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8630A - 커넥터 장치 - Google Patents

커넥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8630A
KR20220008630A KR1020200087014A KR20200087014A KR20220008630A KR 20220008630 A KR20220008630 A KR 20220008630A KR 1020200087014 A KR1020200087014 A KR 1020200087014A KR 20200087014 A KR20200087014 A KR 20200087014A KR 20220008630 A KR20220008630 A KR 202200086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nsion
housing
space
locking
position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70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수
정용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870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08630A/ko
Priority to US17/078,746 priority patent/US11329416B2/en
Priority to CN202011259593.5A priority patent/CN113937536A/zh
Publication of KR202200086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86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36Securing a plurality of contact members by one locking piece or operation
    • H01R13/4361Insertion of locking piece perpendicular to direction of contact insertion
    • H01R13/4362Insertion of locking piece perpendicular to direction of contact insertion comprising a temporary and a final locking posi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06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assembled by snap action of the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위치보장기가 하우징에 장착시, 위치보장기의 장착부가 하우징의 측면부에서 노출되어 작업시 시안성이 우수하다. 또한, 위치보장기는 하우징에 대해 걸림 구조로 연결됨에 따라 장착 및 탈거가 용이하고 장착 강도가 확보된 커넥터 장치가 소개된다.

Description

커넥터 장치 {CONNECTOR APPARATUS}
본 발명은 터미널 위치 보장기를 포함하는 커넥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는 상대 커넥터와 결합에 의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커넥터는 절연성 재료로 만들어진 하우징의 내부에 도전성 재료로 만들어진 터미널이 설치되어 형성될 수 있다.
커넥터의 하우징 내부에 설치된 터미널은 상대 커넥터와 결합되거나 분리되는 과정 또는 기타 외력에 의해 힘을 받을 수 있는데, 이로부터 터미널의 위치를 보장하기 위해 터미널 위치 보장기가 이용될 수 있다. 터미널 위치 보장기는 하우징에 로킹되어 터미널의 일부를 지지함으로써 하우징 내부에 설치된 터미널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한편, 하우징에 로킹된 터미널 위치 보장기를 하우징으로부터 분리하는 재작업이 요구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재작업 시에 커넥터에 과도한 외력이 가해져 커넥터가 파손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터미널 위치 보장기는 하우징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삽입되어 매설되는 구조를 이룸에 따라, 재작업이 요구시 터미널 위치 보장기를 하우징에서 탈거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008-0044046 A (2008.05.20.)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터미널 위치 보장기의 작업 용이성이 향상되는 커넥터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장치는 전후방향으로 터미널이 삽입되는 개통홀이 형성되며, 상면부에는 측면부를 향해 측방으로 연장되고 하방으로 함몰된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측면부에는 수용공간의 연장선상에 배치되고 상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설치부가 형성된 하우징; 및 하우징의 상측에서 수용공간으로 삽입되어 하우징에 장착되며, 장착시 개통홀과 연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측단부에는 절곡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며 설치부에 연결되는 장착부가 형성된 위치보장기;를 포함함으로써, 하우징에 위치보장기의 장착시 위치보장기의 측단부와 장착부 사이로 하우징의 설치부가 삽입됨에 따라 설치부의 내측으로 측단부가 위치되고 설치부의 외측으로 장착부가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설치부는 하우징에 위치보장기의 장착시 장착부가 측면부에 매립되도록 측면부에서 내측으로 함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장착부는 측단부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후 하방으로 절곡되는 제1연장부와, 제1연장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고 제1연장부의 전후방향 폭보다 작은 폭을 갖는 제2연장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설치부는 측면부의 상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제1연장부가 삽입되는 안착공간과, 안착공간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제2연장부가 삽입되는 걸림공간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측면부에는 걸림공간을 향해 돌출되어 제1연장부의 하단과 제2연장부의 전단 또는 후단에 접촉되는 지지단이 형성됨으로써, 하우징에 위치보장기의 장착시 제1연장부가 지지단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측면부에는 걸림공간에 대향되는 걸림부가 형성되고, 장착부의 제2연장부에는 걸림부와 매칭되어 걸림부에 걸림 연결되는 연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걸림부는 걸림공간에서 상하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홈이고, 연결부는 복수의 홈 중 하나에 삽입되도록 돌출된 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연결부를 이루는 돌기는 복수의 홈에 각기 매칭되도록 제1연장부를 따라 이격되어 복수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연장부는 전단과 후단이 각각 인입되어 챔퍼부가 형성되고, 측면부에는 안착공간을 향해 돌출되어 챔퍼부에 삽입되는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걸림공간은 걸림부가 형성되는 부분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되어 제2연장부의 휨 변형이 가능하도록 공간이 확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커넥터 장치는 위치보장기가 하우징에 장착시, 위치보장기의 장착부가 하우징의 측면부에서 노출되어 작업시 시안성이 우수하다. 또한, 위치보장기는 하우징에 대해 걸림 구조로 연결됨에 따라 장착 및 탈거가 용이하고 장착 강도가 확보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커넥터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커넥터 장치에 따른 R1영역의 확대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커넥터 장치의 장착부 및 설치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커넥터 장치의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커넥터 장치의 B-B'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커넥터 장치의 C-C'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8 내지 10은 도 1에 도시된 커넥터 장치의 장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커넥터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커넥터 장치에 따른 R1영역의 확대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커넥터 장치의 장착부 및 설치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커넥터 장치의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커넥터 장치의 B-B'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커넥터 장치의 C-C'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8 내지 10은 도 1에 도시된 커넥터 장치의 장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장치는 도 1 내지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방향으로 터미널(300)이 삽입되는 개통홀(110)이 형성되며, 상면부(120)에는 측면부(130)를 향해 측방으로 연장되고 하방으로 함몰된 수용공간(121)이 형성되며, 측면부(130)에는 수용공간(121)의 연장선상에 배치되고 상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설치부(140)가 형성된 하우징(100); 및 하우징(100)의 상측에서 수용공간(121)으로 삽입되어 하우징(100)에 장착되며, 장착시 개통홀(110)과 연통되는 관통홀(210)이 형성되고, 측단부(230)에는 절곡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며 설치부(140)에 연결되는 장착부(240)가 형성된 위치보장기(200);를 포함한다.
여기서, 하우징(100)은 터미널(300)이 수용될 수 있다. 즉, 하우징(100)에는 터미널(300)이 삽입되는 개통홀(110)이 형성되며, 터미널(300)이 개통홀(110)따라 삽입되어 하우징(100) 내부에 장착될 수 있다. 이렇게, 하우징(100) 내부에 설치되는 터미널(300)은 상대 커넥터와 결합되어 전기적 연결이 수행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은 개통홀(110)에 랜스(111)가 포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터미널(300)이 하우징(100)의 개통홀(110)에 장착시, 랜스(111)는 터미널(300)의 베이스부(310)로부터 돌출되는 돌기부(320)와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터미널(300)이 하우징(100)에 장착된 상태에서 다른 상대 커넥터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하우징(100)은 개통홀(110)을 통해 터미널(300)이 삽입되며, 상면부(120)에는 측면부(130)를 향해 측방으로 연장되고 하방으로 함몰된 수용공간(121)이 형성되어 위치보장기(200)가 장착되도록 한다. 여기서, 하우징(100)의 측면부(130)에는 수용공간(121)의 연장선상에 배치되고 상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설치부(140)가 형성됨으로써, 수용공간(121)에 삽입되는 위치보장기(200)가 설치부(140)를 통해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른 위치보장기(200)는 하우징(100)의 상측에서 수용공간(121)으로 삽입되어 하우징(100)에 장착되며, 장착시 개통홀(110)과 연통되는 관통홀(210)이 형성되고, 측단부(230)에는 절곡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며 설치부(140)에 연결되는 장착부(240)가 형성된다. 여기서, 장착부(240)는 위치보장기(200)의 양 측단부(230)에 마련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하우징(100)의 양 측면부(130)에 설치부(14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위치보장기(200)의 관통홀(210)은 개통홀(110)과 연통되어 터미널(300)이 통과될 수 있다.
즉, 위치보장기(200)가 하우징(100)의 상측에서 수용공간(121)으로 삽입되며, 측단부(230)에 형성된 장착부(240)를 통해 하우징(100)의 설치부(140)에 고정됨으로써, 장착 위치가 고정되는 것이다.
특히, 하우징(100)에 위치보장기(200)의 장착시, 위치보장기(200)의 측단부(230)와 장착부(240) 사이로 하우징(100)의 설치부(140)가 삽입됨에 따라 설치부(140)의 내측으로 측단부(230)가 위치되고 설치부(140)의 외측으로 장착부(240)가 노출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위치보장기(200)가 하우징(100)에 장착시, 측단부(230)와 장착부(240)를 통해 설치부(140)에 고정되며, 장착부(240)가 설치부(140)의 외측으로 노출됨에 따라 위치보장기(200)의 장착 및 탈거가 용이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하우징(100)에 위치보장기(200)의 장착시, 위치보장기(200)의 측단부(230)가 설치부(140)의 내측에 접촉되어 강도가 확보되고, 장착부(240)가 설치부(140)의 외측에 노출됨에 따라 장착부(240)를 통한 장착 및 탈거 작업이 용이하여 작업 편의성이 확보된다.
상술한 본 발명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설치부(140)는 하우징(100)에 위치보장기(200)의 장착시 장착부(240)가 측면부(130)에 매립되도록 측면부(130)에서 내측으로 함몰될 수 있다.
이렇게, 하우징(100)의 측면부(130)에서 설치부(140)가 함몰되는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하우징(100)에 위치보장기(200)의 장착시 장착부(240)가 설치부(140)에 매립되도록 안착된다. 이에 따라, 도 1에서 볼 수 있듯이, 하우징(100)에 위치보장기(200)가 장착된 상태에서 하우징(100)의 측면부(130)와 위치보장기(200)의 장착부(240)가 평면을 이룸에 따라 외관의 이질감이 해소된다. 또한, 위치보장기(200)의 장착부(240)가 하우징(100)의 측면부(130)에서 돌출되지 않음에 따라, 의도치 않은 외력에 의한 탈거가 방지된다.
한편,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부(240)는 측단부(230)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후 하방으로 절곡되는 제1연장부(241)와, 제1연장부(241)에서 하방으로 연장되고 제1연장부(241)의 전후방향 폭보다 작은 폭을 갖는 제2연장부(242)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설치부(140)는 측면부(130)의 상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제1연장부(241)가 삽입되는 안착공간(141)과, 안착공간(141)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제2연장부(242)가 삽입되는 걸림공간(14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위치보장기(200)의 장착부(240)는 제1연장부(241)와 제2연장부(242)로 이루어지며, 제1연장부(241)는 측단부(230)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후 하방으로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고, 제2연장부(242)가 제1연장부(241)의 하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설치부(140)는 제1연장부(241)가 삽입되는 안착공간(141)과 제2연장부(242)가 삽입되는 걸림공간(142)으로 이루어지며, 안착공간(141)과 걸림공간(142)은 각각 제1연장부(241)와 제2연장부(242)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장착부(240)는 제1연장부(241)의 폭이 제1연장부(241)의 폭보다 큰 폭을 갖음에 따라 하방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되게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제1연장부(241)는 위치보장기(200)가 하우징(100)에 장착시, 설치부(140)로부터 이탈을 방지함과 더불어 강도를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후방향의 폭이 확보되도록 형성한다. 제2연장부(242)는 위치보장기(200)가 하우징(100)에 장착시, 하우징(100)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부위로서, 일부 변형이 허용되도록 전후방향 폭이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연장부(241)의 상하방향 길이(L1)는 안착공간(141)의 상하방향 길이(L2)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위치보장기(200)가 하우징(100)에 장착시 제1연장부(241)가 측면부(130)에 안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연장부(241) 및 제2연장부(242)의 상하방향 길이(L3)는 안착공간(141) 및 걸림공간(142)의 길이(L4)보다 짧게 형성되어 장착부(240)가 설치부(140)의 하측으로 측면부(130)에 간섭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위치보장기(200)는 장착부(240)를 이루는 제1연장부(241)와 제2연장부(242)가 하우징(100)의 설치부(140)를 이루는 안착공간(141)과 걸림공간(142)에 매칭되어, 하우징(100)에 장착될 수 있다.
위치보장기(200)와 하우징(100)의 장착 구조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측면부(130)에는 걸림공간(142)을 향해 돌출되어 제1연장부(241)의 하단과 제2연장부(242)의 전단 또는 후단에 접촉되는 지지단(131)이 형성됨으로써, 하우징(100)에 위치보장기(200)의 장착시 제1연장부(241)가 지지단(131)에 안착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단(131)은 안착공간(141)과 걸림공간(142)의 폭이 상이함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즉, 측면부(130)에는 지지단(131)이 걸림공간(142)을 향해 돌출됨에 따라 장착부(240)가 설치부(140)에 장착시, 제1연장부(241)의 하단이 지지단(131)의 상단에 안착되는 구조를 이룬다. 이로 인해, 위치보장기(200)를 하우징(100)에 장착시, 장착부(240)의 위치가 지지단(131)에 의해 규제되어 위치보장기(200)가 정위치될 수 있다. 또한, 제1연장부(241)의 하단과 제2연장부(242)의 전단 또는 후단이 지지단(131)에 접촉됨에 따라 장착 강성이 확보된다. 도면에서는 제2연장부(242)의 전단이 지지단(131)에 접촉되는 것으로 표현되었으나, 이는 설계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도 3 및 도 8에서 볼 수 있듯이, 측면부(130)에는 걸림공간(142)에 대향되는 걸림부(132)가 형성되고, 장착부(240)의 제2연장부(242)에는 걸림부(132)와 매칭되어 걸림부(132)에 걸림 연결되는 연결부(242a)가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하우징(100)에 위치보장기(200)를 장착시, 장착부(240)의 제2연장부(242)가 걸림공간(142)까지 삽입되고, 제2연장부(242)의 연결부(242a)가 측면부(130)에 형성된 걸림부(132)에 걸림 연결됨으로써, 제2연장부(242)가 측면부(130)에 대해 고정될 수 있다. 이렇게, 장착부(240)는 제2연장부(242)가 걸림공간(142)에서 측면부(130)에 걸리어 위치가 고정됨으로써 위치보장기(200)가 하우징(100)에서 고정되어 이탈되지 않는다.
여기서, 걸림부(132)는 걸림공간(142)에서 상하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홈이고, 연결부(242a)는 복수의 홈 중 하나에 삽입되도록 돌출된 돌기일 수 있다. 이처럼, 걸림부(132)와 연결부(242a)는 각각 홈과 돌기로 구성되는 걸림 구조를 이룸에 따라 상호 결합될 수 있다. 특히, 걸림부(132)의 경우 걸림공간(142)에서 상하방향으로 이격되는 복수의 홈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연결부(242a)를 이루는 돌기가 특정 홈에 삽입되는 위치에 따라 장착부(240)의 고정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걸림부(132)를 이루는 복수의 홈이 제1홈(132a)과 제2홈(132b)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터미널(300)이 하우징(100)에 삽입되기 전에, 위치보장기(200)가 하우징(100)에 삽입되어 가고정되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보장기(200)의 장착부(240)에 형성되는 연결부(242a)는 제1홈(132a)에 체결됨으로써 1차 로킹이 수행될 수 있다. 이어서, 터미널(300)의 삽입이 완료된 후에, 위치보장기(200)는 하우징(100)의 수용공간(121)에 완전히 장착되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부(240)가 하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제2연장부(242)가 휨 변형되면서 연결부(242a)가 제1홈(132a)에서 이탈된다. 이후,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242a)가 제2홈(132b)에 체결시 2차 로킹이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걸림공간(142)은 걸림부(132)가 형성되는 부분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되어 제2연장부(242)의 휨 변형이 가능하도록 공간이 확보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제2연장부(242)가 걸림공간(142)을 이동시, 걸림부(132)가 연결부(242a)를 넘어감에 따라 변형되는데, 걸림공간(142)이 걸림부(132)가 형성되는 부분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됨으로써, 제2연장부(242)의 휨 변형이 가능하도록 공간이 확보되어 제2연장부(242)가 원활히 변형될 수 있다. 이러한 걸림공간(142)은 제2연장부(242)의 변형량에 따라 연장 길이가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242a)를 이루를 이루는 돌기는 하단이 걸림부(132)를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를 가지는 경사부(242b)가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하우징(100)에 위치보장기(200)를 장착시, 장착부(240)가 설치부(140)에 장착되는 방향으로 연결부(242a)를 이루는 돌기가 걸림부(132)를 이루는 홈을 타고 넘어가 원활히 이동될 수 있고, 역방향으로는 홈에 걸려 탈거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로, 연결부(242a)를 이루는 돌기는 복수의 홈에 각기 매칭되도록 제1연장부(241)를 따라 이격되어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연결부(242a)를 이루는 돌기와 걸림부(132)를 이루는 홈의 개수를 일치킬 경우, 연결부(242a)와 걸림부(132)의 체결 강도가 확보된다.
한편,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연장부(241)는 전단과 후단이 각각 인입되어 챔퍼부(241a)가 형성되고, 측면부(130)에는 안착공간(141)을 향해 돌출되어 챔퍼부(241a)에 삽입되는 돌출부(133)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챔퍼부(241a)는 제1연장부(241)의 전단 및 하단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고, 돌출부(133)는 측면부(130)에서 안착공간(141)을 향해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챔퍼부(241a)와 돌출부(133)가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연결 구조를 이룬다.
이에 따라, 하우징(100)에 위치보장기(200)를 장착시, 하우징(100)의 측면부(130)에 형성된 돌출부(133)를 따라 제1연장부(241)의 챔퍼부(241a)가 이동되어 삽입될 수 있다. 특히, 위치보장기(200)의 장착부(240)는 제1연장부(241)의 챔퍼부(241a)가 하우징(100)의 돌출부(133)에 걸려 외측으로 이동이 제한됨에 따라, 장착부(240)가 외측으로 벌어짐에 따른 좌굴이 방지되고, 장착 강도가 확보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커넥터 장치는 위치보장기가 하우징에 장착시, 위치보장기의 장착부가 하우징의 측면부에서 노출되어 작업시 시안성이 우수하다. 또한, 위치보장기는 하우징에 대해 걸림 구조로 연결됨에 따라 장착 및 탈거가 용이하고 장착 강도가 확보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하우징 110:개통홀
120:상면부 121:수용공간
130:측면부 131:지지단
132:걸림부 133:돌출부
140:설치부 141:안착공간
142:걸림공간 200:위치보장기
210:관통홀 230:측단부
240:장착부 241:제1연장부
241a:챔퍼부 242:제2연장부
242a:연결부 300:터미널

Claims (10)

  1. 전후방향으로 터미널이 삽입되는 개통홀이 형성되며, 상면부에는 측면부를 향해 측방으로 연장되고 하방으로 함몰된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측면부에는 수용공간의 연장선상에 배치되고 상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설치부가 형성된 하우징; 및
    하우징의 상측에서 수용공간으로 삽입되어 하우징에 장착되며, 장착시 개통홀과 연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측단부에는 절곡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며 설치부에 연결되는 장착부가 형성된 위치보장기;를 포함함으로써,
    하우징에 위치보장기의 장착시 위치보장기의 측단부와 장착부 사이로 하우징의 설치부가 삽입됨에 따라 설치부의 내측으로 측단부가 위치되고 설치부의 외측으로 장착부가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설치부는 하우징에 위치보장기의 장착시 장착부가 측면부에 매립되도록 측면부에서 내측으로 함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장착부는 측단부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후 하방으로 절곡되는 제1연장부와, 제1연장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고 제1연장부의 전후방향 폭보다 작은 폭을 갖는 제2연장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설치부는 측면부의 상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제1연장부가 삽입되는 안착공간과, 안착공간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제2연장부가 삽입되는 걸림공간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측면부에는 걸림공간을 향해 돌출되어 제1연장부의 하단과 제2연장부의 전단 또는 후단에 접촉되는 지지단이 형성됨으로써, 하우징에 위치보장기의 장착시 제1연장부가 지지단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측면부에는 걸림공간에 대향되는 걸림부가 형성되고,
    장착부의 제2연장부에는 걸림부와 매칭되어 걸림부에 걸림 연결되는 연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걸림공간은 걸림부가 형성되는 부분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되어 제2연장부의 휨 변형이 가능하도록 공간이 확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걸림부는 걸림공간에서 상하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홈이고,
    연결부는 복수의 홈 중 하나에 삽입되도록 돌출된 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연결부를 이루는 돌기는 복수의 홈에 각기 매칭되도록 제1연장부를 따라 이격되어 복수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10. 청구항 4에 있어서,
    제1연장부는 전단과 후단이 각각 인입되어 챔퍼부가 형성되고,
    측면부에는 안착공간을 향해 돌출되어 챔퍼부에 삽입되는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KR1020200087014A 2020-07-14 2020-07-14 커넥터 장치 KR20220008630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7014A KR20220008630A (ko) 2020-07-14 2020-07-14 커넥터 장치
US17/078,746 US11329416B2 (en) 2020-07-14 2020-10-23 Connector apparatus
CN202011259593.5A CN113937536A (zh) 2020-07-14 2020-11-12 连接器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7014A KR20220008630A (ko) 2020-07-14 2020-07-14 커넥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8630A true KR20220008630A (ko) 2022-01-21

Family

ID=79274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7014A KR20220008630A (ko) 2020-07-14 2020-07-14 커넥터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329416B2 (ko)
KR (1) KR20220008630A (ko)
CN (1) CN11393753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0947A (ko) * 2022-02-10 2023-08-17 주식회사 경신 손상방지형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864042A (zh) * 2022-11-11 2023-03-28 东莞市思索技术股份有限公司 电连接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44046A (ko) 2006-11-15 2008-05-20 삼성전자주식회사 커넥터의 연결구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41164Y2 (ja) * 1991-05-13 1997-07-09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2581476Y2 (ja) * 1993-04-13 1998-09-21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H08106944A (ja) * 1994-10-03 1996-04-23 Tokai Rika Co Ltd 電気コネクタ及び同電気コネクタのハウジン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44046A (ko) 2006-11-15 2008-05-20 삼성전자주식회사 커넥터의 연결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0947A (ko) * 2022-02-10 2023-08-17 주식회사 경신 손상방지형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937536A (zh) 2022-01-14
US11329416B2 (en) 2022-05-10
US20220021147A1 (en) 2022-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66829B2 (en) Electrical junction box
KR20220008630A (ko) 커넥터 장치
EP2677606B1 (en) Latching structure for shielded connector
US20120295461A1 (en) Terminal fitting and connector
JP2019114334A (ja) コネクタ
US11031718B2 (en) Connector with a housing having a locking lance with a restricting portion to restrict outward deformation of the locking lance
JP2005327502A (ja) コネクタ
US20210098931A1 (en) Connector
WO2018070196A1 (ja) コネクタ
KR20090044365A (ko) 커넥터
KR100390972B1 (ko) 전기커넥터
KR200437689Y1 (ko) 커넥터
KR102059929B1 (ko) 커넥터 어셈블리 및 그에 사용되는 커넥터
JPH1140285A (ja) 平型柔軟ケーブル用コネクタアッセンブリ
JP2002367701A (ja) コネクタ
KR200440518Y1 (ko) 커넥터
US7458841B2 (en) Wire cover and a locking construction therefor
KR200445633Y1 (ko) 커넥터용 스페이서
KR200467964Y1 (ko) 커넥터 어셈블리
JP2019023961A (ja) 接触片を有する端子、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装置
KR200391766Y1 (ko) 고정용 클립
KR200466960Y1 (ko) 커넥터
KR200406008Y1 (ko) 차량용 커넥터
KR20090001733U (ko) 멀티브라켓장치
JP2000123917A (ja) 補機用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