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1864A - 클립 및 클립장착장치 - Google Patents

클립 및 클립장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1864A
KR20220091864A KR1020200183024A KR20200183024A KR20220091864A KR 20220091864 A KR20220091864 A KR 20220091864A KR 1020200183024 A KR1020200183024 A KR 1020200183024A KR 20200183024 A KR20200183024 A KR 20200183024A KR 20220091864 A KR20220091864 A KR 202200918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p
housing
mounting
rib
rib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3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승우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830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91864A/ko
Publication of KR202200918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18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6Securing by a separate resilient retaining piece supported by base or case, e.g. collar or metal contact-retention cli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클립 및 클립장착장치이다. 본 발명의 클립(20,120)은 하우징(10,110)의 장착리브(14,114)의 걸이채널(14',114')에 위치된 상태에서 하우징(10,110)과의 체결을 위해 이동하는 거리를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110)의 장착리브(14,114')에 통과슬릿(15,115)를 두고, 상기 장착리브(14,114)에 걸어지는 걸림리브(28,128)에는 상기 통과슬릿(15,115)을 통과하는 분리걸림리브(28',128')를 둘 수 있다.

Description

클립 및 클립장착장치{CLIP AND MOUNTING DEVICE WITH THE CLIP}
본 클립 및 클립장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커넥터를 특정한 위치에 장착하기 위해 클립을 사용할 수 있다. 자동차에서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 커넥터를 자동차의 특정한 패널에 장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클립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클립은 예를 들어 커넥터의 하우징에 장착된 상태로 패널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클립은 상기 커넥터의 하우징 및 고정부인 패널에서도 착탈될 수 있다.
상기 클립은 상기 커넥터의 하우징 외면에 장착되는데, 선행문헌들에서도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하우징에 길게 형성된 장착리브의 일단부에서 클립의 하우징장착부가 장착리브에 걸어지도록 삽입되고, 상기 하우징장착부 전체가 장착리브에 걸어지도록 이동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 하우징장착부 전체가 상기 장착리브에 걸어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긴 거리를 이동해야 하므로, 클립을 하우징에 장착하는 시간이 많이 걸리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패널에 클립이 장착된 상태에서 클립의 하우징장착부를 하우징과 분리하기 위해서는 상기 하우징장착부가 상기 장착리브의 끝부분 까지 이동해야 하므로 공간이 상대적으로 많이 필요하게 되는 문제도 있다.
한국 공개실용신안 제 20-2008-0004956 호 한국 공개특허 제 10-2019-0142497 호
본 발명의 목적은 클립을 하우징에 장착/탈착하기 위한 클립의 이동거리를 최소화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클립을 하우징에 장착/탈착할 때 하우징의 외면 영역 내에서 작업이 수행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클립은 클립몸체와, 상기 클립몸체의 일측에 형성되어 하우징의 장착리브에 장착되는 하우징장착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하우징장착부의 양측에는 상기 장착리브에 걸어지는 걸림리브가 구비될 수 있고, 양측의 상기 걸림리브 중 적어도 하나에는 통과부에 의해 분리되어 형성되는 분리걸림리브가 구비될 수 있다.
양측의 상기 걸림리브의 사이에는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하우징체결턱에 체결되는 클립체결턱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양측의 걸림리브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는 상기 장착리브에 상기 걸림리브가 걸어지는 위치를 규제하는 스톱퍼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클립장착장치는 한 쌍의 장착리브에 걸이채널이 마주보게 형성된 하우징과, 클립몸체와 상기 클립몸체에 형성되고 상기 장착리브의 걸이채널에 걸어지는 걸림리브가 구비되는 하우징장착부가 구비되는 클립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장착리브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장착리브의 일부를 제거하여 통과슬릿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걸림리브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통과슬릿을 통과하는 분리걸림리브가 통과부에 의해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통과슬릿은 양측의 상기 장착리브에 모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분리걸림리브도 양측의 상기 걸림리브에 모두 형성될 수 있다.
양측의 상기 장착리브 사이에 해당되는 하우징에는 하우징체결턱이 구비될 시 있고, 상기 하우징체결턱에 대응되게 양측의 상기 걸림리브의 사이에는 클립체결턱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걸림리브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는 상기 장착리브에 상기 걸림리브가 걸어지는 위치를 규제하는 스톱퍼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분리걸림리브가 상기 장착리브의 통과슬릿을 통과해서 상기 장착리브의 걸이채널에 위치되면 상기 하우징체결턱의 경사면과 상기 클립체결턱의 경사면이 서로 마주보게 상기 하우징체결턱과 클립체결턱의 위치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체결턱의 경사면 반대쪽에는 하우징의 표면에 직교하는 평면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클립체결턱의 경사면 반대쪽에는 상기 하우징체결턱의 평면과 마주보게 되는 평면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클립 및 클립장착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클립의 걸림리브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분리걸림리브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하우징의 장착리브에도 통과슬릿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클립을 장착리브의 일단부에서 장착리브의 걸이채널에 삽입하지 않고, 하우징의 하우징체결턱과 클립의 클립체결턱이 바로 안내될 수 있는 위치로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클립의 이동이 상기 클립체결턱이 하우징체결턱을 타고 넘어 걸어질 수 있을 정도만 되면 클립이 하우징에 체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클립을 하우징에 장착하는 작업이 매우 신속하게 수행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과 클립 사이의 상대 이동 거리가 짧아지므로, 클립이 설치되는 공간이 좁더라도 클립과 하우징 사이의 체결을 분리하는 것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클립 및 클립장착장치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클립과 하우징을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례에서 채용되는 하우징 외면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례의 클립의 구성을 보인 저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례에서 클립의 하우징장착부의 일측이 하우징의 장착리브에 걸어지는 것을 보인 동작상태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례에서 클립의 하우징장착부 양측이 모두 하우징의 장착리브 내에 위치된 상태를 보인 동작상태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례에서 클립의 하우징장착부가 하우징의 장착리브에 장착되고 체결이 된 상태를 보인 동작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를 보인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실시례에서 채용되는 하우징 외면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11은 도 8에 도시된 실시례의 클립의 구성을 보인 저면 사시도.
도 12는 도 8에 도시된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13은 도 8에 도시된 실시례에서 클립의 하우징장착부가 하우징의 장착리브 상부에 위치된 상태를 보인 동작상태도.
도 14는 도 8에 도시된 실시례에서 클립의 하우징장착부 양측이 모두 하우징의 장착리브 내에 위치된 상태를 보인 동작상태도.
도 15는 도 8에 도시된 실시례에서 클립의 하우징장착부가 하우징의 장착리브에 장착되고 체결이 된 상태를 보인 동작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 실시례의 클립 및 클립장착장치의 구성을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에서는 클립(20)을 커넥터의 하우징(10)에 장착하는 것을 예로 들고 있으나, 상기 하우징(10)은 커넥터 외의 다양한 모듈의 하우징이 될 수도 있다.
상기 하우징(10)은 커넥터의 외관과 골격을 형성하는 것으로, 내부에 내부공간(1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부공간(12)에는 터미널(도시되지 않음)이 위치되고 상대 커넥터의 하우징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의 일측 외면에는 장착리브(1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장착리브(14)는 2개가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장착리브(14)에 의해서는 걸이채널(14')이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의 외면과 상기 장착리브(14)의 내면에 의해 상기 걸이채널(14')이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장착리브(14)의 횡단면은 'ㄱ'자 형상으로 될 수 있다. 상기 걸이채널(14')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클립(20)의 걸림리브(28)와 분리걸림리브(28')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걸이채널(14')은 양측의 장착리브(14)의 것이 서로 마주보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이채널(14')은 상기 장착리브(14)의 일측 단부에서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장착리브(14)중 하나에는 통과슬릿(1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통과슬릿(15)은 상기 장착리브(14)에 형성되어 상기 걸이채널(14')과 연통될 수 있다. 상기 통과슬릿(15)을 통해서는 아래에서 설명될 분리걸림리브(28')가 통과하여 상기 걸이채널(14')로 들어갈 수 있다.
양측의 상기 장착리브(14) 사이에 해당되는 하우징(10)의 외면에는 하우징체결턱(1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체결턱(16)은 상기 하우징(10)의 외면에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체결턱(16)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클립(20)의 클립체결턱(30)이 체결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체결턱(16)의 일측에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하우징(10)의 표면과 직교하는 평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장착리브(14) 각각의 일측 단부에는 스톱퍼(18)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스톱퍼(18)는 상기 클립(20)이 상기 장착리브(14)의 걸이채널(14')로 들어가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클립(20)은 클립몸체(22)가 골격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클립몸체(22)의 일측 단부에는 걸이날개(24)가 양측에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이날개(24)는 클립몸체(22)의 양측을 따라 경사지게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이날개(24)는 상기 클립몸체(22)의 일단에서 시작해서 외측으로 벌어지게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걸이날개(24)는 클립(20)이 패널(도시되지 않음)에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걸이날개(24)의 선단이 패널에 형성된 관통공의 내면에 걸어질 수 있다.
상기 클립몸체(22)를 둘러서는 밀착편(2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밀착편(26)은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클립몸체(22)에 연결된 부분에서 가장자리로 가면서 상기 걸이날개(24) 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밀착편(26)은 상기 걸이날개(24)가 패널의 관통공에 걸어진 상태에서 상기 관통공의 둘레에 해당되는 패널의 표면에 탄성변형된 상태로 밀착될 수 있다.
상기 클립몸체(22)의 타측에는 하우징장착부(2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장착부(27)는 클립(20)을 상기 하우징(10)에 장착하는 부분이다. 상기 하우징장착부(27)의 양측에는 걸림리브(28)가 있을 수 있다. 상기 걸림리브(28)는 상기 하우징장착부(27)의 양측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리브(28)는 상기 하우징(10)의 장착리브(14)의 걸이채널(14')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걸림리브(28)중 상기 통과슬릿(15)이 형성된 장착리브(14)와 대응되는 것에는 분리걸림리브(28')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분리걸림리브(28') 사이에는 통과부(29)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분리걸림리브(28')는 걸림리브(28)의 일부라고 볼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도면을 기준으로 우측에 있는 걸림리브(28)에 통과부(29)와 분리걸림리브(28')가 교대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분리걸림리브(28')는 상기 장착리브(14)의 통과슬릿(15)을 통과하여 걸이채널(14')로 들어갈 수 있다.
상기 하우징장착부(27)에는 상기 걸림리브(28)의 사이에 해당되는 부분에 클립체결턱(3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클립체결턱(30)은 상기 하우징(10)의 하우징체결턱(16)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클립체결턱(30)의 일측에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하우징장착부(27)의 저면에 대해 직교하는 평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리브(28)의 일측 단부에는 각각 스톱퍼(3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톱퍼(32)는 상기 걸림리브(28)가 상기 걸이채널(14') 내부로 들어가는 정도를 규제할 수 있다.
도 8에서 도 12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례의 구성을 설명한다. 커넥터의 하우징(110)은 커넥터의 외관과 골격을 형성하는 것으로, 내부에 내부공간(11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부공간(112)에는 터미널(도시되지 않음)이 위치되고 상대 커넥터의 하우징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0)의 일측 외면에는 장착리브(11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장착리브(114)는 2개가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장착리브(114)에 의해서는 걸이채널(114')이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0)의 외면과 상기 장착리브(114)의 내면에 의해 상기 걸이채널(114')이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장착리브(114)의 횡단면은 'ㄱ'자 형상으로 될 수 있다. 상기 걸이채널(114')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클립(120)의 걸림리브(128)와 분리걸림리브(128')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걸이채널(114')은 양측의 장착리브(114)의 것이 서로 마주보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이채널(114')은 상기 장착리브(114)의 일측 단부에서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장착리브(114)에는 통과슬릿(11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통과슬릿(115)은 상기 장착리브(114)에 형성되어 상기 걸이채널(114')과 연통될 수 있다. 상기 통과슬릿(115)을 통해서는 아래에서 설명될 분리걸림리브(128')가 통과하여 상기 걸이채널(114')로 들어갈 수 있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양측의 장착리브(114)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통과슬릿(115)이 형성되어 있으나, 서로 다른 위치에 통과슬릿(115)이 형성될 수도 있다.
양측의 상기 장착리브(114) 사이에 해당되는 하우징(110)의 외면에는 하우징체결턱(11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체결턱(116)은 상기 하우징(110)의 외면에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체결턱(116)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클립(120)의 클립체결턱(130)이 체결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체결턱(116)의 일측에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하우징(110)의 표면과 직교하는 평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체결턱(116)의 경사면은 아래에서 설명될 클립체결턱(130)의 경사면을 안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장착리브(114) 각각의 일측 단부에는 스톱퍼(118)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스톱퍼(118)는 상기 클립(120)이 상기 장착리브(114)의 걸이채널(114')로 들어가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클립(120)은 클립몸체(122)가 골격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클립몸체(122)의 일측 단부에는 걸이날개(124)가 양측에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이날개(124)는 클립몸체(122)의 양측을 따라 경사지게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이날개(124)는 상기 클립몸체(122)의 일단에서 시작해서 외측으로 벌어지게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걸이날개(124)는 클립(120)이 패널(도시되지 않음)에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걸이날개(124)의 선단이 패널에 형성된 관통공의 내면에 걸어질 수 있다.
상기 클립몸체(122)를 둘러서는 밀착편(12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밀착편(126)은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클립몸체(122)에 연결된 부분에서 가장자리로 가면서 상기 걸이날개(124) 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밀착편(126)은 상기 걸이날개(124)가 패널의 관통공에 걸어진 상태에서 상기 관통공의 둘레에 해당되는 패널의 표면에 탄성변형된 상태로 밀착될 수 있다.
상기 클립몸체(122)의 타측에는 하우징장착부(12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장착부(127)는 클립(120)을 상기 하우징(110)에 장착하는 부분이다. 상기 하우징장착부(127)의 양측에는 걸림리브(128)가 있을 수 있다. 상기 걸림리브(128)는 상기 하우징장착부(127)의 양측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리브(128)는 상기 하우징(110)의 장착리브(114)의 걸이채널(114')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걸림리브(128)에는 상기 장착리브(114)의 상기 통과슬릿(115)과 대응되는 위치에 분리걸림리브(128')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분리걸림리브(128') 사이에는 통과부(129)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분리걸림리브(128')는 걸림리브(128)의 일부라고 볼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양측의 걸림리브(128) 모두에 통과부(129)와 분리걸림리브(128')가 교대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분리걸림리브(128')는 상기 장착리브(114)의 통과슬릿(115)을 통과하여 걸이채널(114')로 들어갈 수 있다.
상기 하우징장착부(127)에는 상기 걸림리브(128)의 사이에 해당되는 부분에 클립체결턱(13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클립체결턱(130)은 상기 하우징(110)의 하우징체결턱(116)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클립체결턱(130)의 일측에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하우징장착부(127)의 저면에 대해 직교하는 평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리브(128)의 일측 단부에는 각각 스톱퍼(13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톱퍼(132)는 상기 걸림리브(128)가 상기 걸이채널(114') 내부로 들어가는 정도를 규제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클립 및 클립장착장치가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에서 도 4에 도시된 실시례의 동작을 도 5에서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클립(20)을 상기 하우징(10)의 장착리브(14)에 장착함에 있어서, 상기 장착리브(14)의 일측 단부에서 상기 걸림리브(28)를 상기 걸이채널(14')에 삽입하지 않고, 상기 장착리브(14)의 중간 쯤에서 일측 걸림리브(28)를 일측 장착리브(14)의 걸이채널(14')에 삽입하여 건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립(20)을 경사지게 위치시켜 일측 걸림리브(28)를 일측 장착리브(14)의 걸이채널(14')에 건다.
이때, 상기 클립(20)의 분리걸림리브(28')가 타측 장착리브(14)의 통과슬릿(15)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는 상기 하우징(10)의 하우징체결턱(16)에 있는 경사면에 상기 클립체결턱(30)의 경사면이 대응되는 위치에 있을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분리걸림리브(28')가 상기 통과슬릿(15)을 통과하도록 하여 상기 분리걸림리브(28')가 걸이채널(14')에 위치되도록 하고, 상기 분리걸림리브(28')가 있는 쪽의 걸림리브(28)는 상기 장착리브(14)의 일측 단부에 위치하여 걸이채널(14')로 진입할 수 있는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체결턱(16)의 경사면에 상기 클립체결턱(30)의 경사면이 접촉되어 안내될 수 있다.
도 6의 상태에서 화살표 A방향으로 상기 클립(20)을 이동시키면, 상기 걸림리브(28)와 분리걸림리브(28')는 각각의 장착리브(14)의 걸이채널(14')을 따라 이동한다. 상기 클립체결턱(30)의 경사면은 상기 하우징체결턱(16)의 경사면을 따라 안내된다. 상기 클립(20)의 이동에 의해 상기 클립체결턱(30)이 상기 하우징체결턱(16)을 타고 넘게 되면 상기 클립체결턱(30)이 상기 하우징체결턱(16)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클립(20)의 이동에 의해 상기 분리걸림리브(28')는 상기 통과슬릿(15)의 위치를 지나 상기 장착리브(14)에 걸어진 상태로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상태에서 상기 클립몸체(22)의 양측에 형성된 걸이날개(24)를 패널의 관통공에 삽입하여 걸어지도록 하면, 하우징(10)을 패널에 위치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클립(20)을 하우징(10)에서 분리하기 위해서는 상기 클립체결턱(30)이 상기 하우징체결턱(16)에서 분리되도록 하면 된다. 지그를 사용하여 상기 클립체결턱(30)과 하우징체결턱(16)의 체결을 해제하고 상기 클립(20)의 분리걸림리브(28')가 상기 장착리브(14)의 통과슬릿(15)의 위치에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클립(20)을 경사지게 하여 분리걸림리브(28')가 상기 통과슬릿(15)에서 빠져나오도록 한다. 이 상태는 도 5에 도시된 것이다. 다음으로, 분리걸림리브(28')의 반대쪽에 있는 걸림리브(28)를 상기 장착리브(14)의 걸이채널(14')에서 분리해 내면 된다.
다음으로, 도 8에서 도 12에 도시된 실시례가 사용되는 것을 도 13에서 도 15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클립(120)을 상기 하우징(110)의 장착리브(114)에 장착함에 있어서, 상기 장착리브(114)의 일측 단부에서 상기 걸림리브(128)를 상기 걸이채널(114')에 삽입하지 않고, 상기 장착리브(114)의 중간 쯤에서 양측 걸림리브(128)를 장착리브(114)의 걸이채널(114')에 삽입하여 건다. 즉,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립(120)을 상기 하우징(110)의 장착리브(114) 상부에 위치시키고, 상기 분리걸림리브(128')가 상기 장착리브(114)의 통과슬릿(115)을 통과하여 걸이채널(114')로 들어가도록 한다.
도 13의 상태에서 상기 클립(120)을 하우징(110) 쪽으로 하강시켜, 상기 분리걸림리브(128')가 상기 장착리브(114)의 통과슬릿(115)을 통과하여 걸이채널(114')로 들어가도록 한다. 도 14에는 상기 통과슬릿(115)을 통과하여 상기 분리걸림리브(128')가 상기 걸이채널(114')에 들어간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14의 상태에서 화살표 A방향으로 상기 클립(120)을 이동시키면, 상기 걸림리브(128)와 분리걸림리브(128')는 각각의 장착리브(114)의 걸이채널(114')을 따라 이동한다. 상기 클립체결턱(130)의 경사면은 상기 하우징체결턱(116)의 경사면을 따라 안내된다. 상기 클립(120)의 이동에 의해 상기 클립체결턱(130)이 상기 하우징체결턱(116)을 타고 넘게 되면 상기 클립체결턱(130)이 상기 하우징체결턱(116)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클립(120)의 이동에 의해 상기 분리걸림리브(128')는 상기 통과슬릿(115)의 위치를 지나 상기 장착리브(114)에 걸어진 상태로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15에 도시되어 있다.
도 15에 도시된 상태에서 상기 클립몸체(122)의 양측에 형성된 걸이날개(124)를 패널의 관통공에 삽입하여 걸어지도록 하면, 하우징(110)을 패널에 위치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클립(120)을 하우징(110)에서 분리하기 위해서는 상기 클립체결턱(130)이 상기 하우징체결턱(116)에서 분리되도록 하면 된다. 지그를 사용하여 상기 클립체결턱(130)과 하우징체결턱(116)의 체결을 해제하고 상기 클립(120)의 분리걸림리브(128')가 상기 장착리브(114)의 통과슬릿(115)의 위치에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클립(120)의 분리걸림리브(28')가 상기 통과슬릿(15)에서 빠져나오도록 한다. 이 상태는 도 13에 도시된 것이다. 다음으로, 분리걸림리브(128')의 반대쪽에 있는 걸림리브(128)를 상기 장착리브(114)의 걸이채널(114')에서 분리해 내면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시된 실시례들에서는 상기 클립(20,120)의 클립몸체(22,122) 양측에 걸이날개(24,124)가 형성되어 패널에 장착되도록 되어 있으나, 패널에의 장착을 위한 구성이 반드시 걸이날개(24,124)로 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클립(20,120)과 하우징(10,110)의 체결을 위한 하우징체결턱(16,116)과 클립체결턱(30,130)의 구성 역시 다른 형태로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하우징체결턱(16,116)이나 클립체결턱(30,130)이 탄성변형가능한 외팔보구조에 형성될 수도 있다.
10 : 하우징 12: 내부공간
14: 장착리브 14': 걸이채널
15: 통과슬릿 16: 하우징체결턱
18: 스톱퍼 20: 클립
22: 클립몸체 24: 걸이날개
26: 밀착편 27: 하우징장착부
28: 걸림리브 28': 분리걸림리브
29: 통과부 30: 클립체결턱
32: 스톱퍼 110 : 하우징
112: 내부공간 114: 장착리브
114': 걸이채널 115: 통과슬릿
116: 하우징체결턱 118: 스톱퍼
120: 클립 122: 클립몸체
124: 걸이날개 126: 밀착편
127: 하우징장착부 128: 걸림리브
128': 분리걸림리브 129: 통과부
130: 클립체결턱 132: 스톱퍼

Claims (9)

  1. 클립몸체와,
    상기 클립몸체의 일측에 형성되어 하우징의 장착리브에 장착되는 하우징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장착부의 양측에는 상기 장착리브에 걸어지는 걸림리브가 구비되고, 양측의 상기 걸림리브 중 적어도 하나에는 통과부에 의해 분리되어 형성되는 분리걸림리브가 구비되는 클립.
  2. 제 1 항에 있어서, 양측의 상기 걸림리브의 사이에는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하우징체결턱에 체결되는 클립체결턱이 더 구비되는 클립.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양측의 걸림리브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는 상기 장착리브에 상기 걸림리브가 걸어지는 위치를 규제하는 스톱퍼가 구비되는 클립.
  4. 한 쌍의 장착리브에 걸이채널이 마주보게 형성된 하우징과,
    클립몸체와 상기 클립몸체에 형성되고 상기 장착리브의 걸이채널에 걸어지는 걸림리브가 구비되는 하우징장착부가 구비되는 클립을 포함하고,
    상기 장착리브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장착리브의 일부를 제거하여 통과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리브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통과슬릿을 통과하는 분리걸림리브가 통과부에 의해 분리되어 형성되는 클립장착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통과슬릿은 양측의 상기 장착리브에 모두 형성되고, 상기 분리걸림리브도 양측의 상기 걸림리브에 모두 형성되는 클립장착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양측의 상기 장착리브 사이에 해당되는 하우징에는 하우징체결턱이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체결턱에 대응되게 양측의 상기 걸림리브의 사이에는 클립체결턱이 더 구비되는 클립장착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리브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는 상기 장착리브에 상기 걸림리브가 걸어지는 위치를 규제하는 스톱퍼가 구비되는 클립장착장치.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걸림리브가 상기 장착리브의 통과슬릿을 통과해서 상기 장착리브의 걸이채널에 위치되면 상기 하우징체결턱의 경사면과 상기 클립체결턱의 경사면이 서로 마주보게 상기 하우징체결턱과 클립체결턱의 위치가 설치되는 클립장착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체결턱의 경사면 반대쪽에는 하우징의 표면에 직교하는 평면이 형성되고, 상기 클립체결턱의 경사면 반대쪽에는 상기 하우징체결턱의 평면과 마주보게 되는 평면이 형성되는 클립장착장치.
KR1020200183024A 2020-12-24 2020-12-24 클립 및 클립장착장치 KR202200918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3024A KR20220091864A (ko) 2020-12-24 2020-12-24 클립 및 클립장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3024A KR20220091864A (ko) 2020-12-24 2020-12-24 클립 및 클립장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1864A true KR20220091864A (ko) 2022-07-01

Family

ID=82397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3024A KR20220091864A (ko) 2020-12-24 2020-12-24 클립 및 클립장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91864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4956U (ko) 2007-04-23 2008-10-28 홍현기 파이프 행거의 원터치 체결 구조
KR20190142497A (ko) 2018-06-18 2019-12-2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클립 및 클립 장착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4956U (ko) 2007-04-23 2008-10-28 홍현기 파이프 행거의 원터치 체결 구조
KR20190142497A (ko) 2018-06-18 2019-12-2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클립 및 클립 장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4183895A (ja) 長い物体、特にケーブルツリー用の締結装置
JPH1050400A (ja) バックパネルコネクタシステム
KR20130126163A (ko) 커넥터 조립체
US6490894B1 (en) Device for mounting a vehicle door opening control
JP2008164085A (ja) クリップ
KR20220091864A (ko) 클립 및 클립장착장치
JP6446525B1 (ja) 配線用グロメット
KR20170085941A (ko) 커넥터
JPH10326635A (ja) 同軸ケーブル接続器
CN221068240U (zh) 一种口盖及汽车
KR20100070893A (ko) 방수형 커넥터 및 그 조립방법
KR101512615B1 (ko) 자동차용 박스
KR20230000705A (ko) 클립 및 이를 가진 커넥터
JP7469484B2 (ja) エンクロージャ用のケーブル入口装置ならびにアセンブリおよびこのアセンブリを動作させるための方法
KR102432322B1 (ko) 차량용 부품의 장착장치
KR102667448B1 (ko) 자동차용 블럭
CN114585176B (zh) 分拆式外壳
KR101342166B1 (ko) 커넥터
KR20190051791A (ko) 커넥터 어셈블리 및 그 제조 방법
JP3879186B2 (ja) 二つの部材の連結具
KR20120073696A (ko) 커넥터
CN211295617U (zh) 一种线缆夹持机构及线缆密封夹持装置
KR20090107741A (ko) 간판용 프레임
CN111107721B (zh) 面板组件和电气连接装置
KR20090094999A (ko) 차량용박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