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7448B1 - 자동차용 블럭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블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7448B1
KR102667448B1 KR1020220093292A KR20220093292A KR102667448B1 KR 102667448 B1 KR102667448 B1 KR 102667448B1 KR 1020220093292 A KR1020220093292 A KR 1020220093292A KR 20220093292 A KR20220093292 A KR 20220093292A KR 102667448 B1 KR102667448 B1 KR 1026674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bus bar
support
frame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32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40015428A (ko
Inventor
박희성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932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7448B1/ko
Publication of KR202400154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54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74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74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16Rails or bus-bar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discrete connecting locations for counterparts
    • H01R25/161Details
    • H01R25/162Electrical connections between or with rails or bus-b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15Electric wiring; Electric 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블럭이다. 자동차용 블럭의 골격을 프레임(10)이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0) 상에는 부품들이 설치될 수 있고, 상기 프레임(10)에 커버(50)가 결합되어 상기 부품들을 외부와 차폐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0)의 베이스(12) 상에는 제1지지대(22)와 제2지지대(24)가 돌출형성되어 버스바(66')를 조립과정에서 유지하고, 조립완료 후에 절연거리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프레임(10)에서 부품 사이의 구획을 수행하는 구획벽(20)에 고정편(29)이 형성되는데, 구획벽(20)의 상단 쪽에 고정편(29)의 기저부가 있을 수 있다. 와이어가이드(38)가 프레임(10)의 외부연결부(32) 가장자리에 위치되어 와이어(82)를 안내하고 공구의 동작도 안내하도록 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블럭{Block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블럭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용 블럭 내에는 다양한 부품들이 설치된다. 예를 들면, 버스바, 와이어, 릴레이, 저항 등이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은 부품들을 자동차용 블럭 내에 배치함에 있어서, 절연거리를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는 이들 부품 사이의 전기적인 간섭이 발생하지 않아야 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자동차용 블럭 내부에서 많이 사용되는 버스바의 경우, 인접하는 버스바 사이의 거리가 일정 이상이 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하지만, 모든 부품 사이의 절연거리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부품 사이의 거리가 소정 값 이상 떨어져야 하므로 자동차용 블럭 내부의 공간이 많이 필요하게 된다.
예를 들어, 버스바 사이의 절연거리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일부 버스바들을 프레임의 바닥에 설치하고, 나머지 버스바들은 프레임의 바닥에서 소정 거리 떨어져 커버의 내면에 인접한 위치에 있도록 설계한다. 하지만, 이와 같이 설계하게 되면, 커버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버스바들은 조립과정에서 가조립 상태가 불안정하게 되어 조립작업이 번거롭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자동차용 블럭을 구성하는 부품들 사이의 절연거리를 확보하기 위해서 부품 주변에 구획벽을 형성하는 등 다양하게 설계를 하는데, 상기 구획벽의 위치를 효율적으로 설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또한, 부품들 사이의 절연거리 관련된 설계도 중요하지만, 설계된 절연거리를 견고하게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자동차용 블럭을 구성하는 부품을 프레임이나 커버에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한 구조를 제공하기는 것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15-033876 호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 20-1997-036522 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04-049006 호 일본 공개특허 제 2021-181285 호
삭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용 블럭에서 사용되는 부품 사이의 절연거리를 확보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용 블럭에서 사용되는 부품의 설치작업이 용이하게 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용 블럭과 외부와의 절연거리를 충분히 확보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용 블럭에서 사용되는 부품 사이의 절연거리를 견고하게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를 둘러 프레임측벽이 형성되어 구성되고 부품이 설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상에 설치되어 부품 사이의 회로연결과 외부와의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 버스바들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부품을 외부로부터 차폐하는 커버와, 상기 베이스 상에 돌출되고 상기 버스바 중 하나를 지지하여 일부 구간을 상기 커버에 인접하게 위치시키는 제1지지대와 제2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지지대와 제2지지대에 의해 지지되는 버스바는, 상기 제1지지대에 의해 일측이 지지되는 버스바몸체와, 상기 버스바몸체의 양측에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1절곡편 및 제2절곡편과, 상기 제1절곡편의 끝부분에 있고 상기 베이스 상에 지지되는 제1단과, 상기 제2절곡편의 끝부분에 있고 상기 베이스 상에 지지되는 제2단을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상기 제2단은 상기 제2지지대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대의 높이는 상기 버스바의 제2단이 결합되는 릴레이가 상기 베이스 상에서 돌출된 높이보다 더 높게 될 수 있다.
상기 제1단은 그 가상의 연장면이 상기 버스바몸체와 평행하게 되도록 상기 제1절곡편에 직교하게 절곡되는데, 상기 제1단에는 상기 베이스에 형성된 구획벽에 있는 걸이홈에 걸어지는 고정돌기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상에 형성되어 공간을 구획하는 구획벽이 더 구비될 수 있고, 상기 구획벽에 형성된 관통부에는 상기 베이스 상에 설치되는 버스바의 일측을 걸어서 고정하는 고정편이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고정편은 상기 구획벽의 상단 쪽에서 구획벽과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의 상면 쪽에 자유단부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고정편에는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인접한 위치에 상기 버스바를 걸어주는 고정턱이 돌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동차용 블럭은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를 둘러 프레임측벽이 형성되어 구성되고 부품이 설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상에 설치되어 부품 사이의 회로연결과 외부와의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 버스바들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부품을 외부로부터 차폐하는 커버와,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버스바 중 하나와 외부단자와의 연결을 수행하는 외부연결부와, 상기 외부연결부에 인접하여 형성되어 와이어의 연장을 안내하고 상기 외부연결부에서의 공구동작을 안내하는 와이어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가이드는 횡단면이 소정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곡선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외부연결부 쪽에 곡률반경의 중심이 있도록 오목하게 들어가서 상기 버스바와 외부단자의 체결을 수행하는 체결구를 조작하는 공구의 동작을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외부연결부에는 너트안착공간이 형성되어 체결너트가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체결너트에 체결되어 상기 버스바와 외부단자를 체결하는 체결구의 일부 구간이 위치되는 체결구공이 홈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삭제
상기 와이어가이드의 폭방향 양단에는 각각 연장날개가 형성될 수 있고, 일측 연장날개에 직교하게 연장편과 연장펜스가 돌출되어 상기 외부연결부를 상기 와이어가이드와 함께 주위와 구획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상에는 상기 버스바 중 하나를 지지하여 일부 구간을 상기 커버에 인접하게 위치시키는 제1지지대와 제2지지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대와 제2지지대에 의해 지지되는 버스바는, 상기 제1지지대에 의해 일측이 지지되는 버스바몸체와, 상기 버스바몸체의 양측에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1절곡편 및 제2절곡편과, 상기 제1절곡편의 끝부분에 있고 상기 베이스 상에 지지되는 제1단과, 상기 제2절곡편의 끝부분에 있고 상기 베이스 상에 상기 제2지지대에 의해 지지되는 제2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대의 높이는 상기 버스바의 제2단이 결합되는 릴레이가 상기 베이스 상에서 돌출된 높이보다 더 높게 될 수 있다.
상기 제1단은 그 가상의 연장면이 상기 버스바몸체와 평행하게 되도록 상기 제1절곡편에 직교하게 절곡될 수 있는데, 상기 제1단에는 상기 베이스에 형성된 구획벽에 있는 걸이홈에 걸어지는 고정돌기가 돌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블럭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버스바를 자동차용 블럭의 내부에 배치함에 있어서 일부의 버스바들은 베이스 상에 설치하고, 나머지의 버스바는 커버에 인접하게 배치하고 있다. 이를 위해서 커버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버스바를 베이스 상에 지지하기 위해 제1지지대와 제2지지대를 두고 있다. 따라서, 일부의 버스바를 나머지 버스바와 거리상으로 충분히 이격시켜 배치할 수 있게 되어 절연거리의 확보가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와이어의 설치를 안내하는 와이어가이드가 외부연결부를 구획하는 역할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연결부에 외부단자를 체결하는 공구의 동작을 가이드하도록 횡단면이 소정의 곡률반경을 가지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와이어가이드를 둠에 의해서 와이어와 외부연결부 사이의 절연거리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추가로 전류센서로 연장되는 와이어의 부분을 연장편과 연장펜스를 통해 구획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지지대, 제2지지대, 와이어가이드 등을 사용하여 절연거리를 확보함에 의해 전체적으로 자동차용 블럭의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제1지지대와 제2지지대 그리고 걸이홈을 두고, 버스바의 무게중심에 해당되는 버스바몸체의 부분을 상기 제1지지대에 지지시키고, 상기 버스바의 일측 단부를 상기 걸이홈에 고정하고 타측 단부를 제2지지대에 안착시킴에 의해 조립과정에서 상기 버스바의 가조립 상태가 견고하게 되어, 조립공정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가이드가 조립과정에서 와이어의 위치를 안내함과 동시에 공구의 동작을 안내할 수 있게 되어, 상기 와이어가이드에 의해서 조립공정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외부연결부에 버스바와 외부단자를 결합시키는 체결구는 프레임을 관통하지 않고 홈형상으로 된 체결구공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금속재질로 된 체결구가 상기 외부연결부에 있는 버스바와 외부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이지만 상기 체결구공 내에 위치되어 프레임을 관통하지 않으므로, 블럭외부에 있는 부품과의 절연거리를 확실하게 확보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버스바를 프레임에 고정시키는 고정편의 구성이 버스바를 견고하게 고정하면서도 고정편의 조작이 용이하게 되도록 되어 있다. 즉, 버스바를 걸어주는 고정턱에서 기저부까지의 길이를 상대적으로 길게 설정할 수 있도록 구획벽에 고정편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버스바를 견고하게 프레임에 고정하면서도 버스바의 장착과 분리를 위한 동작이 원활하게 되고, 고정편의 내구성이 높아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블럭의 바람직한 실시례의 외부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례에서 커버를 분리하여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례의 자동차용 블럭의 프레임에 여러 부품들이 설치된 것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프레임의 전체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프레임에서 구획벽에 형성된 고정편의 구성을 보인 확대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프레임에서 외부연결부와 와이어가이드의 구성을 보인 확대단면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구성을 다른 방향에서 보인 확대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실시례에서 고정편에 의해 버스바가 고정되는 것을 보인 단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 실시례의 프레임의 제1지지대와 제2지지대 그리고 걸이홈에 의해 가조립되는 버스바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 실시례의 자동차용 블럭의 골격을 프레임(10)이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0)은 절연성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프레임(10)은 절연성 합성수지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프레임(10)의 상면에는 여러가지 부품들이 위치되는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을 아래에서 설명될 커버(50)가 덮어서 외부와 차폐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0)의 바닥을 베이스(12)가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2)는 소정 형상의 판으로 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2)는 그 상면과 하면 사이의 두께가 영역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2)의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프레임측벽(1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측벽(14)은 상기 베이스(12)의 가장자리를 둘러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측벽(14)은 상기 베이스(12)와 직교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측벽(14)은 상기 프레임(10)의 위치에 따라 그 높이가 달리 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측벽(14)의 외면에는 체결턱(1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턱(16)은 상기 프레임측벽(14)의 외면에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턱(16)은 커버(50)와의 체결을 위한 것이다.
상기 프레임(10)의 가장자리의 일측에는 장착부(18)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장착부(18)는 상기 프레임(10)을 자동차의 고정부에 장착하여 고정하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상기 장착부(18)는 다수개가 있을 수 있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4개의 장착부(18)가 있다.
상기 장착부(18)에는 장착공(19)이 형성된다. 상기 장착공(19)을 체결구가 관통할 수 있다. 상기 장착공(19)의 내면에는 부싱(19')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부싱(19')은 금속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부싱(19')은 상기 장착공(19)을 관통하는 체결구나 이 체결구에 체결되는 잠금구 등에 의해 상기 장착부(18)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프레임(10)의 상면에는 다수개의 구획벽(20)이 있을 수 있다. 상기 구획벽(20)은 상기 프레임(10)의 상면 영역을 다양하게 구획할 수 있다. 상기 구획벽(20)을 둠에 의해 프레임(10)에 설치되는 부품 사이의 절연거리를 그 만큼 길게 설정할 수 있다. 도 4에서 도면부호 20이 가리키고 있는 부분 외에도 구획벽(20)은 다양한 위치에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획벽(20)에 의해 아래에서 설명될 각종 부품이 안착되는 공간이 구획될 수 있다. 상기 구획벽(20)에 의해 공간을 구획하는 것 외에도, 상기 프레임측벽(14)이 상기 구획벽(20)과 협력하여 공간을 구획할 수도 있다. 상기 구획벽(20)은 부품 사이의 절연거리를 확보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0)의 상면 일측에는 제1지지대(22)가 있다. 상기 제1지지대(22)는 소정의 높이를 가지도록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1지지대(22)는 본 실시례의 도면에서는 사각기둥형상으로 되어 있으나, 다양한 형태의 기둥형상으로 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대(22)는 아래에서 설명될 버스바(66')의 일측을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대(22)의 높이는 아래에서 설명될 부품 중 하나인 릴레이(62)의 해당위치에서의 높이보다 높게 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대(22)에 인접하여 제2지지대(24)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대(24)는 아래에서 설명될 버스바(66')의 타측을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제2지지대(24)에는 버스바(66')의 일측 단부인 제2단(78)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대(22)와 제2지지대(24)는 아래에서 설명될 일측 릴레이(62)가 위치되는 영역을 구획하는 구획벽(20)에 인접하여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대(22)와 제2지지대(24)에 의해 버스바(66')가 조립과정에서 안정적으로 가조립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대(22)와 제2지지대(24)에 의해 버스바(66')의 고정 위치가 견고하게 유지되어 주변 부품과의 절연거리를 설계된 값으로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2)의 상면 일측에 있는 구획벽(20)에 걸이홈(2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이홈(26)은 상기 구획벽(20)의 측면이 오목하게 들어가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이홈(26)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버스바(66')의 고정돌기(77)가 끼워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구획벽(20)의 일측에는 고정편(29)이 있을 수 있다. 상기 고정편(29)은 상기 구획벽(20)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고정편(29)은 상기 구획벽(20)에 형성된 관통부(28) 내에 있다. 상기 고정편(29)은 일종의 외팔보 형상으로 소정의 탄성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고정편(29)이 상기 구획벽(20)과 연결되는 기저부는 상기 구획벽(20)의 상대적으로 상단(구획벽(20) 중에서 베이스(12)에서 상대적으로 멀리 떨어진 부분)에 위치한다. 따라서, 상기 고정편(29)의 자유단부는 상기 베이스(12)의 상면에 인접하게 된다. 상기 고정편(29)은 상기 관통부(28) 내에 위치하면서 구획벽(20)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고정편(29)에는 고정턱(29')이 있다. 상기 고정턱(29')은 아래에서 설명될 버스바(66)를 상기 베이스(12)에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고정턱(29')은 상기 고정편(29)의 자유단부에 인접한 위치에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정편(29)을 구획벽(20)에 형성하여 고정편(29)과 구획벽(20)이 연결되는 기저부를 구획벽(20)의 상단 쪽이 되도록 하면, 상기 고정편(29)의 길이를 상대적으로 길게 할 수 있어서, 고정편(29)의 탄성변형이 상대적으로 원활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편(29)을 조작하는 것이 용이하고, 조작 중에 고정편(29)이 파손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정편(29)의 기저부가 베이스(12)의 상면에서 상대적으로 떨어진 구획벽(20)의 상단 쪽에 있어 고정편(29)이 구획벽(20)에 일체로 되고, 구획벽(20)이 베이스(12)에 연결되는 구획벽(20)의 기저부에 인접한 베이스(12)의 상면에 고정 대상물인 버스바(66)가 위치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고정턱(29')이 상기 고정편(29)의 자유단부 쪽, 다시 말해 상기 베이스(12)의 상면에 인접한 위치에 있어야 한다. 이와 같이 고정턱(29')이 고정편(29)의 자유단부 쪽에 있도록 설계하면서 고정턱(29')이 고정편(29)의 기저부에서 상대적으로 멀리 떨어지도록 설계함에 의해서 버스바(66)를 상기 고정턱(29')이 고정하는 동작을 위해 상기 고정편(29)이 탄성변형되는 것이 상대적으로 쉽게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고정편(29)의 동작은 상기 고정편(29)의 기저부가 상기 베이스(12)의 상면에 인접한 형태로 만들어지는 경우에 비해 매우 원활하게 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측벽(14)의 일측 구간에는 다수개의 외부연결단(30)이 돌출되어 있다. 상기 외부연결단(30)은 아래에서 설명될 버스바(66)의 단부인 외부연결단부(68)를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0)의 일측에는 외부연결부(3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부연결부(32)는 상기 외부연결단(30)과 유사하게 자동차용 블럭과 외부와의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 부분이다. 상기 외부연결부(32)에 해당되는 상기 프레임(10)에는 너트안착공간(34)이 있을 수 있다. 상기 너트안착공간(34)에는 외부의 단자(도시되지 않음)와 버스바(66) 사이의 결합을 위한 체결구(도시되지 않음)가 체결되는 체결너트(34')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너트안착공간(34)으로 입구가 개방되게 체결구공(3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구공(36)에는 상기 체결구의 일측이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체결구공(36)은 도 6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홈형상으로 될 수 있다. 상기 체결구공(36)이 상기 프레임(10)을 관통하지 않고 홈형상으로 됨으로 인해, 상기 체결구공(36) 내에 위치되는 체결구와 상기 프레임(10)의 외부에 있는 도전체와의 사이의 절연거리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외부연결부(32)에 인접한 상기 프레임(10)의 상면 일측에는 와이어가이드(38)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와이어가이드(38)는 아래에서 설명될 와이어(82)가 연장되는 방향을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가이드(38)는 또한 상기 외부연결부(32)에서 사용되는 체결구를 죄고 풀기 위한 공구의 동작을 안내함과 동시에 공구와 간섭되는 것을 회피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와이어가이드(38)는 그 횡단면이 소정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곡선으로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와이어가이드(38)는 상기 외부연결부(32) 쪽이 오목하게 들어가고 베이스(12)의 내측 쪽이 볼록하게 돌출되도록 된다. 즉, 상기 외부연결부(32) 쪽에 곡률반경의 중심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가이드(38)의 폭방향 양단에는 연장날개(40)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연장날개(40)는 상기 와이어가이드(38)의 양단에서 연장되고 상기 와이어가이드(38)에 일체로 될 수 있다. 상기 연장날개(40) 중 하나에서 연장되어서 연장편(42)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연장편(42)은 상기 연장날개(40)와 직교하게 만날 수 있다. 상기 연장편(42)은 상기 프레임(10)의 가장자리 방향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연장편(42)과 같은 방향으로 연장되게 연장펜스(43)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연장펜스(43)는 상기 외부연결부(32)의 일부를 둘러쌀 수 있다. 상기 와이어가이드(36)와 상기 연장펜스(43)가 협력하여 상기 외부연결부(32)를 주변과 구획할 수 있다. 상기 연장펜스(43)는 상기 와이어가이드(36)보다는 높이가 낮게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10)의 구획벽(20)에 의해 주위와 구획되게 버스바안착채널(44)이 있을 수 있다. 상기 버스바안착채널(44)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버스바(66)중 하나가 안착될 수 있다. 상기 버스바안착채널(44)을 구획하는 구획벽(20)과 단턱에 의해 버스바(66)와 주변 사이의 절연거리를 일정 이상으로 확보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버스바안착채널(44)은 상기 베이스(12)를 일측에서 타측으로 가로질러 형성되어 있다. 상기 버스바안착채널(44)은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0)에 결합되어 상기 프레임(10)에 설치된 부품들을 차폐하는 커버(50)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커버(50)는 커버상판(52)과 상기 커버상판(52)의 가장자리를 둘러 있는 커버측벽(54)을 포함한다. 상기 커버측벽(54)은 상기 프레임(10)의 프레임측벽(14)의 일부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커버측벽(54)에서 연장되어 체결편(56)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체결편(56)은 소정의 탄성변형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체결편(56)에는 체결공(58)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공(58)에는 상기 체결턱(16)이 삽입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체결공(58)이 상기 체결편(56)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으나, 다르게는 홈형상으로 될 수 있다.
상기 커버(50)의 일측에는 단자캡(60)이 있을 수 있다. 상기 단자캡(60)은 상기 외부연결부(32)를 차폐할 수 있다. 상기 단자캡(60)은 상기 커버(50)에 소정 각도만큼 회전개폐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단자캡(60)을 개방하여 상기 외부연결부(32)에 외부단자를 결합하고 분리할 수 있다. 상기 단자캡(60)을 닫음에 의해 상기 외부연결부(32)의 구성을 외부로부터 차폐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0) 상에 설치되는 부품들을 설명한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2개의 릴레이(62)가 있다. 상기 릴레이(62)들은 그 외면이 서로 마주보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다. 2개의 릴레이(62)의 모서리 부분이 서로 인접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10)에는 또한 전류센서(64)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0)에는 다수개의 버스바(66,66')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버스바(66,66')는 상기 릴레이(62), 전류센서(64) 등을 연결하여 회로를 구성하고, 외부와의 전기적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버스바(66,66')들 중에서 일부의 버스바(66)는 상기 베이스(12)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버스바안착채널(44) 등에 안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버스바(66)의 외부연결단부(68)들은 상기 외부연결단(30)에서 더 연장되어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외부연결단부(68)에는 외부의 버스바 또는 외부 단자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버스바(66,66')들 중에서 상기 커버(50)에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는 버스바(66')가 있을 수 있다. 상기 버스바(66')는 상기 프레임(10)의 제1지지대(22)와 제2지지대(24)에 지지되고, 상기 걸이홈(26)에 일측이 걸어질 수 있다. 상기 버스바(66')의 구성이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버스바(66')는 골격을 형성하는 버스바몸체(70)가 'ㄱ'자 형상으로 된 금속판이다. 상기 버스바몸체(70)의 일측이 상기 제1지지대(22)에 안착되어 설치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버스바몸체(70)에서 상기 제1지지대(22)에 지지되는 부분은 버스바(66')의 무게중심일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대(22)에 상기 버스바몸체(70)의 일측이 안착되어 유지됨에 의해 상기 릴레이(62)와 상기 버스바(66')의 버스바몸체(70)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둘 수 있다.
상기 버스바몸체(70)의 일단에서 제1절곡편(72)이 절곡되어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버스바몸체(70)의 타단에서 제2절곡편(74)이 절곡되어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절곡편(72)과 제2절곡편(74)은 각각 상기 버스바몸체(70)에 대해 직각이 되게 절곡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1절곡편(72)과 제2절곡편(74)이 상기 버스바몸체(70)에 연결되는 부분은 각각 소정의 곡률반경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절곡편(72)에서 다시 직각으로 절곡되어 제1단(76)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단(76)의 가상의 연장면은 상기 버스바몸체(70)와 공간상에서 서로 평행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제1단(76)에는 제1체결공(7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체결공(76')을 통해 상기 전류센서(64)의 일측 단자와 체결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전류센서(64)의 타측 단자는 도 2에서 3개의 버스바(66)가 나란히 배치되어 있는 것 중에서 가장 좌측에 있는 버스바(66)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단(76)은 상기 베이스(12)의 일측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제1단(76)이 상기 베이스(12)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전류센서(64)의 일측 단자와 체결됨에 의해 상기 제1단(76)이 상기 베이스(12)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단(76)에서 돌출되어 고정돌기(77)가 있을 수 있다. 상기 고정돌기(77)는 상기 베이스(12)의 구획벽(20) 일측에 형성된 걸이홈(26)에 걸어질 수 있다. 상기 고정돌기(77)가 상기 걸이홈(26)에 삽입되어 고정됨에 의해 버스바(66')의 설치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고, 또 가조립상태에서 상기 버스바(66')가 상기 프레임(10)에서 유동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2절곡편(74)의 끝부분은 제2단(78)이다. 상기 제2단(78)은 상기 제2지지대(24)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2단(78)에는 제2체결공(78')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2체결공(78')은 상기 릴레이(62)의 전극과 체결을 위한 체결볼트(63)가 관통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버스바(66')의 제2단(78)이 릴레이(62)의 전극에 상기 체결볼트(63)에 의해 체결되지 않았을 때에는 상기 버스바(66')의 제2단(78)은 상기 제2지지대(24)에 지지되어 설치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제2단(78)은 상기 제2절곡편(74)에 대해서 직교하게 절곡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되면 제1절곡편(72)과 제1단(76) 사이의 연결관계와 제2절곡편(74)과 제2단(78) 사이의 연결관계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것이다. 하지만,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제2단(78)이 제2절곡편(74)에 대해 직교하게 절곡되지 않아서, 제2단(78)의 끝부분이 상기 제2지지대(24) 상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0) 상에는 자동차용 블럭의 외부와의 연결을 위해 커넥터(80)가 설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2개의 커넥터(80)가 상기 프레임(10)에 설치되고, 상기 커버(50)의 일측을 통해 노출되어 있다. 상기 커넥터(80)와 상기 프레임(10)에 설치된 다른 부품들과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와이어(82)들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82)는 다수개가 다발을 이루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82)의 일측은 상기 와이어가이드(38)에 의해 안내되어 전류센서(64)에 연결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3에 잘 도시되어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블럭이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프레임(10) 상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 부품들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10)에 여러 부품들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상기 버스바(66)들의 일부를 상기 베이스(12) 상에 미리 안착시킬 수 있다. 상기 버스바(66)들을 상기 베이스(12) 상의 버스바안착채널(44)을 포함하는 다양한 위치에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전류센서(64)와 릴레이(62)를 상기 프레임(10) 상에 장착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전류센서(64)의 일측 단자에 연결되는 버스바(66)는 상기 전류센서(64)를 프레임(10)에 위치시킨 후에 장착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버스바(66')를 일측 릴레이(62) 상부를 지나도록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돌기(77)는 상기 걸이홈(26)에 삽입되도록 하고, 상기 버스바몸체(70)의 일측은 상기 제1지지대(22)에 안착되게 한다. 상기 제2지지대(24)에는 상기 버스바(66')의 제2단(78)이 지지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버스바(66')를 프레임(10) 상에 가조립한 상태에서 다음의 조립과정을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단(76)을 상기 전류센서(64)의 단자와 체결구를 사용하여 체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볼트(63)를 사용하여 상기 버스바(66')의 제2단(78)을 상기 릴레이(62)의 전극에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제2단(78)을 포함하는 상기 제2절곡편(74)은 상기 릴레이(62)의 대응되는 표면과 소정의 간격을 가질 수 있다. 이는 상기 릴레이(62)의 전극(상기 제2단(78)이 결합되는)이 상기 릴레이(62)의 표면에 돌출되어 있기 때문이다.
상기 버스바(66')를 다른 버스바(66)들과 달리 상기 커버(50)에 인접한 위치에 있도록 상기 제1지지대(22), 제2지지대(24)를 사용하여 위치시킴에 의해 다른 버스바(66) 또는 다른 부품들과의 사이에서 절연거리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와이어가이드(38)는 와이어(82)와 상기 외부연결부(32)에 위치되는 외부단자 등과의 절연거리를 보다 잘 확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더해 상기 와이어가이드(38)의 횡단면은 소정의 곡률반경을 가진 곡선으로 되어 있어서, 상기 외부연결부(32)에 외부단자를 결합하고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공구의 동작이 보다 원활하게 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상기 와이어가이드(38)에서 연장된 연장날개(40)와 상기 연장날개(40)에 직교하게 연결되는 연장편(42) 및 연장펜스(43)는 와이어(82)가 상기 전류센서(64)에 연결되도록 연장되는 구간에서 와이어(82)를 안내하여 절연거리를 충분히 확보하고, 절연거리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외부연결부(32)에 상기 버스바(66)와 외부단자를 결합하기 위해 체결구를 상기 체결너트(34')에 체결하게 되는데, 상기 체결구가 상기 프레임(10)의 베이스(12)를 관통하여 프레임(10)의 저면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체결구공(36)이 관통되지 않은 홈형상으로 만들었다. 이에 의해 상기 체결구와 자동차의 블럭 외부에 있는 부품 사이의 절연거리를 충분히 확보하였다.
한편, 상기 고정편(29)은 그 고정턱(29')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스바(66)를 걸어 고정하게 된다. 상기 버스바(66)를 상기 버스바안착채널(44)에 안착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버스바(66)의 일측 가장자리가 상기 고정편(29)을 따라 화살표 A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과정에서 상기 버스바(66)가 상기 고정턱(29')을 만나면 상기 고정편(29)을 탄성변형시키게 된다. 상기 고정편(29)의 탄성변형은 화살표 B방향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버스바(66)가 상기 고정턱(29')을 통과하고 나면 상기 고정편(29)은 화살표 B 반대 방향으로 복원되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버스바(66)를 견고하게 고정하게 된다. 이와 같이 버스바(66)가 상기 고정편(29)에 의해 고정되어 있음으로 해서 고정된 상기 버스바(66)와 주변 부품들 사이의 절연거리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고정편(29)은 구획벽(20)의 일부를 구성하게 되는데, 상기 고정편(29)의 형성을 위해 구획벽(20)에 있는 관통부(28)의 대부분을 막게 되어 절연거리 확보에 도움이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버스바(66)를 상기 고정편(29)으로부터 해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프레임(10)의 저면에서 작업자가 상기 고정편(29)을 화살표 B방향으로 밀어주면 상기 걸이턱(29')이 상기 버스바(66)에서 빠지면서 쉽게 분리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프레임 12: 베이스
14: 프레임측벽 16: 체결턱
18: 장착부 19: 장착공
19': 부싱 20: 구획벽
22: 제1지지대 24: 제2지지대
26: 걸이홈 28: 관통부
29: 고정편 29': 고정턱
30: 외부연결단 32: 외부연결부
34: 너트안착공간 34': 체결너트
36: 체결구공 38: 와이어가이드
40: 연장날개 42: 연장편
43: 연장펜스 44: 버스바안착채널
50: 커버 52: 커버상판
54: 커버측벽 56: 체결편
58: 체결공 60: 단자캡
62: 릴레이 64: 전류센서
66: 버스바 66': 버스바
68: 외부연결단부 70: 버스바몸체
72: 제1절곡편 74: 제2절곡편
76: 제1단 76': 제1체결공
77: 고정돌기 78: 제2단
78': 제2체결공 80: 커넥터
82: 와이어

Claims (15)

  1.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를 둘러 프레임측벽이 형성되어 구성되고 부품이 설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상에 설치되어 부품 사이의 회로연결과 외부와의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 버스바들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부품을 외부로부터 차폐하는 커버와,
    상기 베이스 상에 돌출되고 상기 버스바 중 하나를 지지하여 일부 구간을 상기 커버에 인접하게 위치시키는 제1지지대와 제2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지지대와 제2지지대에 의해 지지되는 버스바는, 상기 제1지지대에 의해 일측이 지지되는 버스바몸체와, 상기 버스바몸체의 양측에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1절곡편 및 제2절곡편과, 상기 제1절곡편의 끝부분에 있고 상기 베이스 상에 지지되는 제1단과, 상기 제2절곡편의 끝부분에 있고 상기 베이스 상에 지지되는 제2단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블럭.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은 상기 제2지지대에 지지되는 자동차용 블럭.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대의 높이는 상기 버스바의 제2단이 결합되는 릴레이가 상기 베이스 상에서 돌출된 높이보다 더 높게 되는 자동차용 블럭.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은 그 가상의 연장면이 상기 버스바몸체와 평행하게 되도록 상기 제1절곡편에 직교하게 절곡되는데, 상기 제1단에는 상기 베이스에 형성된 구획벽에 있는 걸이홈에 걸어지는 고정돌기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자동차용 블럭.
  6. 제 1 항,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상에 형성되어 공간을 구획하는 구획벽이 더 구비되고, 상기 구획벽에 형성된 관통부에는 상기 베이스 상에 설치되는 버스바의 일측을 걸어서 고정하는 고정편이 구비되는데, 상기 고정편은 상기 구획벽의 상단 쪽에서 구획벽과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의 상면 쪽에 자유단부가 위치하는 자동차용 블럭.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편에는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인접한 위치에 상기 버스바를 걸어주는 고정턱이 돌출되어 형성되는 자동차용 블럭.
  8.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를 둘러 프레임측벽이 형성되어 구성되고 부품이 설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상에 설치되어 부품 사이의 회로연결과 외부와의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 버스바들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부품을 외부로부터 차폐하는 커버와,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버스바 중 하나와 외부단자와의 연결을 수행하는 외부연결부와,
    상기 외부연결부에 인접하여 형성되어 와이어의 연장을 안내하고 상기 외부연결부에서의 공구동작을 안내하는 와이어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가이드는 횡단면이 소정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곡선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외부연결부 쪽에 곡률반경의 중심이 있도록 오목하게 들어가서 상기 버스바와 외부단자의 체결을 수행하는 체결구를 조작하는 공구의 동작을 안내하는 자동차용 블럭.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연결부에는 너트안착공간이 형성되어 체결너트가 설치되고, 상기 체결너트에 체결되어 상기 버스바와 외부단자를 체결하는 체결구의 일부 구간이 위치되는 체결구공이 홈형상으로 형성되는 자동차용 블럭.
  10. 삭제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가이드의 폭방향 양단에는 각각 연장날개가 형성되고, 일측 연장날개에 직교하게 연장편과 연장펜스가 돌출되어 상기 외부연결부를 상기 와이어가이드와 함께 주위와 구획하는 자동차용 블럭.
  12. 제 8 항, 제 9 항,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상에는 상기 버스바 중 하나를 지지하여 일부 구간을 상기 커버에 인접하게 위치시키는 제1지지대와 제2지지대가 더 구비되는 자동차용 블럭.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대와 제2지지대에 의해 지지되는 버스바는, 상기 제1지지대에 의해 일측이 지지되는 버스바몸체와, 상기 버스바몸체의 양측에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1절곡편 및 제2절곡편과, 상기 제1절곡편의 끝부분에 있고 상기 베이스 상에 지지되는 제1단과, 상기 제2절곡편의 끝부분에 있고 상기 베이스 상에 상기 제2지지대에 의해 지지되는 제2단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블럭.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대의 높이는 상기 버스바의 제2단이 결합되는 릴레이가 상기 베이스 상에서 돌출된 높이보다 더 높게 되는 자동차용 블럭.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은 그 가상의 연장면이 상기 버스바몸체와 평행하게 되도록 상기 제1절곡편에 직교하게 절곡되는데, 상기 제1단에는 상기 베이스에 형성된 구획벽에 있는 걸이홈에 걸어지는 고정돌기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자동차용 블럭.
KR1020220093292A 2022-07-27 2022-07-27 자동차용 블럭 KR1026674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3292A KR102667448B1 (ko) 2022-07-27 2022-07-27 자동차용 블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3292A KR102667448B1 (ko) 2022-07-27 2022-07-27 자동차용 블럭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5428A KR20240015428A (ko) 2024-02-05
KR102667448B1 true KR102667448B1 (ko) 2024-05-20

Family

ID=89904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3292A KR102667448B1 (ko) 2022-07-27 2022-07-27 자동차용 블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744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85506A (ja) * 2010-09-15 2012-04-26 Sumitomo Wiring Syst Ltd 電気接続箱
KR102035011B1 (ko) * 2018-04-19 2019-10-22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자동차용 블럭의 부품 고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6522U (ko) 1995-12-14 1997-07-26 Abs시스템의 호스고정용클립
KR20040049006A (ko) 2002-12-03 2004-06-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리어시트의 폴딩 구조
KR101516596B1 (ko) 2013-09-25 2015-05-04 주식회사 팜월드 의약품 저장고용 클린 공조 시스템
KR102277039B1 (ko) * 2020-01-02 2021-07-14 주식회사 경신 엔진룸 정션블록용 인라인 프로텍터
JP2021181285A (ja) 2020-05-20 2021-11-2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センサ搭載構造及び車両センサ用ブラケットセッ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85506A (ja) * 2010-09-15 2012-04-26 Sumitomo Wiring Syst Ltd 電気接続箱
KR102035011B1 (ko) * 2018-04-19 2019-10-22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자동차용 블럭의 부품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5428A (ko) 2024-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60914B2 (ja) 電気接続箱およびワイヤハーネス
KR20160098357A (ko) 플러그 타입 커넥터용 보유 프레임
JP2009541919A (ja) 電気コネクタ
US11345293B2 (en) Protector and wire harness
US6809264B2 (en) Feeder assembly of car sliding door
JP2019129578A (ja) 電気接続箱と保護部材の連結構造
KR102667448B1 (ko) 자동차용 블럭
EP1544045A1 (en) Door module for a vehicle
KR20090044365A (ko) 커넥터
KR102499818B1 (ko) 고전압 커넥터
KR101412322B1 (ko) 커넥터
KR200494151Y1 (ko) 가로형 콘센트
JP7098678B2 (ja) プロテクタおよびワイヤハーネス
EP3822127A1 (en) Electric connection box
EP3037304A1 (en) Electrical junction box for vehicle
JP2018182849A (ja) プロテクタ、ワイヤハーネス、及び、固定構造
KR20220088042A (ko) 리어홀더 및 커넥터
KR20170002387U (ko) 조인트 블럭
KR20100042552A (ko) 차량용박스
KR100948132B1 (ko) 차량용박스
KR102144932B1 (ko) 블럭용 단자커버 장치
JP2003087937A (ja) 電気接続箱
CN213845686U (zh) 一种天线接头预固定装置
CN219067588U (zh) 一种配电箱箱门
KR200465856Y1 (ko) 커넥터의 와이어커버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