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6682B1 - 연결 클립,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연결 클립,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6682B1
KR102376682B1 KR1020140186848A KR20140186848A KR102376682B1 KR 102376682 B1 KR102376682 B1 KR 102376682B1 KR 1020140186848 A KR1020140186848 A KR 1020140186848A KR 20140186848 A KR20140186848 A KR 20140186848A KR 102376682 B1 KR102376682 B1 KR 1023766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lever
clip
body portion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68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9409A (ko
Inventor
임근택
권기찬
이상문
Original Assignee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Priority to CN201510298182.X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5186198B/zh
Publication of KR201501394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94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66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66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커넥터 어셈블리는, 클립 본체부와, 상기 클립 본체부의 측면을 따라서 돌출되는 슬라이더와, 상기 클립 본체부로부터 연장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슬라이더의 길이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벤딩부와, 상기 슬라이더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걸림 리브를 포함하는 연결 클립; 및 커넥터 본체부와, 상기 클립 본체부가 상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 방지 리브와, 상기 걸림 리브에 고정 가능한 레버를 포함하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연결 클립,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A connecting clip, a connector and a assembly}
이하의 설명은 연결 클립,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 어셈블리는, 각종 단자를 연결할 수 있으며, 차량 등의 대상체에 부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연결 클립은, 커넥터 및 대상체 사이에 개입되어, 커넥터를 대상체에 연결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한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08-0004986호에는 패널 또는 구조물에 고정되는 패널결합부와; 상기 패널결합부와 연결되고, 커넥터하우징에 결합되는 하우징결합부; 그리고 상기 하우징결합부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고, 탄성변형을 통해 상기 커넥터하우징에 형성된 걸이턱에 걸어지는 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클립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체결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연결 클립,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연결 클립은, 클립 본체부; 상기 클립 본체부의 측면을 따라서 돌출 형성되는 슬라이더; 상기 클립 본체부의 하면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와 연결되며 상기 슬라이더의 길이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삽입 바를 포함하는 벤딩부; 상기 클립 본체부의 하면에, 상기 슬라이더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걸림 리브; 및 다른 상대물에 고정 가능한 결속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벤딩부는, 상기 삽입 바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상기 삽입 바의 단부를 향하여 갈수록 단면이 감소하는 형상을 포함하는 간섭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간섭부는, 상기 삽입 바의 단부를 향하여 경사지는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 클립은, 상기 걸림 리브의 일측에 형성되며 경사면을 포함하는 걸림 가이드; 및 상기 걸림 리브를 중심으로 상기 걸림 가이드의 반대편에 형성되는 걸림 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커넥터는, 케이블을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을 포함하는 커넥터 본체부; 상기 커넥터 본체부의 일측에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측벽; 상기 측벽으로부터 상기 수용 공간을 향하여 돌출되며, 상기 수용 공간에 삽입된 대상물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 방지 리브; 및 상기 커넥터 본체부 또는 측벽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상기 수용 공간 내부에 위치하는 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버는, 상기 커넥터 본체부 또는 측벽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단부가 커넥터 본체부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레버 본체; 및
상기 레버 본체로부터 상기 레버 본체의 단부로 갈수록 단면이 감소하는 형상을 포함하는 레버 돌기를 포함하는 커넥터.
상기 커넥터는, 상기 측벽으로부터 상기 수용 공간을 향하여 돌출되며, 상기 커넥터 본체부 및 이탈 방지 리브 사이에 형성되는 가이드 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커넥터 어셈블리는, 클립 본체부와, 상기 클립 본체부의 측면을 따라서 돌출되는 슬라이더와, 상기 클립 본체부로부터 연장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슬라이더의 길이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벤딩부와, 상기 슬라이더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걸림 리브를 포함하는 연결 클립; 및 커넥터 본체부와, 상기 클립 본체부가 상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 방지 리브와, 상기 걸림 리브에 고정 가능한 레버를 포함하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버는, 상기 연결 클립이 상기 커넥터로 삽입될 때에 상기 걸림 리브에 간섭되어 탄성 변형되고, 상기 걸림 리브를 지나가면 탄성 복원되어 상기 걸림 리브의 단부에 걸릴 수 있다.
상기 벤딩부는, 상기 탄성 변형된 레버와 간섭되어 탄성 변형되고, 상기 레버가 상기 걸림 리브를 지나가서 탄성 복원되면 탄성 복원되어, 상기 레버가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벤딩부는, 상기 레버가 휘어지는 방향에 대하여 직교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상기 벤딩부는, 상기 레버가 휘어지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의하면, 연결 클립 및 커넥터가 서로 분리되는 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연결 클립의 걸림부 및 커넥터의 레버의 걸림 구조에 의해 서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나아가 커넥터의 레버 및 연결 클립의 벤딩부의 상호 작용에 의하면, 커넥터의 레버가 휘어지는 것이 방지되므로 전체 커넥터 어셈블리의 체결력이 보다 더 향상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신뢰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는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2는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실시 예에 따른 연결 클립의 저면도.
도 4a는 실시 예에 따른 연결 클립 및 커넥터가 체결 준비 상태일 때, 도 1의 절개선 I-I를 따라 절개한 종단면도.
도 4b는 실시 예에 따른 연결 클립 및 커넥터가 체결 준비 상태일 때, 도 1의 절개선 II-II를 따라 절개한 횡단면도.
도 5a는 실시 예에 따른 연결 클립 및 커넥터가 체결 중 상태일 때, 도 1의 절개선 I-I를 따라 절개한 종단면도.
도 5b는 실시 예에 따른 연결 클립 및 커넥터가 체결 중 상태일 때, 도 1의 절개선 II-II를 따라 절개한 횡단면도.
도 6a는 실시 예에 따른 연결 클립 및 커넥터가 체결 완료 상태일 때, 도 1의 절개선 I-I를 따라 절개한 종단면도.
도 6b는 실시 예에 따른 연결 클립 및 커넥터가 체결 완료 상태일 때, 도 1의 절개선 II-II를 따라 절개한 횡단면도.
도 7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8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연결 클립의 저면도.
도 10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연결 클립 및 커넥터가 체결 준비 상태일 때, 도 7의 절개선 III-III를 따라 절개한 종단면도.
도 11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연결 클립 및 커넥터가 체결 중 상태일 때, 도 7의 절개선 III-III를 따라 절개한 종단면도.
도 12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연결 클립 및 커넥터가 체결 완료 상태일 때, 도 7의 절개선 III-III를 따라 절개한 종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는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실시 예에 따른 연결 클립의 저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10)는, 연결 클립(110)과, 커넥터(12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120)에 연결되는 케이블은, 연결 클립(110)에 의해 다른 상대물에 고정될 수 있다.
연결 클립(110)은, 클립 본체부(111)와, 슬라이더(112)와, 벤딩부(113)와, 함몰 공간(115)과, 걸림부(116)와, 결속부(119)를 포함할 수 있다.
클립 본체부(111)는, 예를 들어 직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클립 본체부(111)는, 커넥터(120)에 슬라이딩 삽입될 수 있다.
슬라이더(112)는, 커넥터(120)에 삽입될 수 있다. 슬라이더(112)는, 클립 본체부(111)가 커넥터(120)로 삽입되는 것을 안내할 수 있다. 슬라이더(112)는, 클립 본체부(111)로부터 외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더(112)는, 클립 본체부(111)의 슬라이딩 삽입 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벤딩부(113)는, 연결 클립(110)이 커넥터(120)로 삽입될 때에 휘어지고, 연결 클립(110)이 커넥터(120)에 완전히 체결된 상태에서 복원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벤딩부(113)는, 커넥터(120)의 레버(1225)가 휘어지는 방향(예를 들면, 상하 방향)에 대하여 직교되는 방향(예를 들면, 좌우 방향)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다. 벤딩부(113)는, 클립 본체부(111)의 하측으로부터 커넥터(120)를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벤딩부(113)는, 예를 들어, 'ㄴ'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벤딩부(113)는, 삽입 바(1131)와, 연결부(1132)와, 간섭부(1133)를 포함할 수 있다.
삽입 바(1131)는, 슬라이더(120)와 마찬가지로 커넥터(120)에 삽입될 수 있다. 삽입 바(1131)는, 연결부(1132)로부터 커넥터(120)를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삽입 바(1131)는, 슬라이더(112)의 길이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삽입 바(1131)는, 클립 본체부(111)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삽입 바(1131)는, 연결 클립(110) 및 커넥터(120)가 완전히 체결된 상태에서, 커넥터(120)의 레버(1225)를 중심으로 클립 본체부(111)의 반대편에 배치될 수 있다.
연결부(1132)는, 삽입 바(1131) 및 클립 본체부(111)를 연결할 수 있다. 연결부(1132)는, 클립 본체부(111)의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연결부(1132)는, 클립 본체부(111)로부터 삽입 바(1131)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게 할 수 있다.
간섭부(1133)는, 삽입 바(1131)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간섭부(1133)는, 연결부(1132)로부터 삽입 바(1131)의 단부를 향하여 갈수록 단면이 감소하는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간섭부(1133)는, 예를 들어 삽입 바(1131)의 단부를 향하여 경사지는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b와 같이, 간섭부(1133)는, 간섭부(1133)가 구비된 삽입 바(1131)에 대향하는 다른 삽입 바를 향하여 돌출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만, 간섭부(1133)가 반드시 위와 같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한 돌출되는 부분을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간섭부(1133)는, 레버(1225)가 체결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삽입 바(1131)를 벌어지게 하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함몰 공간(115)은, 클립 본체부(111)의 일 모서리로부터 함몰 형성될 수 있다. 함몰 공간(115)은, 커넥터(120)의 레버(1225)를 안내할 수 있다.
걸림부(116)는, 연결 클립(110) 및 커넥터(120)가 완전히 체결된 상태에서, 커넥터(120)의 레버(1225)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걸림부(116)는, 걸림 리브(1161)와, 걸림 가이드(1162)와, 걸림 홈(1163)을 포함할 수 있다.
걸림 리브(1161)는, 슬라이더(112)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걸림 리브(1161)는, 함몰 공간(115)의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걸림 리브(1161)는, 함몰 공간(115)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걸림 가이드(1162)는, 연결 클립(110) 및 커넥터(120)의 체결 과정에서, 커넥터(120)의 레버(1225)가 걸림 리브(1162)를 넘어 갈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걸림 가이드(1162)는, 걸림 리브(1161)의 일 측에 형성될 수 있다. 걸림 가이드(1162)는, 걸림 리브(1161)로부터 함몰 공간(115)의 바닥면까지 연결하는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걸림 홈(1163)은, 걸림 리브(1161)의 타 측에 형성될 수 있다. 걸림 홈(1163)은, 걸림 리브(1162)를 기준으로, 걸림 가이드(1162)의 반대 편에 형성될 수 있다.
결속부(119)는, 다른 상대물에 고정될 수 있다. 결속부(119)는, 예를 들어, 쐐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커넥터(120)는, 커넥터 본체부(121)와, 연결 클립(110)에 결합되는 커넥터 결합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 본체부(121)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에는 케이블이 수용될 수 있다.
커넥터 결합부(122)로는, 연결 클립(110)이 결합될 수 있다. 커넥터 결합부(122)는, 측벽(1221)과, 슬라이딩 공간(1222)과, 이탈 방지 리브(1223)와, 가이드 리브(1224)와, 레버(1225)와, 여유 공간(1226)을 포함할 수 있다.
측벽(1221)은, 커넥터 본체부(121)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측벽(1221)은, 커넥터 본체부(121)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형상일 수 있다. 측벽(1221)은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형상, 예를 들면 'ㄷ'자 형상으로 제공되어, 내부에 수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슬라이딩 공간(1222)으로는, 슬라이더(112)가 삽입될 수 있다. 슬라이딩 공간(1222)은, 이탈 방지 리브(1223) 및 가이드 리브(1224)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규정될 수 있다.
이탈 방지 리브(1223)는, 연결 클립(110)이 상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탈 방지 리브(1223)는, 측벽(1221)으로부터 측벽(1221)에 의해 형성되는 수용 공간을 향하여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탈 방지 리브(1223)는, 측벽(1221)의 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절곡 형성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가이드 리브(1224)는, 슬라이더(112)가 삽입되는 것을 안내할 수 있다. 가이드 리브(1224)는, 측벽(1221)으로부터 측벽(1221)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을 향하여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리브(1224)는, 측벽(1221)의 내벽으로부터 내측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가이드 리브(1224)는, 이탈 방지 리브(1223)로부터 이격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리브(1224)는, 커넥터 본체부(121) 및 이탈 방지 리브(1223)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레버(1225)는, 커넥터 결합부(122)의 일측에 형성되며, 연결 클립(110)의 일측에 선택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레버(1225)는, 연결 클립(110)이 커넥터(12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레버(1225)는, 연결 클립(110)이 커넥터 결합부(122)로 삽입될 때에 휘어지고, 연결 클립(110)이 커넥터 결합부(122)에 완전히 체결된 상태에서, 다시 복원되어, 연결 클립(110)의 일측에 고정될 수 있다. 레버(1225)는, 연결 클립(110) 및 커넥터(120)가 완전히 체결된 상태에서, 클립 본체부(111) 및 삽입 바(113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레버(1225)는, 예를 들어, 가이드 리브(1224)와 동일한 높이에 형성될 수 있다.
레버(1225)는, 레버 본체(1225a)와, 레버 돌기(1225b)를 포함할 수 있다.
레버 본체(1225a)는, 측벽(1221)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와 같이, 레버(1225)는 측벽(1221)의 일 내벽으로부터 수용 공간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길이 방향 부재일 수 있다. 한편, 도시한 바와 달리, 레버 본체(1225a)는, 커넥터 본체(121)의 일 면으로부터 연결 클립(110)을 향하여 연장되는 길이 방향 부재일 수도 있다.
레버 돌기(1225b)는, 레버 본체(1225a)로부터 돌출되는 돌기일 수 있다. 레버 돌기(1225b)는, 걸림 홈(1163)에 대응하는 형상일 수 있다. 레버 돌기(1225b)는, 레버 본체(1225a)의 단부로 갈수록 단면이 감소하는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위와 같은 형상에 의하면, 연결 클립(110) 및 커넥터(120)의 결합시에, 레버(1225)가 걸림부(116)를 부드럽게 넘어갈 수 있으면서도, 연결 클립(110)이 커넥터(12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유 공간(1226)은, 레버(1225)의 일측, 예를 들면 도 1을 기준으로 레버(1225)의 하측에 제공될 수 있다. 여유 공간(1226)은, 레버(1225)가 걸림부(116)를 넘어가는 동안, 레버(1225)가 충분히 휘어질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여유 공간(1226)으로는 벤딩부(113)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여유 공간(1226)은, 레버(1225)가 걸림부(116)를 넘어가는 동안, 벤딩부(113)가 충분히 휘어질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a는 실시 예에 따른 연결 클립 및 커넥터가 체결 준비 상태일 때, 도 1의 절개선 I-I를 따라 절개한 종단면도이고, 도 4b는 실시 예에 따른 연결 클립 및 커넥터가 체결 준비 상태일 때, 도 1의 절개선 II-II를 따라 절개한 횡단면도이다.
도 5a는 실시 예에 따른 연결 클립 및 커넥터가 체결 중 상태일 때, 도 1의 절개선 I-I를 따라 절개한 종단면도이고, 도 5b는 실시 예에 따른 연결 클립 및 커넥터가 체결 중 상태일 때, 도 1의 절개선 II-II를 따라 절개한 횡단면도이다.
도 6a는 실시 예에 따른 연결 클립 및 커넥터가 체결 완료 상태일 때, 도 1의 절개선 I-I를 따라 절개한 종단면도이고, 도 6b는 실시 예에 따른 연결 클립 및 커넥터가 체결 완료 상태일 때, 도 1의 절개선 II-II를 따라 절개한 횡단면도이다.
도4a 내지 도 6b를 참조하면, 실시 예에 따른 연결 클립(110) 및 커넥터(120)는, 걸림부(116) 및 레버(1225)의 걸림 구조에 의해 체결될 수 있으며, 레버(1225) 및 벤딩부(113)의 상호 작용에 의해 체결력이 향상될 수 있다.
먼저 도 5a 및 도 5b와 같이, 연결 클립(110) 및 커넥터(120)가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동안, 레버(1225)는, 걸림부(116)에 간섭되면서 탄성 변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레버 돌기(1225b)가 걸림 가이드(1162)를 따라서 이동되면, 레버 본체(1225a)는 걸림부(116)를 회피 하는 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다.
위 과정에서, 휘어진 상태에서 진행되는 레버(1225)는, 벤딩부(113)와 간섭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레버 본체(1225a)가 간섭부(1133)에 형성된 경사면과 접촉되면서 지나가면, 간섭부(1133)와 연결된 삽입 바(1131) 또는 연결부(1132)가 휘어지면서, 레버 본체(1225a)가 계속하여 이동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a 및 도 6b와 같이, 레버(1225)가 걸림부(116)를 넘어갈 때까지 연결 클립(110) 및 커넥터(120)가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면, 레버(1225)는 원 상태로 탄성 복원되면서 걸림부(116)에 걸리고, 벤딩부(113) 역시 원 상태로 탄성 복원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레버 돌기(1225b)가 걸림 리브(1161)를 통과하면, 레버 본체(1225a)는 탄성 복원되어 레버 돌기(1225b)가 걸림 홈(1163)에 삽입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걸림부(116) 및 레버(1225)의 걸림 구조에 의해 연결 클립(110) 및 커넥터(120)가 서로 체결될 수 있다.
위 과정에서, 탄성 복원된 상태의 레버(1225)는, 벤딩부(113)와 더 이상 간섭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벤딩부(113) 역시 탄성 복원하면서, 삽입 바(1131) 및 간섭부(1133)는 레버(1225)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벤딩부(113)는, 레버(1225)가 휘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연결 클립(110)이 커넥터(120)로부터 분리되기 위하여는, 레버(1225)가 걸림부(116)를 회피할 수 있도록 휘어져야 한다. 그러나 도 6a 및 도 6b와 같이, 연결 클립(110)이 커넥터(120)에 완전히 체결된 상태에서, 벤딩부(113)는, 레버(1225)가 휘어지지 않도록 레버(1225)의 하측에 배치되므로, 연결 클립(110) 및 커넥터(120)의 체결력이 향상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실시 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에 대하여,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상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은 이하의 실시 예들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연결 클립의 저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20)는, 연결 클립(210)과, 커넥터(220)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클립(210)은, 클립 본체부(211)와, 슬라이더(212)와, 벤딩부(213)와, 함몰 공간(215)과, 걸림부(216)와, 결속부(219)를 포함할 수 있다. 벤딩부(213)는, 삽입 바(2131)와, 연결부(2132)와, 간섭부(2133)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부(216)는, 걸림 리브(2161)와, 걸림 가이드(2162)와, 걸림 홈(2163)을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220)는, 커넥터 본체부(221)와, 커넥터 결합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 결합부(222)는, 측벽(2221)과, 슬라이딩 공간(2222)과, 이탈 방지 리브(2223)와, 가이드 리브(2224)와, 레버(2225)와, 여유 공간(2226)을 포함할 수 있다. 레버(2225)는, 레버 본체(2225a)와, 레버 돌기(2225b)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b에 도시한 실시 예와 달리, 벤딩부(213)는, 커넥터(220)의 레버(2225)가 휘어지는 방향(예를 들면, 상하 방향)과 동일한 방향(예를 들면, 상하 방향)으로 탄성 변형될 수도 있다.
도 10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연결 클립 및 커넥터가 체결 준비 상태일 때, 도 7의 절개선 III-III를 따라 절개한 종단면도이고, 도 11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연결 클립 및 커넥터가 체결 중 상태일 때, 도 7의 절개선 III-III를 따라 절개한 종단면도이고, 도 12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연결 클립 및 커넥터가 체결 완료 상태일 때, 도 7의 절개선 III-III를 따라 절개한 종단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연결 클립(210) 및 커넥터(220)는, 걸림부(216) 및 레버(2225)의 걸림 구조에 의해 체결될 수 있으며, 레버(2225) 및 벤딩부(213)의 상호 작용에 의해 체결력이 향상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연결 클립(210) 및 커넥터(220)가 일정한 길이 이상으로 체결되면, 도 11과 같이, 레버(2225)에 의해 하측으로 절곡되는 삽입 바(2131)의 단부는, 여유 공간(2226)의 바닥면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여유 공간(2226)은, 삽입 바(2131)의 단부의 최대 하강 위치를 제한하는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조에 따르면, 연결 클립(210) 및 커넥터(220)의 체결력이 향상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의하면, 연결 클립 및 커넥터가 서로 분리되는 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연결 클립의 걸림부 및 커넥터의 레버의 걸림 구조에 의해 서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나아가 커넥터의 레버 및 연결 클립의 벤딩부의 상호 작용에 의하면, 커넥터의 레버가 휘어지는 것이 방지되므로 전체 커넥터 어셈블리의 체결력이 보다 더 향상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신뢰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특허청구범위 내에서의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며, 그와 같은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Claims (12)

  1. 레버를 포함하는 커넥터를 따라 제 1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커넥터에 결합 가능한 연결 클립에 있어서,
    클립 본체부;
    상기 클립 본체부의 측면을 따라서 돌출 형성되는 슬라이더;
    상기 클립 본체부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제 1 방향에 직교하는 제 2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와 연결되며 상기 슬라이더의 길이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삽입 바를 포함하는 벤딩부;
    상기 클립 본체부의 하면에, 상기 슬라이더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레버에 걸림 가능한 걸림 리브; 및
    다른 상대물에 고정 가능한 결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클립이 상기 커넥터에 결합된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레버의 단부는 상기 클립 본체부의 하면과 상기 벤딩부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마련되는 연결 클립.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벤딩부는,
    상기 삽입 바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상기 삽입 바의 단부를 향하여 갈수록 단면이 감소하는 형상을 포함하는 간섭부를 더 포함하는 연결 클립.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부는, 상기 삽입 바의 단부를 향하여 경사지는 경사면을 포함하는 연결 클립.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리브의 일측에 형성되며 경사면을 포함하는 걸림 가이드; 및
    상기 걸림 리브를 중심으로 상기 걸림 가이드의 반대편에 형성되는 걸림 홈을 더 포함하는 연결 클립.
  5. 클립 본체부와, 상기 클립 본체부의 측면을 따라서 돌출되는 슬라이더와, 상기 클립 본체부로부터 연장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슬라이더의 길이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벤딩부와, 상기 슬라이더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걸림 리브를 포함하는 연결 클립; 및
    커넥터 본체부와, 상기 클립 본체부가 상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 방지 리브와, 상기 걸림 리브에 고정 가능한 레버를 포함하는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클립이 상기 커넥터에 결합된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레버의 단부는 상기 클립 본체부의 하면과 상기 벤딩부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마련되는 커넥터 어셈블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상기 연결 클립이 상기 커넥터로 삽입될 때에 상기 걸림 리브에 간섭되어 탄성 변형되고, 상기 걸림 리브를 지나가면 탄성 복원되어 상기 걸림 리브의 단부에 걸리는 커넥터 어셈블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벤딩부는,
    상기 탄성 변형된 레버와 간섭되어 탄성 변형되고,
    상기 레버가 상기 걸림 리브를 지나가서 탄성 복원되면 탄성 복원되어, 상기 레버가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벤딩부는,
    상기 레버가 휘어지는 방향에 대하여 직교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커넥터 어셈블리.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벤딩부는,
    상기 레버가 휘어지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커넥터 어셈블리.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40186848A 2014-06-03 2014-12-23 연결 클립,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KR1023766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510298182.XA CN105186198B (zh) 2014-06-03 2015-06-03 连接夹具、连接器和包括它们的连接器组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67692 2014-06-03
KR1020140067692 2014-06-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9409A KR20150139409A (ko) 2015-12-11
KR102376682B1 true KR102376682B1 (ko) 2022-03-22

Family

ID=55020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6848A KR102376682B1 (ko) 2014-06-03 2014-12-23 연결 클립,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66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3986B1 (ko) * 2018-07-03 2019-11-12 주식회사 경신 핫멜트 고정용 커넥터
KR102191891B1 (ko) * 2018-07-23 2020-12-1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이탈 방지용 클립 및 이를 갖는 커넥터 어셈블리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1355Y1 (ko) * 1988-08-29 1991-02-28 삼성전자 주식회사 모니터의 시그날콘넥터 결착장치
JP3185668B2 (ja) * 1996-06-14 2001-07-11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KR200449222Y1 (ko) * 2007-12-31 2010-06-24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하우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9409A (ko) 2015-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31419B2 (en) Electric connector
JP2015210936A (ja) 電気コネクタ
JP6085527B2 (ja) 雌端子
KR200447848Y1 (ko) 커넥터 어셈블리
KR102376682B1 (ko) 연결 클립,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JP2015198005A (ja) コネクタ、及びワイヤハーネスに対するコネクタの固定構造
CN109792117B (zh) 连接器
KR102591645B1 (ko) 커넥터 어셈블리
CN107636326B (zh) 线缆接头及具备该线缆接头的线缆操作机构
JP6084107B2 (ja) コネクタ
US20150147902A1 (en) Connector and mating connector
KR20110032881A (ko) 커넥터 어셈블리
KR101164362B1 (ko) 와이어 투 보드 커넥터
JP2016157643A (ja) コネクタ組立体
KR20130022229A (ko) 커넥터조립체
KR200440518Y1 (ko) 커넥터
JP6256276B2 (ja) コネクタ
KR20170078199A (ko) 프론트홀더 및 이를 포함하는 터미널블록
JP2017224473A (ja) コネクタ
KR200448593Y1 (ko) 커넥터
CN105186198B (zh) 连接夹具、连接器和包括它们的连接器组件
KR101376333B1 (ko) 커넥터
KR101474004B1 (ko) 커넥터의 진동 방지구조
JP5836623B2 (ja) コネクタ
KR200466960Y1 (ko)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