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0297A - 직렬식 밀봉 전기 커넥터 장치 - Google Patents

직렬식 밀봉 전기 커넥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0297A
KR20090090297A KR1020097004873A KR20097004873A KR20090090297A KR 20090090297 A KR20090090297 A KR 20090090297A KR 1020097004873 A KR1020097004873 A KR 1020097004873A KR 20097004873 A KR20097004873 A KR 20097004873A KR 20090090297 A KR20090090297 A KR 200900902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male
male
housing
connector
retention cl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48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핑 첸
제프리 에이. 맥켄지
Original Assignee
제이.에스.티.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에스.티.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제이.에스.티.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900902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02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5Sealing means between cable and housing, e.g. grommet
    • H01R13/5208Sealing means between cable and housing, e.g. grommet having at least two cable receiving open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5Latching arms not integral with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9Sealing means between coupling parts, e.g. interfacial seal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직렬식 밀봉 전기 커넥터 장치는 암형 커넥터 조립체와 수형 커넥터 조립체를 포함한다. 상기 암형 커넥터 조립체는 암형 하우징, 암형 와이어 밀봉부 및 암형 커버를 포함한다. 상기 수형 커넥터 조립체는 수형 하우징, 리텐션 클립, 수형 하우징 밀봉 개구를 형성하는 수형 하우징 밀봉부, 수형 와이어 밀봉부 및 수형 커버를 포함한다. 상기 리텐션 클립은 이 리텐션 클립을 통하여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일반적으로 D자형 리텐션 클립 덕트를 형성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U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일반적으로 D자형 리텐션 클립 덕트는 상기 암형 하우징을 미끄럼가능하게 수용하기 위한 크기로 됨으로써, 상기 암형 커넥터와 수형 커넥터를 결합할 때에, 상기 암형 하우징은 먼저 일반적으로 D자형 리텐션 클립 덕트를 통하여 수용되고 그 이후에 상기 수형 하우징 밀봉 개구를 통하여 삽입된다.
암형 커넥터 조립체, 수형 커넥터 조립체, 리텐션 클립 덕트, 암형 커넥터, 수형 커넥터

Description

직렬식 밀봉 전기 커넥터 장치{IN-LINE SEALED ELECTRICAL CONNECTOR APPARATUS}
본 발명은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직렬식 밀봉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직렬식 밀봉 전기 커넥터는 본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본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하나의 직렬식 밀봉 전기 커넥터는 미국 특허 제 5,240,440 호에 기재되어 있다. 상기 전기 커넥터는 각각의 대향 접촉 숄더(abutment shoulder)로 형성된 다수의 평행한 통로로 형성되는 전방 절연체(front insulating body)를 포함하고, 후방 관형 스커트를 가진다. 다수의 전기 접점(electrical contact) 각각은 그 각각의 통로에 위치되어서 그 숄더에 대하여 접촉하게 되어 있다. 전기 절연판은 상기 스커트내로 삽입가능하고 또한 그 내에 있다.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접점을 록킹하기 위하여 각각의 접점 위에 형성되는 후방으로 향하는 숄더에 대하여 접촉하기 위하여 정렬되는 캐치 핑거(catch finger)를 가진다.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전방 절연체에 대하여 접촉으로 록크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가 상기 절연 플레이트에 대하여 접촉할 때에, 상기 전방 절연체에서의 통로는 상기 통로가 상기 캐치 핑거를 확개(spreading apart)되는 것으로부터 방지하고 또한 상기 통로가 상기 접 점의 숄더에 대하여 캐치 핑거를 유지하도록 하는 형상을 가진다. 중간 어댑터는 후방으로부터 상기 전방 절연체의 스커트상으로 삽입가능한 관형 섹션을 가지고, 상기 중간 어댑터가 완전히 삽입되게 가압될 때에 상기 전방 절연체의 리세스내로 스냅핑(snapping)하기 위하여 정렬되는 전방으로 돌출하는 탄성 체결 핑거를 가진다.
다른 직렬식 밀봉 전기 커넥터는 관성 록킹 메카니즘(inertia locking mechanism)을 가지는 커넥터 조립체로서 미국 특허 제 6,332,800 호에 기재되어 있다. 상기 커넥터 록크 메카니즘은 서로 결합되는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를 가진다.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는 제 1 록크부와 제 1 관성 록크부를 가진다. 상기 플러그 커넥터는 제 2 록크부와 제 2 관성 록크부를 가진다. 상기 제 1 록크부는 상기 제 2 록크부와 결합된다. 상기 제 1 관성 록크부는 상기 제 2 관성 록크부와 결합된다. 상기 제 1 록크부는 제 1 록킹 피스(locking piece)와, 상기 제 1 록킹 피스를 이동시키는 푸시 피스(push piece)를 가진다. 상기 제 1 관성 록크부는 제 2 록킹 피스를 구비하는 록크 아암을 가진다. 상기 제 2 록크부는 이것의 접촉이후 또는 상기 푸시 피스가 가압될 때에 상기 제 1 록킹 피스와 결합하는 제 3 록킹 피스를 가진다. 상기 제 2 관성 록크부는 상기 커넥터의 매팅(mating)에 대한 일시적인 저항력이 발생된 이후에 상기 제 2 록킹 피스와 결합되는 제 4 록킹 피스를 가진다.
실질적으로, 이러한 종래 기술의 직렬식 밀봉 전기 커넥터는 자동차와 같은 소정의 적용에 사용되기에는 너무 클 수 있다. 예를 들면, 소정의 자동차 적용에 사용하기 위해서, 종래 기술의 직렬식 밀봉 전기 커넥터의 사용을 방해하는 몇몇의 크기에 따른 제한(size-driven constraint)이 있게 되는데, 왜냐하면 이들은 비교적 크기가 크기 때문이다.
또한, 크기에 따른 제한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직렬식 밀봉 전기 커넥터는 보다 작게되어야만 한다. 그러나, 보다 작은 직렬식 밀봉 전기 커넥터에서, 상기 매팅 부품들을 연결하는 사람은 상기 매팅 부품이 이 매팅 전기 단자의 적절한 연결을 적절하게 보장하기 위하여 배향되는지를 결정하는 것은 때때로 어렵다.
크기에 따른 제한을 가지는 적용에 사용될 수 있는 소형의 직렬식 밀봉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 유리하다.
또한, 크기에 따른 제한을 가지는 적용에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매팅 전기 단자의 적절한 결합을 위하여 상기 매팅 부품의 적절한 배향을 보장하도록 설계되는 소형의 직렬식 밀봉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장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크기에 따른 제한을 가진 적용에 사용될 수 있는 소형의 직렬식 밀봉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크기에 따른 제한을 가진 적용을 위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적절한 결합을 위하여 매팅 부품의 적절한 배향을 보장하도록 설계되는 소형의 직렬식 밀봉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직렬식 밀봉 전기 커넥터 장치의 하나의 실시예는 암형 커넥터 조립체와 수형 커넥터 조립체를 포함한다. 상기 암형 커넥터 조립체는 암형 하우징, 암형 와이어 밀봉부 및 암형 커버를 포함한다. 상기 암형 하우징은 종방향 축을 따라서 연장되고, 종방향으로 연장되고 일반적으로 직사각형 암형 커넥터 통로를 형성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D자형 단면으로 일반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암형 와이어 밀봉부와 상기 암형 커버는 억지 끼워맞춤(close-fitting) 관계로 상기 암형 커넥터 통로에 의하여 수용되게 채택되는 크기로 된다.
상기 수형 커넥터 조립체는 수형 하우징, 리텐션 클립(retension clip), 수형 하우징 개구를 형성하는 수형 하우징 밀봉부, 수형 와이어 밀봉부 및 수형 커버를 포함한다. 상기 수형 하우징은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형 커넥터 통로를 형성하기 위하여 종방향 축을 따라서 연장된다. 상기 수형 하우징은 수형 커넥터 통로의 암형 수용 커넥터 통로부를 형성하는 암형 수용 하우징부와, 상기 수형 커넥터 통로의 밀봉 수용 커넥터 통로부를 형성하는 밀봉 하우징부를 구비한다. 상기 밀봉 하우징부와 상기 암형 수용 하우징부는 서로 일체식으로(integrally) 연결된다. 상기 암형 수용 커넥터 통로부는 상기 리텐션 클립과 상기 수형 하우징 밀봉부를 억지 끼워맞춤 관계로 수용하도록 채택되는 크기로 되며, 상기 밀봉 수용 커넥터 통로부는 상기 수형 와이어 밀봉부를 억지 끼워맞춤 관계로 수용하도록 채택되는 크기로 된다. 상기 수형 커버는 상기 수형 와이어 밀봉부에 인접한 밀봉 수형 하우징부를 덮기 위하여 작동식으로(operative) 된다. 상기 리텐션 클립은 상기 리텐션 클립을 통하여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일반적으로 D자형 리텐션 클립 덕트를 형성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U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리텐션 클립 덕트는 상기 암형 하우징을 미끄럼가능하게 수용하기 위한 크기로 됨으로써, 상기 암형 커넥터와 수형 커넥터를 결합할 때에, 상기 암형 하우징은 먼저 일반적으로 D자형 리텐션 클립 덕트를 통하여 수용되고 그 이후에 상기 수형 하우징 밀봉 개구를 통하여 삽입된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과 다른 장점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서 본 발명의 전형적인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에 따라서 보다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서로 분리되는 암형 커넥터 조립체와 수형 커넥터 조립체를 가지는 본 발명의 직렬식 밀봉 전기 커넥터 장치의 실시예에 대한 전개 사시도이다.
도 2는 서로 결합되는 수형 커넥터 조립체와 암형 커넥터 조립체를 가지는 본 발명의 직렬식 밀봉 전기 커넥터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 및 2에서 상기 암형 커넥터 조립체의 전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 및 2에서 상기 수형 커넥터 조립체의 전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에서 상기 직렬식 밀봉 전기 커넥터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 및 2에서 상기 암형 커넥터 조립체의 암형 하우징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 및 2에서 상기 수형 커넥터 조립체의 수형 하우징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1 및 2에서 상기 수형 커넥터 조립체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서 상기 수형 커넥터 조립체의 단면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10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또한 서로 일반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상기 클립의 한 쌍의 아암의 중립 상태(실선)와, 서로 이격되게 피봇되며 상기 중립상태를 향하여 탄성 편향되는 상기 한 쌍의 아암의 탄성 편향 상태(점선)에 있는 리텐션 클립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또한 서로 일반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상기 클립의 한 쌍의 아암의 중립 상태(실선)와, 서로를 향하여 피봇되며 상기 중립상태를 향하여 탄성 편향되는 상기 한 쌍의 아암의 탄성 편향 상태(점선)에 있는 리텐션 클립의 측면도이다.
도 12는 상기 리텐션 클립을 통하여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일반적으로 D자형 리텐션 클립의 개략도이다.
다음, 본 발명의 직렬식 밀봉 전기 커넥터 장치(10)의 하나의 전형적인 실시예를 도 1 내지 12를 참조로 하여서 설명한다. 도 1 및 2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기 직렬식 밀봉 전기 커넥터 장치(10)는 암형 커넥터 조립체(12)와 수형 커넥터 조립체(14)를 포함한다. 도 3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직렬식 밀봉 커넥터 장치(10)는 제 1 와이어 조립체(16)와 제 2 와이어 조립체(18)를 밀봉 방식으로 용이하게 접속하도록 채택된다. 상기 제 1 와이어 조립체(16)는 암형 단자(22)에 전기 접속되는 제 1 와이어(20)를 가지며, 상기 제 2 와이어 조립체(18)는 수형 단자(26)에 전기 접속되는 제 2 와이어(24)를 가진다. 상기 암형 커넥터 조립체(12)가 암형 단자(22)를 수용하고 있으며, 상기 수형 커넥터 조립체(14)가 상기 수형 단자(26)를 수용하고 있기 때문에 당업자는 본원에서 사용되는 명칭이 적절하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암형 커넥터 조립체(12)는 암형 하우징(28), 종방향으로 관통하여 연장되는 다수의 암형 와이어 밀봉 구멍(30a)을 가진 암형 와이어 밀봉부(30) 및, 종방향으로 관통하여 연장되는 다수의 암형 커버 구멍(32a)을 가지는 암형 커버(32)를 포함한다. 상기 암형 하우징(28)은 종방향 축(L)을 따라서 연장되고, 도 3 및 도 6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일반적으로 직사각형인 암형 커넥터 통로(33)를 형성하기 위하여 D자형 단면으로 일반적으로 형성된다. 도 5에서, 상기 암형 와이어 밀봉부(30) 및 암형 커버(32)는 상기 암형 커넥터 통로(33)에 의하여 억지 끼워맞춤 관계(close-fitting relationship)로 수용되는 크기로 채택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수형 커넥터 조립체(14)는 수형 하우징(34), 리텐션 클립(retention clip)(36), 수형 하우징 밀봉 개구(38a)를 형성하는 수형 하우징 밀봉부(38), 관통하여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형 와이어 밀봉 구멍(40a)을 가지는 수형 와이어 밀봉부(40) 및, 관통하여 연장되며 적어도 하나의 수형 와이어 밀봉 구멍(40a)과 축방향으로 정렬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형 커버 구멍(42a)을 가지는 수형 커버(42)를 포함한다. 도 4 및 도 7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형 하우징(34)은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형 커넥터 통로(44)를 형성하기 위하여 종방향 축(L)을 따라서 연장된다. 상기 수형 하우징(34)은 수형 커넥터 통로(44)의 암형 수용 커넥터 통로부(44a)를 한정하는 암형 수용 하우징부(34a)와, 상기 수형 커 넥터 통로(44)의 밀봉식 수용 커넥터 통로부(44b)를 한정하는 밀봉 하우징부(34b)를 구비한다. 상기 밀봉 하우징(34b)과 상기 암형 수용 하우징부(34a)는 서로 일체식으로 접속된다. 상기 수형 수용 커넥터 통로부(44a)는 도 5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텐션 클립(36)과 수형 하우징 밀봉부(38)를 억지 끼워맞춤 관계로 수용하도록 크기가 채택된다.
또한, 도 5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밀봉 수용 커넥터 통로부(44b)는 억지 끼워맞춤 관계로 상기 수형 와이어 밀봉부(40)를 수용하도록 크기가 채택되며, 상기 수형 커버(42)는 상기 수형 와이어 밀봉부(40)에 인접한 밀봉 수형 하우징부(34b)를 덮도록 되어 있다. 도 1,2 및 4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형 커버(42)는 종래의 리빙 힌지(living hinge)로써 상기 수형 커버(42)에 일체식으로 연결되는 래치(43)를 가진다. 상기 래치(43)는 립 요소(lip element)(45)에 결합하기 위하여 작동식으로 되고, 따라서 수형 커버(42)가 밀봉 수형 하우징부(34)를 덮을 때 상기 래치(43)와 립 요소(45)가 서로 결합되어서 상기 수형 커버(42)와 밀봉 수형 하우징부(34b)를 함께 해제가능하게 록크시킨다.
상기 리텐션 클립(36)은 도 1,4,10 및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D자형 리텐션 클립 덕트(47)를 형성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U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리텐션 클립 덕트(47)는 상기 리텐션 클립(36)을 통하여 종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일반적으로 D자형 리텐션 클립 덕트(47)는 도 1 및 2에 순차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암형 하우징(28)을 미끄럼가능하게 수용하는 크기로 된다. 당업자는, 상기 암형 커넥터 조립체(12)와 상기 수형 커넥터 조립체(14)가 결합할 때 에, 상기 암형 하우징(28)이 먼저 일반적으로 D자형 리텐션 클립 덕트(47)를 통하여 수용되고 그 다음 도 5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수형 하우징 밀봉 개구(38a)를 통하여 삽입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도 4, 8 및 9를 참조하면, 상기 리텐션 클립(36)은 아치형 피스(arcuate piece)(46)와 한 쌍의 아암(48a 및 48b)을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아암(48a 및 48b)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일반적으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상기 한 쌍의 아암(48a 및 48b)은, 도 4,8 및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부상에 놓여 있는 일반적으로 U자형 형상을 형성하기 위하여 아치형 피스(46)에 일체식으로 연결된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아암(48a 및 48b)은 실선으로 도시된 중립 상태(neutral state)와 점선으로 도시된 탄성 편향 상태(resiliently biased state)사이에서 그 각각의 상태로 이동하기 위하여 작동식으로 되어 있다. 상기 중립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아암(48a 및 48b)은 서로에 대하여 이격 배치되어서 일반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며, 상기 탄성 편향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아암(48a 및 48b)은 서로를 향하여(도 11) 또는 서로 이격되게(도 10) 피봇 방식으로 이동한다. 그러나, 상기 리텐션 클립(36)이 암형 수용 커넥터 통로부(44a)에 수용될 때에, 상기 한 쌍의 아암(48a 및 48b)중의 단지 하나, 이 경우에 아암(48a)은 상기 한 쌍의 아암중의 나머지 하나(48b)를 향하여 또는 그것으로부터 이격되게 피봇 방식으로 이동한다. 그러나, 상기 나머지 아암(48b)으로부터 이격되게 이동할 때에, 상기 아암(48a)은 상기 중립 상태를 향하여 여전히 탄성 편향로 있게 된다.
도 1,2,4 및 9에서, 상기 수형 하우징(24)의 암형 수용 하우징부(34a)는 관 통하여 형성되는 제 1 쌍의 대면 슬롯(facially opposing slot)(50a 및 50b)을 가진다. 도 10 및 도 11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아암(48a 및 48b)의 각각은 아암 외부면(48a1 및 48b1)과, 상기 각 아암 외부면(48a1 및 48b1)으로부터 돌출하는 제 1 돌출부(52a 및 52b)를 구비한다. 상기 제 1 돌출부(52a 및 52b)는 상기 리텐션 클립(36)이 암형 수용 커넥터 통로부(44a)에 의하여 수용될 때에, 상기 제 1 돌출부(52a 및 52b)는 제 1 쌍의 대면 슬롯(50a 및 50b) 각각에 의하여 수용되어서 상기 리텐션 클립(36)을 상기 암형 수용 커넥터 통로부(44a)내에 제 위치로 유지(retent)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배치된다. 제한적인 것이 아닐지라도, 상기 수형 하우징(24)의 암형 수용 하우징부(34a)는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 2 쌍의 대면 슬롯(54a 및 54b)을 가진다. 도 10 및 도 11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아암(48a 및 48b) 각각은 상기 각각의 아암 외부면(48a1 및 48b1)으로부터 돌출하는 제 2 돌출부(56a 및 56b)를 구비한다. 상기 제 2 돌출부(56a 및56b)는, 상기 리텐션 클립(36)이 상기 암형 수용 커넥터 통로부(44a)에 의하여 수용될 때에, 상기 제 2 돌출부(56a 및 56b) 각각이 상기 제 2 쌍의 대면 슬롯(54a 및 54b) 각각에 의하여 수용되어서 상기 암형 수용 커넥터 통로부(44a) 내에 상기 리텐션 클립(36)을 제 위치로 유지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배치된다.
도 10 및 도 11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아암(48a 및 48b) 각각은 자유 단부(58a 및 58b)를 각각 구비한다. 상기 자유 단부중의 하나, 이 경우에 자유 단부(58a)는 이 자유 단부(58a)와 일체식으로 형성되는 블록 부재(block member)(60)를 포함한다. 상기 블록 부재(60)는 상기 리텐션 클립이 도 12에서 개략적으로 형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D자형 리텐션 클립 덕트(47)의 제 1 직선부(SP1)를 형성하기 위하여 중립 상태에 있을 때에 상기 아치형 피스에 대면하는 제 1 벽(62)을 가진다. 상기 블록 부재(60)는 테이퍼진 개구(66)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으로 상기 제 1 벽(62)에 대하여 예각으로 연장되는 제 2 벽(64)을 가진다. 상기 테이퍼진 개구(66)는 이 개구(66)가 일반적으로 D자형 리텐션 클립 덕트(47)와 그 좁은 단부에서 소통될 수 있도록 상기 리텐션 클립(36)내로 테이퍼진다.
도 1,4,8 및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형 하우징(34)은 레버 아암(68)을 포함한다. 도 8에서, 상기 레버 아암(68)은 웨지형 요소(wedge-shaped element)(70)를 가진다. 상기 레버 아암(68)은 실선으로 도시된 중립 위치와 점선으로 도시된 리텐션 클립의 확개 위치(spreading position)사이에서 그 각각으로 이동가능하다. 상기 중립 위치에서, 상기 웨지형 요소(70)는 상기 테이퍼진 개구(66)내로 부분적으로 연장되고, 상기 리텐션 클립의 확개 위치에서, 상기 웨지형 요소(70)는 도 8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아암(48a 및 48b)의 자유 단부(58a 및 58b)를 서로로부터 이격되게 확개시키도록 상기 제 2 벽(64)와 접촉하면서 상기 테이퍼진 개구(66)내로 연장된다. 특히, 상기 자유 단부(56b)는 어쨋든 많이 이격되지 않게 되는데, 왜냐 하면 그 이동이 도 7 및 8에 도시된 저부 벽부(45)에 의하여 저지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당업자는 상기 자유 단부(58a)가 편향(deflect)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상기 리텐션 클립의 확개 위치에서, 상기 암형 커넥터 조립체(12)와 수형 커넥터 조립체(14)의 분리가 이루어진다.
도 10 및 11에서, 상기 자유 단부들(58a,58b) 중의 나머지 하나는 상기 자유 단부들 중의 다른 하나, 즉 자유 단부(56b)와 일체식으로 형성되는 평탄 부재(plateau member)(72)를 포함한다. 상기 평탄 부재(72)는 상기 블록 부재(60)에 대면하는 평편한 평탄 벽(flat plateau wall)(74)과, 상기 평편한 평탄벽(74)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평편한 평탄 측벽(76)을 가진다. 상기 평편한 평탄 측벽(76)은 도 12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일반적으로 D자형 리텐션 클립 덕트(47)의 제 2 직선부(SP2)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아치형 피스(46)에 대면한다.
또한,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텐션 클립(36)은 상기 일반적으로 D자형 리텐션 클립 덕트(47)내로 연장되는 리텐션 클립 래치(79)를 포함한다. 도 1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암형 하우징(28)은 암형 하우징의 외부면(28a)내로 형성되는 리텐션 클립 래치 수용 노치(29)를 포함한다. 상기 리텐션 클립 래치 수용 노치(29)는, 상기 암형 커넥터 조립체와 수형 커넥터 조립체가 함께 연결될 때에 상기 리텐션 클립 래치(79)를 해제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는 방법으로 도 2에서 "X"로 도시된 위치에 위치된다. 당업자는, 상기 레버 아암(68)이 도 8에서 실선으로 도시된 중립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리텐션 클립 래치(79)가 상기 리텐션 클립 래치 수용 노치(29)에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리텐션 클립 래치(79)는 상기 암형 커넥터 조립체(12)와 수형 커넥터 조립체(14)를 함께 연결하여 유지하게 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당업자는, 상기 레버 아암(68)이 도 8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상기 리텐션 클립의 확개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암형 커넥터 조립체(12)와 수형 커넥터 조립체(14)는 상기 리텐션 클립 래치(79)가 상기 리텐션 클립 래치 수용 노치(29)로부터 해제되기 때문에 서로 분리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도 7를 참조하면, 상기 수형 하우징(34)의 암형 수용 커넥터 통로부(44a)는 단계적 감소형 벽(stepped-down wall)(78)을 가진 확대된 암형 수용 커넥터 통로부 섹션(44a1) 및 감소된 암형 수용 커넥터 통로부 섹션(44a2)을 구비하며, 상기 단계적 감소형 벽(78)은 상기 확대된 암형 수용 커넥터 통로부 섹션(44a1)과 감소된 암형 수용 커넥터 통로부 섹션(44a2)을 분리한다. 상기 확대된 암형 수용 커넥터 통로부 섹션(44a1)은 도 5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텐션 클립(36)과 상기 수형 하우징 밀봉부(38)를 수용하기 위한 크기로 된다. 상기 수형 하우징 밀봉부(38)는 상기 리텐션 클립(36)과 상기 단계적 감소형 벽(78), 제한적인 것이 아닐지라도, 대향 접촉하는 단계적 감소형 벽(78)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감소된 암형 수용 커넥터 통로부 섹션(44a2)은 상기 암형 커넥터 조립체(12)의 전방부, 특히 상기 암형 단자(22)의 전방부를 수용한다.
다시, 도 7를 참조하면, 상기 밀봉 수용 커넥터 통로부(44b)는 밀봉 수용 커넥터 통로부 섹션(44b1)과, 상기 밀봉 수용 커넥터 통로부 섹션(44b1)과 소통하는 단자 록킹 아암 수용 커넥터 통로부 섹션(44b)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수형 하우징(34)은 상기 단자 록킹 아암 수용 커넥터 통로부 섹션(44b2)에서 상기 수형 하우징(34)에 연결되는 수형 하우징 단자 록킹 아암(80)을 포함한다. 상기 밀봉 수용 커넥터 통로부 섹션(44b1)은 억지 끼워맞춤 관계로 상기 수형 와이어 밀봉부(40)를 수용하는 크기로 된다. 상기 수형 하우징 단자 록킹 아암(80)은, 도 7에서 실선으 로 도시된 수형 단자 록킹 상태와 점선으로 도시된 수형 터미널 해제 상태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다. 당업자는, 상기 수형 단자 록킹 아암(80)이 상기 수형 단자 해제 상태로 이동할 때에 상기 수형 단자 록킹 상태로 탄성 편향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의 전형적인 실시예를 위하여, 상기 수형 단자 록킹 아암(80)은 수형 단자 록킹 아암의 노치된 자유 단부(82)를 구비한다.
도 6에서, 상기 암형 커넥터 조립체(12)의 암형 하우징(28)의 암형 커넥터 통로(33)는 확대된 암형 커넥터 통로 섹션(33a)과 감소된 암형 커넥터 통로 섹션(33b)을 포함한다. 암형 커넥터 단계적 감소형 벽(84)은 상기 확대된 암형 커넥터 통로 섹션(33a)과 감소된 암형 커넥터 통로 섹션(33b)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확대된 암형 커넥터 통로 섹션(33a)은 도 5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암형 와이어 밀봉부(30)와 암형 커버(32)를 수용하도록 하는 크기가 된다. 상기 암형 와이어 밀봉부(30)는 상기 암형 커넥터 단계적 감소형 벽(84)과 암형 커버(32)사이에 배치되고, 비록 제한적이 아닐지라도, 상기 암형 와이어 밀봉부(30)는 상기 암형 커넥터 단계적 감소형 벽(84)에 접촉한다.
도 3에서, 상기 암형 하우징(28)은 관통하여 형성되는 한 쌍의 대면하는 암형 하우징 슬롯(86a 및 86b)을 구비한다. 상기 암형 커버(32)는 대향하는 한 쌍의 래칭 돌출부(88a 및 88b)를 포함한다. 상기 암형 커버(32)가 확대된 암형 커넥터 통로 섹션(33a)에 의하여 수용될 때에, 상기 래칭 돌출부(88a 및 88b) 각각이 상기 한 쌍의 대면하는 암형 하우징 슬롯(86a 및 86b) 각각에 의하여 수용되어서 상기 암형 하우징(28)의 확대된 암형 커넥터 통로 섹션(33a)내에 상기 암형 커버(32)를 제 위치로 유지할 수 있는 방법으로, 상기 래칭 돌출부(88a 및 88b)가 상기 암형 커버(32)상에 배치된다.
또한, 도 5 및 6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암형 하우징(28)은 상기 감소된 암형 커넥터 통로 섹션(33b)에서 상기 암형 하우징(28)에 연결되는 암형 하우징의 단자 록킹 아암(90)을 포함한다. 상기 암형 하우징의 단자 록킹 아암(90)은 도 6에서 실선으로 도시된 암형 단자 록킹 상태와, 도 6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암형 단자 해제 상태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다. 상기 암형 단자 하우징의 단자 록킹 아암(90)은 상기 암형 단자 해제 상태로 이동할 때에 상기 암형 단자 록크 상태로 탄성 편향된다. 비록 제한적이지 않을지라도, 상기 암형 하우징 단자 록킹 아암(90)은 도 6에 도시된 암형 하우징 단자 록킹 아암의 노치된 자유 단부(92)를 구비한다.
단지 예시적으로 그리고 제한적이지 아닌 것으로, 상기 암형 와이어 밀봉부(30), 상기 수형 하우징 밀봉부(38) 및 상기 수형 와이어 밀봉부(40)는 고무와 같은 밀봉 재료로 제조되고, 이들 각각은 도 5에서 단면으로 볼 때에 다수의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리브(30a,38a 및 40a)를 각각 구비한다. 당업자는, 상기 리브가 단지 외향으로만 돌출하거나 또는 단지 내향으로만 돌출되거나, 또는 어떠한 리브도 갖지 않지만, 상기 리브(30a,38a 및 40a)가 단지 예시적으로 도 5에서 단면으로 외향 및 내향으로 돌출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당업자는 본 발명의 직렬식 밀봉 전기 커넥터 장치(10)가 어떻게 조립되고 작동되지는지를 이해할 것이다. 상기 제 1 와이어 조립체(16)는 도 3의 제 1 와이 어 조립체 삽입 방향(fd)으로 상기 암형 커넥터 조립체(12)내로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 1 와이어(20)는 상기 암형 커버의 암형 커버 구멍(32a)과 상기 암형 와이어 밀봉부(30)의 암형 와이어 밀봉 구멍(30a)을 통하여 연장되고, 상기 암형 와이어 밀봉부(30)는 상기 제 1 와이어(20)를 밀봉 방식으로 그립핑한다. 상기 암형 단자(22)가 암형 하우징(28)내로 삽입될 때에, 상기 암형 단자(22)는 먼저 상기 암형 단자 록킹 상태로부터 상기 암형 단자 해제 상태로 상기 암형 하우징 단자 록킹 아암(90)(도 6 참조)을 이동시키고, 그 다음 상기 제 1 와이어 조립체 삽입 방향(fd)과 반대인 도 3의 제 1 와이어 조립체 제거 방향(rd)으로 상기 암형 단자의 제거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암형 하우징 단자 록킹 아암(90)을 암형 터미널 록킹 상태(도 5 참조)로 다시 이동시키도록 허용한다.
상기 제 2 와이어 조립체(18)는 도 4의 제 2 와이어 조립체 삽입 방향(sd)을 따라서 상기 수형 커넥터 조립체(14)내로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 2 와이어(24)는 상기 수형 커버(42)의 하나의 수형 커버 구멍(42a)과 상기 수형 와이어 밀봉부(40)의 하나의 수형 와이어 밀봉 구멍(40a)을 따라서 연장되고, 상기 하나의 수형 와이어 밀봉부(40)는 상기 제 2 와이어(24)를 밀봉 방식으로 그립핑한다. 상기 수형 단자(26)가 상기 수형 하우징(34) 내로 삽입될 때에, 상기 수형 단자(26)는 먼저 상기 수형 단자 록킹 상태로부터 상기 수형 단자 해제 상태로 상기 수형 하우징 단자 록킹 아암(80)를 이동시키고(도 7참조), 그 다음 상기 제 2 와이어 조립체 삽입 방향(sd)과 반대인 제 2 와이어 조립체 제거 방향(td)(도 4참조)으로 상기 수형 단자(26)의 제거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수형 하우징 단자 록킹 아암(80)이 상기 수 형 단자 록킹 상태로 다시 이동하도록 허용한다.
상기 암형 커넥터 조립체(12)와 수형 커넥터 조립체(14)를 결합할 때에, 상기 암형 하우징(28)은 먼저 상기 일반적으로 D자형 리텐션 클립 덕트(47)를 통하여 수용되고, 그 다음 상기 수형 하우징 밀봉 개구(38a)를 통하여 삽입되고, 따라서 상기 수형 단자(26)의 전방 수형 단자부가 암형 단자(22)의 전방 암형 단자부에 의하여 미끄럼가능하게 수용되면서, 상기 리텐션 클립(36)이 상기 암형 하우징(28)을 실질적으로 둘러싸서 그립하고 상기 수형 하우징 밀봉부(38)가 상기 암형 하우징(28)을 둘러싸고 그립한다. 본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바와 같이, 상기 단자 위치 보장 요소(96a 및 96b)는 상기 암형 및 수형 커넥터 조립체(12 및 14) 각각의 조립 이전에 이들의 마지막 위치로 조립된다.
또한, 본 기술분야에 공지된 바와 같이, 상기 암형 및 수형 커넥터 조립체(12 및 14)가 각각 결합된다면 상기 제 1 및 제 2 와이어 조립체(16 및 18) 각각이 쉽게 제거될 수 없도록 보장하기 위하여, 단자 위치 보장 요소(96a)는 상기 암형 커넥터 조립체(12)내로 합체될 수 있으며(도 3 및 도 5), 단자 위치 보장 요소(96b)는 상기 수형 커넥터 조립체(14)내로 합체될 수 있다(도 4 및 도 5).
도 2를 참조하면, 결합상태에 있는 본 발명의 직렬식 밀봉 전기 커넥터 장치(10)는 높이(h), 폭(w) 및 길이(l)를 가진다. 단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는 실질적으로 6mm의 높이, 15mm의 폭 및 28mm의 길이를 가진다. 따라서, 직렬식 밀봉 전기 커넥터 장치는 소형이며, 그리고 크기에 따라서 제한되는(size-driven constrain) 많은 적용을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직렬식 전기 커넥터 장치는 상기 암형 및 수형 커넥터 조립체의 적절한 배향을 보장하도록 설계되고, 그 결과, 상기 D자형 암형 하우징이 D자형 암형 하우징을 수용하기 위한 크기로 되는 D자형 리텐션 클립 덕트를 가지는 리텐션 클립내로 적절한 배향으로 삽입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양하게 서로 다른 형태로 실시될 수 있고 본원에 기재된 전형적인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말아야만 하고; 더욱이, 이러한 개시가 철저히 그리고 완전하며, 또한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범위를 완전하게 전달되도록 이들 전형적인 실시예가 제공된다.

Claims (28)

  1. 직렬식 밀봉 전기 커넥터 장치로서,
    암형 하우징, 암형 와이어 밀봉부 및 암형 커버를 포함하는 암형 커넥터 조립체와;
    수형 하우징, 리텐션 클립, 수형 하우징 밀봉 개구를 형성하는 수형 하우징 밀봉부, 수형 와이어 밀봉부 및 수형 커버를 포함하는 수형 커넥터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암형 하우징은 종방향 축을 따라서 연장되고, 종방향으로 연장되며 일반적으로 직사각형인 암형 커넥터 통로를 형성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D자형의 단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암형 와이어 밀봉부와 상기 암형 커버는 억지 끼워맞춤 관계로 상기 암형 커넥터 통로에 의하여 수용되도록 채택되는 크기로 되고,
    상기 수형 하우징은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형 커넥터 통로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종방향 축을 따라서 연장되고, 상기 수형 하우징은 상기 수형 커넥터 통로의 암형 수용 커넥터 통로부를 형성하는 암형 수용 하우징부와, 상기 수형 커넥터 통로의 밀봉 수용 커넥터 통로부를 형성하는 밀봉 하우징부를 가지며, 상기 암형 수용 하우징부와 상기 밀봉 하우징부는 서로에 대하여 일체식으로 연결되고, 상기 암형 수용 커넥터 통로부는 상기 리텐션 클립과 상기 수형 하우징 밀봉부를 억지 끼워맞춤 관계로 수용하도록 채택되는 크기로 되고, 상기 밀봉 수용 커넥터 통로부는 상기 수형 와이어 밀봉부를 억지 끼워맞춤 관계로 수용하도록 채택되는 크기로 되며, 상기 수형 커버는 상기 수형 와이어 밀봉부에 인접한 상기 밀봉 수형 하우징부를 덮기 위하여 작동식으로 되고, 상기 리텐션 클립은 이 리텐션 클립을 통하여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일반적으로 D자형 리텐션 클립 덕트를 형성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U자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암형 커넥터 조립체와 상기 수형 커넥터 조립체를 결합할 때에, 상기 암형 하우징이 먼저 상기 일반적으로 D자형 리텐션 클립 덕트를 통하여 수용되고 그 다음 상기 수형 하우징 밀봉 개구를 통하여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일반적으로 D자형 리텐션 클립 덕트는 상기 암형 하우징을 미끄럼가능하게 수용하도록 하는 크기가 되는 직렬식 밀봉 전기 커넥터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텐션 클립은, 아치형 피스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서로 일반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며 또한 상기 일반적으로 U자 형상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아치형 피스에 일체식으로 연결되는 한 쌍의 아암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아암은 중립 상태와 탄성 편향 상태 사이에서 이동하기 위하여 작동식으로 됨으로써, 상기 중립 상태에서는, 상기 한 쌍의 아암은 서로 이격되고 서로 일반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며, 상기 탄성 편향 상태에서는, 상기 한 쌍의 아암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한 쌍의 아암중의 나머지 하나를 향하거나 또는 그것으로부터 이격되게 피봇 방식으로 이동하고, 또한 상기 중립 상태를 향하여 여전히 탄성 편향되는 직렬식 밀봉 전기 커넥터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수형 하우징의 암형 수용 하우징부는 관통하여 형성되는 한 쌍의 대면 슬롯을 가지며, 상기 한 쌍의 아암중 각각은 아암 외부면과, 상기 아암 외부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돌출부를 가지며, 상기 리텐션 클립이 상기 암형 수용 커넥터 통로부에 의하여 수용될 때에 상기 돌출부 각각이 상기 한 쌍의 대면 슬롯의 각각에 의하여 수용됨으로써 상기 암형 수용 커넥터 통로부내에 상기 리텐션 클립을 제 위치로 유지시키는 방법으로 상기 돌출부가 배치되는 직렬식 밀봉 전기 커넥터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아암 각각은 자유 단부를 가지며, 상기 자유 단부중 하나는 이 하나의 자유 단부와 일체식으로 형성되는 블록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블록 부재는 일반적으로 D자형 리텐션 클립 덕트의 제 1 직선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아치형 피스에 대면하는 제 1 벽을 구비하는 직렬식 밀봉 전기 커넥터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블록 부재는 상기 리텐션 클립내로 테이퍼지는 테이퍼진 개구를 형성하는 방법으로 상기 제 1 벽에 대하여 예각으로 연장되는 제 2 벽을 가지며, 상기 테이퍼진 개구는 좁은 단부에서 일반적으로 D자형 리텐션 클립 덕트와 소통되는 직렬식 밀봉 전기 커넥터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수형 하우징은, 웨지형 요소를 가지며 중립 위치와 리텐션 클립 확개 위치사이에서 이동하는 레버 아암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중립 위치에서 상기 웨지형 요소는 상기 테이퍼진 개구내로 부분적으로 연장되며, 상기 리텐션 클립 확개 위치에서, 상기 웨지형 요소는 상기 한 쌍의 아암의 자유 단부가 서로로부터 이격되게 확개시키는 제 2 벽과 접촉하면서 상기 테이퍼진 개구내로 연장되고, 따라서 상기 암형 커넥터 조립체와 상기 수형 커넥터 조립체의 분리하는 직렬식 밀봉 전기 커넥터 장치.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자유 단부의 나머지 하나는 상기 자유 단부의 다른 하나와 일체식으로 형성되는 평탄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평탄 부재는 상기 블록 부재에 대면하는 평탄한 평면벽과 상기 평탄한 평면벽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평탄한 평면 측벽을 가지며, 상기 평탄한 평면 측벽은 상기 일반적으로 D자형 리텐션 클립 덕트의 제 2 직선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아치형 피스에 대면하는 직렬식 밀봉 전기 커넥터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텐션 클립은 상기 일반적으로 D자형 리텐션 클립 덕트내로 연장되는 리텐션 클립 래치를 포함하고, 상기 암형 하우징은 상기 외부 암형 하우징면내에 형성되고, 상기 암형 커넥터 조립체와 상기 수형 커넥터 조립체가 서로 연결될 때에 상기 리텐션 클립 래치를 해제가능하게 수용하기 위하여 위치되는 리텐션 클립 래치 수용 노치를 포함하는 직렬식 밀봉 전기 커넥터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형 커넥터 통로의 상기 암형 수용 커넥터 통로부는 단계적 감소형 벽을 가지는 확대된 암형 수용 커넥터 통로부 섹션과 감소된 암형 수용 커넥터 통로부 섹션을 구비하고, 상기 단계적 감소형 벽은 상기 확대된 암형 수용 커넥터 통로부 섹션과 상기 감소된 암형 수용 커넥터 통로부 섹션을 분리하며, 상기 확대된 암형 수용 커넥터 통로부 섹션은 상기 리텐션 클립과 상기 수형 하우징 밀봉부를 수용하기 위한 크기로 되어 있으며, 상기 수형 하우징 밀봉부는 상기 리텐션 클립과 상기 단계적 감소형 벽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단계적 감소형 벽에 대향 접촉하며, 상기 감소된 암형 수용 커넥터 통로부 섹션은 상기 암형 커넥터 조립체의 전방부를 수용하는 직렬식 밀봉 전기 커넥터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형 커넥터 통로의 밀봉 수용 커넥터 통로부는 밀봉 수용 커넥터 통로부 섹션과, 상기 밀봉 수용 커넥터 통로부 섹션과 소통되는 단자 록킹 아암 수용 커넥터 통로부 섹션을 포함하고, 상기 수형 하우징은 상기 단자 록킹 아암 수용 커넥터 통로부 섹션에서 상기 수형 하우징에 연결되는 수형 하우징의 단자 록킹 아암 을 포함하고, 상기 수형 하우징 단자 록킹 아암은 상기 수형 단자 록킹 상태와 상기 수형 단자 해제 상태사이에서 이동가능하고, 상기 수형 단자 록킹 아암은 상기 수형 단자 해제 상태로 이동할 때에 상기 수형 단자 록크 상태로 탄성 편향되며, 상기 밀봉 수용 커넥터 통로부 섹션은 상기 수형 와이어 밀봉부를 억지 끼워맞춤 관계로 수용하는 크기로 되는 직렬식 밀봉 전기 커넥터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수형 단자 록킹 아암은 수형 단자 록킹 아암의 노치된 자유 단부를 구비하는 직렬식 밀봉 전기 커넥터 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암형 커넥터 통로는 암형 커넥터의 단계적 감소형 벽을 가지는 확대된 암형 커넥터 통로 섹션과 감소된 암형 커넥터 통로 섹션을 구비하고, 상기 암형 커넥터 단계적 감소형 벽은 상기 확대된 암형 커넥터 통로 섹션과 상기 감소된 암형 커넥터 통로 섹션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확대된 암형 커넥터 통로 섹션은 상기 암형 와이어 밀봉부와 상기 암형 커버를 수용하는 크기로 되어 있으며, 상기 암형 와이어 밀봉부는 상기 암형 커넥터의 단계적 감소형 벽과 상기 암형 커버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암형 와이어 밀봉부는 상기 암형 커넥터의 단계적 감소형 벽에 접촉하는 직렬식 밀봉 전기 커넥터 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암형 하우징은 관통하여 형성되는 한 쌍의 대면하는 암형 하우징 슬롯을 가지며, 상기 암형 커버는 한 쌍의 래칭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래칭 돌출부는 상기 암형 커버가 확대된 암형 커넥터 통로 섹션에 의하여 수용될 때에, 상기 래칭 돌출부 각각이 상기 한 쌍의 대면하는 암형 하우징 슬롯의 각각에 의하여 수용됨으로써 상기 확대된 암형 커넥터 통로 섹션내에 상기 암형 커버를 제 위치로 유지시키는 방법으로 배치되는 직렬식 밀봉 전기 커넥터 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암형 하우징은 상기 감소된 암형 커넥터 통로 섹션에서 상기 암형 하우징에 연결되는 암형 하우징 단자 록킹 아암을 포함하고, 상기 암형 하우징 단자 록킹 아암은 상기 암형 단자 록킹 상태와 암형 단자 해제 상태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며, 상기 암형 단자 록킹 아암은 상기 암형 단자 해제 상태로 이동할 때에 상기 암형 단자 록크 상태로 탄성 편향되는 직렬식 밀봉 전기 커넥터 장치.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암형 하우징 단자 록킹 아암은 암형 하우징 단자 록킹 아암의 노치된 자유 단부를 구비하는 직렬식 밀봉 전기 커넥터 장치.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암형 와이어 밀봉부, 상기 암형 하우징 밀봉부 및 암형 와이어 밀봉부 각각은 밀봉 재료로 제조되며, 단면으로 볼 때에 다수의 외향으로 연장되는 리브를 가지는 직렬식 밀봉 전기 커넥터 장치.
  17. 리텐션 클립 장치로서,
    아치형 피스와, 서로 이격 배치되고 서로 일반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며 일반적으로 U자 형상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아치형 피스에 일체식으로 연결되는 한 쌍의 아암을 가지며, 상기 한 쌍의 아암은 중립 상태와 탄성 편향 상태사이에서 이동하도록 작동식으로 되어 있음로써, 상기 중립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아암은 서로 이격 배치되고 서로 일반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며, 탄성 편향 상태에서는, 상기 한 쌍의 아암중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한 쌍의 아암중의 나머지 하나를 향하거나 또는 그것으로부터 이격되는 피봇 방법으로 이동하고 또한 상기 중립 상태를 향하여 여전히 탄성 편향되고, 상기 한 쌍의 아암중의 각각은 아암 내부면, 아암 외부면, 상기 아암 외부면과 자유 단부로부터 돌출하는 돌출부를 가지며,
    상기 자유 단부중의 하나는 상기 하나의 자유 단부와 일체식으로 형성되고 상기 리텐션 클립 내부에 배치되는 블록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블록 부재는 제 1 직선부, 아치형부 및 아암 내부면에 의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일반적으로 D자형 리텐션 클립 덕트의 제 1 직선부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아치형 피스에 대면하는 제 1 벽을 구비하는 리텐션 클립 장치.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블록 부재는 상기 리텐션 클립내로 테이퍼진 개구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으로 상기 제 1 벽에 대하여 예각으로 연장되는 제 2 벽을 가지며, 상기 테이퍼진 개구는 상기 일반적으로 D자형 리텐션 클립 덕트와 소통하기 위하여 좁혀지는 리텐션 클립 장치.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자유 단부중의 나머지 하나는 상기 자유 단부의 나머지 하나와 일체식으로 형성되고 상기 리텐션 클립내에 배치되는 평탄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평탄부는 상기 블록 부재에 대면하는 평탄한 평면벽과, 상기 평탄한 평면벽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평탄한 평면 측벽을 가지며, 상기 평탄한 평면 측벽은 일반적으로 D자형 리텐션 클립 덕트의 제 2 직선부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아치형 피스에 대면하는 리텐션 클립 장치.
  20. 암형 커넥터 조립체로서,
    암형 하우징과;
    암형 와이어 밀봉부 및;
    암형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암형 하우징은, 종방향 축을 따라서 연장되고 일반적으로 직사각형인 암형 커넥터 통로를 형성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D자형 단면으로 일반적으로 형성 되며, 상기 암형 와이어 밀봉부와 상기 암형 커버는 억지 끼워맞춤 관계로 상기 암형 커넥터 통로에 의하여 수용되게 채택되도록 크기가 되는 암형 커넥터 조립체.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암형 커넥터 통로는 암형 커넥터 단계적 감소형 벽을 가지는 확대된 암형 커넥터 통로 섹션과 감소된 암형 커넥터 통로 섹션을 포함하고, 상기 암형 커넥터 단계적 감소형 벽은 상기 확대된 암형 커넥터 통로 섹션과 상기 감소된 암형 커넥터 통로 섹션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확대된 암형 커넥터 통로 섹션은 상기 암형 와이어 밀봉부와 상기 암형 커버를 수용하기 위한 크기로 되어 있으며, 상기 암형 와이어 밀봉부는 암형 커넥터 단계적 감소형 벽과 상기 암형 커버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암형 와이어는 상기 암형 커넥터 단계적 감소형 벽에 접촉하는 암형 커넥터 조립체.
  22.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암형 하우징은 관통하여 형성된 한 쌍의 대면 암형 하우징 슬롯을 가지며, 상기 암형 커버는 한 쌍의 래칭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래칭 돌출부는 상기 암형 커버가 확대된 암형 커넥터 통로 섹션에 의하여 수용될 때에, 상기 래칭 돌출부 각각이 상기 한 쌍의 대면 암형 하우징 슬롯 각각에 의해서 수용되어서 상기 확대된 암형 커넥터 통로 섹션내에 상기 암형 커버를 제 위치로 유지시키는 방법으로 배치되는 암형 커넥터 조립체.
  23. 수형 커넥터 조립체로서,
    수형 하우징;
    리텐션 클립;
    일반적으로 D자형 수형 하우징 밀봉 개구를 형성하는 수형 하우징 밀봉부;
    수형 와이어 밀봉부 및;
    수형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수형 하우징은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형 커넥터 통로를 형성하기 위하여 종방향 축을 따라서 연장되고, 상기 수형 하우징은 수형 커네터 통로의 암형 수용 커넥터 통로부를 형성하는 암형 수용 하우징부와, 상기 수형 커넥터 통로의 밀봉 수용 커넥터 통로부를 형성하는 밀봉 하우징부를 구비하며, 상기 밀봉 하우징부는 암형 수용 하우징부에 일체식으로 연결되고, 상기 암형 수용 커넥터 통로부는 상기 리텐션 클립 및 상기 수형 하우징 밀봉부를 억지 끼워맞춤 관계로 수용하도고 채택되는 크기로 되며, 상기 밀봉 수용 커넥터 통로부는 상기 수형 와이어 밀봉부를 억지 끼워맞춤 관계로 수용하도록 채택되는 크기로 되고, 상기 수형 커버는 상기 수형 와이어 밀봉부에 인접한 상기 밀봉 수형 하우징부를 덮기 위하여 작동식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리텐션 클립은 이 리텐션 클립을 통하여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일반적으로 D자형 리텐션 클립 덕트를 형성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U자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수형 커넥터 조립체.
  24.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수형 하우징의 암형 수용 하우징부는 관통하여 형성되는 한 쌍의 대면하는 슬롯을 구비하는 수형 커넥터 조립체.
  25.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수형 하우징은 웨지형 요소를 가지며 중립 위치와 리텐션 클립 확개 위치사이에서 이동가능한 레버 아암을 포함하는 수형 커넥터 조립체.
  26.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수형 하우징의 암형 수용 커넥터 통로부는 단계적 감소형 벽을 가지는 확대된 암형 수용 커넥터 통로부 섹션과 감소된 암형 수용 커넥터 통로부 섹션을 가지며, 상기 단계적 감소형 벽은 상기 확대된 암형 수용 커넥터 통로부 섹션과 상기 감소된 암형 수용 커넥터 통로부 섹션을 분리하고, 상기 확대된 암형 수용 커넥터 통로부 섹션은 수형 하우징 클립과 상기 수형 하우징 밀봉부를 수용하기 위한 크기로 되어 있고, 상기 수형 하우징 밀봉부는 상기 리텐션 클립과 상기 단계적 감소형 벽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단계적 감소형 벽에 접촉하는 수형 커넥터 조립체.
  27.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밀봉 수용 커넥터 통로부는 수형 커넥터 단계적 증가형 벽을 가지는 확대된 밀봉 수용 커넥터 통로부 섹션과 감소된 밀봉 수용 커넥터 통로부 섹션을 가 지며, 상기 수형 커넥터 단계적 증가형 벽은 상기 확대된 밀봉 수용 커넥터 통로부 섹션과 상기 감소된 밀봉 수용 커넥터 통로부 섹션을 분리하고, 상기 확대된 밀봉 수용 커넥터 통로부 섹션은 상기 수형 와이어 밀봉부를 수용하기 위한 크기로 되며, 상기 수형 와이어 밀봉부는 상기 수형 커넥터 단계적 증가형 벽에 접촉하여서 상기 커넥터 단계적 증가형 벽과 상기 수형 커버사이에 배치되는 수형 커넥터 조립체.
  28. 암형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 1 와이어를 가지는 제 1 와이어 조립체 및, 수형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 2 와이어를 가지는 제 2 와이어 조립체를 밀봉 방식으로 연결을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채택되는 직렬식 밀봉 전기 커넥터 장치로서,
    암형 하우징, 관통하여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암형 와이어 밀봉 구멍을 가지는 암형 와이어 밀봉부와, 관통하여 연장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암형 와이어 밀봉 구멍과 암형 단자 록킹 아암과 축방향으로 정렬되는 암형 커버를 포함하는 암형 커넥터 조립체와,
    수형 하우징, 리텐션 클립, 수형 하우징 밀봉 개구를 형성하는 수형 하우징 밀봉부, 관통하여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형 와이어 밀봉 구멍을 가지는 수형 와이어 밀봉부 및, 관통하여 연장되고 적어도 하나의 수형 커버 구멍과 축방향으로 정렬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형 커버 구멍을 가지는 수형 커버를 포함하는 수형 커넥터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암형 하우징은 종방향 축을 따라서 연장되고, 종방향으로 연장되고 일반적으로 직사각형인 암형 커넥터 통로를 형성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D자형 단면으로 일반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암형 와이어 밀봉부와 상기 암형 커버는 억지 끼워맞춤 관계로 상기 암형 커넥터 통로에 의하여 수용되도록 채택되는 크기로 되며, 상기 암형 하우징 단자 록킹 아암은 상기 암형 단자 록킹 상태와 암형 단자 해제 상태사이에서 이동가능하고, 상기 암형 단자 록킹 아암은 상기 암형 단자 해제 상태로 이동할 때에 상기 암형 단자 록크 상태로 탄성 편향하며,
    상기 수형 하우징은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형 커넥터 통로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종방향 축을 따라서 연장되고, 상기 수형 하우징은 상기 수형 커넥터 통로의 암형 수용 커넥터 통로부를 형성하는 암형 수용 하우징부와, 상기 수형 커넥터 통로의 밀봉 수용 커넥터 통로부를 형성하고 상기 암형 수용 하우징부에 일체식으로 연결되는 밀봉 하우징부를 구비하고, 상기 암형 수용 커넥터 통로부는 상기 리텐션 클립과 상기 수형 하우징 밀봉부를 억지 끼워맞춤 관계로 수용하도록 채택되는 크기로 되며, 상기 수형 커버는 상기 수형 와이어 밀봉부에 인접한 상기 밀봉 수형 하우징부를 덮기 위하여 작동식으로 되며, 상기 리텐션 클립은 이 리텐션 클립을 통하여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일반적으로 D자형 리텐션 클립 덕트를 형성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U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리텐션 클립 덕트는 상기 암형 하우징을 미끄럼가능하게 수용하기 위한 크기로 되고,
    상기 제 1 와이어 조립체는 제 1 와이어 조립체 삽입 방향으로 상기 암형 커넥터 조립체내로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 1 와이어는 상기 암형 커버의 적어도 하나 의 암형 커버 구멍과, 상기 암형 와이어 밀봉부의 적어도 하나의 암형 와이어 밀봉부를 통하여 연장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암형 와이어 밀봉부는 밀봉 방식으로 상기 제 1 와이어를 그립핑하고, 상기 암형 단자가 상기 암형 하우징내로 삽입될 때에, 먼저 상기 암형 단자는 상기 암형 단자 록킹 상태로부터 상기 암형 단자 해제 상태로 상기 암형 하우징 단자 록킹 아암을 이동시키고, 그 다음 상기 제 1 와이어 조립체 삽입 방향과 반대인 제 1 와이어 조립체 제거 방향으로 상기 암형 단자의 제거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암형 하우징 단자 록킹 아암을 상기 암형 단자 록킹 상태로 다시 이동시키는 것을 허용하며,
    상기 제 2 와이어 조립체는 제 2 와이어 조립체 삽입 방향으로 상기 수형 커넥터 조립체내로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 2 와이어는 상기 수형 커버의 적어도 하나의 수형 커버 구멍과, 상기 수형 와이어 밀봉부의 적어도 하나의 수형 와이어 밀봉부를 통하여 연장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형 와이어 밀봉부는 밀봉 방식으로 상기 제 2 와이어를 그립핑하고, 상기 수형 단자가 상기 수형 하우징내로 삽입될 때에, 먼저 상기 수형 단자는 상기 수형 단자 록킹 상태로부터 상기 수형 단자 해제 상태로 상기 수형 하우징 단자 록킹 아암을 이동시키고, 그 다음 상기 제 2 와이어 조립체 삽입 방향과 반대인 제 2 와이어 조립체 제거 방향으로 상기 수형 단자의 제거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수형 하우징 단자 록킹 아암을 상기 수형 단자 록킹 상태인 다시 이동시키는 것을 허용하며,
    상기 암형 커넥터 조립체와 상기 수형 커넥터 조립체를 결합할 때에, 먼저 상기 암형 하우징은 일반적으로 D자형 리텐션 클립 덕트를 통하여 수용되고, 그 다 음 상기 수형 하우징 밀봉 개구를 통하여 삽입됨으로써, 상기 단자의 전방 수형 단자부가 상기 암형 단자의 전방 암형 단자부에 의하여 미끄럼가능하게 수용되면서, 상기 리텐션 클립은 상기 암형 하우징을 실질적으로 둘러싸서 그립하고, 상기 수형 하우징 밀봉부는 암형 하우징을 둘러싸서 그립하는 직렬식 밀봉 전기 커넥터 장치.
KR1020097004873A 2006-09-11 2007-08-27 직렬식 밀봉 전기 커넥터 장치 KR2009009029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518,186 US7465192B2 (en) 2006-09-11 2006-09-11 In-line sealed electrical connector apparatus
US11/518,186 2006-09-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0297A true KR20090090297A (ko) 2009-08-25

Family

ID=39170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4873A KR20090090297A (ko) 2006-09-11 2007-08-27 직렬식 밀봉 전기 커넥터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465192B2 (ko)
EP (1) EP2062332A4 (ko)
JP (1) JP2010503178A (ko)
KR (1) KR20090090297A (ko)
CN (1) CN101536270B (ko)
WO (1) WO2008033212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76999B2 (ja) * 2010-01-08 2014-04-23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5155492B2 (ja) * 2010-03-03 2013-03-06 株式会社エクセル電子 電子機器の接続器具及び接続装置
DE102012203222A1 (de) * 2012-03-01 2013-09-05 Robert Bosch Gmbh Gehäuseteil für eine Antriebseinheit, sowie Verfahren und Werkzeug zur Herstellung eines solchen
US8888521B2 (en) 2012-06-13 2014-11-18 J.S.T. Corporation In-line sealed electrical connector apparatus having a connector apparatus position assurance device, and locking method thereof
TWI511389B (zh) * 2013-11-14 2015-12-01 Wistron Corp 電連接器及電子裝置
DE102014118685A1 (de) * 2014-12-15 2016-06-16 Erni Production Gmbh & Co. Kg Hermetisch dichtender Steckverbinder
CN106129736A (zh) * 2016-08-12 2016-11-16 秉岳电气(上海)有限公司 一种可分离式连接器
JP6574804B2 (ja) * 2017-03-27 2019-09-11 矢崎総業株式会社 防水部品
CN208461068U (zh) * 2017-04-11 2019-02-01 邵海艳 一种连接装置及led显示屏
US10355389B2 (en) 2017-08-01 2019-07-16 Delphi Technologies, Llc High-current electrical terminal
US10116078B1 (en) 2017-08-01 2018-10-30 Delphi Technologies, Inc. High current compression blade connection system
US10573988B2 (en) 2017-08-01 2020-02-25 Delphi Technologies, Llc Cable assembly with strain relief
JP6923500B2 (ja) * 2018-11-09 2021-08-18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CN116231378A (zh) * 2018-11-15 2023-06-06 莫列斯有限公司 连接器组件
US10644437B1 (en) * 2019-01-22 2020-05-05 Te Connectivity Corporation Cable seal systems and connectors
CN211743556U (zh) * 2020-03-06 2020-10-23 东莞富强电子有限公司 插头电连接器
JP2022545756A (ja) * 2020-04-23 2022-10-31 ジェイエスティー コーポレーション 雄または雌の端子位置保証(tpa)装置を使用する、高電圧コネクタ組立体における空間および沿面を改善する方法
JP7271498B2 (ja) * 2020-12-16 2023-05-11 矢崎総業株式会社 機器用コネクタ
CN115810949A (zh) * 2022-11-11 2023-03-17 东莞市思索技术股份有限公司 电连接器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79683A (ja) * 1983-10-07 1985-05-07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コネクタのロツク機構
FR2681735B1 (fr) 1991-09-19 1995-07-28 Souriau & Cie Connecteur electrique a bague de verrouillage.
JP3109794B2 (ja) * 1994-09-27 2000-11-20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防水コネクタ
US5580268A (en) * 1995-03-31 1996-12-03 Molex Incorporated Lockable electrical connector
JP3230956B2 (ja) * 1995-09-05 2001-11-19 矢崎総業株式会社 防水圧接コネクタ
JP3547988B2 (ja) * 1998-03-31 2004-07-28 矢崎総業株式会社 防水コネクタ及び防水処理方法
WO1999065120A1 (fr) * 1998-06-08 1999-12-16 Harness System Technologies Research, Ltd. Connecteur etanche
TW392945U (en) 1998-12-31 2000-06-01 Hon Hai Prec Ind Co Ltd Holder
JP2000208200A (ja) * 1999-01-13 2000-07-28 Yazaki Corp 防水コネクタ
JP3648432B2 (ja) 2000-05-25 2005-05-18 矢崎総業株式会社 慣性ロック式コネクタ
EP1344283B1 (en) * 2000-12-21 2008-02-13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Sealable connector
JP3946452B2 (ja) * 2001-02-22 2007-07-18 矢崎総業株式会社 防水コネクタ
JP2002252057A (ja) * 2001-02-23 2002-09-06 Yazaki Corp 防水コネクタ
JP2002270282A (ja) * 2001-03-12 2002-09-20 Yazaki Corp 防水コネクタ及び防水コネクタの端子挿通方法
JP3804483B2 (ja) * 2001-05-18 2006-08-02 住友電装株式会社 防水コネクタ
JP3767460B2 (ja) * 2001-11-05 2006-04-19 住友電装株式会社 防水コネクタ
CN2553528Y (zh) * 2002-07-17 2003-05-28 中国科学院沈阳自动化研究所 一种水密电接插件
JP4214898B2 (ja) * 2003-11-27 2009-01-28 住友電装株式会社 防水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033212A2 (en) 2008-03-20
EP2062332A2 (en) 2009-05-27
JP2010503178A (ja) 2010-01-28
CN101536270B (zh) 2011-11-09
CN101536270A (zh) 2009-09-16
US7465192B2 (en) 2008-12-16
EP2062332A4 (en) 2014-02-12
WO2008033212A3 (en) 2008-08-21
US20080064260A1 (en) 2008-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90297A (ko) 직렬식 밀봉 전기 커넥터 장치
EP1009063A2 (en) A connector
US6971905B2 (en) Fixing member and a connector
KR970004146B1 (ko) 단자 위치 보증 시스템을 갖는 전기 커넥터
KR101527057B1 (ko) 전기 콘택 요소와 케이블에 대한 고정을 갖는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
EP0726617A2 (en) Connector with secondary locking and coupling mechanism
US5967859A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terminal retainer system
KR101780895B1 (ko) 전기 커넥터
JP2019046636A (ja) コネクタ
CN111697373A (zh) 连接器
US6089927A (en) Connector provided with a retainer
KR102622672B1 (ko) 커넥터 위치 보증 부재
WO2019045039A1 (ja) 部材の係止構造
US5890935A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terminal position assurance device
US6033262A (en) Contact spring
CN109690877B (zh) 具有触头壳体、外部壳体和固定元件的用于电插头型连接器的组件和插头型连接器
JP2001043925A (ja) 端子係止具付き雄コネクタ、雌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
JP3555591B2 (ja) コネクタ
US6402540B1 (en) Scoop-proof plug connector system
US11342710B2 (en) Connector
CN111697372B (zh) 连接器
EP0952633B1 (en) Connector assembly
CN111146613B (zh) 端子,将电线连接到端子的方法,以及夹具
JP3591238B2 (ja) リテーナ付きコネクタ
JPH062577U (ja) 低挿入力型電気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