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0972B1 - 전기커넥터 - Google Patents

전기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0972B1
KR100390972B1 KR1019960705474A KR19960705474A KR100390972B1 KR 100390972 B1 KR100390972 B1 KR 100390972B1 KR 1019960705474 A KR1019960705474 A KR 1019960705474A KR 19960705474 A KR19960705474 A KR 19960705474A KR 100390972 B1 KR100390972 B1 KR 1003909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housing
rear holder
connecting terminal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7054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702597A (ko
Inventor
유키후미 마치다
히데오 콘
요시카즈 다나카
아키히로 고지마
미치야스 와타나베
Original Assignee
료세이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6804695A external-priority patent/JP3730685B2/ja
Application filed by 료세이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료세이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9707025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7025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09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09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36Securing a plurality of contact members by one locking piece or operation
    • H01R13/4367Insertion of locking piece from the rear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접속단자(12)를 하우징(14)에 수용하는 때는, 리어홀더(13)를 중간까지 삽입하고, 하우징(14)에 대하여 임시걸어맞춤위치에 위치시킨다. 이 상태로, 전선(11)이 접속된 접속단자(12)를 1개씩 리어홀더(13)의 단자유지실(32)로 밀고 나가, 접속단자(12)의 단자 접속부(21)가 후방걸림부(37)와 경사면(43b, 43c)의 사이에 경사 방향으로 밀어넣어 진다. 접속단자(12)를 더욱 밀어넣으면, 단자접속부(21)의 전단이 리어홀더(13)의 전방걸림부(36a, 36b)에 접촉하여, 접속단자(12)의 전방이동이 규제된다. 이 때, 단자접속부(21)의 후단은 후방걸림부(37)를 타고 넘은 위치에 있다. 거기서, 접속단자(12)를 밀어 내리면, 접속단자(12)의 후부가 아래 쪽으로 이동하여, 단자접속부(21)의 하면이 단자유지부(33)에 밀착하고 피복압착부(23)가 하단부(38)에 거의 접촉하고, 단자접속부(21)의 후단이 후방걸림부(37)에 의해 걸린다. 이 상태로부터, 리어홀더(13)를 전방으로 밀어넣으면 완전걸어맞춤상태가 되어, 단자접속부(21)의 표면이 천정벽(43)의 평행면(43a)에 억압되고, 단자접속부(21)의 전단은 전방걸림부(36a, 36b)와 돌기(45)에 의해 걸린다. 이 상태로, 접속단자(12)는 하우징(14)에 완전히 삽입되고, 또한 확고한 걸림이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전기커넥터
제1도는 종래 예의 측방으로부터 본 단면도.
제2도는 종래 예의 리어홀더와 하우징을 분리한 상태의 분해사시도.
제3도는 제1의 실시예의 측방으로부터 본 단면도.
제4도는 리어홀더와 하우징을 분리한 상태의 일부를 절단한 사시도.
제5도는 하우징에 리어홀더를 임시걸어맞춤 상태의 사시도.
제6도는 하우징에 리어홀더를 완전걸어맞춤 상태의 사시도.
제7도는 하우징에 리어흘더를 임시걸어맞춤 상태의 측방으로부터 본 단면도.
제8도는 접속단자를 임시걸어맞춤중의 리어홀더에 삽입하는 상태를 측방으로부터 본 단면도.
제9도는 접속단자를 임시걸어맞춤중의 리어홀더에 더욱 삽입하는 상태로 측방으로부터 본 단면도.
제10도는 접속단자를 임시걸어맞춤상태의 리어홀더에 장착한 상태의 측방으로부터 본 단면도.
제11도는 접속단자를 임시걸어맞춤중의 리어홀더에 삽입하는 상태의 변형예를 측방으로부터 본 단면도.
제12도는 하우징에 리어홀더를 임시걸어맞춤한 상태의 다른 변형예를 측방으로부터 본 단면도.
제13도는 제2의 실시예의 리어홀더가 하우징에 대하여 완전걸어맞춤상태의 일부를 절단한 사시도.
제14도는 리어홀더가 하우징에 대하여 임시걸어맞춤상태의 일부를 절단한 사시도.
제15도는 하우징과 리어홀더를 분리한 상태의 분해사시도.
제16도는 접속단자를 부착한 상태의 부분확대사시도.
제17도는 제3의 실시예의 접속단자를 임시걸어맞춤중의 리어홀더에 삽입하는 상태를 측방으로부터 본 단면도.
제18도는 리어홀더의 부분확대사시도.
제19도는 리어홀더와 접속단자의 부분확대 우측면도.
제20도는 리어홀더와 접속단자의 변형예의 부분확대 우측면도.
제21도는 리어홀더의 변형예의 부분확대사시도.
제22도는 제4의 실시예의 하우징에 리어홀더를 완전걸어맞춤한 상태를 측방으로부터 본 단면도.
제23도는 하우징과 리어홀더를 분해한 상태의 수평단면도.
제24도는 하우징의 일부의 우측면도.
제25도는 리어홀더의 일부의 우측면도.
제26도는 접속단자의 일부를 절단한 사시도.
제27도는 리어홀더의 부분확대사시도.
제28도는 하우징에 리어홀더를 임시걸어맞춤한 상태의 수평단면도.
제29도는 하우징에 리어홀더를 완전걸어맞춤한 상태의 수평단면도.
제30도는 접속단자를 임시걸어맞춤중의 리어홀더에 삽입하는 상태를 측방으로부터 본 단면도.
제31도는 접속단자를 임시걸어맞춤중의 리어홀더에 장착한 상태로 측방으로부터 본 단면도.
제32도는 제5의 실시예의 하우징과 리어홀더를 분리한 상태의 분해사시도.
제33도는 접속단자를 임시걸어맞춤중의 리어홀더에 삽입하는 상태를 측방으로부터 본 단면도.
제34도는 접속단자를 임시걸어맞춤중의 리어홀더에 더욱 삽입하는 상태를 측방으로부터 본 단면도.
제35도는 접속단자를 임시걸어맞춤중의 리어홀더에 장착한 상태를 측방으로부터 본 단면도.
제36도는 하우징에 리어홀더를 완전걸어맞춤한 상태의 단면도.
제37도는 변형예의 리어홀더의 사시도.
제38도는 접속단자를 임시걸어맞춤중의 리어홀더에 삽입하는 상태를 측방으로부터 본 단면도.
제39도는 리어홀더의 후방걸림부의 확대측면도.
제40도는 접속단자를 임시걸어맞춤중의 리어홀더에 삽입하는 상태를 측방으로부터 본 단면도.
제41도는 접속단자를 임시걸어맞춤중의 리어홀더에 장착한 상태를 측방으로부터 본 단면도.
제42도는 제6의 실시예의 접속단자를 임시걸어맞춤중의 리어홀더에 장착한 상태를 측방으로부터 본 단면도.
제43도는 접속단자를 임시걸어맞춤중의 리어홀더에 삽입하는 상태를 측방으로부터 본 단면도.
제44도는 접속단자의 완전삽입때의 단면도.
제45도는 접속단자의 불완전삽입때의 작용설명도.
기술분야
본 발명은, 예컨대 자동차등의 전기배선의 접속에 사용되어, 수용한 접속단자의 후방 에서 빠져 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후방걸림부가 리어홀더에 구비된 전기커넥터에 관한 것 이다.
배경기술
종래의 이 종류의 전기커넥터에는, 수용한 접속단자를 걸기위한 가요성을 가지는 걸림랜스가 설치되는 것이 보통이다. 이 걸림랜스는 일체로 설치되는 경우가 많지만, 별도의 리어홀더에 설치되는 경우도 있다. 예컨대, 제1도의 측방으로부터 본 단면도 및 제2도의 분해사시도는 후자의 경우를 나타내고, 하우징(1)의 단자수용실(1a)에는 리어홀더(2)가 전후로 이동이 자유롭도록 걸어맞춤되고, 이 리어홀더(2)는 하우징(1)에 도시하지 않은 걸어맞춤수단에 의해 2단계의 위치에 걸림된다. 이 제1의 위치는 리어홀더(2)가 하우징(1)에 대하여 도중까지 삽입된 임시()걸어맞춤 위치이고, 제2의 위치는 리어홀더(2)가 하우징(1)에 대하여 완전히 밀어넣어진 완전(本)걸어맞춤 위치이다. 이와 같이, 리어홀더(2)를 임시걸어맞춤과 완전걸어맞춤의 2단계에 위치시키는 것에 의해, 접속단자(3)의 수용전에 있어서 하우징(1)과 리어홀더(2)가 임시걸어맞춤되고, 이 임시걸어맞춤위치에 있어서 전선(3a)을 부착한 접속단자(3)를 리어홀더(2)를 통해서 하우징(1)내로 끼워 통하게 하는 이점이 생긴다. 그리고, 이 임시걸어맞춤위치에 있는 때에 접속단자(3)가 단자 유지실(2a)에 삽입되어, 걸림랜스(2b)의 돌기(2c)가 접속단자(3)의 저부에 설치한 끼워맞춤구멍(3b)에 끼워진다. 이 상태로부터, 리어홀더(2)를 하우징(1)에 대하여 밀어넣어 완전걸어맞춤위치로 하면, 걸림 랜스(2b)의 선단부(2d)가 하우징(1)의 가이드(1b)를 따라 올라가 걸림랜스(2b)의 걸림력이 보강된다.
그렇지만 상술한 종래 예에 있어서는, 접속단자(3)를 걸림랜스(2b)의 탄성력에 의해서 걸기위해서, 상대측 접속단자로부터의 가압력(押壓力)에 의해 걸림랜스(2b)가 파손되기 쉽다. 또한, 걸림랜스(2b)를 성형하기 위한 금형대의 부피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접속단자(3)를 뽑는 경우에는, 걸림랜스(2b)를 접속단자(3)로부터 빼기 위한 치구를 필요로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접속단자(3)의 후부의 하방에 공간이 존재하기 때문에, 접속단자(3)의 후부가 단자유지실(2a)내에서 요동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 이 문제점들은, 하우징내에 걸림랜스를 일체로 설치하는 경우에도 같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고, 걸림랜스를 사용하지 않고 리어홀더에 의해 접속단자가 확실히 걸리는 전기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을 제3도 이하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3도는 제1의 실시예를 측방으로부터 본 단면도이고, 전선(11)이 설치된 접속단자(12)가 리어홀더(13)에 유지되어, 이 리어홀더(13)가 하우징(14)에 완전걸어맞춤위치로 걸어맞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접속단자(12)는 도전금속판에 의해 예컨대 암컷형접속단자로서 제조되고, 거기에는 상대측의 수컷형접속단자의 삽입단을 받아 들이는 단자접속부(21)와, 전선(11)의 심선(心線)을 눌러 붙이는 심선압착부(22)와, 전선(11)의 피복을 눌러 붙이는 피복압착부(23)가 순차적으로 설치된다.
또, 접속단자(12)가 수형접속단자인 경우에는, 그 삽입단은 단자접속부(21)의 앞 부분에 돌출하도록 설치된다. 리어홀더(13) 및 하우징(14)은 절연성합성 수지재에 의해 형성되고, 제4도의 일부를 절단한 사시도에 도시한 것처럼, 리어홀더(13)의 리어홀더본체(31)는 하우징(14)의 후부에 끼워맞추는 예컨대 각 틀체형상으로 되고, 이 리어홀더 본체(31)의 내부에는 접속단자(12)의 후반부를 절연유지하기 위한 격벽(32a)에 의해 구획된 복수의 단자유지실(32)이 설치된다. 리어홀더본체(31)의 전방에는, 접속단자(12)의 단자접속부(21)를 유지하기위한 예컨대 하단에 4열, 상단에 2열의 긴 쪽 변형상의 단자유지부(33)가, 단자유지실(32)의 저벽(34) 및 천정벽(35)로부터 일체로 각각 연장하여 설치되어 있다. 단자유지부(33)의 표면전단에는, 접속단자(12)의 단자접속부(21)의 전단을 걸어, 접속단자(12)의전방이동을 규제하기 위한 돌기로 이루어지는 전방걸림부(36a, 36b)가 설치되고, 단자유지부(33)의 표면후부에는 단자접속부(21)의 후단을 걸어 접속단자(12)의 후방이동을 규제하기 위한 돌기로 이루어지는 후방걸림부(37)가 설치 된다. 그리고, 단자유지실(32)의 저벽(34)의 후부에는 하단부(38)가 설치되고, 접속단자(12)의 피복압착부(23)가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전방걸림부(36a, 36b)와 후방걸림부(37)의 간격은 단자 접속부(21)가 전후 이동하지 않도록 걸리는 간격이다. 또한, 후방걸림부(37)의 높이는, 단자접속부(21)의 저면이 단자유지부(33)에 접촉하고, 또한 피복압착부(23)가 단부(38)의 저면에 접촉하였을 때에, 단자접속부(21)의 후부가 충분히 걸리는 높이이다. 한편, 하우징(14)에는, 리어홀더본체(31)를 전후이동이 자유롭도록 끼워 맞추는 리어홀더 끼워맞춤부(41)가 설치된다. 이 리어홀더 끼워맞춤부(41)의 전방에는, 리어홀더(13)의 단자유지부(33) 및 접속단자(12)의 단자접석부(21)를 수용하기 위한 단자수용실(42)이 설치되어 있다. 단자수용실(42)의 폭은 단자접속부(21)의 좌우방향의 움직임을 방지하는 폭이다. 단자수용실(42)의 높이는, 앞부분에 있어서 단자유지부(33)와 단자접속부(21)의 상하방향의 움직임을 방지하는 높이이고, 후부(後部)에 있어서 접속단자(12)를 리어홀더(13)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는 높이이다. 이 때문에, 천정벽(43)의 하면에는, 앞 부분은 단자수용실(42)의 저부(44)와 평행한 평행면(부)(43a)이 설치되고, 후부는 후방으로 향하여 저부(44)로부터의 높이가 굴절부를 가지고 커지는 경사면(부)(43b, 43c)이 설치된다. 천정벽(43)의 전단에는, 단자접속부(21)의 전단을 걸어서 그 전방 이동을 규제하기 위한 돌기(45)가 설치된다. 하부의 단자수용실(42)의 천정벽(43) 요컨대 상부의 단자수용실(42)의 저부(44)의 후부에는, 리어홀더(13)의 격벽(32a)을 끼우는 슬릿(43d)이 설치되고, 그 상방에는 하우징(14)이 상대측의 전기커넥터하우징에 결합되었을 때에, 서로 잠그기 위한 잠금돌기(46a)를 가지는 잠금아암(46)이 설치된다. 또, 이 잠금아암(46)은 제3도, 제7도 내지 제11도에 있어서는, 그 도시를 생략한다. 이와 같이 형성된 리어홀더(13)는 제5도의 일부를 절단한 사시도에 도시한 것처럼, 하우징(14)에 후부로부터 삽입된다. 이 때, 리어홀더(13)의 단자유지부(33)가 하우징(14)의 단자수용실(42)에 수용됨과 동시에, 리어홀더본체(31)가 하우징(14)의 리어홀더 끼워맞춤부(41)에 끼워맞춤된다. 또한, 리어홀더본체(31)의 격벽(32a)이 슬릿(43d)에 끼워 넣어짐과 동시에, 중간의 천정벽(43)이 단자유지실(32)에 진입한다. 리어홀더(13)는 하우징(14)에 대하여, 도시하지 않은 돌기등의 잘 알려진 걸어맞춤수단에 의해 임시걸어맞춤위치및 완전걸어맞춤위치로 걸어맞춤된다. 임시걸어맞춤위치는 제5도에 도시한 것처럼, 리어홀더(13)가 하우징(14)에 대하여 중간까지 삽입된 위치이고, 접속단자(12)가 단자수용실(42)내의 리어홀더(13)에 걸리는 위치이기도 하다. 또한, 완전걸어맞춤위치는 제6도에 도시한 것처럼, 리어홀더(13)가 하우징(14)에 대하여 전방으로 완전히 밀어넣은 위치이고, 삽입된 접속단자(12)가 하우징(14)에 정식으로 배치되는 위치이다. 접속단자(12)를 하우징(14)에 수용하는 때는, 우선 제7도에 도시한 것처럼 리어홀더(13)를 중간까지 삽입하여, 하우징(14)에 대하여 임시걸어 맞춤위치에 위치시킨다. 이 상태로 전선(11)을 접속한 접속단자(12)를 제8도에 도시한 것처럼 1개씩 리어홀더(13)의 단자유지실(32)에 끼워 통하게 하고, 접속단자(12)의 단자접속부(21)가 후방걸림부(37)와 경사면(43b, 43c)의 사이를 경사 방향으로부터 밀어넣는다. 접속단자(12)를 더욱 밀어넣으면, 제9도에 도시한 것처럼 단자접속부(21)의 전단이 리어홀더(13)의 전방걸림부(36a, 36b)에 접촉하여, 접속단자(12)의 전방에의 이동이 규제된다.
이 때, 단자접속부(21)의 후단은 후방걸림부(37)를 넘은 위치에 있다. 그래서, 접속단자(12)를 밀어 내리면, 제10도에 도시한 것처럼 접속단자(12)의 후부가 아래 쪽으로 이동하여, 단자접속부(21)의 하면이 단자유지부(33)에 밀착됨과 동시에, 피복압착부(23)가 하단부(38)에 거의 접촉하여, 단자접속부(21)의 후단이 후방걸림부(37)에 의해 걸린다. 이 상태로부터, 리어홀더(13)를 전방으로 밀어넣으면, 제3도에 도시한 것처럼 완전걸어맞춤 상태가 되어, 단자접속부(21)의 표면이 천정벽(43)의 평행면(43a)에 가압되어, 단자접속부(21)의 전단은 전방걸림부(36a, 36b)와 돌기(45)에 의해 걸림된다. 이 상태로, 접속단자(12)는 하우징(14)에 완전히 삽입되어, 또한 확고한 걸림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접속단자(12)를 하우징(14)으로부터 떼어내는 경우에는, 리어홀더(13)를 완전히 걸고 있는 걸림부를 빼고 나서, 리어홀더(13)를 끌어내어 접속단자(12)를 꺼낼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의 실시예는 단자수용실(42)의 앞 부분의 크기를, 단자유지부(33)와 단자접속부(21)의 상하 및 좌우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크기로 하였기 때문에, 완전걸어맞춤위치에서 접속단자(12)의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의 요동을 방지할 수가 있고, 더욱이 리어홀더(13)의 전방걸림부(36a, 36b)와 후방걸림부(37)에 의해 단자접속부(21)의 전후를 걸림함으로써, 완전걸어맞춤위치로 접속단자(12)의 전후방향의 요동을 방지할 수가있다. 또한, 리어홀더(13) 및 하우징(14)의 어느것도 종래예와 같은 걸림랜스를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리어홀더(13) 및 하우징(14)의 형상이나 구조가 간단하게 되어, 그것들의 성형이 용이하므로 제조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더욱, 하우징(14)의 형상이나 구조가 간단하기 때문에, 그 제조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또한, 리어홀더(13) 및 하우징(14)에는 랜스를 설치하지 않기 때문에, 걸림랜스를 빼기 위한 기구를 생략할 수 있다.
제11도는 변형예의 임시걸어맞춤상태의 측방으로부터 본 단면도이고, 리어홀더(13) 및 하우징(14)은 제1의 실시예보다도 길고, 리어홀더(13)의 후부에는 하단부(38)에 대하여 홈부분(46)이 설치된다. 또한, 접속단자(12)의 피복압착부(22)의 높이는, 홈부분(46)에 끼우는 크기로 되어 있다. 이 변형예는, 제1의 실시예와 같이 접속단자(12)를 전방걸림부(36a, 36b), 돌기(45) 및 후방걸림부(37)에 의해 걸고, 또한, 피복압착부(23)를 홈부분(46)의 전후벽에 의해 걸기 때문에, 접속단자(12)의 전후방향의 빠져 나감을 제1의 실시예보다도 양호하게 방지할 수가 있다. 그 밖의 작용효과는 제1의 실시예와 거의 마찬가지이다.
제12도는 다른 변형예의 단면도이고, 리어홀더(13)의 전방걸림부(36a, 36b)는 생략되고 접속단자(12)의 전방에의 걸림은 하우징(14)의 돌기(45)에 의해서 행하여진다.
제13도 및 제14도는 제2의 실시예의 일부를 절단한 사시도이고, 제13도는 하우징(51)의 후부에 리어홀더(52)가 완전걸어맞춤상태로 걸어 맞추어지고, 제1의 실시예와 같은 전선(11)이 붙은 접속단자(12)가 하우징(51)의 최종적인 위치에 수용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제14도는 리어홀더(52)의 하우징(51)에 대한 임시걸어맞춤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하우징(51)내에는 다수의 접속단자(12)가 2단복열로 수납하도록 되어 있고, 접속단자(12)는 상하단으로 상하대칭으로 삽입되어 있다.
제15도는 하우징(51)과 리어홀더(52)를 분리한 상태의 분해사시도이고, 하우징(51)의 위벽에는 상대측의 전기커넥터하우징에 대응하는 잠금용기구(61)가 설치되어 있고, 하우징(51)은 좌우대칭형이 되고, 잠금용기구(61)를 제외하고 상하가 대칭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51)의 내부는 격벽(62)에 의해 상하가 구획되어, 칸막이(63)에 의해 좌우가 구획되고 복수의 단자수용실(64)이 형성되어 있다. 인접하는 칸막이(63) 끼리의 간격은, 접속단자(12)의 단자접속부(21)의 좌우이동을 방지하는 크기로 되어, 단자수용실(64)의 격벽(62)과 이 격벽(62)에 대향하는 전방대향벽(64a)과의 간격은 단자접속부(21)의 상하이동을 방지하는 크기로 되어 있다. 격벽(62)에 대응하는 중간대향벽(64b)와 후방대향벽(64c)의 간격은, 접속단자(12)를 단자수용실(64)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후방을 향하여 크게되어 있다. 중간대향벽(64b)에서는, 접속단자(12)를 삽입할 때에 그 경사진 단자접속부(21)가 접촉하도록 경사지고, 후방대향벽(64c)은 피복압착부(23)가 접촉하도록 수평 또는 약간 경사져 있다. 하우징(51)의 전단부에는, 리어홀더(52)와 접속단자(12)의 전진을 규제하는 전방규제부(64d)가 형성 되어 있다. 그리고, 하우징(51)의 후부의 측벽과 최외측의 칸막이(63a)와의 사이에는, 격벽(62)의 측테두리의 외측을 통하는 간극(65)이 설치되고, 측벽에는 안내창문(66)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리어홀더(52)에는 하우징(51)의 간극(65)에 끼워지는 양측의 측판(71)과, 이것들의 측판(71)을 연결하는 연결판(72)이 설치되어 있고, 연결판(72)에는 하우징(51)의 격벽(62)이 끼워 맞춤되는 후방슬릿(73)이 뚫려 있다. 리어홀더(52)의 측판(71)에는, 하우징(51)의 측벽의 안쪽에 진입하여 하우징(51)의 측벽안쪽에 설치된 잠금홈에 끼워 맞춤되는 잠금돌기(74)와, 안내창문(66)에 진입하는 안내돌기(75)가 각각 바깥쪽 으로 향하여 설치된다. 또한 연결판(73)에는, 접속단자의 피복압착부(23)를 구획하는 압착부 칸막이(76)가 하우징(51)의 칸막이(63)에 대응하도록 설치되고, 피복압착부(23)의 돌출단부(23a)를 수용하는 압착부 수용구멍(77)이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연결판(72)의 전단부에는, 하우징(51)의 칸막이(63)에 접촉하도록 단자수용실(64)에 진입하는 단자유지판(78)이 일체로 설치되고, 상하의 단자유지판(78)의 사이에 형성된 전방 슬릿(79)은 하우징(51)의 격벽(62)이 진입하여 후방슬릿(73)에 끼워 맞춤되도록 되어 있다.
단자유지판(78)에는, 접속단자(12)의 단자접속부(21)의 전단부가 걸리는 전방걸림부(80)와, 접속단자(12)가 수평상태에 있는 때에 단자접속부(21)의 후단부가 걸리는 후방걸림부(81)가 설치된다. 그리고, 제16도의 부분확대사시도에 도시한 것처럼, 접속단자(12)가 경사진 윗쪽으로부터 수평상태로 이동할 때 넘는 것과 동시에, 넘은 뒤에 피복압착부(23)의 저부를 양측에서 거는 압착부 걸림돌기(82)가 압착부 칸막이(76)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하우징(51)과 리어홀더(52)는, 제14도에 도시한 것처럼 홀더(52)가 하우징(51)의 후부에 중간까지 삽입된 임시걸어맞춤위치를 지나서, 제13도에 도시한 것처럼 리어홀더(52)가 하우징(51)에 대하여 충분히 밀어 넣어진 완전 걸어맞춤위치로 걸어맞춤된다. 리어홀더(52)의 임시걸어맞춤위치로서는, 하우징(51)의 격벽(62)이 리어홀더(52)의 전방슬릿(79)에 진입하여 후방슬릿(73)에 끼워 맞춤된다.
동시에, 리어홀더(52)의 측판(71)이 하우징(51)의 간극(65)에 끼워넣어지고 리어홀더(52)의 잠금 돌기(74)와 안내돌기(75)는 하우징(51)의 안내창문(66)에 끼워 넣어진다. 그리고, 리어홀더(52)의 완전걸어맞춤위치로서는, 리어홀더(52)의 안내돌기(75)가 안내창문(66)의 앞벽에 접촉함과 동시에, 잠금돌기(74)가 하우징(51)의 잠금홈에 끼워 맞춤된다. 접속단자(12)는 리어홀더(52)가 임시걸어맞춤위치에 있는 때에 단자수용실(64)에 경사진 상태로 삽입되고, 단자접속부(21)의 배면이 하우징(51)의 경사진 중간대향벽(64b)에 접촉하면서 전진하여, 단자접속부(21)의 전단부가 전방걸림부(80)에 접촉하여 전진이 정지된다. 이 상태로부터 접속단자(12)를 연결판(72) 측으로 가압하여 수평상태로 하면, 피복압착부(23)가 압착부걸림 돌기(82)를 넘음과 동시에, 피복압착부(23)의 돌출단부(23a)가 압착부수용구멍(77)에 끼워 넣어지고, 동시에 접속단자(12)의 단자접속부(21)의 후단부가 후방걸림부(81)의 전방에 위치한다. 이것에 의해, 리어홀더(52)의 임시걸어맞춤위치에 있어서, 접속단자(12)의 피복압착부(23)가 압착부걸림돌기(82)에 걸리고, 접속단자(12)가 경사진 상태로 되돌아가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단자접속부(21)의 전단부가 전방걸림부(80)에 의해 걸림되고, 단자접속부(21)의 후단부가 후방걸림부(81)에 의해 걸리고, 접속단자(12)의 전후이동이 방지된다. 이 때, 접속단자(12)의 좌우 이동 칸막이(63)과 압착부칸막이(76)에 의해 방지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로부터 리어홀더(52)를 전방으로 향하여 밀어넣으면, 제13도에 도시한 것처럼 완전걸어맞춤위치가 되어, 단자접속부(21) 또는 단자유지판(78)의 전단부가 전방 규제부(64d)에 접촉함과 동시에, 리어홀더(52)의 안내돌기(75)가 안내창문(66)의 앞벽에 접촉하여, 리어홀더(52)의 잠금(錠止)돌기(74)가 하우징(51)의 잠금홈에 끼워 맞춤되어, 전기커넥터는 사용상태로 된다. 이 제2의 실시예로서는, 접속단자(12)는 리어홀더의 후방걸림부(81)에 의해 확실히 걸리고, 후방으로 빠져 나감은 생기지 않는다. 또한, 접속단자(12)의 단자접속부(21)의 요동을 전방대향벽(64a), 단자유지판(78), 양측의 칸막이(63)에 의해 방지할 수 있고, 피복압착부(23)의 요동을 연결판(72), 양측의 압착부칸막이(76), 양측의 압착부걸림돌기(82)에 의해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접속단자(12)가 중도삽입 상태에 있을 때는, 압착부걸림돌기(82)가 피복압착부(23)를 걸림할 수 없기 때문에, 접속단자(12)가 불완전하게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7도는 제3의 실시예의 단면도이고, 하우징(91)에는 리어홀더(92)가 제2의 실시예와 같이 걸어맞춤되고, 전선(11)을 접속한 접속단자(12)에는 단자접속부(21), 심선압착부(22), 피복압착부(23)에 덧붙여, 구멍(24a)를 가지고 대향하는 2개의 스테블라이저편(24)(stabilizer strip)이 단자접속부(21)의 후방에 설치된다. 또한, 하우징(91)의 격벽(62)의 전방부에는, 전방대향벽(64a)과의 사이에 단자접속부(21)의 상하이동을 방지하도록 지지하는 단자지지대(台)(93)가 설치된다. 한편, 리어홀더(92)의 단자유지판(101)은, 제2의 실시예의 전방걸림부(80)가제외되고, 제18도의 부분확대사시도 및 제19도의 부분확대 우측면도에게 도시한 것처럼, 그 표면에 단자접속부(21)가 걸리는 경사면(102a)을 가진 후방걸림부(102)가 설치되고, 후방걸림부(102)의 양측면에는 스테블라이저편(24)을 안내하는 안내홈(103)이 형성되어 있다. 안내홈(103)의 앞벽은 접속단자(12)가 수평상태가 되어 후방걸림부(102)가 단자접속부(21)를 걸었을 때에 스테블라이저편(24)가 앞테두리가 걸리는 스테블라이저 걸림부(104)가 되고, 안내홈(103)의 저벽에는 스테블라이저편(24)의 돌출단을 수용하는 홈(105)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 밖의 구성은 제2의 실시예와 거의 같다. 리어홀더(92)가 임시걸어맞춤위치에 있는 때에 접속단자(12)를 삽입하면, 제17도의 상단에 도시한 것처럼 단자접속부(21)의 배면이 단자수용실(64)의 중간대향벽(64b)에 접촉하면서 경사상태로 전진한다. 이 때, 스테블라이저편(24)은 안내홈(103)에 끼워져 전진하여, 스테블라이저편(24)의 전단테두리가 스테블라이저부(104)에 접촉하여 전진이 정지된다. 이 상태로부터 전선(11)을 격벽(62)측으로 압압하고, 제17도의 하단에 도시한 것처럼 접속단자(12)를 수평상태로 하면, 피복압착부(23)의 선단부(23a)가 압착부 수용구멍(77)에 끼워 넣어져, 스테블라이저편(24)의 돌출단이 홈(105)에 끼워진다. 동시에, 단자접속부(21)의 후단부가 후방걸림부(102)의 전방에 위치하여, 피복압착부(23)가 압착부(82)를 넘는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로부터 리어홀더(92)를 밀어넣으면 리어홀더(92)가 완전걸어맞춤위치에 이동하여, 단자접속부(21)의 전단부가 단자규제부(64d)에 접촉됨과 동시에, 단자접속부(21)의 전방부가 전방대향벽(64a)와 단자지지대(93)의 사이에 끼워 맞춤된다.
이 제3의 실시예로서는, 리어홀더(92)의 임시걸어맞춤위치에 있어서, 수평상태에 있는 접속단자(12)의 전후이동이 스테블라이저 걸림부(104)와 후방걸림부(102)에 의해 방지된다. 그리고, 그 밖의 작용효과는 제2의 실시예와 같이 된다.
또, 제20도에 도시한 것처럼 접속단자(12)의 피복압착부(23)와 압착부칸막이(76)와의 걸림구조로서, 피복압착부(23)의 선단부(23a)에 설치된 오목부(23b)에 압착부칸막이(76)에 설치한 볼록부(106)를, 접속단자(12)를 상단으로부터 하단에 도시한 것처럼 움직여서 끼워 맞추도록 해도 좋다. 또한 제21도에 도시한 것처럼, 단자유지판(101)의 안내홈(103)의 측벽에, 경사면(107a)을 가지고 스테블라이저편(24)의 구멍(24a)에 끼워 맞추는 돌기(107)를 설치하면, 다른 되돌아감 방지기구를 쓰지 않더라도, 이 돌기(107)에 의해 접속단자(12)가 경사상태에 되돌아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2도는 제4의 실시예의 수직단면도이고, 하우징(111)의 후부에 리어홀더(112)가 완전걸어맞춤상태로 끼워 맞추어져서, 전선(113)이 붙은 접속단자(114)가 하우징(111)의 최종위치에 수용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제23도는 하우징(111)과 리어홀더(112)를 분해한 상태를 나타내는 수평단면도, 제24도는 하우징(111)의 일부를 나타내는 우측면도, 그리고 제25도는 리어홀더(112)의 일부를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다.
제26도는 접속단자(114)의 일부를 절단한 사시도이고, 이 접속단자(114)는 상대측단자를 접속하는 각통형상의 단자접속부(121)와, 후방으로 가면서 좌우방향으로 지름이 줄어드는 연결부(122)와, 전선(113)의 심선을 눌러 붙이는 심선압착부(123)와, 전선(113)의 피복을 눌러 붙이는 피복압착부(124)가 전방으로부터 차례로 설치된다. 또한, 접속단자(114)의 밑바닥판(121a)에는, 안쪽으로 돌출하여 천정판(121b)측의 가동접촉편(125)과의 사이에 상대측단자를 받아 들이는 접촉부(126)와, 리어홀더(112)의 후술하는 클릭부를 끼워넣는 클릭부 끼워넣음 구멍(127)이 설치된다. 하우징(111)의 전방부에는 격벽(131)에 의해 상하로 구획되어 리어홀더(112)의 전방부를 수용하는 전방수용실(132)이 설치되고, 하우징(111)의 후방부에는, 리어홀더(112)의 후방부를 수용하는 후방수용실(133)이 형성되어 있다. 전방수용실(132)은 후방으로 가면서 단계적으로 지름이 커지는 상하외벽(111a, 111b)과 단계가 없는 좌우외벽(111c)으로 둘러싸이고, 후방수용실(133)은 상하외벽(111b) 보다도 지름이 큰 상하외벽(111d)와, 좌우외벽(111c) 보다도 지름이 큰 좌우외벽(111e)으로 둘러싸여 있다. 하우징(111)의 전단부에는 전방외벽(111f)이 설치되고, 한편, 하우징(111)의 후단부는 개구로 되어, 전방외벽(111f)에는 상대측접속단자의 단자부를 밀고 나가는 단자삽통구(134)가 뚫려 있다. 그리고, 좌우외벽(111e)에는 리어홀더(112)의 후술하는 안내돌기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창문(135)과, 리어홀더(112)를 걸어맞춤 하기 위해 안쪽으로 향하는 리어홀더걸림부(136)가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하외벽(111a)의 높이는 리어홀더(112)의 전단부를 요동하지않도록 수용하는 크기로 되고, 상하외벽(111b, 111d)의 높이는 접속단자(114)를 하우징(111)과 리어홀더(112)에 경사상태로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는 크기로 되어 있다. 또한, 상하외벽(111a, 111b)에서는 각각의 접속단자(114)를 하우징(111) 및 리어홀더(112)내에 개개로 이끄는 단자안내판(137)이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것들의 단자안내판(137)은, 리어홀더(112)에 형성된 후술하는 전방규제돌기의 사이에 끼워 맞춤되는 두께로 되어, 접속단자(114)의 단자접속부(121)에 접촉하는 수평(137a)와, 경사상태의 단자접속부(121)에 접촉하는 경사면(137b)이 설치된다. 한편, 제27도의 부분확대사시도에 도시한 것처럼, 리어홀더(112)는 다수의 접속단자(114)를 병렬로 얹어 놓은 단자유지판(141)을 구비하고, 이 단자유지판(141)은 하우징(111)의 좌우외벽(111c)의 사이에 진입하는 폭을 가지며, 단자유지판(141)에는 하우징(111)의 격벽(131)을 끼워 넣는 슬릿(142)이 설치된다. 단자유지판(141)의 후단부의 양측에는, 하우징(111)의 좌우외벽(111e)의 안쪽을 진퇴하는 측판(143)이 형성되어, 이것들의 측판(143)에는 하우징의 안내창문(135)에 안내되는 안내돌기(143a)가 바깥쪽으로 향하여 설치된다. 또한, 단자유지판(141)의 후부의 상하면은, 접속단자(114)의 피복압착부(124)를 유지하는 한층 더 낮은 후방유지부(141a)로 되고, 단자유지판(141)의 상하면에는 접속단자(114) 끼리를 칸막는 칸막이 벽(144)이 설치된다. 칸막이 벽(144)의 전단부에는, 좌우양측에 위치하여 접속단자(114)의 전단부의 상하이동을 방지하는 전방규제돌기(145, 146)가 설치된다. 이것들의 전방규제돌기(145, 146) 끼리의 간격은, 하우징(111)의 단자안내판(137)을 끼워 맞추는 크기로 되어, 전방규제돌기(145, 146)의 후단부에는 경사면(145a, 146a)(146a는 도시하지 않음)이 각각 형성되어, 전단부에는 하방으로 돌출하여 접속단자(114)의 전단부가 걸리는 돌기(145b, 146b)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칸막이 벽(144)의 사이의 단자유지판(141)에는 접속단자(114)의 클릭부 끼워 넣음구멍(127)에 끼워넣어 접속단자(114)의 후방으로 빠져나가 경사상태로 되돌아감을 방지하는 돌기형상의 후방걸림부(147)가 설치된다. 후방걸림부(147)의 후부에는 접속단자(114)의 클릭부 끼워넣음 구멍(127)에 용이하게 끼워넣을 수 있도록 경사면(147a)이 설치되고, 앞 부분에는 수평상태의 접속단자(114)가 후방으로 빠질 때에 접속단자(114)의 저판(121a)의 표면에 걸리는 클릭부(147b)가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다.
후방걸림부(147)의 후방에는, 접속단자(114)의 연결부(122)에 좌우방향의 양측에서 접촉하여 그 좌우이동을 방지하는 후방규제돌기(148, 149)가 설치된다. 그리고, 이것들의 후방규제돌기(148, 149)의 내면측에는 접속단자(114)가 후방으로 이동하였을 때에 연결부(122)를 용이하게 받아 들이는 경사면(148a, 149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것들의 하우징(111)과 리어홀더(112)는 제28도에 도시한 것처럼 리어홀더(112)가 하우징(111)에 대하여 중간까지 삽입된 임시걸어맞춤위치와, 제29도에 도시한 것처럼 리어홀더(112)가 하우징(111)에 대하여 충분히 밀어넣어진 완전걸어맞춤위치와 걸어맞춤된다.
임시걸어맞춤및 완전걸어맞춤위치에서는, 리어홀더(112)이 단자유지판(141)이 하우징(111)의 전방수용실(132)에 삽입되어, 하우징(111)의 격벽(131)이 리어홀더(112)의 슬릿(142)에 끼워맛춰진다. 또한 측판(143)이 후방수용실(133)에 삽입되어, 리어홀더(112)의 안내돌기(143a)는 하우징(111)의 안내창문(135)에 끼워 넣어진다. 이 때, 하우징(111)의 단자안내판(137)은 리어홀더(112)의 전방규제돌기(145, 146)의 사이에 끼워 맞춰진다.
그리고, 임시걸어맞춤위치에서는 리어홀더(112)의 후단면은 하우징(111)의 후단면에 거의 일치한 위치에 있고, 완전걸어맞춤위치에서는 하우징(111)에 설치된 리어홀더걸림부(136)가 리어홀더(112)의 후단면을 건다.
제30도에 도시한 것처럼, 전선(113)이 붙은 접속단자(114)는, 리어홀더(112)가 임시걸어맞춤위치에 있는 때에 하우징(111)과 리어홀더(112)내에 경사상태로 삽입된다. 접속단자(114)가 삽입되는 때는 단자접속부(121)의 저판(121a)측이 후방걸림부(147)의 표면에 접촉하여, 천정판(121b)측이 하우징(111)의 단자안내판(131)의 수평면(137a)와 경사면(137b)의 경계근방에 접촉하면서 전진하여, 단자접속부(121)의 전단부가 돌기(145b, 146b)에 접촉한다.
이 상태로부터 제31도에 도시한 것처럼 접속단자(114)를 단자유지판(141)측으로 가압하여 수평상태로 하면, 피복압착부(124)의 저면이 후방유지부(141a)의 표면에 접촉됨과 동시에, 접속단자(114)의 클릭부 끼워넣음 구멍(127)에 후방걸림부(147)가 끼워진다.
이 상태로 전선(113)을 후방으로 빼면, 클릭부 끼워넣음구멍(127)의 앞 부분의 저판(121a)이 클릭부(147b)의 하부에 끼워 맞춤되어, 접속단자(114)가 경사상태로 되돌아가는 것과 후방으로 빠져 나가는 것이 방지된다. 동시에, 접속단자(114)의 연결부(122)가, 경사면(48a, 49a)에 각각 안내되면서 후방규제돌기(148, 1119)의 사이에 진입하여, 접속단자(114)의 좌우방향의 이동이 방지된다.
다음에, 리어홀더(112)를 상술하였던것 같이 임시걸어맞춤위치로부터 전방으로 향하여 밀어넣으면, 제22도에 도시한 것처럼 완전걸어맞춤위치가 되어, 리어홀더(112)는 하우징(111)에 리어홀더걸림부(136)에 의해 완전걸어맞춤위치로 걸림되어, 전기커넥터는 사용 상태가 된다. 이 때, 리어홀더(112)의 전단부가 전방외벽(111f)에 접촉됨과 동시에, 접속단자(114)의 단자접속부(121)가 단자안내판(137)의 수평면(137a)과 단자유지판(141)의 사이에 유지된다.
이 제4의 실시예로서는, 리어홀더(112)의 임시걸어맞춤위치에 있어서 접속단자(114)는 후방걸림부(147)의 클릭부(147b)에 의해 경사상태로 되돌아가는 것이 방지되기 때문에, 접속단자(114)의 후방으로 빠져 나가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가 있어, 리어홀더(112)의 임시걸어맞춤위치에 있어서의 배선작업의 능률을 향상시킬 수있다.
또한, 접속단자(114)의 단자접속부(121)의 요동을 단자안내판(137), 단자유지판(141), 양측의 칸막이 벽(144)에 의해 방지할 수 있고, 접속단자(114)의 연결부(122)의 좌우이동을 후방규제돌기(148, 149)에 의해 방지할 수 있고, 접속단자(114)의 전기적 접촉을 확보할 수가 있다.
제32도는 제5의 실시예의 하우징(151)과 리어홀더(151)의 분해사시도, 제33도는 하우징(151)에 리어홀더(152)를 임시걸어맞춤한 상태의 단면도이고, 하우징(151)의 후부에 리어홀더(152)가 걸어맞춤되어. 전선(153)이 붙은 접속단자(154)가 하우징(151)에 수용되어 있다. 접속단자(154)는 차례로 상대측접속단자를 접속하는 각통형상의 단자접속부(161)와, 접속단자(154)를 안정시키는 스테블라이저(162)와, 전선(153)의 심선을 눌러 붙이는 심선압착부(163)와, 전선(153)의 피복을 눌러 붙이는 피복압착부(164)가 설치된다. 또한, 단자접속부(161)의 천정면에는 돌기(165)와, 후방향돌기(166)가 설치된다.
하우징(151)은 위벽의 상대측 전기커넥터하우징과의 잠금기구(171)를 제외하고 상하 및 좌우가 대칭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151)의 내부는 다수의 칸막이(172)에 의해 좌우가 구획되고, 복수의 단자수용실(173)이 상하2단으로 형성되어 있다. 칸막이(172)에는 상하의 중간에서 슬릿(174)이 형성되어, 슬릿(174)의 앞 부분은 단자수용실(173)의 전방부의 상하를 칸막는 상하격벽(175)이 있다. 단자수용실(173)의 전단에는, 접속단자(154)의 전방이동을 규제하는 앞부분돌기(176)가 형성되고, 상하격벽(175)의 후단에는 얇은 두께부(175a)가 형성되어 있다. 칸막이(172) 끼리의 간격은 접속단자(154)의 좌우 이동을 방지하는 크기로 되어, 전방천정벽(177)의 높이는, 접속단자(154)의 단자접속부(161)의 상하이동을 방지하는 크기로 되어 있다. 전방천정벽(177)로부터 뻗어 있는 중간천정벽(178)은 가요성을 가지고, 각 단자수용실(173)마다 슬릿이 설치된 탄발성(彈發性)을 가지는 얇은 판자형상으로 되고, 그 후방은 바깥쪽에 향하고 만곡되어 있다. 또, 중간천정벽(178)은 슬릿에 의해 단자수용실(173)마다 휘기 쉽게 되어 있다. 중간천정벽(178)으로부터 뻗어 있는 후방천정벽(179)의 높이는 전방천정벽(177)보다도 충분히 크게 되고, 후방천정벽(179)의 후부에는 후방이 크게 되는 경사면(179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최외측의 칸막이(172a)와 측벽(180)의 사이에는 간극(181)이 설치되고, 측벽(180)에는 리어홀더(152)의 후술하는 안내돌기를 안내하는안내창문(182)과, 리어 홀더(152)의 후술하는 잠금돌기를 안쪽으로 안내하는 잠금홈(183)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리어홀더(152)에는 하우징(151)의 간극(181)에 끼워 맞춤되는 양측의 측판(191)과, 이것들의 측판(191)을 연결하여 하우징(151)의 슬릿(174)내에 진입하는 연결판(192)이 설치된다. 연결판(192)의 전단에는 상하격벽(175)의 얇은 두께부(175a)가 끼워 맞춤되는 단면오목부(192a)와, 접속단자(154)의 돌기(165)가 끼워 넣어지는 표면오목부(192b)가 설치된다. 측판(191)의 외면에는, 하우징(151)의 잠금홈(183)에 끼워 맞춤되는 잠금돌기(193)와, 하우징(151)의 안내창문(182)에 끼워 넣는 안내돌기(194)가 설치된다.
그리고, 연결판(192)의 상하면에는 하우징(151)의 단자수용실(173)에 진입하여 접속단자(154)가 걸리는 후방걸림부(195)가 설치된다. 후방걸림부(195)의 전단면은 접속단자(154)의 단자접속부(161)의 후부가 걸리는 전부(前部)걸림면(195a)이 되고, 전부걸림면(195a)에는 접속단자(154)의 후방향돌기(166)를 받아 들이는 홈(195b)이 형성되어 있다. 후방걸림부(195)의 표면후부는 경사면(195c)으로 되어 있고, 후방걸림부(195)의 후부의 양측면에는 스테블라이저편(162)을 안내하는 안내홈(195d)이 형성되어, 안내홈(195d)의 앞벽은 스테블라이저편(162)의 앞테두리가 걸리는 후부걸림면(195e)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자유상태에 있어서의 중간천정벽(178)의 내면과, 리어홀더(152)의 임시걸어맞춤 위치에 있어서의 후방걸림부(195)와의 간격은, 중간천정벽(178)이 바깥쪽으로 휘면서 접속단자(154)의 단자접속부(161)를 후방걸림부(195)와의 사이에 받아 들이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하우징(151)과 리어홀더(152)는 리어홀더(152)가 하우징(151)의 후부에 중간까지 삽입된 임시걸어맞춤위치와, 리어홀더(152)가 하우징(151)에 대하여 충분히 밀어넣어진 완전걸어맞춤위치와 각각 걸어맞춤된다. 접속단자(154)를 하우징(151)에 수용하는 때는, 제33도에 도시한 것처럼 리어홀더(152)가 하우징(151)에 대하여 임시걸어맞춤 위치에 있는 때에, 접속단자(154)를 경사상태로 단자수용실(173)에 압입한다. 이때, 리어홀더(152)의 측판(191)이 하우징(151)의 간극(181)에 끼워넣어지고, 리어홀더(152)의 잠금돌기(193)와 안내돌기(194)는 하우징(151)의 간극(181)과 안내창문(182)에 각각 끼워 넣어진다. 그리고, 리어홀더(152)의 완전걸어맞춤위치에 있어서는 안내돌기(194)가 안내창문(182)의 앞벽에 접촉하고, 잠금돌기(193)가 잠금홈(183)에 끼워 맞춤된다. 접속단자(154)의 삽입에 따라서, 중간천정벽(178)은 제34도에 도시한 것처럼 바깥쪽으로 휘면서 단자접속부(161)를 후방걸림부(195)와의 사이에 받아 들여, 접속단자(154)의 전단이 상하격벽(175)에 접촉하는 것에 비해 접속단자(154)의 전진이 정지된다.
동시에, 접속단자(154)의 후방향돌기(166)는 후방걸림부(195)를 타고 넘은 상태가 된다. 이 상태로 접속단자(154)를 자유상태로 방치하면, 중간천정벽(178)이 복원하여 접속단자(154)의 후부를 방향B로 움직이고, 접속단자(154)를 수평상태로 한다. 이것에 의해, 제35도에 도시한 것처럼 접속단자(154)의 돌기(165)가 리어홀더(152)의 표면오목부(192b)에 끼워넣어져, 접속단자(154)의 후방향돌기(166)가 홈(195b)의 전방에 위치하여, 접속단자(154)가 단자수용실(173)로부터 후방으로 빠져 나오는 것은 없어진다. 또한, 중간천정벽(l78)은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기 때문에, 접속단자(154)가 경사상태로 용이하게 되돌아가는 일은 없다. 또, 이 상태로 접속단자(154)를 후방으로 빼면, 후방향돌기(166)가 홈(195b)에 끼워져, 접속단자(154)가 경사상태에 되돌아가는 것은 없어진다. 다음에, 리어홀더(152)를 하우징(151)에 대하여 충분히 밀어 넣으면, 도 36에 도시된 것처럼 리어홀더(152)가 완전걸어맞춤위치에 이동하여, 단자접속부(161)가 상하격벽(175)과 전방천정벽(177)의 사이에 끼워 맞춤됨과 동시에, 단자접속부(161)이 전단이 앞 부분돌기(176)에 접촉한다. 이 때, 하우징(151)의 얇은 두께부(175a)는 리어홀더(152)의 단면오목부(192a)에 끼워 맞춤된다. 그리고, 리어홀더(152)의 안내돌기(194)가 안내창문(182)의 앞벽에 접촉하여, 리어홀더(152)의 잠금돌기(193)가 하우징(151)의 잠금홈(183)에 끼워 맞춤된다. 이와 같이, 제5의 실시예로서는 하우징(151)의 중간천정벽(178)이 가요성을 가지고, 리어홀더(152)의 임시걸어맞춤위치에 있어서, 중간천정벽(178)이 바깥쪽으로 휘고 경사 상태의 접속단자(154)의 단자접속부(161)를 리어홀더(152)의 후방걸림부(195)와의 사이로 받아 들여, 접속단자(154)가 소정위치에 진입한 후에 중간천정벽(178)이 복원하여 접속 단자(154)를 수평으로 이동시키기 때문에, 단자접속부(161)가 후방걸림부(195)에 걸릴수가 있다.
제37도는 제5의 실시예의 변형예이고, 리어홀더(152)의 후방걸림부(195)의 형상이 제32도의 리어홀더(152)와 다르다.
제38도는 하우징(151)에 리어홀더(152)를 임시걸어맞춤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제39도의 부분확대도에 도시한 것처럼, 후방걸림부(195)의 전단면은 접속단자(154)의 둥근형상을 가진 후방향돌기(167)를 전방 및 아래쪽으로 향하여 미끄럼 이동시키는 곡면(195f)으로 되어, 이 곡면(195f)의 하부에는 후방향돌기(167)가 걸리는 걸림홈(195g)이 형성되어 있다. 접속단자(154)를 하우징(151)에 수용하는 때는, 상기 실시예와 같이 제 38도에 도시한 것처럼 리어홀더(152)가 하우징(151)에 대하여 임시걸어맞춤위치에 있는 때에, 접속단자(154)를 경사상태로 단자수용실(173)에 압입한다. 접속단자(154)의 삽입에 따라서, 중간천정벽(178)은 제40도에 도시한 것처럼 바깥쪽으로 휘고 단자접속부(161)를 후방걸림부(195)와의 사이에 받아 들인다. 접속단자(154)의 후방향돌기(166)가 후방걸림부(195)의 곡면(195f)상에 진입할 때, 중간천정벽(178)이 복원하여 접속 단자(154)를 아래쪽으로 힘을 가하여, 후방향돌기(166)를 전방 및 아래쪽으로 미끄럼 이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압입될 때에 자연스럽게 삽입감각이 얻어짐과 동시에 접속단자(154)의 후부가 방향B로 이동하고, 제41도에 도시한 것처럼 접속단자(154)가 수평상태가 된다. 이 상태로부터, 리어홀더(152)를 하우징(151)에 대하여 충분히 밀어누르면, 리어홀더(152)가 완전걸어맞춤위치로 이동된다.
제42도는 제6의 실시예의 하우징(201)에 리어홀더(202)를 임시걸어맞춤한 상태의 단면도이고, 하우징(201)의 후부에 리어홀더(202)가 끼워맞춤되고, 제5의 실시예의 변형예와 동등의 접속단자(154)가 하우징(201)에 수용되어 있다. 또, 제5의 실시예와 동일한 부호는 동등의 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하우징(201)의전방천정벽(211)로부터 뻗어 있는 중간천정벽(212)은 가요성을 가지어, 슬릿에 의해 단자수용실(173) 마다 휘기 쉽게 되어 있고, 후방을 자유단(212a)로 하는 탄발성을 구비한 판모양으로 되어, 이 자유단(212a)은 입구부분이 약간 열린 두꺼운 두께부로 되어 있다. 후방천정벽(213)은, 중간천정벽(212)의 자유단(212a)과 후방천정벽(213)의 앞 부분의 사이에 공간(214)을 갖는 높이로 되고, 후방천정벽(213)의 내면후부에는 후방쪽으로 높아지는 경사면(214a)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리어홀더(202)의 연결판(192)의 후부의 상하에는, 하우징(201)의 후부에 진입하는 통형상부(221)가 설치되고, 통형상부(221)의 내부는 접속단자(154)를 밀고 나가는 단자 삽통구멍(222)으로 되어 있다. 통형상부(221)는 하우징(201)의 잠금기구(171)에 대응하는 부분을 제외하고, 상하 및 좌우가 대칭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연결판(192)의 상하면에는, 하우징(201)의 단자수용실(173)로 진입하여 접속단자(154)의 단자접속부(161)가 걸리는 후방걸림부(223)가 설치된다. 후방걸림부(223)의 전단면은 접속단자(154)의 후방향돌기(166)를 거는 전부걸림면(223a)이 되고, 전부 걸림면(223a)은 하부가 후방으로 물러서도록 경사져 있다. 후방걸림부(223)의 표면후부는 경사면(223b)으로 되어 있고, 후방걸림부(223)의 후부의 양측면에는, 스테블라이저편(162)을 안내하는 안내홈(223c)이 형성되어, 안내홈(223c)의 앞벽은 스테블라이저편(162)의 앞테두리가 걸리는 후부걸림면(223d)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자유상태에 있어서의 중간천정벽(212)은, 리어홀더(202)의 임시걸어맞춤위치에 있어서, 중간천정벽(212)의 자유단(212a)이 바깥쪽의 공간(214)으로 이동하도록 휘고 접속단자(154)의 단자접속부(161)를후방걸림부(223)와의 사이에 받아 들이게 되어 있다.
더욱, 통형상부(221)의 천정판(22a)에는, 중간천정벽(212)의 자유단(212a)의 표면을 가압하는 가압돌기(224)가, 단자삽통구멍(222)에 진입한 칸막이(172)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가압돌기(224)에는, 접속단자(154)를 경사상태로 안내하는 안내면(224a)이 후부에 설치되고, 리어홀더(202)의 완전걸어맞춤위치에 있어서 중간천정벽(212)의 자유단(212a)의 표면에 접촉하여 누르는 면(224b)이 앞 부분에 설치된다. 접속단자(154)를 하우징(201)에 수용하는 때는, 제43도에 도시한 것처럼 리어홀더(202)가 하우징(201)에 대하여 임시걸어맞춤위치에 있는 때에, 접속단자(154)를 경사진 상태로 단자수용실(173)에 압입한다. 접속단자(154)는 표면이 리어홀더(202)이 가압돌기(224)의 안내면(224a)에 접촉하도록 진입하여, 접속단자(154)가 진입함에 따라서, 중간천정벽(212)은 자유단(212a)을 바깥쪽의 공간(214)내로 이동하면서 단자접속부(161)를 후방걸림부(223)와의 사이에 받아 들인다. 접속단자(154)의 후방향돌기(166)가 후방걸림부(223)를 타고 넘은 때에, 접속단자(154)를 자유상태에 방치하면, 중간천정벽(212)이 복원하여 접속단자(154)의 후부를 방향B에 이동시키고, 경사상태의 접속단자(154)를 제42도에 도시한 것처럼 수평상태로 한다. 이 때, 접속단자(154)의 돌기(165)가 리어홀더(202)의 표면오목부(192b)에 끼워 넣어지고, 후방향돌기(166)가 후방걸림부(223)의 전방경사면(223a)의 전방에 위치하여, 스테블라이저편(162)이 안내홈(223c)에 끼워 맞춤된다.
또한, 중간천정벽(212)은 원래의 위치에 복원하고 있기 때문에,접속단자(154)가 경사상태로 되돌아가는 것은 없고, 접속단자(154)가 단자수용실(173)로부터 후방으로 빠져 나오는 일이 없게 된다. 다음에, 제44도에 도시한 것처럼 리어홀더(202)를 하우징(201)에 대하여 충분히 밀어넣어 눌러 완전걸어맞춤위치로 하면, 단자접속부(161)가 상하격벽(175)과 전방천정벽(211)의 사이에 끼워 맞춤됨과 동시에, 단자접속부(161)의 전단이 앞 부분돌기(176)에 접촉한다. 이 때, 하우징(201)의 박육부(175a)는 리어홀더(202)의 단면오목부(192a)에 끼워 맞춤된다. 그리고, 리어홀더(202)의 가압돌기(224)의 누르는 면(224b)이 중간천정벽(212)의 자유단(212a)의 표면을 누른다.
한편, 제45도에 도시한 것처럼 접속단자(154)가 후방걸림부(223)를 타고 넘지 않은 경사 상태로 있는 때에, 리어홀더(202)를 완전걸어맞춤위치에 밀어누른 경우에는, 리어홀더(202)의 가압돌기(224)의 전면이 중간천정벽(212)의 후면에 접촉하여, 리어홀더(202)가 완전걸어맞춤위치에 이동할 수 없게 된다.
이와 같이, 제6의 실시예로서는 하우징(201)의 중간천정벽(212)이 가요성을 가지고, 리어홀더(202)의 임시걸어맞춤위치에 있어서, 중간천정벽(212)의 자유단(212a)이 바깥쪽의 공간(214)내에 이동하면서 경사상태의 접속단자(154)의 단자접속부(161)를 리어홀더(202)의 후방걸림부(223)와의 사이에 받아 들이기 때문에, 접속단자(154)가 소정위치에 진입한 후에 중간천정벽(212)이 복원하여 접속단자(154)를 수평으로 이동시키어, 단자접속부(161)를 후방걸림부(223)에 자동적으로 걸수가 있다. 또한, 리어홀더(202)의 완전걸어맞춤위치에 있어서, 가압돌기(224)가 중간천정벽(212)의 자유단(212a)의 표면을 가압하기 때문에, 접속단자(154)의 특히후부의 요동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리어홀더(202)의 임시걸어맞춤위치에 있어서 접속단자(154)를 단자수용실(173)에 삽입하는 만큼, 중간천정벽(212)에 의해 접속단자(154)를 아래쪽으로 가압하고 있기 때문에, 접속단자(154)가 경사상태로 되돌아 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접속단자(154)의 단자 접속부(161)의 후부가 후방걸림부(223)에 확실히 걸릴 수 있다.
또한, 중간천정벽(212)의 탄성력에 의해 접속단자(154)를 수평상태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접속단자(154)의 삽입감각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욱, 접속단자(154)의 경사진 상태로서는 리어홀더(202)를 완전걸어맞춤위치에 밀어누를 수 없기 때문에, 접속단자(154)의 오(誤)-삽입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같이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전기커넥터는, 리어홀더를 하우징에 임시걸어맞춤 상태로 접속단자를 경사상태로 받아 들여, 접속단자가 소정위치에 진입한 후에 접속 단자를 수평상태로 하여 후방걸림부에 걸고, 그 후에 리어홀더를 완전걸어맞춤위치로 이동시켜, 접속단자의 후방으로의 빠져 나감을 방지한다. 따라서, 종래의 신뢰성이 적은 걸림랜스가 불필요하고, 후방으로의 빠져 나감을 확실히 방지하고, 성형금형이 간소 하여진다.

Claims (15)

  1. 접속단자를 걸기 위한 리어홀더를 하우징의 후부로부터 전진이 자유롭게 끼워 맞춰, 상기 리어홀더와 상기 하우징이 상기 리어홀더를 중간까지 삽입한 임시걸어맞춤위치와, 상기 리어홀더를 충분히 밀어넣어 완전걸어맞춤위치에 각각 걸어맞춤하는 전기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리어홀더의 접속단자재치부에 상기 접속단자의 후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후방걸림부를 설치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접속단자를 경사상태로 받아 들이는 경사부와 수평상태에서의 상기 접속단자의 전방부를 끼워붙이는 평행부를 설치하고, 상기 임시걸어맞춤위치에서 상기 접속단자를 상기 하우징의 경사부를 따라 경사상태로 삽입하여 상기 리어홀더의 윗쪽에 위치시킨 후에 상기 접속단자를 수평상태로 이동하여 상기 리어홀더의 접속단자재치부에 얹어놓음과 동시에, 상기 접속단자를 상기 리어홀더의 후방걸림부에 걸고, 상기 리어홀더를 상기 완전걸어맞춤위치로 이행하는 과정에서 상기 접속단자의 전방부를 상기 하우징의 평행부에 끼워붙임과 동시에 상기 리어홀더를 상기 하우징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홀더의 후방걸림부는 상기 접속단자의 중간부를 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홀더에는 상기 접속단자의 전방으로 빠져 나가는것을 규제하는 전방걸림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홀더의 저부에 상기 접속단자의 전선고정부를 끼워 맞추기 위한 홈부분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커넥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홀더에는 상기 접속단자가 수평상태로부터 경사상태로 되돌아가는 것을 방지하는 압착부걸림돌기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커넥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홀더의 후방걸림부의 양측에, 상기 접속단자의 좌우에 대향하는 2개의 스테블라이저편을 안내하는 안내홈을 형성하고, 이것들의 안내홈의 앞벽은 상기 스테블라이저편의 앞테두리가 걸리는 전방걸림부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커넥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홈의 측벽에는, 상기 스테블라이저편이 전방걸림부에 접촉하여, 상기 접속단자가 수평상태에 있는 때에 상기 스테블라이저편에 설치한 구멍부에 걸어 맞춤하는 돌기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커넥터.
  8. 접속단자를 걸기 위한 리어홀더를 하우징의 후부로부터 전진이 자유롭게 끼워 맞춰, 상기 리어홀더와, 상기 하우징이 상기 리어홀더를 중간까지 삽입한 임시걸어맞춤위치와, 상기 리어홀더를 충분히 밀어 넣어 누른 완전걸어맞춤위치에 각각 걸어맞춤하는 전기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리어홀더의 접속단자재치부에 상기 접속단자의 후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후방걸림부를 설치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접속단자를 경사상태로 받아 들이는 경사부와 수평상태에서의 상기 접속단자의 전방부를 끼워붙이는 평행부를 설치하고, 상기 접속단자의 저부에는 상기 후방걸림부를 끼우는 구멍부를 설치하고, 상기 임시걸어맞춤위치에서 상기 접속단자를 상기 하우징의 경사부를 따라서 경사상태로 삽입하여 상기 리어홀더의 윗쪽에 위치시킨 후에 상기 접속단자를 수평상태로 이동시켜 상기 리어홀더의 접속단자재치부에 얹어 놓음과 동시에 상기 접속단자의 구멍부에 상기 리어홀더의 후방걸림부를 걸고, 상기 리어홀더를 상기 완전걸어맞춤 위치로 이행하는 과정에서 상기 접속단자의 전방부를 상기 하우징의 평행부에 끼워붙임과 동시에 상기 리어홀더를 상기 하우징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커넥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홀더의 후방걸림부는 전방을 향하는 클릭부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커넥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홀더에는 상기 접속단자의 지름이 줄어드는 부분을 유지하는 후방규제돌기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커넥터.
  11. 접속단자를 걸기 위한 리어홀더를 하우징의 후부로부터 전진이 자유롭게 끼워 맞춰, 상기 리어홀더와 상기 하우징이 상기 리어홀더를 중간까지 삽입한 임시걸어맞춤 위치와, 상기 리어홀더를 충분히 밀어 넣어 누른 완전걸어맞춤위치에 각각 걸어맞춤하는 전기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리어홀더의 접속단자재치부에 상기 접속단자의 후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후방걸림부를 설치하고, 상기 하우징에 상기 접속단자를 수용하는 단자수용실을 설치하고, 그 단자수용실의 전방은 수평상태에서의 접속단자의 전방부를 끼워붙이는 평행부로 하고 상기 단자수용실의 후방의 천정벽은 상기 리어홀더가 상기 임시걸어맞춤위치에 있는 때에 상기 접속단자를 경사상태로 받아들이는 고정된 경사부로 하고 상기 단자수용실의 중간의 천정벽은 가요성을 가지는 경사부로 하고 상기 임시걸어맞춤위치에서 상기 가요성을 가지는 경사부는 상기 고정된 경사부에 따라서 진입한 상기 접속단자에 의해 바깥쪽으로 탄성적으로 휘면서 상기 후방걸림부와의 사이에 경사상태의 상기 접속단자를 받아 들임과 동시에, 상기 접속단자가 소정 위치에 진입한 후에 복원하여 상기 접속 단자를 상기 리어홀더의 접속단자재치부에 얹어 놓음과 동시에 상기 후방걸림부에 걸리도록 힘을 가하고, 상기 리어홀더를 상기 완전걸어맞춤위치로 이행하는 과정에서 상기 접속 단자의 전방부를 상기 하우징의 평행부에 끼워붙임과 동시에 상기 리어홀더를 상기 하우징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커렉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걸림부의 전면은 상기 접속단자의 중간부의 후부를 전방 및 아래쪽으로 미끄럼 이동시키는 곡면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커넥터.
  13. 접속단자를 걸기 위한 리어홀더를 하우징의 후부로부터 전진이 자유롭게 끼워 맞춰, 상기 리어홀더와 상기 하우징이 상기 리어홀더를 중간까지 삽입한 임시걸어맞춤위치와, 상기 리어홀더를 충분히 밀어넣어 누른 완전걸어맞춤위치에 걸어맞춤하는 전기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리어홀더에 상기 접속단자를 끼워 통하게 하는 단자삽통구멍과 접속단자재치부에 상기 접속단자의 후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후방걸림부를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단자삽통 구멍의 천정판에는 가압부를 설치하고, 상기 하우징에 상기 접속단자를 수용하는 단자수용실을 설치하고, 그 단자수용실의 전방은 수평상태에서의 상기 접속단자의 전방부를 끼워붙이는 평행부로 하고 상기 단자수용실의 중간 천정벽은 가요성을 가짐과 동시에 그 천정벽의 자유단으로 한 후부에 경사부를 설치하고, 상기 임시걸어맞춤위치에서 상기 천정벽은 그 후부의 상기 경사부를 따라서 진입한 상기 접속단자에 의해 바깥쪽으로 탄성적으로 휘면서 상기 후방걸림부와의 사이에 경사상태의 상기 접속단자를 받아들여, 상기 접속단자가 소정위치에 진입한 후에 복원하여 상기 접속단자를 상기 리어홀더의 접속단자재치부에 얹어 놓음과 동시에, 상기 후방걸림부에 걸도록 가압하고 상기 리어홀더를 상기 완전걸어맞춤위치로 이행하는 과정에서 상기 접속단자의 전방부를 상기 하우징의 평행부에 끼워붙이고, 상기 리어홀더의 가압부는 상기 천정벽의 자유단을 상기 접속 단자측에 가압함과 동시에 상기 홀더를 상기 하우징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커넥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돌기의 하면에 상기 접속단자를 경사상태로 안내하는 안내면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커넥터.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단자에 돌기를 설치하여, 그 돌기를 상기 리어홀더의 선단과 상기 하우징과의 사이에 협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커넥터.
KR1019960705474A 1995-02-01 1996-01-31 전기커넥터 KR1003909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37548 1995-02-01
JP3754895 1995-02-01
JP95-149455 1995-05-24
JP14945595 1995-05-24
JP16804695A JP3730685B2 (ja) 1995-06-09 1995-06-09 コネクタ
JP95-168046 1995-06-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702597A KR970702597A (ko) 1997-05-13
KR100390972B1 true KR100390972B1 (ko) 2003-10-23

Family

ID=27289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705474A KR100390972B1 (ko) 1995-02-01 1996-01-31 전기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879192A (ko)
EP (1) EP0756351B1 (ko)
KR (1) KR100390972B1 (ko)
DE (1) DE69621082T2 (ko)
WO (1) WO199602417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17174A (ja) * 2001-07-04 2003-01-17 Yazaki Corp ホルダ付コネクタ
JP4097589B2 (ja) * 2003-10-30 2008-06-11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ケーブル用コネクタ
US6935893B1 (en) * 2004-02-11 2005-08-30 Molex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with terminal position assurance device
CN200972950Y (zh) * 2006-10-09 2007-11-07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US7731520B1 (en) 2008-09-12 2010-06-08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Blade and receptacle power connector
JP5193888B2 (ja) 2008-10-06 2013-05-08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5508927B2 (ja) 2010-04-22 2014-06-04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防水コネクタ
JP2015090843A (ja) * 2013-11-07 2015-05-11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の止水構造
DE102015102662A1 (de) * 2015-02-25 2016-08-25 Harting Electric Gmbh & Co. Kg Verrastung für Steckkontakte
DE102020126541A1 (de) 2020-10-09 2022-04-14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Fixiervorrichtung zur Fixierung eines Kontaktelements in einem Gehäuse eines Stecker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425406D0 (en) * 1984-10-08 1984-11-14 Electronic Components Ltd Electrical contact housing
JPH0256368U (ko) * 1988-10-17 1990-04-24
JPH0271975U (ko) * 1988-11-21 1990-05-31
JPH02165580A (ja) * 1988-12-19 1990-06-26 Yazaki Corp 電気コネクタ
JPH0740306Y2 (ja) * 1990-02-19 1995-09-13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係止具付コネクタ
JPH079343Y2 (ja) * 1990-04-10 1995-03-06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係止具付コネクタ
JP2574771Y2 (ja) * 1992-10-07 1998-06-18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H07211381A (ja) * 1994-01-19 1995-08-11 Yazaki Corp 二重係止コネクタの係止方法及び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621082D1 (de) 2002-06-13
DE69621082T2 (de) 2002-09-05
EP0756351A1 (en) 1997-01-29
EP0756351B1 (en) 2002-05-08
KR970702597A (ko) 1997-05-13
EP0756351A4 (en) 1998-10-07
US5879192A (en) 1999-03-09
WO1996024176A1 (fr) 1996-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78176A (en) Connector
US7883362B2 (en) Joint connector, joint terminal and a wiring harness with a joint connector
EP0622867B1 (en) Connector
US6840789B2 (en) Connector and a method of assembling it
US6659797B2 (en) Connector with resiliently deflectable lock arm
US5993268A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terminal retaining means
EP1009063A2 (en) A connector
US7014511B2 (en) Electrical connector
KR940000093B1 (ko) 전기 접속기
JPH11250967A (ja) 端子保持装置を有するコネクタ装置
KR100390972B1 (ko) 전기커넥터
US6068512A (en) Electrical connector
US5205763A (en) Connector with terminal holder
JPH11238543A (ja) コネクタ
US6129574A (en) Connector having a construction for preventing an erroneous assembling of a connector housing and a cover
US5769670A (en) Connector with rear holder
US5501619A (en) Connector
US5894660A (en) Method of making wire harnesses
US6976874B2 (en) Terminal fitting and connector provided therewith
US6416344B2 (en) Connector and a method for detaching housings thereof
JPH11260467A (ja) コネクタ
CN113574741B (zh) 接头连接器
US5919058A (en) Connector-connection structure
JP3466368B2 (ja) コネクタ
CN111146613B (zh) 端子,将电线连接到端子的方法,以及夹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