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9222Y1 - 커넥터하우징 - Google Patents

커넥터하우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9222Y1
KR200449222Y1 KR2020070021126U KR20070021126U KR200449222Y1 KR 200449222 Y1 KR200449222 Y1 KR 200449222Y1 KR 2020070021126 U KR2020070021126 U KR 2020070021126U KR 20070021126 U KR20070021126 U KR 20070021126U KR 200449222 Y1 KR200449222 Y1 KR 2004492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p
coupling plate
guide
rib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211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6798U (ko
Inventor
윤성원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700211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9222Y1/ko
Publication of KR2009000679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679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92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922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 H01R13/74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 H01R13/741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using snap fasten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01R11/22End pieces terminating in a spring clip
    • H01R11/24End pieces terminating in a spring clip with gripping jaws, e.g. crocodile cli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커넥터하우징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커넥터하우징(30)을 자동차 내부의 패널 등에 고정하기 위해서 클립(10)이 사용된다. 상기 커넥터하우징(30)의 외관 및 골격은 하우징몸체부(31)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몸체부(31)의 외면에는 한 쌍의 장착리브(33)가 소정 거리 이격되어 나란히 형성된다. 상기 장착리브(33)의 사이에는 결합판(34)이 상기 하우징몸체부(31)의 외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몸체부(31)의 일면에는 터미널삽입부(36)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터미널삽입부(36)의 외면에는 한 쌍의 가이드리브(38)가 소정 거리 이격되어 나란히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리브(38)는 상기 클립(10)을 상기 장착리브(33) 사이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가이드리브(38) 사이에는 상기 클립(10)에 형성된 체결턱을 상기 결합판(34)에 형성된 고정턱(35)으로 안내하기 위한 센터리브(39)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하면, 가이드리브(38) 및 센터리브(39)의 안내에 의하여 클립(10)이 이동됨에 따라 상기 결합판(34)의 저면과 하우징몸체부(31)의 외면 사이로 클립(10)이 삽입되는 것이 방지되어 상기 결합판(34)의 상면에 정확히 안착되는 이점이 있다.
커넥터, 하우징, 클립, 결합

Description

커넥터하우징{Connector housing}
본 고안은 커넥터하우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 내부의 패널 등에 하우징몸체를 고정하기 위한 클립이 구비되는 커넥터하우징에 관한 것이다.
하우징의 내부에 전기적 연결을 위한 복수개의 단자(terminal)를 내장하여 구성되는 커넥터하우징을 자동차 내부의 패널 등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클립을 사용한다. 이와 같은 클립을 커넥터하우징에 결합하기 위한 구성을 살펴본다.
커넥터하우징은 하우징몸체의 내부를 전후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삽입공간에 터미널이 삽입되어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의 외면 일측에는 한 쌍의 장착리브가 소정 걸이 이격되어 나란히 형성된다.
상기 장착리브는 서로 마주보게 횡단면이 'ㄱ'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장착리브의 사이에 해당하는 하우징몸체의 표면에는 걸이턱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장착리브의 사이에는 결합판이 상기 하우징몸체의 외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결합판은 탄성변형이 가능한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결합판의 상면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클립의 리브걸이단의 바닥면이 밀착된다.
상기 결합판에는 일부가 절개되어 변형슬릿이 형성된다. 상기 변형슬릿은 클립의 착탈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된다. 상기 변형슬릿은 클립의 삽입시 클립이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결합판이 탄성변형되게 하는 부분이다.
한편, 클립은 상기 하우징몸체에 결합되는 하우징결합부와 패널에 결합되기 위한 패널결합부로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결합부는 상기 장착리브의 사이에 삽입되는 부분이다. 상기 하우징결합부의 양단에는 리브걸이단이 길게 단차지게 형성된다. 상기 단차진 리브걸이단이 실질적으로 상기 장착리브의 내부에 삽입된다.
상기 하우징결합부의 하면에는 간섭회피채널이 형성된다. 상기 간섭회피채널의 일측에는 체결턱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턱은 상기 결합판에 형성된 걸이턱에 걸어져 클립이 하우징몸체에서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패널결합부는 자동차내부의 소정의 패널 또는 기타 다른 기구물에 장착되기 위한 부분이다. 상기 패널결합부에는 패널의 슬릿 또는 장착공의 내부로 삽입되는 연결목부가 구비된다. 상기 연결목부의 양측 선단에는 패널의 장착공 가장자리에 걸어지는 걸이편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커넥터와 클립은 상기 하우징결합부의 리브걸이단이 상기 하우징몸체의 장착리브에 삽입되어 걸어지고, 상기 걸이턱에 상기 체결턱이 걸어져 서로 결합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결합판은 상기 하우징몸체의 외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 므로, 상기 커넥터하우징과 클립이 결합되도록 상기 클립의 리브걸이단이 상기 장착리브에 삽입되어 걸어질 때, 상기 클립의 리브걸이단이 상기 결합판의 저면과 상기 하우징몸체의 외면 사이로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상기 클립을 상기 하우징몸체로부터 분리하여 재조립을 해야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클립의 삽입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리브 및 센터리브가 구비되는 커넥터하우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외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어 결합판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판에는 상기 결합판의 일부가 탄성변형 가능하도록 변형슬릿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판에 고정턱이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결합판의 양단에 장착리브가 형성되는 하우징몸체부와; 상기 하우징몸체부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고, 외면에 한 쌍의 가이드리브가 상기 결합판을 향해 나란히 연장되어 형성되는 터미널결합부; 그리고 상기 고정턱에 대응되는 체결턱이 저면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리브에 의해 상기 결합판으로 안내되어 상기 결합판의 장착리브에 양단이 끼워져 고정되는 클립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리브 사이에는 상기 클립의 체결턱을 상기 고정턱으로 안내하기 위한 센터리브가 상기 가이드리브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리브와 센터리브의 선단에는 상기 클립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안내경사면이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변형슬릿은 상기 클립의 착탈방향과 나란히 형성된다.
삭제
삭제
삭제
본 고안에서 커넥터하우징의 하우징몸체부에는 변형슬릿이 형성된 결합판이 구비되고, 상기 결합판으로 클립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리브 및 센터리브가 형성된다. 따라서, 클립과 커넥터하우징의 결합시에 상기 가이드리브 및 센터리브의 안내에 의하여 클립이 이동됨에 따라 상기 결합판의 저면과 하우징몸체부의 외면 사이로 클립이 삽입되는 것이 방지되어 상기 결합판의 상면에 정확히 안착되므로,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커넥터하우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고안에 의한 커넥터하우징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 및 이에 결합되는 클립의 구성이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커넥터하우징에 클립이 안착된 상태가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커넥터하우징에 클립을 고정시킨 상태가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클립(10)은 아래에서 설명될 커넥터하우징(30)에 장착된 상태로 자동차의 패널(미도시) 등에 장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클립(10)은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클립(10)은 패널에 결합되기 위한 패널결합부(11)와 아래에서 설명될 하우징몸체부(31)에 결합되는 하우징결합부(20)로 구성된다.
상기 패널결합부(11)는 상기 클립(10)을 패널에 장착하기 위한 부분이다. 상기 패널결합부(11)에는 연결목부(14)가 구비된다. 상기 연결목부(14)는 아래에서 설명될 하우징결합부(20)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연결목부(14)는 횡단면이 대략 사각형상으로 패널의 클립공(미도시)을 관통하는 부분이다.
상기 연결목부(14)의 선단 양측에는 탄성날개(15)가 구비된다. 상기 탄성날개(15)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데, 상기 연결목부(14)의 선단에서 아래에서 설명될 하우징결합부(20)를 향해 비스듬히 연장된다. 즉, 상기 탄성날개(15)는 상기 연결목부(14)에 그 기저부가 각각 연결되고, 상기 연결목부(14)가 돌출된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자유단부가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탄성날개(15)는 그 재질과 형상의 특성상 탄성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연결목부(14)의 하단부에는 탄성지지부(17)가 형성된다. 상기 탄성지지부(17)는 대략 그 형상이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곡면으로, 약간의 탄성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탄성지지부(17)는 상기 패널에 장착되었을 때 패널의 표면에 양측 선단이 밀착되면서 약간 탄성변형된다.
상기 패널결합부(11)의 하방에는 하우징결합부(20)가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결합부(20)는 본 실시예에서 대략 육면체 박스 형상이다. 상기 하우징결합부(20)에는 하우징몸체부(31)가 결합된다. 상기 하우징결합부(20)의 형상은 결합되는 커넥터하우징의 대응되는 부분의 형상에 따라 그 구성이 달라질 수 있다.
상기 하우징결합부(20)의 양단에는 리브걸이단(21)이 길게 단차지게 형성된다. 상기 단차진 리브걸이단(21)은 아래에서 설명될 커넥터하우징(30)의 장착리 브(33)의 내부로 삽입된다.
상기 하우징결합부(20)의 하면에는 간섭회피채널(23)이 형성된다. 즉, 상기 간섭회피채널(23)은 아래에서 설명될 커넥터하우징(30)의 결합판(34)의 표면에 밀착되는 면에 형성된다. 상기 간섭회피채널(23)의 일측에는 체결턱(미도시)이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체결턱은 아래에서 설명될 하우징몸체부(31)의 결합판(34)의 표면에 형성된 고정턱(35)에 걸어져 상기 클립(10)이 하우징몸체부(31)에서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체결턱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고정턱(35)의 가이드면(35')과 대응되는 경사면(미도시)이 형성된다. 상기 경사면은 아래에서 설명될 안내경사면(39') 및 가이드면(35')에 안내된다.
커넥터하우징(30)의 외관 및 골격을 하우징몸체부(31)가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몸체부(31)는 일반적으로 절연성의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하우징몸체부(31)의 외면에는 한 쌍의 장착리브(33)가 소정 거리 이격되어 나란히 형성된다. 상기 장착리브(33)는 상기 클립(10)의 삽입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장착리브(33)는 횡단면이 'ㄱ'자 형상으로, 선단이 서로 마주보게 형성된다. 상기 장착리브(33)의 사이에는 상기 리브걸이단(21)이 삽입되어 걸어진다.
그리고, 상기 장착리브(33)의 사이에는 결합판(34)이 상기 하우징몸체부(31)의 외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결합판(34)은 탄성변형이 가능한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결합판(34)의 상면에는 상기 리브걸이단(21)의 바닥면이 밀착된다.
상기 결합판(34)에는 변형슬릿(34')이 형성된다. 상기 변형슬릿(34')은 장착리브(33)의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상기 변형슬릿(34')은 상기 클립(10)이 삽입되는 방향을 향해 개구되게 형성된다. 상기 변형슬릿(34')은 상기 클립(10)의 삽입시 상기 클립(10)이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결합판(34)이 탄성변형되게 하는 부분이다.
상기 변형슬릿(34')은 상기 장착리브(33)의 연장방향 또는 클립(10)의 착탈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된다. 이때, 상기 변형슬릿(34')은 상기 두 장착리브(33)의 양측단부에서 벗어난 위치에 형성된다. 다시 말해, 도면을 기준으로 상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변형슬릿(34')은 상기 장착리브(33)에 의해 가려지지 않은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결합판(34)의 표면에는 고정턱(35)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턱(35)은 상기 두 변형슬릿(34')의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고정턱(35)은 상기 체결턱이 걸어지는 부분이다. 상기 고정턱(35)은 상기 클립(10)의 저면에 형성된 체결턱과 대응되게 형성된다. 상기 고정턱(35)은 상기 클립(10)이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고정턱(35)에는 가이드면(35')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면(35')의 횡단면은 상기 체결턱의 경사면의 횡단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면(35')은 상기 리브걸이단(21)이 상기 장착리브(33)에 삽입되어 걸어질 때, 상기 체결턱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하우징몸체부(31)의 일면에는 터미널삽입부(36)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터미널삽입부(36)는 상기 장착리브(33)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터미널삽입부(36)는 상기 하우징몸체부(31)로부터 단차지게 형성된다. 상기 터미널삽입부(36)의 내부를 전후로 관통하여 삽입공간(36')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공간(36')은 터미널(미도시)가 삽입되는 부분이다.
상기 터미널삽입부(36)의 외면에는 한 쌍의 가이드리브(38)가 소정 거리 이격되어 나란히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리브(38)는 상기 터미널삽입부(36)가 돌출된 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리브(38)는 상기 클립(10)의 삽입방향으로 길게 연장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가이드리브(38)는 상기 터미널삽입부(36)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결합판(34)의 선단을 향해 길게 연장된다. 상기 가이드리브(38)의 표면에는 상기 클립(10)의 리브걸이단(21)의 하면이 밀착된다.
상기 가이드리브(38)는 상기 리브걸이단(21)이 상기 하우징몸체부(31)의 장착리브(33)에 걸어질 때, 상기 클립(10)을 상기 장착리브(33) 사이로 안내하는 역할을 하는 것과 동시에, 상기 결합판(34)의 저면과 하우징몸체부(31)의 외면 사이로 상기 리브걸이단(21)이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가이드리브(38)의 선단에는 안내경사면(38')이 형성된다. 상기 안내경사면(38')은 상기 클립(10)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안내경사면(38')은 상기 리브걸이단(21)을 상기 가이드리브(38)의 표면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가이드리브(38)의 사이에는 센터리브(39)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센터리브(39)는 상기 클립(10)의 체결턱의 삽입을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센터리브(39)는 상기 가이드리브(38)와 마찬가지로 상기 클립(10)의 삽입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다. 상기 센터리브(39)는 상기 클립(10)의 체결턱에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가이드리브(38)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된다. 상기 센터리브(39)는 상기 하우징결합부(20)가 장착리브(33)에 삽입되어 걸어질 때, 상기 리브걸이단(21)이 상기 결합판(34)의 저면과 상기 하우징몸체부(31)의 외면 사이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센터리브(39)의 선단에는 안내경사면(39')이 형성된다. 상기 안내경사면(39')은 상기 클립(10)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안내경사면(39')의 횡단면은 상기 체결턱의 경사면 횡단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내경사면(39')은 상기 체결턱을 상기 센터리브(39)의 표면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커넥터하우징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에서 상기 클립(10)을 상기 커넥터하우징(30)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먼저, 작업자는 상기 클립(10)을 상기 가이드리브(38)의 선단을 향해 위치시킨다. 이 상태에서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클립(10)의 리브걸이단(21)은 상기 가이드리브(38)의 안내경사면(38')을 타고 넘어 상기 가이드리브(38)의 표면에 밀착되고, 상기 클립(10)의 체결턱은 상기 센터리브(39)의 안내경사면(39')을 타고 넘어 상기 센터리브(39)의 표면에 위치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2에 잘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계속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클립(10)의 리브걸이단(21)은 상기 장착리브(33)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리브걸이단(21)이 상기 장착리브(33)에 각각 삽입되도록 클립(10)을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클립(10)은 상기 가이드리브(38) 및 센터리브(39)에 의해 상기 하우징결합부(20)가 상기 결합판(34)의 하방으로 삽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장착리브(33)에 상기 리브걸이단(21)이 삽입된 상태로 상기 체결턱이 상기 고정턱(35)에 걸어질 때까지 클립(10)을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결합판(34) 및 리브걸이단(21)은 상기 체결턱이 상기 고정턱(35)에 걸어질 때까지 양측단부가 상기 가이드리브(38)에 의해 지지되므로, 상기 체결턱은 상기 고정턱(35)에 원활하게 걸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상기 체결턱의 경사면은 상기 고정턱(35)의 가이드면(35')을 따라 안내되고, 상기 결합판(34)은 탄성변형된다. 계속되는 클립(10)의이동에 의하여 상기 결합판(34)의 변형슬릿(34')은 그 일측이 소정의 길이만큼 도면을 기준으로 하방으로 처지게 된다. 이때, 상기 결합판(34)은 상기 클립(10)이 완전히 삽입된 후, 그 일부가 탄성력에 의하여 복원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한편, 상기 클립(10)을 상기 커넥터하우징(30)의 하우징몸체부(31)에서 분리하기 위해서는 상기 하우징결합부(20)의 바닥면을 상기 하우징몸체부(31)의 표면에서 분리되도록 들어올린다. 이는 별도의 공구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상기 체결턱이 상기 고정턱(35)에서 분리되면, 상기 하우징결합부(20)가 상기 장착리브(33)에서 빠질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결합부(20)가 상기 장착리브(33)에서 빠지는 방향으로 클립(10)을 이동시키면 된다.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커넥터하우징(30)에 센터리브(39)가 구비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센터리브(39) 없이도 가이드리브(38) 만으로도 클립(10)을 결합판(34)으로 안내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커넥터하우징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 및 이에 결합되는 클립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커넥터하우징에 클립이 안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커넥터하우징에 클립을 고정시킨 상태를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클립 11: 패널결합부
14: 연결목부 15: 탄성날개
17: 탄성지지부 20: 하우징결합부
21: 리브걸이단 23: 간섭회피채널
30: 커넥터하우징 31: 하우징몸체부
33: 장착리브 34: 결합판
34': 변형슬릿 35: 고정턱
35': 가이드면 36: 터미널삽입부
36': 삽입공간 38: 가이드리브
38': 안내경사면 39: 센터리브
39': 안내경사면

Claims (4)

  1. 외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어 결합판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판에는 상기 결합판의 일부가 탄성변형 가능하도록 변형슬릿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판에 고정턱이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결합판의 양단에 장착리브가 형성되는 하우징몸체부와;
    상기 하우징몸체부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고, 외면에 한 쌍의 가이드리브가 상기 결합판을 향해 나란히 연장되어 형성되는 터미널결합부; 그리고
    상기 고정턱에 대응되는 체결턱이 저면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리브에 의해 상기 결합판으로 안내되어 상기 결합판의 장착리브에 양단이 끼워져 고정되는 클립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리브 사이에는 상기 클립의 체결턱을 상기 고정턱으로 안내하기 위한 센터리브가 상기 가이드리브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리브와 센터리브의 선단에는 상기 클립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안내경사면이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변형슬릿은 상기 클립의 착탈방향과 나란히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하우징.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2020070021126U 2007-12-31 2007-12-31 커넥터하우징 KR2004492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21126U KR200449222Y1 (ko) 2007-12-31 2007-12-31 커넥터하우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21126U KR200449222Y1 (ko) 2007-12-31 2007-12-31 커넥터하우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6798U KR20090006798U (ko) 2009-07-03
KR200449222Y1 true KR200449222Y1 (ko) 2010-06-24

Family

ID=41331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21126U KR200449222Y1 (ko) 2007-12-31 2007-12-31 커넥터하우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922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6682B1 (ko) * 2014-06-03 2022-03-22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연결 클립,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KR101945374B1 (ko) * 2017-11-09 2019-05-20 주식회사 서연이화 커넥터 클립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82423A (ja) * 1995-09-08 1997-03-28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へのクリップ取付構造
JPH103959A (ja) 1996-06-14 1998-01-06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JPH1130208A (ja) 1997-07-14 1999-02-02 Nifco Inc 取付構造
KR200320758Y1 (ko) * 2003-04-30 2003-07-23 한국유니온머시너리 주식회사 자동차의 커넥터 고정클립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82423A (ja) * 1995-09-08 1997-03-28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へのクリップ取付構造
JPH103959A (ja) 1996-06-14 1998-01-06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JPH1130208A (ja) 1997-07-14 1999-02-02 Nifco Inc 取付構造
KR200320758Y1 (ko) * 2003-04-30 2003-07-23 한국유니온머시너리 주식회사 자동차의 커넥터 고정클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6798U (ko) 2009-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9875Y1 (ko) 박스
KR100988786B1 (ko) 커넥터 어셈블리
KR20080004986U (ko) 커넥터클립
KR20080000640A (ko) 접속 터미널용 클램핑 장치
KR930018780A (ko) 전기 코넥터의 제1 및 제2절반부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장치
KR200449222Y1 (ko) 커넥터하우징
KR200442526Y1 (ko) 커넥터하우징
KR200430291Y1 (ko) 전기컨넥터용 클립
KR20110032881A (ko) 커넥터 어셈블리
KR100804263B1 (ko) 방수용커넥터
JP3851133B2 (ja) クランプ
KR20120039990A (ko) 차량용 박스의 부품블록 결합장치
KR20100002454U (ko) 클립을 구비하는 커넥터
KR20220088042A (ko) 리어홀더 및 커넥터
KR100804279B1 (ko) 박스의 커버장착구조
KR101009362B1 (ko) 커넥터 어셈블리
KR20090006791U (ko) 벌브홀더
KR20080001928U (ko) 커넥터와 클립 결합구조
KR100948132B1 (ko) 차량용박스
KR20150139409A (ko) 연결 클립,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KR200448593Y1 (ko) 커넥터
KR102191891B1 (ko) 이탈 방지용 클립 및 이를 갖는 커넥터 어셈블리
KR20100114366A (ko) 커넥터조립체
KR200439564Y1 (ko) 정션박스의 카세트블록 결합구조
KR200448594Y1 (ko) 박스용 커버결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