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6944B1 - 커넥터 및 커넥터 시스템 - Google Patents

커넥터 및 커넥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6944B1
KR101006944B1 KR1020040078373A KR20040078373A KR101006944B1 KR 101006944 B1 KR101006944 B1 KR 101006944B1 KR 1020040078373 A KR1020040078373 A KR 1020040078373A KR 20040078373 A KR20040078373 A KR 20040078373A KR 101006944 B1 KR101006944 B1 KR 1010069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terminal
short
shorting
partial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83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32493A (ko
Inventor
나카무라히데토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324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24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69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69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8Short-circuiting members for bridging contacts in a counterpa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 H01R13/7031Shorting, shunting or bussing of different terminals interrupted or effected on engagement of coupling part, e.g. for ESD protection, line continuity
    • H01R13/7032Shorting, shunting or bussing of different terminals interrupted or effected on engagement of coupling part, e.g. for ESD protection, line continuity making use of a separate bridging element directly cooperating with the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 H01R13/7031Shorting, shunting or bussing of different terminals interrupted or effected on engagement of coupling part, e.g. for ESD protection, line continuity
    • H01R13/7033Shorting, shunting or bussing of different terminals interrupted or effected on engagement of coupling part, e.g. for ESD protection, line continuity making use of elastic extensions of the terminal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단락 단자를 확실하게 유지하는 것이다.
수형 단자 피팅(70)을 단락시키기 위한 단락 단자(90)를 수용하는 수용 챔버(17)가 수형 하우징(11) 내에 마련되어 있다. 수용 챔버(17)와 연통하고 단락 단자(90)가 수용 챔버(17) 내로 도입될 수 있게 하는 리테이너 장착 구멍(16)이 접속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수형 하우징(11)의 일 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수용 챔버(17)에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접속 방향에 대하여 전방 및 후방 위치에 위치 결정하면서 단락 단자(90)의 베이스 플레이트(94)를 유지하기 위한 제1 맞물림 부분(17A) 및 제2 맞물림 부분(17B)이 마련되어 있다.

Description

커넥터 및 커넥터 시스템{A CONNECTOR AND A CONNECTOR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형 커넥터 및 암형 커넥터가 접속되기 전의 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고,
도 2는 커넥터가 적절하게 접속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고,
도 3은 수형 커넥터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고,
도 4는 수형 커넥터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내부에 리테이너가 장착되어 있는 수형 커넥터의 측면도이고,
도 6은 내부에 단락 단자가 장착되어 있는 수형 하우징의 종단면도이고,
도 7은 리테이너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단락 단자의 사시도이고,
도 9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비교예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고,
도 9b는 제2 실시예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고,
도 10은 종래 기술의 커넥터의 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수형 커넥터
11 : 수형 하우징
16 : 리테이너 장착 구멍
17 : 수용 챔버
17A : 제1 맞물림 부분(위치 결정 부분)
17B : 제2 맞물림 부분(위치 결정 부분)
17C : 수납 부분
70 : 수형 단자 피팅
80 : 리테이너(뚜껑 부재)
90 : 단락 단자
92 : 단락 편(shorting pieces)
93 : 로킹 부분
본 발명은 단락 단자를 구비한 커넥터 및 커넥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타입의 커넥터로서는 일본 공개 특허 공보 제2003-217764호에 개시된 커넥터가 공지되어 있다. 이 커넥터에는 암형 하우징 및 수형 하우징이 모두 마련되어 있으며, 수형 하우징(1)은 단자 수용 부분(2)과, 이 단자 수용 부분(2) 이전에 마련되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을 향해 돌출하는 리셉터클(3)로 구성되어 있다. 복수의 수형 단자 피팅(4)이 내부에 삽입되는 공동(5)이 전후 방향을 따라 단자 수용 부분(2)을 관통하고, 단락-단자 수용 챔버(6)는 상기 공동(5) 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리셉터클(3)의 후방 단부면에서 개방되어 있다. 수형 및 암형 하우징이 접속되기 전에, 단락 단자(7)는 각 수형 단자 피팅(4)과 접촉 상태로 탄성 유지되어, 인접 수형 단자 피팅(4)의 쌍을 단락시킨다. 다른 한편으로, 수형 하우징과 암형 하우징이 접속됨에 따라, 단락 단자(7)는, 암형 하우징에 마련된 해제 부분과의 맞물림 때문에 각 수형 단자 피팅(4)과의 단락 상태가 해제된다.
여기서, 단락 단자(7)는 리셉터클(3)의 전방으로부터 단락-단자 수용 챔버(6) 내로 삽입되고, 단락-단자 수용 챔버(6)의 상면에 마련된 로킹 돌기(8)와 로킹 구멍(9)의 탄성 맞물림에 의해 전방을 향해 변위되지 않도록 유지된다.
전술한 경우에, 로킹 돌기(8)의 전방면은 경사면(8A)을 형성하도록 절결되어, 전방으로부터 삽입된 단락 단자(7)의 삽입 저항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단락 단자의 전방 변위는 방지될 수 있지만, 단락 단자(7)의 후방 변위는 확실하게 방지될 수 없다. 더욱이, 로킹 돌기(8)가 전방 및 후방의 몰드 제거 구멍(6A)을 매개로 몰드를 제거함으로써 형성되므로, 전방 및 후방 위치에 복수의 로킹 돌기(8)를 제공하고자 하는 시도하는 경우에, 로킹 돌기의 위치 및 개수는 구조와 관련하여 제한된다. 그 결과, 단락 단자(7)는 충분한 힘에 의해 수형 하우징(1) 내에 유지될 수 없으며, 수형 단자 피팅(4) 및 해제 부분과 맞물릴 때에 변위되거나 로킹 해제가 생길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고려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단락 단자를 확실하게 유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 1에 따른 커넥터와 청구항 10에 따른 커넥터 시스템에 의해 본 발명에 따라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종속항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커넥터 하우징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복수의 단자 피팅과,
각 단자 피팅과 접촉 상태로 유지됨으로써 각 단자 피팅의 적어도 일부를 통상적으로 단락시키는 한편, 커넥터가 상대 커넥터와 접속되는 때에 단락 상태를 해제하는 단락 단자와,
상기 단락 단자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도록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내측에 마련되는 수용 챔버
를 포함하는 커넥터가 제공되며,
단락 단자를 적어도 커넥터의 접속 방향에 대하여 전방 및 후방 위치에 위치 결정하면서 단락 단자를 유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위치 결정부가 커넥터 하우징의 수용 챔버에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수용 챔버와 연통하며 상기 단락 단자가 상기 수용 챔버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도입될 수 있게 하는 윈도우 부분이 커넥터 하우징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윈도우 부분은 상기 위치 결정부 의 형성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커넥터 하우징 내로 삽입되는 복수의 단자 피팅과,
각 단자 피팅과 접촉 상태로 유지됨으로써 각 단자 피팅을 통상적으로 단락시키는 한편, 커넥터가 상대 커넥터와 접속되는 때에 단락 상태를 해제하는 단락 단자와,
상기 단락 단자를 수용하도록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내측에 마련되는 수용 챔버
를 포함하는 커넥터가 제공되며,
커넥터의 접속 방향에 대하여 전방 및 후방 위치에 단락 단자를 위치 결정하면서 단락 단자를 유지하기 위한 위치 결정부가 커넥터 하우징의 수용 챔버의 내면에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위치 결정부의 형성을 가능하게 하는 수용 챔버와 연통하며 상기 단락 단자가 상기 수용 챔버 내로 도입될 수 있게 하는 윈도우 부분이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접속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커넥터 하우징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윈도우 부분이 접속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커넥터 하우징의 측면에 마련되어 있고 위치 결정부가 윈도우 부분을 통하여 형성될 수 있으므로, 단락 단자는 접속 방향에 대하여 전방 및 후방 위치에 위치 결정된 상태로 확실하게 유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단락 단자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이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단 또는 단부 부분에 마련되거나 접혀 있는 단락 편을 구비하며, 상기 단락 편은 실질적으로 상기 단자 피팅의 삽입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단락 편의 탄성 변형을 허용하기 위한 변형 공간이 상기 단락 편과 베이스 플레이트 사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상기 변형 공간과 실질적으로 반대쪽의 측면을 향해 돌출하며 상기 단락 단자가 상기 수용 챔버 내로 도입되는 방향에 경사지게 연장되는 탄성 변형 가능한 로킹 부분이 형성되어 있고,
바람직하게는, 로킹 부분과의 맞물림에 의해 로킹 부분을 고정하는 수납 부분이 커넥터 하우징의 수용 챔버의 내면에 마련되어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수용 챔버로의 도입 방향에 경사지게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로킹 부분이 형성되어 있고, 로킹 부분이 수납 부분에 의해 수용 챔버 내에 고정 유지되기 때문에, 단락 단자는 수용 챔버의 밖으로 나오지 않게 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변형 공간을 향하여 돌출하는 융기 부분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로킹 부분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융기 부분 내로 돌출하고, 상기 수납 부분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융기 부분 내측의 융기 공간으로 들어간다.
로킹 부분이 상기 변형 공간과 실질적으로 반대쪽 측면을 향해 돌출하기 때문에, 커넥터 하우징의 높이는 증가될 수 있어서, 결과적으로 로킹 부분과 맞물릴 수 있는 수납 부분이 로킹 부분의 돌출 크기에 대응하는 거리만큼 변형 공간으로부 터 멀리 떨어진 위치에 마련되어 있는 경우에 커넥터를 확대시킬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사공간으로서의 변형 공간이 집중되어 있기 때문에, 융기 부분은 변형 공간을 향해 돌출하게 되어 있으며, 로킹 부분은 융기 공간 내로 돌출하게 되어 있어서, 수납 부분의 위치는 변형 공간을 향해 상승된다. 따라서, 커넥터의 확대가 회피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단락 단자의 로킹 부분은 단락 단자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 공간 내에 삽입되는 때에 탄성적으로 변형되는 상태로 실질적으로 수납 부분 상에서 활주한다.
바람직하게는,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기 변형 공간을 향해 상향 경사진 경사 부분을 구비하며, 상기 로킹 부분은 상기 경사 부분에 마련되어 있고, 상기 수납 부분은 상기 경사 부분을 따라 마련되어 있다.
로킹 부분이 변형 공간과 실질적으로 반대쪽의 측면을 향해 돌출하기 때문에, 커넥터 하우징의 높이는 증가될 수 있어서, 결과적으로 로킹 부분과 맞물릴 수 있는 수납 부분이 로킹 부분의 돌출 크기에 대응하는 거리만큼 변형 공간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마련되는 경우에 커넥터를 확대시킬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사공간으로서의 변형 공간이 집중되어 있고, 변형 공간을 향해 상향 경사진 경사 부분이 마련되어 있어서, 수납 부분의 위치가 변형 공간을 향해 상승되어, 경사 부분에 마련된 로킹 부분을 따른다. 따라서, 커넥터의 확대를 방지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윈도우 부분이 뚜껑 부재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폐 쇄되거나 덮일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뚜껑 부재는 윈도우 부분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는 덮개 부분과, 상기 커넥터 하우징을 빠져나가지 않게 단자 피팅을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로킹 부분을 구비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윈도우 부분은 뚜껑 부재에 의해 (실질적으로 전체가) 폐쇄될 수 있으며, 뚜껑 부재는 윈도우 부분을 덮는 덮개 부분과, 커넥터 하우징을 빠져나가지 않게 단자 피팅을 고정하기 위한 로킹 부분을 구비한다.
수용 챔버 내로 삽입된 단락 단자는 뚜껑 부재에 의해 외부 물질로부터 차폐된다. 뚜껑 부재는 또한 빠져나가지 않게 단자 피팅을 고정하는 리테이너 기능도 또한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 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따른 커넥터와, 이 커넥터에 맞물릴 수 있는 상대 커넥터를 구비하는 커넥터 시스템이 제공되며, 상기 상대 커넥터는 2개의 커넥터가 실질적으로 적절하게 접속되는 때에 단락 단자에 의해 단자 피팅의 단락 상태를 해제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해제 부재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목적과 특징 및 이점은 첨부 도면과 바람직한 실시예의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읽음으로써 보다 명확하게 될 것이다. 실시예를 개별적으로 설명하였지만, 이들 실시예의 단일의 특징이 추가의 실시예에 조합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8을 참고로 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예컨대 자동차에 장착되는 에어백 작동 회로에 사용되는 커넥터가 도시되어 있다. 이 커넥터는 바람직하게는 수형 커넥터(10)이며, 암형 커넥터(20; 바람직한 상대 커넥터에 대응함)와의 접속에 의해 에어백 작동 회로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수형 커넥터(10)와 암형 커넥터(20)의 맞물림측을 전방측으로 지칭한다.
먼저, 암형 커넥터(20)를 설명한다. 암형 커넥터(20)는, 예컨대 합성 수지로 제조되며 바람직하게는 도 1의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블록 형태인 암형 하우징(21)을 구비하며,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복수(이 실시예에서는 3개)의 공동(22)이 전후 방향을 따라 암형 하우징(21)과 실질적으로 나란하게 실질적으로 관통하고 있다. 하나 이상의 암형 단자 피팅(40)이 삽입측으로부터,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후방으로부터 각각의 공동(22)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대응 공동(22)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각각의 암형 단자 피팅(40)은 공동(22)의 내면에 형성된 (바람직하게는 단차진) 로킹 표면과 자체의 금속 로킹 부분(41)의 맞물림에 의해, 예컨대 후방을 향해 빠져 나오는 것을 방지하면서 (부분적으로 또는 1차적으로) 고정된다. 각각의 공동(22)의 적어도 일부와 실질적으로 연통하거나 또는 그 부분을 가로지르는 리테이너 장착 구멍(23)이 암형 하우징(21)의 측방향 (상측) 표면에 형성되어 있고, 암형 단자 피팅(40)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리테이너 장착 구멍(23)에 장착되는 리테이너(50)에 의해 (전체적으로 또는 2차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또한,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측방향 (좌우) 로킹 돌기(24)가 암형 하우징(21)의 상면에 마련되어 있고, 검출 돌기 (25)가 바람직하게는 상기 로킹 돌기(24)의 이전에 또는 전방에 마련되어 있다.
다음으로, 수형 커넥터(10)를 설명한다. 도 1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형 커넥터(10)는, 예컨대 합성 수지로 제조된 수형 하우징(11; 바람직한 커넥터 하우징에 대응함)을 구비한다. 이 수형 하우징(11)은 단자 수용 부분(12;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블록 형태임)과, 이 단자 수용 부분(12)의 전방 부분과 결합되며 전방을 향해 돌출하는 리셉터클 또는 후드(13;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장방형 관 형태임)로 구성된다. 암형 하우징(21)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전방으로부터 리셉터클(13) 내로 끼워질 수 있다.
2개의 커넥터(10, 20)가 적절하게 맞물리는 대신에 부분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검출하기 위한 슬라이더(60)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형 하우징(11)의 일부(바람직하게는 상부) 내에 장착되어 있다. 슬라이더(60)는 통상적으로 (바람직한 편향 부재로서의) 스프링 부분(61)의 편향력에 의해 전방 위치를 향하여 편향되거나 전방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2개의 커넥터(10, 20)가 접속되어 있는 상태에서, 슬라이더(60)는 암형 하우징(21)의 검출 돌기(25)에 의해 밀리거나 압박되어, 스프링 부분(61)을 탄성적으로 압축한다. 2개의 커넥터(10, 20)가 적절하게 접속되는 때에, 슬라이더(60)는 스프링 부분(61)의 탄성력에 의해 초기 위치를 향하여 또는 실질적으로 초기 위치로 복귀된다. 구체적으로, 2개의 커넥터(10, 20)가 부분적으로 접속된 때에 접속 작용이 방해되면, 암형 하우징(21)은 스프링 부분(61)의 누적 탄성력에 의해 뒤로 밀린다. 이에 의하여, 2개의 커넥터(10, 20)의 부분적으로 접속된 상태를 알 수 있거나, 검출할 수 있거나, 또는 방지할 수 있다. 슬라이더(60)에는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한 쌍(좌우)의 로크 아암(62)이 마련되어 있으며, 이들 로크 아암은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외팔보 형상으로 전방을 향해 돌출하며, 각각의 로크 아암(62)은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선행 단부에 갈고리 부분(63)을 구비한다. 2개의 커넥터(10, 20)가 적절하게 접속된 때에, 각각의 갈고리 부분(63)은 암형 하우징(21)의 대응 로크 돌기(24)와 탄성적으로 맞물려서, 2개의 커넥터(10, 2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하나 이상의 대응 수형 단자 피팅(70)이 삽입측,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후방으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는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복수(이 실시예에서는 3개)의 공동(15)이 수형 하우징(11)의 단자 수용 부분(12)에 실질적으로 나란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대응 수형 단자 피팅(70)의 금속 로킹 부분(71)과 맞물릴 수 있는 (바람직하게는 단차진) 로킹 맞물림부(14)가 각 공동(15)의 측방향 (천장) 표면에 마련되어 있다. 적어도 부분적으로 각각의 공동(15) 내로 삽입된 수형 단자 피팅(70)의 하나 이상의 탭(72)은 실질적으로 전방을 향해 돌출하는 상태로 리셉터클(13)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수형 단자 피팅(70)을 (전체적으로 또는 2차적으로) 고정하는 데 사용된 (바람직한 윈도우 부분에 대응하는) 리테이너 장착 구멍(16)이 단자 수용 부분(12)의 일측 표면〔실질적으로 접속 방향(CD)을 따라 연장되는 표면〕에 형성되어 있다.
리테이너 장착 구멍(16)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장착되는 리테이너(80; 바람직한 뚜껑 부재에 대응함)는, 바람직하게는 리테이너(80)를 약간 삽입함으로써 도달되고 수형 단자 피팅(70)의 삽입 및 후퇴가 가능한 제1 (부분 또는 1차) 로킹 위치와, 바람직하게는 리테이너(80)를 깊숙이 또는 더욱 삽입함으로써 도달되고 리테이너(80)가 수형 단자 피팅(70)을 고정하도록 수형 단자 피팅(70)(바람직하게는 후방 단부)에서 턱 부분(73)과 맞물리는 제2 (완전한 또는 2차적인) 로킹 위치 사이에서 변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테이너(80)는 리테이너 장착 구멍(16)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는 덮개 부분(81)과, 각각의 공동(15)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상기 덮개 부분(81)으로부터 돌출하여 각각의 공동(15)의 일부를 형성하는 로킹 플레이트(82)와, 및/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리셉터클(13) 내로 돌출하도록 상기 덮개 부분(81)을 따라 로킹 플레이트(82)의 전방면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연장되는 검출 부분(83)으로 구성된다. 로킹 플레이트(82)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L형 또는 만곡된 단면을 갖고,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맞물림 홈(84)이 로킹 플레이트(82)의 일부에 실질적으로 나란하게 형성되어 상기 L 형상의 바닥측을 형성한다. 덮개 부분(81)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맞물림 홈(84)은 단자 수용 부분(12)에 마련된 돌기(도시 생략)와 맞물려서 리테이너(80)를 제1 (부분 로킹) 위치에 유지하는 반면에, 덮개 부분(81)에 인접한 맞물림 홈은 유사하게 단자 수용 부분(12)의 돌기와 맞물려서 리테이너(80)를 제2 (완전 로킹) 위치에 유지한다.
검출 부분(83)은 리테이너(80)가 제1 (부분 로킹) 위치에 있을 때 2개의 커넥터(10, 20)의 접속 작용을 방지하도록 암형 하우징(21)과 간섭되는 반면에, 리테이너(80)가 제2 (완전 로킹) 위치에 있을 때 2개의 커넥터(10, 20)의 접속 작용을 보장하도록 암형 하우징(21)이 리셉터클(13) 내로 도입될 수 있게 한다. 지그 삽 입 홈(80A)은 바람직하게는 절삭에 의해 덮개 부분(81)의 후방 단부의 내면에 형성되어 있고, 지그 안내 홈(11A)은 바람직하게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삭에 의해 지그 삽입 홈(80A)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리테이너 장착 구멍(16)의 개방 에지에서 외측면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리테이너(80)는 도시 생략된 지그를 지그 안내 홈(11A)을 통하여 지그 삽입 홈(80A)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함으로써 분리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테이너 장착 구멍(16)은 바람직하게는 단자 수용 부분(12)의 일측면에 크고 측방향으로 긴 장방형 개구를 남겨두고, 단자 수용 부분(12)의 전방부의 측방향 측면이 리테이너 장착 구멍(16)과 마주한다. 이하에 설명하는 단락 단자(90)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기 위한 수용 챔버(17)가 단자 수용 부분(12)의 전방부의 측방향 측면에 형성되어, 리테이너 장착 구멍(16) 및/또는 리셉터클(13)과 실질적으로 연통한다. 수용 챔버(17)는 단락 단자(90)와 실질적으로 대응하도록 형상이 정해진다. 실질적으로 전후 방향 또는 접속 방향(CD)에 대하여 단락 단자(90)를 위치 결정하는 상태로 단락 단자(90)와 맞물릴 수 있는 (바람직한 위치 결정부에 대응하는) 제1 맞물림 부분(17A) 및 제2 맞물림 부분(17B)과, 경사진 위치에서 단락 단자(90)의 하나 이상의 단락 편(92; 후술함)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도록 전방을 향해 내측으로 또는 상향 경사진 경사 부분(17C)이 수용 챔버(17)의 내면에 형성되어 있다. 제1 맞물림 부분(17A)은 수용 챔버(17)의 전방 단부에 위치되어 있고, 바람직하게는 두 방향, 즉 후방 및 리테이너 장착 구멍(16)을 향하는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는 반면에, 제2 맞물림 부분(17B)은 수용 챔 버(17)의 후방 단부에 위치되어 있고, 바람직하게는 두 방향, 즉 전방 및 리테이너 장착 구멍(16)을 향하는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다. 따라서, 제1 맞물림 부분(17A) 및 제2 맞물림 부분(17B)은 실질적으로 단락 단자(90)의 삽입 방향〔ID; 0° 또는 180°와 상이한 각도로, 바람직하게는 접속 방향(CD)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안내 홈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 챔버(17)는 리테이너 장착 구멍(16)이 형성되어 있는 일측면으로부터 대향 측면에 인접한 위치까지 단자 수용 부분(12)의 내측을 크게 천공함으로써 형성되며, 단락 단자(90)가 후방 단부를 향해(대향 측면을 향해) 삽입 방향(ID)으로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수용 챔버(17)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수용 챔버(17)의 형상에 대응하는 몰드 부재를 리테이너 장착 구멍(16)으로부터 인출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달리 말하면, 이 경우에 리테이너 장착 구멍(16)은 바람직하게는 몰드 제거 구멍으로서 기능한다.
(바람직하게는 사다리꼴 형태로 또는 양단으로부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횡단면으로) 상승하는 수납 부분(17E)이 전후 방향〔접속 방향(CD)〕에 대하여 수용 챔버(17)의 측방향 (바닥) 표면의 중간 위치(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중앙)에 마련되어 있다. 이 수납 부분(17E)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 수용 부분(12)의 중간 위치(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폭방향 중앙)에 있는 단차진 표면(17F)과, 이 단차진 표면(17F)으로부터 실질적으로 단락 단자(90)의 삽입 방향(ID)을 따라 대향 측면을 향해 연장되는 맞물림 홈(16G)을 구비한다. 맞물림 홈(17G)은 단락 단자(90)의 로킹 부분(93; 후술함)과 맞물릴 수 있으며, 단형 표면(17G)은 로킹 부 분(93)의 후퇴를 방해하도록 맞물림 홈(17G)과 맞물리는 로킹 부분(93)에 맞물리거나 받쳐진다. 따라서, 단락 단자(90)는 수용 챔버(17)의 밖으로 나가지 않게 수납 부분(17E)에 의해 유지될 수 있다.
다음으로, 단락 단자(90)를 설명한다. 단락 단자(90)는 도전성 (바람직하게는 금속) 플레이트를 바람직하게는 프레스-가공함으로써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평탄한) 베이스 플레이트(94), 이 베이스 플레이트(94)의 후방 단부 또는 단부 부분에서 접히거나 구부러지고 수형 단자 피팅(70)의 종방향을 따라 또는 전방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는 적어도 한 쌍의 단락 편(92)을 구비한다. 달리 말하면, 단락 편(92)은 베이스 플레이트(94)의 일단 부분에 마련되어 있고, 단자 피팅과 접속하도록 그에 경사진 상태로 실질적으로 단자 피팅(70)의 삽입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U형상으로 구부림으로써 형성되는 로킹 부분(93)은 도입 방향 또는 삽입 방향(ID)에 대하여 단락 편(92)과 반대 방향 또는 하향 경사지게 수용 챔버(17) 내로 연장되도록 실질적으로 베이스 플레이트(94)(바람직하게는 중앙)에 절결되어 마련되어 있다. 각각의 단락 편(92)은 수형 하우징(11)의 공동(15)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된 각각의 수형 단자 피팅(70)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탄성 변형의 지지점으로서 베이스 플레이트(94)에 결합된 절첩 부분(95)과 함께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각각의 단락 편(93)과 베이스 플레이트(94) 사이에는 단락 편(92)의 탄성 변형을 허용하기 위한 변형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각 단락 편(92)의 상측 부분(96)은 실질적으로 각지거나, 날카롭게 되거나 구부러지고, 대응 수형 단자 피팅(70)의 탭(72)의 하면에 탄성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이들 상측 부분(96)은 에어백 장치와 접속되는 2개의 수형 단자 피팅(70)의 탭(72)과 탄성적으로 접촉 상태로 되거나 접촉 상태로 될 수 있으며, 이로써 이들 2개의 수형 단자 피팅(70)을 단락시켜 바람직하게는 전위차를 방지한다. 2개의 커넥터(10, 20)가 적절하게 접속된 경우에, 각각의 단락 편(92)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단락 상태를 해제하도록 암형 하우징(21)의 해제 부분(27)에 의해 강하게 하향 경사진다. 이 때에, 상측 부분(96)의 전방 단부를 인출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인출 오목부(18)가 수형 하우징(11)의 리셉터클(13)의 내부 바닥면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측 부분(96)이 원만하게 하향 경사질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 방향 또는 접속 방향(CD)에 대하여 베이스 플레이트(94)의 중간 부분(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중앙부)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94)로부터 로킹 부분(93)의 돌출 크기에 대응하는 거리만큼 베이스 플레이트(94)의 양단부로부터 약간 상승됨으로써 실질적으로 크랭크 형상의 융기 부분(97)으로 형성되어 있다. 로킹 부분(93)은 융기 부분(97)의 내측에 형성된 융기 공간(S)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돌출하고, 수납 부분(17E)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융기 공간(S) 내로 들어가서 융기 부분(97)에 맞물린다. 베이스 플레이트(94)의 전방 단부에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사다리꼴의) 맞물림 가능한 부분이 엠보싱 가공되어, 상향으로 또는 단락 편(92)의 측부에서 융기 부분(97)보다 약간 낮은 위치로 돌출한다. 사이에 (한 쌍의) 단락 편(92)이 위치되어 있는 상태로 삽입 방향(ID)에 교차하는 방향 또는 실질적으로 후방 또는 실질적으로 접속 방향(CD)을 따라 돌출하는 하나 이상의 맞물림 가능한 편(98)은 베이스 플레이트(94)의 후방 단부의 양단에 형성되어 있고, 종방향을 따라 실질적으로 전체 길이에 걸쳐 바람직하게는 돌출하는 리브(99)가 마련되어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94)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 챔버(17) 내에 수용되어 있는 경우에, 맞물림 가능한 부분(91)은 옆으로 또는 실질적으로 삽입 방향(ID)을 따라 제1 맞물림 부분(17A)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끼워질 수 있고, 맞물림 가능한 편(98)은 유사하게 옆으로 제2 맞물림 부분(17B) 내로 끼워진다. 따라서, 단락 단자(90)는 전후 방향〔접속 방향(CD)〕에 대해 위치 결정된 상태로 및/또는 제1 맞물림 부분(17A) 및 제2 맞물림 부분(17B)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유지되어 있다.
다음으로, 이 실시예의 기능을 설명한다. 먼저, 수형 커넥터(10)의 조립 시에, 단락 단자(90)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형 하우징(11)의 수용 챔버(17) 내로 옆으로 또는 삽입 방향(ID)으로 장착된다. 이 때에, 단락 단자(90)는 리테이너 장착 구멍(16)을 통하여 수용 챔버(17) 내로 들어가서, 맞물림 가능한 부분(91)을 제1 맞물림 부분(17A) 내로 활주시키고, 맞물림 가능한 편(98)을 제2 맞물림 부분(17B) 내로 활주시키며, 이 상태에서 수용 챔버(17)의 이면측 내로 안내되고 삽입된다. 이 시간 중에, 단락 단자(90)의 로킹 부분(93)은 탄성적으로 변형된 상태로 수납 부분(17E)의 상측 또는 내측 표면상에서 활주한다. 각각의 단락 편(92)이 실질적으로 적절한 삽입 위치에 도달함에 따라, 로킹 부분(93)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로킹되는 맞물림 홈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들어간다.
단락 단자(90)가 장착된 후에, 리테이너(80)는 바람직하게는 옆으로 수형 하 우징(11)의 리테이너 장착 구멍(16)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장착되어 제1 (부분 로킹) 위치에서 유지된다. 그 후, 와이어(W)와 접속된 수형 단자 피팅(70)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형 하우징(11)의 각각의 공동(15) 내로 삽입된다. 수형 단자 피팅(70)이 실질적으로 적절한 깊이에 도달한 때에, 금속 로킹 부분(71)은 단자 수용 부분(12)의 맞물림 부분(14)에 의해 (부분적으로 또는 1차적으로) 고정된다. 이 때에, 대응 단락 편(92)의 상측 부분(96)은 에어백 장치와 접속된 2개 이상의 수형 단자 피팅(70)의 탭(72)의 하면과 탄성 접촉 상태로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각각의 수형 단자 피팅(70)은 단락되어 수형 단자 피팅(70) 사이에 전위차가 발생하지 않는다, 그 후에, 리테이너(80)는 완전 로킹 위치로 압박되어, 각각의 수형 단자 피팅(70)을 (완전히 또는 2차적으로) 고정한다. 제2 (완전 로킹) 위치에 도달한 리테이너(8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테이너 장착 구멍(16)을 완전히 폐쇄한다. 단락 단자(90)와 수형 단자 피팅(70) 중 어느 것을 먼저 장착해야 하는 가는 문제가 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암형 하우징(21)은 수형 하우징(11)의 리셉터클(13)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끼워지고, 암형 하우징(21)의 로킹 돌기(2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형 하우징(11)의 로크 아암(62)의 갈고리 부분(63)과 탄성적으로 맞물려서, 수형 커넥터(10) 및 암형 커넥터(20)는 적절하게 접속된 상태로 로킹되고, 암형 단자 피팅(40) 및 수형 단자 피팅(70)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2개의 커넥터(10, 20)가 접속됨에 따라, 각각의 단락 편(92)은 바람직하게는 암형 하우징(21)에 마련된 해제 부분(27)과의 작용에 의해 탭(72)으로부터 분리되어 단락 상태를 해제하 고, 그 결과 에어백 작동 회로가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의 단락 단자(90)는 리테이너 장착 구멍(16)을 통하여 옆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 챔버(17) 내로 삽입된 후에 제1 맞물림 부분(17A) 및 제2 맞물림 부분(17B)과 맞물릴 수 있다. 따라서, 단락 단자(90)는 수형 하우징(11)에 대하여 수직으로 및/또는 전후 방향으로 흔들리지 않고 확실하게 위치 결정되어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단락 단자(90)는 바람직하게는 로킹 부분(93)에 의해 고정되기 때문에, 단락 단자는 수용 챔버(17)로부터 빠져나가지 않게 된다.
베이스 플레이트(94)에 마련된 로킹 부분(93)이 단락 편(92)의 탄성 변형을 허용하도록 변형 공간과 반대쪽의 측면을 향해 돌출하기 때문에, 수형 커넥터(10)의 높이는 수납 부분(17E)이 로킹 부분(93)의 돌출 크기에 대응하는 거리만큼 변형 공간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위치에 마련되어 있는 경우에 증가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사공간으로서의 변형 공간이 집중되기 때문에, 융기 부분(97)은 변형 공간을 향해 돌출하게 되어 있으며, 로킹 부분(93)은 융기 공간(S)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돌출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수납 부분(17E)의 위치는 변형 공간을 향해 상승되므로, 수형 커넥터(10)의 높이가 증가하지 않는다.
더욱이, 리테이너 장착 구멍(16)은 리테이너(80)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완전히 폐쇄되거나 덮여 있기 때문에, 수용 챔버(17) 내로 삽입된 단락 단자(90)는 외부 물질로부터 차폐된다.
따라서, 단락 단자를 확실히 유지하기 위하여, 수형 단자 피팅(70)을 단락시 키기 위한 단락 단자(90)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수용 챔버(17)가 수형 하우징(11) 내측에 마련되어 있다. 수용 챔버(17)와 연통하고 단락 단자(90)가 수용 챔버(17) 내로 도입될 수 있게 하는 리테이너 장착 구멍(16)이 접속 방향(CD)을 따라 연장되는 수형 하우징(11)의 일 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수용 챔버(17)에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접속 방향(CD)에 대하여 및/또는 접속 방향(CD)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전방 및 후방 위치에서 위치 결정하면서 단락 단자(90)의 베이스 플레이트(94)를 유지하기 위하여 제1 맞물림 부분(17A) 및 제2 맞물림 부분(17B)이 마련되어 있다.
(제2 실시예)
도 9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를 도시한다. 제2 실시예는 리테이너 장착 구멍(16)이 접속 방향(CD)을 따라 연장되는 수형 하우징(11)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있다는 점에서는 제1 실시예와 유사하지만, 단락 단자(90)의 베이스 플레이트(94) 및 수납 부분(17E)의 구조에 있어서는 상이하다.
구체적으로, 제2 실시예의 단락 단자(90)는 베이스 플레이트(94)의 일단〔절첩부(95)가 위치되어 있는 측면〕으로부터 타단을 향하여 변형 공간을 향해 내측으로 또는 상향 경사진 경사 부분(100)을 구비한다.
경사진 부분(100)은 베이스 플레이트(94)의 타단 근처의 위치에 팁 부분(100A)을 갖고, 그 중간 위치에 형성된 로킹 부분(93)을 구비한다. 맞물림 가능한 단락 편(98)은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수평하게〔접속 방향(CD)으로〕 팁 부분(100A)으로부터 베이스 플레이트(94)의 타단으로 연장된다.
수납 부분(17E)은 경사 부분(100)을 따라 수형 단자 피팅(70)을 향해 또는 내측으로 또는 상향 경사져 있다. 또한, 제2 맞물림 부분(17B)은 경사 부분(100)의 경사도에 실질적으로 부합되게 제1 맞물림 부분(17A)보다 약간 높은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도 9a는 베이스 플레이트(94)가 경사 부분(100)을 구비하지 않은 상태로 평탄한 비교예를 도시하고 있다. 로킹 부분(93)이 베이스 플레이트(94)의 일단과 동일한 높이의 위치로부터 변형 공간과 반대쪽 측면을 향해 돌출하기 때문에, 로킹 부분(93)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 부분(17E)은 변형 공간으로부터 보다 간격을 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그 결과, 수형 커넥터(10)의 높이는 증가한다.
이와 달리, 도 9b에 도시된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사공간으로서의 변형 공간이 집중되고, 변형 공간을 향해 상향 경사진 경사 부분(100)이 마련되어 있어서, 수납 부분(17E)의 위치가 변형 공간을 향해 상승되어, 경사 부분(100)에 마련된 로킹 부분(93)을 따른다. 따라서, 수형 커넥터(10)의 높이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도 9b에 도시된 수형 커넥터(10)의 높이(L1)는 도 9a에 도시된 수형 커넥터(10A)의 높이(L2)보다 수납 부분(17E)이 상승된 만큼 작다(L1〈L2의 관계가 유지됨).
(다른 실시예)
본 발명은 전술하고 예시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이하의 실시예도 청구범위에 한정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포괄된다. 이하의 실시예 이외에,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범위 및 사상을 벗어나지 않으면서 각종의 변경이 있을 수 있다.
(1)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단락 단자가 외팔보 형상의 단락 편을 구비하고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단락 단자는 예컨대 양단에 지지되는 단락 편을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탭을 갖출 접점을 형성하기 위하여 금속 플레이트를 간단히 엠보싱 가공할 수 있다.
(2)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수납 부분이 융기 부분의 융기 공간 내로 끼워져서 융기 부분에 맞물리도록 되어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수납 부분이 융기 부분의 융기 공간 내로 단순히 끼워지기만 할 수도 있다.
(3)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슬라이더가 제공되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슬라이더가 생략될 수도 있다.
(4)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리테이너 장착 구멍이 리테이너에 의해 폐쇄되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리테이너 장착 구멍에 대응하는 일부가 윈도우 부분일 수도 있다. 또한, 리테이너 이외의 뚜껑 부재가 윈도우 부분을 폐쇄할 수도 있다.
(5) 전술한 실시예에는 단락 단자가 수형 하우징 내로 장착되지만, 본 발명은 단락 단자가 암형 하우징 내로 장착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락 단자의 전방 변위 뿐 아니라 후방 변위도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으므로, 단락 단자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Claims (10)

  1. 커넥터 하우징(11)과,
    상기 커넥터 하우징(11) 내로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삽입되는 복수의 단자 피팅(70)과,
    각 단자 피팅(70)과 접촉 상태로 유지됨으로써 각 단자 피팅(70)의 일부 또는 전부를 단락시키는 한편, 커넥터(10)가 상대 커넥터(20)와 접속하는 때에 단락 상태를 해제하는 단락 단자(90; short terminal)와,
    상기 단락 단자(90)를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수용하도록 상기 커넥터 하우징(11)의 내측에 마련되는 수용 챔버(17)
    를 포함하는 커넥터로서,
    상기 단락 단자(90)를 커넥터의 접속 방향(CD)에 대하여 전방 및 후방 위치에 위치 결정하면서 단락 단자(90)를 유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위치 결정부(17A, 17B)가 커넥터 하우징(11)의 수용 챔버(17)에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수용 챔버(17)와 연통하여 상기 단락 단자(90)가 상기 수용 챔버(17) 내로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도입될 수 있게 하는 윈도우 부분(16)이, 커넥터의 접속 방향(CD)을 따라 연장되는 커넥터 하우징(11)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인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부분(16)은 상기 위치 결정부(17A, 17B)의 형성을 가능하게 하는 것인 커넥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락 단자는 베이스 플레이트(94)와, 이 베이스 플레이트(94)의 일단 부분에 마련되어 있는 단락 편(92; shorting pieces)을 포함하며, 상기 단락 편은 상기 단자 피팅(70)의 삽입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단락 편(92)의 탄성 변형을 허용하기 위한 변형 공간이 상기 단락 편(92)과 베이스 플레이트(94) 사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94)에는, 상기 변형 공간과 반대쪽의 측면을 향해 돌출하며 상기 단락 단자(90)가 상기 수용 챔버(17) 내로 도입되는 방향(ID)에 경사지게 연장되는 탄성 변형 가능한 로킹 부분(93)이 형성되어 있는 것인 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부분과 맞물림으로써 로킹 부분(93)을 고정하는 수납 부분(17E)이 상기 커넥터 하우징(11)의 수용 챔버(17)의 내면에 마련되어 있는 것인 커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94)에는 상기 변형 공간을 향하여 돌출하는 융기 부분(97)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로킹 부분(93)은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융기 부분 내로 돌출하고, 상기 수납 부분(17E)은 상기 융기 부분(97) 내측의 융기 공간으로 들어가는 것인 커넥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락 단자(90)의 로킹 부분(93)은, 상기 단락 단자(90)를 상기 수용 챔버(17) 내로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삽입할 때에 탄성적으로 변형되는 상태로 상기 수납 부분(17E) 상에서 슬라이드 이동하는 것인 커넥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94)는 상기 변형 공간을 향해 상향 경사진 경사 부분(100)을 포함하며, 상기 로킹 부분(93)은 상기 경사 부분(100)에 마련되어 있거나, 또는 상기 수납 부분(17E)은 상기 경사 부분(100)을 따라 마련되어 있는 것인 커넥터.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부분(16)은 뚜껑 부재(80)에 의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폐쇄되거나 덮일 수 있는 것인 커넥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 부재(80)는 윈도우 부분(16)을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덮는 덮개 부분(81)과, 상기 커넥터 하우징(11)을 이탈하지 않게 상기 단자 피팅(70)을 고정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로킹 부분(82)을 포함하는 것인 커넥터.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커넥터(10)와, 이 커넥터에 맞물릴 수 있는 상대 커넥터(20)를 포함하는 커넥터 시스템으로서,
    상기 상대 커넥터(20)는 2개의 커넥터(10, 20)가 완전 접속되는 때에 단락 단자(90)에 의해 단자 피팅(70)의 단락 상태를 해제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해제 부재(27)를 포함하는 것인 커넥터 시스템.
KR1020040078373A 2003-10-01 2004-10-01 커넥터 및 커넥터 시스템 KR1010069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343563A JP4042674B2 (ja) 2003-10-01 2003-10-01 コネクタ
JPJP-P-2003-00343563 2003-10-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2493A KR20050032493A (ko) 2005-04-07
KR101006944B1 true KR101006944B1 (ko) 2011-01-12

Family

ID=34309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8373A KR101006944B1 (ko) 2003-10-01 2004-10-01 커넥터 및 커넥터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942510B2 (ko)
EP (1) EP1521335B1 (ko)
JP (1) JP4042674B2 (ko)
KR (1) KR101006944B1 (ko)
CN (1) CN1327574C (ko)
DE (1) DE602004027586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6019160B4 (de) * 2006-04-21 2008-02-28 Phoenix Contact Gmbh & Co. Kg Steckverbinder mit Kurzschlußkontakten
SG143088A1 (en) * 2006-11-22 2008-06-27 Mea Technologies Pte Ltd Electrical connector
JP4985206B2 (ja) * 2007-04-23 2012-07-25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ショート端子
EP1986284B1 (en) * 2007-04-23 2014-08-20 Sumitomo Wiring Systems, Ltd. A connector and an assembling method therefor
US7537473B2 (en) * 2007-06-28 2009-05-26 Fci Americas Technology, Inc. Low profile shorting bar for electrical connector
KR200454256Y1 (ko) 2008-08-20 2011-06-23 주식회사 일렉스 커넥터 콘센트
KR101109421B1 (ko) * 2009-05-13 2012-01-31 (주)미니로봇 모터의 체결구조
US8611739B2 (en) 2009-09-17 2013-12-17 Panasonic Corporation Focus adjusting apparatus and imaging apparatus
JP5494381B2 (ja) * 2010-09-14 2014-05-14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5556568B2 (ja) * 2010-10-08 2014-07-23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DE102011013418A1 (de) * 2011-03-09 2012-09-13 Kostal Kontakt Systeme Gmbh Mehrpolige elektrische Steckverbinderanordnung mit einem ersten und einem zweiten Steckverbinderteil, sowie erstes und zweites Steckverbinderteil
JP5352723B1 (ja) * 2012-09-05 2013-11-27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2015099683A (ja) * 2013-11-19 2015-05-28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6500723B2 (ja) 2015-03-18 2019-04-17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WO2016147833A1 (ja) * 2015-03-18 2016-09-22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US20160380386A1 (en) * 2015-06-25 2016-12-29 Intel Corporation Electrostatic discharge for electronic device coupling
JP6540499B2 (ja) * 2015-12-22 2019-07-10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17117601A (ja) * 2015-12-22 2017-06-29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FR3048310B1 (fr) 2016-02-26 2020-10-09 Tyco Electronics France Sas Dispositif d'assurance de verrouillage et systeme de connecteur electrique
JP6499131B2 (ja) * 2016-07-29 2019-04-10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523221B2 (ja) * 2016-07-29 2019-05-29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427146B2 (ja) * 2016-07-29 2018-11-21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492042B2 (ja) * 2016-09-13 2019-03-27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486309B2 (ja) * 2016-10-06 2019-03-20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969469B2 (ja) * 2018-03-23 2021-11-24 住友電装株式会社 短絡用端子およびコネクタ
JP7140010B2 (ja) * 2019-03-14 2022-09-21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雄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
JP7232407B2 (ja) * 2019-08-09 2023-03-03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63705A (ja) * 1995-08-25 1997-03-07 Sumitomo Electric Ind Ltd コネクタ
JPH11273793A (ja) * 1998-03-20 1999-10-08 Yazaki Corp コネクタおよびその組立方法
JP2001297827A (ja) 2000-04-12 2001-10-26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US6551115B1 (en) 2001-12-26 2003-04-22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Power jack with central pin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758806B1 (en) * 1995-08-08 2000-01-19 Sumitomo Wiring Systems, Ltd. Electrical connector
JP3327178B2 (ja) * 1997-08-26 2002-09-24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3374735B2 (ja) * 1997-12-12 2003-02-10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US6186805B1 (en) * 1999-08-31 2001-02-13 Molex Incorporated Short circuit electrical connector
DE10159196B4 (de) * 2001-02-16 2004-02-05 Sumitomo Wiring Systems, Ltd., Yokkaichi Verbinder
JP2002260790A (ja) * 2001-03-06 2002-09-13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JP2003036944A (ja) * 2001-07-25 2003-02-07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JP2003217764A (ja) 2002-01-18 2003-07-31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GB0223422D0 (en) * 2002-10-09 2002-11-13 Delphi Tech Inc Electrical connect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63705A (ja) * 1995-08-25 1997-03-07 Sumitomo Electric Ind Ltd コネクタ
JPH11273793A (ja) * 1998-03-20 1999-10-08 Yazaki Corp コネクタおよびその組立方法
JP2001297827A (ja) 2000-04-12 2001-10-26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US6551115B1 (en) 2001-12-26 2003-04-22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Power jack with central pi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042674B2 (ja) 2008-02-06
US6942510B2 (en) 2005-09-13
EP1521335B1 (en) 2010-06-09
EP1521335A3 (en) 2006-03-15
EP1521335A2 (en) 2005-04-06
JP2005108771A (ja) 2005-04-21
CN1604399A (zh) 2005-04-06
CN1327574C (zh) 2007-07-18
DE602004027586D1 (de) 2010-07-22
US20050074997A1 (en) 2005-04-07
KR20050032493A (ko) 2005-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6944B1 (ko) 커넥터 및 커넥터 시스템
KR101030911B1 (ko) 커넥터 위치 보장 부재를 구비한 전기 커넥터
KR101271347B1 (ko) 커넥터, 커넥터 조립체 및 접속 방법
US6364683B1 (en) Electrical connector
KR101065811B1 (ko) 커넥터
JP3324690B2 (ja) コネクタ
EP1054481A1 (en) A connector
JP4985206B2 (ja) コネクタ及びショート端子
US7306486B2 (en) Connector
JP2000058200A (ja) コネクタ嵌合構造
JP2008543026A (ja) 端子位置保証装置を有するコネクタ組立体
JP7251398B2 (ja) コネクタ
US6533615B2 (en) Shielding terminal and a connector provided therewith
KR100740849B1 (ko) 커넥터
CN100580999C (zh) 连接器及连接器组件
JP2002367701A (ja) コネクタ
JP7230739B2 (ja) コネクタ
US6530800B2 (en) Connector and method for assembling a connector
JP7539023B2 (ja) コネクタ
CN112952410B (zh) 连接器
US7001224B2 (en) Connector with retainer for locking terminal fitings
JP7306885B2 (ja) コネクタ
CN116848733A (zh) 连接器
JP3951469B2 (ja) コネクタ
JP2006073332A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