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4004B1 - 커넥터의 진동 방지구조 - Google Patents

커넥터의 진동 방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4004B1
KR101474004B1 KR20130166016A KR20130166016A KR101474004B1 KR 101474004 B1 KR101474004 B1 KR 101474004B1 KR 20130166016 A KR20130166016 A KR 20130166016A KR 20130166016 A KR20130166016 A KR 20130166016A KR 101474004 B1 KR101474004 B1 KR 1014740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mail
vibration preventing
vibration
fema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66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to KR20130166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40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40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40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33Bases, cases made for use in extreme conditions, e.g. high temperature, radiation, vibration, corrosive environment, press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커넥터의 진동 방지구조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커넥터의 진동 방지구조는: 메일단자가 수용되고, 일측으로 개방된 수용공간부가 형성되는 메일하우징과, 수용공간부에 삽입되어 결속부에 의해 결합되고, 메일단자에 연결되는 피메일단자가 수용되는 피메일하우징과, 메일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고, 결속부의 결합 완료시 피메일하우징을 진입 반대방향으로 밀어주어 메일하우징과 피메일하우징 간의 간격을 줄이거나 없애는 진동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커넥터의 진동 방지구조{STRUCTURE FOR PREVENTING VIBRATION OF 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의 진동 방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메일하우징 내에 진동방지부재를 구비하여 피메일하우징에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므로 결합 완료시 메일하우징과 피메일하우징 간의 이격에 의한 진동을 줄여 단자의 접촉 불량을 방지하도록 하는 커넥터의 진동 방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엔진룸 내에는 각종 센서류를 비롯한 많은 전장 구성품이 있다. 이 엔진룸 내에 있는 대부분의 센서류는 엔진이나 트랜스미션에 부착되어져 있어서 와이어링이 각각의 위치에 도달하기까지는 각종의 밴드케이블, 커넥터등을 사용하여 와이어를 고정하거나 연결하도록 한다.
이러한 커넥터(Connector)는 전기배선을 서로 연결해주거나 배선과 유닛(Unit) 사이를 연결하는 배선장치이다.
커넥커는 메일단자를 수용하는 메일하우징과, 메일하우징에 결합되고, 피메일단자를 수용하는 피메일하우징과, 메일하우징과 피메일하우징의 하부 일측에 결합되고, 메일단자 및 피메일단자의 결합 유지력을 높여주는 리테이너를 포함한다.
기존의 커넥터의 결합은 피메일 하우징이 메일 하우징으로 삽입되면서 걸림후크가 걸림턱의 진입면을 따라 이동하다가 걸림턱의 모서리를 지나는 순간 최대 진입이 이루어지고, 걸림후크가 걸림턱에 완전하게 걸려지는 순간 진입 반대방향으로 약간 이동하면서 록킹이 완료된다.
그런데, 기존의 커넥터는 메일하우징과 피메일하우징 사이에 긴격이 형성됨으로써, 차량 진동에 의해 메일단자와 피메일단자의 결합부위에 마찰이 빈번하게 발생하게 되어 접촉불량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대한 배경기술은 대란민국 등록특허 제0796028호(발명의 명칭: 커넥터 록킹구조, 2008.01.11: 공개)가 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메일하우징 내에 진동방지부재를 구비하여 피메일하우징에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므로 결합 완료시 메일하우징과 피메일하우징 간의 이격에 의한 진동을 줄여 단자의 접촉 불량을 방지하도록 하는 커넥터의 진동 방지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진동방지부에 탄성향상부를 형성하므로 가압에 의해 탄성 수축 및 복원이 잘 이루어질 수 있는 커넥터의 진동 방지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커넥터의 진동 방지구조는, 메일단자가 수용되고, 일측으로 개방된 수용공간부가 형성되는 메일하우징; 상기 수용공간부에 삽입되어 결속부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메일단자에 연결되는 피메일단자가 수용되는 피메일하우징; 및 상기 메일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결속부의 결합 완료시 상기 피메일하우징을 진입 반대방향으로 밀어주어 상기 메일하우징과 상기 피메일하우징 간의 간격을 줄이거나 없애는 진동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진동방지부는 상기 수용공간부 내에서 상기 피메일하우징의 진입 반대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진동방지부는 상하측으로 복수 개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부의 길이방향 중심부를 기준으로 양측 가장자리에 대칭되게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진동방지부는 상기 메일하우징의 모서리부에서 절곡되어 상기 수용공간부로 돌출되되, 상기 수용공간부의 측면과 설정 거리 이격되는 틈새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진동방지부는 상기 메일단자 진입측으로 관통된 관통구멍에 접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진동방지부는 상기 피메일하우징의 접촉시 수축 및 복원이 잘 이루어지게 하는 탄성향상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성향상부는 상기 진동방지부의 양측에서 중심부로 갈수록 점차 협소해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진동 방지구조는, 메일하우징 내에 진동방지부를 구비하여 피메일하우징에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므로 결합 완료시 메일하우징과 피메일하우징 간의 이격에 의한 진동을 줄여 단자의 접촉 불량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진동방지부에 탄성향상부를 형성하므로 가압에 의해 탄성 수축 및 복원터이 잘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방지구조를 갖는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방지구조를 갖는 커넥터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방지부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방지부의 변형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방지구조를 갖는 커넥터의 조립 과정을 보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진동 방지구조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방지구조를 갖는 커넥터의 분래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방지구조를 갖는 커넥터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방지부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방지부의 변형예를 보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방지구조를 갖는 커넥터의 조립 과정을 보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100)의 진동 방지구조는, 메일하우징(10), 피메일하우징(20) 및 진동방지부(30)를 포함한다.
메일하우징(10)은 메일단자(12)가 수용되고, 일측으로 개방된 수용공간부(14)가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피메일하우징(20)이 수용공간부(14)에 삽입되어 수용된다.
메일하우징(10)에 수용되는 메일단자(12)는 메일하우징(10)에 전후 길이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삽입구멍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수용공간부(14)는 일측으로 개방 형성되고, 피메일하우징(20)이 진입방향으로 설징 깊이 삽입되면 차단되도록 막혀져 있으나, 메일단자(12)의 전단부가 수용공간부(14)로 돌출되도록 다수 개의 삽입구멍이 형성된다. 이 삽입구멍은 메일단자(12)의 개수만큼 형성된다.
피메일하우징(20)은 수용공간부(14)에 삽입되어 결속부(40)에 의해 결합되고, 메일단자(12)에 연결되는 피메일단자(22)가 수용된다. 피메일하우징(20)의 가로,세로 너비는 수용공간부(14)의 가로,세로 너비보다 약간 더 작게 형성되므로 수용공간부(14)에서 피메일하우징(20)의 진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한다.
결속부(40)는 피메일하우징(20)의 상면에 형성되는 걸림턱(42)과, 걸림턱(42)에 걸려지도록 메일하우징(10)의 상측에서 절곡 형성되는 걸림후크(44)를 포함한다. 걸림턱(42)과 연이어지는 피메일하우징(20)의 전측 상면은 전측으로 갈수록 하향 굴곡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도 5를 참조하면, 피메일하우징(20)이 메일하우징(10)의 수용공간부(14)에 삽입됨에 따라 메일하우징(109)의 상면에 형성된 걸림후크(44)가 피메일하우징(20)의 진입면을 따라 이동하다가 걸림턱(42)의 모서리를 지나는 순간 수용공간부(14) 내에서 최대 진입이 이루어지고, 걸림후크(44)가 걸림턱(42)에 완전하게 걸려지는 순간 진입 반대방향으로 약간 이동하면서 조립이 완료된다.
이때, 메일하우징(10)의 걸림후크(42)가 피메일하우징(20)의 걸림턱(42)에 걸려져 결합이 완료된 순간 피메일하우징(20)이 진입 반대방향으로 약간 이동함에 따라 메일하우징(10)의 수용공간부(14)와 피메일하우징(20) 사이에 긴격이 형성되어서 메일단자(12)와 피메일단자(22) 간의 접촉 불량을 유발할 수 있다. 그래서, 이 간격을 줄이거나 없애기 위해 진동방지부(30)가 필요하다.
진동방지부(30)는 메일하우징(10)의 수용공간부(14) 내부에 구비되고, 결속부(40)의 결합 완료시 피메일하우징(20)을 진입 반대방향으로 밀어주어 메일하우징(10)과 피메일하우징(20) 간의 간격을 줄이거나 없애는 구성이다.
진동방지부(30)는 수용공간부(14) 내에서 피메일하우징(20)의 진입 반대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돌기일 수 있다. 또한, 진동방지부(30)는 판스프링 또는 코일스프링일 수 있다.
진동방지부(30)가 돌기인 경우, 피메일하우징(20)의 진입에 의해 진동방지부(20)가 전체 또는 일부에서 탄성 수축되었다가 결합이 완료되어 피메일하우징(20)이 진입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탄성 복원되면서 피메일하우징(20)의 전면부를 밀어주어 간격이 발생하는 것을 줄이거나 없애므로 진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100)의 진동을 줄여주어 단자의 마찰에 의한 접촉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진동방지부(30)는 상하측으로 복수 개 형성되고, 수용공간부(14)의 길이방향 중심부를 기준으로 양측 가장자리에 대칭되게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진동방지부(30)가 대칭되게 형성되어야 하는 이유는 어느 한 측에만 형성되는 경우, 수용공간부(14)에 수용된 피메일하우징(20)이 중심부를 기준으로 비틀리는 편심력을 받게 되어 조립이 불안정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진동방지부(30)는 상하측으로 2개 씩 양측으로 대칭되게 형성되므로 모두 4개가 돌출 형성된다. 그래서, 4개의 진동방지부(30)는 피메일하우징(20)의 전면 네 모서리를 지지하게 되어 피메일하우징(20)을 안정적인 밀어주게 된다.
진동방지부(30)의 단부는 수축이 용이하도록 반원형상의 굴곡부(31)를 형성할 수 있다. 굴곡부(31)는 피메일하우징(20)의 전면부가 진입하면서 접촉할 때, 수축 및 복원이 잘 이루어지게 해준다. 굴곡부(31)는 수축 및 복원력을 증진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진동방지부(30)는 메일하우징(10)의 모서리부(16)에서 절곡되어 수용공간부(14)로 돌출되되, 수용공간부(14)의 측면(18)과 설정 거리 이격되는 틈새부(32)를 형성한다.
도 3을 참조하면, 틈새부(32)의 너비는 관통구멍(34)의 너비와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를 참조하면, 관통구멍(34)는 틈새부(32)를 제외한 일측면과 상,하측면 등 3개의 면이 연결되는 ㄷ자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진동방지부(30)는 메일단자(12) 진입측으로 관통된 관통구멍(34)에 접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관통구멍(34)은 진동방지부(30)의 길이를 길게 형성하게 해준다. 즉, 관통구멍(34)은 메일하우징(10)에서 메일단자(12)가 설치되는 삽입구멍에 인접하게 형성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진동방지부(30)는 피메일하우징(20)의 접촉시 수축 및 복원이 잘 이루어지게 하는 탄성향상부(36)를 구비할 수 있다.
탄성향상부(36)는 진동방지부(30)의 양측에서 중심부로 갈수록 점차 협소해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향상부(36)는 진동방지부(30)의 길이방향 중심부를 기준으로 대칭되게 함몰 형성되는 함몰홈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진동 방지구조는, 메일하우징(10) 내에 진동방지부(30)를 구비하여 피메일하우징(20)에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므로 결합 완료시 메일하우징(10)과 피메일하우징(20) 간의 이격에 의한 차량 진동을 줄여 단자의 접촉 불량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진동방지부(30)에 탄성향상부(36)를 형성하므로 가압에 의해 탄성 수축 및 복원이 잘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메일하우징 12 : 메일단자
20 : 피메일하우징 22 : 피메일단자
30 : 진동방지부 32 : 틈새부 :
34 : 관통구멍 36 : 탄성향상부
40 : 결속부 42 : 걸림턱
44 : 걸림후크 100 : 커넥터

Claims (7)

  1. 메일단자가 수용되고, 개방된 수용공간부가 형성되는 메일하우징;
    상기 수용공간부에 삽입되어 결속부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메일단자에 연결되는 피메일단자가 수용되는 피메일하우징; 및
    상기 메일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결속부의 결합 완료시 상기 피메일하우징을 진입 반대방향으로 밀어주어 상기 메일하우징과 상기 피메일하우징 간의 간격을 줄이거나 없애는 진동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방지부는 상기 수용공간부 내에서 상기 피메일하우징의 진입 반대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돌기이고,
    상기 진동방지부는 상기 메일하우징의 모서리부에서 절곡되어 상기 수용공간부로 돌출되되, 상기 수용공간부의 측면과 설정 거리 이격되는 틈새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의 진동 방지구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방지부는 상하측으로 복수 개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부의 길이방향 중심부를 기준으로 양측 가장자리에 대칭되게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의 진동 방지구조.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방지부는 상기 메일단자 진입측으로 관통된 관통구멍에 접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의 진동 방지구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방지부는 상기 피메일하우징의 접촉시 수축 및 복원이 잘 이루어지게 하는 탄성향상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의 진동 방지구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향상부는 상기 진동방지부의 양측에서 중심부로 갈수록 점차 협소해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의 진동 방지구조.
KR20130166016A 2013-12-27 2013-12-27 커넥터의 진동 방지구조 KR1014740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66016A KR101474004B1 (ko) 2013-12-27 2013-12-27 커넥터의 진동 방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66016A KR101474004B1 (ko) 2013-12-27 2013-12-27 커넥터의 진동 방지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4004B1 true KR101474004B1 (ko) 2014-12-17

Family

ID=52679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66016A KR101474004B1 (ko) 2013-12-27 2013-12-27 커넥터의 진동 방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40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54813A1 (ko) * 2017-09-18 2019-03-21 주식회사 엘지화학 잠금 구조를 구비하는 커넥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46106A (ja) 2001-02-16 2002-08-30 Furukawa Electric Co Ltd:The コネクタ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46106A (ja) 2001-02-16 2002-08-30 Furukawa Electric Co Ltd:The コネクタ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54813A1 (ko) * 2017-09-18 2019-03-21 주식회사 엘지화학 잠금 구조를 구비하는 커넥터
KR20190031721A (ko) * 2017-09-18 2019-03-27 주식회사 엘지화학 잠금 구조를 구비하는 커넥터
KR102160852B1 (ko) 2017-09-18 2020-09-28 주식회사 엘지화학 잠금 구조를 구비하는 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85726B2 (en) Terminal and connector assembly
US6203364B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slide clip attachment
CA2506922C (en) Device for securing a connector
KR101527057B1 (ko) 전기 콘택 요소와 케이블에 대한 고정을 갖는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
US6280262B1 (en) Connector
US9325114B2 (en) Plug connector
US6382992B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improved camming system
US10892584B2 (en) Socket-shaped housing, connector, and connector arrangement with cable support
US9608353B1 (en) Conductive terminal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KR102133836B1 (ko) 전기 플러그―인 커넥터
KR20090090297A (ko) 직렬식 밀봉 전기 커넥터 장치
KR20200000709U (ko) 플러그인 커넥터 장치
JP2004281207A (ja) コネクタ
JP2017517857A (ja) ケーブルの緊張緩和装置
KR20150003378A (ko)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CN101971434B (zh) 连接器护盖
EP2876744A1 (en) Connector with a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device
KR101850445B1 (ko) 방수 커넥터
KR101474004B1 (ko) 커넥터의 진동 방지구조
EP3346557A1 (en) Waterproof structure for connector
US20160056556A1 (en) Connector assembly
KR101500214B1 (ko) 차량용 커넥터
WO2016194579A1 (ja) コネクタ
KR102591645B1 (ko) 커넥터 어셈블리
KR101513281B1 (ko) 커넥터의 단자 보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