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42497A - 클립 및 클립 장착장치 - Google Patents

클립 및 클립 장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42497A
KR20190142497A KR1020180069449A KR20180069449A KR20190142497A KR 20190142497 A KR20190142497 A KR 20190142497A KR 1020180069449 A KR1020180069449 A KR 1020180069449A KR 20180069449 A KR20180069449 A KR 20180069449A KR 20190142497 A KR20190142497 A KR 201901424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p
mounting
housing
coupling
elastic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94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4471B1 (ko
Inventor
노승규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694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4471B1/ko
Publication of KR201901424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24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44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44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 H01R13/74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 H01R13/741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using snap fastening means
    • H01R13/745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using snap fastening means separate from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클립 및 클립 장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클립 장착장치에 의해 하우징(10)과 클립(2)이 결합되고, 분리된다. 상기 클립(2)은 하우징결합부(20)와 앵커(23) 및 탄성날개(24)를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결합부(20)는 베이스(20')와 안내리브(21), 탄성암(22,22') 한쌍을 포함한다. 상기 탄성암(22,22')은 나란히 형성되되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장되어 방향성을 가지지 않도록 형성된다. 상기 클립 장착장치(1)의 외골격은 하우징(10)이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10)의 외면에는 장착리브(11)와 장착채널(12) 및 결합턱(13,13') 한 쌍이 방향성을 가지지 않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하우징결합부(20)는 상기 장착채널(12) 내에 방향에 상관없이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므로 작업성이 높다.

Description

클립 및 클립 장착장치 {CLIP AND MOUNTING DEVICE WITH THE CLIP}
본 발명은 클립 및 클립 장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 내부의 패널 등에 하우징을 고정하기 위한 클립 및 클립 장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하우징의 내부에 전기적 연결을 위한 복수개의 단자(terminal)를 내장하여 구성되는 커넥터하우징을 자동차 내부의 패널 등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클립을 사용한다. 이와 같은 클립을 커넥터에 결합하기 위한 구성을 살펴본다.
아래의 선행기술문헌에 있는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08-0004986호의 발명에서 커넥터하우징(50)과 커넥터클립(60)은 하우징결합부(62)의 체결턱(66)이 하우징몸체(52)의 장착리브(54)의 사이에 삽입되어 걸이턱(56)에 걸어지고, 상기 걸이턱(56)에 상기 체결턱(66)이 걸어져 서로 결합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커넥터하우징(50)과 커넥터클립(60)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커넥터클립(60)이 상기 장착리브(54)의 사이에 삽입될 때, 상기 걸이턱(56)과 체결턱(66)에 특정방향으로만 삽입이 가능하도록 경사가 형성되어 상기 커넥터하우징(50)과 커넥터클립(60)은 한 방향으로 밖에 결합이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조립작업의 효율이 떨어진다. 특히 공간의 여유가 부족한 곳에서의 작업성이 매우 저하되어 생산성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클립(60)은 결합된 이후에도 상기 커넥터클립(60)과 커넥터하우징(50) 간에 발생하는 간격, 구체적으로는 상기 장착리브(54)와 리브걸이단(62') 사이에 설계공차에 의한 유격이 생겨 진동이나 외력이 작용하면 소음이 발생한다.
또한, 상기 커넥터하우징(50)으로부터 상기 커넥터클립(60)을 분리하는 리워크 작업을 할 때도 일방향으로만 형성되어 있는 누름부(64b)를 가압하여야만 지렛대 원리에 의해 상기 체결턱(66)이 들려 결합이 해제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상기 커넥터하우징(50)이 상기 누름부(64b)가 협소한 공간에 설치된 경우에 원활한 리워크 작업이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공개실용신안 제20-2008-0004986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하우징과 클립의 결합이 여러 방향으로 가능하고, 삽입된 이후로는 어느 방향으로도 이탈이 불가능하도록 고정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치구가 여러 방향으로 삽입이 가능하여 리워크작업이 용이해지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클립에 형성된 탄성암에 의해 안내리브와 장착리브가 밀착되어 유격을 방지하고, 유격에 따른 소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클립은 앞뒤가 개방되게 장착채널이 형성된 하우징에 결합되고 분리되는 클립에 있어서, 패널에 장착되는 패널결합부와, 상기 장착채널의 앞 또는 뒤로 슬라이딩 삽입되고, 상기 장착채널 사이에 삽입이 완료되면 완전히 고정되는 하우징결합부가 구비된다.
상기 하우징결합부는 상기 장착채널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연장된 판상의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안내리브와, 상기 안내리브의 사이에 나란히 위치되고 자유단부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탄성암을 포함한다.
상기 탄성암은 각각 상기 베이스의 가장자리에 일측이 고정되어 상기 하우징의 외면과 소정간격을 가지도록 이격되고, 타측으로는 탄성을 가지도록 상기 베이스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자유단부가 형성되어 기울어진다.
상기 탄성암의 자유단부는 상기 안내리브가 형성된 높이보다 더 돌출된다.
본 발명의 클립 장착장치는 앞뒤가 개방된 장착채널이 형성되도록 외면에 한 쌍의 장착리브가 서로 마주보게 나란히 형성되고, 상기 장착채널 내에 서로 마주보지 않도록 이격되어 돌출되는 결합턱 한쌍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장착채널의 앞뒤로 삽입이 가능하고, 상기 장착채널 내로 삽입되면 상기 장착리브와 끼워져 상기 장착채널 사이에 슬라이딩 결합되고, 상기 결합턱에 걸려 고정되는 하우징결합부가 구비된 클립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결합부는 상기 장착채널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연장된 판상의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안내리브와, 상기 안내리브의 사이에 나란히 위치되고 자유단부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탄성암을 포함한다.
상기 탄성암은 상기 베이스의 가장자리에 일측이 고정되어 상기 하우징의 외면과 소정간격을 가지도록 이격되고, 타측으로는 탄성을 가지도록 상기 베이스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자유단부가 형성되어 기울어진다.
상기 탄성암의 자유단부는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 접촉한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한다.
상기 장착리브는 횡단면이 'ㄱ'자 형상으로, 그 선단이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고, 상기 안내리브는 횡단면이 'ㄴ'자 형상으로, 그 선단이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장착리브와 상기 안내리브가 접촉하여 슬라이딩 운동한다.
상기 탄성암은 자체 반발력으로 상기 클립을 소정 높이만큼 들어올려 상기 안내리브를 상기 장착리브와 밀착시킨다.
상기 결합턱은 상기 하우징의 외면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장착채널 폭의 크기의 절반까지만 각각 연장된다.
상기 결합턱은 상기 장착리브의 높이보다 낮게 돌출된다.
상기 결합턱에는 상기 장착채널이 개방되는 방향으로 결합경사면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클립 및 클립 장착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클립의 하부에 탄성암 한쌍이 서로 나란히 반대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어서 장착장치의 장착채널에 클립이 삽입되는 방향성을 고려하지 않고 앞뒤로 모두 삽입이 가능하고, 장착장치로부터 클립을 해제하기 위해 치구를 장착채널에 삽입하는 방향 또한 앞뒤로 모두 삽입하여 해제가 가능하므로 작업성이 높아져 생산성이 증가한다.
또한, 본 발명의 클립과 장착장치는 결합되거나 해제될 때 결합방향 및 해제방향을 고려하지 않아도 되므로 비교적 협소한 공간에서도 용이하게 결합 또는 해제가 가능하다.
또한, 장착장치의 상면에는 결합턱이 평행한 위치에 엇갈리게 형성되어 각각의 탄성암의 전,후 방향의 진입을 방해하므로 장착채널의 어느 방향으로도 이탈이 방지되도록 고정되어 결합력이 향상되므로 제품의 품질이 증가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탄성암이 하우징의 외면으로부터 반발하며 클립을 소정높이 들어올려 안내리브와 장착리브를 밀착시켜 설계오차에 따른 틈을 없애주므로 유격이 발생하지 않아서 유격에 의한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막아준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실시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실시례의 커넥터의 상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 실시례의 클립의 하면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5-5'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6-6'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 실시례의 전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 실시례의 후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9-9'선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 실시례의 장착장치(1)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장착장치(1)의 일부는 하우징(10)에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0)은 절연기능이 있는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하우징(10)의 외면 일측에는 장착리브(11)가 서로 마주보도록 나란히 형성된다. 상기 장착리브(11)는 횡단면이 'ㄱ'자 형상으로, 그 선단이 서로 마주보게 형성된다. 상기 장착리브(11)는 클립(2)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다. 상기 장착리브(11)는 횡단면이 'ㄱ'자 형상으로 한정될 필요는 없다. 상기 클립(2)이 상기 하우징(10)과 결합되어 안정적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는 구조이면 된다.
상기 장착리브(11)가 서로 마주보도록 나란히 형성되면, 상기 장착리브(11)의 사이에는 장착채널(12)이 형성된다. 상기 장착채널(12)은 상기 클립(2)이 상기 장착리브(11)와 결합되어 슬라이딩되는 통로를 제공한다. 상기 장착채널(12)은 앞뒤가 개방되어 있으므로 상기 클립(2)은 상기 장착채널(12)의 앞뒤 어느 방향으로도 삽입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장착채널(12) 내에는 상기 하우징(10)의 외면을 따라서 제1결합턱(13)과 제2결합턱(13') 한 쌍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턱(13,13')은 상기 장착채널(12) 내에 서로 마주보지 않도록 이격되어 돌출된다.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 실시례의 결합턱(13,13')은 서로 마주보고 있는 상기 각각의 장착리브(11)로부터 시작되어 상기 장착리브(11)가 연장되는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고 있으나, 상기 결합턱(13,13')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결합턱(13,13')은 상기 장착채널(12)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지만, 상기 장착채널(12)을 완전히 가로지르도록 형성되지는 않는다. 상기 결합턱(13,13')은 대략 상기 장착채널(12)의 폭의 절반만큼의 크기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턱(13,13')이 돌출되지 않은 상기 장착채널(12) 내의 나머지 부분은 상기 클립(2)의 하우징결합부(20)가 상기 장착채널(12) 내로 삽입될 수 있도록 일부 공간을 남겨두는 것이며, 상기 나머지 부분을 통해서 리워크를 위한 치구가 삽입되기도 한다.
또한, 상기 장착채널(12) 내에서 상기 하우징결합부(20)가 슬라이딩 운동할 수 있도록 상기 결합턱(13,13')은 상기 장착리브(11)의 높이보다 낮게 돌출된다. 상기 결합턱(13,13')은 후술하는 탄성암(22,22')이 상기 장착채널(12)을 통과할 수 있을 정도의 공간을 남겨두고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클립(2)이 상기 하우징(10)과 결합되는 과정에서 상기 결합턱(13,13')이 지나치게 높이 돌출되어 있으면, 상기 탄성암(22,22')이 상기 결합턱(13,13')을 통과하지 못하여 결합 및 이탈이 불가능해지기 때문이다.
상기 결합턱(13,13')이 상술한 바와 같이 형성되면, 상기 장착채널(12) 내에서 상기 클립(2)의 탄성암(22,22')에 대한 상기 결합턱(13,13')의 방향성이 없어지므로 상기 클립(2)이 삽입되는 방향을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상기 결합턱(13,13')은 상기 장착채널(12)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클립(2)이 상기 장착채널(12) 내에서 필요 이상으로 슬라이딩 운동하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결합턱(13,13')의 일측에는 경사면(1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경사면(14)은 상기 결합턱(13,13')의 장착채널(12)이 개방된 방향을 향해서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경사면(14)은 후술하는 상기 클립(2)의 탄성암(22,22')이 상기 결합턱(13,13')에 접촉되었을 때 탄성변형이 잘 되도록 도와주고 상기 탄성암(22,22')이 상기 결합턱(13,13')과 간섭되지 않도록 하여 마모되지 않게 도와준다.
상기 하우징(10)에는 클립(2)이 장착된다. 상기 클립(2)은 상기 하우징(10)에 장착된 상태로 패널 등에 장착되어 상기 하우징(10)을 지지한다. 상기 클립(2)은 절연성능을 가지는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클립(2)은 상기 하우징(10)에 결합되는 상기 하우징결합부(20)와 패널(미도시) 등에 고정되는 패널결합부(도면부호 표시 않음)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장착장치(1)의 또 다른 일부는 상기 클립(2)의 하우징결합부(20)가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결합부(20)는 베이스(20'), 안내리브(21) 및 탄성암(22,22')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20')는 상기 장착채널(12)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대략 판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20')의 하부 양측에는 상기 안내리브(21)가 상기 베이스(2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형성된다. 상기 안내리브(21)의 사이의 공간에는 나란히 형성되되 서로 반대방향으로 엇갈리게 연장되는 외팔보형태의 제1탄성암(22)과 제2탄성암(22') 한 쌍이 있다.
상기 베이스(20')의 하부 양측에는 횡단면이 대략 'ㄴ'형상의 안내리브(21)가 서로 대칭되게 형성된다. 상기 안내리브(21)는 상기 베이스(2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속적으로 연장된다. 상기 클립(2)의 하우징결합부(20)가 상기 하우징(10)의 장착채널(12) 내로 삽입되면, 상기 'ㄱ'형상의 장착리브(11)와 상기 'ㄴ'형상의 안내리브(21)가 서로 끼워진다. 상기 결합에 의해 상기 클립(2)은 상기 장착장치(1)로부터 상기 장착채널(12)이 연장된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의 이탈이 방지되고, 상기 클립(2)의 슬라이딩 운동이 가능해진다.
상기 탄성암(22,22')은 상기 베이스(20')의 가장자리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으로는 하부로 기울어지도록 길게 연장되게 자유단부가 형성되면서 탄성을 가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탄성암(22,22')은 상기 베이스(20')에 고정된 부분이 상기 하우징(10)의 외면과 소정간격을 가지도록 이격되어 있으며, 이 간격이 후술할 치구삽입구(15)가 된다. 상기 탄성암(22,22')의 자유단부는 상기 베이스(2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연장된다. 상기 탄성암(22,22')의 자유단부는 상기 안내리브(21)가 형성된 높이보다 더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탄성암(22,22')은 상기 하우징(10)과 상기 클립(2)이 결합되면 상기 탄성암(22,22')의 선단이 상기 하우징(10)의 외면에 밀착되도록 탄성을 가진다. 또한, 상기 하우징결합부(20)와 하우징(10)의 결합이 완료되었을 때, 상기 탄성암(22,22') 한 쌍은 자체의 반발력으로 상기 클립(2)을 어느 정도 들어올릴 수 있는 탄성력을 가진다. 상기 탄성암(22,22')은 상기 클립(2)을 소정 높이만큼 들어올려 상기 장착리브(11)와 안내리브(21)를 서로 밀착시켜 상기 장착장치(1)와 클립(2) 사이의 유격을 없애고 유동에 따른 소음을 방지한다.
이때, 상기 하우징(10)과 접촉되는 상기 탄성암(22,22')의 자유단부는 일부가 라운딩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탄성암(22,22')이 상기 장착채널(12) 내부로 마찰 등으로 인한 간섭을 최소화하여 원활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한 쌍의 탄성암(22,22')은 상기 안내리브의 사이에 나란히 위치되고 자유단부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장된다. 도 5, 6을 통해서 상기 제1탄성암(22)과 제2탄성암(22')이 서로 'X'자를 그리도록 엇갈리게 배치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상기 결합턱(13,13')과 마찬가지로 상기 클립(2)도 상기 제1탄성암(22)과 제2탄성암(22')이 'X'자로 엇갈리게 배치되는 구조에 의해 형상의 방향성이 사라지므로 상기 클립(2)이 삽입되는 방향을 고려할 필요가 없어진다. 상기 하우징결합부(20)가 상기 장착채널(12) 내부로 삽입될 때, 상기 클립(2)이 삽입되는 방향에 상관없이 상기 탄성암(22,22')과 상기 결합턱(13,13')은 항상 일정한 형상으로 결합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결합부(20)가 상기 장착채널(12) 내에 삽입될 때, 상기 탄성암(22,22')은 그 선단이 상기 결합턱(13,13')에 걸려 상기 클립(2)이 더이상 슬라이딩 이동을 하지 못하도록 방해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각 탄성암(22,22')의 선단이 각각 결합턱(13,13')에 걸어지면 상기 클립(2)은 더이상 어느 방향으로도 슬라이딩 운동을 하지 못하게 되어 상기 하우징(10)과 클립(2)의 결합이 완료된다.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상기 베이스(20')의 상부에는 상기 패널결합부(도면부호 표시 않음)가 형성된다. 상기 패널결합부(도면부호 표시 않음)는 앵커(23) 및 탄성날개(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20')의 상부에는 상기 앵커(23)가 구비된다. 상기 앵커(23)는 상기 패널에 삽입고정되어 상기 클립(2)과 결합된 상기 하우징(10)의 하중을 견딘다. 상기 앵커(23)의 표면에는 하부로 경사지게 걸림부(23a)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부(23a)에는 소정의 탄성변형이 가능하여 상기 앵커(23)가 상기 패널에 삽입되기 용이하면서도 빠지기는 어렵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례에서는 상기 걸림부(23a)가 다단으로 형성되어 패널이 결합되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나, 상기 걸림부(23a)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 베이스(20')의 상부와 상기 앵커(23)의 사이에는 상기 탄성날개(24)가 구비된다. 상기 탄성날개(24)는 상기 앵커(23)의 가장자리를 덮도록 연장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앵커(23)의 양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탄성날개(24)는 상부로 약간 휘어지는 곡면으로 형성되며 어느 정도는 탄성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클립(2)이 패널에 끼워지면 상기 앵커(23)가 상기 패널에 고정되면서 상기 탄성날개(24)를 상기 패널 쪽으로 당긴다. 상기 탄성날개(24)는 상기 앵커(23)의 당기는 힘에 의해 상기 패널을 가압하고 상기 패널의 표면에 탄성변형되면서 밀착되어 상기 클립(2)을 상기 패널에 고정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클립(2)이 상기 하우징(10)에 삽입되어 결합 및 해제되는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클립(2)이 상기 하우징(10)에 결합되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장착리브(11) 사이에 형성된 상기 장착채널(12) 내로 상기 클립(2)의 하우징결합부(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안내리브(21)와 상기 장착리브(11)가 맞물리는 위치에 상기 하우징(10)을 배치시킨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례에서는 상기 클립(2)이 상기 하우징(10)의 전면에 오도록 배치된 후 삽입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상기 클립(2)이 상기 하우징(10)의 전면이나 후면 어느 곳에 오도록 배치되더라도 상관없다.
배치가 완료되면 상기 클립(2)의 하우징결합부(20)를 상기 장착채널(12) 내로 삽입시킨다. 상기 장착리브(11)는 'ㄱ'형상이고, 상기 안내리브(21)는 'ㄴ'형상이므로 상기 장착리브(11)와 상기 안내리브(21)가 결합되면 상기 클립(2)은 상기 장착리브(11)가 연장된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 9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하우징(10)의 장착채널(12) 내에서의 상기 탄성암(22,22')의 움직임을 설명하면, 상기 클립(2)의 탄성암(22,22')이 화살표 A방향으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2탄성암(22')이 상기 장착채널(12) 오른쪽 상부에 형성된 제2결합턱(13')을 지날 때, 상기 클립(2)의 제2탄성암(22')은 선단이 화살표 B방향으로 향해있으므로 상기 제2결합턱(13')에 걸리지 않고 탄성변형되어 상기 제2결합턱(13')을 통과한다. 이때, 상기 제2결합턱(13')의 일측에 형성된 상기 경사면(14)은 상기 제2탄성암(22')이 상기 제2결합턱(13')에 접촉되었을 때 탄성변형이 잘 되도록 도와주고 상기 제2결합턱(13')과 간섭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제2탄성암(22')이 마모되지 않게 도와준다.
동시에 상기 클립(2)의 제1탄성암(22)은 선단이 화살표 A방향으로 향해 있지만, 상기 제2결합턱(13')은 상기 제1탄성암(22)의 진로를 방해할만큼 넓게 돌출되지 않는다. 상기 제1탄성암(22)과 제2결합턱(13')은 서로 간섭되지 않고, 상기 제1탄성암(22)은 상기 제2결합턱(13')이 있는 위치를 통과한다. 그러나, 상기 제1탄성암(22)은 선단이 화살표 A방향으로 향해 있으므로, 상기 제2탄성암(22')이 제2결합턱(13')에 걸어지는 순간 상기 제1결합턱(13)에 걸려서 상기 클립(2)이 더이상 화살표 A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하지 못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2탄성암(22')이 이미 제2결합턱(13')을 통과한 이후에는 그 선단이 상기 제2결합턱(13')에 걸려서 상기 클립(2)은 처음에 삽입된 방향과 반대방향, 즉 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한다.
따라서, 상기 제1탄성암(22)은 상기 제1결합턱(13)에 걸려서 상기 클립(2)이 화살표 A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것을 막아주고, 상기 제2탄성암(22')은 상기 제2결합턱(13')에 걸려서 상기 클립(2)이 화살표 B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것을 막아주어 상기 클립(2)이 상기 하우징(10)에 고정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클립(2)의 탄성암(22,22')이 화살표 B방향으로 삽입되는 과정 역시 상술한 화살표 A방향으로 삽입되는 과정과 동일하다. 상술한 내용을 반복하여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상기 제1탄성암(22)은 상기 제1결합턱(13)에 의해 탄성변형되어 상기 제1결합턱(13)을 통과하고, 상기 제1탄성암(22)이 상기 제1결합턱(13)에 걸어지는 순간 상기 제2탄성암(22')은 상기 제2결합턱(13')에 걸려 화살표 B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하지 못하게 된다. 상기 제1탄성암(22)이 상기 제1결합턱(13)을 통과한 이후에는 그 선단이 상기 제1결합턱(13)에 걸려서 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된다.
즉, 상기 제1탄성암(22)이 상기 제1결합턱(13)에 의해 탄성변형되어 상기 장착채널(12) 내부로 삽입되며 상기 제1탄성암(22)이 상기 제1결합턱(13)에 걸리고, 상기 제2탄성암(22')이 상기 제2결합턱(13')에 걸려 고정된다.
상기 클립(2)이 상기 하우징(10)으로부터 결합이 해제되기 위해서는 치구를 필요로 한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클립(2)과 상기 하우징(10)이 결합된 상태에서 치구는 치구삽입구(15)로 삽입된다. 상기 치구삽입구(15)는 상기 장착채널(12)의 일부일 수 있고, 또는 상기 베이스(20')의 하부에 형성되는 공간의 일부일 수 있다. 상기 클립(2)의 하우징결합부(20)가 상기 장착채널(12) 내에 삽입되면, 상기 베이스(20')에 고정된 상기 탄성암(22,22')의 일부분이 상기 하우징(10)의 외면과 소정간격을 가지도록 이격되어 생기는 공간이다. 상기 치구삽입구(15)는 상기 하우징(10)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결합부(20)가 상기 장착채널(12) 내로 삽입되는 방향 어디로든 치구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치구가 도 9에 도시된 화살표 A방향으로 치구가 삽입되면 상기 치구에 의해 상기 제1탄성암(22)이 들어올려져 상기 베이스(20')의 하면에 밀착되도록 변형되고, 상기 변형된 제1탄성암(22)은 상기 제1결합턱(13)이 돌출된 높이보다 높은 위치까지 들어올려진다. 상기 제1탄성암(22)이 상기 베이스(20')의 하면에 밀착되도록 들어 올려진 상태에서 화살표 A방향으로 상기 클립(2)을 밀어 이동시키면 상기 제1탄성암(22)이 상기 제1결합턱(13)에 간섭되지 않으므로 상기 클립(2)은 상기 하우징(10)과의 결합이 해제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치구가 화살표 B방향으로 삽입되면 상기 치구에 의해 상기 제2탄성암(22')이 들어올려져 상기 베이스(20')의 하면에 밀착되도록 변형되고, 상기 변형된 제2탄성암(22')은 상기 제2결합턱(13')이 돌출된 높이보다 높은 위치까지 들어올려진다. 상기 제2탄성암(22')이 상기 베이스(20')의 하면에 밀착되도록 들어 올려진 상태에서 화살표 B방향으로 상기 클립(2)을 밀어 이동시키면 상기 제2탄성암(22')이 상기 제2결합턱(13')에 간섭되지 않으므로 상기 클립(2)은 상기 하우징(10)과의 결합이 해제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장착장치(1)의 일부가 커넥터의 하우징에 적용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클립(2)의 하우징결합부(20)와 결합되는 장착리브(11), 장착채널(12), 결합턱(13,13') 등의 구조가 형성될 수 있는 것이라면 커넥터 이외의 어떠한 것에라도 적용할 수 있다.
1 : 장착장치 2 : 클립
10 : 하우징 11 : 장착리브
12 : 장착채널 13 : 제1결합턱
13' : 제2결합턱 14 : 경사면
15 : 치구삽입구 20 : 하우징결합부
20' : 베이스 21 : 안내리브
22 : 제1탄성암 22' : 제2탄성암
23 : 앵커 23a : 걸림부
24 : 탄성날개

Claims (13)

  1. 앞뒤가 개방되게 장착채널이 형성된 하우징에 결합되고 분리되는 클립에 있어서,
    패널에 장착되는 패널결합부와,
    상기 장착채널의 앞 또는 뒤로 슬라이딩 삽입되고, 상기 장착채널 사이에 삽입이 완료되면 완전히 고정되는 하우징결합부가 구비된 클립.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결합부는
    상기 장착채널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연장된 판상의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안내리브와,
    상기 안내리브의 사이에 나란히 위치되고 자유단부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탄성암을 포함하는 클립.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암은 각각 상기 베이스의 가장자리에 일측이 고정되어 상기 하우징의 외면과 소정간격을 가지도록 이격되고, 타측으로는 탄성을 가지도록 상기 베이스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자유단부가 형성되어 기울어진 클립.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암의 자유단부는 상기 안내리브가 형성된 높이보다 더 돌출된 클립.
  5. 앞뒤가 개방된 장착채널이 형성되도록 외면에 한 쌍의 장착리브가 서로 마주보게 나란히 형성되고, 상기 장착채널 내에 서로 마주보지 않도록 이격되어 돌출되는 결합턱 한쌍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장착채널의 앞뒤로 삽입이 가능하고, 상기 장착채널 내로 삽입되면 상기 장착리브와 끼워져 상기 장착채널 사이에 슬라이딩 결합되고, 상기 결합턱에 걸려 고정되는 하우징결합부가 구비된 클립을 포함하는 클립 장착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결합부는
    상기 장착채널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연장된 판상의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안내리브와,
    상기 안내리브의 사이에 나란히 위치되고 자유단부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탄성암을 포함하는 클립 장착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암은 상기 베이스의 가장자리에 일측이 고정되어 상기 하우징의 외면과 소정간격을 가지도록 이격되고, 타측으로는 탄성을 가지도록 상기 베이스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자유단부가 형성되어 기울어진 클립 장착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암의 자유단부는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 접촉한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클립 장착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리브는 횡단면이 'ㄱ'자 형상으로, 그 선단이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고,
    상기 안내리브는 횡단면이 'ㄴ'자 형상으로, 그 선단이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장착리브와 상기 안내리브가 접촉하여 슬라이딩 운동하는 클립 장착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암은 자체 반발력으로 상기 클립을 소정 높이만큼 들어올려 상기 안내리브를 상기 장착리브와 밀착시키는 클립 장착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턱은 상기 하우징의 외면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장착채널 폭의 크기의 절반까지만 각각 연장되는 클립 장착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턱은 상기 장착리브의 높이보다 낮게 돌출되는 클립 장착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턱에는 상기 장착채널이 개방되는 방향으로 결합경사면이 형성된 클립 장착장치.
KR1020180069449A 2018-06-18 2018-06-18 클립 및 클립 장착장치 KR1025344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9449A KR102534471B1 (ko) 2018-06-18 2018-06-18 클립 및 클립 장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9449A KR102534471B1 (ko) 2018-06-18 2018-06-18 클립 및 클립 장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2497A true KR20190142497A (ko) 2019-12-27
KR102534471B1 KR102534471B1 (ko) 2023-05-19

Family

ID=69062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9449A KR102534471B1 (ko) 2018-06-18 2018-06-18 클립 및 클립 장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44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1864A (ko) 2020-12-24 2022-07-0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클립 및 클립장착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65109A (ja) * 2005-12-14 2007-06-28 Furukawa Electric Co Ltd:The コネクタ取付け用クランプ
KR20080004986U (ko) 2007-04-24 2008-10-2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클립
KR200442526Y1 (ko) * 2007-02-28 2008-11-1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하우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65109A (ja) * 2005-12-14 2007-06-28 Furukawa Electric Co Ltd:The コネクタ取付け用クランプ
KR200442526Y1 (ko) * 2007-02-28 2008-11-1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하우징
KR20080004986U (ko) 2007-04-24 2008-10-2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클립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1864A (ko) 2020-12-24 2022-07-0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클립 및 클립장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4471B1 (ko) 2023-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82299B2 (en) Fixing tool
KR20130117690A (ko) 전기 커넥터
KR20140011942A (ko) 커넥터
US11038289B2 (en) Electrical connector
TWM564840U (zh) 固定機構及其電路板裝置
KR100988786B1 (ko) 커넥터 어셈블리
KR20080004986U (ko) 커넥터클립
KR20190142497A (ko) 클립 및 클립 장착장치
KR101041383B1 (ko) 커넥터하우징
KR101899841B1 (ko) 커넥터 조립체
KR20220008630A (ko) 커넥터 장치
KR20110032881A (ko) 커넥터 어셈블리
EP2896324B1 (en) A rack comprising a slide assembly and a chassis
KR20220088042A (ko) 리어홀더 및 커넥터
KR102376682B1 (ko) 연결 클립,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CN104244623A (zh) 电子装置壳体
KR101537320B1 (ko) 커넥터 및 이를 사용한 커넥터 조립체
CN115461549A (zh) 固定件
JP4790687B2 (ja) 樹脂製クリップ
KR200449222Y1 (ko) 커넥터하우징
KR200452247Y1 (ko) 커넥터 어셈블리
KR102191891B1 (ko) 이탈 방지용 클립 및 이를 갖는 커넥터 어셈블리
WO2017163798A1 (ja) コネクタ
KR20090001733U (ko) 멀티브라켓장치
KR20240070054A (ko) 무빙홀더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