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6806B1 - 커넥터 구조 - Google Patents
커넥터 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56806B1 KR101456806B1 KR1020137005072A KR20137005072A KR101456806B1 KR 101456806 B1 KR101456806 B1 KR 101456806B1 KR 1020137005072 A KR1020137005072 A KR 1020137005072A KR 20137005072 A KR20137005072 A KR 20137005072A KR 101456806 B1 KR101456806 B1 KR 10145680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rminal
- fixed
- connection
- slope
- terminal por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8—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01R13/6272—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comprising a single latching arm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전기적 접속에 관한 접촉 영역을 보장할 수 있는 한편 소형화를 가능하게 만드는 커넥터 구조를 제공한다.
커넥터 구조는 제1단자부(15) 및 제2단자부(16)를 갖는 클램핑 단자(4), 클램핑 단자(4)를 수용하는 암 하우징(3), 암 하우징(3)의 피팅부(10)를 통해 클램핑 단자(4)에 삽입되는 FPC 어셈블리(2), FPC 어셈블리(2)에 고정되는 FPC(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접속 돌출부(20)가 클램핑 단자(4)에서 제2단자부(16)에 형성된다. 삽입 방향에 대해 기울어진 고정 슬로프부(28)가 FPC 어셈블리(2)의 삽입 전단부(25)에 형성된다. FPC(7)로부터 노출된 도체(6)가 고정 슬로프부(28)에 고정된다. 고정 슬로프부(28)에 상응하여 기울어진 접속 슬로프부(22)가 접속 돌출부(20)에 형성된다.
커넥터 구조는 제1단자부(15) 및 제2단자부(16)를 갖는 클램핑 단자(4), 클램핑 단자(4)를 수용하는 암 하우징(3), 암 하우징(3)의 피팅부(10)를 통해 클램핑 단자(4)에 삽입되는 FPC 어셈블리(2), FPC 어셈블리(2)에 고정되는 FPC(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접속 돌출부(20)가 클램핑 단자(4)에서 제2단자부(16)에 형성된다. 삽입 방향에 대해 기울어진 고정 슬로프부(28)가 FPC 어셈블리(2)의 삽입 전단부(25)에 형성된다. FPC(7)로부터 노출된 도체(6)가 고정 슬로프부(28)에 고정된다. 고정 슬로프부(28)에 상응하여 기울어진 접속 슬로프부(22)가 접속 돌출부(20)에 형성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하우징, 클램핑 단자, 삽입 부재 및 회로 바디를 포함하는 커넥터 구조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커넥터 구조는 하우징, 클램핑 단자, 슬라이더(slider), 평면 케이블(flat cable) 및 케이블 압착 부재가 제공되는 구조이다. 특허문헌 1의 커넥터 구조에 따르면, 클램핑 단자는 하우징에 수용되는 단자로서 포함된다. 슬라이더는 삽입 부재로서 포함된다. 평면 케이블은 회로 바디로서 포함된다. 케이블 압착 부재는 슬라이더에 딱 맞고 평면 케이블을 고정하도록 포함된다.
평면 케이블은 케이블 압착 부재에 의해 슬라이더의 하면에 고정된다. 슬라이더는 하우징에 수용된 클램핑 단자의 상부 단자부와 하부 단자부 사이에 삽입된다. 슬라이더가 삽입될 때, 평면 케이블이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된 상태이므로, 케이블 도체가 하부 단자부와 접촉하여 전기적 접속을 만든다.
평면 케이블이 고정된 상태에서 슬라이더가 클램핑 단자로 삽입될 경우, 상부 단자부와 하부 단자부는 삽입에 따라 분리하는 방향(밀려서 오픈 됨)으로 구부러진다. 이 구부러짐의 반작용력에 의해 조임(clamping)이 행해지는 동안, 하부 단자부와 케이블 도체의 접속이 유지된다.
하부 단자부와 케이블 도체의 접속은 하부 단자부에 형성된 돌기의 상부 부분이 케이블 도체와 선 접촉 또는 점 접촉에 있을 때 이루어진다.
상술한 배경기술에서, 클램핑 단자의 하부 단자부 상의 돌기의 상부 부분은 평면 케이블의 케이블 도체와 선 접촉 또는 점 접촉하여 접속을 이룬다. 그러나, 좋은 접속을 보장하기 위하여 접촉 영역이 늘어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것이 가능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커넥터 구조를 소형화하기 위해, 슬라이더의 삽입 방향에서 클램핑 단자와 하우징을 짧게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러나, 소형화를 기대할 경우, 상술한 접촉 영역을 늘리기 더 어렵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상황의 관점에서 만들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적 접속을 위한 접촉 영역을 보장하는 한편 소형화할 수 있도록 만드는 커넥터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이하의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1) 커넥터 구조로서,
단자 베이스에서 돌출된 제1단자부 및 제2단자부와, 상기 제1단자부와 제2단자부 사이에 형성된 삽입 공간을 포함하는 클램핑 단자;
상기 클램핑 단자를 수용하는 피팅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피팅부를 통해 삽입 공간 내로 삽입되도록 구성된 삽입 부재; 및
상기 삽입 부재에 고정되고, 삽입 부재가 삽입 공간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단자부와 제2단자부 중 어느 하나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구성된 회로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 부재는, 삽입 방향으로 삽입 부재의 전단부에서, 삽입 방향에 대해 기울어진 고정 슬로프부로 형성되고,
상기 회로 바디에서 노출된 도체는 상기 고정 슬로프부에 고정되고,
접속 돌출부가 상기 제1단자부 및 제2단자부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고,
상기 접속 돌출부는 상기 고정 슬로프부에 상응하여 기울어진 접속 슬로프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구조.
상기 구성(1)의 커넥터 구조에 따르면, 고정 슬로프부와 접속 슬로프부가 삽입 부재의 삽입 방향에 대해 기울어져 있고, 회로 바디로부터 노출된 도체가 고정 슬로프부에 고정되기 때문에, 회로 바디의 도체는 삽입 부재의 삽입과 함께 접속 돌출부의 접속 슬로프부와 면 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구성(1)에 따르면, 고정 슬로프부와 접속 슬로프부가 삽입 부재의 삽입 방향에 대해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하우징과 클램핑 단자가 상술한 삽입 방향에서 짧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전기적 접속에 관련된 접촉 영역이 보장되는 한편 소형화를 가능하게 만드는 커넥터 구조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는다.
(2) 상기 구성(1)에 따른 커넥터 구조에서, 접속 슬로프부는 복수의 돌기로 형성된다.
상기 구성(2)의 커넥터 구조에 따르면, 회로 바디의 도체가 삽입 부재의 삽입과 함께 접속 돌출부의 접속 슬로프부와 면 접촉이 만들어질 경우, 이때, 미시적으로, 많은 접촉 부분이 접속 슬로프부에 형성된 복수의 돌기에 의해 보장될 수 있다. 따라서, 좋은 접속을 보장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3) 상기 구성(1) 또는 구성(2)에 따른 커넥터 구조에서, 상기 제1단자부 및 제2단자부 중 다른 하나에 위치 결정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위치 결정 돌출부는 삽입 부재에 대해 접속 슬로프부보다 더 먼 위치에 위치된다.
상기 구성(3)의 커넥터 구조에 따르면, 위치 결정 돌출부가 클램핑 단자에 형성되기 때문에, 삽입 부재의 삽입 위치를 쉽게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좋은 접속이 보장될 수 있고 삽입 부재의 삽입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커넥터 구조(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a는 전기적 접속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b는 접속 슬로프부의 도면이다.
도 3a는 클램핑 단자를 갖는 커넥터의 상면도이고, 도 3b는 클램핑 단자를 갖는 커넥터의 측면도이다.
도 4a는 회로 바디를 고정한 상태에서 슬라이더의 측면도이고, 도 4b는 회로 바디를 고정한 상태에서 슬라이더의 하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커넥터 구조의 다른 예(제2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5a는 전기적 접속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5b는 접속 슬로프부의 도면이다.
도 2a는 전기적 접속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b는 접속 슬로프부의 도면이다.
도 3a는 클램핑 단자를 갖는 커넥터의 상면도이고, 도 3b는 클램핑 단자를 갖는 커넥터의 측면도이다.
도 4a는 회로 바디를 고정한 상태에서 슬라이더의 측면도이고, 도 4b는 회로 바디를 고정한 상태에서 슬라이더의 하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커넥터 구조의 다른 예(제2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5a는 전기적 접속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5b는 접속 슬로프부의 도면이다.
본 발명의 커넥터 구조는 제1단자부와 제2단자부를 갖는 클램핑 단자, 클램핑 단자를 수용하는 하우징, 하우징의 피팅부를 통해 클램핑 단자에 삽입되는 삽입 부재, 삽입 부재에 고정되는 회로 바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커넥터 구조에서, 삽입 부재에 고정되는 회로 바디와 클램핑 단자의 전기적 접속은 삽입 부재의 삽입 방향에 대해 기울어진 면 접촉에 의해 만들어진다.
특히, 클램핑 단자에서 제1단자부 및 제2단자부 중 어느 하나에 접속 돌출부가 형성된다. 삽입 부재의 삽입 방향에 대해 기울어진 고정 슬로프부가 삽입 부재의 삽입 전단부에 형성된다. 회로 바디에서 노출된 도체가 고정 슬로프부에 고정된다. 고정 슬로프부에 상응하여 기울어진 접속 슬로프부가 접속 돌출부에 형성된다.
다음으로, 제1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커넥터 구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a는 전기적 접속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b는 접속 슬로프부의 도면이다. 도 3a는 클램핑 단자를 갖는 커넥터의 상면도이고, 도 3b는 클램핑 단자를 갖는 커넥터의 측면도이다. 도 4a는 회로 바디에 고정된 상태에서 슬라이더의 측면도이고, 도 4b는 회로 바디에 고정된 상태에서 슬라이더의 하면도이다.
도 1에서, 도면번호 1은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회로 보드에 장착된 암 커넥터(female connector)이다. 도면번호 2는 암 커넥터(1)에 들어맞는 FPC 어셈블리를 나타낸다. 암 커넥터(1)는 절연성이 있는 합성 수지로 만들어진 암 하우징(female housing, 3)(하우징)과 도전성을 갖고 암 하우징(3)에 수용되어 고정되는 복수의 클램핑 단자(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FPC 어셈블리(2)(삽입 부재)는 절연성을 갖는 합성 수지로 만들어진 슬라이더(5), 복수의 도체(6)를 갖는 FPC(7)(회로 바디) 및 슬라이더(5)에 고정되어 FPC(7)를 압박하는 홀더(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구성요소를 설명한다.
도 1, 도 3a 및 도 3b에서, 암 하우징(3)은 이 실시예에서 사각형 박스 형상으로 형성된다. 암 하우징(3)의 전면(9)이 오픈되도록 피팅부(10)가 형성된다. 피팅부(10)는 클램핑 단자(4)가 수용되는 부분으로서 형성된다. 더욱이, 피팅부(10)는 FPC 어셈블리(2)가 삽입되는 부분으로서 형성된다.
암 하우징(3)은 암 하우징(3)의 상면(11)의 대략 중심 위치에 로킹 클로부(locking claw part, 12)를 갖는다. 로킹 클로부(12)는 대략 발톱과 같은 모양으로 상면(11)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로킹 클로부(12)는 FPC 어셈블리(2)가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암 하우징(3)은 클램핑 단자(4)의 일부가 암 하우징(3)의 후면(13)으로부터 노출되도록 형성된다.
암 하우징(3)은 암 하우징(3)의 전후 방향의 길이가 종래의 암 하우징의 전후 방향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된다. 즉, 암 하우징(3)이 소형화된다. 이러한 소형화는 이하의 구성 및 구조를 채용하여 실현되며, 상술한 전후 방향에서 클램핑 단자(4)를 소형화하는 것도 물론 필요하다.
도 1 내지 도 3b에서, 클램핑 단자(4)는 도전성을 갖고 미리 결정된 두께를 갖는 금속판을 주조(forging)하여 형성된다. 클램핑 단자(4)는 암 단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클램핑 단자(4)는 단자 베이스(14), 각각 단자 베이스(14)의 상단 및 하단에서 돌출된 제1단자부(15) 및 제2단자부(16), 제1단자부(15) 및 제2단자부(16) 사이에 형성된 삽입 스페이스(17), 및 암 하우징(3)의 후면(13)으로부터 노출된 보드 접속부(18)를 갖고, 도시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부 부분에 배열된 제1단자부(15)와 하부 부분에 배열된 제2단자부(16)는 제1단자부(15) 및 제2단자부(16)의 전단(자유단)의 위치가 약간 더 분리되도록 만드는 탄성을 갖는다. 제1단자부(15)와 제2단자부(16) 중, 위치 결정 돌출부(19)가 제1단자부(15)의 중간 위치에 돌출되어 형성된다. 한편, 접속 돌출부(20)는 제2단자부(16)의 전단 위치에 돌출되어 형성된다. 위치 결정 돌출부(19)와 접속 돌출부(20)는 각각 삽입 스페이스(17)에서 돌출되도록 배열 및 형성된다.
위치 결정 돌출부(19)는 FPC 어셈블리(2)의 삽입 위치를 결정하는 부분으로서 형성된다. 위치 결정 돌출부(19)는 스토퍼(stopper)라고 불리는 기능을 하도록 형성된다. 위치 결정 돌출부(19)가 상술한 바와 같이 제1단자부(15)의 중간 위치에 위치하기 때문에, 위치 결정 돌출부(19)는 전후 방향에서 접속 돌출부(20)의 뒤쪽에 배열 및 형성된다. 제1단자부(15)의 전단에서 위치 결정 돌출부(19)까지의 부분은 FPC 어셈블리(2)의 삽입 부분을 압착하고 유지하는 압착유지면부(pressing and holding surface part, 21)로서 형성된다.
접속 돌출부(20)는 FPC(7)에서 도체(6)와 접촉하는 부분으로서 형성된다. 접속 돌출부(20)는 도체(6)와의 접촉 영역이 증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접속 돌출부(20)는 옆에서 보았을 때 볼록한 형태로 형성된다. 이 실시예에서, 옆에서 보았을 때 볼록한 형태는 완경사와 급경사를 갖도록 설정된다. 완경사는 제2단자부(16)의 전단에서 이어지도록 배열 및 형성된다. 완경사는 접속 슬로프부(22)로서 형성된다.
접속 슬로프부(22)는 상술한 접촉 영역이 증가하는 부분이고 상술한 전후 방향에 대해 경사진 면이 되도록 형성된다. 특히, 접속 슬로프부(22)는 설명될 FPC 어셈블리(2)의 고정 슬로프부(28)에 상응하여 기울어지도록 형성된다(접속 슬로프부(22)는 FPC 어셈블리(2)가 삽입될 경우 고정 슬로프부(28)와 평행하도록 형성된다). 접속 슬로프부(22)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으로 형성된다(다른 예는 제2실시예에서 설명한다).
제1단자부(15)와 제2단자부(16)의 전단 위치가 크게 분리될 필요가 없기 때문에, FPC(7)의 도체(6)의 접촉 영역이 전단 위치에서 증가될 수 있고 단자 베이스(4)에서 위치 결정 돌출부(19)까지의 거리가 짧아질 수 있도록 클램핑 단자(4)가 형성된다. 따라서, 클램핑 단자(4)는 치수 L이 전보다 짧아지도록 형성된다.
도 1, 도 4a 및 도 4b에서, 슬라이더(5)는 슬라이더 바디(23)와 슬라이더 바디(23)와 통합된 로킹 암 부(locking arm part, 24)를 갖는다. 슬라이더 바디(23)는 암 하우징(3)의 피팅부(10)에 삽입되는 부분으로서 형성된다. 슬라이더 바디(23)의 전단부(삽입 전단부(25))는 클램핑 단자(4)의 삽입 스페이스(17)에 삽입되는 부분으로서 형성된다. 한편, 로킹 암 부(24)는 유연성을 가지는 캔틸레버 암(cantilever arm) 형태로 형성된다. 로킹 암 부(24)에 형성된 고정 홀(26)은 암 하우징(3)의 로킹 클로부(12)에 걸려 고정된다. 로킹 암 부(24)는 슬라이더(5)에서 떨어져 나가는 것을 방지하고 전기적 접속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부분으로 형성된다.
삽입 전단부(25)는 위치 결정 교대(positioning abutment, 27), 고정 슬로프부(28) 및 압착유지면부(pressing and held surface part, 29)를 갖고, 도시된 형태로 형성된다. 위치 결정 교대(27)는 슬라이더 바디(23)의 전단 및 상면의 위치에 배열 및 형성된다. 위치 결정 교대(27)는 클램핑 단자(4)의 위치 결정 돌출부(19)에 인접하는 부분으로 형성된다. 슬라이더 바디(23)의 위치 결정 교대(27)가 클램핑 단자(4)의 위치 결정 돌출부(19)에 인접할 경우, 삽입이 조절될 것이다.
고정 슬로프부(28)는 FPC 어셈블리(2)의 삽입 방향(상술한 전후 방향과 동일)에 대해 기울어진 면이 되도록 형성된다. 이 실시예에서, 고정 슬로프부(28)는 위치 결정 교대(27)에 이어지고 비스듬하게 아래쪽 방향으로 향하는 완경사로서 형성된다. 압착유지면부(29)는 슬라이더 바디(23)의 상면 상에 클램핑 단자(4)의 제1단자부(15)에 의해 압착 및 유지되는 부분으로서 형성된다. 압착유지면부(29)는 위치 결정 교대(27)에 이어지도록 배열 및 형성된다.
슬라이더 바디(23)는 슬라이더 바디(23)의 2개의 측면(30)에 고정 돌기(31)를 갖는다. 고정 돌기(31)는 홀더(8)가 고정될 수 있도록 대략 발톱(claw) 형태로 형성된다. 슬라이더 바디(23)의 고정 슬로프부(28) 및 하면(32)은 FPC(7)에 대해 고정 면으로서 형성된다.
FPC(7)는 연성 인쇄 회로 물체(Flexible Printed Circuit)로 널리 알려져 있고, 본 발명에 적용가능한 회로 바디의 한 종류가 된다. FPC(7)는 교차선에 미리 결정된 간격으로 동일하게 병렬로 위치하는 복수의 도체(6)와 절연체(33)를 갖는다. FPC(7)는 도체(6)가 전단부(34)에서 노출되도록 가공된다. 도체(6)가 노출된 전단부(34)는 슬라이더 바디(23)의 고정 슬로프부(28)에 고정되는 부분으로 형성된다. 일 예로서, 접착 테이프와 같은 것으로 접착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공지의 FFC(Flexible Flat Circuit body), 리본 와이어 등이 FPC(7)에 추가로 적용가능한 회로 바디로서 언급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회로 바디는 슬라이더 바디(23)에 고정될 수 있는 한편 클램핑 단자(4)와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하다면, 상술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홀더(8)는 슬라이더 바디(23)의 하면(32)에 고정되는 FPC(7)를 유지하는 부재(또는 슬라이더 바디(23)의 하면(32)에 FPC(7)를 고정하는 구성요소)로서 포함된다. 슬라이더 바디(23)의 고정 돌기(31)에 걸려 고정되는 로킹 홀부(locing hole part, 35)는 홀더(8)의 양측(좌측 및 우측)에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술한 구성 및 구조에 기초하여, 암 커넥터(1) 및 FPC 어셈블리(2)의 조립 및 전기적 접속에 대해 설명한다.
암 커넥터(1)의 조립은 암 하우징(3)의 피팅부(10)에 복수의 클램핑 단자(4)를 수용하여 완성된다. FPC 어셈블리(2)의 조립은 FPC(7)가 슬라이더 바디(23)의 하면(32) 및 고정 슬로프부(28)에 고정되는 한편 홀더(8)를 고정하는 것에 의해 완성된다.
이어서, 또한 전기적 접속은 FPC 어셈블리(2)가 암 커넥터(1)에 미끄러지도록 만들어져 피팅이 수행될 때 완성된다. 특히, FPC(7)가 고정된 상태에서 슬라이더 바디(23)가 암 하우징(3)의 피팅부(10)에 삽입되는 동안, 슬라이더 바디(23)의 삽입 전단부(25)가 클램핑 단자(4)의 제1단자부(15)와 제2단자부(16) 사이에 삽입되고 이어지는 상태까지 삽입이 수행되면, 전기적 접속이 완성된다. 즉, 삽입 전단부(25)의 위치 결정 교대(27)가 제1단자부(15)의 위치 결정 돌출부(19)에 인접할 때까지 삽입이 수행되면, 이때, 고정 슬로프부(28)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FPC(7)의 도체(6)가 제2단자부(16)의 접속 슬로프부(22)와 면 접촉을 이루고, 이에 따라 전기적 접속이 완성된다.
슬라이더 바디(23)의 삽입 전단부(25)는 상술한 삽입과 함께 제1단자부(15)로부터 압착을 받는다. 따라서, 도체(6)와 접속 슬로프부(22)의 면 접촉 상태가 유지된다. 슬라이더(5)에서 로크 암 부(24)의 고정 홀(26)이 암 하우징(3)의 로킹 클로부(12)에 걸려 고정된다. 따라서, FPC 어셈블리(2)의 빠짐이 규제되고 도체(6)와 접속 슬로프부(22)의 면 접촉 상태가 유지된다.
도 1 내지 도 4b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커넥터 구조가 FPC 어셈블리(2)의 삽입 방향에 대해 기울어진 접속 슬로프부(22)와 고정 슬로프부(28)를 갖고, 커넥터 구조에서 FPC(7)로부터 노출된 도체(6)가 고정 슬로프부(28)에 고정되기 때문에, FPC(7)의 도체(6)는 FPC 어셈블리(2)에서 슬라이더(5)의 삽입과 함께 클램핑 단자(4)의 접속 슬로프부(22)와의 좋은 면 접촉을 이루도록 만들 수 있다. 접촉 영역은 충분히 증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커넥터 구조가 FPC 어셈블리(2)의 삽입 방향에 대해 기울어진 접속 슬로프부(22)와 고정 슬로프부(28)를 갖기 때문에, 암 하우징(3)과 클램핑 단자(4)가 상술한 삽입 방향에서 전보다 짧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전기적 접속을 위한 접촉 영역을 확실히 하는 한편 소형화가 가능하도록 만드는 커넥터 구조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다음으로, 제2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커넥터 구조의 다른 예를 나타내고, 도 5a는 전기적 접속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b는 접속 슬로프부의 도면이다. 더욱이, 상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번호를 붙이고, 이들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a 및 도 5b에서, 제2실시예는 상술한 제1실시예와 오직 접속 슬로프부(22)만 다르다. 즉, 복수의 돌기(36)가 접속 슬로프부(22) 상에 형성된다. 돌기(36)는 대략 반구 형태로 형성되나, 돌기(36)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평면 상부가 상기 돌기에 형성될 수 있다. 많은 접촉이 보장될 수 있다면, 형태, 수량, 배열 등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르면, FPC(7)로부터 노출된 도체(6)는 FPC 어셈블리(2)의 삽입과 함께 접속 돌출부(22)의 접속 슬로프부(22)와 면 접촉을 이룬다. 이때, 미시적으로, 많은 접촉 부분이 접속 슬로프부(22)에 형성된 복수의 돌기(36)에 의해 보장된다.
따라서, 제1실시예와 같이, 제2실시예는 전기적 접속을 위한 접촉 영역을 보장하는 한편 소형화를 가능하게 만드는 커넥터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는다.
본 발명의 커넥터 구조가 특정 실시예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었더라도, 본 발명의 목적을 변경하지 않고 다양한 변형이 발명에 대해 만들어질 수 있고, 적절한 변이 및 수정이 가능하다.
이 출원은 2010년 8월 27일자로 출원된 일본특허출원 제2010-190480호에 기초한 것으로, 그 내용이 여기에 참조로써 포함된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커넥터 구조에 따르면, 커넥터 구조는 전기적 접속을 위한 접촉 영역을 보장하는 한편 소형화를 가능하게 만들도록 제공될 수 있다.
1: 암 커넥터
2: FPC 어셈블리(삽입 부재)
3: 암 하우징(하우징)
4: 클램핑 단자
5: 슬라이더
6: 도체
7: FPC(회로 바디)
8: 홀더
9: 전면
10: 피팅부
11: 상면
12: 로킹 클로부
13: 후면
14: 단자 베이스
15: 제1단자부
16: 제2단자부
17: 삽입 스페이스
18: 보드 접속부
19: 위치 결정 돌출부
20: 위치 결정 돌출부
20: 접속 돌출부
21: 압착누름면부
22: 접속 슬로프부
23: 슬라이더 바디
24: 고정 암 부
25: 삽입 전단부
26: 고정 홀
27: 위치 결정 교대
28: 고정 슬로프부
29: 압착유지면부
30: 측면
31: 고정 돌기
32: 하면
33: 절연체
34: 전단부
35: 로킹 홀
36: 돌기
2: FPC 어셈블리(삽입 부재)
3: 암 하우징(하우징)
4: 클램핑 단자
5: 슬라이더
6: 도체
7: FPC(회로 바디)
8: 홀더
9: 전면
10: 피팅부
11: 상면
12: 로킹 클로부
13: 후면
14: 단자 베이스
15: 제1단자부
16: 제2단자부
17: 삽입 스페이스
18: 보드 접속부
19: 위치 결정 돌출부
20: 위치 결정 돌출부
20: 접속 돌출부
21: 압착누름면부
22: 접속 슬로프부
23: 슬라이더 바디
24: 고정 암 부
25: 삽입 전단부
26: 고정 홀
27: 위치 결정 교대
28: 고정 슬로프부
29: 압착유지면부
30: 측면
31: 고정 돌기
32: 하면
33: 절연체
34: 전단부
35: 로킹 홀
36: 돌기
Claims (3)
- 단자 베이스에서 돌출된 제1단자부 및 제2단자부와, 상기 제1단자부와 제2단자부 사이에 형성된 삽입 스페이스를 포함하는 클램핑 단자;
상기 클램핑 단자를 수용하는 피팅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피팅부를 통해 삽입 스페이스 내로 삽입되도록 구성된 삽입 부재; 및
상기 삽입 부재에 고정되고, 삽입 부재가 삽입 스페이스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단자부와 제2단자부 중 어느 하나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구성된 회로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 부재는, 삽입 방향으로 삽입 부재의 전단부에서, 삽입 방향에 대해 기울어진 고정 슬로프부로 형성되고,
상기 회로 바디에서 노출된 도체는 상기 고정 슬로프부에 고정되고,
접속 돌출부가 상기 제1단자부 및 제2단자부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고,
상기 접속 돌출부는 상기 고정 슬로프부에 상응하여 기울어진 접속 슬로프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슬로프부는 복수의 돌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구조.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위치 결정 돌출부가 상기 제1단자부 및 제2단자부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고,
상기 위치 결정 돌출부는 상기 삽입 부재에 대해 상기 접속 슬로프부보다 더 먼 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0-190480 | 2010-08-27 | ||
JP2010190480A JP5600523B2 (ja) | 2010-08-27 | 2010-08-27 | コネクタ構造 |
PCT/JP2011/067504 WO2012026287A1 (ja) | 2010-08-27 | 2011-07-29 | コネクタ構造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58040A KR20130058040A (ko) | 2013-06-03 |
KR101456806B1 true KR101456806B1 (ko) | 2014-10-31 |
Family
ID=45723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7005072A KR101456806B1 (ko) | 2010-08-27 | 2011-07-29 | 커넥터 구조 |
Country Status (8)
Country | Link |
---|---|
US (1) | US8808022B2 (ko) |
JP (1) | JP5600523B2 (ko) |
KR (1) | KR101456806B1 (ko) |
CN (1) | CN103081239B (ko) |
BR (1) | BR112013003769A2 (ko) |
DE (1) | DE112011102834T5 (ko) |
RU (1) | RU2528603C1 (ko) |
WO (1) | WO2012026287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7056059B2 (ja) * | 2017-09-29 | 2022-04-19 |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 複合基板 |
JP2022046235A (ja) * | 2020-09-10 | 2022-03-23 | 東芝テック株式会社 | 制御ボード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192822A (ja) * | 1993-12-27 | 1995-07-28 | Sumitomo Electric Ind Ltd | コネクタ |
JPH07320822A (ja) * | 1994-05-27 | 1995-12-08 | Sumitomo Electric Ind Ltd | コネクタ |
JP2001351706A (ja) | 2000-06-09 | 2001-12-21 | Yazaki Corp | フラットワイヤハーネスの接続構造 |
KR200330992Y1 (ko) | 2003-07-25 | 2003-10-22 |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 커넥터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1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149897A (en) * | 1961-08-29 | 1964-09-22 | Hans G Martineck | Printed cable connector |
JPS5928985U (ja) * | 1982-08-18 | 1984-02-23 | 星電器製造株式会社 |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板用コネクタ |
JPS62129788U (ko) * | 1986-02-07 | 1987-08-17 | ||
JPH01104682U (ko) * | 1988-01-06 | 1989-07-14 | ||
JPH0617167U (ja) * | 1992-07-31 | 1994-03-04 | ミツミ電機株式会社 | 電気コネクタ |
US5354214A (en) * | 1993-07-23 | 1994-10-11 | Molex Incorporated | Printed circuit board electrical connector with mounting latch clip |
JP4226737B2 (ja) * | 1999-08-03 | 2009-02-18 |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 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
JP2001052785A (ja) * | 1999-08-03 | 2001-02-23 | Jst Mfg Co Ltd | スライダ及びこれを含むコネクタ |
JP2001143794A (ja) * | 1999-11-17 | 2001-05-25 | Nec Niigata Ltd | シート状導電路接続用コネクタおよびその使用方法 |
CN2417596Y (zh) * | 2000-03-16 | 2001-01-31 |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 电连接器 |
JP2001297634A (ja) * | 2000-04-17 | 2001-10-26 |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 フラット配線材およびフラット配線材用コネクタの製造方法 |
JP4288874B2 (ja) * | 2001-08-02 | 2009-07-01 | 住友電装株式会社 | コネクタ |
JP2003123881A (ja) * | 2001-10-15 | 2003-04-25 | Molex Inc | 平型柔軟ケーブル用電気コネクタ |
JP2004039479A (ja) * | 2002-07-04 | 2004-02-05 | Fujitsu Component Ltd |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板用コネクタ装置 |
JP4121465B2 (ja) * | 2004-01-30 | 2008-07-23 | シャープ株式会社 | フレキシブル基板用コネクタおよび回路基板とフレキシブル基板との接続構造 |
JP4192203B1 (ja) * | 2007-12-26 | 2008-12-10 |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 ケーブル用コネクタ |
JP2010190480A (ja) | 2009-02-18 | 2010-09-02 | Toshiba Corp | 空調制御システムおよびこれに利用する給気切替コントローラ、空調制御方法 |
-
2010
- 2010-08-27 JP JP2010190480A patent/JP5600523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1
- 2011-07-29 KR KR1020137005072A patent/KR101456806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1-07-29 BR BR112013003769A patent/BR112013003769A2/pt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1-07-29 DE DE112011102834T patent/DE112011102834T5/de not_active Ceased
- 2011-07-29 WO PCT/JP2011/067504 patent/WO2012026287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1-07-29 RU RU2013113547/07A patent/RU2528603C1/ru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1-07-29 CN CN201180041627.6A patent/CN103081239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1-07-29 US US13/813,698 patent/US8808022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192822A (ja) * | 1993-12-27 | 1995-07-28 | Sumitomo Electric Ind Ltd | コネクタ |
JPH07320822A (ja) * | 1994-05-27 | 1995-12-08 | Sumitomo Electric Ind Ltd | コネクタ |
JP2001351706A (ja) | 2000-06-09 | 2001-12-21 | Yazaki Corp | フラットワイヤハーネスの接続構造 |
KR200330992Y1 (ko) | 2003-07-25 | 2003-10-22 |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 커넥터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12049005A (ja) | 2012-03-08 |
US8808022B2 (en) | 2014-08-19 |
US20130130536A1 (en) | 2013-05-23 |
RU2528603C1 (ru) | 2014-09-20 |
BR112013003769A2 (pt) | 2016-05-31 |
DE112011102834T5 (de) | 2013-06-13 |
WO2012026287A1 (ja) | 2012-03-01 |
KR20130058040A (ko) | 2013-06-03 |
CN103081239A (zh) | 2013-05-01 |
CN103081239B (zh) | 2015-07-29 |
JP5600523B2 (ja) | 2014-10-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401550B2 (en) | Connector | |
KR101110148B1 (ko) | 압접형 콘택트 및 이것을 이용한 전기 커넥터 | |
US20120135621A1 (en) | Floating connector | |
JP5107811B2 (ja) | 基板コネクタ | |
US10374337B2 (en) | Terminal block | |
US10056714B2 (en) | Connector device including coming-off preventing structure | |
JP5654505B2 (ja) | コネクタ装置 | |
KR100204373B1 (ko) | 편평 케이블을 회로 기판에 상호 접속시키기 위한 전기커넥터 조립체 | |
KR20000076735A (ko) | 플랙시블 프린트배선판 압착단자 및 이것을 이용한 코어의압착구조 | |
US9595781B2 (en) | Terminal and connector | |
CN110676620B (zh) | 连接器以及连接器组件 | |
JP6069008B2 (ja) | コネクタ装置 | |
EP1385232A2 (en) |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plug connector and receptacle connector | |
JP5110271B2 (ja) | コネクタ装置 | |
KR101456806B1 (ko) | 커넥터 구조 | |
US10756478B2 (en) | Terminal and method of connecting electric wire to terminal | |
TWI244811B (en) | A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 |
JP4314106B2 (ja) | メス端子 | |
CN115377719A (zh) | 端子、电线连接器及线对板连接器 | |
JP7144290B2 (ja) | 端子接続構造 | |
JPH11121112A (ja) | 電気的コネクタ | |
JP2004236416A (ja) | 分岐接続箱 | |
JP2005332734A (ja) | 圧接端子とそれを備えた圧接コネクタ | |
JP2003173827A (ja) | コネクタにおけるケーブル保持構造 | |
JP2017117562A (ja) | 金属端子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