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4932B1 - 블럭용 단자커버 장치 - Google Patents

블럭용 단자커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4932B1
KR102144932B1 KR1020190117754A KR20190117754A KR102144932B1 KR 102144932 B1 KR102144932 B1 KR 102144932B1 KR 1020190117754 A KR1020190117754 A KR 1020190117754A KR 20190117754 A KR20190117754 A KR 20190117754A KR 102144932 B1 KR102144932 B1 KR 1021449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cover plate
block
terminal cov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77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영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177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49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49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49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9Electronic box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3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럭용 단자커버 장치에 관한 것으로, 외면이 내측으로 요입되어 버스바(B)가 안착되는 버스바안착단(12)이 구비되고, 내부에 전자부품들이 안착되는 메인바디(10)와, 상기 버스바안착단(12)이 노출되게 요입부(22)가 형성되고, 상기 메인바디(10)에 안착된 전자부품들을 차폐시키는 상부커버(20)와, 상기 상부커버(20)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요입부(22)의 내측에서 상기 상부커버(20)의 결합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버스바안착단(12)의 버스바(B)를 차폐시키는 단자커버(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단자커버가 안착공간의 내면을 따라서 진입하여 버스바를 차폐시키므로 단자커버가 버스바안착단을 차폐시키기 위한 차폐동작이 최소화된다. 따라서, 버스바안착단이 노출된 공간이 좁더라도 단자커버가 버스바안착단을 차폐시킬 수 있게되어 블럭의 공간활용도가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블럭용 단자커버 장치{TERMINAL COVER DEVICE FOR BLOCK}
본 발명은 블럭용 단자커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내 협소한 공간에서도 블럭의 외부로 노출되는 단자부를 차폐할 수 있는 블럭용 단자커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는 각종 전장부품을 컨트롤할 수 있는 릴레이와 과전압으로부터 각 전장부품을 보호하는 퓨즈들이 사용되는데, 이들 릴레이와 퓨즈 등을 모아 배치한 것이 자동차용 블럭이다.
상기 자동차용 블럭에는 다양한 형태의 것이 있는데, 최근에는 전기자동차나 하이브리드자동차 등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전압을 사용함에 따라 고전압에서 사용되는 블럭도 만들어지고 있다.
이와 같은 블럭에는 전원측과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단자부와 부하측과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단자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이와 같이 노출된 단자부는 외부의 환경 때문에 손상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블럭의 외부로 노출되는 단자부를 커버장치를 사용하여 커버하기도 한다. 하지만, 상기 단자부의 노출위치가 다양하게 되면서 이들 각각을 별도의 커버장치로 차폐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커버장치들은 단자부에 외부 단자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상기 블럭에서 분리되어야 했다. 하지만, 하나의 블럭에 다수개의 커버장치가 사용되고, 또한 커버장치가 블럭에서 분리되면 관리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한편, 자동차의 기능이 다양해지면서 차량에 설치되는 블럭의 개수가 증가하였다. 이에 따라 블럭의 경량화와 소형화가 중요한 이슈가 되었으며, 블럭과 커버장치가 힌지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는 구조는 힌지구조에 의해 상대적으로 공간을 많이 차지하였다. 이에 따라 커버장치가 블럭으로부터 최소한으로 노출된 단자부를 커버하기 위한 새로운 구조를 필요로 하게 되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1998-0030174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단자부를 개폐하기 위한 커버의 동작을 위한 공간이 줄어드는 블럭용 단자커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블럭과 조립되어 일체로 구비되는 블럭용 단자커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전자부품이 안착되는 메인바디의 외면이 내측으로 요입되어 버스바가 안착되는 버스바안착단과, 상기 메인바디에 안착된 전자부품들을 차폐시키는 상부커버에 형성되어 상기 버스바안착단이 노출되게 하는 요입부와, 상기 상부커버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요입부의 내측에서 상기 상부커버의 결합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버스바안착단을 차폐시키는 단자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단자커버는 상기 버스바안착단을 차폐시키는 커버플레이트와, 상기 상부커버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는 체결고리와, 상기 커버플레이트와 체결고리를 연결하고, 플렉시블한 끈 형상의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요입부의 내면에는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플레이트에는 상기 커버플레이트가 결합되는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고정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홈에 결합되며, 상기 커버플레이트에는 상기 커버플레이트의 외면에 단자커버가 버스바안착단에 장착되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파지부가 형성된다.
삭제
상기 커버플레이트의 양측면에는 상기 상부커버의 결합방향으로 한 쌍의 측벽이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측벽 사이에는 상기 측벽보다 길게 연장되는 절연벽이 형성된다.
상기 커버플레이트에는 상기 측벽이 연장된 방향으로 상기 측벽의 외면을 따라서 가이드홈이 형성된다.
상기 버스바안착단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메인바디의 요입된 외면에서 상기 상부커버와의 결합방향으로 돌출되어 한 쌍의 구획벽이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구획벽에는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상기 커버플레이트를 안내하는 가이드돌기가 돌출된다.
삭제
상기 파지부의 선단은 상기 파지부의 연장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상부커버에는 상기 체결고리가 끼워지는 보스부가 형성되고, 상기 보스부의 외면에는 이탈방지돌기가 돌출된다.
본 발명에 의한 블럭용 단자커버 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단자커버가 안착공간의 내면을 따라서 진입하여 버스바를 차폐시키므로 단자커버가 버스바안착단을 차폐시키기 위한 차폐동작이 최소화된다. 따라서, 버스바안착단이 노출된 공간이 좁더라도 단자커버가 버스바안착단을 차폐시킬 수 있게되어 블럭의 공간활용도가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힌지구조를 사용하지 않고, 플렉시블한 재질의 연결부가 블럭과 단자커버를 연결시키므로 단자커버가 블럭에 고정될 때, 상대적으로 공간의 제약을 받지않는 상태로 고정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차량 내에 존재하는 공간의 활용도가 증가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블럭의 버스바안착단에 구비되는 버스바에 외부 단자를 연결하고 분리하는 작업을 수행할 때 단자커버를 블럭에서 분리하지 않아도 되므로 단자커버의 관리가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단자커버에는 파지부가 형성되어 좁은 공간에 설치된 단자커버도 블럭으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좁은 공간에서 단자커버의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하여 작업의 효율성이 증가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블럭용 단자커버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례의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블럭의 안착공간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단자커버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단자커버의 상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블럭용 단자커버 장치의 상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블럭용 단자커버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례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구성하는 블럭용 단자커버 장치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블럭용 단자커버 장치 즉, 차량용 블럭(1)에 단자커버(30)가 결합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블럭용 단자커버 장치는 단자커버(30)가 차량용 블럭(1)의 안착공간(S)에 형성된 버스바안착단(12)에 안착되는 형상을 포함한다.
상기 차량용 블럭(1)은 전자부품들(미도시)이 안착되는 메인바디(10)와, 상기 메인바디(10)를 덮는 상부커버(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메인바디(10)에는 외면에 체결돌기(11)가 형성되어 상기 상부커버(20)의 체결걸이(21)와 걸어져 결합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메인바디(10)에는 버스바안착단(12)이 형성된다. 상기 버스바안착단(12)은 상기 메인바디(10)의 외면이 내측으로 요입되어 형성된다. 상기 버스바안착단(12)을 통해서 버스바(B) 한 쌍이 노출된다. 각각의 버스바(B)는 배터리 등과 연결될 수 있으며, 각각 (+)극 및 (-)극의 도체와 연결된다.
상기 버스바안착단(12)에는 상기 한 쌍의 버스바(B) 사이에 안착홈(12')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홈(12')은 상기 버스바(B)의 선단이 향하는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된다. 상기 안착홈(12')에는 상기 단자커버(30)의 절연벽(35)이 안착되어 상기 한 쌍의 버스바(B) 사이에 절연이 이루어진다.
상기 버스바안착단(12)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메인바디(10)의 요입된 외면이 돌출되어 구획벽(13)이 형성된다. 상기 구획벽(13)은 상기 상부커버(20)와의 결합방향으로 돌출된다. 상기 구획벽(13)은 한 쌍이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된다. 상기 구획벽(13)은 상기 메인바디(10)와 상부커버(20)가 결합되어 유격에 의한 틈이 생기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한 쌍의 구획벽(13)에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가이드돌기(14)가 돌출된다. 상기 가이드돌기(14)는 상기 단자커버(30)가 상기 버스바안착단(12)에 결합되는 방향을 안내하고, 상기 차량용 블럭(1)으로부터 상기 단자커버(30)의 결합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메인바디(10)에는 상기 상부커버(20)가 결합되어 상기 메인바디(10)에 안착된 전자부품들(미도시)을 차폐시킨다. 상기 상부커버(20)는 상기 메인바디(10)와 대응되는 형상이며, 상기 체결돌기(11)와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걸이(21)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걸이(21)는 상기 체결돌기(11)를 감싸도록 걸어져서 상기 메인바디(10)와 상부커버(20)가 결합된다.
상기 상부커버(20)에는 가장자리가 내측으로 요입되게 요입부(22)가 형성된다. 상기 요입부(22)는 상기 메인바디(10)와 상부커버(20)가 결합될 때, 상기 메인바디(10)의 버스바안착단(12)이 형성된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버스바안착단(12)이 노출되게 상부커버(20)에 요입되어 형성된다. 즉, 상기 요입부(22)의 내면은 상기 버스바안착단(12)의 가장자리에 대응되는 위치에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상부커버(20)는 상기 구획벽(13)이 노출되게 상기 메인바디(10)와 결합된다. 상기 요입부(22)내에는 상기 메인바디(10)의 일면이 바닥이 되는 안착공간(S)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공간(S)은 상기 단자커버(30)가 상기 버스바안착단(12)에 안착되는 공간이다.
상기 요입부(22)의 일측 내면에는 고정홈(22')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홈(22')에는 상기 단자커버(30)의 일부가 걸려서 고정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단자커버(30)는 상기 고정홈(22')에 걸려서 상기 버스바안착단(12)과의 결합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상부커버(20)에는 상기 요입부(22)와 이웃한 위치에 보스부(23)가 형성된다. 상기 보스부(23)에는 상기 단자커버(30)가 고정된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보스부(23)를 통해서 와이어클립(미도시)이 상기 메인바디(10)의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보스부(23)의 구멍이 차폐된다. 다만, 상기 보스부(23)가 항상 와이어클립(미도시)이 삽입되기 위해 형성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요입부(22)의 가까이에서 상기 단자커버(30)를 고정시키기 위해 형성되면 된다. 또한, 상기 보스부(23)는 항상 상기 상부커버(20)에 형성될 필요는 없다. 설계 환경에 따라서 상기 보스부(23)는 메인바디(10) 또는 상부커버(20)에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스부(23)의 외면에는 이탈방지돌기(23')가 돌출된다. 상기 단자커버(30)의 체결고리(32)가 보스부(23)의 외면에 걸어지면 상기 체결고리(32)는 상기 보스부(23)의 외면에 돌출된 이탈방지돌기(23')에 의해 상기 보스부(23)로부터 빠지지 않게 고정된다. 상기 이탈방지돌기(23')는 상기 보스부(23)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여러 개 형성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는 상기 단자커버(30)의 형상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단자커버(30)는 상기 버스바안착단(12)에 안착되어 상기 메인바디(10) 및 상부커버(20)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단자커버(30)는 커버플레이트(31), 체결고리(32) 및 연결부(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커버플레이트(31)는 상기 버스바안착단(12)을 차폐시키고, 상기 체결고리(32)는 상기 보스부(23)에 고정된다. 상기 연결부(33)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플렉시블하게 형성되어 상기 체결고리(32)와 커버플레이트(31)를 연결한다. 상기 연결부(33)에 의해 상기 커버플레이트(31)가 상기 차량용 블럭(1)에 고정된 상태에서도 일정범위 이상의 자유도를 가진다.
상기 커버플레이트(31)는 상기 버스바안착단(12)을 차폐시킨다. 상기 커버플레이트(31)는 상기 요입부(22)의 횡단면 형상과 대응되는 플레이트 형상을 가진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커버플레이트(31)는 사각형 형상이다.
상기 커버플레이트(31)의 서로 마주보는 양측면에는 각각 상기 커버플레이트(31)와 수직인방향으로 측벽(31')이 연장된다. 즉, 상기 측벽(31')은 한 쌍이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측벽(31')은 상기 커버플레이트(31)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측벽(31')은 각각 상기 구획벽(13)에 밀착되어 상기 단자커버(30)를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상기 커버플레이트(31)에는 가이드홈(34)이 형성되어 상기 측벽(31')으로 연장된다. 상기 가이드홈(34)은 상기 가이드돌기(14)와 맞물려 상기 단자커버(30)의 결합방향을 안내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홈(34)과 가이드돌기(14)가 결합되어 상기 커버플레이트(31)는 상기 단자커버(30)의 결합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의 움직임이 방지된다.
상기 커버플레이트(31)로부터 상기 측벽(31')과 평행하게 절연벽(35)이 연장된다. 상기 절연벽(35)은 상기 한 쌍의 측벽(31')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절연벽(35)은 상기 버스바안착단(12)의 안착홈(12')에 안착된다. 상기 절연벽(35)은 상기 서로 마주보는 측벽(31') 사이의 공간에 위치한 상기 버스바(B) 한 쌍 사이의 절연거리를 확보하기 위해 형성된다. 상기 절연벽(35)은 상기 커버플레이트(31)의 결합방향으로 상기 측벽(31')보다 더 길게 연장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커버플레이트(31)에는 고정돌기(36)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돌기(36)는 상기 커버플레이트(31)가 결합되는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고정돌기(36)는 상기 요입부(22)의 일측 내면에 형성된 고정홈(22')에 끼워져서 상기 커버플레이트(31)가 결합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고정돌기(36)는 소정의 탄성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고정홈(22')에 끼워지기 전까지는 상기 요입부(22)의 일측 내면에 의해 변형되었다가, 변형이 해제되면서 상기 고정홈(22')에 고정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커버플레이트(31)에는 파지부(37)가 형성된다. 상기 파지부(37)는 협소한 공간에 고정된 커버플레이트(31)를 빼내는데 사용된다. 상기 파지부(37)는 상기 커버플레이트(31)의 결합방향과 평행하고, 반대인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파지부(37)는 파지가 용이하도록 그 선단이 상기 파지부(37)의 연장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작업자는 상기 한 쌍의 파지부(37)를 잡고 당겨 상기 커버플레이트(31)를 상기 차량용 블럭(1)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상기 보스부(23)에 고정되는 체결고리(32)는 중앙에 체결홀(32')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홀(32')을 상기 보스부(23)가 관통하여 상기 보스부(23)에 상기 체결고리(32)가 끼워진다. 상기 체결고리(32)는 소정의 탄성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약간의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체결고리(32)가 상기 보스부(23)에 끼워질 때, 상기 이탈방지돌기(23')에 걸리더라도 일정 크기 이상의 힘을 가하면 상기 체결고리(32)가 변형하여 상기 이탈방지돌기(23')를 넘어간다.
마찬가지로, 상기 보스부(23)로부터 상기 체결고리(32)가 분리되기 위해서 일정 크기 이상의 힘이 필요하므로 상기 체결고리(32)는 상기 이탈방지돌기(23')를 넘어서 상기 보스부(23)로부터 임의로 분리되지 않는다.
상기 연결부(33)는 상기 커버플레이트(31)와 체결고리(32)를 잇는다. 상기 연결부(33)는 벨트 또는 끈 형상으로 유연성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33)는 상기 체결고리(32)가 상기 차량용 블럭(1)에 고정된 상태에서도 상기 연결부(33)의 길이만큼 상기 커버플레이트(31)에 자유도를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차량용 블럭(1)에 쓰이지 않는 공간에 보스부(23)가 형성되어 상기 체결고리(32)가 끼워질 수 있으므로 상기 단자커버(30)를 상기 차량용 블럭(1)에 고정시키기 위한 공간 제약이 상대적으로 감소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구성하는 단자커버(30)가 차량용 블럭(1)에 결합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메인바디(10)의 체결돌기(11)에 상기 상부커버(20)의 체결걸이(21)가 걸어져서 상기 메인바디(10)와 상부커버(20)가 결합된다. 상기 메인바디(10)에 상기 상부커버(20)가 안착되더라도 상기 버스바안착단(12)은 한 쌍의 버스바(B)와 함께 상기 요입부(22)에 의해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요입부(22)의 내면은 상기 버스바안착단(12)의 가장자리에 안착되며 안착공간(S)을 형성한다. 상기 안착공간(S)은 상기 요입부(22)의 내면과 구획벽(13)에 의해 둘러싸이고, 상기 커버플레이트(31)가 상기 버스바안착단(12)에 안착되기 위한 공간이다.
상기 단자커버(30)의 체결고리(32)가 상기 보스부(23)에 끼워진다. 상기 체결고리(32)를 상기 보스부(23)에 끼우고 일정 이상의 힘을 가하면 상기 체결고리(32)가 변형되며 상기 이탈방지돌기(23')를 넘어간다. 상기 체결고리(32)가 상기 보스부(23)에 끼워졌을때, 상기 이탈방지돌기(23')에 걸려서 일정 이상의 힘을 가하여 당기지 않으면 다시 빠지지 않는다.
상기 커버플레이트(31)는 상기 체결고리(32)가 상기 보스부(23)에 끼워진 상태이더라도 상기 연결부(33)에 의해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안착공간(S)과 보스부(23) 사이에 복잡한 구조물이 있더라도, 상기 연결부(33)의 길이만 확보되면 상기 커버플레이트(31)를 상기 버스바안착단(12)에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단자커버(30)의 커버플레이트(31)는 상기 안착공간(S)으로 진입된다. 이때, 상기 고정돌기(36)는 상기 요입부(22)의 일측 내면에 의해 변형된 상태이다. 상기 커버플레이트(31)의 가이드홈(34)에 상기 구획벽(13)의 가이드돌기(14)가 삽입되면, 상기 커버플레이트(31)는 상기 가이드홈(34)이 연장된 방향을 따라서 상기 안착공간(S)을 이동한다. 상기 안착홈(12')에 상기 절연벽(35)의 선단이 안착되면 상기 커버플레이트(31)의 진입이 멈추고, 상기 변형된 고정돌기(36)는 변형이 해제되며 상기 고정홈(22')에 끼워진다.
상기 고정돌기(36)가 고정홈(22')에 끼워지는 구조에 의해 상기 커버플레이트(31)는 상기 단자커버(30)의 결합방향으로의 움직임이 방지되고, 상기 가이드홈(34)에 상기 가이드돌기(14)가 삽입되는 구조에 의해 상기 단자커버(30)의 결합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의 움직임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측벽(31')은 상기 구획벽(13)에 밀착되어 상기 커버플레이트(31)가 흔들리지 않게 지지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구성하는 단자커버(30)가 차량용 블럭(1)으로부터 분리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작업자는 상기 커버플레이트(31)로부터 돌출된 파지부(37)를 손으로 잡고 상기 가이드홈(34)이 형성된 방향으로 당긴다. 이때, 상기 고정돌기(36)는 상기 고정홈(22')을 빠져나와 상기 요입부(22)의 일측 내면에 의해 변형된 상태가 된다. 작업자가 상기 커버플레이트(31)를 더 당기면 상기 가이드홈(34)에서 상기 가이드돌기(14)가 빠지고 상기 안착공간(S)에서 상기 커버플레이트(31)가 완전히 분리된다.
상기 커버플레이트(31)가 상기 안착공간(S)을 완전히 빠져나오더라도 상기 체결고리(32)는 상기 보스부(23)에 고정된 상태이다. 상기 커버플레이트(31)가 상기 버스바안착단(12)과 분리되어 상기 안착공간(S)을 빠져나오면 작업자는 보수 작업 또는 조립 작업 등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는 상기 체결고리(32)에 일정량 이상의 힘을 가하여 당기면 상기 체결고리(32)에 변형이 발생하여 상기 이탈방지돌기(23')를 벗어나며, 상기 보스부(23)로부터 상기 체결고리(32)를 분리시킬 수 있다. 상기 체결고리(32)가 상기 보스부(23)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단자커버(30)는 상기 차량용 블럭(1)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차량용 블럭 10 : 메인바디
11 : 체결돌기 12 : 버스바안착단
12' : 안착홈 13 : 구획벽
14 : 가이드돌기 20 : 상부커버
21 : 체결걸이 22 : 요입부
22' : 고정홈 23 : 보스부
23' : 이탈방지돌기 30 : 단자커버
31 : 커버플레이트 31' : 측벽
32 : 체결고리 32' : 체결홀
33 : 연결부 34 : 가이드홈
35 : 절연벽 36 : 고정돌기
37 : 파지부 B : 버스바
S : 안착공간

Claims (8)

  1. 전자부품이 안착되는 메인바디의 외면이 내측으로 요입되어 버스바가 안착되는 버스바안착단과,
    상기 메인바디에 안착된 전자부품들을 차폐시키는 상부커버에 형성되어 상기 버스바안착단이 노출되게 하는 요입부와,
    상기 상부커버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요입부의 내측에서 상기 상부커버의 결합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버스바안착단을 차폐시키는 단자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단자커버는
    상기 버스바안착단을 차폐시키는 커버플레이트와,
    상기 상부커버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는 체결고리와,
    상기 커버플레이트와 체결고리를 연결하고, 플렉시블한 끈 형상의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요입부의 내면에는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플레이트에는 상기 커버플레이트가 결합되는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고정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홈에 결합되며,
    상기 커버플레이트에는 상기 커버플레이트의 외면에 단자커버가 버스바안착단에 장착되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파지부가 형성되는 블럭용 단자커버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플레이트의 양측면에는 상기 상부커버의 결합방향으로 한 쌍의 측벽이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측벽 사이에는 상기 측벽보다 길게 연장되는 절연벽이 형성되는 블럭용 단자커버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플레이트에는 상기 측벽이 연장된 방향으로 상기 측벽의 외면을 따라서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블럭용 단자커버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안착단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메인바디의 요입된 외면에서 상기 상부커버와의 결합방향으로 돌출되어 한 쌍의 구획벽이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구획벽에는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상기 커버플레이트를 안내하는 가이드돌기가 돌출된 블럭용 단자커버 장치.
  6. 삭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의 선단은 상기 파지부의 연장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블럭용 단자커버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커버에는 상기 체결고리가 끼워지는 보스부가 형성되고,
    상기 보스부의 외면에는 이탈방지돌기가 돌출되는 블럭용 단자커버 장치.
KR1020190117754A 2019-09-24 2019-09-24 블럭용 단자커버 장치 KR1021449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7754A KR102144932B1 (ko) 2019-09-24 2019-09-24 블럭용 단자커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7754A KR102144932B1 (ko) 2019-09-24 2019-09-24 블럭용 단자커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4932B1 true KR102144932B1 (ko) 2020-08-14

Family

ID=72050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7754A KR102144932B1 (ko) 2019-09-24 2019-09-24 블럭용 단자커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493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0174A (ko) 1996-10-29 1998-07-25 김영귀 자동차 퓨즈박스 커버의 로킹구조
JP2014027729A (ja) * 2012-07-25 2014-02-06 Yazaki Corp 救援端子用カバーの取付構造
JP2017111911A (ja) * 2015-12-15 2017-06-22 株式会社東芝 端子台
KR20190095734A (ko) * 2018-02-07 2019-08-16 주식회사 에이디티 단자대 전용 커버체를 갖는 인버터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0174A (ko) 1996-10-29 1998-07-25 김영귀 자동차 퓨즈박스 커버의 로킹구조
JP2014027729A (ja) * 2012-07-25 2014-02-06 Yazaki Corp 救援端子用カバーの取付構造
JP2017111911A (ja) * 2015-12-15 2017-06-22 株式会社東芝 端子台
KR20190095734A (ko) * 2018-02-07 2019-08-16 주식회사 에이디티 단자대 전용 커버체를 갖는 인버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24079B2 (en) Electric junction box
EP2724396B1 (en) Busbar module unit
US9324983B2 (en) Battery module for vehicle
EP2892114B1 (en) Motor terminal assembly and method of assembling a motor using the same
KR200380818Y1 (ko) 와이어 하네스의 프로텍터
US9831647B2 (en) Receiving section and electrical junction box with same
CN110065449B (zh) 电接线盒和保护构件的连接结构
EP2637900B1 (en) Electric wire fixing device
EP2645834B1 (en) Casing cover
JP2017123746A (ja) プロテクタ及びプロテクタ付ワイヤーハーネス
KR102144932B1 (ko) 블럭용 단자커버 장치
KR102662993B1 (ko) 보호판을 구비한 커넥터 어셈블리
JP2009095185A (ja) ワイヤハーネス用のプロテクタ
CN113363908B (zh) 电气接线箱
JP2011015466A (ja) 電気接続箱
KR101463165B1 (ko) 거치형 멀티박스
KR100823343B1 (ko) 정션박스의 케이블 엔트리장치
JP6542627B2 (ja) カバー部材、及び、電気接続箱
KR200465856Y1 (ko) 커넥터의 와이어커버 결합구조
KR101879823B1 (ko) 자동차용 블럭
KR200431313Y1 (ko)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클립
KR102667448B1 (ko) 자동차용 블럭
EP3798060A1 (en) Protector
KR200390964Y1 (ko) 와이어 하네스 보호용 클립 구조
JP2709434B2 (ja) ワイヤーハーネスの分岐電線導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