경사진 표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그.
KR1020140073460A 2013-06-18 2014-06-17 전기 커넥터 KR1015884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127822 2013-06-18
JPJP-P-2013-127822 2013-06-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7039A true KR20140147039A (ko) 2014-12-29
KR101588439B1 KR101588439B1 (ko) 2016-01-25

Family

ID=50842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3460A KR101588439B1 (ko) 2013-06-18 2014-06-17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231333B2 (ko)
EP (1) EP2816670B1 (ko)
KR (1) KR101588439B1 (ko)
CN (1) CN10424191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08705B2 (ja) * 2013-05-20 2015-04-30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US9318836B2 (en) * 2014-02-06 2016-04-19 Dai-Ichi Seiko Co., Ltd. Electric connector
JP6307529B2 (ja) * 2016-01-07 2018-04-04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の係止構造およびコネクタ
USD876366S1 (en) * 2018-02-23 2020-02-25 J.S.T.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D877703S1 (en) * 2018-02-23 2020-03-10 J.S.T.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2020129437A (ja) * 2019-02-07 2020-08-27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1649407S (ko) 2019-06-21 2020-01-14
JP1649406S (ko) * 2019-06-21 2020-01-14
JP1649405S (ko) * 2019-06-21 2020-01-14
JP1649408S (ko) 2019-06-21 2020-01-14
BE1027423B1 (de) * 2019-07-12 2021-02-08 Phoenix Contact Gmbh & Co Kontaktträger für einen Steckverbinder
JP2022185271A (ja) * 2021-06-02 2022-12-14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コネクタ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39414A (ja) * 2002-07-03 2004-02-05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及び解除用治具
KR20080020835A (ko) * 2006-09-01 2008-03-0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랜스 및 이를 사용한 커넥터용 하우징
JP2013069537A (ja) * 2011-09-22 2013-04-18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8125B2 (ja) 1990-08-02 1996-01-29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金具抜き治具並びにコネクタ
JP3539672B2 (ja) * 1999-04-05 2004-07-07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の端子係止解除構造
JP4165089B2 (ja) 2001-09-04 2008-10-15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EP1291980B1 (en) 2001-09-04 2007-11-21 Sumitomo Wiring Systems, Ltd. A connector, a terminal fitting and a disengagement jig
JP3415140B1 (ja) 2002-07-04 2003-06-09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4069757B2 (ja) 2003-02-14 2008-04-02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4498916B2 (ja) * 2004-12-28 2010-07-07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07066848A (ja) 2005-09-02 2007-03-15 Sumitomo Wiring Syst Ltd ヒューズ接続箱
JP5210898B2 (ja) * 2009-01-20 2013-06-12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5370767B2 (ja) 2009-11-10 2013-12-18 住友電装株式会社 ジョイントコネクタ及びワイヤハーネス
JP2013069542A (ja) * 2011-09-22 2013-04-18 Yazaki Corp コネクタの端子抜き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39414A (ja) * 2002-07-03 2004-02-05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及び解除用治具
KR20080020835A (ko) * 2006-09-01 2008-03-0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랜스 및 이를 사용한 커넥터용 하우징
JP2013069537A (ja) * 2011-09-22 2013-04-18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231333B2 (en) 2016-01-05
EP2816670B1 (en) 2018-02-21
US20140370757A1 (en) 2014-12-18
CN104241919A (zh) 2014-12-24
CN104241919B (zh) 2018-01-19
EP2816670A1 (en) 2014-12-24
KR101588439B1 (ko) 2016-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8439B1 (ko) 전기 커넥터
KR101566687B1 (ko) 전기 커넥터
KR101928630B1 (ko) 커넥터 장치
US9318836B2 (en) Electric connector
JP6527633B2 (ja) 端子金具
JP5282540B2 (ja) 雄雌接続構造
US20130095686A1 (en) Connector
US8876543B2 (en) Connector
KR20080046566A (ko) 전기 커넥터
JP2012129028A (ja) 検出スイッチ構造及びそれを有するコネクタ
EP2846413A1 (en) Electric connector and terminal used therefor
JP5510346B2 (ja) コネクタ
JP4521351B2 (ja) 基板用コネクタ
JP2016195080A (ja) 電気コネクタ
JP2008198528A (ja) 基板用コネクタ
JP2011134580A (ja) コネクタ
KR101408440B1 (ko) 분리 방지 커넥터
KR101456806B1 (ko) 커넥터 구조
CN112652901A (zh) 连接器
JP6613129B2 (ja) 金属端子
US20160372854A1 (en) Plug connector assembly for establishing an electrical plug connection
JP2004247071A (ja) ジョイントコネクタ
JP2008198392A (ja) ジョイントコネクタ
KR100866081B1 (ko) 이중 잠금 리셉터클 단자 커넥터
KR20080006392U (ko)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