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2387U - 조인트 블럭 - Google Patents

조인트 블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2387U
KR20170002387U KR2020150008476U KR20150008476U KR20170002387U KR 20170002387 U KR20170002387 U KR 20170002387U KR 2020150008476 U KR2020150008476 U KR 2020150008476U KR 20150008476 U KR20150008476 U KR 20150008476U KR 20170002387 U KR20170002387 U KR 2017000238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onnection
bus bar
cover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84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웅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500084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2387U/ko
Publication of KR2017000238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238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491Terminal block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lugs or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5/00Three poles

Landscapes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인트 블럭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골격을 프레임(10)이 형성하고, 상기 프레임(10)에 형성된 버스바안착부(38)에는 연결버스바(50)가 안착된다. 상기 연결버스바(50)의 양단부에 있는 제1단부(52)와 제2단부(53)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커버(60)에 의해 외부와 차폐된다. 상기 커버(60)는 상기 연결버스바(50)의 형상에 맞는 구조를 가져서 상기 제1단부(52)와 제2단부(53) 사이에 있는 제1연결편부(54)와 제2연결편부(55)를 차폐한다. 상기 커버(60)의 제1판(62)에 있는 중간걸이리브(66)는 상기 프레임(10)의 연결차단벽(26)에 형성된 중간걸이채널(28)에 슬라이딩 삽입되어 걸어지고, 상기 제1판(62)의 양단에 있는 단부걸이리브(70)는 상기 프레임(10)의 단부에 있는 연결차단벽(26)에 형성된 단부걸이채널(32)에 슬라이딩 삽입되어 걸어진다. 상기 커버(60)의 제2판(64)에 돌출된 절연리브(72)가 프레임(10)의 제2차단벽(34)에 형성된 절연채널(36)에 안착됨에 의해 절연거리를 추가로 확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조인트 블럭은 상대적으로 소형화가 가능하고 회로 사이를 고정부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조인트 블럭{Joint block}
본 고안은 조인트 블럭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정부에 장착되어 회로를 구성하는 케이블이나 버스바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조인트 블럭에 관한 것이다.
조인트 블럭은 회로를 구성하는 케이블이나 버스바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된다. 예를 들면 자동차에서도 다양한 회로의 연결을 위해 많이 사용된다.
최근에 하이브리드 자동차와 전기자동차가 개발되면서, 120볼트 이상의 고전압이 자동차에서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조인트 블럭도 고전압인 회로의 연결을 위해 사용되면서 절연확보문제가 크게 대두되고 있다.
즉, 다수개의 케이블이나 버스바를 인접하여 두고 회로의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 경우에, 다수개의 케이블이나 버스바 사이의 절연거리 확보가 큰 문제가 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절연재질로 되는 프레임의 내부에 전기적 연결을 위한 연결버스바를 절연거리를 확보할 수 있는 간격을 두고 인서트몰딩하고 있으나, 이와 같은 경우에는 버스바를 교체할 수 없고 제작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어떤 경우에는 버스바를 나 체결을 위한 너트 등 인서트몰딩하는 것이 불가능한 경우도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086110 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293956 호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으로, 고전압 회로를 구성하는 케이블이나 버스바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조인트 블럭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조인트 블럭에서 연결버스바를 간단하게 착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회로를 구성하는 케이블이나 버스바 사이를 연결하는 조인트 블럭에 있어서, 절연재질로 만들어지고 일측 외면에 제1연결부가 있고 타측 외면에 제2연결부가 있으며 버스바안착부 다수개가 서로 구획되어 외면에 형성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버스바안착부에 안착되어 제1단부가 상기 제1연결부에 있고 제2단부가 상기 제2연결부에 위치되어 회로를 구성하는 케이블이나 버스바가 상기 제1단부와 제2단부에 연결되는 연결버스바와, 상기 연결버스바에서 상기 제1단부와 제2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차폐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체결되는 커버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의 제1연결부는 다수개의 제1차단벽에 의해 구획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차단벽에서 연장된 연결차단벽과 상기 연결차단벽에서 연장된 제2차단벽에 의해 상기 버스바안착부가 구획되어 형성된다.
상기 연결버스바는 상기 제1단부와 제2단부의 사이에 제1연결편부와 제2연결편부를 구비하는데, 상기 제1연결편부에 대응되게 연결차단벽들이 프레임에 형성되고 상기 제2연결편부에 대응되게 제2차단벽들이 프레임에 형성되며 상기 제1연결편부를 차폐하도록 상기 커버에는 제1판부가 있고 상기 제2연결편부를 차폐하도록 상기 커버에는 제2판부가 있다.
상기 연결차단벽중에서 내측에 있는 것들에는 연장방향을 따라 중간걸이채널이 형성되어 상기 커버의 제1판부에 형성된 중간걸이리브가 슬라이딩 삽입되어 걸어지고 외측에 있는 것들에는 단부걸이채널이 마주보게 형성되어 상기 커버의 제1판부 양단에 형성된 단부걸이리브가 슬라이당 삽입되어 걸어진다.
상기 커버의 제2판부에는 상기 프레임의 제2차단벽에 형성된 절연채널에 안착되는 절연리브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의 양측 외면에는 조작공간이 오목하게 들어가 형성되고 상기 조작공간의 일측 단부에는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커버의 제2판의 양단부에는 상기 걸림턱에 걸어지는 걸이턱이 선단에 있는 걸이후크가 형성되어 상기 걸이턱이 상기 걸림턱에 걸어져 커버가 프레임에 체결된다.
본 고안에 의한 조인트 블럭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조인트 블럭은 고전압 회로에서 다수개의 케이블이나 버스바 사이를 절연에 문제없이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게 되고 연결버스바 사이의 절연거리를 충분히 확보하면서도 연결버스바 사이의 간격을 최소화해서 전체적으로 조인트 블럭의 크기가 소형화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조인트 블럭에서는 프레임에 안착된 연결버스바를 커버로 차폐하도록 되는데, 상기 커버가 연결버스바들 사이의 절연거리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프레임에의 장착이 견고하게 되고 또한 프레임에서의 분리가 보다 간단하게 이루어지는 등 사용자가 취급하기가 편리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조인트 블럭의 바람직한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실시례를 구성하는 커버의 내면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실시례에서 제1차단벽을 잘라서 보인 평단면도.
이하, 본 고안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프레임(10)은 본 고안의 조인트 블럭의 골격을 형성한다. 상기 프레임(10)은 절연성 재질로 만들어지는데, 일반적으로 합성수지를 사출성형하여 만들어진다. 상기 프레임(10)의 양단에는 프레임(10)의 자동차의 고정부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브라켓(12)이 있다. 상기 장착브라켓(12)을 상하로 관통하여서는 관통공(14)이 있다. 상기 관통공(14)을 체결구가 관통하게 된다. 상기 관통공(14)에는 상대적으로 경도가 좋은 재질로 만들어진 부싱(16)이 설치된다. 상기 부싱(16)은 체결구를 체결하는 과정에서 상기 장착브라켓(12)이 손상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프레임(10)의 일측 외면에는 제1연결부(18)가 구비된다. 상기 제1연결부(18)는 조인트 블럭과 외부 사이가 연결되는 부분이다. 예를 들면, 외부의 버스바의 단부가 상기 제1연결부(18)에 연결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1연결부(18)는 본 실시례에서 3개가 있다. 상기 제1연결부(18)의 갯수는 다양하게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부(18)가 형성된 프레임(10)의 외면과 다른 외면, 본 실시례에서는 그 외면이 향하는 방향이 서로 직교하는 외면에 제2연결부(20)가 있다. 이와 같이 제1연결부(18)와 제2연결부(20)가 보는 방향이 서로 직교함에 의해 외부에서 연결되는 버스바의 연장방향도 서로 직교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부(20)는 조인트 블럭과 외부 사이가 연결되는 부분으로, 상기 제1연결부(18)에 연결되는 버스바와 상기 제2연결부(20)에 연결되는 버스바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으로 상기 제2연결부(20)에도 외부의 버스바가 연결된다.
상기 제1연결부(18)에는 다수개의 제1차단벽(21)이 있다. 상기 제1차단벽(21)은 각각의 제1연결부(18) 사이를 구획하고 외부와도 구획한다. 상기 제1차단벽(21)은 본 실시례에서는 총 4개가 나란히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배치된다. 상기 제1차단벽(21)의 사이에 3개의 제1연결부(18)가 있다.
상기 제1차단벽(21)에 의해 구획된 상기 프레임(10)의 외면에는 외부로 개방되게 너트안착공간(22)이 있다. 상기 너트안착공간(22)에는 제1연결부(18)를 구성하는 제1너트(24)가 위치된다. 상기 제1너트(24)는 상기 프레임(10)을 사출성형할 때 금형에 인서트되어 프레임과 일체로 만들어진다. 상기 제1너트(24)에는 볼트(도시되지 않음)가 체결되어 버스바가 아래에서 설명될 연결버스바(50)에 밀착되게 한다.
상기 제1차단벽(21)에서 연장되어 연결차단벽(26)이 있다. 상기 제1차단벽(21)이 형성된 부분은 프레임(10)의 해당되는 외면의 다른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있다. 상기 연결차단벽(26)은 상기 제1차단벽(21)이 형성된 부분과 그렇지 않은 외면 사이의 단차부에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연결차단벽(26)은 상기 프레임(10)의 표면에서 돌출된 정도가 상기 제1차단벽(21)에 비해서는 상대적으로 낮다. 상기 연결차단벽(26)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커버(60)가 걸어지는 구성이 있다. 즉, 상기 연결차단벽(26)중 내측에 있는 2개에는 중간걸이채널(28)이 상기 연결차단벽(26)의 연장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중간걸이채널(28)의 내부에는 도 2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걸이공간(3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이공간(30)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커버(60)의 걸이날개(68)가 안착되어 걸어진다. 상기 중간걸이채널(28)의 입구는 상기 프레임(10)의 해당되는 외면 전방을 향해 개구된다. 따라서, 상기 중간걸이채널(28)의 입구를 통해서 아래에서 설명될 중간걸이리브(66)가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된다.
상기 연결차단벽(26)중에서 상기 프레임(10)의 단부에 있는 것에는 단부걸이채널(32)이 형성된다. 상기 단부걸이채널(32)에도 아래에서 설명될 커버(60)가 걸어지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단부걸이리브(70)가 걸어진다. 상기 단부걸이채널(32)은 양단의 것이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고, 상기 단부걸이채널(32)의 입구는 상기 프레임(10)의 해당되는 외면 전방향을 향해 개구된다. 따라서, 상기 단부걸이채널(32)의 입구를 통해서 아래에서 설명될 단부걸이리브(70)가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된다.
상기 제1연결부(18)가 형성된 프레임(10)의 외면중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있는 부분에는 상기 연결차단벽(26)에서 연장되어 제2차단벽(34)이 형성된다. 상기 제2차단벽(34)의 돌출정도는 상기 연결차단벽(26)의 그것과 유사하다. 상기 제2차단벽(34) 중에서 내측에 있는 것들에는 절연채널(36)이 있다. 상기 절연채널(36)은 아래에서 설명될 커버(60)의 절연리브(72)가 위치되면서 인접하는 연결버스바(50) 사이의 절연거리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차단벽들(21,26,34) 사이의 공간은 아래에서 설명될 연결버스바(l0)가 위치되는 버스바안착부(38)가 된다. 상기 버스안착부(38)는 상기 차단벽들(21,26,34)을 따라 길게 연장된다.
상기 프레임(10)에서 상기 장착브라켓(12)이 있는 외면에는 각각 조작공간(40)이 형성된다. 상기 조작공간(40)은 상기 프레임(10)의 외면에 오목하게 들어간 형상이다. 상기 조작공간(40)의 끝부분에서 상기 제2차단벽(34)에는 걸림턱(42)이 있다. 상기 걸림턱(42) 설명될 커버(60)를 프레임(10)에 체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프레임(10)에서 상기 제2연결부(20)가 있는 부분에는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너트안착공간(44)이 형성되고, 상기 너트안착공간(44)에는 제2너트(46)가 위치된다. 상기 제2너트(46)도 상기 프레임(10)에 인서트 사출되어 일체로 된다. 상기 너트안착공간(44)에 인접한 외면에는 걸이돌기(48)가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이돌기(48)에 의해 연결버스바(50)의 설치위치가 안내된다.
연결버스바(50)는 도전성 금속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연결버스바(50)는 도 2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끝부분에 제1단부(52)가 있고 반대쪽 끝부분에 제2단부(53)가 있다. 상기 제1단부(52)는 제1연결부(18)를 구성하고 상기 제2단부(53)는 제2연결부(20)를 구성한다. 상기 제1단부(52)의 연장방향과 제2단부(53)의 연장방향의 가상의 연장선은 서로 직교하게 된다. 이는 상기 제1연결부(18)와 제2연결부(20)가 향하는 방향이 형성하는 각도와 같다.
상기 제1단부(52)에서 절곡되어 연장되어서는 제1연결편부(54)가 있다. 상기 제1연결편부(54)는 상기 프레임(10)의 연결차단벽(26) 사이의 버스바안착부(38)에 안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제1연결편부(54)에서 절곡되어 연장되어서는 제2연결편부(55)가 있는데, 상기 제2연결편부(55)는 상기 제2단부(53)와 연결된다. 상기 제2연결편부(55)는 상기 프레임(10)의 제2차단벽(34) 사이의 버스바안착부(38)에 안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제1단부(52)에는 제1체결공(57)이 형성되고, 상기 제2단부(53)에는 제2체결공(58)이 형성된다. 상기 제2단부(53)의 제2체결공(58)에 인접하여서는 걸이공(59)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이공(59)에는 상기 프레임(10)의 걸이돌기(48)가 안착된다.
커버(60)는 상기 프레임(10)의 외면 일부를 덮어주는 것이다. 상기 커버(60)에 의해 상기 연결버스바(50)의 제1연결편부(54)와 제2연결편부(55)가 차폐된다. 상기 커버(60)에는 제1판(62)과 제2판(64)이 서로 직교하게 형성된다. 상기 제1판(62)은 상기 연결버스바(50)의 제1연결편부(54)를 차폐하는 부분이고, 상기 제2판(64)은 상기 연결버스바(50)의 제2연결편부(55)를 차폐하는 부분이다.
상기 제1판(62)에는 보강돌출부(63)가 있다. 상기 보강돌출부(63)는 요철형상으로 되어 상기 제1판(62)의 강성을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판(64)에는 보강리브(65)가 형성되어 제2판(64)을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보강리브(65)는 또한 상기 보강돌출부(63)에 연결되어 제1판(62)과 제2판(64)을 동시에 보강하게 된다. 상기 보강리브(65)는 직각삼각형 판형상이다.
상기 제1판(52)의 일측 외면에는 중간걸이리브(66)가 형성된다. 상기 중간걸이리브(66)는 상기 프레임(10)의 제1차단벽(21)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중간걸이리브(66)는 상기 중간걸이채널(28)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중간걸이리브(66)의 길이방향 양단에는 걸이날개(68)가 돌출되어 있다. 상기 걸이날개(68)는 상기 걸이공간(30)에 위치되어 상기 중간걸이리브(66)가 중간걸이채널(28)을 통해서 빠지지 않도록 한다.
상기 제1판(52)의 양단에는 단부걸이리브(70)가 형성된다. 상기 단부걸이리브(70)는 상기 단부걸이채널(32)에 슬라이딩 삽입된다. 상기 단부걸이채널(32)은 양단에 있는 것이 서로 마주보게 되어 단부걸이리브(70)가 빠지지 않도록 한다.
상기 제2판(64)의 일측 외면에는 절연리브(72)가 형성된다. 상기 절연리브(72)는 상기 절연채널(36)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절연채널(36)의 내부에 상기 절연리브(72)가 안착되어 있음으로 해서 인접하는 연결버스바(50) 사이의 절연거리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제2판(64)의 양단에는 걸이후크(7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이후크(74)는 상기 제2판(64)에서 상기 절연리브(72)가 돌출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걸이후크(74)의 선단에는 걸이턱(76)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턱(76)은 상기 프레임(10)의 걸림턱(42)에 걸어진다. 상기 제2판(64)에서 상기 걸이후크(74)가 형성된 부분에 인접하여서는 탄성부여슬릿(7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탄성부여슬릿(78)에 의해 상기 걸이후크(74)가 탄성변형정도가 상대적으로 크게 되어 상기 걸이턱(76)이 걸림턱(42)에 보다 쉽게 걸어지도록 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조인트 블럭이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에서 상기 프레임(10)은 상기 제1너트(24)와 제2너트(46) 그리고 부싱(16)이 인서트되도록 사출성형된다. 상기 프레임(10)에는 상기 연결버스바(50)가 안착된다. 상기 연결버스바(50)는 상기 버스바안착부(38)에 안착된다. 상기 버스바안착부(38)에 상기 연결버스바(50)가 안착되면 상기 제1단부(52)는 상기 제1연결부(18)에 위치되고 상기 제2단부(53)는 상기 제2연결부(20)에 위치된다. 또한, 상기 제1연결편부(54)는 상기 연결차단벽(26) 사이에 해당되는 버스바안착부(38)에 위치되고 상기 제2연결편부(55)는 제2차단벽(34) 사이에 해당되는 버스바안착부(38)에 위치된다.
상기와 같이 연결버스바(50)가 프레임(10)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60)를 상기 프레임(10)에 장착한다. 상기 커버(60)는 별도의 부품과 공구없이 상기 프레임(10)에 장착된다.
즉, 상기 제1판(62)의 중간걸이리브(66)의 일단부를 상기 프레임(10)의 중간걸이채널(28)의 입구에 위치시키고, 상기 중간걸이리브(66)가 중간걸이채널(28)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커버(60)가 이동되면 상기 제2판(64)은 상기 프레임(10)의 외면, 즉 상기 제2차단벽(34)이 형성된 외면을 향해 이동하게 된다. 상기 커버(60)가 어느 정도 이동하면 상기 제1판(62)에 있는 단부걸이리브(70)가 상기 단부걸이채널(32)로 진입하여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제2판(64)이 상기 제2차단벽(34)이 형성된 외면에 안착되는 과정에서 상기 절연리브(72)는 상기 절연채널(36)의 내부로 들어가게 된다. 이와 같이 절연채널(36)의 내부로 상기 절연리브(72)가 들어가게 되면 인접하는 연결버스바(50) 사이의 절연거리를 보다 길게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커버(60)가 상기 프레임(10)에 체결되는 것은, 상기 걸이후크(74)가 상기 프레임(10)의 걸림턱(42)에 걸어짐에 의해서 있다. 상기 커버(60)가 프레임(10)에 장착되는 과정에서 상기 걸이후크(74)의 선단에 있는 걸이턱(76)이 상기 걸림턱(42)을 따라 안내된다. 이때, 상기 걸이턱(76)이 걸림턱(42)에 안내되어 밀리면서 상기 걸이후크(74)가 탄성변형된다. 상기 걸이후크(74)가 탄성변형되었다가, 상기 걸림턱(42)을 상기 걸이턱(76)이 통과하면 걸이후크(74)가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면서 상기 걸림턱(42)에 상기 걸이턱(76)이 걸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커버(60)가 프레임(10)에 장착된 상태가 도 1에 있다.
이와 같이 조립된 조인트 블럭에는 버스바들이 상기 제1연결부(18) 및 제2 연결부(20)에 연결된다. 즉, 외부의 버스바를 관통하여 볼트가 상기 제1단부(52)의 제1체결공(57)을 관통하여 제1너트(24)에 체결되면 버스바가 상기 연결버스바(50)의 제1단부(52)에 밀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2단부(53)에도 동일하게 외부의 버스바가 밀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이 각각 3개의 제1연결부(18)와 제2연결부(20)에 외부의 버스바가 연결되면 조인트 블럭을 사용한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10)은 상기 장착브라켓(12)의 부싱(16)을 관통하여 체결구가 위치됨에 의해 체결되어 자동차의 고정부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조인트 블럭에서 상기 연결버스바(50)를 교체하여야 하는 등의 문제가 있을 경우네는 상기 커버(60)를 프레임(10)에서 분리한다. 이를 위해서는 상기 조작공간(40)에 작업자가 손가락을 넣고 상기 걸이후크(74)를 탄성변형시켜 상기 걸이턱(76)이 상기 걸림턱(42)에서 빠지도록 하고, 상기 커버(60)를 이동시킨다.
즉, 상기 단부걸이리브(70)와 중간걸이리브(66)가 단부걸이채널(32)과 중간걸이채널(28)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하여 분리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커버(60)는 별도의 공구 등을 사용하지 않고도 쉽게 프레임(10)에서 분리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연결버스바(50)가 제1연결편부(54)와 제2연결편부(55)만 있으나, 더 많은 연결편부가 있어서 절곡외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연결편부들의 연결형상에 맞도록 상기 프레임(10)의 외면과 커버(60)의 구성이 달리된다.
그리고,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커버(60)가 걸이후크(74)에 의해 프레임(10)에 체결되도록 되어 있으나, 상기 커버(60)가 상기 프레임(10)에 장착될 때, 상기 중간걸이리브(66) 및 단부걸이리브(70)가 중간걸이채널(28)과 단부걸이채널(32)에 압입되어 고정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상기 걸이후크(74)를 사용하지 않아도 커버(60)가 프레임(10)에 견고하게 장착될 수 있다.
10: 프레임 12: 장착브라켓
14: 관통공 16: 부싱
18: 제1연결부 20: 제2연결부
21: 제1차단벽 22: 너트안착공간
24: 제1너트 26: 연결차단벽
28: 중간걸이채널 30: 걸이공간
32: 단부걸이채널 34: 제2차단벽
36: 절연채널 38: 버스바안착부
40: 조작공간 42: 걸림턱
44: 너트안착공간 46: 제2너트
48: 걸이돌기 50: 연결버스바
52: 제1단부 53: 제2단부
54: 제1연결편부 55: 제2연결편부
57: 제1체결공 58: 제2체결공
59: 걸이공 60: 커버
62: 제1판 64: 제2판
66: 중간걸이리브 68: 걸이날개
70: 단부걸이리브 72: 절연리브
74: 걸이후크 76: 걸이턱
78: 탄성부여슬릿

Claims (6)

  1. 회로를 구성하는 케이블이나 버스바 사이를 연결하는 조인트 블럭에 있어서,
    절연재질로 만들어지고 일측 외면에 제1연결부가 있고 타측 외면에 제2연결부가 있으며 버스바안착부 다수개가 서로 구획되어 외면에 형성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버스바안착부에 안착되어 제1단부가 상기 제1연결부에 있고 제2단부가 상기 제2연결부에 위치되어 회로를 구성하는 케이블이나 버스바가 상기 제1단부와 제2단부에 연결되는 연결버스바와,
    상기 연결버스바에서 상기 제1단부와 제2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차폐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체결되는 커버를 포함하는 조인트 블럭.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제1연결부는 다수개의 제1차단벽에 의해 구획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차단벽에서 연장된 연결차단벽과 상기 연결차단벽에서 연장된 제2차단벽에 의해 상기 버스바안착부가 구획되어 형성되는 조인트 블럭.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버스바는 상기 제1단부와 제2단부의 사이에 제1연결편부와 제2연결편부를 구비하는데, 상기 제1연결편부에 대응되게 연결차단벽들이 프레임에 형성되고 상기 제2연결편부에 대응되게 제2차단벽들이 프레임에 형성되며 상기 제1연결편부를 차폐하도록 상기 커버에는 제1판부가 있고 상기 제2연결편부를 차폐하도록 상기 커버에는 제2판부가 있는 조인트 블럭.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차단벽중에서 내측에 있는 것들에는 연장방향을 따라 중간걸이채널이 형성되어 상기 커버의 제1판부에 형성된 중간걸이리브가 슬라이딩 삽입되어 걸어지고 외측에 있는 것들에는 단부걸이채널이 마주보게 형성되어 상기 커버의 제1판부 양단에 형성된 단부걸이리브가 슬라이당 삽입되어 걸어지는 조인트 블럭.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제2판부에는 상기 프레임의 제2차단벽에 형성된 절연채널에 안착되는 절연리브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조인트 블럭.
  6.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양측 외면에는 조작공간이 오목하게 들어가 형성되고 상기 조작공간의 일측 단부에는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커버의 제2판의 양단부에는 상기 걸림턱에 걸어지는 걸이턱이 선단에 있는 걸이후크가 형성되어 상기 걸이턱이 상기 걸림턱에 걸어져 커버가 프레임에 체결되는 조인트 블럭.
KR2020150008476U 2015-12-24 2015-12-24 조인트 블럭 KR2017000238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8476U KR20170002387U (ko) 2015-12-24 2015-12-24 조인트 블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8476U KR20170002387U (ko) 2015-12-24 2015-12-24 조인트 블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387U true KR20170002387U (ko) 2017-07-04

Family

ID=59316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8476U KR20170002387U (ko) 2015-12-24 2015-12-24 조인트 블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2387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6444B1 (ko) * 2018-04-25 2019-10-01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버스바 어셈블리
KR20210113477A (ko) * 2020-03-05 2021-09-16 두원중공업(주) 버스바 어셈블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3956B1 (ko) 2011-07-19 2013-08-0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고전압 조인트 박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3956B1 (ko) 2011-07-19 2013-08-0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고전압 조인트 박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6444B1 (ko) * 2018-04-25 2019-10-01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버스바 어셈블리
KR20210113477A (ko) * 2020-03-05 2021-09-16 두원중공업(주) 버스바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05355B2 (en) Electrical junction box
US20190013654A1 (en) Wire housing protector
KR20170079582A (ko) 전원분배장치 및 그 조립방법
KR200436537Y1 (ko) 박스의 브라켓결합구조
US8618897B2 (en) Switching device and terminal-side accessories
KR20170002387U (ko) 조인트 블럭
WO2012042335A1 (en) Fixing frame for a wiring device
KR102591645B1 (ko) 커넥터 어셈블리
JP7056756B2 (ja) コネクタ
CN109314354B (zh) 穿引端子
KR200444213Y1 (ko) 배터리용 퓨즈박스의 결합구조
KR102499818B1 (ko) 고전압 커넥터
KR101561046B1 (ko) 자동차용 블럭
US9735505B2 (en) Housing device for an electrical connection terminal and electrical connection terminal
KR101009362B1 (ko) 커넥터 어셈블리
KR20150133044A (ko) 자동차용 박스
KR20180091260A (ko) 자동차용 블럭의 커버장치
JP2015192588A (ja) 電気接続箱
JP6180989B2 (ja) 電気機器の取付け具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気機器
KR20130042161A (ko) 스페이서를 구비한 커넥터
KR20130009254A (ko) 전원분배장치
KR101666869B1 (ko) 전원분배장치
KR200463021Y1 (ko) 차량용 퓨즈 박스 유니트
KR200486964Y1 (ko) 자동차 블럭용 커버장치
KR20100070138A (ko) 차량용 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